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03447A1 - 외장재 내의 국부적인 부위에 탄성 고분자 필름을 보강하는 구조를 통해 사용 안정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외장재 내의 국부적인 부위에 탄성 고분자 필름을 보강하는 구조를 통해 사용 안정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19103447A1 WO2019103447A1 PCT/KR2018/014331 KR2018014331W WO2019103447A1 WO 2019103447 A1 WO2019103447 A1 WO 2019103447A1 KR 2018014331 W KR2018014331 W KR 2018014331W WO 2019103447 A1 WO2019103447 A1 WO 2019103447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tab
- electrode assembly
- elastic polymer
- polymer film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6254 polymer film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title description 3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059 sulfur vulcan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468 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48 thermoplastic styrenic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169 Perfluoro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14 Polyether block 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33 Thermoplastic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560 fluoro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81 hypa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559 polyacrylic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857 polybutadi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742 polystyrene-block-poly(ethylene/propylene) -block-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97 thermoplastic 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42 thermoplastic vulcaniz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99 Gutta-Perch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342 Palaquium gut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72 Tetrafluoroethylene 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70 Therb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246 bromo group Chemical group Br*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309 chloro group Chemical group C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11 cis-1,4-polyis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41 elastomeric alloy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87 electr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QQADJVZYDDRJT-UHFFFAOYSA-N ethene;prop-1-ene Chemical group C=C.CC=C HQQADJVZYDDR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88 gutta-percha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9 isopr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5 polyis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46 polystyrene-polyisoprene block-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44 thermoplastic co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45 thermoplas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12 trans-1,4-polyis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shock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a flexible laminate typ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is formed by inserting a separation membrane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winding them together in a spiral shape
- a cylindrical battery includes a cylindrical can accommodated in a cylindrical can, and an electrolyte is injected and sealed.
- the prismatic type cell is formed by pressing a wound electrode assembly or a stacked electrode assembly to flatten and flatten it, .
- the pouch-type battery is formed by wrapping a wound electrode assembly or a stacked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in a pouch-type sheathing material.
-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may be respectively drawn out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secondary battery.
- the battery can be stably electrochemically actuated for bending and twisting, .
-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090104 discloses an electrode assembly for a flexible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ncluded in an existing pouch-shaped battery has a problem in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an assembly to prevent breakage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 Patent Document 1 KR10-2016-0090104 A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for a battery, which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polymer film is reinforced on a local site in a case member contacting with an electrode assembly constituting a battery,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for securing safety in use by inducing cutting of an outermost electrode provided with a tab for use.
-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 sheathing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tamping portions are formed in a repetitive shap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upper stamping portion and the lower stamping portion form a wrinkle pattern, At least one unit cell having a pair of electrode plate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 electrode material mixture appli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pair of electrode plates; And electrode tabs protruding from the electrode plates and not yet coated with the electrode mixture, wherein the electrode tabs include tabs for electrode parallel connection and tabs for electrode lead connection, The electrode tabs for connecting the electrodes in parallel and the tabs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leads are formed, and the elastic polymer film is reinforced on the local area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ies contacting the case.
- the electrode expands and shrinks in volume.
- the portion facing the area is repeatedly subjected to repeated bending and bending, It is locally severe compared to other parts.
- FIG. 1 shows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n electrode assembly constituting a flexibl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and 3 show an exploded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n outermost electrode is disposed as a cath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a casing having a corrugated pattern reinforced by an elastic polymer film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ode assembly.
- FIG. 5 shows a state where a general exterior material having a flat pattern reinforced with an elastic polymer film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ode assembly.
-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other internal electrodes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are set to a closed state (shutdown) due to the occurrence of cutting on the outermost battery.
- FIG. 7 shows a flexible battery hav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 cover member surrounding the electrode assembly.
- Fig. 10 shows the result of bending evaluation of the case where the elastic polymer film is locally reinforced with a wrinkl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comparative examples.
-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unit cell (A) divided into an anode plate (10) and a cathode plate (20) with a separator (30) therebetween, an electrolyte solution serving as an ion transfer medium between the anode plate and the anode plate, And an electrode tab for dividing the electrode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to the parallel connection.
- Any one or more of the electrode plates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0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ab for electrode parallel connection and the tab for electrode lead connection.
-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lectrode tabs for electrode parallel connection. That is, the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plates 10 and the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by the tab-to-tab joints connecting the electrode tabs.
-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at the uppermost and lowermost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40 is applied only on the end face.
- the electrodes disposed at the uppermost and lowermost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are all negative electrodes, but this is not limitative.
- the uppermost and lowermost electrodes may be disposed in the electrode assembly in combination of any one of a cathode / a cathode, a cathode / an anode, a cathode / an anode, and an anode / an anode.
-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inforce a separate reinforcing tab on the electrode lead connecting tabs (14, 24)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electrode lead connecting tabs (14, 24) and the electrode leads are formed by using the reinforcing tabs.
- the reinforcing bonding method for bonding the electrode lead connecting tabs (14, 24) to the electrode leads using the reinforcing tab corresponds to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 the reinforcing tab is physically reinforced by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lectrode lead connecting tabs (14, 24) and the electrode lead.
- the same or different kinds of metal reinforcing tabs which are 1 to 5 times thicker than the tabs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leads, are welded to the upper ends of the tabs for electrode lead connection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reinforcing tabs reinforced by the overhang and the tabs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leads have the same or different widths.
- the width of the reinforcing tab to be reinforced may be 3 to 5 mm and the length may be 2 to 4 mm, but this is not limitative.
- the electrode leads which are joined to the electrode lead connecting tabs by being bonded onto the reinforcing tabs reinforced by the overhang, may have a width of 2 mm to 3 mm and a length of 0.5 mm to 1 mm, but is not limited to.
-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electrode plate may be any one of a group including aluminum, stainless steel, and copper, and the electrode lead may have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nickel, and nickel coated with nickel have.
- the tab for electrode lead connection and the reinforcing tab for reinforcing by the overlay on the tab lead connection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are formed in one of the group including circle, ellipse and polygon.
-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lead bending structure is coupled to the tabs 14 and 24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leads.
- a part of the end of the electrode lead is weld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lead connecting tab in a state where the electrode lead i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top of the electrode lead connecting tab.
- the electrode leads are bent from the electrode lead connecting tabs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electrode assembly through the process of bending the electrode leads 180 degrees. This is characterized by a joint reinforcing structure between the electrode tabs and the electrode leads by minimizing the local mechanical load in a flexible environment.
-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a casing having a corrugated pattern reinforced by an elastic polymer film surrounds an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astic polymer reinforcing film 240 having an elastic property can be disposed on the entire length L of the covering member 200 on the covering member 20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 the elastic polymer reinforcing film 240 is disposed in such a manner that the elastic polymer reinforcing film 240 is thermally compressed on the bony portion of the facer material 200 having a wrinkled pattern.
- the elastic polymer reinforcing film 240 may be thermocompression bonded to all the valley por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ing member 200 or alternatively.
- the length X of the local region where the elastic polymer film is reinforced is set to 1/15 to 1/3 of the total length L of the covering member and the width Y of the local region is preferably equal to the width of the electrode plate inside the electrode assembly.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duce the cutting of the outermost electrode by the binding force in the facing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lastic polymer film reinforcing portion and the bending applied from the outside.
- the width Y of the elastic polymer film reinforcement portion should not invade the sealing portion of the casing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battery such as electrolyte leakage and external air inflow due to damage of the sealing portion during sealing of the casing is not threatened.
- the elastic polymer reinforcing film 240 may be SEBS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TPR).
- the elastic polymer reinforcing film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nsaturated rubbers that can be cured by sulfur vulcanization, saturated rubbers can not be cured by sulfur vulcanization, and thermoplastic elastomers. Or more.
- vulcanized unsaturated rubbers natural polyisoprene (cis-1,4-polyisoprene (Natural rubber), trans-1,4-polyisoprene (Gutta-percha)), polyisoprene rubber (IR), polybutadiene rubber CR), Neoprene, Bayprene etc., Poly (isobutyleneco-isoprene) rubber IIR, Chloro IIR, Bromo IIR, Poly (styreneco-butadiene) rubber (SBR), Poly (acrylonitrile- ) rubber (NBR), Hydrogenated NBR (HNBR), Therban, and Zetpol.
- natural polyisoprene cis-1,4-polyisoprene (Natural rubber), trans-1,4-polyisoprene (Gutta-percha)
- polyisoprene rubber IR
- polybutadiene rubber CR polybutadiene rubber
- ECM Polyacrylic rubber
- ACM polyacrylic rubber
- ABR Silicone rubber
- SI Silicone rubber
- Q Silicone rubber
- FVMQ Fluorosilicone rubber
- PEBA Polyether block amides
- PEBA Polyether block amides
- thermoplastic styrenic block copolymers for example, polystyrene-blockpolybutadiene-block-polystyrene (SBS), polystyrene-block-polyisoprene-blockpolystyrene (ethylene-ran-propylene) -blockpolystyrene (SEPS),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ran-butylene) -blockpolystyrene (SEBS) and the like.
- SBS polystyrene-blockpolybutadiene-block-polystyrene
- SEPS polystyrene-block-polyisoprene-blockpolystyrene
- SEBS polystyrene-block-poly (ethylene-ran-butylene) -blockpolystyrene
- thermoplastic vulcanizate elastomer there are ethylene propylene monomer (EPM) rubber, ethylene propylene dienemonomer (EPDM) rubber, fluroelastomer (FKM, and FEPM) and perfluoroelastomers (FFKM).
- EPM ethylene propylene monomer
-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monomer
- FKM fluroelastomer
- FEPM fluroelastomer
- FFKM perfluoroelastomers
- the Shore hardness of the elastic polymer reinforcing film 240 is 30 to 80 (Shore A, A Type). Hardness refers to the magnitude of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an object when it is pressed by another object. It is largely divided into Vickers hardness, Brinell hardness, Rockwell hardness, Shore hardness and the like. In the case of the above elastic polymer, it is measured and indicated by Shore hardness.
- the Shore hardness tester is a type of indenter which is classified into A, B, C, D, OO, etc.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denter.
- the elastic polymer reinforcing film 240 is preferably of the A type of 30 to 80.
- the elastic polymer reinforcing film 240 is less than 30,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cut the outermost electrode in the electrode assembly due to its low hardness. In an operation such as bending or twisting exceeding 80 degrees It is difficult to damage the exterior material and the electrode assembly and to exhibit the normal performance of the flexible battery.
- FIG. 5 is a comparative example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general exterior material having a flat pattern reinforced with an elastic polymer film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ode assembly.
- FIG. 6 shows a state where other internal electrodes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are set to a closed state (shutdown) due to the occurrence of cutting on the outermost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cells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right-side parallel connection tabs, and a terminal is formed at an electrode lead connecting tab portion on an electrode plate disposed at the outermost part of a lower end of the plurality of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appropriately utilizes the types and arrangements of the outermost electrodes to induce the cutting of the electrodes provided with the electrode lead connecting tabs before the appearance of the casing or the occurrence of an internal short circuit.
- Such an intended structure can be applied to a device that requires a safety and control of the performance of the flexible battery at a certain number of bend times or more due to external force, while securing the battery from the risk of carelessness or excessive bending.
-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oses the outer casing part 200 of the processed structure, which is formed by repeatedly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pressing part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pattern and shape are repeated so that a plurality of upper crimping portions and lower crimping portions repeatedly crimped on the casing member can be compressed and tensioned in a flexible battery having an electrode assembly in a bending, twisting, or wrinkling operation .
- the plurality of upper crimping portions and the lower crimping portion are continuously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s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overing member.
- the plurality of upper crimp portions and the lower crimp portions are each crimped to the upper and lower molds.
- the outer covering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have an upper casing member 210 and a lower casing member 220 on the electrode assembly with reference to a red dotted line of the sealing member 230. That is, the plurality of upper depression portions 212 and 222 and the lower depression portions 214 and 224 repeated on the casing member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iling portion, and the upper and lower casing members 210 and 210 220). ≪ / RTI > In this state, the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in the exterior member after the sealing portion is bent symmetrically upward and downward.
- the width of the sealing portion which is a reference for separating the upper and lower casing members 210 and 220, may be 3 mm to 5 mm and the actual sealing width may be 1 mm to 2 mm, But is not limited to.
-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polymer film thermocompression-bonded by the sub-height h and the sub-height h ', which are the upper and lower pressures formed on the casing, is determined to be 0.5 mm to 1 mm, It is not.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athode is disposed on an outermost electrode of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stacked vertically through a separation membrane to prevent breakage of the electrode terminal when the flexible battery is bent.
- Fig. 10 shows the result of bending evaluation of the case where the elastic polymer film is locally reinforced with a wrinkl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comparative examples.
- the uppermost graph in FIG. 10 show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corrugation of the casing and damage to the sealing portion after the bending evaluation, bu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utermost electrode is cut at about 2,000 bend times.
- the force is continuously concentrated on the outermost electrode facing the locally formed elastic polymeric reinforcing film in the facer having the wrinkle pattern, leading to cracking of the compound layer crack of the outermost electrode and cutting of the current collector.
- FIG. 10 shows a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a general exterior material having a flat pattern reinforced with an elastic polymer film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electrode assembly as shown in Fig.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ngle electrode having a current path for current flowing to the outside of the cell, that is, an electrode lead connecting tab, Disconnection of the battery occurs.
- the graph at the center indicates Comparative Example 2,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no damage is caused to the casing and the cutting of the outermost electrode does not occur.
- both the electrode and the casing are damaged at a bending frequency of 8,000 times or more.
- Comparative Example 2 which is a general flexible battery, has a high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n internal short circuit due to breakage of the casing or lithium precipitation about 8,000 times of repetitive bending cycles.
-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sheath having a flat pattern reinforced with an elastic polymer film before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or the like, thereby inducing the outermost electrode to be cut first by intentionally less than 8,000 times.
- a local elastic polymer reinforcing film is formed in a casing having a wrinkle pattern to cause electrode cutting at a local site and disconnection of the battery at a frequency of about 1,500 to 2,500 times,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damage and cutting of the outermost electrode intentionally before the number of times of excessive bending which is high in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n internal short circuit due to lithium precipitation, thereby securing safety in battery usage.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ensile stress and the compressive stress due to external bending are repeatedly applied to the electrode assembly, the outermost electrode portion, which is partially opposed to a portion of the sheath where the elastic polymer reinforcing film is locally formed, is subjected to repetitive bending and bending The stress is applied locally more severely than the other parts, so that the current is cut off due to the cut off,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battery by disabling the function of the battery from the risk of carelessness or excessive bending .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flexibl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상부 압인부와 하부 압인부가 반복 압인 가공된 구조인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압인부와 하부 압인부는 주름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상이한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전극판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단위셀; 상기 한 쌍의 전극판의 단면 또는 양면 상에 도포되는 전극 합제; 및 상기 전극판들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전극 합제가 미도포된 상태의 전극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탭은 전극 병렬 연결용 탭과 전극 리드 연결용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판은 상기 전극 병렬 연결용 탭과 전극 리드 연결용 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 탭이 형성되며, 상기 외장재의 국부적인 부위 상에 탄성 고분자 필름이 보강된 구조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서블한 환경에서 외부의 반복적인 힘인 굽힘과 비틀림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지의 기계적 문제인 외장재의 파손 및 내부 단락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발화 내지 폭발 위험성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전지를 구성하는 전극 조립체와 맞닿는 외장재 내의 국부적인 부위 상에 탄성 고분자 필름을 보강하는 구조를 통해 외장재의 파손 내지 내부 쇼트가 발생하는 시점 이전에 전극리드 연결용 탭 및 병렬 연결용 탭이 구비된 최외곽 전극의 절단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상의 안전을 확보하게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경량화와 고기능화 및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 발전함에 따라 그 구동 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도 높다는 장점이 있어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차 전지는 전해물질에 양극과 음극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한 양극과 음극을 연결했을 때 전해물질과 전극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전지로서, 기존의 일차전지와는 달리 전기전자제품에서 소모된 에너지를 충전기에 의해 재충전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므로 무선 전기전자제품의 대중화와 더불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적으로, 양극판과 음극판과의 사이에 분리막을 삽입하고 이들을 함께 나선형으로 권취시킨 젤리롤 형태의 권취형 전극 조립체, 또는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적층하여 형성된 플렉서블 적층형 전극 조립체를 리튬 이차 전지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원통형 전지는 권취형 전극 조립체를 원통형 캔에 수납하고 전해질을 주입한 후 밀봉하는 것이고, 각형 전지는 권취형 전극 조립체나 적층형 전극 조립체를 압박하여 납작하고 평평하게 만든 다음 각형 캔에 수납하는 것이다. 또한, 파우치형 전지는 권취형 전극 조립체나 적층형 전극 조립체를 전해질과 함께 파우치형 외장재로 포장한 것이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에서, 양극판과 음극판으로부터 각각 양극탭과 음극탭이 전극 조립체의 외부로 인출되어 이차 전지의 양극과 음극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기존 파우치 타입의 리튬이차전지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의도적인 힘에 의해 리튬이차전지의 외측을 이루는 외장재가 손상됨으로써 외장재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 누액 및 외부 공기의 유입이 일어난다. 이러한 전해액 누액은 배터리 보호회로와 같은 주변 부품을 부식시키는 등 정상적인 작동을 저해한다. 또한,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발화 등의 큰 안전성 문제를 초래한다.
리튬이차전지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리튬이차전지를 이루는 외장재 패턴의 형성과 단자의 보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전지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힘인 굽힘, 비틀림 등에도 안정적으로 전기화학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으로, 플렉서블한 환경에서는 반복적인 굽힘과 비틀림 등에 의해 외장재의 파손 및 내부 전극들의 오정렬, 이탈 등으로 인한 단락이 발생하여 발화 내지 폭발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내부 단락은 양극과 음극이 접촉되는 면적에 비례하여 전류가 과다하게 흘러 많은 열이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에 2차 단락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여 발화 및 폭발의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인 전지 구조를 보면, 와인딩 방식이나 일반 적층형 전지의 경우에 모든 전극에 외부로 연결되어 있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전극 및 분리막의 손상 시에 내부 단락이 일어난다.
상기와 같이 내부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극 조립체의 어느 한 부분일 수 있는 내부 전극 또는 최외곽 전극이 끊어지는 경우에도 단지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는 있을 수 있으나, 전극 조립체의 외부로 전류가 흐르는 데는 문제가 없으므로 전지의 작동에는 이상이 없게 된다. 다만, 상기 내부 전극의 파손 및 절단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 시에는 안전성에 문제가 될 수 있다는데 그 심각성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0104호를 참조하면, 기존의 파우치형 전지 내부에 포함되는 전극조립체에서 외부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파손 발생 및 내 전해액성 부족이라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전지용 전극조립체의 일면에 보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파손을 방지한다는 내용이 개시된다.
(특허문헌 1) KR10-2016-0090104 A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지를 구성하는 전극 조립체와 맞닿는 외장재 내의 국부적인 부위 상에 탄성 고분자 필름을 보강하는 구조를 통해 외장재의 파손 내지 내부 쇼트가 발생하는 시점 이전에 전극리드 연결용 탭이 구비된 최외곽 전극의 절단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상의 안전을 확보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상부 압인부와 하부 압인부가 반복 압인 가공된 구조인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압인부와 하부 압인부는 주름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상이한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전극판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단위셀; 상기 한 쌍의 전극판의 단면 또는 양면 상에 도포되는 전극 합제; 및 상기 전극판들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전극 합제가 미도포된 상태의 전극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탭은 전극 병렬 연결용 탭과 전극 리드 연결용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판은 상기 전극 병렬 연결용 탭과 전극 리드 연결용 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 탭이 형성되며, 상기 외장재와 맞닿는 상기 전극 조립체 사이의 국부적인 부위 상에 탄성 고분자 필름이 보강된 구조이다.
상기 탄성 고분자 필름이 보강된 국부적인 부위 X는 외장재 전체 길이 L의 1/15 내지 1/3 이다.
상기 탄성 고분자 필름의 쇼어 경도(Shore hardness)는 30 내지 80(shore A, A Type) 이다.
상기 탄성 고분자 필름은 가황 불포화 고무(Unsaturated rubbers that can be cured by sulfur vulcanization), 불가황 포화 고무(Saturated rubbers cannot be cured by sulfur vulcanization) 및 열가소성 탄성고분자(Thermoplastic elastomers)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최외곽에 배치되는 최외곽 음극판 및 상기 최외곽 음극판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배치되는 최외곽 양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최외곽 음극판 및 최외곽 양극판은 각각 전극 병렬 연결용 탭과 전극 리드 연결용 탭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전극 탭 중 어느 하나의 전극 리드 연결용 탭 상에 용착 고정된 보강 탭;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전극 탭 중 어느 하나의 전극 리드 연결용 탭 상에 결합된 전극 리드는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하도록 접합된 상태에서 180˚ 반대 방향으로 굽혀져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측 방향으로 향한 굽힘 구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극 리드 연결용 탭과 전극 리드를 상기 보강 탭을 이용하여 덧대어진 구조의 탭 리드 결합부는 상기 분리막의 내측으로 삽입 정렬된 상태이다.
상기 전극 리드 연결용 탭과 굽힘 구조의 전극 리드가 결합된 탭-리드 결합부는 상기 분리막의 내측으로 삽입 정렬된 상태이다.
상기 전극 조립체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배치된 최외곽 음극판은 전극 합제가 단면 도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 상에 외부 굽힘에 의한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질 경우, 국부적으로 탄성 고분자 보강 필름이 형성된 외장재의 일부 영역과 대면되는 최외곽 전극 부분은 외부에서의 반복적인 휘어짐과 굽힘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국부적으로 심하게 작용하게 되어 절단되고, 이로 인해 전류가 차단되는 구조로써 전지의 기능을 상실케 하고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충/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전극은 부피 팽창과 수축이 발생하는데, 탄성 고분자 보강 필름이 형성된 외장재의 일부 영역과 대면되는 부분은 계속해서 외부에서의 반복적인 휘어짐과 굽힘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국부적으로 심하게 걸린다.
전극리드 연결용 탭과 병렬연결용 탭이 동시에 구비된 최외곽 전극이 절단될 경우에, 활물질 내의 전자가 외부로 연결되는 유일한 통로가 끊김으로써 전류가 차단되는 구조로 전지의 기능을 상실케 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이루는 최외곽 전극 및 일반 전극들은 병렬 연결용 탭으로 접속되고, 최외곽 전극 상에는 전극리드 연결용 탭 부분에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데, 외부에서 굽힘 및 비틀림 등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내부의 일반 전극들보다는 최외곽 전극이 우선적으로 손상되며 절단된다. 이 때, 전극리드 연결용 탭이 구비된 최외곽 전극이 끊어지게 되면, 병렬연결용 탭에 의해 연결된 일반 전극들은 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 폐쇄 상태(shutdown)가 되어 용량이 급감하여 전지가 원래의 기능을 하지 못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플렉서블 전지를 구성하는 전극 조립체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인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로 최외곽 전극을 음극으로 배치한 상태의 전극 조립체의 분해도를 보인다.
도 4는 탄성 고분자 필름이 보강된 주름 패턴을 갖는 외장재가 전극 조립체의 외곽을 둘러싸는 상태를 보인다.
도 5는 탄성 고분자 필름이 보강된 평탄한 패턴을 갖는 일반 외장재가 전극 조립체의 외곽을 둘러싸는 상태를 보인다.
도 6은 최외곽 전지 상에 절단이 발생함으로써 전극 조립체를 이루는 다른 내부 전극들이 폐쇄 상태(셧다운, shutdown)로 설정된 상태를 보인다.
도 7은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감싸는 외장재부를 갖는 플렉서블 전지를 보인다.
도 8는 플렉서블 전지를 이루는 외장재부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부의 폭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부 압인부 및 하부 압인부 등의 패턴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다.
도 9는 외장재부에 형성된 상부 압인부 및 하부 압인부의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탄성 고분자 필름이 국부적으로 보강된 주름 패턴을 갖는 외장재를 채용한 경우와 다른 비교예들의 굽힘 평가 결과를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전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국부적으로 탄성 고분자 보강 필름이 형성된 외장재의 일부 영역과 대면되는 최외곽 전극의 절단 유도를 통해 전지 사용상의 안정성을 향상한 전극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극 조립체는 분리막(30)을 사이에 두고 음극판(10)과 양극판(20)으로 구분된 단위셀(A), 음극판과 양극판 사이에서 이온 전달 매개체 역할을 하는 전해액, 전극판으로부터 돌출되어진 상태에서 용도에 따라 분리되는 전극 병렬 연결용과 전극 리드 연결용으로 나뉘는 전극 탭을 포함한다. 상기 음극판(10)과 양극판(20)을 포함하는 전극판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판은 전극 병렬 연결용 탭과 전극 리드 연결용 탭을 양측에 이격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조립체(100)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임의의 최외곽 음극판(10)은 음극 병렬 연결용 탭(12)과 음극 리드 연결용 탭(14)을 구비하고, 상기 최외곽 음극판의 직상단에 배치된 임의의 양극판은 양극 병렬 연결용 탭(22)과 양극 리드 연결용 탭(24)을 구비한다. 즉, 전극 조립체의 최하단에는 전극 병렬 연결용 탭과 전극 리드 연결용 탭을 모두 갖는 음극 및 양극이 일체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전극판들은 전극 합제가 전극 집전체인 전극판의 단면 또는 양면에 도포되며, 상기 전극 병렬 연결용 탭 및 전극 리드 연결용 탭은 상기 전극판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이다. 한편, 상기 전극 병렬 연결용 탭 및 전극 리드 연결용 탭에는 전극 합제가 미도포된 상태로 노출된 형태이다.
상기 복수의 전극판들은 전극 병렬 연결용 전극 탭을 통해 동일한 극끼리 연결된다. 즉, 복수의 음극판(10)들 및 복수의 양극판(20)들은 각각 전극 탭들 간을 연결하는 탭-탭 결합부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한편, 전극 조립체는 전극 리드 연결용 탭을 통해 외장재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분리막은 전극판들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키지만 전해액에 포함된 이온은 통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배치되는 음극판은 음극 합제(40)가 단면에만 도포된 상태일 수 있다.
음극판(10) 또는 양극판(20) 상에서 돌출된 상태의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 22)은 동일한 극성의 전극판들로 서로 전기적인 병렬 연결을 하게 한다. 병렬 연결된 탭-탭 결합부는 전극 조립체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을 이루는 최외각 전극판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분리막 상에 위치하여 마감 테이핑 처리된다.
본 발명에서 전극판에 형성된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 22)이 서로 병렬 연결된 탭-탭 결합부 및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과 전극 리드가 서로 연결된 탭-리드 결합부 간의 연결 및 접합은 스팟 용접,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및 도전성 접착제에 의한 결합을 포함하는 접합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극 조립체 내 최상단 및 최하단에 배치되는 전극이 모두 음극판이지만, 이는 일 실시예 일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최상단 및 최하단 전극은 음극/음극, 양극/음극, 음극/양극, 양극/양극 중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전극 조립체 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전극 조립체의 일측에 배치된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 상에는 별도의 보강 탭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탭에 전극 리드를 결합함으로써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과 전극 리드를 보강 탭을 이용하여 덧댐 구조의 탭 리드 결합부를 형성한다. 보강 탭을 이용하여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과 전극 리드를 결합하는 보강 접합 방식은 양극 탭 및 음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
상기 보강 탭은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과 전극 리드의 연결 부분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물리적으로 강화한다. 예시적으로, 전극 조립체의 전극판에서 연장되는 전극 리드 연결용 탭 상단에 상기 전극 리드 연결용 탭보다 1배 내지 5배 두꺼운 동종 또는 이종의 금속 보강 탭을 덧댐으로 보강시켜 용착한다. 덧댐으로 보강된 보강 탭 및 전극 리드 연결용 탭은 동일 또는 상이한 폭을 갖는다. 보강되는 보강 탭의 폭은 3 ㎜ 내지 5 ㎜, 길이는 2 ㎜ 내지 4 ㎜일 수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 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덧댐으로 보강된 보강 탭 상에 접합함으로써 전극 리드 연결용 탭과 결합하는 전극 리드는 구체적으로 2 ㎜ 내지 3 ㎜의 폭 및 0.5 ㎜ 내지 1 ㎜의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 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전극판의 집전체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및 구리를 포함하는 그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전극 리드는 알루미늄, 니켈 및 니켈이 코팅된 구리를 포함하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전극 리드 연결용 탭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 상에 덧댐으로 보강시키는 보강 탭은 원, 타원 및 다각형을 포함하는 그룹 중 1개의 모양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24) 상에 전극 리드 굽힘 구조를 결합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전극 리드를 전극 리드 연결용 탭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전극 리드의 끝단 일부를 전극 리드 연결용 탭의 상단에 용착한다. 상기 상태에서, 전극 리드를 180°구부리는 과정을 통해서, 전극 리드가 전극 리드 연결용 탭으로부터 전극 조립체의 외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는 플렉서블한 환경에서 국부적인 기계적 부하를 최소화하여 전극 탭과 전극 리드 간의 결합 보강 구조의 특징을 갖는다.
전극 리드 연결용 탭과 전극 리드의 굽힘을 통한 접합 방식은 양극 탭 및 음극 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고, 전극 리드 연결용 탭 상에 결합되는 전극 리드의 폭은 2 ㎜ 내지 3 ㎜, 길이는 1 ㎜ 내지 3 ㎜ 일 수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24)과 전극 리드를 보강 탭을 이용하여 결합한 탭-리드 결합부 또는 전극 리드 연결용 탭과 굽힘 탭 구조의 전극 리드가 결합된 탭-리드 결합부는 분리막의 내측으로 삽입/정렬된 상태를 갖는다. 이를 통해 플렉서블 전지의 최대 약점인 단자 부분의 외부노출을 방지함으로써 보호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탄성 고분자 필름이 보강된 주름 패턴을 갖는 외장재가 전극 조립체의 외곽을 둘러싸는 상태를 보인다.
전극 조립체(100)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장재(200) 상에는 탄성 성질을 갖는 탄성 고분자 보강필름(240)이 외장재(2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전체 길이(L) 상에서 어느 부분에든 배치가 가능하다.
상기 탄성 고분자 보강필름(240)은 주름 패턴을 갖는 외장재(200)의 골 부분 상에 열 압착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탄성 고분자 보강필름(240)은 외장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모든 골 부분에 열압착되거나 또는 교번적으로도 배치 가능하다.
상기 탄성 고분자 필름이 보강된 국부적인 부위의 길이 X는 외장재 전체 길이 L의 1/15 내지 1/3 로 설정하고, 국부적인 부위의 폭 Y는 전극조립체 내 극판의 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탄성 고분자 필름 보강부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외장재 내 결착력과 외부에서 가해지는 굽힘에 의해 효과적으로 최외곽 전극의 절단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탄성 고분자 필름 보강부의 폭 Y는 외장재의 실링부를 침범하지 않도록 하여 외장재 밀봉시 실링부의 손상으로 인한 전해액 누액 및 외부공기 유입 등의 전지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탄성 고분자 필름 보강부의 길이 X가 L의 1/15 미만일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최외곽 전극의 절단을 유도할 수 없으며, 외장재 상에 열 압착을 통한 탄성 고분자 필름 보강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한편, 외장재 길이 L의 1/3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범위가 넓어 반복적인 휘어짐과 굽힘 등에 의해서 받는 스트레스가 분산되기 때문에 이 또한 효과적인 최외곽 전극의 절단을 유도하기 어렵다.
상기 탄성 고분자 보강필름(240)은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TPR) 일 수 있다.
상기 탄성 고분자 보강필름은 가황 불포화 고무(Unsaturated rubbers that can be cured by sulfur vulcanization), 불가황 포화 고무(Saturated rubbers cannot be cured by sulfur vulcanization) 및 열가소성 탄성고분자(Thermoplastic elastomer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가황 불포화 고무의 경우에는 Natural polyisoprene (cis-1,4-polyisoprene (Natural rubber), trans-1,4-polyisoprene (Gutta-percha)), Polyisoprene rubber (IR), Polybutadiene rubber(BR), Polychloropene rubber(CR), Neoprene, Bayprene etc., Poly(isobutyleneco-isoprene) rubber (IIR), Chloro IIR (CIIR), Bromo IIR (BIIR), Poly(styreneco-butadiene) rubber (SBR), Poly(acrylonitrile-co-butadiene) rubber (NBR), Hydrogenated NBR (HNBR), Therban, Zetpol 등을 포함한다.
불가황 포화 고무의 경우에는 Epichlorohydrin rubber (ECO), Polyacrylic rubber (ACM, ABR), Silicone rubber (SI, Q, VMQ), Fluorosilicone rubber (FVMQ), Polyether block amides(PEBA),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CSM), Hypalon, Ethylene-vinyl acetate(EVA) 등을 포함한다.
열가소성 탄성고분자의 경우에는, Thermoplastic styrenic block copolymers (TPE-s)이 있는데, 예를 들어, Polystyrene-blockpolybutadiene-block-polystyrene (SBS), Polystyrene-block-polyisoprene-blockpolystyrene(SIS), Polystyrene-block-poly(ethylene-ran-propylene)-blockpolystyrene(SEPS), Polystyrene-block-poly(ethylene-ran-butylene)-blockpolystyrene(SEBS) 등을 포함한다.
다른 열가소성 탄성고분자, 올레핀 고분자 혼합체가 있는데, Thermoplastic polyolefin blends (TPE-o)이라 한다. 이 고분자는 SBS, SIS, SEPS, SEBS 등과 같은 상기 서술한 TPE-s와 PS, PP, PE등 polyolefin을 섞은 elastomeric alloys이다. 또 다른 열가소성 탄성고분자로서는 Thermoplastic polyurethanes (TPU), Thermoplastic copolyester, Thermoplastic polyamides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Thermoplastic vulcanizate elastomer (TPV)의 경우에는, ethylene propylene monomer (EPM) rubber, ethylene propylene dienemonomer (EPDM) rubber, fluroelastomer (FKM, and FEPM), Perfluoroelastomers(FFKM)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 고분자 보강필름(240)의 쇼어 경도 (Shore hardness)는 30 내지 80 (Shore A, A Type)이다. 경도란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를 다른 물체로 눌렀을 때 그 물체의 변형에 대한 저항력의 크기를 말한다. 크게 비커스 경도, 브리넬 경도, 로크웰 경도, 쇼어 경도 등으로 나뉘는데 상기 탄성 고분자의 경우 쇼어 경도로 측정하고 표기한다. 쇼어 경도 측정기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인덴터(바늘 형태)로 물체를 누른 후 튀어오르는 정도를 수치화한 것으로 인덴터의 모양에 따라 타입이 A, B, C, D, OO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탄성 고분자 보강필름(240)은 A 타입으로 30 내지 80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로는 30 미만에서는 낮은 경도로 인해 전극 조립체 내 최외곽 전극을 효과적으로 절단하기 어렵고, 80을 넘어서는 굽힘 또는 비틀림 같은 동작에서 외장재 및 전극 조립체를 손상시켜 플렉서블 전지의 정상적인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로서, 탄성 고분자 필름이 보강된 평탄한 패턴을 갖는 일반 외장재가 전극 조립체의 외곽을 둘러싸는 상태를 보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최외곽 전지 상에 절단이 발생함으로써 전극 조립체를 이루는 다른 내부 전극들이 폐쇄 상태(셧다운, shutdown)로 설정된 상태를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조립체를 이루는 복수의 전지들은 우측의 병렬 연결용 탭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전지들 중 하단부 최외곽에 배치되는 극판에는 전극리드 연결용 탭 부분에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태에서, 전극 조립체 상에 외부에서 굽힘 및 비틀림 등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전극 조립체의 내부보다는 하단부의 최외곽에 있는 전극이 우선적으로 손상되며 절단된다.
이 때, 전극리드 연결용 탭이 구비된 최외곽 전극이 끊어지게 되면, 병렬연결용 탭에 의해 연결된 전극들은 전류가 차단되어, 폐쇄 상태가 되고, 용량이 급감하여 전지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내부 전극의 손상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사용 시 내부 단락으로 이어져 발생할 수 있는 발화 위험성을 갖는 기존의 전지와는 차별적으로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최외곽 전극의 종류 및 배치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외장재 파손 내지 내부 단락이 발생하는 시점 이전에 전극리드 연결용 탭이 구비된 전극의 절단을 유도한다. 이런 의도된 구조는 사용자의 부주의나 과도한 굽힘으로 인한 위험성으로부터 전지를 안전하게 하고, 외부 힘에 의한 일정 굽힘 횟수 이상에서의 플렉서블 전지의 성능 보장 및 제어를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상부 압인부와 하부 압인부가 반복 압인 가공된 구조의 외장재부(200)를 배치한다.
도 8를 참조하면, 외장재부 상에 반복적으로 압인 가공된 복수의 상부 압인부와 하부 압인부는 굽힘, 비틀림 또는 구겨짐 동작에서 전극 조립체를 갖는 플렉서블 전지의 압축 및 인장이 가능하도록 패턴 및 형태가 반복된다.
상기 복수의 상부 압인부와 하부 압인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외장재부의 폭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상부 압인부와 하부 압인부는 각각 상부와 하부 금형으로 압인된다.
전극 조립체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장재부는 실링부(230)의 붉은 점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극 조립체 상에서 상부 외장재부(210) 및 하부 외장재부(220)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외장재부 상에 반복되는 복수의 상부 압인부(212, 222)와 하부 압인부(214, 224)는 실링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 외장재부(210)와 하부 외장재부(220) 상에 대칭적으로 압인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를 상하 대칭적으로 절곡 후에 상기 외장재부 내부에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상부 외장재부(210)와 하부 외장재부(220)를 구분하는 기준인 실링부의 폭은 3 ㎜ 내지 5 ㎜이고, 실제 실링 폭은 1 ㎜ 내지 2 ㎜ 일 수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 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외장재부 상에 반복되는 복수의 상부 압인부 높이(h)와 하부 압인부 높이(h')는 동일(h=h') 할 수 있다.
상기 외장재부 상에 반복되는 복수의 상부 압인부 높이(h)와 하부 압인부 높이(h')는 0.5 ㎜ 내지 1 ㎜이며 최적값은 0.75 ㎜ 이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외장재부에 형성되는 상부 압인부 높이(h)와 하부 압인부 높이(h')에 의해 열 압착되는 탄성 고분자 필름의 두께가 0.5 ㎜ 내지 1 ㎜로 결정되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성 고분자 필름의 두께가 0.5 ㎜ 미만에서는 효과적으로 최외곽 전극의 절단을 유도할 수 없으며, 두께가 1 ㎜를 초과할 경우에는, 탄성 고분자 필름 보강부에 의해 전극 조립체와 외장재에 높은 압력이 가해져, 외장재의 구겨짐과 같은 손상, 파손과 함께 최외곽 전극이 절단되어 순간적으로 과전압이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플렉서블하면서도 정상적인 전기화학구동이 어려워진다.
한편, 상기 외장재부 상에 인접한 복수의 상부 압인부 최고점 간의 폭(a)과 복수의 하부 압인부 최저점 간의 폭(b)은 동일(a=b)하여 물결무늬 패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분리막을 통해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전극을 갖는 전극 조립체 중 최외곽 전극을 음극을 배치하여 플렉서블 전지의 굽힘 시에 전극 단자의 파손을 방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탄성 고분자 필름이 국부적으로 보강된 주름 패턴을 갖는 외장재를 채용한 경우와 다른 비교예들의 굽힘 평가 결과를 보인다.
도 10에서 최상단의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굽힘 평가 후 외장재의 주름 및 실링부의 손상은 없지만, 최외곽 전극은 굽힘 횟수 2,000회 부근에서 절단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주름 패턴이 형성된 외장재 내에 국부적으로 탄성 고분자 보강필름이 구비된 전지를 보면, 2,000회 부근에서 최외곽 전극의 절단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용량이 급감하며, 전압이 작동전압 이하로 떨어지게 되며, 최하단 그래프인 비교예 1의 경우보다 훨씬 우수한 굽힘 내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주름 패턴을 갖는 외장재 내 국부적으로 형성된 탄성 고분자 보강 필름이 대면되는 최외곽 전극에 힘이 지속적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최외곽 전극의 합제층 크랙 및 집전체의 절단을 유도함을 알 수 있다.
도 10에서 최하단의 그래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고분자 필름이 보강된 평탄한 패턴을 갖는 일반 외장재가 전극 조립체의 외곽을 둘러싼 상태의 비교예 1을 보인다.
상기 비교예 1에서는 외장재의 손상 및 최외곽 전극의 절단이 모두 이루어진다.
상기 비교예 1의 경우에는 25cpm(25번/1분)의 굽힘평가를 진행하는 경우에, 100회 미만에서 외장재 손상 및 최외곽 전극이 절단되며, 순간적으로 전압이 급증하여 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입력되는 전류는 일정하지만 최외곽 전극의 절단이 발생하여, 병렬연결용 탭에 의해 연결된 일반 전극들은 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 폐쇄 상태(shutdown)가 되어 용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그에 대응하여 저항 등이 커지면서 갑자기 과전압이 걸리는 현상에 기인한다. 일반 전지의 경우에는 모든 전극이 하나로 묶여 외부로 연결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전지 외부로 통하는 전류의 이동 통로, 즉 전극리드 연결용 탭이 구비된 전극이 단일하게 존재하므로 최외곽 전극이 끊어짐과 동시에 전지의 단선이 일어난다.
도 10에서 중앙의 그래프는 비교예 2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외장재의 손상이 없는 동시에, 최외곽 전극의 절단도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8,000회 이상의 굽힘 횟수에서는 전극 및 외장재가 모두 손상된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전지인 비교예 2는 반복적인 굽힘 횟수 8,000회 전후로 외장재가 파손되거나 리튬 석출로 인한 내부 단락의 발생 확률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단락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전에 탄성 고분자 필름이 보강된 평탄한 패턴을 갖는 외장재를 도입함으로써 의도적으로 8,000회 이하에서 먼저 최외곽 전극이 절단되도록 유도한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실험 결과, 주름 패턴을 갖는 외장재 내 국부적으로 탄성 고분자 보강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굽힘 횟수 1,500~2,500회 부근에서 국부적인 부위의 전극 절단 및 전지의 단선을 발생하게 하여, 외장재가 손상되거나 리튬 석출로 인한 내부 단락의 발생 확률이 높은 과도한 굽힘 횟수 이전에 의도적으로 최외곽 전극의 손상 및 절단을 설계하여 배터리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상에 외부 굽힘에 의한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질 경우, 국부적으로 탄성 고분자 보강 필름이 형성된 외장재의 일부 영역과 대면되는 최외곽 전극 부분은 외부에서의 반복적인 휘어짐과 굽힘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국부적으로 심하게 작용하게 되어 절단됨으로써 전류가 차단되는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부주의나 과도한 굽힘으로 인한 위험성으로부터 전지의 기능을 상실케 하고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3)
- 전극 조립체; 및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장재;를 포함하고,상기 전극 조립체는,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상이한 극성을 갖는 한 쌍의 전극판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단위셀;상기 한 쌍의 전극판의 단면 또는 양면 상에 도포되는 전극 합제; 및상기 전극판들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전극 탭;을 포함하고,상기 전극 탭은 전극 병렬 연결용 탭과 전극 리드 연결용 탭을 포함하고,상기 전극판은 상기 전극 병렬 연결용 탭과 전극 리드 연결용 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 탭이 형성되며,상기 외장재 내면의 국부적인 부위 상에 상기 전극 조립체와 맞닿도록 탄성 고분자 필름이 결합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 고분자 필름이 결합되는 부위의 길이 X는 외장재 전체 길이 L의 1/15 내지 1/3 인 이차전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탄성 고분자 필름의 쇼어 경도 (Shore hardness)는 30 내지 80 (Shore A, A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 고분자 필름은 가황 불포화 고무(Unsaturated rubbers that can be cured by sulfur vulcanization), 불가황 포화 고무(Saturated rubbers cannot be cured by sulfur vulcanization) 및 열가소성 탄성고분자(Thermoplastic elastomers)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극 조립체는 최외곽에 배치되는 최외곽 음극판 및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최외곽 음극판과 인접하여 대면 배치되는 최외곽 양극판을 포함하고,상기 최외곽 음극판 및 최외곽 양극판에는 각각 전극 병렬 연결용 탭과 전극 리드 연결용 탭이 모두 형성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극 조립체는,상기 전극 리드 연결용 탭에 결합되는 보강 탭;을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극 리드는,상기 전극 리드 연결용 탭 상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하는 측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굽혀지도록 형성되는 굽힘 구조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보강 탭에 의해 덧대어진 탭 리드 결합부는 상기 분리막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이차전지.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전극 리드 연결용 탭과 굽힘 구조의 전극 리드가 결합된 탭-리드 결합부는 상기 분리막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극 조립체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배치된 최외곽 음극판은 전극 합제가 단면 도포된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외장재는, 반복되는 상부 압인부 및 하부 압인부를 구비하고,상기 상부 압인부 및 하부 압인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 고분자 필름의 폭 Y는, 상기 외장재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실링부 간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외장재는, 반복되는 상부 압인부 및 하부 압인부를 구비하고,상기 상부 압인부 및 하부 압인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 고분자 필름의 폭 Y는, 상기 전극판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외장재는, 반복되는 상부 압인부 및 하부 압인부를 구비하고,상기 탄성 고분자 필름은 상기 상부 압인부 및 하부 압인부에 의해 형성되는 골 부분에 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765,989 US12119500B2 (en) | 2017-11-23 | 2018-11-21 | Electrode assembly having improved safety of use by means of structure in which local site in exterior material is reinforced with elastic polymer film, and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926 | 2017-11-23 | ||
KR1020170156926A KR101937185B1 (ko) | 2017-11-23 | 2017-11-23 | 외장재 내의 국부적인 부위에 탄성 고분자 필름을 보강하는 구조를 통해 사용 안정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03447A1 true WO2019103447A1 (ko) | 2019-05-31 |
Family
ID=6502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8/014331 WO2019103447A1 (ko) | 2017-11-23 | 2018-11-21 | 외장재 내의 국부적인 부위에 탄성 고분자 필름을 보강하는 구조를 통해 사용 안정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2119500B2 (ko) |
KR (1) | KR101937185B1 (ko) |
WO (1) | WO201910344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70579A (zh) * | 2019-08-19 | 2022-04-01 | 罗伯特·博世有限公司 | 电池和膜电极接合体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0844B1 (ko) * | 2017-11-24 | 2018-08-22 | 주식회사 리베스트 | 최외곽 전극의 구조 및 집전체의 재질에 의해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JP7444698B2 (ja) * | 2020-05-19 | 2024-03-0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電池セル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04284A (ja) * | 2010-11-08 | 2012-05-31 | Daikyonishikawa Corp | 蓄電装置の収容構造 |
KR20160050960A (ko) * | 2014-10-31 | 2016-05-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주름 방지용 부재가 부가되어 있는 전지셀 |
KR20170001048A (ko) * | 2015-06-25 | 2017-01-04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 |
US20170077480A1 (en) * | 2015-09-14 | 2017-03-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de stack structure and battery having electrode stack structure |
KR101783703B1 (ko) * | 2017-03-17 | 2017-10-11 | 주식회사 리베스트 | 보강 탭 결합 구조 및 전극 리드 굽힘 결합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전지 |
KR101789066B1 (ko) * | 2017-05-25 | 2017-10-23 | 주식회사 리베스트 | 복합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0412B1 (ko) * | 2006-08-14 | 2009-06-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향상된 안전성과 콤팩트한 구조의 이차전지 |
KR102290164B1 (ko) | 2015-01-21 | 2021-08-17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플렉서블 배터리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
CN105261781B (zh) * | 2015-10-28 | 2018-11-16 | 广东烛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电化学电池及其制备方法 |
-
2017
- 2017-11-23 KR KR1020170156926A patent/KR10193718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11-21 WO PCT/KR2018/014331 patent/WO201910344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11-21 US US16/765,989 patent/US1211950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04284A (ja) * | 2010-11-08 | 2012-05-31 | Daikyonishikawa Corp | 蓄電装置の収容構造 |
KR20160050960A (ko) * | 2014-10-31 | 2016-05-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주름 방지용 부재가 부가되어 있는 전지셀 |
KR20170001048A (ko) * | 2015-06-25 | 2017-01-04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 |
US20170077480A1 (en) * | 2015-09-14 | 2017-03-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de stack structure and battery having electrode stack structure |
KR101783703B1 (ko) * | 2017-03-17 | 2017-10-11 | 주식회사 리베스트 | 보강 탭 결합 구조 및 전극 리드 굽힘 결합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전지 |
KR101789066B1 (ko) * | 2017-05-25 | 2017-10-23 | 주식회사 리베스트 | 복합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70579A (zh) * | 2019-08-19 | 2022-04-01 | 罗伯特·博世有限公司 | 电池和膜电极接合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2119500B2 (en) | 2024-10-15 |
KR101937185B1 (ko) | 2019-01-11 |
US20200358043A1 (en) | 2020-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8169157A1 (ko) | 보강 탭 결합 구조 및 전극 리드 굽힘 결합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전지 | |
KR100686800B1 (ko) | 이차 전지 | |
KR100846955B1 (ko) | 원통형 이차전지 | |
WO2015046878A1 (ko) | 이차전지 및 이에 적용되는 전극 리드 조립체 | |
WO2014133275A1 (ko) |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814853B1 (ko) | 전지 모듈 | |
WO2019103447A1 (ko) | 외장재 내의 국부적인 부위에 탄성 고분자 필름을 보강하는 구조를 통해 사용 안정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
WO2019045310A1 (ko) | 파우치 형 이차 전지 | |
WO2019103392A1 (ko) | 최외곽 전극의 구조 및 집전체의 재질에 의해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
WO2012121468A1 (ko) | 부품을 접착시킨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WO2018216859A1 (ko) | 복합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
KR102300870B1 (ko) | 전극 조립체 | |
KR20190024451A (ko) | 패턴 형성된 외장재부를 갖는 플렉서블 전지 | |
WO2019098669A1 (ko) | 플렉서블 전지용 금속탭 | |
WO2021101027A1 (ko) |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
WO2011046261A1 (ko) | 가스켓 처짐이 방지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 |
WO2019103446A1 (ko) | 외장재 패턴 구조에 의해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
KR20130019706A (ko) |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 |
WO2023121392A1 (ko) | 전극탭 용접장치, 전극탭 용접방법 및 전극조립체 | |
WO2018199511A1 (ko) | 전도성 폴리머를 이용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
WO2011115392A2 (ko) | 이차 전지 | |
KR20190059853A (ko) | 외장재 내의 국부적인 부위에 탄성 고분자 필름을 보강하는 구조를 통해 사용 안정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
WO2018143737A2 (ko) | 이차 전지 | |
WO2018004157A1 (ko) | 이차전지 | |
WO2019103467A1 (ko) | 최외곽 전극이 음극으로 배치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88815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88815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