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51234A1 -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 Google Patents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51234A1
WO2020251234A1 PCT/KR2020/007431 KR2020007431W WO2020251234A1 WO 2020251234 A1 WO2020251234 A1 WO 2020251234A1 KR 2020007431 W KR2020007431 W KR 2020007431W WO 2020251234 A1 WO2020251234 A1 WO 20202512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portion
water
eco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743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삼식
Original Assignee
박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6825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8214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0944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28404A/ko
Application filed by 박삼식 filed Critical 박삼식
Publication of WO20202512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512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riv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rivers in which water flows smoothly.
  • underwater beams are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in rivers, etc. to store river water, and in particular, the stored river water is used as agricultural or industrial water.
  • underwater beams are constructed using concrete in the lower streams of rivers, etc., and are constructed in a structure that can withstand water overflow due to rapid inflow of water.
  • Patent No. 660008 provides a sediment discharge function that can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 water stored by the underwater beam by discharging the sediment including the sludge that is pushed by the river water and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river below the underwater beam. It relates to an underwater beam having a river, wherein a plurality of sediment discharge passag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of the underwater beam at the bottom of the underwater beam adjacent to the river bottom, an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discharge passage on the back of the underwater beam, the underwater beam is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 a guide rail is installed long along the guide rail, an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is slidingly mounted on the guide rail to open or close the entrance of each of the discharge passages, but each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i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one operation bar, and the operation bar is driven.
  • a configuration of a river submersible beam is disclosed that is connected to the means and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to the discharge passage while sliding left and right through the driving means.
  • the above inventions are configurations having a unique effect in that a separate configuration is provided for the treatment of sediment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underwater beam.
  •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parate driving unit for the discharge of sediment, and requires a lot of cost for construction and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o it is structurally simple and a new structure capable of discharging sediment. Underwater beams are being demand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a river with a simple structure and easy discharge of sedimen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a river installed in a river, comprising: a bottom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river floor; An outer wall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an end of the bottom portion; An inner wall portion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upport portion fixing the inner wall portion to the bottom portion and the outer wall portion, wherein a flow space through which water can flow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and an end of the inner wall portion is higher than an end of the outer wall portion, When the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water is discharged beyond the outer wall after passing through the flow space and a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a river installed in the river, the bottom portion installed on the river floor; An outer wall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an end of the bottom portion; An inner wall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portion and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upport part structurally connecting the outer wall part and the inner wall part; And a pipe portion having an inlet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portion and an outlet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portion, wherein the end of the inner wall portion is higher than the end of the outer wall portion, and when the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portion, water passes through the pip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discharged beyond the outer wall portion.
  • the outer wall por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further comprises an outer surface portion for scattering excess water.
  • the outer surface portion includes an upper plate portion, a middle plate portion, and a lower plate portion sequentially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portion, 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outer wall portion flows down in the order of the upper plate portion, the middle plate portion, and the lower plate portion.
  • a plurality of inclined holes for guiding water to the lower plate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portion, and a scattering portion for scattering water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hole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remaining water is guided downward.
  • a plurality of inclined holes are formed, the lowe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attering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hole of the middle plate,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guiding the rest of the water downward.
  •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upper edge of the inner wall that faces the outer wall.
  • a portion of the lower edge of the inner wall portion facing the outer wall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outer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ed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portion.
  •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portion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bar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collection portion composed of a mesh body that is hinged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portion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bar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collection portion composed of a mesh body hinged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 the inner wall portion further includes a cover portion connected to an end of the outer wall portion, and includes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outer wall portion, the cover portion, the inner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 the pip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ow pip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low pipe, and a storage containe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low pipe.
  • the pipe portion is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pip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et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a river installed in the river, the bottom portion installed on the river floor; An outer wall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an end of the bottom portion; An inner wall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portion and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upport part structurally connecting the outer wall part and the inner wall part; And a pipe portion having an inle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ner wall portion and a plurality of outlets formed in the outer wall por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outlets are sequentially form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portion, and a valve at the outlet except the highest outlet Is attached, and the storage level of the inner wal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alve.
  • it further comprises a cover plate portion connecting the end of the outer wall portion and the inner wall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pace is formed by the cover plate portion, the bottom portion, the outer wall portion and the inner wall portion.
  • the pip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ow pip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low pipe, and a storage containe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low pipe.
  • the outer wall por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further comprises an outer surface portion for scattering excess water.
  • the outer surface portion includes an upper plate portion, a middle plate portion, and a lower plate portion sequentially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portion, 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outer wall portion flows down in the order of the upper plate portion, the middle plate portion, and the lower plate portion.
  • a plurality of inclined holes for guiding water to the lower plate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portion, and a scattering portion for scattering water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hole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remaining water is guided downward.
  • a plurality of inclined holes are formed, the lowe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attering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hole of the middle plate,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guiding the rest of the water downward.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a river installed in a river, the bottom portion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river floor; An outer wall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an end of the bottom portion; An inner wall portion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luice gat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And a support for fixing the inner wall portion to the bottom portion and the outer wall portion, wherein a tunnel portion through which water can flow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and an end of the inner wall portion is higher than an end of the outer wall portion, Whe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sluice gate of the outer wall, water is discharged beyond the sluice gate of the outer wall after passing through the flow space and the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 the sluice gate includes a flat plate that is transferred up and down from the outer wall, and a water lev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at plate.
  • the sluice gate includes a plurality of flat plates transferred from the outer wall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water lev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flat plates.
  • An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a river includes a bottom portion, an outer wall portion extended to the bottom portion, an inner wall portio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outer wall portion,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inner wall portion, and an inner wall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 the water at the bottom is first guided and flows, thereby preventing sediment deposition at the bottom.
  • the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a river includes a bottom portion, an outer wall portion extending to the bottom portion, an inner wall portion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inner wall portion, and an inlet port on the inner wall portion.
  • a plurality of outlets are form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and the water level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alve installed at the outlet, and when the stored water is discharged, the water at the bottom of the river is first induced and flows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of suppressing sediment deposition at the bottom.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a 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of an upper plate part among the outer surface parts shown in FIG. 1,
  • FIG. 3 is a plan view of a middle plate part of the outer surface part shown in FIG. 1,
  •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lower plate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shown in Figure 1,
  • FIG. 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flow of water when water overflows in FIG. 1,
  • FIG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shown in Figure 1,
  • FIG. 7 is another embodiment of an inner wall portion shown in FIG. 1.
  • FIG. 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inlet of the pipe shown in FIG. 8,
  •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low pipe installed in the piping unit
  • FIG.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luice gat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inner wall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a ri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uter wall portion, an inner wall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shown in FIG. 12;
  • FIG. 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iping part shown in FIG. 12,
  • FIG. 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let of the piping part of FIG. 14,
  • FIG. 16 is a plan view of an upper plate portion among the outer surface portions shown in FIG. 12;
  • FIG. 17 is a plan view of a middle plate part of the outer surface part shown in FIG. 12,
  • FIG. 18 is a plan view of a lower plate part of the outer surface part shown in FIG. 12,
  •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a 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a 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flow of water when water overflows in FIG. 20,
  • FIG. 2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luice gate shown in FIG. 20,
  • Figure 23 i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22
  • FIG. 2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flow of water in a state in which the sluice gate is partially opened in FIG. 20.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related to an eco-friendly underwater beam for a river, wherein the river means including a river, a normal river, a small river, a stream, a stream and a ditch, and the underwater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fish farming or agricultural water. .
  • the eco-friendly submersible beam 100 for a river includes a bottom portion 10 installed on a river or river bottom, and an outer wall portion 20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10 as shown in FIG. 1. ), an inner wall portion 50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portion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upport portion 70 supporting the inner wall portion 50, and a collection portion 80 coupled to the inner wall portion 50 ).
  • the bottom part 1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iver floor, and the extent of the width actually construct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ground, but it is constructed to have high rigidity because it also serves as a support for other structures, and the material i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a reinforcing material inside.
  • the underwater bea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hallow river and used for fish farming or agricultural water, it is usually installed at a height of about 1 to 3 m, and the bottom part 10 has the underwater beam 100 of the above height. Strength enough to support is required.
  • the outer wall portion 20 has a configura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bottom portion 10, and has an outer surface portion 30 that stores water on the right side and partially scatters excess water on the left side. .
  • the outer wall part 20 is configured to have an appropriate thickness to withstand the maximum water storage time and when the water overflows and flows down the outer wall part 20, and if necessary, the thickness according to the height It can also be configured differently.
  • the material of the outer wall portion 20 be formed of a concrete structure in the same manner as the bottom portion 10.
  • the concrete structur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lurality of reinforcing materials disposed therein to increase its own stiffness, and the reinforcing material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ng materials that are commonly used.
  • the outer surface portion 3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plate portion 31, a middle plate portion 32, and a lower plate portion 33.
  • the upper plate portion 31 is a flat plate shape extending horizontally at the end of the outer wall portion 20, and the middle plate portion 32 and the lower plate portion 33 are also basically flat plate shape extended to the outer wall portion 20.
  • the middle plate 32 is disposed below the upper plate 31 and the lower plate 33 is disposed below the middle plate 32, respectively.
  • vertically extending sidewalls capable of confining some flowing water may be formed at ends of the upper plate 31, the middle plate 32, and the lower plate 33.
  • the upper plate portion 31 has a plurality of inclined holes 41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a flat plate shape.
  • the inclined hole 41 serves to guide the overflowing water downward, and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funnel shape.
  • a vertical pipe 42 may be extended below the inclined hole 41.
  • a conical scattering part 43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hole 41 of the upper plate part 31.
  • a plurality of protrusions 44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cattering portion 43, and thus serve to scatter water falling through the inclined hole 41 of the upper plate portion 31.
  • the middle plate portion 32 has an inclined hole 41 form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scattering portion 43 is disposed.
  • the inclined hole 41 of the middle plate part 32 also serves to guide water flowing into the middle plate part 32 in a downward direction, and if necessary, a vertical pipe 42 may be extended at the lower end.
  •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middle plate part 32 scatters into the air through the scattering part 43, some of them fall in front of the middle plate part 32, and the rest fall downward through the inclined hole 41. do.
  • a lower plate 33 is disposed below the middle plate 32.
  • the lower plate part 33 has a scattering part 43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hole 41 formed in the middle plate part 32, and the scattering part 43 also has a surface A number of protrusions 44 are formed in the.
  • a plurality of through-holes 45 are formed in a region except for a portion in which the scattering portion 43 is formed.
  • the outer surface portion 30 represents a motion in which water flows, scatters, falls through three stages (the upper plate portion 31, the middle plate portion 32, and the lower plate portion 33), or a mixture thereof. At the same time as increasing the humidity of the surrounding atmosphere,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esthetically unique properties.
  • the inclined hole 41 and the scattering portion 43 of the outer surface portion 30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wo rows, but if necessary, a single row may be used, and furthermore, three or more rows may be formed. .
  • the outer surface portion 30 may be configured by omitting the middle plate portion 32, and the upper plate portion 31, the middle plate portion 32, and the lower plate portion 33 are set as one, so that a plurality of sets are formed. It can also be configured in an arrangement form.
  • a waterproof LED or the like may be mounted on the inclined hole 41, and thus various colors of light may be radiated simultaneously with the scattered water to provide additional aesthetic characteristics.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wall portion 50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portion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outer pipe for discharging stored water such as agricultural water to the outside on the side of the inner wall portion 50 (2) can be installed,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outer tube 2 can be selected as needed.
  • the inner wall portion 50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bottom portion 10 and includes a support portion 70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outer wall portion 20 to fix the inner wall portion 50. .
  • the support portion 70 includes a vertical support portion 71 disposed between 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inner wall portion 50, and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72 disposed between the outer wall portion 20 and the inner wall portion 50. Includes.
  •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71 and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7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water can flow between 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inner wall portion 50 and between the outer wall portion 20 and the inner wall portion 50. To be.
  •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part 50 must be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end of the outer wall part 20 so that the lower water flows through the outer wall part 20 when the river overflows.
  • the inner wall portion 50 is preferably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and the support portion 70 may be made of a beam of surface-treated steel material.
  • the water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river is drained first, and when the flow velocity is generated, the sediment floats away together, thereby exhibiting the self-cleaning ability of the river.
  • the support part 7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ncrete structure, as shown in FIG. 6.
  • the flow space 51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square cross-sections, but if necessary, it may be configured in other shapes, such as a circle.
  •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by configuring the floor part 10, the outer wall part 20, the inner wall part 50, and the support part 70 as a concrete structure.
  • only one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71 or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7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crete structure.
  • an inclined surface 52 may be formed on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inner wall portion 50.
  • the inclined surface 52 has an effect of smoothing the flow of water when water overflows beyond the inner wall portion 50.
  • an inclined surface 53 may be formed in the lower left portion of the inner wall portion 50.
  • the inclined surface 53 has an effect of smoothing the flow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flow space 51, and the inclined surface 11 can be formed on the corresponding bottom portion 10 and the outer wall portion 30, furthermore
  • the shape of the surface of the inner wall portion 50 may also be configured in a curved shape.
  • the inner wall portion 50 includes a horizontal base 60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 a collection unit 80 composed of a mesh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contained in the water flowing into the flow space 51 is coupled via a rotatable hinge.
  • the collection unit 80 when the water level is dry or when the water level is low, the collection unit 80 is rotated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are first accumulated on the top of the horizontal stand 60, and then the accumulated foreign substances can be removed.
  • the rotation of the collection unit 80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ble outside the underwater beam 100 by using a separate rope, belt, or chain.
  • the eco-friendly underwater beam 100 for a 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 the outer wall portion 20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30 are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inner wall portion 50, and a separate conduit 90 through which river water flow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art where I added.
  • the bidak portion 10 is formed deeper than the bottom of the river and includes a support end 12 extending vertically.
  • the support end 1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walls, but may be formed as a single concrete structure.
  • An inner wall part 50 is extend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end 12, and the left side of the inner wall part 50 and the outer wall part 10 are structurally connected by a support base 70.
  • the inner wall portion 50 includes a cover portion 55 extending from an upper end to the outer wall portion 10, and the cover portion 55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entire width of the underwater beam 100.
  • the inner space 57 formed by the outer wall portion 10, the cover portion 55, the inner wall portion 50, and the bottom portion 10 is sealed so that stored water does not flow.
  • the submersible beam 100 includes a pipe portion 90 dispose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wall portion 50 to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portion 10.
  • the inlet 91 of the pipe part 9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part 50, the outlet 9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part 20, and the rest of the It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57.
  • the inlet 91 is shown in a circular shape, but may be configured in other shapes such as a square.
  • a net 85 is formed near the inlet 91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floating objects from entering the inlet 91. If necessary, the mesh 85 may be installed directly at the inlet 91.
  • the inner space 57 may be used for maintenance of the underwater beam 100 in a structure in which a worker can directly enter.
  • a blow pipe 95 directed downward and a valve 9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low pipe 95 may be formed.
  • valve 96 when the valve 96 is opened after the storage container 99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low pipe 95, foreign substances or the like introduced through the piping unit 90 are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99.
  • an uncorrelated pipe portion 97 may be formed to pass between the inner wall portion 50 and the outer wall portion 10.
  • a separate sluice g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on-correlated part 97 is formed on the inner wall part 50 or the outer wall part 20, so that when a rapid rise in water level such as Te Pung is expected, the ⁇ emergency correlated part 97 is opened in advance. Therefore, water can be discharged quickly to prevent a disaster.
  • a sluice gate 58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part 50 to open in an emergency such as a sudden rise in water level, thereby promoting the safety of the underwater beam 100.
  • the eco-friendly submersible beam 200 for a river includes a bottom 210 installed lower than the bottom 201 of a river or river, extending to the bottom 210.
  • the bottom portion 21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iver bottom 201, as shown in FIG. 13, but is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bottom 201, and the bottom 201 and the bottom portion 210 An inclined surface 202 is formed therebetween so that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floor 201 can easily flow to the piping part 290.
  • the extent of the actual width of the floor part 21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ground, but it is constructed to have high rigidity because it also serves as a support for other structures, and the material includes a reinforcing material therein.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concrete structure.
  • the underwater bea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hallow river and used for fish farming or agricultural water, it is usually installed at a high height within a safe range from 1 to possible, and the bottom part 210 is of the height Strength enough to support the underwater beam 200 is required.
  • the outer wall portion 220 is a configura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bottom portion 210, the inner space 260 is formed on the right,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230 for partially scattering overflowing water on the left. ) Is formed.
  • the material of the outer wall part 220 is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in the same way as the bottom part 210.
  • the concrete structur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lurality of reinforcing materials disposed therein to increase its own stiffness, and the reinforcing material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ng materials that are commonly used.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wall portion 250 installed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portion 2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outer pipe for discharging stored water such as agricultural water to the outside on the side of the inner wall portion 250 203 may be installed,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outer tube 203 may be selected as necessary.
  • the inner wall portion 250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bottom portion 210 and includes a support portion 270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210 and the outer wall portion 220 to fix the inner wall portion 250. .
  • the support portion 270 is configured in a beam shape to structurally connect the inner wall portion 250 and the outer wall portion 220 and are formed in a plurality in the width direction.
  • the support part 27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crete beam, but if necessary, a beam made of a surface-treated steel material may be applied.
  •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ll part 250 must be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end of the outer wall part 220 to be advantageous in terms of fresh water.
  • a cover plate portion 251 serving as a roof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portion 250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portion 220.
  • the cover plate portion 251 serves to cover the entire width direction, and when the reservoir overflows, the inside formed by the bottom portion 210, the outer wall portion 220, the cover plate portion 251, and the inner wall portion 250 It prevents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pace 260.
  • the inner space 260 is an enclosed space, it can be used as a space that an administrator can access for maintenance and the like.
  • the eco-friendly underwater beam 200 for a river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inner wall part 250 to the inner space 260 and the outer wall part 20 to discharge the stored water to the outside. It includes a piping part 290.
  • the pipe portion 290 serves to allow water around the bottom 201 and the inclined surface 202 to flow in and discharge it over the outer wall 220, and the flow of water naturally occurs due to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storage level.
  • the piping part 290 includes an inlet 291 and a plurality of outlets 292 and a valve 29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292.
  • the inlet 29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part 250 as shown in FIG. 15, and the outlet 292 is sequentially disposed start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part 220.
  • the valve 293 is installed in the remaining outlet 292 except for the outlet 292 at the highest position to open and close the corresponding outlet 292.
  • the valves 293 are configured for adjusting the water level of the inner wall part 250. When all the valves 293 are clos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92 at the highest position, so that fresh water at a high level is possible, and when the valve 293 at the lowest position is opened, the water level is at the lowest level. Fresh water is possib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water level only by opening the valve 293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fresh water level.
  • a mesh body 280 is formed near the inlet 291 to prevent sediments such as sludge from entering the inlet 291. If necessary, the mesh body 280 may be installed directly at the inlet 291.
  • a blow pipe 295 facing downward and a blow valve 29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low pipe 295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pipe part 290.
  • the outer surface portion 23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portion 220 includes an upper plate portion 231, a middle plate portion 232, and a lower plate portion 233.
  • the upper plate portion 231 is a flat plate shape extending horizontally at the end of the outer wall portion 220, and the middle plate portion 232 and the lower plate portion 233 are also basically flat plate shape extended to the outer wall portion 220
  • the middle plate portion 232 is disposed below the upper plate portion 231 and the lower plate portion 233 is disposed below the middle plate portion 232.
  • vertically extending sidewalls capable of confining some flowing water may be formed at ends of the upper plate part 231, the middle plate part 232, and the lower plate part 233.
  • the upper plate part 231 has a plurality of inclined holes 241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a flat plate shape.
  • the inclined hole 241 serves to guide the overflowing water downward, and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funnel shape.
  • a vertical pipe 242 may be extended below the inclined hole 241.
  • a conical scattering part 243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hole 241 of the upper plate part 231.
  • a plurality of protrusions 244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cattering portion 243, and thus serve to scatter water falling through the inclined hole 241 of the upper plate portion 231.
  • an inclined hole 241 is formed in the middle plate portion 232 except for a portion where the scattering portion 243 is disposed.
  • the inclined hole 241 of the middle plate part 232 also serves to guide water flowing into the middle plate part 232 in a downward direction, and if necessary, a vertical pipe 242 may be extended at the lower end.
  • a lower plate portion 233 is disposed below the middle plate portion 232.
  • the lower plate part 233 has a scattering part 243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hole 241 formed in the middle plate part 232, and the scattering part 243 also has a surface A number of protrusions 244 are formed in the.
  •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45 are formed in regions other than the portion in which the scattering portion 243 is formed.
  • the outer surface part 230 represents a motion in which water flows, scatters, falls through three stages (the upper plate part 231, the middle plate part 232, and the lower plate part 233), or a mixture thereof. At the same time as increasing the humidity of the surrounding atmosphere,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esthetically unique properties.
  • the inclined hole 241 and the scattering part 243 of the outer surface part 230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wo rows, but if necessary, a single row may be used, and furthermore, three or more rows may be formed. .
  • the outer surface portion 230 may be configured by omitting the middle plate portion 232, and the upper plate portion 231, the middle plate portion 232, and the lower plate portion 233 are set as one, so that a plurality of sets are formed. It can also be configured in an arrangement form.
  • the outer surface portion 230 includes an upper plate portion 231 and a lower plate portion 233,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middle plate portions 232 are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portion 231 and the lower plate portion 233 It could be.
  • a waterproof LED or the like may be mounted on the inclined hole 241 and the like, and light of various colors may be radiated simultaneously with the scattered water to provide additional aesthetic characteristics.
  • the underwater beam 20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pipe portion 290 is disposed on the outer wall 220.
  • the inner space 260 is formed inside the bottom part 210, and the pipe part 29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220 except for the inlet 291.
  • a separate outer surface portion 230 may be omit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wall portion 220, but if the outer surface portion 230 is additionally formed, its shape is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 pipe portion 290 does not occur.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it.
  •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stall by improving the existing outer wall.
  • the underwater beam 20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he pipe portion 290 is omitted and a tunnel portion 261 is formed, as shown in FIG. 20.
  • the submerged beam 200 includes a bottom portion 210, an outer wall portion 220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210, and an inner wall portion 250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portion 2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inner wall part 25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270.
  • the support part 270 includes a vertical support part 271 connecting the inner wall part 250 and the bottom part 210 and a horizontal support part 272 connecting the outer wall part 220 and the inner wall part 250, When the inner wall part 250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only by the vertical support part 271, the horizontal support part 272 may be omitted.
  • the support part 270 is composed of a surface-treated steel frame, a concrete column and a concrete beam, and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 the upper and lower corners of the left side of the inner wall part 250 may be formed in an inclined manner for the flow of water.
  • a tunnel part 261 through which water can flow is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part 220 and the inner wall part 250 and between the bottom part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part 250.
  • the outer wall portion 2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luice gate 255 as shown in FIG. 22.
  • the sluice gate 255 is configured to include a flat plate 256 that moves vertically on the outer wall part 220, and the water level at which fresh water can be delivered in the outer wall part 22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lat plate 256 Can be adjusted.
  • the sluice gate 255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lat plates 256 moving horizontally, as shown in FIG. 23.
  • the above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level is gradually adjusted in a manner in which the horizontally disposed flat plates 256 move sequentially to adjust the water level.
  • the sluice gate 255 serves to adjust the level of fresh water, and when a part of the sluice gate 255 is opened, as shown in FIG. 24, water is discharged.
  • an outer surface portion 230 for scattering water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lat plate 256.
  • the sluice gate 255 may be configured in a rotational shap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any type of sluice gate capable of adjusting the water level of the dam can be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퇴적물의 배출이 용이한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에 있어서, 하천 바닥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끝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내벽부; 및 상기 내벽부를 상기 바닥부와 외벽부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벽부와 바닥부 사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부의 끝단은 상기 외벽부의 끝단보다 높아, 수위가 외벽부 높이 이상인 경우, 물은 상기 유동공간과 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 공간을 통과한 후, 상기 외벽부를 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본 발명은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흐름이 원활한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보는 하천 등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하천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저장된 하천수는 농업용수 또는 공업용수로 사용된다.
통상 수중보는 하천 하류 등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건설되며, 급격한 물이 유입되어 물이 범람하더라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건설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적 특성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수중보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05-0059815호에는 하천에 흐르는 물의 수위조절이 부력부재의 승하강시 동유동하는 보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수압에 견디도록 상기 보부재를 지지하는 보부재 지지대를 상기 부력부재 및 보부재와 동유동하게 구성하여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이 원활하게 물과 함께 흐르도록 하며, 물에 의해 실려와 수중보의 하부측면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퇴적물 배출로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660008호에는 하천수에 의해 떠밀려와 수중보 하부 하천 바닥면에 퇴적되는 슬러지를 포함한 퇴적물을 하천 하류로 배출하여 수중보에 의해 저수되는 하천수의 수질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퇴적물 방류 기능을 갖는 하천 수중보에 관한 것으로, 하천 바닥면과 인접하는 상기 수중보 하단에 퇴적물 방류통로가 수중보 좌,우 폭방향을 따라 등간격에 걸쳐 다수 형성되며, 수중보 배면 상기 방류통로 입구측에는 수중보 좌,우 폭 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길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개폐도어가 슬라이딩 장착되어 상기 각각의 방류통로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되, 상기 각각의 개폐도어는 하나의 작동바에 동시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바는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이 구동수단을 통해 좌,우 슬라이딩 하면서 방류통로에 대한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천 수중보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들은 수중보 바닥에 퇴적되는 퇴적물의 처리를 위한 구성을 별도로 구비한 점에서 독특한 효과가 있는 구성들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퇴적물의 배출을 위하여 별도의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설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고 또한 유지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어,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퇴적물을 배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중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 퇴적물의 배출이 용이한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에 있어서, 하천 바닥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끝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내벽부; 및 상기 내벽부를 상기 바닥부와 외벽부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벽부와 바닥부 사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부의 끝단은 상기 외벽부의 끝단보다 높아, 수위가 외벽부 높이 이상인 경우, 물은 상기 유동공간과 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 공간을 통과한 후, 상기 외벽부를 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에 있어서, 하천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끝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바닥부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외벽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내벽부; 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를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지지부; 및 상기 내벽부 하단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벽부 상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벽부의 끝단은 상기 외벽부의 끝단보다 높아, 수위가 외벽부 높이 이상인 경우, 물은 배관부를 통하여 상기 외벽부를 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벽부는 일측면에 설치되어 넘치는 물을 비산시키는 외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면부는 외벽부 상단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상판부, 중판부 및 하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벽부를 월류한 물은 상기 상판부, 중판부 및 하판부 순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부에는 물을 아래 판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경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판부는 상판부의 경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물을 비산시키는 비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물을 하부로 안내하는 다수의 경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부는 상기 중판부의 경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비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물을 아래로 안내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벽부 상단부 모서리 중 외벽부를 향하는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벽부의 하단 모서리 중 외벽부를 향하는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벽부와 바닥부 교점에는 상기 내벽부 하단에 형성된 경사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벽부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대 끝단에 힌지로 결합하는 망체로 구성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벽부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대 끝단에 힌지로 결합하는 망체로 구성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벽부는 상기 외벽부 끝단과 연결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벽부, 커버부, 내벽부 및 바닥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블로우관, 상기 블로우관을 개폐하는 밸브, 상기 블로우관 하단에 결합하는 저장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부 유입구 측에 설치되어, 이물질들을 걸러 주는 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에 있어서, 하천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끝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바닥부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외벽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내벽부; 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를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지지부; 및 상기 내벽부 하단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벽부에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배출구는 상기 외벽부 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가장 높은 배출구를 제외한 배출구에는 밸브가 부착되고, 상기 밸브의 동작에 따라 상기 내벽부의 저장 수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벽부의 끝단과 상기 내벽부를 연결하는 덮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판부, 바닥부, 외벽부 및 내벽부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블로우관, 상기 블로우관을 개폐하는 밸브, 상기 블로우관 하단에 결합하는 저장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벽부는 일측면에 설치되어 넘치는 물을 비산시키는 외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면부는 외벽부 상단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상판부, 중판부 및 하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벽부를 월류한 물은 상기 상판부, 중판부 및 하판부 순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부에는 물을 아래 판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경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판부는 상판부의 경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물을 비산시키는 비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물을 하부로 안내하는 다수의 경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부는 상기 중판부의 경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비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물을 아래로 안내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에 있어서, 하천 바닥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끝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내벽부; 상기 외벽부에 설치되는 수문; 및 상기 내벽부를 상기 바닥부와 외벽부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벽부와 바닥부 사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터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벽부의 끝단은 상기 외벽부의 끝단보다 높아, 수위가 외벽부의 수문 높이 이상인 경우, 물은 상기 유동공간과 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 공간을 통과한 후, 상기 외벽부 수문을 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문은 상기 외벽에서 상하로 이송하는 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평판의 위치에 따라 수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문은 상기 외벽에서 좌우로 이송하는 복수의 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평판의 개방 수에 따라 수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벽부, 상기 내벽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내벽부와 바닥부 사이에 유동 공간이 형성되어 저수된 물이 넘치는 경우 바닥부에 있는 물이 먼저 유도 원류되어 흐름으로써, 바닥부에 침전물 퇴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벽부, 상기 내벽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상기 내벽부에 유입구가 배치되고, 상기 외벽부에 높이따라 복수의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의 설치된 밸브 동작에 따라 수위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저수된 물이 배출될 때 하천 바닥에 있는 물이 먼저 유도 원류되어 흐름으로써, 바닥부에 침전물 퇴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면부 중 상판부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외면부 중 중판부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외면부 중 하판부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서 물이 넘치는 경우의 물의 유동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내벽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배관부의 유입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0은 배관부에 설치된 블로우관의 구성도이며,
도 11은 내벽부 상단에 설치되는 수문의 구성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3는 도 12에 도시된 외벽부, 내벽부 및 바닥부의 구성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배관부의 구성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배관부 중 유입구의 구성도이며,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외면부 중 상판부의 평면도이며,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외면부 중 중판부의 평면도이며,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외면부 중 하판부의 평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에서 물이 넘치는 경우의 물의 유동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수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24는 도 20에서 수문이 일부 개방된 상태에서 물의 유동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에 관한 구성으로, 여기서 하천은 강, 통상의 하천, 소하천, 개천, 개울 및 도랑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수중보는 양어용 또는 농업 용수용으로 활용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 또는 강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부(10), 상기 바닥부(10)에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20), 상기 외벽부(20)에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내벽부(50), 상기 내벽부(50)를 지지하는 지지부(70) 및 상기 내벽부(50)와 결합하는 수거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바닥부(10)는 하천 바닥의 끝단에 형성되며, 지반의 상태에 따라 실제 건설되는 폭의 정도가 결정되나, 다른 구조물의 지지 역할도 수행하므로,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건설되며, 재질은 내부에 보강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중보(100)는 얕은 하천 등에서 설치되어 양어용 또는 농업 용수용으로 활용되므로, 통상 1 내지 3m 정도의 높이로 설치고, 상기 바닥부(10)는 상기 높이의 수중보(10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가 요구된다.
한편, 상기 외벽부(20)는 상기 바닥부(10)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우측에는 물을 저수하고, 좌측은 넘치는 물을 일부 비산시키는 외면부(30)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외벽부(20)는 우측에만 저수된 물의 압력이 작용하므로, 최대 저수시 그리고 물이 외벽부(20)를 범람하여 흘러내리는 경우 견딜 수 있는 적절한 두께로 구성하며, 필요한 경우 높이에 따라 두께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벽부(20)의 재질은 상기 바닥부(10)와 동일하게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콘크르트 구조물은 자체 강성 증가를 위하여 내부에 다수의 보강재를 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는 통상으로 사용되는 재질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면부(30)는 상판부(31), 중판부(32) 및 하판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31)는 상기 외벽부(20) 끝단에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평판 형태이고, 중판부(32) 및 하판부(33) 역시 상기 외벽부(20)에 연장형성되는 기본적으로 평판 형태이며, 중판부(32)는 상판부(31) 아래 그리고 하판부(33)는 중판부(32) 아래에 각각 배치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상판부(31), 중판부(32) 및 하판부(33)의 끝단에는 일부 흐르는 물을 가둘 수 있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부(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의 경사홀(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홀(41)은 넘쳐 흐르는 물을 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단면은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경사홀(41) 하단에는 수직관(42)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벽부(20)에서 넘쳐 흐르는 물의 일부는 상판부(31) 끝단으로 흐르고, 일부는 상기 경사홀(41)을 통하여 하방향으로 낙하한다.
상기 중판부(3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31)의 경사홀(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원뿔형태의 비산부(43)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비산부(43)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4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판부(31)의 경사홀(41)을 통하여 낙하되는 물을 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중판부(32)는 상기 비산부(43)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위치에 경사홀(41)이 형성된다.
상기 중판부(32) 경사홀(41) 역시 중판부(32)로 흘러드는 물을 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한 경우 하단에 수직관(42)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판부(32)에 유입된 물은 상기 비산부(43)를 통하여 공기 중으로 비산하고, 일부는 중판부(32) 전방으로 낙하하고, 나머지는 상기 경사홀(41)을 통하여 하방향으로 낙하한다.
한편, 상기 중판부(32) 하단에는 하판부(33)가 배치된다. 상기 하판부(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판부(32)에 형성된 경사홀(41)과 대응되는 위치에 비산부(43)가 배치되고, 상기 비산부(43) 역시 표면에 다수의 돌기(44)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산부(43)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는 다수의 관통홀(4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판부(33)로 유입된 물은 상기 비산부(43)에 의하여 일부가 비산되고, 일부는 한판부(33) 전방으로 흘러 낙하하고, 나머지는 상기 관통홀(45)을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한다.
즉, 상기 외면부(30)는 3개의 단(상판부(31), 중판부(32) 및 하판부(33))을 통하여 물이 흐르고, 비산하고, 낙하하는 또는 그들이 혼합된 형태의 운동을 나타내어 주변 대기의 습도를 상승시키는 것과 동시에, 미감적으로 독특한 특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외면부(30)의 경사홀(41)과 비산부(43)는 2개의 열을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필요한 경우 단일 열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3열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외면부(30)는 중판부(32)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판부(31), 중판부(32) 및 하판부(33)가 하나의 셋으로 하여 다수의 셋이 배치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경사홀(41) 등에 방수형 LED 등을 장착하여, 비산된 물과 동시에 다양한 색깔의 빛도 같이 방사되어 추가적인 미감적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외벽부(2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내벽부(50)를 포함하고, 내벽부(50)의 측면에는 농업 용수 등 저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관(2)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관(2)의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내벽부(50)는 상기 바닥부(10) 상단에 배치되며, 바닥부(10) 및 외벽부(20)와 연결되어 상기 내벽부(50)를 고정하는 지지부(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70)는 바닥부(10)와 내벽부(50)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지지부(71)와 상기 외벽부(20)와 내벽부(50)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지지부(7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지지부(71) 및 수평지지부(72)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물이 바닥부(10)와 내벽부(50) 사이 그리고 외벽부(20)와 내벽부(50) 사이를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내벽부(50)의 상단은 상기 외벽부(20)의 끝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천 범람 시 하부의 물이 외벽부(20)를 통하여 흘러 넘친다.
그리고 상기 내벽부(5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부(70)는 표면 처리된 강재질의 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벽부(50)의 하단은 상기 바닥부(10) 사이에 유동공간(51)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인 경우 물의 수위가 올라가서 외벽부(20)를 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유동공간(51)을 통해서만이 물이 유동되므로, 도 5와 같은 경로로 물이 배출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 바닥에 고인 물이 먼저 배수되는 구조로 유속이 생성되면 침전물이 함께 떠내려가게 되므로 하천의 자정 능력이 발휘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공간(51)은 다수의 사각형 단면 형태로 구성되나, 필요한 경우 원형 등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은 방식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바닥부(10), 외벽부(20), 내벽부(50) 및 지지부(70)를 구성하여 시공과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수직지지부(71) 또는 수평지지부(72) 중 하나만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부(50) 상단 좌측부에는 경사면(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52)은 물이 상기 내벽부(50) 넘어 월류되는 경우 물의 유동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부(50) 하단 좌측부에도 경사면(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53)은 유동공간(51)을 통하여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대응되는 바닥부(10)와 외벽부(30)에도 경사면(11)을 형성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내벽부(50)의 표면의 형상은 곡선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부(50)는 하단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대(6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대(60)의 끝단에는 유동공간(51)으로 유동하는 물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들을 걸러주는 망체로 구성된 수거부(80)가 회전 가능한 힌지를 매개로 결합한다.
그리고 갈수기나 수위가 낮은 경우 상기 수거부(80)를 회전시켜, 일차로 이물질들이 상기 수평대(60) 상단에 쌓이도록 한 후, 쌓인 이물질들을 외부로 반출하는 형태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거부(80)의 회전은 별도의 로프, 밸트 또는 체인 등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수중보(100) 외부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외벽부(20)와 외면부(30)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고, 바닥부(10)와 내벽부(50)의 구체적인 구성, 그리고 하천 물이 유동하는 별도의 관로(90)를 추가한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먼저 상기 비닥부(10)는 하천 바닥보다 더 깊은 곳에 형성되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단(1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단(12)은 복수의 수직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단일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단(12) 상단에는 내벽부(50)가 연장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내벽부(50) 좌측면과 외벽부(10)는 지지대(70)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내벽부(50)는 상단에서 외벽부(10)로 연장형성되는 커버부(55)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55)는 수중보(100) 전체 폭에 대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외벽부(10), 커버부(55), 내벽부(50) 및 바닥부(1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57)은 밀폐되어 저장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중보(100)는 내벽부(50) 하부에서 시작하여 외벽부(10) 상단까지 배치되는 배관부(90)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부(90)의 유입구(9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내벽부(50) 하단에 형성되고, 배출구(92)는 외벽부(20) 상단에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내부 공간(57)에 배치된다. 물론 상기 유입구(91)는 원형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4각형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91) 근처에는 망체(85)가 형성되어 부유물 등과 같은 이물질들이 상기 유입구(91)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망체(85)는 유입구(91)에 바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수위가 외벽부(20) 높이 이상이 되는 경우, 물은 상기 유입구(91)을 통하여 유입된 후 배출구(92)를 통하여 배출되며, 내부 공간(57)은 밀폐된 형태이므로, 별도의 물이 들어가지 않는다.
즉, 상기 내부 공간(57)은 작업자가 직접 들어갈 수 있는 구조로 수중보(100)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관부(90) 하단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향하는 블로우관(95)과 상기 블로우관(95)을 개폐하는 밸브(96)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로우관(95) 하부에 저장통(99)을 결합한 후, 밸브(96)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배관부(90)를 통하여 유입되는 이물질 등이 상기 저장통(99)에 담기게 된다.
이때 관리자가 상기 내부 공간(57)에 들어가서 정기적으로 상기 밸브(90)를 패쇄한 후 상기 저장통(99)을 블로우관(95)에서 분리하면, 저장통(99)에 담긴 이물질을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부(50)와 외벽부(10) 사이를 관통하는 비상관부(97)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비상관부(97)를 개폐하는 별도의 수문을 상기 내벽부(50) 또는 외벽부(20)에 형성하여, 테풍 등 급격한 수위 상승이 예상되는 경우, 상기 ㅂ비상관부(97)를 미리 개방하여 물을 신속히 배출시켜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부(50) 상단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58)을 형성하여 급격한 수위 상승 등과 같은 비상 시 개방하여 수중보(100)의 안전성을 도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2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 또는 강의 바닥(201)보다 낮게 설치되는 바닥부(210), 상기 바닥부(210)에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220), 상기 외벽부(220)에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내벽부(250), 상기 내벽부(250)와 상기 외벽부(220)를 연결하는 지지부(270) 및 상기 내벽부(250)와 외벽부(220) 사이에 배치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관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바닥부(21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 바닥(201)의 끝단에 형성되나, 상기 바닥(201)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바닥(201)과 바닥부(210) 사이에는 경사면(202)을 형성하여 바닥(201)의 고인 물이 상기 배관부(290)로 손쉽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210)는 상기 바닥 지반의 상태에 따라 실제 건설되는 폭의 정도가 결정되나, 다른 구조물의 지지 역할도 수행하므로,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건설되며, 재질은 내부에 보강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중보(200)는 얕은 하천 등에서 설치되어 양어용 또는 농업 용수용으로 활용되므로, 통상 1 내지 가능한 한 안전범위 내에서 높은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210)는 상기 높이의 수중보(20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가 요구된다.
한편, 상기 외벽부(220)는 상기 바닥부(210)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으로, 우측에는 내부공간(260)이 형성되고, 좌측은 흘러 넘치는 물을 일부 비산시키는 외면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벽부(220)의 재질은 상기 바닥부(210)와 동일하게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콘크르트 구조물은 자체 강성 증가를 위하여 내부에 다수의 보강재를 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는 통상으로 사용되는 재질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외벽부(22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내벽부(250)를 포함하고, 내벽부(250)의 측면에는 농업 용수 등 저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관(203)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관(203)의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내벽부(250)는 상기 바닥부(210) 상단에 배치되며, 바닥부(210) 및 외벽부(220)와 연결되어 상기 내벽부(250)를 고정하는 지지부(2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70)는 보형태로 구성되어 내벽부(250)와 외벽부(220)를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폭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70)는 콘크리트 보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표면처리된 강재질의 보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벽부(250)의 상단은 상기 외벽부(220)의 끝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담수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상기 외벽부(220) 상단에는 지붕 역할을 하는 덮판부(251)가 상기 내벽부(250)에서 연장형성된다. 상기 덮판부(251)는 폭방향 전체를 덮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저수가 범람하는 경우, 바닥부(210), 외벽부(220), 덮판부(251) 및 내벽부(25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260)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260)은 밀폐된 공간이므로, 유지보수 등을 위해서 관리자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2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부(250) 하단에서 시작하여 내부공간(260) 및 외벽부(20)까지 연장되어 저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관부(29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배관부(290)는 바닥(201)과 경사면(202) 주변의 물이 유입시켜 외벽(220) 너머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물의 유동은 저장 수위에 따른 압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상기 배관부(290)는 유입구(291)와 복수의 유출구(292) 상기 유출구(292)를 개폐하는 밸브(29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291)는 상기 내벽부(250) 하단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며, 유출구(292)는 외벽부(220) 상단에서 출발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밸브(293)는 최고 높은 위치의 유출구(292)를 제외하고 나머지 유출구(292)에 설치되어 해당 유출구(292)를 개폐한다.
상기 밸브(293)들은 내벽부(250)의 수위 조절을 위한 구성이다. 모든 밸브(293)를 닫을 경우, 최고 높은 위치에 있는 유출구(292)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므로, 높은 수위의 담수가 가능하고, 가장 낮은 위치의 밸브(293)를 개방하는 경우, 가장 낮은 수위의 담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필요한 담수 수위에 해당하는 밸브(293)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수위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291) 근처에는 망체(280)가 형성되어 슬러지 등과 같은 침전물들이 상기 유입구(291)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망체(280)는 유입구(291)에 바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관부(290) 하단에는 하부로 향하는 블로우관(295)과 상기 블로우관(295)을 개폐하는 블로우밸브(296)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로우관(295) 하부에 저장통(299)을 결합한 후, 상기 블로우밸브(296)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배관부(290)를 통하여 유입되는 이물질 등이 상기 저장통(299)에 담기게 된다.
이때 관리자가 상기 내부 공간(260)에 들어가서 정기적으로 상기 블로우밸브(296)를 패쇄한 후 상기 저장통(299)을 블로우관(295)에서 분리하면, 저장통(299)에 담긴 이물질을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한편, 외벽부(220)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부(230)는 상판부(231), 중판부(232) 및 하판부(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231)는 상기 외벽부(220) 끝단에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평판 형태이고, 중판부(232) 및 하판부(233) 역시 상기 외벽부(220)에 연장형성되는 기본적으로 평판 형태이며, 중판부(232)는 상판부(231) 아래 그리고 하판부(233)는 중판부(232) 아래에 각각 배치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상판부(231), 중판부(232) 및 하판부(233)의 끝단에는 일부 흐르는 물을 가둘 수 있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부(23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의 경사홀(2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홀(241)은 넘쳐 흐르는 물을 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단면은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경사홀(241) 하단에는 수직관(242)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벽부(220)에서 넘쳐 흐르는 물의 일부는 상판부(231) 끝단으로 흐르고, 일부는 상기 경사홀(241)을 통하여 하방향으로 낙하한다.
상기 중판부(232)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231)의 경사홀(2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원뿔형태의 비산부(243)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비산부(243)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24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판부(231)의 경사홀(241)을 통하여 낙하되는 물을 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중판부(232)는 상기 비산부(243)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위치에 경사홀(241)이 형성된다.
상기 중판부(232) 경사홀(241) 역시 중판부(232)로 흘러드는 물을 하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한 경우 하단에 수직관(242)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판부(232)에 유입된 물은 상기 비산부(243)를 통하여 공기 중으로 비산하고, 일부는 중판부(232) 전방으로 낙하하고, 나머지는 상기 경사홀(241)을 통하여 하방향으로 낙하한다.
한편, 상기 중판부(232) 하단에는 하판부(233)가 배치된다. 상기 하판부(233)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판부(232)에 형성된 경사홀(241)과 대응되는 위치에 비산부(243)가 배치되고, 상기 비산부(243) 역시 표면에 다수의 돌기(244)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산부(243)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는 다수의 관통홀(24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판부(233)로 유입된 물은 상기 비산부(243)에 의하여 일부가 비산되고, 일부는 하판부(233) 전방으로 흘러 낙하하고, 나머지는 상기 관통홀(245)을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한다.
즉, 상기 외면부(230)는 3개의 단(상판부(231), 중판부(232) 및 하판부(233))을 통하여 물이 흐르고, 비산하고, 낙하하는 또는 그들이 혼합된 형태의 운동을 나타내어 주변 대기의 습도를 상승시키는 것과 동시에, 미감적으로 독특한 특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외면부(230)의 경사홀(241)과 비산부(243)는 2개의 열을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필요한 경우 단일 열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3열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외면부(230)는 중판부(232)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판부(231), 중판부(232) 및 하판부(233)가 하나의 셋으로 하여 다수의 셋이 배치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외면부(230)는 상판부(231)와 하판부(233)가 각각 하나씩 구성되고, 상기 상판부(231)와 하판부(233) 사이에 다수개의 중판부(232)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경사홀(241) 등에 방수형 LED 등을 장착하여, 비산된 물과 동시에 다양한 색깔의 빛도 같이 방사되어 추가적인 미감적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중보(2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220)에 배관부(290) 배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공간(260)은 바닥부(210)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배관부(290)는 유입구(291)를 제외하고는 상기 외벽(220) 외면에 설치한다.
상기 외벽부(220) 외면에는 별도의 외면부(230)를 생략할 수 있으나, 추가로 외면부(23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관부(29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형태를 적절히 조절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성은 기존에 설치된 외벽부를 개량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보(2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부(290)를 생략하고, 터널부(261)가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중보(200)는 바닥부(210)와 상기 바닥부(210)에 연장형성되는 외벽부(220) 그리고 상기 외벽부(220)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내벽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부(250)는 지지부(270)에 의하여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70)는 내벽부(250)와 바닥부(210)를 연결하는 수직 지지부(271)와 외벽부(220)와 내벽부(250)를 연결하는 수평 지지부(272)를 포함하고, 수직 지지부(271)만으로 상기 내벽부(25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 지지부(272)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70)는 표면처리된 강프레임이나, 콘크리트 컬럼 및 콘크르트 빔 등으로 구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벽부(250)의 좌측의 상하 모서리부는 물의 유동 등을 위하여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벽부(220)와 내벽부(250) 사이 그리고 바닥부(210)와 내벽부(250) 하단 사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터널부(261)가 형성된다.
즉, 수위가 상기 외벽부(220) 높이 이상인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널부(261)를 통하여 물이 외벽부(220) 너머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외벽부(220)에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25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문(255)은 외벽부(220) 상에 수직으로 이동하는 평판(25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평판(256)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외벽부(220)에서 담수할 수 있는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수문(255)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평판(256)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방식은 수평으로 배치된 평판(256)이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수위가 조절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수문(255)은 담수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문(255)의 일부가 개방된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배출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평판(256) 하단에 물을 비산하는 외면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
수문(255)은 상기에 기술한 방식 이외에 회전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 댐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수문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Claims (22)

  1. 하천에 설치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에 있어서,
    하천 바닥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끝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내벽부; 및
    상기 내벽부를 상기 바닥부와 외벽부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벽부와 바닥부 사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부의 끝단은 상기 외벽부의 끝단보다 높아, 수위가 외벽부 높이 이상인 경우, 물은 상기 유동공간과 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 공간을 통과한 후, 상기 외벽부를 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2. 하천에 설치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에 있어서,
    하천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끝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바닥부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외벽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내벽부;
    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를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지지부; 및
    상기 내벽부 하단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벽부 상단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벽부의 끝단은 상기 외벽부의 끝단보다 높아, 수위가 외벽부 높이 이상인 경우, 물은 배관부를 통하여 상기 외벽부를 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는 일측면에 설치되어 넘치는 물을 비산시키는 외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면부는 외벽부 상단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상판부, 중판부 및 하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벽부를 월류한 물은 상기 상판부, 중판부 및 하판부 순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에는 물을 아래 판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경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판부는 상판부의 경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물을 비산시키는 비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물을 하부로 안내하는 다수의 경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부는 상기 중판부의 경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비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물을 아래로 안내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 상단부 모서리 중 외벽부를 향하는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의 하단 모서리 중 외벽부를 향하는 부분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와 바닥부 교점에는 상기 내벽부 하단에 형성된 경사부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대 끝단에 힌지로 결합하는 망체로 구성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대 끝단에 힌지로 결합하는 망체로 구성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11. 청구항 2에 있어서, 내벽부는 상기 외벽부 끝단과 연결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벽부, 커버부, 내벽부 및 바닥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블로우관, 상기 블로우관을 개폐하는 밸브, 상기 블로우관 하단에 결합하는 저장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 유입구 측에 설치되어, 이물질들을 걸러 주는 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14. 하천에 설치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에 있어서,
    하천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끝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바닥부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외벽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내벽부;
    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를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지지부; 및
    상기 내벽부 하단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외벽부에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배출구는 상기 외벽부 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가장 높은 배출구를 제외한 배출구에는 밸브가 부착되고, 상기 밸브의 동작에 따라 상기 내벽부의 저장 수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의 끝단과 상기 내벽부를 연결하는 덮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판부, 바닥부, 외벽부 및 내벽부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블로우관, 상기 블로우관을 개폐하는 밸브, 상기 블로우관 하단에 결합하는 저장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는 일측면에 설치되어 넘치는 물을 비산시키는 외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외면부는 외벽부 상단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상판부, 중판부 및 하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벽부를 월류한 물은 상기 상판부, 중판부 및 하판부 순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에는 물을 아래 판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경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판부는 상판부의 경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물을 비산시키는 비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물을 하부로 안내하는 다수의 경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부는 상기 중판부의 경사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비산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물을 아래로 안내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20. 하천에 설치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에 있어서,
    하천 바닥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끝단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내벽부;
    상기 외벽부에 설치되는 수문; 및
    상기 내벽부를 상기 바닥부와 외벽부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벽부와 바닥부 사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터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벽부의 끝단은 상기 외벽부의 끝단보다 높아, 수위가 외벽부의 수문 높이 이상인 경우, 물은 상기 유동공간과 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 공간을 통과한 후, 상기 외벽부 수문을 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상기 외벽에서 상하로 이송하는 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평판의 위치에 따라 수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상기 외벽에서 좌우로 이송하는 복수의 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평판의 개방 수에 따라 수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PCT/KR2020/007431 2019-06-10 2020-06-09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WO20202512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251 2019-06-10
KR1020190068251A KR102082142B1 (ko) 2019-06-10 2019-06-10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KR10-2019-0109442 2019-09-04
KR1020190109442A KR20210028404A (ko) 2019-09-04 2019-09-04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1234A1 true WO2020251234A1 (ko) 2020-12-17

Family

ID=7378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7431 WO2020251234A1 (ko) 2019-06-10 2020-06-09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2512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6465A (zh) * 2021-11-29 2022-02-08 荆华 一种水利工程设计用具有灌溉功能的河堤护坡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156A (ja) * 1996-10-31 1998-05-19 Kanefusa Takashima 放水装置
KR20010094371A (ko) * 2000-03-30 2001-11-01 박원곤 덧보
KR100582160B1 (ko) * 2003-07-29 2006-05-23 정태헌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
KR20100069524A (ko) * 2008-12-15 2010-06-24 곽일 침전물 퇴적 방지용 수중보 구조물
KR20100132707A (ko) * 2009-06-10 2010-12-20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친환경 어도구조물
JP2013127162A (ja) * 2011-12-19 2013-06-27 Torao Inoue ダム湖の深部水を揚水して放流する装置
KR101388997B1 (ko) * 2013-08-07 2014-04-25 이정우 사이펀 관을 이용한 오염물 수거 및 오염해수 순환 정화 장치
KR102082142B1 (ko) * 2019-06-10 2020-02-27 박삼식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156A (ja) * 1996-10-31 1998-05-19 Kanefusa Takashima 放水装置
KR20010094371A (ko) * 2000-03-30 2001-11-01 박원곤 덧보
KR100582160B1 (ko) * 2003-07-29 2006-05-23 정태헌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
KR20100069524A (ko) * 2008-12-15 2010-06-24 곽일 침전물 퇴적 방지용 수중보 구조물
KR20100132707A (ko) * 2009-06-10 2010-12-20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친환경 어도구조물
JP2013127162A (ja) * 2011-12-19 2013-06-27 Torao Inoue ダム湖の深部水を揚水して放流する装置
KR101388997B1 (ko) * 2013-08-07 2014-04-25 이정우 사이펀 관을 이용한 오염물 수거 및 오염해수 순환 정화 장치
KR102082142B1 (ko) * 2019-06-10 2020-02-27 박삼식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6465A (zh) * 2021-11-29 2022-02-08 荆华 一种水利工程设计用具有灌溉功能的河堤护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51234A1 (ko)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WO2012067356A2 (ko) 수직벽용 포트 및 이에 사용되는 멀티필터 및 포트지지틀
WO2017047867A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4051267A1 (ko) 수로 및 어도를 동시에 구비한 친환경 안전보
WO2017057940A1 (ko) 세탁기
WO2021045457A1 (ko) 맨홀 악취 방지 장치
WO2020159107A1 (ko) 면진장치
WO2016052892A1 (ko) 수리 시설물에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인공어도
WO2018135747A2 (ko) 유류 오염 퇴적물의 자연 회복능을 실험하는 모사 메소코즘
WO2009091175A2 (ko) 생태활성화 블록
WO2018038305A1 (ko) 케이슨 블록 시공 방법 및 케이슨 블록 구조체
WO2012033297A2 (ko) 오배수 통기밴트
WO2014003366A1 (ko) 부유식 구조물
WO2016036148A1 (ko) 에어워셔
WO2017022927A1 (ko) Saps-플러싱 시스템 유속산정방법 및 saps-플러싱 시스템 설계방법
WO2015122589A1 (ko) 절수형 양변기
JPH0782727A (ja) 魚道装置
WO2018012752A1 (ko)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이 내,외벽 또는 양쪽 측벽과 일체형 구조로 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물탱크
WO2024053882A1 (ko) 보조댐 및 지하수로를 구비한 댐
WO2013105795A1 (ko) 중공사 막 모듈
PL157382B1 (en) A device for lag and cinders removal from a combustion chamber
WO2014061835A1 (ko) 오일 스키머
WO2017003058A1 (ko) 마찰저항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4598633A (en) Treatment booth
JP6521199B2 (ja) 浮桟橋式の網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229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229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