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97337A1 -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97337A1
WO2020197337A1 PCT/KR2020/004253 KR2020004253W WO2020197337A1 WO 2020197337 A1 WO2020197337 A1 WO 2020197337A1 KR 2020004253 W KR2020004253 W KR 2020004253W WO 2020197337 A1 WO2020197337 A1 WO 20201973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issue
cartilage
composition
cells
different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42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민병현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3631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86164B1/ko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JP2021557582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2528378A/ja
Priority to US17/598,496 priority patent/US20220160928A1/en
Priority to EP20778500.7A priority patent/EP3950017A4/en
Publication of WO20201973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973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05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31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33Extracellular matrix [EC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61L27/369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characterised by physical conditions of the treatment, e.g.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composition, pressure cycles, ultrasonic/sonication or microwave treatment, lyoph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characterised by specific cells or progenitors thereof, e.g. fibroblasts, connective tissue cells, kidney cells
    • A61L27/3834Cells able to produce different cell types, e.g. h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marrow stromal cells, embryonic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95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using specific culture conditions, e.g. stimulating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pulsatile flow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6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cartilage reconstruction, e.g. menis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tendons or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6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eye parts, e.g. intraocular lens, 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muscle re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40Preparation and treatment of biological tissue for implantation, e.g. decellularisation, cross-link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fusion of tissues having tissue adhesion and differentiation properti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tissue adhesives are constantly being developed every year. These tissue adhesives are in the spotlight as a material that can replace techniques such as suture, clip surgery, and moxibustion,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in surgical or medical surgery.
  • Medical tissue adhesives are in direct contact with tissues, so biocompatibility is required.Because they are usually used in vivo, in case the adhesive flows into body fluids and blood, it must be free from toxicity and harm to the human body under stricter conditions and is a biodegradable material. It should be.
  • Tissue adhesives that are currently commercialized and/or put into practical use are largely cyanoacrylate adhesives, fibrin adhesives, gelatin adhesives, and polyurethane adhesives. Cyanoacrylate adhesives have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for research on instant adhesives having high functionality and high performance.
  • the cyanoacrylate-based tissue adhesive is a single material that is cured by moisture without an initiator at room temperature in a short time, has a transparent appearance, and has a large adhesive strength, but has a disadvantage of being weak against impact and poor heat resistance.
  • due to its severe toxicity it is rarely used now, and it is partially used in other countries except the United States, and its use is restricted in some cases due to tissue toxicity and vulnerability.
  • Fibrin adhesiv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here quickly without affecting the moisture present in the bonding site, has no platelet and coagulation disorder, and has excellent biocompatibility.
  • the adhesion is weak, the biodegradation rate is fast, and there is a risk of blood infection.
  • gelatin adhesive has high tissue adhesion
  • formalin or glutaaldehyde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uses a crosslinking reaction with proteins in the living body, causing tissue toxicity
  • polyurethane-based adhesives absorb water on the surface of living tissues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adhesion with water, curing within minutes by reacting with water, and being biodegraded,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romatic diisocyanate, a synthetic raw material, has biotoxicity.
  • the adhesives developed to date have hardly contributed to the fusion between tissue and tissue or between tissue and implant. That is, since the tissue is not permanently dropped by the adhesive, the two tissues or implants fall apart again after the biodegradation of the adhesive.
  • cell therapy products that supply therapeutic cells from outside are being studied. That is, by injecting cells between tissues and tissues or between tissues and implants, the transplanted cells secrete extracellular matrix to attach adhesive substances.
  • cell therapy products do not have any adhesiveness, so a separate adhesive or material is required while cells generate tissue.
  • tissue adhesives require adhesion between the two tissues, and in order to permanently attach the two tissues, the tissue adhesive functions as a cell therapy that can differentiate into cells of the target adherent tissue and ultimately secrete the extracellular matrix.
  • tissue adhesives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many tissue damage in the body. Examples include muscle rupture, ligament damage, bone attachment, and cartilage regenerat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issue adhesives loaded with tissue adhesion and differentiated cells is expected to bring breakthrough advances in transplant therap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ssue adhesive product (TAP) composition having tissue adhesion and differentiation properti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TAP tissue adhesive produ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issue fusion comprising stem cells and stem cell-derived extracellular matrix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ssue for transplantation prepared by attaching two or more tissues with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ing and culturing stem cells from fetal cartilage tissue; (b) obtaining a cell membrane comprising the cultured stem cells and their extracellular matrix; (c) centrifuging the obtained cell membrane to obtain a cell pellet; And (d) culturing the obtained cell pellet in a medium;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fusion comprising a.
  • a composition for fusion of a gel-like or sheet-like tissue was prepared using stem cells and stem cell-derived extracellular matrix, and the composition has excellent adhesion and bonding power to living tissues, and after transplantation, cartilage, bone, and cornea , As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tiation is possible with growth plates, etc., it can be used as an adhesive and differentiating agent for the treatment of damaged tissue or organ regeneration, and ultimately, it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tissue fusion agent.
  • 3 is a result of safranin O staining and hematoxylin & eosin staining of TAP prepared by culturing for 1 week, 2 weeks, and 3 weeks.
  •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rowth plate damage model and implanting a TAP.
  • FIG. 15 is a result of a gross image image confirming cell differentiation after 7 days of culture of a fetal cartilage-derived stem cell sheet.
  • 16 is a Western blotting analysis result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s of Myf5 and MyoD 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tiation into myoblasts 7 days after culture of the fetal cartilage-derived stem cell sheet.
  • 17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Myf5 and MyoD by performing immunocytochemistry (ICC) to confirm the differentiation into myoblasts 7 days after culture of the embryonic cartilage-derived stem cell sheet.
  • ICC immunocytochemistr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issue fusion having tissue adhesion and differentiation properties comprising stem cells and stem cell-derived extracellular matrix as an active ingredient.
  • stem cell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em cells isolated from fetal cartilage tissue, preferably cartilage progenitor cells separated after completely digesting cartilage tissue using collagenase or the like (fetal cartilage derived progenitor cell). ; FCPC).
  • stem cell-derived extracellular matrix is a collection of biopolymers composed of molecules synthesized by cells from stem cells derived from fetal cartilage tissue and secreted and accumulated extracellularly.
  • Collagen, elasticity They include fibrous proteins such as cattle, complex proteins such as glycosaminoglycans, and cell adhesion proteins such as fibronectin and laminin.
  • carri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man bone (hyaline cartilage), fibrocartilage (fibrocartilage), or elastic cartilage (elastic cartilage).
  • hyaline cartilage fibrocartilage
  • elastic cartilage elastic cartilage.
  • Articular cartilage, ear cartilage, non-cartilage, elbow cartilage, meniscus, knee cartilage, costal cartilage, ankle cartilage, tracheal cartilage, occipital cartilage, and vertebral cartilage ar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 the composition may be differentiated into cornea, epithelium, growth plate, bone, cartilage, ligaments, muscle or skin tissu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 a gel shape or a sheet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gel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jelly-like substance that has physical properties ranging from a soft and weak range to a strong and coarse range, and means a solid that does not flow in a steady state, and most of the weight of the gel Because of the liquid or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it behaves like a solid as a whole.
  • the composition may be maintained at 25 to 40° C. for 20 to 30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ssue for transplantation prepared by attaching two or more tissues with the composition.
  • Transplanta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fers to a process of transferring cells, tissues, or organs of a donor to damaged tissues or organs of a recipient,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issue defects and damage of the composition for tissue fusion , Means application to the defective area. Transplantation can be carried out by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it can be performed surgically, and can be injected directly into the affected area.
  •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ing and culturing stem cells from fetal cartilage tissue; (b) obtaining a cell membrane comprising the cultured stem cells and their extracellular matrix; (c) centrifuging the obtained cell membrane to obtain a cell pellet; And (d) culturing the obtained cell pellet in a medium;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fusion comprising a.
  • the cell membrane obtained in step (b) may be obtained by including all of the extracellular matrix together with the cells attached to the bottom without the step of separating the cells.
  • Compressive strength, adhesion, and applicability of the composition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period of step (d).
  • appcability refers to the property of spreading among physical properties, and refers to the property of spreading smoothly over the entire surface without becoming a lump when applied to the affected area.
  • spreadability refers to the degree of spreading per unit weight of the sample when a force of 5 N is applied to the sample vertically for 1 second at a rate of 1 mm/minute.
  • adhesion refers to the property of attaching other materials to a material, and refers to the property that the material does not fall off when applied to the affected area.
  • adhesion refers to the resistance force until the material adhered to the jig and the affected part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being pulled at a rate of 1.3 mm/min after contacting and attaching a material to the affected part with a jig having a diameter of 5 mm.
  • the composition may be differentiated into cornea, epithelium, growth plate, bone, cartilage, ligaments, muscle or skin tissu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position for tissue fusion having tissue adhesion properties, including stem cells and stem cell-derived extracellular matrix as an active ingredient.
  • regenera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fers to an action to restore a tissue or organ to its original state or restore its function when a part of the body or its function is lost in an organism. This regenerative capacity is stronger the simpler the system and the lower the degree of systematic evolution.
  • Example 1 Isolation and culture of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 fetal cartilage tissue
  • cartilage tissue-derived stem cells released after the cartilage tissue was completely digested were centrifuged at 1700 rpm for 10 minutes to obtain precipitated cartilage-derived progenitor cells (FCPC), and a tissue culture dish [150 mm ( dia.) X 20 mm (h)] was inoculated at a cell density of 1 X 10 6 .
  • Example 2 Preparation of a composition for tissue fusion having tissue adhesion and differentiation properties (TAP)
  • Example 2 After diluting the cartilage stem cells obtained in Example 1 to a cell density of 2 X 10 5 , 10% fetal bovine serum (FBS), 50 units/mL penicillin, and 50 ⁇ g/mL streptomycin were added. Monolayer culture was performed in DMEM medium for 15 to 18 days. After culture, the medium was removed, and 0.05% trypsin-EDTA (Gibco) was added to obtain a cell membrane bound to the extracellular matrix. To obtain a cell membrane to which the cells and the extracellular matrix were bound, after 0.05% trypsin-EDTA treatment, the entire cell membrane including the cells and the extracellular matrix was obtained at once without separating the cells with a pipette.
  • FBS fetal bovine serum
  • penicillin 50 units/mL
  • streptomycin 50 ⁇ g/mL streptomycin
  • Cell membranes containing the obtained cells and extracellular matrix are cartilage differentiation medium (1% antibiotic-antimycotic), 1.0 mg/mL insulin, 0.55 mg/mL human transferrin, 0.5 mg/ mL sodium selenite, 50 ⁇ g/mL ascorbic acid, 1.25 mg/mL bovine serum albumin (BSA), 100 nM dexamethasone, 40 ⁇ g/mL proline ) And DMEM-HG to which 10 ng/ml TGF- ⁇ is added] and centrifuged at 250 xg for 20 minutes to prepare a pellet-shaped structure.
  • cartilage differentiation medium 1% antibiotic-antimycotic
  • 1.0 mg/mL insulin 0.55 mg/mL human transferrin
  • 0.5 mg/ mL sodium selenite 50 ⁇ g/mL ascorbic acid
  • BSA bovine serum albumin
  • DMEM-HG to which 10 ng/ml TGF- ⁇ is added] and centrifuged at 250 xg for 20 minutes to prepare
  • the prepared cell pellet was put in a culture dish, and cultured for 1 week, 2 weeks and 3 weeks in a 37°C, 5% CO 2 incubator using the same cartilage differentiation medium as described above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tissue fusion.
  • Example 3 Measurement of adhesive strength of composition for tissue fusion
  • Example 2 in order to check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TAP, a Universal Testing Machine (Model H5K-T, H.T.E, UK) was used to compare the adhesive strength with the fibrin adhesive.
  • the patient's cartilage tissue which was discarded after artificial joint surgery, was donated along with consent.
  • a cartilage damage model was made using a 6 mm biopsy punch on the patient's cartilage tissue surface, and the prepared TAP was inserted. Then, after attaching a jig with a diameter of 5 mm in contact with the inserted TAP, the resistance force until the jig was separated from the TAP was measured while pulling at a speed of 1.3 mm/min.
  •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TAP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nitially 2.52 kPa, which was weaker than the fibrin adhesive, but after 3 weeks, as the tissues were differentiated, the adhesive strength of 34.47 kPa was far superior to that of the fibrin adhesive. Confirmed.
  • PKH-26 a fluorescent expression factor labeled on the cell surface
  • a TAP labeled with the fluorescence expression factor PKH-26 was prepared, incubated in vitro for a week, and then fluorescence was confirmed to be well expressed, and then transplanted into a rabbit partial cartilage injury model.
  • the knee at the implantation site was separated and sectioned to a thickness of 4 ⁇ m using a frozen sectioning machine, and then a slide was prepared.
  • the knee at the implantation site was separated and sectioned to a thickness of 4 ⁇ m using a freezing sectioner, and a slide was prepared, followed by safranin O staining. .
  • Fetal cartilage stem cells (3 X 10 5 cells/cm 2 ) are 2% KnockOut TM Serum Replacement (KnockOut TM SR,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 10 ng/ml 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Wako Pure).
  • HGF hepatocyte growth factor
  • EGF epithelial growth factor
  • 0.5 ⁇ g/ml hydrocortisone Sigma-Aldrich, St.Louis, USA
  • 5 ⁇ M retinoic acid Sigma-Aldrich, St.Louis, USA
  • Cells were fixed with 4% paraformaldehyde for 20 minutes, and incubated with 0.1% Triton X-100 for 15 minutes and 5% BSA for 1 hour. Thereafter, the cells were reacted with the primary antibody [anti-PAX6, anti-BCRP/ABCG2, anti-p63, anti-CK3/12 (1:200 dilution, Abcam, Cambridge, UK)]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Washed with PBS and reacted with secondary antibodies [goat anti-mouse IgG H & L and goat anti-rabbit IgG H & L (1:1000 dilution, Alexa Fluor® 488, Abcam, Cambridge, UK)]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Made it.
  • the primary antibody anti-PAX6, anti-BCRP/ABCG2, anti-p63, anti-CK3/12 (1:200 dilution, Abcam, Cambridge, UK
  • secondary antibodies goat anti-mouse IgG H & L and goat anti-rabbit IgG H & L (1:1000
  • DAPI 4,6-diamidino-2-phenylindole
  • Cells (passage 5) were analyzed using a corneal epithelial stem cell marker and a corneal epithelial differentiation marker.
  • Cells were treated with primary antibodies (anti-CD34-FITC (BD Biosciences, San Jose, CA, USA), anti-CD105 (BD Biosciences, San Jose, CA, USA), anti-PAX6, anti-BCRP/ABCG2, anti- p63, anti-CK3/12 (1:500 dilution, Abcam, Cambridge, UK)]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washed with PBS, and secondary antibodies [goat anti-mouse IgG H & L and goat anti -Rabbit IgG H & L (1:1000 dilution, Alexa Fluor® 488, Abcam, Cambridge, UK)]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Stained cells were analyzed by flow cytometry (Becton Dickinson FACSvantage).
  • the cells were lysed by reacting at 4° C. for 30 minutes using RIPA buffer to which a protease inhibitor (Rockland Immunochemicals, Pennsylvania, USA) was added. After the cell lysate was centrifuged at 4° C. and 12,000 g for 15 minutes, the protein was quantified. SDS-PAGE was performed using 20 ⁇ g of protein and transferred to a PVDF membrane. Thereafter, the PVDF membrane was subjected to primary antibodies [actin (1:1000) (GeneTex Inc., California, USA), anti-PAX6, anti-BCRP/ABCG2, anti-p63 and antiCK3 (1:200, Abcam, Cambridge, UK).
  • primary antibodies [actin (1:1000) (GeneTex Inc., California, USA), anti-PAX6, anti-BCRP/ABCG2, anti-p63 and antiCK3 (1:200, Abcam, Cambridge, UK).
  • DAB 3,3'-diaminobenzidine
  • Fig. 5A the morphology of fetal cartilage stem cells cultured in the differentiation medium was compared with that of SV40 corneal epithelial cells.
  • SV40 corneal epithelial cells were cultured in Cnt-Pr medium.
  • no morphological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cell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phology of fetal cartilage stem cells was similar to that of corneal epithelial cells.
  • fetal cartilage stems cultured in differentiation medium using stem cell markers (CD34, CD105), corneal epithelial stem cell markers (ABCG2, p63), and corneal epithelial differentiation markers (PAX6, CK3/12)
  • stem cell markers CD34, CD105
  • corneal epithelial stem cell markers ABCG2, p63
  • corneal epithelial differentiation markers PAX6, CK3/12
  • Example 7 Chemically burned corneal epithelial animal model
  • Fetal cartilage stem cells were subcultured through trypsin treatment (passage 4-5). Non-adherent cells were washed by replacing them with fresh medium 2-3 times. Thereafter, fetal cartilage stem cells (2 X 10 5 cells/cm 2 ) were 100 U/ml penicillin G and 100 ⁇ g/ml streptomycin (HyClone), insulin-transferrin-selenium (ITS, Gibco BRL, NY, USA), 50 ⁇ g/ml ascorbate-2 phosphate, 100 nM dexamethasone, 40 ⁇ g/ml proline, 1.25 mg/ml bovine serum albumin, 100 ⁇ g/ml sodium pyruvate (Sigma-Aldrich, St. Louis, USA) It was cultured in a sheet-medium containing high-glucose DMEM medium, and cultured for 3-4 days in a 37°C, 5% CO 2 incubator until the fetal cartilage stem cells were removed from the culture dish.
  • LSCD Corneal limbal stem cell deficiency
  • Fig. 6B As a result, as shown in Fig. 6B,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fetal cartilage stem cell sheet in the rabbit animal model with chemical burns on the right eye, normal corneal epithelium was observed on days 0 and 7 in the normal group (A, D). , In the control group, damaged corneal epithelium was observed on days 0 and 7 (B, E), whereas when the fetal cartilage stem cell sheet was treated, corneal epithelium was observed on days 0 and 7 (C, F),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neal epithelium damaged by the fetal cartilage stem cell sheet was treated.
  • a fetal cartilage stem cell sheet labeled with PKH26 was observed at the damaged site (A), and fetal cartilage at the damaged sit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em cell sheet survived (B).
  • the growth plate portion of the rabbit was drilled at an angle with a 2 mm punch twice, and the TAP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mplanted. After that, the implantation site was separated and sectioned to a thickness of 4 ⁇ m using a frozen sectioning machine, and then a slide was manufactured.
  • the negative control group only damaged the growth plate, and as the positive control group, bone wax, which is currently most widely used in clinical practice, was used.
  • cartilage was formed in the group transplanted with the TAP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8 weeks.
  • the warning agent used as a positive control has the effect of filling the graft space,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graft material is maintained as bone tissue, and angular deformation of the bone occurs, whereas the TAP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cartilage and is transplanted even when observed with the naked eye.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tilage was regenerated so that the part was not visible.
  • bone tissue is formed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at the damaged graft site through safranin O and hematoxylin & eosin staining, whereas in the group transplanted with the TA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tilage tissue is clearly located at the growth plate position. I could confirm that there is.
  • the TAP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mplanted into the growth plate injury model of rabbits, and ossification capacity was confirmed in the cartilage in the growth plate (Group 1: negative control, Group 2: positive control (warning agent), Group 3: TAP treatment group) (left bar: Average length, right bar: Example results)
  • bone tissue was formed at the damaged site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through safranin O, hematoxylin & eosin staining,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TAP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aintained as cartilage tissue. .
  • the group to which TAP was transplanted was stained with HuNA to confirm the transplanted tissue, and the proliferating cells were confirmed by staining with PCNA.
  • Example 10 Confirmation of muscle differentiation effect using fetal cartilage-derived stem cells sheet (TAP-C)
  • FCSC Fetal cartilage-derived stem cells
  • TGF- ⁇ 1 transforming growth factor- ⁇ 1
  • NEAA non-essential amino acids
  • ITS insulin-transferrin-selen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줄기세포 및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기질을 이용하여 젤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조직 유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조성물은 생체 조직에 우수한 접착성 및 결합력을 가지며, 이식 후 연골, 뼈, 각막, 성장판 등으로 분화가 가능한 것을 확인한 바, 손상 조직 또는 장기 재생 치료를 위한 접착제 및 분화제로 사용하여 궁극적으로 조직 유합제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8년 미국 FDA에서 피브린 실란트(fibrin sealant)가 허가되면서, 매년 새로운 조직 접착제들이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조직 접착제는 종래 외과적 또는 내과적 수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봉합술, 클립술, 뜸술과 같은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각광 받고 있다.
봉합술 등과 같은 종래 외과적 기술은 강한 신장력(strong tensile strength)을 가지지만 환자의 고통 유발 및 시술 후 제거 등의 단점을 가지며, 반면, 조직 접착제는 빠른 접착 시간, 간편한 사용, 시술 후 제거 불필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낮은 접착성 및 신장력과 수분이 존재하는 경우 접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조직 접착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의료용 조직 접착제는 조직에 직접 접촉하므로 생체 적합성이 요구되며, 통상적으로 생체 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접착제가 체액과 혈액 중으로 흘러 들어가는 경우를 대비하여 보다 엄격한 조건으로 인체에 독성과 위해성이 없어야 하고 생분해성 소재여야 한다.
현재 상용화 및/또는 실용화되고 있는 조직 접착제는 크게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 피브린 접착제, 젤라틴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등이 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최근 고기능성 및 고성능을 갖는 순간 접착제 연구에 각광 받고 있다. 상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 계열 조직 접착제는 단일물질로 짧은 시간에 실온에서 개시제 없이 수분에 의해서 경화되고 외관이 투명하며 접착 강도가 큰 장점이 있으나, 충격에 약하고 내열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독성이 심해서 현재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서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일부에서는 조직 독성과 취약성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피브린 접착제는 접착 부위에 존재하는 수분에 영향 없이 빠르게 접착이 가능하고 혈소판과 응고 장해가 없으며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접착력이 약하고 생분해속도가 빠르며 혈액 감염의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젤라틴 접착제는 조직 접착성은 높으나 가교제로 사용되는 포르말린이나 글루타알데하이드가 생체 내의 단백질과도 가교 반응을 일으켜 조직 독성을 일으킨다는 단점이 있으며,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는 생체 조직 표면의 물을 흡수하여 조직과의 밀착성을 높이고 물과 반응하여 수분 이내에 경화되며 생분해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합성원료인 방향족 디아이소시아네이트가 생체 독성을 가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현재까지 개발된 접착제는 조직과 조직 사이 혹은 조직과 이식물 사이의 유합에 거의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즉, 접착제에 의해 조직이 영구적으로 유하되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의 생분해 이후에는 두 조직 혹은 이식물은 다시 떨어지게 된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에서 치료 세포를 공급하는 세포 치료제가 연구되고 있다. 즉, 조직과 조직 사이 혹은 조직과 이식물 사이에 세포를 주입함으로써 이식된 세포가 세포외기질을 분비하여 접착 물질을 부착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세포 치료제는 접착성이 전혀 없어 세포가 조직을 생성하는 동안 별도의 접착제 혹은 물질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조직 접착제는 두 조직 사이의 접착력이 필요하며, 아울러 두 조직을 영구히 부착하기 위해 목표로 하는 부착 조직의 세포로 분화하여 궁극적으로 세포외기질을 분비할 수 있는 세포 치료제의 기능을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와 같은 세포 탑재 조직 접착제는 신체의 많은 조직 손상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육의 파열, 인대의 손상, 뼈 부착, 연골 재생 등이 이에 해당된다. 따라서 조직 접착과 분화 세포를 탑재한 조직 접착제의 개발은 이식 치료에 있어서 획기적 진보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제(tissue adhesive product; TAP)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및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로 둘 이상의 조직을 부착시켜 제조되는 이식용 조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태아 연골조직으로부터 줄기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배양된 줄기세포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세포막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된 세포막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렛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득된 세포 펠렛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줄기세포 및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기질을 이용하여 젤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조직 유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조성물은 생체 조직에 우수한 접착성 및 결합력을 가지며, 이식 후 연골, 뼈, 각막, 성장판 등으로 분화가 가능한 것을 확인한 바, 손상 조직 또는 장기 재생 치료를 위한 접착제 및 분화제로 사용하여 궁극적으로 조직 유합제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골 조직 유합제 조성물(TAP)의 접착 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연골손상 모델에 형광발현인자 PKH-26이 표지된 TAP를 이식한 후 손상 부위에 부착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1주, 2주, 3주 배양되어 제조된 TAP의 사프라닌 O 염색 및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결과이다.
도 4는 연골손상 모델에 TAP를 이식한 후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이식 후 연골손상의 재생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태아 연골조직 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각막세포로의 분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TAP를 이용하여 시트 형태의 각막세포로의 분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성장판 손상 모델 제작 및 TAP 이식 방법을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성장판 손상 모델에서 TAP에 의한 연골 조직 및 성장판 조직으로의 분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성장판 손상 모델에서 TAP에 의한 콜라겐 및 당단백 형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성장판 손상 모델에서 TAP에 의한 길이 성장 및 각변형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 내지 13은 성장판 손상 모델에서 TAP에 의한 연골조직의 형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4는 TAP에 의한 요추 추간판 재생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5는 태아 연골 유래 줄기세포 시트의 배양 7일 후 세포 분화를 확인한 Gross image 이미지 결과이다.
도 16은 태아 연골 유래 줄기세포 시트의 배양 7일 후 근원세포로의 분화를 확인하기 위해 Myf5 및 MyoD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웨스턴 블롯팅 분석 결과이다.
도 17은 태아 연골 유래 줄기세포 시트의 배양 7일 후 근원세포로의 분화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세포화학(immunocytochemistry; ICC)을 수행하여 Myf5 및 MyoD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및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줄기세포”는 태아 연골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줄기세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콜라게나제 등을 이용하여 연골조직을 완전히 소화시킨 후 분리된 연골 전구세포(fetal cartilage derived progenitor cell; FCPC)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은 태아 연골조직 유래 줄기세포로부터 세포에 의해 합성되고 세포 외로 분비, 축적된 분자로 구성되어 있는 생체 고분자의 집합체로 교원질, 탄력소 등의 섬유성 단백질,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등의 복합 단백질, 피브로넥틴, 라미닌 등의 세포 부착성 단백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연골”은 초자연골(hyaline cartilage), 섬유연골 (fibrocartilage) 또는 탄성연골(elastic cartilage)을 포함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 귀 연골, 비연골, 팔꿈치 연골, 반월상연골 (meniscus), 무릎연골, 늑연골, 발목연골, 기관연골, 후두연골 및 척추 연골 등 연골 부위에 제한 없이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각막, 상피, 성장판, 골, 연골, 인대, 근육 또는 피부 조직으로 분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조성물은 젤 형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젤(gel)”은 젤리와 유사한 물질로서 부드럽고 약한 범위로부터 강하고 거친 범위까지의 물성을 가지며, 정상상태에서 흐름을 나타내지 않는 고체(solid)를 의미하며, 젤의 대부분 중량은 액체(liquid)이나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인해 전체적으로는 고체와 같이 행동한다.
상기 조성물은 25 내지 4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로 둘 이상의 조직을 부착시켜 제조되는 이식용 조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용된 용어 “이식(transplantation)”은 일반적으로 공여자의 세포, 조직 또는 장기 등을 수혜자의 손상 조직 또는 장기에 옮기는 과정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의 조직 결함, 손상, 결손 부위로의 적용을 의미한다. 이식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과적 수술로 수행될 수 있고, 환부에 직접 주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태아 연골조직으로부터 줄기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배양된 줄기세포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세포막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된 세포막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렛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득된 세포 펠렛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b) 단계의 세포막 수득은 세포의 분리 단계 없이 바닥에 부착된 세포와 함께 세포외기질을 모두 포함하여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d) 단계의 배양 기간에 따라 조성물의 압축강도, 부착력 및 도포성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도포성(퍼짐성)”은 물성 중 퍼지는 성질을 말하며, 환부 등에 바를 때 덩어리가 되지 않고 매끄럽게 전면에 퍼지는 성질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퍼짐성은 시료를 1 mm/분 속도로 1초 동한 5 N의 힘을 수직으로 시료에 주었을 때 시료의 단위 무게 당 퍼지는 정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부착성”은 물질에 다른 물질이 붙는 성질을 말하며, 환부 등에 바를 때 물질이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는 성질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착성은 직경 5 mm의 지그와 환부에 물질을 접촉하여 부착시킨 후 1.3 mm/분의 속도로 끌어당기면서 지그와 환부에 부착된 물질이 떨어져 분리될 때까지의 저항력을 말한다.
상기 조성물은 각막, 상피, 성장판, 골, 연골, 인대, 근육 또는 피부 조직으로 분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및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 접착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된 용어 “재생”은 일반적으로 생물체에는 몸의 일부 또는 그 기능을 상실하였을 때, 그 부분의 조직이나 기관을 다시 만들어 원래 상태로 복구시키거나 그 기능을 회복하려는 작용을 일컫는다. 이러한 재생능력은 체계가 간단하고 계통적으로 진화의 정도가 낮은 것일수록 강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사람 태아 연골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분리 및 배양
12~15주된 태아(출처: 아주대학교병원 윤리위원회에서 승인한 IRB NO. AJIRB-CRO-07-139)의 무릎 관절로부터 연골조직 유래 줄기세포를 분리하였다. 간략하게, 무릎 관절로부터 분리된 연골조직을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d 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한 후, 0.2%(w/v) 콜라게나제(collagenase, Worthington Biochemical Corp., Lakewood, NJ)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gle Medium, Gibco, Grand Island, NY) 배지를 첨가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연골조직이 완전히 소화되어 방출된 연골조직 유래 줄기세포를 17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연골조직 유래 줄기세포(fetal cartilage derived progenitor cell; FCPC)를 수득하였으며, 조직 배양접시[150 mm(dia.) X 20 mm(h)]에 1 X 106 세포 밀도로 접종하였다.
실시예 2: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제조(TAP)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연골 줄기세포를 2 X 105 세포 밀도로 희석한 후,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50 units/mL 페니실린 및 50 ㎍/mL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 배지에서 15~18일 동안 단층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0.05% 트립신-EDTA(Gibco)를 첨가하여 세포외기질과 결합된 세포막을 수득하였다. 세포 및 세포외기질이 결합된 세포막의 수득은 0.05% 트립신-EDTA 처리 후 세포들을 파이펫으로 분리하지 않고 세포 및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세포막 전체를 한 번에 수득하였다.
수득한 세포 및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세포막은 연골 분화배지[1% 항생제-항진균제(antibiotic-antimycotic), 1.0 mg/mL 인슐린(insulin), 0.55 mg/mL 인간 트랜스페린(human transferrin), 0.5 mg/mL 소듐 셀레나이트(sodium selenite), 50㎍/mL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1.25 mg/mL 우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100 n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40 ㎍/mL 프롤린(proline) 및 10 ng/ml TGF-β가 첨가된 DMEM-HG]가 포함된 50 ml 튜브에 넣고 250 x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펠렛 형태의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세포 펠렛을 배양접시에 넣고, 상기 조성과 동일한 연골 분화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1주, 2주 및 3주 동안 배양하며 조직 유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조직 유합용 조성물의 접착 강도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TAP의 접착 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Universal Testing Machine (Model H5K-T, H.T.E, 영국)을 사용하여 피브린 접착제와 접착력을 비교하였다.
인공관절 수술 후 폐기되는 환자의 연골조직을 동의서와 함께 기증받았다. 환자의 연골조직 표면에 6 mm biopsy punch를 이용하여 연골손상 모델을 제작하고 제조된 TAP를 삽입하였다. 그 다음 직경 5 mm의 지그가 삽입된 TAP에 접촉하여 부착시킨 후 1.3 mm/분의 속도로 끌어당기면서 지그가 TAP와 분리될 때까지의 저항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TAP의 접착 강도는 초기에 2.52 kPa로 피브린 접착제보다 약했으나, 3주 후 조직으로 분화가 진행되면서 34.47 kPa로 피브린 접착제 보다 월등히 우수한 접착 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형광발현인자 PKH-26을 표지한 TAP의 체내 부착 확인
세포 표면에 표지되는 형광발현인자인 PKH-26을 TAP에 부착하여 체외 배양 및 체내에서 발현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형광발현인자 PKH-26을 표지한 TAP를 제작하여 in vitro에서 일주일 동안 배양 후 형광이 잘 발현되는 것을 확인한 다음, 토끼의 부분 연골손상 모델에 이식하였다. 이식 후 일주일 뒤, 이식 부위의 무릎을 분리하고 동결 절편기를 이용하여 4 ㎛ 두께로 절편 후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광학현미경 및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도 2와 같이, 부분 연골 손상 부위에 TAP가 남아있으며, 형광발현인자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TAP가 환부에 도포되어 부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연골 조직으로의 분화 확인
상기 실시예 2의 세포 펠렛으로부터 TAP 제조 과정에서 1주가 지날 때마다, 4%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킨 다음, 파라핀에 포매하여 4 ㎛ 두께로 절단하고, 축적된 황산화된 프로테오글리칸 검출을 위해 횡단면을 사프라닌(Safranin) O와 헤마톡실린&에오신(H&E)으로 염색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1주에서 3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에서는 세포 간격이 넓어지며 세포 모양이 연골세포와 유사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사프라닌 O 염색에서는 3주에서 단백당의 양이 증가하고 연골에서 볼 수 있는 라쿠나(lacuna)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TAP를 토끼의 부분 연골손상 모델에 이식한 후, 이식 부위의 무릎을 분리하고 동결 절편기를 이용하여 4 ㎛ 두께로 절편 후 슬라이드를 제작한 후, 사프라닌 O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이식 4주 후 공여자(donor) 연골과 수혜자(host) 연골 경계부와 연골과 뼈의 경계를 보면, 대조군에 비해 연골과 연골, 연골과 뼈의 병합(integration)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식 8주 후에는 연골과 연골, 연골과 뼈의 병합이 거의 완전하게 이루어져 손상 부위가 거의 확인되지 않을 정도로 정상 조직과 유사하게 연골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각막 상피 세포로의 분화 확인
6-1. 각막 상피 세포 분화
태아 연골 줄기세포(3 X 105 세포/cm2)는 2% KnockOutTM Serum Replacement (KnockOutTM SR,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 10 ng/ml 각질세포 성장인자(KGF, Wako Pure Chemical, Japan), 10 ng/ml 간세포 성장인자(HGF, Wako Pure Chemical, Japan), 20 ng/ml 상피 성장인자(EGF, Wako Pure Chemical, Japan), 0.5 μg/ml 하이드로코르티손(Sigma-Aldrich, St.Louis, USA), 5 μM 레티노산(Sigma-Aldrich, St.Louis, USA)이 포함된 저 글루코즈 DMEM 배지(HyClone, Logan, UT, USA)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배지는 2일마다 교체하였다.
6-2. 면역세포화학
세포는 4% 파라포름 알데히드로 20분간 고정시키고, 0.1% Triton X-100과 15분, 5% BSA와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를 1차 항체[anti-PAX6, anti-BCRP/ABCG2, anti-p63, anti-CK3/12(1:200 희석, Abcam, Cambridge, UK)]와 함께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PBS로 세척하고 2차 항체[goat anti-mouse IgG H & L 및 goat anti-rabbit IgG H & L(1:1000 희석, Alexa Fluor® 488, Abcam, Cambridge, UK)]와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세포를 4,6-diamidino-2-phenylindole(DAPI)로 염색하여 핵을 시각화 하였으며, 형광 현미경(Mi8, Leica Microsystems, Wetzlar, Germany)을 이용하여 세포를 관찰하였다.
6-3. FACS
세포(계대 5)는 각막 상피 줄기세포 마커와 각막 상피 분화 마커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포를 1차 항체[anti-CD34-FITC(BD Biosciences, San Jose, CA, USA), anti-CD105(BD Biosciences, San Jose, CA, USA), anti-PAX6, anti-BCRP/ABCG2, anti-p63, anti-CK3/12(1:500 희석, Abcam, Cambridge, UK)]와 함께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PBS로 세척하고 2차 항체[goat anti-mouse IgG H & L 및 goat anti-rabbit IgG H & L(1:1000 희석, Alexa Fluor® 488, Abcam, Cambridge, UK)]와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염색된 세포는 유세포 분석법(Becton Dickinson FACSavantage)으로 분석하였다.
6-4. 웨스턴 블랏
세포를 수집한 후, 프로테아제 억제제(Rockland Immunochemicals, Pennsylvania, USA)가 첨가된 RIPA 완충액을 이용하여 4℃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켜 세포를 용해하였다. 세포 용해물을 4℃, 12,000 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20 μg의 단백질을 이용하여 SDS-PAGE를 수행하였으며, PVDF 막으로 이동시켰다. 이후, 상기 PVDF 막을 1차 항체[actin(1:1000)(GeneTex Inc., California, USA), anti-PAX6, anti-BCRP/ABCG2, anti-p63 및 antiCK3(1:200, Abcam , Cambridge, UK)]와 함께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비특이적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skim milk로 블로킹하였다. 이후, 2차 항체[HRP-conjugated goat anti-rabbit IgG 및 goat anti-mouse IgG(1:1000, GeneTex Inc., California, USA)]와 함께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화학 발광 키트(ECL 키트, Bio-Rad,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밴드를 시각화 하였으며, Chemiluminescence 시스템(Fusion SL2, VILBER LOURMAT, France)과 Image J(NIH, USA)를 사용하여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6-5. 조직학적 및 면역조직화학
시료를 4% 포름알데히드(Duksan Chemical, Korea)로 고정시킨 후, 파라핀 왁스(Merck, Darmstadt, Germany)에 포매하였다. 4 mm 두께의 슬라이드 절편을 제작한 후, 헤마톡실린&에오신으로 염색하여 in vivo에서 태아 연골 줄기세포 시트와 세포 형태를 확인하였다.
CK3와 Human nucleus의 면역조직화학 분석을 위해, 3% 과산화수소(덕산 화학, 한국)가 첨가된 메탄올로 10분간 반응시킨 후 펩신 용액(Golden Bridge International, Inc., Mukilteo, WA, USA)과 10분간 반응시켰다. 1% BSA가 첨가된 PBS로 블로킹 후, 1차 항체[anti-CK3(1:100, Abcam, Cambridge, UK), anti-human nucleus(1:100, Millipore, Massachusetts, USA)]와 함께 상온에서 1시간 30분 반응시킨 후, 2차 항체(biotinylated-anti mouse IgG(SPlink HRP Detection Kit; Golden Bridge International, Inc., Mukilteo, WA, USA)와 30분 반응시킨 다음 HRP-conjugated streptavidin 용액과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마지막으로 마운팅(mounting)하기 전, 3,3'-diaminobenzidine(DAB) 용액(Golden Bridge International, Inc., Mukilteo, WA, USA)과 반응시킨 다음 Mayer's hematoxylin (YD Diagnostics, Seoul, Korea)으로 대조 염색하였다.
그 결과, 도 5A와 같이, 분화 배지에서 배양된 태아 연골 줄기세포의 형태학을 SV40 각막 상피세포와 비교하였다. SV40 각막 상피세포는 Cnt-Pr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결과, 두 세포간에 형태학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태아 연골 줄기세포의 형태학이 각막 상피세포와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5B와 같이, 각막 상피 줄기세포 마커(ABCG2, p63) 및 각막 상피 분화 마커(PAX6, CK3/12)를 이용하여 분화 배지에서 배양된 태아 연골 줄기세포와 SV40 각막 상피세포를 비교한 결과, SV40 각막 상피세포에서 ABCG2, p63, PAX6 및 CK3/12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반 배지에서 배양된 태아 연골 줄기세포에서는 PAX6 및 CK3/12가 발현되지 않고, ABCG2 및 p63이 낮게 발현되었으나, 분화 배지에서 배양된 태아 연골 줄기세포의 경우, ABCG2, p63, PAX6 및 CK3/12가 모두 높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태아 연골 줄기세포에서 각막 상피 줄기세포 마커 및 각막 상피 분화 마커의 발현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C 및 도 5D와 같이, 줄기세포 마커(CD34, CD105), 각막 상피 줄기세포 마커(ABCG2, p63) 및 각막 상피 분화 마커(PAX6, CK3/12)를 이용하여 분화 배지에서 배양된 태아 연골 줄기세포와 SV40 각막 상피세포를 비교한 결과, 분화 배지에서 배양된 태아 연골 줄기세포에서 SV40 각막 상피세포와 유사하게 각막 상피 줄기세포 마커 및 각막 상피 분화 마커의 발현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화학적 화상을 입은 각막 상피 동물모델
7-1. 태아 연골 줄기세포 시트(sheet) 제조
태아 연골 줄기세포는 트립신 처리법(4 ~ 5 계대)을 통해 계대 배양하였다. 비부착성 세포는 2~3회 신선한 배지로 교환하여 세척하였다. 이후, 태아 연골 줄기세포(2 X 105 세포/cm2)는 100 U/ml 페니실린 G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HyClone), 인슐린-트랜스페린-셀레늄(ITS, Gibco BRL, NY, USA), 50 μg/ml 아스코르베이트-2 포스페이트, 100 nM 덱사메타손, 40 μg/ml 프롤린, 1.25 mg/ml 우혈청알부민, 100 μg/ml 소듐 피루베이트(Sigma-Aldrich, St. Louis, USA)가 포함된 고 글루코즈 DMEM 배지를 포함하는 시트-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태아 연골 줄기세포가 배양 접시에서 떨어질때까지 37℃, 5% CO2 배양기에서 3-4일 동안 배양하였다.
7-2. 화학적 화상을 입은 각막 상피 동물모델
동물실험은 아주대학교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막 윤부 줄기세포 결핍증(limbal stem cell deficiency; LSCD)을 각 토끼(18마리)의 오른쪽 눈에 유발시켰다. 케타민과 졸레틸 혼합물을 토끼 근육 내 주사하여 마취시킨 후, 직경 8 mm의 여과지를 1 M NaOH로 포화시키고 30초 동안 각막 윤부에 놓고, 식염수로 1분 동안 세척하였으며 이를 3회 반복하였다. 태아 연골 줄기세포 시트 및 PKH26 표지된 태아 연골 줄기세포 시트를 집게로 각막에 위치시키고,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에서 6-0 검은 실크 봉합사로 봉합하였다
그 결과, 도 6B와 같이, 오른쪽 눈에 화학적 화상을 입힌 토끼 동물모델에서 태아 연골 줄기세포 시트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상군에서는 0일과 7일째에 정상 각막 상피가 관찰되었고(A, D), 대조군에서는 0일 및 7일째에 손상된 각막 상피가 관찰된(B, E) 반면, 태아 연골 줄기세포 시트를 처리한 경우, 0일 및 7일째에 각막 상피가 관찰된 바(C, F), 태아 연골 줄기세포 시트에 의해 손상된 각막 상피가 치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6C와 같이, 이식 후 7일째 태아 연골 줄기세포의 시트 위치 및 생존 능력을 분석한 결과, 손상 부위에서 PKH26으로 표지된 태아 연골 줄기세포 시트가 관찰되었으며(A), 손상 부위에서 태아 연골 줄기세포 시트가 생존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B).
도 6D와 같이, 이식 7일째에 각막 상피 분화 마커인 CK3를 이용하여 치유 능력을 분석한 결과, 태아 연골 줄기세포 시트를 처리하였을 때 손상 부위에 위치하여 각막 손상에 대한 치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성장판 조직으로의 분화 확인
도 7과 같이, 토끼의 성장판 부분을 2 mm 펀치로 2회 비스듬히 뚫은 후, 본 발명의 TAP를 이식하였으며, 이후 이식 부위를 분리하고 동결 절편기를 이용하여 4 ㎛ 두께로 절편 후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성장판만 손상시켰고, 양성대조군으로는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경고제(bone wax)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8과 같이, 8주 후 본 발명의 TAP를 이식한 군에서 연골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경고제는 이식 공간을 채우는 효과는 있으나 이식재가 골 조직으로 유지되는 한계가 있으며, 골의 각변형이 일어난데 반해, 본 발명의 TAP는 연골을 형성시켜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도 이식한 부위가 보이지 않을 만큼 정상 연골로 재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프라닌 O와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통해 손상된 이식 부위에 음성대조군과 양성대조군에서는 골 조직이 형성되는 반면, 본 발명의 TAP를 이식한 군에서는 확연히 연골조직이 성장판 위치에 자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9와 같이, 면역염색을 수행한 결과, TAP를 이식한 군에서 정상군과 유사하게 콜라겐과 당단백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골 형성의 단계인 콜라겐 X의 경우 8주 이후에 형성되는 것을 확인한 바, 골화가 늦게 일어나거나 방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예 9: 성장판 내 연골 형성능 확인
토끼의 성장판 손상 모델에 본 발명의 TAP를 이식하고 성장판 내 연골에서 골화능을 확인하였다(Group 1: 음성대조군, Group 2: 양성대조군(경고제), Group 3: TAP 처리군)(왼쪽 막대: 평균 길이, 오른쪽 막대: 실시예 결과)
그 결과, 도 10과 같이, 음성대조군에서만 길이 성장에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각변형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양성대조군인 경고제를 이식한 군에서도 각변형이 관찰되었다.
또한, 도 11과 같이, 사프라닌 O과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통해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서 손상 부위에 골 조직이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TAP의 경우 연골조직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체적으로 4주 결과에서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과 달리 TAP를 이식한 군에서만 손상된 성장판 부위에 연골조직이 채워져 있는 것을 확인한 반면, 성장되는 부위에 hypertrophic marker가 발현됨으로써 길이 성장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2와 같이, TAP를 이식한 군을 HuNA로 염색하여 이식된 조직을 확인하였으며, PCNA로 염색하여 증식세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도 13과 같이, 이식 후 4, 14, 21, 28주에 사프라닌 O와 uCT를 수행한 결과, 4, 14, 21, 28주 결과에서 TAP를 이식한 군에서도 거의 동일한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서는 성장판 손상 부위에 연골조직이 발견되지 않고, u-CT 결과에서 골 조직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음성대조군의 경우 모든 주에서 각변형이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4와 같이,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요추 추간판의 재생을 비교한 결과(요추 2-3번: 정상대조군, 요추 3-4번: TAP 처리군, 요추 4-5번: 음성대조군, 요추 5-6번: TAP 처리군), 요추 3-4번과 5-6번 사이의 추간판의 섬유테 결손이 복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태아 연골 유래 줄기세포 (Fetal cartilage-derived stem cells) 시트(TAP-C)를 활용한 근육분화 효과 확인
실험실내에서 태아 연골 유래 줄기세포 시트(sheet)를 사용하여 근육 재생에 활용할 구 있는 인공 근육조직을 만들기 위해 TAP-C를 이용하여 근육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태아 연골 유래 줄기세포(FCSC)를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세포 시트의 밀도 및 두께에 따른 분화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트 그룹은 3 × 105/well 그룹과 2 × 106/well 그룹으로 구성하였다. 배지는 10% FBS가 첨가된 High-glucose DMEM (Hyclone)을 사용하였다.
배양 1일 후, 배지를 Myoblast-분화 유도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지는 DMEM/nutrient mixture F-12 (Invitrogen)에 1ng/ml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 R&D systems), non-essential amino acids (NEAA; Invitrogen), insulin-transferrin-selenium (ITS; Gibco)를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7일 동안 배양하여, FCSC를 근원세포 (Myoblast)로 분화시켰다.
배양 7일 후, 근원세포로의 분화 확인을 위해, 웨스턴 블롯팅 (western blotting) 및 면역세포화학(immunocytochemistry; ICC)을 수행하여 Myf5와 MyoD의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5 내지 도 17과 같이 근육분화 초기에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 Myf5 및 MyoD의 발현이 나타남에 따라, FCSC 시트가 근원세포로 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줄기세포 및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은 각막, 상피, 성장판, 골, 연골, 인대, 근육 및 피부 조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젤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4. 제 1항에 따른 조성물로 둘 이상의 조직을 부착시켜 제조되는 이식용 조직.
  5. (a) 태아 연골조직으로부터 줄기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배양된 줄기세포 및 이의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세포막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된 세포막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렛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득된 세포 펠렛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에 따른 조직 유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세포막 수득은 세포의 분리 단계 없이 바닥에 부착된 세포와 함께 세포외기질을 모두 포함하여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배양 기간에 따라 조성물의 압축강도, 부착력 및 도포성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은 각막, 상피, 성장판, 골, 연골, 인대, 근육 및 피부 조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읕 특징으로 하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줄기세포 및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기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직 접착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PCT/KR2020/004253 2019-03-28 2020-03-27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9733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57582A JP2022528378A (ja) 2019-03-28 2020-03-27 組織接着及び分化特性を有する組織癒合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17/598,496 US20220160928A1 (en) 2019-03-28 2020-03-27 Tissue fusion composition having tissue adhesion and differentiation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EP20778500.7A EP3950017A4 (en) 2019-03-28 2020-03-27 TISSUE FUSION COMPOSITION HAVING TISSUE ADHESION AND DIFFERENTI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EPAR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835 2019-03-28
KR20190035835 2019-03-28
KR10-2020-0036318 2020-03-25
KR1020200036318A KR102586164B1 (ko) 2019-03-28 2020-03-25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7337A1 true WO2020197337A1 (ko) 2020-10-01

Family

ID=7261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4253 WO2020197337A1 (ko) 2019-03-28 2020-03-27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60928A1 (ko)
EP (1) EP3950017A4 (ko)
JP (1) JP2022528378A (ko)
WO (1) WO202019733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142A (ko) * 2009-01-15 2010-07-23 코아스템(주) 연골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치료용 또는 항염증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10032433A (ko) * 2009-09-23 2011-03-30 이정익 세포이식술을 위한 혼합세포복합체인 세포스페로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718669B1 (ko) * 2016-12-16 2017-03-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연골결손 치료용 조성물 및 인공연골 제조방법
KR101836475B1 (ko) * 2016-08-02 2018-03-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2512A1 (en) * 2003-08-01 2005-02-10 Norimasa Nakamura Scaffold-free self-organized 3d synthetic tissue
WO2007083504A1 (ja) * 2003-08-01 2007-07-26 Norimasa Nakamura スキャフォールドフリー自己組織性三次元人工組織(Scaffold-free Self-Organized 3D synthetic tissue)
JP5757514B2 (ja) * 2010-08-30 2015-07-29 国立大学法人東京農工大学 移植用細胞シートの製造方法、移植用細胞シート、及び移植用細胞シートを用いる治療方法
TWI774829B (zh) * 2017-09-01 2022-08-21 國立大學法人鳥取大學 具有纖維化抑制作用之細胞層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142A (ko) * 2009-01-15 2010-07-23 코아스템(주) 연골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치료용 또는 항염증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10032433A (ko) * 2009-09-23 2011-03-30 이정익 세포이식술을 위한 혼합세포복합체인 세포스페로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836475B1 (ko) * 2016-08-02 2018-03-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8669B1 (ko) * 2016-12-16 2017-03-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연골결손 치료용 조성물 및 인공연골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I, W. H. ET AL.: "Fetal Cartilage-Derived Cells Have Stem Cell Properties and Are a Highly Potent Cell Source for Cartilage Regeneration", CELL TRANSPLANTATION, vol. 25, no. 3, 2016, pages 449 - 461, XP055743612, DOI: 10.3727/096368915X688641 *
KIM, BYEONG KOOK: "Differentiation of fetal cartilage-derived progenitor cells (FCPCs) into corneal epithelial-like cells", MASTER'S THESIS., February 2018 (2018-02-01), Ajou University, pages 1 - 39, XP05574360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0017A4 (en) 2022-12-07
US20220160928A1 (en) 2022-05-26
EP3950017A1 (en) 2022-02-09
JP2022528378A (ja)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ovannini et al. Micromass co-culture of human articular chondrocytes and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to investigate stable neocartilage tissue formation in vitro
Rohaina et al. Reconstruction of limbal stem cell deficient corneal surface with induced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on amniotic membrane
JP6289858B2 (ja) 瘻の治療における脂肪組織由来間質幹細胞の使用
ES2726804T3 (es) Método de producción de lámina de células epiteliales de pigmento retiniano
Duynstee et al. The dual role of perichondrium in cartilage wound healing
WO2018026198A1 (ko)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04261899A1 (en) Scaffold-free self-organized 3D synthetic tissue
JPWO2014104366A1 (ja) ヒト角膜内皮細胞シート
US20160129044A1 (en) Use of mesothelial cells in tissue bioengineering and artificial tissues
KR20160148499A (ko) 연골결손 치료용 조성물 및 인공연골 제조방법
KR101098073B1 (ko) 이식용 연골세포의 제법
García Delgado et al. Subretinal transplant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retinal pigment epithelium on nanostructured fibrin-agarose
KR102081356B1 (ko) 포자를 닮은 세포들의 계군 및 그 용도
WO2020197337A1 (ko)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60228423A1 (en) Cartilage composition for transplantation
KR102586164B1 (ko) 조직 접착 및 분화 특성을 갖는 조직 유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763960B2 (ja) ヒト軟骨細胞培養方法
EP3812457A1 (en) Method for preparing pellets of chondrocytes from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nd use thereof
BRPI0708039A2 (pt) células alimentadoras derivadas de células-tronco de tecido
KR101649375B1 (ko) 세포이식술을 위한 혼합세포복합체인 세포스페로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방법
JP2003245338A (ja) 関節軟骨修復材
Cobzac et al. Chondrocytes isolation from hyaline cartilage by continuous monitoring method
CN115177788B (zh) 一种具有良好力学强度及细胞活性的pcl复合生物胶原膜及其应用
JP5309025B2 (ja) 自家弾性軟骨を用いてカプセル化した移植物及びその作製方法
TWI649086B (zh) 用於修復軟骨缺陷的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785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5758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7785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