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07702A1 -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07702A1
WO2021107702A1 PCT/KR2020/017140 KR2020017140W WO2021107702A1 WO 2021107702 A1 WO2021107702 A1 WO 2021107702A1 KR 2020017140 W KR2020017140 W KR 2020017140W WO 2021107702 A1 WO2021107702 A1 WO 20211077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ir
frames
fastening
user
sid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1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여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디자인
Priority to JP202154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JP7152815B2/ja
Priority to US17/432,599 priority patent/US20220062695A1/en
Publication of WO20211077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077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4Platforms for reciprocating rotating motion about a vertic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6Details of the support elements or their connection to the exercising apparatus, e.g. adjustment of size o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08For a single arm or 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63B23/03541Moving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64Walk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022/00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for active rehabilitation, e.g. slow mo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72Limiting the applied force, torque, movement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9Protective housings covering the working par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Definitio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stand-up walking exercise equipment.
  • a walking assistance device is a device that supports and moves the body when moving to another place or walking in situations such as when the user's lower body muscles and joints are weakened or damaged, or when a fracture is sustained in the leg, and can be used for rehabilitation exercises, etc. to be.
  • the rehabilitation exercise through the above-described walking assistance device is used by the elderly and the infirm, there is a risk of falling.
  • the cost is very high and it is difficult to install, so there is a limit to the spread to the general household.
  • the conventional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is configured to merely assist the user's unidirectional gait exercise,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 user's lower body muscles and lower back muscles as a whole and in multiple angles.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25414 (2018.01.30)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stand-type gait exercise device that can help the user's gait exercise to strengthen muscle strength and prevent dementia.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stand-type gait exercis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user from falling and the resulting risk of injury during the gait exercise of the user with reduced mobility.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assembled to increase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carrying convenience of the user.
  • a pair of side frames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 a front frame connecting the pair of side frames in front of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and the pair of side frames a body structure including a pair of first fastening frames protruding upward from each; a support structure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through the pair of first fastening frames to support a part of the user's body; a safety pad detachably boun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structure to support the user's buttocks; and a support fram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lower structure formed on the support frame and including a pair of rotational motion parts on which both feet of the user are seated; including, the pair Each of the rotational movement units is rot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nd-type walking exercise mechanism.
  • the body structure, the support structure, the safety pad, and the lower structure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or assembled from each other.
  • the support structure includes an arm support part on which a user's arm or shoulder is seated and supported, and a pair of height adjustment frames protru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arm support part, and at the end of the pair of first fastening frames in the protruding direction, the one A first through support member is formed into which each of the pair of height adjustment frames is inserted, and each of the pair of height adjustment frames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pair of first fastening frames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in the inserted position to the body.
  •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are each of the pair of height adjustment frames and each of the pair of first fastening frames through and binding, each of the pair of height adjustment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spheres may be formed.
  • the safety pad includes a pad member formed to cover the user's buttocks and a plurality of straps extending from the pad member, each of the plurality of straps being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rmrest has the A plurality of ring members to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straps are bound may be formed.
  • the lower structure includes a bottom frame seated on the ground through a plurality of grounding members having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a pair of second fastening frames protru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frame, and the pair of second fastening frames
  • a second through support hole into which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protruding end of each of the fastening frames, and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pair of second fastening frames. It is assembled with the lower structure by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may pass through the pair of second fastening frames from each side and press-bond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 the front frame includes a connecting fram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air of wing frames extending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frame to one side, and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is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wing frames, ,
  • An accommod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pair of wing frames, and the pair of side frames may be rotated to be positioned in a folded state in the accommodation space.
  • separation and assembly are easy to increase the user's ease of installation and transport convenience.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 FIG. 5 is a view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safety pad of a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deployed state of the body structure of the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folded state of the body structure of the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the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10 includes a body structure 100 , a support structure 200 , a safety pad 300 and a lower structure 400 . can do.
  • the above-described body structure 100 connects a pair of side frames 110 in front of each of a pair of side frames 110 and a pair of side frames 110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ser.
  • a pair of first fastening frames 130 protruding upward from each of the front frame 120 and the pair of side frames 110 may be included.
  • the above-described support structur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110 through a pair of first fastening frames 130 , and may be formed to support a part of the user's body.
  • the above-described safety pad 300 may be detachably bound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structure 200 to support the user's buttocks.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falling due to the loosening of the force of the leg in the standing state.
  • the lower structure 40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110 and is formed on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fram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may include a pair of rotational motion parts on which both feet of the user are seated. .
  • the body structure 100, the support structure 200, the safety pad 300 and the lower structure 400 are separated or assembled from each other. possible to be formed. That is, the user can transport or store the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10 in a separat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easily assembled and used when necessary.
  • the above-described support structure 200 includes an arm support part 210 on which the user's arm or shoulder is seated and supported, and a pair of height adjustment frames 220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arm support part 210 . can do.
  • a first through support hole 131 into which each of the pair of height adjustment frames 220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pair of first fastening frames 130 in the protrusion direction. That is, the pair of first fastening frames 130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opened upward.
  • the above-described lower structure 400 the floor frame 410 seated on the ground through a plurality of grounding members 411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a pair of protruding upwards from both sides of the floor frame 410, respectively.
  • a second fastening frame 420 may be included.
  • a second through support hole 421 into which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110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an end of each of the pair of second fastening frames 420 in the protruding direction. That is, the pair of second fastening frames 420 may be formed in an upwardly open hollow shape.
  • the above-described bottom frame 41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to face the ground, and preferably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rough four grounding members 411 .
  • the four grounding members 41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such as rubber, and through this, the lower structure 400 is slid or pushed on the ground between the user's gait movements, thereby causing injury to the user. Wearing problems can be prevented.
  • each of the above-described pair of rotational movement part has a ground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which the user's sole is grounded, and a disk-shaped rotary footrest with acupressure projections formed on the ground surface to prevent slipping and provide acupressure effect, and the rotary footrest and screw And it may include a rotary base coupled through a washer.
  • the above-described rotary footrest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ry base with respect to the screw axis, and a bearing (not shown)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otary base and the above-described rotary footboard. That is, the rotating base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frame 410 without being rotated, and the rotating footrest may be independently rotated on the rotating base.
  • the above-described pair of rotational movement units may be separa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user's feet can be grounded separately.
  • the movement through various foot movements frees the upper body as well as the legs and back muscles.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
  • each of the pair of height adjustment frames 220 is assembled with the body structure 100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40 in a state inserted into each of the pair of first fastening frames 130 .
  •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4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each of the pair of height adjustment frames 220 and the pair of first fastening frames 130 respectively.
  • a first fastening hole (not shown) which is form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first fastening frames 130 in a rad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ding direction from the side may be formed, and a pair of height adjusting frames may be formed.
  •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spheres 22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may be formed in each of 220 .
  • the first fastening hole may be arranged coaxially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members 221 . That is, as the fastening member 140 is inserted and bound in a state in which any one of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plurality of height adjusters 221 are coaxially arranged, the pair of height adjusting frames 220 and the pair of first The fastening frame 130 may be mutually assembled and fixed.
  • each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40 may have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through which the user may assemble the body structure 100 and the support structure 200 between the body structure 100 and the support structure 200 as the user rotates the fastening member 140 .
  • the fastening member 140 is fasten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spheres 221 , the fastening height of the support structure 200 with respect to the body structure 100 may be formed differently. That is, the height of the support structure 200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pair of side frames 110 can be fixed, and the pair of side frames 110 are the front frame 120 . It can be installed while maintaining the unfolded state.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1 .
  •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110 is to be assembled with the lower structure 400 by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430 in the state inserted into each of the pair of second fastening frames 420 .
  • a second fastening hole (not shown) that is form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second fastening frames 420 in a rad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ding direction from the side may be formed.
  • each of the coupling members 430 may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second fastening holes,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430 pass through the pair of second fastening frames 420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s, and the pair Each of the side frames 110 of the can be bound by pressure.
  •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110 has a second through support.
  • the insertion position up to the lower sealing surface of the 421 may be inscribed in each of the second fastening frame 420 .
  • a screw lin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430 , and the user rotates each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430 inserted into each of the second coupling holes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frame 420 . It is possible to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side frames 110 in contact.
  • the user simply inserts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side frames 110 into the pair of second fastening frames 420 and rotates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430 to operate the lower structure 400 and the body structure 100 .
  • the coupling member 430 may be separated in the reverse order and the body structure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lower structure 400 .
  • the pair of side frames 110 may have a fixed arrangement state, and the pair of side frames 110 may be deployed and unfolded. and may be coupled and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400 . That is, structural stability between the user's gait movements may be maintained.
  • FIG. 5 is a view showing a lower side of the support structure 200 of the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is a view showing the safety pad 300.
  • the above-described safety pad 300 may include a pad member 310 formed to cover the user's buttocks and a plurality of straps 320 extending from the pad member 310 .
  • each of the plurality of straps 320 may be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the pad member 31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rmrest 210 through the plurality of straps 320 . That is, the safety pad 300 may be connected to the arm support part 210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arm support part 210 .
  • the above-described safety pad 30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not to directly contact the buttocks when the user is positioned standing on the pair of rotational movement units.
  • the user can support the body only with his or her leg muscles without distributing the load on the safety pad 300 , and the leg strength and waist strength strengthening efficiency between the user's walking exercises can be greatly increased.
  • the risk of falling may be prevented by supporting the user's body by the safety pad 300 .
  • the above-described safety pad 300 may be positioned to support the user's body weight by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when the user is positioned standing on the pair of rotational movement units. Through this, the user can perform a walking exercise while supporting the body on the safety pad 300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stand by fully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user due to deterioration of leg muscle function, and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 .
  • a plurality of ring members 211 to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straps 320 are boun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arm support portion 210 . That is, the safety pad 300 may be hook-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raps 320 in a ring structur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ing members 211 .
  • the user can connect or separate the safety pad 300 to the support structure 200 without the help of an assistant, and the user's disassembly or assembly easiness can be increased.
  • the above-described pad member 310 includes a first pad 311 surrounding the user's buttocks, a second pad 312 surrounding the front of the user's waist, and the first pad 311 and the second pad 312 . It connects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313 positioned between the user's legs. That is, the safety pad 300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user's body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falls,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does not infringe the active radius of the user's legs between walking movements.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deployed state of the body structure 100 of the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is a view showing the folded state of the body structure 100.
  • the above-described front frame 120 includes a connecting frame 121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air of wing frames 121 extending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frame 121 to one side. And,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11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wing frames 121 .
  • a receiving space 123 may be formed between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frame 121 and the pair of wing frames 121 , and the pair of side frames 110 is rotated and folded in the receiving space 123 . can be positioned as
  • each of the aforementioned wing frames 121 has a first extension portion 1221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y one of both ends of the connection frame 121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 It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portion 122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1221 .
  •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11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s 122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frame 121 .
  • each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s 1222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pen, and a portion of the pair of side frames 110 is inscribed in each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s 1222 . It can be rotated by being positioned through it.
  • the pair of side frames 110 described above may be rotated and positioned in a folded state.
  •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110 is rotated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222 to be folded so as to be overlapped with the connection frame 121 , and the pair of side frames 110 may be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3 in a state of being superimposed on each other. That is, the side frame 110 in the folded state may be positioned withou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ront frame 120 , and the volume of the shape of the body structure 100 may be reduced.
  • the user can position the pair of side frames 110 overlapping when transporting or storing the stand-type walking exercise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olume of the body structure 100 is minimized. can be transported or sto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의 전방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연결하는 전방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에서 상방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디구조체;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의 상측에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받침구조체; 상기 받침구조체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 가능한 안전패드;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하측에 연결되고 지면에 접촉 지지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회전운동부를 포함하는 하부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운동부 각각은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보행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하체 근육 및 관절이 약해지거나 손상된 경우, 다리 부분에 골절상을 입은 경우 등의 상황에서 걷기 운동이나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몸을 지탱하여 이동하며 재활 운동 등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상술한 보행 보조 장치를 통한 재활 운동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이용하기에 낙상의 위험이 따른다.
이에, 사용자의 재활을 돕기 위한 보행 재활 로봇 등이 개발되었으나, 그 비용이 매우 비싸고, 설치가 어려워 일반 가정으로의 보급에는 제한이 따르고 있다. 또한, 종래의 보행 재활 기구 등은 단순히 사용자의 일 방향 보행 운동만 보조하도록 구성된 바, 사용자의 하체 근육 및 허리 근육을 전체적이며 다각도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5414호 (2018.01.3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보행 운동을 보조하여 근력강화 및 치매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보행 운동 간 사용자의 낙상 및 그에 따른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설치 용의성 및 운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의 전방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연결하는 전방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에서 상방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디구조체;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의 상측에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받침구조체; 상기 받침구조체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 가능한 안전패드;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하측에 연결되고 지면에 접촉 지지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회전운동부를 포함하는 하부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운동부 각각은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디구조체, 상기 받침구조체, 상기 안전패드 및 상기 하부구조체 상호 간은 분리 또는 조립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구조체는, 사용자의 팔 또는 어깨가 안착 지지되는 팔받침부 및 상기 팔받침부의 양측에서 하방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의 돌출 방향 말단에는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 각각이 삽입되는 제1 관통 지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 각각에 삽입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바디구조체와 조립되고, 상기 복수 개의 체결부재는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 각각 및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 각각을 관통 결속하며,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 각각에는 상호 상이한 높이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높이조절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패드는,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패드부재 및 상기 패드부재에서 연장된 복수 개의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트랩 각각은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팔받침부의 하측면에는 각각에 상기 복수 개의 스트랩 각각이 결속되는 복수 개의 고리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구조체는, 소정 탄성을 구비한 복수 개의 접지부재를 통해 지면에 안착된 바닥프레임 및 상기 바닥프레임의 양측 각각에서 상방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 각각의 돌출 방향 말단에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이 삽입되는 제2 관통 지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 각각에 삽입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구조체와 조립되며, 상기 복수 개의 결합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을 각각의 측부에서 관통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을 가압 결속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은, 소정 길이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날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은 상기 날개프레임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날개프레임 사이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은 회동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접힌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보행 운동을 보조하여 근력강화 및 치매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보행 운동 간 사용자의 낙상 및 그에 따른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설치 용의성 및 운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B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의 받침구조체 하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의 안전패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의 바디구조체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의 바디구조체의 접힌 상태를 나나탠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10)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10)는 바디구조체(100), 받침구조체(200), 안전패드(300) 및 하부구조체(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디구조체(100)는 사용자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각각의 전방에서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전방프레임(120) 및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각각에서 상방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받침구조체(200)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각각의 상측에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1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안전패드(300)는 받침구조체(200)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기립 상태에서 다리의 힘 풀림 등에 의해 낙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하부구조체(400)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하측에 연결되고 지면에 접촉 지지된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회전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10)의 경우, 바디구조체(100), 받침구조체(200), 안전패드(300) 및 하부구조체(400) 상호 간이 분리 또는 조립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10)를 분리한 상태로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고, 필요시 쉽게 조립하여 이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받침구조체(200)는, 사용자의 팔 또는 어깨가 안착 지지되는 팔받침부(210) 및 팔받침부(210)의 양측에서 하방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130)의 돌출 방향 말단에는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220) 각각이 삽입되는 제1 관통 지지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130)은 상측으로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하부구조체(400)는, 소정 탄성을 구비한 복수 개의 접지부재(411)를 통해 지면에 안착된 바닥프레임(410) 및 바닥프레임(410)의 양측 각각에서 상방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4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420) 각각의 돌출 방향 말단에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각각이 삽입되는 제2 관통 지지구(4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420)은 상측으로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닥프레임(410)은 지면과 대면할 수 있도록 소정 너비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개의 접지부재(411)를 통해 지면과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4개의 접지부재(411)는 고무 등의 소정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보행 운동 간 하부구조체(400)가 지면에서 미끄러지거나 밀리게 되어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한 쌍의 회전운동부 각각은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지되는 접지홈이 상면에 형성되고, 접지면에 미끄럼방지 및 지압효과를 주기 위한 지압돌기가 형성된 원반형상의 회전발판 및 상기 회전발판과 나사 및 와셔를 통해 결합된 회전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회전발판은 회전베이스에 대해 나사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고, 회전베이스와 상술한 회전발판과의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 됨)이 설치될 수 있다. 즉, 회전베이스는 회전되지 않은 채 바닥프레임(410)에 고정 설치될 수 잇고, 회전발판은 회전베이스 상에서 독립 회전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한 쌍의 회전운동부는 사용자의 양발을 별도로 각각 접지할 수 있도록 2개가 독립적으로 별도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각 발을 안착하는 위치에 따라 회전방향과 회전 각도를 달리하는 다양한 동작을 연출하여 운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발동작을 통한 운동으로 다리 및 허리 근육뿐만 아니라 상반신이 자유로워 온몸을 춤추듯 흔들며 전신을 골고루 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10)는 사용자의 보행 운동 간 다양한 자세 및 형태로 신체 움직임을 보조하여 근력강화 및 치매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220) 각각은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130) 각각에 삽입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체결부재(140)에 의해 바디구조체(100)와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체결부재(140)는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220) 각각 및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130) 각각을 관통 결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130) 각각의 상부에는 측면에서 돌출 방향에 수직한 직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 체결홀(미도시 됨)이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220) 각각에는 상호 상이한 높이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높이조절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받침구조체(200)의 배치 높이에 따라 제1 체결홀은 복수 개의 높이조절구(221) 중 어느 하나와 동축으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홀과 복수 개의 높이조절구(221) 중 어느 하나가 동축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40)가 삽입 결속됨에 따라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220) 및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130)은 상호 조립 및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체결부재(140) 각각은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체결부재(140)를 회전 조작함에 따라 바디구조체(100) 및 받침구조체(200) 상호 간을 조립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체결부재(140)가 복수 개의 높이조절구(221)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됨에 따라 받침구조체(200)의 바디구조체(100)에 대한 체결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장 등에 따라 받침구조체(20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받침구조체(200)가 바디구조체(100)와 조립됨에 따라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은 배치 상태가 고정될 수 있고,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은 전방프레임(120)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각각은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420) 각각에 삽입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결합부재(430)에 의해 하부구조체(400)와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420) 각각의 상부에는 측면에서 돌출 방향에 수직한 직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 체결홀(미도시 됨)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재(430) 각각은 제2 체결홀 각각에 삽입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결합부재(430)는 제2 체결홀을 통해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420)을 관통하고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각각을 가압 결속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이 제2 체결프레임(420)의 제2 관통 지지구(421)에 삽입 위치된 경우,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각각은 제2 관통 지지구(421)의 하단 밀폐면까지 삽입 위치되고 제2 체결프레임(420)의 각각에 내접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결합부재(430) 외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제2 체결홀 각각에 삽입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430) 각각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제2 체결프레임(420)에 내접한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외면을 가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순히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하부를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420)에 삽입시키고 복수 개의 결합부재(430)를 회전 조작함에 따라 하부구조체(400) 및 바디구조체(100) 상호 간을 조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자의 도움 없이 사용자 혼자서 하부구조체(400) 및 바디구조체(100)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분해시에는 역순으로 결합부재(430)를 분리하고 바디구조체(100)를 하부구조체(4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하부구조체(400)가 바디구조체(100)와 조립됨에 따라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은 배치 상태가 고정될 수 있고,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은 전개되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하부구조체(400)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즉, 상용자의 보행 운동 간 구조적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10)의 받침구조체(200) 하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10)의 안전패드(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상술한 안전패드(300)는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패드부재(310) 및 상기 패드부재(310)에서 연장된 복수 개의 스트랩(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스트랩(320) 각각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패드부재(310)는 복수 개의 스트랩(320)을 통해 팔받침부(210)의 하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안전패드(300)는 팔받침부(210)에 연결되어 팔받침부(210)의 하측에 이격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안전패드(300)는 사용자가 한 쌍의 회전운동부 상에 기립 위치된 경우에는 둔부와 직접 맞닿지 않도록 소정 거리 하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안전패드(300)에 하중을 분산시키지 않은 상태로 자신의 다리 근육만으로 신체를 지탱할 수 있고, 사용자의 보행 운동 간 다리 근력 및 허리 근력 강화 효율은 크게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보행 운동 간 사용자가 다리 풀림 등으로 넘어지는 경우에도 안전패드(300)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함으로써 낙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안전패드(300)는 사용자가 한 쌍의 회전운동부 상에 기립 위치된 경우 사용자의 둔부를 접촉 지지하여 사용자의 신체 무게를 지탱해주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리 근육 기능의 저하 등으로 온전히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여 서있기 힘든 경우에도 안전패드(300)에 신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보행 운동을 실시할 수 있고, 재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팔받침부(210)의 하측면에는 각각에 복수 개의 스트랩(320) 각각이 결속되는 복수 개의 고리부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전패드(300)는 복수 개의 스트랩(320) 각각이 복수 개의 고리부재(211) 각각에 고리 구조로 후크(hook)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조자의 도움 없이 안전패드(300)를 받침구조체(200)에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분해 또는 조립 용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패드부재(310)는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는 제1 패드(311), 사용자의 허리 부위 전방을 감싸는 제2 패드(312) 및 제1 패드(311)와 제2 패드(312)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양 다리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안전패드(300)는 사용자가 넘어지는 방향과 상관없이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보행 운동 간 다리의 활동 반경을 침해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10)의 바디구조체(100)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10)의 바디구조체(100)의 접힌 상태를 나나탠 도면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상술한 전방프레임(120)은 소정 길이의 연결프레임(121) 및 연결프레임(121)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날개프레임(121)을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각각은 날개프레임(121)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연결프레임(121) 및 한 쌍의 날개프레임(121) 사이에는 수용공간(123)이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은 회동되어 수용공간(123) 내에 접힌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날개프레임(121) 각각은 연결프레임(121)의 양단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제1 연장부(1221) 및 제1 연장부(1221)의 말단에서 제1 연장부(122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소정 길이의 제2 연장부(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각각은 연결프레임(121)의 양측에 위치된 제2 연장부(1222) 각각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 연장부(1222) 각각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의 일부는 제2 연장부(1222) 각각에 내접하여 관통 위치됨으로써 상호 회동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은 회동되어 접힌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 각각은 제2 연장부(1222)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연결프레임(121)과 포개어지도록 폴딩(folding)될 수 있고,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은 상호 포개어진 상태로 수용공간(12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폴딩된 상태의 측면프레임(110)은 전방프레임(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채 위치될 수 있고, 바디구조체(100) 형상의 부피는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10)의 운반 또는 보관시 한 쌍의 측면프레임(110)을 포개어 위치시킬 수 있고, 바디구조체(100)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사용자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의 전방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연결하는 전방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에서 상방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바디구조체;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의 상측에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받침구조체;
    상기 받침구조체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 가능한 안전패드;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하측에 연결되고 지면에 접촉 지지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회전운동부를 포함하는 하부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운동부 각각은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받침구조체는, 사용자의 팔 또는 어깨가 안착 지지되는 팔받침부 및 상기 팔받침부의 양측에서 하방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 각각의 양측 돌출 방향 말단에는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 각각의 양측 말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관통 지지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소정 탄성을 구비한 복수 개의 접지부재를 통해 지면에 안착된 바닥프레임 및 상기 바닥프레임의 양측 각각에서 상방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 각각의 양측 돌출 방향 말단에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의 양측 말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관통 지지구가 형성되는,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구조체, 상기 받침구조체, 상기 안전패드 및 상기 하부구조체 상호 간은 분리 또는 조립 가능하게 형성된,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 각각에 삽입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바디구조체와 조립되고,
    상기 복수 개의 체결부재는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 각각 및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프레임 각각을 관통 결속하며,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 각각에는 상호 상이한 높이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높이조절구가 형성된,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전패드는, 사용자의 둔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패드부재 및 상기 패드부재에서 연장된 복수 개의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스트랩 각각은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팔받침부의 하측면에는 각각에 상기 복수 개의 스트랩 각각이 결속되는 복수 개의 고리부재가 형성된,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 각각에 삽입 위치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구조체와 조립되며,
    상기 복수 개의 결합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2 체결프레임을 각각의 측부에서 관통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을 가압 결속하는,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은, 소정 길이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날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각각은 상기 날개프레임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날개프레임 사이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은 회동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접힌 상태로 위치되는,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PCT/KR2020/017140 2019-11-28 2020-11-27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WO2021107702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49177A JP7152815B2 (ja) 2019-11-28 2020-11-27 スタンド型歩行運動器具
US17/432,599 US20220062695A1 (en) 2019-11-28 2020-11-27 Stand type walking exercis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915A KR102113231B1 (ko) 2019-11-28 2019-11-28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KR10-2019-0155915 2019-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702A1 true WO2021107702A1 (ko) 2021-06-03

Family

ID=7091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140 WO2021107702A1 (ko) 2019-11-28 2020-11-27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62695A1 (ko)
JP (1) JP7152815B2 (ko)
KR (1) KR102113231B1 (ko)
WO (1) WO2021107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231B1 (ko) * 2019-11-28 2020-05-20 주식회사 리디자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406A (ja) * 1998-04-08 1999-10-26 Handy Network International:Kk 歩行訓練具
KR20120072154A (ko) * 2010-12-23 2012-07-03 박미진 충격흡수가 가능한 접이식 보행차
KR101174569B1 (ko) * 2010-07-19 2012-08-16 유영선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966342B1 (ko) * 2017-11-10 2019-04-05 박상수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KR102113231B1 (ko) * 2019-11-28 2020-05-20 주식회사 리디자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048Y2 (ja) * 1991-12-27 1996-12-11 日進医療器株式会社 歩行車
US5941807A (en) * 1997-09-19 1999-08-24 Daniel T. Cassidy Torso muscle and spine exercise apparatus
JP3899895B2 (ja) * 2001-10-26 2007-03-28 松下電工株式会社 訓練装置
US7621861B1 (en) * 2007-04-16 2009-11-24 Kalember Robert S Rotational exercise apparatus
US7955240B2 (en) * 2009-06-12 2011-06-07 Yasser Nadim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9393458B1 (en) * 2015-02-28 2016-07-19 Blu Sky Solutions, Llc (Dba Rotex) Rotational resistance system
KR101825414B1 (ko) 2017-09-26 2018-02-05 박재민 보행 보조 장치
US20220152448A1 (en) * 2020-02-20 2022-05-19 Greg Bosch Exercise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406A (ja) * 1998-04-08 1999-10-26 Handy Network International:Kk 歩行訓練具
KR101174569B1 (ko) * 2010-07-19 2012-08-16 유영선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120072154A (ko) * 2010-12-23 2012-07-03 박미진 충격흡수가 가능한 접이식 보행차
KR101966342B1 (ko) * 2017-11-10 2019-04-05 박상수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KR102113231B1 (ko) * 2019-11-28 2020-05-20 주식회사 리디자인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52815B2 (ja) 2022-10-13
JP2022521743A (ja) 2022-04-12
US20220062695A1 (en) 2022-03-03
KR102113231B1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9152B2 (en) Rotational and linear resistance force exercise apparatus
EP2323610B1 (en) Walker
US8061376B2 (en) Stable wheeled walker device
WO2014065493A1 (ko) 뇌졸중 환자의 보행재활 치료용 로봇
WO2011102671A2 (ko) 팔운동을 병행하는 헬스 자전거
US20050183759A1 (en) Walker with harness for an elderly, handicapped or convalescent person
US20020128124A1 (en) Exercise device with body extension mechanism
JPH0386182A (ja) 運動装置
WO2009154359A2 (ko) 허리 밀착형 훌라후프
US10272289B2 (en) Lower extremity receiving device for providing enhanced leg mobility during lower body exercise
WO2021107702A1 (ko) 스탠드형 보행 운동 기구
WO2017150783A1 (ko) 변기용 발판
WO2020080852A1 (ko) 신체균형 보조기구
WO2014181977A1 (ko) 다기능 슬라이드 운동기구
WO2021040235A1 (ko) 수영 보조기구
CN209864536U (zh) 用于偏瘫患者步态康复训练的投射装置
WO2010140808A2 (ko) 다목적 운동기구
WO2021015476A1 (ko) 목발
WO2018074656A1 (ko) 버티컬스테퍼 운동기구
WO2021107594A1 (ko) 유아 캐리어 또는 물품운송장치
US6938630B2 (en) Device for enabling persons with paresis of lower limps to walk
TW202313152A (zh) 主機模組和包含該主機模組的輔具
WO2022191524A1 (ko) 골반 허리보호대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거꾸리
GB2271292A (en) Exercise device
WO2011126337A2 (ko)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40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4917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31/08/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940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