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438B1 -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438B1
KR101267438B1 KR1020120128361A KR20120128361A KR101267438B1 KR 101267438 B1 KR101267438 B1 KR 101267438B1 KR 1020120128361 A KR1020120128361 A KR 1020120128361A KR 20120128361 A KR20120128361 A KR 20120128361A KR 101267438 B1 KR101267438 B1 KR 101267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upstream
water
reservoi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춘석
Original Assignee
(주) 드림피아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드림피아디앤씨 filed Critical (주) 드림피아디앤씨
Priority to KR1020120128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취수댐 상류 지역에 퇴적되는 오염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은 강에 상류에서 하류까지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강을 좌우의 제1 및 제2저수부로 구획하는 제방; 상기 제방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좌측, 우측 또는 좌우측으로 강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댐; 및 상기 제1댐 하측 저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수문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1저수부 또는 제2저수부의 저수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각각 복수의 배수구로 구성된 제1 또는 제2배수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취수댐 상류의 오염 퇴적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상기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취수댐 상류의 오염 퇴적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제1배수부를 폐쇄하여 상기 제1저수부에 물을 저수하는 단계; (b) 상기 제2배수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2저수부의 물과 오염퇴적물을 빠른 유속으로 배출하는 단계; (c) 상기 제2배수부를 폐쇄하여 상기 제2저수부에 물을 저수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배수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1저수부의 물과 퇴적물을 빠른 유속으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취수댐 상류의 오염 퇴적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연속적인 취수가 가능하며, 취수댐 상류에 저장된 물의 방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오염 퇴적물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Structure and method for removing sediment at the upper region of intake dam}
본 발명은 취수댐 상류 지역에 퇴적되는 오염 퇴적물의 제거와 취수장의 연속적인 취수가 동시에 가능하면서도 오염 퇴적물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에 대한 것이다.
취수댐은 용수에 필요한 수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천을 가로질러 축조되는 것으로, 평상수위 때는 수문(gate)을 닫아 수위를 유지하며 상류에 설치된 취수장의 물을 끌어들여 각 가정 등으로 공급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취수댐은 상류의 넓은 유역 면적으로 유입되는 입자성 물질과 저수지 내부에 발생하는 유기물 등이 침강하여 상당량의 오염 퇴적물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오염 퇴적물은 취수댐 상류의 저수지 용적 및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주기적으로 제거해 주어야 한다.
종래 이러한 오염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특1998-082042(수원지로 이용되는 취수댐의 오염퇴적물의 제거방법)가 출원된 바 있다.
상기 출원기술은 취수댐 상부에 저수량이 큰 상부댐을 구비하고, 상부댐에서 방류되는 물에 의하여 취수댐 상류에 퇴적된 오염 퇴적물이 쓸려 내려가도록 취수댐과 상부댐의 수문을 조절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출원기술은 취수댐 상류에 상부댐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적용하기 어려웠고, 취수댐 상류에 저장된 물이 모두 배수되는 경우 취수댐 상류에 물이 저장될 때까지 취수를 할 수 없어 연속적인 용수 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취수댐과 상부댐의 폭에 대한 고려가 없었기 때문에, 취수댐과 비슷하거나 적은 너비를 갖는 상부댐이 구비된 경우에는 물의 방류 속도에 한계가 있어, 오염 퇴적물의 제거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취수댐 상류의 오염 퇴적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연속적인 취수가 가능한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취수댐 상류에 저장된 물의 방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오염 퇴적물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에 상류에서 하류까지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강을 좌우의 제1 및 제2저수부로 구획하는 제방; 상기 제방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좌측, 우측 또는 좌우측으로 강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댐; 및 상기 제1댐 하측 저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수문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1저수부 또는 제2저수부의 저수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각각 복수의 배수구로 구성된 제1 또는 제2배수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강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상류에 물을 저장하고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댐, 상기 제1댐의 상류측 중앙부에 결합되고 강 상류로 연장되어 상기 제1댐 상류의 강을 제1 및 제2저수부로 구획하는 제방, 상기 제1댐 하측 저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수문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1저수부와 제2저수부의 저수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각각 복수의 배수구로 구성된 제1 및 제2배수부를 포함하는 구조물로 취수댐 상류의 오염 퇴적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제1배수부를 폐쇄하여 상기 제1저수부에 물을 저수하는 단계; (b) 상기 제2배수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2저수부의 물과 오염퇴적물을 빠른 유속으로 배출하는 단계; (c) 상기 제2배수부를 폐쇄하여 상기 제2저수부에 물을 저수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배수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1저수부의 물과 퇴적물을 빠른 유속으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댐 상류의 오염 퇴적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서는 제1댐 하측 저부에 위치한 제1 및 제2배수부를 통하여 제1댐 상류에 구획된 제1, 2저수부의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취수댐 상류의 오염 퇴적물을 배출 제거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저수부에 구비된 제1 및 제2취수장을 통하여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취수가 가능하다.
둘째, 제1댐 상류의 강을 제방에 의하여 제1 및 제2저수부로 구획하기 때문에, 제1댐의 수문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제1댐 하측 저부의 제1 및 제2배수부를 통하여 취수댐 상류에 저장된 물의 방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일측 저수부에서 저수를 하는 동안 타측 저수부에서는 빠른 유속으로 물을 방류하기 때문에 강의 수위가 낮아져 강변에서는 바닥이 드러나게 되는데 이때 강변에서 골재를 채취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부수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아울러 골재를 채취할 경우 강의 저수량이 증대하게 되므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팔당호에 적용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은 강(10)에 상류에서 하류까지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강(10)을 좌우의 제1 및 제2저수부(210, 220)로 구획하는 제방(300); 상기 제방(300)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좌측, 우측 또는 좌우측으로 강(1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댐(100); 및 상기 제1댐(100) 하측 저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수문(111, 121)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1저수부(210) 또는 제2저수부(220)의 저수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각각 복수의 배수구(110', 120')로 구성된 제1 및 제2배수부(110, 1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댐(100)은 강(1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 상류에 물을 저장하고 취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댐(100)은 제방(300) 하류측 단부에서 강안(12,13) 쪽으로 갈수록 강 하류측으로 경사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댐(100)이 경사진 경우에는 수문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수문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유속이 빨라져 짧은 시간에 물의 방류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염 퇴적물의 제거 효율이 높아진다.
상기 제방(300)은 상기 제1댐(100)의 일측에 결합되고 강(10) 상류로 연장되어 상기 제1댐(100) 상류의 강(10)을 제1 및 제2저수부(210, 220)로 구획한다.
통상 제1댐(100)은 제방(300)의 좌우 양측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강의 지형, 상류로부터의 오염물 유입 경로 및 정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어느 일방으로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실제 팔당호의 지형을 나타내고 있는데, 북한강은 오염도가 적기 때문에 북한강 하류에 제1댐(100)을 설치하여 취수하고 남한강은 유속을 높여 오염 퇴적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방(300)은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재질이나 내부에 물이 수납된 튜브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섬(301) 등의 자연 지형물을 제방의 일부로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댐(100) 하측 저부에는 수문(111, 121)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1저수부(210)와 제2저수부(220)의 저수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각각 복수의 배수구(110', 120')로 구성된 제1 및 제2배수부(110, 12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을 이용하여 취수댐 상류의 오염 퇴적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a) 상기 제1배수부(110)를 폐쇄하여 상기 제1저수부(210)에 물을 저수하는 단계; (b) 상기 제2배수부(120)를 개방하여 상기 제2저수부(220)의 물과 오염퇴적물을 빠른 유속으로 배출하는 단계; (c) 상기 제2배수부(120)를 폐쇄하여 상기 제2저수부(220)에 물을 저수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배수부(110)를 개방하여 상기 제1저수부(210)의 물과 퇴적물(20)을 빠른 유속으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평시에는 제1, 2배수부(110, 120)를 개방하여 물을 흘려보내다가, 제1댐(100) 상류의 오염 퇴적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일측 배수부는 폐쇄한 채, 타측 배수부를 통하여 취수댐 상류에 저수된 물을 빠른 유속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속을 증가되어 제1댐(100) 상류의 오염 퇴적물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댐(100)의 하류 측에는 상기 제1댐(10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하측 저부에 수문(411)에 의해 개폐되는 주배수부(410)가 구비된 제2댐(400)이 설치되어, 상기 제1댐(100)과 제2댐(400) 사이에 완충 저수부(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규로 댐을 건설하는 경우에는 도 1(b)에서와 같이,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1댐(100)과 제1댐(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방(300)으로 구성되는 구조물을 축조하면 충분하다.
그러나 기존 댐으로 제2댐(400)이 있는 경우, 상기 제2댐(400)에 직접 제방(300)을 결합하여 제2댐(400) 상부를 제1, 2저수부로 구획하고, 제1, 2저수부에 형성된 제1, 2배수부(110, 120)를 통하여 각각 물을 배출하면, 제2댐(400)에 구조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2댐(400)이 제1, 2배수부(110, 12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나 방류량 등에 대한 고려가 없이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 댐이 있는 경우에는 기존 댐인 제2댐(400) 상류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보조댐으로서의 제1댐(100)을 설치하고, 제1댐(100)과 제2댐(400) 사이의 공간에 완충 저수부(500)를 두어 안정적인 배수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제방(300)의 상류측 단부는 지류가 합류하는 합류점 상측 강안(江岸, 11)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일측 지류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양이 제한적이거나 일측 지류가 오염되더라도, 타측 지류를 통하여 취수할 수 있는 저수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댐(100)의 상류측 좌안(左岸, 12)과 우안(右岸, 13)에는 제1저수부(210)와 제2저수부(220)의 물을 각각 취수하는 제1 및 제2취수장(710, 7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1배수부(110)와 제2배수부(120) 중 어느 일측 배수부가 폐쇄되어 일측 저수부에 물이 저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일측 저수부에 대응되는 제1 또는 제2취수장(710, 720)에 저수된 물을 취수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댐(100) 및 제방(300)은 높이가 제2댐(400) 상류에 저장되는 물의 평균 수위에 비해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보조댐인 제1댐(100)과 제방(3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상류 양쪽 지류에서 유입되는 물이 제방을 넘어 상호 교류하여 흐르게되므로 홍수시에 대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방(300)의 상류측 단부에 보조수문(3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저수부(210)로 유입되는 물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면, 제1저수부(210)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확보하면서 제2저수부(220)로 유입되는 물을 일부 제1저수부(210)로 유입하도록 상기 보조수문(310)을 개방하여 제1저수부(210)로 유입되는 물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1저수부(210)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적당량 유지되는 반면, 제2저수부(220)로 유입되는 물이 부족하여 제2저수부(220) 측에 오염 퇴적물이 잔존하는 경우에도 상기 보조수문(310)을 개방하여 제2저수부(220)로 유입되는 물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수문(310)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하는 통상의 수문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수문(310)은 상기 제방(300)의 상류측 단부에 상기 단부를 축으로 회전 이동하여 합류되는 지류의 물길을 안내하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제방(300)의 상류측 단부에 축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지류가 합류하는 합류점 상측 강안(11)에 접하는 가이드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방(300)의 상류측 단부에는 각각 강(10)의 좌안(12)과 우안(13)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하측 단부에 수문(611', 621')에 의해 개폐되는 보조 배수부(611, 621)가 형성된 제1 및 제2보조댐(610, 6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일 지류이거나 지류의 합류점이 먼 경우 합류점 상측 강안(11)까지 제방(300)을 연장하기 곤란하다. 이때, 강 저면의 경사가 완만하면 어느 일측 저수부의 물을 배출할 경우, 타측 저수부의 물이 제방(300) 상류측 단부를 넘어 인접하는 저수부로 역류하게 되므로 타측 저수부의 저수량이 부족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보조댐(610) 또는 제2보조댐(620)을 추가로 설치하고, 취수하려는 일측 저수부의 보조댐 수문을 개방하여 물을 배출하고, 타측 저수부의 보조댐 수문을 폐쇄하여 취수량을 확보하도록 한다.
10: 강 11: 강안
12: 좌안 13: 우안
100: 제1댐 110: 제1배수부
120: 제2배수부 110', 120': 배수부
111, 121: 수문 210: 제1저수부
220: 제2저수부 300: 제방
310: 보조수문 400: 제2댐
410: 주배수부 411: 수문
500: 완충 저수부 610: 제1보조댐
620: 제2보조댐 611, 621: 보조 배수부
611', 621': 수문 710: 제1취수장
720: 제2취수장

Claims (11)

  1. 강(10)에 상류에서 하류까지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강(10)을 좌우의 제1 및 제2저수부(210, 220)로 구획하는 제방(300);
    상기 제방(300)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좌측, 우측 또는 좌우측으로 강(1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댐(100); 및
    상기 제1댐(100) 하측 저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수문(111, 121)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1저수부(210) 또는 제2저수부(220)의 저수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각각 복수의 배수구(110', 120')로 구성된 제1 또는 제2배수부(110, 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2. 제1항에서,
    상기 제1댐(100)의 하류 측에는 상기 제1댐(10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하측 저부에 수문(411)에 의해 개폐되는 주배수부(410)가 구비된 제2댐(400)이 설치되어, 상기 제1댐(100)과 제2댐(400) 사이에 완충 저수부(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3. 제1항에서,
    상기 제1댐(100)은 제방(300) 하류측 단부에서 강안(12,13) 쪽으로 갈수록 강 하류측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4. 제1항에서,
    상기 제방(300)의 상류측 단부는 지류가 합류하는 합류점 상측 강안(11)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5. 제2항에서,
    상기 제1댐(100) 및 제방(300)은 높이가 제2댐(400) 상류에 저장되는 물의 평균 수위에 비해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6. 제1항에서,
    상기 제방(300)의 상류측 단부에는 보조수문(3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7. 제1항에서,
    상기 제방(300)의 상류측 단부에는 각각 강의 좌안(12)과 우안(13)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하측 단부에 수문(611', 621')에 의해 개폐되는 보조 배수부(611, 621)가 형성된 제1 및 제2보조댐(610, 6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댐(100)의 상류측 좌안(12)과 우안(13)에는 제1저수부(210)와 제2저수부(220)의 물을 각각 취수하는 제1 및 제2취수장(710, 7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9. 강(10)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상류에 물을 저장하고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제1댐(100),
    상기 제1댐(100)의 상류측 중앙부에 결합되고 강(10) 상류로 연장되어 상기 제1댐(100) 상류의 강(10)을 제1 및 제2저수부(210, 220)로 구획하는 제방(300),
    상기 제1댐(100) 하측 저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수문(111, 121)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1저수부(210)와 제2저수부(220)의 저수된 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각각 복수의 배수구(110', 120')로 구성된 제1 및 제2배수부(110, 120)를 포함하는 구조물로 취수댐 상류의 오염 퇴적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제1배수부(110)를 폐쇄하여 상기 제1저수부(210)에 물을 저수하는 단계;
    (b) 상기 제2배수부(120)를 개방하여 상기 제2저수부(220)의 물과 오염퇴적물을 빠른 유속으로 배출하는 단계;
    (c) 상기 제2배수부(120)를 폐쇄하여 상기 제2저수부(220)에 물을 저수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배수부(110)를 개방하여 상기 제1저수부(210)의 물과 퇴적물(20)을 빠른 유속으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댐 상류의 오염 퇴적물을 제거하는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제1댐(100)의 상류측 좌안(12)과 우안(13)에는 상기 제1저수부(210)와 제2저수부(220)의 물을 각각 취수하는 제1 및 제2취수장(710, 720)이 구비되어,
    상기 제1배수부(110) 또는 제2배수부(120)가 폐쇄되어 각각 제1저수부(210) 또는 제2저수부(220)에 물이 저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또는 제2취수장(710, 720)에서 각각 저수된 물을 취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댐 상류의 오염 퇴적물을 제거하는 방법.
  11. 제9항에서,
    상기 제1댐(100)의 하류 측에는 상기 제1댐(100)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하측 저부에 수문(411)에 의해 개폐되는 주배수부(410)가 구비된 제2댐(400)이 설치되어, 상기 제1댐(100)과 제2댐(400) 사이에 완충 저수부(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댐 상류의 오염 퇴적물을 제거하는 방법.
KR1020120128361A 2012-11-13 2012-11-13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 KR101267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361A KR101267438B1 (ko) 2012-11-13 2012-11-13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361A KR101267438B1 (ko) 2012-11-13 2012-11-13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438B1 true KR101267438B1 (ko) 2013-06-17

Family

ID=4886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361A KR101267438B1 (ko) 2012-11-13 2012-11-13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4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2688A (zh) * 2014-11-13 2015-03-25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大跨度主纵梁潜孔弧门的门叶制作方法及结构
CN113550277A (zh) * 2021-08-06 2021-10-26 黄河勘测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采用立式双向旋转闸门的束水冲砂方法
CN115142378A (zh) * 2022-06-09 2022-10-04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丹东电厂 一种应用于海水蓄水库的蓄水、节能、阻於装置
KR102503196B1 (ko) * 2022-09-08 2023-02-23 이명호 보조댐 및 지하수로를 구비한 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016A (ja) * 1993-06-22 1995-03-14 Mutsumi Giken Kk 汚染を防止できる河川
JP2881247B2 (ja) 1990-03-29 1999-04-12 清水建設株式会社 水域浄化仕切り提
JP2002348839A (ja) 2001-05-24 2002-12-04 Sato Tekko Co Ltd 排砂設備
KR20100069524A (ko) * 2008-12-15 2010-06-24 곽일 침전물 퇴적 방지용 수중보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1247B2 (ja) 1990-03-29 1999-04-12 清水建設株式会社 水域浄化仕切り提
JPH0771016A (ja) * 1993-06-22 1995-03-14 Mutsumi Giken Kk 汚染を防止できる河川
JP2002348839A (ja) 2001-05-24 2002-12-04 Sato Tekko Co Ltd 排砂設備
KR20100069524A (ko) * 2008-12-15 2010-06-24 곽일 침전물 퇴적 방지용 수중보 구조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2688A (zh) * 2014-11-13 2015-03-25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大跨度主纵梁潜孔弧门的门叶制作方法及结构
CN113550277A (zh) * 2021-08-06 2021-10-26 黄河勘测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采用立式双向旋转闸门的束水冲砂方法
CN115142378A (zh) * 2022-06-09 2022-10-04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丹东电厂 一种应用于海水蓄水库的蓄水、节能、阻於装置
KR102503196B1 (ko) * 2022-09-08 2023-02-23 이명호 보조댐 및 지하수로를 구비한 댐
US11781277B1 (en) 2022-09-08 2023-10-10 Myeong Ho Lee Dam with auxiliary dam and underground water path
WO2024053882A1 (ko) * 2022-09-08 2024-03-14 이명호 보조댐 및 지하수로를 구비한 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438B1 (ko) 취수댐 상류 오염 퇴적물 제거용 구조물 및 그 제거방법
RU2606282C1 (ru) Водозаборный узел орос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CN103821218A (zh) 一种初期雨水及雨污混合溢流水拦蓄渗流设施
CN205804273U (zh) 河水引流净化系统
KR20110063421A (ko)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수질 정화 시스템
DK202100021U1 (da) Nedsivningssystem
CN101205096B (zh) 可避免潜流人工湿地填料淤塞的污水处理方法及其设施
KR101112083B1 (ko) 우수 암거 구조체
CN207109831U (zh) 一种山路排水护坡系统
CN105863039A (zh) 截流井横置浮动拦渣装置
CN203755425U (zh) 一种初期雨水及雨污混合溢流水拦蓄渗流设施
CN202730707U (zh) 排洪河道初期雨水拦截和分流及后期雨水分离系统
CN211735284U (zh) 一种水利工程闸门结构
CN104831689A (zh) 一种自动防洪、排污的防淤积的取水设施
JP2002173957A (ja) 床止め工に傾斜取水スクリーンを設置した河川表流水の取水構造
JP2008308894A (ja) トリプル湖ダム構造
JP2012140845A (ja) 上下2段構造の分流装置
JP5555339B1 (ja) ダム下流の構造
CN112982274A (zh) 一种利用日常来水回复水库淤积库容的清淤方法
US1376889A (en) Lake or pond
KR200408865Y1 (ko) 수중보의 수문 개폐장치
CN220433802U (zh) 一种水利工程中的取水结构
CN201003154Y (zh) 曲条面引水渠首
JPH05179631A (ja) ダム構造
KR100730993B1 (ko) 하천에서의 초기유출수 취수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