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18212A1 -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을 억제시키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을 억제시키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18212A1
WO2021118212A1 PCT/KR2020/017892 KR2020017892W WO2021118212A1 WO 2021118212 A1 WO2021118212 A1 WO 2021118212A1 KR 2020017892 W KR2020017892 W KR 2020017892W WO 2021118212 A1 WO2021118212 A1 WO 20211182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eptide
pharmaceutical composition
seq
foxo4
le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8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장희
김민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JP2022535255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06626A/ja
Priority to US17/757,104 priority patent/US20230023726A1/en
Priority to EP20898837.8A priority patent/EP4046647A4/en
Publication of WO20211182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182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노화에 의한 퇴행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골관절염 또는 죽상동맥경화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펩타이드는 p53과 FOXO4(Forkhead box protein O4)의 상호작용을 현저하게 억제시킴으로써, 세포노화 조절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을 억제시키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p53과 FOXO4(Forkhead box protein O4)의 상호작용을 억제시키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을 억제시키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노화에 의한 퇴행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OXO4는 이온화 방사선(ionizing radiation)과 같은 외부 자극을 받으면 DNA 손상부위에서 p53과 결합하여 세포노화 조절자인 p21의 발현을 통해 세포노화(cell senescence)를 유발한다. FOXO4-p53 결합을 억제할 경우, p53이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고 시토크롬 c(cytochrome c)의 방출을 유도하여 노화세포(senescent cell)의 세포사(apoptosis)를 유발하게 된다(Baar MP. et. al. (2017). targeted apoptosis of senecent cells restores tissue homeostasis in response to chemotoxicity and aging. Cell 169: 132-147, e16).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세포노화에 의한 다양한 퇴행성 질환을 치료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Childs BG et al. (2017) Senescent cells: an emerging target for diseases of aging. Nat Rev Drug Discov. 16:718-735). 예를 들면 골관절염의 경우 관절연골 표면에 축적된 노화연골세포를 제거하면 통증완화 및 연골재생이 되며, 죽상동맥경화증의 경우 노화된 거품세포(foam cell), 혈관민무늬근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등을 제거하면 플라크 형성(plaque formation)과 병변 성장(lesion growth)을 억제하여 병세를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을 억제할 경우, 세포노화의 주된 조절자인 p21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골관절염, 죽상동맥경화증 등과 같은 퇴행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펩타이드가 PKA(protein tyrosine kinase)와 SHP2(Src homology region 2 domain-containing phosphatase-2)의 상호작용을 현저하게 증가시킴으로써, β1 인테그린 신호전달을 매개로 한 암세포 전이를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염증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99092호).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상기 특정 펩타이드가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을 현저하게 억제시킴으로써, 골관절염, 죽상동맥경화증 등과 같은 퇴행성 질환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노화에 의한 퇴행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Leu-X-Asp
식 중,
X는 글루타민산(Glu), 세린(Ser), 글라이신(Gly), 알라닌(Ala), 글루타민(Gln), 아르기닌(Arg), 라이신(Lys), 류신(Leu), 타이로신(Tyr), 아스파르트산(Asp), 페닐알라닌(Phe), 아스파라긴(Asn), 시스테인(Cys), 히스티딘(His), 아이소류신(Ile), 메싸이오닌(Met), 프롤린(Pro), 트레오닌(Thr), 트립토판(Trp), 또는 발린(Val)이고,
-는 펩타이드 결합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3, 4, 5, 7, 8, 9, 11, 13, 14, 15, 17, 18, 19, 또는 20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세포노화에 의한 퇴행성 질환은 골관절염 또는 죽상동맥경화증일 수 있다.
화학식 1의 펩타이드, 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가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을 현저하게 억제시킨다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해 밝혀졌다. 따라서, 상기 펩타이드는 세포노화 조절자, 예를 들어 p2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골관절염, 죽상동맥경화증과 같은 퇴행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간 각질세포 HaCaT을 본 발명의 펩타이드 및 활성산소인 H2O2로 처리하였을 때,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인간 각질세포 HaCaT에 대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 활성산소 H2O2, ERK 억제제, 및 SHP2 억제제 처리를 통하여, 펩타이드에 의한 ERK와 SHP2 활성화가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인간 망막색소상피세포 ARPE-19를 본 발명의 펩타이드 및 활성산소인 H2O2로 처리하였을 때, 펩타이드가 활성산소에 의해 유도된 노화세포의 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β-Galactosidase 염색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에서 β-Galactosidase 염색을 통하여 확인된, 남아있는 노화세포의 수를 정량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퇴행성 질환(degenerative diseases)"이라 함은 세포의 노화(cell senescence)에 따라 야기되는 질환을 말하며, 예를 들어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골관절염(osteoarthritis), 알쯔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파킨슨 질환(Parkinson's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망막질환(ratinopathy)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골관절염과 죽상동맥경화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노화에 의한 퇴행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Leu-X-Asp
식 중,
X는 글루타민산(Glu), 세린(Ser), 글라이신(Gly), 알라닌(Ala), 글루타민(Gln), 아르기닌(Arg), 라이신(Lys), 류신(Leu), 타이로신(Tyr), 아스파르트산(Asp), 페닐알라닌(Phe), 아스파라긴(Asn), 시스테인(Cys), 히스티딘(His), 아이소류신(Ile), 메싸이오닌(Met), 프롤린(Pro), 트레오닌(Thr), 트립토판(Trp), 또는 발린(Val)이고,
-는 펩타이드 결합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서열번호 1, 3, 4, 5, 7, 8, 9, 11, 13, 14, 15, 17, 18, 19, 또는 20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는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을 억제시키는데 있어서 특히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3, 4, 5, 7, 8, 9, 11, 13, 14, 15, 17, 18, 19, 또는 20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락토즈, 옥수수전분 등의 부형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의 윤활제,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유화제, 현탁제, 완충제, 등장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투여 제제 형태(oral dosage form) 또는 비경구투여 제제 형태(parenteral dosage form)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피 투여, 피하 투여, 근육내 투여 등의 비경구 투여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육내, 피하 및 정맥내 투여 형태의 경우, 통상 활성 성분의 멸균 용액을 제조하고, 용액의 pH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는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맥내 투여의 경우 제제에 등장성이 부여되도록 등장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pH가 7.4인 염수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제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용액제의 형태로 국소적으로 환자의 근육내 혈류에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퇴행성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에 적합한 양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그 투여용량은 통상 각 환자의 연령, 체중 및 환자의 증상에 따라 일반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용량, 예를 들어 1일 약 0.01 내지 10 mg/k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펩타이드의 합성
서열번호 1 내지 20의 펩타이드(하기 표 1 참조)는 자동화합성기(PeptrEx-R48, 펩트론사, 대전,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FMOC 고체-상 방법(FMOC solid-phase method)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펩타이드는 C18 분석용 RP 컬럼(Shiseido capcell pak)을 사용한 역상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reverse-phase HPLC) (Prominence LC-20AB, Shimadzu사, 일본)로 정제 및 분석하였으며, 질량분석기(HP 1100 Series LC/MSD, Hewlett-Packard사, Roseville, 미국)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펩타이드 명칭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
Pep1 서열번호 1 Leu-Glu-Asp
Pep2 서열번호 2 Leu-Ser-Asp
Pep3 서열번호 3 Leu-Gly-Asp
Pep4 서열번호 4 Leu-Ala-Asp
Pep5 서열번호 5 Leu-Gln-Asp
Pep6 서열번호 6 Leu-Arg-Asp
Pep7 서열번호 7 Leu-Lys-Asp
Pep8 서열번호 8 Leu-Leu-Asp
Pep9 서열번호 9 Leu-Tyr-Asp
Pep10 서열번호 10 Leu-Asp-Asp
Pep11 서열번호 11 Leu-Phe-Asp
Pep12 서열번호 12 Leu-Asn-Asp
Pep13 서열번호 13 Leu-Cys-Asp
Pep14 서열번호 14 Leu-His-Asp
Pep15 서열번호 15 Leu-Ile-Asp
Pep16 서열번호 16 Leu-Met-Asp
Pep17 서열번호 17 Leu-Pro-Asp
Pep18 서열번호 18 Leu-Thr-Asp
Pep19 서열번호 19 Leu-Trp-Asp
Pep20 서열번호 20 Leu-Val-Asp
실시예 2.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서열번호 1 내지 20의 펩타이드를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각각 용해시켜, 1 M의 농도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얻어진 단백질 용액을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시험예 1. p53과 FOXO4의 물리적 결합에 미치는 펩타이드의 활성 평가
본 발명의 펩타이드와 H2O2를 세포에 처리한 후, in situ PLA (proximity ligation assay) 방법을 통하여 p53과 FOXO4의 물리적 결합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4.5 X 104 개의 HaCaT 세포(사람각질세포, CLS)를 10% 우태아혈청을 함유하는 DMEM 배지에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 중 H2O2와 펩타이드의 농도가 각각 200 μM 및 20 μM이 되도록 실시예 2의 펩타이드 용액을 가한 다음, 1시간 동안 동일한 조건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대조군으로 무처리군(도 1에서 "control"로 표기)과 H2O2 단독 처리군(도 1에서 "-"로 표기)을 사용하였다. 각 웰의 세포를 PBS로 세정하고 2% 포름알데히드로 15분 동안 처리하여 고정시킨 후, 0.1% TritonX-100을 5분간 처리하여 세포 안으로의 항체 투과성을 높였다. anti-p53 다클론항체(Abcam, UK) 및 anti-FOXO4 다클론 항체(Santa cruz, CA, USA)를 첨가하고, In situ PLA 키트(Sigma-Aldrich)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PLA 프로브를 가한 다음, 하이브리디제이션(hybridization), 라이게이션(ligation), 증폭(amplification) 및 마운팅 단계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세포에서 검출되는 발광 신호(PLA signals)를 공초점 레이져 현미경(Olympus fluoview FW1000; Olympus, Tokyo, Japan)으로 측정하여 p53 및 FOXO4 항체의 물리적인 상호작용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와 같다. 도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펩타이드 처리군은 미처리 대조군(즉, "-"군)에 비하여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을 유의성 있게 억제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Pep 1, 3, 4, 5, 7, 8, 9, 11, 13, 14, 15, 17, 18, 19, 또는 20(즉, 서열번호 1, 3, 4, 5, 7, 8, 9, 11, 13, 14, 15, 17, 18, 19, 또는 20의 펩타이드)는 대조군에 비하여 p53와 FOXO4의 상호작용을 현저하게 억제시켰으며, Pep 1, 9, 11, 14, 15, 17, 18, 및 20(즉, 서열번호 1, 9, 11, 14, 15, 17, 18, 및 20의 펩타이드)는 대조군에 비하여 p53와 FOXO4의 상호작용을 2배 이상 현저하게 억제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펩타이드의 p53과 FOXO4의 물리적결합 억제 신호에 ERK와 SHP2가 미치는 영향 평가
본 발명의 펩타이드(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 H2O2, ERK 저해제(PD98059), 및 SHP2 저해제(NSC878777)를 세포에 처리한 후, in situ PLA (proximity ligation assay) 방법을 통하여 p53과 FOXO4의 물리적 결합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4.5 X 104 개의 HaCaT 세포(사람각질세포, CLS)를 10% 우태아혈청을 함유하는 DMEM 배지에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H2O2(200 μM)와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20 μM)를 병합처리하거나, H2O2(200 μM)와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20 μM) 병합처리군에 PD98059(10 μM) 또는 NSC878777(10 μM)을 추가 처리한 후, 1시간 동안 동일한 조건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대조군으로 무처리군(도 2에서 "control"로 표기)과 H2O2 단독 처리군을 사용하였다. 각 웰의 세포를 PBS로 세정하고 2% 포름알데히드로 15분 동안 처리하여 고정시킨 후, 0.1% TritonX-100을 5분간 처리하여 세포 안으로의 항체 투과성을 높였다. anti-p53 다클론항체(Abcam, UK) 및 anti-FOXO4 다클론 항체(Santa cruz, CA, USA)를 첨가하고, In situ PLA 키트(Sigma-Aldrich)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PLA 프로브를 가한 다음, 하이브리디제이션(hybridization), 라이게이션(ligation), 증폭(amplification) 및 마운팅 단계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세포에서 검출되는 발광 신호(PLA signals)를 공초점 레이져 현미경(Olympus fluoview FW1000; Olympus, Tokyo, Japan)으로 측정하여 p53 및 FOXO4 항체의 물리적인 상호작용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펩타이드 처리군은 미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을 유의성 있게 억제시켰고, 펩타이드의 억제 신호는 ERK와 SHP2 활성화에 의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p53 활성 증가를 통한 노화세포 사멸유도에 미치는 펩타이드의 활성 평가
H2O2를 세포에 처리하여 노화를 유도한 후 본 발명의 펩타이드(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를 24시간 처리하여 노화된 세포의 사멸에 미치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X-Gal 염색을 하여 남아 있는 노화세포의 수를 확인하였다. 12-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80% 밀도의 ARPE-19(망막색소상피세포)를 10% 우태아혈청을 함유하는 DMEM 배지에 분주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 중 H2O2의 농도가 25 μM이 되도록 용액을 가한 다음, 24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각 웰의 세포를 PBS로 세정하고 서열번호 3의 펩타이드의 농도가 각각 0.2 μM, 2 μM, 20 μM이 되도록 실시예 2의 펩타이드 용액을 가한 다음, 24시간 동안 동일한 조건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대조군으로 무처리군(도 3 및 4에서 "control"로 표기)과 H2O2만 단독 처리군(도 3 및 4에서 "-"로 표기)을 사용하였다. 각 웰의 세포를 PBS로 세정하고 Senescence β-Galactosidase Staining Kit (CS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X-gal 염색을 수행하였다. 노화가 유도된 세포에서 검출되는 청록색 발색을 위상차 현미경(Olympus, Tokyo, Japan)으로 측정하고 노화 세포의 수를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도 3 및 도 4와 같다. 도 3 및 도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펩타이드 처리군은 미처리 대조군(즉, "-"군)에 비하여 노화세포의 사멸을 유의성 있게 유도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노화에 의한 퇴행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Leu-X-Asp
    식 중,
    X는 글루타민산(Glu), 세린(Ser), 글라이신(Gly), 알라닌(Ala), 글루타민(Gln), 아르기닌(Arg), 라이신(Lys), 류신(Leu), 타이로신(Tyr), 아스파르트산(Asp), 페닐알라닌(Phe), 아스파라긴(Asn), 시스테인(Cys), 히스티딘(His), 아이소류신(Ile), 메싸이오닌(Met), 프롤린(Pro), 트레오닌(Thr), 트립토판(Trp), 또는 발린(Val)이고,
    -는 펩타이드 결합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가 서열번호 1, 3, 4, 5, 7, 8, 9, 11, 13, 14, 15, 17, 18, 19 또는 20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노화에 의한 퇴행성 질환이 골관절염 또는 죽상동맥경화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PCT/KR2020/017892 2019-12-11 2020-12-09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을 억제시키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1118212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35255A JP2023506626A (ja) 2019-12-11 2020-12-09 p53とFOXO4の相互作用を阻害するペプチドを含む医薬組成物
US17/757,104 US20230023726A1 (en) 2019-12-11 2020-12-09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eptide that inhibits interaction of p53 and foxo4
EP20898837.8A EP4046647A4 (en) 2019-12-11 2020-12-09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PEPTIDE WHICH INHIBITS THE INTERACTION OF P53 AND FOXO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447 2019-12-11
KR20190164447 2019-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212A1 true WO2021118212A1 (ko) 2021-06-17

Family

ID=7633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892 WO2021118212A1 (ko) 2019-12-11 2020-12-09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을 억제시키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23726A1 (ko)
EP (1) EP4046647A4 (ko)
JP (1) JP2023506626A (ko)
KR (1) KR20210074207A (ko)
WO (1) WO202111821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7601A1 (en) * 2005-09-28 2007-04-05 Knu-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Polypeptide inhibiting transmigration of leukocytes or growth and/or metastasis of cancer cells, and fusion protein thereof
KR20110044374A (ko) * 2009-10-23 2011-04-29 (주) 수파드엘릭사 암세포의 성장 및/또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US20140322222A1 (en) * 2007-02-26 2014-10-30 Robert John Naylor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modulation of beta-1 integrin function to mediate tissue repair
KR20180099092A (ko) 2017-02-28 2018-09-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β1 인테그린 신호전달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2235A1 (de) * 1998-11-26 2000-06-08 Pentapharm Ag Transportsystemkonjugate
US8507439B2 (en) * 2005-08-29 2013-08-13 Angela Shashoua Neuroprotective and neurorestorative method and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7601A1 (en) * 2005-09-28 2007-04-05 Knu-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Polypeptide inhibiting transmigration of leukocytes or growth and/or metastasis of cancer cells, and fusion protein thereof
US20140322222A1 (en) * 2007-02-26 2014-10-30 Robert John Naylor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modulation of beta-1 integrin function to mediate tissue repair
KR20110044374A (ko) * 2009-10-23 2011-04-29 (주) 수파드엘릭사 암세포의 성장 및/또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20180099092A (ko) 2017-02-28 2018-09-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β1 인테그린 신호전달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ELL, vol. 169, no. e16, pages 132 - 147
CHILDS BG ET AL.: "Senescent cells: an emerging target for diseases of aging", NAT REV DRUG DISCOV, vol. 16, 2017, pages 718 - 735
LU XING, ZHANG XING-LIN, CHU KAI, ZHANG GUO-DONG, ZHENG YAN-PING: "Targeting Integrin-β1 Impedes Cytokine-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A Potential 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Pathological Osteolysis", TROPICAL JOURNAL OF PHARMACEUTICAL RESEARCH, vol. 15, no. 2, NG, pages 299 - 305, XP055820636, ISSN: 1596-5996, DOI: 10.4314/tjpr.v15i2.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6626A (ja) 2023-02-17
KR20210074207A (ko) 2021-06-21
EP4046647A4 (en) 2023-08-30
EP4046647A1 (en) 2022-08-24
US20230023726A1 (en)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8589B2 (en) Peptides with the capacity to bind to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 (TGF-β1)
CA2442909A1 (en) Multimerization of hiv-1 vif protein as a therapeutic target
KR20150037815A (ko) 산소 부족 및 공기압 감소에 인한 고산병의 폐 형태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US20150297693A1 (en) Peptide inhibitors for mediating stress responses
RU2537560C2 (ru) Тетрапептид и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церебропротекторной и антиамнест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ями (варианты)
WO2021118212A1 (ko) P53과 foxo4의 상호작용을 억제시키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EP1501535A1 (en) Antagonists of megalin or cubilin for use in preventing organ damage induced by therapeutic agents
KR101645654B1 (ko) Rage로부터 유래된 폴리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99092A (ko) β1 인테그린 신호전달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1118199A2 (ko) P53을 활성화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CA3121300A1 (en) Dpep-1 binding agents and methods of use
US11787850B2 (en) Peptidic TGF-beta antagonists
EP3377519B1 (en) Labyrinthopeptins as anti-viral agents
KR20220016736A (ko) 습식 황반변성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6023439A (zh) 一种抑制新型冠状病毒SARS-CoV-2感染的多肽及其应用
WO2016006732A1 (ko) 표피성장인자 유래의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88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9883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516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3525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