WO2021107357A1 -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07357A1
WO2021107357A1 PCT/KR2020/012395 KR2020012395W WO2021107357A1 WO 2021107357 A1 WO2021107357 A1 WO 2021107357A1 KR 2020012395 W KR2020012395 W KR 2020012395W WO 2021107357 A1 WO2021107357 A1 WO 20211073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eave
frame
car
door
typ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23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기랑
장석우
Original Assignee
(주)대륜엘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륜엘리스 filed Critical (주)대륜엘리스
Publication of WO20211073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073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ounter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4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mounted on cars or 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7Shoe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 an elevator is a device for moving people or cargo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or structure by vertically ascending or descending including one door.
  • doors are installed, such as a front-through type elevator with one door on the front and one at the rear, and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with one door on the front or rear and one on the left or right side.
  • a front-through type elevator with one door on the front and one at the rear
  •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with one door on the front or rear and one on the left or right sid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vato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543018.
  • the conventional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is provided with guide rails 2 only on one surface of the elevator car 1, so that the load load is limited, and an eccentric load is generated by passengers or cargo inside the car during move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uitable for application to passenger elevators because a large amount of vibration and inclination occur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to provide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that can be used for passengers with a stable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that can minimize the generation of inclination or vibration when the elevator car move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capable of improving maintenance and maintainability by minimizing the number of sheaves used in the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includes a hoistway frame, a drive mot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r, a counterweight, and a rope.
  • the hoistway frame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a second fixing part, and at least two or more frame sheaves on the upper side.
  • the drive motor may be fixedly installed below the hoistway frame by coupling a motor sheave to the rotating shaft.
  • the car includes a door module includ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r body and a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respectively formed on side surfaces adjacent to the car body.
  • a first horizontal frame and a first horizontal fram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 body, the car first sheave and the second car sheave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ca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horizontal fram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 body
  • a second horizontal frame formed and a guide shoe module formed of a first vertical frame and a second vertical fram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to elevate and descend in the hoistway frame can
  • the counter weight may have a counter sheave formed on the upper side thereof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ar to ascend and descend in the hoistway frame.
  • the rope has one end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car first sheave and the car second sheave, at least one or more frame sheave, the motor sheave and at least one other frame sheave and the counter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through the sheave.
  • the lower portion of the hoistway frame may further include a pit that is a buffer space required when the car is dropped.
  • the motor sheave is formed on a lower side opposite to the first door
  • the counter sheave is formed to rise and fall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door
  • the frame sheave is orthogonal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It may include a frame first sheave and a frame second sheave formed on a straight line, and a third sheave frame and a fourth sheave frame respectively formed on another straight line orthogonal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 the motor sheave is formed under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oor
  • the counter sheave is formed to rise and fall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oor
  • the frame sheave is the first door It may include a frame first sheave and a frame second sheave and a frame third sheave respectively formed on an upper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door.
  •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axis of the frame first sheave between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sheave and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axis of the counter sheave may be formed.
  • car guide shoes 335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vertical frame 333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334 , respectively.
  • the first vertical frame 333 is formed on the edge side between the surfaces on which the first door 321 and the second door 322 are formed.
  • the counter weight may be formed above the driving motor by including counter weight guides on both sides, respectively.
  • counter guide shoe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unter weight guide.
  • the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vibration and tilting that occur during the elevator car ascends and descends.
  • the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improve maintenance and maintainability by omitting a separate frame for fixing the car sheave and installing the driving motor on the ground or undergroun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vator.
  •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right side view of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ope and a sheave in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ope and a sheave in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top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heave in the direct-through type elev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top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heave in the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 in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top view of a car in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bottom view of a car in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arbitrary component is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of a component or “top (or below)”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Furthermore,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 each component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 FIGS. 2 and 3 are respectively a front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and 5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rope and a sheave, respectively, in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6 and 7 are top views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heave in the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FIGS. 8 to 10 are a perspective view, a top view, and a bottom view of a car in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the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includes a hoistway frame 100 , a drive motor 200 , a car 300 , a counter weight 400 , and a rope 500 .
  • the hoistway frame 100 serves as a guide rail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car 300 , and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110 and a second fixing part 120 and at least two frame sheaves 130 on the upper side. ) is included.
  • one end of the rope 500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110 , and the other end of the rope 500 is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art 120 .
  • the driving motor 2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istway frame 100 and includes a motor sheave 210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 the driving motor 20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r 300 in order to prevent a collision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 300 when the car 300 falls vertically.
  • the car 30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a whole by loading passengers or cargo in the inner space of the car body 310 and moving up and down in the hoistway frame 100 .
  • the car 300 includes a door module 320 including a first door 321 and a second door 322 respectively formed on side surfaces adjacent to the car body 310 .
  • first door 321 and the second door 322 may be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motor or the like as passages for passengers or cargo to enter and exit the car 300 .
  • directions in which the first door 321 and the second door 322 enter and exit are form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 the car 300 is a first horizontal frame 331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 body 310, the car first sheave (331a) and the second car sheave (331b)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 second horizontal frame 33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 body 31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horizontal frame 331, and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3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32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shoe module 330 formed of a first vertical frame 333 and a second vertical fram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 the counter weight 400 has a counter sheave 410 formed on the upper side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ar 300 to ascend and descend in the hoistway frame 100 .
  • the counter weight 400 descends, and when the car 300 descends, the counter weight 400 is operated to rise.
  • the rope 500 has one end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sequentially the car first sheave (331a) and the car second sheave (331b), and at least one or more frame sheave 130.
  •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120 via the motor sheave 210 and at least one other frame sheave 130 and the counter sheave 410 through the.
  • the lower side of the hoistway frame 100 may further include a pit 600 that is a buffer space required for the case in which the elevator car 300 falls.
  • the car 300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drive motor 200 coupled to the hoistway frame 100 without the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machine room.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 the motor sheave 210 may be formed on a lower s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door 322 , and the counter sheave 410 may be formed to rise and fall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door 321 .
  • the frame sheave 130 is a frame first sheave 131 and a frame second sheave 132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331 respectively formed on a straight line orthogonal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331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rame third sheave 133 and a fourth sheave frame 134 respectively formed on other straight lines orthogonal to.
  • the frame first sheave 131 and the frame second sheave 132 may be coupled to one frame formed above the hoistway frame 10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331 . have.
  • the frame third sheave 133 and the frame fourth sheave 134 may be coupled to the other frame formed above the hoistway frame 10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331 .
  • one end of the rope 500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sequentially the car first sheave (331a) and the car second sheave (331b) ), through the frame first sheave 131 and the frame second sheave 132 through the motor sheave 210 and the frame third sheave 133, the frame fourth sheave 134 and the counter sheave 410 through
  •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120 .
  • the motor sheave 210 is formed under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oor 321, and the counter sheave 410 is formed to rise and fall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oor 321, and the frame sheave 130 is a frame first sheave 131 ′ formed on an upper side opposite to the first door 321 and a frame second sheave 132 ′ formed on an upper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door 322 ,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third sheave (133').
  •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sheave 210 and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axis of the counter sheave 410 may be formed.
  • the frame first sheave 131 ′ is coupled to one frame formed on the upper side opposite to the first door 321
  • the frame second sheave 132 ′ and the frame third sheave 133 ′ may be coupled to one frame formed above the second door 322 in the direction.
  • one end of the rope 500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sequentially the car first sheave (331a) and the car second sheave (331b) ), through the frame first sheave 131 ′, the motor sheave 210 , the frame second sheave 132 ′, the frame third sheave 133 ′, and the counter sheave 410 through the counter sheave 410 . It may be fixed to the fixing unit 120 .
  • the right angle through-typ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torsion applied to the rope 500 by the position of the frame sheave 130 as described above.
  •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frame sheave 130 may be parti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limitation of the space in which the elevator is installed.
  • the first vertical frame 333 may be formed on the edge side between the surfaces on which the first door 321 and the second door 322 are formed.
  • the first door 321 and the second door 322 are configured to be perpendicular to adjacent side surfaces, respectively, so that the rigidity of a corner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door 321 and the second door 322 may be reduced.
  • the first vertical frame 333 may not only serve as a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ar 300 , but may further improve the rigidity of the car 300 itself.
  • first vertical frame 333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334 which are firmly fixed by the first horizontal frame 331 and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32, are at both corners of the car 300. It is formed and the car guide shoes 335 are coupled to both ends, which raises and lowers the car 300 along the guide rails (not shown) formed in the hoistway frame 100 .
  • counter guide shoes 421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unter weight guide 420, which can raise and lower the counter weight 400 along a guide rail (not shown) formed on the hoistway frame 100. hav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ght-angle through-type elevator that can be used for passengers with a stabl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로 프레임, 구동 모터, 제 1, 2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모듈과 카 제 1, 2 쉬브, 제 1, 2 수평 프레임과 제 1, 2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이드 슈 모듈을 포함하는 카, 카운터 웨이트 및 로프를 포함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본 발명은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하나의 도어를 포함하여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 건물이나 구조물의 층과 층 사이로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그러나, 도어가 하나인 엘리베이터는 정차하는 각층에 엘리베이터 도어에 해당하는 공간을 사람이나 화물이 대기하고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야 하므로 건물의 공간 활용에 제한이 따른다.
이러한 공간 활용의 제한을 극복하고자 도어가 정면과 후면에 각각 1개씩 구비되는 정면 관통형 엘리베이터와 도어가 정면 또는 후면에 1개, 좌측 또는 우측 면에 1개가 구비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등과 같이 도어를 2개로 하여 층 마다 내리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건물 각 층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위치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출입문이 정면 또는 후면에 1개, 좌측 또는 우측 면에 1개가 구비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경우 출입문을 위한 구성과 엘리베이터 카를 건물의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대칭되도록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543018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1) 일면에만 가이드 레일(2)이 구비되어 적재 하중에 제한이 따르는 것은 물론 이동 시 카 내부에 승객 또는 화물 등에 의하여 편심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다량의 진동과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하여 승객용 엘리베이터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정적인 구조로 승객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 이동 시 기울어짐이나 진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쉬브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프레임과 구동 모터, 직육면체 형상의 카, 카운터 웨이트 및 로프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로 프레임은 상측에 제 1고정부와 제 2고정부와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레임 쉬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는 회전축에 모터 쉬브가 결합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 하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는 직육면체 형상의 카 본체와 상기 카 본체 인접한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도어와 제 2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는 측에 카 제 1쉬브와 카 제 2쉬브가 형성되어 상기 카 본체의 상면에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 1수평 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카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2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 1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 2수평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는 제 1수직 프레임과 제 2수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슈 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승강로 프레임 내에서 승하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상측에 카운터 쉬브가 형성되어 상기 카의 측면과 이격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 내에서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는 일단이 상기 제 1고정부에 고정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카 제 1쉬브와 카 제 2쉬브, 적어도 1개 이상의 프레임 쉬브를 거쳐 상기 모터 쉬브와 적어도 1개 이상의 다른 프레임 쉬브 및 상기 카운터 쉬브를 거쳐 타단이 상기 제 2고정부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승강로 프레임 하단에 카의 낙하 시 필요한 완충 공간인 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터 쉬브는 상기 제 1도어의 반대 방향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카운터 쉬브는 상기 제 1도어의 반대 측에서 승, 하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쉬브는 상기 제 1수평 프레임과 직교하는 일직선 상에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제 1쉬브와 프레임 제 2쉬브와 상기 제 1수평 프레임과 직교하는 타직선 상에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제 3쉬브와 프레임 제 4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모터 쉬브는 상기 제 1도어의 반대 방향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카운터 쉬브는 상기 제 1도어의 반대 방향에서 승, 하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쉬브는 상기 제 1도어의 반대 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제 1쉬브와 상기 제 2도어 방향 상측에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제 2쉬브와 프레임 제 3쉬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 쉬브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과 상기 카운터 쉬브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 사이에 상기 프레임 제 1쉬브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상기 카가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하강하고, 상기 카가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상승한다.
또한, 상기 제 1수직 프레임(333)과 상기 제 2수직 프레임(334)의 양단에는 각각 카 가이드 슈(33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수직 프레임(333)은 상기 제 1도어(321)와 제 2도어(322)가 형성되는 면 사이의 모서리 측에 형성에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양측에 각각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 모터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양단에는 각각 카운터 가이드 슈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의 카가 승, 하강 중 발생하는 진동과 쏠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카 쉬브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을 생략하고 구동 모터를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로프와 쉬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로프와 쉬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쉬브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쉬브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의 저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정면도와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과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로프와 쉬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한, 도 6과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쉬브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또한, 도 8 내지 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의 사시도와 상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프레임(100)과 구동 모터(200)와 카(300), 카운터 웨이트(400) 및 로프(50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은 상기 카(300)의 승, 하강을 위한 가이드 레일과 같은 역할로 상측에 제 1고정부(110)와 제 2고정부(120)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레임 쉬브(1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고정부(110)에는 상기 로프(500)의 일단이 결합하고, 상기 제 2고정부(120)에는 상기 로프(500)의 타단이 결합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200)는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축에 결합되는 모터 쉬브(210)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모터(200)는 상기 카(300)가 수직으로 낙하하는 경우 상기 카(300)의 저면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카(300)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300)는 카 본체(310)의 내부 공간에 승객 또는 화물이 적재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 내에서 상,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300)는 상기 상기 카 본체(310) 인접한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도어(321)와 제 2도어(322)를 포함하는 도어 모듈(320)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도어(321)와 상기 제 2도어(322)는 승객 또는 화물이 상기 카(300)를 출입하기 위한 통로로서 모터 등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도어(321)와 상기 제 2도어(322)를 각각 출입하는 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카(300)는 상측에 카 제 1쉬브(331a)와 카 제 2쉬브(331b)가 형성되어 상기 카 본체(310)의 상면에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수평 프레임(331)과 상기 제 1수평 프레임(331)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카 본체(3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2수평 프레임(332)과 상기 제 1수평 프레임(331)과 상기 제 2수평 프레임(332)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는 제 1수직 프레임(333)과 제 2수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슈 모듈(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 웨이트(400)는 상측에 카운터 쉬브(410)가 형성되어 상기 카(300)의 측면과 이격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 내에서 승, 하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300)가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400)는 하강하고, 상기 카(300)가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400)가 상승하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로프(500)는 일단이 상기 제 1고정부(110)에 고정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카 제 1쉬브(331a)와 카 제 2쉬브(331b), 적어도 1개 이상의 프레임 쉬브(130)를 거쳐 상기 모터 쉬브(210)와 적어도 1개 이상의 다른 프레임 쉬브(130) 및 상기 카운터 쉬브(410)를 거쳐 타단이 상기 제 2고정부(12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 하측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300)가 낙하하는 경우를 위해 필요한 완충 공간인 피트(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구동 모터(200)에 의하여 상기 카(300)의 승, 하강을 수행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잦은 관리가 필요한 구동 모터(200)가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의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 관리가 용이하다.
한편, 도 4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쉬브와 로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모터 쉬브(210)는 상기 제 1도어(322)의 반대 방향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카운터 쉬브(410)는 상기 제 1도어(321)의 반대 측에서 승, 하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쉬브(130)는 상기 제 1수평 프레임(331)과 직교하는 일직선 상에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제 1쉬브(131)와 프레임 제 2쉬브(132)와 상기 제 1수평 프레임(331)과 직교하는 타직선 상에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제 3쉬브(133)와 프레임 제 4쉬브(1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프레임 제 1쉬브(131)와 상기 프레임 제 2쉬브(132)는 상기 제 1수평 프레임(33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 상측에 형성되는 하나의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제 3쉬브(133)와 상기 프레임 제 4쉬브(134)는 상기 제 1수평 프레임(33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 상측에 형성되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로프(500)는 일단이 상기 제 1고정부(110)에 고정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카 제 1쉬브(331a)와 카 제 2쉬브(331b), 프레임 제 1쉬브(131), 프레임 제 2쉬브(132)를 거쳐 상기 모터 쉬브(210)와 프레임 제 3쉬브(133), 프레임 제 4쉬브(134) 및 상기 카운터 쉬브(410)를 거쳐 타단이 상기 제 2고정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쉬브와 로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모터 쉬브(210)는 상기 제 1도어(321)의 반대 방향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카운터 쉬브(410)는 상기 제 1도어(321)의 반대 방향에서 승, 하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쉬브(130)는 상기 제 1도어(321)의 반대 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제 1쉬브(131`)와 상기 제 2도어(322) 방향 상측에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제 2쉬브(132`)와 프레임 제 3쉬브(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 쉬브(210)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과 상기 카운터 쉬브(410)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 사이에 상기 프레임 제 1쉬브(131`)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 제 1쉬브(131`)는 상기 제 1도어(321)의 반대 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하나의 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 제 2쉬브(132`)와 프레임 제 3쉬브(133`)는 상기 제 2도어(322) 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하나의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로프(500)는 일단이 상기 제 1고정부(110)에 고정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카 제 1쉬브(331a)와 카 제 2쉬브(331b), 프레임 제 1쉬브(131`)를 거쳐 상기 모터 쉬브(210)와 프레임 제 2쉬브(132`), 프레임 제 3쉬브(133`) 및 상기 카운터 쉬브(410)를 거쳐 타단이 상기 제 2고정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임 쉬브(130)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로프(500)에 가해지는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쉬브(130)의 개수와 위치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공간의 제한에 따라 일부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상기 카(300)가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400)는 하강하고, 상기 카(300)가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400)는 상승하도록 작동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수직 프레임(333)은 상기 제 1도어(321)와 제 2도어(322)가 형성되는 면 사이의 모서리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도어(321)와 제 2도어(322)는 인접한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도어(321)와 제 2도어(322)가 인접한 모서리부의 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수직 프레임(333)은 상기 카(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 뿐 아니라 카(300) 자체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수평 프레임(331)과 제 2수평 프레임(332)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제 1수직 프레임(333)과 제 2수직 프레임(334)은 상기 카(300)의 양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각각 양단에 카 가이드 슈(335)가 결합되며, 이는 승강로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카(300)를 승, 하강 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카(300)가 승, 하강하는 중에 발생하는 쏠림이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안전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420)는 양단에 카운터 가이드 슈(421)가 결합되며, 이는 승강로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카운터 웨이트(400)를 승, 하강 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안정적인 구조로 승객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상측에 형성되는 제 1고정부와 제 2고정부와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레임 쉬브를 포함하는 승강로 프레임;
    회전축에 모터 쉬브가 결합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 하측에 고정되는 구동 모터;
    직육면체 형상의 카 본체와 상기 카 본체의 인접한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도어와 제 2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모듈과 상측에 카 제 1쉬브와 카 제 2쉬브가 형성되어 상기 카 본체의 상면에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 1수평 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카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2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 1수평 프레임과 상기 제 2수평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는 제 1수직 프레임과 제 2수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슈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로 프레임 내에서 승하강하는 카;
    상측에 카운터 쉬브가 형성되어 상기 카의 측면과 이격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110) 내에서 승하강하는 카운터 웨이트; 및
    일단이 상기 제 1고정부에 고정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카 제 1쉬브와 카 제 2쉬브, 적어도 1개 이상의 프레임 쉬브, 모터 쉬브와 적어도 1개 이상의 다른 프레임 쉬브 및 상기 카운터 쉬브를 거쳐 타단이 상기 제 2고정부에 고정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프레임 하단에 피트를 더 포함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쉬브는 상기 제 1도어의 반대 방향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카운터 쉬브는 상기 제 1도어의 반대 측에서 승, 하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쉬브는 상기 제 1수평 프레임과 직교하는 일직선 상에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제 1쉬브와 프레임 제 2쉬브와 상기 제 1수평 프레임과 직교하는 타직선 상에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제 3쉬브와 프레임 제 4쉬브를 포함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쉬브는 상기 제 1도어의 반대 방향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카운터 쉬브는 상기 제 1도어의 반대 방향에서 승, 하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쉬브는 상기 제 1도어의 반대 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제 1쉬브와 상기 제 2도어 방향 상측에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 제 2쉬브와 프레임 제 3쉬브를 포함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쉬브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과 상기 카운터 쉬브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 사이에 상기 프레임 제 1쉬브의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선이 형성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가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하강하고, 상기 카가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상승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직 프레임과 상기 제 2수직 프레임의 양단에는 각각 카 가이드 슈가 형성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제 1수직 프레임은 상기 제 1도어와 제 2도어가 형성되는 면 사이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양측에 각각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 모터 상측에 형성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양단에는 각각 카운터 가이드 슈가 형성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PCT/KR2020/012395 2019-11-25 2020-09-14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WO202110735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559 2019-11-25
KR1020190152559A KR102116356B1 (ko) 2019-11-25 2019-11-25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357A1 true WO2021107357A1 (ko) 2021-06-03

Family

ID=7092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2395 WO2021107357A1 (ko) 2019-11-25 2020-09-14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6356B1 (ko)
WO (1) WO2021107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56B1 (ko) * 2019-11-25 2020-05-28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641A (ja) * 1997-04-22 1998-11-13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7297209A (ja) * 2005-12-26 2007-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KR101994433B1 (ko) * 2019-03-18 2019-09-18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KR102034750B1 (ko) * 2018-06-11 2019-10-22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US20190352133A1 (en) * 2016-09-07 2019-11-21 Thyssenkrupp Elevator Ag Elevator car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having a linear motor drive, elevator installation having such a car,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installation
KR102116356B1 (ko) * 2019-11-25 2020-05-28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5288A (en) 1999-04-22 2000-08-01 Otis Elevator Company Pit-less eleva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641A (ja) * 1997-04-22 1998-11-13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7297209A (ja) * 2005-12-26 2007-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US20190352133A1 (en) * 2016-09-07 2019-11-21 Thyssenkrupp Elevator Ag Elevator car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having a linear motor drive, elevator installation having such a car,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installation
KR102034750B1 (ko) * 2018-06-11 2019-10-22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KR101994433B1 (ko) * 2019-03-18 2019-09-18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KR102116356B1 (ko) * 2019-11-25 2020-05-28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356B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90115A1 (ko)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US7467691B2 (en) Elevator installation, a method of operating this 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 of modernizing an elevator installation
JP41913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2018224A2 (ko) 웜기어형 구동부, 웜기어형 구동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020042489A (ko) 엘리베이터
US20030121727A1 (en) Single wall interface traction elevator
WO2013012249A2 (ko) 엘리베이터 출입구 폭 이내 구간에 설치되는 카도어 자동개폐장치
WO2015178682A1 (ko) 쓰리웨이 엘리베이터 순환시스템
WO2021107357A1 (ko)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JPH11106159A (ja) エレベーター
WO2021107356A1 (ko)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WO2004020322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56736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H1160117A (ja) エレベーター
JPWO20030206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1053184A1 (fr) Systeme d'ascenseur
EP1566357A1 (en) Elevator equipment
JPH0570058A (ja) エレベータ装置
EP1053969B1 (en) Elevator
JPH057005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005334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09764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5060593A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1048445A (ja) エレベータ
JPH0631145B2 (ja) エレベ−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27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927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