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51595A1 - 식품 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식품 건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51595A1
WO2019151595A1 PCT/KR2018/009289 KR2018009289W WO2019151595A1 WO 2019151595 A1 WO2019151595 A1 WO 2019151595A1 KR 2018009289 W KR2018009289 W KR 2018009289W WO 2019151595 A1 WO2019151595 A1 WO 20191515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od
drying
drying chamber
condens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928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상로
강선희
정현철
장세경
위심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1151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3009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1151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3009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에이원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WO20191515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515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dry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directly heat and dry food by using latent heat of the cooling means, and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for drying the food into a drying room and a facility room by partition walls. It relates to a food drying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amount of drying of the food to be dried to facilitat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drying chamber.
  • a separate frame for mounting the food tray loaded with food in the grain dryer is installed to be movable, the food loaded tray is made of a multi-stage arrang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frame.
  • the drying chamber is provided with heating means such as a boiler to dry the food loaded on the tray, heats the air in the drying chamber by heating means such as a boiler to dry the food loaded on the tray, and heats the water through the manifold. It is supplied to a tube installed in the frame to heat the mine.
  • the grain dryer heats air in a drying chamber for drying food by heating means such as a boiler to dry the food loaded in the tray, and supplies the heated water to a tube installed in the frame through the manifold to heat the tray. Is done.
  • the grain dryer requires a separate heating means such as a boiler, a supply pipe equipped with an open / close valve, a manifold, a branch pipe, and the like to increase the cost of the apparatus and to configure the whole system in order to heat the drying chamber and the tray. This has become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required to secure space for installing devices.
  • the grain dryer requires a separate heating means such as a boiler, a supply pipe equipped with an on-off valve, a manifold, and a branch pipe for heating air in the drying chamber and heating a tray loaded with food, thereby increasing the device cost.
  • a separate heating means such as a boiler, a supply pipe equipped with an on-off valve, a manifold, and a branch pipe for heating air in the drying chamber and heating a tray loaded with food, thereby increasing the device cost.
  • a separate heating means such as a boiler, a supply pipe equipped with an on-off valve, a manifold, and a branch pipe for heating air in the drying chamber and heating a tray loaded with food, thereby increasing the device cost.
  •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is complicated, and a separate space is required to install the devices.
  • both the frame on which the food to be dried and the facilities for drying the food are provided in the drying chamber, thereby limiting the amount of drying of the food, and loading the food into the drying chamber when the frame is loaded into the drying chamber.
  • the overall productivity is reduced by limiting the space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import and export of the unloaded. That is, the heating means, the cooling means, the drain means, the decompression means, and the pipes connecting the pipes are installed in the ceiling and surroundings of the drying chamber, and the space for heating the food and the frame for the import and export of the frame are limited. Due to this, not only the drying amount of the food loaded on the frame is limited, but also the drying amount and productivity are lowered.
  • the maintenance of the facility for drying the food is carried out in the drying room, so when the maintenance of the facility is carried out, the frame on which the tray is mounted is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room, or the drying room is formed in the empty room, but the drying room is carried out. If maintenance is performed after the food being dried in the drying room is taken out of the drying room, the trait or tissue of the food may be deformed or the food may be deformed due to temperature change, and the defective product may be formed. When performing the maintenance wor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is difficult to dry the food during the maintenance work time.
  • the pressure reducing pump was used to expand and circulate the indoor air in the drying chamber in atmospheric pressure, but this also complic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such as installing a separate facility and secures a separate space for installing the device. There was a problem that is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using a hot plate in which hot and high pressure solvent flowing from the compressor to the condenser flows in and out of the hot plate directly to dry the food to dry food efficiently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dry a large amount of food in a short time, and the heating system such as a boiler is not required, which not only simplifies the whole system, but also reduces the device cost, and makes it easy to secure space and use spa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drying system that can not only increase the amount of drying but also improve drying productivit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for drying food partitioned into the drying chamber and the equipment room by the partition wall and some components of the cooling means for creating a drying environment of the drying chamber and By installing the ventilation means in the equipment room, the space of the drying room can be easily used to increase the drying amount of the food to be dried.
  • a flow hole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so that the air flow between the drying room and the equipment room is circulated with each other. By discharging the air to reduce the air pressure in the drying chamber and expand the air at room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ry a large amount of food loaded in the drying chamber in a short time. To uniformly expand and condense air in the drying chamber as a whole.
  • heating means such as a boiler are not required, which not only simplifies the entire system, but also reduces the cost of the equipment and maintains the equipment in the equipment room.
  • the cylindrical body a housing in which a drying chamber for drying food is formed;
  • the tray is mounted to be movable to bring in and take out grains into the drying chamber of the housing, and is loaded with grains for loading grains.
  • the base frame has a rectangular shape, a reinforcement fram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vertical fram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rame connected to a vertical frame and having a support fram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in parallel in multiple stages;
  • Cooling means including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a condens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change the refrigerant into a high temperature liquid state, and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for making the refrigerant at a low temperature and a low pressure state; Drain means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cooling means to the outside; And decompression means for depressurizing the internal air of the drying chamber, wherein the hot plate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one end of the hot plate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pipe of the compressor,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detachably communicated with the pipe of the condenser and is configured to heat the tray placed thereon with latent
  • the cylindrical body the housing in which a drying chamber for drying food is formed;
  • a frame which is provided to be movable to bring in and take out grains into a drying chamber of the housing and mounts a tray on which grains are loaded;
  • Cooling means for condens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drying chamber; Drain means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cooling means to the outside;
  • the food drying system comprising a ventilation means for circulating air, the drying chamber of the housing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the equipment room is provided with a facility for creating a drying environment of the drying chamber is formed, the interior of the drying chamber The air and the indoor air of the equipment room are repeatedly circulated to depressurize the drying chamber.
  •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hrough-hole slotted airflow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in a mesh form by passing through at least one airflow hole.
  •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nables the efficient drying of foods, and can significantly shorten the drying time of foods, so that a large amount of foods can be dried in a short time, and the entire system can be simplified.
  • the devic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space can be easily secured and the space can be used to increase the drying amount of food, and the drying efficiency and drying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quality of dried food can be maximized. It can have such an effect.
  • the space of the drying room to increase the amount of drying of the food to be dried, discharge the air remaining in the equipment room to reduce the air pressure in the drying room and expand the air at room temperature to expand the mass of food loaded in the drying room
  • It can be easily dried, and forced circulation of air in the drying chamber allows the air in the drying chamber to be uniformly expanded and condensed as a whole.
  • a heating system such as a boiler is not required, thereby simplifying the whole system.
  • the cost of equipment can be reduced, and maintenance is easy because there is no need to take out the frame loaded with trays from the drying room during maintenance, which can maximize the drying efficiency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drying time of food. Can be effective.
  •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od dr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frame of the food dr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ood dr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FIG. 3.
  •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od dr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ame of the food dr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od drying system 1 is provided with a housing 10 for drying food and being able to be carried in and out of the housing 10, and dried and dried food of the food.
  • Cooling means 30 for condens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n the frame 20 and the housing 20 and the drain means 40 for discharg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cooling means 30 and the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ressure reducing means 50 for reducing the air inside the housing (10).
  • the housing 10 is a cylindrical body, the drying chamber 11 for drying the food is formed therein.
  • the drying chamber 11 is provided with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ood to be dried and the dried food, and the food is dried, the side of the housing 10 to dry the food to be dried in the drying chamber 11 Transparent window is installed to check whether or not dry state.
  •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in the form of a lattice over the entire area for strength reinforcement, the interior or inner air of the housing 10 in the drying chamber 11 and the outside air
  • a reinforcing rib in the form of a lattice over the entire area for strength reinforcement, the interior or inner air of the housing 10 in the drying chamber 11 and the outside air
  • the heat exchang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preferably instal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rame 20 is for mounting a tray 25 on which food is loaded,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so that the food to be dried and the dried food are carried in and out of the drying chamber 11 of the housing 10.
  • the frame 20 is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frame 22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ase frame 21 and the base frame 21 of the rectangular shape, the wheel for movement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haft.
  • vertical frames 23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base frame 21, respectively, and support frames for mounting the channel 25 on both sides of the symmetrical sides of the vertical frames 23 ( 24 is protru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upport frame 24 is arranged in parallel on the vertical frame 23 in multiple stages.
  • the vertical frame 23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21, the support frame 24 i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ide of each vertical frame 23
  • a flow path through which internal air flows may be provided to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frame 23 and the support frame 24,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upport frame 24 is provided with a cover plate 26 for opening or closing the top or the top of the tray 25 on which food is loaded.
  • the tray cover 26 is a hook 26a that i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4 when the food loaded on the tray 25 is replaced, and the tray cover 26 is mounted on the tray cover 26 and stops at the hook 26a. The opened state is maintained by the rotating lever 26b which is released.
  • the cooling means 30 includes a compressor 31, a condenser 33, an expansion valve 35 and an evaporator 37.
  • the compressor 31 is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d is connected to the condenser 33 by a pipe, and provides the compressed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to the condenser 33.
  • the condenser 33 is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10, and phase-changes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flowing after being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31 to a high temperature liquid state.
  • the expansion valve 35 communicates with the condenser 33 by a pipe, and rapidly expands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33 to a low temperature and a low pressure state.
  • the evaporator 37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valve 35 and the compressor 31 by a pipe, by cooling the surrounding air by evaporating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35 to make condensed water.
  • the cooling means 30 includes a compressor 31, a condenser 33, an expansion valve 35, an evaporator 37, and a working fluid or a solvent.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for cooling the room while flowing between, the compressor 31 compresses the refrigerant in the pipe to form a gas state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o provide a condenser 33, the condenser 33 is the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refrigerant is heat-exchanged with the outside air to phase change into a high temperature liquid state, and then provided to an expansion valve 35.
  • the expansion valve 35 rapidly expands the liquid refrigerant to form a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frost type evaporator.
  • the evaporator 37 repeats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endothermic cooling the air in the room using a refrigerant, and then providing the heat-exchanged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31 again.
  •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24 is provided with a hot plate 70, the hot plate 70,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31 by a pipe 31a, the other end is a condenser 33 It is connected to the pipe 33a, and heats the tray 25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4.
  • the compressor 31 flows from the compressor 31 to the condenser 33, and a pipe of the compressor 3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4 to heat and dry the food by using latent heat of the solvent phase-changed in a high temperature liquid state.
  • the inlet port (not shown) of one end of the condenser 33 is communicatively communicated with the heat plate 70, and the outlet plate (not shown) of the other end of the condenser 33 is communicatively communicated with the pipe 31a of the condenser 33. It is provided.
  • the hot plate 70 is a plate-like body, the pipe (70a) is bent in a zig-zag multiple times to flow the solvent phase-changed in a high temperature liquid state therein.
  • the hot plate 70,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ompressor 31 and the pipe 31a, 33a of the condenser 33 is detachably communicated by the hot plate at the time of carrying out the drying of the finished food in the drying chamber 11 ( After removing the pipes 31a and 33a from 70, the frame 20 is moved and taken out, or the pipes 31a and 33a are placed on the hot plate 70 after the frame 20 is loaded with new food. It is easy to use such as drying food by connecting and combining.
  • the hot plate 70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pipes 31a and 33a connected to the condenser 33 in the compressor 31, an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supporting frames 24.
  • the support plate 24 on which the support plate 25 is seated and supported is formed into a plate-shaped body, in which a phase-changed solvent flows into a high-temperature liquid state flowing from the compressor 31 to the condenser 33.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pipe (not shown) to heat the tray 25,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denser 33 is provided with a pressure gauge 33b, one side is provided with a cooling fan 33c. That is,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high temperature solvent flowing through the pipe from the compressor 31 to the condenser 33, the pressure gauge 33b and the pressure gauge 33b indicating the pressure in the condenser 33 There is provided a cooling fan 33c which can be drive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pressure.
  • the cooling fan 33c is driven to condenser 33 Decrease the pressure.
  • the pressure of the condenser 33 is preset in relation to the temperature of the solvent in which the worker flows, and then a valu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pressure is set to a pressure gauge ( 33b), the cooling fan 33c is driven to de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condenser 33 to lower the pressure, and as the pressure of the condenser 33 decreases, the solvent whose temperature is reduced is heated through the hot plate. While the 70 is flowing, the heating and drying temperatures of the tray 25 positioned on the hot plate 70 are adjus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 the temperature of the solvent flowing in the hot plate 70 is approximately 40. °C degree.
  • the indoor air of the drying chamber 11 is dried by directly drying the food in the tray 25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solvent flowing from the compressor 31 to the condenser 33 relative to the pressure of the condenser 33. It is more efficient than the existing food drying system that heated everything.
  • a condenser 33 is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10 of the food drying system 1, and heating means for heating latent heat of a high temperature solvent flowing from the compressor 31 to the condenser 33.
  • heating means for heating latent heat of a high temperature solvent flowing from the compressor 31 to the condenser 33 are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10 of the food drying system 1, and heating means for heating latent heat of a high temperature solvent flowing from the compressor 31 to the condenser 33.
  • a plurality of condensers 33 are provided to operate the condenser 33 at the same time or separately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and the degree of drying of the food required It is also possible to heat and dry the fo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ipes of the compressor 31 and the condenser 33 of the food drying system 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each support frame 24, and bent a number of times in a zigzag form therein.
  • it is configur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and outlet of the hot plate 70 having a pipe to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4 is easy to heat and dry the upper plate 25 of the hot plate 70
  • the pipe provided in the)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structures and for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direct heating of the tray 25 by using the latent heat generated from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mpressor 31 to the condenser 33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10 And it is configured to dry, but the condenser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drying chamber 11, the compressor 31 and the condenser 33 is installed in the outdoor through a pipe through the compressor (31)
  •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drying chamber 11 is increased by using latent heat of the solvent flowing into the condenser in the room, and the solvent flowing from the indoor condenser to the outdoor condenser 33 flows into the hot plate 70 so that the hot plate 70
  • the entire interior of the drying chamber 11 of the housing 10 is primarily heated, and the foods provided in the tray 25 are secondly heated separately. And It is not limited.
  • the drain means 40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37 to collect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by the evaporator 37 to the collecting member, and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by the collecting member is stored in a storage tank. do.
  • the collecting member is installed to cover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vaporator 37 so as to sufficiently collect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by the evaporator 37.
  • the decompression means 50 is for depressurizing the air in the drying chamber 11, and since the inside of the drying chamber 11 is in an atmospheric pressure state, indoor air is inflated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50) applies.
  • the decompression means 50 is composed of a decompression pump, the pressure in the drying chamber 11 to lower the pressure in the drying chamber 11 by discharging the air in the drying chamber 11 to the outside by the pressure-reducing pump, thereby the air in the drying chamber 11 As it expands, it becomes lighter, so that the movement and circulation of air becomes active.
  • the pressure reducing pump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drying chamber 11 by a pi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od drying system 1 further comprises a blowing means, wherein the blowing means is made of a blowing fan to circulate the air in the drying chamber 11 so that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can be uniformly dried.
  •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ood dr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FIG.
  • the food drying system 1 comprises a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ing a blowing means (60).
  • the drying chamber 11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5, the facility chamber 13 for forming a drying environment of the drying chamber 11 is formed. That is,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is divided into a drying chamber 11 and a facility chamber 13 by the partition wall 15, and the facility chamber 13 has cooling means 30 and a drain means 40. ) And a blowing means (60) is installed.
  • At least one airflow hole 15a, 15b is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15, and the airflow hole 15a, 15b is formed in a slot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15.
  • the airflow holes 15a and 15b are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15 so that the indoor air of the drying chamber 11 and the indoor air of the facility chamber 13 are repeatedly circulated.
  • the airflow holes 15a and 15b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partition wall 15 are preferably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other various shapes, and the airflow holes 15a and 15b may be formed.
  • the size or diameter is preferably formed to the extent that the airflows of the drying chamber 11 and the facility chamber 13 are easily circulat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airflow holes 15a and 15b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15, the plurality of airflow holes 15a and 15b are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15.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lurality of penetrating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irflow holes 15a and 15b are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15 so as to circulate airflow of the drying chamber 11 and the facility chamber 13, but the partition 15 is At least one airflow hole is formed through,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mesh (Mesh). That is, a plurality of airflow holes ar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5 that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 into the drying chamber 11 and the facility chamber 13, but the overall shape may be formed in a mesh form or a net form. Do.
  • the partition wall 15 is easy to circulate the air flow of the drying chamber 11 and the facility chamber 13 even when the airflow hole is formed in a mesh form.
  • the condenser 50 is installed in the drying chamber 11, and phase-changes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flowing after being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31 into a high-temperature liquid state.
  • the expansion valve 35 communicates with the condenser 50 by a pipe, and rapidly expands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50 to a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state.
  • the condenser 5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drying chamber 11, the compressor 31, the expansion valve 35 and the evaporator 37 is installed in the equipment room 13,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mutual pipes. do.
  • the food drying system 1 heats the internal air of the drying chamber 11 by using the latent heat of the condenser 50 installed in the drying chamber 11 of the housing 10. That is, the compressor 31 flows from the compressor to the condenser 50, and the drying chamber 11 is heated to dry the food by using the latent heat of the solvent, which has been phase-changed into a high-temperature liquid state, to dry food. It is possible to delete the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indoor air,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equipment can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it is easy to utilize the space in the drying chamber (11).
  • the drying chamber 11 and the facility chamber 13 of the housing 10 ar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5, so that the air flow of the drying chamber 11 and the facility chamber 13 is circulated repeatedly. Not only does the air pressure inside the drying chamber 11 be reduced, but the air is expanded and moved at room temperature to facilitate the heating of the food loaded on the tray 25.
  • the air blowing means 60 is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facility chamber 13 opposite to the partition wall 15 partitioning the drying chamber 11 and the facility chamber 13 to provide airflow between the drying chamber 11 and the facility chamber 13. To circulate.
  • the blower means 60 is formed of a blower, and a plurality of blowers 60 ar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wall surface of the facility chamber 13.
  • the blower provided on the lower wall side of the facility chamber 13 sucks the indoor air of the drying chamber 11 and flows into the facility chamber 13, and the blower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upper side of the facility chamber 13 It is preferable that the indoor air of the equipment room 13 is sucked and discharged to the drying chamber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ir flow between the drying chamber 11 and the facility chamber 13 is circulated by the blowing means 60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facility chamber 13 to pressurize the indoor air inside the drying chamber 11.
  • a pressure reducing means (not shown) is not required to inflate by the car separately, the pressure reducing means is provided in the equipment room 13 to discharge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equipment room 13 from the drying chamber 11 to the outside. It is also possible to lowe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rying chamber 11 to activate circulation of the airflow.
  • a through-hole having a fan is formed on the wall or side of the facility room 13, and the fan is driven to discharge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facility room 13 from the drying room 11 through the discharge port to the outside.
  • circulation of the air stream can also be made active.
  • air blowing holes 15a and 15b through which the blowing means 60 penetrates the partition wall 15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air blowing provided in the airflow hole 15b formed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5.
  • the means 60 is configured to allow the indoor air of the drying chamber 11 to flow into the facility chamber 13, and the blowing means 60 provided in the air flow hole 15a formed therethrough is provided in the facility chamber 13. It is also possible to flow the air in the drying chamber 11 to the drying chamber 11, the air flow circulation of the drying chamber 11 and the equipment room 13 may be acti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icient drying of foods and drying of foods in a short time by drying the foods by directly heating the tray using hot plates in which hot and high pressure solvents flowing from the compressor to the condenser flow in and out. Since no heating means such as a boiler is required, not only can the whole system be simplified, but also the devic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space can be increased and the space can be easily used to increase the drying amount of food, and also to improve dry productivity. There is industrial applicability as a food drying system that allows th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식품의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식품의 건조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어 단시간에 대용량의 식품 건조가 가능하고, 전체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간확보 및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효율 및 건조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건조된 식품의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식품 건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식품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지지프레임(24)의 하단에 열판(70)이 구비되되, 열판(70)의 일측 단부는 압축기(31)의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고, 그 타측 단부는 응축기(33)의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며,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유동하는 고온의 용매에서 발생되는 잠열로 그 상부에 위치하는 채반(25)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 건조시스템
본 발명은 식품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수단의 잠열을 이용하여 식품을 직접적으로 가열 및 건조할 수 있고,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격벽에 의해 건조실과 설비실로 구획함으로써 건조실의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건조될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식품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식품 건조기는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식품을 건조하는 화력 건조방식과 저온상태에서 장시간 식품을 건조하는 동결 건조방식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화력 건조방식의 경우, 건조실에 열풍을 공급하거나, 가열된 유체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적용되고, 식품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건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식품 고유의 조직이 파괴됨과 동시에 형질이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동결 건조방식의 경우, 장시간 저온상태에서 건조함으로써 건조된 식품이 얼어서 파삭파삭해지는 등 조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81867호(2009.02.04.)에 건조실 내부 공기압을 감압시켜 상온 상태에서 공기를 팽창시키고, 이와 동시에 내부 공기압을 감압시켜 상온 상태에서 공기를 팽창시킴과 동시에 천정에 설치된 증발기가 팽창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응결시켜 이를 외부로 드레인시키며, 천정에 설치된 송풍기가 건조실의 공기를 강제순환시켜 전체적으로 공기가 균일하게 팽창과 응결되도록 하여 단시간에 식품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곡물 건조기가 제안되었다.
여기서, 곡물 건조기 내에 식품이 적재된 채반을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식품이 적재된 채반은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다단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건조실에는 채반에 적재된 식품을 건조하기 위하여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이 구비되고,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으로 건조실의 공기를 가열하여 채반에 적재된 식품을 건조하며, 가열된 물을 메니폴드를 통해 프레임에 설치된 관에 공급하여 채반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종래기술에 따른 곡물 건조기는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으로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의 공기를 가열하여 채반에 적재된 식품을 건조하고, 가열된 물을 메니폴드를 통해 프레임에 설치된 관으로 공급하여 채반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곡물 건조기는 건조실 및 채반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보일러, 개폐밸브가 장착된 공급관, 메니폴드, 분기관 등 별도의 가열수단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장치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장치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건조실에서의 식품 건조량이 한정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곡물 건조기는 건조실의 공기를 가열하고 식품이 적재된 채반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 개폐밸브가 장착된 공급관, 메니폴드, 분기관 등 별도의 가열수단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장치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장치들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조실 내에 건조될 식품이 탑재된 프레임과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설비시설들이 모두 구비됨으로써 식품의 건조량이 한정될 뿐만 아니라, 건조실로 채반이 탑재된 프레임의 반입 및 반출 시, 건조실로 식품이 적재된 채반의 반입 및 반출 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 또한 한정됨으로써 전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건조실의 천정 및 주변에 가열수단, 냉각수단, 드레인수단, 감압수단 및 이를 연결하는 파이프가 복잡하게 설치되어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공간 및 프레임이 반입 및 반출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한정적이며, 이로 인해 프레임에 적재되는 식품의 건조량이 한정적일 뿐만 아니라, 건조량 및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설비시설의 유지보수가 건조실 내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설비시설의 유지보수 시 채반이 탑재된 프레임을 건조실 외부로 반출하거나, 건조실을 공실로 형성한 후 진행하도록 이루어지나, 건조실 내에서 건조 중인 식품을 건조실 외부로 반출한 후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경우, 온도 변화에 따라 식품의 형질 또는 조직이 변형되거나, 식품이 변질되어 불량품이 발생될 수 있으며, 건조실을 공실로 형성한 후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경우, 유지보수작업 시간 동안 식품의 건조가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대기압 상태로 있는 건조실 내부의 실내 공기를 팽창시켜 순환되도록 감압펌프를 이용하였으나, 이 또한 별도의 설비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등 전체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압축기에서 응축기로 유동하는 고온 및 고압의 용매가 유입 및 유출되는 열판을 이용하여 채반을 직접 가열하여 식품을 건조함으로써 식품의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단시간에 대용량의 식품 건조가 가능하고,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전체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간확보 및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격벽에 의해 건조실과 설비실로 구획하고 건조실의 건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냉각수단의 일부 구성요소와 송풍수단을 설비실에 설치함으로써 건조실의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건조될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격벽에 유동홀이 형성되어 건조실과 설비실의 기류가 상호 순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설비실에 잔류된 공기의 배출하여 건조실 내부 공기압을 감압시키고 상온 상태에서 공기를 팽창시켜 건조실 내에 적재된 대용량의 식품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고, 설비실 내에 설치되는 송풍수단에 의해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건조실 내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팽창 및 응결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냉각수단의 잠열을 이용하여 건조실 내부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전체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비실에서 설비시설의 유지보수가 진행됨으로써 유지보수 시 건조실에서 채반이 탑재된 프레임을 반출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가 간편용이한 식품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상체로서, 내부에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이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건조실에 곡물을 반입 및 반출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곡물이 적재되는 채반이 탑재되되, 사각형태의 베이스프레임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보강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에 연결되어 그 상부에 채반이 탑재되는 지지프레임이 다단으로 병렬배치되는 프레임; 냉매를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되, 냉매를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와, 냉매를 저온 및 저압 상태로 만드는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각수단; 냉각수단에서 발생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수단; 및 건조실의 내부 공기를 감압하는 감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품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의 하단에 열판이 구비되되, 열판의 일측 단부는 압축기의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고, 그 타측 단부는 응축기의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며, 압축기에서 응축기로 유동하는 고온의 용매에서 발생되는 잠열로 그 상부에 위치하는 채반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열판은 판형상체로서, 그 내부에 고온의 용매가 유동되기 위한 파이프가 지그재그형태로 다수번 절곡형성된다.
한편, 응축기에 압력게이지가 연결되고, 그 일측에 냉방팬이 구비되며, 압력게이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냉방팬이 구동되어 응축기의 압력을 하강시켜 용매의 온도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원통형상체로서, 내부에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이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건조실에 곡물을 반입 및 반출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곡물이 적재되는 채반을 탑재하는 프레임; 건조실의 내부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응결시키는 냉각수단; 냉각수단에서 발생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수단;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품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징의 건조실이 격벽에 의해 구획되되, 건조실의 건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설비시설이 구비되는 설비실이 형성되고, 건조실의 실내 공기와 설비실의 실내 공기가 반복적으로 순환되어 건조실을 감압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격벽은 수직방향으로 슬롯형태의 기류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형성된다.
대안적으로는, 격벽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류홀이 관통형성되어 매쉬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설비실의 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수단이 구비되되, 하부측에 구비되는 송풍수단은 건조실의 실내 공기를 설비실로 흡입하고, 그 상부측에 구비되는 송풍수단은 설비실의 실내 공기를 건조실로 배출하여 하우징 내 기류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갖는 본 발명은, 식품의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식품의 건조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어 단시간에 대용량의 식품 건조가 가능하고, 전체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간확보 및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효율 및 건조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건조된 식품의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건조실의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건조될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설비실에 잔류된 공기의 배출하여 건조실 내부 공기압을 감압시키고 상온 상태에서 공기를 팽창시켜 건조실 내에 적재된 대용량의 식품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고,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건조실 내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팽창 및 응결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전체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보수 시 건조실에서 채반이 탑재된 프레임을 반출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가 간편용이하고, 건조효율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식품의 건조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3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1)은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반입 및 반출가능하게 구비되되, 식품의 건조 및 건조된 식품이 적재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하우징(20) 내의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응결시키는 냉각수단(30)과 상기 냉각수단(30)에서 발생된 응결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 공기를 감압하는 감압수단(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상체로서, 그 내부에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실(11)에는 건조할 식품 및 건조된 식품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도어가 개, 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는 건조실(11) 내부에서 건조되는 식품의 건조 여부 또는 건조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외주연에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전체 면적에 걸쳐 보강리브가 격자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내주연에는 건조실(11)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의 열교환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재 등이 내장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프레임(20)은 식품이 적재된 채반(25)을 탑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의 건조실(11)에서 건조될 식품 및 건조된 식품이 반입 및 반출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0)은 사각형태의 베이스프레임(2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보강프레임(22)이 연결설치되고, 이동을 위한 바퀴가 샤프트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중심부 양 측에 수직방향으로 수직프레임(23)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수직프레임(23)의 대칭되는 양 측면에 채반(25)이 안착되기 위한 지지프레임(24)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지지프레임(24)은 수직프레임(23) 상에 다단으로 병렬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23)은 베이스프레임(21)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연결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4)은 각 수직프레임(23)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치됨으로써 수직프레임(23) 및 지지프레임(24) 사이의 공간으로 내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제공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24)에는 식품이 적재되는 채반(25)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채반덮개(26)가 개, 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채반덮개(26)는 채반(25)에 적재된 식품의 교체 시 지지프레임(24)에 장착되는 걸고리(26a)로 채반덮개(26) 상부에 장착되되, 상기 걸고리(26a)에 걸림정지 및 해제되는 회전레버(26b)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채반(25) 상에서 채반덮개(26)를 개방할 경우, 상기 채반덮개(26)를 들어올려 걸고리(26a)를 회전레버(26b)의 구멍에 삽입하고, 개방된 채반(25)을 프레임(20)에서 분리한 다음 채반(25)에서 건조가 완료된 식품을 비운 후 다시 건조를 위한 식품을 채반(25)에 적재하는 등 식품의 교체가 간편용이해진다.
상기 냉각수단(30)은 압축기(31)와 응축기(33)와 팽창밸브(35) 및 증발기(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31)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응축기(33)에 파이프로 연통되되, 압축된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응축기(33)에 제공한다.
상기 응축기(33)는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압축기(31)에서 압축된 후 유동하는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35)는 상기 응축기(33)에 파이프로 연통되되, 응축기(33)를 통과한 냉매를 급격히 팽창시켜 저온 및 저압 상태로 만든다.
또한, 상기 증발기(37)는 팽창밸브(35) 및 압축기(31)에 파이프로 연통되되, 상기 팽창밸브(35)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주변의 공기를 냉각하여 응결수로 만든다.
상기한 바와 같은 냉각수단(30)은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압축기(31)와 응축기(33)와 팽창밸브(35) 및 증발기(37)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작업유체 또는 용매 등이 이들 사이를 사이를 유동하면서 실내를 냉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기(31)가 파이프 내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및 고압의 기체상태를 만들어 응축기(33)로 제공하고, 상기 응축기(33)는 이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킨 다음 팽창밸브(35)로 제공하며, 상기 팽창밸브(35)는 액체의 냉매를 급격히 팽창시켜 저온 및 저압의 서리형태로 만들어 증발기(37)로 제공하고, 상기 증발기(37)는 냉매를 이용해 실내의 공기를 흡열하여 냉방시킨 후 열교환된 냉매를 다시 압축기(31)로 제공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24)의 하단에는 열판(70)이 구비되되, 상기 열판(70)은 그 일측 단부가 압축기(31)에 파이프(31a)로 연결되고, 그 타측 단부가 응축기(33)에 파이프(33a)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4)의 상부에 탑재되는 채반(25)을 가열한다.
즉, 상기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유동하되,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된 용매의 잠열을 이용해 식품을 가열 및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4)의 하단에는 압축기(31)의 파이프(31a)에 그 일측 단부의 유입구(미도시)가 분리가능하게 연통되고, 응축기(33)의 파이프(33a)에 그 타측 단부의 유출구(미도시)가 분리가능하게 연통되는 열판(70)이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판(70)은 판형상체로서, 그 내부에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된 용매가 유동하기 위한 파이프(70a)가 지그재그형태로 다수번 절곡형성된다.
이때, 상기 열판(70)은 그 유입구 및 유출구가 압축기(31) 및 응축기(33)의 각 파이프(31a, 33a)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됨으로써 건조실(11) 내에 건조가 완료된 식품의 반출 시 열판(70)에서 각 파이프(31a, 33a)를 분리한 후 프레임(20)을 이동하여 반출시키거나, 새로운 식품이 탑재된 프레임(20)의 반입 후 열판(70)에 각 파이프를(31a, 33a) 연결 및 결합하여 식품을 건조시키는 등 사용이 간편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연결되는 각 파이프(31a, 33a)에 열판(70)이 연통되되, 상기 각 지지프레임(24)의 하단에 구비되어 그 상부에 위치하는 채반(25)을 가열함으로써 건조실(11)의 실내 공기를 가열하거나, 채반(25)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 등 별도의 가열수단을 삭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 설비를 감소시킬 수 있어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실(11) 내의 공간활용이 용이하며, 채반(25)에만 직접적으로 열을 가함으로써 식품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식품 건조시스템에서 건조실(11)의 상부에 설치되었던 실내의 응축기의 삭제가 가능하여 건조실(11)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실(11)에 기존 대비 대량의 식품을 탑재하거나, 대량의 식품을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판(70)이 직사각형태의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부에 파이프(70a)가 지그재그형태로 다수번 절곡형성되어 그 상부에 탑재되는 채반(25)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열판(70)이 지그재그형태로 다수번 절곡형성되는 파이프(70a)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열판(70)이 환형으로 형성되되, 격자형태의 분기관(미도시)이 연통형성되는 형태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채반(25)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프레임(24)을 판형상체로 형성하되, 그 내부에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유동하는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된 용매가 유동하기 위한 파이프(미도시)를 설치하여 채반(25)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하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응축기(33)에는 압력게이지(33b)가 구비되고, 그 일측에는 냉방팬(33c)이 구비된다. 즉, 상기 압축기(31)에서 파이프를 통해 응축기(33)로 유동하는 고온의 용매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응축기(33)에는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33b) 및 상기 압력게이지(33b)의 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냉각팬(33c)이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응축기(33)의 압력게이지(33b)에 식품의 종류, 요구되는 식품의 건조 정도 등에 의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냉각팬(33c)이 구동하여 응축기(33)의 압력을 하강시킨다. 예를 들면, 건조실(11) 내에서 건조되기 위한 식품의 종류 또는 건조 정도를 고려하여 작업자가 유동하는 용매의 온도 대비 응축기(33)의 압력을 기설정한 다음, 설정된 압력 이상의 값이 압력게이지(33b)에 표시될 경우, 냉각팬(33c)이 구동되어 응축기(33)의 온도를 감소시켜 압력을 하강시키고, 상기 응축기(33)의 압력이 하강함에 따라 온도가 감소된 용매가 파이프를 통해 열판(70)을 유동하면서 상기 열판(70) 상부에 위치하는 채반(25)의 가열 및 건조 온도를 적정 온도로 조절한다.
이때, 상기 응축기(33)의 압력 대비 열판(70) 내에서 유동하는 용매의 온도는 응축기(33)의 압력이 15kgf/cm2일 경우, 열판(70) 내에서 유동하는 용매의 온도는 대략 40℃ 정도이다.
이는, 쌀을 기준으로 예시한 것이다. 우리가 주식으로 사용하는 쌀을 건조할 경우에는 40℃가 넘지 않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쌀의 건조 온도가 40℃ 이상이 되어 너무 높으면 효모가 파괴됨은 물론 밥맛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33)의 압력 대비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유동하는 용매의 온도에 따라 채반(25)에 위치하는 식품을 직접적으로 건조함으로써 건조실(11)의 실내 공기 전부를 데웠던 기존 식품 건조시스템에 비해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품 건조시스템(1)의 하우징(10) 외부에 응축기(33)가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유동하는 고온의 용매의 잠열을 가열수단으로 이용하여 채반(25)의 식품을 가열 및 건조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응축기(33)가 다수개 구비되어 식품의 종류 및 식품의 건조 정도에 따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응축기(33)를 동작시켜 요구하는 온도로 식품을 가열 및 건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품 건조시스템(1)의 압축기(31) 및 응축기(33)의 파이프가 각 지지프레임(24) 하단에서 구비되되, 그 내부에 지그재그형태로 다수번 절곡형성되는 파이프를 갖는 열판(70)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지지프레임(24)의 하단에 구비되어 그 상부의 채반(25)을 가열 및 건조시키기 용이하다면 상기 열판(70) 내에 구비되는 파이프가 기타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축기(31)에서 하우징(10)의 실외에 구비되는 응축기(33)로 유동하는 고온 및 고압의 냉매에서 발생되는 잠열을 이용하여 채반(25)을 직접 가열 및 건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건조실(11)의 실내에 응축기(미도시)를 설치하되, 압축기(31) 및 실외에 설치되는 응축기(33)에 파이프로 연통시켜 상기 압축기(31)를 통하여 실내의 응축기로 유동하는 용매의 잠열을 이용하여 건조실(11)의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고, 실내의 응축기에서 실외의 응축기(33)로 유동하는 용매를 열판(70)으로 유입시켜 열판(70)의 상부에 위치하는 채반(25)을 가열 및 건조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건조실(11) 실내 전체를 1차적으로 가열하고, 채반(25)에 구비되는 식품들을 2차적으로 개별가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드레인수단(40)은 상기 증발기(37)의 하부에 설치되어 증발기(37)에 의해 응결되는 응결수를 집수부재로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집수부재에 의해 집수된 응결수는 저장탱크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재는 증발기(37)에 의해 응결되는 응결수를 충분히 집수할 수 있도록 증발기(37)의 길이방향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압수단(50)은 건조실(11) 내부의 공기를 감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조실(11) 내부는 대기압 상태이므로 실내 공기가 압력차에 의해 팽창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감압수단(50)이 적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감압수단(50)은 감압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압펌프에 의해 건조실(1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건조실(11) 내부 압력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건조실(11) 내의 공기가 팽창되면서 가벼워져 공기의 운동 및 순환이 활발해진다.
실제로, 건조실(11) 내부의 압력을 16mmAq까지 낮춘 상태에서 약 320kg의 쌀을 건조시킬 경우, 기존의 경우에는 대략 72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1)은 대략 10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기존 대비 7배 정도의 시간절감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감압펌프는 건조실(11) 내부와 파이프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1)은 송풍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수단은 건조실(11) 내의 공기를 순환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습기가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송풍팬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1)은 송풍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건조실(11)은 격벽(15)에 의해 구획되되, 상기 건조실(11)의 건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설비실(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은 격벽(15)에 의해 건조실(11)과 설비실(13)로 구획되어 분리되되, 상기 설비실(13)에는 냉각수단(30)과 드레인수단(40) 및 송풍수단(60) 등의 설비시설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1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류홀(15a, 15b)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기류홀(15a, 15b)은 격벽(15)의 수직방향에 슬롯형태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5)에 기류홀(15a, 15b)이 관통형성됨으로써 건조실(11)의 실내 공기와 설비실(13)의 실내 공기가 반복적으로 순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격벽(15)에 관통형성되는 기류홀(15a, 15b)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원형상 또는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기류홀(15a, 15b)의 크기 또는 직경은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가 순환하기 용이한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류홀(15a, 15b)이 상기 격벽(15)의 수직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관통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기류홀(15a, 15b)이 격벽(15)의 수평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관통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벽(15)에 기류홀(15a, 15b)이 관통형성되어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격벽(15)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류홀이 관통형성되되, 메쉬(Mesh)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건조실(11)과 설비실(13)로 구획하는 격벽(15)에는 복수 개의 기류홀이 관통형성되되, 전체 형상이 메쉬형태 또는 그물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5)은 기류홀이 관통형성되는 메쉬형태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가 순환하기 용이하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50)는 건조실(11)에 설치되되, 상기 압축기(31)에서 압축된 후 유동하는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35)는 상기 응축기(50)에 파이프로 연통되되, 응축기(50)를 통과한 냉매를 급격히 팽창시켜 저온 및 저압상태로 만든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50)는 건조실(11)의 천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31), 팽창밸브(35) 및 증발기(37)는 설비실(13)에 설치되며, 상호 파이프로 각각 연통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1)은 하우징(10)의 건조실(11)에 설치된 응축기(50)의 잠열을 이용하여 건조실(11)의 내부 공기를 가열한다. 즉, 상기 압축기(31)에서 응축기(50)로 유동하되,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된 용매의 잠열을 이용하여 건조실(11) 실내 공기를 가열하여 식품을 건조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에 건조실(11) 실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의 삭제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전체 설비를 감소시킬 수 있어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건조실(11) 내의 공간활용이 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건조실(11) 및 설비실(13)이 격벽(15)에 의해 구획되되,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가 반복적으로 순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건조실(11) 내부의 공기압을 감압시킬 뿐만 아니라, 상온 상태에서 공기를 팽창 및 운동시켜 채반(25)에 적재된 식품의 가열이 간편용이해진다.
상기 송풍수단(60)은 건조실(11)과 설비실(13)을 구획하는 격벽(15)에 대향되는 설비실(13)의 벽면에 구비되어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송풍수단(60)은 송풍기로 이루어지고, 설비실(13)의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설비실(13)의 벽면 하부측에 구비되는 송풍기는 건조실(11)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설비실(13)로 유입하고, 설비실(13)의 벽면 상부측에 구비되는 송풍기는 설비실(13)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실(11)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설비실(13)의 벽면에 구비되는 송풍수단(60)에 의해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가 순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건조실(11) 내부의 실내 공기를 압력차에 의해 팽창시키기 위한 감압수단(도번 미도시)이 별도로 요구되진 않으나, 상기 설비실(13)에 감압수단이 구비되어 건조실(11)에서 설비실(13)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건조실(11)의 내부 압력을 저하시켜 기류의 순환을 활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비실(13)의 벽면 또는 측면에 팬이 구비되는 배출구를 관통형성하고, 상기 팬을 구동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건조실(11)에서 설비실(13)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건조실(11)의 내부 압력을 저하시킴으로써 기류의 순환을 활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송풍수단(60)이 상기 격벽(15)에 관통형성되는 기류홀(15a, 15b)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격벽(15)의 하부에 관통형성되는 기류홀(15b)에 구비되는 송풍수단(60)은 건조실(11)의 실내 공기를 설비실(13)로 유동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부에 관통형성되는 기류홀(15a)에 구비되는 송풍수단(60)은 설비실(13)의 실내 공기를 건조실(11)로 유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상기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 순환이 활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축기에서 응축기로 유동하는 고온 및 고압의 용매가 유입 및 유출되는 열판을 이용하여 채반을 직접 가열하여 식품을 건조함으로써 식품의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단시간에 대용량의 식품 건조가 가능하고,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전체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간확보 및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7)

  1. 원통형상체로서, 내부에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이 형성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건조실(11)에 곡물을 반입 및 반출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곡물이 적재되는 채반(25)이 탑재되되, 사각형태의 베이스프레임(21)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보강프레임(22)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수직프레임(23) 및 수직프레임(23)에 연결되어 그 상부에 채반(25)이 탑재되는 지지프레임(24)이 다단으로 병렬배치되는 프레임(20); 냉매를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31)와, 냉매를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33)와, 냉매를 저온 및 저압 상태로 만드는 팽창밸브(35) 및 증발기(37)를 포함하는 냉각수단(30); 상기 냉각수단(30)에서 발생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수단(40); 및 건조실(11)의 내부 공기를 감압하는 감압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품 건조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4)의 하단에 열판(70)이 구비되되, 상기 열판(70)의 일측 단부는 압축기(31)의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고, 그 타측 단부는 응축기(33)의 파이프에 분리가능하게 연통되며, 상기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유동하는 고온의 용매에서 발생되는 잠열로 그 상부에 위치하는 채반(25)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판(70)은 판형상체로서, 그 내부에 고온의 용매가 유동되기 위한 파이프가 지그재그형태로 다수번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33)에 압력게이지(33b)가 연결되고, 그 일측에 냉방팬(33c)이 구비되며, 상기 압력게이지(33b)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냉방팬(33c)이 구동되어 응축기(33)의 압력을 하강시켜 용매의 온도를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건조실(11)이 격벽(15)에 의해 구획되되, 건조실(11)의 건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설비시설이 구비되는 설비실(13)이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11)의 실내 공기와 설비실(13)의 실내 공기가 반복적으로 순환되어 건조실(11)을 감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벽(15)은 수직방향으로 슬롯형태의 기류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격벽(15)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류홀이 관통형성되어 매쉬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설비실(13)의 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수단(60)이 구비되되, 하부측에 구비되는 송풍수단(60)은 건조실(11)의 실내 공기를 설비실(13)로 흡입하고, 그 상부측에 구비되는 송풍수단(60)은 설비실(13)의 실내 공기를 건조실(11)로 배출하여 하우징(10) 내 기류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PCT/KR2018/009289 2018-01-30 2018-08-13 식품 건조시스템 WO201915159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514A KR102030096B1 (ko) 2018-01-30 2018-01-30 식품 건조시스템
KR10-2018-0011514 2018-01-30
KR1020180011515A KR102030097B1 (ko) 2018-01-30 2018-01-30 식품 건조시스템
KR10-2018-0011515 2018-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1595A1 true WO2019151595A1 (ko) 2019-08-08

Family

ID=6747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9289 WO2019151595A1 (ko) 2018-01-30 2018-08-13 식품 건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1515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4220A (zh) * 2022-06-29 2022-09-30 江西天狼非金属新材料有限公司 一种废玻璃纤维加工成玻璃熟料的冷却装置
CN115289805A (zh) * 2022-08-01 2022-11-04 中垦种业股份有限公司 一种小麦种粮干燥设备及其干燥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3519A (en) * 1991-10-30 1994-10-11 Saibu Gas Co., Ltd. Vacuum drying equipment
JPH0972661A (ja) * 1995-09-04 1997-03-18 Rinnai Corp 乾燥装置
KR100881867B1 (ko) * 2008-03-11 2009-02-04 (주)범양냉열 곡물 건조기
KR101268123B1 (ko) * 2011-03-22 2013-05-29 백인성 건조물의 2방향 적재와 건조온풍의 별도 가열/제습이 가능한 농수산물 건조기
KR101415966B1 (ko) * 2013-04-10 2014-07-04 최종민 농수산물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3519A (en) * 1991-10-30 1994-10-11 Saibu Gas Co., Ltd. Vacuum drying equipment
JPH0972661A (ja) * 1995-09-04 1997-03-18 Rinnai Corp 乾燥装置
KR100881867B1 (ko) * 2008-03-11 2009-02-04 (주)범양냉열 곡물 건조기
KR101268123B1 (ko) * 2011-03-22 2013-05-29 백인성 건조물의 2방향 적재와 건조온풍의 별도 가열/제습이 가능한 농수산물 건조기
KR101415966B1 (ko) * 2013-04-10 2014-07-04 최종민 농수산물 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4220A (zh) * 2022-06-29 2022-09-30 江西天狼非金属新材料有限公司 一种废玻璃纤维加工成玻璃熟料的冷却装置
CN115289805A (zh) * 2022-08-01 2022-11-04 中垦种业股份有限公司 一种小麦种粮干燥设备及其干燥工艺
CN115289805B (zh) * 2022-08-01 2023-07-21 中垦种业股份有限公司 一种小麦种粮干燥设备及其干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867B1 (ko) 곡물 건조기
WO2011074746A1 (ko) 건조 장치
WO2019151595A1 (ko) 식품 건조시스템
US5117563A (en) Heat recuperator from clothes dryer
WO2010024552A2 (ko) 건조장치
KR100323473B1 (ko) 건조기
KR102030096B1 (ko) 식품 건조시스템
KR100828142B1 (ko) 농수산물의 냉풍 건조장치
WO2017034187A1 (ko) 건조기
WO2015137748A1 (ko) 식품 건조기
KR101436754B1 (ko) 옷 건조시스템
KR102030097B1 (ko) 식품 건조시스템
WO2021125397A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CN213097751U (zh) 一种具有除湿功能的烘烤系统
DK164836B (da) Gennemloebstoerreovn for teglsten og fremgangsmaade til styring af dens funktion
JPH1163818A (ja) 穀物乾燥装置
JP2001120899A (ja) 衣類乾燥システム
JPH02147097A (ja) 衣類乾燥装置
CN206131663U (zh) 带式药材烘干机
CN219916717U (zh) 一种硬盘储存箱的干燥机构
FI81440C (fi) Multifunktionell luftkonditioneringsapparat.
JP3843085B2 (ja) サンプル穀物乾燥装置
KR102437342B1 (ko) 에너지절감형 농수산물 건조시스템
JPH10197150A (ja) 多連式きのこ乾燥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14532567B (zh) 一种密集烤房结构及气水分离排湿与湿球温度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039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039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