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66803A1 -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66803A1
WO2020166803A1 PCT/KR2019/017190 KR2019017190W WO2020166803A1 WO 2020166803 A1 WO2020166803 A1 WO 2020166803A1 KR 2019017190 W KR2019017190 W KR 2019017190W WO 2020166803 A1 WO2020166803 A1 WO 20201668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battery
piezoelectric element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71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한영
이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S19915222T priority Critical patent/ES2966783T3/es
Priority to PL19915222.4T priority patent/PL3754749T3/pl
Priority to US16/981,776 priority patent/US11616269B2/en
Priority to CN201980017199.XA priority patent/CN111837255B/zh
Priority to JP2020549692A priority patent/JP7098189B2/ja
Priority to EP19915222.4A priority patent/EP3754749B1/en
Publication of WO20201668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668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and a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and a battery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explosion and securing stability by rapidly discharging gas generated inside a battery case to the outside during an abnormal operation. About.
  • types of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ide batteries, lithium ion batteries, and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 These secondary batteries are not only small products such as digital cameras, P-DVDs, MP3Ps, mobile phones, PDAs, portable game devices, power tools, and E-bikes, but also large-scale products requiring high output such as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vehicles, and surplus power generation. It is also applied and used in power storage devices for storing electric power or renewable energy and power storage devices for backup.
  • a cathode, a separator, and an anode are manufactured, and these are stacked. Specifically,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is applied to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lurry is applied to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o prepare a cathode and a negative electrode.
  •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prepared anode and the cathode to be stacked, unit cells are formed, and the unit cell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 a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explosion and ensuring stability by rapidly discharging gas generated inside a battery case to the outside during abnormal operation.
  •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electrodes and separators; A battery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therein; A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outside the cup portion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battery case and receiving pressure when the volume of the battery case expands to supply power to the outside; And a perforated portion having one end formed sharply, and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one end extending toward the battery case to perforate the battery case.
  • the perforated portion may be made of an electroactive polymer (EAP).
  • EAP electroactive polymer
  •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portion.
  •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up portion.
  •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p portion.
  • the conductive wire connec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erforated part.
  • the perforated portion may perforate the cup portion in the battery case.
  • the perforated portion may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portion of the battery case.
  • the other end of the perforated portion may be located at a vertex of the battery case.
  • the perforated portion may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a part of the sealing portion formed along the peripheral edge of the battery case.
  •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electrodes and separators, a battery cas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therein, and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battery case.
  • a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outside the cup portion to supply power to the outside by applying pressure when the volume of the battery case expands, and one end is sharply formed, and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the one end becomes the battery
  • a secondary battery extending toward the case and including a perforated portion for perforating the battery case; And a housing accommodating the secondary battery therein.
  • the perforated portion may be made of an electroactive polymer (EAP).
  • EAP electroactive polymer
  •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 the perforated portion may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edge of the housing.
  • the perforated portion may perforate the cup portion in the battery cas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and provides a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pack.
  • the devices include computers, notebooks, smartphones, mobile phones, tablet PCs, wearable electronic devices, power tools, electric vehicles (EV),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and plug-in hybrids.
  • EV electric vehicles
  • HEV hybrid electric vehicles
  • plug-in hybrids An electric vehicle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or a power storage device may be mentio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erforated part punches the battery case to quickly discharge the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se to the outside, preventing explosion and ensuring stability. have.
  • FIG. 1 is an assembly diagram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lan view of a secondary battery when one end of a perforated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is exte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when one end of the perforated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is exte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assembly diagram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assembly view of the battery module when one end of the perforated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is extend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assembly diagram of a secondary batter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erforated portion 136 perforates the battery case 13 to cause the battery case.
  • a secondary battery 1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electrodes and separators; A battery case 13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rein; A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up portion 133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in the battery case 13 to supply power to the outside by receiving pressure when the volume of the battery case 13 expands ( 135); And one end 1361 is sharply formed, and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the one end 1361 extends toward the battery case 13 to perforate the battery case 13 Includes 136.
  •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electrodes and separators. First, a slurry in whic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plasticizer are mixed is applied to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then laminated on both sides of a separator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1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n,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case 13, and the electrolyte is injected and then sealed.
  • the electrode assembly 10 includes two types of electrodes such as an anode and a cath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to insulate the electrodes from each other.
  • the electrode assembly 10 includes a stack type, a jelly roll type, and a stack and folding type.
  • Two types of electrodes that is,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active material slurry is coated on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 the form of a metal foil or metal mesh including aluminum and copper, respectively.
  • the slurry may be formed by stirring a particulate active material, an auxiliary conductor, a binder, a plasticizer, and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a solvent is added. The solvent is removed in a subsequent process.
  • the electrode assembly 10 includes an electrode tab 11, as shown in FIG. 1.
  • the electrode tab 11 is connected to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respectively, and protrudes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0 to the outside of one side, so that a path through which electrons can mov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provided. do.
  •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ncludes a portion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terminal portion to which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not applied, that is, a non-coated portion.
  • the electrode tab 11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uncoated portion or by connecting a separate conductive member to the uncoated portion by ultrasonic welding or the like.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de tabs 11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in the same direc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 An electrode lead 12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11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by spot welding or the like.
  • a part of the electrode lead 12 is surrounded by an insulating portion 14.
  • the insulating part 14 is located limited to the sealing part 134 in which the upper case 131 and the lower case 132 of the battery case 13 are heat-sealed, so that the electrode lead 12 is attached to the battery case 13. Bond.
  •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battery case 13 through the electrode lead 12 and the sealing of the battery case 13 is maintained.
  • the insulating portion 14 is made of a non-conductive non-conductor that does not conduct electricity well.
  • an insulating tape that is easy to attach to the electrode lead 12 and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is often us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embers can be used as long as the electrode lead 12 can be insulated. have.
  • the electrode lead 12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1,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12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1 protrudes,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It includes a cathode lead 122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112 protrudes. Meanwhile, the other ends of the positive lead 121 and the negative lead 122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13, as shown in FIG. 1. Accordingly, electricity generated inside the electrode assembly 10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 the anode tab 111 and the cathode tab 112 are formed to protrude in various directions, respectively, the anode lead 121 and the cathode lead 122 may also extend in various directions, respectively.
  • the anode lead 121 and the cathode lead 122 may have different materials from each other. That is, the positive lead 121 may be made of the same aluminum (Al) material as the positiv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lead 122 may be made of the same copper (Cu) material as the negative current collector or a copper material coated with nickel (Ni).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12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13 becomes a terminal por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 the battery case 13 is a pouch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ereinafter, the battery case 13 will be described as being a pouch.
  • the battery case 13 accommodates and seals the electrode assembly 10 so that a part of the electrode lead 12, that is, the terminal portion is exposed.
  • the battery case 13 includes an upper case 131 and a lower case 132 as shown in FIG. 1.
  • a cup portion 133 is formed to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1331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in the upper case 131,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a battery case 13
  • the accommodation space 1331 is covered from the top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uni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 a cup portion 133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1331 is provided is also formed in the upper case 131, so that the electrode assembly 10 may be accommodated from the top.
  • the upper case 131 and the lower case 132 may be manufactured by connecting one side to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manufactured separately.
  • a piezoelectric element 135 is disposed outside the cup portion 133 and receives pressure when the volume of the battery case 13 expands to supply power to the outside.
  • the perforated portion 136 has one end 1361 sharply formed, and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the one end 1361 extends toward the battery case 13 to open the battery case 13 Perforat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and the perforated portion 136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cup portion 133 of the lower case 132 When the electrode lead 12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 11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insulating portion 14 is formed on a part of the electrode lead 12, the cup portion 133 of the lower case 132 The electrode assembly 1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331, and the upper case 131 covers the space from above. Then, an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inside, and sealing portions 134 formed on the edges of the upper case 131 and the lower case 132 are sealed.
  • the electrolyte is for moving lithium ions generated by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of the electrod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1, and is a non-aqueous organic electrolyte or a polymer using a polymer electrolyte, which is a mixture of a lithium salt and a high-purity organic solvent. It may include. Through this method, as shown in FIG. 2,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1 may be manufactured.
  • FIG. 3 is a plan view of a secondary batter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ary battery 1 includes a piezoelectric element 135 and a perforated portion 136.
  •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is a device that generates a voltage accordingly when a physical external force such as pressure or stress is applied, and deforms when a voltage is applied.
  • Typical piezoelectric elements 135 include barium titanate, Rochelle salt, and the like.
  •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is disposed outside the cup portion 133 of the battery case 13. Accordingly, when gas i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se 13 and the volume of the battery case 13 expands, pressure is applied. Accordingly, a voltage is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an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portion 133. Thus, it is possible to react sensitively to the expansion of the volume of the battery case 13. That is, even if the volume of the battery case 13 is slightly expanded, voltage is immediately generated an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p portion 133 as shown in FIG. 3. For example, if the cup portion 133 has a square shape,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also has a square shape, and if the cup portion 133 has a circular shape,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also has a circular shape. I can. Accordingly, when the cup portion 133 is deformed, in proportion to the degree to which it is deformed,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can receive pressure.
  •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is attached to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cup portion 133. If gas i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se 13, the cup portion 133 having the most flexibility is deformed the most. In this case, since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cup portion 133, when the cup portion 133 is deformed,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may be uniformly applied with pressure.
  • the perforated part 136 may have an elongated wire shape, and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the shape is deformed to perforate the battery case 13.
  • This perforated portion 136 may be made of electroactive polymers (EAP).
  • EAP electroactive polymers
  • the electroactive polymer is a polymer that can be deformed, such as expansion, contraction, and bending by electrical stimulation.
  • Representative electroactive polymers include ferroelectric polymers and dielectric elastomers, and in particular, polyvinylidene fluoride (PVDF)-based polymers having relatively large piezoelectric properties as ferroelectric polymers are widely used.
  • the perforated portion 136 may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portion 134 of the battery case 13 as shown in FIG. 4.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rforated portion 136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friction without significantly chang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secondary battery 1. If, if the length of the perforated portion 136 is formed to a certain extent, as shown in FIG. 3, the perforated portion 136 is formed on a part of the sealing portion 134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attery case 13 It can be formed in close contac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erforated portion 136 may be formed in the battery case 13 in various ways, such a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portion 133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in the battery case 13. .
  • FIG. 5 is a plan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1 when one end 1361 of the perforated portion 136 of the secondary battery 1 is exte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1 when the one end 1361 of the perforated portion 136 of the secondary battery 1 according to is extended.
  •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generates a voltage when pressure is applied to supply power to the outside. That is, when gas i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se 13 and the volume of the battery case 13 expands,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receives pressure and supplies power to the outside.
  • the shape of the perforated part 136 changes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because one end 1361 is sharply formed.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5, one end 1361 of the perforated portion 136 extends toward the battery case 13 to perforate the battery case 13.
  • the perforated portion 136 perforates the cup portion 133 in the battery case 13.
  •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attery case 13 are connected, so that ga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se 13 is rapid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explosion and ensuring stability.
  • One end 1361 of the perforated portion 136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rner of the cup portion 133, as shown in FIG. 5, not near the vertex of the cup portion 133.
  •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rner is less rigid than near the vertex of the cup portion 133, as shown in FIG. 6 when the one end 1361 of the perforated portion 136 is extended, the cup portion 133 is easily perforated. Can be.
  • the other end 1362 of the perforated part 136 is no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rner of the cup part 133, but is located near the vertex of the cup part 133 as shown in FIG. 5.
  • the conductive wire 1351 connec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1362 of the perforated part 136.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connection or damage of the conductive wire 1351 connec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by an external obstacle.
  • FIG. 7 is an assembly view of a battery modul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is direct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portion 133 of the battery case 13, and the perforated portion 136 is attached to the sealing portion 134 of the battery case 13 Is formed in close contact.
  •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 can react sensitively to the expansion of the volume of the battery case 13, and the perforated portion 136 may be subjected to external friction without significantly chang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secondary battery 1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a and the perforated portion 136a are formed in the battery case 13 of the secondary battery 1a. Instead, it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20 of the battery module 2. As a result, it is easier to fix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a and the perforated portion 136a to the housing 20 having rigidity than the pouch-type battery case 13 having flexibility.
  • a battery module 2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electrodes and separators, a battery case 13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therein, and the battery case
  •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a is disposed outside the cup portion 133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in (13) and receives pressure when the volume of the battery case 13 expands to supply power to the outside; and , One end (1361a) is sharply formed, and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a), the end (1361a) extends toward the battery case 13 to perforate the battery case 13 Secondary battery 1 including (136a); And a housing 20 accommodating the secondary battery 1 therein.
  • the housing 20 accommodates the secondary battery 1 therein, and as shown in FIG. 7,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both sides of the secondary battery 1 to thereby form the secondary battery 1. Can be accommodated.
  • the housing 20 may accommodate only one secondary battery 1 there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ccommodate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1.
  •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a and the perforated portion 136a are formed in the housing 20 of the battery module 2.
  •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a is disposed outside the cup portion 133 of the battery case 13, but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without being direct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portion 133.
  •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and the cup portion 133 of the battery case 13 are located very close, when gas is generated in the battery case 13 and the volume of the battery case 13 expands, piezoelectric power
  • the element 135a directly supplies power to the outside.
  • the perforated portion 136a is formed in close contact along the inner edge of the housing 20. And The perforated portion 136a may have a shape of an elongated wire, and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a, the shape is deformed to perforate the battery case 13.
  • This perforated part 136a may be made of electroactive polymers (EAP).
  • FIG 8 is an assembly view of the battery module 2 when one end 1361a of the perforated portion 136a of the battery module 2 is extend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a When gas i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ase 13 and the volume of the battery case 13 expands,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a receives pressure and supplies power to the outside. And, the perforated portion (136a) has one end (1361a) sharply formed,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piezoelectric element (135a), as shown in Figure 8, one end (1361a) of the perforated portion (136a) is a battery case It extends toward (13), and the battery case 13 is perforated.
  • the perforated portion 136a punches the cup portion 133 in the battery case 13. And one end (1361a) of the perforated portion (136a)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rner of the cup portion (133). Accordingly, when the one end 1361a of the perforated portion 136a is extended, the cup portion 133 can be easily perfo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 및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지 케이스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컵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의 부피가 팽창하면 압력을 인가받아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압전소자; 및 일단이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압전소자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일단이 상기 전지 케이스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를 타공하는 타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관련출원과의 상호인용
본 출원은 2019년 02월 14일자 한국특허출원 제10-2019-0017331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특허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정상적인 작동시,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생성되는 가스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여 폭발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의 종류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및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P-DVD, MP3P, 휴대폰, PDA, Portable Game Device, Power Tool 및 E-bike 등의 소형 제품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고출력이 요구되는 대형 제품과 잉여 발전 전력이나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하는 전력 저장 장치와 백업용 전력 저장 장치에도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해, 양극(Cathode), 분리막(Separator) 및 음극(Anode)을 제조하고, 이들을 적층한다. 구체적으로,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에 도포하고, 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Cathode)과 음극(Anode)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제조된 양극 및 음극의 사이에 분리막(Separator)이 개재되어 적층되면 단위 셀(Unit Cell)들이 형성되고, 단위 셀들이 서로 적층됨으로써, 전극 조립체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극 조립체가 특정 케이스에 수용되고 전해액을 주입하면 이차 전지가 제조된다.
종래에는 이차 전지가 고온에 노출되거나 과충전 또는 과방전되는 등 비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경우, 발열에 의해 분리막이 수축하면서 양극과 음극이 서로 직접 접촉하여 단락(쇼트, Short)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단락으로 인해 전지 내부에 급격한 전자 이동이 발생하고, 그럼으로써 발열과 부반응이 발생하면 이차 전지가 폭발하여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특히, 과충전, 과방전, 외부 단락 등 전기적인 오작동 발생 시, 높은 전류가 흐르고 집전체의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집전체의 온도가 활물질 층보다 높은 열이 발생된다. 이후 열이 확산되어 활물질, 전해액 등 구성요소의 열적, 화학적, 전기화학적 반응이 더해져 열폭주까지 이어질 수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정상적인 작동시,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생성되는 가스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여 폭발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 및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지 케이스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컵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의 부피가 팽창하면 압력을 인가받아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압전소자; 및 일단이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압전소자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일단이 상기 전지 케이스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를 타공하는 타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타공부는, 전기활성 폴리머(EAP)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컵부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컵부의 중심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컵부와 형상이 서로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와 연결된 도선은, 상기 타공부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에서 상기 컵부를 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실링부에 밀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부의 타단은, 상기 전지 케이스의 꼭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에서 주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의 일부에 밀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전극 및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지 케이스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컵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의 부피가 팽창하면 압력을 인가받아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압전소자 및, 일단이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압전소자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일단이 상기 전지 케이스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를 타공하는 타공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이차 전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타공부는, 전기활성 폴리머(EAP)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밀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에서 상기 컵부를 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하고, 상기 전지 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전자기기,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또는 전력 저장장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지 팩 및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들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비정상적인 작동시, 전지 케이스의 부피가 팽창하여 압전소자로부터 전력이 생산되면, 타공부가 전지 케이스를 타공함으로써 전지 케이스의 내부에 생성되는 가스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여 폭발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타공부의 일단이 연장되었을 때의 이차 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타공부의 일단이 연장되었을 때의 이차 전지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조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타공부의 일단이 연장되었을 때의 전지 모듈의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의 조립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정상적인 작동시, 전지 케이스(13)의 부피가 팽창하여 압전소자(135)로부터 전력이 생산되면, 타공부(136)가 전지 케이스(13)를 타공함으로써 전지 케이스(13)의 내부에 생성되는 가스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여 폭발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는 전극 및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10);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내부에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13); 상기 전지 케이스(13)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컵부(133)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13)의 부피가 팽창하면 압력을 인가받아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압전소자(135); 및 일단(1361)이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압전소자(135)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일단(1361)이 상기 전지 케이스(13)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13)를 타공하는 타공부(136)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0)는 전극 및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한다. 먼저 전극 활물질과 바인더 및 가소제를 혼합한 슬러리를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과 음극을 제조하고, 이를 분리막(Separator)의 양 측에 적층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전극 조립체(10)를 형성한 다음에, 전극 조립체(10)를 전지 케이스(13)에 삽입하고 전해액 주입 후 실링한다.
구체적으로, 전극 조립체(Electrode Assembly, 10)는 양극 및 음극 등 두 종류의 전극과, 상기 전극들을 상호 절연시키기 위해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10)는 스택형, 젤리롤형, 스택 앤 폴딩형 등이 있다. 두 종류의 전극, 즉 양극과 음극은 각각 알루미늄과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 포일 또는 금속 메쉬 형태의 전극 집전체에 활물질 슬러리가 도포된 구조이다. 슬러리는 통상적으로 입상의 활물질, 보조 도체, 바인더 및 가소제 등이 용매가 첨가된 상태에서 교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용매는 후속 공정에서 제거된다.
전극 조립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탭(Electrode Tab, 11)을 포함한다. 전극 탭(11)은 전극 조립체(10)의 양극 및 음극과 각각 연결되고, 전극 조립체(10)로부터 일측 외부로 돌출되어, 전극 조립체(10)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전자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된다. 전극 조립체(10)의 집전체는 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부분과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말단 부분, 즉 무지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극 탭(11)은 무지부를 재단하여 형성되거나 무지부에 별도의 도전부재를 초음파 용접 등으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극 탭(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0)의 일측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돌출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전극 조립체(10)의 전극 탭(11)에는 전극 리드(Electrode Lead, 12)가 스팟(Spot) 용접 등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전극 리드(12)의 일부는 절연부(14)로 주위가 포위된다. 절연부(14)는 전지 케이스(13)의 상부 케이스(131)와 하부 케이스(132)가 열융착되는 실링부(134)에 한정되어 위치하여, 전극 리드(12)를 전지 케이스(13)에 접착시킨다. 그리고, 전극 조립체(10)로부터 생성되는 전기가 전극 리드(12)를 통해 전지 케이스(13)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전지 케이스(13)의 실링을 유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절연부(14)는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비전도성을 가진 부도체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절연부(14)로는, 전극 리드(12)에 부착하기 용이하고, 두께가 비교적 얇은 절연테이프를 많이 사용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극 리드(12)를 절연할 수 있다면 다양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전극 리드(12)는 일단이 상기 전극 탭(11)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지 케이스(13)의 외부로 각각 돌출된다. 즉, 전극 리드(12)는 양극 탭(111)에 일단이 연결되고, 양극 탭(111)이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극 리드(121) 및 음극 탭(112)에 일단이 연결되고, 음극 탭(112)이 돌출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음극 리드(122)를 포함한다. 한편, 양극 리드(121) 및 음극 리드(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타단이 전지 케이스(13)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럼으로써, 전극 조립체(10)의 내부에서 생성된 전기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양극 탭(111) 및 음극 탭(112)이 각각 다양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므로, 양극 리드(121) 및 음극 리드(122)도 각각 다양한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양극 리드(121) 및 음극 리드(122)는 서로 그 재질이 다를 수 있다. 즉, 양극 리드(121)는 양극 집전체와 동일한 알루미늄(Al) 재질이며, 음극 리드(122)는 음극 집전체와 동일한 구리(Cu) 재질 또는 니켈(Ni)이 코팅된 구리 재질일 수 있다. 그리고 전지 케이스(13)의 외부로 돌출된 전극 리드(12)의 일부분은 단자부가 되어,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지 케이스(13)는 연성의 재질로 제조된 파우치이다. 이하, 전지 케이스(13)는 파우치인 것으로 설명한다. 전지 케이스(13)는 전극 리드(12)의 일부, 즉 단자부가 노출되도록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고 실링된다. 이러한 전지 케이스(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31)와 하부 케이스(132)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32)에는 컵부(133)가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331)이 마련되고, 상부 케이스(131)는 상기 전극 조립체(10)가 전지 케이스(13)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 공간(1331)을 상부에서 커버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31)에도 수용 공간(1331)이 마련된 컵부(133)가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0)를 상부에서 수용할 수도 있다. 상부 케이스(131)와 하부 케이스(1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서로 연결되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별도로 제조되는 등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 135)는 상기 컵부(133)의 외측에 배치되어, 전지 케이스(13)의 부피가 팽창하면 압력을 인가받아 외부로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타공부(136)는 일단(1361)이 첨예하게 형성되며, 압전소자(135)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일단(1361)이 전지 케이스(13)를 향해 연장되어 전지 케이스(13)를 타공한다. 압전소자(135) 및 타공부(13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극 조립체(10)의 전극 탭(11)에 전극 리드(12)가 연결되고, 전극 리드(12)의 일부분에 절연부(14)가 형성되면, 하부 케이스(132)의 컵부(133)에 마련된 수용 공간(1331)에 전극 조립체(10)가 수용되고, 상부 케이스(131)가 상기 공간을 상부에서 커버한다. 그리고,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상부 케이스(131)와 하부 케이스(132)의 테두리에 형성된 실링부(134)를 실링한다. 전해액은 이차 전지(1)의 충, 방전 시 전극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리튬염과 고순도 유기 용매류의 혼합물인 비수질계 유기 전해액 또는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형 이차 전지(1)가 제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는 압전소자(135) 및 타공부(136)를 포함한다. 압전소자(135)란 압력, 응력 등의 물리적 외력을 인가받으면, 그에 따라 전압이 발생하고, 반대로 전압을 인가받으면, 형태가 변형되는 소자이다. 대표적인 압전소자(135)에는 티탄산바륨(Barium Titanate), 로셸염(Rochelle salt) 등이 있다.
압전소자(135)는 전지 케이스(13)의 컵부(133)의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지 케이스(13)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 케이스(13)의 부피가 팽창하면, 압력을 인가받는다. 그에 따라, 압전소자(135)에서 전압이 발생하여, 외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소자(135)는 컵부(133)의 외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전지 케이스(13)의 부피의 팽창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즉, 전지 케이스(13)의 부피가 조금만 팽창하더라도, 곧바로 전압을 발생하여 외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압전소자(13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부(133)와 형상이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부(133)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면, 압전소자(135)도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컵부(133)가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면, 압전소자(135)도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컵부(133)가 변형될 때 변형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압전소자(135)가 압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압전소자(135)는 컵부(133)의 대략 중심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전지 케이스(13)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한다면, 가장 유연성이 큰 컵부(133)가 가장 크게 변형된다. 이 때, 압전소자(135)가 컵부(133)의 중심부에 부착됨으로써, 컵부(133)가 변형될 때 압전소자(135)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압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타공부(136)는 가늘고 긴 와이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압전소자(135)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형태가 변형되어 전지 케이스(13)를 타공한다. 이러한 타공부(136)는 전기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s, EAP)로 제조될 수 있다. 전기활성 폴리머란 전기적 자극에 의하여 팽창, 수축 및 벤딩(bending) 등 변형될 수 있는 폴리머이다. 대표적인 전기활성 폴리머로는 강유전성 폴리머(Ferroelectric Polymer)와 유전성 엘라스토머(Dielectric Elastomer) 등이 있으며, 특히 강유전성 폴리머로서 상대적으로 압전성이 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르(Polyvinylidene Fluoride, 이하 PVDF)계 폴리머가 널리 사용된다.
타공부(13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케이스(13)의 실링부(134)에 밀착 형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타공부(136)가 이차 전지(1)의 사이즈 및 형태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타공부(136)가 외부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타공부(136)의 길이가 어느 정도 길게 형성된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부(136)는 전지 케이스(13)에서 주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134)의 일부에 밀착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타공부(136)는 전지 케이스(13)에서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컵부(133)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등 전지 케이스(13)에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의 타공부(136)의 일단(1361)이 연장되었을 때의 이차 전지(1)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의 타공부(136)의 일단(1361)이 연장되었을 때의 이차 전지(1)의 단면 확대도이다.
압전소자(135)는 압력을 인가받으면 전압이 발생하여 전력을 외부로 공급한다. 즉, 전지 케이스(13)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 케이스(13)의 부피가 팽창하면, 압전소자(135)는 압력을 인가받아 전력을 외부로 공급한다. 그리고, 타공부(136)는 일단(1361)이 첨예하게 형성되어 압전소자(135)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형상이 변화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부(136)의 일단(1361)이 전지 케이스(13)를 향해 연장되어, 전지 케이스(13)를 타공한다.
타공부(136)는 전지 케이스(13) 중에서, 컵부(133)를 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전지 케이스(13)의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어, 전지 케이스(13)의 내부에 생성되는 가스를 빠르게 외부로 배출하여 폭발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타공부(136)의 일단(1361)은 컵부(133)의 꼭지점 부근이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부(133)의 모서리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그럼으로써, 컵부(133)의 꼭지점 부근보다 모서리의 중심부가 강성이 약하므로, 타공부(136)의 일단(1361)이 연장되었을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부(133)가 용이하게 타공될 수 있다.
반면에, 타공부(136)의 타단(1362)은 컵부(133)의 모서리의 중심부가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부(133)의 꼭지점 부근에 위치한다. 그리고, 압전소자(135)와 연결된 도선(1351)은, 타공부(136)의 타단(1362)에 연결된다. 그럼으로써, 압전소자(135)와 연결된 도선(1351)이 외부의 장애물에 의해 단선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2)의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소자(135)는 전지 케이스(13)의 컵부(133)의 외면에 직접 부착되고, 타공부(136)는 전지 케이스(13)의 실링부(134)에 밀착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압전소자(135)는 전지 케이스(13)의 부피의 팽창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이차 전지(1)의 사이즈 및 형태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타공부(136)가 외부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 전지(1a)가 전지 모듈(2)로 조립되는 경우에는, 압전소자(135a) 및 타공부(136a)가 이차 전지(1a)의 전지 케이스(13)가 아니라, 전지 모듈(2)의 하우징(2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유연성을 가지는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13)보다, 강성을 가지는 하우징(20)에 압전소자(135a) 및 타공부(136a)를 고정시키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2)은 전극 및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10),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내부에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13), 상기 전지 케이스(13)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컵부(133)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13)의 부피가 팽창하면 압력을 인가받아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압전소자(135a) 및, 일단(1361a)이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압전소자(135a)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일단(1361a)이 상기 전지 케이스(13)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13)를 타공하는 타공부(136a)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1); 및 상기 이차 전지(1)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20)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이차 전지(1)를 내부에 수용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하우징(20)이 이차 전지(1)의 양 측에서 서로 결합됨으로써 이차 전지(1)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0)은 내부에 이차 전지(1)를 하나만 수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이차 전지(1)를 수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135a) 및 타공부(136a)는 전지 모듈(2)의 하우징(20)의 내부에 형성된다. 특히, 압전소자(135a)는 전지 케이스(13)의 컵부(133)의 외측에 배치되나, 컵부(133)의 외면에 직접 부착되지 않고 하우징(20)의 내면에 부착된다. 다만, 하우징(20)의 내면과 전지 케이스(13)의 컵부(133)가 매우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어, 전지 케이스(13)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 케이스(13)의 부피가 팽창하면, 압전소자(135a)는 곧바로 전력을 외부로 공급한다.
타공부(136a)는 하우징(20)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밀착 형성된다. 그리고 타공부(136a)는 가늘고 긴 와이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압전소자(135a)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형태가 변형되어 전지 케이스(13)를 타공한다. 이러한 타공부(136a)는 전기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s, EAP)로 제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2)의 타공부(136a)의 일단(1361a)이 연장되었을 때의 전지 모듈(2)의 조립도이다.
전지 케이스(13)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 케이스(13)의 부피가 팽창하면, 압전소자(135a)는 압력을 인가받아 전력을 외부로 공급한다. 그리고, 타공부(136a)는 일단(1361a)은 첨예하게 형성되어, 압전소자(135a)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부(136a)의 일단(1361a)이 전지 케이스(13)를 향해 연장되어, 전지 케이스(13)를 타공한다.
타공부(136a)는 전지 케이스(13) 중에서, 컵부(133)를 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타공부(136a)의 일단(1361a)은 컵부(133)의 모서리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그럼으로써, 타공부(136a)의 일단(1361a)이 연장되었을 때 컵부(133)가 용이하게 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전극 및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지 케이스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컵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의 부피가 팽창하면 압력을 인가받아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압전소자; 및
    일단이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압전소자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일단이 상기 전지 케이스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를 타공하는 타공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전기활성 폴리머(EAP)로 제조되는, 이차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컵부의 외면에 부착되는, 이차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컵부의 중심부에 부착되는, 이차 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컵부와 형상이 서로 대응되는, 이차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와 연결된 도선은,
    상기 타공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이차 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에서 상기 컵부를 타공하는, 이차 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실링부에 밀착 형성되는, 이차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의 타단은,
    상기 전지 케이스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에서 주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의 일부에 밀착 형성되는, 이차 전지.
  11. 전극 및 분리막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지 케이스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컵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의 부피가 팽창하면 압력을 인가받아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압전소자 및, 일단이 첨예하게 형성되며, 상기 압전소자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일단이 상기 전지 케이스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를 타공하는 타공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상기 이차 전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전기활성 폴리머(EAP)로 제조되는, 전지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부착되는, 전지 모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밀착 형성되는, 전지 모듈.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상기 전지 케이스에서 상기 컵부를 타공하는, 전지 모듈.
  16. 제11항에 따른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
  17. 제16항에 따른 전지 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PCT/KR2019/017190 2019-02-14 2019-12-06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WO2020166803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19915222T ES2966783T3 (es) 2019-02-14 2019-12-06 Batería secundaria y módulo de batería
PL19915222.4T PL3754749T3 (pl) 2019-02-14 2019-12-06 Bateria akumulatorowa i moduł akumulatorowy
US16/981,776 US11616269B2 (en) 2019-02-14 2019-12-06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CN201980017199.XA CN111837255B (zh) 2019-02-14 2019-12-06 二次电池和电池模块
JP2020549692A JP7098189B2 (ja) 2019-02-14 2019-12-06 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EP19915222.4A EP3754749B1 (en) 2019-02-14 2019-12-06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331A KR102379765B1 (ko) 2019-02-14 2019-02-14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2019-0017331 2019-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6803A1 true WO2020166803A1 (ko) 2020-08-20

Family

ID=7204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7190 WO2020166803A1 (ko) 2019-02-14 2019-12-06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616269B2 (ko)
EP (1) EP3754749B1 (ko)
JP (1) JP7098189B2 (ko)
KR (1) KR102379765B1 (ko)
CN (1) CN111837255B (ko)
ES (1) ES2966783T3 (ko)
PL (1) PL3754749T3 (ko)
WO (1) WO20201668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30857B (zh) * 2023-04-13 2023-08-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电装置、电池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862A (ko) * 2010-07-01 2012-0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15110275A1 (de) * 2014-01-23 2015-07-30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batteriepack und transportbehälter
KR20160021347A (ko) * 2014-08-14 2016-02-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벤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70050926A (ko) * 2015-11-02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배출부의 변위를 감지하여 배터리 셀 스웰링을 방지하는 이차 전지, 이차 전지 충전 시스템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KR20180024861A (ko) * 2016-08-31 2018-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638A (ko) 1999-01-25 2000-08-16 김순택 이차전지
JP4686833B2 (ja) * 2000-09-19 2011-05-25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パック
US7233097B2 (en) * 2001-05-22 2007-06-19 Sri International Rolled electroactive polymers
US20060251965A1 (en) 2003-07-31 2006-11-09 Mori Nagayama Secondary cell electrode and fabrication method, and secondary cell, complex cell, and vehicle
JP2007502671A (ja) 2003-08-20 2007-02-15 ネオガイド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活性ポリマー関節運動器具及び挿入方法
JP2008503059A (ja) 2004-06-14 2008-01-31 マサチューセッツ・インスティテュート・オブ・テクノロジー 電気化学的方法、デバイス、および構造体
JP5002894B2 (ja) 2004-12-27 2012-08-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0889244B1 (ko) 2005-04-20 2009-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압전 센서가 내장된 이차전지 모듈
KR100878702B1 (ko) 2005-11-30 2009-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안전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지팩
JP5147206B2 (ja) 2006-08-11 2013-02-20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093937B1 (ko) 2009-11-26 2011-1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를 이용한 전지 팩
KR101097101B1 (ko) 2009-12-29 2011-12-22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폭발방지수단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JP5455768B2 (ja) * 2010-04-24 2014-03-26 Fdk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
WO2011132723A1 (ja) 2010-04-24 2011-10-27 Fdk株式会社 内圧解放機構付きの蓄電デバイス、蓄電モジュール
KR101330615B1 (ko) * 2011-04-26 2013-11-1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KR101292618B1 (ko) 2011-08-17 2013-08-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313971B1 (ko) 2011-12-07 2013-10-01 세방전지(주) 천공 스위치를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
JP2014154292A (ja) 2013-02-06 2014-08-25 Toyota Motor Corp 二次電池
EP3032597B1 (en) * 2014-12-09 2019-02-27 LG Display Co., Ltd. Transform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84789A (ko) * 2016-01-13 2017-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용 안전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10431816B2 (en) * 2017-07-17 2019-10-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cell with increased tab are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CN207398300U (zh) 2017-10-25 2018-05-22 东莞新能德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和电子产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862A (ko) * 2010-07-01 2012-0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15110275A1 (de) * 2014-01-23 2015-07-30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batteriepack und transportbehälter
KR20160021347A (ko) * 2014-08-14 2016-02-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벤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70050926A (ko) * 2015-11-02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배출부의 변위를 감지하여 배터리 셀 스웰링을 방지하는 이차 전지, 이차 전지 충전 시스템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KR20180024861A (ko) * 2016-08-31 2018-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4749A1 (en) 2020-12-23
CN111837255B (zh) 2022-09-02
JP7098189B2 (ja) 2022-07-11
CN111837255A (zh) 2020-10-27
KR20200099392A (ko) 2020-08-24
US11616269B2 (en) 2023-03-28
EP3754749A4 (en) 2021-06-23
PL3754749T3 (pl) 2024-03-11
ES2966783T3 (es) 2024-04-24
JP2021516436A (ja) 2021-07-01
KR102379765B1 (ko) 2022-03-29
EP3754749B1 (en) 2023-11-15
US20210013473A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04407A1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WO2021020743A1 (ko) 이차 전지
WO2014017864A1 (ko) 이차전지
WO2018199439A1 (ko) 이차 전지
WO2021145624A1 (ko) 전극 탭 절곡 장치 및 방법
WO2021038545A1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WO2019031702A1 (ko) 배터리 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20175773A1 (ko) 벤팅 장치
WO2018216873A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 생산 방법
WO2020045814A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용 파우치
WO2016056776A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22071759A1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15056973A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WO2021101027A1 (ko)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8038448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20213855A1 (ko) 이차 전지 제조 장치 및 방법
WO2020166803A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WO2021101026A1 (ko)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1085977A1 (ko) 전극 리드 제조 방법 및 가압기
WO2021096035A1 (ko) 이차 전지 및 실링 블록
WO2021085807A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21187717A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WO2020166802A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WO2018052211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WO2018004157A1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4969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52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9152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914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