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94239A1 -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및 이를 위한 스테이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 Google Patents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및 이를 위한 스테이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94239A1
WO2021194239A1 PCT/KR2021/003613 KR2021003613W WO2021194239A1 WO 2021194239 A1 WO2021194239 A1 WO 2021194239A1 KR 2021003613 W KR2021003613 W KR 2021003613W WO 2021194239 A1 WO2021194239 A1 WO 20211942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il
core
electric motor
twisted shape
unit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36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의천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11942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942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H02K3/1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with transposed conductors, e.g. twist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8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in slo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coil having a twisted shape, a stator therefor, and an electric mot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t coil having a twisted shape that is formed to have a twisted shape to reduce vibration and noise, and the same It relates to a stator for, and an electric motor including the same.
  • Such a conventional electric motor ha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and power density cannot be raised above a certain level due to the low space factor.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while applying a flat coil to increase the space factor of the motor, a skew structure is applied to the flat coil itself to reduce vibration and It has a purpose to be able to reduce noise.
  • the twisted-shaped flat coi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tooth circumference of the core provided in the electric motor, and is stacked along the tooth length direction of the core in a form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integrally.
  • a unit coil including a plurality of layers, wherein each layer of the unit coil has a ratio of a pair of exposed areas and a pair of exposed areas provided outside a slot formed between teeth of adjacent cores. It connects between the pair of exposed areas in a perpendicular state, and includes a pair of slot insertion areas inserted into the slots.
  • At least a portion of the adjacent portion adjacent to another unit coil provided in the same slot formed between the teeth of the surrounding core and the teeth of the adjacent core may be formed non-parallel to the tooth side of the surrounding core.
  • the unit coil may be formed to be non-parallel to the tooth side of the core surrounding the adjacent portion in the form of a continuous straight line over a plurality of layers.
  • the unit coil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slot insertion region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ner diameter portion to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motor toward the layer.
  • the unit coil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of the exposed region for each layer.
  • the unit coil may be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ner diameter part to the outer diameter part direction of the layer of the motor.
  • an end winding connection portion to which an end winding member for connection with another unit coil is connected may be formed.
  • the s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re on which the flat coil of the twisted shape is wound, and the core is a first surface formed to face the front of the motor, facing the rear of the motor It includes a second surface formed to do so, and a pair of third surfaces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n a non-perpendicular s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 the twisted-shaped flat coi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stator therefor, and the electric motor including the same have a relatively high space factor compared to the same structu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ircular coil, so a high-efficiency electric motor and generato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du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of the motor by applying a skew structure to the flat coil itself while applying a flat coil to increase the space factor of the motor.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n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to 4 ar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a flat coil applied to an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to 6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lat coil is provided in a stator in an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n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ic motor includes a rotor 100 and a stator 200 .
  • the stator 200 includes a ring-shaped inner peripheral portion 210 and a plurality of cores 220 (refer to FIG. 5 ) on which the flat coil 300 is mounted, such a core 220 has an inner peripheral portion ( 210) is arranged along the perimeter.
  • the rotor 100 includes an outer peripheral portion 110 provid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stator 200, and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120 provid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110 and the stator 200. do.
  • the permanent magnet 120 may be replaced with a field winding.
  • th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orm in which the rotating rotor 100 is provided outside the stator 200, and the rotor 100 may be connected to a target to which rotational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 a hollow 212 into which an external structure for fixing the stator 20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side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210 of the stator 200 .
  •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210 is coupled to the external structure is further provided with a rotation preventing protrusion 214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stator (200).
  • the plurality of flat coils 300 provided in the stator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n end winding member 400 connecting each of the flat coils 300 to each other.
  • FIGS. 5 to 6 are views showing a stator in th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at coil 300 is provided at 200 .
  • the flat coil 30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tooth circumference of the core 220 provided in the electric motor (refer to FIG. 5 ), and the core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an integral part.
  • the tooth of 220 is composed of a unit coil including a plurality of layers stack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hollow part 302 into which the teeth of the core 220 are inserted may be formed inside the unit coil.
  • the core 220 may be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magnetic permeability ( ⁇ , Permeability).
  • each layer of the unit coil may have a different geometric shape, and also on one layer, the shape of the unit coil is deformed for each region.
  • each layer of the unit coil includes a pair of exposed areas 310 provided outside the slots 230 formed between the teeth of the core 220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air of exposed areas. It connects between the pair of exposed areas 310 while forming a preset angle ⁇ with respect to the area 310 and includes a pair of slot insertion areas 320 inserted into the slot 230 . .
  • the slot insertion area 320 refers to an area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slot 230 between the teeth of the core 220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exposed area 310 is not inserted into the slot 23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refers to the area covered.
  • the preset angle ⁇ between the slot insertion region 320 and the exposed region 310 is formed to be a non-right angle, and thus, the flat coil 300 has a parallelogram shape in cross section to form a twisted shape as a whole.
  • At least a portion of the adjacent portion 304 adjacent to another unit coil provided in the same slot 230 formed between the teeth of the surrounding core 220 and the teeth of the adjacent core 220, It has a shape formed non-parallel to the tooth side of the enclosing core 220 .
  • the slot insertion area 320 In the slot 230 form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cores 220 , parts of different unit coils, that is, the slot insertion area 320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inserted into one slot 230 to occupy space with each other. Side portions of adjacent unit coils form the adjacent portion 304 . That is, the adjacent portion 304 means a surface opposite to another adjacent unit coil.
  • the adjacent portion 304 is formed non-parallel with the side of the teeth of the core 220 , and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o maximize the space factor in the slot 230 .
  • the unit coil has a shape formed non-parallel to the tooth side of the core 220 that the adjacent portion 304 surrounds in the form of a continuous straight line over a plurality of layers. That is, the slot insertion region 320 of the unit coil has a tapered shape as a whole, and the widths W 2-1 to W 2-n of the individual layers gradually increase from the inner diameter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motor.
  • the unit coil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mpletely fill the space in the slot 230 together with other adjacent unit coils, and can have a space space maximized compared to the prior art.
  • the angle between the tooth side of the core 220 surrounded by the unit coil and the adjacent portion 304 may be determined by a geometric shap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lots 230 provided in the motor, specifically, the central angle of the motor. may be di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lots 230 to determine the angle of the adjacent portion 304 .
  • the unit coil may be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h 2-1 to h 2-n )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ner diameter part to the outer diameter part of the layer (L) of the motor.
  • the thickness (h 2-1 to h 2 - n ) is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 the width of each layer decreases relatively toward the inner diameter of the motor. This is to increase the efficiency by lowering the resistance of the corresponding layer.
  • the width W 1 of the exposed region 310 may be the same for each layer, unlike the slot insertion region 320 . That is, the exposed area 310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W 1 ,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layer, unlike the slot insertion area 320 .
  •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o minimize the area occupied by the electric motor by flatte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xposed area 310, and at the same time to facilitate mounting of external components such as a heat sink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posed area 310. .
  • an end winding connection part 330 to which an end winding member 400 for connection with another unit coil is connected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unit coil.
  • the stator 200 on which the flat coil 300 of the twisted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und includes an inner peripheral portion 210 and a plurality of cores 220 .
  • the core 220 includes a first surface 221 formed to face the front of the motor, a second surface 222 formed to face the rear of the motor, and the first surface 221 and a pair of third surfaces 223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surface 221 and the second surface 222 in a non-perpendicular st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rface 222; , the cross-section may have an overall parallelogram formation.
  • the cross section of the core 220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llow portion 302 of the flat coil 300 , and may also be formed to have a twisted shape.
  • the stator 200 has a core 220 of a suitable shape so that the flat coil 300 of the twisted shape can be stably coupled, and the motor itself by the flat coil 300 of the twisted shape. Vibration and noise can be effectively redu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은, 전동기에 구비되는 코어의 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체형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상기 코어의 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단위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코일의 각 레이어는, 서로 인접한 코어의 치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의 외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노출영역 및 상기 한 쌍의 노출영역에 대해 비직각을 이룬 상태로 상기 한 쌍의 노출영역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한 쌍의 슬롯삽입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및 이를 위한 스테이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본 발명은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및 이를 위한 스테이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틀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및 이를 위한 스테이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전동기의 효율 증대를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최근에는 전기자동차 및 발전설비에 사용되는 전동기 및 발전기의 효율 개선은 매우 큰 경제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전동기 및 발전기의 로터 또는 스테이터에 감기는 코일의 점적률(占積率, Coil Space Factor 또는 Conductor Occupying Ratio)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코일의 점적률을 향상시키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스테이터 또는 로터에 감기는 코일의 직경을 증가시키거나 감는 횟수를 늘리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코일의 경우 주로 수직단면이 원형의 형태를 갖는 구리 와이어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원형코일의 직경을 증가시키게 되면 원형의 단면으로 인해 감겨진 코일층 사이에 낭비되는 공간(Waste Space)이 발생하게 되므로 코일의 점적률이 저하된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반면, 너무 작은 직경을 갖는 코일을 감을 경우에는 동일 면적 대비 권선횟수가 증가되므로, 상대적인 전기저항의 증가로 인해 효율저하 및 발열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모터는 낮은 점적률로 인해 효율 및 출력밀도를 일정 수준 이상 끌어올릴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전기 모터는 구동 과정에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 최근 프리미엄급 전기자동차의 개발 과정에서는 전기 모터의 진동 및 소음 저감이 필연적인 해결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모터의 점적율을 높이기 위해 평각형 코일을 적용하면서도, 평각형 코일 자체에 비틀린 구조(Skew Structure)를 적용하여 모터의 진동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은, 전동기에 구비되는 코어의 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체형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상기 코어의 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단위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코일의 각 레이어는, 서로 인접한 코어의 치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의 외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노출영역 및 상기 한 쌍의 노출영역에 대해 비직각을 이룬 상태로 상기 한 쌍의 노출영역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한 쌍의 슬롯삽입영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위코일은,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와, 인접한 코어의 치 사이에 형성되는 동일 슬롯 내에 구비된 다른 단위코일과 인접한 인접부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 측면과 비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인접부가 복수의 레이어에 걸쳐 연속적인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 측면과 비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 방향의 레이어로 갈수록 상기 슬롯삽입영역의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노출영역의 폭이 각 레이어마다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 방향의 레이어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도리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코일의 양 끝단부에는, 다른 단위코일과의 연결을 위한 엔드와인딩부재가 연결되는 엔드와인딩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기의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이 권취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는, 전동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1면, 전동기의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2면 및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대해 비직각을 이룬 상태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3면을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및 이를 위한 스테이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는, 종래 원형코일에 비해 동일 구조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점적률을 가지므로, 고효율의 전동기 및 발전기의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점적율을 높이기 위해 평각형 코일을 적용하면서도, 평각형 코일 자체에 비틀린 구조(Skew Structure)를 적용하여 모터의 진동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에 적용되는 평각형 코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에 있어서, 스테이터에 평각형 코일이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는 로터(100)와 스테이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테이터(200)는 링 형상의 내주부(210)와, 평각형 코일(300)이 장착되는 복수 개의 코어(220, 도 5 참조)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코어(220)는 내주부(2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100)는 상기 스테이터(200)를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외주부(110)와, 상기 외주부(110) 및 상기 스테이터(200)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영구자석(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영구자석(120)은 계자권선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는 회전되는 로터(100)가 스테이터(200)의 외측에 구비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로터(100)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고자 하는 대상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이터(200)의 내주부(210) 내측에는, 상기 스테이터(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외부 구조물이 삽입되는 중공(2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주부(210)의 내주면에는 외부 구조물과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20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214)가 더 구비된다.
더불어 이와 같은 스테이터(2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평각형 코일(300)은 각각의 평각형 코일(300)을 서로 연결하는 엔드와인딩부재(4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에 적용되는 평각형 코일(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에 있어서, 스테이터(200)에 평각형 코일(300)이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각형 코일(300)은 전동기에 구비되는 코어(220, 도 5 참조)의 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체형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상기 코어(220)의 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단위코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단위코일의 내측에는 상기 코어(220)의 치가 삽입되는 중공부(3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220)는 투자율(透磁率, Permeability)을 가지는 자성재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코일은 각 레이어가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레이어 상에서도 영역 별로 그 형태가 변형되는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단위코일의 각 레이어는, 서로 인접한 코어(220)의 치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230)의 외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노출영역(310)과, 상기 한 쌍의 노출영역(310)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θ)를 이룬 상태로 상기 한 쌍의 노출영역(310)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슬롯(230)에 삽입되는 한 쌍의 슬롯삽입영역(32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슬롯삽입영역(320)은 서로 인접한 코어(220)의 치 사이 슬롯(230)에 완전히 수용되는 영역을 말하며, 상기 노출영역(310)은 상기 슬롯(230)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슬롯삽입영역(320)과 상기 노출영역(310) 사이의 기 설정된 각도(θ)는 비직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평각형 코일(300)은 횡단면이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비틀린 형상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은 전동기의 점적율을 높이는 동시에, 평각형 코일(300)에 비틀린 구조를 적용하여 전동기 자체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코일은, 감싸고 있는 코어(220)의 치와, 인접한 코어(220)의 치 사이에 형성되는 동일 슬롯(230) 내에 구비된 다른 단위코일과 인접한 인접부(304)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고 있는 코어(220)의 치 측면과 비평행하게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한 쌍의 인접한 코어(220)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230)에는 서로 다른 단위코일의 일부, 즉 슬롯삽입영역(320)이 각각 삽입되며, 하나의 슬롯(230) 내에 삽입되어 공간을 점유하는 서로 인접한 단위코일의 측면부가 상기 인접부(304)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인접부(304)는 인접한 다른 단위코일과의 대향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인접부(304)는, 상기 코어(220)의 치의 측면과는 비평행하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슬롯(230) 내에서의 점적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인접부(304)가 복수의 레이어에 걸쳐 연속적인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감싸고 있는 코어(220)의 치 측면과 비평행하게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단위코일의 슬롯삽입영역(320)은 전체적으로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며,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로 갈수록 개별 레이어의 폭(W2-1~W2-n)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단위코일은, 인접한 다른 단위코일과 함께 슬롯(230) 내 공간을 빈틈없이 가득 채울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극대화된 점적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코일이 감싸고 있는 코어(220)의 치 측면과 상기 인접부(304)와의 각도는, 전동기에 구비되는 슬롯(230)의 개수에 따른 기하학적 형태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동기의 중심각을 상기 슬롯(230)의 개수에 따라 나누어 상기 인접부(304)의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 방향의 레이어(L)로 갈수록 두께(h2-1~h2-n)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코일의 레이어가 n개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전동기의 최외곽 외경부에 위치되는 레이어로부터 상기 전동기의 최내곽 내경부에 위치되는 레이어로 갈수록 그 두께(h2-1~h2-n)가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접부(304)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전동기의 내경부 측으로 갈수록 각 레이어의 폭이 줄어들기 때문에, 줄어든 폭을 두께로서 보상함에 따라 일정 이상으로 해당 레이어의 저항을 낮추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출영역(310)의 폭(W1)은, 상기 슬롯삽입영역(320)과 달리 각 레이어마다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출영역(310)은 상기 슬롯삽입영역(320)과는 달리, 레이어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폭(W1)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상기 노출영역(310)의 외면 측을 평탄하게 하여 전동기의 점유 면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상기 노출영역(310)의 외면에 방열판 등과 같은 외부 부품을 장착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뿐만 아니라 각 레이어의 상기 노출영역(310)에서의 전기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기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평각형 코일(300)은 상기 단위코일의 양 끝단부에 다른 단위코일과의 연결을 위한 엔드와인딩부재(400)가 연결되는 엔드와인딩 연결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300)이 권취되는 스테이터(200)는 내주부(210)와, 복수 개의 코어(220)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코어(220)는, 전동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1면(221)과, 전동기의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2면(222)와, 상기 제1면(221) 및 상기 제2면(222)에 대해 비직각을 이룬 상태로 상기 제1면(221) 및 상기 제2면(222)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3면(223)을 포함하여, 횡단면이 전체적으로 평행사변형 형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코어(220)의 횡단면은 평각형 코일(300)의 중공부(302)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찬가지로 비틀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300)을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스테이터(200)가 적합한 형상의 코어(220)를 가지며,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300)에 의해 전동기 자체의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로터
110: 외주부
120: 영구자석
200: 스테이터
210: 내주부
212: 중공
214: 회전방지돌기
220: 코어
230: 슬롯
300: 평각형 코일
304: 인접부
310: 노출영역
320: 슬롯삽입영역
330: 엔드와인딩 연결부
400: 엔드와인딩부재

Claims (10)

  1. 전동기에 구비되는 코어의 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체형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상기 코어의 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단위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코일의 각 레이어는,
    서로 인접한 코어의 치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의 외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노출영역; 및
    상기 한 쌍의 노출영역에 대해 비직각을 이룬 상태로 상기 한 쌍의 노출영역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한 쌍의 슬롯삽입영역;
    을 포함하는,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은,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와, 인접한 코어의 치 사이에 형성되는 동일 슬롯 내에 구비된 다른 단위코일과 인접한 인접부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 측면과 비평행하게 형성된,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인접부가 복수의 레이어에 걸쳐 연속적인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 측면과 비평행하게 형성된,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 방향의 레이어로 갈수록 상기 슬롯삽입영역의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노출영역의 폭이 각 레이어마다 동일하게 형성된,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 방향의 레이어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의 양 끝단부에는, 다른 단위코일과의 연결을 위한 엔드와인딩부재가 연결되는 엔드와인딩 연결부가 형성된,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이 권취되는 코어를 포함하는 스테이터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전동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1면;
    전동기의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2면; 및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대해 비직각을 이룬 상태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3면;
    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을 포함하는 전동기.
  10. 제8항의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전동기.
PCT/KR2021/003613 2020-03-24 2021-03-24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및 이를 위한 스테이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WO202119423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02A KR102382270B1 (ko) 2020-03-24 2020-03-24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및 이를 위한 스테이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KR10-2020-0035902 2020-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4239A1 true WO2021194239A1 (ko) 2021-09-30

Family

ID=7789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3613 WO2021194239A1 (ko) 2020-03-24 2021-03-24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및 이를 위한 스테이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2270B1 (ko)
WO (1) WO202119423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5077A (ja) * 2006-09-27 2008-04-10 Mitsubishi Cable Ind Ltd リング状絶縁コイル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83784A (ja) * 2007-05-10 2008-11-20 Sumitomo Electric Ind Ltd 分割ステータおよびステータ
JP2017028831A (ja) * 2015-07-21 2017-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ステータ
JP6092862B2 (ja) * 2012-06-15 2017-03-08 武延 本郷 コイル状部材及びコイル装置
KR20190103845A (ko) * 2018-02-28 2019-09-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539A (ko) 2006-09-11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권선코일 및 이를 사용한 보이스코일모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5077A (ja) * 2006-09-27 2008-04-10 Mitsubishi Cable Ind Ltd リング状絶縁コイル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83784A (ja) * 2007-05-10 2008-11-20 Sumitomo Electric Ind Ltd 分割ステータおよびステータ
JP6092862B2 (ja) * 2012-06-15 2017-03-08 武延 本郷 コイル状部材及びコイル装置
JP2017028831A (ja) * 2015-07-21 2017-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ステータ
KR20190103845A (ko) * 2018-02-28 2019-09-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232A (ko) 2021-10-05
KR102382270B1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68360A1 (ko)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KR100406102B1 (ko) 교류발전기
WO2013081225A1 (ko) 전기기계의 고정자 및 이를 구비한 전동기, 전동기를 구비한 전기차량
EP1241774A2 (en) Stator for a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ator
WO2010082703A1 (ko) 모터
WO2011139017A1 (en) Stator assembly for motor
WO2012064103A2 (ko) 더블 로터 타입 모터
WO2018044038A1 (ko) 라인기동식 동기형 릴럭턴스 전동기 및 그 회전자
WO2021194239A1 (ko)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및 이를 위한 스테이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WO2013032122A1 (ko) 종축자속형 영구자석 동기발전기 및 모터
JPH0638698B2 (ja) 小型電動機
WO2014010978A1 (ko) 전기자유닛 및 이를 구비한 회전기
WO2012015209A2 (ko) 분할형 전기자 형태의 전동기
WO2021194241A1 (ko) 다중 도전체 재질의 입력단을 포함하는 6상 구동모터
WO2020060190A1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WO2017116089A1 (ko)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구조
GB2149227A (en) Armature winding of a split stator for a rotary electric machine
WO2018110714A1 (ko) 코어리스 발전기의 코일 구조
WO2016108614A1 (ko) 전동기의 회전자
WO2021075848A1 (ko) 모터
JP2001510010A (ja) 端 板
WO2020055151A1 (ko) 모터
WO2020251244A1 (ko) 모터
WO2019124950A1 (ko) Ipm bldc 전동기
WO2023008734A1 (ko) 토로이달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771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771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