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340B1 - 조립식 쌍동형 보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쌍동형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340B1
KR101844340B1 KR1020170156959A KR20170156959A KR101844340B1 KR 101844340 B1 KR101844340 B1 KR 101844340B1 KR 1020170156959 A KR1020170156959 A KR 1020170156959A KR 20170156959 A KR20170156959 A KR 20170156959A KR 101844340 B1 KR101844340 B1 KR 101844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contact surface
cover
groov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우
전주연
손창련
성용하
김민근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컴텍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컴텍,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컴텍
Priority to KR102017015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340B1/ko
Priority to PCT/KR2017/013464 priority patent/WO201910319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63B34/21Canoes, kayak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4/23Sectionalised, e.g. modula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63B7/04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sectional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63B2001/123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interconnected by a plurality of beams, or the like member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1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 B63B1/2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 B63B2001/2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 B63B2001/20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2001/20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e.g. catamarans
    • B63B2739/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부피를 최소화하고 구성부품을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로 구비되어 보관 및 휴대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상면부에 형성된 제1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제1조립접촉면이 형성되는 제1선체부; 상기 제1선체부의 폭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면부에 형성된 제2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상기 제1조립접촉면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조립접촉면에 선택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조립접촉면이 형성된 제2선체부;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에 각각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빔부; 및 상기 제1조립접촉면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이 대향된 상태가 구속되도록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식 쌍동형 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쌍동형 보트{prefabricate catamaran boat}
본 발명은 조립식 쌍동형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를 최소화하고 구성부품을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로 구비되어 보관 및 휴대편의성이 개선된 조립식 쌍동형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트는 노 등을 이용한 인력에 의해 추진되거나 모터 등의 내연기관에 의해 추진되는 소형 배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보트는 수송 또는 낚시 등을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레저 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수상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수상 레저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상기 보트는 수상 레저를 편리하게 즐기도록 개인이 직접 상기 보트를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승용차나 SUV, RV 차량에 싣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경량, 소형, 경제적인 보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트렁크에 수납할 수 있거나 루프랙을 이용하여 차량의 지붕에 고정시켜 이동할 수 있는 조립식 보트 내지 접이식 보트에 대한 다양한 선행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보트는 구조, 크기 및 사용되는 동력원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유희용 및 놀이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보트는 부력의 중심이 양분되도록 한쌍의 선체가 구비되어 각 선체가 갑판 또는 그 밖의 구조물에 의해 연결되는 쌍동선(catamaran) 보트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쌍동선 보트는 부력의 중심이 양분됨에 따라 운항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단동선에 비해 많은 인용이 승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쌍동선 보트는 선체가 한쌍으로 구비됨에 따라 부피 및 무게가 상당하여 보관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차량 등을 이용해 상기 쌍동선 보트를 운반하는 경우 그 부피로 인해 차량의 지붕 등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선체를 분리하여 운반하는 경우에도 차량에 각 선체를 개별적으로 고정하거나 수납해야하므로 운반에 필요한 공간을 과도하게 차지하고 고정 내지 수납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8922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피를 최소화하고 구성부품을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로 구비되어 보관 및 휴대편의성이 개선된 조립식 쌍동형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부에 형성된 제1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제1조립접촉면이 형성되는 제1선체부; 상기 제1선체부의 폭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면부에 형성된 제2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상기 제1조립접촉면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조립접촉면에 선택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조립접촉면이 형성된 제2선체부;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에 각각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빔부; 및 상기 제1조립접촉면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이 대향된 상태가 구속되도록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수납홈부 및 상기 제2수납홈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제1커버홈부 및 제2커버홈부가 형성되되 외면 프로파일이 상기 제1수납홈부 및 상기 제2수납홈부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가변커버부 및 제2가변커버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쌍동형 보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수납홈부 및 상기 제2수납홈부의 길이는 상기 연결빔부가 내부에 보관되도록 상기 연결빔부의 길이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빔부는 양단부에 하향 돌설되되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 각각의 폭 간격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쌍의 브라켓패널로 구비되는 선체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브라켓패널에는 제1결합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통해 각각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제1조립접촉면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이 대향된 상태로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의 각 측부에 상기 선체연결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고정판넬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넬부에는 제2결합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통해 각각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제1선체부 및 제2선체부는 보관 조립시 구성부품이 모두 적재되어 보관되는 각 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형성된 각 조립접촉면이 결속수단에 의해 상호 대향된 상태가 구속되므로 전체 부피가 감소되면서도 구성부품의 분실 우려가 없는 컴팩트한 운반 내지 보관이 가능하다.
둘째, 상기 연결빔부는 수상에서 횡동요 발생시 양단부에 구비된 각 브라켓패널이 상기 제1결합부재에 의해 구속되어 각 선체부의 양측부를 견고하게 가압 지탱하므로 임의 분리가 방지되어 운행 안정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결속수단은 각 선체부에 제1결합부재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통해 제2결합부재가 각각 결합되어 고정됨에 따라 각 결합부가 호환 사용되어 각 선체부에 제2결합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하지 않아 제품의 구조 및 가공 공수가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제1가변커버부 및 제2가변커버부는 사용 조립시 상기 각 선체부의 상면부로부터 돌출되어 각 수납홈부를 커버하되 보관 조립시 상기 각 수납홈부 내측으로 형합 삽입되어 내부에 구성부품이 적재됨에 따라 전체 부피가 최소화되어 제품의 보관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C-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에서 각 수납홈부에 구성부품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의 E-F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의 보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6의 G-H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의 변형예에서 보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C-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에서 각 수납홈부에 구성부품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E-F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의 보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G-H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100)는 제1선체부(10), 제2선체부(20), 연결빔부(30) 그리고 결속수단(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선체부(10)는 하부선체부(10a) 및 데크부(10b)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선체부(10a)의 선수부는 유체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전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선체부(10a)의 내부에는 수상에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선체부(10a)의 선저부에는 수상 이동시 유체의 흐름을 양측 방향으로 유도하여 유체의 저항력을 감소시키는 저항감소부(17)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항감소부(17)는 상기 하부선체부(10a)의 선저부로부터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별도로 구비되어 용접 내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립식 쌍동형 보트(100)가 수상을 이동하면 상기 저항감소부(17)에 의해 유체의 저항이 감소되어 이동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부(10b)는 상기 하부선체부(10a)의 상부에 배치되며, 용접 내지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립식 쌍동형 보트(100)는 상기 하부선체부(10a) 및 상기 데크부(10b)가 각각 분할되어 제조된 후 합체됨에 따라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하부선체부(10a) 및 상기 데크부(10b)는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데크부(10b)의 상부에는 다수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으며, 탑승자가 노를 저어 상기 조립식 쌍동형 보트(100)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각 선체부(10,20)에 추진력을 제공하도록 별도의 추진수단이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사용 조립시 상기 각 선체부(10,2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 조립이라 함은 수상에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 각 선체부(10,20)가 상기 연결빔부(3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관 조립이라 함은 보관 내지 운반을 위해 상기 연결빔부(30)가 분리된 후, 상기 각 선체부(10,20)가 각 조립접촉면(12,22)이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가 구속되도록 상기 결속수단(4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선체부(10)의 상면부에는 상측이 개구된 제1수납홈부(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납홈부(11)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수납홈부(11)는 탑승자의 개인물품을 적재하거나 잡은 어류 등을 보관하는 어창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선체부(10)의 상면부에는 상기 제1수납홈부(11)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제1조립접촉면(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조립접촉면(12)은 후술되는 제2조립접촉면(22)과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로 상호간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납홈부(11),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후술되는 제1장착홈부(13)는 실질적으로 상기 데크부(10b)의 상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체부(10)는 경량성, 내식성, 내염성 및 내구성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선체부(10)는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경량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보관 및 운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선체부(10)는 합성수지, 카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경량성 및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선체부(20)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폭방향 일측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선체부(20)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는 상기 연결빔부(30)의 길이(d2)에 따라 상호 이격된 간격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 선체부(10,20)는 대향되는 측부 간에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립식 쌍동형 보트(100)의 전체 폭이 증가되고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에 각각 부력이 작용하므로 롤링 내지 직진 이동에 대한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 선체부(10,20)에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어 실질적인 탑승 인원이 증가하므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수상 레저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선체부(20)의 상면부에는 상측이 개구된 제2수납홈부(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수납홈부(21)는 상기 제2선체부(2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선체부(20)의 상면부에는 상기 제2수납홈부(21)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은 상기 제1조립접촉면(12)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은 사용 조립 내지 보관 조립에 따라 상기 제1조립접촉면(12)에 선택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호 대향 배치된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을 기준으로 상기 각 선체부(10,20)가 양측에 대칭 배치되어 보관 조립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2선체부(2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선체부(10)에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2선체부(20)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연결빔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의 상부에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에 각각 착탈식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빔부(30)는 각 수납홈부(11,21)에 중첩되지 않도록 양단부가 상기 각 수납홈부(11,21)의 전측 내지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탑승자가 상기 각 수납홈부(11,21)의 상부에 탑승하더라도 상기 연결빔부(30)에 의한 간섭이 미연에 방지되어 안정적인 탑승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빔부(30)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재질에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합성수지, 카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빔부(30)가 상기 각 수납홈부(11,21)의 전후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한쌍으로 구비된 형상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빔부(30)는 크로스빔(31), 선체연결부(32) 및 제1결합부재(3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크로스빔(31)은 하면부가 상기 각 조립접촉면(12,22)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된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로스빔(31)은 상기 각 조립접촉면(12,22)에 양단부가 각각 안착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일측부 및 상기 제2선체부(20)의 타측부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빔(31)은 상기 각 선체부(10,2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각 선체부(10,20)는 상기 연결빔부(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연결빔부(30)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관통하되 단부가 고정되는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와 상기 제1결합부재(33)의 헤드부 사이에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크로스빔(3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외면을 관통하는 상기 제1결합부재(33)의 헤드부와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 각각의 외면 사이에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크로스빔(31)의 일단부에 구비된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제1선체부(10)에 결합되고 상기 크로스빔(31)의 타단부에 구비된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제2선체부(2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선체연결부(32)는 한쌍의 브라켓패널(32a,32b)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각 브라켓패널(32a,32b)은 상기 크로스빔(31)으로부터 하향 돌설되며, 상기 각 선체부(10,20)의 양측부 사이 폭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크로스빔(3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크로스빔(31)의 일단부 측의 일측 브라켓패널(32a)은 상기 제1선체부(10)의 일측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타측 브라켓패널(32b)은 상기 제1선체부(10)의 타측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의 대향면 사이 간격은 상기 크로스빔(31)이 안착된 부분의 상기 선체부 폭방향 너비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크로스빔(31)이 상기 각 조립접촉면(12,22)의 상부에 안착되면 상기 각 선체부(10,20)의 양측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이 배치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측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빔부(30)는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과 상기 제1선체부(10)의 양측부가 상호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기만 하면 자동으로 상기 선체연결부(32)의 결합 위치가 안내되므로 조립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재(33)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34)을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각 선체부(10,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관통하여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에 형성된 제1결합부(14a) 및 제2결합부(24a)를 통해 각각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14a) 및 상기 제2결합부(24a)는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관통 삽입되는 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33)의 단부가 나사 결합되는 홀 내지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결합부(14a) 및 상기 제2결합부(24a)는 상기 제1결합부재(33)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삽입되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14a) 및 상기 제2결합부(24a)가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관통 삽입되는 홀로 형성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에는 상기 제1장착홈부(13) 및 제2장착홈부(2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장착홈부(13)는 상기 연결빔부(30)가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조립접촉면(12)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장착홈부(13)는 한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선체부(10)의 양측부에 인접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선체부(10)의 양측부에는 내부에 상기 제1결합부(14a)가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가이더부(14)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는 상기 연결빔부(30)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과 대면되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양측부에 상기 제1결합부(14a)가 상기 관통홀(34)에 연통되도록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4a)의 직경은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부재(33)의 직경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4a)를 통해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부 외측 및 상기 제1장착홈부(13)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가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장착홈부(13)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는 상기 관통홀(34)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재질에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테인리스 스틸, 합성수지, 카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결합부재(33)는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에 의해 후술되는 제1고정결합부(14b) 측으로 삽입방향이 안내되므로 조립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체부(10)의 외면에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직접적으로 접촉됨이 방지되어 접촉시 충격에 의한 마모 내지 파손 등이 최소화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14a)는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장착홈부(13)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의 단부가 연통되는 제1장착홈부(13)의 내면에는 상기 제1고정결합부(14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결합부(14b)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이 상기 제1결합부(14a)에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결합부(14b)는 상기 제1장착홈부(13)의 내면에 용접 내지 별도의 결합수단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크로스빔(31)이 상기 각 조립접촉면(12,22)에 안착된 후 상기 각 선체부(10,20) 양측부의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와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이 대면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상기 관통홀(34) 및 상기 제1결합부(14a)를 통해 상기 제1고정결합부(14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이 상기 각 선체부(10,20) 및 각 제1결합부재(33)의 헤드부 사이에 클램핑 구속됨에 따라 상기 연결빔부(30)의 양단부가 상기 각 선체부(10,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빔부(30)는 수상에서 횡동요 발생시 상기 제1결합부재(33)에 의해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이 상기 각 선체부(10,20)의 양측부를 견고하게 가압 지탱하므로 임의 분리가 방지되어 운행 안정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각 선체부(10,20)의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결합되기만 하면 사용 조립되는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한 구조로 구비되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거나 잦은 사용에 의해 상기 제1고정결합부(14b) 내지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가 마모되더라도 상기 제1장착홈부(13)의 개구측을 통해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므로 유지보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각 선체부(10,20)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크로스빔(31)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연장된 돌출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선체연결부(32)는 상기 각 선체부(10,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쌍동형 보트(100)의 수상 이동시 상기 제1장착홈부(13)의 내부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부를 향해 배출홀(15)이 확장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연결부(32)에는 상기 배출홀(15)이 연통되도록 드레인홀(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레인홀(35)은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의 결합시 상기 배출홀(15)의 출구측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각 브라켓패널(32a,32b)의 일측에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홀(15)의 출구측이라 함은 상기 제1선체부(10)의 측부에 개구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장착홈부(13)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배출홀(15) 및 상기 드레인홀(35)을 통해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제1커버홈부(51a) 및 제2커버홈부(미도시)가 형성된 제1가변커버부(50) 및 제2가변커버부(6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에서는 도면에서 상기 제1가변커버부(50)의 조립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상기 제1가변커버부(50)의 조립상태와 관련되지 않은 부품의 도시를 생략한다.
상세히, 상기 제1가변커버부(50)는 제1형합커버(51), 제1단차결합부(52) 및 제3결합부재(5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의 상부에는 다수의 탑승자가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하여 탑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형합커버(51)는 뒤집어진 용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제1커버홈부(5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형합커버(51)가 개구측이 상기 제1수납홈부(11)의 개구측에 대면되도록 안착되면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1커버홈부(51a)가 상호 연통되므로 실질적으로 수납 가능한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차결합부(52)는 상기 제1형합커버(51)의 개구측 테두리를 따라 외측을 향해 일체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단차결합부(52)는 상기 제1조립접촉면(12)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단차지게 함몰 형성된 제1단차홈부(11a)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차홈부(11a)는 상기 제1단차결합부(52)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제1단차홈부(11a)의 내측에 상기 제1가변커버부(50)가 삽입되어 테두리에 걸림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형합커버(51)의 개구측이 상기 제1수납홈부(11)의 개구측에 대면된 상태로 상기 제1단차홈부(11a)에 상기 제1단차결합부(52)가 걸림되므로 상기 제1가변커버부(50)의 요동 내지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변커버부(50)가 상기 제1단차홈부(11a)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제3결합부재(53)에 작용하는 하중이 지지되어 파손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결합부재(53)는 볼트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단차결합부(52)를 관통하여 상기 제1단차홈부(11a)에 형성된 커버결합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결합부는 상기 제1단차결합부(52)와 대향되는 상기 제1단차홈부(11a)의 대향면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차결합부(52)가 상기 각 제1단차홈부(11a) 및 각 제3결합부재(53)의 헤드부 사이에 클램핑 구속됨에 따라 상기 제1가변커버부(50)는 상기 제1수납홈부(11)를 커버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가변커버부(50)에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2가변커버부(60)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빔부(30),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는 보관 조립시 상기 각 선체부(10,20)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각 수납홈부(11,21)에는 상기 연결빔부(30),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가 각각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의 외면 프로파일은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는 상하방향이 반전되는 가변 배치시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에 형합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는 사용 조립시 상기 각 선체부(10,20)의 상면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보관 조립시 상하방향이 반전되도록 가변 배치되어 상기 각 수납홈부(11,21)에 형합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제1형합커버(51)는 상기 제1수납홈부(11)에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형합커버(51)가 상하방향이 반전되도록 가변 배치된 후 상기 제1수납홈부(11)의 내부에 형합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형합커버(51)가 상기 제1수납홈부(11)에 형합 삽입되면 상기 제1단차홈부(11a)에 상기 제1단차결합부(52)가 걸림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변커버부(50)는 상기 제1단차결합부(52)가 상기 제1단차홈부(11a)에 걸림되어 요동이 방지되므로 보관 조립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 등이 최소화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커버홈부(51a)의 내부 공간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수납홈부(11)의 내부 공간과 대응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형합커버(51)가 상기 제1수납홈부(11)의 내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형합커버(5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커버홈부(51a)가 실질적인 수납공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는 보관 조립시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에 각각 형합 삽입되어 전체 부피가 감소되면서도 내부에 구성부품이 적재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홈부(51a)의 내부에는 분리된 상기 연결빔부(30)가 적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납홈부(11)에는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연결빔부(30)가 순차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의 길이(d1)는 상기 연결빔부(30)의 길이(d2)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수납홈부(11,21)는 상기 각 선체부(10,20)의 길이방향으로 대향되는 대향면 사이 간격이 상기 연결빔부(30)의 길이(d2)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빔부(30)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의 길이(d1)는 복수개의 연결빔부(30) 중 최대길이를 갖는 연결빔부(30)의 길이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결빔부(30)가 상기 제1수납홈부(11) 및 상기 제2수납홈부(21)에 각각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관 조립시 상기 각 수납홈부(11,21)에 상기 연결빔부(30),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를 포함하는 구성부품이 모두 적재되어 보관되므로 구성부품을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어 보관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가변커버부(50) 및 상기 제2가변커버부(60)는 사용 조립시 상기 각 선체부(10,20)의 상면부로부터 돌출되되 보관 조립시 상기 각 수납홈부(11,21) 내측으로 형합 삽입되어 전체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제품의 보관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는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이 대향되도록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은 대향된 상태로 상호 이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상호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수단(40)은 보관 조립시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이 대향 배치된 상태가 구속되도록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를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결속수단(40)은 고정판넬부(41)와 제2결합부재(4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넬부(41)는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의 측부에 각각 상기 제2결합부재(42)가 관통하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넬부(41)는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이 대향된 상태로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된 상기 각 선체부(10,20)의 각 측부에 상기 선체연결부(32)가 결합되는 부분을 커버하는 길이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고정판넬부(41)는 양단부가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의 측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 및 제2결합가이더부(24)의 상부에 각각 대향 배치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넬부(41)는 상기 각 선체부(10,2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론, 경우에 따라 합성수지, 카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재(42)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넬부(41)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관통홀(41a)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이때, 각 고정관통홀(41a)은 상기 제1결합가이더부(14) 및 상기 제2결합가이더부(24)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부(14a) 및 상기 제2결합부(24a)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2결합부재(42)는 상기 고정관통홀(41a)을 통해 상기 고정판넬부(41)를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부(14a) 및 상기 제2결합부(24a)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각 장착홈부(13,23)의 내면에 구비된 제1고정결합부(14b) 및 제2고정결합부(24b)에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판넬부(41)가 상기 각 선체부(10,20) 및 각 제2결합부재(42)의 헤드부 사이에 클램핑 구속됨에 따라 상기 각 선체부(10,20)가 상기 제1조립접촉면(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22)이 대향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선체부(10) 및 상기 제2선체부(20)는 상기 결속수단(40)에 의해 사용 조립된 상태의 전체 부피에 비해 보관 조립된 상태의 전체 부피가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컴팩트한 운반 내지 보관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결속수단(40)은 상기 각 결합부(14a,24a)가 호환 사용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42)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각 선체부(10,20)에 상기 제2결합부재(42)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하지 않아 제품의 구조 및 가공 공수가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선체부(10,20)가 상기 각 조립접촉면(12,22) 간의 어긋남 없이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대칭 배치되어 상기 결속수단(40)에 의해 고정되므로 컴팩트하게 보관될 수 있어 운반 내지 보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 조립접촉면(12,22)이 접촉된 상태로 실질적으로 상기 각 수납홈부(11,21)가 밀폐되므로 구성부품을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적재된 구성부품의 분실 우려가 없어 보관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속수단(40)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14a) 및 상기 제2결합부(24a)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한쌍의 돌기부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보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각 선체부(10,20)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재(42)는 상기 제1결합부재(3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볼트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판넬부(41)에 상기 제2결합부재(42)를 대신하여 상기 제1결합부재(33)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의 부품수가 감소되고 재료 사용이 절감되어 생산성 및 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쌍동형 보트의 변형예에서 보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1정렬돌기(116), 제1정렬삽입홈(135), 제2정렬돌기(136) 및 제2정렬삽입홈(126)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선체부(110)의 상면부에는 제1정렬돌기(116)가 상향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정렬돌기(116)는 원형 내지 다각형의 단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정렬돌기(116)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선체부(110)의 제1조립접촉면(112)에 용접 내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조립접촉면(112)으로부터 일체로 상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정렬돌기(116)는 연결빔부(130)가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조립접촉면(1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정렬돌기(116)는 선체연결부(132)가 제1결합부재(133)에 의해 결합되도록 크로스빔(131)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상기 제1조립접촉면(112)의 상부에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빔부(130)에는 상기 제1정렬돌기(116)가 형합 삽입되는 제1정렬삽입홈(1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정렬삽입홈(135)은 상기 크로스빔(131) 일측의 하면부에 상기 제1정렬돌기(116)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정렬돌기(116) 및 상기 제1정렬삽입홈(135)은 상호 형합시 상기 크로스빔(131)이 상기 제1조립접촉면(112)에 밀착될 수 있는 돌출 높이 및 함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빔(131)의 일단부가 상기 제1조립접촉면(112)에 안착되면 상기 제1정렬돌기(116)가 상기 제1정렬삽입홈(135)에 형합 삽입되고 상기 각 브라켓패널(132a,132b)은 상기 제1선체부(110)의 양측부에 대면되도록 자동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선체부(120)의 상면부에는 제2정렬삽입홈(126)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은 상기 크로스빔(131)의 타단부가 안착되는 제2조립접촉면(122)의 상부에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정렬돌기(116)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정렬돌기(116) 및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은 상기 연결빔부(130)의 수량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빔부(130)에는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에 형합 삽입되는 제2정렬돌기(136)가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정렬돌기(136)는 상기 크로스빔(131) 타측의 하면부로부터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각 정렬돌기(116,136) 및 각 정렬삽입홈(126,135)은 각각 상호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빔(131)의 타단부가 상기 제2조립접촉면(122)에 안착되면 상기 제2정렬돌기(136)가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에 형합 삽입되고 상기 각 브라켓패널(132a,132b)은 상기 제2선체부(120)의 양측부에 대면되도록 자동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빔부(130)의 사용 조립시 상기 각 정렬돌기(116,136)가 각 정렬삽입홈(126,135)에 형합 삽입되기만 하면 상기 선체연결부(132)가 결합 위치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정렬되므로 조립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 브라켓패널(132a,132b)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제1정렬돌기(116) 및 상기 제2정렬돌기(136)에 의해 분산 지지되므로 변형 내지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보관 조립시 상기 제1조립접촉면(112)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122)이 상호 대향 배치되면 상기 제1정렬돌기(116) 및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은 상호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정렬돌기(116) 및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은 상호간의 형합 삽입시 상호 접촉된 각 조립접촉면(112,122)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 선체부(110,120)가 대칭 배치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정렬돌기(116)가 상기 제2정렬삽입홈(126)에 형합 삽입되면 결속수단(140)의 결합시 제2결합부재(142)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제1선체부(110) 및 상기 제2선체부(120)가 밀착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관 조립시 상기 각 정렬돌기(116,136) 및 상기 각 정렬삽입홈(126,135)에 의해 상기 각 선체부(110,120)가 정렬되므로 상기 결속수단(140)의 결합을 위해 상기 각 선체부(110,120)를 가고정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조립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선체부(110)에 제1정렬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선체부(120)에 제2정렬돌기가 돌설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1선체부(110) 및 상기 제2선체부(120) 중 어느 일측에 제1정렬돌기가 돌출되면 타측에는 제2정렬삽입홈이 형성되어 상호 형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빔부(130)에는 제1정렬돌기 및 제2정렬삽입홈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1정렬삽입홈 및 제2정렬돌기가 양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110: 제1선체부 11: 제1수납홈부
12,112: 제1조립접촉면 20,120: 제2선체부
21: 제2수납홈부 22,122: 제2조립접촉면
30,130: 연결빔부 32,132: 선체연결부
33,133: 제1결합부재 40,140: 결속수단
41: 고정판넬부 42,142: 제2결합부재
50: 제1가변커버부 60: 제2가변커버부
100,200: 조립식 쌍동형 보트

Claims (5)

  1. 상면부에 형성된 제1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제1조립접촉면이 형성되는 제1선체부;
    상기 제1선체부의 폭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상면부에 형성된 제2수납홈부의 개구측 테두리 외측으로 상기 제1조립접촉면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조립접촉면에 선택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조립접촉면이 형성된 제2선체부;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에 각각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빔부; 및
    상기 제1조립접촉면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이 대향된 상태가 구속되도록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수납홈부 및 상기 제2수납홈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제1커버홈부 및 제2커버홈부가 형성되되 외면 프로파일이 상기 제1수납홈부 및 상기 제2수납홈부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가변커버부 및 제2가변커버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쌍동형 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홈부 및 상기 제2수납홈부의 길이는 상기 연결빔부가 내부에 보관되도록 상기 연결빔부의 길이 이상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쌍동형 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빔부는 양단부에 하향 돌설되되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 각각의 폭 간격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쌍의 브라켓패널로 구비되는 선체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브라켓패널에는 제1결합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통해 각각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쌍동형 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제1조립접촉면 및 상기 제2조립접촉면이 대향된 상태로 상기 제1선체부 및 상기 제2선체부의 각 측부에 상기 선체연결부가 결합되는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고정판넬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넬부에는 제2결합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통해 각각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쌍동형 보트.
  5. 삭제
KR1020170156959A 2017-11-23 2017-11-23 조립식 쌍동형 보트 KR101844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959A KR101844340B1 (ko) 2017-11-23 2017-11-23 조립식 쌍동형 보트
PCT/KR2017/013464 WO2019103191A1 (ko) 2017-11-23 2017-11-24 조립식 쌍동형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959A KR101844340B1 (ko) 2017-11-23 2017-11-23 조립식 쌍동형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340B1 true KR101844340B1 (ko) 2018-04-03

Family

ID=6197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959A KR101844340B1 (ko) 2017-11-23 2017-11-23 조립식 쌍동형 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4340B1 (ko)
WO (1) WO201910319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6932A1 (fr) * 1982-10-22 1984-05-02 Guiseppe Poggi Embarcation pouvant être transformée alternativement en planche à voile (wind surf) et en catamaran
WO1988008804A1 (en) 1987-05-13 1988-11-17 Mcmillen Winton P Twin-hulled sailing vessel
JP3054362U (ja) * 1998-05-26 1998-12-04 株式会社オール商会 ウインドサーフィン用双胴舟
US20010029880A1 (en) * 1999-12-27 2001-10-18 Mccarthy Patrick Albert Folding boat that converts to a car top carrier and storag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7425A (ja) * 2012-05-17 2013-11-28 Teruyuki Sunaga 開閉ボート
KR101744969B1 (ko) * 2015-04-29 2017-06-21 주식회사 에스컴텍 블럭 분할 조립식 쌍동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6932A1 (fr) * 1982-10-22 1984-05-02 Guiseppe Poggi Embarcation pouvant être transformée alternativement en planche à voile (wind surf) et en catamaran
WO1988008804A1 (en) 1987-05-13 1988-11-17 Mcmillen Winton P Twin-hulled sailing vessel
JP3054362U (ja) * 1998-05-26 1998-12-04 株式会社オール商会 ウインドサーフィン用双胴舟
US20010029880A1 (en) * 1999-12-27 2001-10-18 Mccarthy Patrick Albert Folding boat that converts to a car top carrier and storage contain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054362호(1998.12.04.)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191A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198B2 (en) Bouyant hull extension providing lateral and longitudinal control for lightweight hulls
US7305926B2 (en) Ported tri-hull boat
US5988087A (en) Pontoon for boats
KR101844340B1 (ko) 조립식 쌍동형 보트
US6860221B1 (en) Tubular boat having modular construction
KR20060057003A (ko) 컨테이너선
KR101727765B1 (ko) 컨테이너선용 래싱브리지
US9567046B2 (en) Boat having buoyancy unit
US6325013B1 (en) Portable boat having a plurality of attachable segments
JPH02204192A (ja) 双胴船
US4993340A (en) Boat structure
KR200479824Y1 (ko) 적재가 편리한 분해 조립형 수상보드
US10532690B2 (en) Structural cross frame connector and system
CN112389580B (zh) 充气式双体帆船
CN214451636U (zh) 充气式双体帆船
US8448593B2 (en) Folding boat
KR20060134556A (ko) 조립식 보트
CN212556659U (zh) 船体底部支撑结构
JP2022115017A (ja) 多機能ボート
US1930770A (en) Metal boat construction
US20110265700A1 (en) Craft rapidly convertible from a catamaran craft into a single-hull craft
US11745836B1 (en) Inflatable kayaks with non-planar hulls
US20170174291A1 (en) Sponson attachment for airboat
US2083410A (en) Boat construction
US7013819B2 (en) Marine catamaran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