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983A - 인공 장관 관리기 - Google Patents

인공 장관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983A
KR20180033983A KR1020160123891A KR20160123891A KR20180033983A KR 20180033983 A KR20180033983 A KR 20180033983A KR 1020160123891 A KR1020160123891 A KR 1020160123891A KR 20160123891 A KR20160123891 A KR 20160123891A KR 20180033983 A KR20180033983 A KR 20180033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rtificial
intestinal
intestin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8685B1 (ko
Inventor
정민호
김재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도비전
김재황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도비전, 김재황,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도비전
Priority to KR102016012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6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3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93Rectal devices, e.g. for the treatment of haemorrh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04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 A61F2/0009Closure means for urethra or rectum, i.e. anti-incontinence devices or support slings against pelvic prolapse placed in or outside the body opening close to the surfac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5/448Means for attaching bag to seal 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 우회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의료용 인공 장관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부에 실링부가 포함되고, 외측부에는 고정지지체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와 연결되어 변 우회 통로를 제공하는 장관부튜브와, 상기 실링부의 개폐를 위한 실링부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대장 혹은 직장절제수술 후 대장이나 장관(대장, 직장 등)의 문합 부위에 변의 누수발생을 방지하고, 변을 우회하여 배출되게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측부에 고정지지체를 구비하여 장관에 고정시키고, 내측부에 실링부를 구비하여 변의 배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 배출시 문합 부위와 변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문합을 보호하고, 실링부 및 고정지지체의 해제에 의해 장관으로부터 제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공 장관 관리기{Fecal diverting device}
본 발명은 변 우회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의료용 인공 장관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장 혹은 직장절제수술 후 대장이나 장관(대장, 직장 등)의 문합 부위에 변의 누수발생을 방지하고, 변을 우회하여 배출되게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이며 대부분 대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다. 선암 이외에도 드물게 편평상피암, 악성 림프종, 악성육종, 악성칼시노이드 종양 등이 발견되며, 때로는 주위 장기의 암이 대장을 침습하거나 다른 부위에 생긴 암이 대장으로 전이되어 오기도 한다. 선암의 대부분은 선종인 양성 종양(폴립, 용종)이 진행되어 발생한다.
이러한 대장암은 변병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행, 하행 결장암과 직장암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행결장암에 비해서는 하행결장암이, 하행결장암에 비해서는 직장암의 발병율이 높다. 이는 췌장효소의 영향으로 아래로 갈수록 덜 받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장 수술은 발병부위 상하단부를 절개하고 정상부위를 연결, 봉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수술 후 문합 부위에서 발생하는 누수(leakage)를 원인으로 한 수술부위 감염 등의 합병증으로 재입원환자의 경우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대장 수술 후 누수 발생 빈도는 약 8%로 매우 높은 수치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수술 후 회복기를 거쳐 정상적인 배변활동이 가능한 결장암 환자들과는 달리 가장 발병율이 높은 직장암의 경우 인접한 항문까지 제거를 하기 때문에 수술 후 회복을 하더라도 정상적인 배변활동이 불가능하게 되며 인공항문, 즉 장루를 복부 외벽에 고정하고 배변용 가방을 연결하여 인위적으로 배변통로를 확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복부 하단에 돌출시켜 위치한 인공항문의 경우 대장의 연동운동으로 인한 배변활동이 불가능하여 상시적으로 변이 누출되기 때문 배변용 가방을 항시 착용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활동성의 제한, 누수된 변으로 인한 악취가 문제가 될수 있다.
이러한 인공항문의 관리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방법이며 무엇보다도 누수된 변으로 인한 악취, 주위사람들의 편견, 활동성의 제한, 일반의복 착용시 불편함 등의 원인으로 상당수의 환자가 극심한 정신적인 고통을 받고 있어,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러한 인공항문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세계적으로 무수히 많은 연구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실적인 대안이 제안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75584호.
본 발명은 대장 혹은 직장절제수술 후 대장이나 장관(대장, 직장 등)의 문합 부위에 변의 누수발생을 방지하고, 변을 우회하여 배출되게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부에 실링부가 포함되고, 외측부에는 고정지지체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와 연결되어 변 우회 통로를 제공하는 장관부튜브와, 상기 실링부의 개폐를 위한 실링부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체는, 상기 바디 외측부에 장관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도록, 돌기 형태로 형성되거나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지지체가 튜브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고정지지체의 개폐를 위한 고정부밸브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밸브 및 고정부밸브는, 체크밸브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부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관부튜브는, 비닐, 실리콘 및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누수방지코팅된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수방지코팅된 원단을 사용하는 장관부튜브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A66(폴리아마이드 66) 및 테프론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사용하며, 상기 누수방지코팅은, 상기 원단에 무용제타입 액상형 실리콘 수지 또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수지코팅하거나, 상기 원단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접착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수지코팅은, 닥터나이프(doctor knife) 또는 딥코팅(dip coating) 공정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공 장관 관리기에는, 상기 장관부튜브와 연결되어 인체 내 약물 또는 물 삽입을 위한 삽입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인공 장관 관리기는, 상기 인공 장관 관리기가 내부에 포함되는 커버와, 상기 인공 장관 관리기의 튜브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인공 장관 관리기를 장관 내로 푸쉬하는 푸셔에 의해 장관 내 삽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는, 선단부에 절단선이 구비되어 상기 인공 장관 관리기가 상기 선단부를 통해 빠져나오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대장 혹은 직장절제수술 후 대장이나 장관(대장, 직장 등)의 문합 부위에 변의 누수발생을 방지하고, 변을 우회하여 배출되게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측부에 고정지지체를 구비하여 장관에 고정시키고, 내측부에 실링부를 구비하여 변의 배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 배출시 문합 부위와 변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문합을 보호하고, 실링부 및 고정지지체의 해제에 의해 장관으로부터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부 및 고정지지체가 튜브 형태로 형성된 경우, 이의 개폐를 위한 개폐 밸브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장치의 사용이 편리하며,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관부튜브는 변의 누수방지를 위한 재질로 형성되게 되며, 특히 생체적합성이고 내구성, 악취 개선 성능이 뛰어나면서, 내부는 마찰계수가 낮으며 방수성이 우수한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환자의 자존감을 높여주면서 편리함을 도모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정상 대장과 연결 가능한 내구성 및 항균, 항취, 내화학성이 우수한 직조 타입의 원단을 장관부튜브로 사용함으로써, 직장암 환자의 수술 후 복부가 아닌 항문위치에서 정상인과 유사한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제안함으로써 대장암 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와 푸셔를 이용함으로써 문합 부위의 스탬플러에 의한 장관부튜브의 손상을 방지하고 장관 관리기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안전하면서도 신속한 수술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장관 관리기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장관 관리기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장관 관리기의 커버 및 푸셔에 대한 사시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및 푸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
도 5 -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장관 관리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
본 발명은 변 우회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의료용 인공 장관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장 혹은 직장절제수술 후 대장이나 장관(대장, 직장 등)의 문합 부위에 변의 누수발생을 방지하고, 변을 우회하여 배출되게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측부에 고정지지체를 구비하여 장관에 고정시키고, 내측부에 실링부를 구비하여 변의 배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 배출시 문합 부위와 변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실링부 및 고정지지체의 해제에 의해 장관으로부터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실링부 및 고정지지체가 튜브 형태로 형성된 경우, 이의 개폐를 위한 개폐밸브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장치의 사용이 편리하며,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관부튜브는 변의 누수방지를 위한 재질로 형성되게 되며, 특히 생체친화적이고 내구성, 악취 개선 성능이 뛰어나면서, 내부는 마찰계수가 낮으며 방수성이 우수한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에 더욱 편리함을 도모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와 푸셔를 이용함으로써 문합 부위의 스탬플러에 의한 장관부튜브의 손상을 방지하고 장관 관리기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안전하면서도 신속한 수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장관 관리기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장관 관리기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장관 관리기의 커버(a) 및 푸셔(b)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및 푸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장관 관리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장관 관리기는, 내측부에 실링부(110)가 포함되고, 외측부에는 고정지지체(120)가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와 연결되어 변 우회 통로를 제공하는 장관부튜브(200)와 상기 실링부(110)의 개폐를 위한 실링부밸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100)는 장관 내로 먼저 삽입되는 부분으로써, 내측부에는 실링부(110)가 포함되고, 외측부에는 고정지지체(120)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100)는 변의 우회 통로를 제공하고, 특히 문합 부위에서의 변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바디(100)는 문합 부위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시술하여 문합 부위를 보호하도록 한다.
상기 실링부(110)는 괄약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으로서, 복수개로 구비되어, 변의 배출 여부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실링부(110)는, 변의 배출시에는 수축되도록 하여 변이 바디(100) 및 장관부튜브(20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변이 배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실링부(110)를 팽창시켜 바디(100)를 막아 장관부튜브(200) 내로 변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장관부튜브(200)는 상기 바디(100)와 연결되어 변의 우회 통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110)의 개폐를 위한 실링부밸브(300)가 구비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실링부(110)의 개페조절이 가능하여 변의 배출 여부를 사용자가 자의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편의성을 개선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체(120)는 상기 바디(100) 외측부에 장관 고정을 위한 고정부(121)가 구비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돌기 형태로 형성되거나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지지체(120)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장관 관리기를 장관 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장관 내에 인공 장관 관리기를 시술하고, 장관 외측에서 상기 고정부(121)를 통해 장관과 함께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121)와 장관의 고정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생분해성 메쉬 소재가 사용되게 되며, 완치 후 인공 장관 관리기의 제거를 위한 개복수술이 필요없게 된다.
이러한 생분해성 메쉬 소재는 장관과의 유착으로 인하 괴사가 일어나거나 직물의 신축성으로 인한 장의 절단이 없어야 하고, 장관 튜브를 고정하고 있을 때 풀리지 않아야 하며(인장강도), 대장의 연동운동으로 변형이 없어야 하고(인장변형율), 대장 외벽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 마찰을 최소화하며(마모강도), 인체 세포 증식 속도와 유사한 분해 속도(생분해도)를 가지는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즉, 소재 자체의 비면역성 및 무독성, 사용 용도에 적합한 분해 속도, 분해 산물의 무독성 및 대사, 배설 가능성, 용도에 따라서 적절한 소재를 선택하며, 일반적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메쉬 소재의 반감기는 20~40일 내외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예컨대, PGA(Polyglycolic acid), PLGA(Poly lactic-co-glycolic acid), PDP(Polydioxanone) 등을 사용하며, 각 고분자의 종류와 봉합사의 형태와 강도, 유지기간이 서로 다르며 일반적인 조건에서의 체내 강도 유지기간은 다음과 같다.
PGA는 체내 강도 유지기간은 약 2주, PLGA는 약 4주, PDO는 약 6주 정도 였으며, 시술 기간 등으로 고려할 때 PLGA와 PDO의 사용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지지체(120)의 고정부(121)를 통해 생분해성 메쉬 소재를 이용하여 인공 장관 관리기를 장관 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지지체(120)가 튜브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고정지지체(120)의 개폐를 위한 고정부밸브(400)가 더 구비된다.
즉, 필요에 의해 상기 바디(100)부 외측부에 복수개의 튜브 형태의 고정지지체(1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장관 내 삽입시에는 상기 고정지지체(120)의 바람을 빼서 인공 장관 관리기의 설치가 원활하도록 하고, 장관 내 시술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고정지지치에 바람을 넣어 고정부(121)를 생성하여, 상기의 생분해성 메쉬 소재를 상기 고정부(121)에서 장관과 함께 묶어서, 장관 내에 인공 장관 관리기가 소정 위치에서 고정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밸브(400) 또한 인체의 외부에 구현되어 상기 고정지지체(12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시술자가 외부에서 상기 고정부밸브(400)의 개폐를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인공장관 관리기는 상기 인공장관 관리기가 내부에 포함되는 커버(600)와, 상기 인공장관 관리기의 튜브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인공장관 관리기를 장관 내로 푸쉬하는 푸셔(700)에 의해 장관 내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커버(600)는, 선단부에 절단선(610)이 구비되어 상기 인공장관 관리기가 상기 선단부를 통해 빠져나오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장관 문합을 보통 PPH라는 기구로 하는데, 이는 수많은 작은 스탬플러로 장을 문합하는 기기로, 이 작은 스탬플러로 인하여 장관관리기 삽입시 외부 고정부(121) 튜브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되게 되므로, 이에 대한 튜브 파손 방지와 장관 관리기의 원활한 삽입을 도모한 것이다.
상기 커버(600)는 선단부에 절단선(610)이 구비되어 상기 인공 장관 관리기가 상기 선단부를 통해 빠져나오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600) 및 푸셔(7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관기 내부 실링부(110)를 팽창시키고 푸셔(700)를 안으로 넣어서 벌룬과 밀착시키고, 장관기를 커버(600) 안에 넣고 커버(600) 외부에 윤활제를 바르고 푸셔(700)로 밀어서 장관기를 삽입한다.
커버(600)와 장관기가 문합부를 지나면 커버(600)를 고정하고 푸셔(700)를 밀면 커버(600) 선단부에 형성된 절단선(610)이 열리면서 장관기가 커버(600) 밖으로 나가게 되며, 커버(600) 제거 위치는 장관기 고정 위치 또는 문합부 통과 위치로 시술자의 성향에 따라서 고정시킨다. 장관기 외부에서의 메쉬로 장관기를 고정시킨 후, 푸셔(700)와 커버(600)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공장관 관리기에는,상기 장관부튜브(200)와 연결되어 인체 내 약물 또는 물 삽입을 위한 삽입밸브(5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부밸브(300) 및 고정부밸브(400)와 함께 장관기 외측으로 형성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다. 이 또한 체크 밸브 형태로 형성되어 그 개폐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장관부튜브(200)는 상기 바디(100)와 연결되어 변의 우회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소정 길이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장관 내 삽입되게 된다.
이러한 장관부튜브(200)는 기본적으로 인체 적합성 생분해성 소재를 선정하여 사용하게 되며, 내구성, 항균, 항취, 내화학성이 보완될 수 있도록 하여, 인공 항문을 사용하는 환자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다.
상기 장관부튜브(200)는 비닐, 실리콘 및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용하거나, 누수방지코팅된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본적으로 변의 누수를 방지하고 변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를 사용하며, 내구성 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한다.
특히, 내구성 및 항균성 향상을 위해 누수방지코팅된 원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체적합성 소재를 사용하며, 그 예로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A66(폴리아마이드 66) 및 테프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ET의 경우 2가 알코올과 테레프탈산의 Ester를 적어도 85%이상 함유하는 합성고분자로 세계 각국의 섬유 기업 대부분이 제조하고 있으며 0.1dtex의 마이크로파이바에서 모노필라멘트까지, 의류용으로부터 산업용까지 거의 모든 용도를 커버하고 있는 섬유이며 원료가 싸고 고분자 특성이 범용성을 가지며 의류, 비의류 분야로서의 광범위한 소재 전개가 가능한 섬유이다.
또한, 분자쇄가 평면적인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결정성이 높고 강한 결정을 이룸으로서 강도가 크고 신도는 낮으며 유기용매에 잘 견디는 특성을 가지고, 분자쇄의 좌우 대칭성이 좋은 방향환을 가지고 있어 내열성이 우수하며 이에 따른 형태 안정성도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특히 현재 의료용으로 인조혈관, 수술용 봉합사 및 인공인대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PA66(폴리아마이드 66)의 경우 섬유분자의 구조단위가 아미드(CONH)결합에 의해 연결된 합성 고분자로 PET만큼 의류용, 산업용등의 광법위한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임. 부피가 큰 측쇄를 가지지 않고 수소결합이 발달하여, 분자쇄가 치밀하게 인접할 수 있어 결정이 발달한 고분자로 연신 과정을 거쳐 섬유의 배향과 결정이 더욱 발달하여 높은 결정화도를 이룰 수 있음. 강도와 신도는 모두 커서 매우 강인한 섬유이며, 마모강도가 우수하고 결합기에 의한 내열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특히 현재 의료용으로 혈액정화용 고분자 및 인공피부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테프론으로 널리 알려진 PTFE(polytetrafluoroethylene)는 요리용 후라이팬에 코팅하여 음식물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인간의 몸속에 들어가도 혈액을 응고시키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인조 신체를 만드는데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열에 대하여 대단히 안정적인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독이 매우 간편한 재료이며, 뛰어난 소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공혈관용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흔히 고어텍스라고 불리는 다공성 PTFE막은 조직분리 차단막으로서 조직재생유도 막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여 직물 또는 편물 형태로 제작된 원단에 누수방지코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누수방지코팅은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를 이용한 원단에 무용제타입 액상형 실리콘 코팅 수지 또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수지코팅하거나, 상기 원단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접착필름을 라미네이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무용제타입 액상형 실리콘 수지의 경우, 주제(base resin) 및 경화제(curing agent)로 총 2액형으로 구성이 되며, 주제와 경화제를 10:1 비율로 혼합하여 임펠러가 장착된 소형교반기에서 약 15분간 충분히 교반하여 실리콘 코팅수지를 제조한다.
그리고,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의 경우, 고형분 50% 이상의 하이브리드계 수분산 폴리우레탄 레진을 사용하였으며, 코팅 수지액을 제조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능성 첨가제를 특정비율로 첨가하여 컴파운딩 하였다. 예컨대 Base resin에 기능성 첨가제로서 레올로지 조절제(3.0wt%), 가교제(3.0wt%), anti-blocking제(1.0wt%)를 각각 투입한 후, 20분간 교반하여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라미네이팅을 위한 접착필름 소재의 경우, 원단과의 충분한 접착성과 내구성 및 barrier성능을 보유하여야 하므로, 이에 상응한 특성을 보유한 약 100um 두께를 가지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다층접착 필름을 라미네이팅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코팅은, 닥터나이프(doctor knife) 또는 딥코팅(dip coating) 공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액상형 코팅수지를 닥터나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원단 표면에 도포하여 열 경화를 하는 닥터나이프 공법과 원단에 코팅수지를 함침시키는 딥코팅법에 의해 수지코팅하거나, 필름소재를 열접착시키는 라미네이팅 공법에 의해 수지를 코팅하게 된다.
상기 액상형 실리콘 수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친환경성 및 우수한 내구성으로 원단의 코팅재료에 매우 적합한 소재라고 판단되며 실리콘 수지를 이용한 닥터나이프 공법의 경우, 작업성이나 생산속도 측면에서 유리하며, 원단 자체의 유연성을 어느 정도 유지해 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딥코팅법은 코팅수지가 담긴 bath에 원단을 일정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균일한 코팅수지의 픽업을 위해 수차례 squeezing 시켜 건조 및 경화를 시키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함침용 코팅소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원단내부로의 균일한 침투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어느 정도 이하의 점도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데, 대표적인 코팅 소재로서, water borne 타입의 에멀젼 코팅소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폴리우레탄과 실리콘은 피막형성과 기능성 측면에서 textile 코팅 소재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딥코팅법은 그 원리가 매우 단순하며 생산속도나 효율성 면에서 닥터나이프나 롤 코팅 대비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접착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경우, 접착특성을 보유한 박막 필름을 원단 표면에 적층시켜 표면을 cover하는 개념의 공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특수 의류나 내구성을 요구하는 산업용 직물 제조 시, 고무코팅을 대체하는 기술로 많이 알려져 있다.
특히, 무독성의 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인체에 유해한 솔벤트의 사용이 제한되어야 하며 따라서, 솔벤트형 접착제를 적용하는 대신, 필름 제조 공정 상에서 용융온도가 서로 다른 두 폴리머를 각각 adhesive layer와 cover layer로 구성시킨 접착필름을 미리 제조하고, 이 후 원단과의 합포공정에서 heating roller에 의한 강한 압착으로 라미네이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변 우회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의료용 인공 장관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장 혹은 직장절제수술 후 대장이나 장관(대장, 직장 등)의 문합 부위에 변의 누수발생을 방지하고, 변을 우회하여 배출되게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측부에 고정지지체를 구비하여 장관에 고정시키고, 내측부에 실링부를 구비하여 변의 배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 배출시 문합 부위와 변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실링부 및 고정지지체의 해제에 의해 장관으로부터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실링부 및 고정지지체가 튜브 형태로 형성된 경우, 이의 개폐를 위한 개폐 밸브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장치의 사용이 편리하며,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관부튜브는 변의 누수방지를 위한 재질로 형성되게 되며, 특히 생체친화적이고 내구성, 악취 개선 성능이 뛰어나면서, 내부는 마찰계수가 낮으며 방수성이 우수한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에 더욱 편리함을 도모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와 푸셔를 이용함으로써 문합 부위의 스탬플러에 의한 장관부튜브의 손상을 방지하고 장관 관리기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안전하면서도 신속한 수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100 : 바디 110 : 실링부
120 : 고정지지체 121 : 고정부
200 : 장관부튜브 300 : 실링부밸브
400 : 고정부밸브 500 : 삽입밸브
600 : 커버 610 : 절단선
700 : 푸셔

Claims (12)

  1. 내측부에 실링부가 포함되고, 외측부에는 고정지지체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와 연결되어 변 우회 통로를 제공하는 장관부튜브;
    상기 실링부의 개폐를 위한 실링부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체는,
    상기 바디 외측부에 장관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도록,
    돌기 형태로 형성되거나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체가 튜브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고정지지체의 개폐를 위한 고정부밸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밸브 및 고정부밸브는,
    체크밸브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관부튜브는,
    비닐, 실리콘 및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누수방지코팅된 원단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
  7. 제 6항에 있어서, 누수방지코팅된 원단을 사용하는 장관부튜브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A66(폴리아마이드 66) 및 테프론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코팅은,
    상기 원단에 무용제타입 액상형 실리콘 수지 또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수지코팅하거나,
    상기 원단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접착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코팅은,
    닥터나이프(doctor knife) 또는 딥코팅(dip coating) 공정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장관 관리기에는,
    상기 장관부 튜브와 연결되어 인체 내 약물 또는 물 삽입을 위한 삽입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장관 관리기는,
    상기 인공 장관 관리기가 내부에 포함되는 커버와, 상기 인공 장관 관리기의 튜브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인공 장관 관리기를 장관 내로 푸쉬하는 푸셔에 의해 장관 내 삽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선단부에 절단선이 구비되어 상기 인공 장관 관리기가 상기 선단부를 통해 빠져나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관 관리기.
KR1020160123891A 2016-09-27 2016-09-27 인공 장관 관리기 KR101918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891A KR101918685B1 (ko) 2016-09-27 2016-09-27 인공 장관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891A KR101918685B1 (ko) 2016-09-27 2016-09-27 인공 장관 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983A true KR20180033983A (ko) 2018-04-04
KR101918685B1 KR101918685B1 (ko) 2018-11-14

Family

ID=6197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891A KR101918685B1 (ko) 2016-09-27 2016-09-27 인공 장관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6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139A1 (ko)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변 우회 보조 장치
US11369383B2 (en) 2018-08-06 2022-06-28 Jsr Medical Co., Ltd. Band tightening apparatus for binding intest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6816B2 (en) 2003-09-09 2011-09-13 Convatec Technologies Inc. Fecal management applian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same
FR2941858B1 (fr) * 2009-02-10 2011-03-11 Charam Khosrvaninejad Dispositif chirurgical apte a realiser la protection temporaire d'une anastomose
KR101649351B1 (ko) 2016-04-12 2016-08-18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인공장관 고정을 위한 생분해성 메쉬 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9383B2 (en) 2018-08-06 2022-06-28 Jsr Medical Co., Ltd. Band tightening apparatus for binding intestine
WO2021194139A1 (ko)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변 우회 보조 장치
KR20210119752A (ko) * 2020-03-25 2021-10-06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변 우회 보조 장치
EP4129250A4 (en) * 2020-03-25 2024-04-10 Jsr Medical Co Ltd ASSISTANCE DEVICE FOR FAECAL BYPA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685B1 (ko)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0168A (en) Prosthetic vascular graft
US5965276A (en) Method of forming a membrane especially a latex or polymer membrane including multiple discrete layers
EP1791496B1 (en) Self-sealing ptfe graft with kink resistance
JP6823875B2 (ja) 組織空洞内にシースを係留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EP2314328A2 (en) Reactive surgical implant
KR101918685B1 (ko) 인공 장관 관리기
EP2347723B1 (en) Devices for anastomosis
JP2016519222A (ja) コア−シース繊維ならびにそれ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
WO2012149606A1 (en) Artificial bowel model
JP2015529117A (ja) 陰圧治療装置および陰圧治療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フィルム
US20010018095A1 (en) Method of forming a membrant, especially a latex or polymer membrane, including multiple discrete layers
EP1399200A1 (en) COMPOSITE ePTFE/TEXTILE PROSTHESIS
CN113038976A (zh) 医疗管状装置
CN101939365A (zh) 用于医疗物品的经熔融加工的材料
US11986380B2 (en) Bending-resistant nerve catheter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PL101805B1 (pl) A process of producing polymers from unsymmetrically substituted derivatives of 1,4-dioxane-2,5-diones
WO1999020203A2 (en) Method of forming a membrane, especially a latex or polymer membrane, including multiple discrete layers
KR102298177B1 (ko) 생체적합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276379A1 (en) Tissue cuff
JP2004321785A (ja) 医療用パ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97948A (ja) 人工補綴物
CN219896547U (zh) 一种抗炎症防结石的脱细胞基质复合膜
CN102202701A (zh) 用以减少疤痕组织的嵌段聚合物膜
KR20180024140A (ko) 인공장관 및 그것을 위한 원단
WO2015140251A1 (en) Drainage tube for urine in silicone with carbon coating for supporting an absorbable device for tissue reconstruction of urethral seg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