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68360A1 -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 Google Patents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68360A1
WO2019168360A1 PCT/KR2019/002400 KR2019002400W WO2019168360A1 WO 2019168360 A1 WO2019168360 A1 WO 2019168360A1 KR 2019002400 W KR2019002400 W KR 2019002400W WO 2019168360 A1 WO2019168360 A1 WO 201916836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il
unit coil
unit
core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24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의천
권순오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US16/976,078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81773B2/en
Publication of WO201916836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683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8Windings for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coil applicable to an electric motor and an electric mot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t coil and an electric motor including the same, capable of maximizing the spot ratio in a slot by a unique three-dimensional shape. .
  • a metho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windings or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coil wound on the stator or the rotor is mainly used.
  • Such a conventional electric motor ha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raise the efficiency and output density by a certain level due to the low spot rat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formed to have a high spot ratio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ircular coil, to provide a flat coil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motor Has a purpose.
  • a flat coil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for maximizing the spot ratio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tooth circumference of the core provided in the motor,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ontinuous form of the core
  • the unit coil may be formed to be non-parallel to the tooth side surface of the core wrapped in a form in which the adjacent portion forms a continuous straight line over a plurality of layers.
  • the angle between the tooth side of the core wrapped around the unit coil and the adjacent portion may be determined by a geometric shap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lots provided in the motor.
  • Each layer of the unit coil may include a slot insertion region inserted into a slot between teeth of cor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lot insertion region, and an exposed region provided outside the slot.
  • the unit coil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slot insertion region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motor toward the outer diameter portion layer.
  • the unit coils may have the same width of each exposed region.
  • the unit coil may be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electric motor toward the outer diameter portion layer.
  • the end of the unit coil is provided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 section of the unit coil, the end winding connection portion, the width of the end portion of the unit coil end portion may be removed to form a step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the end portion of the unit coil may be provided within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unit coil, and the end winding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to form a ste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thickness of the end portion of the unit coil.
  • end winding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 section of the unit coil.
  • a flat coil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for maximizing the spot ratio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conventional coil is manufactured by shearing each end coil part shape by a press, and a subsequent process of welding or joining the joints is required, 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integral form of the whole unit coil, so that the joints or welds are formed. Since there is no sit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electrical properties and physical rigidity.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unit coil in a flat co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a unit coil in a flat co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a unit coil in a flat co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of a unit coil in a flat co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unit coil in a flat co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nd winding member is connected to a unit coil in a flat co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at co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lectric motor;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unit coil in a flat co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nd winding member is connected to a unit coil in a flat co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unit coil in a flat coi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nd winding member is connected to a unit coil in a flat coi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unit coil 100 in the flat co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to 5 are views of various angles of the unit coil 100 in the flat co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unit coil 100.
  • 4 illustrates a side surface of the unit coil 100
  • FIG. 4 illustrates a plane of the unit coil 100
  • FIG. 5 illustrates a bottom surface of the unit coil 100.
  • the unit coil 100 may be formed of a metal or an electric material including electrical conductivity.
  • the unit coil 10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tooth circumference of the core (10, 2 and 7) provided in the motor, in a form of continuous connection to each other integrally It has a form including a plurality of layers (L) stacked along the tooth length direction of the core 10.
  • a hollow portion 105 into which the teeth of the core 10 are inserted may be formed inside the unit coil 100.
  • the core 10 may be a magnetic material having permeability.
  • the unit coil 100 may have a form in which all the layers L are integrally formed as a whole, and may have a significant shape to maximize the spot ratio in the slot of the motor and minimize the electric resistance.
  • each of the unit coils 100 may have different geometric shapes, and the shape of the unit coil 100 may also be changed for each region on one layer L.
  • FIG. 1 is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each of the unit coils 100.
  • the unit coil 100 may include another unit coil 100 provided in the same slot formed between the teeth of the core 10 (see FIG. 2) and the teeth of another adjacent core 10. At least a portion of the adjacent adjoining portion N has a form which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tooth side surface of the enclosing core 10.
  • Portions of different unit coils 10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slots formed between the pair of adjacent cores 10, and side portions of adjacent unit coils 100 inserted into one slot and occupying space are adjacent to the adjacent slots.
  • Part N is formed.
  • the adjacent portion N refers to an opposing surface of another adjacent unit coil 100.
  • the adjacent portion N is formed to be non-parallel to the side of the teeth of the core 10, and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o maximize the spot ratio in the slot.
  • the unit coil 100 includes a tooth side surface 12 (refer to FIG. 2) of the core, in which the adjacent portion N is formed to form a continuous straight line over the plurality of layers L.
  • the side of the unit coil 100 has a tapered shape as a whole, the width of the individual layer (L)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electric motor to the outer diameter portion.
  • the unit coil 10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fill the space in the slot without gaps with other adjacent unit coils 100, and may have a maximum spot ratio as compared with the related art.
  • the angle between the tooth side 12 of the core 10 wrapped around the unit coil 100 and the adjacent portion N may be determined by a geometric shap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lots provided in the motor.
  • the angle of the adjacent portion N may be determined by dividing the center angle of the electric mot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slots.
  • each layer L of the unit coil 100 has a pair of slot insertion regions spaced apart with the teeth of the core 1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air of exposed regions 120 connecting the pair of slot insertion regions 110.
  • the slot insertion region 110 refers to a region that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slot between the teeth of the core 10 adjacent to each other
  • the exposure region 120 refers to the region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slot.
  • the exposed area 120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122 formed to be inclined to connect each layer L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individual layers 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 the unit coil 100 may be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thickness from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electric motor to the layer L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diameter portion.
  • the layer L located at the outermost outer diameter of the motor from the layer L to the layer L positioned at the innermost inner diameter of the motor. It is formed such that its thickness d 1 to d n gradually increases.
  • the unit coil 100 has a width W 1 of the slot insertion region 110 as it goes from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motor to the layer L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diameter portion. -n to W 1-1 ) may be formed to increase gradually.
  • the layer L located at the outermost outer diameter of the motor from the layer L to the layer L positioned at the innermost inner diameter of the moto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W 1-n ⁇ W 1-1 ) gradually increases.
  • the adjacent portion N of the unit coil 100 has a shape that is non-parallel with the tooth side 12 of the core wrapped in a continuous straight line form over the plurality of layers L.
  • the unit coil 100 has an overall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s shown in FIG. 2.
  • the adjacent portion N of the unit coil 100 is not limited only to the form of a straight line over the entire layer L, and the width of the slot insertion region 110 is outside the inner diameter of the motor. As long as the shape increases toward the layer L in the cervical direction, the adjacent portion N may not be a straight line.
  • the unit coil 100 may have the same width W 2-1 to W 2-n of the exposed area 120 for each layer L.
  • the exposed region 120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W 2-1 to W 2-n )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layer (L).
  • the unit coil 100 has an overall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
  • the reason for this is to minimize the area occupied by the motor by flattening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exposed area 120 and to facilitate mounting of external components such as a heat sink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posed area 120. .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high spot ratio compared to the same structu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ircular coil, it is possible to produce a high-efficiency electric motor and a generator, as the entire unit coil 100 is formed in an integrated form Since there are no joints or welds,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electrical properties and physical rigidity.
  • variable shape over a plurality of layers (L) and the detailed shape of the individual layer (L) can of course obtain various additional effects.
  • both ends of the unit coil 100 that is, the end winding connecting portion 130 is formed on the layer (L) located on the outermost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layer (L) located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most tube Can be formed.
  • the end winding connection unit 130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nd winding member 200 (refer to FIG. 6) for connection with another unit coil 100 may be connected,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without limitation.
  • the end of the unit coil 100 is provided in the transvers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nit coil 100, the end winding connecting portion 130, the unit coil At least a portion of the width of the end portion 100 is removed to form a step 13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the end of the unit coil 100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out of the area of the unit coil 100, it may be connected to the end winding member 200 through the step 13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end winding member 200 is similarly formed in the transverse step step 132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transverse step step 132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transverse step step 132. It may include.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end winding member 200,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0 of the other sid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0 on one side is the other unit coil 100
  • the end winding connecto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end winding member 130. Accordingly, the end winding member 200 may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unit coils 100.
  • the end winding member 200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205 that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on one side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210 on the other side. have.
  •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art 205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unit coil 100 to which the end winding member 200 is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end winding member 200 may include one of the unit coils 100 of the plurality of unit coils 100 in which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210 is provided in the motor. It is connected to the end winding connecting portion 130 formed on the outermost outer diameter,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0 of the other side unit coil 100 and two spaced apart unit coil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0 of the one side It has a form connected to the end winding connecting portion 130 formed in the innermost inner diameter portion of (100). Accordingly, all the unit coils 100 provided in the electric mo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 the end of the unit coil 100 is provided in the transvers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nit coil 100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end
  • the winding connection unit 130 is different in that it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thickness of the end portion of the unit coil 100 is removed to form a step 13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end of the unit coil 100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out of the area of the unit coil 100, it may be connected to the end winding member 200 through the longitudinal step 134.
  • the end winding membe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step 13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stepped part 22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step shap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ngitudinal step 134. It may include.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end winding member 200, the end winding member 200 i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0 of the other sid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0 on one side )
  • the end winding connection part 130 has a protrusion 136 which i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later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unit coil 100.
  • the end winding connecting portion 130 includes a third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protrusion 136.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end winding member 200, the end winding member 200 i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0 of the other sid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0 on one side )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out limitation in the form of the end-winding member 200 and the end-winding connecting portion 130, and may have other embodi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은, 전동기에 구비되는 코어의 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체형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상기 코어의 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단위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코일은,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와, 인접한 코어의 치 사이에 형성되는 동일 슬롯 내에 구비된 다른 단위코일과 인접한 인접부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 측면과 비평행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본 발명은 전동기에 적용 가능한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유의 3차원 형상에 의해 슬롯 내 점적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전동기의 효율 증대를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최근에는 전기자동차 및 발전설비에 사용되는 전동기 및 발전기의 효율 개선은 매우 큰 경제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전동기 및 발전기의 로터 또는 스테이터에 감기는 코일의 점적률(占積率, Coil Space Factor 또는 Conductor Occupying Ratio)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코일의 점적률을 향상시키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스테이터 또는 로터에 감기는 코일의 직경을 증가시키거나 감는 횟수를 늘리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코일의 경우 주로 수직단면이 원형의 형태를 갖는 구리 와이어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원형코일의 직경을 증가시키게 되면 원형의 단면으로 인해 감겨진 코일층 사이에 낭비되는 공간(Waste Space)이 발생하게 되므로 코일의 점적률이 저하된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반면, 너무 작은 직경을 갖는 코일을 감을 경우에는 동일 면적 대비 권선횟수가 증가되므로, 상대적인 전기저항의 증가로 인해 효율저하 및 발열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모터는 낮은 점적률로 인해 효율 및 출력밀도를 일정 수준 이상 끌어올릴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종래 원형코일 대비 높은 점적률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전동기에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평각형 코일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은, 전동기에 구비되는 코어의 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체형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상기 코어의 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단위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코일은,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와, 인접한 코어의 치 사이에 형성되는 동일 슬롯 내에 구비된 다른 단위코일과 인접한 인접부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 측면과 비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인접부가 복수의 레이어에 걸쳐 연속적인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 측면과 비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코일이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 측면과 상기 인접부와의 각도는 전동기에 구비되는 슬롯의 개수에 따른 기하학적 형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코일의 각 레이어는, 서로 인접한 코어의 치 사이 슬롯에 삽입되는 슬롯삽입영역 및 상기 슬롯삽입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며, 상기 슬롯 외측에 구비되는 노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 방향의 레이어로 갈수록 상기 슬롯삽입영역의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노출영역의 폭이 각 레이어마다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 방향의 레이어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코일의 양 끝단부에는, 다른 단위코일과의 연결을 위한 엔드와인딩부재가 연결되는 엔드와인딩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코일의 끝단부는 상기 단위코일의 횡 방향 단면적 범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는, 상기 단위코일 끝단부의 폭 일부가 제거되어 횡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코일의 끝단부는 상기 단위코일의 횡 방향 단면적 범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는, 상기 단위코일 끝단부의 두께 일부가 제거되어 종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는, 상기 단위코일의 횡 방향 단면적 범위보다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 원형코일에 비해 동일 구조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점적률을 가지므로, 고효율의 전동기 및 발전기의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코일은 각 단 코일 부 형상을 프레스로 전단 가공하여 제조하며, 이음부를 용접 또는 접합해야 하는 후속 공정이 필요한 반면, 본 발명은 전체 단위코일이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되어 이음부 혹은 용접 부위가 없기 때문에 전기적 물성치 및 물리적인 강성 확보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각형 코일에 있어서, 단위코일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각형 코일에 있어서, 단위코일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각형 코일에 있어서, 단위코일의 측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각형 코일에 있어서, 단위코일의 평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각형 코일에 있어서, 단위코일의 저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각형 코일에 있어서, 단위코일에 엔드와인딩부재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각형 코일이 전동기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각형 코일에 있어서, 단위코일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각형 코일에 있어서, 단위코일에 엔드와인딩부재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각형 코일에 있어서, 단위코일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각형 코일에 있어서, 단위코일에 엔드와인딩부재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 설명에 있어, 외경부, 내경부, 정면, 측면, 평면, 저면 등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의된 것이며, 해당 표현들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각형 코일에 있어서, 단위코일(100)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각형 코일에 있어서, 단위코일(100)의 다양한 각도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단위코일(100)의 정면을, 도 3은 단위코일(100)의 측면을, 도 4는 단위코일(100)의 평면을, 도 5는 단위코일(100)의 저면을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단위코일(100)은, 금속 또는 전기 전도도(Conductivity)를 가지는 포함한 전기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코일(100)은 전동기에 구비되는 코어(10, 도 2 및 도 7 참조)의 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체형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상기 코어(10)의 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 복수의 레이어(L)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단위코일(100)의 내측에는 상기 코어(10)의 치가 삽입되는 중공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10)는 투자율(透磁率, Permeability)을 가지는 자성재료일 수 있다.
즉 상기 단위코일(100)은 전체적으로 모든 레이어(L)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전동기의 슬롯 내 점적률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전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의미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위코일(100)은 각 레이어(L)가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레이어(L) 상에서도 영역 별로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코일(100)은, 감싸고 있는 코어(10, 도 2 참조)의 치와, 인접한 다른 코어(10)의 치 사이에 형성되는 동일 슬롯 내에 구비된 다른 단위코일(100)과 인접한 인접부(N)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고 있는 코어(10)의 치 측면과 비평행하게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한 쌍의 인접한 코어(10)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에는 서로 다른 단위코일(100)의 일부가 각각 삽입되며, 하나의 슬롯 내에 삽입되어 공간을 점유하는 서로 인접한 단위코일(100)의 측면부가 상기 인접부(N)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인접부(N)는 인접한 다른 단위코일(100)과의 대향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인접부(N)는, 상기 코어(10)의 치의 측면과는 비평행하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슬롯 내에서의 점적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코일(100)은, 상기 인접부(N)가 복수의 레이어(L)에 걸쳐 연속적인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 측면(12, 도 2 참조)과 비평행하게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단위코일(100)의 측면부는 전체적으로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며,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로 갈수록 개별 레이어(L)의 폭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단위코일(100)은, 인접한 다른 단위코일(100)과 함께 슬롯 내 공간을 빈틈 없이 가득 채울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극대화된 점적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코일(100)이 감싸고 있는 코어(10)의 치 측면(12)과 상기 인접부(N)와의 각도는, 전동기에 구비되는 슬롯의 개수에 따른 기하학적 형태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동기의 중심각을 상기 슬롯의 개수에 따라 나누어 상기 인접부(N)의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코일(100)의 각 레이어(L)는, 서로 인접한 코어(10)의 치 사이 슬롯에 삽입되는 영역인 슬롯삽입영역(110)과, 상기 슬롯삽입영역(110)으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며, 상기 슬롯 외측에 구비되는 노출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10)의 치는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단위코일(100)의 각 레이어(L)는 상기 코어(10)의 치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한 쌍의 슬롯삽입영역(110)과, 상기 한 쌍의 슬롯삽입영역(110)을 연결하는 한 쌍의 노출영역(12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슬롯삽입영역(110)은 서로 인접한 코어(10)의 치 사이 슬롯에 완전히 수용되는 영역을 말하며, 상기 노출영역(120)은 상기 슬롯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말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노출영역(120)은, 도 2와 같이 개별 레이어(L)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각 레이어(L)를 서로 잇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경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단위코일(100)의 보다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코일(100)은 상기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 방향의 레이어(L)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코일(100)의 레이어(L)가 n개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전동기의 최외곽 외경부에 위치되는 레이어(L)로부터 상기 전동기의 최내곽 내경부에 위치되는 레이어(L)로 갈수록 그 두께(d1~dn)가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접부(N)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전동기의 내경부 측으로 갈수록 각 레이어(L)의 폭이 줄어들기 때문에, 줄어든 폭을 두께로서 보상함에 따라 일정 이상으로 해당 레이어(L)의 저항을 낮추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코일(100)은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 방향의 레이어(L)로 갈수록 상기 슬롯삽입영역(110)의 폭(W1-n~W1-1)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코일(100)의 레이어(L)가 n개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전동기의 최외곽 외경부에 위치되는 레이어(L)로부터 상기 전동기의 최내곽 내경부에 위치되는 레이어(L)로 갈수록 그 폭(W1-n~W1-1)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코일(100)의 저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동기의 외경부에 위치된 슬롯삽입영역(110)일수록 보다 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상기 단위코일(100)의 상기 인접부(N)가 복수의 레이어(L)에 걸쳐 연속적인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 측면(12)과 비평행하게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는 것과 일맥상통하게 되며, 상기 단위코일(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게 된다.
다만, 상기 단위코일(100)의 상기 인접부(N)는 전체 레이어(L)에 걸쳐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형태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슬롯삽입영역(110)의 폭이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 방향의 레이어(L)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태라면 상기 인접부(N)가 직선 형태가 아니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코일(100)은, 상기 노출영역(120)의 폭(W2-1~W2-n)이 각 레이어(L)마다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출영역(120)은 상기 슬롯삽입영역(110)과는 달리, 레이어(L)의 위치에 관계 없이 일정한 폭(W2-1~W2-n)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단위코일(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상기 노출영역(120)의 외면 측을 평탄하게 하여 전동기의 점유 면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상기 노출영역(120)의 외면에 방열판 등과 같은 외부 부품을 장착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뿐만 아니라 각 레이어(L)의 상기 노출영역(120)에서의 전기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기의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종래 원형코일에 비해 동일 구조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점적률을 가지므로, 고효율의 전동기 및 발전기의 생산이 가능하며, 전체 단위코일(100)이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이음부 혹은 용접 부위가 없기 때문에 전기적 물성치 및 물리적인 강성 확보에 유리하다.
또한 복수 레이어(L)에 걸친 형상 가변 및 개별 레이어(L)의 세부 형상 등 유의미한 3차원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어 다양한 부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코일(100)의 양 끝단부, 즉 전동기의 최외곽 외경부에 위치된 레이어(L)와 최내관 내경부에 위치된 레이어(L)에는 엔드와인딩 연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130)는 다른 단위코일(100)과의 연결을 위한 엔드와인딩부재(200, 도 6 참조)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는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코일(100)의 끝단부가 상기 단위코일(100)의 횡 방향 단면적 범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130)는, 상기 단위코일(100) 끝단부의 폭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 횡 방향으로 단차(132)를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단위코일(100)의 끝단부는 단위코일(100)의 면적을 벗어나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횡 방향의 단차(132)를 통해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는 상기 횡 방향의 단차(132)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횡 방향의 단차(132)와 치합될 수 있도록 마찬가지로 횡 방향의 단차 형태로 형성된 제1연결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210)는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일측의 제1연결부(210)와 반대 측에 형성된 타측의 제1연결부(210)는 다른 단위코일(100)의 엔드와인딩 연결부(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는 서로 다른 단위코일(1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는, 일측의 제1연결부(210)와 반대 측에 형성된 타측의 제1연결부(210) 사이를 연결하도록 길게 형성된 연장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05)의 길이는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가 서로 연결하는 단위코일(100)의 이격 거리에 따라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는 일측의 제1연결부(210)가 전동기에 구비되는 복수의 단위코일(100) 중 어느 하나의 단위코일(100)의 최외곽 외경부에 형성된 엔드와인딩 연결부(130)에 연결되며, 타측의 제1연결부(210)는 상기 일측의 제1연결부(210)와 연결되는 단위코일(100)와 두 칸 떨어져 이격된 단위코일(100)의 최내곽 내경부에 형성된 엔드와인딩 연결부(130)에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전동기에 구비되는 모든 단위코일(1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단위코일(100)과 엔드와인딩부재(200)의 형태가 도시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단위코일(100)의 끝단부는 상기 단위코일(100)의 횡 방향 단면적 범위 내에 구비된다는 점은 제1실시예와 같으며, 다만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130)는 상기 단위코일(100) 끝단부의 두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 종 방향으로 단차(134)를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즉 상기 단위코일(100)의 끝단부는 단위코일(100)의 면적을 벗어나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종 방향의 단차(134)를 통해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는 상기 종 방향의 단차(134)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종 방향의 단차(134)와 치합될 수 있도록 마찬가지로 종 방향의 단차 형태로 형성된 제2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210)는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는 일측의 제1연결부(210)와 반대 측에 형성된 타측의 제1연결부(210) 사이를 연결하도록 길게 형성된 연장부(205)를 포함한다는 점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단위코일(100)과 엔드와인딩부재(200)의 형태가 도시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130)는 상기 단위코일(100)의 횡 방향 단면적 범위보다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돌출부(136)를 형성하며,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130)는 상기 돌출부(136)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3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210)는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는 일측의 제1연결부(210)와 반대 측에 형성된 타측의 제1연결부(210) 사이를 연결하도록 길게 형성된 연장부(205)를 포함한다는 점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엔드와인딩부재(200) 및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130)의 형태가 제한 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의 다른 실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전동기에 구비되는 코어의 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체형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상기 코어의 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층된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단위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코일은,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와, 인접한 코어의 치 사이에 형성되는 동일 슬롯 내에 구비된 다른 단위코일과 인접한 인접부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 측면과 비평행하게 형성된 평각형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인접부가 복수의 레이어에 걸쳐 연속적인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 측면과 비평행하게 형성된 평각형 코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이 감싸고 있는 코어의 치 측면과 상기 인접부와의 각도는 전동기에 구비되는 슬롯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상기 단위코일의 기하학적 형태에 의해 결정되는 평각형 코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의 각 레이어는,
    서로 인접한 코어의 치 사이 슬롯에 삽입되는 슬롯삽입영역; 및
    상기 슬롯삽입영역으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되며, 상기 슬롯 외측에 구비되는 노출영역;
    을 포함하는 평각형 코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 방향의 레이어로 갈수록 상기 슬롯삽입영역의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 평각형 코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노출영역의 폭이 각 레이어마다 동일하게 형성된 평각형 코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은,
    상기 전동기의 내경부에서 외경부 방향의 레이어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 평각형 코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의 양 끝단부에는, 다른 단위코일과의 연결을 위한 엔드와인딩부재가 연결되는 엔드와인딩 연결부가 형성된 평각형 코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의 끝단부는 상기 단위코일의 횡 방향 단면적 범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는,
    상기 단위코일 끝단부의 폭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 횡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된 평각형 코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일의 끝단부는 상기 단위코일의 횡 방향 단면적 범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는,
    상기 단위코일 끝단부의 두께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 종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된 평각형 코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와인딩 연결부는,
    상기 단위코일의 횡 방향 단면적 범위보다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평각형 코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평각형 코일을 포함하는 전동기.
PCT/KR2019/002400 2018-02-28 2019-02-28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WO201916836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76,078 US11581773B2 (en) 2018-02-28 2019-02-28 Flat-angled coil having three-dimensional shape for maximizing space factor and electric motor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71 2018-02-28
KR1020180024771A KR102064770B1 (ko) 2018-02-28 2018-02-28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8360A1 true WO2019168360A1 (ko) 2019-09-06

Family

ID=6780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2400 WO2019168360A1 (ko) 2018-02-28 2019-02-28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81773B2 (ko)
KR (1) KR102064770B1 (ko)
WO (1) WO201916836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6801A1 (en) * 2020-12-18 2022-06-22 Grundfos Holding A/S Three-phase stator assembly
EP4170870A4 (en) * 2020-06-17 2023-11-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OLDING COIL, STATOR AND ROTARY ELECTRIC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270B1 (ko) * 2020-03-24 2022-04-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및 이를 위한 스테이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KR102495886B1 (ko) 2021-08-03 2023-02-06 안주형 냉각기능 코팅부분이 형성된 금속박판코일 제작방법
KR20230158372A (ko) 2022-05-11 2023-11-20 강보선 자성체를 코팅한 동박코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61606A (ko) 2022-05-19 2023-11-28 윤성순 냉각기능 코팅부분이 형성된 금속박판코일 제작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162A (ja) * 2004-12-28 2006-07-13 Sumitomo Electric Ind Ltd ステ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95698A (ja) * 2006-04-24 2007-11-08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11091920A (ja) * 2009-10-21 2011-05-06 Toyota Motor Corp 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17028831A (ja) * 2015-07-21 2017-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ステータ
KR101772047B1 (ko) * 2015-10-02 2017-08-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코일유닛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162A (ja) * 2004-12-28 2006-07-13 Sumitomo Electric Ind Ltd ステ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95698A (ja) * 2006-04-24 2007-11-08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11091920A (ja) * 2009-10-21 2011-05-06 Toyota Motor Corp 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17028831A (ja) * 2015-07-21 2017-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ステータ
KR101772047B1 (ko) * 2015-10-02 2017-08-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코일유닛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70870A4 (en) * 2020-06-17 2023-11-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OLDING COIL, STATOR AND ROTARY ELECTRIC MACHINE
EP4016801A1 (en) * 2020-12-18 2022-06-22 Grundfos Holding A/S Three-phase stator assembly
US11923750B2 (en) 2020-12-18 2024-03-05 Grundfos Holding A/S Three-phase sta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403474A1 (en) 2020-12-24
US11581773B2 (en) 2023-02-14
KR20190103845A (ko) 2019-09-05
KR102064770B1 (ko)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68360A1 (ko) 점적률 극대화를 위한 3차원 형상을 가지는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US9906085B2 (en)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EP2051350B1 (en) Winding scheme of an armature
US7863794B2 (en) Armature winding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US9929612B2 (en) Sta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US10291010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superconducting cables, superconducting cable, and electrical terminal structure of end portion of superconducting cable
EP1320859B1 (en) Electric device
KR102171907B1 (ko) 평각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CN109088497B (zh) 绝缘骨架、定子组件、电机
US11942845B2 (en) Stator coil for high power density and efficiency electric machines
WO2016167439A1 (ko) 유도 가열 장치용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WO2021194239A1 (ko) 비틀린 형상의 평각형 코일 및 이를 위한 스테이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US4229671A (en) Multiturn coil for field poles of dynamoelectric machine
US4859978A (en) High-voltage windings for shell-form power transformers
CN115566819A (zh) 扁线定子及扁线电机
WO2019009478A1 (ko) 단순한 버스바 구조를 갖는 브러쉬리스 모터의 결선방법
EP0154348A2 (en) Apparatus for connecting conductor strands with transposition in electrical rotary machine
CN112366847A (zh) 一种电机定子及电机
JP2020162300A (ja) 回転電機
WO2020138922A1 (ko) 모터
CN215770617U (zh) 一种绝缘柔性强度高的电力电缆
CN113765260B (zh) 定子布线方法及定子结构
JP3157735B2 (ja) コイルとその製造方法
US20240186842A1 (en) Stator for motor
CN215870969U (zh) 一种扁铜线油冷电机定子的端部集成模块及定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6023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6023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