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93844A1 - 펜더 대빗 장치 - Google Patents

펜더 대빗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93844A1
WO2019093844A1 PCT/KR2018/013728 KR2018013728W WO2019093844A1 WO 2019093844 A1 WO2019093844 A1 WO 2019093844A1 KR 2018013728 W KR2018013728 W KR 2018013728W WO 2019093844 A1 WO2019093844 A1 WO 201909384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fting
fender
pulley
sheave block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372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상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5075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8491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3751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95240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880072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566003B/zh
Priority to US16/757,890 priority patent/US11649020B2/en
Priority to SG11202003602UA priority patent/SG11202003602UA/en
Publication of WO201909384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938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66D1/74Capstans
    • B66D1/7489Capstans having a particular use, e.g. rope asce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der davit device.
  • Marine structures such as ships are floated on the sea, and fluctuations are caused by the flow of seawater.
  • a fender is installed between them to prevent hull damage due to contact between these adjacent offshore structures.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nder davit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breakage and tangling of a lifting string for holding a fender.
  • a stapler comprising a fender, a davit consisting of a lifting rope for holding the fender and a winch for lifting or loosening the lifting rope to move the fender, And a lifting tie tension maintain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lifting tie from being damaged.
  • the lifting tension force holding portion includes a first idle pulley wound around the middle portion of the lifting line between the fender and the winch, and a tensioner connected to the first idle pulley and pulling the first idle pulley downward at a predetermined strength .
  • the tensioner may include a rope connected to the first idle pulley, a roller around which the rope is wound, a fixed shaf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roller, and a spring disposed between the fixed shaft and the roller.
  • the lifting string tension hold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lide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idle pulley.
  • the davit includes a first fixed pulley and a second fixed pulley, and the first idle pulley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ixed pulley and the second fixed pulley.
  • the lifting tie tension hold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idle pulley wound around the middle portion of the lifting line between the fender and the winch; A sheave block on which the first idle pulley is installed; A slider for guiding the sheave block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davit; And a sheave block weight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heave block and adjusts a load of the sheave block in accordance with a load acting on the lifting line.
  • a first fixed pulley, a second fixed pulley, and a third fixed pulley may be installed in the davit.
  • the lifting tie tension hold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dle pulley installed on the sheave block so as to be wound around the middle portion of the lifting tie.
  • the first idle pulleys change the direction of the lifting rope wound on the first fixed pulley and the second fixed pulley and the second idle pulleys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lifting rope wound on the second fixed pulley and the third fixed pulley.
  • a fender davit device which can prevent breakage and tangling of the lifting rope by adjusting the length and tension of the lifting rope for holding the fender to be kep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Figure 1 shows a pair of offshore structures pending in the ocean.
  • FIG. 2 shows a Fender david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fender davi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llustrates a Fender davi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fender davi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ender davi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modified form of the fender davi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eave block weigh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llustrates a departure prevention p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is a view showing a pair of marine structures pending in the ocean.
  •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fender davi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operation of a fender davi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ender davitt device 100 includes a fender 110, a davit 120, and a lifting line tension holding part 130.
  • the fender davit device 100 adjusts the length and tension of the lifting rope for holding the fender 110 through the lifting rope tension holding portion 130 to be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reakage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 the lifting tie tension holding portion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ovable first idle pulley 131 that is movable and a tensioner 132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first idle pulley 131, And a slider 133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idle pulley 131.
  • the first idle pulley 131 is installed as a movable pulley between the fender 110 and the winch 122 so as to be wound around the middle portion of the lifting rope.
  • the first idle pulley 131 is installed in a posture in which the lifting rope is pushed downward from above the lifting rope.
  • the tensioner 132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idle pulley 131 thus installed is pull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strength. Accordingly, the lifting rope can be maintained in a normally V-shaped configuration (normally position B of the lifting rope) despite the weight of the fender 110 as shown in Fig.
  • the lifting rope has a weight of the fender 110 coupled to the one end thereof and an attitude of being pulled tightly by the winch 122 coupled to the other end (i.e., the original position A of the lifting rope) Since the first idle pulley 131 and the spring tensioner 132 of the embodiment hold the middle portion of the lifting rop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lifting rope is in a V shape (i.e., the normal position of the lifting rope B).
  • the pulling force of the tensioner 132 can be further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fender 110 (typically about 10 tons). That is, when the weight of the fender 110 is considerable, the pulling force of the tensioner 132 may correspondingly increase, and when the weight of the fender 110 is light, the pulling force of the tensioner 132 is correspondingly reduced .
  • the tensioner 132 can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first idle pulley 131, and more specifically, return the first idle pulley 131 to its original position at all times. That is, when the tension acting on the first idle pulley 131 through the fender 110 and the lifting rope 121 disappears, the tensioner 132 returns the first idle pulley 131 to its original position .
  • the tensioner 132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spring tensioner.
  • the spring tensioner includes a rope connected to the first idle pulley 131, a roller on which the rope is wound, a fixed shaft (the fixed shaft is fixed to the peripheral structur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roller, And a spring disposed between the shaft and the roller. Accordingly, 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spring connecting the roller and the fixed shaft in the state where the rope is unwound from the roller and the force for holding one end of the lifting rope 121 disappears, the tension of the spring causes the rope to be rewound on the roller, The idle pulley 131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slider 133 is configured to assist the stable movement of the first idler pulley 131, which is a movable type, as shown in FIG.
  • the slider 133 may be in the form of a longitudinally elongated frame and a block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 rails or slots may be longitudinally provided in the frame such that the first poly may slide.
  • the first idle pulley 131 may be mounted to the block and slide longitudinally along the rails or slots of such a frame.
  • the spring tensioner 132 is coupled to the block of the slider 133 so that the block integrally coupled with the first idler pulley 131 is always configured to be pulled down by the spring tensioner 132.
  • the davit 120 includes a first fixed pulley 123 and a second fixed pulley 124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hoisting rope and winch 122 in the configuration of a crane for lifting the fender 110.
  • the first and second fixed pulleys 123 and 124 are fixed pulleys unlike the first idle pulleys 131 described above.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fixed pulleys 123 and 124 are fixed to the body of the davit 120. 2, the first idle pulley 131 and the second idle pulley 131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pulleys 123 and 124 of the davit 120, (123, 124).
  • the fender 110 disposed therebetween moves downward
  • An additional load acts in addition to the weight of the fender 110 in the lifting row for holding the fender 110 at this time.
  • the first idle pulley 131 for lifting the lifting rope moves upward along the slider 133 and operates to attenuate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lifting rope.
  • the length of the lifting rope and the tension of the lifting rope are maintained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the lifting rope tension holding part 130 without driving the winch 122 as in the prior art,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that the lifting rope is broken .
  • FIG. 4 is a view showing a fender davi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Fender davi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ender davitt device 200 includes a fender 210, a davit 220, and a lifting-line tension retainer 230.
  • the fender 210 is installed between two objects (for example, a ship and a ship), and protects the side of the object by mitigating the impact of contact.
  • the davit 220 is a structure such as a crane for lifting the fender 210.
  • the davit 220 includes a first fixed pulley 223 and a second fixed pulley 224 in addition to a lifting bar 221 and a winch (not shown),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ixed pulley 225 have.
  • the lifting string 221 may be wound on the first fixed pulley 223, the second fixed pulley 224, and the third fixed pulley 225. At this time, the fenders 210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lifting rope 221, and the winch 222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Therefore, the lifting rope 221 can be held in a tensioned state by the load of the fender 210 (the weight of the fender here is about 16 tons).
  • the lifting tie tension holding portion 230 adjusts the tension of the lifting tie 221 in accordance with a sudden change in tension acting on the lifting tie 221 so that the lifting tie 221 And the like.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ender davi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eration of the fender davitt device 200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 the fenders 210 are seated and stored in a cradle.
  • the fender 210 is lifted from the cradle when the lifting rope 221 is slightly closed through the winch 222.
  • the fender 210 can be moved to the water surface as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 the load of the fender 210 is 16 tons
  • the load on the lifting rope 221 is 16 tons. Therefore, the weight of the sheave block 234, which is only 400 kg, can not support the weight of the fender 210, so that it is pulled up to the highest position of the davit 220 as shown in the left side of FIG.
  • the weight of the sheave block 234 shown in FIG. 6 is 200 kg
  • the lifting bar 221 connected to the sheave block 234 has a V shape, so that a load of 100 kg acts on each of the two strands split into V-shaped. 6
  • the balance between the sheave block 234 and the lifting bar 221 is equal to the weight of the sheave block 234 when the sum of the loads applied to the two strands of the lifting bar 221 is 200 kg, Can be maintained.
  • the lifting tie tension holding part 230 may move up and down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6, and may maintain the tension of the lifting tie 221 to be constant.
  • the lifting tie tension holding portion 230 may include a first idle pulley 231, a sheave block 234, and a slider 233.
  • the first idle pulley 231 is installed in the sheave block 234.
  • the sheave block 234 is slidably mounted on the slider 233.
  • the slider 233 guides movement of the sheave block 234.
  • the first idle pulley 231 is wound on the middle portion of the lifting rope 221 between the fender and the winch. At this time, the first idle pulley 231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lifting rope 221 located between the first fixed pulley 223 and the second fixed pulley 224 is pressed down. Then, the sheave block 234 pulls the first idle pulley 231 downward by using its own weight (gravity), so that the lifting rope 221 can be pulled tight.
  • gravity own weight
  • Sheave block 234 moves downward by gravity. That is, the sheave block 234 limits the upward movement of the first idle pulleys 231 so long as the load of the fenders does not change abruptly due to a certain amount of load, so that the tension of the lifting rods 221 connected to the fenders It can be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 the sheave block 234 is slidably mounted on the slider 233. Therefore, when the load of the fender is suddenly increased, the sheave block 234 can be lifted along the slider 233. That is, the sheave block 234 can be lifted to some extent along the lifting rope 221 to prevent the lifting rope 221 from being damaged due to excessive tension.
  • the slider 233 guides stable up / down movement of the sheave block 234.
  • the slider 233 may be, for example, a rail.
  • the first idle pulley 231 and the second idle pulley 232 for holding the lifting rope 221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slider 233 while being coupled to the sheave block 234.
  • the sheave block 234 can maintain the tension of the lifting bar 221 at a constant strength. For example, even if the sheave block 234 rises along the slider 233 due to the lifting rope 221 pulled by the fender 210, the tension of the lifting rope 221 due to the load of the sheave block 234 This can be maintained. Further, when the tension acting on the lifting rope 221 is lost when the fender 210 is lifted by the movement of the wave or ship in the state where the fender 210 is placed on the sea surface (for example, when the lifting rope 221 ) Is loosened) may occur.
  • the sheave block 234 having a load can pull the first idle pulley 231 and the second idle pulley 232 downward by gravity, thereby making the loosened lifting rope 221 again taut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nsion of the lifting rods 221 from disappearing and tangling.
  • the fender davit device 200 can reduce the tension of the lifting rope 221 that holds the fender 210 through the lifting rope tension holding portion 230, without driving the winch (not shown)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lifting rope 221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1, for example, by adjusting it to be kep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modified form of the fender davi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econd idle pulley 232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sheave block 234. [0040] Referring to FIG. The second idle pulley 232 is installed on the sheave block 234 together with the first idle pulley 231 to be wound on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ifting rope 221.
  • first fixing pulley 223, a second fixing pulley 224, and a third fixing pulley 225 are arranged in a line on the upper beam of the davit.
  • the first idle pulley 231 is arrang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lifting rope 221 wound around the first fixed pulley 223 and the second fixed pulley 224, 2 fixed pulley 224 and the third fixed pulley 225. In this case,
  • the lifting bar 221 can be changed from the V character of FIG. 6 to the W character of FIG.
  • the type conversion between the V and W characters can be made by removing or reinstalling the lifting rope 221 wound on the first idle pulley 231 or the second idle pulley 232.
  • the shape of the lifting bar 221 can be changed from a W character to a V character or from a V character to a W character. That is, the length of the lifting bar 221 can be changed.
  • the length of the lifting bar 221 is changed from V to W, the entire length of the lifting bar 221 is increased.
  • the expandability of the stroke can be increased.
  • the shape of the lifting bar 221 is V-shaped, the fender stroke is multiplied by 2, that is, doubled.
  • the Fender stroke is multiplied by 4, that is, quadrupled.
  • the weight of the sheave block 234 made of 200 kg should be increased.
  • the shape of the lifting bar 221 is changed from the V character of FIG. 6 to the W character of FIG. 7 and a load of 100 kg acts on each of the four strands separated by the W character, The sum of the loads is 400k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weight of the sheave block 234 to 400 kg.
  • the sheave block 234 can be increased in weight through the sheave block weight 235 to be described later.
  • the weight of the sheave block weight 235 can be adjusted to a total of 400 kg by adding 200 kg of the sheave block weight 235 to the weight of the sheave block 234. 7, the balance between the sheave block 234 and the lifting bar 221 can be maintained.
  • sheave block weight 235 can be manufactured as a unit unit of, for example, 100 kg, and assembled as two unit units to make 200 kg.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eave block weigh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fting tie tension holding portion 23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heave block weight 235.
  • the sheave block weight 235 is a member for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sheave block 234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at is, the sheave block weight 235 can be used to vary the weight of the sheave block 234.
  • the sheave block weight 235 may comprise a unitary unit having a constant weight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sheave block 234. Further, the sheave block weight 235 can be manufactured in such a structure that such a unit unit can be detached as necessary. Therefore, the weight of the sheave block 234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installing or removing the sheave block weight 235 to or from the sheave block 234 by a required load.
  • the lifting rope 221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idle pulley 231 and the second idle pulley 232.
  • the lifting rope 221 is detached in the course of operation of the lifting rope tension holding portion 230, a serious accident occu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is.
  • FIG. 9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gu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departure prevention p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eparture prevention guide 226 for preventing the lifting rope 221 wound on the first fixing pulley 223 from being released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davit.
  • the departure-avoiding guide 226 may be U-shaped.
  • the departure prevention guide 226 is provided so that the lifting rope 221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first fixed pulley 223 moves in the oblique direction instead of the vertical direction due to the lateral movement of the fender, ) Of the lifting rope 221 out of the allowable range of the lifting rope 221.
  • the lifting tie tension holding part 230 includes a release preventing pin 236 for preventing the lifting of the lifting rope 221 wound around the first idle pulley 231 and the second idle pulley 232 .
  • the separation preventing pin 236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provided in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first idle pulley 231 and the second idle pulley 232 and mounted.
  • Sheve block 235 Sheave block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펜더 대빗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는 펜더와, 펜더를 잡아주는 인양줄과 인양줄을 감거나 풀어서 펜더를 이동시키는 윈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빗과, 펜더를 잡아주는 인양줄의 장력을 소정의 범위 수준으로 유지하여 인양줄의 파손을 방지하는 인양줄 장력 유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펜더 대빗 장치
본 발명은 펜더 대빗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과 같은 해양구조물은 해상에 부유된 상태이므로 해수의 유동에 의해 동요가 발생한다. 이러한 해양구조물이 다른 해양구조물에 인접하여 계류될 때, 이들 인접한 해양구조물 간의 접촉에 따른 선체 파손을 막기 위해 이들 사이에 펜더(Fender)가 설치된다.
이때, 이들 인접한 해양구조물 간에 상이한 동요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펜더를 잡아주는 인양줄이 끊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파손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펜더를 잡아주는 인양줄의 파손, 엉킴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펜더 대빗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펜더와, 펜더를 잡아주는 인양줄과 인양줄을 감거나 풀어서 펜더를 이동시키는 윈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빗과, 펜더를 잡아주는 인양줄의 장력을 소정의 범위 수준으로 유지하여 인양줄의 파손을 방지하는 인양줄 장력 유지부를 포함하는 펜더 대빗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인양줄 장력 유지부는 펜더와 윈치의 사이에서 인양줄의 중간 부분에 권취되는 제1 아이들 풀리와, 제1 아이들 풀리에 연결되어 제1 아이들 풀리를 하방향으로 소정의 강도로 잡아당기는 텐셔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텐셔너는 제1 아이들 풀리에 연결되는 로프와, 로프가 권취되는 롤러와, 롤러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축과, 고정축과 롤러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양줄 장력 유지부는 제1 아이들 풀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빗은 제1 고정 풀리와 제2 고정 풀리를 포함하며, 제1 아이들 풀리는 제1 고정 풀리와 제2 고정 풀리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인양줄 장력 유지부는 펜더와 윈치의 사이에서 인양줄의 중간 부분에 권취되는 제1 아이들 풀리; 제1 아이들 풀리가 설치되는 시브 블록; 시브 블록이 대빗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더; 및 시브 블록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양줄에 작용하는 부하에 상응하여 시브 블록의 하중을 조절하는 시브 블록 웨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대빗에는 제1 고정 풀리, 제2 고정 풀리, 제3 고정 풀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인양줄 장력 유지부는 인양줄의 중간 부분에 권취되도록 시브 블록에 설치되는 제2 아이들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이들 풀리는 제1 고정 풀리 및 제2 고정 풀리에 권취되는 인양줄의 방향을 바꾸며, 제2 아이들 풀리는 제2 고정 풀리 및 제3 고정 풀리에 권취되는 인양줄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펜더를 잡아주는 인양줄의 길이와 장력을 소정의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상기 인양줄의 파손, 엉킴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펜더 대빗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해양에 계류중인 한 쌍의 해양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의 변형된 형태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브 블록 웨이트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핀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해양에 계류중인 한 쌍의 해양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 들어 왼쪽에 위치한 해양구조물(10)이 아래로 하강하고 오른쪽에 위치한 해양구조물(20)이 위로 상승하는 상황에서, 그 사이에 위치한 펜더(110)는 아래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펜더(110)를 잡아주는 인양줄(121)에 큰 인장력이 작용하므로, 윈치(미도시)를 작동시켜 인양줄(121)을 풀어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이러한 상황이 순식간에 일어나므로, 윈치를 작동시키는 와중에 인양줄(121)이 끊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100)는 펜더(110), 대빗(120), 인양줄 장력 유지부(1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100)는 인양줄 장력 유지부(130)를 통해 펜더(110)를 잡아주는 인양줄의 길이와 장력을 소정의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인양줄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인양줄 장력 유지부(130)는 이동이 자유로운 이동형 제1 아이들 풀리(131)와 이러한 제1 아이들 풀리(131)의 이동을 제한하는 텐셔너(132)를 포함하며, 제1 아이들 풀리(13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더(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이들 풀리(131)는 이동형 풀리로서 펜더(110)와 윈치(122)의 사이에서 인양줄의 중간 부분에 귄취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 아이들 풀리(131)는 인양줄의 위에서 인양줄을 하방향으로 눌려주는 자세로 설치된다. 그리고, 텐셔너(132)는 이렇게 설치된 제1 아이들 풀리(131)를 하방향으로 소정의 강도로 잡아당기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인양줄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펜더(110)의 무게에도 불구하고 평상시 V자의 형태(인양줄의 평상시 포지션(B))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인양줄은 그 일단에 결합된 펜더(110)의 무게와 그 타단에 결합된 윈치(122)로 의해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자세를 가지는데(즉, 인양줄의 원래 포지션(A)), 본 실시예의 제1 아이들 풀리(131)와 스프링 텐셔너(132)가 이러한 인양줄의 중간 부분을 하방향으로 잡아주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인양줄이 V자의 형태(즉, 인양줄의 평상시 포지션(B))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펜더(110)의 무게(통상적으로 대략 10톤)에 따라 텐셔너(132)의 잡아당기는 힘을 추가로 조절할 수 있다. 즉, 펜더(110)의 무게가 상당한 경우 텐셔너(132)의 잡아당기는 힘도 이에 상응하여 증가할 수 있고, 펜더(110)의 무게가 가벼운 경우 텐셔너(132)의 잡아당기는 힘도 이에 상응하여 감쇠될 수 있다.
텐셔너(132)는 제1 아이들 풀리(131)의 이동을 제한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아이들 풀리(131)를 항상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펜더(110)와 인양줄(121)을 통해 제1 아이들 풀리(131)에 작용하는 힘(텐션)이 사라지면, 텐셔너(132)는 제1 아이들 풀리(13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일 예시로, 본 실시예의 텐셔너(132)는 스프링 텐셔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 텐셔너는 제1 아이들 풀리(131)에 연결되는 로프와, 상기 로프가 권취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축(여기서의 고정축은 주변 구조물에 고정됨)과, 상기 고정축과 상기 롤러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프가 롤러에서 풀린 상태에서 롤러와 고정축을 연결하는 스프링에 텐션이 발생하고, 인양줄(121)의 일단을 잡아주는 힘이 사라지면 스프링의 텐션에 의해 로프가 롤러에 다시 감기기면서 제1 아이들 풀리(131)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더(1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인 제1 아이들 풀리(131)의 안정적인 이동을 돕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133)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블록의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폴리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프레임에 레일 또는 슬롯이 종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아이들 풀리(131)는 블록에 장착되어 이러한 프레임의 레일 또는 슬롯을 따라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 텐셔너(132)는 슬라이더(133)의 블록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 아이들 풀리(131)와 일체로 결합된 블록이 스프링 텐셔너(132)에 의해 항상 아래로 당겨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빗(120)은 펜더(110)를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의 구성으로 인양줄 및 윈치(122)에 더하여 제1 고정 풀리(123) 및 제2 고정 풀리(12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 풀리(123, 124)는 상술한 제1 아이들 풀리(131)와 달리 고정형 풀리로 이루어진다. 즉, 제1 및 제2 고정 풀리(123, 124)는 대빗(120)의 몸체에 고정된 형태이다. 이에 따라, 인양줄이 대빗(120)의 제1 및 제2 고정 풀리(123, 124)에 권취된 상태에서, 제1 아이들 풀리(131)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고정 풀리(123, 12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 들어 왼쪽에 위치한 해양구조물이 아래로 하강하고 오른쪽에 위치한 해양구조물이 위로 상승하는 상황에서, 그 사이에 위치한 펜더(110)는 아래로 이동하려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는데, 이때 펜더(110)를 잡아주는 인양줄에 펜더(110)의 무게에 더하여 추가하중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펜더 대빗 장치(100)는 인양줄을 잡아주는 제1 아이들 풀리(131)가 슬라이더(133)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인양줄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감쇠시키도록 작동한다.
이외에도, 예를 들어 펜더(110)가 해수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파도 또는 선박의 운동에 의해 펜더(110)가 상승할 때 인양줄에 작용하는 장력이 소실되는 경우(즉, 인양줄이 느슨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인양줄 장력 유지부(130)의 스프링 텐셔너(132)가 제1 아이들 풀리(131)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느슨해진 인양줄을 팽팽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느슨해진 인양줄이 서로 엉키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처럼 윈치(122)를 구동시킬 필요 없이, 인양줄 장력 유지부(130)를 통해 인양줄의 길이와 장력을 소정의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인양줄이 끊어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200)는 펜더(210), 대빗(220), 인양줄 장력 유지부(230)를 포함한다.
펜더(210)는 두 물체(예를 들어, 선박과 선박)의 사이에 설치되어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여 물체의 측면을 보호하는 방현재이다.
대빗(220)은 펜더(210)를 인양하기 위한 크레인과 같은 구조물이다. 대빗(220)은 인양줄(221) 및 윈치(미도시)에 더하여 제1 고정 풀리(223) 및 제2 고정 풀리(224)를 포함하며, 제3 고정 풀리(22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인양줄(221)은 제1 고정 풀리(223), 제2 고정 풀리(224), 제3 고정 풀리(225)에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인양줄(221)의 한쪽에는 펜더(210)가 결합되고, 다른 한쪽에는 윈치(222)가 결합된다. 따라서, 인양줄(221)은 펜더(210)의 하중(여기서의 펜더의 무게는 약 16톤)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펜더(21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두 물체의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두 물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펜더(210)는 수면에 부유된 상태에서 펜더(210)에 연결된 인양줄(221)의 장력이 시시각각 변하는 문제가 있다. 즉, 인양줄(221)에 작용하는 장력이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갑자기 소멸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인양줄 장력 유지부(230)는 인양줄(221)에 작용하는 장력의 급격한 변화에 상응하여 인양줄(221)의 장력을 소정의 범위 수준으로 조절 유지함으로써 급격한 장력의 변화에 따른 인양줄(221)의 파손, 엉킴 등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펜더 대빗 장치(200)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평상시, 펜더(210)는 크래들(cradle)에 안착되어 보관된다. 사용시에는 윈치(222)를 통해 인양줄(221)을 살짝 감으면, 펜더(210)가 크래들에서 들어올려진다. 들어올려진 펜더(210)는 선박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윈치(222)를 이용하여 인양줄(221)을 풀어주면 펜더(210)는 도 6의 좌측도면처럼 수면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펜더(210)의 하중은 16톤이고, 인양줄(221)에 걸리는 하중도 16톤이다. 따라서, 400kg에 불과한 시브 블록(234)의 무게로는 펜더(210)의 무게를 감당할 수 없어 도 6의 좌측도면처럼 대빗(220)의 가장 높은 곳까지 끌러 올라가게 된다.
도 6의 중간도면처럼 펜더(210)가 수면에 부유하게 되면, 펜더(210)의 하중의 대부분을 수면에서 받아줄 수 있다. 따라서, 인양줄(221)을 계속 풀게 되면 시브 블록(234)은 도 6의 중간도면처럼 다시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시브 블록(234)의 위치가 슬라이더(233)의 중간쯤에 도달하게 되면, 윈치(222)의 작동을 정지시켜 시브 블록(234)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 상태로 인양줄 장력 유지부(230)의 작동준비가 완료된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시브 블록(234)의 무게는 200kg이며, 시브 블록(234)에 연결된 인양줄(221)은 V자 형태이므로 V자로 갈라지는 2 가닥에 각각 100kg의 하중이 작용한다. 따라서, 인양줄(221)의 2 가닥에 걸리는 하중의 총합이 200kg으로 시브 블록(234)의 무게 200kg과 동일하여, 도 6의 중간도면처럼 시브 블록(234)과 인양줄(221) 간에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
도 6의 우측도면처럼 예를 들어 수면의 높낮이가 달라져 펜더의 위치가 상하로 달라지거나, 두 해양구조물의 사이에서 펜더의 위치가 상하로 달라지게 되면, 인양줄(221)에 작용하는 장력이 달라지게 된다. 이때, 인양줄 장력 유지부(230)는 도 6의 우측도면처럼 위아래로 이동하면서 인양줄(221)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양줄 장력 유지부(230)는 제1 아이들 풀리(231), 시브 블록(234), 슬라이더(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이들 풀리(231)는 시브 블록(234)에 설치된다. 시브 블록(234)은 슬라이더(23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더(233)는 시브 블록(234)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제1 아이들 풀리(231)는 펜더와 윈치의 사이에서 인양줄(221)의 중간 부분에 권취된다. 이때, 제1 아이들 풀리(231)는 제1 고정 풀리(223), 제2 고정 풀리(224)의 사이에 위치한 인양줄(221)을 위에서 아래로 눌려주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시브 블록(234)은 자체의 하중을(중력을) 이용하여 제1 아이들 풀리(231)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기고, 이에 따라 인양줄(221)이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다.
시브 블록(234)은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시브 블록(234)은 어느 정도의 하중을 가지고 있어 펜더의 하중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는 이상 제1 아이들 풀리(231)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펜더에 연결된 인양줄(221)의 장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시브 블록(234)은 슬라이더(23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펜더의 하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시브 블록(234)이 슬라이더(233)를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즉, 시브 블록(234)이 당겨지는 인양줄(221)을 따라 어느 정도 같이 상승함으로써 과도한 장력으로 인해 인양줄(221)이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233)는 시브 블록(234)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가이드한다. 슬라이더(233)는 예를 들어 레일일 수 있다. 따라서, 인양줄(221)을 잡아주는 제1 아이들 풀리(231) 및 제2 아이들 풀리(232)는 시브 블록(234)에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더(233)를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브 블록(234)은 인양줄(221)의 장력을 일정한 강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펜더(210)에 의해 당겨지는 인양줄(221)로 인해 시브 블록(234)이 슬라이더(233)를 따라 상승하더라도, 시브 블록(234)의 하중으로 인해 인양줄(221)의 장력이 탱탱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펜더(210)가 해수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파도 또는 선박의 운동에 의해 펜더(210)가 상승할 때 인양줄(221)에 작용하는 장력이 소멸되는 경우(즉, 인양줄(221)이 느슨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하중을 갖는 시브 블록(234)이 중력에 의해 제1 아이들 풀리(231) 및 제2 아이들 풀리(232)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느슨해진 인양줄(221)을 다시 팽팽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인양줄(221)의 장력이 소멸되어 엉키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펜더 대빗 장치(200)는 종래처럼 윈치(미도시)를 구동시킬 필요 없이, 인양줄 장력 유지부(230)를 통해 펜더(210)를 잡아주는 인양줄(221)의 장력을 소정의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상황에서의 인양줄(221)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더 대빗 장치의 변형된 형태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브 블록(234)에는 제2 아이들 풀리(232)가 추가로 설치된다. 제2 아이들 풀리(232)는 인양줄(221)의 중간 부분에 권취되도록 제1 아이들 풀리(231)와 더불어 시브 블록(234)에 설치된다.
또한, 대빗의 상부 보에는 제1 고정 풀리(223), 제2 고정 풀리(224), 제3 고정 풀리(225)가 일렬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아이들 풀리(231)는 제1 고정 풀리(223) 및 제2 고정 풀리(224)에 권취되는 인양줄(221)의 방향을 바꾸도록 배치되며, 제2 아이들 풀리(232)는 제2 고정 풀리(224) 및 제3 고정 풀리(225)에 권취되는 인양줄(221)의 방향을 바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양줄(221)은 도 6의 V자에서 도 7의 W자 형태로 바뀔 수 있다. 여기서, V자와 W자 간의 형태 변환은 제1 아이들 풀리(231) 또는 제2 아이들 풀리(232)에 권취된 인양줄(221)을 제거 또는 다시 설치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양줄(221)의 형태를 W자에서 V자로 또는 V자에서 W자로 변환이 가능하다. 즉, 인양줄(221)의 길이 변환이 가능하다. 인양줄(221)의 길이를 V자에서 W자로 변환하면, 인양줄(221)의 전체길이가 늘어난다. 인양줄(221)의 길이를 보다 길게 확보할 경우, 스트로크(stroke)의 확장성을 높일 수 있다. 참고로, 인양줄(221)의 형태를 V자로 구성시 펜더 스트로크는 곱하기 2, 즉 2배가 된다. 인양줄(221)의 형태를 W자로 구성시 펜더 스트로크는 곱하기 4, 즉 4배가 된다.
한편 예를 들면, 인양줄(221)의 형태가 V자에서 W자로 변환되면, 200kg으로 제작된 시브 블록(234)의 무게를 늘려야 한다. 예를 들면, 인양줄(221)의 형태가 도 6의 V자에서 도 7의 W자로 변환되고, W자로 갈라지는 4 가닥에 각각 100kg의 하중이 작용한다면, 인양줄(221)의 4 가닥에 걸리는 하중의 총합이 400kg이다. 따라서, 시브 블록(234)의 무게를 400kg으로 맞출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후술할 시브 블록 웨이트(235)를 통해 시브 블록(234)의 무게를 늘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양줄(221)의 4 가닥에 걸리는 하중의 총합이 400kg이면, 시브 블록(234)의 무게 200kg에 시브 블록 웨이트(235)의 무게 200kg를 추가하여 총 400kg으로 맞출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도 7의 중간도면처럼 시브 블록(234)과 인양줄(221) 간에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시브 블록 웨이트(235)는 예를 들어 100kg짜리의 단위 유닛으로 제작될 수 있고, 200kg을 만들기 위해 2개의 단위 유닛을 조립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브 블록 웨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인양줄 장력 유지부(230)는 시브 블록 웨이트(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브 블록 웨이트(235)는 시브 블록(234)의 무게를 상황에 따라 늘리기 위한 부재이다. 즉, 시브 블록 웨이트(235)를 이용하여 시브 블록(234)의 무게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브 블록 웨이트(235)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단위 유닛으로 구성되며, 시브 블록(234)의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시브 블록 웨이트(235)는 이러한 단위 유닛을 필요한 만큼 탈착 가능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하중만큼 시브 블록 웨이트(235)를 시브 블록(234)에 설치 또는 제거함으로써 시브 블록(234)의 자중을 증감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양줄(221)은 제1 아이들 풀리(231)와 제2 아이들 풀리(232)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인양줄 장력 유지부(23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인양줄(221)이 분리되면, 큰 사고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대빗에는 제1 고정 풀리(223)에 권취된 인양줄(2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가이드(226)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탈 방지 가이드(226)는 U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탈 방지 가이드(226)는 제1 고정 풀리(223)에서 하방향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양줄(221)이 펜더의 좌우 이동으로 인해 수직방향이 아닌 사선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 고정 풀리(223)의 허용범위를 벗어난 인양줄(2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양줄 장력 유지부(230)는 제1 아이들 풀리(231) 및 제2 아이들 풀리(232)에 권취된 인양줄(2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핀(2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 핀(236)은 제1 아이들 풀리(231) 및 제2 아이들 풀리(232)의 최외측 둘레에 구비된 구멍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20: 해양구조물 100, 200: 펜더 대빗 장치
110, 210: 펜더 120, 220: 대빗
121, 221: 인양줄 123, 223: 제1 고정 풀리
124, 224: 제2 고정 풀리 225: 제3 고정 풀리
130, 230: 인양줄 장력 유지부 131, 231: 제1 아이들 풀리
232: 제2 아이들 풀리 133, 233: 슬라이더
234: 시브 블록 235: 시브 블록 웨이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치를 구동시킬 필요 없이, 인양줄 장력 유지부를 통해 펜더를 잡아주는 인양줄의 장력을 소정의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상황에서의 인양줄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펜더;
    상기 펜더를 잡아주는 인양줄과 상기 인양줄을 감거나 풀어서 상기 펜더를 이동시키는 윈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빗; 및
    상기 펜더를 잡아주는 상기 인양줄의 장력을 소정의 범위 수준으로 유지하여 상기 인양줄의 파손을 방지하는 인양줄 장력 유지부를 포함하는 펜더 대빗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줄 장력 유지부는
    상기 펜더와 상기 윈치의 사이에서 상기 인양줄의 중간 부분에 권취되는 제1 아이들 풀리;
    상기 제1 아이들 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아이들 풀리를 하방향으로 소정의 강도로 잡아당기는 텐셔너를 포함하는 펜더 대빗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는
    상기 제1 아이들 풀리에 연결되는 로프;
    상기 로프가 권취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과 상기 롤러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펜더 대빗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줄 장력 유지부는
    상기 제1 아이들 풀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펜더 대빗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빗은 제1 고정 풀리와 제2 고정 풀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아이들 풀리는 상기 제1 고정 풀리와 제2 고정 풀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펜더 대빗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줄 장력 유지부는
    상기 펜더와 상기 윈치의 사이에서 상기 인양줄의 중간 부분에 권취되는 제1 아이들 풀리;
    상기 제1 아이들 풀리가 설치되는 시브 블록; 및
    상기 시브 블록이 상기 대빗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펜더 대빗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줄에 권취되도록 상기 시브 블록에 설치되는 제2 아이들 풀리를 더 포함하는 펜더 대빗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빗에는 제1 고정 풀리, 제2 고정 풀리, 제3 고정 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이들 풀리는 상기 제1 고정 풀리 및 상기 제2 고정 풀리에 권취되는 상기 인양줄의 방향을 바꾸며,
    상기 제2 아이들 풀리는 상기 제2 고정 풀리 및 상기 제3 고정 풀리에 권취되는 상기 인양줄의 방향을 바꾸는 펜더 대빗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 블록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양줄에 작용하는 부하에 상응하여 상기 시브 블록의 하중을 조절하는 시브 블록 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펜더 대빗 장치.
PCT/KR2018/013728 2017-11-13 2018-11-12 펜더 대빗 장치 WO201909384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72110.5A CN111566003B (zh) 2017-11-13 2018-11-12 防护件吊架装置
US16/757,890 US11649020B2 (en) 2017-11-13 2018-11-12 Fender davit device
SG11202003602UA SG11202003602UA (en) 2017-11-13 2018-11-12 Fender davi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758A KR101984917B1 (ko) 2017-11-13 2017-11-13 펜더 대빗 장치
KR10-2017-0150758 2017-11-13
KR1020180137517A KR102295240B1 (ko) 2018-11-09 2018-11-09 펜더 대빗 장치
KR10-2018-0137517 2018-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3844A1 true WO2019093844A1 (ko) 2019-05-16

Family

ID=6643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3728 WO2019093844A1 (ko) 2017-11-13 2018-11-12 펜더 대빗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49020B2 (ko)
CN (1) CN111566003B (ko)
SG (1) SG11202003602UA (ko)
WO (1) WO2019093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2003602UA (en) * 2017-11-13 2020-05-28 Samsung Heavy Ind Co Ltd Fender davit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929A (ko) * 2007-09-03 2009-03-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스트립 장력 자동조절 페스투너 구조
KR20110092004A (ko) * 2010-02-08 2011-08-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거중 설비
US20150325099A1 (en) * 2012-12-20 2015-11-12 The Yokohama Rubber Co., Ltd. System for Detecting Tensile Force of Guy Rope in Pneumatic Fender and Pneumatic Fender
KR101636543B1 (ko) * 2016-01-04 2016-07-05 운지파워텍(주)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의 부유구조체 계류장치
KR101672334B1 (ko) * 2016-04-19 2016-11-04 대광기업 주식회사 장력조절부가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스풀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4B2 (ja) * 1985-05-31 1995-01-1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アンビリカルウインチ
US7438251B2 (en) 2003-06-19 2008-10-21 Specialty Systems Advanced Machinery, Inc. Web tensioning device with plural control inputs
CN101057042B (zh) * 2004-11-11 2010-10-13 辛格尔浮筒系船公司 软码头锚泊系统
GB2457937A (en) * 2008-02-29 2009-09-02 First Subsea Ltd Deployment and retrieval of ship's fenders
CN101746686B (zh) * 2009-10-28 2011-12-21 中国海洋大学 船用绞车缆绳自适应调整装置
GB2510418B (en) * 2013-02-04 2018-02-28 Windcat Workboats Ltd Vessel fender structure with anchor points and draw mechanisms
CN203497146U (zh) * 2013-07-29 2014-03-26 中国海洋石油总公司 海洋平台避免船舶碰撞的护舷
KR101563693B1 (ko) 2014-04-11 2015-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펜더 대빗 장치
KR102295240B1 (ko) * 2018-11-09 2021-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펜더 대빗 장치
SG11202003602UA (en) * 2017-11-13 2020-05-28 Samsung Heavy Ind Co Ltd Fender davit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929A (ko) * 2007-09-03 2009-03-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스트립 장력 자동조절 페스투너 구조
KR20110092004A (ko) * 2010-02-08 2011-08-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거중 설비
US20150325099A1 (en) * 2012-12-20 2015-11-12 The Yokohama Rubber Co., Ltd. System for Detecting Tensile Force of Guy Rope in Pneumatic Fender and Pneumatic Fender
KR101636543B1 (ko) * 2016-01-04 2016-07-05 운지파워텍(주)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의 부유구조체 계류장치
KR101672334B1 (ko) * 2016-04-19 2016-11-04 대광기업 주식회사 장력조절부가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스풀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003602UA (en) 2020-05-28
US20200339233A1 (en) 2020-10-29
CN111566003B (zh) 2022-04-12
US11649020B2 (en) 2023-05-16
CN111566003A (zh)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917B1 (ko) 펜더 대빗 장치
US75437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ing articles in deep waters
WO2011126171A1 (ko) 체인스토퍼가 구비된 페어리더
EP2477927B1 (en) Hoisting device
TW200607744A (en) Elevator (Ⅰ)
US20200055569A1 (en) Mooring and tensioning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RU218288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ускания груза на глубоководном участке
WO2019093844A1 (ko) 펜더 대빗 장치
ATE466804T1 (de) Aufzugsseilausgleichsvorrichtung
JP2007284217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295240B1 (ko) 펜더 대빗 장치
WO2023182563A1 (ko)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용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KR20130017491A (ko) 해상시추설비용 케이블 송출장치
CN110562832A (zh) 一种用于曳引式建筑施工升降机的补偿链装置
WO2023182564A1 (ko)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용 페어리드 체인 스토퍼
WO2005049469A3 (en) Tension means for elevator cable
WO2024117374A1 (ko)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WO2024117370A1 (ko)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페어리드 체인 스토퍼
JPH0512155Y2 (ko)
CN210214519U (zh) 一种用于曳引式建筑施工升降机的补偿链装置
JP3439054B2 (ja) 水底ケーブル接続設備
WO2015156556A1 (ko) 구명정 하강장치 및 하강방법
JPH1015257A (ja) レ−シングコ−ス構成装置
SU1355206A2 (ru) Трал дл лова рыбы
RU2192386C1 (ru) Полиспас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59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59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