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89961A1 -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 Google Patents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89961A1
WO2020189961A1 PCT/KR2020/003468 KR2020003468W WO2020189961A1 WO 2020189961 A1 WO2020189961 A1 WO 2020189961A1 KR 2020003468 W KR2020003468 W KR 2020003468W WO 2020189961 A1 WO2020189961 A1 WO 20201899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rvice pack
vehicle
parking
guidance system
issu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34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성대
Original Assignee
정성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대 filed Critical 정성대
Publication of WO20201899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899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inside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08G1/09686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where the immediate route instructions are output to the driver, e.g. arrow signs for next tur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08G1/096872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where instructions are given per vo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ack for a parking guida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he driver eliminates the risk of vehicle accidents during the parking process,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caused by parking, and provides reliability and ease of parking guidance by a service pack. It relates to a service pack for a parking guidance system that enables one parking.
  • a parking guidance system is a device that informs a driver of a vehicle entering a parking lot with a device such as an LED that parking is possible.
  • a parking guidance system may inform a driver of a vehicle going out of the parking lot of the loca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inform the parking cost of the parked vehicle, or perform the settlement of the parking cost.
  • a parking guidance system provided in a parking lot in which a plurality of parking areas are arranged and defined as one parking area by grouping them in a certain number,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for photographing each parking zone and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photographed from each camera module
  • a plurality of end devices including a microcontroller that compares and analyzes images to generate parking guidance data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parking zones available for parking,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block that outputs the parking guidance data in a ZigBee communication method;
  • a coordinator for integrating and arranging parking guidance data input from eac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blocks through a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outputting the aligned parking guidance data through a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a router that compensates for a physical communication failure between the end device and a coordinator using the Zigbee communication
  • the service pack for a parking guidance system eliminates the risk of vehicle accidents during the parking process by the driver, and also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caused by parking, and provides reliability and easy parking for parking guidance by the service pack. It minimizes the economic burden on the driver by applying a service pack rental method through issuance and return of service packs, reduces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ervice packs, and issuance of service packs and The purpose i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parking management by enabling monitoring of returns.
  • a service pack for a parking guidance system that is provided on a vehicle in a parking lot and guides a driving direction of a vehicle from an entrance to a parking position to a driver, comprising: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movement direction of the vehicle; A voice guide module for output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y voice; A rechargeable battery that provid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of the parking induction system and receiving the service pack from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nd returning the service pack from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and the main server of the parking induction system.
  • a parking guidance system tha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guide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ntrance to the parking posi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voice guidance module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Provides a service pack.
  • it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that performs charging for the rechargeable battery.
  • it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display for display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 the communication unit recognizes the parking loca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arking loca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to the main server of the parking guidance system or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I can.
  • the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information on a parking location for a vehicle to park from a main server of the parking guidance system or a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 the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exit information from which the vehicle advances from the main server of the parking guidance system or a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 the voice guidance module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ervice pack, and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service pack, the vehicle is parked from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of the parking guidance system or the main server Voice guidance for a location can be provided.
  • the voice guidance module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of the parking guidance system or a main server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service pack.
  • the display unit switches to a power saving mode by stopping the display when the voice guidance module is removed, and switches to exit the power saving mode through the start of the display when the voice guidance module is mounted. Can be.
  • the driver can eliminate the risk of vehicle accidents during the parking process, and also relie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parking, and the reliability of parking guidance by the service pack It enables easy parking and minimizes the economic burden on the driver by applying the service pack rental method through issuance and return of service packs, and reduces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ervice packs. ,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issuance and return of service pack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parking management.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rvice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ervice pack for a park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used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rvice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used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rvice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used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rvice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wireless charging of a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 device used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rvice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rking process in a parking lot by a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rvice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rking lot exit process by a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rvice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a service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arking induction system 1 using a service pack includes a service pack 10, a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a main server 30, and a repeater 40. ) Can be included.
  • the service pack 10 is provided in the vehicle V to guide the driver of the vehicle V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 the service pack 1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1, a voice guide module 12, a rechargeable battery 13, a charging unit 14, a charging display unit 15, and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
  • the display unit 11 display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 the display unit 11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7 and displays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vehicle V straight forward, left turn, and right turn at passages and intersections in the form of arrows. You can indicate the direction.
  • the main body 17 may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attachment and detachment through a member provided in the vehicle V or a separate bracket member.
  •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may include a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from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o the parking position P1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from the parking position P1 to the exit of the parking lot.
  •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output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as a voice.
  •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provides voice guidance to the driver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by output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as a voice through the speaker 12a or the like.
  •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7a provided on the main body 17, for example, and a speaker 12a for voice guidance may be provided.
  • the mounting portion 17a may be made of a groove or a hole structure to enable the insertion of the voice guide module 12, and a locking structure such as a hook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and further, a protrusion and a protrusion to determine a fixed position. It can also be made to be joined by a groove.
  •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may include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b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or the main server 30 through the repeater 40. Even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ortion 17a of the main body 17,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is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or the main server 30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b. Voice guidance for the parking position P1 can be provided to the driver, whereby the driver can easily find the parking position P1 of the vehicle V.
  •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rechargeable battery 12c that supplies power required for driving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ortion 17a of the main body 17. The auxiliary rechargeable battery 12c may be charged by the charging part 14 of the main body 17 when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7a of the main body 17.
  • the display unit 11 is controlled to switch to the power saving mode through the interruption of the display when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is detached, and to escape from the power saving mode through the start of the display when the voice guide module 12 is mounted. Can be converted.
  • Display unit 11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of the auxiliary rechargeable battery 12c provided for connection to the charging unit 14 of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unit 14, it is confirmed from the charging unit 14 By detecting the separation of the guide module 12,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power saving mode.
  • the method by which the display unit 11 detects the separation or installation of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not only the separation of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but also the installation by various methods. have.
  • the rechargeable battery 13 provid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pack 10.
  • the charging unit 14 performs charging for the rechargeable battery 13.
  • the charging unit 14 may perform charging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3 by various methods.
  • the charging unit 14 may perform charging by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and supplying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3.
  • the charging unit 14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rged with a wireless charging method for the rechargeable battery 13.
  • the charging display unit 15 displays the charging status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3.
  • the charging display unit 15 makes it easy for the driver to check the charging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3 and make a judgment for returning or re-issuing the service pack 10. Can be lost.
  •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and the main server 30 by the repeater 40. For exampl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 recognizes the parking position P1 parked by the vehicle V through an image device or sensor, and transmits the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parked by the vehicle V through the repeater 40. It can be provided to the main server 30. In additi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 may receive exit information from the main server 30 through the repeater 40. Here, the exit information may include an exit position guide regar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from the parking position P1 where the vehicle V is parked to the exi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 may appl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Fi, 3G, LTE, 5G, ZigBee, and the like, but the same applies to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 enables the service pack 10 to communicate with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the main server 30, and the repeater 40.
  •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 allows the service pack 10 to receive data on the parking location P1 in which the vehicle V is to park, through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 the exact parking position P1 at which the vehicle V parks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30.
  •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 may cause the service pack 10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empty parking space to the main server 30 through the repeater 40 by the vehicle V, and the service pack ( 10) Retur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is a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used in the parking induction system, and stores the service pack 10 inside the parking lot (P). Issued to the vehicle (V) entering the vehicle (V), and receives a return service pack (10) from the vehicle (V) exiting from the parking lot (P).
  •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includes a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an issuing unit 22, a return unit 23, a storage unit 24, a charging unit 25, and a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6. I can.
  •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28 and a voice output unit 29.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recognizes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or exits the parking lot (P), recogniz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ervice pack 10 on the vehicle (V), and installs the service pack (10). Control.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may control the service pack 10 in various ways.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provides the service pack 10 so that the service pack 10 provided in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guid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from the entrance to the parking position P1. It is possible to control or control the service pack 10 so that the service pack 10 provided in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guid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from the parking position P1 to the exit.
  • Guidance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may be perform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display or audio output through the service pack 10.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provides data for display and audio output to the service pack 10 or Alternatively, guidance may be performed by outputting data for a predetermined display and audio output selected from among data for visual and audio guidance stored in the service pack 10.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provides a service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service pack 10 provided in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or exiting the parking lot P.
  • the pack 10 can be controlled.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controls the service pack 10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service pack 10 provided on the vehicle V
  • the vehicle V Guidance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rvice pack 10 provided in the.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provides the service pack 10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V instead of the location of the service pack 10 provided on the vehicle V.
  •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V may be guided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service pack 10 provided on the vehicle V.
  • guidanc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may depend more on the audio output unit 12 than the display unit 11 of the service pack 10.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may recognize a vehicle V entering or exiting the parking lot P by various methods.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may use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for number recognition or mark recognition.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for obtaining a number or a mark as data from an image of the vehicle V obtained through a camera.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may receive and utilize vehicle-related information matching the vehicle number as data so that various vehicle information other than the previously registered number can be identified through number recognition, if necessary.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a regular parking vehicle, a visited vehicle, a vehicle for the disabled, a light vehicle, an electric vehicle, etc.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vehicle, and guides the parking position P1 suitable thereto.
  • the service pack 10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may provide the return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30 through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6 when the service pack 10 is returned to the return unit 23.
  • the issuing unit 22 is controlled by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and issues a service pack 10 to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recognizes that the service pack 10 is not installed in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and transmits the issuing signal of the service pack 10 to the issuing unit 22, ,
  • the issuing unit 22 issues the service pack 10 to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 the issuing unit 22 transfers the service pack 10 from the receiving unit 24 to wait at the standby position through the issuing port 22a,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10) to be issued.
  • the issuing unit 22 withdraws the service pack 10 through the issuing port 22a by various methods.
  • the service pack 10 can be withdrawn through the issuing port 22a by using a transfer roller or a transfer conveyor that is driven by a motor to transfer the service pack 10 by friction.
  • i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the withdrawal of the service pack 10 by various methods.
  • the return unit 23 receives the service pack 10 returned from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 the return unit 23 may receive the service pack 10 returned through the return port 23a through which the service pack 10 returned from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is introduced.
  • the service pack 10 returned through the return port 23a is delivered to the receiving unit 24.
  • Introducing the service pack 10 through the return port 23a by the return unit 23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by driving by a rail or other motor, the service pack 10 can be brought in through the return port 23a using a transfer roller or a transfer conveyor to transfer the service pack 10 by friction. have.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the service pack 10 to be imported in various ways.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returns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to the parking lot P ) Device such as a breaker can be controlled to unblock so that it can be 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it.
  • the return unit 23 may be controlled by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transmits a return signal of the service pack 10 to the return unit 23 after recognizing that the service pack 1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Then, the return unit 23 takes measures so that the service pack 10 can be returned from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for example, a voice output or text display requesting the return of the service pack 10, and return It is possible to take measures such as opening the opening 23a and operating the return opening 23a.
  • the receiving unit 24 accommodates the service pack 10 returned by the return unit 23 therein and provides the received service pack 10 to be issued by the issuing unit 22.
  • the receiving unit 24 has a variety of configurations capable of storing the service pack 10 returned by the return unit 23 therein and providing the received service pack 10 to be issued by the issuing unit 22. I can.
  • the receiving unit 24 transfers each of the service packs 10 along a predetermined path, including a transfer conveyor, a transfer roller, or an elevator driven by a motor, thereby transferring them from the return unit 23 to the issuing unit 22 and receiving them. It can be configured to remain in a state.
  • the storage unit 24 may be provided with a pocket or a slot for stably transporting each of the service packs 10 temporarily during transport.
  • the receiving unit 24 may include various transfer means for sequentially transferring the service pack 10 from the return unit 23 to the issuing unit 22 while allowing the service pack 10 to be stored in the main body 27.
  • the charging unit 25 performs electric charging for the service pack 10 accommodated by the storage unit 24.
  • the charging unit 25 may perform electric charging for the service pack 10 accommodated by the storage unit 24 by various methods.
  • the charging unit 25 may perform electric charging for the service pack 10 stored by the storage unit 24 by a wireless charging method.
  • the charging unit 25 further includes a transmission pad for charging the service pack 10 through a receiving pad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in the charging unit 14 of the service pack 10.
  • the transmission pad makes the input power pulse width modulation (PWM) modulated by the PWM generator so that AC voltage pulses are induced to the reception coil of the reception pad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and the AC voltage pulse is at a constant level by the rectifier.
  • PWM input power pulse width modulation
  • the battery that is, the rechargeable battery 13 and the auxiliary rechargeable battery 13c are charged through the battery charger, and th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pad to the transmitting pad as to whether the wireless charging process is properly performed.
  • the transmission pad the above data may be transmitted and the current charging state may be notified to the user in real time through an LED buzzer attached to the user.
  •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6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for control or information provision through the service pack 10 and the main server 30 and the repeater 40.
  • the thir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6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V from the entrance to the parking position P1 to the service pack 10 provided in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V from the parking position P1 to the exit may be provided to the service pack 10 provided in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 the display unit 28 displays the operation status or information of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to the outside.
  • the display unit 28 may display information on procedures required for a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or a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or a fee and payment related to the parking fee.
  • the voice output unit 29 guides the operation status or information of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by voice.
  • the audio output unit 29 outputs information about procedures necessary for the vehicle V entering the parking lot P or the vehicle V exiting the parking P, or the fee and payment related to the parking fee by voice. can do.
  •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can use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to check the location of the vehicle V.
  • the indoor positioning system is the biggest disadvantage of GPS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It overcomes the inability to operate indoors where satellite signals are not received, and uses Wi-Fi, Bluetooth, Beacon, magnetic field, etc. to identify the user's location inside the building, an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in server 30 Matching is made so that the location of the current vehicle V can be easily identified.
  • the indoor positioning system for example, when using a beacon, can be divided into three methods, such as a check point, a zone, and a real-time location (track) method, which may follow a known technique.
  • the main server 30 stores data that can identify the entire structure in the parking area of the parking lot P, and controls the service pack issuance and return device 20.
  • the main server 30 provides a location for parking to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that controls to guide the parking location to the service pack 10, but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ice pack 10
  • the parking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may be excluded from the guide target, and the parking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return information of the service pack 10 provided from the service pack issuance and return device 20 may be included in the guide target.
  • the vehicle V After the driver who has finished parking moves away from the vehicle V by carrying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separated from the service pack 10, the vehicle V is park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or the main server 30 can control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to voice guide the parking location P1 of the vehicle stored to the driver. have.
  •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is provided to guide the parking position P1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carried by the driver, for example, through a voice output such as a parking position identification symbol.
  • the voice guide module 12 may be controlled to guide the parking position P1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oice guide module 12 by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voice guide module 12 carried by the driver.
  • the repeater 40 relays the service pack 10,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and the main server 30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for control or information provision with each other.
  •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of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recognizes the vehicle V (S11).
  • the issuing unit 22 of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issues the service pack 10 (S12).
  • the driver receives the service pack 10 from the issuing unit 22 of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the driver places it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V. However, the driver may place the service pack 10 in a place other tha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V depending on the situation.
  • the service pack 10 is controlled by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of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to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 parking induction is started (S13).
  • Vehicle information such as the vehicle number recognized by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of the service pack issuance and return device 20 is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30 through the repeater 40, and the main server 30 is a service pack.
  • information on the parking location P1 of the vehicle V is generated, and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send.
  • the main server 30 may directl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generated parking position P1 of the vehicle V to the service pack 10 provided in the vehicle V through the repeater 40.
  •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which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location P1 of the vehicle V from the main server 30, is provided with a service pack installed in the vehicle V through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 Through the visual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1 of 10) and the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voice guide module 12,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V to the parking position P1, that is, a position where parking is possible is guided.
  •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may include a moving direction such as a straight forward, left turn, and right turn of the vehicle V at passages and intersections.
  • the service pack 10 When the driver parks the vehicle V at the designated parking position P1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service pack 10, the service pack 10 issues information on the parking position P1 of the vehicle V and It is transmitted to the return device 20 or the main server 30. After parking the vehicle V at the designated parking position P1, the driver may separate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from the service pack 10 and carry it. Thereafter, the driver may reques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V through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In this case, the service pack 10 receives the parking position P1 of the vehicle V from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or the main server 30, or parking the vehicle V from its own storage unit. By calling out the location P1, it is possible to guide the parking location P1 of the vehicle V through the voice guidance module 12.
  • the driver when the driver wants to unload the vehicle V, the driver can request the unloading by manipulating the service pack 10 or attaching the separated voice guidance module 12 to the service pack 10.
  •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or the main server 30 is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pack 10 to a request for information on leaving the vehicle, and thereafter, the vehicle recognition control unit 21 of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 the service pack 10 guid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V to the exit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server 30 (S21).
  •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may include a moving direction such as a straight forward, left turn, and right turn of the vehicle V at passages and intersections.
  • the driver When the vehicle (V) arrives at the exit of the parking lot (P), the driver returns the service pack 10 to the return unit 23 of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S22). Thereafter, the guide to the vehicle exit by the service pack 10 is stopped, and the vehicle advances to the outside of the parking lot (P).
  • the service pack 10 returned to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24 and charged by the charging unit 25 to wait in a state that can be used later.
  • the service pack issuing and returning device 20 transmits return information of the service pack 10 to the main server 30.
  • the driver can eliminate the risk of vehicle accidents during the parking process and relie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park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reliable and easy parking for parking guidance by service packs, and by applying a service pack rental method through issuance and return of service pack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conomic burden on the driver, and to maintain service packs and In addition to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issuance and return of service packs,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parking management.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parking guidance syst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에서 차량에 비치되어 운전자에게 입구에서 주차 위치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으로서, 차량의 이동방향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차량의 이동방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듈;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지; 및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상기 서비스팩을 발급하고 주차장을 진출하는 차량으로부터 상기 서비스팩을 반환받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와의 무선통신 및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서버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음성안내모듈을 통해 입구에서 주차 위치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본 발명은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주차 과정에서 차량 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주차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서비스팩에 의한 주차 안내의 신뢰성과 용이한 주차를 가능하도록 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 유도 시스템은 주차장에 들어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가 가능한 위치를 LED 등과 같은 장치로 알려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주차 유도 시스템은 주차장으로부터 나가고자 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알려주거나, 주차된 차량의 주차 비용을 알려주거나, 주차 비용의 정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대형 주차장인 경우, 운전자는 차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존의 위치를 찾기 위하여 주차장 내를 오랜 시간 배회해야 하기 때문에 유류 소모, 주차장 내의 환경오염 유발, 시간 낭비 등과 같은 경제적 및 시간적 손실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주차장에는 주차 유도 시스템이 주차 가능 대수만 알려주기 때문에, 운전자가 주차 가능한 위치를 찾으면서 운전을 하는 과정에서 차량 사고 등을 당할 위험성이 크고, 운전자가 주차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 경로를 직접 찾아야 하는 과정에서 주차할 때까지, 시행착오를 겪게 되는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주차 유도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868237호의 "주차유도시스템 및 그의 방법"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다수 개의 주차존을 일정 개수로 묶어 하나의 주차영역으로 정의하고, 상기 주차영역이 복수 개 배치되는 주차장에 구비되는 주차유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주차존을 촬영하는 다수 개의 카메라모듈과 상기 각 카메라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들을 비교 분석하여 주차 가능한 주차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주차유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및 상기 주차유도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방식으로 출력하는 무선통신블록을 구비한 다수 개의 엔드디바이스; 상기 각 무선통신블록으로부터 지그비 무선 통신방식으로 입력된 주차유도 데이터들을 통합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주차유도 데이터들을 지그비 무선 통신방식으로 출력하는 코디네이터; 상기 지그비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엔드디바이스와 코디네이터 간의 물리적 통신장애를 보완하는 라우터; 상기 코디네이터로부터 상기 지그비 통신방식으로 입력된 주차유도 데이터를 처리하는 메인서버; 및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전송된 주차유도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운전자가 디스플레이수단을 어떻게 구비하는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아 실제 적용에 어려움이 따르고, 운전자가 디스플레이수단만으로 만족스러운 주차 안내를 받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은 운전자가 주차 과정에서 차량 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주차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서비스팩에 의한 주차 안내의 신뢰성과 용이한 주차를 가능하도록 하며, 서비스팩의 발급 및 반환을 통한 서비스팩의 대여 방식 적용으로 운전자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서비스팩의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팩의 발급 및 반환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주차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에서 차량에 비치되어 운전자에게 입구에서 주차 위치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으로서, 차량의 이동방향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차량의 이동방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듈;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지; 및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상기 서비스팩을 발급하고 주차장을 진출하는 차량으로부터 상기 서비스팩을 반환받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와의 무선통신 및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서버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음성안내모듈을 통해 입구에서 주차 위치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차량이 주차한 주차 위치를 인식하고, 차량이 주차한 주차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 서버 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 서버 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로부터 차량이 주차할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 서버 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로부터 차량이 진출할 출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모듈은, 상기 서비스팩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서비스팩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 또는 메인서버로부터 차량을 주차한 위치에 대한 음성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모듈은, 상기 서비스팩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 또는 메인서버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음성안내모듈의 분리시, 디스플레이의 중단을 통한 절전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안내모듈의 장착시 디스플레이의 개시를 통해 절전모드로부터 벗어나도록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에 의하면, 운전자가 주차 과정에서 차량 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주차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서비스팩에 의한 주차 안내의 신뢰성과 용이한 주차를 가능하도록 하며, 서비스팩의 발급 및 반환을 통한 서비스팩의 대여 방식 적용으로 운전자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서비스팩의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팩의 발급 및 반환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주차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의 무선 충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의한 주차장 주차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의한 주차장 출차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임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1)은 서비스팩(10),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메인서버(30) 및 중계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팩(10)은 차량(V)에 비치되어 차량(V)의 운전자에게 차량(V)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서비스팩(10)은 디스플레이부(11), 음성안내모듈(12), 충전지(13), 충전부(14), 충전표시부(15) 및 제 1 무선통신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는 차량(V)의 이동방향을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1)는 본체(17)의 전면에 위치하여, 통로 및 교차에서 차량(V)의 직진, 좌회전 및 우회전 등의 진행방향을 화살표 등과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차량(V)의 이동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7)는 차량(V)에 구비된 부재나 별도의 브라켓 부재 등을 통해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차량(V)의 이동방향은 주차장의 입구에서 주차 위치(P1)까지의 차량의 이동방향 및 주차 위치(P1)에서 주차장의 출구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안내모듈(12)은 차량(V)의 이동방향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예컨대, 음성안내모듈(12)은 스피커(12a) 등을 통해서 차량(V)의 이동방향을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V)의 이동방향을 음성 안내한다. 음성안내모듈(12)은, 예컨대, 본체(17)에 마련되는 장착부(17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음성 안내를 위한 스피커(12a)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부(17a)는 음성안내모듈(12)의 끼움을 가능하도록 홈 내지 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후크 등의 걸림구조가 마련될 수 있고, 나아가서, 고정 위치를 결정하도록 돌기 및 홈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음성안내모듈(12)은 중계기(40)를 통해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또는 메인서버(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무선통신부(12b)를 구비할 수 있다. 음성안내모듈(12)은 본체(17)의 장착부(17a)에서 분리된 후에도 제 2 무선통신부(12b)에 의하여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또는 메인서버(30)로부터 차량(V)의 주차 위치(P1)에 대한 음성 안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의해 운전자는 차량(V)의 주차 위치(P1)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음성안내모듈(12)은 본체(17)의 장착부(17a)에서 분리된 후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충전지(12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충전지(12c)는 음성안내모듈(12)이 본체(17)의 장착부(17a)에 장착된 때에 본체(17)의 충전부(14)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는 음성안내모듈(12)의 분리시, 디스플레이의 중단을 통한 절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되고, 음성안내모듈(12)이 장착시 디스플레이의 개시를 통해 절전모드로부터 벗어나도록 전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는, 예컨대, 음성안내모듈(12)이 충전부(14)와의 접속을 위해 구비하는 보조충전지(12c)의 단자가 충전부(14)와 분리시 이를 충전부(14)로부터 확인하여 음성안내모듈(12)의 분리를 감지함으로써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11)가 음성안내모듈(12)의 분리 또는 장착을 감지하는 방법은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음성안내모듈(12)의 분리뿐만 아니라 장착을 감지할 수 있다.
충전지(13)는 서비스팩(1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한다.
충전부(14)는 충전지(13)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충전부(14)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충전지(13)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부(14)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지(13)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충전부(14)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충전지(13)에 대하여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충전표시부(15)는 충전지(13)의 충전 상태를 표시한다.충전표시부(15)는 운전자가 충전지(13)의 충전량을 확인하여 서비스팩(10)을 반납하거나 재발급받기 위한 판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 1 무선통신부(16)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와 메인서버(30)에 대해서 중계기(40)에 의해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제 1 무선통신부(16)는 차량(V)이 주차한 주차 위치(P1)를 영상장치나 센서 등을 통해 인식하며, 차량(V)이 주차한 주차 위치 정보를 중계기(40)를 통해 메인서버(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무선통신부(16)는 메인서버(30)로부터 중계기(40)를 통해 출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출구 정보에는 차량(V)이 주차한 주차 위치(P1)에서 출구까지 차량(V)의 이동방향에 관한 출구 위치 안내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무선통신부(16)는 Wi-Fi, 3G, LTE, 5G를 비롯하여 지그비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하겠다.
제 1 무선통신부(16)는, 예컨대, 서비스팩(10)이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장치(20), 메인서버(30) 및 중계기(40)와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예컨대, 제 1 무선통신부(16)는 서비스팩(10)이, 차량(V)이 주차할 주차 위치(P1)에 대한 데이터를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를 통해 수신하도록 할 수 있고, 중계기(40)와의 연동에 의해 차량(V)이 주차한 정확한 주차 위치(P1)를 메인서버(30)에 송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무선통신부(16)는 서비스팩(10)이, 차량(V)이 출차하여 빈 주차 공간 정보를 중계기(40)를 통해 메인서버(30)에 송신하게 할 수 있고, 서비스팩(10) 반환 정보를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에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는 주차 유도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로서, 서비스팩(10)을 내측에 수납하여 주차장(P)에 진입하는 차량(V)에 발급하고, 주차장(P)으로부터 진출하는 차량(V)으로부터 서비스팩(10)을 반환받는다.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는 차량인식제어부(21), 발급부(22), 반환부(23), 수납부(24), 충전부(25) 및 제 3 무선통신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는 표시부(28)와 음성출력부(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인식제어부(21)는 주차장(P)에 진입하거나 또는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을 인식하고 차량(V)에의 서비스팩(10) 비치 유무를 인식하여 서비스팩(10)을 제어한다.
차량인식제어부(21)는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팩(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인식제어부(21)는 주차장(P)에 진입하는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이 입구에서 주차 위치(P1)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서비스팩(10)을 제어하거나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이 주차 위치(P1)에서 출구까지 차량(V)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서비스팩(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V)의 이동방향의 안내는 다양한 형태, 예컨대, 서비스팩(10)을 통한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출력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팩(10)이 주차장(P)에서 차량(V)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차량인식제어부(21)는 디스플레이 및 음성 출력을 위한 데이터를 서비스팩(10)에 제공하거나 또는 서비스팩(10)에 저장된 시각적 및 음성적 안내를 위한 데이터들 중에서 선택된 소정의 디스플레이 및 음성 출력을 위한 데이터의 출력에 의해 안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인식제어부(21)는 주차장(P)에 진입하거나 또는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의 위치에 무관하게 차량(V)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서비스팩(10)을 제어하거나, 주차장(P)에 진입하거나 또는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의 위치에 따라 차량(V)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서비스팩(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인식제어부(21)가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차량(V)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서비스팩(10)을 제어할 경우에는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의 위치에 따라 차량(V)의 이동방향의 안내가 다르게 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인식제어부(21)가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의 위치 대신에 차량(V)의 위치를 기준으로 차량(V)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서비스팩(10)을 제어할 경우에는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의 위치에 무관하게 차량(V)의 이동방향의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차량(V)에서 서비스팩(10)의 위치를 대시보드와 같이 운전석 앞에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차량(V)에서 서비스팩(10)의 위치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다만, 후자의 경우에는 차량(V)의 이동방향의 안내가 서비스팩(10)의 디스플레이부(11) 보다는 음성출력부(12)에 더 의존할 수 있다.
차량인식제어부(21)는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주차장(P)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차량(V)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인식제어부(21)는 번호 인식이나 표식 인식 등을 위하여 영상처리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인식제어부(21)는, 카메라를 통해서 획득된 차량(V)의 이미지로부터 번호나 표식을 데이터로 획득하기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인식제어부(21)는 필요에 따라 번호 인식을 통해서 미리 등록된 번호 이외의 다양한 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번호에 매칭되는 차량 관련 정보를 데이터로 제공받아 활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차량인식제어부(21)는 차량의 인식을 통해서, 해당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인지, 방문 차량인지, 장애인용 차량인지, 경차인지, 전기차인지 등을 판별하여, 이에 적합한 주차 위치(P1)의 안내를 수행하도록 서비스팩(10)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인식제어부(21)는, 반환부(23)에 서비스팩(10)이 반환될 때에, 반환 정보를 제 3 무선통신부(26)를 통해서 메인서버(30)에 제공할 수 있다.
발급부(22)는 차량인식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고 주차장(P)에 진입하는 차량(V)에 서비스팩(10)을 발급한다. 차량인식제어부(21)가 주차장(P)에 진입하는 차량(V)에 서비스팩(10)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한 후 발급부(22)에 서비스팩(10)의 발급 신호를 전송하면, 발급부(22)는 주차장(P)에 진입하는 차량(V)에 서비스팩(10)을 발급하게 된다. 발급부(22)는 수납부(24)로부터 전달되어 대기 위치에서 대기하는 서비스팩(10)을 발급구(22a)를 통해서 인출함으로써 주차장(P)에 진입하는 차량(V)의 운전자가 서비스팩(10)을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발급부(22)가 서비스팩(10)을 발급구(22a)를 통해 인출하는 것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모터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서비스팩(10)을 마찰에 의해 이송시키도록 하는 이송롤러나 이송컨베이어 등을 사용하여 서비스팩(10)을 발급구(22a)를 통해 인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서비스팩(10)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환부(23)는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으로부터 서비스팩(10)을 반환받는다. 반환부(23)는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으로부터 반환되는 서비스팩(10)이 인입되는 반환구(23a)를 통해 서비스팩(10)을 반환받을 수 있다. 반환구(23a)를 통해 반환되는 서비스팩(10)은 수납부(24) 쪽으로 전달된다. 반환부(23)가 서비스팩(10)을 반환구(23a)를 통해 인입하는 것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레일이나 그 밖에 모터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서비스팩(10)을 마찰에 의해 이송시키도록 하는 이송롤러나 이송컨베이어 등을 사용하여 서비스팩(10)을 반환구(23a)를 통해 인입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서비스팩(10)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환부(23)가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으로부터 서비스팩(10)을 반환받게 되면, 차량인식제어부(21)는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이 주차장(P) 출구를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차단기와 같은 장치가 차단을 해제하도록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반환부(23)는 차량인식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인식제어부(21)가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에 서비스팩(1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 후 반환부(23)에 서비스팩(10)의 반환 신호를 전송하면, 반환부(23)는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으로부터 서비스팩(10)을 반환받을 수 있도록 조치, 예컨대, 서비스팩(10) 반환을 요구하는 음성 출력이나 문자 표시, 반환구(23a) 개방, 반환구(23a) 작동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수납부(24)는 반환부(23)에 의해 반환되는 서비스팩(10)을 내부에 수납하고 수납된 서비스팩(10)이 발급부(22)에 의해 발급되도록 제공한다. 수납부(24)는 반환부(23)에 의해 반환되는 서비스팩(10)을 내부에 수납하고 수납된 서비스팩(10)이 발급부(22)에 의해 발급되도록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수납부(24)는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이송컨베이어나 이송롤러 또는 승강기를 비롯하여 서비스팩(10) 각각을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송시킴으로써 반환부(23)로부터 발급부(22)까지 이송시키면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납부(24)는 이송시 서비스팩(10)을 일시적으로 각각 수납하여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포켓이나 슬롯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그밖에 수납부(24)는 본체(27) 내에서 서비스팩(10)의 수납을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반환부(23)에서 발급부(22)까지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다양한 이송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충전부(25)는 수납부(24)에 의해 수납되는 서비스팩(10)에 대한 전기 충전을 수행한다. 충전부(25)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납부(24)에 의해 수납되는 서비스팩(10)에 대한 전기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부(25)는 무선 충전 방식에 의해 수납부(24)에 의해 수납되는 서비스팩(10)에 대한 전기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충전부(25)는 서비스팩(10)의 충전부(14)에서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수신패드를 통해 서비스팩(10)을 충전시키도록 하는 송신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패드는 PWM 발생기에 의해 입력전원을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시킴으로써, 송신코일을 통해서 수신패드의 수신 코일에 교류 전압 펄스가 유도되도록 하고, 이러한 교류 전압 펄스를 정류기에 의해 일정한 레벨의 직류로 평탄화하도록 하여, 밧데리 충전기를 통해서 밧데리, 즉 충전지(13) 및 보조충전지(13c)가 충전되도록 하고, 무선 충전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데이터로서 수신패드로부터 송신패드로 전송되도록 한다. 송신패드의 경우, 상기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자신에게 부착된 LED 부저 등을 통해 현재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제 3 무선통신부(26)는 서비스팩(10) 및 메인서버(30)와 중계기(40)를 통하여 제어 또는 정보 제공을 위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 3 무선통신부(26)는, 주차장(P)에 진입한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에 입구에서 주차 위치(P1)까지 차량(V)의 이동방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에 주차 위치(P1)에서 출구까지 차량(V)의 이동방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3 무선통신부(26)는, 발급부(22)로부터 주차장(P)에 진입하는 차량(V)에 서비스팩(10)이 발급되면 서비스 팩(10)의 발급 정보를 메인서버(30)에 제공할 수 있고,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으로부터 반환부(23)에 서비스팩(10)이 반환되면 서비스팩(10)의 반환 정보를 메인서버(30)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28)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의 동작 상태나 정보를 외부로 표시한다. 예컨대, 표시부(28)는 주차장(P)에 진입하는 차량(V) 또는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에 필요한 절차의 안내 또는 주차료와 관련되는 요금 및 결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29)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의 동작 상태나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한다. 예컨대, 음성출력부(29)는 주차장(P)에 진입하는 차량(V) 또는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에 필요한 절차의 안내 또는 주차료와 관련되는 요금 및 결제 등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는 차량(V)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내 측위 시스템(Indoor Positioning System)을 사용할 수 있는데, 실내 측위 시스템은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의 가장 큰 단점인 위성신호를 받지 못하는 실내에서는 작동이 안 되는 것을 극복한 것으로서, Wi-Fi, 블루투스, Beacon, 자기장 등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메인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매칭하여 현재 차량(V)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실내 측위 시스템은 예컨대 비콘을 이용하는 경우, 크게 체크포인트(Check Point), 존(Zone), 실시간 위치(Track) 방식 등 3가지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을 따를 수 있다.
메인서버(30)는 주차장(P)의 주차구역에 전체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 메인서버(30)는 서비스팩(10)에게 주차할 위치를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에 주차할 위치를 제공하되, 서비스팩(10)으로부터 제공되는 주차를 마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주차 위치를 안내 대상으로부터 제외되도록 할 수 있고,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팩(10)의 반환 정보에 해당하는 주차 위치를 안내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주차를 마친 운전자가 서비스팩(10)으로부터 분리되는 음성안내모듈(12)을 휴대하여 차량(V)으로부터 이탈한 후, 음성안내모듈(12)의 조작을 통해서 자신의 차량(V)이 주차한 주차 위치(P1)를 요청시,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또는 메인서버(30)는 음성안내모듈(12)이 운전자에게 저장된 해당 차량의 주차 위치(P1)를 음성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운전자가 휴대하는 음성안내모듈(12)의 위치에 무관하게 해당 주차 위치(P1)를 안내하도록, 예컨대, 주차 위치 식별 기호 등의 음성 출력 등을 통해서 안내하도록 음성안내모듈(12)을 제어하거나, 운전자가 휴대하는 음성안내모듈(12)의 위치를 확인하여 음성안내모듈(12)의 위치에 따라 주차 위치(P1)를 안내하도록 음성안내모듈(12)을 제어할 수 있다.
중계기(40)는 서비스팩(10,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및 메인서버(30)가 서로 간에 제어 또는 정보 제공을 위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중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팩을 사용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V)이 주차장(P)으로 진입하면,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의 차량인식제어부(21)가 차량(V)을 인식한다(S11). 차량(V)이 인식되면,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의 발급부(22)가 서비스팩(10)을 발급한다(S12). 운전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의 발급부(22)로부터 서비스팩(10)을 발급받으면, 이를 운전자가 차량(V)의 대시보드에 위치시키게 된다. 다만, 운전자는 상황에 따라 차량(V)의 대시보드 이외의 곳에 서비스팩(10)을 위치시킬 수 있다.
운전자가 차량(V)에 서비스팩(10)을 비치하게 되면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의 차량인식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해 서비스팩(10)은 차량(V)의 이동방향을 안내함으로써 주차 유도를 시작하게 된다(S13).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의 차량인식제어부(21)에 의해 인식된 차량 번호 등의 차량 정보는 중계기(40)를 통해 메인서버(30)로 전송되고, 메인서버(30)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 정보를 저장된 주차 영역 등의 정보와 매칭 등을 함으로써 차량(V)의 주차 위치(P1)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에 전송한다. 또는, 메인서버(30)는 생성된 차량(V)의 주차 위치(P1)에 관한 정보를 중계기(40)를 통해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에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메인서버(30)로부터 차량(V)의 주차 위치(P1)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은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는 차량인식제어부(21)를 통해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한 시각 정보 및 음성안내모듈(12)을 통한 음성 정보를 통해서, 주차 위치(P1), 즉 주차가 가능한 위치로 차량(V)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V)의 이동방향은 통로 및 교차에서 차량(V)의 직진, 좌회전 및 우회전 등의 진행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가 서비스팩(10)의 안내에 의해 차량(V)을 정해진 주차 위치(P1)에 주차하면, 서비스팩(10)은 차량(V)의 주차 위치(P1)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또는 메인서버(30)에 전송하게 된다. 차량(V)을 정해진 주차 위치(P1)에 주차한 후, 운전자는 서비스팩(10)으로부터 음성안내모듈(12)을 분리하여 이를 휴대할 수 있다. 이후 운전자는 음성안내모듈(12)을 통해 운전자가 차량(V)의 위치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팩(10)은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또는 메인서버(30)로부터 해당 차량(V)의 주차 위치(P1)를 전송받거나 또는 자체 저장부로부터 해당 차량(V)의 주차 위치(P1)를 불러냄으로써, 해당 차량(V)의 주차 위치(P1)를 음성안내모듈(12)을 통해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차량(V)을 출차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팩(10)의 조작이나 분리된 음성안내모듈(12)을 서비스팩(10)에 장착함으로써 출차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팩(10)으로부터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또는 메인서버(30)에 출차에 대한 안내 요청이 전송되며, 이후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의 차량인식제어부(21) 또는 메인서버(30)의 제어에 의해 서비스팩(10)이 출구까지 차량(V)의 이동방향의 안내를 수행한다(S21). 여기서, 차량(V)의 이동방향은 통로 및 교차에서 차량(V)의 직진, 좌회전 및 우회전 등의 진행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V)이 주차장(P)의 출구에 도착하게 되면, 운전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의 반환부(23)에 서비스팩(10)을 반환한다(S22). 이후 서비스팩(10)에 의한 출차 안내가 정지되고, 차량은 주차장(P) 외부로 진출하게 된다. 한편,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에 반환된 서비스팩(10)은 수납부(24)에 수납되고 충전부(25)에 의해 충전되어 이후의 사용이 가능한 상태에서 대기하게 된다. 서비스팩(10)이 반환되면,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는 서비스팩(10)의 반환 정보를 메인서버(3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주차 안내를 적절하게 제공받도록 하는 서비스팩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주차 과정에서 차량 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주차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서비스팩에 의한 주차 안내의 신뢰성과 용이한 주차를 가능하도록 하며, 서비스팩의 발급 및 반환을 통한 서비스팩의 대여 방식 적용으로 운전자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서비스팩의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팩의 발급 및 반환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주차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주차 유도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주차장에서 차량에 비치되어 운전자에게 입구에서 주차 위치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으로서,
    차량의 이동방향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차량의 이동방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듈;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지; 및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상기 서비스팩을 발급하고 주차장을 진출하는 차량으로부터 상기 서비스팩을 반환받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와의 무선통신 및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서버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음성안내모듈을 통해 입구에서 주차 위치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차량이 주차한 주차 위치를 인식하고, 차량이 주차한 주차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 서버 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에 제공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 서버 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로부터 차량이 주차할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 서버 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로부터 차량이 진출할 출구 정보를 제공받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모듈은,
    상기 서비스팩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서비스팩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 또는 메인서버로부터 차량을 주차한 위치에 대한 음성 안내를 제공받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모듈은,
    상기 서비스팩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 또는 메인서버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음성안내모듈의 분리시, 디스플레이의 중단을 통한 절전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안내모듈의 장착시 디스플레이의 개시를 통해 절전모드로부터 벗어나도록 전환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PCT/KR2020/003468 2019-03-15 2020-03-12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WO202018996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47A KR102174686B1 (ko) 2019-03-15 2019-03-15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KR10-2019-0029647 2019-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9961A1 true WO2020189961A1 (ko) 2020-09-24

Family

ID=7252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3468 WO2020189961A1 (ko) 2019-03-15 2020-03-12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4686B1 (ko)
WO (1) WO202018996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35B1 (ko) * 2007-01-19 2008-03-26 박한철 스마트 주차카드 시스템
KR20090102186A (ko) * 2008-03-25 2009-09-30 주식회사 제이디씨텍 주차구역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17318A (ko) * 2009-04-24 2010-11-03 윤주열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031129B1 (ko) * 2010-12-01 2011-04-27 함성민 휴대용 주차위치 표시기
KR20140120489A (ko) * 2013-04-03 2014-10-14 와이엠디(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35B1 (ko) * 2007-01-19 2008-03-26 박한철 스마트 주차카드 시스템
KR20090102186A (ko) * 2008-03-25 2009-09-30 주식회사 제이디씨텍 주차구역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17318A (ko) * 2009-04-24 2010-11-03 윤주열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031129B1 (ko) * 2010-12-01 2011-04-27 함성민 휴대용 주차위치 표시기
KR20140120489A (ko) * 2013-04-03 2014-10-14 와이엠디(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70A (ko) 2020-09-23
KR102174686B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0768B2 (ja) 充電スタンド
WO2014175569A1 (ko) 전기차 충전용 로봇
WO2016186379A1 (ko) 무인 스마트카용 주차장 운용 장치 및 방법
WO2018030830A1 (ko) 전기 자동차용 유무선 겸용 충전 장치
WO2023136469A1 (ko) 자율주행 로봇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JP2017088358A (ja) 給電システムおよび給電方法
KR20120088162A (ko) 지능형 전기자동차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방법
WO2019098648A1 (en) Wireless charging method of electric vehicle
WO2021020610A1 (ko) 벨트 타입 차단봉 및 벨트 타입 차단봉의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제어 시스템
JP2017093216A (ja) 給電システムおよび給電方法
WO2017166315A1 (zh) 一种智能停车导航系统
WO2015080470A1 (ko) 차량 위치 제공 로봇, 그리고 그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위치 안내 방법
WO2018101702A1 (ko) 차량간 충전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WO2020189961A1 (ko)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WO2020189964A1 (ko) 차량 비치용 서비스팩 및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를 구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WO2020189959A1 (ko)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
KR101402668B1 (ko) 전기버스 배터리 교환 시스템
CN109131362A (zh) 一种智轨列车进出库自动辅助导引系统和方法
WO2017146295A1 (ko) 차량의 주차 및 충전 정보를 토대로 요금을 정산 부과하는 시스템
CN215436456U (zh) 一种列车站台导引系统
WO2014038915A1 (ko) 노변 장치 및 그 노변 장치를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 방법
WO2021101223A1 (ko) 차량 위치 기반 무선 충전 인버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0111916A2 (ko) 전기이륜차의 배터리교환 자동 예약 시스템 및 방법
WO2020209402A1 (ko) 자율 주행 차량을 이용한 자동 선적 방법 및 장치
WO2016080616A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버스 정류장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728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728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