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94139A1 - 변 우회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변 우회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94139A1
WO2021194139A1 PCT/KR2021/003063 KR2021003063W WO2021194139A1 WO 2021194139 A1 WO2021194139 A1 WO 2021194139A1 KR 2021003063 W KR2021003063 W KR 2021003063W WO 2021194139 A1 WO2021194139 A1 WO 20211941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testine
bypass
stool
main body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30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재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Priority to US17/913,62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73164A1/en
Priority to JP2022555136A priority patent/JP7449602B2/ja
Priority to EP21776464.6A priority patent/EP4129250A4/en
Priority to CN202180018388.6A priority patent/CN115605167A/zh
Publication of WO20211941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941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Devices for holding the cannula in position, e.g.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83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at least two inner passageways, a first one for irrigating and a second for evacu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irrigation ports 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95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inflatabl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2005/4415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venting by manu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8Faeces; Excre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67An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Definitions

  • the present technology relates to a stool bypass assist device for rectal surgery patients.
  • cancer has been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since 1990, and after 1995 it is counted as the overwhelming cause of death compared to other causes. Cancer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those in their 40s, third in their 20s, and second in their 30s.
  • the medical industry is constantly trying to conquer cancer, and is developing reagents, treatment methods, and therapeutic devices to treat cancer.
  • colorectal cancer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since the 2000s. Therefore, interest in colorectal cancer is steadily increasing.
  • Colorectal cancer is a malignant tumor that occurs in the colon and rectum.
  • various tumors such as squamous cell carcinoma and malignant lymphoma are found, and sometimes the cancer invades the colon or metastasizes to other sites.
  • the current colorectal cancer treatment method is to make an incision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esion site, connect the normal site, and then suture the incision.
  • Colorectal cancer treatment itself is painful for the patient, but leakage occurring at the anastomosis site after surgery is also dangerous. Leakage of the anastomotic site can cause serious complications and threaten the patient's life. In addition, it can cause anastomotic stenosis in the long term and seriously reduce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 a biodegradable band is tied to the intestine at a certain upper position from the surgical site, a stool bypass assist device that can bypass stool is fixed in this area, and the space moving to the lower side of the stool bypass aid device is closed and treated. After the liquid is injected, the treatment liquid is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to bypass the stool to prevent leakage of the anastomotic site.
  • the first problem is stomach pain.
  • the intestines When the treatment fluid is injected into the patient's intestinal tract, the intestines perform peristalsis. This movement is a movement to move the material in the intestine toward the anus. At this time, since the stool bypass assist device closes the inside of the intestine, it increases the pressure in the intestine. The increase in intra-intestinal pressure induced abdominal pain in the patient.
  • the second problem is erosion of the intestinal lining.
  • the stool bypass aid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intestine with a band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intestine.
  • the stool bypass aid fixed in the intestine pushes the inner wall of the intestine to prevent it from being pushed in the intestine and applies pressure to the band, and as this process is repeated, the inner wall of the intestine is damaged.
  • Such damage to the intestinal lining can lead to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intestinal perforation, peri-intestinal abscess, and sepsis.
  • the third problem is the deterioration of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templated various solutions, and for this solution, they have tried to solve a problem that has persisted for a long time through countless experiments for decades.
  • the present inventors prescribed Hyoscine-N-Butylbromide, a smooth muscle relaxant analgesic, NSAID, an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Opioid, an opioid analgesic, to the patient.
  • Hyoscine-N-Butylbromide a smooth muscle relaxant analgesic
  • NSAID an anti-inflammatory analgesic
  • Opioid an opioid analgesic
  • prescription of analgesic does not solve the problem, so the present inventor tried to solve the problem by reducing the amount of treatment solution and injecting it into the patient.
  • the contents in the intestine could not be mixed with the treatment liquid, and thus could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testine due to solidification.
  • the last solution that the inventors carried out was to open the space of the stool bypass assist device. That is, if the patient complains of abdominal pain while injecting the treatment liquid into the patient, stop the treatment liquid injection and observe. The patient's abdominal pain could go away if the additional infusion of the treatment fluid was stopped. If the patient's pain continues even after stopping the injection of the treatment solution, the problem was solved by opening the space (decompressing the inner balloon of the stool bypass aid device to open the stool bypass aid device) and discharging the treatment solution to the outside.
  • This method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increased pressure in the intestinal tract by discharging the treatment fluid mixed with the feces, which was the cause of the high intestinal pressure, out of the fecal bypass aid device. As a result, the patient's abdominal pain was reduced or disappeared. And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risk of intestinal rupture.
  • This method is time-consuming, cumbersome, and requires the help of other personnel including nursing personnel. And, ultimately,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deteriorated. Moreover, the method causes contamination of patients and beds, which can also endanger the health of other patients by causing contamination of the hospital environm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patient from causing abdominal pain, unlike the conventional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even if the patient uses the present inven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that does not cause damage to the intestinal lining even when a patient uses the present inven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 patient's quality of life.
  •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to bypass the discharge of feces in the intestines.
  •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a main body part inserted into the anus and positioned on the inside of the intestine,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an interval of 8 mm or more and 25 mm or les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part, and is expanded when air or liquid is injected.
  • the length of the base of the support is preferably set to 4 mm or more to 15 mm or less.
  •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body portion is preferably set to 10mm or more to 30mm or less.
  • the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Equation 1.
  • Equation 1 is 0 ⁇ [S-(D+2H)+1.5T] ⁇ [5+1.5T].
  • each symbol in Equation 1 is as follows.
  • S inner diameter of the intestine
  • H height of one support part
  • D outer diameter of main body part
  • T thickness of intestine
  • the side bypass assisting device includes an air pipe for simultaneously expanding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when a bypass part communicating with the support part is formed and air is injected.
  • the liquid pipe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art is opened so that the treatment liquid is injected into the intestine,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intestine is increased by the peristaltic motion of the intestine, some excrement is moved to the intestine mixed with the treatment liqui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intestine is adjusted by allowing an extra space that can be.
  • the size of the cross-section of the liquid pipe is preferably set to 3 mm 2 or more and 23 mm 2 or less.
  • the main body part may be positioned inside in the form of a long bar set to facilitate the entry of the main body part into the anus, and the upper side is formed to be round, but the cutou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one center. formed cover.
  • the side bypass auxiliary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in the form of a long rod to separate the cover and the main body part disposed inside the cover, and pushes the main body part upward, and the main body part moves upward. It includes a pusher that greatly deforms the size of the upper side of the cover so that the main body can enter the intestine.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ressure in the intestine by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treatment solution or mixed solution can move when the increase and expansion of the internal pressure in the intestine occurs due to the peristaltic movement of the intestine, thereby not causing abdominal pain in the patient have.
  • the treatment liquid is automatically supplied into the intestine and refluxed into the liquid transfer tube, the treatment liquid injection is not excessive, and abdominal pain is not caused by peristaltic movement of the intestine, and the treatment liquid is supplied with the contents in the intestine within a short time. It can be mixed to reduce the treatment time. As a result, the reduction of abdominal pain and shortening of treatment time minimizes the risk of damage to the intestinal wall (erosion) by minimizing the pushing of the bypass intestinal assist device in the intestinal tract, and the stool bypass assist device can be removed.
  • the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to have a level that does not damage the intestinal lining while being able to be firmly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intestine, so that it does not cause damage to the lining of the intestine of the patient.
  • 1 is a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 Figure 2 shows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bypass assisting device.
  • Figure 3 shows the p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bypass assisting device.
  • Figure 4 shows a state in which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bypass assisting device is combined.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bypass assisting device is combined.
  • FIG. 6A is an enlarged view of only the upper side of FIG. 5 .
  • FIG. 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part is expanded in FIG. 6A.
  • Figure 7a shows a state before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drawn into the rectum.
  • Figure 7b shows a state after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drawn into the rectum.
  • Figure 7c shows a state in which only the cover is removed after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drawn into the rectum.
  • Figure 7d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arranged in a specific position in the intestine by using a pusher.
  • Figure 7e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rt is expanded and the present invention'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fixed in the intestine in the intestine.
  • Figure 7f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eatment liquid is supplied into the intestine through the liquid pipe.
  • Figure 7g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eatment liquid or a mixture of the treatment liquid and the contents in the intestine is refluxed into the liquid transfer tube du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testine or the peristaltic movement of the intestine.
  • Figure 7h shows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part shrinks and the treatment liquid or a mixture of the treatment liquid and the contents in the intestine is discharged.
  • 1 is a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 Figure 2 shows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bypass assisting device.
  • Figure 3 shows the p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bypass assisting device.
  • Figure 4 shows a state in which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bypass assisting device is combined.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bypass assisting device is combined.
  • FIG. 6A is an enlarged view of only the upper side of FIG. 5 .
  • FIG. 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part is expanded in FIG. 6A.
  •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a body part 100, a tube 700, a support part 200, a blocking part 300, a liquid pipe 400, a first air pipe 500, a second air pipe 600. includes
  • the side bypass assis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800 and a pusher 900 .
  • the body part 1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body part 100 includes a hollow. That i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100 are opened, and a space is also formed inside the body portion 100 .
  •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00 may be discharged as a mixture of a treatment liquid, a treatment liquid, and a substance in the intestine to be described later.
  • the tube 70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100 .
  • the tube 700 has a perimeter tha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perimeter of the body 100 , so that the body 100 can be introduced into the tube 700 . That is,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100 may be drawn into the upper side of the tube 700 . Therefore, i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tube 700 of the treatment liquid or a mixture of the treatment liquid and intestinal contents moving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100 .
  • the tube 700 may be connected to a pouch in which a treatment liquid or a mixture of treatment liquid and intestinal contents can be stored.
  • a first air pipe 500 and a second air pipe 60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00 .
  • the blocking par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00 , and the support part 20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part 100 .
  • One support 2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eriphery of the body 100 , and one at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0 spaced apart therefrom.
  • the blocking part 3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s can be seen in FIGS. 6a and 6b,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pipe 500, and the two support parts 200 are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ipe 600 .
  • the second air pipe 600 has a bypass flow path and is connected to each blocking unit 300 . Therefore,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second air pipe 600 , the support part 200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support part 200 loc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00 may be simultaneously expanded.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first air pipe 500 , the blocking unit 300 may be expanded.
  • first air pipe 500 and the second air pipe 600 may be injected with a liquid (saline solution) other than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blocking part 300 When the blocking part 300 is expanded, it is possible to close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00 . And when the support part 200 is expanded, 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stine to fix the position of the body part 100 . Therefore, the bowel space may be divided based on the body portion (100). The content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 the liquid pipe 400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00 .
  • the liquid pipe 400 is formed to extend upwards of the body part 100 so as not to be closed even if the blocking part 300 is expanded.
  • the liquid pipe 400 may be connected to a cylinder. Therefore, the treatment fluid supplied by the cylinder can be injected into the intestine.
  • the cover 8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tube formed to be round with the upper portion.
  • the cover 800 can be viewed as if the top and bottom are open, but the top of the cover 800 is closed.
  •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800 is formed with an incision line based on the center.
  • a plurality of incision lines may be form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cover 800 .
  • a flange portion 810 is formed under the cover 800 .
  • the flange portion 810 serves to extend the siz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800 .
  • the pusher 900 may include a grip unit 920 and a push unit 910 .
  • the pusher 900 serves to move the body portion 100 by pushing it into the intestine, 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later.
  • Figure 7a shows a state before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drawn into the rectum.
  • Figure 7b shows a state after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drawn into the rectum.
  • Figure 7c shows a state in which only the cover is removed after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drawn into the rectum.
  • Figure 7d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arranged in a specific position in the intestine by using a pusher.
  • Figure 7e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rt is expanded and the present invention'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fixed in the intestine in the intestine.
  • Figure 7f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eatment liquid is supplied into the intestine through the liquid pipe.
  • Figure 7g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eatment liquid or a mixture of the treatment liquid and the contents in the intestine is refluxed into the liquid transfer tube du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testine or the peristaltic movement of the intestine.
  • Figure 7h shows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part shrinks and the treatment liquid or a mixture of the treatment liquid and the contents in the intestine is discharged.
  • the patient cuts the lesion site of the intestine for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 and then sutures the cut intestine again, and then a biodegradable band is wound around the intestine and fix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closed position.
  • the biodegradable band is not a problem even if the outside of the intestine is tightened with a moderate pressure.
  • the patient places the body part 100 inside the cover 800 .
  • the patient injects air through the first air pipe 500 to expand the blocking unit 300 to close the inner space of the body unit 100 .
  • the push part 910 of the pusher 900 is disposed to contac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art 100 .
  • the grip portion 920 of the pusher 900 is formed in a long rod shape, i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 Gel or lubricant may be applied to the cover 800 and the pusher 900 may be used to the patient's anus to be introduced into the patient's anus.
  • the cover 800 is drawn into the anus of the patient, the flange portion 810 of the cover 800 is not drawn into the anus, and the flange portion 810 abuts the buttocks to support the cover 800 . have.
  • the cover 800 When the flange portion 810 is in contact with the buttocks, the cover 800 is withdrawn from the anus.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800 has an incision form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ver 800 is withdrawn from the anus, the open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800 is the size of the body portion 100 . Since it can be as large as the combined size of the support part 200 and the size of the support part 200, only the cover 800 can be withdrawn into the anus.
  • the doctor grabs the grip part of the pusher 900 and pushes it further into the patient's anus so that the body part 100 passes the suture part of the intestine and is positioned at the part where the band is bound.
  • the position of the body part 100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band in which the support part 200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support part 200 position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00 are located.
  • the patient injects air or liquid into the support 200 through the second air pipe 600 so that the support 200 is expanded.
  • the expanded support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stine.
  • the band presses the intestines with a set pressure, so that the support 200 can push the intestines slightly.
  • the patient's intestines may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00 . That is, the bowel space may be closed due to the blocking part 300 , the body part 100 , and the support part 200 .
  • the patient may inject the treatment liquid into the liquid pipe 400 by manipulating the cylinder.
  • the doctor may inject 600 ⁇ 1000cc of the treatment solution over 20 to 25 minutes.
  • the intestines injected with the treatment fluid undergo peristalsis and are mixed with the contents of the intestines.
  • the patient draws air or liquid from the blocking unit 300 using the first air pipe 500 so that the blocking unit 300 shrinks again.
  • the bowel that was closed is formed a moving space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mixed solution in which the treatment liquid and the contents of the intestine are mix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ube 700.
  • the patient can use the second air pipe 600 to shrink the support 200, pull the tube 700 and move the body 100 to the outside of the intestine to finish the treatment.
  • the blocking part 300 should close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00 during expansion, and the support part 200 should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stinal tract during expansion.
  • the thickness and thickness of the intestines vary depending on the person and the type of disease.
  • the intestine is composed of a special soft and elastic tissue, and the thickness and thickness are different dur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imarily important to set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100 . If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100 is large, it is convenient to inject the washing solution, but if it is set incorrectly, rupture of the patient's intestines may occur.
  • the diameter of the intestine is large, the sum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200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ut if the diameter of the intestine is small, it is greatly affected, so measure the diameter of the intestines of various patients Based on this, the receptive range of the intestine was checked, and the obtained value was 18 to 60 mm.
  •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can be fixed to the small intestine only when the size of the overall cross-section is 18 to 60 mm when the support 200 is expanded, and the rupture of the intestine may not occur.
  • the stool bypass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manufactured within the size of this set cross-section,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should be at least 10 mm to at least 30 mm in consideration of the washing solution injection, ease of manufacture, and obstruction of mucous membrane damage.
  •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100 was set in units of 10 mm.
  • the reason why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100 was set in units of 10 mm was that when it was smaller than 10 mm, the problem that the treatment solution diluted with feces was not properly discharged was found, and the starting point was set to 10 mm.
  • Rectal tubes commonly used in clinical trials have an outer diameter of 10 mm or less.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tinuously recognized these problems in clinical trial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recognized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100 should be at least 10mm when desig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based on this idea, various instruments with different outer diameters were manufactured and tested on animal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00 should be greater than 10mm.
  • the starting point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00 was set to 10 mm.
  •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00 is greater than 30 mm, the size becomes too large, so that it is difficult to enter the intestine through the anus. It is also because it can damage the anastomosis made with a circular stapler normally used for intestinal anastomosis.
  • the outer diameter of the circular anastomosis is about 25-34mm.
  •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00 is 30 mm or less. If the size of the body portion 100 exceeds 30mm, this is because it becomes a problem when inserting or removing it into the intestinal tract. Therefore,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00 is preferably 30mm or less at most.
  •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00 is 10mm to 30mm, which can be safely and eff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testinal tract.
  • the present inventors set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n proceeded with the intestinal mucosa damag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height change of the support portion (200).
  • the present inventors used physiological saline when chang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200 .
  •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200 to be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sum of the heights of the support part 200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support part 200 is symmetrical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
  •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200 is 9 mm when expanded, the two support parts 200 expand at symmetrical positions, and thus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200 is 18 mm.
  •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200 is gradually increased from 1 mm, and the inner wall of the intestinal tract is damaged (mucosal damage, rupture of the serous membrane, etc.), and as a result, the support part 200 The inner wall was not damaged until the height of 18 mm (the height of one support part 200 was 9 mm, the sum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200 was 28 mm).
  • damage (mucosal damage, rupture) of the mucous membrane of the hybrid dog began to appear when the height of the support 200 was 19 mm or more.
  • the support portion 200 when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200 is less than 8 mm, the support portion 200 does not adhere to the inner wall of the intestine, so that when the intestinal pressure increases, a problem in which the stool bypass assist device is moved was observed. However, since the height of the support 200 is 8mm or more, this problem has been solved.
  • the apparatus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100 was 20mm, the apparatus was targeted to the large intestine of a hybrid dog weighing 19Kg or more and 22Kg or less.
  • the apparatus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100 was 30mm, the apparatus was targeted for the large intestine of a hybrid dog weighing 23Kg or more and 26Kg or less.
  • the height of the support 200 is preferably 8 mm to 18 mm. The reason is that when the height of the support 200 is less than 8 mm, the blocking part 300 is closed, and when the washing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intestine, a problem occurs that the support 200 is not properly fixed, and when it exceeds 18 mm, This is because it causes damage to the intestinal mucosa or the outer wall of the intestine.
  • the gap between the support part 200 and the support part 20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00 around the band from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s 200 is more than 8mm is sufficiently widened by the support part 200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b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stinal mucosa was not damaged b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art 200 is installed at an interval of 8 mm from the body part 100 . In addition, it will be preferable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portions 200 is limited to a maximum of 25 mm or less.
  •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s 200 is 25 mm or more, the length of the body part 100 becomes too large, making it difficult to follow the curve of the rectal region or the intestinal region of the anastomosis part in the pelvis.
  • the gap between the two supporting parts 200 must be 4mm or more so that even a narrow string to fix the instrument inside the intestinal tract can be tied. If the intestinal tract is not normal (intestinal edema or fibrosis thickened intestinal tract), further intervals are required. However, with the ability to tie a string, it would be natural that no damage to the intestinal tract would occur.
  • the interval between the support part 200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support part 200 positioned on the lower part is 8 mm or more to 25 mm or less, and set the size of the base of the support part 200 . something to do.
  •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 200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support part 200 positioned on the lower part is less than 8 mm, it was easy to remove the stool bypass assi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blocking part 300 When the pressure is received by the peristaltic movement in the closed state, even if there is a slight shaking in the body part 100, it may be twisted by the pressure in the peristaltic movement direction.
  •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dy portion 100 is displaced from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ntestinal tract, so that the flow of intestinal contents is disturbed when the blocking unit 300 is opened.
  • the distortion progresses, and the body part 100 completely blocks the intestinal tract,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treatment solution and the mixed solution cannot be discharged.
  •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unit 20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0 and the support unit 200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is more than 25 mm,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stool bypass assist device after treatment is complete, so the stool bypass assist device is removed There was a problem that damage to the mucous membrane in the intestine occurred.
  • the intestinal tract through which the stool bypass assist device passes is curved along the structure of the sacrum, so if the hard side portion is too long, it is difficult to remove.
  •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 200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support part 200 positioned on the lower part is more than 25 mm, it was difficult to remove the device.
  • Diameter of the base of the support 200 (mm) One 2 3 4 5 6 7 Fixed and closed X X X O O O O O
  • the size of the base of the support part 200 is different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base when the minimum height of the support part 200 that does not damage the mucous membrane in the intestine is 8 mm.
  • the diameter of the base of the support 200 was less than 8 mm, it was moved by the peristaltic movement of the intestine o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testine, or the intestine could not be partitioned, so that the treatment solution or mixed solution flowed into the anastomosis site and leakage was observed.
  • the smaller the size of the base the better, but if the size is too small,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product in reality. Therefore, it is ideal that the base of the support unit 200 be the minimum and have the maximum height. Because, if the size of the base of the support is large, the overall length of the body part 100 should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is, which is not ideal.
  • the pelvic curve is a curved region formed by the sacrum & coccyx.
  • the rectum is closely attached to the sacrum, so the sacrum and rectum usually have the same curve. Therefore, when the stool bypass assist device passes through the rectal region, if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is long, passage obstruction occurs.
  • the reason that transit obstruction should be considered is that it can cause organ damage.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is that the shorter the length of the body part, the better.
  •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is too short, there is a problem in maintaining the same axis (longitudinal axis) as the intestine in the intestine.
  • the stool bypass assist device When the stool bypass assist device is in the intestine, it may be subjected to asymmetric pressure depending on the quality of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large intestine can exist in both solid and liquid gas and do not always come down with symmetry).
  • the breeder axis may deviate from that of the intestinal tract.
  • the length of the body part should be at least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testinal tract.
  •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200 is the same as increas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so if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200 is higher than the set height, the intestines are overexpanded, which may cause a tear of serosa of the intestine. .
  • the lower the height of the support 200 the safer the intestinal tract.
  • the body part 100 may not be sufficiently supported, so that the body part 10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band part. Therefore, the minimum height that does not dislodge the device and the maximum height that does not rupture the veil should be determined.
  • This height was 8 mm, as can be seen from the tabl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height of the support part was tested. Below this height, disengagement of the instrument could occur. Since the maximum heigh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it is safe if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200 is 18mm or less when using a devic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00 in a clinical trial of 30mm.
  • the base of the support 200 is large, the height of the support can be increased stably, but there is a limit if the size of the base is small.
  • the size of the base of the support part 200 is small, even if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200 is high, sufficient support power was not provided. This happened and there was not enough support.
  • the size of the base of the support part 200 should be 4 mm or more to enable the role of the support part 200 .
  •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is
  • Equation 1 Equation 1 below can be derived.
  • Equation 1 0 ⁇ [S-(D+2H)+1.5T]
  • the thickness of the intestine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intestinal mucosa and serosa. And as a result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experiments, it was numerically confirmed that the first constant that does not cause damage to the mucous membrane and serosa is 5. As a result of considering the thickness of the intestin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second constant of 1.5 for the thickness of the intestine. was found to be the largest.
  •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200 of the present inventors' stool bypass assisting device are smaller than the sum of the second constant * the thickness of the intestine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testine, and the second constant * the intestine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intestine
  •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100 so that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height *2 of one support part 200 in the thickness of is smaller than the sum of the first constant and the second constant * the thickness of the intestine If the height of the support 200 is determined, the mucous membrane and serosa of the patient's intestines may not be damaged.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quid pipe (400).
  • the liquid pip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movement of the liquid in one direction and movement in the other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at is, to be able to inject the treatment liquid into the intestine, when the pressure is increased in the intestine and stro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stool bypass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treatment liquid or a mixture of the treatment liquid and the contents in the intestine is partially located or Allowed extra space for movement.
  • the liquid pipe 400 must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 the treatment fluid should not be moved until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testine becomes a specific pressure due to the peristaltic movement of the intestine, and when the internal pressure becomes a specific pressure, it should automatically reflux through the liquid pipe 400. It should not be obstructed by the contents, and thirdly, even if it is obstructed by the contents in the intestine, the occluded part should be easily penetrated.
  • the cross section of the liquid pipe 400 is 3 mm 2 to 10 mm 2 or less, the reverse flow of the treatment liquid is allowed through the liquid pipe 400, but sometimes the cross section of the liquid pipe 400 is closed due to the contents in the intestine.
  • an inhaler eg, a syringe
  • the cross-section of the liquid pipe 4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7 mm 2 ,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intestines perform peristalsis, the treatment liquid or a mixture of the treatment liquid and the intestinal contents is reversed.
  • the cross section of the liquid pipe 400 is set to 3 mm 2 or more to 23 mm 2 or less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patient does not feel abdominal pain, or a mixture solution in which the treatment liquid and the intestinal contents are mixed reflux was allowed, and even if the liquid pipe 400 was closed by the contents in the intestine, the passage could be easily opened.
  • the cross-section of the liquid pipe 400 should be set to 5 mm 2 or more and 20 mm 2 or less for natural regurgitation of the treatment liquid.
  • the movement of liquid occurs all the time, the contents of the intestine and the washing liquid (treatment liquid) can be mixed well. As a result, the treatment time is reduced, and the mucosal damage of the intestinal wall can be reduced because the body or support part is not pushed by pressure during the treatment peri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창자에 배설물을 우회 배출하도록 하는 변 우회 보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지지부가 하나의 공기이동관에 연결되어 있어 공기가 주입 시 동시에 팽창하며, 지지부의 수치가 한정되어 있어, 창자 내벽 및 외벽(점막 및 장막)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창자 내의 압력이 증가 시 신속하게 치료액의 자동 역류되도록 허용하는 액체이동관을 포함하여 환자의 복통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 우회 보조 장치
본 기술은 직장 수술 환자를 위한 변 우회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18년도 통계청에 의하면 3대 사망 원인은 암, 심장 질환, 폐렴으로 발표되었다.
Figure PCTKR2021003063-appb-I000001
특히 암은 위의 통계청의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90년도부터 사망률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95년 이후에는 다른 원인 대비 압도적인 사망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암은 40대 1위, 20대 3위, 30대 2위 사망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의료 업계에서는 암을 정복하려고 꾸준하게 노력하고 있으며, 암을 치료하는 시약, 치료 방법, 치료 기구 등을 개발하고 있다.
암 중에 대장암은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대장암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증가되고 있다.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로 대부분 대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다. 선암 이외에도 편평상피암, 악성 림프종 등 다양한 종양 등이 발견되며, 때로는 암이 대장을 침습하거나 다른 부위에 전이되기도 한다.
현재 대장암 치료 방법은 변병 위치의 상하단부를 절개하고 정상부위를 연결한 후 절개된 부분을 봉합하는 방식이다.
대장암은 치료 자체가 환자에게 고통이지만, 수술 후 문합부위에서 발생하는 누출(leakage)도 위험하다. 문합부위의 누출은 심각한 합병증을 야기하며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 문합부 협착을 일으키며 환자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술 부위로부터 일정한 상부의 위치에 생분해성 띠를 창자에 묶고 이 부위에 변을 우회할 수 있는 변 우회 보조 장치를 고정한 후 변 우회 보조 장치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공간을 폐쇄하고, 치료액을 주입한 후, 치료액을 변 우회 보조 장치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변을 우회 배출하여 문합부위 누수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변 우회 보조 장치를 이용하는 환자들은 변 우회 보조 장치를 이용 시, 지속적으로 동일한 문제점, 불평의 소리를 내고 있어서, 이 문제점, 불평의 소리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연구가 요구된다. 고객이 말하는 문제점은 아래와 같다.
첫 번째 문제는 복통이다.
치료액이 환자의 장관 내로 주입되면 창자는 연동운동을 수행한다. 이 운동은 창자 내의 물질을 항문 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운동인데, 이 때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창자의 내부를 폐쇄하고 있으므로, 창자 내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창자 내 압력의 증가는 환자에게 복통을 유발하였다.
두 번째 문제는 창자 내벽의 손상(erosion)이다.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창자 외벽에 고정된 밴드를 기준으로 창자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창자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면 창자 내에 고정된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창자 내에서 밀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창자 내벽을 밀어 밴드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 과정이 되풀이 되면서 창자 내벽을 손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창자 내벽 손상은 장천공과 장관 주위 농양 그리고 패혈증이라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 할 수 있다.
세 번째 문제는 환자의 삶의 질 저하이다.
대장암 환자는 대장암으로 인하여 심적으로 큰 고통을 받고 있으므로, 수술 후 변 우회 보조 장치로 인한 복통은 환자에게 정신적, 신체적으로 심한 고통을 가하고, 이 고통으로 인하여 일부 환자는 변 우회 보조 장치의 제거를 요청하기도 하며, 변 우회 보조 장치의 사용을 중단하고, 기저기를 차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는 환자의 입장에서 번거롭고 수치를 주는 것이었다.
위와 같은 문제들은 본 발명자가 최초 한국 등록번호 10-0375584의 발명을 고안한 2000년도부터 현재까지 십 수년에 걸쳐 해결되어야 할 숙원의 과제였다.
본 발명자는 다양한 해결책을 고민하였고, 이 해결책을 위하여 십 수년간 셀 수 없이 많은 실험을 통하여 오랫동안 지속되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아래는 본 발명자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행한 몇 가지의 해결책들이다.
본 발명자는 환자의 복통을 억제하기 위하여 평활근 이완성 진통제인 Hyoscine-N-Butylbromide, 소염 진통제인 NSAID, 마약성 진통제인 Opioid를 환자에게 처방하였다. 이 경우 환자의 복통은 해소될 수 있었다. 그러나 창자의 과도한 연동 운동에 따라 창자가 터져 변의 누수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 합병증으로 인하여 재수술을 하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본 발명자는 환자에게 고통을 없애 줄만큼의 충분한 진통제 투여를 할 수 없었다.
이처럼 진통제의 처방은 문제점 해결을 하지 못하는 바, 본 발명자는 치료액의 양을 줄여 환자에게 주입하는 방식으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세척액 주입시간이 길어져서 환자의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세척액 양을 줄이더라도, 세척액 주입으로 인한 창자의 연동 운동은 수행되므로, 환자의 복통이 감소되지는 않았다.
더군다나 환자에게 치료액이 적게 주입됨으로 인하여, 창자 내 내용물이 치료액과 혼합되지 못하여, 고형화로 인한 창자 외부로 배출이 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자가 수행한 마지막 해결책은 변 우회 보조 장치의 공간을 개방하는 것이었다. 즉, 치료액을 환자에게 주입하다가 환자가 복통을 호소하면 치료액 주입을 멈추고 관찰 하는 것이다. 치료액의 추가 주입이 멈추면 환자의 복통이 사라질 수는 있었다. 치료액 주입을 멈춤에도 환자의 고통이 계속되면, 공간을 개방하여(변 우회 보조 장치의 내측풍선을 감압시켜 변 우회 보조 장치를 개방한다) 치료액을 외부로 배출시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식이었다.
이 방법은 장관 내 압력을 높게 한 원인인 변과 섞인 치료액을 변 우회 보조 장치 밖으로 배출시키는 효과로서 높아진 장관 내 압력을 줄이는 효과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복통이 감소되거나 사라졌었다. 그리고 이 방법은 장 파열의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치료액 주입 기간 동안 이 과정을 되풀이 하면 일시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으나, 창자 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환자 및 침상을 오염 시킬 수 있고 환자를 불쾌하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방법은 안전하지만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주위를 오염시켜 병원 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었다. 이런 과정은 여러가지 조작이 필요하였다. 즉 주입되는 치료액을 잠그고 기다리다가 통증이 계속되면 장관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조작을 하여야 하므로 대부분의 경우에 환자 혼자 하기가 어려워 보호자나 간호 인력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수 차례 되풀이 하여야 하는 환자나 보호자는 매우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변 우회 보조 장치 시술 받은 것을 후회하기도 하였다. 심한 경우 환자는 변 우회 보조 장치의 조기 제거를 요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변 우회 보조 장치의 조기 제거는 매우 위험하다. 제거 과정에 문합부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조기 제거에 따른 문합부 누출 예방의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시간 많이 걸리고 치료방법이 번거로우며 간호인력을 포함한 다른 인력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그리고 결국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하게 만들었다. 더욱이 방법은 환자 및 침상 오염을 일으키고, 이는 병원 환경 오염을 유발함으로써, 다른 환자의 건강까지도 위협 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자는 수 많은 시행착오를 통하여 본 발명자는 지속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지만 대부분의 해결책은 문제를 해결하는 듯 하다가 또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시행 착오가 단순 실패만은 아니었다. 본 발명자는 다양한 시행착오 끝에 복통의 해결은 치료액 주입 시 창자의 연동 운동에 의한 창자의 내압 변동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에 새로운 방식으로 오래된 숙원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환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도 종래의 변 우회 보조 장치와 다르게 환자에게 복통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도 창자 내벽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변 우회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 우회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창자에 배설물을 우회 배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는 항문으로 삽입되어 창자의 내측에 위치되는 메인바디부, 상기 메인바디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8mm 이상 내지 25mm 이하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공기 또는 액체가 주입되면 팽창되어 상기 창자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메인바디부가 상기 직장에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지지부, 상기 메인바디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 또는 액체 주입되면 팽창되어 상기 메인바디부의 내측의 공간을 폐쇄하는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가 팽창되어도 폐쇄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바디부 내측에 설치되어 항문 외부에서 주입되는 치료액을 창자의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액체이동관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부의 베이스의 길이는 4mm 이상 내지 15mm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바디부의 외경의 크기는 10mm 이상 내지 30mm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식 1을 만족한다.
식 1은 0<[S-(D+2H)+1.5T]<[5+1.5T]이다. 여기서 식 1의 각 기호는 다음과 같다.
S : 장관의 내경, H : 지지부 하나의 높이, D : 메인바디부의 외경, T : 창자의 두께
또한,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지지부와 연통되는 바이패스부가 형성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동시에 팽창되도록 하는 공기이동관을 포함한다.
여기서, 액체이동관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치료액이 상기 창자의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창자의 연동 운동에 의하여 상기 창자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치료액과 혼합된 창자에 배설물이 일부 이동될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을 허여하여 상기 창자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액체이동관의 단면의 크기는 3㎟ 이상 내지 23㎟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변 우회 보조 장치는 항문에 상기 메인바디부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정된 긴봉의 형태로 내부에 상기 메인바디부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측은 라운드하게 형성되되 일중심을 기준으로 절개부가 대칭되게 형성된 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상기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된 메인바디부의 분리를 위하여 긴봉의 형태로 상기 메인바디부의 하측과 맞닿으며 상기 메인바디부를 상측으로 밀어 상기 메인바디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커버의 상측의 크기를 크게 변형되도록 하여 상기 메인바디부가 창자 내로 진입할 수 있게 하는 푸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창자의 연동 운동에 의하여 창자 내의 내압 증가 및 팽창이 발생되는 경우, 치료액 또는 혼합액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창자 내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환자에게 복통을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치료액이 자동으로 창자 내 공급, 액체이동관으로 역류되므로, 치료액 주입이 과다하게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창자의 연동 운동에 따라 복통을 유발하지 않으며, 단시간 내에 치료액이 창자 내에서 내용물과 섞일 수 있어 치료 시간을 감축할 수 있다. 복통의 감소와 치료시간의 단축은 결과적으로 본 우회 장관 보조기가 장관 내에서 밀리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장관벽의 손상(침식 : erosion)의 위험을 최소화 하며, 변 우회 보조 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창자 내 특정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면서 창자 내벽에 손상을 입히지 않은 수치를 가지도록 제조되어 환자의 창자 내벽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환자가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도 복통이 유발되지 않으며, 창자 내벽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환자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의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의 푸셔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의 각 구성이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의 각 구성이 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은 도 5의 상부측만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차단부가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직장 내에 인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직장 내로 인입된 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c는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직장 내로 인입된 후 커버만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d은 푸셔를 활용하여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창자 내 특정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e는 지지부가 팽창되어 창자 내에서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창자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f는 액체이동관을 통하여 치료액이 창자 내로 공급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g는 창자의 내압 또는 창자의 연동 운동에 의하여 치료액 또는 치료액과 창자 내 내용물이 혼합된 혼합액이 액체이동관으로 역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h는 차단부가 오그라들어 치료액 또는 치료액과 창자 내 내용물이 혼합된 혼합액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i는 지지부가 오그라든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의 각 구성의 수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의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의 푸셔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의 각 구성이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의 각 구성이 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은 도 5의 상부측만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도 6a에서 차단부가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는 바디부(100), 튜브(700), 지지부(200), 차단부(300), 액체이동관(400), 제1공기이동관(500), 제2공기이동관(600)을 포함한다.
또한,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커버(800), 푸셔(9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중공을 포함한다. 즉, 바디부(100)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고, 바디부(100)의 내측에도 공간이 형성된다. 바디부(100)의 내측공간은 후술할 치료액과 치료액과 창자 내 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이 배출될 수 있다.
튜브(700)는 바디부(10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튜브(700)는 바디부(100)의 둘레의 크기보다 약간 큰 둘레의 크기를 가져서, 튜브(700)에 바디부(100)가 인입될 수 있다. 즉, 튜브(700)의 상측에 바디부(100)의 하측이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00)의 내측공간을 통하여 이동되는 치료액 또는 치료액과 창자 내용물이 혼합된 혼합액이 바디부(100)와 튜브(700) 사이의 공간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튜브(700)의 하측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치료액 또는 치료액과 창자 내용물이 혼합된 혼합액이 보관될 수 있는 파우치와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100)의 내측공간에는 제1공기이동관(500), 제2공기이동관(600)이 설치될 수 있다. 바디부(100)의 내측공간에는 차단부(3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바디부(100)의 외측에는 바디부(100)의 둘레를 따라서 지지부(200)가 형성된다.
지지부(200)는 바디부(100)의 상측 둘레에 하나, 그리고 이와 이격되어 바디부(100)의 하측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300)는 도 6a, 6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내측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공기이동관(500)과 연결되어 있고, 두 개의 지지부(200)는 제2공기이동관(600)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공기이동관(600)은 도 6a, 6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되어 각각의 차단부(30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공기이동관(600)에 공기가 주입되면 바디부(100)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부(200)와 하부에 위치한 지지부(200)가 동시에 팽창될 수 있다. 제1공기이동관(500)으로 공기가 주입되면 차단부(300)가 팽창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공기이동관(500), 제2공기이동관(600)은 실시예에 따라서 공기가 아닌 액체(식염수)가 주입될 수도 있다.
차단부(300)가 팽창되면 바디부(100)의 내측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0)가 팽창되면 창자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바디부(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창자는 바디부(100)를 기준으로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액체이동관(400)도 바디부(100)의 내측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액체이동관(400)은 차단부(300)가 팽창된다 하더라도 폐쇄되지 않도록 바디부(10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액체이동관(400)은 미도시되어 있지만 실린더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에 의하여 공급되는 치료액을 창자 내로 주입할 수 있다.
커버(800)는 상부과 라운드하게 형성된 긴 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80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지만 커버(800)의 상부는 폐쇄된 것과 같이 관찰될 수 있다. 커버(800)의 상부는 중앙을 기준으로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다. 절개선은 커버(800)의 중앙을 기준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800)의 상부는 커버(800)의 내측에서 상부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커버(800)의 상부가 상부로 점점 이동하게 되어 중앙의 개방된 부분의 크기가 점차 커질 수 있다. 또한, 커버(800)의 하부에는 플랜지부(810)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810)는 커버(800)의 둘레의 크기를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푸셔(900)는 그립부(920)와 푸쉬부(910)로 구성될 수 있다. 푸셔(900)는 후술하여 설명하겠지만 바디부(100)를 창자 내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직장 내에 인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직장 내로 인입된 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c는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직장 내로 인입된 후 커버만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d은 푸셔를 활용하여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창자 내 특정 위치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e는 지지부가 팽창되어 창자 내에서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창자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f는 액체이동관을 통하여 치료액이 창자 내로 공급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g는 창자의 내압 또는 창자의 연동 운동에 의하여 치료액 또는 치료액과 창자 내 내용물이 혼합된 혼합액이 액체이동관으로 역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h는 차단부가 오그라들어 치료액 또는 치료액과 창자 내 내용물이 혼합된 혼합액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i는 지지부가 오그라든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창자 내에 설치되어 변을 우회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환자는 대장암 치료를 위하여 창자의 변병 부위를 절단하고, 절단된 창자를 다시 봉합한 다음 봉합된 위치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생분해성 밴드가 창자의 둘레를 감으며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생분해성 밴드는 창자의 외측을 크지 않은 압력으로 조이고 있어도 문제되지 않는다.
환자는 커버(800)의 내부에 바디부(100)를 배치시킨다. 환자는 제1공기이동관(500)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시켜 차단부(300)가 팽창되어 바디부(100)의 내측공간을 폐쇄시킨다. 그리고 푸셔(900)의 푸쉬부(910)가 바디부(100)의 하부와 맞닿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푸셔(900)의 그립부(920)는 긴 봉형태로 형성되므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젤 또는 윤활제가 커버(800)에 도포되고 환자의 항문으로 푸셔(900)가 이용되어 환자의 항문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커버(800)가 환자의 항문으로 인입될 때 커버(800)의 플랜지부(810)는 항문으로 인입되지 않으며, 플랜지부(810)는 엉덩이와 맞닿아 커버(8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플랜지부(810)가 엉덩이에 맞닿게 되면 커버(800)는 항문에서 인출된다. 커버(800)의 상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개선이 중앙을 기준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800)를 항문에서 인출하면 커버(800)의 중앙에 형성된 개방된 부분이 바디부(100)의 크기와 지지부(200)의 크기를 합친 크기만큼 커질 수 있어서 커버(800)만 항문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의사는 푸셔(900)의 그립부를 잡고, 환자의 항문 안쪽으로 더욱 밀어 넣어 바디부(100)가 창자의 봉합 부위를 지나 밴드가 바인딩된 부분에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바디부(100)의 위치는 바디부(100)의 상부에 위치된 지지부(200)와 하부에 위치된 지지부(200)가 밴드를 중심으로 대칭된 위치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환자는 제2공기이동관(600)을 통하여 공기 또는 액체를 지지부(200)에 주입시켜 지지부(200)가 팽창되도록 한다. 팽창된 지지부(200)는 창자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밴드는 창자를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하고 있어서, 지지부(200)는 창자를 약간 밀 수 있다.
이처럼 지지부(200)가 팽창되면 환자의 창자는 바디부(100)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창자는 차단부(300), 바디부(100), 지지부(200)로 인하여 공간이 폐쇄될 수 있다.
지지부(200)가 팽창되면 환자는 실린더를 조작하여 액체이동관(400)으로 치료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의사는 치료액을 600 ~ 1000cc를 20분 내지 25분에 걸쳐 주입할 수 있다. 치료액이 주입된 창자는 연동운동을 하며 창자 내 내용물과 혼합된다.
그 후 환자는 제1공기이동관(500)을 이용하여 차단부(300)에 공기 또는 액체를 빼내어 차단부(300)가 다시 오그라들도록 한다. 그러면 폐쇄되었던 창자는 바디부(100)의 내측공간에 이동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치료액과 창자의 내용물이 혼합된 혼합액은 튜브(7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환자는 제2공기이동관(600)을 이용하여 지지부(200)를 오그라들도록 하고, 튜브(700)를 잡아 당겨 바디부(100)를 창자 외부로 이동시켜 치료를 마무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치료 과정은 변 우회 배출을 가능하게 하지만, 치료액의 주입 시 발생되는 창자 내압의 증가로 인한 환자의 복통, 지지부(200)가 창자의 내측면을 밀착 고정 시 창자의 연동 운동으로 인한 지지부(200)의 압착 고정으로 인한 장관벽 손상의 문제점이 발생되게 되었다.
따라서 위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위 문제점을 해결 시 변 우회 보조 장치의 구성의 원래의 역할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 즉, 차단부(300)는 팽창 시, 바디부(100)의 내측공간을 폐쇄하여야 하고, 지지부(200)는 팽창 시 장관에 밀착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 하에서 각 구성의 수치를 변경하여 보았다. 아래의 수치 변경들은 모두 지지부(200)가 팽창되고, 치료액을 창자 내로 주입하고, 충분하게 시간이 경과되어 창자의 내압이 증가되고, 창자가 충분한 연동 운동을 한 경우 창자의 손상이 있는지 여부를 복수회 수행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의 각 구성의 수치를 도시한 것이다.
*창자의 굵기와 두께는 사람과, 질환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창자는 부드럽고 탄력성 있는 특수한 조직으로 구성되어 팽창 시와 수축 시에도 굵기와 두께가 다르다.
그러므로 정확한 지름과 두께의 계측이 어렵다. 그러므로 창자 내에 고형의 기구를 삽입하고 창자 내 내용물의 흐름을 단락하는 기능을 갖추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더구나 이런 기능을 하는 동안 장관의 손상이 있어서는 안 된다. 장관은 압력에 매우 취약하여 고형의 기구를 외부에서 고정하며 창자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일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였다.
본 발명을 고안하기 위하여는 바디부(100)의 외경을 설정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바디부(100)의 외경은 크면 세척액 주입이 편하나, 잘못 설정하면 환자의 창자의 파열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창자의 직경이 크다면 바디부(100)의 외경 및 지지부(200)의 높이를 합한 수치에 큰 영향을 받지 않지만, 창자의 직경이 작다면 큰 영향을 받으므로, 다양한 환자의 창자의 직경을 측정한 것을 바탕으로 창자의 수용범위를 확인하여 보았고, 이에 따라 획득한 수치가 18 ~ 60mm이다.
즉,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지지부(200)가 팽창되었을 때 전체적인 단면의 크기가 18~60mm이여야 작은 창자에 고정될 수 있으며, 창자의 파열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이 설정된 단면의 크기 내에서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제조되어야 하는데, 세척액 투입, 제조의 편의성, 점막 손상 방해 등을 고려 바디부의 외경은 최소 10mm이상 내지 최대 30mm가 되어야 한다.
물론 환자의 상태에 따라 더 큰 variation이 존재할 수 있으나 수 많은 환자를 토대로 획득한 데이터를 토대로 표준화를 하여 볼 때 위 범위이면 충분할 거라고 생각된다.
우선 바디부(100)의 외경을 10mm단위로 설정하여 보았다.
바디부(100)의 외경을 10mm단위로 설정한 이유는 10mm보다 작은 경우 변이 희석된 치료액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어 시작점을 10mm로 설정하였다.
바디부(100)의 외경의 크기의 시작점을 10mm로 설정한 또 다른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행한 다양한 임상 실험 결과에서 비롯된 것이다. 흔히 임상실험에서 사용되는 직장관은 외경이 10mm이하이다.
그러나 임상실험에 사용되는 직장관은 변이 희석된 치료액에 의하여 통로가 막히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자는 임상 실험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을 고안 시 바디부(100)의 외경이 최소 10mm이상 이여야 할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이 생각을 토대로 외경이 다른 다양한 기구들을 제작하여 동물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바디부(100)의 외경은 10mm보다 커야 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디부(100)의 외경의 시작점을 10mm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최종점은 바디부(100)의 외경을 30mm로 설정하였다.
그 이유는 바디부(100)의 외경이 30mm보다 크면 크기가 너무 커져서 항문을 통하여 창자 내로 인입시키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장관 문합에 통상 사용하는 원형문합기(circular stapler)로 만든 문합부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원형문합기의 외경은 약 25-34mm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를 제거 시 창자의 수용범위를 고려하면서, 문합부의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는 바디부(100)의 외경의 크기가 30mm이하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디부(100)의 크기가 30mm를 초과하면, 이를 장관에 삽입하거나 제거 시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디부(100)의 외경의 크기는 최대 30mm이하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결국 바디부(100)의 외경은 10mm ~ 30mm임이 장관의 굵기에 따라 안전하고 기능상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이처럼 본 발명자는 바디부(100)의 외경을 설정하고, 그 후 지지부(200)의 높이 변화에 따른 창자 점막 손상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자는 지지부(200)의 높이를 변경 시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지지부(200)의 높이 변경에 따른 창자 손상 여부는 동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동물실험은 체중이 15Kg ~ 26Kg이하의 잡종견을 이용하였다. 이 크기의 잡종견들의 창자는 사람의 창자의 크기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1) 바디부(100)의 외경이 10mm일 때 지지부(200)의 높이 변화에 따른 창자 점막 손상 여부
이하에서 설명되는 지지부(200)의 높이는 지지부(200)가 바디부(100)의 외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된 지지부(200)의 높이를 합한 것을 지칭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지지부(200)의 높이가 팽창 시 9mm이면 두 개의 지지부(200)가 대칭되는 위치에서 팽창되므로 지지부(200)의 높이는 18mm라는 식이다.
동물실험은 체중 15 ~ 19Kg의 잡종견의 대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잡종견들을 통하여 획득된 샘플은 일반화하기에 충분하였다.
지지부의 높이(mm) 1 3 5 7 9 11 13 15 17 18 19
창자 내측벽 손상 여부 X X X X X X X X X X O
바디부(100)의 외경이 10mm 일 때, 지지부(200)의 높이를 1mm에서 점차 크기를 증가시키며 장관 내측벽의 손상(점막 손상, 장막의 파열 등) 여부를 확인하여 본 결과 지지부(200)의 높이가 18mm(하나의 지지부(200)의 높이는 9mm, 바디부(100)의 외경과 지지부(200)의 높이의 합은 28mm)일 때까지는 내측벽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지지부(200)의 높이가 19mm 이상이 될 때부터 잡종견의 장막의 손상(점막 손상, 파열)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다만, 지지부(200)의 높이가 8mm미만일 때 지지부(200)는 창자 내측벽에 밀착되지 못하여 창자 내압이 증가 시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이동되는 문제점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지지부(200)의 높이가 8mm이상 될 때부터 이러한 문제점은 해결되었다.
(2) 바디부(100)의 외경이 20mm일 때 지지부(200)의 높이 변화에 따른 창자 점막 손상 여부
바디부(100)의 외경이 20mm일 때는 기구는 체중 19Kg이상 22Kg이하의 잡종견의 대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지부의 높이(mm) 1 3 5 7 9 11 13 15 17 19 21
창자 내측벽 손상 여부 X X X X X X X X X O O
실험 결과, 지지부(200)의 높이가 19mm이상일 때부터(지지부(200)의 높이는 9.8mm, 바디부(100)를 포함한 외경의 크기는 39mm 이상) 장막의 파열이 관찰되었다.(3) 바디부(100)의 외경이 30mm일 때 지지부(200)의 높이 변화에 따른 창자 점막 손상여부
바디부(100)의 외경이 30mm일 때는 기구는 체중 23Kg이상 26Kg 이하의 잡종견의 대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지부의 높이(mm) 1 3 5 7 9 11 13 15 17 18 19
창자 내측벽 손상 여부 X X X X X X X X X X O
실험 결과, 지지부(200)의 높이가 18mm를 초과한 경우(지지부(200)의 높이 9mm, 바디부(100)를 포함한 외경의 크기는 48mm를 초과)일 때부터 장막 파열이 관찰되었다.
(4) 검토 결과 바디부(100)의 외경이 10mm 이상 내지 30mm 이하일 때 지지부(200)의 높이가 8mm 이상 내지 18mm 이하 내에 있으면 장관의 구경에 따른 수치의 변형으로 인하여 장관의 장막 손상을 피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지지부(200)의 높이는 8mm 내지 18mm일 때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지지부(200)의 높이가 8mm미만인 경우에는 차단부(300)를 폐쇄하고, 세척액을 창자 내로 주입하는 경우, 지지부(200)가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18mm초과인 경우, 창자 내 점막 혹은 외벽의 장막 손상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창자의 둘레에는 생분해성 밴드가 조여지므로, 지지부(200)의 간격에 따라서도 창자의 점막 손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바디부(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지부(200)와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부(200) 사이의 간격이 적정하게 설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지지부(200) 사이의 간격(mm) 4 5 6 7 8 9
창자 내측벽 손상 여부 O O O O X X
실험을 수행한 결과, 지지부(200) 사이의 간격은 8mm 이상일 때부터 밴드를 중심으로 바디부(10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부(200)와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200)의 간격이 충분하게 벌어져 밴드에 의한 창자 내측벽 점막이 손상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지부(200)는 바디부(100)에 8mm 간격을 두고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지지부(200) 사이의 간격은 최대 25mm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지부(200) 사이의 간격이 25mm이상이 되면 바디부(100)의 길이가 너무 커지게 되어 골반 내에서 직장 부위 혹은 문합부의 장관 부위의 곡선을 따라가기 어렵게 된다.
장관 자체의 두께가 최소 1 ~ 1.5mm이므로 두 개의 지지부(200) 사이가 4mm이상은 되어야 장관 내부의 기구를 고정할 좁은 끈이라도 묶을 수 있다. 정상 장관이 아닌 경우(장관 부종이나 섬유화로 장관이 두꺼워진 경우)는 더 이상의 간격을 요한다. 그러나 끈을 묶을 수 있는 것과 함께 장관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음은 당연할 것이다.
다양한 지지부(200)의 간격을 가진 프로토 타입의 기구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여 본 결과, 지지부(200) 사이의 간격이 8mm 이상 벌어지기 전에는 점막 손상이 수술 후 1 일 쨰부터 나타났다.
그러나 지지부(800)의 간격이 8mm이상일 때는 비록 점막 손상이 종종 관찰되었으나, 이로 인한 복막염은 일어나지 않았다. 즉, 허용 가능한 범주 내였다.
따라서 바디부(100)의 상부에 위치된 지지부(200)와 하부에 위치된 지지부(200) 사이의 간격은 8mm 이상 내지 25mm 이하로 설정하고, 지지부(200)의 베이스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바디부(100)의 상부에 위치된 지지부(200)와 하부에 위치된 지지부(200) 사이의 간격이 8mm 미만인 경우,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를 제거하기는 쉬웠지만, 차단부(3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연동운동에 의한 압력을 받으면 바디부(100)에 약간의 흔들림만 있어도 연동 운동 방향의 압력에 의해 뒤틀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디부(100)의 종축이 장관의 종축과 어긋나게 되어 차단부(300) 개방 시에 장관 내용물의 흐름이 지장을 받게 된다. 심하면 뒤틀림이 진행되어 완전히 장관을 바디부(100)가 가로막게 되어 치료액 및 혼합액이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바디부(100)의 상부에 위치된 지지부(200)와 하부에 위치된 지지부(200) 사이의 간격이 25mm 초과인 경우, 치료가 종료 후 변 우회 보조 장치의 제거가 힘들어 변 우회 보조 장치를 제거 시 창자 내 점막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변 우회 보조 장치 제거 시, 변 우회 보조 장치가 통과하는 장관은 천골의 구조를 따라 굽어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단한 변 부분이 너무 길면 제거에 어려움이 따른다. 바디부(100)의 상부에 위치된 지지부(200)와 하부에 위치된 지지부(200) 사이의 간격이 25mm 초과인 경우 기구의 제거가 어려웠다.
지지부(200)의 베이스의 직경(mm) 1 2 3 4 5 6 7
고정 여부 및 폐쇄여부 X X X O O O O
전술한 바와 같이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창자의 점막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창자 내의 압력 연동 운동에도 안정적으로 창자 내에서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변 우회 보조 장치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변이 문합부위로 흘러가서 누수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의 실험은 창자 내의 점막을 손상시키지 않는 지지부(200)의 최소의 높이인 8mm일 때 베이스의 길이를 변경하여 지지부(200)의 베이스의 크기를 다르게 한 것이다. 실험 수행 결과, 지지부(200)의 베이스의 직경이 8mm미만인 경우에는 창자의 연동 운동 또는 창자의 내압에 의하여 이동되거나, 창자를 구획하지 못하여 문합 부위로 치료액 또는 혼합액이 흘러 누수가 관찰되었다.지지부(200)의 베이스의 크기는 작을수록 좋으나, 크기가 너무 작으면 현실적으로 제품 제작이 어렵다. 따라서 지지부(200)의 베이스가 최소한으로 되되, 최대의 높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왜냐하면, 지지대의 베이스의 크기가 크면 이에 비례하여 바디부(100) 전체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는데 이것은 이상적이지 못하다.
바디부(100)의 길이도 너무 길면 직장의 골반 만곡부를 통과하기 어렵다. 골반 만곡부는 천미골(sacrum & coccyx)에 의해 형성되는 둥글게 굽은 부위로 직장은 천골과 거의 밀접하게 붙어 있어 천골과 직장은 대개 같은 곡선을 가진다. 그러므로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직장 부위를 통과할 때 바디부의 길이가 길면 통과 장애가 일어난다. 통과 장애를 고려하여야 하는 이유는 이것이 장기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출되는 결론은 바디부의 길이는 짧으면 짧을 수록 좋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실현될 수 없다. 왜냐하면 바디부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창자 내에서 창자와 같은 축(종축)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생긴다. 변 우회 보조 장치가 창자 내에 있을 때 창자 내 내용물의 질(대장의 내용물은 고체 액체 기체 모두 존재할 수 있고 항상 대칭을 유지하며 내려오지는 않는다.)에 따라 비 대칭 압력을 받을 수 있는데, 이때 바디부의 종축이 장관의 종축과 어긋날 수 있다.
그 결과, 변 우회 보조 장치의 이탈(밴드 부위에서 이탈됨)이나 창자의 폐쇄하는 막히는 현상(폐색)이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바디부의 길이는 최소한 장관의 지름 보다는 길어야 한다.
한편, 지지부(200)의 높이를 크게하면 바디부의 외경을 크게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지지부(200)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보다 높으면 창자를 과팽창시켜 창자의 장막파열(tearing of serosa)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지부(200)의 높이는 낮을수록 장관에는 안전하다. 그러나 너무 낮으면 바디부(100)를 충분히 지지하지 못해서 바디부(100)가 밴드부위를 쉽게 이탈하게 된다. 그러므로 기구를 이탈시키지 않는 최소한의 높이와 장막을 파열시키지 않는 최대한의 높이는 정해져야 한다.
이러한 높이는 전술한 지지부의 높이에 관한 실험을 수행한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8mm였다. 이 높이 이하에서는 기구의 이탈이 일어날 수 있었다. 최대한의 높이는 바디부의 외경에 따라 허용치가 다를 수 있으므로 임상시험에서 바디부(100) 외경 30mm의 기구를 쓸 때 지지부(200)의 높이가 18mm 이하가 되면 안전하다.
또한 제작상의 문제인데 지지부(200)의 베이스가 크면 지지부의 높이도 얼마든지 안정되게 높일 수 있으나 베이스의 크기가 작으면 한계가 있다. 지지부(200)의 베이스의 크기가 작은 경우 지지부(200)의 높이가 높아도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하였으며, 지지부(200)의 높이가 높고 지지부의 베이스의 크기가 작으면 힘이 가해졌을 때 밀리는 현상이 일어나 충분한 지지력이 나오지 않았다.
이리한 실험 결과, 지지부(200) 베이스의 크기는 4mm이상 되어야 지지부(200)의 역할을 가능하게 하였다. 지지부(200)의 베이스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지지력이 우수한 지지부(200)를 형성할 수 있으나 지지부(200)의 베이스가 너무 크면 이에 상응하여 바디부 전체가 길어지므로 베이스의 크기의 15mm 이하임이 바람직하였다.
종합하자면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는
*
(i) 바디부의 외경 : 10mm 이상 내지 30mm 이하
(ii) 지지부의 높이 : 8mm 이상 내지 18mm 이하
(iii) 두 개의 지지부(200)의 이격 간격 : 8mm 이상 내지 25mm이하
(iv) 지지부의 베이스의 크기 : 4mm 이상 내지 15mm 이하
(v) 바디부의 길이 : 25mm 내지 55mm
의 제약 조건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변 우회 보조 장치의 본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창자의 내측벽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수치적 한정 사항을 가지는 변 우회 보조 장치의 최적화된 수치를 찾아 내기 위하여는 신체와 연관되어 최적의 수치를 선정할 수밖에 없다. 사람은 각기 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환자의 신체의 크기(사이즈)를 고려하면 환자에게 고통을 가하지 않으며, 창자의 점막(mucosa)및 장막(serosa) 손상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는 변 우회 보조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환자의 항문의 크기와 창자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의 수치를 결정하면 아래의 식 1이 도출될 수 있다.
식 1 : 0<[S-(D+2H)+1.5T]
(S : 장관의 내경(mm), H : 지지부(200) 하나의 높이(mm), D : 바디부(100)의 외경(mm), T : 창자의 두께(mm))
환자의 창자의 내압의 저항성은 창자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므로, 창자의 점막 및 장막(serosa) 손상 방지를 위하여는 창자의 두께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복수의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점막 및 장막(serosa)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제1상수는 5인 것을 수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창자의 두께를 고려한 결과 창자의 두께에 1.5라는 제2상수를 연산하는 것이 최대임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의 바디부(100)의 외경과 지지부(200)의 높이는 장관의 내경에서 제2상수*창자의 두께를 합친 값보다 작으며, 장관의 내경에 제2상수*창자의 두께에서 바디부(100)의 외경과 하나의 지지부(200)의 높이*2를 한 값이 제1상수에 제2상수*창자의 두께를 합친 값보다 작도록 바디부(100)의 외경과 지지부(200)의 높이를 결정하면 환자의 창자의 점막 및 장막(serosa)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제약 조건은 창자 내 내측벽 점막 및 바깥층인 장막(serosal layer)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지만 환자의 복통을 줄이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체이동관(4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변 우회 보조 장치를 이용하는 환자의 창자 내압 증가에 따른 고통은 고려되지 않았다. 즉, 치료액이 창자 내로 주입되고, 창자를 밀폐시키는 것만이 고려되었었다. 그러나 이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환자의 복통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변 우회 보조 장치를 항문 측으로 강하게 밀어 환자의 점막이 손상되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액체이동관(400)은 액체의 일방향 이동을 허여함과 동시에 타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즉, 치료액을 창자 내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되, 창자 내에 압력이 증가되어 본 발명인 변 우회 보조 장치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일부 치료액 또는 치료액과 창자 내 내용물이 합쳐진 혼합액이 일부 위치되거나 이동될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을 허여하였다.
다만, 이 경우 액체이동관(400)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첫 번째로 창자의 연동 운동에 의하여 창자의 내압이 특정 압력이 될 때까지는 치료액이 이동되면 안되고, 내압이 특정 압력이 되면 자동으로 액체이동관(400)을 통하여 역류되어야 하며 두 번째로는 창자 내의 내용물에 의하여 폐쇄되면 안되며, 세 번째로는 창자 내의 내용물에 의하여 폐쇄된다 하더라도 쉽게 폐쇄된 부분이 쉽게 관통될 수 있어야 한다.
액체이동관(400)의 단면의 크기 2 3 4 5 6 ... 22 23
액체 역류 허용 여부 X O O O O O O O
위 조건을 만족하는 치료액 역류 허용 액체이동관(400)을 제조하기 위하여 액체이동관(400)의 단면을 다르게 하여 실험을 한 결과 액체이동관(400)의 단면이 3㎟이상일 때부터 환자가 복통을 느끼지 않는 창자 내 압력 내에서 치료액의 역류가 가능하였다. 즉, 연통 운동으로 인한 복통은 액체이동관(400)의 단면의 크기가 3㎟인 경우부터 감소되어, 액체이동관(400)의 단면의 크기가 4㎟인 경우 치료액의 역류가 원할하게 되었다. 그리고 액체이동관(400)의 단면의 크기가 3㎟이상일 때부터 변괴에 의한 액체이동관의(400) 폐색도 일어나지 않았다. 다만, 액체이동관(400)의 단면의 크기가 3㎟, 4㎟이상일 때 변괴에 의한 액체이동관(400)의 폐색이 간혹 관찰되었으나, 액체이동관(400)에 소량의 치료액(약 50cc 이상)을 주입하면 쉽게 해결되었다.
다만, 액체이동관(400)의 단면이 3㎟ 내지 10㎟ 이하일 때에는 액체이동관(400)을 통하여 치료액의 역류를 허용하였으나, 간혹 창자 내 내용물로 인하여 액체이동관(400)의 단면이 폐쇄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액체이동관(400)에 흡입기(예를 들면 주사기)를 이용하여 흡입력을 인가하니 액체이동관(400)의 통로가 다시 개통되었다.
액체이동관(400)의 단면이 17㎟ 이상이면 창자가 연동 운동을 수행하면 치료액 또는 치료액과 창자 내 내용물이 혼합된 혼합액이 역류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복수의 실험을 수행하여 본 결과 액체이동관(400)의 단면이 3㎟ 이상 내지 23㎟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환자가 복통을 느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료액 또는 치료액과 창자 내 내용물이 혼합된 혼합액의 역류를 허가하였으며, 창자 내 내용물에 의하여 액체이동관(400)이 폐쇄되더라도 용이하게 통로가 개통될 수 있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창자의 연동 운동을 고려하여 자연스러운 치료액의 역류를 위하여 액체이동관(400)의 단면은 5㎟ 이상 내지 20㎟이하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이동관(400)의 존재로 인하여, 창자의 연동 운동에 의하여 창자 내 내압이 증가되면 액체이동관(400)으로 세척액의 역류가 되고, 창자 내 내압이 감소되면 다시 창자 내로 세척액이 이동되도록 하여, 기존 환자에게 주입되던 치료액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환자 자신이나 보조인력의 도움이나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역류, 감압 및 액체의 재주입이 이루어 진다.
액체의 이동이 항시 일어나므로 창자 내 내용물과 세척액(치료액)이 잘 섞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치료시간이 감소되며 치료기간중 바디부나 지지부가 압력에 의해 밀릴 일이 크게 발생 하지 않기에 장관벽의 점막손상의 감소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8)

  1. 창자에 배설물을 우회 배출하도록 하는 변 우회 보조 장치에 있어서,
    항문으로 삽입되어 창자의 내측에 위치되는 메인바디부;
    상기 메인바디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호 8mm 이상 내지 25mm 이하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공기 또는 액체가 주입되면 팽창되어 상기 창자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메인바디부가 상기 직장에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지지부;
    상기 메인바디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 또는 액체가 주입되면 팽창되어 상기 메인바디부의 내측의 공간을 폐쇄하는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가 팽창되어도 폐쇄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바디부 내측에 설치되어 항문 외부에서 주입되는 치료액이 창자에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액체이동관
    을 포함하는 변 우회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의 베이스의 크기는 4mm 이상 내지 15mm 이하이며,
    상기 메인바디부의 외경의 크기는 10mm 이상 내지 30mm 이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 우회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식 1
    0<[S-(D+2H)+1.5T]<[5+1.5T]
    (S : 장관의 내경, H : 지지부 하나의 높이, D : 메인바디부의 외경, T : 창자의 두께)
    를 만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 우회 보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연통되는 바이패스부가 형성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동시에 팽창되도록 하는 공기이동관
    을 포함하는 변 우회 보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이동관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치료액이 상기 창자의 내부로 주입되고, 상기 창자의 연동 운동에 의하여 상기 창자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치료액과 혼합된 창자에 배설물이 일부 이동될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을 허여하여 상기 창자 내부의 압력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 우회 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이동관의 단면의 크기는 3㎟ 이상 내지 23㎟ 이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 우회 보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 우회 보조 장치는
    항문에 상기 메인바디부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정된 긴봉의 형태로 내부에 상기 메인바디부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측은 라운드하게 형성되되 일중심을 기준으로 절개부가 대칭되게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 우회 보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 우회 보조 장치는
    상기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된 메인바디부의 분리를 위하여 긴봉의 형태로 상기 메인바디부의 하측과 맞닿으며 상기 메인바디부를 상측으로 밀어 상기 메인바디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커버의 상측의 크기를 크게 변형되도록 하여 상기 메인바디부가 창자 내로 진입할 수 있게 하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변 우회 보조 장치.
PCT/KR2021/003063 2020-03-25 2021-03-12 변 우회 보조 장치 WO20211941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13,622 US20230173164A1 (en) 2020-03-25 2021-03-12 Auxiliary apparatus for fecal bypass
JP2022555136A JP7449602B2 (ja) 2020-03-25 2021-03-12 便迂回補助装置
EP21776464.6A EP4129250A4 (en) 2020-03-25 2021-03-12 ASSISTANCE DEVICE FOR FAECAL BYPASS
CN202180018388.6A CN115605167A (zh) 2020-03-25 2021-03-12 便迂回辅助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293A KR102387339B1 (ko) 2020-03-25 2020-03-25 변 우회 보조 장치
KR10-2020-0036293 2020-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4139A1 true WO2021194139A1 (ko) 2021-09-30

Family

ID=7789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3063 WO2021194139A1 (ko) 2020-03-25 2021-03-12 변 우회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73164A1 (ko)
EP (1) EP4129250A4 (ko)
JP (1) JP7449602B2 (ko)
KR (1) KR102387339B1 (ko)
CN (1) CN115605167A (ko)
WO (1) WO202119413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506A (ko) * 2000-10-10 2002-04-17 김재황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 관리기
KR20080021184A (ko) * 2006-08-28 2008-03-07 김재황 장관리장치 및 그에서의 작동제어방법
KR20140022270A (ko) * 2012-08-14 2014-02-24 정으뜸어진 인체 내장형 인공 배변장치
KR101773520B1 (ko) * 2016-03-15 2017-08-31 주식회사 엔도비전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KR20180033983A (ko) * 2016-09-27 2018-04-04 주식회사 엔도비전 인공 장관 관리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7705B2 (ja) * 2002-04-09 2009-10-21 ファン キム,ジェ 腸管手術患者の便迂回のための医療用腸管管理器
US8016816B2 (en) * 2003-09-09 2011-09-13 Convatec Technologies Inc. Fecal management applian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same
US7914552B2 (en) * 2006-11-09 2011-03-29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 of performing an end-to-end anastomosis using a stent and an adhesive
WO2012081005A1 (en) 2010-12-15 2012-06-21 Cologuard Ltd Systems and method for bypassing an anastomosis site
EP3632345A4 (en) * 2017-05-24 2021-01-20 JSR Medical Co., Ltd. DEVICE FOR FIXING AN INSTRUMENT IN THE INTESTINAL CA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506A (ko) * 2000-10-10 2002-04-17 김재황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 관리기
KR20080021184A (ko) * 2006-08-28 2008-03-07 김재황 장관리장치 및 그에서의 작동제어방법
KR20140022270A (ko) * 2012-08-14 2014-02-24 정으뜸어진 인체 내장형 인공 배변장치
KR101773520B1 (ko) * 2016-03-15 2017-08-31 주식회사 엔도비전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KR20180033983A (ko) * 2016-09-27 2018-04-04 주식회사 엔도비전 인공 장관 관리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129250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9250A4 (en) 2024-04-10
JP7449602B2 (ja) 2024-03-14
JP2023517359A (ja) 2023-04-25
US20230173164A1 (en) 2023-06-08
KR20210119752A (ko) 2021-10-06
KR102387339B1 (ko) 2022-04-18
CN115605167A (zh) 2023-01-13
EP4129250A1 (en)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8669B2 (en) Indwelling fecal diverting device
Wesley et al. Intestinal vaginoplasty for congenital absence of the vagina
Tancer The post-total hysterectomy (vault) vesicovaginal fistula
WO2021194139A1 (ko) 변 우회 보조 장치
WO2012105744A1 (ko)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카테터 가이드 및 이들을 구비하는 자궁외임신 치료 카테터 유니트
Romano et al. Effect of service on duration of oestrus and ovulation in dairy goats
Weintraub Transurethral drainage of the seminal tract for obstruction, infection and infertility
FALK et al. Nonsurgical closure of vesicovaginal fistulas
Kulshrestha et al. Management of congenital and aquired H-type anorectal fistulae in girls by anterior sagittal anorectovaginoplasty
Knoll et al. Management of Peyronie disease byimplantation of inflatable penile prosthesis
Singh et al. Surgical correction of atresia ani et recti along with pervious urachus in sahiwal cow calves
Kqyanagi et al. Radical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Forneurogenic Dysfunction of the Bladder in Male Paraplegics
WO2016144125A2 (ko) 용규 추출물의 신규 용도
McLaughlin et al. Successful urologic management of inadvertent rectal injuries
Lakshmikantan et al. Surgical management of perineal laceration in a cow affected with cervico vaginal prolapse
WO2023229225A1 (ko)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과 요도스텐트용 밀대
Garg et al. The perineal urethrotomy approach to posterior urethral valves
Schmidt Congenital urethral duplication
Shoyombo et al. Incidenc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tresia Ani at Landmark University
Chadha et al. Congenital H-type urethroanal fistula
Koizumi et al. A case of preputial cystostomy performed on an African pygmy hedgehog (Atelerix albiventris) with urethral obstruction
WO2021145529A1 (ko)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McCue et al. Prostaglandin E
Ye et al. Treatment of pediatric H-type rectovestibular fistula with tension-free repair of rectal seromuscular layer
Sarkar et al. Agenesis of posterior urethra in a male child and its operative re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764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5513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764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