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097B1 - 식품 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식품 건조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0097B1 KR102030097B1 KR1020180011515A KR20180011515A KR102030097B1 KR 102030097 B1 KR102030097 B1 KR 102030097B1 KR 1020180011515 A KR1020180011515 A KR 1020180011515A KR 20180011515 A KR20180011515 A KR 20180011515A KR 102030097 B1 KR102030097 B1 KR 1020300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drying chamber
- food
- air
-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조실의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건조될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설비실에 잔류된 공기의 배출하여 건조실 내부 공기압을 감압시키고 상온 상태에서 공기를 팽창시켜 건조실 내에 적재된 대용량의 식품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고,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건조실 내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팽창 및 응결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전체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는 식품 건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원통형상체로서, 내부에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의 건조실에 곡물을 반입 및 반출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곡물이 적재되는 채반을 탑재하는 프레임(20)과, 건조실의 내부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응결시키는 냉각수단(30)과, 냉각수단에서 발생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수단(40) 및,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품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징(10)의 건조실(11)이 격벽(15)에 의해 구획되되, 건조실(11)의 건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설비시설이 구비되는 설비실(13)이 형성되고, 건조실(11)의 실내 공기와 설비실(13)의 실내 공기가 반복적으로 순환되어 건조실을 감압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품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격벽에 의해 건조실과 설비실로 구획함으로써 건조실의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건조될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식품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식품 건조기는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식품을 건조하는 화력 건조방식과 저온상태에서 장시간 식품을 건조하는 동결 건조방식으로 나뉜다.
여기서, 화력 건조방식의 식품 건조기는 건조실에 열풍을 공급하거나, 가열된 유체를 공급하여 식품을 건조하는 방식으로서, 식품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건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식품 고유의 조직이 파괴됨과 동시에 형질이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동결 건조방식의 식품 건조기는 식품을 장시간 저온상태에서 건조함으로써 건조된 식품이 얼어서 파삭파삭해지는 등 조직이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81867호(2009.02.04.)에 건조실 내부 공기압을 감압시켜 상온 상태에서 공기를 팽창시키고, 이와 동시에 내부 공기압을 감압시켜 상온 상태에서 공기를 팽창시킴과 동시에 천정에 설치된 증발기가 팽창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응결시켜 이를 외부로 드레인시키며, 천정에 설치된 송풍기가 건조실의 공기를 강제순환시켜 전체적으로 공기가 균일하게 팽창과 응결되도록 하여 단시간에 식품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곡물 건조기가 제안되었다.
여기서, 곡물 건조기의 건조실 내에 식품이 적재된 채반을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식품이 적재된 채반은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다단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건조실에는 채반에 적재된 식품을 건조하기 위하여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이 구비되고,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으로 건조실의 공기를 가열하여 채반에 적재된 식품을 건조하며, 가열된 물을 메니폴드를 통해 프레임에 설치된 관에 공급하여 채반을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곡물 건조기는 건조실의 공기를 가열하고 식품이 적재된 채반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 개폐밸브가 장착된 공급관, 메니폴드, 분기관 등 별도의 가열수단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장치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장치들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조실 내에 건조될 식품이 탑재된 프레임과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설비시설들이 모두 구비됨으로써 식품의 건조량이 한정될 뿐만 아니라, 건조실로 채반이 탑재된 프레임의 반입 및 반출 시, 건조실로 식품이 적재된 채반의 반입 및 반출 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 또한 한정됨으로써 전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건조실의 천정 및 주변에 가열수단, 냉각수단, 드레인수단, 감압수단 및 이를 연결하는 파이프가 복잡하게 설치되어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공간 및 프레임이 반입 및 반출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한정적이며, 이로 인해 프레임에 적재되는 식품의 건조량이 한정적일 뿐만 아니라, 건조량 및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설비시설의 유지보수가 건조실 내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설비시설의 유지보수 시 채반이 탑재된 프레임을 건조실 외부로 반출하거나, 건조실을 공실로 형성한 후 진행하도록 이루어지나, 건조실 내에서 건조 중인 식품을 건조실 외부로 반출한 후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경우, 온도 변화에 따라 식품의 형질 또는 조직이 변형되거나, 식품이 변질되어 불량품이 발생될 수 있으며, 건조실을 공실로 형성한 후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경우, 유지보수작업 시간 동안 식품의 건조가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대기압 상태로 있는 건조실 내부의 실내 공기를 팽창시켜 순환되도록 감압펌프를 이용하였으나, 이 또한 별도의 설비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등 전체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격벽에 의해 건조실과 설비실로 구획하고 건조실의 건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냉각수단의 일부 구성요소와 송풍수단을 설비실에 설치함으로써 건조실의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건조될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격벽에 유동홀이 형성되어 건조실과 설비실의 기류가 상호 순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설비실에 잔류된 공기의 배출하여 건조실 내부 공기압을 감압시키고 상온 상태에서 공기를 팽창시켜 건조실 내에 적재된 대용량의 식품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고, 설비실 내에 설치되는 송풍수단에 의해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건조실 내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팽창 및 응결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냉각수단의 잠열을 이용하여 건조실 내부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전체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비실에서 설비시설의 유지보수가 진행됨으로써 유지보수 시 건조실에서 채반이 탑재된 프레임을 반출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가 간편용이한 식품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상체로서, 내부에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이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건조실에 곡물을 반입 및 반출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곡물이 적재되는 채반을 탑재하는 프레임; 건조실의 내부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응결시키는 냉각수단; 냉각수단에서 발생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수단;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품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하우징의 건조실이 격벽에 의해 구획되되, 건조실의 건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설비시설이 구비되는 설비실이 형성되고, 건조실의 실내 공기와 설비실의 실내 공기가 반복적으로 순환되어 건조실을 감압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격벽은 수직방향으로 슬롯형태의 기류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형성된다.
대안적으로는, 격벽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류홀이 관통형성되어 매쉬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설비실의 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수단이 구비되되, 하부측에 구비되는 송풍수단은 건조실의 실내 공기를 설비실로 흡입하고, 그 상부측에 구비되는 송풍수단은 설비실의 실내 공기를 건조실로 배출하여 하우징 내 기류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갖는 본 발명은, 건조실의 공간활용이 용이하여 건조될 식품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설비실에 잔류된 공기의 배출하여 건조실 내부 공기압을 감압시키고 상온 상태에서 공기를 팽창시켜 건조실 내에 적재된 대용량의 식품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고,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건조실 내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팽창 및 응결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일러 등의 가열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전체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보수 시 건조실에서 채반이 탑재된 프레임을 반출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가 간편용이하고, 건조효율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식품의 건조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1)은 하우징(10)과 프레임(20)과 냉각수단(30)과 드레인수단(40) 및 송풍수단(6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상체로서, 그 내부에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건조실(11)에는 건조할 식품 및 건조된 식품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도어가 개, 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는 건조실(11) 내부에서 건조되는 식품의 건조 여부 및 건조 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한 투명창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외주연에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전체 면적에 걸쳐 보강리브가 격자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내주연에는 건조실(11)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의 열교환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재 등의 내장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건조실(11)은 격벽(15)에 의해 구획되되, 상기 건조실(11)의 건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설비실(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은 격벽(15)에 의해 건조실(11)과 설비실(13)로 구획되어 분리되되, 상기 설비실(13)에는 냉각수단(30)과 드레인수단(40) 및 송풍수단(60) 등의 설비시설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1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류홀(15a, 15b)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기류홀(15a, 15b)은 격벽(15)의 수직방향에 슬롯형태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5)에 기류홀(15a, 15b)이 관통형성됨으로써 건조실(11)의 실내 공기와 설비실(13)의 실내 공기가 반복적으로 순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격벽(15)에 관통형성되는 기류홀(15a, 15b)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원형상 또는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기류홀(15a, 15b)의 크기 또는 직경은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가 순환하기 용이한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류홀(15a, 15b)이 상기 격벽(15)의 수직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관통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기류홀(15a, 15b)이 격벽(15)의 수평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관통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벽(15)에 기류홀(15a, 15b)이 관통형성되어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격벽(15)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류홀이 관통형성되되, 메쉬(Mesh)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건조실(11)과 설비실(13)로 구획하는 격벽(15)에는 복수 개의 기류홀이 관통형성되되, 전체 형상이 메쉬형태 또는 그물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5)은 기류홀이 관통형성되는 메쉬형태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가 순환하기 용이하다.
상기 프레임(20)은 식품이 적재된 채반(25)을 탑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의 건조실(11)에서 건조될 식품 및 건조된 식품이 반입 및 반출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0)은 사각형태의 베이스프레임(2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보강프레임(22)이 연결설치되고, 이동을 위한 바퀴가 샤프트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중심부 양 측에 수직방향으로 수직프레임(23)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수직프레임(23)의 대칭되는 양 측면에 채반(25)이 안착되기 위한 지지프레임(24)이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지지프레임(24)은 수직프레임(23) 상에 다단으로 병렬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23)은 베이스프레임(21)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연결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4)은 각 수직프레임(23)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치됨으로써 수직프레임(23) 및 지지프레임(24) 사이의 공간으로 내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제공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24)에는 식품이 적재되는 채반(25)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채반덮개(26)가 개, 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채반덮개(26)는 채반(25)에 적재된 식품의 교체 시 지지프레임(24)에 장착되는 걸고리(26a)로 채반덮개(26) 상부에 장착되되, 상기 걸고리(26a)에 걸림정지 및 해제되는 회전레버(26b)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채반(25) 상에서 채반덮개(26)를 개방할 경우, 상기 채반덮개(26)를 들어올려 걸고리(26a)를 회전레버(26b)의 구멍에 삽입하고, 개방된 채반(25)을 프레임(20)에서 분리한 다음 채반(25)에서 건조가 완료된 식품을 비운 후 다시 건조를 위한 식품을 채반(25)에 적재하는 등 식품의 교체가 간편용이해진다.
상기 냉각수단(30)은 압축기(31)와 응축기(33)와 팽창밸브(35) 및 증발기(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31)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응축기(33)에 파이프로 연통되되, 압축된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응축기(33)에 제공한다.
상기 응축기(33)는 건조실(11)에 설치되되, 상기 압축기(31)에서 압축된 후 유동하는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35)는 상기 응축기(33)에 파이프로 연통되되, 응축기(33)를 통과한 냉매를 급격히 팽창시켜 저온 및 저압상태로 만든다.
상기 증발기(37)는 팽창밸브(35) 및 압축기(31)에 파이프로 연통되되, 상기 팽창밸브(35)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주변의 공기를 냉각하여 응결수로 만든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33)는 건조실(11)의 천정 상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31), 팽창밸브(35) 및 증발기(37)는 설비실(13)에 설치되며, 상호 파이프로 각각 연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냉각수단(30)은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압축기(31)와 응축기(33)와 팽창밸브(35) 및 증발기(37)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작업유체 또는 용매 등이 이들 사이를 사이를 유동하면서 실내를 냉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기(31)가 파이프 내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및 고압의 기체상태를 만들어 응축기(33)로 제공하고, 상기 응축기(33)는 이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켜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킨 다음 팽창밸브(35)로 제공하며, 상기 팽창밸브(35)는 액체의 냉매를 급격히 팽창시켜 저온 및 저압의 서리형태로 만들어 증발기(37)로 제공하고, 상기 증발기(37)는 냉매를 이용해 실내의 공기를 흡열하여 냉방시킨 후 열교환된 냉매를 다시 압축기(31)로 제공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식품 건조시스템(1)은 하우징(10)의 건조실(11)에 설치된 응축기(33)의 잠열을 이용하여 건조실(11)의 내부 공기를 가열한다. 즉, 상기 압축기(31)에서 응축기(33)로 유동하되, 고온의 액체상태로 상변화된 용매의 잠열을 이용하여 건조실(11) 실내 공기를 가열하여 식품을 건조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에 건조실(11) 실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의 삭제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전체 설비를 감소시킬 수 있어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건조실(11) 내의 공간활용이 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건조실(11) 및 설비실(13)이 격벽(15)에 의해 구획되되,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가 반복적으로 순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건조실(11) 내부의 공기압을 감압시킬 뿐만 아니라, 상온 상태에서 공기를 팽창 및 운동시켜 채반(25)에 적재된 식품의 가열이 간편용이해진다.
상기 드레인수단(40)은 상기 증발기(37)의 하부에 설치되어 증발기(37)에 의해 응결되는 응결수를 집수부재로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집수부재에 의해 집수된 응결수는 저장탱크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재는 증발기(37)에 의해 응결되는 응결수를 충분히 집수할 수 있도록 증발기(37)의 길이방향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송풍수단(60)은 건조실(11)과 설비실(13)을 구획하는 격벽(15)에 대향되는 설비실(13)의 벽면에 구비되어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송풍수단(60)은 송풍기로 이루어지고, 설비실(13)의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설비실(13)의 벽면 하부측에 구비되는 송풍기는 건조실(11)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설비실(13)로 유입하고, 설비실(13)의 벽면 상부측에 구비되는 송풍기는 설비실(13)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실(11)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설비실(13)의 벽면에 구비되는 송풍수단(60)에 의해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가 순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건조실(11) 내부의 실내 공기를 압력차에 의해 팽창시키기 위한 감압수단(도번 미도시)이 별도로 요구되진 않으나, 상기 설비실(13)에 감압수단이 구비되어 건조실(11)에서 설비실(13)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건조실(11)의 내부 압력을 저하시켜 기류의 순환을 활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비실(13)의 벽면 또는 측면에 팬이 구비되는 배출구를 관통형성하고, 상기 팬을 구동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건조실(11)에서 설비실(13)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건조실(11)의 내부 압력을 저하시킴으로써 기류의 순환을 활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송풍수단(60)이 상기 격벽(15)에 관통형성되는 기류홀(15a, 15b)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격벽(15)의 하부에 관통형성되는 기류홀(15b)에 구비되는 송풍수단(60)은 건조실(11)의 실내 공기를 설비실(13)로 유동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부에 관통형성되는 기류홀(15a)에 구비되는 송풍수단(60)은 설비실(13)의 실내 공기를 건조실(11)로 유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상기 건조실(11)과 설비실(13)의 기류 순환이 활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식품 건조시스템, 10 : 하우징,
11 : 건조실, 13 : 설비실,
15 : 격벽, 15a, 15b : 기류홀,
20 : 프레임, 21 : 베이스프레임,
22 : 보강프레임, 23 : 수직프레임,
24 : 지지프레임, 25 : 채반,
26 : 채반덮개, 26a : 걸고리,
26b : 회전레버, 30 : 냉각수단,
31 : 압축기, 33 : 응축기,
35 : 팽창밸브, 37 : 증발기,
40 : 드레인수단, 60 : 송풍수단.
11 : 건조실, 13 : 설비실,
15 : 격벽, 15a, 15b : 기류홀,
20 : 프레임, 21 : 베이스프레임,
22 : 보강프레임, 23 : 수직프레임,
24 : 지지프레임, 25 : 채반,
26 : 채반덮개, 26a : 걸고리,
26b : 회전레버, 30 : 냉각수단,
31 : 압축기, 33 : 응축기,
35 : 팽창밸브, 37 : 증발기,
40 : 드레인수단, 60 : 송풍수단.
Claims (4)
- 원통형상체로서, 내부에 식품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이 형성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건조실(11)에 곡물을 반입 및 반출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곡물이 적재되는 채반(25)을 탑재하는 프레임(20); 상기 건조실(11)의 내부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응결시키는 냉각수단(30); 상기 냉각수단(30)에서 발생된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수단(40);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품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건조실(11)이 격벽(15)에 의해 구획되되, 건조실(11)의 건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설비시설이 구비되는 설비실(13)이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11)의 실내 공기와 설비실(13)의 실내 공기가 반복적으로 순환되어 건조실(11)을 감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20)은,
베이스프레임(21);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중심부 양 측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수직프레임(23);
상기 각 수직프레임(23)의 양 측면에 식품이 적재되는 채반(25)이 안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프레임(24);
상기 지지프레임(24)에 채반(25)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채반덮개(26);
상기 채반덮개(26)에 마련되는 걸고리(26a); 및
상기 걸고리(26a)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4)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레버(2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15)은 수직방향으로 슬롯형태의 기류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15)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류홀이 관통형성되어 매쉬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비실(13)의 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수단(60)이 구비되되, 하부측에 구비되는 송풍수단(60)은 건조실(11)의 실내 공기를 설비실(13)로 흡입하고, 그 상부측에 구비되는 송풍수단(60)은 설비실(13)의 실내 공기를 건조실(11)로 배출하여 하우징(10) 내 기류를 반복적으로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건조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1515A KR102030097B1 (ko) | 2018-01-30 | 2018-01-30 | 식품 건조시스템 |
PCT/KR2018/009289 WO2019151595A1 (ko) | 2018-01-30 | 2018-08-13 | 식품 건조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1515A KR102030097B1 (ko) | 2018-01-30 | 2018-01-30 | 식품 건조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2114A KR20190092114A (ko) | 2019-08-07 |
KR102030097B1 true KR102030097B1 (ko) | 2019-10-08 |
Family
ID=6762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1515A KR102030097B1 (ko) | 2018-01-30 | 2018-01-30 | 식품 건조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00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5140A (ko) * | 2020-12-15 | 2022-06-22 | 성스런 | 흑강 제조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1867B1 (ko) | 2008-03-11 | 2009-02-04 | (주)범양냉열 | 곡물 건조기 |
KR101415966B1 (ko) | 2013-04-10 | 2014-07-04 | 최종민 | 농수산물 건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5804A (ko) * | 2007-07-10 | 2009-01-14 | 홍영채 | 음식물 건조처리기 |
KR101585563B1 (ko) * | 2013-10-04 | 2016-01-14 | (주) 우림산업 |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
-
2018
- 2018-01-30 KR KR1020180011515A patent/KR1020300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1867B1 (ko) | 2008-03-11 | 2009-02-04 | (주)범양냉열 | 곡물 건조기 |
KR101415966B1 (ko) | 2013-04-10 | 2014-07-04 | 최종민 | 농수산물 건조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85140A (ko) * | 2020-12-15 | 2022-06-22 | 성스런 | 흑강 제조 방법 |
KR102470138B1 (ko) | 2020-12-15 | 2022-11-23 | 성스런 | 흑강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2114A (ko) | 2019-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1867B1 (ko) | 곡물 건조기 | |
KR101171850B1 (ko) | 건조 장치 | |
KR100828142B1 (ko) | 농수산물의 냉풍 건조장치 | |
KR101095897B1 (ko) | 저온 저장 가능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 |
JP2001227869A (ja) | 乾燥装置 | |
CN109855396B (zh) | 一种空气热泵烘干机 | |
KR102030096B1 (ko) | 식품 건조시스템 | |
JP6185191B2 (ja) | 食品乾燥機 | |
KR102030097B1 (ko) | 식품 건조시스템 | |
KR20180064059A (ko) | 냉동 및 온장고를 겸하는 냉풍건조장치 | |
KR20120009972A (ko) | 반건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WO2019151595A1 (ko) | 식품 건조시스템 | |
KR100690897B1 (ko) | 에어컨의 응축열을 이용한 건조기 키트 및 이를 구비한에어컨 시스템 | |
KR102386981B1 (ko) | 블레이드를 이용한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 | |
KR101226451B1 (ko) | 대형창고의 양방향 제습건조시스템 | |
CN104634066A (zh) | 多功能空调、热泵烘干及除湿装置 | |
KR20160098755A (ko) | 송풍기 모듈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및 그 제습시스템의 작동방법 | |
KR100315878B1 (ko) | 냉동기를 이용한 제습 건조장치 | |
KR101310939B1 (ko) | 저온건조 및 냉장 시스템 | |
CN109489382A (zh) | 一种基于热泵和电辅热的消防水带干燥装置 | |
KR100504176B1 (ko) | 제습실과 건조실을 구비한 저온감압 공기순환건조기 겸 저장고 | |
KR101701383B1 (ko) | 공간활용이 가능한 일체형 냉각시스템 | |
JPH1163818A (ja) | 穀物乾燥装置 | |
CN204693877U (zh) | 多功能除湿装置 | |
KR0133018B1 (ko) | 저온 건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