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506A -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 관리기 - Google Patents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506A
KR20020028506A KR1020000059537A KR20000059537A KR20020028506A KR 20020028506 A KR20020028506 A KR 20020028506A KR 1020000059537 A KR1020000059537 A KR 1020000059537A KR 20000059537 A KR20000059537 A KR 20000059537A KR 20020028506 A KR20020028506 A KR 20020028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testinal
manager
balloon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5584B1 (ko
Inventor
김재황
Original Assignee
김재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황 filed Critical 김재황
Priority to KR10-2000-005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584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장 혹은 직장절제수술후 대장이나 장관(대장,직장등)의 문합부위에 누출발생가능성이 의심되는 경우 환자의 장관문합부위 윗쪽에 설치하여 변배출시 문합부위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튜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함과 동시에 장치와 분리가 신속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즉 길게 구성된 튜브 상단 외측에 공기에 의해 팽축하는 상하고정용 발룬을 구성하고 내면에는 튜브개폐용 발룬을 팽축가능케 하여 장관관리기를 구성하고, 상기 장관관리기를 장관 내에 끼워 설치한 다음 상하고정용 발룬에 공기를 주입 팽창되게 하여 그 사이에 걸림부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걸림부를 이용하여 고정용 밴드로 장관내에 고정설치,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 관리기{Fecal diverting device}
본 발명은 장관(직장, 대장등) 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직장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장 혹은 직장절제수술후 대장이나 직장의 문합부위에 누출발생 가능성이 의심되는 경우 장관의 문합부위 상부에 설치하여 변이 문합부위와 접촉하지 않고 배출되게 함으로써 문합부위가 보호되게 함과 동시에 안전성이 우수하고 장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시술자가 원하는 기간만큼 자유로이 장치 및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장 혹은 직장 절제수술후 대장이나 직장의 문합부위에 누출발생가능성이 의심되는 경우에 예방목적으로 변을 우회시키기 위해 복부인공항문을 조성한다.
이러한 경우 상태가 좋지 않은 노약자나 수술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의 경우에 해당하고 선진국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왜냐하면 문합부 누출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법적 문제를 원치 않기 때문이다.
이를 피하기 위한 대책은 일시적(일과성) 복부인공항문조성술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복부인공항문을 시술할 경우에는 대개 복원시까지 최소한 2∼3개월이 걸리며 약30∼60%정도에서 복원하지 못하고 평생을 살고 있다.
이유는 인공항문복원시에도 다시 수술을 하여야 하나 노약자의 경우 다시 수술할 수 있을 정도의 체력적 상태가 허락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최근에 다른 방법의 변배출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즉 얇은 탄력성 방수소재로 만든 튜브를 문합부위의 상부 약5∼10cm정도의 위치에 실로 장내벽과 봉합하므로서 배출되는 변이 장관의 문합부위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배변되게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배변장치(Colon Shield : 콜론 실드)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하는 현실이다.
즉 비닐튜브를 장 내벽에 봉합하는 작업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장내벽에 봉합한 얇은 튜브가 항상 완전하게 봉합된 상태로 있을 가능성이 희박하므로서 사용시 안정성이 매우 의심되기 때문이다.
상기 배변장치에 사용된 얇은 튜브는 대개 5∼10일 사이에 자연탈락되므로 제거는 쉬우나 원하는 시간만큼 배변을 우회시키기 위한 기대하기가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대장이나 직장의 절제수술을 한 환자의 변배출시 변이 문합부위에 직접 접하지 않고 배변되게 함과 동시에 안정성과 장착성이 우수하며, 배변장치를 시술자가 원하는 기간만큼 자유로이 장치,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배출장치를 구성한 다음 상기 변배출장치를 대장이나 직장의 절제수술을 한 환자의 장관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인체에 무해하면서 굴곡이 자유로운 소재를 이용항 튜브를 구성하되 튜브상단 관체부 외측에 고정용 발룬을 상하 이중구성하여 그 사이에 걸림부가 구성되게 하고, 튜브의 상단 관체부 내면에는 관체개폐용 발룬을 구성한다.
상기 고정용 발룬과 개폐용 발룬은 통상의 공기주입관을 통하여 개폐가능케 구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 내에는 다수의 주입관이 연결구성되어 있어 상기 주입관을 통하여 관장액이나 문합부위를 소독하기 위한 항생제 용액을 투입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배변장치를 환자의 장관내에 끼워 튜브 상단에 구성된 고정용 발룬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되게 한 다음 장관의 외측에서 고정용 밴드를 이용, 결속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며, 변 억제시에는 튜브개폐용 발룬에 공기를 주입팽창되게 하여 사용하며, 변배출시에는 튜브개폐용 발룬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시켜 튜브상단에 구성된 관체부가 개방되게 하므로서 변이 장관의 문합부위와 접촉하지 않고 튜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장관관리기의 개략단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 장관관리기의 확대단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의 장관관리기가 장관내에 결합된 상태도
도 4 : 도 3의 상태에서 튜브개폐용 발룬을 팽창시킨 상태도
도 5 : 본 발명의 장관관리기가 적용된 상태의 예시도
도 6 : 도 5의 상태에서 튜브개폐용 발룬을 팽창시킨 상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장관관리기(4)--튜브
(6)--관체부(8)(10)--고정용 발룬
(12)--걸림부(14)--튜브개폐용 발룬
(16)(18)--공기주입관(20)(22)--주입관
(24)--입구(26)--대장
(28)--직장(30)--문합부
(32)--고정용 밴드(34)--항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관리기(2)의 구성도로서, 인체에 무해하면서 부드럽고 굴곡이 자유로운 소재를 이용하여 튜브(4)를 길게 구성하고, 상기 튜브(2) 상단에는 관체부(6)를 구성한다.
상기 관체부(6) 외측 상하부에는 고정용 발룬(8)(10)을 구성하여 그 사이에걸림부(12)가 형성되게 하며, 내측면에는 튜브개폐용 발룬(14)을 설치하되, 상기 발룬들은 공기주입관(16)(18)을 통하여 주입,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 혹은 수축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의료용 장관관리기(2)를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용 발룬(8)(12)이나 튜브개폐용 발룬(14)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하거나 수축시키는 구성 및 관장액 주입을 위한 주입관(20)의 구성은 본 발명자가 선출원하여 등록한 실용신안공고번호 제97-2898호 "의료용 인공한문관리기"의 구성과 같이 하면 되나, 간단히 설명하면 공기주입관(16)(18)을 통하여 튜브개폐용 발룬(14)과 고정용 발룬(8)(10)에 각각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관장액 주입을 위한 주입관(20)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주입관(20) 상단에는 역류방지를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튜브(4) 일측에는 또다른 별개의 주입관(22)을 구성하되, 주입관(22)의 입구(24)가 튜브(4) 외측방향으로 위치되게 하여 항생제등과 같은 치료용액이나 문합부위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조영제를 장관내에 주입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장관관리기(2)는 대장(26)이나 직장(28)의 절제 수술후 문합부(30)에 누출의 발생가능성이 의심되는 환자에 적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관체부(6) 외측상하에 구성된 고정용 발룬(8)(10)에 공기를 완전히 배출시킨 다음 의료용 장관관리기(2)를 항문(34)을 통하여 장관(26) 내에 밀어넣으면서 장관관리기(2)의 관체부(6)에 구성된 고정용 발룬(8)(10)의 위치가 문합부(30)의 윗쪽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공기주입관(18)을 통하여 고정용 발룬(8) (10)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킨 다음 장관(26)의 외측부에서 고정용 밴드(32)로 걸림부(12)에 압착되게 하므로서 장관관리기(2)가 장관(26) 내에 고정설치되게 하며, 이때 장관관리기(2)는 관체부(6) 외측에 팽창된 상하고정용 발룬(8)(10)에 의해 장관(26)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고정된다.
또한 장관관리기(2)를 장관(26)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고정용 밴드(32)는 비교적 느슨하게 체결하되, 팽창된 고정용 발룬(8)(10)이 장관(26)으로부터 빠져 나가지 않을 정도이면 되고, 상기 고정용 밴드(32)의 소재는 체내에서 흡수가능한 소재로서 약1개월정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주입관(16)을 통하여 튜브개폐용 발룬(14)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튜브개폐용 발룬(14)이 팽창하여 관체부(6)를 폐쇄하게 되므로 변이 장관관리기(2) 윗쪽에 정체된다.
변을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튜브개폐용 발룬(14)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면 도 5에서와 같이 관체부(6)가 개방되므로 변은 튜브(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따라서 장관(26)의 문합부(30)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배변이 가능하게 되므로 문합부위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주입관(20)을 통하여 관장액등을 주입하여 장을 세척하거나 튜브내부를 세척할 수가 있고, 또다른 주입관(22)을 통하여는 항생제등과 같은 치료액을 주입하여 튜브(4) 외측으로 배출되게 하므로서 장관(26) 내의 문합부위(30)를 소독하거나 치료하여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중 장관관리기(2)를 장관(26)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관체부(6) 외측에 구성된 발룬(8)(10)에 주입된 공기를 빼내게 되면 고정용 밴드(32)로부터 걸림이 해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튜브(4)를 당기면 장관(26)으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장관(26) 외측에 잔류하는 고정용 밴드(32)는 시간이 지나면 흡수되어 없어지게 되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관관리기는 대장 혹은 직장절제수술 후 문합부위에 누출발생가능성이 의심되는 경우에 장관의 문합부 윗쪽에 설치하여 변의 배출시 문합부위와 접촉하지 않고 튜브를 통하여 배출되게 하므로서 문합부위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설치와 제거가 신속용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의료용 장관관리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길게 구성된 튜브 상단에 발룬지지를 위한 관체부를 구성하되, 상기 관체부의 외측에 고정용 발룬을 상하로 이중구성되게 하므로서 그 사이에 걸림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관체부 내측에는 튜브개폐용 발룬을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관체부 아랫쪽에는 치료액 주입을 위한 주입관을 구성하여 주입관을 통하여 치료액이 튜브외측으로 공급되어 장관 내의 문합부위를 치료할 수 있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관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장관관리기의 사용시 장관관리기가 장관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장관 외측에서 고정용 발룬 사이에 구성된 걸림부에 고정용 밴드를 끼워 장관관리기가 장관내에 고정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관리기.
KR10-2000-0059537A 2000-10-10 2000-10-10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 관리기 KR100375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537A KR100375584B1 (ko) 2000-10-10 2000-10-10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537A KR100375584B1 (ko) 2000-10-10 2000-10-10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 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506A true KR20020028506A (ko) 2002-04-17
KR100375584B1 KR100375584B1 (ko) 2003-03-08

Family

ID=1969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537A KR100375584B1 (ko) 2000-10-10 2000-10-10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5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601B1 (ko) * 2015-11-02 2017-01-31 한국원자력의학원 인공 장루
WO2018216830A1 (ko) 2017-05-24 2018-11-29 주식회사 엔도비전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US10245372B2 (en) 2014-12-29 2019-04-02 Wonjin Co., Ltd. Cleaning instrument for large intestine
WO2021194139A1 (ko)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변 우회 보조 장치
US11369383B2 (en) 2018-08-06 2022-06-28 Jsr Medical Co., Ltd. Band tightening apparatus for binding intest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477B1 (ko) 2014-02-21 2015-10-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연장용 보형물을 이용한 인공항문 괄약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항문의 복원방법
KR101649351B1 (ko) 2016-04-12 2016-08-18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인공장관 고정을 위한 생분해성 메쉬 밴드
KR102005238B1 (ko) 2017-08-08 2019-07-30 김재황 자동 텐션 측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4435A (en) * 1985-08-23 1987-01-06 Ingraham Steven A Naso-gastric tube
KR960005818A (ko) * 1994-07-06 1996-02-23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세정방법
KR970002898U (ko) * 1995-06-24 1997-01-24 김우진 깃대 고정장치
JPH09253112A (ja) * 1996-03-27 1997-09-30 Shigenobu Takane 排泄物漏泄防止器と器具挿入用肛門保護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5372B2 (en) 2014-12-29 2019-04-02 Wonjin Co., Ltd. Cleaning instrument for large intestine
KR101700601B1 (ko) * 2015-11-02 2017-01-31 한국원자력의학원 인공 장루
WO2018216830A1 (ko) 2017-05-24 2018-11-29 주식회사 엔도비전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EP3632345A4 (en) * 2017-05-24 2021-01-20 JSR Medical Co., Ltd. DEVICE FOR FIXING AN INSTRUMENT IN THE INTESTINAL CANAL
US11369383B2 (en) 2018-08-06 2022-06-28 Jsr Medical Co., Ltd. Band tightening apparatus for binding intestine
WO2021194139A1 (ko)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변 우회 보조 장치
KR20210119752A (ko) * 2020-03-25 2021-10-06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변 우회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5584B1 (ko) 200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7705B2 (ja) 腸管手術患者の便迂回のための医療用腸管管理器
CA2719705C (en) Temporary ostomy appliance
WO2021036198A1 (zh) 一种可降解的肠道完全转流支架
KR100375584B1 (ko)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 관리기
JP5390982B2 (ja) 改良された人工肛門装置
US20190201230A1 (en) Stomal diverter device
KR101482496B1 (ko)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인공 항문 괄약근
EP2103322B1 (en) Transcecal Ileostomy Set
CN108261577A (zh) 吻合瘘口保护冲洗器
CN209154851U (zh) 一种肠道双腔造口桥接器
EP2047874B1 (en) Improved colostomy device
CN103002840B (zh) 用于转移被排到患者肠道中的胆胰液的设备和方法
US20200306429A1 (en) Enterostomy drainage methods and devices
JP5548715B2 (ja) 改良された人工肛門装置
CN208741622U (zh) 吻合瘘口保护冲洗器
CN211157551U (zh) 对流式三腔胃肠负压引流管
ES1297326U (es) Dispositivo de continuidad para ileostomia derivativa
CN111184501A (zh) 一种结肠镜辅助袋
CN216603180U (zh) 用于肠吻合口的保护套
ES2592904T3 (es) Dispositivo de desviación fecal permanente
AU2021104344A4 (en) Colonoscope auxiliary bag
CN212914022U (zh) 一次性撑开式多通道直肠肛门减压器
CN218420185U (zh) 一种肠造口防漏装置
CN213249411U (zh) 一种用于防治吻合口漏的粪便转流装置
CN110478109A (zh) 一种免预防造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