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686B1 -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 Google Patents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686B1
KR102174686B1 KR1020190029647A KR20190029647A KR102174686B1 KR 102174686 B1 KR102174686 B1 KR 102174686B1 KR 1020190029647 A KR1020190029647 A KR 1020190029647A KR 20190029647 A KR20190029647 A KR 20190029647A KR 102174686 B1 KR102174686 B1 KR 102174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service pack
vehicle
guidance system
issu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870A (ko
Inventor
정성대
Original Assignee
정성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대 filed Critical 정성대
Priority to KR102019002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686B1/ko
Priority to PCT/KR2020/003468 priority patent/WO2020189961A1/ko
Publication of KR20200109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inside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08G1/09686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where the immediate route instructions are output to the driver, e.g. arrow signs for next tur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08G1/096872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where instructions are given per vo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에서 차량에 비치되어 운전자에게 입구에서 주차 위치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으로서, 주차장의 통로 및 교차에서 차량의 직진, 좌회전 및 우회전의 이동방향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주차장의 통로 및 교차에서 차량의 직진, 좌회전 및 우회전의 이동방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듈;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지; 및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상기 서비스팩을 발급하고 주차장을 진출하는 차량으로부터 상기 서비스팩을 반환받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음성안내모듈을 통해 입구에서 주차 위치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Service pack for parking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주차 과정에서 차량 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주차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서비스팩에 의한 주차 안내의 신뢰성과 용이한 주차를 가능하도록 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 유도 시스템은 주차장에 들어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차가 가능한 위치를 LED 등과 같은 장치로 알려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주차 유도 시스템은 주차장으로부터 나가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알려주거나, 주차된 차량의 주차 비용을 알려주거나, 주차 비용의 정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대형 주차장인 경우, 운전자는 차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존의 위치를 찾기 위하여 주차장 내를 오랜 시간 배회해야 하기 때문에 유류 소모, 주차장 내의 환경오염 유발, 시간 낭비 등과 같은 경제적 및 시간적 손실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주차장에는 주차 유도 시스템이 주차 가능 대수만 알려주기 때문에, 운전자가 주차 가능한 위치를 찾으면서 운전을 하는 과정에서 차량 사고 등을 당할 위험성이 크고, 운전자가 주차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 경로를 직접 찾아야 하는 과정에서 주차할 때까지, 시행착오를 겪게 되는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주차 유도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868237호의 "주차유도시스템 및 그의 방법"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다수 개의 주차존을 일정 개수로 묶어 하나의 주차영역으로 정의하고, 상기 주차영역이 복수 개 배치되는 주차장에 구비되는 주차유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주차존을 촬영하는 다수 개의 카메라모듈과 상기 각 카메라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들을 비교 분석하여 주차 가능한 주차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주차유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및 상기 주차유도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방식으로 출력하는 무선통신블록을 구비한 다수 개의 엔드디바이스; 상기 각 무선통신블록으로부터 지그비 무선 통신방식으로 입력된 주차유도 데이터들을 통합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주차유도 데이터들을 지그비 무선 통신방식으로 출력하는 코디네이터; 상기 지그비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엔드디바이스와 코디네이터 간의 물리적 통신장애를 보완하는 라우터; 상기 코디네이터로부터 상기 지그비 통신방식으로 입력된 주차유도 데이터를 처리하는 메인서버; 및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전송된 주차유도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운전자가 디스플레이수단을 어떻게 구비하는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아 실제 적용에 어려움이 따르고, 운전자가 디스플레이수단만으로 만족스러운 주차 안내를 받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은 운전자가 주차 과정에서 차량 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주차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서비스팩에 의한 주차 안내의 신뢰성과 용이한 주차를 가능하도록 하며, 서비스팩의 발급 및 반환을 통한 서비스팩의 대여 방식 적용으로 운전자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서비스팩의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팩의 발급 및 반환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주차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에서 차량에 비치되어 운전자에게 입구에서 주차 위치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으로서, 주차장의 통로 및 교차에서 차량의 직진, 좌회전 및 우회전의 이동방향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주차장의 통로 및 교차에서 차량의 직진, 좌회전 및 우회전의 이동방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듈;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지; 및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상기 서비스팩을 발급하고 주차장을 진출하는 차량으로부터 상기 서비스팩을 반환받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음성안내모듈을 통해 입구에서 주차 위치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차량이 주차한 주차 위치를 인식하고, 차량이 주차한 주차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 서버 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 서버 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로부터 차량이 주차할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 서버 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로부터 차량이 진출할 출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모듈은, 상기 서비스팩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서비스팩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 또는 메인서버로부터 차량을 주차한 위치에 대한 음성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모듈은, 상기 서비스팩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 또는 메인서버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음성안내모듈의 분리시, 디스플레이의 중단을 통한 절전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안내모듈의 장착시 디스플레이의 개시를 통해 절전모드로부터 벗어나도록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에 의하면, 운전자가 주차 과정에서 차량 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주차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서비스팩에 의한 주차 안내의 신뢰성과 용이한 주차를 가능하도록 하며, 서비스팩의 발급 및 반환을 통한 서비스팩의 대여 방식 적용으로 운전자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서비스팩의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팩의 발급 및 반환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주차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의 무선 충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의한 주차장 주차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에 의한 주차장 출차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팩을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1)은 서비스팩(10),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메인서버(30) 및 중계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팩(10)은 차량에 비치되어 차량의 운전자에게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한다.
서비스팩(10)은 차량(V)의 이동방향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1)와, 차량(V)의 이동방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듈(12)과,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지(13)와, 충전지(13)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14)와, 충전지(13)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15)와,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와 메인서버(30)에 대해서 중계기(40)에 의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무선통신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는 본체(17)의 전면에 위치하여, 통로 및 교차에서 직진, 좌회전 및 우회전 등의 진행방향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안내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체(17)는 차량에 구비된 부재나 별도의 브라켓 부재 등을 통해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충전표시부(15)는 운전자가 충전지(13)의 충전량을 확인하여 서비스팩(10)을 반납하거나 재발급받기 위한 판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음성안내모듈(12)은 스피커(12a)를 통해서 음성 안내를 하도록 하는데, 예컨대 본체(17)에 마련되는 장착부(17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음성 안내를 위한 스피커(12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또는 메인서버(30)에 의해 안내받아 차량(V)을 주차한 위치에 대한 음성 안내를 제공하도록,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또는 메인서버(30)에 의해 중계기(40)를 통해서 제어되기 위해 제 2 무선통신부(12b)가 마련될 수 있고, 충전부(14)에 의해 충전되는 보조충전지(12c)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부(17a)는 음성안내모듈(12)의 끼움을 가능하도록 홈 내지 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후크 등의 걸림구조가 마련될 수 있고, 나아가서, 고정 위치를 결정하도록 돌기 및 홈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는 음성안내모듈(12)의 분리시, 디스플레이의 중단을 통한 절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되고, 음성안내모듈(12)이 장착시 디스플레이의 개스를 통해 절전모드로부터 벗어나도록 전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는 예컨대 음성안내모듈(12)이 충전부(14)와의 접속을 위한 마련되는 단자가 충전부(14)와의 분리시 이를 충전부(14)로부터 확인하여 음성안내모듈(12)의 분리를 감지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음성안내모듈(12)의 분리 뿐만 아니라 장착을 감지할 수 있다.
제 1 무선통신부(16)는 차량(V)이 주차한 주차 위치를 영상장치나 센서 등을 통해 인식하며, 차량(V)이 주차한 주차 위치 정보를 중계기(40)를 통해 메인서버(30)에 제공하고, 메인서버(30)로부터 중계기(40)를 통해 출구 정보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제 1 무선통신부(16)는 Wi-Fi, 3G, LTE, 5G를 비롯하여 지그비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하겠다.
제 1 무선통신부(16)는 예컨대 서비스팩(10),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장치(20) 및 중계기(40)와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주차할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를 통해 송신할 수 있고, 중계기(40)와의 연동에 의해 정확한 주차 위치를 송신 및 수신하며, 출차하여 빈 주차 공간 정보를 중계기(40)를 통해 메인서버(30)에 송신하고, 서비스팩(10) 반환 정보를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에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는 서비스팩(10)을 내측에 수납하여 주차장(P)에 진입하는 차량(V)에 발급하고, 주차장(P)으로부터 진출하는 차량(V)으로부터 서비스팩(10)을 반환받도록 한다.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는 주차장(P)에 진입 또는 진출하는 차량(V)을 인식하여, 차량(V)에의 서비스팩(10) 장착 유무와 차량(V)의 번호를 인식하고, 차량(V)의 등록 상태를 확인하여 서비스팩(10)을 제어하는 차량인식제어부(21)와, 차량인식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고, 주차장(P)에 진입하는 차량(V)에 서비스팩(10)을 발급하는 발급부(22)와, 주차장(P)을 진출하는 차량(V)으로부터 서비스팩(10)을 반환받는 반환부(23)와, 반환부(23)에 의해 반환되는 서비스팩(10)을 내부에 수납하여, 발급부(22)에 의해 발급되도록 제공하는 수납부(24)와, 수납부(24)에 의해 수납되는 서비스팩(10)에 대한 전기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25)와, 서비스팩(10) 및 메인서버(30)와 중계기(40)를 통하여 제어 또는 정보 제공을 위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3 무선통신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인식제어부(21)는 일례로 서비스팩(10)이 차량(V)이 이동방향을 안내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및 음성 출력을 위한 데이터를 서비스팩(10)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 예로서 서비스팩(10)에 저장된 시각적 및 음성적 안내를 위한 데이터들에서 선택된 데이터의 출력에 의해 안내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인식제어부(21)는 차량(V)의 인식, 예컨대, 번호 인식이나 표식 인식 등을 위하여 영상처리기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카메라를 통해서 획득된 차량(V)의 이미지로부터 번호나 표식을 데이터로서 획득하기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번호 인식을 통해서 미리 등록된 번호 이외의 다양한 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번호에 매칭되는 차량 관련 정보를 데이터로서 제공받아 활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차량인식제어부(21)는 차량의 인식을 통해서, 해당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인지, 방문 차량인지, 장애인용 차량인지, 경차인지, 전기차인지 등을 판별하여, 이에 적합한 주차 위치(P1)의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인식제어부(21)는 반환부(23)에 서비스팩(10)이 반환시, 반환 정보를 제 3 무선통신부(26)를 통해서 메인서버(30)에 제공할 수 있다.
발급부(22)는 수납부(24)로부터 전달되어 대기 위치에서 대기하는 서비스팩(10)을 발급구(22a)를 통해서 인출되도록, 예컨대 모터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서비스팩(10)을 마찰에 의해 이송시키도록 하는 이송롤러나 이송컨베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서비스팩(10)의 인출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환부(23)는 반환구(23a)로부터 반환되는 서비스팩(10)을 수납부(24) 측으로 전달하는 레일이나 그 밖에 모터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서비스팩(10)을 마찰에 의해 이송시키도록 하는 이송롤러나 이송컨베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서비스팩(10)의 인입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납부(24)는 예컨대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이송컨베이어나 이송롤러 또는 승강기를 비롯하여 서비스팩(10) 각각을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송시킴으로써 반환부(23)로부터 발급부(22)까지 이송시키면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납부(24)는 이송시 서비스팩(10)을 일시적으로 각각 수납하여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포켓이나 슬롯 등이 마련될 수도 있다. 수납부(24)는 그 밖에도 본체(27) 내에서 서비스팩(10)의 수납을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반환부(23)에서 발급부(22)까지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다양한 이송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충전부(25)는 서비스팩(10)의 충전부(14)에서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수신패드를 통해 서비스팩(10)을 충전시키도록 하는 송신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패드는 PWM 발생기에 의해 입력전원을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시킴으로써, 송신코일을 통해서 수신패드의 수신 코일에 교류 전압 펄스가 유도되도록 하고, 이러한 교류 전압 펄스를 정류기에 의해 일정한 레벨의 직류로 평탄화하도록 하여, 밧데리 충전기를 통해서 밧데리, 즉 충전지(13) 및 보조충전지(13c)가 충전되도록 하고, 무선 충전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데이터로서 수신패드로부터 송신패드로 전송되도록 한다. 송신패드의 경우, 상기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자신에게 부착된 LED 부저 등을 통해 현재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는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의 위치에 무관하게 주차할 위치(P1)를 안내하도록 서비스팩(10)을 제어하거나, 차량(V)에 비치된 서비스팩(10)의 위치를 확인하여 서비스팩(10)의 위치에 따라 주차할 위치(P1)를 안내하도록 서비스팩(1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는 차량(V)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내 측위 시스템(Indoor Positioning System)을 사용할 수 있는데, 실내 측위 시스템은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의 가장 큰 단점인 위성신호를 받지 못하는 실내에서는 작동이 안 되는 것을 극복한 것으로서, Wi-Fi, 블루투스, Beacon, 자기장 등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메인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매칭하여 현재 차량(V)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실내 측위 시스템은 예컨대 비콘을 이용하는 경우, 크게 체크포인트(Check Point), 존(Zone), 실시간 위치(Track) 방식 등 3가지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을 따를 수 있다.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는 동작 상태나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28)와, 음성으로 안내를 수행하는 음성출력부(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28) 및 음성출력부(29)는 차량의 진입 및 출차시 요구되는 절차의 안내 또는 주차료와 관련되는 요금 및 결제 정도 등을 디스플레이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메인서버(30)는 주차장(P)의 주차구역에 전체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 메인서버(30)는 서비스팩(10)에게 주차할 위치를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에 주차할 위치를 제공하되, 서비스팩(10)으로부터 제공되는 주차를 마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주차 위치를 안내 대상으로부터 제외되도록 할 수 있고,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팩(10)의 반환 정보에 해당하는 주차 위치를 안내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또는 메인서버(30)는 주차를 마친 운전자가 서비스팩(10)으로부터 분리되는 음성안내모듈(12)을 휴대하여 차량(V)으로부터 이탈한 후, 음성안내모듈(12)의 조작부 조작을 통해서 자신의 차량(V)이 주차한 주차 위치(P1)를 요청시, 저장된 해당 차량의 주차 위치(P1)를 음성안내모듈(12)이 음성 안내하도록 제어하는데, 이 경우에도 운전자가 휴대하는 음성안내모듈(12)의 위치에 무관하게 해당 주차 위치(P1)를 예컨대 주차 위치 식별 기호 등의 음성 출력 등을 통해서 안내하도록 음성안내모듈(12)을 제어하거나, 윤전자가 휴대하는 음성안내모듈(12)의 위치를 확인하여 음성안내모듈(12)의 위치에 따라 주차 위치(P1)를 안내하도록 음성안내모듈(12)을 제어할 수 있다.
중계기(40)는 서비스팩(10,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및 메인서버(30)가 서로 간에 제어 또는 정보 제공을 위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중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팩을 사용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V)이 주차장(P)으로 진입하면,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가 차량인식제어부(21)로부터 차량(V)을 인식하게 되는데(S11), 차량(V)이 인식되면,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의 발급부(22)로부터 서비스팩(10)이 발급되고(S12), 이를 운전자가 차량(V)의 대시보드에 위치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번호 인식이나 등록 정보의 매칭 등을 통해서 차량의 정보를 메인서버(30)가 통신을 통해서 제공받고,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서비스팩(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한 시각 정보 및 음성안내모듈(12)을 통한 음성 정보를 통해서, 주차할 위치(P1), 즉 주차가 가능한 위치로의 차량(V) 이동을 안내하도록 한다(S13). 운전자가 서비스팩(10)에 의해 정해진 주차 위치(P1)에 주차를 마치면, 서비스팩(10)으로부터 음성안내모듈(12)을 분리하여 소지하게 된다. 따라서, 음성안내모듈(12)을 통해 운전자가 차량(V)의 위치를 요구시,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또는 메인서버(30)가 해당 차량(V)의 주차 위치(P1)를 저장함으로써, 해당 차량(V)의 주차 위치(P1)를 음성안내모듈(12)을 통해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차량(V)을 출차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팩(10)의 조작이나 음성안내모듈(12)의 장착을 통해 출차를 수행하도록 하면, 서비스팩(10)으로부터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또는 메인서버(30)에 출차에 대한 안내를 요청하여,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 또는 메인서버(30)의 제어에 의해 서비스팩(10)이 차량(V)에 대한 출구로의 안내를 수행하도록 한다(S21), 그런 다음, 차량(V)이 주차장(P)의 출구에서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에 서비스팩(10)을 반환하면(S22), 서비스팩(10)에 의한 출차 안내가 정지되고, 차량은 주차장(P) 외부로 진출하게 된다. 한편,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20)에 반환된 서비스팩(10)은 충전부(25)에 의해 충전되어 이후의 사용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반환 정보가 메인서버(30)에 전송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주차 안내를 적절하게 제공받도록 하는 서비스팩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주차 과정에서 차량 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주차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서비스팩에 의한 주차 안내의 신뢰성과 용이한 주차를 가능하도록 하며, 서비스팩의 발급 및 반환을 통한 서비스팩의 대여 방식 적용으로 운전자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서비스팩의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팩의 발급 및 반환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주차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서비스팩 11 : 디스플레이부
12 : 음성안내모듈 12a : 스피커
12b : 제 2 무선통신부 12c : 보조충전지
13 : 충전지 14 : 충전부
15 : 충전표시부 16 : 제 1 무선통신부
17 : 본체 17a : 장착부
20 :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 21 : 차량인식제어부
22 : 발급부 22a : 발급구
23 : 반환부 23a : 반환구
24 : 수납부 25 : 충전부
26 : 제 3 무선통신부 27 : 본체
28 : 표시부 29 : 음성출력부
30 : 메인서버 40 : 중계기

Claims (9)

  1. 주차장에서 차량에 비치되어 운전자에게 입구에서 주차 위치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으로서,
    주차장의 통로 및 교차에서 차량의 직진, 좌회전 및 우회전의 이동방향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주차장의 통로 및 교차에서 차량의 직진, 좌회전 및 우회전의 이동방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모듈;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지; 및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상기 서비스팩을 발급하고 주차장을 진출하는 차량으로부터 상기 서비스팩을 반환받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음성안내모듈을 통해 입구에서 주차 위치까지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차량이 주차한 주차 위치를 인식하고, 차량이 주차한 주차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 서버 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에 제공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 서버 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로부터 차량이 주차할 주차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메인 서버 또는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로부터 차량이 진출할 출구 정보를 제공받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모듈은,
    상기 서비스팩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서비스팩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 또는 메인서버로부터 차량을 주차한 위치에 대한 음성 안내를 제공받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모듈은,
    상기 서비스팩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의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 또는 메인서버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음성안내모듈의 분리시, 디스플레이의 중단을 통한 절전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음성안내모듈의 장착시 디스플레이의 개시를 통해 절전모드로부터 벗어나도록 전환되는,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KR1020190029647A 2019-03-15 2019-03-15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KR102174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47A KR102174686B1 (ko) 2019-03-15 2019-03-15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PCT/KR2020/003468 WO2020189961A1 (ko) 2019-03-15 2020-03-12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47A KR102174686B1 (ko) 2019-03-15 2019-03-15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70A KR20200109870A (ko) 2020-09-23
KR102174686B1 true KR102174686B1 (ko) 2020-11-05

Family

ID=7252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647A KR102174686B1 (ko) 2019-03-15 2019-03-15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4686B1 (ko)
WO (1) WO20201899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35B1 (ko) * 2007-01-19 2008-03-26 박한철 스마트 주차카드 시스템
KR20090102186A (ko) * 2008-03-25 2009-09-30 주식회사 제이디씨텍 주차구역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17318A (ko) * 2009-04-24 2010-11-03 윤주열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031129B1 (ko) * 2010-12-01 2011-04-27 함성민 휴대용 주차위치 표시기
KR101502574B1 (ko) * 2013-04-03 2015-03-24 와이엠디(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70A (ko) 2020-09-23
WO2020189961A1 (ko)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972B2 (en) Aid for inductive battery charging of a motor vehicle
JP6380768B2 (ja) 充電スタンド
KR101725703B1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
KR101735986B1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
CN107633694A (zh) 一种无人驾驶汽车的停车管理系统
JP2005073313A (ja) 電気自動車の電力供給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電気自動車および同じく給電装置
JPH11313403A (ja) 電動車両共用システム
JPH11312292A (ja) 車両共用システム
KR101827790B1 (ko) 주행차량 충전 및 과금 시스템
JPH11311538A (ja) 車両共用システム
CN104859688B (zh) 基于北斗定位的地铁自动管理系统
CN106297394A (zh) 一种全天候无人值守停车场系统
KR20120109023A (ko) 전기자동차용 자동충전 및 요금징수시스템
KR102174686B1 (ko)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KR102174684B1 (ko) 차량 비치용 서비스팩 및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를 구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KR102174685B1 (ko) 주차 유도 시스템용 서비스팩 발급 및 반환 장치
CN110871702B (zh) 一种泊车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10072175A (ko) 배터리 구동형 교통수단의 지붕 충전 감시 장치
JPH11311037A (ja) 車両共用システム
JPH11313410A (ja) 車両共用システム
JPS6227900A (ja) トランスポンディングカードによる駐車場入出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30102201A (ko) 전기자동차 대여장치
CN114379387B (zh) 导航服务器、导航程序、以及导航系统
KR20150053655A (ko) 지하철 요금 정산을 위한 결제 서버 및 단말기
US117529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personal mo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