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520B1 -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520B1
KR101773520B1 KR1020160030994A KR20160030994A KR101773520B1 KR 101773520 B1 KR101773520 B1 KR 101773520B1 KR 1020160030994 A KR1020160030994 A KR 1020160030994A KR 20160030994 A KR20160030994 A KR 20160030994A KR 101773520 B1 KR101773520 B1 KR 10177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ation device
intestinal
width direction
intestin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호
김재황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도비전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김재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도비전,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김재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도비전
Priority to KR1020160030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2End-to-end 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는 관형태의 장기의 절제 수술 후 문합부위 보호를 위해 장관 내에 설치되는 기구를 장관의 외부에서 감싸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띠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는 생분해성 물질 또는 비흡수성 물질로 인체내에서 이물 반응이 없는 재질로 구성되고,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는 장관의 외표면에 접촉되었을 시 장관의 외표면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유연한 형태로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관형태의 장기의 절제 수술 후 문합부위 보호를 위해 장관 내에 설치되는 기구를 장관의 외부에서 감싸서 고정하기 위한 띠 형태의 고정장치의 띠의 양 가장자리가 유연한 형태로 되어 있어, 기구를 장기의 외부에서 고정하되, 적당한 압력으로 고정하여 장기의 장벽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장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고정용 밴드에서와 같은 장에 필요 이상의 압력을 가하게 되어 장이 괴사되는 문제나 고정용 밴드의 양측 가장자리 부위의 날카로움에 의해 장이 침식되는 문제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device installed in bowels}
본 발명은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장관의 절단수술 후 문합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장관내에 설치되는 튜브형 기구를 장벽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장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 내부의 관 형상의 장기(식도, 직장, 대장 등)의 절단 후 문합시 문합 부위에 누출 발생 가능성이 의심되는 경우, 현재까지 최선의 보호 방법은 복부 인공항문을 조성하는 것이다. 문합 부위의 누출은 패혈증을 유발하고 암의 재발을 증가시키는 등 매우 위험하기에 임상에서는 흔히 일시적인 복부 인공항문 조성술을 시행한다. 복부 인공항문은 대개 복원시까지 최소한 3개월 이상이 걸리며, 약 30∼60% 정도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평생 복원하지 못한다고 한다. 가장 흔한 이유는 인공항문 복원시에도 다시 수술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노약자나 심폐의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 등에서는 수술 자체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복원수술을 피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서 다른 방식의 변 배출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즉, 얇은 탄력성 방수 소재로 만든 튜브를 장관의 문합부위의 상부 약 5∼10cm 정도의 위치에 실로 장내벽과 봉합함으로써 배출되는 변이 장관의 문합부위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배변되도록 하는 변 배출장치인 것이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변 배출장치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즉, 실리콘 혹은 고무를 장 내벽에 봉합하는 작업이 쉽지 않고,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특히 장 내벽에 봉합한 얇은 튜브가 항상 완전하게 봉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나, 그렇지 못함에 따라 사용상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변 배출장치에 사용된 얇은 튜브는 대개 5∼10일 사이에 자연 탈락되기 때문에 튜브를 제거하기는 용이하지만, 원하는 시간만큼 지속적으로 배변을 우회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과 동일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8506호의 "장관수술환자의 변 우회를 위한 의료용 장관 관리기"(특허문헌 1)에는 장관관리기가 장관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장관 외측에서 고정용 발룬 사이에 구성된 걸림부에 고정용 밴드를 끼워 장관관리기가 장관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술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 고정용 발룬 사이에 구성된 걸림부에 고정용 밴드를 끼움으로써 장관관리기를 장관내에 고정하는 효과가 있기는 하나, 고정용 밴드의 탄력성의 정도에 따라 장에 필요 이상의 압력을 가하게 되어 장이 괴사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고정용 밴드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 자리 부위의 단부가 날카롭게 마감처리 되어 있는 경우 그 부분이 장의 외벽 표피에 상처를 입혀 장이 침식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장관은 압력에 특히 취약하므로 장관내에 위치한 기구를 장기간 고정시키는 장관 외부의 기구 등의 장치는 아직 소개된 바가 없으며 사용된 바도 없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8506호(2002.04.1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인체내 관 형상의 장기의 절단 수술 후 문합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문합부 인근부위의 장관내에 설치되는 기구를 장기의 외부에서 고정하되, 장기의 장벽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장관에는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는,
관형태의 장기의 절제 수술 후 문합부위 보호를 위해 장관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기구를 장관의 외부에서 감싸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띠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는 생분해성 물질 또는 비흡수성 물질로 인체내에서 이물 반응이 없는 재질로 구성되고,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는 장관의 외표면에 접촉되었을 시 장관의 외표면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유연한 형태로 처리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몸체는 생분해성 물질 또는 비흡수성 물질로 인체내에서 이물 반응이 없는 재질로 이루어진 원사로 메쉬 형태로 직조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는 라운드형 요철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는 몸체의 중심부보다 상대적으로 직조 형태의 치밀도가 낮게 직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는 양 가장자리 부위의 일정 영역이 몸체의 중심부의 직물보다 상대적으로 유연도(softness)가 높은 다른 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 부위에는 가장자리 부분의 날카로움(sharpness)이나 경직도(stiffness)를 완화하기 위한 완충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고정장치가 인체의 장관에 적용되어 봉합되는 경우 엑스레이(X-ray) 장비에 의해 고정장치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엑스선 조영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엑스선 조영제로는 황산바륨, 요오드화유, 유기요오드 화합물, 폴리 가교형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조영제로는 엑스레이에서 구별될 수 있는 고형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시술자가 시술시 고정장치의 길이를 정확한 수치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눈금 또는 색깔로 구분할 수 있는 표식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몸체의 양 단부의 결합 수단으로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양 단부의 결합 수단으로서 몸체의 일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고, 몸체의 타단에는 상기 돌기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관형태의 장기의 절제 수술 후 문합부위 보호를 위해 장관 내에 설치되는 기구를 장관의 외부에서 감싸서 고정하기 위한 띠 형태의 고정장치의 띠의 양 가장자리가 유연한 형태로 되어 있어, 기구를 장기의 외부에서 고정하되, 적당한 압력으로 고정하여 장기의 장벽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장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고정용 밴드에서와 같은 장에 필요 이상의 압력을 가하게 되어 장이 괴사되는 문제나 고정용 밴드의 양측 가장자리 부위의 날카로움에 의해장이 침식되는 문제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삭제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가 라운드형 요철부로 구성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가 장관에 적용되어 장관 외부를 감싼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장의 외부를 감싼 후, 마무리 작업한 상태에서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1b는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가 라운드형 요철부로 구성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장에 적용되어 장관 외부를 감싼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100)(이하, '고정장치'라 함)는, 관형태의 장기(예컨대, 직장 또는 대장)의 절제 수술 후 문합부위 보호를 위해 장관(250) 내에 설치되는 기구(200)를 장관(250)의 외부에서 감싸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띠 형태의 몸체를 가진다. 여기서, 특히 이와 같은 몸체는 생분해성 물질 또는 비흡수성 물질로 인체내에서 이물 반응이 없는 재질로 구성되고,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E1,E2)는 장관(250)의 외표면에 접촉되었을 시 장관(250)의 외표면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유연한 형태로 마감 처리된다. 여기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로는 PGA(pterolyglutamic acid), PLA(Poly Lactic Acid),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PDO(palladium oxi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물론 이와 같이 열거된 3가지 물질 외에도 인체에 무해하고, 인체내에서 조직 반응이 없는 흡수성 물질(재질)이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과 같은 몸체는 경우에 따라서는 분해되지 않고 영구히 유지되는 물질(즉, 비흡수성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장관내 기구나 기계를 영구히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정장치(100)를 사용할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생분해성 물질 또는 비흡수성 물질로 인체내에서 이물 반응이 없는 재질로 이루어진 원사로 메쉬(mesh) 형태로 직조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메쉬 형태의 직조는 경사와 위사로 이루어지고, USP(원사굵기) 1∼7의 크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경사와 위사에 사용되는 USP(원사굵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반드시 이와 같은 직조 형태가 아닌 판형 혹은 원통형의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 (E1,E2)는 유연한 형태로 마감 처리되는 일 예로 라운드형 요철부(100e)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E1,E2)는 유연한 형태로 마감 처리되는 일환으로, 몸체의 중심부보다 상대적으로 직조 형태의 치밀도가 낮게(즉, 중심부에 비해 느슨하게) 직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E1,E2)는 유연한 형태로 마감 처리되는 일환으로, 양 가장자리 부위의 일정 영역이 몸체의 중심부의 직물보다 상대적으로 유연도(softness)가 높은 다른 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E1,E2)가 유연한 형태로 마감 처리되는 일환으로, 상기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 부위에는 가장자리 부분의 날카로움(sharpness)이나 경직도(stiffness)를 완화하기 위한 완충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완충물질은 인체내에서 생분해가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고정장치(100)의 몸체를 구성하는 생분해성 물질보다 그 분해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느린 생분해성 물질이 선택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고정장치(100)가 인체의 장관에 적용되어 봉합되는 경우 엑스레이(X-ray) 장비에 의해 고정장치(100)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엑스선 조영제(100b)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엑스선 조영제로는 황산바륨, 요오드화유, 유기요오드 화합물, 폴리 가교형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조영제로는 엑스레이에서 구별될 수 있는 고형 물질(예를 들면, 철 및 비철합금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이 반드시 조영제가 아니더라도 조영가능한 물질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고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시술자가 시술시 고정장치(100)의 길이를 정확한 수치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눈금(100a) 또는 색깔로 구분할 수 있는 표식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눈금(100a)은 위에서 설명한 조영제(100b)의 기능을 겸할 수도 있다. 즉, 몸체에 눈금(100a)을 형성하되, 엑스선 조영물질로 눈금(100a)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100)는 인체의 장관(250)에 적용되었을 경우, 생분해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 내에서 서서히 분해가 진행되며, 고정장치(100)의 물성은 일정 기간(예를 들면, 약 3∼5주) 동안 유지된다. 이와 같은 물성이 유지되는 기간은 고정장치(100)의 생분해성 물질과, 고정장치(100)의 제작방법, 크기, 장착방법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고정장치(100)는 기구(2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으며, 돌기부(200t) 사이에 밴딩을 하여 기구(20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장관(250)의 문합부(미도시)가 회복되는 동안에는 고정장치(100)의 물성은 유지되고, 문합부의 회복 후에는 고정장치(100)의 물성은 소멸되며, 기구 (200)는 인체 외부와 연결된 별도의 장치를 통해 제거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고정장치(100)는 기구(200)를 고정하기 위해 장벽에 압력을 가하고 일정 기간 그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때 장벽의 조직이 괴사되지 말아야 한다. 이를 위해 고정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체 내에서 생분해될 수 있는 물질(재질)로 제조된다.
또한, 장관(250)의 외부를 감싸는 고정장치(100)의 길이는 장기 내의 기구(200)의 직경과 장기의 장벽의 두께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면, 대장의 정상적인 장벽의 두께는 약 1∼2.6mm로 보고되고 있으나, 장관 폐색 등과 같은 병적인 상태에서는 장벽의 두께는 더 두꺼워질 수 있다. 또한, 기구(200)의 형상에 따라 하나의 기구(200)에 복수의 고정장치(1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고정장치(100)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부연 설명을 해보기로 한다.
고정장치(100)는 기구(200)의 형상에 따라 장착 위치를 달리하며, 그에 따라서 길이도 조정된다. 즉, 장관(250) 내 기구(200)에 고정장치(100)가 장착된 부위의 기구(200)의 직경을 "D"라 하고, 장관(250)의 장벽 두께를 "T", 고정장치(100)의 길이를 "L", 기구(200)의 돌기부(200t)의 높이를 "H"라 하면, 고정장치(100)의 길이(L)는 다음과 같은 수식 관계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6024892466-pat00001
또한, 고정장치(100)의 넓이는 기구(200)의 돌기부(200t)의 위치에 따라서 조정된다. 기구(200)의 돌기부(200t) 사이의 거리를 "W"라 하고, 장관(250)의 장벽 두께를 "T", 고정장치(100)의 폭을 "WB"라고 하면, 고정장치 (100)의 폭(WB)은 다음과 같은 수식 관계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6024892466-pat00002
위에서의 규격은 기구(200)의 형상과 치수, 장관(250)의 두께에 따라 가변적이며, 이러한 규격이 필요한 이유는 장벽의 안전을 위한 것이다. 즉, 장벽에 분포하는 혈관에 대한 압력을 최소화하여 기구(200)의 장착 중에 장벽의 괴사와 침식을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장의 외부를 감싼 후, 마무리 작업한 상태에서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장관 내 기구(2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기구(200)의 돌기부(200) 사이의 장관(250)의 외표면에 고정장치(100)를 감싸고 표시된 규격에 맞게 결합하는 방식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실(310)에 의한 봉합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외과수술에 많이 사용하는 스테이플을 이용한 봉합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봉합실(310)에 의한 봉합 방식은 봉합 상태가 불완전하고, 작업에 비교적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대책으로서 다음의 도 4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와 같이 고정장치(400)의 몸체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몸체의 양 단부의 결합 수단으로서 접착제(400a)가 도포될 수 있다. 이는 고정장치(400)를 이용하여 시술자가 시술 후 고정장치(400)의 단부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할 때, 접착제(400a)에 의해 양 단부를 간단히 접착하면 되므로, 마무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B)와 같이, 상기 몸체의 양 단부의 결합 수단으로서, 상기 고정장치(400)의 몸체의 일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400t)가 형성되고, 몸체의 타단에는 상기 돌기(400t)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400h)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또한 고정장치(400)를 이용하여 시술자가 시술 후 고정장치(400)의 단부에 대한 마무리 작업을 할 때, 돌기(400t)를 삽입홀(400h)에 간단히 삽입하여 체결하면 되므로, 마무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특징들을 구비한다면 반드시 직조 메쉬 형태가 아니더라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장기 내부에 기구를 영구적으로 지니고 있어야 할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규격과 특성을 가지나, 흡수성이 아닌 비흡수성 재료로 밴드(즉, 본 발명의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를 만들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고정장치(400)에 접착제(400a)를 도포하여 접착제(400a)에 의한 마무리 작업을 하거나, 돌기(400t)와 삽입홀(400h)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마무리 작업을 할 경우 시술자는 봉합실(310)에 의한 마무리 방식에 비해 한결 더 수월하게, 그리고 빠른 시간 내에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는, 관형태의 장기의 절제 수술 후 문합부위 보호를 위해 장관 내에 설치되는 기구를 장관의 외부에서 감싸서 고정하기 위한 띠 형태의 고정장치의 띠의 양 가장자리가 유연한 형태로 되어 있어, 기구를 장기의 외부에서 고정하되, 적당한 압력으로 고정하여 장기의 장벽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장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고정용 밴드에서와 같은 장에 필요 이상의 압력을 가하게 되어 장이 괴사되는 문제나 고정용 밴드의 양측 가장자리 부위의 날카로움에 의해 장이 침식되는 문제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400: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100a: 눈금
100b: 엑스선 조영제 100e: 요철부
200: 기구 200t,400t: 돌기부
250: 장관 310: 봉합실
400a: 접착제 400h: 삽입홀

Claims (16)

  1. 관형태의 장기의 절제 수술 후 문합부위 보호를 위해 장관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구를 장관의 외부에서 감싸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띠 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는 생분해성 물질 또는 비흡수성 물질로 인체내에서 이물 반응이 없는 재질로 구성되고,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는 장관의 외표면에 접촉되었을 시 장관의 외표면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유연한 형태로 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는 몸체의 중심부보다 상대적으로 직조 형태의 치밀도가 낮게 직조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PGA(pterolyglutamic acid), PLA(Poly Lactic Acid),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PDO(palladium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생분해성 물질 또는 비흡수성 물질로 인체내에서 이물 반응이 없는 재질로 이루어진 원사로 메쉬 형태로 직조된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형태의 직조는 경사와 위사로 이루어지고, USP(원사굵기) 1∼7의 크기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는 라운드형 요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는 양 가장자리 부위의 일정 영역이 몸체의 중심부의 직물보다 상대적으로 유연도(softness)가 높은 다른 직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 부위에는 가장자리 부분의 날카로움 (sharpness)이나 경직도(stiffness)를 완화하기 위한 완충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고정장치가 인체의 장관에 적용되어 봉합되는 경우 엑스레이(X-ray) 장비에 의해 고정장치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엑스선 조영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영제는 엑스레이에서 구별될 수 있는 고형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시술자가 시술시 고정장치의 길이를 정확한 수치로 계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눈금 또는 색깔로 구분할 수 있는 표식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몸체의 양 단부의 결합 수단으로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 단부의 결합 수단으로서 몸체의 일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고, 몸체의 타단에는 상기 돌기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를 장관의 외부에서 감싸서 고정하는 고정장치의 길이를 "L"이라 할 때, 이 "L"은 아래의 수식관계에 의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Figure 112016024892466-pat00003

    여기서, D는 고정장치가 장착된 부위의 기구의 직경, T는 장관의 장벽 두께, H는 기구의 돌기부의 높이를 각각 나타낸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를 장관의 외부에서 감싸서 고정하는 고정장치의 폭을 "WB"라 라 할 때, 이 "WB"는 아래의 수식관계에 의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Figure 112016024892466-pat00004

    여기서, W는 기구의 돌기부 사이의 거리, T는 장관의 장벽 두께를 각각 나타낸다.
KR1020160030994A 2016-03-15 2016-03-15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KR10177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994A KR101773520B1 (ko) 2016-03-15 2016-03-15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994A KR101773520B1 (ko) 2016-03-15 2016-03-15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520B1 true KR101773520B1 (ko) 2017-08-31

Family

ID=5976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994A KR101773520B1 (ko) 2016-03-15 2016-03-15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5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830A1 (ko) * 2017-05-24 2018-11-29 주식회사 엔도비전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WO2021194139A1 (ko)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변 우회 보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4466A1 (en) * 2006-11-09 2008-05-15 Shelton Frederick E Method of Performing An End-to-End Anastomosis Using a Stent and an Adhesive
KR101479325B1 (ko) 2009-02-10 2015-01-05 샤람 코스로바닌자드 문합부의 임시 보호를 위한 수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4466A1 (en) * 2006-11-09 2008-05-15 Shelton Frederick E Method of Performing An End-to-End Anastomosis Using a Stent and an Adhesive
KR101479325B1 (ko) 2009-02-10 2015-01-05 샤람 코스로바닌자드 문합부의 임시 보호를 위한 수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830A1 (ko) * 2017-05-24 2018-11-29 주식회사 엔도비전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WO2021194139A1 (ko)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제이에스알메디컬 변 우회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5928A (en) Method for maintaining the reduction of a sliding esophageal hiatal hernia
CA3091002C (en) A degradable intestinal diversion device
US20100280497A1 (en) Transcecal ileostomy set
KR101773520B1 (ko) 장관내 기구 고정장치
JP2017528199A (ja) 瘻孔治療デバイス及び関連方法
KR101649351B1 (ko) 인공장관 고정을 위한 생분해성 메쉬 밴드
EP2103322B1 (en) Transcecal Ileostomy Set
CN109833125A (zh) 结直肠支架
JP7048117B2 (ja) 腸管内器具固定装置
RU26026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тановки кровотечения из двенадцатиперстной кишки
CN210811786U (zh) 一种直肠吻合口保护装置
RU185120U1 (ru) Стент для эндоскоп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свищей толстой кишки незлокачественного генеза
US10159486B2 (en) Fenestrated decoupling system for internal selective attachment to soft tissue organs
EP2620129A2 (en) The system for introducing and positioning of a stent, in particular an intestinal stent, and a stent, in particular an intestinal stent
RU2679593C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саморасширяющихся стентов в просвет полых органов
US11759189B2 (en) Implantable tissue scaffold
Medas et al. Technical Review on Endoscopic Treatment Devices for Management of Upper Gastrointestinal Postsurgical Leaks
Chapter D) Endoscopic armamentarium
Bhurwal et al. Techniques for Fistula Repair in the GI Tract
RU2283057C1 (ru) Способ временной эндоскопической обтурации перфорации желудка
RU2150897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висцеро-париетальных брюшинных спаек
Clarke et al. Ceramic gentamicin beads in vascular graft infection—A cautionary note
CN115211909A (zh) 一种腹腔手术用经腹壁腹壁穿刺肠道阻隔网
EP3145418B1 (en) Fenestrated decoupling system for internal selective attachment to soft tissue organs
ES2468893T3 (es) Dispositivo de cerclaje dinámico para el tratamiento de la incontinencia a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