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03191A1 - 조립식 쌍동형 보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쌍동형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03191A1
WO2019103191A1 PCT/KR2017/013464 KR2017013464W WO2019103191A1 WO 2019103191 A1 WO2019103191 A1 WO 2019103191A1 KR 2017013464 W KR2017013464 W KR 2017013464W WO 2019103191 A1 WO2019103191 A1 WO 20191031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ull
contact surface
groove
portion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34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경우
전주연
손창련
성용하
김민근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컴텍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컴텍,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컴텍
Publication of WO20191031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031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63B7/04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sectional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63B34/21Canoes, kayak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4/23Sectionalised, e.g. modula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63B2001/123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interconnected by a plurality of beams, or the like member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1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 B63B1/2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 B63B2001/2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 B63B2001/20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2001/20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e.g. catamarans
    • B63B2739/00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win bo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twin boat having a prefabricated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the volume and storing the components therein, thereby improving storage and portable convenience.
  • a boat refers to a small boat propelled by a man power using a furnace or the like or propelled by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ch as a motor. These boats have been mainly used for transportation or fishing, but recently, as the leisure culture has spread and the population enjoying water leisure sports has been increasing, it is widely used for water leisure activities.
  • the boat is a tendency that an individual directly stores or transports the boat so as to enjoy water leisure easily.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lightweight, compact, and economical boats that can be used while traveling on passenger cars, SUVs, and RVs. Accordingly, various prior arts have been disclosed for a prefabricated boat or a foldable boat that can be stored in the trunk of a vehicle or can be fixedly mov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using a roof rack.
  • a boat widely used for play and play is mainly a catamaran boat having a pair of hulls so that the center of buoyancy is divided into two, and each hull is connected by a deck or other structure.
  • a catamaran boat has an advantage in that it has excellent stability for the operation because the center of the buoyancy is divided into two, and that more citation can be boarded than the simple line.
  • the hull of the catamaran boat is provided with a pair of hulls, the hull has a large volume and weight, which requires a large space for storage.
  • each hull when the catamaran boat is carried using a vehicle or the like, it is difficult to stably fix the catamaran boat to the roof of the vehicle due to its volume. Further, even when each hull is separated and transported, each hull must be individually fixed or housed in the vehicle, so that a space required for transportation is excessively occupied and a time required for fixing or storing is unnecessarily increa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twin boat having a prefabricated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the volume and storing the components therein, thereby improving storage and portable convenience.
  •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hull portion having a first assembling contact surface formed outside an opening side edge of a first receiving groove formed in a top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hull and having an outer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ng contact surface outside the opening side edge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A second hull portion formed with a second assembling contact surface; At least one connection beam portion disposed on the first hull portion and the second hull portion, both ends of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hull portion and the second hull portion,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binding means for fixing the first hull portion and the second hull portion so that the first assembling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assembling contact surface are confronted with each other.
  • the prefabricated twin b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 the first hull portion and the second hull portion are constr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respective assembling contact surfaces formed outside the opening-side rim of each receiving groove portion in which all the component parts are stacked and stored during the storage assembly are mutually opposed by the binding means. Accordingly, the entire volume of the storage and assembled stat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entire volume of the assembled state, and compact transportation or storage without the risk of losing component parts is possible.
  • connection beam portion is constrained by the first engagement members when the transverse movement occurs in the water, the connection beam portions are firmly pressed and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
  • the coupling means is coupled and fixed to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respectively, which are formed so that the first coupling member is coupled. Accordingly, sinc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are used interchangeably, a separate structure for joining the second coupling members to each hull part is not required, so that the structure and the number of processes of the product are simplifi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further improved .
  • first variable cover portion and the second variable cover portion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hull portions during use and assembly, and cover the respective receiving groove portions.
  • first and second variable cover portions are assembled during storage, the components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storing groove portions, do.
  • the total volume of the product can be minimized and the storage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 FIG. 1 is a plan view of a prefabricated twin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B in Fig.
  •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D in Fig.
  •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mponent parts are loaded in respective storage groove portions in a prefabricated twin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F of Fig.
  • FIG. 6 is a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assembled bicycle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H in Fig.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prefabricated twin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being assembled in a modified example of a prefabricated twin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lan view of a prefabricated twin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as seen from the direction AB in Fig. 1
  • Fig. 3 is a cross-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F of FIG. 4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H in FIG. 6.
  • the assembled twin boat 100 includes a first hull 10, a second hull 20, a connecting beam 30, (40).
  • the first hull portion 10 may include a lower hull portion 10a and a deck portion 10b.
  • the forward portion of the lower hull 10a may have a narrower width toward the front side so as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e fluid.
  • a buoyant space may be formed in the lower hull 10a to form buoyancy to float on the water.
  • the bottom portion of the lower hull 10a may protrude a resistance-resistant portion 17 for guiding the flow of the fluid in both directions when the water is moved, thereby reducing the resistance of the fluid.
  • the resistance-reducing portion 17 may be integrally provided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hull 10a, and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may be coupled by welding or coupling means.
  • the deck portion 10b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hull portion 10a and can be coupled to the deck portion 10b by welding or other coupling means.
  • the assembled twin boat 100 is manufactured by dividing the lower hull part 10a and the deck part 10b, respectively, and then assembled, so that the work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lower hull 10a and the deck 10b may be integrally provided.
  • a plurality of passengers can ride on the deck portion 10b, and the passenger can paddle the boat and provide the propulsion force to the prefabricated bicycle boat 100.
  • separate propelling means may be detachably provided to provide propulsive force to the respective hull sections 10, 20, and may be mounted on the hull sections 10, 20 during use and assembly.
  • the term "use assembly” is understood to mean that each of the hull portions 10, 20 is connected by the connection beam portion 30 for use in waterworks.
  • the term 'storage assembly' means that after the connection beam part 30 is separated for storage or transportation, the respective hull parts 10 and 20 are constrained so that the respective mounting contact surfaces 12 and 22 are oppose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it is fixed by the binding means 40.
  • a first storage groove portion 11 with the upper side open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hull portion 10.
  • the first receiving groove part 11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ull part 10.
  • the first storage groove portion 11 may be used for a purpose of storing an occupant's personal item or holding a fish or the like.
  • a first assembling contact surface 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hull portion 10 on the outside of the opening side edge of the first storage groove portion 11.
  • the first assembling contact surface 12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so as to be easily plac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assembling contact surface 22 to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receiving groove portion 11, the first assembling contact surface 12, and a first mounting groove portion 13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substantially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deck portion 10b.
  • the first hull portion 10 may be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having light weight, corrosion resistance, salt resistance and durability. Accordingly, the first hull portion 10 can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trength that can maintain its shape and is lightweight, thereby improving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the user.
  • the first hull 10 may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carbon,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o a material, but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light weight and predetermined strength.
  • the second hull portion 20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hull portion 10. At this time, the second hull portions 2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rst hull portion 10.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hull portion 10 and the second hull portion 20 can be sel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d2 of the connecting beam portion 30. [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each of the hull portions 10, 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ull portions 10, 20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total width of the assembled bicycle boat 100 is increased and buoyancy acts on the first hull portion 10 and the second hull portion 20, respectively, so that stability against rolling or straight traveling is further improved .
  • the occupants can be carried on each of the hull sections 10 and 20, the substantial number of passengers increases, so that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enjoy the water and leisure at the same time.
  •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ull portion 20 is formed with a second storage recessed portion 21 having an opened upper side.
  • the second receiving recessed portion 21 may be recess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ull 20.
  • the second mounting contact surface 22 is formed outside the opening side edge of the second storage groove portion 21.
  • the second assembly contact surface 22 is formed with an outer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ssembly contact surface 12. At this time, the second assembling contact surface 22 is arranged to be selectively opposed to the first assembling contact surface 12 according to use assembly or storage assembly.
  •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10, 20 are arrang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first assembling contact surface 12 and the second assembling contact surface 22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have.
  • the second hull portion 20 is substantially formed in a shape an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ull portion 10,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hull portion 20 will be omitted.
  • the connecting beam portion 3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hull portion 10 and the second hull portion 20 so th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hull portion 30 are connected to the first hull portion 10 and the second hull portion 20,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two ship portions 20, respectively.
  • the connection beam part 3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each of the storage groove parts 11 and 21 so that the connection beam part 30 does not overlap the storage groove parts 11 and 21. [ Accordingly, even if the occupant is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storage groove portions 11 and 21, interference by the connection beam portion 30 can be prevented and stable boarding is possible.
  • the connection beam unit 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of the first hull unit 10, or may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carbon,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case.
  • the connecting beam portions 30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respective receiving groove portions 11 and 21 and are provided as a pair.
  • connection beam portion 30 includes a cross beam 31, a hull connecting portion 32, and a first coupling member 33.
  • the cross beam 31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flat surface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ross beam 31 stably contacts the respective assembly contact surfaces 12, 22. At this time, the cross beams 31 may extend to a length that allows both ends of the cross beam 31 to be seated on the respective assembly contact surfaces 12 and 22.
  • the cross beams 31 may be vertically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sections 10, 20. Accordingly, each of the hull portions 10 and 20 can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beam portion 30 is engaged.
  • the hull connecting portion 32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eam portion 3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hull portion 10 and the second hull portion 10 through which the first coupling member 33 passes, (20) and the head portion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 the hull connecting portion 32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ross beam 31, and is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passing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hull connecting portion 32 and the head portion of the first hull portion 10, It is preferable to be restrained between the out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portions 20.
  • the hull connecting part 32 provided at one end of the cross beam 31 is connected to the hull connecting part 32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ross beam 31, Is coupled to the second hull section (20).
  • the hull connecting portion 32 may be provided as a pair of bracket panels 32a and 32b.
  • each of the bracket panels 32a and 32b projects downward from the cross beam 31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 beam 31 so as to correspond to a width interval between both side portions of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10 and 20 Can be spaced apart.
  • one side bracket panel 32a on one end side of the cross beam 31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one side of the first hull section 10 and the other side bracket panel 32b is arranged on the first hull section 1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gap between the opposed faces of the bracket panels 32a and 32b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hull section in the area where the cross beam 31 is seated.
  • the bracket panels 32a and 32b are disposed so as to contact both side portions of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10 and 20 when the cross beam 3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assembly contact surfaces 12 and 22. [ So that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can be stably coupled in the lateral direction. Accordingly, the connection beam unit 30 can be automatically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bracket panels 32a and 32b and the first hull unit 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assembling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first engagement member 33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holes and may be inserted through at least one through hole 34 formed in each of the bracket panels 32a and 32b, 20).
  • the bracket panels 32a and 32b are provided with a first engaging portion 14a formed in the first hull portion 10 and the second hull portion 20 through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Respectively,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4a.
  •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a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4a may be formed as a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is inserted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14a, 33 may be formed as holes or grooves to which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ng portions 33 and 33 are screwed. That is,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a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4a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to be inserted so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engaging members 3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 first engaging portion 14a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4a are formed as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is inserted.
  • first hull portion 10 and the second hull portion 20 are formed with the first mounting groove portion 13 and the second mounting groove portion 23.
  • the first mounting groove 13 may be recessed from the first mounting contact surface 12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beam 30 is disposed.
  • the first mounting recesses 1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first hull 10.
  • At least one first coupling guider 14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ull 10 so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a passes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a.
  • the first coupling guider part 14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ull part 10 facing the respective bracket panels 32a and 32b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beam part 30 is engaged,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a may be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34, respectively.
  • the diameter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a may be set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so that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can pass through.
  • the first coupling guider portion 14 is connected to the first hull portion 10 via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a so that the side of the first hull portion 10 and the first mounting groove portion 1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an be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ortion (10). That is, the first coupling guider part 14 may b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mounting groove part 13 through the side of the first hull part 10 substantially.
  • the first coupling guider part 14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4.
  • the first coupling guider part 1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of the first hull part 10, and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synthetic resin, carbon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case.
  •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is guided by the first engaging guider 14 toward the first fixed engaging portion 14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assembling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lso, since the first joining member 33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contact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ull 10, wear or damage due to impact at the time of contact is minimized, so that durability can be improved.
  •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a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mounting groove portion 13 through the side portion of the first hull portion 10, as the case may be.
  • the first fixed engaging portion 14b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recess 13 in which the end of the first engaging guider 14 communicates.
  • the first stationary engaging part 14b may have a hollow inside, may be threaded on the inner periphery, and the hollow may b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engaging part 14a.
  • the first fixed engaging portion 14b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recess 13 by welding or other coupling means.
  • the cross beam 31 is seated on the respective assembly contact surfaces 12 and 22 and then the first coupling guider 14 on both sides of the hull portions 10 and 20 and the bracket panels 32a
  •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can be screw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b through the through hole 34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a.
  • each of the bracket panels 32a and 32b is clamped and clamped between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10 and 20 and the head portions of the first engagement members 33, Can be coupled to the hull sections (10, 20).
  • connection beam unit 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racket panels 32a and 32b firmly press both side portions of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10 and 20 by the first engagement member 33 when the horizontal movement occurs in the water,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so that st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vehicle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hull connecting portion 32 is structured so as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when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is engaged with the hull connecting portions 10,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replacement is carried out through the opening side of the first mounting groove portion 13 And maintenance can be further improved because repair is easy.
  • the hull connecting portion 32 may be a protruding portion integrally bent and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cross beam 31 so as to be fitted into fitting grooves formed in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10, 20 . That is, the hull connecting portion 32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it is coupled to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10 and 20 and can be fixed thereto.
  • a discharge hole 15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first hull portion 10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mounting groove portion 1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assembled bicycle boat 100 is pivoted. It can be expanded and opened.
  • a drain hole 35 may be formed in the hull connecting portion 32 so that the discharge hole 15 is communicated.
  • the drain hole 35 is formed to penetrate one side of each of the bracket panels 32a and 32b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let side position of the discharge hole 15 when the bracket panels 32a and 32b are coupled .
  • the outlet side of the discharge hole 15 is preferably understood to be a portion that opens to the side of the first hull 10. Accordingly, even if water flows into the first mounting groove 13, the water can be stab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15 and the drain hole 35.
  • a first cover groove portion 51a and a second cover groove portion are provided to cover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storage groove portion 11 and the second storage groove portion 21,
  • the first variable cover portion 50 and the second variable cover portion 60 may be further provided. 3, components of the first variable cover part 50 that are not related to the assembled state of the first variable cover part 50 will be omitte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first variable cover part 50 in FIG.
  • the first variable cover portion 5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cover 51, a first step coupling portion 52, and a third coupling member 53.
  • a plurality of passengers can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ariable cover portion 50 and the second variable cover portion 6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irst cover 51 may be formed as an inverted container, and the first cover groove 51a may be formed therein.
  • the first folding cover 51 is seated so that its opening side faces the opening side of the first storing groove portion 11, the first storing groove portion 11 and the first cover groove portion 51a So that the space that can be substantially accommodated can be expanded.
  • the first stepped engaging portion 52 extends integrally outward along the opening edge of the first engaging cover 51. At this time, the first stepped engaging portion 52 may be seated in the first stepped groove portion 11a formed in a stepped downward direction from the first assembling contact surface 12.
  • the first stepped groove portion 11a may be formed as an inner surface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profil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tepped engaging portion 52 and may be formed substantially inside the first stepped groove portion 11a,
  • the variable cover portion 50 can be inserted and hooked on the rim.
  • the first stepped groove portion 11a is provided with the first stepped engagement portion 52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side of the first fused cover 51 faces the opening side of the first storage recessed portion 11 So that the first variable cover portion 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ivoted or released. Further, as the first variable cover portion 50 is engaged with the first stepped groove portion 11a, the load acting on the third engaging member 53 is supported to prevent breakage,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have.
  • the third engaging member 53 may be a bolt member.
  • the third engaging member 53 may include a plurality of screws, which are screwed into the cover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first stepped groove portion 11a through the first step engaging portion 52, Can be combined.
  • the cover engaging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first stepped grooves 11a facing the first stepped engaging portions 52. [ As the first stepped engaging portion 52 is clamped between the head portions of the first stepped groove portion 11a and the third engageable member 53, And can be fixed while covering the first storage groove portion 11. [
  • the second variable cover portion 60 is substantially formed in a shape an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variable cover portion 5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variable cover portion 60 is omitted do.
  • the connecting beam 30, the first variable cover part 50, and the second variable cover part 60 ar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hull sections 10, .
  • the connection beam 30, the first variable cover part 50, and the second variable cover part 60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storage grooves 11 and 21.
  • the outer profile of the first variable cover portion 50 and the second variable cover portion 6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first storage groove portion 11 and the second storage groove portion 21 desirable.
  • the first variable cover portion 50 and the second variable cover portion 60 are formed in the first storage groove portion 11 and the second storage groove portion 21 in a vertically reversed manner, Can be inserted.
  • first variable cover portion 50 and the second variable cover portion 60 are dispos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s of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10, 20 during use and assembly, And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storage groove portions 11 and 21 in a mutually engaging manner.
  • the first curled cover 51 is formed in an outer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 Accordingly, the first curled cover 51 can be deformably arranged so as to be rever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be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 in a fashionable manner. In addition, when the first cover 51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recessed portion 11, the first stepped groove portion 11a can be seated with the first stepped engaging portion 52 engaged.
  • the first stepped engaging portion 52 is engaged with the first stepped groove portion 11a to prevent the first variable cover portion 50 from rocking, the first deformable cover portion 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external impact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ver groove portion 51a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torage groove portion 11.
  • the first cover 51 is arranged so as to cover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orage groove portion 11, and the first cover groove portion 51a formed in the first cover 51 is disposed substantially in the storage space Lt; / RTI >
  • variable cover portion 50 and the second variable cover portion 6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storage groove portion 11 and the second storage groove portion 21, respectively, So that the components can be stacked inside.
  • connection beam part 30 can be loaded in the first cover groove part 51a. That is, the first variable cover part 50 and the connection beam part 30 may be sequentially stacked in the first storage groove part 11.
  • the length d1 of the first storing groove portion 11 and the second storing groove portion 21 is set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d2 of the connecting beam portion 30. That is, the gap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storage groove portions 11 and 21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portions 10 and 20 may be set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d2 of the connection beam portion 30.
  • the length d1 of the first storage groove portion 11 and the second storage groove portion 21 has a maximum length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beam portions 30 when a plurality of the connection beam portions 30 are provided. Can be set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beam portion (30). Accordingly, the connecting beam portion 30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portion 11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portion 21, respectively.
  • connection beam portion 30, the first variable cover portion 50, and the second variable cover portion 60 are loaded into the respective storage groove portions 11 and 21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storage can be further improved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store the constituent parts.
  • the first variable cover portion 50 and the second variable cover portion 60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s of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10 and 20 during use and assembly, 21), the total volume is minimized, so that the storage efficiency of the product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first hull portion 10 and the second hull portion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first assembly contact surface 12 and the second assembly contact surface 22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is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 the first assembling contact surface 12 and the second assembling contact surface 2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opposed state, but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minimize volume.
  • the first hull unit 10 and the second hull unit 22 are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assembling contact surface 12 and the second assembling contact surface 22 are opposed to each other during the storage assembly,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portion is provided for fixing the portion 20.
  • the binding means 40 includes a fixed panel portion 41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42.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joining member 42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first hull part 10 and the second hull part 20, respectively, through the fixing panel part 41.
  • the fixed panel part 41 is provided on each side of each of the hull parts 10 and 20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assembling contact surface 12 and the second assembling contact surface 22 are symmetrically opposed to each other And extends to a length covering a portion where the hull connecting portion 32 is engaged. That is, the fixed panel part 41 i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hull guiding parts 14 and 14, both ends of which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hull part 10 and the second hull part 20, respectively, (Not shown).
  • the fixed panel part 41 may be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so that the respective hull parts 10 and 20 are firmly fixed.
  • the fixed panel part 41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
  • the second engaging member 42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xed through-holes 41a formed in the fixed panel portion 41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plurality of fixed through-holes 41a.
  • each of the fixed through holes 41a corresponds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a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4a formed on the first engaging guider 14 and the second engaging guider 24 .
  • the second engaging member 42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4a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4a through the fixing panel portion 41 through the fixed through hole 41a, And can be screwed to the first fixed engaging part 14b and the second fixed engaging part 24b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mounting recesses 13 and 23. [ At this time, as the fixed panel portion 41 is clamped and clamped between the head portions of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10, 20 and the second engagement members 42,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10, The assembly contact surface 12 and the second assembly contact surface 22 can be fixed in an opposed state.
  • the binding means 40 Since the total volume of the first hull portion 10 and the second hull portion 20 in the state of being assembled and assembled is remarkab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total volume of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hull portion 10 and the second hull portion 20 are assembled by the binding means 40 It is possible to carry and store compactly.
  • binding means 40 is fixed by the second engaging member 42 with the respective engaging portions 14a, 24a being used interchangeably.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 separate structure for joining the second joining member 42 to each of the hull sections 10 and 20,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the number of processes of the product,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productivity.
  • each of the hull portions 10, 20 is arranged symmetrically so as to minimize the volume without deviating between the respective engaging contact surfaces 12, 22 and is fixed by the binding means 40 so that it can be compactly stored, The property can be further improved.
  • each of the storage groove portions 11 and 21 is sealed substantially in a state where the respective assembly contact surfaces 12 and 2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store the component parts, Storage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 a pair of protrusions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inding means 40 to be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14a and 24a,
  • the hull portions 10 and 20 can be fixed in various shapes.
  • the second engaging member 42 may be a bolt membe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At this time, the first engaging member 33 may be screwed to the fixed panel portion 41 instead of the second engaging member 42. [ This reduces the number of parts of the product and reduces material usage, which can further improve productivity and economy.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prefabricated twin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of being assembled and stored in a modified example of a prefabricated twin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first alignment protrusion 116, the first alignment insertion groove 135, the second alignment protrusion 136, and the second alignment insertion groove 126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 the first alignment protrusions 116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ull 110.
  • the first alignment protrusions 116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al profile.
  • the first alignment protrusion 116 may be separately provided and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ssembly contact surface 112 of the first hull 110 by welding or coupling means, Can be integrally project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112.
  • the first alignment protrusion 116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assembly contact surface 112 to correspond to a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beam 130 is coupled.
  • the first alignment protrusion 116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ssembly contact surface 112 where one end of the cross beam 131 is seated so that the hull connection portion 132 is engaged by the first engagement member 133. [ .
  • connection beam part 130 may be formed with a first alignment insertion groove 135 into which the first alignment protrusion 116 is inserted.
  • the first alignment insertion groove 135 may be recessed in an inner surface profile corresponding to an outer profile of the first alignment protrusion 116 on a lower surface of the cross beam 131.
  • the first aligning protrusion 116 and the first aligning inserting groove 135 may have a protrusion height and a depression depth at which the cross beam 131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assembling contact surface 112 .
  • bracket panels 132a and 132b may be automatically aligned so as to face opposite sides of the first hull 110.
  • a second alignment insertion groove 126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ull 120.
  • the second alignment insertion groove 126 may be recessed on the second assembly contact surface 122 on which the other end of the cross beam 131 is seat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lignment projection 116 It may be recessed into an inner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profile.
  • the first alignment protrusion 116 and the second alignment insertion groove 126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beams 130.
  • the second alignment protrusion 136 may be protruded from the connection beam 130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alignment insertion groove 126.
  • the second alignment protrusion 136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cross beam 131 to have an outer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second alignment insertion groove 126. That is, the alignment protrusions 116 and 136 and the alignment insertion grooves 126 and 135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 each of the bracket panels 132a and 132b may be automatically aligned so as to face both sides of the second hull 120.
  • the hull connecting portion 132 is automatically alig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engagement position, The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Further, since the loads applied to the respective bracket panels 132a and 132b are dispersed and supported by the first alignment protrusions 116 and the second alignment protrusions 136, deformation or damage is prevented, have.
  • the first alignment protrusion 116 and the second alignment insertion groove 126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 the first alignment protrusion 116 and the second alignment insertion groove 126 are formed such that the respective hull portions 110 and 120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spective assembly contact surfaces 112 and 122,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at such a position.
  • first aligning projection 116 When the first aligning projection 11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ligning insertion groove 126, the second engaging member 142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member 142 when the engaging means 140 is engaged,
  • the first hull portion 110 and the second hull portion 120 may be closely aligned. Accordingly, each of the hull portions 110 and 120 is aligned by the alignment protrusions 116 and 136 and the alignment insertion grooves 126 and 135 during storage and assembly. Therefore, since separate work for fixing each of the hull sections 110 and 120 for joining the binding means 140 is not necessary, the assembling convenie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 connection beam unit 130 may include first alignment insertion grooves and second alignment protrusions that can insert the first alignment protrusion and the second alignment insertion groove, respectively, at both ends.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industries for the manufacture of prefabricated boats by providing prefabricated twin boa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부피를 최소화하고 구성부품을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로 구비되어 보관 및 휴대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상면부에 형성된 제1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제1조립접촉면이 형성되는 제1선체부; 상기 제1선체부의 폭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면부에 형성된 제2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상기 제1조립접촉면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조립접촉면에 선택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조립접촉면이 형성된 제2선체부;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에 각각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빔부; 및 상기 제1조립접촉면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이 대향된 상태가 구속되도록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식 쌍동형 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쌍동형 보트
본 발명은 조립식 쌍동형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를 최소화하고 구성부품을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로 구비되어 보관 및 휴대편의성이 개선된 조립식 쌍동형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트는 노 등을 이용한 인력에 의해 추진되거나 모터 등의 내연기관에 의해 추진되는 소형 배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보트는 수송 또는 낚시 등을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레저 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수상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수상 레저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상기 보트는 수상 레저를 편리하게 즐기도록 개인이 직접 상기 보트를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승용차나 SUV, RV 차량에 싣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경량, 소형, 경제적인 보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트렁크에 수납할 수 있거나 루프랙을 이용하여 차량의 지붕에 고정시켜 이동할 수 있는 조립식 보트 내지 접이식 보트에 대한 다양한 선행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보트는 구조, 크기 및 사용되는 동력원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유희용 및 놀이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보트는 부력의 중심이 양분되도록 한쌍의 선체가 구비되어 각 선체가 갑판 또는 그 밖의 구조물에 의해 연결되는 쌍동선(catamaran) 보트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쌍동선 보트는 부력의 중심이 양분됨에 따라 운항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단동선에 비해 많은 인용이 승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쌍동선 보트는 선체가 한쌍으로 구비됨에 따라 부피 및 무게가 상당하여 보관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차량 등을 이용해 상기 쌍동선 보트를 운반하는 경우 그 부피로 인해 차량의 지붕 등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선체를 분리하여 운반하는 경우에도 차량에 각 선체를 개별적으로 고정하거나 수납해야하므로 운반에 필요한 공간을 과도하게 차지하고 고정 내지 수납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피를 최소화하고 구성부품을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로 구비되어 보관 및 휴대편의성이 개선된 조립식 쌍동형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부에 형성된 제1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제1조립접촉면이 형성되는 제1선체부; 상기 제1선체부의 폭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면부에 형성된 제2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상기 제1조립접촉면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조립접촉면에 선택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조립접촉면이 형성된 제2선체부;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에 각각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빔부; 및 상기 제1조립접촉면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이 대향된 상태가 구속되도록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식 쌍동형 보트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제1선체부 및 제2선체부는 보관 조립시 구성부품이 모두 적재되어 보관되는 각 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형성된 각 조립접촉면이 결속수단에 의해 상호 대향된 상태가 구속된다. 이에 따라, 보관 조립된 상태의 전체 부피가 사용 조립된 상태의 전체 부피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면서도 구성부품의 분실 우려가 없는 컴팩트한 운반 내지 보관이 가능하다.
둘째, 상기 연결빔부는 수상에서 횡동요 발생시 양단부에 구비된 각 브라켓패널이 상기 제1결합부재에 의해 구속되어 각 선체부의 양측부를 견고하게 가압 지탱하므로 임의 분리가 방지되어 운행 안정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결속수단은 각 선체부에 제1결합부재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통해 제2결합부재가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호환 사용되므로 각 선체부에 제2결합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하지 않아 제품의 구조 및 가공 공수가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제1가변커버부 및 제2가변커버부는 사용 조립시 상기 각 선체부의 상면부로부터 돌출되어 각 수납홈부를 커버하되 보관 조립시 상기 각 수납홈부 내측으로 형합 삽입되어 내부에 구성부품이 적재된다. 이에 따라, 제품의 전체 부피가 최소화되어 보관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C-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에서 각 수납홈부에 구성부품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의 E-F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의 보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6의 G-H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의 변형예에서 보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C-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에서 각 수납홈부에 구성부품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E-F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의 보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G-H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100)는 제1선체부(10), 제2선체부(20), 연결빔부(30) 그리고 결속수단(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선체부(10)는 하부선체부(10a) 및 데크부(10b)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선체부(10a)의 선수부는 유체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전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선체부(10a)의 내부에는 수상에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선체부(10a)의 선저부에는 수상 이동시 유체의 흐름을 양측 방향으로 유도하여 유체의 저항력을 감소시키는 저항감소부(17)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항감소부(17)는 상기 하부선체부(10a)의 선저부로부터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별도로 구비되어 용접 내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립식 쌍동형 보트(100)가 수상을 이동하면 상기 저항감소부(17)에 의해 유체의 저항이 감소되어 이동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부(10b)는 상기 하부선체부(10a)의 상부에 배치되며, 용접 내지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립식 쌍동형 보트(100)는 상기 하부선체부(10a) 및 상기 데크부(10b)가 각각 분할되어 제조된 후 합체됨에 따라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하부선체부(10a) 및 상기 데크부(10b)는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데크부(10b)의 상부에는 다수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으며, 탑승자가 노를 저어 상기 조립식 쌍동형 보트(100)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각 선체부(10,20)에 추진력을 제공하도록 별도의 추진수단이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사용 조립시 상기 각 선체부(10,2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 조립이라 함은 수상에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 각 선체부(10,20)가 상기 연결빔부(3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관 조립이라 함은 보관 내지 운반을 위해 상기 연결빔부(30)가 분리된 후, 상기 각 선체부(10,20)가 각 조립접촉면(12,22)이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가 구속되도록 상기 결속수단(4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선체부(10)의 상면부에는 상측이 개구된 제1수납홈부(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납홈부(11)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수납홈부(11)는 탑승자의 개인물품을 적재하거나 잡은 어류 등을 보관하는 어창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선체부(10)의 상면부에는 상기 제1수납홈부(11)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제1조립접촉면(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조립접촉면(12)은 후술되는 제2조립접촉면(22)과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로 상호간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납홈부(11),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후술되는 제1장착홈부(13)는 실질적으로 상기 데크부(10b)의 상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체부(10)는 경량성, 내식성, 내염성 및 내구성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선체부(10)는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경량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보관 및 운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선체부(10)는 합성수지, 카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경량성 및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선체부(20)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폭방향 일측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선체부(20)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는 상기 연결빔부(30)의 길이(d2)에 따라 상호 이격된 간격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 선체부(10,20)는 대향되는 측부 간에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립식 쌍동형 보트(100)의 전체 폭이 증가되고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에 각각 부력이 작용하므로 롤링 내지 직진 이동에 대한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 선체부(10,20)에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어 실질적인 탑승 인원이 증가하므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수상 레저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선체부(20)의 상면부에는 상측이 개구된 제2수납홈부(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수납홈부(21)는 상기 제2선체부(2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선체부(20)의 상면부에는 상기 제2수납홈부(21)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은 상기 제1조립접촉면(12)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은 사용 조립 내지 보관 조립에 따라 상기 제1조립접촉면(12)에 선택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호 대향 배치된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을 기준으로 상기 각 선체부(10,20)가 양측에 대칭 배치되어 보관 조립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2선체부(2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선체부(10)에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2선체부(20)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연결빔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의 상부에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에 각각 착탈식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빔부(30)는 각 수납홈부(11,21)에 중첩되지 않도록 양단부가 상기 각 수납홈부(11,21)의 전측 내지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탑승자가 상기 각 수납홈부(11,21)의 상부에 탑승하더라도 상기 연결빔부(30)에 의한 간섭이 미연에 방지되어 안정적인 탑승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빔부(30)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재질에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합성수지, 카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빔부(30)가 상기 각 수납홈부(11,21)의 전후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한쌍으로 구비된 형상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빔부(30)는 크로스빔(31), 선체연결부(32) 및 제1결합부재(3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크로스빔(31)은 하면부가 상기 각 조립접촉면(12,22)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된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로스빔(31)은 상기 각 조립접촉면(12,22)에 양단부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일측부 및 상기 제2선체부(20)의 타측부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빔(31)은 상기 각 선체부(10,2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각 선체부(10,20)는 상기 연결빔부(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연결빔부(30)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관통하되 단부가 고정되는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와 상기 제1결합부재(33)의 헤드부 사이에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크로스빔(3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외면을 관통하는 상기 제1결합부재(33)의 헤드부와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 각각의 외면 사이에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크로스빔(31)의 일단부에 구비된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제1선체부(10)에 결합되고 상기 크로스빔(31)의 타단부에 구비된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제2선체부(2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선체연결부(32)는 한쌍의 브라켓패널(32a,32b)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각 브라켓패널(32a,32b)은 상기 크로스빔(31)으로부터 하향 돌설되며, 상기 각 선체부(10,20)의 양측부 사이 폭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크로스빔(3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크로스빔(31)의 일단부 측의 일측 브라켓패널(32a)은 상기 제1선체부(10)의 일측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타측 브라켓패널(32b)은 상기 제1선체부(10)의 타측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의 대향면 사이 간격은 상기 크로스빔(31)이 안착된 부분의 상기 선체부 폭방향 너비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크로스빔(31)이 상기 각 조립접촉면(12,22)의 상부에 안착되면 상기 각 선체부(10,20)의 양측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이 배치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측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빔부(30)는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과 상기 제1선체부(10)의 양측부가 상호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기만 하면 자동으로 상기 선체연결부(32)의 결합 위치가 안내되므로 조립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재(3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34)을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각 선체부(10,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관통하여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에 형성된 제1결합부(14a) 및 제2결합부(24a)를 통해 각각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14a) 및 상기 제2결합부(24a)는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관통 삽입되는 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33)의 단부가 나사 결합되는 홀 내지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결합부(14a) 및 상기 제2결합부(24a)는 상기 제1결합부재(33)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삽입되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14a) 및 상기 제2결합부(24a)가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관통 삽입되는 홀로 형성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에는 상기 제1장착홈부(13) 및 제2장착홈부(2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장착홈부(13)는 상기 연결빔부(30)가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조립접촉면(12)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장착홈부(13)는 한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선체부(10)의 양측부에 인접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선체부(10)의 양측부에는 내부에 상기 제1결합부(14a)가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가이더부(14)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는 상기 연결빔부(30)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과 대면되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양측부에 상기 제1결합부(14a)가 상기 관통홀(34)에 연통되도록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4a)의 직경은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부재(33)의 직경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4a)를 통해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부 외측 및 상기 제1장착홈부(13)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가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장착홈부(13)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는 상기 관통홀(34)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재질에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테인리스 스틸, 합성수지, 카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결합부재(33)는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에 의해 후술되는 제1고정결합부(14b) 측으로 삽입방향이 안내되므로 조립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체부(10)의 외면에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직접적으로 접촉됨이 방지되어 접촉시 충격에 의한 마모 내지 파손 등이 최소화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14a)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장착홈부(13)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의 단부가 연통되는 제1장착홈부(13)의 내면에는 상기 제1고정결합부(14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결합부(14b)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이 상기 제1결합부(14a)에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결합부(14b)는 상기 제1장착홈부(13)의 내면에 용접 내지 별도의 결합수단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크로스빔(31)이 상기 각 조립접촉면(12,22)에 안착된 후 상기 각 선체부(10,20) 양측부의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와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이 대면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상기 관통홀(34) 및 상기 제1결합부(14a)를 통해 상기 제1고정결합부(14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이 상기 각 선체부(10,20) 및 각 제1결합부재(33)의 헤드부 사이에 클램핑 구속됨에 따라 상기 연결빔부(30)의 양단부가 상기 각 선체부(10,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빔부(30)는 수상에서 횡동요 발생시 상기 제1결합부재(33)에 의해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이 상기 각 선체부(10,20)의 양측부를 견고하게 가압 지탱하므로 임의 분리가 방지되어 운행 안정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각 선체부(10,20)의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결합되기만 하면 사용 조립되는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한 구조로 구비되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거나 잦은 사용에 의해 상기 제1고정결합부(14b) 내지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가 마모되더라도 상기 제1장착홈부(13)의 개구측을 통해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므로 유지보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각 선체부(10,20)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크로스빔(31)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연장된 돌출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각 선체부(10,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쌍동형 보트(100)의 수상 이동시 상기 제1장착홈부(13)의 내부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부를 향해 배출홀(15)이 확장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연결부(32)에는 상기 배출홀(15)이 연통되도록 드레인홀(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레인홀(35)은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의 결합시 상기 배출홀(15)의 출구측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의 일측에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홀(15)의 출구측이라 함은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부에 개구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장착홈부(13)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배출홀(15) 및 상기 드레인홀(35)을 통해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제1커버홈부(51a) 및 제2커버홈부(미도시)가 형성된 제1가변커버부(50) 및 제2가변커버부(6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에서는 도면에서 상기 제1가변커버부(50)의 조립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상기 제1가변커버부(50)의 조립상태와 관련되지 않은 부품의 도시를 생략한다.
상세히, 상기 제1가변커버부(50)는 제1형합커버(51), 제1단차결합부(52) 및 제3결합부재(5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의 상부에는 다수의 탑승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하여 탑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형합커버(51)는 뒤집어진 용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제1커버홈부(5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형합커버(51)가 개구측이 상기 제1수납홈부(11)의 개구측에 대면되도록 안착되면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1커버홈부(51a)가 상호 연통되므로 실질적으로 수납 가능한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차결합부(52)는 상기 제1형합커버(51)의 개구측 테두리를 따라 외측을 향해 일체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단차결합부(52)는 상기 제1조립접촉면(12)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제1단차홈부(11a)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차홈부(11a)는 상기 제1단차결합부(52)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제1단차홈부(11a)의 내측에 상기 제1가변커버부(50)가 삽입되어 테두리에 걸림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형합커버(51)의 개구측이 상기 제1수납홈부(11)의 개구측에 대면된 상태로 상기 제1단차홈부(11a)에 상기 제1단차결합부(52)가 걸림되므로 상기 제1가변커버부(50)의 요동 내지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변커버부(50)가 상기 제1단차홈부(11a)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제3결합부재(53)에 작용하는 하중이 지지되어 파손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결합부재(53)는 볼트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단차결합부(52)를 관통하여 상기 제1단차홈부(11a)에 형성된 커버결합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결합부는 상기 제1단차결합부(52)와 대향되는 상기 제1단차홈부(11a)의 대향면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차결합부(52)가 상기 각 제1단차홈부(11a) 및 각 제3결합부재(53)의 헤드부 사이에 클램핑 구속됨에 따라 상기 제1가변커버부(50)는 상기 제1수납홈부(11)를 커버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가변커버부(50)에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2가변커버부(60)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빔부(30),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는 보관 조립시 상기 각 선체부(10,20)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각 수납홈부(11,21)에는 상기 연결빔부(30),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가 각각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의 외면 프로파일은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는 상하방향이 반전되는 가변 배치시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에 형합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는 사용 조립시 상기 각 선체부(10,20)의 상면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보관 조립시 상하방향이 반전되도록 가변 배치되어 상기 각 수납홈부(11,21)에 형합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제1형합커버(51)는 상기 제1수납홈부(11)에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형합커버(51)가 상하방향이 반전되도록 가변 배치된 후 상기 제1수납홈부(11)의 내부에 형합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형합커버(51)가 상기 제1수납홈부(11)에 형합 삽입되면 상기 제1단차홈부(11a)에 상기 제1단차결합부(52)가 걸림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변커버부(50)는 상기 제1단차결합부(52)가 상기 제1단차홈부(11a)에 걸림되어 요동이 방지되므로 보관 조립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 등이 최소화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커버홈부(51a)의 내부 공간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수납홈부(11)의 내부 공간과 대응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형합커버(51)가 상기 제1수납홈부(11)의 내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형합커버(5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커버홈부(51a)가 실질적인 수납공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는 보관 조립시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에 각각 형합 삽입되어 전체 부피가 감소되면서도 내부에 구성부품이 적재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홈부(51a)의 내부에는 분리된 상기 연결빔부(30)가 적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납홈부(11)에는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연결빔부(30)가 순차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의 길이(d1)는 상기 연결빔부(30)의 길이(d2)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수납홈부(11,21)는 상기 각 선체부(10,20)의 길이방향으로 대향되는 대향면 사이 간격이 상기 연결빔부(30)의 길이(d2)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빔부(30)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의 길이(d1)는 복수개의 연결빔부(30) 중 최대길이를 갖는 연결빔부(30)의 길이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결빔부(30)가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에 각각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관 조립시 상기 각 수납홈부(11,21)에 상기 연결빔부(30),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를 포함하는 구성부품이 모두 적재되어 보관되므로 구성부품을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 보관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는 사용 조립시 상기 각 선체부(10,20)의 상면부로부터 돌출되되 보관 조립시 상기 각 수납홈부(11,21) 내측으로 형합 삽입되어 전체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제품의 보관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는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이 대향되도록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은 대향된 상태로 상호 이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상호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수단(40)은 보관 조립시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이 대향 배치된 상태가 구속되도록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를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결속수단(40)은 고정판넬부(41)와 제2결합부재(4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넬부(41)는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의 측부에 각각 상기 제2결합부재(42)가 관통하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넬부(41)는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이 대향된 상태로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된 상기 각 선체부(10,20)의 각 측부에 상기 선체연결부(32)가 결합되는 부분을 커버하는 길이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고정판넬부(41)는 양단부가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의 측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 및 제2결합가이더부(24)의 상부에 각각 대향 배치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넬부(41)는 상기 각 선체부(10,2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론, 경우에 따라 합성수지, 카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재(42)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넬부(41)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관통홀(41a)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이때, 각 고정관통홀(41a)은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 및 상기 제2결합가이더부(24)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부(14a) 및 상기 제2결합부(24a)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2결합부재(42)는 상기 고정관통홀(41a)을 통해 상기 고정판넬부(41)를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부(14a) 및 상기 제2결합부(24a)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각 장착홈부(13,23)의 내면에 구비된 제1고정결합부(14b) 및 제2고정결합부(24b)에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판넬부(41)가 상기 각 선체부(10,20) 및 각 제2결합부재(42)의 헤드부 사이에 클램핑 구속됨에 따라 상기 각 선체부(10,20)가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이 대향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는 상기 결속수단(40)에 의해 사용 조립된 상태의 전체 부피에 비해 보관 조립된 상태의 전체 부피가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컴팩트한 운반 내지 보관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결속수단(40)은 상기 각 결합부(14a,24a)가 호환 사용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42)에 의해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각 선체부(10,20)에 상기 제2결합부재(42)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하지 않아 제품의 구조 및 가공 공수가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선체부(10,20)가 상기 각 조립접촉면(12,22) 간의 어긋남 없이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대칭 배치되어 상기 결속수단(40)에 의해 고정되므로 컴팩트하게 보관될 수 있어 운반 내지 보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 조립접촉면(12,22)이 접촉된 상태로 실질적으로 상기 각 수납홈부(11,21)가 밀폐되므로 구성부품을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적재된 구성부품의 분실 우려가 없어 보관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속수단(40)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14a) 및 상기 제2결합부(24a)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한쌍의 돌기부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보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각 선체부(10,20)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재(42)는 상기 제1결합부재(3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볼트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판넬부(41)에 상기 제2결합부재(42)를 대신하여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의 부품수가 감소되고 재료 사용이 절감되어 생산성 및 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의 변형예에서 보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1정렬돌기(116), 제1정렬삽입홈(135), 제2정렬돌기(136) 및 제2정렬삽입홈(126)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선체부(110)의 상면부에는 제1정렬돌기(116)가 상향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정렬돌기(116)는 원형 내지 다각형의 단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정렬돌기(116)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선체부(110)의 제1조립접촉면(112)에 용접 내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조립접촉면(112)으로부터 일체로 상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정렬돌기(116)는 연결빔부(130)가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조립접촉면(1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정렬돌기(116)는 선체연결부(132)가 제1결합부재(133)에 의해 결합되도록 크로스빔(131)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상기 제1조립접촉면(112)의 상부에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빔부(130)에는 상기 제1정렬돌기(116)가 형합 삽입되는 제1정렬삽입홈(1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정렬삽입홈(135)은 상기 크로스빔(131) 일측의 하면부에 상기 제1정렬돌기(116)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정렬돌기(116) 및 상기 제1정렬삽입홈(135)은 상호 형합시 상기 크로스빔(131)이 상기 제1조립접촉면(112)에 밀착될 수 있는 돌출 높이 및 함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빔(131)의 일단부가 상기 제1조립접촉면(112)에 안착되면 상기 제1정렬돌기(116)가 상기 제1정렬삽입홈(135)에 형합 삽입된다. 또한, 상기 각 브라켓패널(132a,132b)은 상기 제1선체부(110)의 양측부에 대면되도록 자동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선체부(120)의 상면부에는 제2정렬삽입홈(126)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은 상기 크로스빔(131)의 타단부가 안착되는 제2조립접촉면(122)의 상부에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정렬돌기(116)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정렬돌기(116) 및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은 상기 연결빔부(130)의 수량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빔부(130)에는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에 형합 삽입되는 제2정렬돌기(136)가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정렬돌기(136)는 상기 크로스빔(131) 타측의 하면부로부터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각 정렬돌기(116,136) 및 각 정렬삽입홈(126,135)은 각각 상호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빔(131)의 타단부가 상기 제2조립접촉면(122)에 안착되면 상기 제2정렬돌기(136)가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에 형합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각 브라켓패널(132a,132b)은 상기 제2선체부(120)의 양측부에 대면되도록 자동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빔부(130)의 사용 조립시 상기 각 정렬돌기(116,136)가 각 정렬삽입홈(126,135)에 형합 삽입되기만 하면 상기 선체연결부(132)가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정렬되므로 조립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 브라켓패널(132a,132b)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제1정렬돌기(116) 및 상기 제2정렬돌기(136)에 의해 분산 지지되므로 변형 내지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보관 조립시 상기 제1조립접촉면(1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122)이 상호 대향 배치되면 상기 제1정렬돌기(116) 및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은 상호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정렬돌기(116) 및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은 상호간의 형합 삽입시 상호 접촉된 각 조립접촉면(112,122)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 선체부(110,120)가 대칭 배치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정렬돌기(116)가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에 형합 삽입되면 결속수단(140)의 결합시 제2결합부재(142)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제1선체부(110) 및 상기 제2선체부(120)가 밀착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관 조립시 상기 각 정렬돌기(116,136) 및 상기 각 정렬삽입홈(126,135)에 의해 상기 각 선체부(110,120)가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수단(140)의 결합을 위해 상기 각 선체부(110,120)를 가고정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조립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선체부(110)에 제1정렬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선체부(120)에 제2정렬돌기가 돌설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1선체부(110) 및 상기 제2선체부(120) 중 어느 일측에 제1정렬돌기가 돌출되면 타측에는 제2정렬삽입홈이 형성되어 상호 형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빔부(130)에는 제1정렬돌기 및 제2정렬삽입홈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1정렬삽입홈 및 제2정렬돌기가 양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쌍동형 보트를 제공함으로써 조립식 보트의 제조를 위한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상면부에 형성된 제1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제1조립접촉면이 형성되는 제1선체부;
    상기 제1선체부의 폭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면부에 형성된 제2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상기 제1조립접촉면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조립접촉면에 선택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조립접촉면이 형성된 제2선체부;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에 각각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빔부; 및
    상기 제1조립접촉면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이 대향된 상태가 구속되도록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식 쌍동형 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홈부 및 상기 제2수납홈부의 길이는 상기 연결빔부가 내부에 보관되도록 상기 연결빔부의 길이 이상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쌍동형 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빔부는 양단부에 하향 돌설되되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 각각의 폭 간격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쌍의 브라켓패널로 구비되는 선체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브라켓패널에는 제1결합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통해 각각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쌍동형 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제1조립접촉면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이 대향된 상태로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의 각 측부에 상기 선체연결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고정판넬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넬부에는 제2결합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통해 각각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쌍동형 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홈부 및 상기 제2수납홈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제1커버홈부 및 제2커버홈부가 형성되되 외면 프로파일이 상기 제1수납홈부 및 상기 제2수납홈부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가변커버부 및 제2가변커버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쌍동형 보트.
PCT/KR2017/013464 2017-11-23 2017-11-24 조립식 쌍동형 보트 WO201910319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959A KR101844340B1 (ko) 2017-11-23 2017-11-23 조립식 쌍동형 보트
KR10-2017-0156959 2017-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191A1 true WO2019103191A1 (ko) 2019-05-31

Family

ID=6197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3464 WO2019103191A1 (ko) 2017-11-23 2017-11-24 조립식 쌍동형 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4340B1 (ko)
WO (1) WO201910319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6932A1 (fr) * 1982-10-22 1984-05-02 Guiseppe Poggi Embarcation pouvant être transformée alternativement en planche à voile (wind surf) et en catamaran
JP3054362U (ja) * 1998-05-26 1998-12-04 株式会社オール商会 ウインドサーフィン用双胴舟
US20010029880A1 (en) * 1999-12-27 2001-10-18 Mccarthy Patrick Albert Folding boat that converts to a car top carrier and storage container
JP2013237425A (ja) * 2012-05-17 2013-11-28 Teruyuki Sunaga 開閉ボート
KR20160129208A (ko) * 2015-04-29 2016-11-09 주식회사 에스컴텍 블럭 분할 조립식 쌍동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8804A1 (en) 1987-05-13 1988-11-17 Mcmillen Winton P Twin-hulled sailing vesse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6932A1 (fr) * 1982-10-22 1984-05-02 Guiseppe Poggi Embarcation pouvant être transformée alternativement en planche à voile (wind surf) et en catamaran
JP3054362U (ja) * 1998-05-26 1998-12-04 株式会社オール商会 ウインドサーフィン用双胴舟
US20010029880A1 (en) * 1999-12-27 2001-10-18 Mccarthy Patrick Albert Folding boat that converts to a car top carrier and storage container
JP2013237425A (ja) * 2012-05-17 2013-11-28 Teruyuki Sunaga 開閉ボート
KR20160129208A (ko) * 2015-04-29 2016-11-09 주식회사 에스컴텍 블럭 분할 조립식 쌍동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340B1 (ko)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9058C (en) Pontoons and pontoon vessel
WO2019103191A1 (ko) 조립식 쌍동형 보트
WO2015147406A1 (ko) 공기주입식 카약
US5546885A (en) Collapsible scuba tank supports for an inflatable dinghy
WO2016175419A1 (ko) 블럭 분할 조립식 쌍동선
HK1083015A1 (en) Cargo ship
WO2014003216A1 (ko) 반잠수선
WO2015023117A1 (ko) 조립식 소형 레저보트와 그 제조방법
CN201201705Y (zh) 双并排船体的组合船
CN205381359U (zh) 便携式变形钓鱼船
KR20060134556A (ko) 조립식 보트
CN214451636U (zh) 充气式双体帆船
CN112389580B (zh) 充气式双体帆船
WO2021215738A1 (ko) 공기주입식 카약
WO2013162120A1 (ko) 부력유닛이 구비된 보트
CN210852841U (zh) 一种画舫船新型船体稳定可调节装置
WO2019151576A1 (ko) 소음저감형 초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거푸집 프레임
WO2013191322A1 (ko) 루프박스 겸용 보트
CN205769984U (zh) 一种军民两用积木舟
WO2018105869A1 (ko) 조립식 윈드서핑
JPH0340716Y2 (ko)
KR100807087B1 (ko) 푸쉬형 보조부력 착탈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0543663B1 (ko) 보트
WO2018043983A1 (ko) 휴대용 접이식 무동력 보트
WO2013151210A1 (ko) 평판 플라스틱을 이용한 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329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329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329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8/01/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329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