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80700A1 - 유니트 체어 - Google Patents

유니트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80700A1
WO2020080700A1 PCT/KR2019/012518 KR2019012518W WO2020080700A1 WO 2020080700 A1 WO2020080700 A1 WO 2020080700A1 KR 2019012518 W KR2019012518 W KR 2019012518W WO 2020080700 A1 WO2020080700 A1 WO 202008070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ir
unit
hinge
examine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25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기문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008070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807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61G15/125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61G15/16Storage, holding or carrying means for dental handpiec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바닥면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수진자를 수용하는 체어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체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에 연결되고 상기 테이블부를 지지하는 테이블암부; 및 상기 테이블암부의 일 단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을 결합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테이블부가 상기 체어부의 좌측 및 우측에 절환하여 위치할 수 있게 상기 테이블암부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니트 체어
본 발명은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유니트 체어는 치과 등에서 수진자를 수용하는 장비로서,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 등을 받치는 등받이 및 엉덩이와 다리를 받치는 다리받침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수진자는 유니트 체어에 누운 자세로 진료를 받는다. 여기에 더하여, 핸드피스와 같은 치과용 시술공구를 거치하는 테이블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 및 등받이는 진료의 목적에 맞게 각도 조절이 용이한 것이 일반적이다. 즉 헤드리스트와 등받이 사이의 힌지 구성을 회전시킴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위치 또는 자세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수진자의 머리의 높이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와 다리받침 사이의 힌지 구성을 회전시킴으로써, 등받이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수진자의 허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리받침은 수진자의 착석이 이뤄지는 구성으로, 베이스라 불리는 별도의 구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다리받침이 이루는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다면 수진자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다리받침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올 때 용이하도록 다리받침의 자세를 조절하거나, 장시간 치료를 위하여 수진자가 원하는 다리 높이를 취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다리받침의 경우, 등받이나 헤드레스트에 비해 자세를 조절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자유롭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는 다리받침의 경우, 각도 조절 시에 상 테이블과 같은 별도의 구성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많은 경우, 상기 테이블은 테이블암이라는 링크 구성에 의해 상기 다리받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런 경우, 테이블 및 테이블암이 다리받침과 충돌하는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테이블암이 다리받침에 연결되어, 다리받침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다리받침에 지나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유니트 체어의 내구성을 취약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
또한, 테이블암이 다리받침에 연결되는 경우에, 다리받침의 자세가 조절되면, 상기 테이블의 수평이 맞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다리받침에 테이블암이 연결되는 구성은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에 더하여, 다리받침의 각도 조절을 제한하는 문제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유니트 체어에 있어서, 또 하나의 바람직한 설계 방향은, 좌·우수 호환, 즉, 왼손잡이 의사와 오른손잡이 의사 모두가 편하게 진료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 의사는 수진자의 오른 편, 즉 체어의 오른 편에서 진료를 보는 것이 용이하다. 즉, 의사가 체어의 오른 편에 있는 경우, 오른 손으로 시술공구를 쥐고 수진자의 구강 내에 넣기가 용이하다. 같은 이유로, 왼손잡이 의사는, 체어의 왼 편에서 진료를 보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기존의 유니트 체어는, 왼손잡이 의사 및 오른손잡이 의사 모두에게 편리한 진료 환경을 제공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치과의 동일한 진료 공간 내에 왼손잡이 의사와 오른손잡이 의사가 번갈아 가며 진료를 보아야 하는 경우, 이러한 단점은 극대화된다.
왼손잡이 의사와 오른손잡이 의사 모두가 만족스럽게 하나의 유니트 체어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상기 테이블의 위치가 체어의 좌우로 용이하게 절환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에 기술한 내구성의 문제, 다리받침의 각도 조절 문제 및 좌·우수의 호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유니트 체어의 설계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테이블암의 회전이 용이하면서도 기구의 내구성이 확보되는 유니트 체어를 제공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위 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고, 다리받침부를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유니트 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왼손잡이 및 오른손잡이 의사 모두에 적합한 진료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유니트체어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는, 바닥면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수진자를 수용하는 체어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체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에 연결되고 상기 테이블부를 지지하는 테이블암부; 및 상기 테이블암부의 일 단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을 결합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테이블부가 상기 체어부의 좌측 및 우측에 절환하여 위치할 수 있게 상기 테이블암부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어부는, 상기 체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체어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진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 상기 수진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상기 수진자의 엉덩이 및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수진자의 발끝에 대응하는 상기 다리받침부의 일단이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승강되게 상기 다리받침부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는 상기 다리받침부의 회전 각도에 연동하여 기울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힌지의 회전 축은 상기 체어부에 수용된 수진자가 바라보는 정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는 하나의 대칭면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대칭면에 속하고 상기 바닥면에 수직한 제1 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테이블암부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테이블암부가 회전 가능한 좌측 한계 각도 및 우측 한계 각도는, 상기 대칭면을 기준으로 등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체어부가 상기 제1 직선과 평행한 제2 직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어부의 회전은, 상기 체어부에 수용된 상기 수진자의 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체어부의 일단의 중앙이, 상기 대칭면을 기준으로, 상기 테이블부와 같은 방향에 위치할 수 없도록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힌지를 상기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 또는 상기 체어부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는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상기 힌지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받은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가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액츄에이터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유니트 체어의 테이블암의 회전이 용이하면서도, 체어의 지지부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주위 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고, 유니트 체어의 다리받침부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왼손잡이 및 오른손잡이 의사 모두에 적합한 진료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외관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10)는, 베이스부(100), 체어부(200), 연결부(300), 테이블부(400), 테이블암부(500) 및 제1 결합부(6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외관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치과 진료실 등의 바닥면 위에 설치되어, 상기 유니트 체어(10)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체어부(200)는 수진자를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어부(200)는 헤드레스트부(210), 등받이부(220) 및 다리받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진자는 일반적으로 누운 자세로 치과 진료를 받는다. 이 때, 상기 헤드레스트부(210)는, 수진자의 머리를 받친다. 헤드레스트부(210)와 등받이부(220)는 힌지를 포함한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헤드레스트부(210)의 위치 또는 자세를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부(210)의 위치 또는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진자의 머리의 높이나 각도를 진료 목적에 맞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등받이부(220)는 수진자의 등을 받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등받이부(220)와 다리받침부(230) 또한 힌지를 포함한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220)의 위치 또는 자세를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등받이부(220)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진료의 단계 또는 목적에 맞도록 수진자의 허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리받침부(230)는 수진자의 착석이 이뤄지는 구성이다. 다리받침부(230) 또한 자세 조절이 용이한 경우, 수진자가 상기 다리받침부(230)에 착석하거나, 상기 다리받침부(230)로부터 이탈할 때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료 중에도 진료의 목적이나 수진자의 편안함을 위해 수진자의 다리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연결부(300)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체어부(20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00)는 기립 동작이 가능한 레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립 동작은 유압 액츄에이터 등을 내장하는 것이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립 동작에 따라 상기 체어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테이블부(400)는 핸드피스나 스케일러와 같은 치과 시술 공구를 거치하거나, 진료 차트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구성이다. 치과의사는 상기 체어부(2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착석하여 진료를 보게 되며, 상기 테이블부(400)가 본인의 일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편리하게 시술 공구를 집어 들거나 진료 차트 등을 확인하게 된다.
테이블암부(500)는 상기 테이블부(400)에 연결되고 상기 테이블부(40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상단에 형성된 제1 결합부(600)에서 상기 바닥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뻗어 나온 뒤, 상방으로 꺽여 길게 올라오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테이블부(400)는, 상기 테이블암부(500)에 직접 연결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암부(500)에 연결되는 연결암(410)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결합부(600)는 상기 테이블암부(500)의 일 단부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단을 결합하는 힌지(61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힌지(610)는, 상기 테이블부(400)가 상기 체어부(200)의 좌측 및 우측에 절환하여 위치할 수 있게 상기 테이블암부(500)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부(400)는 상기 체어부(20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부(400)는 상기 체어부(200)의 우측에도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힌지(610)는, 회전을 통해 상기 테이블암부(500)의 위치를 절환함으로써 상기 테이블부(400)의 위치를 상기 체어부(200)의 좌측 및 우측에 절환하여 위치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체어부(200)에 연결되고, 상기 체어부(200)의 전체 또는 일부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제2 결합부(3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결합부(310)는, 상기 수진자의 발끝에 대응하는 상기 다리받침부(230)의 일단이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승강되게 상기 다리받침부(230)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다리받침부(230)의 끝단이 상기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다리받침부(23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진자의 착석 또는 이탈 시에 편의를 제공하거나, 치과 진료 중에도 상기 수진자가 편안한 자세 또는 진료 목적에 부합하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기존 기술의 경우, 체어부와 독립된 테이블 또는 테이블암 등의 구성에 다리받침부가 충돌하거나, 다리받침부에 부착된 테이블암의 각도가 상기 다리받침부와 연동하여 자세가 변경되는 우려로 인해, 다리받침부의 상하 방향 각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암부(500)는 베이스부(100)의 상단에 제1 결합부(610)를 통해 연결되므로, 상기 다리받침부(620)와 늘 일정한 이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리받침부(620)의 상하 방향 각도 조절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힌지(610)의 회전 축(620)은 상기 바닥면에 수직이지 않고, 수진자가 체어부(200)에 착석한 경우, 상기 수진자가 바라보는 정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만큼 기울여진 것, 즉 틸팅(tilting)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전 축(620)이 틸팅되는 것이 의해, 테이블암부(500)가 진료를 위한 상기 체어부의 좌, 우측 위치에서는 진료를 위한 높이를 유지하고, 상기 테이블부(400)의 위치 절환을 위한 회전 시에 상기 다리받침부의 끝단 부근에서는 높이가 낮아져, 상기 다리받침부(230)의 끝단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받침부(230)의 상하 방향 각도 조절도 용이해 진다.
상기 회전 축(620)의 틸팅 각도는, 상기 테이블암부(500)와 충돌이 방지되는 각도로서 적절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한 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610)는 상기 다리받침부(230)의 회전 각도에 연동하여 기울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합부(610)는 상시 회전 축(620)을 상기 수진자가 바라보는 정면 방향으로 가변적으로 틸팅시키는 각도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틸팅 각도는 다리받침부(230)의 각도에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 축(620)의 틸팅 각도 및 상기 다리받침부(230)의 연동은,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610)는, 회전모터, 기어 등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 축의 틸팅을 위한 동작을 하는 액츄에이터 (미도시), 상기 다리받침부(230)의 각도를 획득하는 센서(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상기 다리받침부(230)의 각도에 상기 틸팅 각도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수동적인 기구 구성에 의해 상기 틸팅 각도와 상기 다리받침부(230)의 각도가 연동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4절 링크 또는 스크류-기어 등의 수동적인 기구 구성을 매개로 상기 힌지부(610)의 자세와 상기 다리받침부(230)의 상하 방향 각도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는 하나의 대칭면(110)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610)는, 상기 대칭면(110)에 속하고 상기 바닥면에 수직한 제1 직선(620)을 중심으로 상기 테이블암부(500)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상기 대칭면(110)이 직선인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대칭면(110)은 상기 베이스부(100)가 설치된 바닥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테이블암부(500)가 회전 가능한 좌측 한계 각도 및 우측 한계 각도는, 상기 대칭면(110)을 기준으로 등각(θL)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좌, 우측 한계 각도를 등각으로 설계함으로써, 치과의사의 좌·우수 호환이 가능한 대칭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트 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체어부(200)에 연결되고, 상기 체어부(200)가 상기 제1 직선(620)과 평행한 제2 직선(3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제2 결합부(3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칭면", "좌우 대칭", "수직" 및 "수평"은 실질적인 의미의 "대칭면", "좌우 대칭", "수직" 및 "수평"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수치적으로 정확한 기하 구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실질적으로, 소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기능 구현이 가능한 정도이면 족하다.
상기 체어부(200)의 회전은, 상기 체어부(200)에 수용된 상기 수진자의 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체어부(200)의 일단의 중앙(도 4에 검은 점으로 위치 표시)이, 상기 대칭면(110)을 기준으로, 상기 테이블부(400)와 같은 방향에 위치할 수 없도록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상기 테이블암부(210) 및 테이블부(400)가 상기 베이스부(100)의 좌측으로 절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상기 체어부(200)의 일단의 중앙은 테이블부(400)가 위치한 상기 베이스부(10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없도록 구현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테이블암부(210)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할 수 있는 키-홈 구성 또는 래칫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키-홈 또는 래칫 구성은 상기 테이블암부(210)의 위치 절환과 연동되어,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된다.
또한, 이와 같은 수동적인 기구 구성이 아닌 별도의 액츄에이터(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의 구성을 통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결합부(600)는, 상기 힌지(610)를 상기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 또는 상기 체어부(2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6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바닥면에 수평한 일 방향으로 상기 힌지(610)의 위치를 절환함으로써, 보다 진료의 목적에 부합하는 위치로 상기 테이블부(4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체어부(200)의 좌우 방향으로 상기 힌지(6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부(630)는 인터페이스부(631), 제어부(632) 및 상기 힌지(610)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부(633)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631)에서 입력받은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610)가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632)가 상기 액츄에이터부(633)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부(631)는 의료진 등의 사용자가 힌지(610)의 이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32)는 마이크로컴퓨터(미도시)와 같은 연산이 가능한 요소를 포함한 전자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부(633)는, 회전형 모터와 스크루, 리니어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하거나,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회전형의 구동 모터(미도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스크루(미도시), 상기 스크루에 축 삽입되어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블록(미도시)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에 상기 힌지(610)의 일면을 부착하는 것을 일 실시 예의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블록은 별도 구비된 리니어 가이드(미도시)에 따라 이탈 없이 직선 운동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니어 가이드 또는 상기 스크루의 양단에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직선 운동의 한계 지점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 "아래"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 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바닥면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부;
    수진자를 수용하는 체어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체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에 연결되고 상기 테이블부를 지지하는 테이블암부; 및
    상기 테이블암부의 일 단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을 결합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테이블부가 상기 체어부의 좌측 및 우측에 절환하여 위치할 수 있게 상기 테이블암부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부는, 상기 체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체어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진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 상기 수진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상기 수진자의 엉덩이 및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수진자의 발끝에 대응하는 상기 다리받침부의 일단이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승강되게 상기 다리받침부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다리받침부의 회전 각도에 연동하여 기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회전 축은 상기 체어부에 수용된 수진자가 바라보는 정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하나의 대칭면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대칭면에 속하고 상기 바닥면에 수직한 제1 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테이블암부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암부가 회전 가능한 좌측 한계 각도 및 우측 한계 각도는, 상기 대칭면을 기준으로 등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체어부가 상기 제1 직선과 평행한 제2 직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어부의 회전은,
    상기 체어부에 수용된 상기 수진자의 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체어부의 일단의 중앙이, 상기 대칭면을 기준으로, 상기 테이블부와 같은 방향에 위치할 수 없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힌지를 상기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 또는 상기 체어부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상기 힌지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받은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가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액츄에이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체어.
PCT/KR2019/012518 2018-10-15 2019-09-26 유니트 체어 WO202008070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240 2018-10-15
KR1020180122240A KR102182961B1 (ko) 2018-10-15 2018-10-15 유니트 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0700A1 true WO2020080700A1 (ko) 2020-04-23

Family

ID=7028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2518 WO2020080700A1 (ko) 2018-10-15 2019-09-26 유니트 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2961B1 (ko)
WO (1) WO202008070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594A (ja) * 2002-05-10 2003-11-18 Morita Mfg Co Ltd 歯科診療装置
JP2004189041A (ja) * 2002-12-09 2004-07-08 Nissan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メンバ
JP2008149029A (ja) * 2006-12-19 2008-07-03 Twinbird Corp 椅子型運動器具
JP2011036589A (ja) * 2009-08-18 2011-02-24 Gc Corp 歯科ユニット
JP5357765B2 (ja) * 2006-11-21 2013-12-04 プランメカ オイ 統合歯科治療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594A (ja) * 2002-05-10 2003-11-18 Morita Mfg Co Ltd 歯科診療装置
JP2004189041A (ja) * 2002-12-09 2004-07-08 Nissan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メンバ
JP5357765B2 (ja) * 2006-11-21 2013-12-04 プランメカ オイ 統合歯科治療装置
JP2008149029A (ja) * 2006-12-19 2008-07-03 Twinbird Corp 椅子型運動器具
JP2011036589A (ja) * 2009-08-18 2011-02-24 Gc Corp 歯科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098A (ko) 2020-04-23
KR102182961B1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303128T3 (en) Dental care and imaging apparatus
RU2197995C2 (ru) Диализный аппарат с пультом управления
US7195219B2 (en) Modular dental chair equipment mounting system
WO2015133761A1 (ko) 베벨기어를 이용한 검진대 무릎 거치대 회전장치
WO2017014370A1 (ko) 의료용 의자의 등받이 슬라이딩 구조
WO2011046299A2 (ko)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US8066651B2 (en) Examination chair
US20210369530A1 (en) Integrated patient support and equipment for medical procedures
WO2020080700A1 (ko) 유니트 체어
JPH1142258A (ja) 内外診兼用診療台とこの診療台の使用方法
US8408899B1 (en) Dental delivery systems,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WO2016195131A1 (ko) 한의학용 치료 통합 베드
WO2016052334A1 (ja) 歯科ユニット
CN109431733A (zh) 一种口腔数字化种植用可调节空间的口腔手术台
WO2020080699A1 (ko) 유니트 체어
WO2011136439A1 (ko) 환자용 변기의자
JPH08299393A (ja) 検診台
LU504870B1 (en) Physiotherapy device for cardiovascular disease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KR102634334B1 (ko) 양측 출입이 가능한 유니트 체어
DK181145B1 (en) Arm Support Structure arranged around an outside of a Headrest of a Dental or Medical chair
WO2023101302A1 (ko) 사용 상태의 전환이 가능한 마사지 장치
CN209864501U (zh) 一种牙科综合治疗机
KR102319877B1 (ko) 유니트 체어
WO2016043564A2 (ko) X선 영상촬영장치
KR20070087696A (ko) 만능 엑스선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31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731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731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6/10/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731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