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49676A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49676A1
WO2020149676A1 PCT/KR2020/000826 KR2020000826W WO2020149676A1 WO 2020149676 A1 WO2020149676 A1 WO 2020149676A1 KR 2020000826 W KR2020000826 W KR 2020000826W WO 2020149676 A1 WO2020149676 A1 WO 20201496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ode
air
indo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08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재용
한동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01496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496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to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for maintaining the indoor environment comfortably.
  • an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o humans by discharging cold and hot air into the room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adjust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purifying the indoor air.
  •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10 installed in a room configured as a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unit configured as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to supply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10.
  • the air conditioner is separated and controlled by an indoor unit 10 composed of a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unit composed of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and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10 are connected by a refrigerant pipe, and refrigerant compressed from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It is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10 through, and the refrigerant exchanged in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10 flows into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again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Accordingly, the indoor unit 10 discharges cold and hot air into the room through heat exchange using a refrigerant.
  •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91917 is to automatically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indoor unit to the cooling mode or the heating mode according to the room temperature, counting the time to keep the changed operation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operation mode is frequent To prevent changes.
  • the conventional invention relates to the simple conversion of the cooling operation and the hea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here is a limit in controlling the comfort of the indoor space.
  • the conventional invention relates to the switching of cooling operation and heating operation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it has a humidifying function and an air cleaning function. have.
  • the air conditioner is required to have a method of performing control according to the degree of air pollution as well as temperature contro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ai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n operation mode in response to temperature, humidity, and pollu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performing a comfortable form through temperature and air volume control and operating an air cleaning function based on a change in the air condition in the room. .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is compared to a plurality of set temperatures to switch to either a comfortable mode or a comfortable mode.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compressor and the air volum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by differently setting the entry condition of the comfortable mode and the release condition of the comfortable mode.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he air cleaning module operates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cleanliness of the indoor space.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air condition, and the number of times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is controlled.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flow is chang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the air volume of the compressor in response to the load and the air condition while performing the temperature control by designating the initial temperat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change of the operation mode in response to the time required to change the air condition by changing the operation mode.
  • the holding times for maintaining a bad state, a normal state, and a good state are respectively counted, and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holding time for the normal state, and the air is maintained depending on the time for maintaining the good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stopping the clean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time of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variablely set in response to the air condition, and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depending on the air pollution source.
  •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oor fan that controls the air volum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indoor temperature, indoor humidity and air condition; And setting one of the rapid mode and the comfortable mode according to the room temperatur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the air volume of the indoor fan, and the conditions for operating in the comfortable mode and the conditions for releasing the comfortable mode are differen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witch a mode between the rapid mode and the comfortable mode.
  •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tting one of a rapid mode and a comfortable mode according to the indoor temperature; In the rapid mode, the indoor fan operating at the maximum air volume; Switching to a comfortable mode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a condition for operating in the comfortable mode; Chang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the air volume of the indoor fan according to the room temperature; And switching to the rapid mode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a condition for releasing the comfortable mode.
  • the air conditioner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control the operation based on temperature and air condition, but provid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while minimizing the frequency of mode change.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noise generated during mode change 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the mode is chang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load fluctuation due to the mode change 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the mode is chang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emperature control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by designating an initial temperature based on a cooling set temperature.
  • the air flow in the comfortable mode, can be changed by adjusting the air volume and the wi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load.
  •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th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required for the air condition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llution source.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noise generated by reducing the number of on-off times of the air cleaning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operating time of the air cleaning function by analyzing changes in the air condition.
  •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 of contamina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requent changes i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improve the air condition as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leaning modul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referred to for explaining comfort control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and 7 are views referred to describe an air cleaning mode according to an air condi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referred to for explaining an air cleaning mode according to a change time of an air condi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conditioner, the main body 110 of the indoor unit 10 is provided indoors, and is connected to an outdoor unit (not shown) through a refrigerant pipe (not shown).
  • the indoor unit 10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115 on the front side, and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not shown) from the inside,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5.
  • the indoor unit 10 may be formed with a suction port (not shown)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 the intake port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abinet 12.
  • the inlet is formed to open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open in the left-front direction.
  • a filter unit (not shown)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intake air is installed at the intake port.
  •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cleaning module 400 for cleaning the filter unit.
  • the discharge port 115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not shown). In some cases, the discharge port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air volume control unit.
  • the indoor fan generates a blowing force so that the heat-exchang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 an auxiliary fan (not shown) for assisting blowing power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 an auxiliary discharge port (not shown)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the front panel 120 is provided with a display module 292, and an operation unit may be installed.
  • a proximity sensor (not shown), an audio input unit (not shown), and an audio output unit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120.
  • the display module 292 displays operation status and setting information, and the touch pad is layered to receive user commands.
  • the display module 292 may further include lighting.
  • the front panel 120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not shown) composed of at least one input means of a switch, a button, or a touch pad.
  • the display module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layered with a touch pad.
  • a proximity sensor (not shown) and a remote control receiv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module 292.
  •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heat exchanger (not shown) that heats the sucked air with the refrigerant therein.
  • FIG. 2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sensor unit 215, a power supply unit 299, a driving unit 280, an operation unit 230, a display module 292, a memory 256, a communication unit 270, and audio output It includes a unit 291, an audio input unit 220, a vision module 210, a cleaning module 400, an air cleaning module 300, and a control unit 240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
  • the power supply 299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main body 110.
  • the power supply unit 299 rectifies and smooths the connected power supply, and generates and supplies a voltage required by each unit.
  • the power supply unit 299 prevents an inrush current and generates a constant voltage. Also, the power supply unit 299 may supply operating power to an outdoor unit (not shown).
  • the driving unit 280 provides driving force for the indoor fan to rotate.
  • the driving unit 280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installed therein.
  • the driving unit 280 provides driving force to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discharge port.
  • the driving unit 280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changing the opening angle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not shown) formed in the discharge port.
  • a separate door is not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and may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opening angle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 the manipulation unit 230 includes at least one of a button, a switch, and a touch input means, and inputs a user command or predetermined data into the indoor unit 10.
  • the display module 292 is composed of display means such as LCD, LED, and OLED, and may include a touch screen layered with a touch pad.
  • the display module 292 displays the operation setting or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10 in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characters, images, special characters, symbols, emoticons, and icons.
  • the display module 292 may further include a lighting unit that outputs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whether it is lit, lit color, or blinking.
  • the audio output unit 291 outputs voice guidance, predetermined warning sounds, and effect sounds.
  • the audio output unit 291 includes a buzzer or speaker.
  • the audio input unit 220 receives and recognizes a user's voice, and inputs a command for it to the control unit 240.
  • the audio input unit 220 includes at least one microphone.
  •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 data for an operation mode, data sensed by the sensor unit 215,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data input by the operation unit, and output data ,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is abnormal is stored.
  • the memory 256 stores data that can be read by a microprocessor, and includes ROM, RAM, EPROM, EEPROM, flash memory, HDD (Hard Disk Drive), SSD (Solid State Disk), and SDD (Silicon) Disk Drive).
  • the communication unit 270 includes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the communication unit 27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an outdoor unit (not shown), and receives data from a remote control (not shown).
  • the communication unit 270 may b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network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or terminal.
  • the communication unit 27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cluding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Wi-Fi and WiBro as well a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Bluetooth, and infrared.
  • the sensor unit 215 inputs data measured by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to the control unit 240.
  • the sensor unit 215 includes a proximity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 the sensor unit 215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for measuring air pollution.
  • the sensor unit 215 may include a dust sensor and a gas sensor.
  • a sensor that detects the condition of air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may be included in the air cleaner module.
  •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erson or object approaching within a certain distance.
  • the proximity sensor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and may also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display module 292.
  • the proximity sensor inputs an access signal to the controller 240 when a predetermined object or person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 a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in the intake port to measure the indoor temperatur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to measure the heat exchange temperature, an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and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pipe to coolant The temperature can be measured.
  • the humidity sensor measures humidity against indoor air.
  • the pressure sensor measures the refrigerant pressure in the refrigerant pipe.
  • the vision module 210 photographs an indoor environment including at least one image acquisition unit and detects a user's location. In addition, the vision module can detect indoor intrus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 the vision module 21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and in some cases,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nel of the cabinet.
  • the cleaning module 400 is installed in the filter unit to clean foreign matter in the filter unit.
  • the cleaning module includes a cleaning robot (not shown). As the cleaning robot moves along the surface of the filter part, it sucks foreign matter from the filter part.
  • the cleaning robot may sterilize the filter unit using a sterilization lamp while cleaning the filter unit.
  • the cleaning module 400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 the air cleaning module 3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s to remove contamination of the inhaled indoor air.
  • the control unit 240 processes input/output data, stores data in a memory, and controls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 the control unit 240 sets the air condition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setting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280 to transmit/receive data to and from the outdoor unit to discharge air of cold and hot air provided by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into the room. .
  • the controller 240 responds to the set operation mode or data measured from the sensor unit 215, the air cleaning module 300 is operated, and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and the occupant is detected through the vision module 210.
  • the cleaning module 400 is controlled so that the filter is cleaned.
  • the control unit 240 monitors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module, and outputs the operation status through the display module 292 according to the applied data.
  • the controller 240 may perform automatic control and air cleaning control.
  • the control unit 240 sets the rapid mode and the comfortable mod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controls the air cleaning module 30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ir or the degree of contamination.
  • 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by setting a rapid mode or a comfortable mode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unit 215.
  • the controller 2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by applying a control command to the driving unit 280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temperature based on the reference temperature by comparing the indoor temperature with a preset temperature value.
  • 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he air volume by applying a control command to the driving unit 280 according to the room temperature, turning the compressor on or off,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airflow by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of the discharge port through the driving unit 280.
  • the control unit 240 changes the rapid mode and the comfortable mode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but sets the standard below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bove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to prevent the mode from frequently changing.
  •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change of the compressor and the air volum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by making the entry condition of the comfortable mode different from the release condition of the comfortable mode.
  • control unit 240 applies a control command to the air cleaning module 300 to perform the air cleaning function.
  • the air cleaning module 300 determines the indoor air condition and the degree of pollution (cleanness), and turns the air cleaning function on or off accordingly.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 unit 240 may include one or more microprocessors.
  • control unit 240 is a main control unit 241, a vision module control unit 242, a power supply control unit 243, a lighting control unit 244, a display module control unit 245, air according to the function It includes a clean module control unit 246, a cleaning module control unit 247.
  • Each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as one microprocessor, and may be installed in each module.
  • the vision module 210, the cleaning module 400, and the air cleaning module may be controlled through one microprocessor.
  • a microprocessor is installed in each module, a vision module control unit 242 is provided in the vision module 210, and an air cleaning module control unit is provided in the air cleaning module to control its operation.
  • the main control unit 241 applies control commands to each control unit, and receives and processes data from each control unit.
  • the main control unit and each control unit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a bus (BU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 BUS bus
  • FIG. 4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leaning modul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cleaning module 300 is a sensor unit 340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air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a filter unit 330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s for removing contaminants in the air, And it includes an electric dust collecting unit 320, a clean control unit 310, for collecting dust.
  • the sensor unit 340 may be included in the sensor unit 215 described above.
  • the filter unit 330 may be separately installed as the filter unit of the cleaning module 440 or separately.
  • the sensor unit 340 may include a gas sensor 342, a dust sensor 341,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 filter sensor.
  • Various other sensors may be installed in the air cleaning module 300, but description of other sensors will be omitted. In some cases, such a sensor may be included in the sensor unit.
  • the dust sensor 341 detects dust from the inhaled air.
  • the dust sensor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and inputs it to the control unit 240.
  • the dust sensor can detect the concentration of dus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ust particles, and in this embodiment, the dust concentrations of PM 1.0, PM 2.5, and PM 10.0 can be detected separately.
  • the gas sensor 342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odor from the inhaled air.
  • the gas sensor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substances contained in indoor air, and detects not only food odor but also various types of gas concentration.
  •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intake air
  • the humidity sensor detects the humidity of the intake air. At this time, sinc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spirated air i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door air, the controller 240 may change the operation or adjust the humidification based on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humidity.
  • the filter sensor detects whether a plurality of filters are mounted or removed.
  • the filter unit 330 may be an electric dust collecting filter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by charging the applied power.
  • the filter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lter assembly, and can be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 the filter unit 3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 which each filter collect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rough a filter medium.
  • the filter can be arranged in a variety of structures.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iltration method of the filter or the filter medium of the filter.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320 collects dust by charging du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may be installed in a filter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s are installed.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320 include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at forms an electric field, and a precipitator that collects dust particles charged by the electrifier.
  • the charging unit includes discharge electrodes and counter electrode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dust is charged by corona discharg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the counter electrodes facing each other.
  • the air cleaning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fan for blowing purified air.
  • the clean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ing module 300.
  • the clean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performance of the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240.
  • the clean control unit 31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air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that is, the cleanliness of the air, based on the sensor values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340.
  • the clean control unit 310 may determine the cleanliness level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dust and the concentration of gas. In addition, the cleanliness control unit 310 may determine the cleanliness by combining temperature and humidity.
  • the cleanliness control unit 310 applies data on the cleanliness of the air to the control unit 240, and 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o display the cleanliness level through the display module 292.
  • the cleanliness control unit 310 divides cleanliness into a plurality of stages. For example, the clean control unit 310 may determine five levels: very bad, bad, normal, good, and very good.
  • the level of cleanliness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classified into at least three or more levels, and it is also possible to classify into ten levels for more specific state determination. It also states that the name for the level of cleanliness may change.
  • the cleanliness control unit 310 turns on the air cleaning fun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leanliness is poor, and turns off the air cleaning fun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leanliness of the air is good.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320 and the filter unit 330 start operation.
  • the air cleaning module 300 allows dust and odor to be removed, that is, air from which contamination has been removed is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At this time,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by the blowing force of the indoor fan.
  • the cleanliness control unit 310 counts the time that the normal state is maintained (the first holding time) and the time that the good state is maintained (the second holding time), and the cleanliness of the air is poor. Counts the time (time required) to change from good to good.
  • the clean control unit 310 may perform an air cleaning function even when the cleanliness is not bad, for example, in the normal case.
  • the clean control unit 310 turns on the air cleaning function when the normal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second set time) or more.
  • the clean control unit 310 may maintain the air cleaning fun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hird set time) without turning off the air cleaning function even when the cleanliness level is reached.
  • the clean control unit 310 maintains the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reaching a good cleanliness when the normal state is maintained for a second or more set time to perform the air cleaning function.
  • the cleanliness control unit 310 may maintain the air cleaning function for a measured time based on a time (time required) to change from poor to good cleanliness.
  • the clean control unit 310 maintains the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pollutant.
  • the cleanliness of the air can be viewed as a temporary condition, even if the current good condition has been reached, provided that the source of contamination has not been removed. If the air cleanliness function is off, the cleanliness of the air may be reduced again by the existing pollutants if the air cleanliness function is off.
  • the air cleaning module maintains the air cleaning function for a certain time.
  • the indoor unit 10 can discharge not only heat-exchanged air, but also purified air. At this time, the indoor unit 10 may heat-discharge the purified air, and also purify and discharge the heat-exchanged air. The order of heat exchange and air cleaning can be changed.
  • FIG. 5 is a view referred to for explaining comfort control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 unit 240 sets the rapid mode or the comfortable mode in response to the detected indoor temperature to control the operation.
  • the air conditioner controls the operation based on this when the indoor temperature changes with time during automatic control.
  • A1 is the setting mode
  • A2 is the compressor operation
  • A3 is the air volume.
  • the controller 240 sets a rapid mode so that when the operation is started while the automatic control is set, the input temperature can be quickly reached.
  • the control unit 240 applies a control command to the driving unit 280 with the rapid mode setting.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280 controls the compressor to start operation, and the indoor fan operates with a power wind.
  • the power wind is the maximum airflow of the indoor fan.
  • the air conditioner discharges cold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while operating in the rapid mode, and the room temperature is reduced accordingly.
  •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sensor unit 215 detects the indoor temperature.
  • the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he compressor by setting the cooling set temperature as the initial set temperature.
  • the control unit 240 may accumulate the desired temperature valu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to control the operation by designating one of the average value,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s the initial setting temperature.
  • the controller 240 determines that the comfortable section has been reached, and changes the operation mode to the comfortable mode.
  • the first set temperature may be set as an initial set temperature.
  • control unit 240 keeps the compressor operating for a certain time, and the indoor fan releases the power wind and changes the air volume.
  • the control unit 240 changes the air volume of the indoor fan according to the load con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air volume manually.
  • the control unit 240 may set the air volum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size of the indoor space, the capacity of the compressor, the capacity of the indoor unit, the number of occupants, the number of heat sources in the space,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 the control unit 240 stop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t the second time T2, the compressor stops operating.
  • the second set temperature may be set to a value lower than the first set temperature.
  • the second set temperature may be set to a value that is 1 to 3 degrees lower than the first set temperature.
  • the controller 240 controls the indoor fan to operate in a weak wind.
  • the controller 240 When the room temperature reaches the third set temperature TS3, the controller 240 operates the compressor. Accordingly, the compressor starts operating at the third time T3.
  • control unit 240 maintains the air volume of the indoor fan as a weak wind.
  • the control unit 240 increases the air volume of the indoor fan.
  • the indoor fan can operate as a stroke.
  • the third set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value higher than the first set temperature
  • the fourth set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value higher than the third set temperature.
  • the third set temperature may be set to a value of 1 to 3 degrees higher than the first set temperature
  • the fourth set temperature may be set to a value of 1 to 3 degrees higher than the third set temperature.
  •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t temperature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load condition of the indoor space.
  • the controller 240 counts the time.
  • the control unit 240 does not decrease the room temperature below the fourth set temperature TS4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set time) is reached. Change to mode.
  • the first set time may be set to about 5 minutes to 10 minutes.
  • control unit 240 may chang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et temperatures or the first set time.
  • the control unit 240 allows the indoor fan to operate in a power wind with the setting of the rapid mode.
  • the controller releases the comfortable mode and controls the room temperature again through the rapid mode.
  • the controller 240 maintains a comfortable mode.
  • the indoor fan maintains a blow.
  • the controller 240 After changing the rapid mode, the controller 240 changes to the comfortable mode and controls the indoor fan and the compressor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first set temperature TS1 as described above.
  • the air conditioner can prevent the mode between the comfortable mode and the rapid mode from being frequently changed, and the indoor fan is not repeatedly changed to a power wind, so that noise is reduced.
  • FIG. 6 and 7 are views referred to describe an air cleaning mode according to an air condi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graph (L1) (L11) (L21) is the dust concentration of PM1.0
  • the second graph (L2) (L12) (L22) is the dust concentration of PM2.5
  • the third graph (L3) (L13) ) (L23) is the dust concentration of PM10.0.
  • control unit 240 applies a control command for the operation to the air cleaning module 300.
  • the air conditioner module 340 detects the state of the indoor air and the degree of pollution, and determines the cleanliness of the air.
  •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activated (ON), but th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even when the normal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the clean control unit 310 executes the air cleaning mode according to the time in which the normal state is maintained.
  • the clean control unit 310 counts the time (first retention time) in which the normal state is maintained.
  • the clean control unit 310 performs an air cleaning function even if the air condition is normal.
  • the clean control unit 310 may stop the operation.
  • the clean control unit 310 maintains the air cleaning fun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For example, the operation may be maintained for about 30 minutes to 90 minutes.
  • the air cleaning module executes the air cleaning function during the third section TD3. If the size of the third sec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clean control unit can maintain operation even when the cleanliness level is good.
  • the air cleaning module may control the operation based on the holding time.
  • the clean control unit 310 When the cleanliness (D1) of the air repeatedly shows good and normal conditions, the clean control unit 310 maintains a normal state (first maintenance time) and a good condition (second maintenance time). Each is accumulated and counted.
  • the clean control unit 310 executes the air cleaning function (ON) even if the current state is normal.
  • the air cleaning module 300 starts operation.
  • the off state was maintained and the air cleaning function was performed when the state became bad (T22).
  • the clean control unit 31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set time is reached by setting the sum of the 11th to 14th sections TD11 to TD14 as the first holding time.
  • the clean control unit 310 counts the second holding time in which the good condition is maintained.
  • the second holding time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ime during which the good state is continuously maintained without accumulating.
  • the clean control unit 310 When the second holding time reaches a predetermined time (third set time), the clean control unit 310 initializes the first holding time in which the normal state is maintained. That is, since the respective sizes of the 21st section and the 22nd section (TD21, TD22) have not reached the third set time, the first holding time is accumulated.
  • the clean control unit 310 executes the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holding time,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maintained until the 17th section TD17 even when the cleanliness is changed to good (T23). Since the time from the 12th time (TD12) to the 14th time (TD14)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clean control unit 310 maintains the air cleaning function even when the cleanliness is good.
  • FIG. 8 is a view referred to for explaining an air cleaning mode according to a change time of an air condi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cleaning module 300 operates according to cleanliness.
  • the clean control unit 310 determines the cleanliness of the air (E1) according to the dust concentration and odor concentration of the sensor unit 340.
  • the clean control unit 310 When the cleanliness level D1 is in a good state, the clean control unit 310 turns off the air cleaning function, and when it is in a bad or very bad state (T33), it executes the air cleaning function (ON).
  • the clean control unit 310 stops (OFF) the air cleaning function.
  • the air cleaning module performs an air cleaning function in bad or very bad, and stops operation when it is in a good state. Accordingly, the operation was performed in the 31st section (TD31), the 33rd section (TD33), and the 35th section (TD35), and the operation was turned off in the 32nd section (TD32) and the 34th section (TD34).
  • the cleanliness control unit 310 counts the time (reach time) from changing the cleanliness of the air to poor (or very poor), and if the cleanliness decreases within a short time after changing to the good condition, air pollution There are reasons such as the cause of the cause is not eliminated, so that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the clean control unit 310 maintains the air cleaning mode for a period of time (reach time) from poor cleanliness to good.
  • the clean control unit 310 repeatedly measures the time (reach time) from when the air cleaning function is executed until reaching good, and increases the operation retention time of the air cleaning function based on the previously measured arrival time. Order.
  • the air cleaning module 300 maintains operation in the 32nd section (TD32) and the 34th section (TD34).
  • the air cleaning module 300 may maintain the air cleaning function for a time (TD41) for the previous arrival time, that is, the time for the 31st section TD31.
  • the air cleaning module executes the air cleaning function for a time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 arrival time of the 35th section TD35 (TD42) even if the cleanliness level is good after the 35th section TD35.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noise generated by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indoor fan by power wind due to frequent mode changes during automatic control based on temperature, particularly when the smart care function is set.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load due to repetition of the restart of the compressor by diversifying the release conditions of the comfort mode during temperature-based control.
  •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n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cleanliness of the air, but does not stop the operation immediately even if it is changed to a good state, and maintains the oper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thereby performing air cleaning in consideration of the cause of contamination and improving the air quality. can d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도와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스마트케어를 바탕으로 온도 및 풍량제어를 통해 쾌적모드를 수행하고, 실내의 공기상태의 변화를 바탕으로 공기 청정기능을 동작시켜 온도 및 공기상태를 바탕으로 동작을 제어하되, 모드의 변화 빈도를 최소화하면서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모드가 변경되는 횟수를 감소하여 모드 변경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오염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기청정기능이 일정시간 유지되도록 하여 공기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10)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10)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10)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10)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10)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10)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10)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종래발명은, 온도변화에 따라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빈번한 모드의 변경으로 부하가 증가하고, 풍량의 변경으로 인한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에 대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91917는 실내온도에 따라 실내기의 운전모드가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시간을 카운트하여 변경된 운전모드가 소정시간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운전모드가 빈번하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발명은 온도에 따른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의 단순 전환에 관한 것으로, 실내공간에 대한 쾌적도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발명은 온도에 따른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의 전환에 관한 것으로, 가습 기능은 물론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하여 특정 계절에 한정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계절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그 기능이 한계가 있다.
공기오염에 관련하여, 공기오염도가 일시적으로 좋아지더라도, 오염원이 제거되지 않고 유지된 상태라면 다시 오염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공기정화기능의 온오프가 빈번해지는 문제가 있다.
공기조화기는 온도제어는 물론,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온도와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도, 습도, 오염도에 대응하여 운전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온도 및 풍량제어를 통해 쾌적양식을 수행하고, 실내의 공기상태의 변화를 바탕으로 공기청정기능을 동작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온도를 복수의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쾌적모드 및 쾌적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쾌적모드의 진입조건과 쾌적모드의 해제조건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온도에 따라 압축기와 풍량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온도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고, 공기상태에 따라 공기청정모듈이 동작하여 실내공간의 온도와 청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온도 및 공기상태에 따라 운전모드를 변경하되, 운전모드가 변경되는 횟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초기온도를 지정하여 온도제어를 수행하면서 부하와 공기상태에 대응하여 압축기의 동작과 풍량을 제어하여 기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모드의 변경에 의해 공기상태가 변경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운전모드의 변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의 청정도에 대하여 나쁨상태, 보통상태, 좋음상태가 유지되는 유지시간을 각각 카운트하고, 보통상태에 대한 유지시간에 따라 공기청정기능을 실행하고, 좋음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공기청정기능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상태에 대응하여 공기청정기능의 동작시간을 가변하여 설정하고 공기 오염원에 따라서 공기청정기능이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실내기팬;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실내온도, 실내습도 및 공기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실내온도에 따라 쾌속모드와 쾌적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여 압축기 의 동작 및 상기 실내기팬의 풍량을 제어하고, 상기 쾌적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조건과 상기 쾌적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조건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상기 쾌속모드와 상기 쾌적모드 간에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내온도에 따라 쾌속모드와 쾌적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쾌속모드에서, 실내기팬이 최대풍량으로 동작하는 단계; 실내온도가 상기 쾌적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조건에 도달하면, 쾌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실내온도에 따라 압축기의 동작 및 상기 실내기팬의 풍량을 변경하는 단계; 및 실내온도가 상기 쾌적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쾌속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온도 및 공기상태를 바탕으로 동작을 제어하되, 모드의 변화 빈도를 최소화하면서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드가 변경되는 횟수를 감소하여 모드 변경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드가 변경되는 횟수를 감소하여 모드 변경으로 인한 부하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방설정온도를 기반으로 초기 온도를 지정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쾌적모드에서, 부하에 따라 풍량과 풍향을 조절하여 기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염도에 따라 공기청정기능을 온, 오프하고, 오염원에 따라 공기상태가 변경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능의 온오프 횟수를 감소시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상태의 변화를 분석하여 공기청정기능의 동작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시적으로 오염도가 개선되더라도, 오염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기청정기능이 일정시간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능이 일정시간 이상 유지됨에 따라 오염도의 잦은 변화를 방지하고, 공기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용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듈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온도에 따른 쾌적제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상태에 따른 공기청정모드를 설명하는데 참조된 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상태의 변화시간에 따른 공기청정모드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 각 모듈 및 각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의 본체(110)가 실내에 구비되고, 냉매배관(미도시)을 통해 실외기(미도시)와 연결된다.
실내기(10)는 전면에 토출구(115)가 형성되어, 흡입구(미도시)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내부에서 공조한 후 토출구(115)를 통해 토출한다.
실내기(10)는 본체(110)의 후면에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구는 캐비넷(12)의 측면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흡입구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거나 좌측 전방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흡입구에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110)는 필터부를 청소하는 청소모듈(400)이 설치된다.
토출구(115)는 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된다. 경우에 따라 토출구는 풍량조절부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토출구(115)의 내측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설치되고, 실내기팬에 의해 송풍력이 발생한다.
실내기팬은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킨다. 경우에 따라 본체(110)의 내부에 송풍력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팬(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측면에는 보조 토출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전면패널(120)은 디스플레이모듈(292)이 구비되고, 조작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면패널(120)에는 근접센서(미도시), 오디오입력부(미도시), 오디오출력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동작상태 및 설정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되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20)에는 스위치, 버튼 또는 터치패드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으로 구성된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은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92)의 어느 일측에는 근접센서(미도시)와 리모컨 수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10)는 내부에,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센서부(215), 전원부(299), 구동부(280), 조작부(230), 디스플레이모듈(292), 메모리(256), 통신부(270), 오디오출력부(291), 오디오입력부(220), 비젼모듈(210), 청소모듈(400), 공기청정모듈(300), 그리고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전원부(299)는 본체(110)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99)는 연결되는 사용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각 부에서 요구되는 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전원부(299)는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정전압을 생성한다. 또한, 전원부(299)는 동작전원을 실외기(미도시)로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280)는 실내기팬이 회전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280)는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구동부(280)는 토출구의 도어가 개폐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구동부(280)는 토출구에 형성되는 풍향조절부(미도시)의 개도각을 변경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 토출구에는 별도의 도어가 설치되지 않고, 풍향조절부의 개도각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조작부(23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실내기(10)로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LCD, LED, OLED 등의 표시수단으로 구성되고, 터치패드가 레이어드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92)은 실내기(10)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정보를, 문자, 이미지, 특수문자, 기호, 이모티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92)은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 여부에 따라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291)는 음성안내, 소정의 경고음, 효과음을 출력한다. 오디오출력부(291)는 버저 또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오디오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인식하고, 그에 대한 명령을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오디오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한다.
메모리(256)에는 실내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동작모드에 대한 데이터, 센서부(215)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 출력데이터, 동작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25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ROM, RAM, EPROM, EEPROM, 플래쉬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70)는 실외기(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리모컨(미도시)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70)는 소정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 또는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70)는 지그비, 블루투스, 적외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뿐 아니라,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센서부(215)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는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센서부(215)는 근접센서, 온도센서, 압력센서, 습도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센서부(215)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215)는 먼지센서, 가스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의 상태 및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는 공기청정기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소정 거리 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물체를 감지한다. 근접센서는 본체(110)의 하부, 베이스의 전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모듈(292)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소정거리 내에 소정의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접근신호를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온도센서는 흡입구에 설치되어 실내온도를 측정하고,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온도를 측정하며, 토출구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센서는 실내공기에 대한 습도를 측정한다.
압력센서는 냉매배관의 냉매압력을 측정한다.
비젼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부를 포함하여 실내 환경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또한, 비젼모듈은 동작 모드에 따라 실내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비젼모듈(210)은 전면패널에 설치되고, 경우에 따라 캐비넷의 상측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필터부에 설치되어, 필터부의 이물질을 청소한다. 청소모듈은 청소로봇(미도시)을 포함한다. 청소로봇은 필터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필터부의 이물질을 흡입한다. 또한, 청소로봇은 필터부를 청소하면서 살균램프를 이용하여 필터부를 살균할 수 있다. 청소모듈(400)은 로봇청소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모듈(300)은, 복수의 필터로 구성되어 흡입된 실내공기의 오염을 제거한다.
제어부(24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통신부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실외기와의 데이터 송수신하여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에 의해 공조된 냉온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동부(280)를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설정되는 동작모드 또는 센서부(215)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공기청정모듈(300)이 동작하여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고, 비젼모듈(210)을 통해 재실자를 감지하며, 또한, 필터가 청소되도록 청소모듈(400)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각 모듈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인가되는 데이터에 따라 동작상태가 디스플레이모듈(292)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240)는 스마트케어 기능이 설정되면, 자동제어 및 공기청정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온도에 따라 쾌속모드와 쾌적모드를 설정하고, 공기의 상태 또는 오염도에 따라 공기청정모듈(300)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센서부(215)에 의해 감지되는 실내온도를 바탕으로 쾌속모드 또는 쾌적모드를 설정하여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실내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값과 비교하여 기준이 되는 온도를 바탕으로 온도의 증감에 따라 구동부(28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본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실내온도에 따라 구동부(28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압축기를 온 또는 오프 시키고,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구동부(280)를 통해, 토출구의 풍향조절부를 제어하여 기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쾌속모드와 쾌적모드에 대하여, 설정온도를 기준으로 변경하되, 설정온도를 기준으로 소정온도 이하, 소정온도 이상의 기준을 설정하여 모드가 빈번하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쾌적모드의 진입조건과 쾌적모드의 해제조건을 상이하게 하여, 온도에 따라 압축기와 풍량의 변경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조작부(230)에 의해 공기청정모드가 선택되면, 공기청정모듈(30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공기청정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공기청정모듈(300)은, 공기청정모드가 설정되면, 실내공기의 상태 및 오염도(청정도)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공기정청기능을 온 또는 오프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용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제어부(2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기능에 따라 메인제어부(241), 비젼모듈제어부(242), 전원공급제어부(243), 조명제어부(244),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245), 공기청정모듈제어부(246), 청소모듈제어부(247)를 포함한다.
각 제어부는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모듈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통해 비젼모듈(210), 청소모듈(400), 공기청정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설치되어, 비젼모듈(210)에 비젼모듈제어부(242)가 구비되고, 공기청정모듈에 공기청정모듈제어부가 구비되어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제어부(241)는 각 제어부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각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메인제어부와 각 제어부는 버스(BUS)형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듈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모듈(300)은 공기의 상태 및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340)와, 공기중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로 구성된 필터부(330), 그리고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전기집진부(320), 청정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센서부(340)는 앞서 설명한 센서부(215)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330)는 청소모듈(440)의 필터부와 동일하거나 별도로 개별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340)는 가스센서(342), 먼지센서(341), 온도센서, 습도센서, 필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모듈(300)은 그 외 다양한 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외의 센서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센서는 경우에 따라 센서부에 포함될 수 있다.
먼지센서(341)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감지한다. 먼지센서는 공기중 먼지 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240)로 입력한다. 먼지센서는 먼지입자 크기별로 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PM 1.0, PM 2.5, 및 PM 10.0인 먼지의 농도를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
가스센서(342)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냄새의 농도를 감지한다. 가스센서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냄새물질의 농도를 감지하고, 음식물 냄새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가스 농도를 감지한다.
온도센서는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습도센서는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이때, 흡인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는 실내공기의 온도와 습도이므로 감지된 온도와 습도를 바탕으로 제어부(240)는 동작을 변경하거나 가습을 조절할 수 있다.
필터센서는 복수의 필터에 대한 장착 여부 또는 탈거를 감지한다.
필터부(330)는 인가된 전원을 대전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전기집진필터일 수 있다. 필터는 필터어셈블리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공기조화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330)는 각 필터가 여과재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는 다양한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의 여과방식 또는 필터의 여과재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가 제한되지 않는다.
전기집진부(320)는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대전시켜 집진한다. 전기집진부는 복수의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어셈블리에 설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부(320)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대전부와,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집진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공기가 대전부를 통과한 후 전기집진부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 중의 먼지는 집진부에 포집된다. 대전부는 방전전극들과, 방전전극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향전극들을 포함하고, 먼지는 서로 마주보는 방전전극과 대향전극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다.
경우에 따라 공기청정모듈(300)은 정화된 공기를 송풍하는 보조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정제어부(310)는 공기청정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청정제어부(310)는 제어부(240)의 제어명령에 따라 공기청정기능의 수행을 제어한다.
청정제어부(310)는 센서부(340)를 통해 감지되는 센서값을 바탕으로 공기의 상태 및 오염도, 즉 공기의 청정도를 판단한다.
청정제어부(310)는 먼지의 농도, 가스농도를 바탕으로 청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청정제어부(310)는 온도와 습도를 결합하여 청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청정제어부(310)는 공기의 청정도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240)로 인가하고,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모듈(292)을 통해 청정도를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청정제어부(310)는 청정도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청정제어부(310)는 매우나쁨, 나쁨, 보통, 좋음, 매우좋음의 5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청정도를 나타내는 단계를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적어도 3단계 이상으로 구분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인 상태판단을 위해 10단계로 구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청정도의 단계에 대한 명칭은 변경될 있음을 명시한다.
청정제어부(310)는 청정도가 나쁨으로 판단되면 공기청정기능을 온(ON)하고, 공기의 청정도가 좋음으로 판단되면 공기청정기능을 오프한다.
청정제어부(3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전기집진부(320) 및 필터부(330)는 동작을 시작한다.
공기청정기능이 온(ON)되면, 흡입된 공기가 복구의 필터 및 전기집진부를 통과하고, 그 과정에서 먼지는 집진되고, 냄새의 원인이되는 가스는 필터에 흡착된다. 공기청정모듈(300)은 먼지와 냄새가 제거된, 즉 오염이 제거된 공기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정화된 공기는 실내기팬의 송풍력에 의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청정제어부(310)는 공기의 청정도에 따라, 보통인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제1 유지시간), 좋음인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제 2 유지시간)을 카운트하고, 또한, 공기의 청정도가 나쁨에서 좋음 상태로 변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소요시간)을 각각 카운트한다.
청정제어부(310)는 청정도가 나쁨이 아니라도, 예를 들어 보통인 경우에도 공기청정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청정제어부(310)는 보통인 상태가 일정시간(제 2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공기청정기능을 온(ON)한다.
청정제어부(310)는 청정도가 좋음에 도달하더라도 공기청정기능을 오프하지 않고 소정시간(제 3 설정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청정제어부(310)는 보통인 상태가 제 2 설정시간 이상 유지되어 공기청정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청정도가 좋음에 도달한 후, 소정시간 동안 동작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청정제어부(310)는 청정도가 나쁨에서 좋음 상태로 변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소요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된 시간만큼 공기청정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청정제어부(310)는 청정도가 좋음에 도달한 경우에도, 오염원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기능을 유지한다.
공기의 청정도는, 오염원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라면, 현재의 좋음 상태에 도달하였다 하더라도, 이는 일시적인 상태로 볼 수 있다. 공기의 청정도는, 오염원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라면, 공기청정기능이 오프되면, 기존의 오염원에 의해 다시 청정도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그에 따라 공기청정모듈은 일정시간 공기청정기능을 유지한다.
그에 따라 실내기(10)는, 열교환된 공기뿐 아니라, 정화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실내기(10)는 정화된 공기를 열교환하여 토출할 수 있고, 또한 열교환된 공기를 정화하여 토출할 수 있다. 열교환과 공기청정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온도에 따른 쾌적제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온도기반의 자동제어가 설정되면, 감지되는 실내온도에 대응하여 쾌속모드 또는 쾌적모드를 설정하여 동작을 제어한다.
공기조화기는, 자동제어 시, 시간에 따라 실내온도가 변화하면, 이를 바탕으로 운전을 제어한다. A1은 설정모드, A2는 압축기 동작여부, A3는 풍량에 관한 것이다.
제어부(240)는 자동제어가 설정된 상태에서, 운전이 시작되면, 입력된 온도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쾌속모드를 설정한다.
제어부(240)는 쾌속모드의 설정과 함께, 구동부(280)로 제어명령을 인가한다. 그에 따라 구동부(280)는 압축기가 동작을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실내기팬은 파워풍으로 동작한다. 파워풍은 실내기팬의 최대풍량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속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토출구를 통해 냉기를 토출하고, 그에따라 실내온도가 감소하게 된다. 센서부(215)의 온도센서를 실내온도를 감지한다.
제어부(240)는 냉방설정온도를 초기설정온도로 하여 압축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희망온도값을 누적하여 평균값 또는 최대값, 최소값 중 어느 하나를 초기설정온도로 지정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실내온도가 제 1 시간(T1)에, 제 1 설정온도(TS1)에 도달하면, 쾌적구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동작모드를 쾌적모드로 변경한다. 제 1 설정온도는 초기설정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쾌적모드 설정 시, 압축기는 일정시간 운전을 유지하도록 하고, 실내기팬은 파워풍을 해제하고 풍량을 변경한다.
제어부(240)는 부하상태에 따라 실내기팬의 풍량을 변경한다. 수동으로 풍량을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제어부(240)는 실내공간의 크기, 압축기의 용량, 실내기의 용량, 재실자의 수, 공간 내 열원의 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풍량을 설정할 수 있다.
실내온도가 제 2 설정온도(TS2)에 도달하면, 제어부(240)는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 2 시간(T2)에 압축기가 동작을 정지한다.
제 2 설정온도는 제 1 설정온도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설정온도는 제 1 설정온도보다 1 도 내지 3도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압축기가 동작을 정지하면, 실내기팬이 약풍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압축기의 동작 정지로 인하여 실내온도는 서서히 상승한다.
제어부(240)는 실내온도가 제 3 설정온도(TS3)에 도달하면, 압축기를 동작시킨다. 그에 따라 제 3 시간(T3)에 압축기가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실내기팬의 풍량을 약풍으로 유지한다.
한편, 실내온도가 제 4 설정온도(TS4)에 도달하면, 제어부(240)는 실내기팬의 풍량을 증가시킨다. 실내기팬은 중풍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 3 설정온도는 제 1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값이고, 제 4 설정온도는 제 3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값이다. 제 3 설정온도는 제 1 설정온도보다 1도 내지 3도 높은값으로 설정되고, 제 4 설정온도는 제 3 설정온도보다 1도 내지 3도 높은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설정온도 간의 온도차는 실내공간의 부하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 4 시간(T4)에 제 4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240)는 시간을 카운트 한다.
압축기가 동작중이고, 실내기팬이 중풍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어부(240)는 소정시간(제 1 설정시간)에 도달하기까지 실내온도가 제 4 설정온도(TS4) 이하로 감소하지 않는 경우, 쾌속모드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제 1 설정시간은 약 5분 내지 1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중에 사용자에 의해 희망온도가 변경되거나 풍량이 변경되는 경우, 설정온도 간의 온도차 또는 제 1 설정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쾌속모드의 설정과 함께, 실내기팬이 파워풍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압축기가 운전중임에도 불구하고 온도가 감소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제어부는 쾌적모드를 해제하고, 쾌속모드를 통해 다시 실내온도를 제어한다.
한편, 제 4 설정온도를 초과한 이후에 소정시간(제 1 설정시간) 내에, 실내온도가 제 4 설정온도 미만으로 감소한 경우, 제어부(240)는 쾌적모드를 유지한다. 실내기팬은 중풍을 유지한다.
쾌속모드 변경 후, 제어부(2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온도가 제 1 설정온도(TS1)에 도달하면 쾌적모드로 변경하고 실내기팬과 압축기를 제어한다.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는, 쾌적모드와 쾌속모드 간의 모드가 빈번히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실내기팬이 반복적으로 파워풍으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상태에 따른 공기청정모드를 설명하는데 참조된 도이다.
제 1 그래프(L1)(L11)(L21)는 PM1.0의 먼지농도이고, 제 2 그래프(L2)(L12)(L22)는 PM2.5의 먼지농도이며, 제 3 그래프(L3)(L13)(L23)는 PM10.0의 먼지농도이다.
시간에 따른 공기의 오염도변화 및 그에 따른 청정도 및 공기청정기능의 제어변화를 살펴보면 도 6 및 도 7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조작부(230)를 통해 공기청정모드가 설정되면, 공기청정모듈(300)로 동작에 대한 제어명령을 인가한다.
공기청정모듈(300)은 공기청정모드가 설정되면, 센서부(340)를 통해 실내공기의 상태 및 오염도를 감지하고, 공기의 청정도를 판단한다.
청정제어부(310)는 청정도가 나쁨이면, 공기청정기능을 실행(ON)하되, 보통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청정제어부(310)는 공기청정모드가 설정된 후, 청정도(C1)가 보통상태로 유지되면, 공기청정모듈(C3)은 보통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공기청정모드를 실행한다.
이때, 청정제어부(310)는 보통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면, 보통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제1 유지시간)을 카운트한다. 청정제어부(310)는 제 1 유지시간이 제 2 설정시간(TD2)에 도달하면, 공기상태가 보통이라 하더라도 공기청정기능을 실행한다.
종래(C2)에는 공기청정기능을 오프상태로 유지하고 나쁨상태가 되면(T12) 공기청정기능을 실행하였다.
청정제어부(310)는 공기가 좋음 상태가 되면,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청정제어부(310)는 보통상태에서 공기청정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공기청정기능이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약 30 분 내지 90분 동안은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공기청정모듈은 제 3 구간(TD3) 동안 공기청정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제 3 구간의 크기가 일정시간 미만이면 청정제어부는 청정도가 좋음상태가 되더라도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모듈은, 유지시간을 기반으로 동작을 제어하는 할 수 있다.
공기의 청정도(D1)가, 좋음과 보통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청정제어부(310)는 보통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제 1 유지시간)과 좋음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제 2 유지시간)을 각각 누적하여 카운트한다.
청정제어부(310)는 청정도가 가변하는 동안에 누적되는 시간을 바탕으로 제 1 유지시간이 지정된 시간(제 2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현재 상태가 보통이라 하더라도 공기청정기능을 실행(ON)한다.
그에 따라 보통상태라 하더라도 제 1 유지시간 제 2 설정시간 도달 시(T21), 공기청정모듈(300)(D3)은 동작을 시작한다. 종래에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나쁨상태가 되면(T22) 공기청정기능을 실행하였다.
청정제어부(310)는 제 11 구간 내지 제 14구간(TD11 내지 TD14)를 합산한 시간을 제 1 유지시간으로 하여, 제 2 설정시간 도달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청정제어부(310)는 좋음상태가 유지되는 제 2 유지시간을 카운트한다. 제 2 유지시간은 누적하지 않고 좋음 상태가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시간의 길이로 판단한다.
청정제어부(310)는 제 2 유지시간이 소정시간(제 3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보통상태가 유지되는 제 1 유지시간을 초기화한다. 즉 제 21 구간과 제 22 구간(TD21, TD22)의 각각의 크기가 제 3 설정시간에 도달하지 않았으므로, 제 1 유지시간은 누적된다.
청정제어부(310)는 제 1 유지시간에 따라 공기청정기능을 실행하였으므로, 청정도가 좋음으로 변경되는 경우(T23)에도 공기청정기능이 제 17 구간(TD17)까지 유지되도록 한다. 제 12 시간(TD12)로부터 제 14시간(TD14)까지가 일정시간 미만이므로 청정제어부(310)는 청정도가 좋음상태인 경우에도 공기청정기능이 유지되도록 한다.
공기청정기능이 실행되면, 보통상태에서 좋음상태로의 변경하는데 오래걸리지 않으나, 좋음상태 도달 후 즉시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 청정도는 다시 하락하게 되므로, 공기청정모듈은 일정시간 이상 기능이 동작하도록 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공기상태의 변화시간에 따른 공기청정모드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모듈(300)은 청정도에 따라 동작한다.
청정제어부(310)는 공기청정모드가 설정되면(T31), 센서부(340)의 먼지농도 및 냄새농도에 따라 공기의 청정도(E1)를 판단한다.
청정제어부(310)는 청정도(D1)가 좋음 상태이면, 공기청정기능을 오프하고, 나쁨 또는 매우나쁨상태가 되면(T33), 공기청정기능을 실행(ON)한다.
또한, 청정제어부(310)는 공기상태가 좋음상태가 되면(T34), 공기청정기능을 중지(OFF)한다.
종래(E2)에는, 공기청정모듈은 나쁨 또는 매우나쁨에서 공기청정기능을 실행하고, 좋음상태가 되면 동작을 정지하였다. 그에 따라 제 31 구간(TD31), 제 33 구간(TD33), 제 35 구간(TD35)에서 동작하고, 제 32구간(TD32) 및 제 34구간(TD34)에서는 동작을 오프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동작하는 경우, 동작을 정지한 후, 단시간 내에 다시 동작을 시작하게 되므로, 동작의 온오프에 빈도가 증가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요리 중인 경우 일시적으로 공기가 좋음 상태가 되더라도 요리를 다시 시작하게 되면 공기의 청정도가 저하되게 된다.
그에 따라 청정제어부(310)는 공기의 청정도가 나쁨(또는 매우나쁨)에서 좋음상태로 변경되기까지의 시간(도달시간)을 카운트하고, 좋음상태로 변경 후 단시간 내에 청정도가 저하되는 경우는 공기 오염의 원인이 제거되지 않는 등의 이유가 있으므로, 일정시간 이상 공기청정기능이 유지되도록 한다.
청정제어부(310)는 청정도가 나쁨에서 좋음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도달시간) 만큼 공기청정모드가 유지되도록 한다. 청정제어부(310)는 공기청정기능이 실행되는 시점으로부터 좋음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도달시간)을 반복적으로 측정하고, 이전에 측정된 도달시간을 바탕으로, 공기청정기능의 동작유지시간을 증가시킨다.
그에 따라 공기청정모듈(300)은 제 32구간(TD32), 제 34 구간(TD34)에도 동작을 유지한다. 공기청정모듈(300)은 제 34시간(T34)에 청정도가 좋음상태로 변경되면, 이전 도달시간, 즉 제 31구간(TD31)에 대한 시간 만큼(TD41) 공기청정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모듈은 제 35구간(TD35)이 후에, 청정도가 좋음상태가 되더라도, 이전 도달시간인 제 35 구간(TD35)에 대응하는 시간 만큼(TD42) 공기청정기능을 실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온도기반의 자동제어 시, 특히 스마트케어기능이 설정되면, 빈번한 모드의 변경으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실내기팬이 파워풍으로 동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기반 제어 시, 쾌적모드의 해제조건을 다원화 하여 압축기의 재기동의 반복으로 인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의 청정도에 따라 공기청정기능을 실행하되, 좋음상태로 변경되더라도 즉시 동작을 정지하지 않고 일정시간 이상 동작을 유지함으로써, 오염원인을 고려하여 공기청정을 실행하고, 공기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실내기팬;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실내온도, 실내습도 및 공기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실내온도에 따라 쾌속모드와 쾌적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여 압축기 의 동작 및 상기 실내기팬의 풍량을 제어하고, 상기 쾌적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조건과 상기 쾌적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조건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상기 쾌속모드와 상기 쾌적모드 간에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쾌속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실내기팬이 최대풍량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실내온도가 목표온도에 빠르게 도달하도록 하고,
    상기 쾌적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실내기팬의 풍량을 부하상태에 따라 변경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온도를 복수의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실내온도의 증감에 대응하여 상기 쾌속모드와 상기 쾌적모드 간에 모드를 전환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쾌속모드에서, 실내온도가 초기설정온도인 제 1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쾌적모드로 전환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희망온도의 누적평균, 희망온도의 최대값 및 희망온도의 최소값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1 설정온도로 지정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쾌속모드에서 상기 쾌적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압축기의 운전은 유지하고 상기 실내기팬의 풍량을 변경하는 공기조화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쾌적모드에서, 상기 제 1 설정온도보다 낮은 제 2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실내기팬의 풍량을 약풍으로 변경하는 공기조화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쾌적모드에서, 실내온도가 상기 제 1 설정온도보다 높은 제 3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기를 기동하는 공기조화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쾌적모드에서, 상기 제 1 설정온도보다 높은 제 4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실내기팬의 풍량을 증가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쾌적모드에서, 상기 제 4 설정온도에 도달한 후, 설정시간 내에 상기 제 4 설정온도 미만으로 감소하면 상기 쾌적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설정시간 내에 실내온도가 상기 4 설정온도 미만으로 감소하지 않는 경우 상기 쾌속모드로 전환하는 공기조화기.
  11. 실내온도에 따라 쾌속모드와 쾌적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쾌속모드에서, 실내기팬이 최대풍량으로 동작하는 단계;
    실내온도가 상기 쾌적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조건에 도달하면, 쾌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실내온도에 따라 압축기의 동작 및 상기 실내기팬의 풍량을 변경하는 단계; 및
    실내온도가 상기 쾌적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쾌속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쾌속모드에서, 실내온도가 제 1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쾌적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온도는 희망온도의 누적평균, 희망온도의 최대값 및 희망온도의 최소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쾌속모드에서 상기 쾌적모드로 전환되면, 압축기의 운전을 유지하고 상기 실내기팬의 풍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쾌적모드에서, 제 1 설정온도보다 낮은 제 2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기가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기팬이 약풍으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온도가 제 1 설정온도보다 높은 제 3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기를 기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온도가 제 3 설정온도보다 높은 제 4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실내기팬의 풍량을 증가하는 단계;
    상기 제 4 설정온도 도달 후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및
    제 1 설정시간에 내에 실내온도가 상기 제 4 설정온도 미만으로 감소하지 않는 경우, 쾌속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CT/KR2020/000826 2019-01-16 2020-01-1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014967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75 2019-01-16
KR1020190005975A KR20200089197A (ko) 2019-01-16 2019-01-1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676A1 true WO2020149676A1 (ko) 2020-07-23

Family

ID=7161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0826 WO2020149676A1 (ko) 2019-01-16 2020-01-1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89197A (ko)
WO (1) WO20201496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4982A (zh) * 2021-11-26 2022-01-18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和可读存储介质
WO2023138094A1 (zh) * 2022-01-19 2023-07-2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器自清洁的方法及装置、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540B1 (ko) * 2020-11-30 2022-01-04 (주)엔팩코리아 선실 공기질의 스마트관리를 위한 개선여부 결정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793A (ja) * 1991-09-13 1993-03-23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60103687A (ko) * 2005-03-28 200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50125343A (ko) * 2014-04-30 201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9825B1 (ko) * 2017-07-20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919824B1 (ko) * 2017-07-20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793A (ja) * 1991-09-13 1993-03-23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60103687A (ko) * 2005-03-28 200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50125343A (ko) * 2014-04-30 2015-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9825B1 (ko) * 2017-07-20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919824B1 (ko) * 2017-07-20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4982A (zh) * 2021-11-26 2022-01-18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空调器和可读存储介质
WO2023138094A1 (zh) * 2022-01-19 2023-07-2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器自清洁的方法及装置、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97A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49676A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93634A1 (ko) 제가습 장치, 제습공기청정기, 가습공기청정기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17026761A1 (ko) 공기청정기
WO2018106032A1 (ko)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WO2021107391A1 (ko) 공기 정화기
WO2020046015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2177072A2 (en) Dehumidification-type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32111A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9114553A1 (zh) 空气调节器及其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WO2020130308A1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11435A1 (ko) 밀폐형 식물 공장의 분진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1015519A1 (ko)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WO2019031778A1 (en)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WO2021085926A1 (ko) 펫 모드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9050154A1 (ko) 공기정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0145478A1 (ko) 공기조화 시스템
WO2022114500A1 (ko) 로봇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68539A1 (ko) 주택 구조물 부설 설치형 에어 샤워장치
WO2021040418A1 (en) Air conditioner
WO2021153855A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64427A1 (ko) 생활밀착형 다목적 공기 제어장치
WO2020138635A1 (ko)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WO2019045278A2 (ko)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KR20180001276U (ko)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WO2023068538A1 (ko) 가정용 에어 샤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417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417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