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524A - 침전물 퇴적 방지용 수중보 구조물 - Google Patents

침전물 퇴적 방지용 수중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524A
KR20100069524A KR1020080128249A KR20080128249A KR20100069524A KR 20100069524 A KR20100069524 A KR 20100069524A KR 1020080128249 A KR1020080128249 A KR 1020080128249A KR 20080128249 A KR20080128249 A KR 20080128249A KR 20100069524 A KR20100069524 A KR 20100069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rivers
river
water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일
Original Assignee
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일 filed Critical 곽일
Priority to KR1020080128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9524A/ko
Publication of KR20100069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 등 수로에 설치되는 수중보에 있어서 수중보 내측 바닥 부분에 수질을 오염시키는 침전물이 퇴적 되어 부패함으로써 수질을 오염시키고 강이나 하천 등의 수생 생태계를 파괴하는 퇴적물이 수중보 내에 침전·퇴적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중보의 상단부로 흘러 넘치는 물의 흐름을 강이나 하천 등 수로의 바닥 쪽으로 유도하여 그 물의 흐름을 따라 물속의 침전물 등을 하류 쪽으로 지속적으로 흘려 보내기 위한 별도의 격벽구조물을 설치하여 수중보 원래의 기능인 물을 수중보 내에 저장하는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수중보 내에 침전·퇴적 되는 퇴적물은 지속적으로 아래쪽(하류)으로 흘려 보낼 수 있는 수중보 내 침전물 퇴적 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수중보, 격벽 구조물, 수중보 내측 경사면

Description

수중보 내 침전물 퇴적 방지 구조물{omitted}
도 1은 종래의 수중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중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물 가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중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중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의 수중보
2. 퇴적물
3. 강이나 하천 등 수로의 바닥
4. 물의 흐름
5. 본 발명 의 구조물 몸체(격벽)
5-1. 본 발명 구조물의 지지부
5-2. 본 발명 구조물의 상단부
5-3. 본 발명 구조물과 수중보 연결 지지부
6. 출수로
7. 입수로
8. 강이나 하천의 제방
9. 수중보 내측 경사면
본 발명은 수중보 내의 강이나 하천 바닥에 침전되어 퇴적 되는 퇴적물을 수압차를 이용하여 물의 흐름을 강이나 하천 등 수로의 바닥 쪽으로 유도하여 그 물의 흐름을 따라 침전물을 수중보 아래쪽(하류)으로 지속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조물로써 좀 더 상세하게는 수중보 위쪽(상류)에 강 또는 하천을 가로질러 양쪽 제방에 연결된 격벽의 구조물을 수중보 높이보다 다소 높게 형성하고 격벽구조물의 하단부는 강 또는 하천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하여 강 또는 하천의 물 흐름을 상층수는 흐름을 차단하고 하층수는 강 또는 하천의 바닥 쪽으로 유도하여 그 물의 흐름에 따라 자동적으로 물속 침전물을 지속적으로 수중보 아래쪽(하류)으로 배출시켜 수중보의 원래 기능인 물을 저장하는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물속 침전물은 지속적으로 수중보 아래쪽(하류)으로 배출시키는 수중보 내 침전물 퇴적 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강이나 하천 등 수로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수중보는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각종 용수 확보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수중보 내에 가두어 두는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가두어진 물은 일정한 수위까지 모아지게 되면 수중보 위쪽 상단부를 흘러 넘쳐 하류 쪽으로 흘러나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수중보 내 에는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수중보는 본래의 목적인 용수 확보 등 제 기능은 충실히 수행하고 있지만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수중보 내에 가두어진 물이 강이나 하천 등 수로의 바닥 쪽에는 물의 흐름이 없고 수중보의 상단 즉 수면 쪽으로만 흐름이 이루어지므로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침전물 등을 아래쪽(하류)으로 흘려보내지 못하고 수중보 내에 침전하여 퇴적하게 되는 것이다. 또 그 침전·퇴적된 퇴적물은 수중보 내에서 부패하게 되는데 그로 인해서 수질을 저하시키고 수생생태계를 파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도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된 바 있지만 실용성이나 효용성이 떨어져 많이 사용되어 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여 일정량의 수위를 유지함과 동시에 수중보 내측 하부에 지속적으로 퇴적되는 침전물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중보 내측 상류 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양쪽 제방을 가로질러 양쪽 제방에 연결된 격벽 구조물을 수중보 높이보다 다소 높게 이격 설치하여 상층부 즉 수면 쪽 물의 흐름은 차단하고 격벽구조물의 하단부는 강이나 하천 등 수로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하여 물이 흘러 갈 수 있도록 하여 수중보 내 물의 흐름을 따라 침전물 등을 하류 쪽으로 흘려 보냄으로써 침전물 퇴적으로 인한 수질 오염 및 수생 생태계의 파괴를 방지하고 격벽구조물의 상단부는 사람이나 야생동물의 이동통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중보 보다 다소 높게 형성된 격벽구조물은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각종 부 유물(스티로폼, 유류)을 격벽구조물 상류쪽에 집결시켜 수중보 하류쪽으로 오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격벽구조물 상단부의 이동통로를 이용하여 손쉽게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중보(1) 격벽구조물(5) 수중보 내측경사면(9)으로 구성되어 있고 격벽구조물(5)은 구조물의 지지부(5-1) 구조물 상단부(5-2) 구조물과 수중보 연결지지부(5-3)로 구성되어 지며 그 제질은 철근 콘크리트 등 높은 수압이나 빠른 유속에도 유실되지 않는 견고한 재질로 구성되어져야 하며 수중보 내측경사면(9)은 수중보(1) 하단부 폭을 넓게 하고 수중보(1) 상단부는 폭을 좁게하여 격벽구조물(5)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적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여 물속 침전물 등이 물과 함께 수중보 상단부로 원할히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격벽구조물(5)은 수중보(1)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류쪽에 강 또는 하천의 양측제방(8)에 견고히 연결하고 수중보(1)보다 다소 높게 형성하여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상층부 흐름은 차단하며 그 높이는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강 또는 하천의 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격벽구조물(5) 하단부는 강 또는 하천의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개방되어 강 또는 하천의 물의 흐름을 강 또는 하천 등 수로의 바닥쪽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입수로(7)를 구성하여 강 또는 바닥으로부터의 간격은 강 또는 하천의 경사도나 유입되는 물의 양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격벽구조물 지지부(5-1)는 격벽구조물(5)이 높은 수압이나 빠른 유속에도 견고하게 지탱하기 위하여 교각형태로 강 또는 하천 바닥에 튼튼하게 고정되어져야 하며 교각의 간격이나 수량은 상류에서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유속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격벽구조물 상단부(5-2)는 수중보(1) 및 격벽구조물(5)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람이 왕래할 수 있도록 상단부 폭이 형성 되어져야 하며 격벽구조물과 수중보 지지부(5-3)는 수중보(1)와 격벽구조물(5)이 높은 수압이나 빠른 유속에도 유실됨을 막기 위하여 수중보(1)와 격벽구조물(5)을 견고히 연결하는 구조물로서 철근 콘크리트 등 견고한 재질로 구성되어져야 하며 강 또는 하천 등 수로의 조건에 따라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출수로(6)가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작용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용으로 인하여 강 또는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상층부 흐름을 차단하고 격벽구조물(5)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수압 차이로 강 또는 하천의 바닥쪽에 형성된 입수로(7)를 통하여 출수로(6)을 경유하여 격벽구조물(5) 보다 높이가 다소 낮은 수중보(1) 상단부로 침전물과 함께 하류 방향으로 지속적인 자동 배출이 이루어져 수중보 본래의 기능인 용수 확보는 용이하게 하고 지속적으로 침전물이 퇴적되지 않고 하류 쪽으로 배출됨에 따라 수중보가 설치되지 않은 자연 상태의 강 또는 하천의 물 흐름과 같은 작용을 한다. 또한 격벽구조물과 수중보 연결지지부(5-3)로 인하여 높은 수압이나 빠른 유속에서도 격벽구조물(5)과 수중보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며 유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격벽구조물 상단부(5-2)는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각종 부유물(스티로폼, 유류) 등이 하류쪽으로 오염되 는 것을 차단해 주며 상단부 통로를 이용하여 손쉽게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 또는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여 일정량의 수량을 유지하고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침전물은 지속적으로 하류 방향으로 자동 배출시켜 수질 오염을 방지하고 수중보 내의 수생 생태계를 수중보를 설치하지 않은 자연상태의 강 또는 하천과 같이 유지할 수 있으며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보다 가벼운 각종 부유물(스티로폼, 유류 등)을 격벽구조물 상단 일측에 집결시켜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각종부유물(스티로폼, 유류 등)의 하류쪽 오염 확산을 방지해주는 오일펜스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 침전물이 퇴적되지 않으므로 수중보 내 저수량을 유지시켜 주므로 주기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퇴적물 제거 준설작업도 필요없게 된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수중보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지금까지 퇴적 되어있는 퇴적층이 점차 하류쪽으로 배출되어 강 또는 하천 바닥이 수중보를 설치하기 이전의 자연상태의 강 또는 하천 바닥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Claims (3)

  1. 강이나 하천 등 수로에 설치되는 수중보(1)에 있어서 수위 유지 및 침전물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중보(1)와 수중보 상류 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강 또는 하천의 물의 흐름을 강 또는 하천의 바닥 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별도의 격벽구조물(5)로 구성되며 격벽구조물(5)은 강 또는 하천 바닥에 교각형태의 구조물 지지부(5-1)를 형성하고 격벽구조물(5)의 높이는 수중보 내측 상층부의 물의 흐름을 차단하게 하기 위하여 수중보 높이보다 다소 높게 형성하며 그 높이는 강 또는 하천의 수량이나 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격벽구조물(5)의 하단 일정부분을 강이나 하천 등 수로의 바닥으로부터 이격 설치하므로 입수로(7)가 형성되어 물과 함께 유입된 침전물을 수중보(1) 아래쪽(하류)으로 지속적으로 배출시키는 수중보 내 침전물 퇴적방지를 특징으로 하는 수중보 내 침전물 퇴적방지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격벽구조물(5)은 철근 콘크리트 등 높은 수압이나 빠른 유속에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재질로 구성 되어져야 하며 격벽구조물(5)은 구조물 몸체(5) 구조물 지지부(5-1) 구조물 상단부(5-2) 구조물과 수중보 연결지지부(5-3)로 구성되어지며 구조물 몸체(5)는 수중보(1) 높이 보다 다소 높게 형성하고 몸체 하단부는 강 또는 하천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개방되어 격벽구조물(5) 상류쪽의 수위가 수중보 상단쪽 출수로(6) 수위보다 다소 높게 유지되면서 수압의 차이로 자동으로 하단부 입수로(7)를 통하여 물과 함께 침전물이 수중보(1) 상단을 넘어 하류 쪽으로 배출되게 하고 구조물 지지부(5-1)는 구조물 몸체(5)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교각 형태로 강이나 하천 등 수로의 수량이나 유속 등 조건에 따라 교각의 수량이나 간격을 조절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조물 상단부(5-2)는 수중보(1) 및 격벽구조물(5)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람이 건너 왕래할 수 있도록 상단부 폭이 형성되어져야 하며 구조물 몸체와 수중보 연결지지부(5-3)는 격벽구조물 몸체(5)와 수중보(1)가 높은 수압이나 빠른 유속으로 인한 유실을 막기 위하여 철근 콘크리트 등 견고한 재질로 구조물과 수중보 연결지지부를 구성하여 수중보 내의 수량은 유지하면서 침전물 퇴적 방지를 특징으로 하는 수중보 내 침전물 퇴적 방지 구조물
  3. 강이나 하천 등 수로에 설치 되는 수중보(1)에 있어서 수위 유지 및 침전물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중보(1) 격벽구조물(5)의 설치에 있어서 수중보(1) 상류측 하단부 폭을 넓게 하고 수중보 상단부를 좁은 폭으로 구성하여 수중보 내측면을 격벽구조물(5) 하단으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수중보 내측경사면(9)을 형성하여 상류에서 유입된 물과 침전물이 원할히 수중보(1) 상단면을 넘어 하류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보 내 침전물 퇴적방지 구조물
KR1020080128249A 2008-12-15 2008-12-15 침전물 퇴적 방지용 수중보 구조물 KR20100069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249A KR20100069524A (ko) 2008-12-15 2008-12-15 침전물 퇴적 방지용 수중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249A KR20100069524A (ko) 2008-12-15 2008-12-15 침전물 퇴적 방지용 수중보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524A true KR20100069524A (ko) 2010-06-24

Family

ID=4236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249A KR20100069524A (ko) 2008-12-15 2008-12-15 침전물 퇴적 방지용 수중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95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438B1 (ko) * 2012-11-13 2013-06-17 (주) 드림피아디앤씨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
KR102082142B1 (ko) * 2019-06-10 2020-02-27 박삼식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WO2020251234A1 (ko) * 2019-06-10 2020-12-17 박삼식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438B1 (ko) * 2012-11-13 2013-06-17 (주) 드림피아디앤씨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
KR102082142B1 (ko) * 2019-06-10 2020-02-27 박삼식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WO2020251234A1 (ko) * 2019-06-10 2020-12-17 박삼식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4541B2 (en) Fish safe screened water diversion apparatus
US6953528B2 (en) Flow control suction barrier apparatus and system
US6478954B1 (en) Debris collecting apparatus
US8813788B2 (en) Sediment and detention basin drainage system and method
US7943039B1 (en) Catch basin for salt water sand
US7226242B2 (en) Catch basin for salt water sand
JP4803389B2 (ja) 土砂スラリーの処理装置
RU2665072C1 (ru) Способ локализации в акватории водоема загрязнений, поступающих в водоем из притоков и стоков
JP2008274728A (ja) 蝶番式ゲート水門
KR20100069524A (ko) 침전물 퇴적 방지용 수중보 구조물
KR100819548B1 (ko) 하천 퇴적물 제거시설
JP4041902B2 (ja) 河川感潮域のヘドロ及び土砂礫堆積用凹部
KR20060091973A (ko) 침전효율이 향상된 침전지
KR100805159B1 (ko) 퇴적물을 방출할 수 있는 수중보
JPH07127041A (ja) ダム貯水池の流入水分離装置
RU2151840C1 (ru)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лавливания и сбора плавающих на поверхности реки загрязнений
JP2005194803A (ja) 河川感潮部におけるヘドロ除去方法
US20060018716A1 (en) Catch basin for salt water sand
KR100680156B1 (ko) 갈수기 하천바닥 오염물 처리시설
KR102606033B1 (ko) 하상 유도형 어도를 갖는 하천보
JP2008308894A (ja) トリプル湖ダム構造
KR100424282B1 (ko) 수중보 내측 침전물 자동배출 시스템
KR101379795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일시 저류조
RU2401359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малых рек и система его реализации
JP4641002B2 (ja) 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17

Effective date: 2010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