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11450A1 - 멜라닌의 탈색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멜라닌의 탈색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11450A1
WO2020111450A1 PCT/KR2019/010492 KR2019010492W WO2020111450A1 WO 2020111450 A1 WO2020111450 A1 WO 2020111450A1 KR 2019010492 W KR2019010492 W KR 2019010492W WO 2020111450 A1 WO2020111450 A1 WO 20201114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rain
culture
melanin
present
irp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04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20111450A9 (ko
Inventor
전숭종
박종훈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01114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11450A1/ko
Publication of WO2020111450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11450A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12N9/0055Oxidoreductases (1.) acting on diphenols and related substances as donors (1.10)
    • C12N9/0057Oxidoreductases (1.) acting on diphenols and related substances as donors (1.10) with oxygen as acceptor (1.10.3)
    • C12N9/0063Ascorbate oxidase (1.10.3.3)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10/00Oxidoreductases acting on diphenols and related substances as donors (1.10)
    • C12Y110/03Oxidoreductases acting on diphenols and related substances as donors (1.10) with an oxygen as acceptor (1.10.3)
    • C12Y110/03003L-ascorbate oxidase (1.10.3.3)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in of the genus Irpes ( Irpex ) that produces melanin decoloring enzyme and its use, and more specifically to a novel strain of Irpes genus isolated from a tree and having racase activity and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using the same will be.
  • the skin is directly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mong the body tissues, and acts as a barrier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uman body, protecting the living body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preventing the invas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microorganisms, including chemicals and ultraviolet rays. .
  • the skin color is determined by melanin, hemoglobin, carotene, etc. Of these, melanin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 melanin performs skin protection such as ultraviolet absorption and free radical scavenger.
  • melanin when melanin is excessively generated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excessive exposure to ultraviolet rays, air pollution, and stress, pigmentation occurs within the skin, causing melanin, blemishes, and freckles.
  • melanin when melanin is excessively synthesized locally or when the skin physiological functions are reduced due to skin lesions and aging, melanin is deposited on the skin surface, causing spots, freckles, and various pigmentation.
  • substances having activity of inhibiting the activity of tyrosinase, an enzyme involved in the skin darkening process are blended in a cosmetic, or during the process of producing melanin
  • substances that can promote decolorization by inducing reduction of melanin production or reduction of existing melanin are formulated.
  • Melanine is widely present in animals, plants, insects, bacteria and fungi and mainly functions to protect cells from external stres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animal, it protects the subcutaneous tissue from ultraviolet rays, in the case of plants it corresponds to the constituents of the cell wall, and in the case of insects, it functions as an epidermal enhancer, in the case of bacteria, it has antibiotic resistance, and in the case of fungi, as a plant disease generator It is reported to do.
  • the melanin is produced from melanocytes of melanocytes.
  • the melanin granules produced in the melanosome move to the end of the dendritic projection in a state contained in the melanosome, and the end of the dendrites containing melanosome is transferred to keratinocytes by phagocytosis of keratinocytes. Then, it accumulates around the nucleus of the keratinocytes.
  •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igration process of the melanin granules include hormones and ultraviolet rays, but the genetic effects primarily act.
  • Skin whitening agents mostly contain tyrosinase inhibitors such as arbutin, licorice extracts, mulberry extracts, etc., and existing whitening agents such as antioxidants (vitamin C) and free radical scavengers (coenzyme Q10, SOD, vitamin E) Although they are commercialized, they require new skin whitening agents that are more safe for the skin and have specific high activity based on melanin structure.
  • existing whitening agents take a long time to penetrate to melanocytes, which produce melanin, and are main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yrosinase inhibitors, so i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1 to 2 months) to see the whitening effect, and these ingredients produce melanin.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ain of genus Irpes ( Irpex ) that produces melanin decoloring enzyme, a culture solution thereof or an extract obtained therefrom.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novel strain of genus Irpes, a culture medium thereof or an extract obtained therefrom as a racase enzym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 as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e above-mentioned novel genus Irpes, a culture solution thereof or an extract obtained therefro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ain of the genus Irpes ( Irpex ) that produces melanin decoloring enzyme, a culture solution thereof, or an extract obtained therefro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novel strain of genus Irpes, a culture solution thereof or an extract obtained therefrom as a racase enzym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the above-mentioned novel strain of genus Irpes, a culture solution thereof or an extract obtained therefrom as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 the culture medium of the strai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decolorize and decompose the melanin of the stratum corneum exposed on the skin to see a whitening effect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can also prevent side effects and toxic effects because it acts specifically on melanin.
  • a and B of Figure 1 shows a photograph of a strain that produces a transparent zone in agar medium containing melanin, for the selection of a strain producing melanin decolorizing enzy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a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8s rRNA of the s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kinase activity according to the type of aromatic compound contained in the cultur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melanin bleaching rate while culturing the culture solution and the synthetic melanin mixture obtained from th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7 d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melanin bleaching rate after incubating the culture medium and tissue sections of human skin for 48 ho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ain of genus Irpes ( Irpex ) that produces melanin decoloring enzyme, a culture solution thereof or an extract obtained therefrom.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novel strain of genus Irpes, a culture medium thereof or an extract obtained therefrom as a racase enzym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 as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of the above-mentioned novel genus Irpes, a culture solution thereof or an extract obtained therefrom.
  • the present inventors focused on the fact that melanin and lignin are biopolymers having a similar structure, and among microorganisms capable of producing enzymes capable of decomposing lignin, decomposition of melanin, particularly when using a culture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of the genus Irpex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iscovering that melanin can be discolor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in of genus Irpes JS7 ( Irpex sp.JS7).
  • the strai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genus Irpes JS7 ( Irpex sp.JS7) strain (Accession No: KCTC13665BP).
  • Irpes sp. JS7 (Irpex sp. JS7) strai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ccession No.: KCTC13665BP) may be one comprising the 18s rRNA represented by SEQ ID NO: 1.
  • th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by the present inventors as being capable of producing melanin decoloring enzyme among fungi isolated from old trees in the forest region of Gyeongsangnam-do, through lineage analysis u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Irpes It was confirmed that it belongs to the ( Irpex ) genus strai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ure of the genus Irpes JS7 ( Irpex sp.JS7) strain (Accession No.: KCTC13665BP).
  • culture means a product obtained by culturing a microorganism in a known liquid medium or solid medium, and is a concept in which the microorganism is included.
  • the culture is a product obtained after culturing th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dium
  • the medium may be selected from known liquid medium or solid medium used for culture of Actinomycetes, for example, GYSM medium, humic acid agar medium.
  • GYSM medium humic acid agar medium.
  • humic acid agar medium Humic acid agar medium
  • benet agar medium Boennett's agar medium
  • malt extract agar medium Malt extract agar medium
  • Salt extract agar medium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ulture may further include an aromatic compound, and preferably, the aromatic compound may be veratryl alcoh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preferably, the veratryl alcohol may be contained in a concentration of 0.1 mM to 1 mM in the culture medi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romatic compound when included in the culture medium, a large amount of melanin decoloring enzyme that functions to reduce oxidative stress induced by the aromatic compound in the s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enerated.
  • a culture medium of the genus Irpes JS7 Irpex sp.JS7 strain (Accession No: KCTC13665BP).
  • culture mediu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product obtained by culturing microorganisms in a known liquid medium or solid medium, and is a concept that does not contain microorganisms.
  • the culture medium is a liquid product obtained by culturing a predetermined strain in a medium and then removing cells through filtration or centrifugation
  • the medium can be selected from known liquid medium or solid medium used for culture of Actinomycetes, For example, it may be a GYSM medium, a humic acid agar medium, or a Bennett's agar medium.
  • the medium may further include an aromatic compound, and preferably, the aromatic compound may be veratryl alcoh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preferably, the veratryl alcohol may be contained in a concentration of 0.1 mM to 1 mM in the culture medi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romatic compound when included in the culture medium, a large amount of melanin decoloring enzyme that functions to reduce oxidative stress induced by the aromatic compound in the st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enerated.
  • the method of filt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1 to 10 times, 1 to 5 times, or 1 to 3 times.
  • the filt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filter paper having a pore size of 5 to 10 ⁇ m, or may be performed using a filter having a pore size of 0.1 to 1.0 ⁇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ract of a culture or culture medium of the genus Irpes JS7 ( Irpex sp.JS7) strain (Accession No.: KCTC13665BP).
  • the culture solution extract may be prepared using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solvent extraction method.
  • the extraction solvent used in the solvent extraction method is water,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for example,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butanol) or a mixture thereof, hydrous lower alcohol, propylene glycol, 1,3- Butylene glycol, glycerin, aceto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butyl acetate, dichloromethane, chloroform, hexane and mixtures thereof, and can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ouble water, alcohol, hydrous alcohol, diethyl ether, Ethyl acetate, butyl acetate, chloroform or hexa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lcohol content is preferably 50 to 90%, more preferably 60 to 85%.
  • a culture medium extract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by using not only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other extraction solvents.
  • the extract can be obtained through an extraction method, as well as other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using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 extraction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using carbon dioxide extraction by ultrasonic extraction, separation using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or various chromatography (size, charge, Active fractions obtained through various purification and extraction methods additionally performed, such as separation by hydrophobicity or those prepared for affinity), are also included in th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enus Irpes JS7 Irpex sp.JS7 strain (Accession No.: KCTC13665BP), it relates to a laccase (laccase) enzyme derived from a culture or a culture thereof.
  • Lacases (EC 1.10.3.2) is an oxidizing enzyme containing copper, found in plants, fungi and microorganisms. Lacase acts on phenols or similar compounds, one Lacase promotes the oxidative coupling of monolignols, which correspond to naturally occurring phenols, to form lignin. Other racases produced from Pleurotus ostreatus destroy lignin and are classified as lignin-modifying enzymes, which require oxygen as a secondary substrate for enzymatic activity.
  • the genus Irpes JS7 Irpex sp.JS7 strain (Accession No.: KCTC13665BP), its culture, its culture solution, its extract, or its derived laccase enzyme as an active ingredient I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pigment diseases caused by hyperpigmentation.
  • the skin pigment disease is a disease caused by hyperpigmentation, and refers to a disease that becomes darker or darker than other sites due to excessive increase in melanin in a specific region of the skin or nail.
  • the skin pigment disease includes blemishes, freckles, senile pigment spots, blemishes, birthmarks, or solar lentigin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revention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any action that blocks, suppresses or delays the symptoms of pigment disease caused by antioxidant, skin whitening or hyperpigmentation us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 improvement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any act of improving or beneficially altering the symptoms of pigment disease due to antioxidant, skin whitening or hyperpigmentation us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reatment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any action that improves or benefits the symptoms of pigment disease due to antioxidant, skin whitening or hyperpigmentation us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laccase has a large molecular weight of approximately 50-70 kDa, so it can only oxidize the phenolic part of the substrate, so it is not efficient to decompose a complex large structured refractory substance alone, such as melanin.
  • a complex large structured refractory substance alone such as melanin.
  • the laccase can oxidize to a nonphenolic compound, thereby increasing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the hardly decomposable material.
  • the racase derived from the strain of Irpes sp. JS7 ( Irpex sp.JS7) (Accession No.: KCTC13665BP) can directly decolorize and degrade melanin in the stratum corneum on the skin to see a whitening effect in a short time. Since it acts specifically on melanin, side effects and toxic effects can be prevented.
  •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 pigment disease caused by hyperpigmentation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of pharmaceutical, cosmetic or food compositions, and preferably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 the genus Irpes JS7 Irpex sp.JS7 strain (Accession No.: KCTC13665BP), its culture, its culture solution, its extract, or its derived laccase enzyme as an active ingredient I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mprising.
  • the term "melanin” may be eumelanin (Eumelanin) or peomelan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umelanin is a pigment molecule present in most living organisms, and cross-linked with DHICA (5,6-dihydroxy indole (DHI) and 5,6-dihydroxy indole carboxylic acid) as the basic skeleton, 10-15% protei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because it is bonded through a covalent bond, and it is difficult to decompose by a conventional technique.
  • the peomelanin is a pigment present in red and yellow hairs, and has 5-S-cysteinyl DOA (OPA) and thus contains a large amount of sulfur.
  • OPA 5-S-cysteinyl DOA
  • skin improvem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skin whitening,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enhancement, and/or skin moisturizing effect.
  • the term "whitening effect” not only brightens the skin tone by directly decolorizing and decomposing melanin pigments, but also improves skin hyperpigmentation such as ultraviolet rays, hormones or oil-induced freckles and freckles. Say something.
  • wrinkle improving effect refers to suppressing or inhibiting the formation of wrinkles on the skin, or alleviating wrinkles already created.
  • the term "elasticity-enhancing effect” refers to an increase in elasticity to the skin, and refers to suppressing or inhibiting loss of skin elasticity or alleviating reduced elasticity.
  • the laccase derived from the genus Irpes JS7 ( Irpex sp.JS7) (Accession No.: KCTC13665BP) directly decolorizes and degrades the melanin of the stratum corneum on the skin, and can see a whitening effect in a short period of time. Because it acts specifically, it can prevent side effects and toxic effects.
  •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may be used for various uses in pharmaceutical, cosmetic, or food compositions, and may preferably be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 each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in the form of capsules, tablets, granules, injections, ointments, powders, or beverages,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characterized as targeting a huma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but can be used in the form of oral dosage forms such as powders, granules, capsules, tablets, aqueous suspension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respectively,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hav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may include binders, lubricants, disintegrants, excipients, solubilizers, dispersants, stabilizers, suspending agents, pigments, flavoring agents, etc. when administered orally, and in the case of injections, buffers, preservatives, painless Agents, solubilizers, isotonic agents, stabilizers, etc.
  • the formul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various ways by mixing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s described above.
  •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s described above.
  • tablets, troches, capsules, elixirs, suspensions, syrups, wafers, etc. may be prepared, and in the case of injection, unit dosage ampoules or multiple dosages may be prepared. have.
  • Others can be formulated as solutions, suspensions, tablets, capsules, and sustained release preparations.
  • examples of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suitable for formula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d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or mineral oil and the like can be used.
  • fillers, anti-coagulants, lubricants, wetting agents, fragrances, emulsifiers, preservatives, etc.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but oral, intravenous, intramuscular, intraarterial, intramedullary, intrathecal, intracardiac, transdermal,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intranasal, intestinal, topical, This includes sublingual or rectal. O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s preferred.
  • parenteral includes subcutaneous, intradermal, intravenous, intramuscular, intra-articular, intra-synovial, intrasternal, epidural, intralesional and intracranial injection or infusion techniqu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dministered in the form of suppositories for rectal administra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activity, age, weight, general health, sex, diet, administration time, route of administration, release rate, drug combination, and severity of a specific disease to be prevented or treated. It may vary, and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weight, disease severity, dosage form, administration route and duration, bu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0.0001 to 50 mg/kg per day or It can be administered at 0.001 to 50mg/kg. The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divided into several times. The abov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as pills, dragees, capsules, liquids, gels, syrups, slurries, suspensions.
  • the composition for each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lotion, nutrition lotion, nutrition essence, massage cream, beauty bath additive, body lotion, body milk, bath oil, baby oil, baby powder, shower gel, shower cream, sunscreen lotion, sunscreen cream, suntan Cream, skin lotion, skin cream, sunscreen cosmetics, cleansing milk, hair loss agent (for cosmetics), face and body lotion, face and body cream, skin whitening cream, hand lotion, hair lotion, cosmetic cream, jasmine oil, bath Soap, water soap, beauty soap, shampoo, hand cleaner (hand cleaner), medicinal soap (non-medical), cream soap, facial wash, whole body cleaner, scalp cleaner, hair rinse, cosmetic soap, tooth whitening gel, toothpaste, etc.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olvent or a sui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which is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s.
  • the type of the solvent that can be further added to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water, saline, DMSO, or a combination thereof can be used, and as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purified water, oil, wax , Fatty acids, fatty acid alcohols, fatty acid esters, surfactants, humectants, thickeners, antioxidants, viscosity stabilizers, chelating agents, buffers, lower alcohols, and the like.
  • whitening agents, moisturizers, vitamins, sunscreens, perfumes, dyes, antibiotics, antibacterial agents, and antifungal agents may be included as necessary.
  • Hydrogenated vegetable oil, castor oil, cottonseed oil, olive oil, palm oil, jojoba oil, avocado oil may be used as the oil, and waxes include beeswax, mellow, carnauba, candelilla, montan, ceresin, liquid paraffin, and lanolin. Can be used.
  • fatty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oleic acid
  • fatty acid alcohol cetyl alcohol, octyl dodecanol, oleyl alcohol, panthenol, lanolin alcohol, stearyl alcohol, hexadecanol
  • fatty acid ester isoprop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and butyl stearate can be used.
  • surfactant cat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and nonionic surfactant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and surfactan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are preferred, if possible.
  • it may include a hygroscopic agent, a thickener, an antioxidant, etc., which are widely known in the cosmetic field, and their types and amounts are as known in the art.
  • the composition for each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food composition.
  • the food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various foods, for example, beverages, gum, tea, vitamin complexe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cookies, rice cakes, breads, and the like. Since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plant extracts having little toxicity and side effects, it can be safely used even for a long period of time for prevention purposes.
  • the amount may be added at a rate of 0.1 to 50% of the total weight.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disaccharides such as fructose, sucrose, etc., and common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s, dextrins, cyclodextrins,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can do.
  • flavoring agent examples include natural flavoring agents (taumatine,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rhizine,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flavoring agents and natural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and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carbonic acid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flavoring agents and natural flavoring agents
  • coloring agents such a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and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carbonic acid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 ingredi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proportion of these additives is not so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from 0.1 to about 5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igment diseases caused by hyperpigmentation that includes the Irpes genus JS7 ( Irpex sp.JS7) strain (Accession No.: KCTC13665BP), a culture thereof, or a culture medium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Irpes genus JS7 Irpex sp.JS7 strain
  • KCTC13665BP KCTC13665BP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r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depends on the individual type and severity, age, sex, drug activity, and drug. Sensitivity to administration,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excretion,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co-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Natural melanin was extracted from human hair in the following way.
  • strains were passaged using a malt extract agar medium to which hair melanin was added.
  • the strain was systematically identified through 18s rRNA sequence analysis by a conventional method of performing rRNA sequence analysis of the strain, and stored at 4°C until used in further experiments below.
  • the strain selected as described above is a novel strain having a decolorizing function of melanin, Irpex sp. Renamed JS7.
  • JS7 was inoculated on a plate medium of malt extract agar and cultured at 25°C for 5 days. Then, using a 5 mm cork borer, the hyphae smeared on the PDA flat plate was made into agar plugs, and the minimum medium for pre-culture of 50 ml (glucose 10 g/L, KH2PO44 0.2 g/L, MgSO4 ⁇ HO 0.05 g/L, CaCl2 2 0.01 g/L, Dimethyl succinate 1.46 g/L, Ammonium tartrate 0.2 g, CuSO4 ⁇ 5H 2 O 0.037 g/L, 70 mL of trace element solution (Trace element solution) [Nitrotriacetic acid 1.5g/L, MgSO4 ⁇ 7H 2 O 3g/L, NaCl 1g/L, FeSO4 ⁇ 7H 2 O 0.1g/L, CoSO4 ⁇ 6H
  • the culture medium of JS7 was filtered using Whatman No. 1 filter paper (pore size, 7 ⁇ m) and filtered once more using a 0.45 ⁇ m filter, followed by laccase, known as melanin decolorase, and manganese peroxidase (manganese peroxidase) and lignin peroxidase (lignin peroxidase) were investigated, respectively.
  • TBHQ tert-butylhydroquinone
  • vanillin or syringic acid at a concentration of 0.25 mM was added and cultured for 7 days. Then, the activity of racas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 the minimum medium not included in the aromatic compound was used as a control.
  • the culture medium of JS7 was filtered using Whatman No. 1 filter paper (pore size, 7 ⁇ m), and filtered once more using a 0.45 ⁇ m filter. Then,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10 times through a protein concentrator (protein concentrator, 10K MWCO) to prepare a fermentation enzyme solution.
  • a protein concentrator protein concentrator, 10K MWCO
  • the decolorizing activity by melanin reduction was mixed with 0.8 ml of pH 4.5, 50 mM sodium acetate buffer, 0.1 ml of 0.2 mg/ml synthetic melanin, and 0.1 ml of fermentation enzyme liquid. Then,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0 nm to measure the starting absorbance value. Then, while reacting at 37° C. for 7 days, the absorbance of the mixed solution was measured at 540 nm every day, the absorbance value was measured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and the melanin bleaching rate was derived using Equation 1 below. It is shown in FIG. 4.
  • Decolorization rate (%) [(Initial absorbance value)-(Absorbance value after completion of reaction)]/(Initial absorbance value) ⁇ 100
  • the fermentation enzyme solution obtained from the culture medium of JS7 can exhibit melanin bleaching effect by itself, without intermediates, unlike the case of the general case laccase. Furthermore, cosmetics containing such a fermentation enzyme solution can be very useful for depigmentation of pigments such as melanin present in skin such as blemishes, freckles, and blotch.
  • Irpex sp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males and females (35 to 50 years old, 5 people) to confirm the whitening effect, which is a whitening effect due to melanin discoloration of JS7, and the effect of removing blemishes.
  • the evaluation composition for the sensory evaluation was prepared to contain the fermentation enzyme solution and vegetable glycerin (moisturizing) and propylene glycol (transdermal absorption promotion) at a concentration of 5-10% (v/v) based on the fermentation enzyme solution.
  • the evaluation composition was applied to the areas where the facial blemishes were applied twice a day for 2 weeks, and then the odor, absorbency, moisturizing power, and whitening items were compared with a 5-point evaluation method to obtain an average scor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Shown.
  • Example 1 Example 2 Example 3 Example 4 Example 5 smell 3 3 4 3 3 absorptivity 2 2 3 2 2 Moisturizing power One One One 2 One Whitening 2 2 One One One 1. very good 2. good 3. moderate 4. bad 5. very bad
  • the evaluation composition not only received a very good evaluation with an average of 1.4 in whitening, but also received a very high evaluation in absorption and moisturizing properties.
  • the fermentation enzyme so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kin whitening cosm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무에서 분리되어 라카아제 활성을 갖는 신규한 균주와,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균주의 배양액은 피부에 표출된 각질층의 멜라닌을 직접 탈색 및 분해하여 단기간에 미백효과를 볼 수 있고, 또한 멜라닌에 특이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작용 및 독성 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멜라닌의 탈색 촉진용 조성물
본 발명은 멜라닌 탈색 효소를 생산하는 이르페스(Irpex)속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나무에서 분리되어 라카아제 활성을 갖는 신규한 이르페스속 균주와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조직 중 직접적으로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인체의 내부와 외부환경 사이의 방어벽 역할을 하여 화학물질이나 자외선을 포함한 외부 환경오염 물질 및 미생물의 침입을 방어함으로써 주위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한다. 또한 피부는 멜라닌, 헤모글로빈(hemoglobin), 카로틴(carotene) 등에 의해 색이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도 멜라닌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것 이외에도 자외선 흡수 작용, 자유 라디칼 소거제(free radical scavenger) 등과 같은 피부 보호 작용을 수행한다. 그러나 자외선의 과다 노출, 대기 오염, 스트레스 등과 같은 외부의 환경 변화에 의하여 멜라닌이 과다하게 생성되면 피부 내에서 색소 침착 현상을 일으켜 피부의 흑화(melanism) 또는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이 된다. 특히, 멜라닌이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합성되거나, 피부 병변 및 노화에 따른 피부의 생리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멜라닌이 피부 표면에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 및 다양한 색소 침착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부 흑화의 원인과 기작이 밝혀지면서, 미백 화장료의 제조에 있어, 피부 흑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 기능을 갖는 물질들을 화장료에 배합하거나, 또는 멜라닌 생성 과정 중에서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의 감소 또는 기존의 멜라닌의 환원을 유도하여 탈색을 촉진할 수 있는 물질들이 배합되고 있다.
멜라닌(melanine)은 동물, 식물, 곤충, 세균 및 곰팡이에 널리 존재하며 주로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물의 경우 자외선으로부터 피하조직을 보호하고, 식물의 경우 세포벽의 구성 성분에 해당하며 곤충의 경우 표피 강화제로서 기능하며, 세균의 경우 항생제 저항성을 갖도록 하고 곰팡이의 경우 식물병 발생원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상기 멜라닌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멜라노솜(melanosome)으로부터 생성된다. 상기 멜라노솜에 생성된 멜라닌 과립은 멜라노솜 내에 포함된 상태로 수지상돌기의 말단으로 이동하며, 멜라노솜이 함유된 수상돌기의 말단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식세포작용에 의해 각질형성세포로 전달된 후, 상기 각질형성세포의 핵 주위에 축적된다. 상기 멜라닌 과립의 이동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호르몬 및 자외선 등이 존재하나 일차적으로 유전적인 영향이 크게 작용한다.
피부 미백제는 알부틴, 식물유래 추출물인 감초추출물, 닥나무추출물 등의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항산화제(비타민C), 활성산소 제거제(코엔자임 Q10, SOD, 비타민 E) 등의 기존 고시 미백제들이 제품화되고 있지만, 피부에 더욱 안전하고 멜라닌 구조에 근거한 특이적 고활성을 지닌 신규 피부 미백제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미백제는 멜라닌이 생성되는 멜라노사이트까지 침투 시 장시간이 소요되고, 주로 티로시나제 억제제 개발에 집중되어 있어 미백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비교적 오랜 기간(1~2개월)이 소요되고, 이들 성분들은 멜라닌 생성 억제작용 외에 피부괴사, 피부 세포 독성, 색소 세포 변성, 피부 자극 유발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동반하는 것으로 최근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미백제에 비하여 각질세포층에 축적되어 있는 멜라닌의 환원을 유도하여 탈색을 촉진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멜라닌 탈색 효소를 생산하는 이르페스(Irpex)속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그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신규한 이르페스속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그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의 라카아제 효소로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신규한 이르페스속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그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멜라닌 탈색 효소를 생산하는 이르페스(Irpex)속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그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신규한 이르페스속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그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의 라카아제 효소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신규한 이르페스속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그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균주의 배양액은 피부에 표출된 각질층의 멜라닌을 직접 탈색 및 분해하여 단기간에 미백효과를 볼 수 있고, 또한 멜라닌에 특이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작용 및 독성 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멜라닌 탈색 효소를 생산하는 균주의 선택을 위하여, 멜라닌을 포함하는 아가 배지에서 투명 존을 생성하는 균주를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균주의 18s rRNA를 이용한 계통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배지 내 포함되는 방향족 화합물의 종류에 따른 라카아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균주로부터 얻은 배양액과 합성 멜라닌 혼합액을 7일 동안 배양하면서, 멜라닌 탈색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양액과 인간 피부의 조직 절편을 48시간 동안 배양한 뒤, 멜라닌 탈색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멜라닌 탈색 효소를 생산하는 이르페스(Irpex)속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그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신규한 이르페스속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그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의 라카아제 효소로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신규한 이르페스속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그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과 리그닌이 유사한 구조를 갖는 생물 고분자인 것에 착안하여, 리그닌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 중에서 특히 이르페스(Irpex) 속 미생물로부터 얻은 배양액을 이용하는 경우 멜라닌의 분해, 즉 멜라닌을 탈색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균주는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18s rRNA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균주는 경상남도 삼림 지역의 고목에서 분리된 진균 중에서, 멜라닌 탈색 효소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해 선별된 것으로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 서열을 이용한 계통 분석을 통해, 이르페스(Irpex)속 균주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의 배양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배양물"이란 미생물을 공지의 액체 배지 또는 고체 배지에서 배양시켜 수득한 산물을 의미하여, 미생물이 포함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배양물은 본 발명의 균주를 배지에서 배양시킨 후 얻어진 산물로서, 상기 배지는 방선균 배양에 사용되는 공지의 액체 배지 또는 고체 배지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YSM 배지, 흄산 한천 배지(Humic acid agar medium), 베네트 한천 배지(Bennett's agar medium) 또는 맥아 추출 한천 배지(Malt extract agar medi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양물은 방향족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베라트릴 알코올(veratryl alcohol)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베라트릴 알코올은 배양 배지 내에 0.1mM 내지 1m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배양 배지 내에 방향족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균주에서 방향족 화합물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는 멜라닌 탈색 효소가 다량 생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의 배양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배양액"이란 미생물을 공지의 액체 배지 또는 고체 배지에서 배양시켜 수득한 산물을 의미하여, 미생물이 포함되지 않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배양액은 소정의 균주를 배지에서 배양시킨 후 여과 또는 원심분리 등을 통해 균체를 제거한 액상의 산물로서, 상기 배지는 방선균 배양에 사용되는 공지의 액체 배지 또는 고체 배지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YSM 배지, 흄산 한천 배지(Humic acid agar medium), 베네트 한천 배지(Bennett's agar mediu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지는 방향족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베라트릴 알코올(veratryl alcohol)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베라트릴 알코올은 배양 배지 내에 0.1mM 내지 1m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배양 배지 내에 방향족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균주에서 방향족 화합물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는 멜라닌 탈색 효소가 다량 생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여과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 회내지 10회, 1회 내지 5회 또는 1회 내지 3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여과는 포어 사이즈가 5 내지 10 μm인 여과지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혹은 포어 사이즈가 0.1 내지 1.0 μm인 필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의 배양물 또는 배양액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양액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추출 방법, 예를 들어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매 추출법에 이용되는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다이에틸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중 물, 알코올, 함수 알코올, 다이에틸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 용매로 함수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 알코올 함량은 5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8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배양액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다른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초임계 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또는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과 같이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및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배양액으로부터 유래된 라카아제(laccase) 효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라카아제(Laccases)(EC 1.10.3.2)는 구리를 포함하는 산화 효소로, 식물, 진균 및 미생물에서 발견된다. 라카아제는 페놀 또는 그 유사 화합물에 대하여 작용하여 하나의 전자 산화(one-electron oxidations)를 수행한다. 라카아제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페놀계에 해당하는 모노리그놀(monolignols)의 산화적 커플링을 촉진하여 리그닌을 형성한다. 하지만, 플레우로투스 오스트게아투스(Pleurotus ostreatus)로부터 생산되는 다른 라카아제의 경우 리그닌을 파괴하는 바, 리그닌-변형 효소로 분류된다. 라카아제는 효소 활성을 위하여 2차 기질로 산소를 요구한다. 상기 라카아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기질에 해당하는 페놀릭 부분만을 산화시킬 수 있으므로, 리그닌과 멜라닌 같은 복잡하고 거대한 구조의 난분해성 물질을 단독으로 분해시킬 수 있는 분해 효율이 저해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분자량이 작은 중간체(mediator)가 존재하는 경우 라카아제는 페놀이 아닌 화합물(nonphenolic compound)까지 산화시킬 수 있어 난분해성 물질의 분해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 이의 배양물,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라카아제(laccase) 효소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색소 질환은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질환으로, 피부 또는 손발톱의 특정 부위에서 멜라닌의 과도한 증가에 의해 다른 부위에 비해 검거나 어둡게 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 색소 질환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잡티, 모반 또는 일광흑색증(solar lentigines)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피부 미백 또는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증상을 차단하거나, 그 증상의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피부 미백 또는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피부 미백 또는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라카아제(laccase)는 분자량이 대략 50~70 kDa으로 크기 때문에 기질의 페놀(phenolic) 부분만 산화할 수 있어 멜라닌(melanin)과 같은 복잡한 거대구조의 난분해성 물질을 단독으로 분해하기에는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분자량이 작은 중간 매개체가 존재하는 경우 라카아제는 비페놀성 화합물(nonphenolic compound)까지 산화할 수 있어 난분해성 물질의 분해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로부터 유래된 라카아제는 피부에 표출된 각질층의 멜라닌을 직접 탈색 및 분해하여 단기간에 미백효과를 볼 수 있고, 또한 멜라닌에 특이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작용 및 독성 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 이의 배양물,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라카아제(laccase) 효소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멜라닌"은 유멜라닌(Eumelanin) 또는 페오멜라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멜라닌은 대부분의 생물체에 존재하는 색소 분자로서, DHICA(5,6-dihydroxy indole(DHI)과 5,6-dihydroxy indole carboxylic acid)를 기본 골격으로 교차결합되어 있으며, 10~15%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어 특징을 결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기술에 의해서는 분해하기 어려웠다. 또한, 상기 페오멜라닌은 붉은 색과 노란 색을 띄는 모발에 존재하는 색소로서, 5-S-시스테닐OPA(5-S-cysteinyl DOPA)를 가지고 있어 황을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유멜라닌 및 페오멜라닌 모두를 매우 효과적으로 탈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개선"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및/또는 피부 보습 효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백 효과"라 함은 멜라닌 색소를 직접적으로 탈색 및 분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주름 개선 효과"라 함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탄력 증진 효과"라 함은 피부에 대한 탄력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피부 탄력의 손실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감소된 탄력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 유래 라카아제는 피부에 표출된 각질층의 멜라닌을 직접 탈색 및 분해하여 단기간에 미백 효과를 볼 수 있고, 또한 멜라닌에 특이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작용 및 독성 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약학,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 용도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약학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 투여 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정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무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0.0001 내지 50mg/kg 또는 0.001 내지 50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 용도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 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나,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식염수, DMSO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 용도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는 식물추출물로 구성된 것이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때 그 양은 전체 중량의 0.1 내지 50%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음료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즉, 천연 탄수화물로서 포도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색소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 또는 약학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준비예 1] 인간 머리카락으로부터 멜라닌(human hair melanin)의 추출
천연 멜라닌은 아래의 방법으로 인간의 머리카락으로부터 추출하였다.
500ml의 1M 수산화나트륨에, 작은 조각으로 자른 15g의 인간 머리카락을 첨가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400 x g의 조건으로 15분 동안 상기 혼합물을 원심분리 한 뒤, 갈색을 띄는 상등액 만을 회수하였다. 상기 상등액에 0.1M 염산을 첨가하여, pH를 감소시킴으로써 멜라닌 침전을 유도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침전물은 2400 x g의 조건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한 뒤, 0.1M 염산을 첨가하여 pH를 감소시키면서 멜라닌 침전시켰다. 상기 침전물을 2400 x g의 조건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그런 다음, 0.1M 염산으로 세척하고, 2M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중화시킨 뒤, 다시 6M HCl를 첨가하여 원심분리(2400 x g 15min) 하였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육안으로 관찰되는 상등액이 띄는 색이 사라질 때까지 약 5번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최종 과정 이후 얻어진 침전물에 6M 염산을 첨가하고, 6시간 동안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한 뒤, 2400 x g의 조건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상등액이 제거된 침전물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세척한 뒤, 메탄올을 이용하여 용해시키고 증발기(evaporator)를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 시킨 뒤에 아래의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멜라닌 탈색 기능을 갖는 균주의 선별
경상남도 삼림 지역의 토양 또는 썩은 나무 등에서 채취한 100여개의 샘플과,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를 혼합하고, 이를 갑자즙 아가(potato dextrose agar; PDA) 평판배지에 도말한 뒤, 25℃의 조건에서 5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멜라닌 탈색 기능을 갖는 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5mm의 코르크 보러(Cork borer)를 이용하여 상기 PDA 평판배지 위에 도말된 균사를 아가 플러그로 만들고, 이를 0.6 g/L의 인간 헤어 멜라닌이 첨가된 맥아추출물한천배지(malt extract dextrose; MED) (글루코스 4g/L, 맥아 추출물 10g/L, 펩톤 4g/L, 아가 15g/L)에 접종하고, 25℃의 조건에서 1~2주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지 상에서 투명 존을 형성하는 균주만을 선별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선별된 균주를 헤어 멜라닌이 첨가된 맥아추출물한천배지를 사용하여 계대 배양 하였다. 상기 균주는 균주의 rRNA 서열 분석을 수행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18s rRNA 서열 분석을 통해 계통학적으로 동정하였으며, 아래의 추가 실험에 사용되기 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목에서 분리된 진균류 1종에서 투명 존을 형성한 균주가 선별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목에서 분리된 진균류에 해당하는 균주의 18s rRNA 서열 분석 결과를 계통학적으로 해석하였을 때, 이와 같은 균주는 이르페스(Irpex) 속에 속하는 균주인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이 선별된 균주는 멜라닌의 탈색 기능을 갖는 신규한 균주로서, Irpex sp. JS7으로 새롭게 명명하였다.
[실시예 2] Irpex sp. JS7의 배양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된 Irpex sp. JS7을 맥아추출물한천배지 평판배지 상에 접종하여 25℃에서 5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5mm의 코르크 보러(Cork borer)를 이용하여 상기 PDA 평판배지 위에 도말된 균사를 아가 플러그로 만들고, 이를 50ml의 전배양용 최소 배지(글루코스 10 g/L, KH2PO₄4 0.2 g/L, MgSO4·HO 0.05 g/L, CaCl₂2 0.01g/L, 숙신산 다이메틸(Dimethyl succinate) 1.46g/L, 암모늄타르타르산염(Ammonium tartrate) 0.2g, CuSO4·5H2O 0.037g/L, 70 mL의 트레이스 엘레멘트 용액(Trace element solution) [나이트릴로트라이아세트산(Nitrotriacetic acid) 1.5g/L, MgSO4·7H2O 3g/L, NaCl 1g/L, FeSO4·7H2O 0.1g/L, CoSO4·6H2O 0.1g/L, ZnSO4·7H2O 0.1g/L, AlK(SO4)·7H2O 0.01g/L, H3BO3 0.01g/L, Na2MoO4·7H2O 0.01g/L])이 포함된 250ml 삼각플라스크에 접종하고, 25℃, 150 rpm의 조건으로 5일 동안 진탕배양 하였다. 이후, 상기 진탕배양액 10ml을 200ml의 본 배양 배지(최소 배지에 Veratryl alcohol 0.25 g/L 추가)가 들어있는 1L의 삼각플러스크에 접종하고, 25℃, 150 rpm의 조건으로 7일간 추가로 본배양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3] Irpex sp. JS7의 멜라닌 탈색 효소 확인
Irpex sp. JS7의 배양액을 와트만 No.1 필터 페이퍼(포어 사이즈, 7 μm)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0.45 μm의 필터를 사용하여 한번 더 여과 시킨 후 멜라닌 탈색효소로 알려진 라카아제(laccase), 망간퍼옥시데이즈(manganese peroxidase) 및 리그닌퍼옥시데이즈(lignin peroxidase)의 활성을 각각 조사하였다.
상기 효소들의 활성 측정을 위해, 50mM, pH 4.5의 초산나트륨 완충액(sodium acetate buffer)에서, 기질인 2mM ABTS(2,2'-azino 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ate)를 넣고, 37℃ 에서 10 분간 조효소와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ABTS의 산화에 의해 생성된 산화물을 420nm (εmax=36,000 M-1·cm-1)에서 측정하였다. 1분당 1μM의 기질을 산화시키는 효소의 양을 1 unit (U)로 하여, 1ml 당 존재하는 효소의 양에 해당하는 효소활성의 단위 값을 도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효소 종류 라카아제 망간퍼옥시데이즈 리그닌퍼옥시데이즈
효소 활성(unit/ml) 125 - -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간퍼옥시데이즈 및 리그닌퍼옥시데이즈의 활성은 전혀 측정되지 않는 반면, 라카아제의 경우에는 125unit/ml의 효소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Irpex sp. JS7의 배양액에 생산되는 라카아제가 멜라닌의 환원을 유도함으로써 탈색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라카아제 생산량 증가를 위한 유도물질 확인
곰팡이의 배양 시에 리그닌 및 리그닌 유도체와 구조적으로 연관성이 높은 페놀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이 배양액에 첨가되는 경우, 곰팡이로부터 라카아제의 생산량이 증가될 수 있음에 기초하여 아래 실험을 수행하였다.
0.25mM의 농도로 베라트릴 알코올(veratryl alcohol), 2,5-자일리딘(2,5-xylidine), 터트-부틸하이드로퀴논(tert-butylhydroquinone; TBHQ), 바닐린(vanillin) 또는 시링산(syringic acid)가 각각 포함되어 있는 최소배지에, Irpex sp. JS7를 넣고 7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카아제의 활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방향족 화합물이 별도로 포함되지 않은 최소배지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베라트릴 알코올이 포함된 최소배지에서는 3배, TBHQ이 포함된 최소배지에서는 2배로 라카아제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Irpex sp. JS7의 배양 시에 베라트릴 알코올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이 배양 배지에 포함되는 경우 라카아제의 활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라카아제의 경우 곰팡이에서 방향족 화합물에 의해 유발되는 산소 라디칼의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방향족 화합물의 중합반응을 촉매하는 것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Irpex sp. JS7의 멜라닌 탈색 기능 확인
[5-1] 시험관 내에서 멜라닌 탈색 기능 확인
멜라닌 환원을 통한 탈색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Irpex sp. JS7의 배양액을 와트만 No.1 필터 페이퍼(포어 사이즈, 7μm)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0.45μm 필터를 사용하여 한번 더 여과 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여과액을 단백질 농축기(protein concentrator, 10K MWCO)를 통해 10배 농축하여, 발효 효소액으로 제조하였다.
멜라닌 환원에 의한 탈색 활성은 0.8ml의 pH 4.5, 50mM 초산나트륨 완충액, 0.1ml의 0.2 mg/ml 합성멜라닌과, 상기 0.1 ml의 발효 효소액을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개시 흡광도값을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37℃에서 7일 동안 반응시키면서, 매일 상기 혼합 용액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반응 종결 후 흡광도값을 측정하고,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멜라닌 탈색율을 도출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식 1]
탈색율(%)=[(개시 흡광도값)-(반응 종결 후 흡광도값)]/(개시 흡광도값)Х100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Irpex sp. JS7 의 발효 효소액을 이용한 멜라닌의 탈색율은 시간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추세(도 4의 ●)를 보였으며, 7일에 72%의 높은 멜라닌 탈색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Irpex sp. JS7의 배양액으로부터 얻은 발효 효소액은 일반적인 경우의 라카아제와 달리, 중간체 없이 그 자체로서 멜라닌 탈색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발효 효소액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의 피부에 존재하는 멜라닌과 같은 색소의 탈색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5-2] 피부 세포에서 멜라닌 탈색 기능 확인
멜라닌을 포함하는 인간 피부세포의 조직 절편(Melanin TISSUE-TROL쪠 Control Slides, 시그마)에서, 상기 발효 효소액의 멜라닌 탈색율을 시험하였다. 멜라닌이 침착된 피부세포 조직절편을 폰타나-메이슨 멜라닌 염색 키트(Fontana-Masson melanin stain Kit, Abcam)를 사용하여 피부세포의 멜라닌을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도 5A). 그런 다음, 상기 피부세포 조질 절편에, 5 유닛의 발효 효소액을 첨가하고, 37℃ 에서 48시간 반응시킨 뒤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도 5B).
도 5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 효소액을 처리하기 이전에 확인되던 검은색의 멜라닌이, 발효 효소액을 처리한지 48시간 뒤에 모두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Irpex sp. JS7의 배양액으로부터 얻은 발효 효소액은 피부에 처리되는 경우 종래 사용되던 멜라닌 탈색 제품들에 비하여 현저하게 짧은 시간인 2일 만에 멜라닌을 탈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Irpex sp. JS7 배양액의 관능 평가
Irpex sp. JS7의 배양액의 멜라닌 탈색에 의한 미백 효과인 기미, 잡티의 제거 효과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남성 및 여성(35∼50세, 5명)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상기 관능 평가를 위한 평가 조성물은 발효 효소액과, 상기 발효 효소액을 기준으로 5~10%(v/v)의 농도로 식물성 글리세인(보습) 및 프로필렌 글리콜(경피흡수촉진)가 포함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 평가 조성물을 얼굴의 기미가 있는 부위에, 1일 2회씩 2주간 바르게 한 뒤에 냄새, 흡수력, 보습력, 미백 항목에 대해 5점 평가법으로 비교하여 점수의 평균치를 얻어,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냄새 3 3 4 3 3
흡수력 2 2 3 2 2
보습력 1 1 1 2 1
미백 2 2 1 1 1
1. 아주 좋음 2. 좋음 3. 보통 4. 나쁨 5. 아주 나쁨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평가 조성물은 미백에서 평균 1.4로 아주 좋은 평가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흡수력 및 보습력에서도 매우 높은 평가를 받았다.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발효 효소액은 피부 미백 화장품으로서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미생물기탁증]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3665BP
수탁일자 : 20181018
Figure PCTKR2019010492-appb-I000001

Claims (16)

  1.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멜라닌(melanin) 색소의 탈색 효과를 갖는 것인, 균주.
  3.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의 배양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의 배양물은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에서 상기 균주를 배양하여 얻어진 것인, 배양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베라트릴 알코올(veratryl alcohol)인 것인, 배양물.
  6.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의 배양물로부터 상기 균주가 제거된 배양액.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배양물의 포어 사이즈가 5 내지 10 μm인 여과지 또는 포어 사이즈가 0.1 내지 1.0 μm인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된 것인, 배양액.
  8.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의 배양물 또는 배양액의 추출물.
  9.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로부터 유래된 라카아제(laccase) 효소.
  10.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의 배양물은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에서 상기 균주를 배양하여 얻어진 것인, 피부 개선용 조성물.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또는 피부 보습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13.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의 배양물은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에서 상기 균주를 배양하여 얻어진 것인,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잡티, 모반 또는 일광흑색증(solar lentigines)인,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6. 이르페스 속 JS7(Irpex sp. JS7) 균주(수탁번호: KCTC13665BP), 이의 배양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다색소침착에 기인한 색소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색소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PCT/KR2019/010492 2018-11-26 2019-08-19 멜라닌의 탈색 촉진용 조성물 WO202011145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92 2018-11-26
KR1020180147492A KR102167322B1 (ko) 2018-11-26 2018-11-26 멜라닌의 탈색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450A1 true WO2020111450A1 (ko) 2020-06-04
WO2020111450A9 WO2020111450A9 (ko) 2020-09-03

Family

ID=7085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0492 WO2020111450A1 (ko) 2018-11-26 2019-08-19 멜라닌의 탈색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7322B1 (ko)
WO (1) WO2020111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422B1 (ko) * 2020-08-04 2022-06-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발효액을 포함하고, 피부 보습성 및 미백활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조성물
KR102393811B1 (ko) * 2020-08-04 2022-05-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발효액을 포함하고 피부 미백활성이 개선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05437B1 (ko) * 2020-08-04 2022-06-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주 배양액이 적용되고, 즉각적인 피부 미백 효과를 달성하는 기능성 패치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4117A (ko) * 2000-06-21 2001-12-29 이홍대 멜라닌을 탈색시키는 효소
KR100635091B1 (ko) * 2003-10-30 2006-10-17 학교법인 인하학원 멜라닌을 탈색시키는 효소 및 전자전달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멜라닌 탈색용 조성물
CN101855973A (zh) * 2010-03-16 2010-10-13 山东大学 一种漆酶产生真菌菌株白耙齿菌及其培养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4117A (ko) * 2000-06-21 2001-12-29 이홍대 멜라닌을 탈색시키는 효소
KR100635091B1 (ko) * 2003-10-30 2006-10-17 학교법인 인하학원 멜라닌을 탈색시키는 효소 및 전자전달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멜라닌 탈색용 조성물
CN101855973A (zh) * 2010-03-16 2010-10-13 山东大学 一种漆酶产生真菌菌株白耙齿菌及其培养方法和应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EON, S.-J.: "Optimal Conditions to Maximize the Production of Melanin Biode gradation Enzyme from Irpex sp. JS7", GLOBAL CONFERENCE ON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 , GCEAS-0170, 11 July 2018 (2018-07-11) *
SVOBODOVA, K. ET AL.: "Implication of mycelium-associated laccase from Irpe x lacteusin the decolorization of synthetic dyes", BIORESOURCE TECHNOLOGY, vol. 99, no. 3, 21 May 2007 (2007-05-21), pages 463 - 471, XP02233475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322B1 (ko) 2020-10-20
WO2020111450A9 (ko) 2020-09-03
KR20200062446A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11450A1 (ko) 멜라닌의 탈색 촉진용 조성물
WO2020060060A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048127A1 (ko) 만노실에리트리톨 지질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2080839A1 (ko)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WO2020246766A1 (ko) 찹쌀떡버섯으로 발효한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757175B1 (ko) 녹차 유래의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7200288A1 (ko)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66528B1 (ko)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에서 추출된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및/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66413A1 (ko) 발효된 쌀 부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복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70021856A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WO2018066916A1 (ko) 신규 세네데스무스속 조류 및 이의 추출물
KR102152790B1 (ko) 멜라닌의 탈색 촉진용 조성물
WO2011149259A2 (ko) 도인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 치료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00074101A (ko)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WO201600312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WO2019132217A1 (ko)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이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49785B1 (ko) 안트라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9078662A2 (ko) 데스모디움 스컥스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및 미백활성
WO2023282528A1 (ko)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72641B1 (ko) 방선균 배양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3149766A1 (ko) 샤프란 꽃 추출물 및 단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070087A1 (ko) 푸사리세틴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7003190A1 (ko) 백심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055006A1 (ko) 항노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892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892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