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63413A1 -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63413A1
WO2023163413A1 PCT/KR2023/001588 KR2023001588W WO2023163413A1 WO 2023163413 A1 WO2023163413 A1 WO 2023163413A1 KR 2023001588 W KR2023001588 W KR 2023001588W WO 2023163413 A1 WO2023163413 A1 WO 20231634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dust
air purifier
flow path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158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도윤
권용찬
주석호
홍종수
최준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8/312,16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272932A1/en
Publication of WO20231634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634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5Crossflow filtration, i.e. having an inlet and two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ai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purifies the air by removing dust or the like in the air.
  •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a filter for removing dust or the like.
  • the air purifier can remove dust contained in the air by the principle that the dust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filtered by the filter.
  • dust accumulates in the filter of the air purifier, which may cause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 the user has to clean or replace the filter,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filter state must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to determine when the corresponding period is.
  • the present disclosure will solve at least the problems and/or disadvantages noted above and provide the advantages described below. Accordingly,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ai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air purifier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filter state to a user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a dust concentration in air before being filtered and a dust concentration in filtered air, and a control thereof. in providing a way.
  • an air purifier includes a body, a cas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includ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into the body, a filter unit disposed inside the body, a dust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and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 a first flow path provided to flow toward the dust sensor and a second flow path provided to allow ai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to flow toward the dust sensor, wherein the dust sensor includes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 a first dust concentration is sensed, and a second dust concentration of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passage is sensed.
  • the dust sensor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 the front end of the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flows into the first flow path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unit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and the filter A front end of the second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filtered by the unit flows into the second flow path may be loc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through which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 the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low path provided to flow the air provided to the dust sensor through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to the outside of the dust sensor.
  • a rear end of the third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may be loc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through which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filter member filtering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and a filter frame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filter member is mounted.
  • the dust sensor may be disposed above the filter frame.
  • the air purifier includes a display, a fan for sucking in the air through the inlet and discharging the second air filtered by the filter through the outlet of the air purifier, and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 a processor configured to identify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and to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a state of the filter based on the identified difference. may further include.
  • the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valve positioned on the first flow path to open and close the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valve positioned on the second flow path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flow path.
  • the processor when a user command for driving the air purifier is received, opens the first valve and turns off the second valve to provid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to the dust sensor, and the dust sensor Wh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is sensed by the sensor, the first valve may be turned off and the second valve may be opened to provide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to the dust sensor.
  • the processor may open the first valve and turn off the second valve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user command is received.
  • the processor may maintain a constant driving speed of the fan.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a UI for guiding replacement of the filter.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life of the filter based on the identified difference when the identified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second concentration of dust.
  • a control method of an air purifier is provided.
  • the control method is an air purifier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nhaling air through a suction port, flowing the sucked air toward a dust sensor through a first passage, and filtering the air by a filter unit through a second passage. flowing toward the dust sensor and discharging the filtered air through an outlet, wherein the dust sensor detects a first dust concentration of the air provided through the first flow passage, and the second flow passage. Detects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of the supplied air through the.
  • the dust sensor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 the front end of the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flows into the first flow path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unit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hole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and the filter A front end of the second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filtered by the unit flows into the second flow path may be loc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through which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 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flowing the air supplied to the dust sensor to the outside of the dust sensor through a third passage.
  • a rear end of the third passage may be loc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through which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the filter may be provided to the user, simply operating time of the air purifie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m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filter replacement time compared to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state of the filter based on and providing an alarm.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3A and 3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air purifier including a first flow path, a second flow path, a first valve, and a second val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S. 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low of first air and second ai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a state of a filter
  • FIGS.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that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a filter state
  • FIG. 7 is a graph showing a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a second dust concentration identified by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expressions such as “has,” “can have,” “includes,” or “can include” indicate the presence of a corresponding feature (eg,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 which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f additional features.
  •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 connection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ertain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eg, a third component).
  • the phrase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 a processor configured (or configured) to perform A, B, and C may include a dedicated processor (eg, embedded processor) to perform the operation, or by executing one or more software programs stored in a memory device.
  • a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or application processor
  • a 'module' or 'uni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units'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and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except for 'modules' or 'units' that need to be implemented with specific hardware.
  •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air purifier 100 is a device capable of circulating air and removing dust or the like in the air.
  • the air purifier 100 includes a body 10 forming an exterior, a suction port 21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and an air intake 21 and an outlet 22 for sucking air into the body 10. It may include a case 20, a display 110, a filter unit (filter) 130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 fan 140 generating air flow inside the main body 10.
  • the air purifier 100 drives the fan 140 to suck in the outside air of the air purifier 100 through the intake port 21, filter the sucked air through the filter unit 130, and then filter the air.
  • the ai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2.
  • the air purifier 100 is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dust concentration of the air before being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and the dust concentration of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the filter unit 130 may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110 of the air purifier 100 .
  •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the filter unit 130 is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whether or not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unit 130 has actually deteriorated, rather than simply the time elapsed after the filter unit 130 is mounted.
  • the user can more accurately know the condition and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unit 130 .
  •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air purifier 100 may include a display 110, a dust sensor 120, a filter unit 130, a fan 140, and a processor 150.
  • the display 110 may display various scree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0 .
  • the display 110 may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the filter unit 130 of the air purifier 100 .
  • the display 11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display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 LCDs liquid crystal displays
  • OLED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the dust sensor 120 may detect the concentration of dust.
  • the dust sensor 120 may detec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having a particle size of 10 ⁇ m or less or ultrafine dust having a particle size of 2.5 ⁇ m or less.
  • the dust sensor 12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 the light emitting element may emit light to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sensor 120
  • the light receiving element may receive light scattered by dust included in the introduced air among the irradiated lights.
  • the dust sensor 120 may detect the concentration of the dust sensor based o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
  • the filter unit 130 may filter air sucked into the air cleaner 100 .
  • filtering may mean filtering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or purifying the air by adsorbing harmful gases or odors contained in the air.
  • the filter unit 130 may include a filter member 131 filtering air and a filter frame 132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filter member 131 is mounted.
  • the filter member 131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filters for filtering air, such as a pre-filter, a dust collection filter, and a deodorizing filter.
  • the pre-filter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let 21 of the air purifier 100, and can filter dust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such as pollen or pet hair, among dust included in the air.
  • the dust collection filter may filter out the pre-filter and small-sized dust particles that have not been filtered out of the air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 the dust collecting filter may be implemented as an Ultra-Low Penetration Air (ULPA) filter, 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HEPA) filter, or the like.
  • the deodorizing filter may adsorb odor particles (eg, harmful gases such as formaldehyde, ammonia, and acetic acid) contained in the air using activated carbon.
  • the deodorization filt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re-filter and the dust collection filter, or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dust collection filter.
  • the filter frame 132 is located inside the air purifier 100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lter member 131 can be attached or detached. Accordingly, the filter member 131 may be mounted on the filter frame 132 .
  • the dust sensor 12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substrate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frame 132 .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for driving the air purifier 100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a condenser, and a resistor, may be mounted on a PCB board (not shown).
  • the dust sensor 120 and the PCB board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frame 132, and may be placed on any one of the sides including the upper side, left side, right side, and lower side. Of course, it can be arranged.
  • the fan 140 may suck external air into the air purifier 100 and discharge the sucked air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00 .
  • the air purifier 100 may include a motor for driving the fan 140 . Accordingly, the fan 140 may be rotated by the motor. And, as the fan 140 rotates, air flow may occur.
  • the fan 140 may include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in air in an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air in a radial direction.
  • the fan 140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fans.
  • the air purifier 100 may further include a duct (not shown), and in this cas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30 flows along the duct (not shown) and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2. .
  • the processor 15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air purifier 100 .
  • the processor 150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etc., and executes a software program according to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to control operations of various hardware included in the processor 150. can do.
  • the processor 150 may drive the air purifier 100 . Specifically, the processor 150 may drive the fan 140 when a user command for driving the air purifier 100 is received.
  • the fan 140 operates, air is sucked through the inlet 21 of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sucked air may be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Also, the filtered ai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2 of the air purifier 100 .
  • the processor 150 may drive the fan 140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set driving mode. Also, the processor 150 may stop driving the fan 140 when a user command for turning off the air purifier 100 is received.
  • the processor 150 may control the fan 140 so that the air purifier 100 can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command.
  • the processor 150 may control the display 110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the filter unit 130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dust detected through the dust sensor 120 .
  • the processor 150 determines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21 of the air purifier 100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of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through the dust sensor 120. When detected by ,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may be identified.
  • 3A and 3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air purifier including a first flow path, a second flow path, a first valve, and a second val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air purifier 100 filters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21 by the first flow path 161 provided to flow toward the dust sensor 120 and the filter unit 130.
  • a second flow path 162 provided to allow the air to flow toward the dust sensor 120 may be included.
  • the dust sensor 12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flow path 161 and the second flow path 162 .
  • the front end of the first flow path 161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first flow path 161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unit 130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21 is provided to the filter unit 130.
  •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low path 162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second flow path 162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130 through which air filtered from the filter unit 130 is discharged.
  •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21 is sucked into the first flow path 161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first flow path 161, provided to the dust sensor 120, and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Air may be sucked into the second flow path 162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low path 162 and provided to the dust sensor 120 .
  • the air purifier 100 includes a third flow path 163 provided to flow the air provided to the dust sensor 12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61 and the second flow path 162 to the outside of the dust sensor 120. can do.
  • the rear end of the third passage 163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third passage 163 is discharged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130 through which the air filtered from the filter unit 130 is discharged.
  • air provided to the dust sensor 120 through the first flow passage 161 or the second flow passage 16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sensor 120 through the rear end of the third flow passage 163 .
  • the air purifier 100 has a suction port 21 to the dust sensor 120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lter frame 132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61 and the second flow path 162. ), air sucked through and ai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may be provided.
  • the air purifier 100 may provide the dust sensor 120 with a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before filtering and dust in the air after filtering with a simpler structure.
  • the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require a plurality of dust sensors, cost can be saved.
  • the air purifier 100 is located on the first flow path 161, and is located on the first valve 171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irst air and the second flow path 162, and the flow of the second air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valve 172 for adjusting.
  • first valve 171 and the second valve 172 may refer to a configuration that opens and closes a flow path to perform control such as flowing or stopping air or fluid.
  • first valve 171 and the second valve 172 may include various valves such as a ball valve, a butterfly valve, a globe valve, a gate valve, and a diaphragm valve.
  •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21 may be provided to the dust sensor 120 when the first valve 171 is open, and may not be provided to the dust sensor 120 when the first valve 171 is turned off. there is.
  •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may be provided to the dust sensor 120 when the second valve 172 is opened, and may not be provided to the dust sensor 120 when the second valve 172 is turned off. there is.
  • the processor 150 opens the first valve 171 and turns off the second valve 172,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21 may be provided as the dust sensor 120.
  • the processor 150 turns off the first valve and opens the second valve to pass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to the dust sensor 120. ) can be provided.
  • the air purifier 100 may include a motor (not shown) tha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171 and the second valve 172 based on a signal received by the processor 150 .
  • a motor (not shown) may rotate in a specific direction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processor 150 .
  • the first valve 171 and the second valve 172 may be opened or turned off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of a motor (not shown).
  • 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low of first air and second ai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rocessor 150 may open the first valve 171 and turn off the second valve 172 while the fan 140 is driven to generate air flow.
  • the first flow path 161 since air can flow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61 and air cannot flow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62, the first flow path 161, the inside of the dust sensor 120, and the third flow path 163 ) can generate a flow of air flowing along it. Accordingly, only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21 may be provided to the dust sensor 120 , and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may not be provided to the dust sensor 120 .
  • the processor 150 may turn off the first valve 171 and open the second valve 172 while the fan 140 is driven to generate air flow.
  • the processor 150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171 and the second valve 172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21 or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is transferred to the dust sensor ( 120) can be provided.
  • the processor 150 may identify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supplied to the dust sensor 120 .
  • the dust sensor 120 may detect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inside the dust sensor 12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lso, the processor 150 may identify an average of a plurality of dust concentrations detected by the dust sensor 12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a specific time as the dust concentration of the air inside the dust sensor 120 .
  • the processor 150 may identify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when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21 is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dust sensor 120 . Also, when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ust sensor 120, the processor 150 may identify the second concentration of dust.
  • the processor 150 may control the display 110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the filter unit 130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 the processor 150 may store the identified first concentration of dust in a memory. Also, when the second concentration of dust is identified, the processor 150 may store the identified second concentration of dust in a memory.
  • the processor 150 may identify whether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stored in the memory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may be expressed as (first dust concentration - second dust concentration)/first dust concentration ⁇ 100.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may mean a rate at which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decreases.
  •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may mean that dust in the air is not properly removed even though the filter unit 130 filters the air.
  • This phenomenon causes dust to accumulate in the filter unit 130 as the air purifier 100 is driven and the filter unit 130 performs filtering. It may occur because it reduces the dust removal performance.
  •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right after the air purifier 100 is operated may have a poor correlation with dust removal performance of the filter unit 130 .
  • the air outside and inside the air purifier 100 may be stagnant without flowing.
  • air stagnant outside and inside the air purifier 100 may be provided to the dust sensor 120 .
  • the processor 150 determines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is less than a preset value when a preset time elapses after the air purifier 100 is operated. can be identified.
  • the processor 150 opens the first valve 171 and turns off the second valve 172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driving the air purifier 100, so that the suction port ( Air sucked through 21) may be provided to the dust sensor 120.
  • the processor 150 turns off the first valve and opens the second valve to pass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30 to the dust sensor 120. ) can be provided.
  • the air purifier 100 identifies a difference between a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a second dust concentration from non-stagnant ai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air purifier 100 is operated. In this respect,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which has a higher correlation with the dust removal performance of the filter unit 130 .
  •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is the filter unit 130 may be less correlated with the dust removal performance of
  •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detected by the dust sensor 120 may vary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of the fan 140 .
  • the driving speed of the fan 140 increases, the flow of air generated by the fan 140 increases, and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also spreads rapidly to detect dust in the air detected by the dust sensor 120. Concentration can be small.
  • the driving speed of the fan 140 slows, the flow of air generated by the fan 140 slows down, and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diffuses slowly, so that the dust concentration in the air detected by the dust sensor 120 can grow
  • the dust sensor 120 when the driving speed of the fan 140 when sensing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fan 140 when sensing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are different, the dust sensor 12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61
  •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and the filter unit ( 130) may be less correlated with dust removal performance.
  • the processor 150 while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are detected, the processor 150 maintains the driving speed of the fan 140 constant to open the first flow path 161. Flow rates of air supplied to the dust sensor 120 through the airflow and air supplied to the dust sensor 120 through the second passage 162 may be maintained constant.
  • the air purifier 100 identifie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while the driving speed of the fan 140 is maintained constant, and is more like a filter unit.
  •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which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dust removal performance of (130), can be identified.
  • the processor 150 controls the display 110 to display a user interface (UI) for guiding replacement of the filter unit 130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are less than preset values. can do.
  • UI user interface
  •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a state of a filter.
  • the processor 150 if the processor 150 identifies that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are less than preset values, the processor 150 displays the UI 510 including text such as “Filter needs to be replaced”.
  • the display 110 may be controlled.
  •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air purifier 100 is used or by the user.
  • the preset value may be set to 70%. Accordingly, the user can frequently replace the filter unit 130 to maintain high dust removal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100 .
  • the preset value may be set to 30%.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filter unit 130 for a long time and save costs incurred by replacing the filter unit 130 .
  • the air purifier 100 notifies the user that the filter unit 130 needs to be replac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ust concentration of the air before filtering and the dust concentration of the filtered air.
  • the user can replace the filter unit 130 at a more appropriate time.
  • the processor 15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life of the filter unit 130 based on the identified difference, so that the display 110 is displayed. You can control it.
  •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lifespan of the filter unit 130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ections to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belong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 the processor 150 identifies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lifespan of the filter unit 130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lifespan of the identified filter unit 130.
  • the display 110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at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a filter state.
  •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life of the filter unit 130 stored in the memory is 1 yea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is 100% or less and greater than 90%, and 80% or less when the difference is 90% or less. It may be 6 months if it is greater than %, 3 months if it is less than 80% and greater than 70%, 1 month if it is less than 70% and greater than 60%, and 10 days if it is less than 60% and greater than 50%.
  • the processor 150 determines that the remaining life of the filter unit 130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is 3 months. can be identified as being
  • the processor 150 may control the display 110 to displa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maining life of the filter unit 130 is 3 months, such as “Please replace the filter after 3 months” 610. .
  • the preset value may be 50%. Accordingly,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is less than 50%, the processor 150 may control the display 110 to display a UI for guiding replacement of the filter unit 130. there is.
  • the air purifier 100 informs the user of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life of the filter unit 130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ust concentration of the air before filtering and the dust concentration of the filtered air. In this respect, the user can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remaining life of the filter unit 130 .
  • the processor 150 may control the display 110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second dust concentration.
  •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is indicated by the identified dust concentration as a unit of measurement, ⁇ g/m 3 , or a dust concentration stat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dust concentration, for example, 0 to 30 ⁇ g/m 3 or less. Good, 31 to 80 ⁇ g/m 3 or less is normal, and 81 ⁇ g/m 3 or more is bad.
  • the processor 15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and a UI for guiding replacement of the filter unit 130 or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life of the filter unit 130 together.
  • FIG. 7 is a graph showing a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a second dust concentration identified by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processor 150 may identify a first dust concentration 710 and a second dust concentration 720 .
  •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710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720 may be dust concentrations identifi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air purifier 100 is operated. Also,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710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720 may be identified dust concentrations while the driving speed of the fan 140 is maintained constant.
  •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710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720 may decrease as time elapses from the time when the air purifier 100 is initially driven. This may be because dust is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130 as the air purifier 100 is operated, and the dust removal performance of the filter unit 130 is deteriorated.
  • the processor 150 determines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710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710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 Based on the difference in 720 , the display 110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life of the filter unit 130 .
  • the processor 150 displays a UI for guiding replacement of the filter unit 130 in a section t2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710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720 is 50% or less, which is a preset value.
  • the display 110 may be controlled to
  • the processor 15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720 together with UI for guid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life of the filter unit 130 or replacement of the filter unit 130 on the display 110. can control.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ust sensor detects a first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provided through the first passage and senses a second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provided through the second passage.
  • the dust sensor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 the front end of the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flows into the first flow path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lter unit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and the ai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 a front end of the second flow path flowing into the second flow path may be position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through which air filtered from the filter unit is discharged.
  •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flowing the air supplied to the dust sensor to the outside of the dust sensor through the third passage.
  • the rear end of the third passage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through which filtered air is discharged.
  •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filter member for filtering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and a filter frame for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filter member is mounted.
  • the dust sensor may be disposed above the filter frame.
  • step S810 the fan is driven to suck in air through the inlet
  • step S820 the fan is driven to discharge filtered air through the outlet
  • the control method determines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to the dust sensor.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dentifying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 filter state based on the identified difference.
  • a first valve positioned on the first flow path to open and close the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valve positioned on the second flow path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flow path may be further included.
  • step S820 when a user command for driving the air purifier is received, the first valve is opened and the second valve is turned off to provide the sucked air to the dust sensor, and in step S830, the first dust is detected by the dust sensor.
  • the first valve When the concentration is sensed, the first valve may be turned off and the second valve may be opened to provide filtered air to the dust sensor.
  • step S820 the first valve may be opened and the second valve may be turned off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user command is received.
  • control method may maintain a constant driving speed of the fan while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are sensed.
  • step S840 if it is identified that the identified differen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 UI for guiding filter replacement may be displayed.
  • step S840 when the identified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life of the filter may be displayed based on the identified difference.
  • step S840 information on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may be displayed.
  • FIG.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air purifier 100 includes a display 110, a dust sensor 120, a filter unit 130, a fan 140, a processor 150, a communication interface 160, and an input interface 170. , a speaker 180 and a memory 190 may be included.
  • FIGS. 1, 2, 3A, 3B, 4A, 4B, 5, 6A, 6B, and 7 and have been described in FIG. 8. Therefore, in the description of FIG. 9 , portions overlapping with those already described will be omitted or shortened for description.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60 is a component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processor 150 may transmit various data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60 and receive various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processor 150 may receive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60 .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6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BT), Bluetooth Low Energy (BLE), or WI-FI.
  • BT Bluetooth
  • BLE Bluetooth Low Energy
  • WI-FI Wireless Fidelity
  • the input interface 170 may receive a user command. To this end, the input interface 1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Also, the input interface 170 may transfer user commands input through a plurality of buttons to the processor 150 .
  • the processor 1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100 based on the received user command.
  • the processor 150 may drive the fan 140 when a user command for driving the air cleaner 100 is received. Also, when a user command for setting a driving mode is received, the processor 150 may drive the fan 140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ode. Also, the processor 150 may stop driving the fan 140 when a user command for turning off the air purifier 100 is received.
  • the processor 1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various user commands.
  • the speaker 180 may output audio.
  • the processor 150 may output various notification sounds or voice guide messag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0 through the speaker 180 .
  • the processor 150 may send a voice message indica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the filter unit 130 or second dust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dust sensor 120 .
  • the speaker 180 may be controlled to output a voice message indicat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centration.
  • the memory 190 may store various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100 .
  • the identified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second dust concentr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90 .
  • the memory 19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lifespan of the filter unit 130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ections to which the first dust concentr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ust concentrations belong. Accordingly, the processor 150 may control the display 110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lter state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90 .
  • the memory 190 may include a volatile memory such as a frame buffer, a semiconductor memory such as flash memory, or a magnetic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isk.
  •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sequentially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ovided.
  • the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 'non-temporary storage medium' only means that it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and this term refers to the case where data is stored semi-permanently in the storage medium and temporary It does not discriminate if it is saved as .
  • a 'non-temporary storage medium' may include a buffer in which data is temporarily stored.
  •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ncluded and provi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 a computer program product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via an application store or between two user devices (eg smartphones).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or online.
  • a computer program product eg, a downloadable app
  •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of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 server, or a relay server. It can be temporarily stored or created temporarily.
  • Each of the components may be composed of a single object or a plurality of entities, and some of the sub-components described above are omitted. or other sub-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various embodiments.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some components (eg, modules or programs) may be integrated into one entity and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performed by each corresponding component prior to integration.
  • operations performed by modules, programs, or other components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repetitively, or heuristically, or at least som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may be omitted, or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 unit or “module”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units composed of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s, parts, or circuits, for example.
  • a “unit” or “module” may be an integrated component or a minimum unit or part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 the module may be composed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 ASIC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including commands stored in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machine (eg, a computer).
  • the device calls the stored commands from the storage medium. and, as a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ccording to the called command, it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 the processor may directly or use other elements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 An instruction may include code generated or executed by a compiler or interpr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 청정기가 개시된다. 본 공기 청정기는 본체, 본체 외측에 결합되며, 본체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유닛,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 센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먼지 센서 측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유로 및 필터 유닛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먼지 센서 측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고, 먼지 센서는, 제1 유로를 통해 제공된 공기의 제1 먼지 농도를 감지하고, 제2 유로를 통해 제공된 공기의 제2 먼지 농도를 감지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본 개시는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최근 미세 먼지가 인체에 치명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등이 발표됨에 따라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여기에서, 공기 청정기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공기 청정기는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는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먼지가 필터에 의해 여과되는 원리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청정기를 구동할수록 공기 청정기의 필터에는 먼지가 쌓이게 되고, 이는 공기 청정기의 성능의 저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를 청소하거나 교체해야 하며, 해당 시기가 언제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육안으로 필터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최근에는 공기 청정기의 구동 시간을 바탕으로 필터의 상태를 추정하여 사용자에게 필터의 교체 및 세척 시기를 안내해 주는 공기 청정기가 등장하였다. 하지만, 필터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공기의 오염 정도가 다르다는 점에서, 단순히 구동 시간만을 이용하는 방식은 필터의 상태를 정확히 추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유량 센서를 이용하여 필터 상태를 추정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식은 구동 시간을 이용하는 방식보다 정확도가 높지만, 별도의 유량 센서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공기 청정기의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은 본 개시의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 정보로서만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 중 어느 것이 본 개시에 대한 선행 기술로서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어떠한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개시는 적어도 상기에서 언급된 문제 및/또는 단점을 해결하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개시는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양상들은 하기의 설명에 부분적으로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으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또는 제시된 실시 예들의 실행에 의해 알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필터링되기 전 공기의 먼지 농도와 필터링된 공기의 먼지 농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청정기가 제공된다. 공기 청정기는 본체, 상기 본체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유닛,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 센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먼지 센서 측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필터 유닛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먼지 센서 측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제공된 공기의 제1 먼지 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제공된 공기의 제2 먼지 농도를 감지한다.
이 경우,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1 유로로 유입되는 상기 제1 유로의 선단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 유닛으로 제공되는 상기 필터 유닛의 전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 유닛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되는 상기 제2 유로의 선단은,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상기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필터 유닛의 후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청정기는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먼지 센서로 제공된 공기를 상기 먼지 센서 외부로 유동하도록 마련된 제3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제3 유로의 후단은,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상기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필터 유닛의 후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 및 상기 필터 부재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청정기는, 디스플레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제2 공기를 상기 공기 청정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팬 및 상기 제1 먼지 농도 및 상기 제2 먼지 농도가 상기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1 먼지 농도 및 상기 제2 먼지 농도의 차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 청정기는 상기 제1 유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2 유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청정기를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밸브를 오픈하고 제2 밸브를 오프시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먼지 센서로 제공하고, 상기 먼지 센서에 의해 상기 제1 먼지 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제1 밸브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2 밸브를 오픈하여, 상기 필터 유닛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먼지 센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밸브를 오픈하고 제2 밸브를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먼지 농도 및 상기 제2 먼지 농도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팬의 구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필터의 교체를 안내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식별된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남은 수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방법은 공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 제1 유로를 통해 상기 흡입된 공기를 먼지 센서 측으로 유동시키는 단계, 제2 유로를 통해 필터 유닛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먼지 센서 측으로 유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제공된 공기의 제1 먼지 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제공된 공기의 제2 먼지 농도를 감지한다.
이 경우,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1 유로로 유입되는 상기 제1 유로의 선단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 유닛으로 제공되는 상기 필터 유닛의 전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 유닛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되는 상기 제2 유로의 선단은,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상기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필터 유닛의 후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제3 유로를 통해 상기 먼지 센서로 제공된 공기를 상기 먼지 센서 외부로 유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유로의 후단은,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상기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필터 유닛의 후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링되기 전 공기의 먼지 농도와 필터링된 공기의 먼지 농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단순히 공기 청정기의 구동 시간을 바탕으로 필터의 상태를 추정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방식에 비해 보다 정확한 필터의 교체 시기에 대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 이점 및 중요한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시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특정한 실시 예들의 전술한 및 다른 양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로, 제2 유로, 제1 밸브 및 제2 밸브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공기 및 제2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가 필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가 필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가 식별한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에 걸쳐 유사한 도면 번호는 유사한 부분, 구성요소 및 구조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공기 청정기(100)는 공기를 순환시키며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본체(10) 외측에 결합되며, 본체(10)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21) 및 배출구(22)를 포함하는 케이스(20), 디스플레이(110),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유닛(필터)(130) 및 본체(10) 내부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100)는 팬(140)을 구동하여 공기 청정기(100)의 외부 공기를 흡입구(21)를 통해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필터 유닛(130)을 통해 필터링 한 후, 필터링 된 공기를 배출구(22)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100)가 필터링을 하게 되면, 필터 유닛(130)에는 먼지 등이 쌓일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유닛(130)에 먼지가 많이 쌓일수록 공기 청정기(100)의 필터링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는 점에서, 필터 유닛(130)의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되기 전 공기의 먼지 농도와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먼지 농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 유닛(130)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공기 청정기(100)의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에서는 단순히 필터 유닛(130)을 장착한 후 경과된 시간이 아니라 실제로 필터 유닛(130)의 성능이 떨어졌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필터 유닛(130)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필터 유닛(130)의 상태 및 교체 시기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100)는 디스플레이(110), 먼지 센서(120), 필터 유닛(130), 팬(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공기 청정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공기 청정기(100)의 필터 유닛(130)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먼지 센서(120)는 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센서(120)는 입자 크기가 10 um 이하인 미세먼지 또는 입자 크기가 2.5 um이하인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센서(120)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는 먼지 센서(120)로 유입된 공기에 대하여 빛을 조사하고, 수광 소자는 조사된 빛들 중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에 의해 산란된 빛을 수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지 센서(120)는 수광 소자가 수광한 빛의 양에 기초하여 먼지 센서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이고, 먼지 센서(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공기 중 먼지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필터 유닛(130)은 공기 청정기(100)에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필터링이란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여과하거나,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가스 또는 냄새 등을 흡착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터 유닛(130)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131)와 필터 부재(131)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프레임(132)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부재(131)는 프리 필터, 집진 필터 및 탈취 필터 등 공기를 필터링하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리 필터는 공기 청정기(100)의 흡입구(21)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중 꽃가루나 애완동물의 털과 같은 입자의 크기가 큰 먼지를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집진 필터는 프리 필터를 통과한 공기 중 프리 필터과 여과하지 못한 입자의 크기가 작은 먼지 등을 여과할 수 있다. 이 경우, 집진 필터는 ULPA(Ultra-Low Penetration Air) 필터,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탈취 필터는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 입자(가령,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아세트산 등과 같은 유해 가스)등을 활성탄을 이용하여 흡착할 수 있다. 이 경우, 탈취 필터는 프리 필터와 집진 필터 사이에 배치되거나, 집진 필터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필터 프레임(132)은 공기 청정기(100) 내부에 위치하며, 필터 부재(131)를 탈부착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필터 부재(131)는 필터 프레임(132)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필터 프레임(132)의 상측에는 먼지 센서(120) 및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PCB 기판(미도시)에는 직접 회로, 컨덴서 및 저항기 등과 같은 공기 청정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전자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 먼지 센서(120) 및 PCB 기판(미도시)은 반드시 필터 프레임(132)의 상측에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상측, 좌측, 우측, 하측을 포함하는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팬(140)은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100)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공기 청정기(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청정기(100)는 팬(140)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140)은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팬(140)이 회전됨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140)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반경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이고, 팬(140)은 다양한 타입의 팬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140)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흐름을 통해 공기 청정기(100)의 흡입구(2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된 후 공기 청정기(100)의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100)는 덕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터 유닛(130)을 통과한 공기는 덕트(미도시)를 따라 흘러 배출구(22)로 배출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50)는 공기 청정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프로세서(15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50)는 공기 청정기(100)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공기 청정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팬(140)을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팬(140)이 구동함에 따라, 공기 청정기(100)의 흡입구(2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된 공기는 공기 청정기(100)의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운전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설정된 운전 모드에 대응되는 속도로 팬(140)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구동 중인 공기 청정기(100)를 오프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팬(140)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50)는 공기 청정기(100)가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팬(14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먼지 센서(120)를 통해 감지된 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필터 유닛(130)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공기 청정기(100)의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제1 먼지 농도 및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의 제2 먼지 농도가 먼지 센서(120)에 의해 감지되면, 제1 먼지 농도 및 제2 먼지 농도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유로, 제2 유로, 제1 밸브 및 제2 밸브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100)는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먼지 센서(120) 측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유로(161) 및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먼지 센서(120) 측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유로(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 센서(120)는 제1 유로(161) 및 제2 유로(16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로(161)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로(161)의 선단은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필터 유닛(130)으로 제공되는 필터 유닛(130)의 전면 상에 위치하고, 제2 유로(162)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로(162)의 선단은 필터 유닛(130)으로부터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필터 유닛(130)의 후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 유로(161)의 선단을 통해 제1 유로(161)로 흡입되어 먼지 센서(120)로 제공되고,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제2 유로(162)의 선단을 통해 제2 유로(162)로 흡입되어 먼지 센서(12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100)는 제1 유로(161) 및 제2 유로(162)를 통해 먼지 센서(120)로 제공된 공기를 먼지 센서(120) 외부로 유동하도록 마련된 제3 유로(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유로(163)의 공기가 배출되는 제3 유로(163)의 후단은 필터 유닛(130)으로부터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필터 유닛(130)의 후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161) 또는 제2 유로(162)를 통해 먼지 센서(120)로 제공된 공기는 제3 유로(163)의 후단을 통해 먼지 센서(1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제1 유로(161) 및 제2 유로(162)를 통해 필터 프레임(132)의 측면에 위치한 먼지 센서(120)에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필터링되기전 공기의 먼지 농도와 필터링된 후 공기의 먼지를 먼지 센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복수 개의 먼지 센서가 필요 없다는 점에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100)는 제1 유로(161) 상에 위치하며, 제1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제1 밸브(171) 및 제2 유로(162) 상에 위치하며 제2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제2 밸브(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밸브(171) 및 제2 밸브(172)는 공기 또는 유체를 흐르게 하거나, 멈추게 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유로를 개폐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밸브(171) 및 제2 밸브(172)는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글로브 밸브, 게이트 밸브, 다이어프램 밸브 등 다양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 밸브(171)가 오픈되면 먼지 센서(120)로 제공되고, 제1 밸브(171)가 오프되면 먼지 센서(120)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제2 밸브(172)가 오픈되면 먼지 센서(120)로 제공되고, 제2 밸브(172)가 오프되면 먼지 센서(120)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공기 청정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제1 밸브(171)를 오픈하고 제2 밸브(172)를 오프시켜,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먼지 센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먼지 센서(120)에 의해 제1 먼지 농도가 감지되면, 제1 밸브를 오프시키고 제2 밸브를 오픈하여,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먼지 센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청정기(100)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밸브(171) 및 제2 밸브(172)의 개폐를 제어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터(미도시)는 프로세서(15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특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밸브(171) 및 제2 밸브(172)는 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오픈되거나 오프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공기 및 제2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팬(140)이 구동하여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동안 제1 밸브(171)를 오픈하고, 제2 밸브(172)를 오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로(161)에서는 공기가 흐를 수 있고, 제2 유로(162)에서는 공기가 흐를 수 없기 때문에, 제1 유로(161), 먼지 센서(120)의 내부 및 제3 유로(163)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만 먼지 센서(120)로 제공되고,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먼지 센서(120)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팬(140)이 구동하여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동안 제1 밸브(171)를 오프하고, 제2 밸브(172)를 오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로(161)에서는 공기가 흐를 수 있고, 제2 유로(162)에서는 공기가 흐를 수 없기 때문에, 제2 유로(162), 먼지 센서(120)의 내부 및 제3 유로(163)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만 먼지 센서(120)로 제공되고,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먼지 센서(120)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50)는 제1 밸브(171) 및 제2 밸브(172)의 개폐를 제어하여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 또는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먼지 센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먼지 센서(120)로 제공된 공기의 먼지 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 센서(12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먼지 센서(120) 내부의 공기의 먼지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특정 시간 동안 먼지 센서(120)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 복수의 먼지 농도의 평균을 먼지 센서(120) 내부의 공기의 먼지 농도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먼지 센서(120) 내부로 제공되면, 제1 먼지 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먼지 센서(120) 내부로 제공되면, 제2 먼지 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 유닛(130)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50)는 제1 먼지 농도가 식별되면, 식별된 제1 먼지 농도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제2 먼지 농도가 식별되면, 식별된 제2 먼지 농도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메모리에 저장된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지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는 (제1 먼지 농도 - 제2 먼지 농도)/제1 먼지 농도 × 100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는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되는 공기의 먼지의 농도가 감소하는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이라는 것은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되어도 공기의 먼지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공기 청정기(100)가 구동되어 필터 유닛(130)이 필터링을 수행함에 따라 필터 유닛(130)에 먼지가 쌓이게 되고, 이와 같은 필터 유닛(130)에 쌓인 먼지는 필터 유닛(130)의 먼지 제거 성능을 떨어트리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가 클수록 필터 유닛(130)의 먼지 제거 성능이 높고,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가 작을수록 필터 유닛(130)의 먼지 제거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100)가 구동된 직후의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는 필터 유닛(130)의 먼지 제거 성능과 연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청정기(100)가 구동되지 않으면, 공기 청정기(100) 외부 및 내부의 공기는 흐르지 않고 정체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청정기(100)가 구동된 직후에는 공기 청정기(100)의 외부 및 내부에서 정체되어 있던 공기가 먼지 센서(120)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체되어 있던 공기는 대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공기 중 특정 공간에 먼지가 밀집되어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체되어 있던 공기로부터 식별된 제1 먼지 농도와 제2 공기의 먼지의 농도는 정체되어 있던 공기 중에 밀집되어 분포되어 있는 먼지의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공기 청정기(100)가 구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50)는 공기 청정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1 밸브(171)를 오픈하고 제2 밸브(172)를 오프시켜,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먼지 센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먼지 센서(120)에 의해 제1 먼지 농도가 감지되면, 제1 밸브를 오프시키고 제2 밸브를 오픈하여, 필터 유닛(1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먼지 센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공기 청정기(100)가 구동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정체되지 않은 공기로부터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를 식별한다는 점에서, 보다 필터 유닛(130)의 먼지 제거 성능과 연관성이 높은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먼지 센서(120)가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동안 팬(140)의 구동 속도가 변하게 되는 경우,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는 필터 유닛(130)의 먼지 제거 성능과 연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140)의 구동 속도에 따라 먼지 센서(120)에 의해 감지되는 공기의 먼지 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140)의 구동 속도가 빠를수록 팬(140)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게 되고,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도 빠르게 확산되어 먼지 센서(120)에 의해 감지되는 공기의 먼지 농도는 작아질 수 있다. 반대로, 팬(140)의 구동 속도가 느릴수록 팬(140)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흐름이 느려지게 되고,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도 느리게 확산되어 먼지 센서(120)에 의해 감지되는 공기의 먼지 농도가 커질 수 있다.
즉, 제1 먼지 농도를 감지할 때 팬(140)의 구동 속도와 제2 먼지 농도를 감지할 때 팬(140)의 구동 속도가 달라지는 경우, 제1 유로(161)를 통해 먼지 센서(120)로 제공되는 공기의 흐름 속도와 제2 유로(162)를 통해 먼지 센서(120)로 제공되는 공기의 흐름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와 필터 유닛(130)의 먼지 제거 성능과의 연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먼지 농도 및 제2 먼지 농도가 감지되는 동안, 팬(140)의 구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제1 유로(161)를 통해 먼지 센서(120)로 제공되는 공기 및 제2 유로(162)를 통해 먼지 센서(120)로 제공되는 공기의 흐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팬(140)의 구동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안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를 식별한다는 점에서, 보다 필터 유닛(130)의 먼지 제거 성능과 연관성이 높은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것으로 식별되면, 필터 유닛(130)의 교체를 안내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가 필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것으로 식별되면, “필터의 교체가 필요합니다”와 같은 텍스트를 포함하는 UI(51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값은 공기 청정기(100)가 사용되는 환경 또는 사용자 등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100)가 병원이나 연구 시설 등과 같이 공기 중의 먼지 농도가 낮게 유지되어야 하는 장소에서 사용되는 경우, 기설정된 값이 70 %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터 유닛(130)을 자주 교체하여 공기 청정기(100)의 먼지 제거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공기 청정기(100)가 공장이나 지하 시설과 같이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사용되는 경우, 기설정된 값이 30 %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터 유닛(130)을 오래 사용하여 필터 유닛(130)의 교체에 의해 발생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필터링전 공기의 먼지 농도와 필터링된 공기의 먼지 농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 유닛(130)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필터 유닛(130)을 보다 적절한 시기에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식별된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 유닛(130)의 남은 수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가 속하는 복수의 구간별로 대응되는 필터 유닛(130)의 남은 수명에 대한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에 대응되는 필터 유닛(130)의 남은 수명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필터 유닛(130)의 남은 수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가 필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필터 유닛(130)의 남은 수명에 대한 정보는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가 100 % 이하이고 90 % 보다 크면 1년이고, 90 % 이하이고 80 % 보다 크면 6개월이고, 80% 이하이고 70 % 보다 크면 3개월이고, 70 % 이하이고 60 % 보다 크면 1개월이고, 60 % 이하이고 50 % 보다 크면 10일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가 77 %인 경우, 프로세서(150)는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에 대응되는 필터 유닛(130)의 남은 수명이 3개월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필터를 3개월 후에 교체해주세요”(610)와 같은 필터 유닛(130)의 남은 수명이 3개월이라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 기설정된 값은 50 %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가 50 % 미만인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50)는 필터 유닛(130)의 교체를 안내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필터링전 공기의 먼지 농도와 필터링된 공기의 먼지 농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 유닛(130)의 남은 수명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게 필터 유닛(130)의 남은 수명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식별된 제2 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는 식별된 먼지 농도를 측정 단위인 ㎍/m3로 표시되거나, 식별된 먼지 농도에 대응되는 먼지 농도 상태, 예를 들어, 0부터 30 ㎍/m3 이하이면 좋음, 31부터 80 ㎍/m3 이하이면 보통 및 81 ㎍/m3 이상이면 나쁨 등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제2 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와 필터 유닛(130)의 교체를 안내하기 위한 UI 또는 필터 유닛(130)의 남은 수명에 대한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도 7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가 식별한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700)을 도시하는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제1 먼지 농도(710)와 제2 먼지 농도(720)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먼지 농도(710) 및 제2 먼지 농도(720)는 공기 청정기(100)가 구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식별된 먼지 농도일 수 있다. 또한, 제1 먼지 농도(710) 및 제2 먼지 농도(720)는 팬(140)의 구동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안 식별된 먼지 농도일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100)가 최초로 구동된 시점부터 시간이 지날수록 제1 먼지 농도(710)와 제2 먼지 농도(720) 차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는 공기 청정기(100)가 구동됨에 따라 필터 유닛(130)에 먼지가 쌓여 필터 유닛(130)의 먼지 제거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제1 먼지 농도(710)와 제2 먼지 농도(720)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인 50 %보다 큰 구간(t1)에서는 제1 먼지 농도(710)와 제2 먼지 농도(720)의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 유닛(130)의 남은 수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150)는 제1 먼지 농도(710)와 제2 먼지 농도(720)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인 50 % 이하인 구간(t2)에서는 필터 유닛(130)의 교체를 안내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필터 유닛(130)의 남은 수명에 대한 정보 또는 필터 유닛(130)의 교체를 안내하기 위한 UI와 함께 제2 먼지 농도(72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S810).
그리고, 제1 유로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먼지 센서 측으로 유동시킨다(S820).
그리고, 제2 유로를 통해 필터 유닛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먼지 센서 측으로 유동시킨다(S830).
그리고,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킨다(S840).
여기에서, 먼지 센서는 제1 유로를 통해 제공된 공기의 제1 먼지 농도를 감지하고, 제2 유로를 통해 제공된 공기의 제2 먼지 농도를 감지한다.
이 경우, 먼지 센서는 제1 유로 및 제2 유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제1 유로로 유입되는 제1 유로의 선단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필터 유닛으로 제공되는 필터 유닛의 전면 상에 위치하고, 필터 유닛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제2 유로로 유입되는 제2 유로의 선단은 필터 유닛으로부터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필터 유닛의 후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제3 유로를 통해 먼지 센서로 제공된 공기를 먼지 센서 외부로 유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유로의 후단은 필터 유닛으로부터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필터 유닛의 후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필터 유닛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 및 필터 부재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 센서는 필터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S810 단계는 팬을 구동하여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시키고, S820 단계는 팬을 구동하여 배출구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시키며, 제어 방법은 제1 먼지 농도 및 제2 먼지 농도가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제1 먼지 농도 및 제2 먼지 농도의 차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로 상에 위치하며, 제1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제2 유로 상에 위치하며, 제2 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S820 단계는 공기 청정기를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제1 밸브를 오픈하고 제2 밸브를 오프시켜, 흡입된 공기를 먼지 센서로 제공하고, S830 단계는 먼지 센서에 의해 제1 먼지 농도가 감지되면, 제1 밸브를 오프시키고 제2 밸브를 오픈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먼지 센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S820 단계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1 밸브를 오픈하고 제2 밸브를 오프 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제1 먼지 농도 및 제2 먼지 농도가 감지되는 동안, 팬의 구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S840 단계는 식별된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것으로 식별되면, 필터의 교체를 안내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S840 단계는 식별된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식별된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의 남은 수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S840 단계는 제2 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100)가 제1 먼지 농도 및 제2 먼지 농도를 식별하고, 식별된 먼지 농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100)는 디스플레이(110), 먼지 센서(120), 필터 유닛(130), 팬(140), 프로세서(150), 통신 인터페이스(160), 입력 인터페이스(170), 스피커(180) 및 메모리(1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를 실시함에 있어 이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한편, 디스플레이(110), 먼지 센서(120), 필터 유닛(130), 팬(140) 및 프로세서(150)에 대해서는 도 1, 2, 3A, 3B, 4A, 4B, 5, 6A, 6B,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도 9를 설명함에 있어, 이미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거나 축약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프로세서(150)는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각종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공기 청정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7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17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인터페이스(170)는 복수의 버튼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50)는 통신 인터페이스(160) 및 입력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공기 청정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공기 청정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팬(140)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운전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운전 모드에 대응되는 속도로 팬(140)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구동 중인 공기 청정기(100)를 오프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팬(140)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5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공기 청정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공기 청정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알림음 또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스피커(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먼지 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필터 유닛(130)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 또는 제2 먼지 농도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스피커(18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90)는 공기 청정기(100)의 동작 및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90)에는 식별된 제1 먼지 농도 및 제2 먼지 농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90)에는 제1 먼지 농도 및 제1 먼지 농도와 제2 먼지 농도의 차이가 속하는 복수의 구간별로 대응되는 필터 유닛(130)의 남은 수명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9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90)에는 공기 청정기(10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90)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공기 청정기(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190)는 프레임 버퍼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Hard Disk) 등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유닛;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 센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먼지 센서 측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필터 유닛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먼지 센서 측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제공된 공기의 제1 먼지 농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제공된 공기의 제2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1 유로로 유입되는 상기 제1 유로의 선단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 유닛으로 제공되는 상기 필터 유닛의 전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 유닛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되는 상기 제2 유로의 선단은,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상기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필터 유닛의 후면 상에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먼지 센서로 제공된 공기를 상기 먼지 센서 외부로 유동하도록 마련된 제3 유로;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제3 유로의 후단은,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상기 필터링된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필터 유닛의 후면 상에 위치하는 공기 청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 및
    상기 필터 부재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 청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공기 청정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팬; 및
    상기 제1 먼지 농도 및 상기 제2 먼지 농도가 상기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1 먼지 농도 및 상기 제2 먼지 농도의 차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2 유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기 청정기를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밸브를 오픈하고 제2 밸브를 오프시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먼지 센서로 제공하고,
    상기 먼지 센서에 의해 상기 제1 먼지 농도가 감지되면, 상기 제1 밸브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2 밸브를 오픈하여,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상기 먼지 센서로 제공하는 공기 청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밸브를 오픈하고 제2 밸브를 오프시키는 공기 청정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먼지 농도 및 상기 제2 먼지 농도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팬의 구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공기 청정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필터의 교체를 안내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공기 청정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식별된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의 남은 수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공기 청정기.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공기 청정기.
PCT/KR2023/001588 2022-02-22 2023-02-03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316341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312,165 US20230272932A1 (en) 2022-02-22 2023-05-04 Air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163 2022-02-22
KR1020220023163A KR20230126085A (ko) 2022-02-22 2022-02-22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312,165 Continuation US20230272932A1 (en) 2022-02-22 2023-05-04 Air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3413A1 true WO2023163413A1 (ko) 2023-08-31

Family

ID=8776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1588 WO2023163413A1 (ko) 2022-02-22 2023-02-03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6085A (ko)
WO (1) WO202316341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6182A (ja) * 2011-02-17 2012-09-06 Panasonic Corp 除塵装置
WO2015171571A2 (en) * 2014-05-06 2015-11-12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KR20180062628A (ko) * 2016-12-01 2018-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먼지 측정 장치
KR20190071325A (ko) * 2017-12-14 2019-06-24 강성구 공기정화장치 및 그것의 필터교체 제어방법
KR20190078278A (ko) * 2017-12-26 2019-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6182A (ja) * 2011-02-17 2012-09-06 Panasonic Corp 除塵装置
WO2015171571A2 (en) * 2014-05-06 2015-11-12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KR20180062628A (ko) * 2016-12-01 2018-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먼지 측정 장치
KR20190071325A (ko) * 2017-12-14 2019-06-24 강성구 공기정화장치 및 그것의 필터교체 제어방법
KR20190078278A (ko) * 2017-12-26 2019-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085A (ko)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17523A1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9132111A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6368208B1 (en) Cleanroom and cleanroom ventilation method
WO2017047964A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93634A1 (ko) 제가습 장치, 제습공기청정기, 가습공기청정기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0046015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49676A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0182949A (ja) 処理装置および該装置における清浄エアの供給方法
US20070263338A1 (en) Corona discharge type ionizer and fan unit
WO2023163413A1 (ko)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6711802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およびその排気ダクト接続の検査方法
WO2022030817A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JP4174464B2 (ja) 空気循環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用筐体と防塵フィルタの目詰まり検知方法
JPH06301260A (ja) 画像形成装置の排気装置
WO2023120965A1 (ko) 공기청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210441340U (zh) 一种排湿装置、空调设备及光刻机
WO2024090798A1 (ko)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및 그의 공기 흡입 방법
WO2022098061A1 (ko) 바이오에어로졸 제거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JP2015114618A (ja) 排気浄化装置
WO2019184420A1 (zh) 一种防尘系统及投影设备
KR20180001276U (ko)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CN208894822U (zh) 局部回风无尘系统
JP5303412B2 (ja) 検査装置、およびウエハチャックの清掃方法
WO2019207817A1 (ja) 安全キャビネット
WO2019207895A1 (ja) 安全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602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