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8458A1 - 속효성 마이셀 나노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속효성 마이셀 나노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8458A1
WO2019088458A1 PCT/KR2018/011631 KR2018011631W WO2019088458A1 WO 2019088458 A1 WO2019088458 A1 WO 2019088458A1 KR 2018011631 W KR2018011631 W KR 2018011631W WO 2019088458 A1 WO2019088458 A1 WO 20190884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hs1p
skin
nanoparticles
bile ac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163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종성
김동명
한인석
Original Assignee
훠리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훠리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훠리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753,62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51274B1/en
Publication of WO20190884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84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1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acting micelle nanoparticle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Phytosphingosine phosphate (PhS-1-P, P1P) is an analog of sphingosine-1-phosphate (S1P) that secretes in platelets and exhibits the same efficacy as sphingosine-1-phosphate.
  • S1P sphingosine-1-phosphate
  • our body secretes various growth factors and stress-relieving substances through the platelets of the blood.
  • our body regenerates secretory substances such as sphingosine-1-phosphate (S1P)
  • S1P secretory substances
  • S1P secretory substances
  • S1P sphingosine-1-phosphate
  • P1P phytosphingosine-1-phosphate
  • P1P is known to exhibit the same potency as a similar structure to S1P (sphingosine-1-phosphate).
  • Sphingosine-1-phosphate acts on the receptor on the cell surface and causes a variety of reactions.
  • Five types of S1P receptors S1P1, S1P2, S1P3, S1P4, S1P5 are known.
  • Phytosphingosine-1-phosphate P1P
  • P1P Phytosphingosine-1-phosphate
  • P1P a structural analog of S1P, binds to receptors such as S1P and performs the same function in cells.
  • P1P is a special agonist that binds better to S1P1 and S1P4 than S1P. Therefore, P1P also exhibits effects such as cell migration, cell proliferation (inhibition of cell death), neovascularization, and wound healing.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phytosphingosine-1-phosphate can produce fast-acting micellar nanoparticles excellent in transdermal absorption rate and skin-improving ability when bile acid is used while studying high formulation of percutaneous absorption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icelle nanoparticles comprising bile acid and phytosphingosine-1-phosphat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cellar nanoparticle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kin care method comprising treating the skin of a subject with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cellar nanoparticles.
  • micellar nanoparticles comprising bile acid and phytosphingosine-1-phosph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cellent in transdermal permeability, capable of improving skin elasticity, increasing skin thickness and improving skin compactness.
  • Figure 1 shows the particle distribution of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ar nanoparticles.
  • FIG. 2 is a photograph of particles of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 FIG. 3 shows the results of HPLC analysis of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 A standard material
  • B PhS1P micelle nanoparticles.
  • FIG. 4 is an in vitro skin permeation rate profile of the control (PhS1P) permeable to ICR mouse skin and the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 FIG. 4 is an in vitro skin permeation rate profile of the control (PhS1P) permeable to ICR mouse skin and the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 FIG. 5 is a total profile showing the in vitro skin permeation amount of the control (PhS1P) permeating ICR mouse skin and the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 FIG. 5 is a total profile showing the in vitro skin permeation amount of the control (PhS1P) permeating ICR mouse skin and the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 FIG. 6 shows the skin elasticity enhancement ability of the cosmetic formulation using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 FIG. 7 shows the ability of the cosmetic formulation to improve skin thickness using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 FIG. 8 shows the dendritic compacting ability of the cosmetic formulation using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 FIG. 9 is a photograph of the result of measuring skin compactness after using cosmetic formulation using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 FIG. 9 is a photograph of the result of measuring skin compactness after using cosmetic formulation using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micelle nanoparticles comprising bile acid and phytosphingosine-1-phosphat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cellar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skin car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eating the skin of a subject with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celle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holanic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mmon bile acid.
  • the bile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olic acid, kenodoxycholic acid, glucocoric acid, taurocholic acid, dioxycholic acid, lithocholic acid and the like, preferably taurocholic ac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ile aci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parat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pig bile or chemically synthesized.
  • the phytosphingosine-1-phosph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general phytosphingosine-1-phosphat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micelle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ast-acting micelle nanoparticles.
  •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fast acting micellar nanoparticles comprising bile acid and phytosphingosine-1-phosphate.
  • the bile acid and phytosphingosine-1-phosphate are present conjugated.
  • the micelle nanoparticles have a size of 100 to 200 nm, preferably 110 to 190 nm, and more preferably 120 to 180 nm.
  • micellar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ysolecithin as a surfactant.
  • the micelle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high transdermal permeability and transdermal absorption rate.
  • micellar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20 to 150 nm.
  • the intercellular lipids are 100 to 200 nm.
  • the micelle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icelles excellent in percutaneous permeation and absorp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ility to improve skin elasticity, increase skin thickness, and improve skin compactness.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s conventionally produced in the art and may be formulated into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 containing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 An emulsion foundation, a wax foundation and a spr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formulated as a softening agent, a nutritional lotion, a nutritional cream, a massage cream, an essence, an eye cream, a cleansing cream, a cleansing foam, a cleansing water, a pack, a spray or a powd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in care method comprising treating a skin of a subject with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celle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kin beauty includes improvement of skin elasticity, increase of skin thickness, and improvement of skin compactness.
  • Skin elasticity was measured using Cutometer MPA580 (Courage and Khazaka, Germany), which measures elasticity. The elasticity was measured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skin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skin was sucked into the probe during the measurement time with the continuous sound pressure and the sound pressure was removed. The measuring method was as follows: 2 mm diameter probe Non-invasive method. In this test, mode 1 was used as the measurement condition.
  • Mode 1 conditions were 450 mbar of sound pressure, suction time 2 sec, and relaxation time 2 sec.
  • the unit of measure is arbitrary units A.U. (arbitrary unit).
  • R2 net elasticity
  • the improvement rate of the skin elasticity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Skin thickness and dermis density were measured by applying ultrasonic gel to Dermascan-C (Cortex Technology, Denmark), a device for imaging high-resolution ultrasound at 20 MHz, and pressing the probe at a right angle to the skin.
  • the range of the analysis was limi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bcutaneous fat layer just below the epidermis, and the intensity, which is the dermal density, was measured and analyzed.
  • Skin thickness and improvement rate of dermal density wer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the researchers closely monitored the presence of skin adverse events in the subjects and rated them according to severity when the adverse events occurred.
  • the evaluation of the adverse reactions was evaluated together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erythema, edema, scurvy, itching, discoloration, burning sensation, stiffness, and tingling.
  •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test results.
  •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icrosoft Excel version 2007 software.
  •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micellar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120.3 nm
  • the electric charge of the particle surface was -5 mV to +5 mV
  • the absolute value of the zeta potential was 3 mV to 18 mV.
  • taurocholic acid was mixed with 25 ml of methanol (methanol 85: water 15 volume ratio) to prepare a 430 mM solution of tauric acid.
  • methanol 85: water 15 volume ratio methanol 85: water 15 volume ratio
  • a primary solution 1.8 mL of the lecithin solution (lecithin solution dissolved in chloroform) and 1.05 mL of the cholesterol solution (cholesterol purified by the methanol method and 500 mg / mL of the cholesterol solution dissolved in the chloroform solvent ) was added to prepare a primary solution.
  • the prepared primary solution was placed in a glass tube having a Teflon cap and heated at 55 ° C in a water bath for 5 hours. And the primary solution was evaporated with nitrogen gas until it became sticky, thick and yellowish. The evaporated residues were frozen at -70 ° C for 2 hours, lyophilized under reduced pressure for more than 9 hours, and again dissolved in PBS and heat treated at 56 ° C for 4 hours. After the heat treatment was completed, the solution was diluted 1:10 in serum-free medium (by volume) and filtered using a 0.45 um filter to prepare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 micellar nanoparticle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lecithin alone was used. That is, in Example 2, lysolecithin was not used when preparing micellar nanoparticles.
  •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ELS-Z, Photal, Japan) of the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prepared in Example 1 was measured, and an SEM photograph (JEM1010, JEOL, Japan) was taken to observe the particle shape.
  • the existence of PhS1P in the prepared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was confirmed by HPLC (Agilent 1200, Germany).
  •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containing 0.1% of PhS1P were prepared and their particle distribution was measured using Photal and ELS-Z. The particle size was found to be 158.4 nm (FIG. 1). The intercellular lipids were 100-200 nm,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containing 0.1% of PhS1P was 158.4 nm, indicating that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were produced with good transdermal absorption I could confirm.
  •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was tested at 45 ° C and -4 ° C, which is one of general stability test methods for cosmetic formulations. As a result, the formulation of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was stable It was visually confirmed to be maintained.
  • HPLC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ar nanoparticles prepared in Example 1 were well incorporated into PhS1P.
  • the instrument was an Agilent 1200 model HPLC (Agilent 1200, Germany) with an absorbance of 214 nm, column conditions of ZORBAX Eclipse XDB-C18, 5 ⁇ m size, 4.6 mm x 150 mm, mobile phase: 50 vol% %. The flow rate was 0.8 mL / min and the elution time at 30 ° C was 10 to 16 min. For the samples, 95% by volume and 5% by volume of methanol and purified water wer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The samples were also subjected to ultrasonic treatment for 1 hour under the same conditions.
  •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were used to stably form PhS1P (Fig. 3 (A): standard substance, (B): PhS1P micelle nanoparticle).
  • the micelle nanoparticles prepared in Example 1 and Example 2 were evaluated for percutaneous absorption.
  • 8 weeks of female guinea pig strain (strain IAF / HA-hrBR) was used. After cutting off the abdominal skin of guinea pig, it was mounted on a Franz-type diffusion cell (Lab fine instruments, korea).
  • a 50 mM phosphate buffer solution (pH 7.4, 0.1 M NaCl) was added to a receptacle (5 ml) of a Franz-type diffusion cell, and the diffusion cells were mixed and dispersed at 32 ° C and 600 rpm.
  • the PhS1P- 50 ⁇ l of the micellar nanoparticles were placed in a donor container.
  • the emulsion that has not been absorbed by the dried Kimwaffe or 10 ml of ethanol is washed away, and the skin having the active ingredient absorbed and diffused is worn by using a tip-type equalizer , And micellar nanoparticles absorbed into the skin were extracted with 4 ml of dichloromethane. After that, the extract was filtered with a 0.45 ⁇ m nylon membrane filtration membrane and the content was measured by HPLC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 the dissolution amount of the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2 prepared using the common lecithin was 0.3577, and the amount of percutaneous absorption of the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was 0.5101.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nsdermal absorption rate was increased by about 43% by preparing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Table 1).
  • Example 1 the stability of the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was checked for two month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bility was not affected with time.
  • the averag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120.3 nm, which is expected to pass through the intercellular space well and the percutaneous permeation absorption test showed good transdermal absorption.
  •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ar nanoparticles were found to have higher bioavailability even though they are active substances having a high molecular weight due to the combination of PhS1P component, which is a skin-like form, lecithin and sugar ester.
  • mice were extracted from ICR outbred albino mice (12 weeks old, about 50 g, female), which had been sacrificed by cervical dislocation. Subcutaneous fat was removed from the extracted skin (1.5 cm ⁇ 1.5 cm) without damaging the skin and the dermis was used without removal. The skin was fixed between the donor and the receptor phase with the stratum corneum part up, such as the prepared ICR mouse.
  • the area of the epidermis in contact with the receptor phase was 0.6362 cm 2 and the receptor phase was the mixture of 2.0% HCO-60 (in 20% ethanol), which showed the highest solubility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
  • 5 mL of receptor phase was administered to the prepared Franz diffusion cells and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37.0 ⁇ 0.5 ° C using a constant temperature bath. The stirring speed was constantly stirred at 150 rpm for 24 hours.
  • 0.5 mL of each sample was added to the surface of the hard surface of the donor, and 0.75 mL of the receptor phase was sampled every 8 hours (total 3 times) for 24 hours using a 1 mL syringe through a sampling port and stored in a 1.5 mL tube.
  • the same amount of receptor solution was added.
  •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HPLC to quantify quercetin and rutin.
  • the total permeation amount of PhS1P remaining on the stratum corneum by tape stripping was measured to be 1.81 ⁇ g in the control (PhS1P in solution) and 5.90 ⁇ g in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 PhS1P of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and PhS1P of Example 1 were present in the ski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permeated the skin into the skin in a larger amount than the control group (FIG. 5).
  • a serum formulation was prepared by adjusting the content of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to 1.5%.
  • serum formulations are products that consumers use variously and are expected to improve skin aging.
  • Components other than the PhS1P-bile acid conjugated micelle nanoparticles were composed of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serum formulations.
  • the human body application tes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work guidelines of the external human body test institute. Subjec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ubjects'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Test subjects were informed about the test in advance and verified by voluntary participation.
  • the collection efficiency and structure of the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were measured. First, the content of PhS1P was fixed to 0.1%, and the content of the micelle nanoparticles of Example 1 was adjusted to 0.5 to 2.0 wt% to dissolve in tetrahydrofuran (THF). This solution was reacted at 40 ° C for 3 hours, then dropped to 10 mL of distilled water dropwise, stirred for 24 hours, and the initial solvent was evaporated.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PhS1P was measured with a 0.45 ⁇ m filter.
  • THF tetrahydrofuran
  • micelles containing 0.1% of PhS1P were prepared and their particle distributions were measured by Photal ELS-Z.
  • the micelle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a spherical shape with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20 to 150 nm. This was explained in the structure of the micelle nanoparticles and in the method of preparing the micelle nanoparticles of Experimental Example 1. More specifically, the particle size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micelle nanoparticles were measured using Photal ELS-Z series (Otsuka Eletronics, Japan), which analyzes the particle size using light scattering. The measurement temperature was 25 °C and the scattering angle was 165 °C.
  • the light source was an Ar laser and the particle size was measured three times 60 times.
  • the mean particle size was measured by cumulative analysis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analyzed by the Contin method.
  • the measurement temperature of Zeta potential was 25 ° C
  • the scattering angle was 165 °
  • the light source was an Ar laser
  • the Zeta potential of the particles was measured three times three times. Zeta potential is interpreted by Smoluchowski method.
  • the Zeta potential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change of each particle.
  • the general lecithin nanoparticles containing no PhS1P showed -0.85 ⁇ 0.72m at 1.5% concentration and the micellar nanoparticles containing PhS1P showed -12.42 It was confirmed that the absolute value was increased to ⁇ 0.22 mV.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피 투과율 및 흡수율이 우수한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 마이셀 나노 입자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셀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속효성 마이셀 나노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속효성 마이셀 나노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피토스핑고신포스페이트(PhS-1-P, P1P)는 혈소판에서 분비하는 스핑고신-1-포스페이트(S1P)의 유사체로 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동일한 효능을 나타낸다. 몸에 상처가 나거나 극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 몸은 혈액의 혈소판을 통해 다양한 성장인자와 스트레스 해소물질을 분비하는데 이렇게 분비되는 세포재생유도 물질 가운데 스핑고신-1-포스페이트(S1P)라는 물질이 있다. 이 물질은 신생혈관생성 및 세포이동을 촉진시켜 상처를 치유하거나 스트레스에 노출된 세포의 사멸을 방지하고 활성화하는데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진피세포의 증식을 통한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자외선에 노출되어 사멸되는 세포를 보호한다. 또한 방사능 피폭으로 인한 유전자 손상을 억제하여 불임 및 기형아 출산을 예방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효능을 가진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는 안티에이징(노화방지)화장품 및 의약품 원료로 주목받고 있으나, 1g당 4억원이나 되는 가격 때문에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개발된 물질이 P1P(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이다. P1P는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유사구조로 동일한 효능의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핑고신-1-포스페이트는 세포 표면의 receptor에 작용해서 다양한 반응을 일으킨다. S1P의 수용체는 5 종류(S1P1, S1P2, S1P3, S1P4, S1P5)가 알려져 있다. S1P의 구조 유사체인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phytosphingosine-1-phosphate)(P1P)는 S1P와 같은 수용체에 결합해 세포 내에서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P1P는 S1P1과 S1P4에 대해 S1P보다 더 잘 결합하는 special agonist이다. 따라서 P1P도 세포이동, 세포증식 (세포사멸 억제), 신생혈관생성, 상처치유 등의 작용을 나타낸다. (한국등록특허 10-1514970호, 한국등록특허 10-1577874호 등)
그러나 이들은 고체 형태로 일반 화장품 원료에 비해 물이나 오일에 쉽게 용해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 피부에 그 효능을 전달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의 경피 흡수율이 높은 제제화를 연구하던 중 담즙산을 이용 시 경피 흡수율 및 피부개선능이 우수한 속효성마이셀 나노 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피 흡수율이 증진된 피토스핑고신-1-속효성마이셀 나노 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속효성 마이셀 나노 입자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담즙산 및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마이셀 나노 입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셀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셀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대상의 피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담즙산 및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마이셀 나노 입자는 경피 투과율이 우수하며, 피부 탄력 개선능, 피부 두께 증가능 및 피부치밀도 개선능을 갖는다.
도 1은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의 입자 분포를 보여준다.
도 2는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의 입자 사진이다.
도 3은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의 HPLC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A): 표준 물질, (B): PhS1P 마이셀 나노 입자.
도 4는 ICR 마우스 피부를 투과한 대조군 (PhS1P)과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의 in vitro 피부투과 속도 프로파일이다.
도 5는 ICR 마우스 피부를 투과한 대조군 (PhS1P)과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의 in vitro 피부 투과량을 보여주는 총 프로파일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을 이용한 화장품 제형의 피부 탄력 증진능을 보여준다.
도 7은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을 이용한 화장품 제형의 피부 두께 개선능을 보여준다.
도 8은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을 이용한 화장품 제형의 진피치밀도 개선능을 보여준다.
도 9는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을 이용한 화장품 제형을 사용 후 피부치밀도를 측정한 결과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담즙산 및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마이셀 나노 입자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마이셀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마이셀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대상의 피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담즙산
본 발명의 담즙산은 일반적인 담즙산이면 되고 특별히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담즙산은 콜산, 케노디옥시콜산, 글로코콜산, 타우로콜산, 디옥시콜산, 리토콜산 등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타우로콜산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담즙산은 돼지 담즙 등과 같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도 있고,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일 수도 있다.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
본 발명의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은 일반적인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마이셀 나노 입자
본 발명은 속효성 마이셀 나노 입자에 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담즙산 및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속효성 마이셀 나노 입자에 대한 것이다. 상기 담즙산 및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는 연결(conjugate)되어 존재한다. 상기 마이셀 나노 입자는 100 내지 200 nm의 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90 nm의 크기를 갖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80 nm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 크기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마이셀 나노 입자는 경피 투과 및 흡수가 용이하여, 피부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게 된다.
본 발명의 마이셀 나노 입자는 계면활성제로 리조레시틴을 포함한다. 상기 리조레시틴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마이셀 나노 입자는 높은 경피 투과 및 경피 흡수율을 갖게 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PhS1P가 0.1% 함유된 마이셀을 제조하여 그 입자 분포를 Photal ELS-Z로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마이셀 나노 입자는 평균 120 내지 150 nm 입도크기의 구형이었다. 세포간 지질 사이가 100 내지 200 nm인 것을 감안하면 본 발명의 마이셀 나노 입자는 경피 투과 및 흡수가 우수한 마이셀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능, 피부 두께 증가능 및 피부치밀도 개선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에도 제조될 수 있으며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피부 미용 방법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마이셀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대상의 피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피부 미용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두께 증가, 피부치밀도 개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재료 및 방법>
피부탄력 측정
피부탄력은 탄력을 측정하는 장비인 Cutometer MPA580 (Courage and Khazaka,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지속적인 음압으로 측정시간 동안 probe속으로 피부가 빨려 들어간 뒤 음압이 제거되면 피부가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원리를 이용하여 탄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방법은 기기에 연결된 2 mm 직경의 probe를 피부에 밀착시키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측정조건으로 mode 1을 사용하였다.
Mode 1 조건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450 mbar의 음압, suction Time 2 sec, relaxation Time 2 sec이며 연속적으로 3번 측정한 뒤 산술평균을 구하여 측정결과를 얻었다. 측정단위는 임의의 단위 A.U. (arbitrary unit)이다. 본 시험에서는 탄력효과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판단되는 변수 R2 (순수탄력, net elasticity)을 사용하였다. 피부탄력의 개선율은 하기 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식 1>
개선율 (%)= (시료 사용 후 측정값-시료 사용 전 측정값/시료 사용 전 측정값) X 100
피부두께, 진피치밀도 측정
피부두께, 진피치밀도는 20MHz의 고해상도의 초음파를 영상화하는 장치인 Dermascan-C (Cortex Technology, Denmark)에 초음파 검사용 젤을 바르고 probe를 피부와 직각이 되도록 한 후 약간 눌러 볼 부위에서 측정하였다. 분석 범위는 표피 바로 아래에서 피하지방층 윗부분으로 한정하였으며, 진피치밀도를 의미하는 파라미터인 intensity를 측정 및 분석하였고 피부두께도 병행하여 측정, 분석하였다. 피부두께와 진피치밀도가 높으면 측정값이 높아지고, 낮으면 측정값이 낮아진다. 피부두께 및 진피치밀도의 개선율은 하기 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식 1>
개선율 (%)= (시료 사용 후 측정값-시료 사용 전 측정값/시료 사용 전 측정값) X 100
피험자의 안전성 평가
연구자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피부 이상반응의 존재여부를 면밀히 관찰하고 이상반응이 나타날 시 심한 정도에 따라 등급을 표시하였다. 이상반응에 대한 평가는 홍반, 부종, 인설, 가려움, 자통, 작열감, 뻣뻣함, 따끔거림 등의 유무를 함께 판정하였으며, 두 피부과 전문의의 평가에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이상반응은 높은 단계를 선택하였다.
통계분석 방법
기기 측정값을 paired t-test를 통해 시료 도포 전 / 후 유의성 여부를 가설평균 차 5% (p<0.05)로 확인하였으며, 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는 Microsoft Excel version 2007 software를 이용하였다.
<실험예 1> 마이셀 나노 입자의 제조
효율적인 피부투과 흡수, 입자크기, 입자표면 전하, 제타전위의 크기, pH를 최적화하여 PhS1P를 피부에 적용되는 제형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pH가 6.0 내지 7.5인 10 mM의 HEPES ((4-(2-hydroxyethyl)-1-piperazineethanesulfonic acid)) 버퍼 용액에 용해하여 평균 입도, 입자표면 전하, 제타 전위의 절대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마이셀 나노 입자의 입도 평균은 120.3 nm, 입자표면의 전하는 -5 mV 내지 +5 mV, 제타 전위의 절대값은 3 mV 내지 18 mV였다.
실시예 1
타우로콜산(taurocholic acid) 5.78 g을 25 ml 메탄올 (메탄올 85 : 물 15의 부피비)에 혼합하여 430 mM의 타우로콜산 용액을 만들었다. 상기 타우로콜산 용액 2.25 mL에 레시틴 용액 1.8 mL (클로로폼에 100 mg/mL으로 용해된 레시틴 용액) 및 콜레스테롤 용액 1.05 mL (메탄올 방법으로 정제된 콜레스테롤로 클로로포름 용매에 500 mg/ml 용해된 콜레스테롤 용액)를 첨가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상기 1차 용액을 테플론 캡을 가진 유리 튜브에 넣고 55 ℃ water bath에서 5시간 동안 온열처리하였다. 그리고 끈적거리고 걸쭉해져 누르스름해질 때까지 상기 1차 용액을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증발시켰다. 증발된 잔여물을 2시간 동안 -70 ℃에서 냉동시키고 튜브를 열어 9시간 이상 감압 하에서 동결건조시키고, 다시 PBS에서 용해시켜 4시간 동안 56 ℃에서 온열처리하였다. 온열처리가 완료된 후 용액을 무혈청 배지에서 1:10으로 희석시키고(부피 기준) 0.45 u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레시틴만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셀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즉, 실시예 2에서는 마이셀 나노 입자 제조 시 리조레시틴을 사용하지 않았다.
<실험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의 입도 분포(ELS-Z, Photal, Japan)를 측정하고, 입자모양을 관찰하기 위해 SEM 사진(JEM1010, JEOL, Japan)을 찍었다. 그리고, 제조된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 내 PhS1P의 존재 유무를 HPLC(Agilent 1200, Germany)를 통해 확인하였다.
PhS1P가 0.1% 함유된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을 제조하여 그 입자 분포를 Photal, ELS-Z를 이용해서 측정한 결과 입자의 크기가 158.4 nm 임을 알 수 있었다(도 1). 세포간 지질 사이가 100-200 nm인데 PhS1P가 0.1% 함유된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의 입자사이즈가 158.4 nm였는바, 경피 흡수가 양호한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이 만들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제조된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의 입자 크기가 너무 미세하여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동결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찍은 사진을 분석하였다(도 2). 사진 상 볼록하게 올라와 있는 것이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로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이 잘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상기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의 안정도를 일반적인 화장품 제제 안정도 테스트방법 중 하나인 45 ℃ 및 -4℃에서 테스트한 결과 2개월간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의 제형이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마이셀 나노 입자 내 PhS1P 포함 여부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안에 PhS1P가 잘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HPLC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기는 Agilent 1200 모델 HPLC(Agilent 1200, Germany)를 사용하고 흡광도 214 nm, 컬럼 조건은 ZORBAX Eclipse XDB-C18, 5 μm size, 4.6 mm x 150 mm, 이동상은 Methanol과 정제수를 50 부피% : 50 부피% 사용하였다. 유속은 0.8 mL/min으로 하고, 30℃에서 elution time은 10 내지 16 min으로 하였다. 샘플은 표준물질은 methanol 과 정제수를 95 부피% : 5 부피%로 하였으며 시료 또한 동일 조건으로 하고 1시간동안 초음파 처리 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표준 물질과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에서 동일한 피크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된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 안에 PhS1P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상기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를 이용하여 PhS1P를 안정적으로 제제화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A): 표준 물질, (B): PhS1P 마이셀 나노 입자).
<실험예 4> 경피 흡수 평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마이셀 나노 입자들에 대하여 경피 흡수 여부를 평가하였다. 먼저 8주 정도의 암컷 무모 기니아피그(strain IAF / HA-hrBR)를 이용하였다. 기니아피그의 복부 피부를 절취한 후 Franz-type diffusion cell (Lab fine instruments, korea)에 장착하여 실험하였다. Franz-type diffusion cell의 리셉터 용기(5mℓ)에 50 mM인산염 완충액(pH 7.4, 0.1 M NaCl)을 넣어준 후, diffusion cell을 32℃, 600 rpm으로 혼합, 분산시켜 주었으며, 상기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 50 μl를 도우너 용기에 넣어 주었다. 미리 예정한 시간(12 시간, 24 시간)에 따라 흡수확산 시켜 주었으며, 흡수 확산이 일어나는 피부의 0.64 cm가 되게 하였다. 유효성분의 흡수확산이 끝난 후에는 건조된 킴와프스 또는 10 ml의 에탄올로 흡수되지 못하고 피부에 남아 있는 유화물을 씻어주고, 팁-타입 균등기를 사용하여 유효성분이 흡수 확산되어 있는 피부를 갈아준 후, 피부 내부로 흡수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을 4 ml의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액을 0.45 μm 나일론 멤브레인(nylon membrane)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다음 조건으로 HPLC를 활용하여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일반 레시틴을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2의 마이셀 나노 입자는 경피흡수량이 0.3577을 나타내었는데,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의 경피흡수량은 0.5101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를 제조함으로써 경피 흡수율이 약 43%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표 1).
[표 1]
Figure PCTKR2018011631-appb-I000001
한편, 상기 실시예 1의 마이셀 나노 입자에 대하여 2개월간 안정도를 체크한 결과, 시간에 따른 안정도도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입자 분포를 통하여 그 평균 크기가 120.3 nm로 세포간지질을 무난하게 잘 통과할 것으로 기대되며, 경피투과 흡수량 테스트 결과 경피흡수가 양호하게 잘 이루어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은 피부유사형태인 PhS1P 성분과 레시틴, 당에스테르가 어우러져 분자량이 큰 액티브물질임에도 불구하고 적은 양으로도 생체 이용률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경피 투과 확인
실시예 1의 마이셀 나노 입자의 경피투과 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셀 나노 입자를 시료로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마우스 피부 투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우스의 피부는 경추탈골로 치사시킨 ICR outbred albino mice(12주령, 약 50 g, 암컷)의 등에서 적출하여 사용하였다. 적출한 피부(1.5 cm × 1.5 cm)에서 피하지방을 피부가 상하지 않게 제거하였고, 진피는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준비한 ICR 마우스 등 피부를 각질층 부분이 위로 향하도록 donor와 receptor phase 사이에 피부를 고정시켰다.
Receptor phase와 접촉하는 경표피의 면적은 0.6362 cm2이고, receptor phase는 예비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용해도를 보인 2.0% HCO-60 (in 20% 에탄올)의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준비된 Franz diffusion cell에 5mL의 receptor phase를 투여하고, 항온수조를 이용하여 온도를 37.0 ± 0.5 ℃로 유지하였다. 교반속도는 150 rpm으로 24시간 동안 일정하게 교반시켰다. 각 시료 0.5 mL를 donor의 경표피 표면에 가한 후 8시간 간격(총3회)으로 24시간 동안 매회 0.75mL의 receptor phase를 sampling port를 통해 1 mL syringe로 채취하여 1.5 mL 튜브에 보관하였다. 채취 직후 동량의 receptor solution으로 보충하였다. 이 때 채취한 시료는 quercetin과 rutin을 정량하기 위해 HPLC로 분석하였다.
피부에 남아있는 PhS1P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 우선 diffusion cell에서 피부를 꺼낸 직후 3회에 걸쳐 투과되지 않은 샘플들을 PBS로 세척하였다. 세척 후 샘플과 닿았던 부위를 tape stripping을 3회 실시하고, tape stripping한 피부를 세절하여 tape와 피부를 각각 10 mL falcon tube에 넣은 후, 에탄올을 7 mL 넣고 90분 동안 소니케이터(초음파 발생기)로 테이프와 피부에 남아있는 PhS1P를 추출하였다. 에탄올을 증발 건조시킨 후, 다시 0.75 mL의 에탄올로 녹여 HPLC로 피부에 남아있는 PhS1P를 정량하였다.
0.1% PhS1P를 함유하는 실시예 1의 2.0%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의 피부 흡수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투과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용액 상태의 PhS1P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8시간마다 채취한 시료의 최종 누적 투과 속도와 양을 확인하였을 때, 24시간 후에 Franz diffusion cell(5 mL)로 투과된 PhS1P의 양은 대조군(용액 상태의 PhS1P)이 2.52 μg,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이 46.93 μg의 PhS1P가 피부를 투과한 것이 확인되었다(도 4).
또한 Tape stripping을 하여 각질층에 남아있는 PhS1P의 총 투과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용액 상태의 PhS1P)에서 1.81 μg,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에서 5.90 μg으로 나타났다. 반면, 피부에 남아있는 PhS1P의 경우, 대조군이 2.72 μg,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이 48.21 μg의 PhS1P이 피부에 존재하였다. 그러므로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이 대조군보다 많은 양의 활성물질을 피부로 침투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5).
<실험예 6>
실시예 1에서 제조된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 함량을 1.5%로 하여 세럼 제형을 제조하였다. 일반적으로 세럼 제형은 소비자들이 다양하게 사용하는 제품으로 피부 노화 현상을 개선시켜줄 것으로 기대되는 제품이다.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 외의 성분은 세럼 제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성분으로 구성하였다. 피부 노화 제품에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 항목으로 피부탄력, 피부두께, 진피치밀도 개선에 대한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체적용시험은 대외 인체적용시험 전문기관의 표준 작업지침서에 따라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은 피험자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선정하였으며 시험과 관련된 사항들은 사전에 구두로 충분히 공지하였고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피험자를 대상으로 인체적용시험 참여동의서를 받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세럼 제품의 임상을 위해 최종 21명의 여성 피험자를 선정하여 제품의 피부탄력, 피부두께, 진피치밀도 개선효과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였다. 피부 탄력은 전체 연령대의 고객들이 포괄적으로 고민하는 피부노화 현상 중 하나이므로 전 연령대에서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0대에서 50대(평균나이 46.2세)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인체적용 시험기간 중 총 4회(인체적용시험 시작 전 0주, 사용2주, 사용4주, 사용8주 후) 방문하였다. 인체적용 시험자는 방문 12시간 전부터 기초제품 사용 및 화장을 금지하였다. 인체적용 시험은 공기의 이동이 없고 직사광선이 없는 항온항습 (20~24℃, 40~60% RH) 조건에서 시행하였으며, 세안한 후 30분간 항온항습 조건에서 안정을 취하고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이 함유된 제품의 사용 시, 사용 2주 후 16.21%, 사용 4주 후 28.85%, 사용 8주 후 39.35%로 피부탄력이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6).
또한 Dermascan-C를 이용하여 피부두께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이 함유된 제품의 사용 시, 사용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시료 사용 2주 후 10.11%, 사용 4주 후 19.57%, 사용 8주 후 27.23%으로 피부두께가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7).
또한 실시예 1의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이 함유된 제품의 사용 전에 비하여 시료 2주 후 4.52%, 사용 4주 후 5.17%, 8주 후 7.1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진피치밀도 또한 개선되었다(도 8). 그리고 상기 제품의 사용 기간에 따라 피부 사진을 찍어 확인한 결과 역시, 사용 4주 및 8주 후 진피 치밀도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9).
상기 시험 동안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피부 이상반응 평가 및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평가 결과, 시료는 평가 기간 동안 특별한 피부 이상반응(수포 등의 인체적 징후와 가려움 등의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므로 실시예 1과 같은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마이셀 나노 입자들을 포함하는 화장품 제형이 다양한 피부노화 현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보여주어 화장품원료로 적용 가능한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실시예 1의 마이셀 나노 입자의 포집 효율 및 구조를 측정하였다. 먼저 PhS1P의 함량을 0.1%로 고정하고, 실시예 1의 마이셀 나노 입자의 함량을 0.5 내지 2.0 중량%의 범위로 하여 Tetrahydrofuran(THF)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40℃에서 3시간 반응시킨 후 증류수 10 mL에 한 방울씩 떨어뜨렸고, 24시간 교반시킨 다음 초기용매를 증발시켰다. PhS1P의 포집효율 측정을 위해 0.45 um 필터로 여과하였고 필터를 통과한 고분자인 마이셀 나노 입자와 통과하지 못한 PhS1P에 에탄올을 과량 넣어 초음파 처리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에탄올 10 mL (여과량과 동량)를 넣어 0.45 ym의 실린지 필터로 불순물을 제거한 후 나노입자의 구조와 크기를 측정하고 그 함량을 HPLC로 정량하였다. 또한, PhS1P 농도에 따른 검량선을 작성한 후 하기 식 2를 통하여 실시예 1의 마이셀 나노 입자 내의 PhS1P의 포집효율을 결정하였다.
<식 2>
포집효율 (%)= (포집 후 마이셀 나노 입자 내의 PhS1P량/포집에 사용한 PhS1P량) X 100
도 1 및 도 2와 같이 PhS1P가 0.1% 함유된 마이셀을 제조하여 그 입자 분포를 Photal ELS-Z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마이셀 나노입자는 평균 120 내지 150 nm 입도크기의 구형이었다. 이는 상기 마이셀 나노 입자의 구조와 <실험예 1>의 마이셀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에서 설명하였다. 더 구체적으로는 마이셀 나노 입자의 입자크기와 입도분포는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입자크기를 분석하는 Photal ELS-Z series(Otsuka Eletronics,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온도는 25℃, 산란각은 165도로 측정하였고, 광원은 Ar 레이저를 사용하였으며 입자의 크기는 60번씩 3회 측정하였다. 평균입자 크기는 누적분석법을 통하여 나타내었고, 입도 분포는 Contin법으로 해석하여 나타내었다. 이때 Zeta potential의 측정온도는 25℃, 산란각은 165도로 측정하였고, 광원은 Ar 레이저를 사용하였으며 입자의 Zeta potential은 3번씩 3회 측정하였다. Zeta potential은 Smoluchowski법으로 해석하여 나타내었다.
표 2와 같이 각 입자들의 농도 변화에 따라 Zeta potential을 측정한 결과, PhS1P를 함유하지 않은 일반 레시틴 나노 입자는 1.5% 농도에서 -0.85±0.72m로 나타났고 PhS1P를 함유한 마이셀 나노 입자는 -12.42±0.22mV로 절대치가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2]
Figure PCTKR2018011631-appb-I000002
또한, 마이셀 나노 입자의 입자모양을 관찰하기 위해 SEM 사진(JEM1010, JEOL, Japan)을 찍었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마이셀 나노 입자의 입도 평균은 120.3 nm의 구형의 나노 입자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마이셀 나노 입자 내의 PhS1P의 존재 유무를 HPLC(Agilent 1200, Germany)를 통해 확인하기 위해서 흡광도 214 nm, 컬럼 조건은 ZORBAX Eclipse XDB-C18, 5 μm size, 4.6 mm x 150 mm를 사용하고, 이동상은 Methanol과 정제수를 50 부피% : 50 부피% 사용하였다. 유속은 0.8 mL/min으로 하고, 30℃에서 elution time은 10 내지 16 min으로 하였다. 샘플은 표준물질은 methanol 과 정제수를 95 부피% : 5 부피%로 하였으며 시료 또한 동일 조건으로 하고 1시간동안 초음파 처리 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마이셀 나노 입자의 내부에 PhS1P가 잘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HPLC 분석을 실시 한결과, 도 3과 같이 표준물질과 마이셀 나노 입자에서 동일한 피크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제조된 마이셀 나노 입자에 PhS1P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3, (좌)표준 물질, (우) PhS1P-담즙산 콘쥬게이트된 나노입자).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담즙산 및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마이셀 나노 입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즙산 및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는 연결(conjugate)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셀 나노 입자.
  3. 제 1항의 마이셀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18/011631 2017-10-31 2018-10-01 속효성 마이셀 나노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08845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53,624 US10751274B1 (en) 2017-10-31 2018-10-01 Fast-acting micelle nanoparticl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761A KR101998310B1 (ko) 2017-10-31 2017-10-31 속효성 마이셀 나노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43761 2017-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458A1 true WO2019088458A1 (ko) 2019-05-09

Family

ID=6633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1631 WO2019088458A1 (ko) 2017-10-31 2018-10-01 속효성 마이셀 나노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51274B1 (ko)
KR (1) KR101998310B1 (ko)
WO (1) WO201908845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5349A (ja) * 1999-01-27 2002-10-22 ザ、ボード、オブ、トラスティーズ、オブ、ザ、ユニバシティー、オブ、イリノイ 改良されたミセル組成物を生成するための材料および方法
KR20150076533A (ko) * 2013-12-27 2015-07-07 삼화플러스(주) 나노리포좀기술로 안정화시킨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아토피와 피부염을 개선하는 조성물
KR20150103503A (ko) * 2014-03-03 2015-09-11 김윤규 피부세포 증식효능이 있는 스핑고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9642A (ko) * 2016-04-19 2017-10-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엔자임 q10 가용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970B1 (ko) * 2013-08-28 2015-04-24 주식회사 피토스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아토피 또는 피부상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77874B1 (ko) 2013-12-27 2015-12-15 주식회사 두산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87822B1 (ko) * 2015-03-31 2017-10-2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용성약물을 서방하는 젤라틴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물전달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5349A (ja) * 1999-01-27 2002-10-22 ザ、ボード、オブ、トラスティーズ、オブ、ザ、ユニバシティー、オブ、イリノイ 改良されたミセル組成物を生成するための材料および方法
KR20150076533A (ko) * 2013-12-27 2015-07-07 삼화플러스(주) 나노리포좀기술로 안정화시킨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아토피와 피부염을 개선하는 조성물
KR20150103503A (ko) * 2014-03-03 2015-09-11 김윤규 피부세포 증식효능이 있는 스핑고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9642A (ko) * 2016-04-19 2017-10-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엔자임 q10 가용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JEONG PYO ET AL.,: "Preparation of Phytosphingosine-l-phosphate Nano-liposome and Its in Vivo Anti-aging Improvement Effects of Finished Products",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vol. 10, no. 4, 2012, pages 941 - 948, XP05561297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310B1 (ko) 2019-07-09
US20200246243A1 (en) 2020-08-06
US10751274B1 (en) 2020-08-25
KR20190048640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68465B2 (ja) サポニンとりん脂質との複合体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薬学的及び化粧用の組成物
CN108904302A (zh) 一种富勒烯外用组合物
EP2699230A1 (en) Method of preparation of chitin and active principles complexes and the so obtained complexes
WO2014129779A1 (ko) 약산성 피부 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CN106361703A (zh) 非那雄胺纳米脂质体、凝胶及其制备方法
WO2013066073A1 (ko) 미세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미용 티슈,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WO2019172572A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1414405B1 (fr) Emulsion inverse contenant de la dhea
CN105125592A (zh) 一种含蟾酥脂溶物的药物及其制备方法
WO2019132070A1 (ko) 난용성 올레아노릭산을 가용화한 나노입자 유용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품 및 항노화 화장품 제조방법
WO2019088458A1 (ko) 속효성 마이셀 나노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5137647A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WO2020190072A1 (ko) (r)-진세노사이드 rg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처 치유 또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WO2010004099A2 (fr) Composition regeneratrice de la peau
CN111202769A (zh) 一种玫瑰痤疮用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WO2021107427A1 (ko) 피부 장벽 강화용 또는 피부 생리 활성 물질 흡수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WO2006043477A1 (ja) 神経成長因子産生抑制剤、並びにその神経成長因子産生抑制剤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化粧料、医薬部外品、痒み予防及び治療剤、及びアトピー性皮膚炎治療剤
Radha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lignocaine hydrochloride proniosomes loaded orabase for dental anaesthesia
JP3957169B2 (ja) 皮膚外用剤
EP2952174A1 (fr) Compositions de soins de la peau
JP3886117B2 (ja) 皮膚外用剤
WO2017171404A1 (ko) 펜타사이클릭 트리터펜 카페익 액씨드 에스터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2166926A1 (zh) <磷酰胆碱聚合物的透明油溶液和化妆品原料原液及其制法和应用>
Ren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acrolimus Loaded Nano-Transferosomes for Skin Targeting and Dermatitis Treatment
KR102597760B1 (ko) 세라마이드의 안정화 방법 및 안정화된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41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41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