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12124A1 -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 Google Patents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12124A1
WO2019212124A1 PCT/KR2019/001275 KR2019001275W WO2019212124A1 WO 2019212124 A1 WO2019212124 A1 WO 2019212124A1 KR 2019001275 W KR2019001275 W KR 2019001275W WO 2019212124 A1 WO2019212124 A1 WO 20192121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air duct
ventilation sheet
duct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12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기영
Original Assignee
(주)영민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4991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12573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4991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125733A/ko
Application filed by (주)영민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영민하이테크
Priority to CN201980002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662670B/zh
Priority to EP19786895.3A priority patent/EP3632740B1/en
Priority to US16/499,409 priority patent/US11433790B2/en
Publication of WO20192121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1212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eat and a vehicle ventilation seat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eat and a vehicle ventilation seat having the same to improve the air flow structure and provide a comfortable seating comfort to the user.
  • the air conditioner is us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humidity, air cleanliness, or air flow of the space comfortably, and the air conditioner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a closed space such as a vehicle.
  • the air conditioner applied to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cooling / heating device composed of an air conditioner and a heater to provide air from the front and the side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Since air is not provided depending on the air conditioner, it acts as a factor to reduce the ride comfort of the vehicle occupant.
  • the conventional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6-0062237 includes a mesh to fill the ventila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front, rear of the ventilation hole in the back pad structure that the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the front, rear direction.
  • This mesh has a problem that the flow path can be blocked by the weight at the time of sitting, the blower is large to increase the efficienc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air seat for the ventilation seat and the air ventilation for the ventilation seat having a comfortable ride by discharging the inhaled air evenly to the vehicle seat, minimizing the foreign object conveyed to the vehicle occupants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hee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eat and a vehicle ventilation seat hav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the smooth air flow and noise by minimizing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a panel for guiding the flow of air provided in the vehicle seat.
  •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eat and a vehicle ventilation seat hav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the smooth air flow and noise by minimizing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a panel for guiding the flow of air provided in the vehicle seat.
  •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heet including: an upper surface having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s formed therein, an air inlet formed thereon, and an upper surface formed at an edge thereof with a corner portion attached thereto to form a flow path; And a spacer formed towar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 the spacers form projections at regular intervals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toward the other surface.
  •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gentle conical protrusion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inlet to diffuse the incoming air to the ends of each inner corner
  • the lowe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duct for conveying air from the fan
  • the locking piece is formed to cross the fastener fastened to the transfer duct in the form of a U.
  •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includes a wrinkle portion to bend at an angle when seated.
  • the bottom surface has a nonwoven fabric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spiral projection inside the air outlet, the spiral cap is coupled to the air outlet.
  • the fan and the transfer duct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 duct form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includes a bent portion to guide the air flow by partitioning the direction of the incoming air flow .
  •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to ben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sitting, while dividing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flowing into any one or more of the central side, left, right, the first bent portion inlet side One end is curved toward the side.
  •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has a second bent portion to b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flowing inward.
  • the second bent portion forms an upper convex portion of which the upper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is convex downward, and forms a lower convex portion of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upper convex portion diagonally upwards.
  • the space between the upper convex portion and the lower convex portion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 the air inlet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 the lower chamber of the hard material to form an air flow path of the low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 the lower chamber And a soft material adapter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s and connected to the foam pad discharge passages.
  • the chamber form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widen toward the inside of the chamber in a space where air is introduced.
  •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
  • the lower surface is formed air inlet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corner portion is attached to form a flow path, 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oward the other surface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ckrest or seating portion including a spacer formed, a cushion portion connected to the air outlet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air passage of the foam pad, and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venly discharge the inhaled air to the vehicle seat and to provide a comfortable ride by minimizing the foreign body feeling transmitted to the vehicle occupant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of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ackrest portion 20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ventilation seat in the form of a backrest and a seating portion having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ea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ar side of a vehicle ventilation seat in the form of a backrest and a seating portion having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ea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vehicle ventilation seat having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e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air duct 50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duct 50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duct 60 for th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duct 60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ap 1000 of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ap 1000 of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further explaining the second bent portion 720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spacer of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of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ower surface of the air duct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duct 10 for th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chamber including an upper surface 110, a lower surface 120, and a spacer 130. .
  • the upper surface 1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outlet 111.
  • the lower surface 120 has an air inlet,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corner portion are attached to form an air passage in the form of a chamber.
  • the spacer 130 is formed from at least on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toward the other surface.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ap 1000 of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cap 1000 of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figure which shows the cross section of.
  • a spiral cap 1000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cap coupled to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foam pad outside the discharge port 111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and a spiral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thereof.
  • the cap 1000 may be combined to form a vortex.
  •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clamping portion 113 may be coupled by clamping the clamping mea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astener 121 of the lower surface of FIG.
  •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can be stably formed, and can be stably fixed even when fastened with the transfer duct 300.
  • the spacer 130 of the air duct 10 for the ventilation sheet is formed by a plurality of protrusion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when seated by weight Blockage of the flow path can be prevented.
  • the discharge port 111 may be changed in design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air passage of the foam pad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 Ventilation sheet air duct 10 is a gentle conical projection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ventilation sheet air duct facing the inlet of the lower surface from the inside is introduced Air can be diffused to each edge end inside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As shown in FIG. 1, one side end of the air duct 10 for the ventilation sheet may be changed in design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oam pad.
  •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is fastened to a transfer duct 300 for transferring air from the fan 200.
  • the locking piece 12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duct 10 for the ventilation sheet to cross in a U-shape to the fastener 121 is fastened to the transfer duct 300.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ngaging pieces 122 formed to cross in such a U-shape to be fastened by the weight of the foam pad and the seat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without a fastening means, and prevents the detachment by vibration of the fan or transfer duct can do.
  • the elastic member 310 is provided in the transfer duct 300 to the first elastic member 311 connected to the fan 20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312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fan 200 can be reduced.
  •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ackrest portion 20 of the air duct 120 for th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due to the seat back may include a wrinkle portion 123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bent at an angle to on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 the nonwoven fabric 14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duct 120 for the ventilation sheet to reduce the vibration of the fan or the transfer duct.
  • the support means 150 may suppor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by the weight, and preferably the support means 150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at least once to distribute and suppor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 at least one elastic member 310 may be provided in the transfer duct 300 to absorb external force applied thereto.
  • the discharge port 111 of the upper surface is coupled with the foam pad of the vehicle seat cushion portion, the discharge port 111 to form a vortex in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foam pad
  • the spiral protrusion 112 is formed inside. It may be combined in the form of the spiral cap 1000 shown in Figs. 11 and 12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outlet 111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to form a vortex.
  • the air discharged in such a structure can increase the strength and pressure of the air flow discharged in the form of a vortex.
  • FIG. 4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back seat having a backrest portion and a seating portion having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e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entil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figure which showed the cross section of the backrest part and seating part which have an air duct for a sheet
  • the seating part 30 of the vehicle ventilation seat 400 having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eat includes an air duct 410 for the ventilation seat, the support means 420, and the cushion part 430. do.
  • the air duct 410 for th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o that the wrinkle portion 411 is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air duct 410 for the ventilation sheet corresponding to the hip portion to be bent by the seat.
  • the cushion portion 430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passage to the discharge port 412 of the air duct 410 for the ventilation sheet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ion sheet opening 431.
  • the form of the backrest part 40 of the vehicle ventilation seat 400 having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eat includes an air duct 440 for the ventilation seat, the support means 450, and the cushion part 460.
  • the air duct 440 for the ventilation sheet is in the form of a backrest 40, the seating portion 441 is formed o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ack side when seating can give comfort, the back of the air duct 440 for ventilation sheet Support means 450 for supporting, the non-woven fabric 45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means 450 to reduce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fan or the transfer duct.
  • Cushion portion 460 is discharge port 442 of the air duct 440 for the ventilation sheet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passage of the cushion unit 460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ion sheet opening (461).
  • the discharge holes 412 and 442 of FIG. 4 may have a spiral protrusion or a spiral cap shape inside the discharge hole.
  • the vehicle ventilation seat 400 having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eat has at least one elastic member 310 in the transport duct 300 when the fan 200 and the transport duct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can be provided to absorb the external force applied.
  • the elastic member 310 is formed on the first elastic member 311 having a pleat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veying duct 300 connected to the fan 200, and on the side of the conveying duct 300 connected to the air duct side for the ventilation sheet.
  • a second elastic member 312 having wrinkles is formed, and the support means 450 and the nonwoven fabric 451 may be included to reduce vibrations caused by sitting and vibrations transmitted from the fan.
  • the fan 200 and the transfer duc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eat of the backrest 40 and the seating portion 30 in a separate configuration, and one fan and the transfer duct. May be connected.
  • the vehicle ventilation seat 400 having the ventilation seat air duct 410 of the seating portion 30 and the ventilation seat air duct 440 of the backrest portion 40 has been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of course, it can be applied in the form of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of the embodiment mentioned below.
  • the air duct 410 for the ventilation sheet to which the fan 200 and the transfer duct 300 are connecte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420, and the elastic member
  • the vibration may be reduced by 310, and a nonwoven fabric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means 420 and the air duct 410 for the ventilation sheet to reduce the vibration.
  • the discharge port of the air duct 410 for the ventilation sheet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passage of the cushion unit 43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ion sheet hole 431.
  • the backrest part 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hape of the air duct 50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n air duct 50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perspective view.
  • the fan 200 and the transfer duct 300 may be integrally formed at one side of the air duct 50 for the ventilation sheet.
  • the air duct 50 for the ventilation sheet includes a bent portion 700 for partitioning or directing the direction of the incoming air flow.
  • the bent part 700 divides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into the central part,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and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seated, and the air flow direction flows inside the air duct 50 for the first bent part 710 and the ventilation sheet.
  • the second bent portion 720 to b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orm.
  • the first bent part 710 divides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flowing into the air duct 50 for the ventilation sheet into the partition part 711 in the form of a partition plate or a partition protrusion at the center, left and right, an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seated. It is a configuration to bend. As illustrated in FIG. 7, the first bent portion 710 has a shape in which one end portion of the inlet side partition end 712 is curved toward the inlet side, thereby inducing the air flow direction toward the center porti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have.
  • the air duct 50 for the ventilation sheet is formed to be wider from the inlet side toward the inner side to have a volume of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in the inlet side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shape of the air duct 50 for the ventilation sheet. As it is formed to be curved toward the inlet side, it is possible to partitio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evenly.
  • the second bent portion 720 forms an upper convex portion 721 in whic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corresponding to the hip portion due to sitting is convex downward, and faces the upper convex portion 721 in a diagonal direction.
  • the lower convex part 722 is formed in which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is convex upward. Due to the second bent portion 720, the air duct 50 for the ventilation sheet may form a wavy air flow path, and the air flow is bent to the edge end of the air duct for the air ventilation sheet while being bent by weight when seated. Allow it to flow smoothly.
  • FIG.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air duct 50 for th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pacer 130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form of a projection. .
  • the protrusions of the spacer 130 may protrude and be connect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respectively, or may be spaced apart, and the protrusion of the spacer 130 may be a chamber-type internal air flow due to sitting.
  • the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11 by maintaining a path.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air duct 60 for th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duct 60 for th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9 and 10
  • the air duct 60 for the ventilation sea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lower chamber 910 and an adapter 920.
  • the lower chamber 910 has a discharge hole 911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a fan and a transfer duct, and an edg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reof.
  • the lower chamber is made of a hard material to attach a portion to form an air passage in the form of a chamber, and the adapter 92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911 of the lower chamber 910 and connected to the foam pad discharge passage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It is an adapter made of soft material having a discharge port 111.
  • the adapter 920 may be bent while forming an air flow path at the same time as inducing the air flow by the bent portion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can provide comfort when seated.
  • the spacer may have a shape in which protrusions protrude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adapter 920.
  • the lower chamber 910 and the adapter 920 are coupled to the coupling means 912 of the lower chamber 910 and the coupling means 921 of the adapter 920 to be fastened and sealed.
  • the flow path has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lower chamber 910 and the adapter 920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lower chamber,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11 of the adapter.
  • the outlet 111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has a foam pad when the outlet 111 is combined with the foam pad of the cushion portion.
  • the spiral protrusion 112 is formed inside the discharge port so as to form a vortex in the discharge passage. It may be combined in the form of a spiral cap 1000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air duct for the adapter or the ventilation sheet to form a vortex.
  • the air discharged in such a structure can increase the strength and pressure of the air flow discharged in the form of a vortex.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ap 1000 of the air duct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p 1000 of the air duct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 the cap 1000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has an effect of maximizing wind pressure by inserting and assembling a second discharge port of a capsule form into an air discharge port.
  • the cap 1000 has a form of a thread capable of generating a swirling vortex inside the cap 1000.
  • FIG. 1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further explaining the second bent portion 720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forms a bead surface, which is the upper convex portion 721 which is convex downward, an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air duct for the ventilation sheet that faces the upper convex portion 721 in a diagonal direction is upward.
  • the convex lower surface which forms the bead surface which is the convex part 722 is formed.
  • the air duct 50 for the ventilation sheet may form a wavy air flow path, and the air flow is bent to the edge end of the air duct for the air ventilation sheet while being bent by weight when seated. Allow it to flow smoothly.
  • a convex bead is added to bend flexibly.
  • the flow path may be hinder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bead faces are staggered by at least 5 mm. It can bend flexibly without disturbing the flow path.
  • FIG.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spacer 130 of an air duct for a ventilation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pacer 130 arranges protrusions (BOSS) serving as a support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a ventilation path during seating at various positions, and influences the flow rate regardless of the position and number of such protrusions. Does not give.
  • BOSS protru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면과,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과 모서리 부분이 부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적어도 한 면에서 다른 면을 향해 형성된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되는 공기를 차량용 시트에 고르게 토출시킬 수 있으며 차량 탑승자에게 전해지는 이물감을 최소화 하여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본 발명은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흐름 구조를 개선하고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에 관한 것이다.
공간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내지 공기의 흐름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 공조 장치를 사용하며, 특히 차량과 같이 밀폐되어 있는 공간은 이러한 공조장치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적용되는 공조 장치는 에어컨과 히터로 구성되는 냉·난방 장치가 구비되어 차량 내부의 전면, 측면 등에서 공기를 제공하나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직접적으로 맞닿는 차량용 시트에는 상술한 냉·난방 장치에 의존한 공기가 제공되지 않아 차량 탑승자의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일 요인으로 작용한다.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0775호에서 개시된 것과 같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일정한 형상의 공기 이송 홀을 거쳐 시트에 형성되는 공기 토출용 홀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차량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냉방 효과를 전달하여 쾌적한 승차감과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었다.
다만, 상술한 구성에 의한 통풍용 시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는 공기 이송용 홀과 공기 흡입용 팬에 의해 차량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하는 경우 이물감을 주어 승차감이 불편하며, 또한 승차감을 향상시키고자 상기 공기를 가이드 하는 공기 이송용 홀의 재질을 메모리 폼과 같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며 외력을 흡수하는 재질을 사용할 경우 차량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하여 시트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공기 이송용 홀에 형성되는 공간이 막혀 원활한 공기의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62237호에서 전, 후방향으로 통기홀이 형성되는 백패드 구조에 통기홀의 전, 후면으로 삽입되어 통기홀을 메워주는 매쉬를 포함한다. 이러한 매쉬는 착석시에 체중에 의해 유로가 막힐 수 있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송풍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구성에 의한 통풍용 시트의 경우 차량 탑승자에 의해 시트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흡입한 공기가 차량용 시트에 생기는 미세한 틈으로 새는 경우가 발생하며 팬에 부하가 걸려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0775호(2013.06.25.)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62237호(2016.06.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서, 흡입한 공기를 차량용 시트에 고르게 토출시키고, 차량 탑승자에게 전해지는 이물감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패널에 전해지는 외력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공기의 유동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를 제공함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로서, 복수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면과,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과 모서리 부분이 부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적어도 한 면에서 다른 면을 향해 형성된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스페이서는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적어도 한 면에서 다른 면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돌기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면은 유입구와 마주하는 내측면에 완만한 원추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내측 각 모서리 끝단으로 확산시키고, 상기 하부면은 팬으로부터 공기를 이송시키는 이송 덕트가 체결구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 덕트와 체결되는 체결구에 U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걸림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착석 시 일정 각도 휘어지도록 하는 주름부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면은 저면에 부직포가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면은 공기 토출구 내측에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에 나선형 캡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이루는 공기 덕트의 일측에 팬과 이송 덕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유입되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구획하여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유입되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중앙측, 좌측, 우측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획하면서, 착석시 일정 각도로 휘어지도록 하는 제1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곡부는 유입구 측을 향하여 일단이 만곡되는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내측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제2 절곡부를 갖는다. 상기 제2 절곡부는 상부면의 착석부위에 해당하는 상부 내측면이 하부로 볼록한 상면 볼록부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 볼록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하부면의 내측면이 상부로 볼록한 하면 볼록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면 볼록부와 하면 볼록부 사이가 일정 간격 이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면에 토출공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의 모서리 부분이 부착되어 챔버 형태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하드 재질의 하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의 토출공과 연결되어 폼패드 토출 통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토출구를 갖는 소프트 재질의 어댑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이루는 챔버가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에서 챔버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다가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면과,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과 모서리 부분이 부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적어도 한 면에서 다른 면을 향해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상부면의 공기 토출구와 폼패드의 공기 통로로 연결되는 쿠션부 및 상기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등받이부 또는 착석부 형태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한 공기를 차량용 시트에 고르게 토출시킬 수 있으며 차량 탑승자에게 전해지는 이물감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상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하부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등받이부(20)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를 갖는 등받이부와 착석부 형태의 차량용 통풍 시트를 나타낸 내부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를 갖는 등받이부와 착석부 형태의 차량용 통풍 시트의 후측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50)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50) 형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60)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60)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캡(100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캡(1000)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제2 절곡부(720)를 부연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스페이서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상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하부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10)는 상부면(110), 하부면(120), 스페이서(130)를 포함하는 챔버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상부면(110)은 복수의 공기 토출구(111)가 형성된다. 하부면(120)은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면과 모서리 부분이 부착되어 챔버 형태의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스페이서(130)는 하부면과 상부면의 적어도 한 면에서 다른 면을 향해 형성된다.
상부면(110)의 공기 토출구(111)가 차량 시트 쿠션부의 폼패드와 결합시, 폼패드의 토출 통로에 와류를 형성하도록 토출구(111) 내측에 나선형 돌기(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토출되는 공기가 와류 형태로 토출되어 공기 흐름의 세기와 압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캡(1000)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캡(1000)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토출구(111) 외측에 폼패드의 토출 통로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캡(1000) 형태를 갖고, 내측면에 나사선의 돌기가 형성된 나선형 캡(1000)이 결합되어 와류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는 클램핑부(113)가 구비되어 도 2의 하부면의 체결구(121) 양측에 형성된 클램핑 수단에 클램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부면과 하부면의 공간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송 덕트(300)와 체결시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10)의 스페이서(130)는 착석 시에 인체와 맞닿는 해당 위치의 내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체중에 의한 유로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구(111)는 차종에 따른 폼패드의 공기 통로의 위치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10)는 내부에서 하부면의 유입구와 마주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내측면에 완만한 원추형의 돌출부(미도시)가 상부면 내측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내측 각 모서리 끝단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10)의 일측단이 휘어진 것은 폼패드 형상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는 팬(200)으로부터 공기를 이송시키는 이송 덕트(300)가 체결된다. 여기서,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10)의 저면에 이송 덕트(300)와 체결되는 체결구(121)에 U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걸림편(122)을 포함한다. 이러한 U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걸림편(122) 구성으로 인해 체결수단 없이도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상부에 위치하는 폼패드와 시트 무게로 체결되도록 하고, 팬이나 이송 덕트의 진동에 의한 탈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송 덕트(300)에 탄성부재(310)가 구비되어 팬(200)에 연결되는 제1 탄성부재(311)와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제2 탄성부재(312)를 형성하여 팬(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120)의 등받이부(20)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착석으로 인해 상부면과 하부면의 일면에 일정 각도 휘어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되는 주름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120)의 하부면에 부직포(140)가 부착되어 팬이나 이송 덕트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지지수단(150)을 포함하여 체중에 의해 전해지는 외력을 지지하고, 바람직하게는 지지수단(150)이 적어도 1회 이상 굴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해지는 외력을 분산시켜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덕트(300)에 탄성부재(31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120)가 차량 시트에 적용되면, 상부면의 토출구(111)가 차량 시트 쿠션부의 폼패드와 결합시, 폼패드의 토출 통로에 와류를 형성하도록 토출구(111) 내측에 나선형 돌기(112)가 형성된다.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토출구(111) 외측에 결합되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나선형의 캡(1000)의 형태로 결합되어 와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토출되는 공기가 와류 형태로 토출되어 토출되는 공기 흐름의 세기과 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를 갖는 등받이부와 착석부 형태의 차량용 통풍 시트를 나타낸 내부 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를 갖는 등받이부와 착석부 형태의 차량용 통풍 시트의 후측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를 갖는 등받이부와 착석부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400)의 착석부(30)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10), 지지수단(420), 쿠션부(4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10)는 착석시 엉덩이 부분에 해당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10) 부위에 주름부(411)가 형성되어 착석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한다.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10)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20)을 구비하며, 지지수단(420)에는 부직포(421)가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10)의 저면에 밀착되어 팬이나 이송 덕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쿠션부(430)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10)의 토출구(412)에 공기 흐름 통로가 연결되어 통풍 시트구(431)를 통해 토출된다.
또한,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400)의 등받이부(40)의 형태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40), 지지수단(450), 쿠션부(460)을 포함한다.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40)는 등받이부(40)의 형태로 착석시 등쪽에 해당하는 부위에 주름부(441)가 형성되어 안락함을 줄 수 있고,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40)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50)을 구비하며, 지지수단(450)에는 부직포(451)가 후면에 밀착되어 팬이나 이송 덕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쿠션부(460)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40)의 토출구(442)가 쿠션부(460)의 공기 흐름 통로에 연결되어 통풍 시트구(461)를 통해 토출된다. 도 4의 토출구(412,442)에는 앞서 설명한 도 1, 도 11 및 도 12와 같이, 토출구 내측에 나선형 돌기 또는 나선형 캡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400)는 팬(200)과 이송 덕트(300) 연결시, 이송 덕트(300)에 탄성부재(31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재(310)는 팬(200)측에 연결되는 이송 덕트(300)측에 주름이 형성되는 제1 탄성부재(311)와,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측에 연결되는 이송 덕트(300)측에 주름이 형성되는 제2 탄성부재(312)를 구비하고, 지지수단(450)과 부직포(451)를 포함하여 착석으로 인한 진동과 팬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200)과 이송 덕트(300)가 별개의 구성으로 등받이(40)와 착석부(30)의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에 연결될 수 있고, 하나의 팬과 이송 덕트로 연결될 수도 있다. 착석부(30)의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10)와 등받이부(40)의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40)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400)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로 설명한 것이지만, 이후 아래에서 언급하는 실시예의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형태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의 착석부(30)는 팬(200)과 이송 덕트(300)가 연결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10)가 지지수단(420)에 의해 지지되고, 이송 덕트(300)에 탄성부재(310)로 진동을 저감시키며, 지지수단(420)과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10) 사이에 부직포를 두어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410)의 토출구가 쿠션부(430)의 공기 흐름 통로가 연결되어 통풍 시트구(431)를 통해 토출된다. 등받이부(40)는 앞서 도 4에 설명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50)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50) 형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50) 일측에 팬(200)과 이송 덕트(30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50)는 유입되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구획하거나 유도하는 절곡부(7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절곡부(700)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중앙부, 좌측, 우측으로 구획하면서 착석시 일정 각도로 휘어지도록 하는 제1 절곡부(710),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50) 내측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제2 절곡부(720)를 형성한다.
제1 절곡부(710)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50) 내에 유입되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중앙부와 좌측, 우측으로 구획판 또는 구획 돌기 형태의 구획부(711)로 구획하면서 착석시 일정 각도로 휘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1 절곡부(7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유입구 측을 향하는 유입구측 구획단(712)이 만곡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공기 흐름방향을 중앙부와 좌측, 우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50)가 유입구 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다가 일정 폭의 부피를 갖도록 형성되고, 유입구 측 방향으로 제1 절곡부의 끝단이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50)의 외형에 따라 유입구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중앙부와 좌측, 우측으로 구획하여 공기 흐름의 방향을 고르게 유도할 수 있다.
제2 절곡부(720)는 착석으로 인한 엉덩이 부위에 해당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상부 내측면이 하부로 볼록한 상면 볼록부(721)를 형성하고, 상면 볼록부(721)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하부 내측면이 상부로 볼록한 하면 볼록부(722)를 형성한다. 제2 절곡부(720)로 인해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50)는 물결모양의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착석시에 체중에 의해 휘어지면서도 공기 흐름을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모서리 끝단까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50)의 형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스페이서(130)가 돌기 형태로 상부면과 하부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된다. 스페이서(130)의 돌기가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내측 상부면과 내측 하부면에 각각 돌출되어 연결될 수도 있고, 이격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스페이서(130)의 돌기는 착석으로 인한 챔버 형태의 내부 공기 흐름경로를 유지하여 공기가 토출구(111)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의 구획부(711)와 유입구측 구획단(712)를 갖는 제1 절곡부(710), 제2 절곡부(720)의 상면 볼록부(721)와 하면 볼록부(722)에 대한 설명은 도 7에서 설명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60)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60)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60)는 하부 챔버(910)와 어댑터(920)로 구성된다.
하부 챔버(9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토출공(911)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팬과 이송 덕트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의 모서리 부분이 부착되어 챔버 형태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하드 재질의 하부 챔버이고, 어댑터(920)는 하부 챔버(910)의 토출공(911)과 연결되어 차종에 따른 폼패드 토출 통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토출구(111)를 갖는 소프트 재질의 어댑터이다. 또한, 어댑터(920)는 앞서 실시예에서 언급한 절곡부를 구비하여 공기 흐름을 유도함과 동시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면서도 휘어질 수 있어 착석시 안락감을 줄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는 어댑터(920)의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부 챔버(910)와 어댑터(9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챔버(910)의 결합수단(912)과 어댑터(920)의 결합수단(921)이 다수 체결되어 밀폐되도록 하고, 공기 흐름경로가 하부 챔버의 토출공을 통해 하부 챔버(910)와 어댑터(920) 내에 일정 압력을 갖도록 하고 어댑터의 토출구(111)로 토출시키는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토출구(11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11)가 쿠션부의 폼패드와 결합시, 폼패드의 토출 통로에 와류를 형성하도록 토출구 내측에 나선형 돌기(112)가 형성된다. 어댑터 또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토출구 외측에 결합되는 나선형 캡(1000)의 형태로 결합되어 와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토출되는 공기가 와류 형태로 토출되어 토출되는 공기 흐름의 세기와 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캡(1000)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캡(1000)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캡(1000)은 공기 토출구에 캡슐형태의 제2 토출구를 삽입, 조립하여 풍압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000) 내부에 회전풍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나사산의 형태를 갖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제2 절곡부(720)를 부연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상부 내측면이 하부로 볼록한 상면 볼록부(721)인 비드면을 형성하고, 상면 볼록부(721)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하부 내측면이 상부로 볼록한 하면 볼록부(722)인 비드면을 형성한다. 제2 절곡부(720)로 인해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50)는 물결모양의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착석시에 체중에 의해 휘어지면서도 공기 흐름을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모서리 끝단까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좌시 유연하게 굽혀줄 수 있게 볼록한 형태의 비드를 추가하는데, 착좌시 비드 상하 비드면을 마주하도록 하면 유로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상하 비드면이 최소 5mm 이상 엇갈리게 하면 유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유연하게 굽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의 스페이서(130)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30)는 착좌시 통풍유로 형성을 용이하게 끔 하기 위해 지지대 역할을 하는 돌기(BOSS)를 여러 위치에 배치하는데, 이러한 돌기 위치와 개수에 상관없이 유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7)

  1.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에 있어서,
    복수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면과,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과 모서리 부분이 부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적어도 한 면에서 다른 면을 향해 형성된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적어도 한 면에서 다른 면을 향해 일정 간격으로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유입구와 마주하는 내측면에 완만한 원추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내측 각 모서리 끝단으로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은 팬으로부터 공기를 이송시키는 이송 덕트가 체결구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 덕트와 체결되는 체결구에 U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착석 시 일정 각도 휘어지도록 하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면은 저면에 부직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공기 토출구 내측에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상기 공기 토출구에 나선형 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이루는 공기 덕트의 일측에 팬과 이송 덕트이송 덕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유입되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구획하여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유입되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중앙측, 좌측, 우측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획하면서, 착석시 일정 각도로 휘어지도록 하는 제1 절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부는 유입구 측을 향하여 일단이 만곡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내측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제2 절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곡부는 상부면의 착석부위에 해당하는 상부 내측면이 하부로 볼록한 상면 볼록부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 볼록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하부면의 내측면이 상부로 볼록한 하면 볼록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면 볼록부와 하면 볼록부 사이가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에 토출공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의 모서리 부분이 부착되어 챔버 형태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하드 재질의 하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의 토출공과 연결되어 폼패드 토출 통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토출구를 갖는 소프트 재질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을 이루는 챔버가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에서 챔버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다가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면과,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과 모서리 부분이 부착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적어도 한 면에서 다른 면을 향해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상부면의 공기 토출구와 폼패드의 공기 통로로 연결되는 쿠션부 및
    상기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등받이부 또는 착석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 시트.
PCT/KR2019/001275 2018-04-30 2019-01-30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WO201921212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02070.1A CN110662670B (zh) 2018-04-30 2019-01-30 通风座椅用风道及具备其的车辆用通风座椅
EP19786895.3A EP3632740B1 (en) 2018-04-30 2019-01-30 Air duct for ventilation seat and vehicle ventilation seat having same
US16/499,409 US11433790B2 (en) 2018-04-30 2019-01-30 Air duct for ventilation seat and ventilation seat having sam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12 2018-04-30
KR1020180049911A KR20190125732A (ko) 2018-04-30 2018-04-30 어댑터 구조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KR10-2018-0049911 2018-04-30
KR1020180049912A KR20190125733A (ko) 2018-04-30 2018-04-30 수직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2124A1 true WO2019212124A1 (ko) 2019-11-07

Family

ID=6838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1275 WO2019212124A1 (ko) 2018-04-30 2019-01-30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33790B2 (ko)
EP (1) EP3632740B1 (ko)
CN (1) CN110662670B (ko)
WO (1) WO2019212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13641A1 (de) * 2020-10-29 2022-05-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tzstruktur für einen Fahrzeugsitz sowie Fahrzeugsitz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352B1 (ko) * 2005-08-19 2009-07-01 베.에.테.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아게 자동차 시트 삽입물
KR101244881B1 (ko) * 2012-11-19 2013-03-19 조동연 차량용 통풍시트의 송풍덕트 구조
KR101280775B1 (ko) 2011-11-21 2013-07-0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통풍시트
KR101549826B1 (ko) * 2014-03-04 2015-09-03 대원산업 주식회사 통풍매트 일체형 쿠션패드
KR20160062237A (ko) 2014-11-24 2016-06-02 대원강업주식회사 통풍시스템 내장형 시트 폼 패드를 이용한 차량용 시트
KR20160083213A (ko) * 2014-12-30 2016-07-12 갑을오토텍(주) 통풍시트
KR20160136858A (ko) * 2015-05-21 2016-11-30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차량용 통풍패드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6382A (en) * 1995-04-03 1997-05-06 Lear Corporation Molded plastic panel having integrated, localized soft-touch aesthetic feature
US6179706B1 (en) * 1998-06-19 2001-01-30 Denso Corporatio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FR2790430B1 (fr) * 1999-03-01 2001-05-18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Procede et systeme de regulation thermique de siege de vehicule
DE10351805A1 (de) * 2002-11-08 2004-05-27 Denso Corp., Kariya Fahrzeugsitzklimaanlage
JP4013765B2 (ja) * 2003-01-14 2007-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ATE299810T1 (de) * 2003-03-06 2005-08-15 Gore W L & Ass Gmbh Klimatisierungssystem zum kühlen und heizen von oberflächen, insbesondere von autositzen
US7114771B2 (en) * 2004-05-25 2006-10-03 Amerigon, Inc. Climate controlled seat
US20090033130A1 (en) * 2007-07-02 2009-02-05 David Marquette Fluid delivery systems for climate controlled seats
JP2010162935A (ja) * 2009-01-13 2010-07-29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US20110260509A1 (en) * 2009-05-22 2011-10-27 Siu David S K Structurally improved seat cushion
US9055820B2 (en) * 2009-11-12 2015-06-16 Igb Automotive Ltd. Air manifold for ventilated seat or bed
JP2013023003A (ja) * 2011-07-19 2013-02-04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101180702B1 (ko) 2012-03-07 2012-09-07 (주)광진윈텍 자동차용 통풍시트
US10493879B2 (en) * 2012-12-05 2019-12-03 Proprietect L.P. Ventilated seat element
US8960791B2 (en) * 2013-07-02 2015-0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im attachment apparatus for vehicle seating assembly
DE202013006135U1 (de) * 2013-07-09 2013-07-25 I.G. Bauerhin Gmbh Klimatisierungs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US9315131B2 (en) * 2014-01-23 2016-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EP3147156B1 (en) * 2014-05-23 2019-08-07 Dayou Holdings Co., Ltd. Multi-hardness cushion for automobile and multi-hardness cushion having ventilation structure
EP3135532B1 (en) 2014-10-07 2017-09-20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Motor vehicle having a seat provided with a system for supplying conditioned air
KR101637704B1 (ko) * 2014-10-28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통풍 시트
DE202014009326U1 (de) * 2014-11-25 2016-02-26 I.G. Bauerhin Gmbh Fahrzeugsitz mit einer Klimatisierungseinrichtung
DE112016000722T5 (de) * 2015-02-13 2017-11-02 Tachi-S Co., Ltd. Fahrzeugsitz
CN113108449B (zh) * 2015-07-21 2022-06-14 捷温汽车系统(中国)有限公司 用于氛围控制支撑装置的连接器
US10279714B2 (en) * 2016-08-26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DE202016005441U1 (de) 2016-09-07 2017-12-08 l. G. Bauerhin GmbH Fahrzeugsitz
DE102017213484B4 (de) * 2017-08-03 2021-07-15 Lear Corporation Sitzanordnung und Verfahren zum Ausbilden einer Sitzanordnung
DE112018006270T5 (de) * 2017-12-07 2020-08-20 Gentherm Incorporated Konditionierungssystem mit b-seitigem Verteilungssystem
US11318869B2 (en) * 2018-12-06 2022-05-03 Gentherm Incorporated Single piece plenum
US10919422B2 (en) * 2019-02-27 2021-02-16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Ventilated sea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352B1 (ko) * 2005-08-19 2009-07-01 베.에.테.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아게 자동차 시트 삽입물
KR101280775B1 (ko) 2011-11-21 2013-07-0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통풍시트
KR101244881B1 (ko) * 2012-11-19 2013-03-19 조동연 차량용 통풍시트의 송풍덕트 구조
KR101549826B1 (ko) * 2014-03-04 2015-09-03 대원산업 주식회사 통풍매트 일체형 쿠션패드
KR20160062237A (ko) 2014-11-24 2016-06-02 대원강업주식회사 통풍시스템 내장형 시트 폼 패드를 이용한 차량용 시트
KR20160083213A (ko) * 2014-12-30 2016-07-12 갑을오토텍(주) 통풍시트
KR20160136858A (ko) * 2015-05-21 2016-11-30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차량용 통풍패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632740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62670A (zh) 2020-01-07
EP3632740A4 (en) 2021-02-17
EP3632740B1 (en) 2022-06-15
US20210402899A1 (en) 2021-12-30
CN110662670B (zh) 2022-07-05
EP3632740A1 (en) 2020-04-08
US11433790B2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04859A1 (ko) 채널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US20200206545A1 (en) Mask apparatus
WO2019212124A1 (ko) 통풍 시트용 공기 덕트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WO2015178712A1 (ko) 차량용 다경도 패드 및 통풍구조가 마련된 다경도 패드
KR101662786B1 (ko) 통풍시트
WO2023017985A1 (ko) 통풍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통풍 패드 시스템
KR20190125784A (ko) 수평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WO2016200110A1 (ko) 기능성 베개
KR20130072393A (ko) 차량용 통풍시트
US20190299826A1 (en) Seat air conditioner
TW570884B (en) A device for delivering conditioned air into a passenger area of a rail vehicle
KR101667797B1 (ko) 통풍시트
WO2016043531A1 (ko) Ptc 덕트 조립구조가 적용된 차량용 냉난방 통풍시트
CN214564805U (zh) 座椅通风散热机构及安全座椅
WO2018182069A2 (ko) 머리 받침 기구
WO2014017842A1 (en) Ventilating seat for motor vehicle
WO2011149189A9 (ko) 럼버서포트용 컴포트매트
KR20190125732A (ko) 어댑터 구조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KR20190125733A (ko) 수직구조의 절곡부를 갖는 차량용 통풍 시트
CN111301238A (zh) 一种新型通风汽车座椅
CN216716394U (zh) 空调挂机
CN209862941U (zh) 一种坐靠垫
WO2023014008A1 (ko)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N217066246U (zh) 一种吸力马达安装罩以及清洁设备
JPH09108070A (ja) 座席用空気吹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7868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1204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868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