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49807A2 - 식품 조리기 - Google Patents

식품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49807A2
WO2021049807A2 PCT/KR2020/011759 KR2020011759W WO2021049807A2 WO 2021049807 A2 WO2021049807 A2 WO 2021049807A2 KR 2020011759 W KR2020011759 W KR 2020011759W WO 2021049807 A2 WO2021049807 A2 WO 202104980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crew
container
juice
food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17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21049807A3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US17/642,19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22864A1/en
Priority to CN202080070918.7A priority patent/CN114502042B/zh
Priority to EP20863208.3A priority patent/EP4029414A4/en
Priority to AU2020344408A priority patent/AU2020344408A1/en
Priority to JP2022516032A priority patent/JP2022548236A/ja
Publication of WO202104980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49807A2/ko
Publication of WO202104980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4980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3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cone or ream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cooker that juices food ingredients.
  • Various food cookers such as a blender, a green juicer, and an undiluted juicer, are used to crush, mix, and juice food.
  • a green juicer and an undiluted juicer separates the juice of the food material by pulverizing and compressing the food material at a low speed.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00273 (20005.10.18)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oker with improved juice efficiency.
  •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screw having a crushing blade, a container rotatably accommodating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screw, and a container extending upward from the container, and food ingredients are introduced at the top. And a material guide portion provided with a material input port to guide the food material inputted through the material input port into the container, and the material guide portion is eccen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so that one side of the material guide portion contacts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material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and the lower end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guide part is formed to be deflected toward the tip side of the screw.
  •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guide has an upper lin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nd an outer line connecting point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s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and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line toward the tip side of the screw from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line.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 lower line to form.
  • the first edge line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screw with the lower line of the edge line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guide part and the container is the base end of the screw with the lower line of the edge line at the center. Compared to the second edge line adjacent to the side, it is possible to form a steeper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crew.
  • One side of the material guide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in one direction.
  • At least one crushed portion protruding or recessed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 At least a portion of the crushing portion may form a stepped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crew.
  • a material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screw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food material that has entered the container through the material guide.
  • 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cover that rotatably accommodates the front end of the screw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and a juice filter provided between the filter cover and the screw.
  • the juice filter is provided to surround the front end of the screw,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filter so as to surround the inner filter and the inner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slits, and in a state coupled to the inner filter, the plurality of It includes an outer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plugs that form a slit and a fine gap and are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slits, and the juice liquid generated by squeezing food ingredients between the tip side of the screw and the inner filter forms the fine gap. Through it may be discharged between the outer filter and the filter cover.
  • a juice liquid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juice liquid discharged between the outer filter and the filter cover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the filter cover includes a downward inclined surface toward the container so that the juice liquid flows to the juice liquid discharge port. can do.
  • a discharge prevention piec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juice outlet to prevent the food material injected into the container or food material by-product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eing juiced from being directly discharged through the juice liquid outle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juice filter. can do.
  • the discharge preventing piece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inner filter.
  • the inner filter includes a first waste outlet through which the food material is juiced between the front end side of the screw and the inner filter, and the waste produced by the food material is juiced. It can be discharged between the outlets.
  • a portion adjacent to the tip of the screw may be elastically deformable, so that the debris generated by the juice of the food material elastically deforms and discharges the portion adjacent to the tip of the screw by the extrusion force caused by rotation of the screw.
  • the filter cover may include a second waste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aste discharge port, and the juice liquid discharge prevention part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waste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waste discharge por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cooker shown in FIG. 1.
  • FIG. 3 is a side view of the food cooker shown in FIG. 1.
  • FIG.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nd a filter cover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direc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w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ut-away view of a container, a screw, and a filter cover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filter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filter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filter and an outer filter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 FIG. 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filter and an outer filter of the food cooker are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cut-away view of the food cooker of FIG. 1.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cooker shown in FIG. 1.
  • the food cooker 1 includes a container 10 in which a material guide 20 is formed, a screw 50, a juice filter 60, and juice It includes a liquid discharge preventing portion 70 and a filter cover (80).
  • the material guide 20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cover 30.
  • the safety cover 30 may be installed in the material inlet 21 formed at the top of the material guide 20.
  • the safety cover 30 includes a first portion 32 in which the material inlet 31 is formed and a second portion 33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ortion 32.
  • the safety cover 3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material guide part 20, and as shown in FIG. 1, the first part 32 covers the material input port 21 to cover the material of the safety cover 30.
  • the inlet 31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so that it is maintained at the top of the material guide 20. In the state of FIG. 1, the user can put food ingredients through the material input port 31 of the safety cover 30.
  • the user rotates the safety cover 30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1) to the material guide 20 After the material input port 21 of) is exposed, food ingredients may be injected through the material input port 21 of the material guide unit 20.
  • the second part 33 rises and extend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material guide part 20 (from the material inlet 21). It blocks the path of moving food ingredients). Therefore, even if the material inlet 21 of the material guide portion 20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is exposed, it is second that the user's hand enters the inside of the material guide portion 20 and enters the screw 50 to be described later. Blocked by the portion 33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 a lock switch 25 capable of fixing the safety cover 3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material guide 20.
  • the material guide part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substantially vertically downward, and the container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an approximately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aterial guide part 20 a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 May be integrally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FIG. 3 is a side view of the food cooker shown in FIG. 1.
  • the material guide 20 is provid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10.
  • the material guide portion 20 is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10 so that one side 2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10 and the other side 22 is in contact with the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10. It is placed eccentrically.
  • the material guide part 20 is formed extending upward from the container 10 but is configured to be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10, the food material falling toward the container 10 along the material guide part 20 is the container 10 Since the food material is eccentric to the other side of the container 10 and flows into the container 10, the food material naturally enters between the container 10 and the screw 50 rotating in the container 10, and is crushed and compressed by the screw 50.
  • the eccentric direction of the material guide 20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screw 50. That is, in FIG. 3, the material guide 20 is disposed eccentrically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10, and in this case, the screw 50 is preferably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food ingredients fall eccentrically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screw 50, and the screw 50 rotates downward at the point where the food ingredients and the screw 50 meet, so the screw 50 crushes the ingredients at the same time as they fall. It can be moved fo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juice filter 60).
  • the material guide 20 is eccen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container 10 and/or the screw 50, the material guides to the extent that food materials with a large diameter (for example, apples, etc.) can be inserted immediately without cutting.
  • a large diameter for example, apples, etc.
  • the silver container 10 is formed extending upward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0 and/or the rotation axis of the screw 50 in one directio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ccentric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G.
  • one side 21 of the material guide portion 20 is formed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0 and/or the rotation axis of the screw 50, or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0 and/or the screw 50 ), in the case of extending upward from a position spaced from the axis of rotation in the eccentric direction, the material guide part 20 is significantly spaced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0, so that the food material having a large weight is transferred through the material guide part 20.
  • the food cooker 1 When the food cooker 1 is inserted, the food cooker 1 can be turned over, and if the size of the material guide 20 is reduced to reduce the risk of the fall of the food cooker 1, food materials with a large diameter (for example, apples, etc.) can be inserted immediately. It is not possible, and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cut and put in advance occurs.
  • FIG.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nd a filter cover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wer end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surface 22 of the material guide portion 20 is formed to be deflected toward the front end side of the screw 50 (filter cover 80 side).
  •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surface 22 of the material guide 20 forms outer lines 22a and 22b connecting point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s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and the outer lines 22a and 22b are It is formed to include an upper line 22a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and a lower line 22b forming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line 22a toward the tip side of the screw 5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line 22a.
  • edge lines 22c and 22d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22 of the material guide 20 and the container 10 are formed of the screw 50 with the lower line 22b as the center. It includes a first edge line 22c close to the tip side and a second edge line 22d close to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screw, and as shown in FIG. 4, the first edge line 22c is a second edge line ( Compared to 22d), it forms a steeper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r the rotation axis of the screw 50.
  • the screw 50 rotates, the input food ingredients are crushed and compressed, and the food ingredients are transferr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screw 50.
  • the flow of the food material that is guided between the screw 5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22 of the material guide 20 or crushed and compressed therebetween is naturally guided to the tip side of the screw 50 do.
  • the food cooker 1 Due to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container 10 of the material guide unit 20 described above, the food cook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erform the juice of the food material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and the user can screw the food material.
  • the push rod In order to inflow into the (50) side, since there is no need to press the food ingredients by entering a separate push rod through the material inlet 21 of the material guide part 20, the push rod is sucked into the screw 50 in the process of using the push rod.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the food cooker 1 being damaged or the food cooker 1 being overturned in the process of pressing food ingredients with a pressing rod.
  • the container 10 has a base 11 rotatably supporting the screw rotation gear 52 forming the base end of the screw 50, and a coupling end 12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cover 8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each.
  • the end of the screw rotation gear 5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11 (see Fig. 7).
  • the base 11 is coupled to a body not shown, and the body is provided with a motor that provides power to rotate the screw 50, and the end of the screw rotation gear 5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11 is a base As (11) is coupled to the main body, it can be coupl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 a juice liquid discharge port 15 penetrating downward through the container 10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upling end 12 (see FIG. 12).
  • a juice liquid outlet opening and closing part 40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juice liquid outlet 15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 2 and 3, the juice liquid outlet opening and closing part 40 is provided to be rotat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juice liquid outlet 15 and opening and closing It includes a handle portion 42 capable of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plate 41.
  •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juice liquid outlet opening/closing part 40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10 may be designed to be modified.
  • it is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juice liquid outlet 15 while moving or rot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10, or a ball-type locking method may be applied.
  • the container 10 accommodates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screw 50 therein, and the distal end side of the screw 5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upling end 12 (see FIG. 7 ). While the screw 50 rotates, the food material guided into the container 10 is crushed and compressed between the screw 50 and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
  •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direction.
  • a plurality of crushing portions 13a and 13b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
  • the crushing portions 13a and 13b may include a stepped step 13a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direction R of the screw 50 and a recess 13b recessed into the inner wall.
  • Each of the crushing parts 13a and 13b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crew 50.
  • the crushing parts 13a and 13b are pressed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 by the screw 50 and crush the moving food material to improve pulverization and juice efficiency.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w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ut-away view of a container, a screw, and a filter cover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crew 50 includes a crushing blade 51, a screw rotation gear 52, a tip protrusion 53, and a material receiving groove 54.
  • the crushing blade 51 rotates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extends from the base end side (screw rotation gear 52) to the tip side (tip protrusion 53).
  • the crushing blade 51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crushing blade 51 may decrease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and the overall diameter of the screw 50 may also be formed to decrease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 the crushing blade 51 is formed to have a higher density at the front end side than at the base end side (so that the gap between the crushing blades 51 is narrower). This is mainly accomplished by crushing the food material between the screw 50 and the container 10 at the base end of the screw 50, but the juice of the food material between the screw 50 and the juice filter 60 at the distal end of the screw 50 Because it is mainly done.
  • the screw rotation gear 52 which is the base end of the screw 50,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base 11 of the container 10, and the tip protrusion 53 that is the tip of the screw 50 Is rotatably supported on a filter cover 80 coupled to the container 10.
  • the crushing blade 51 is not formed on the tip protrusion 5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protrusion 53 is preferably formed smoothly.
  • a material receiving groove 54 is formed at the base end side of the screw 50, more specifically, in a portion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0 and positioned vertically below the material inlet 21 of the material guide portion 20.
  • the material receiving groove 54 is formed in a shape that corresponds to a portion of the average appearance of food materials that are frequently inputted by users, such as apples,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mong food materials input through the material guide unit 20 desirable.
  • the food material is crushed by the crushing blade 51 of the screw 50 more quickly by the material receiving groove 54 formed in the screw 50, or by entering between the screw 50 and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 to be crushed. And squeezed.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filter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filter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filter and the outer filter of the food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It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 the juice filter 60 of the food cooker 1 includes an inner filter 61 and an outer filter 62.
  • the inner filter 61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first rim 61a and the second rim 61b are located at both ends, the first rim 61a and the second rim A plurality of slits 61c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s 61d connecting the 61b.
  • the inner filter 61 is mounted so as to surround the tip side of the screw 50.
  • the food material crushed by the base end side of the screw 50 in the container 10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50 moves to the tip side along the crushing blade 51 of the screw 50 and moves to the tip side of the screw 50. It flows between the and the inner filter (61).
  • the food material introduced between the inner filter 61 and the screw 50 moves toward the front en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50 and is further crushed and compressed between the inner filter 61 and the screw 50.
  • the first rim 61a is located inside the coupling end 12 of the container, and the second rim 61b accommodates the tip protrusion 53 of the screw 50.
  • the first rim (61a)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rim (61b) so that it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inner filter (61), and the ingredients go to the tip of the screw (50) so that juice is effectively performed.
  • the 2 rim 61b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rim 61a.
  • a plurality of slits (61c)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econd rim (61b) toward the first rim (61a), whereby a part of the side portion (61d) is cut off by the slit (61c). You will have a shape.
  • a plurality of crushed pieces 61e protruding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portion 61d.
  • the crushed piece 61e pulverizes the food material pres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filter 61 by the screw 50 to improve the crushing efficiency of the food material.
  • the crushed pieces 61e may be form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slit 61c. It is preferable that the crushed piece 61e is formed so that the slit 61c is positioned after the crushed piece 61e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crew 50.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outer filter 62 to be described later, the slit 61c forms a path through which the food material is juiced and the generated juice is discharged. As the crushed piece 61e is located before the slit 61c, the crushed piece (61e) performs the function of a bump for preventing the food ingredients from being juiced and the generated residue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slit 61c.
  • the inner filter 61 may include a discharge preventing piece 61f extending from the first rim 61a.
  • the discharge prevention piece 61f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juice outlet 15 (see Fig. 12), so that food material by-products (juicing liquid, debris, food material debris, etc.)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eing pulverized in the container are transferred to the juice liquid outlet. Prevents from falling.
  • the space surrounded by the second rim 61b becomes a first waste discharge port 61g (refer to FIG. 10). That is, food ingredients are juiced between the screw 50 and the inner filter 61, and the generated residue moves to the front end of the screw 50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5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waste outlet 61g. .
  • the outer filter 62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first rim (62a) and the second rim (62c) are located at both ends, the first rim (62a) and the second rim A plurality of plugs 62d connecting 62c are formed.
  • a reinforcing rim 62b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plugs 62d from the outsid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rim 62a and the second rim 62c.
  • the outer filter 6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filter 61 so as to surround the inner filter 61.
  • a plurality of plugs 62d of the outer filter 62 are each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its 61c of the inner filter 61. ) Is inserted to correspond to one-to-one. At the same time, portions of the side portions 61d of the inner filter 61 having a shape cut off by the slit 61c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lugs 62d of the outer filter 62.
  • a fine gap is formed between the slit 61c and the plug 62d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filter 62 and the inner filter 61 are completely coupled, and the inner filter 61 and the screw ( 50)
  • the juice generated by the juice of the food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juice filter 60 through the micro gap, and the residue produced in the process of juice juice cannot be discharged to the micro gap, and the screw 50 By rotation, it moves to the front end of the screw 5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waste discharge port 61g.
  • the reinforcing rim 62b prevents the microgap from being widen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lugs 62d during the process of juice juice.
  • the food cooker 1 is juiced into a fine gap created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filter 61 and the outer filter 62 are combined through an inner filter 61 and an outer filter 62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Since the liquid is discharged, the mixture of the juice is prevented, and when the inner filter 61 and the outer filter 62 are separated, the slit 61c of the inner filter 61 and the plug of the outer filter 62 ( It is easy to clean because the space between 62d) is wider than that of the fine gap.
  • FIG. 12 is a cut-away view of the food cooker of FIG. 1.
  • the juice liquid discharge prevention part 7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rim 62c of the outer filter 62, and the screw 50 in the center It includes an elastic deformation portion 71 formed with a tip protrusion receiving hole 72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tip protrusion 53.
  • the juice liquid discharge prevention part 70 is installed so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7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ip protrusion 53, and the first waste discharge port 61g and the tip protrusion 53 ) To prevent the juice from being discharged.
  •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71 is rotated by the screw 50 so that the food material is juiced from the inner filter 61 and the generated waste is discharged between the first waste discharge port 61g and the tip protrusion 53. Accordingly, it i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extrusion force applied to the waste. Accordingly, the food material residue generated inside the inner filter 61 deforms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71 and is discharged between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71 and the tip protrusion 53.
  • the filter cover 80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side of the screw 50, the juice filter 60 and the juice discharge prevention part 70 are accommodated, and the coupling end of the container 10 It is detachably attached to (12).
  • One end 81 of the filter cover 80 is formed with a fastening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end 12 of the container 10, and the other end 82 accommodates the tip protrusion 53 of the screw 50
  • a second waste discharge port 83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aste discharge port 61g so that the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waste discharge port 61g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cover 80.
  • the side connecting one end 81 and the other end 82 of the filter cover 80 serves as a flow path for guiding the juice discharged from the juice filter 60 to the juice liquid outlet 15, and shown in FIG. As shown, the side of the filter cover 80 may form a downward slope toward the juice outlet 15 so that the juice discharged from the juice filter 60 naturally flows to the juice outlet 1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는, 파쇄날이 형성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기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에는 식재료가 투입되는 재료 투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재료 투입구로 투입된 식재료를 상기 용기 내부로 안내하는 재료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 안내부는 상기 용기에 대해 편심 배치되어 상기 재료 안내부의 일측은 상기 용기의 상부측에 접하고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은 상기 용기의 측부 및 하부측과 접하며,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의 하단측은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향해 편향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식품 조리기
본 발명은 식품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재료를 착즙하는 식품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에 분쇄, 혼합, 착즙 등을 수행하는 블렌더, 녹즙기, 원액기 등의 다양한 식품 조리기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녹즙기와 원액기는 식재료를 저속으로 분쇄 및 압착하여 식재료의 착즙액을 분리한다.
그러나 사과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나 부피가 큰 식재료의 경우 사용자가 녹즙기나 원액기에 투입하기 전에 미리 작게 절단하여 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는 작게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투입하더라도 스크류와 용기 사이로 식재료가 유입되지 않아 분쇄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00273호(20005.10.1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착즙 효율이 향상된 식품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는, 파쇄날이 형성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기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에는 식재료가 투입되는 재료 투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재료 투입구로 투입된 식재료를 상기 용기 내부로 안내하는 재료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 안내부는 상기 용기에 대해 편심 배치되어 상기 재료 안내부의 일측은 상기 용기의 상부측에 접하고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은 상기 용기의 측부 및 하부측과 접하며,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의 하단측은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향해 편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은 동일 수평면 상에서 최외곽에 위치한 지점들을 연결하는 외곽 라인이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라인과 상기 상부 라인의 하부에서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향해 상기 상부 라인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는 하부 라인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과 상기 용기의 경계를 형성하는 에지 라인 중 상기 하부 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에 인접한 제1 에지 라인은 상기 에지 라인 중 상기 하부 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스크류의 기단측에 인접한 제2 에지 라인에 비해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에 대해 더 급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재료 안내부의 일측은 상기 용기의 중심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내벽에는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쇄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대해 돌출되는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일측에는 상기 재료 안내부를 통해 상기 용기 내로 진입한 식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재료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커버 및 상기 필터 커버와 상기 스크류 사이에 구비되는 착즙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즙 필터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내측 필터 및 상기 내측 필터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측 필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측 필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슬릿과 미세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슬릿 내로 수용되는 복수의 플러그를 구비한 외측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과 상기 내측 필터 사이에서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착즙액은 상기 미세 간극을 통해 상기 외측 필터와 상기 필터 커버 사이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하부면에는 상기 외측 필터와 상기 필터 커버 사이로 배출된 착즙액이 배출되는 착즙액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착즙액이 상기 착즙액 배출구로 흘러가도록 상기 용기를 향한 하향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즙액 배출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내로 투입된 식재료 또는 식재료가 착즙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식재료 부산물이 상기 착즙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상기 착즙액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 방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방지편은 상기 내측 필터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필터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과 상기 내측 필터 사이에서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찌꺼기가 배출되는 제1 찌꺼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찌꺼기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 사이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상기 스크류 선단 사이에 개재되어,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착즙액이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착즙액 배출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즙액 배출 방지부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인접한 부분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찌꺼기가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른 압출력에 의해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인접한 부분을 탄성 변형시키며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제2 찌꺼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착즙액 배출 방지부는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상기 제2 찌꺼기 배출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직경이 큰 식재료를 사전에 절단하지 않고도 투입할 수 있는 대구경의 재료 투입구를 가지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식품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식재료가 스크류와 용기 사이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하여,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식재료의 분쇄가 가능한 식품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즙액이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찌꺼기가 착즙액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즙 효율이 향상된 식품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품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품 조리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용기와 필터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용기의 다른 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용기, 스크류 및 필터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절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내측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외측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내측 필터와 외측 필터가 조립되는 중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내측 필터와 외측 필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식품 조리기의 절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품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1)는 재료 안내부(20)가 형성된 용기(10), 스크류(50), 착즙 필터(60), 착즙액 배출 방지부(70) 및 필터 커버(80)를 포함한다.
재료 안내부(20)는 안전 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커버(30)는 재료 안내부(20)의 상단에 형성된 재료 투입구(21)에 설치될 수 있다. 안전 커버(30)는 재료 투입구(31)가 형성된 제1 부분(32)과 제1 부분(32)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부분(33)을 포함한다.
안전 커버(30)는 재료 안내부(2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32)이 재료 투입구(21)를 덮어 안전 커버(30)의 재료 투입구(31)가 재료 안내부(20)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회전축에 대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도 1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안전 커버(30)의 재료 투입구(31)를 통해 식재료를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안전 커버(30)의 재료 투입구(3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식재료를 투입하는 경우, 사용자는 안전 커버(30)를 회동시켜(도 1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재료 안내부(20)의 재료 투입구(21)가 노출되도록 한 후, 재료 안내부(20)의 재료 투입구(21)를 통해 식재료를 투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안전 커버(30)를 회동시켜 제1 부분(32)이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제2 부분(33)이 상승하여 재료 안내부(20)의 내부(재료 투입구(21)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식재료 이동 경로)를 가로막는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재료 안내부(20)의 재료 투입구(21)가 노출되더라도 사용자의 손 등이 재료 안내부(20)의 내부로 진입하여 후술하는 스크류(50)까지 진입하는 것이 제2 부분(33)에 의해 차단되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안내부(20)의 상단에는 안전 커버(30)를 고정할 수 있는 잠금 스위치(25)가 구비될 수 있다.
재료 안내부(20)는 대략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용기(10)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재료 안내부(20)와 용기(10)의 내부는 서로 연통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품 조리기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안내부(20)는 용기(10)에 대해 비대칭으로 구비된다.
즉, 재료 안내부(20)는 일측면(21)이 용기(10)의 상부측에 접하고, 타측면(22)이 용기(10)의 측부 및 하부측과 접하도록, 용기(10)에 대해 편심 배치된다.
재료 안내부(20)를 용기(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하되 용기(10)에 대해 편심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재료 안내부(20)를 따라 용기(10) 측으로 낙하하는 식재료는 용기(10)의 타측으로 편심되어 용기(10) 내로 유입되므로, 식재료가 용기(10)와 용기(10)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류(50) 사이로 자연스럽게 진입하여, 스크류(50)에 의해 분쇄 및 압착되게 된다.
재료 안내부(20)의 편심 방향은 스크류(50)의 회전 방향에 대응한다. 즉, 도 3에는 재료 안내부(20)가 용기(10)에 대해 우측 방향으로 편심 배치되어 있는데, 이 경우 스크류(5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식재료가 스크류(50)의 회전축에 대해 우측으로 편심하여 낙하하는데, 식재료와 스크류(50)가 만나는 지점에서 스크류(50)는 하방으로 회전하므로, 스크류(50)가 식재료를 낙하와 동시에 분쇄하며 전방(착즙 필터(60) 방향으로)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을 기준으로, 스크류(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재료 안내부(20)가 용기(10)에 대해 좌측으로 편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 안내부(20)가 용기(10) 및/또는 스크류(50)의 회전축에 대해 편심 배치되더라도, 직경이 큰 식재료(예를 들어, 사과 등)를 절단하지 않고 바로 투입할 수 있을 정도로 재료 안내부(20)의 재료 투입구(21)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면서도 식품 조리기(1)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안내부(20)의 일측면(21)은 용기(10)의 중심 및/또는 스크류(50)의 회전축에 대해 일측 방향(편심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거리(G)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재료 안내부(20)의 일측면(21)이 용기(10)의 중심 및/또는 스크류(50)의 회전축 상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용기(10)의 중심 및/또는 스크류(50)의 회전축에 대해 편심 방향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에는, 재료 안내부(20)가 용기(10)의 중심으로부터 상당히 이격되어 중량이 큰 식재료를 재료 안내부(20)를 통해 투입하면 식품 조리기(1)가 전도될 수 있고, 식품 조리기(1)의 전도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재료 안내부(20)의 크기를 줄이면 직경이 큰 식재료(예를 들어, 사과 등)를 바로 투입할 수 없고 사용자가 미리 절단하여 투입하여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용기와 필터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안내부(20)의 타측면(22)의 내면의 하단측은 스크류(50)의 선단측(필터 커버(80)측)을 향해 편향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료 안내부(20)의 타측면(22)의 내면은 동일 수평면 상에서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점들을 연결하는 외곽 라인(22a, 22b)을 형성하며, 외곽 라인(22a, 22b)은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라인(22a)과 상부 라인(22a)의 하부에서 스크류(50)의 선단측을 향해 상부 라인(22a)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는 하부 라인(22b)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재료 안내부(20)의 타측면(22)의 내면의 하단측과 용기(10)의 경계를 형성하는 에지 라인(22c, 22d)은 하부 라인(22b)을 중심으로 스크류(50)의 선단측에 가까운 제1 에지 라인(22c)과 스크류의 기단측에 가까운 제2 에지 라인(22d)을 포함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지 라인(22c)은 제2 에지 라인(22d)에 비해 스크류(50)의 회전축 또는 수평면에 대해 더 급한 경사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1)는 스크류(50)가 회전하며 투입된 식재료가 분쇄 및 압착되며 식재료를 스크류(50)의 선단측으로 이송시키는데, 재료 안내부(20)의 타측면(22)의 내면의 위와 같은 형상에 의해, 스크류(50)와 재료 안내부(20)의 타측면(22)의 내면 사이로 안내되거나 그 사이에서 분쇄 및 압착된 식재료의 흐름이 스크류(50)의 선단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된다.
상술한 재료 안내부(20)의 용기(10)에 대한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1)는 식재료의 착즙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식재료를 스크류(50) 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별도의 누름봉을 재료 안내부(20)의 재료 투입구(21)를 통해 진입시켜 식재료를 누를 필요가 없으므로 누름봉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누름봉이 스크류(50)에 빨려 들어가 식품 조리기(1)가 파손되거나, 누름봉으로 식재료를 누르는 과정에서 식품 조리기(1)가 전도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용기(10)는 스크류(50)의 기단을 형성하는 스크류 회전 기어(5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11)와, 필터 커버(8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단(12)을 각각 양단에 구비한다.
스크류 회전 기어(52)의 단부는 베이스(11)의 외부로 노출된다(도 7 참고). 베이스(11)는 도시되지 않은 본체와 결합되는데, 본체에는 스크류(5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구비되며, 베이스(11)의 외부로 노출된 스크류 회전 기어(52)의 단부는 베이스(11)가 본체에 결합됨에 따라 모터의 출력축과 결합될 수 있다.
용기(10)의 바닥면에는 결합단(12)과 인접한 위치에 용기(10)를 하방으로 관통하는 착즙액 배출구(15)가 형성된다(도 12 참고).
용기(10)의 하부에는 착즙액 배출구(15)를 개폐할 수 있는 착즙액 배출구 개폐부(40)가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액 배출구 개폐부(40)는 용기(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착즙액 배출구(15)를 개폐하는 개폐 플레이트(41)와 개폐 플레이트(41)의 개폐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부(42)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착즙액 배출구 개폐부(40)의 용기(10)에 대한 개폐 방향을 변형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동하며 착즙액 배출구(15)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거나, 볼 타입의 잠금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용기(10)는 스크류(50)의 기단측을 내부에 수용하고, 스크류(50)의 선단측은 결합단(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도 7 참고). 스크류(50)는 회전하는 동안 용기(10) 내부로 안내된 식재료는 스크류(50)와 용기(10)의 내벽 사이에서 분쇄 및 압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용기의 다른 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내벽에는 복수의 파쇄부(13a, 13b)가 형성될 수 있다. 파쇄부(13a, 13b)는 스크류(50)의 회전 방향(R)에 대해 돌출 형성된 단턱(13a)과 내벽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리세스(13b)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파쇄부(13a, 13b)는 스크류(50)의 회전축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파쇄부(13a, 13b)는 스크류(50)에 의해 용기(10)의 내벽에 가압되며 이동하는 식재료를 분쇄하여 분쇄 및 착즙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용기, 스크류 및 필터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절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50)는 파쇄날(51), 스크류 회전 기어(52), 선단 돌기(53) 및 재료 수용홈(54)을 포함한다.
파쇄날(51)은 외주를 따라 회전하며 기단측(스크류 회전 기어(52))에서 선단측(선단 돌기(53))으로 연장 형성된다. 파쇄날(51)은 1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파쇄날(51)의 돌출 높이는 기단측에서 선단측으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으며, 스크류(50)의 전체적인 직경 역시 기단측에서 선단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착즙 필터(60) 및 필터 커버(80)의 형상이 용기(10) 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파쇄날(51)은 기단측 보다 선단측에서 높은 밀도를 갖도록(파쇄날(51) 사이의 간극이 좁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크류(50)의 기단측에서는 스크류(50)와 용기(10) 사이에서 식재료의 분쇄가 주로 이루어지만, 스크류(50)의 선단측에서는 스크류(50)와 착즙 필터(60) 사이에서 식재료의 착즙이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50)의 기단인 스크류 회전 기어(52)는 용기(10)의 베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크류(50)의 선단인 선단 돌기(53)는 용기(10)에 결합된 필터 커버(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크류(5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선단 돌기(53)에는 파쇄날(51)이 형성되지 않고, 선단 돌기(53)의 외면은 매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50)의 기단측,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10) 내에 수용되며 재료 안내부(20)의 재료 투입구(21)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재료 수용홈(54)이 형성된다.
재료 수용홈(54)은 재료 안내부(20)를 통해 투입되는 식재료 중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고 사용자가 빈번하게 투입하는 식재료, 예를 들어 사과, 의 평균적인 외형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직경이 큰 식재료를 재료 안내부(20)를 통해 용기(10) 내로 투입하면, 스크류(50)가 회전하는 중에 식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재료 수용홈(54) 내로 수용되고, 그 상태에서 스크류(50)가 회전하며 파쇄날(51)에 의해 또는 스크류(50)와 용기(10)의 내벽 사이에서 식재료가 분쇄될 수 있다.
즉, 스크류(50)에 형성된 재료 수용홈(54)에 의해 식재료가 보다 빠르게 스크류(50)의 파쇄날(51)에 의해 분쇄되거나, 스크류(50)와 용기(10)의 내벽 사이로 진입하여 분쇄 및 압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내측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외측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내측 필터와 외측 필터가 조립되는 중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내측 필터와 외측 필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1)의 착즙 필터(60)는 내측 필터(61)와 외측 필터(62)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필터(6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1 림(61a)와 제2 림(61b)이 양단에 위치하고, 제1 림(61a)과 제2 림(61b)을 연결하는 측면부(61d)에는 복수의 슬릿(61c)이 형성된다.
내측 필터(61)는 스크류(50)의 선단측을 둘러싸도록 장착된다.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용기(10) 내에서 스크류(50)의 기단측에 의해 분쇄된 식재료는 스크류(50)의 파쇄날(51)을 따라 선단측으로 이동하여 스크류(50)의 선단측과 내측 필터(61) 사이로 유입된다.
내측 필터(61)와 스크류(50) 사이로 유입된 식재료는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선단을 향해 이동하며 내측 필터(61)와 스크류(50) 사이에서 더욱 분쇄 및 압착된다.
제1 림(61a)은 용기의 결합단(12)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2 림(61b)은 스크류(50)의 선단 돌기(53)를 수용하는데, 용기(10) 측으로부터 분쇄된 식재료가 쉽게 내측 필터(6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 림(61a)은 제2 림(61b)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식재료가 스크류(50)의 선단으로 가며 착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2 림(61b)은 제1 림(61a)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슬릿(61c)은 제2 림(61b)으로부터 제1 림(61a)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이로 인해 측면부(61d)의 일부는 슬릿(61c)에 의해 단절된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측면부(61d)의 내측면에는 돌출 형성된 복수의 파쇄편(61e)이 구비될 수 있다. 파쇄편(61e)은 스크류(50)에 의해 내측 필터(61)의 내측면으로 가압되는 식재료를 분쇄하여 식재료의 분쇄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의 파쇄편(61e)은 슬릿(61c)의 일측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파쇄편(61e)은 스크류(5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파쇄편(61e) 이후에 슬릿(61c)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외측 필터(62)과 결합된 이후 슬릿(61c)은 식재료가 착즙되며 생성된 착즙액이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데, 파쇄편(61e)이 슬릿(61c) 이전에 위치함에 따라, 파쇄편(61e)은 식재료가 착즙되며 생성된 찌꺼기가 슬릿(61c)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필터(61)는 제1 림(61a)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배출 방지편(61f)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방지편(61f)은 착즙액 배출구(15)의 상부에 위치하여(도 12 참고) 식재료가 용기 내에서 분쇄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식재료 부산물(착즙액, 찌꺼기, 식재료 파편 등)이 착즙액 배출구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림(61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제1 찌꺼기 배출구(61g, 도 10 참고)가 된다. 즉, 스크류(50)와 내측 필터(61) 사이에서 식재료가 착즙되며 생성된 찌꺼기는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50)의 선단 측으로 이동하여 제1 찌꺼기 배출구(61g)를 통해 배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필터(62)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1 림(62a)와 제2 림(62c)이 양단에 위치하고, 제1 림(62a)과 제2 림(62c)을 연결하는 복수의 플러그(62d)가 형성된다. 제1 림(62a)과 제2 림(62c) 사이에는 복수의 플러그(62d)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보강림(62b)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필터(62)는 내측 필터(61)를 둘러싸도록 내측 필터(6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필터(62)와 내측 필터(61)는 결합되는 과정에서, 외측 필터(62)의 복수의 플러그(62d)들이 각각 내측 필터(61)의 복수의 슬릿(61c)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삽입된다. 동시에 내측 필터(61)의 측면부(61d) 중 슬릿(61c)에 의해 단절된 형상을 갖는 부분들은 각각 외측 필터(62)의 플러그(62d)들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필터(62)와 내측 필터(61)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슬릿(61c)과 플러그(62d) 사이에는 미세 간극이 형성되고, 내측 필터(61)와 스크류(50) 사이에서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착즙액은 미세 간극을 통해 착즙 필터(60)의 외부로 배출되고, 식재료가 착즙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찌꺼기는 미세 간극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스크류(50)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50)의 선단 측으로 이동하여 제1 찌꺼기 배출구(61g)를 통해 배출된다.
보강림(62b)은 식재료가 착즙되는 과정에서 플러그(62d)들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미세 간극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1)는 쉽게 분리 가능한 내측 필터(61)와 외측 필터(62)를 통해, 내측 필터(61)와 외측 필터(6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생성되는 미세 간극으로 착즙액을 배출하므로 착즙액에 찌꺼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측 필터(61)와 외측 필터(62)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내측 필터(61)의 슬릿(61c)과 외측 필터(62)의 플러그(62d) 사이의 공간이 미세 간극에 비해 넓으므로 세척이 용이하다.
도 12는 도 1의 식품 조리기의 절개도이다.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액 배출 방지부(70)는 외측 필터(62)의 제2 림(62c)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중앙에 스크류(50)의 선단 돌기(53)를 수용할 수 있는 선단 돌기 수용홀(72)이 형성된 탄성 변형부(71)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액 배출 방지부(70)는 탄성 변형부(71)가 선단 돌기(53)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제1 찌꺼기 배출구(61g)와 선단 돌기(53) 사이로 착즙액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내측 필터(61) 내부에서 식재료가 착즙되며 생성된 찌꺼기가 제1 찌꺼기 배출구(61g)와 선단 돌기(53) 사이로 배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부(71)는 스크류(50)가 회전함에 따라 찌꺼기에 가해지는 압출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 필터(61) 내부에서 발생한 식재료의 찌꺼기는 탄성 변형부(71)를 변형시키며 탄성 변형부(71)와 선단 돌기(53) 사이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커버(80)는 스크류(50)의 선단측, 착즙 필터(60) 및 착즙액 배출 방지부(70)를 수용한 상태로 용기(10)의 결합단(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필터 커버(80)의 일단(81)에는 용기(10)의 결합단(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 구조가 형성되고, 타단(82)에는 스크류(50)의 선단 돌기(53)를 수용하면서 제1 찌꺼기 배출구(61g)와 연통하여 제1 찌꺼기 배출구(61g)를 통해 배출된 찌꺼기가 필터 커버(8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찌꺼기 배출구(83)가 형성된다.
필터 커버(80)의 일단(81)과 타단(82)을 연결하는 측면은 착즙 필터(60)에서 배출된 착즙액을 착즙액 배출구(15)로 안내하는 유로의 기능을 수행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커버(80)의 측면은 착즙 필터(60)에서 배출된 착즙액이 착즙액 배출구(15)로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착즙액 배출구(15)를 향한 하향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파쇄날이 형성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기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에는 식재료가 투입되는 재료 투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재료 투입구로 투입된 식재료를 상기 용기 내부로 안내하는 재료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 안내부는 상기 용기에 대해 편심 배치되어 상기 재료 안내부의 일측은 상기 용기의 상부측에 접하고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은 상기 용기의 측부 및 하부측과 접하며,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의 하단측은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향해 편향되도록 형성되는, 식품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은 동일 수평면 상에서 최외곽에 위치한 지점들을 연결하는 외곽 라인이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라인과 상기 상부 라인의 하부에서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향해 상기 상부 라인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는 하부 라인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식품 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안내부의 타측의 내면과 상기 용기의 경계를 형성하는 에지 라인 중 상기 하부 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에 인접한 제1 에지 라인은 상기 에지 라인 중 상기 하부 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스크류의 기단측에 인접한 제2 에지 라인에 비해 상기 스크류의 회전축에 대해 더 급한 경사를 형성하는, 식품 조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안내부의 일측은 상기 용기의 중심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식품 조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벽에는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쇄부가 형성되는, 식품 조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대해 돌출되는 단턱을 형성하는, 식품 조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일측에는 상기 재료 안내부를 통해 상기 용기 내로 진입한 식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재료 수용홈이 형성되는, 식품 조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커버; 및
    상기 필터 커버와 상기 스크류 사이에 구비되는 착즙 필터;를 더 포함하는, 식품 조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필터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며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내측 필터 및
    상기 내측 필터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측 필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측 필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슬릿과 미세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슬릿 내로 수용되는 복수의 플러그를 구비한 외측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과 상기 내측 필터 사이에서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착즙액은 상기 미세 간극을 통해 상기 외측 필터와 상기 필터 커버 사이로 배출되는, 식품 조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부면에는 상기 외측 필터와 상기 필터 커버 사이로 배출된 착즙액이 배출되는 착즙액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커버는 착즙액이 상기 착즙액 배출구로 흘러가도록 상기 용기를 향한 하향 경사면을 포함하는, 식품 조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액 배출구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내로 투입된 식재료 또는 식재료가 착즙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식재료 부산물이 상기 착즙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상기 착즙액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 방지편을 더 포함하는, 식품 조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방지편은 상기 내측 필터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식품 조리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필터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측과 상기 내측 필터 사이에서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찌꺼기가 배출되는 제1 찌꺼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찌꺼기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 사이로 배출되는, 식품 조리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상기 스크류 선단 사이에 개재되어,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착즙액이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착즙액 배출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즙액 배출 방지부는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인접한 부분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식재료가 착즙되어 생성된 찌꺼기가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른 압출력에 의해 상기 스크류의 선단과 인접한 부분을 탄성 변형시키며 배출되도록 하는, 식품 조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커버는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제2 찌꺼기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착즙액 배출 방지부는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상기 제2 찌꺼기 배출구 사이에 위치하는, 식품 조리기.
PCT/KR2020/011759 2019-09-11 2020-09-02 식품 조리기 WO2021049807A2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42,190 US20220322864A1 (en) 2019-09-11 2020-09-02 Food processor
CN202080070918.7A CN114502042B (zh) 2019-09-11 2020-09-02 食品加工机
EP20863208.3A EP4029414A4 (en) 2019-09-11 2020-09-02 FOOD COOKER
AU2020344408A AU2020344408A1 (en) 2019-09-11 2020-09-02 Food processor
JP2022516032A JP2022548236A (ja) 2019-09-11 2020-09-02 フードプロセッサ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717 2019-09-11
KR1020190112717A KR20210031144A (ko) 2019-09-11 2019-09-11 식품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9807A2 true WO2021049807A2 (ko) 2021-03-18
WO2021049807A3 WO2021049807A3 (ko) 2021-05-06

Family

ID=7487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1759 WO2021049807A2 (ko) 2019-09-11 2020-09-02 식품 조리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22864A1 (ko)
EP (1) EP4029414A4 (ko)
JP (1) JP2022548236A (ko)
KR (1) KR20210031144A (ko)
CN (2) CN114502042B (ko)
AU (1) AU2020344408A1 (ko)
WO (1) WO202104980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97089A (zh) * 2020-05-29 2023-02-03 爱科技美国股份有限公司 双齿轮榨汁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273A (ko) 2004-04-13 2005-10-1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다목적 녹즙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474Y1 (ko) * 1997-03-31 1999-07-15 전상순 분쇄기
KR200208880Y1 (ko) * 1999-06-09 2001-01-15 김영기 즙 배출로가 형성된 착즙기
KR200287455Y1 (ko) * 2002-05-09 2002-09-05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맷돌형 착즙기
KR100441829B1 (ko) * 2002-05-09 2004-07-30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맷돌형 착즙기
KR200429957Y1 (ko) * 2006-07-13 2006-10-31 이대기 녹즙기
TWI516239B (zh) * 2012-06-29 2016-01-11 金煐麒 果汁壓榨萃取機
KR101496295B1 (ko) * 2012-09-28 2015-03-02 최길윤 착즙기
KR101270140B1 (ko) * 2012-11-09 2013-05-3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모듈
CN106572761A (zh) * 2014-03-14 2017-04-19 塞弗瑞尔花园农场 两级冷压榨汁机
US10524495B2 (en) * 2014-07-22 2020-01-07 Nuc Electronics Co., Ltd.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
CN204520241U (zh) * 2014-08-11 2015-08-05 中国热带农业科学院热带作物品种资源研究所 一种鲜槟榔榨汁机
KR101546047B1 (ko) * 2014-11-07 2015-08-2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녹즙기
KR20160066864A (ko) * 2014-12-03 2016-06-13 코웨이 주식회사 주서기
CN205031003U (zh) * 2015-08-21 2016-02-17 王根星 一种生产水果汁用榨汁机
CN205649313U (zh) * 2016-03-28 2016-10-1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易进料的卧式螺杆挤压食品加工机
KR200488915Y1 (ko) * 2018-02-07 2019-08-13 주식회사 휴롬 착즙 드럼 및 착즙기
CN108433511A (zh) * 2018-05-16 2018-08-24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可制冷的手摇榨汁机
KR200489601Y1 (ko) * 2019-03-19 2019-07-09 주식회사 휴롬 착즙 드럼 및 착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273A (ko) 2004-04-13 2005-10-1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다목적 녹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44408A1 (en) 2022-04-28
US20220322864A1 (en) 2022-10-13
CN114502042B (zh) 2024-01-30
KR20210031144A (ko) 2021-03-19
EP4029414A2 (en) 2022-07-20
WO2021049807A3 (ko) 2021-05-06
CN215077444U (zh) 2021-12-10
JP2022548236A (ja) 2022-11-17
EP4029414A4 (en) 2023-11-01
CN114502042A (zh)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09465A1 (ko) 원액기용 착즙 모듈
WO2014193035A1 (ko) 찌꺼기 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WO2017111516A1 (ko) 착즙기
WO2012091235A1 (ko) 착즙장치
WO2013069828A1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WO2012108588A1 (ko) 다짐 기능을 갖는 수직형 녹즙기
WO2021049807A2 (ko) 식품 조리기
WO2012036381A2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WO2014003447A1 (ko) 원액기
WO2012165713A1 (ko) 주스기
WO2013107011A1 (zh) 一种榨汁机
WO2014196690A1 (ko) 착즙 주서기
WO2016021837A1 (ko) 솔리드망을 포함하는 착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WO2015034207A1 (en) Detachable juice extracting screw assembly and juicer comprising same
WO2022231197A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WO2015156502A1 (ko)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WO2020204306A2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WO2020251125A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CN213721324U (zh) 排渣装置
CN111419070B (zh) 分离螺杆及利用分离螺杆的榨汁机
WO2019156354A1 (ko) 착즙주스기
WO2019156358A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WO2019156359A1 (ko) 착즙기
WO2019156360A1 (ko) 착즙기
WO2020204307A2 (ko) 착즙 주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1603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632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41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344408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00902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632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