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66142A1 -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66142A1
WO2019066142A1 PCT/KR2017/013915 KR2017013915W WO2019066142A1 WO 2019066142 A1 WO2019066142 A1 WO 2019066142A1 KR 2017013915 W KR2017013915 W KR 2017013915W WO 2019066142 A1 WO2019066142 A1 WO 201906614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inorganic
organic
nanoparticles
near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39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수지
이준배
박천호
김연준
유권종
박명삼
조은철
김성욱
김민규
한누리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EP17914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89323A4/en
Priority to CN201780008921.4A priority patent/CN109843248A/zh
Priority to US16/073,968 priority patent/US10806684B2/en
Publication of WO201906614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661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83Matrix particles
    • A61K8/0287Matrix particles the particulate containing a solid-in-solid disper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8Zirco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olefines, e.g. polystyr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1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4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macromolecular materi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rganic-inorganic hybrid particles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 Skin aging is divided into two processes: endogenous aging, which is a natural aging process, and extrinsic aging, which is caus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Extrinsic aging can be called photoaging because it is mainly caused by light. This means that, unlike the endogenous aging that occurs as a result of aging, the phenomena such as deep wrinkles, rough skin, and skin elasticity that are caused by long exposure to sunlight for a long time It says.
  • IR-A near-IR
  • IR-A infrared-visible
  • Some aspects include polymer matrices; And inorganic nanoparticles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and having a hollow sphe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comprising the same.
  • compositions include polymer matrices; And an inorganic nanoparticle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the organic nanoparticles being formed into a hollow sphe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issolving the solution in the warm-dissolved solution, adding the water-soluble part to the warm-dissolved solution, and stirring the cosmetic composition.
  • Some aspects include polymer matrices; And inorganic nanoparticles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and having a hollow sphe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comprising the same.
  • the present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article for the near infrared ray shielding which is an effective componen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ollow and has a hollow structure and a spherical shape when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the ratio of the radius from the center to the outermost side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and the thickness may be 2: 1 to 4: 1.
  • the outer and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inorganic / organic composite particle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have a high roughness. Due to the high roughness of the surface, the diffraction and reflection properties of light are improved and, as a result, the light scattering properties of the infrared region are increas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near-infrared ray shielding performance is obtained. Theref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MS surface roughness (root mean square) (RM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particle may be 10-50 n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MS surface roughness (root mean square) (RM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article may be 5-30 nm.
  •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particle varie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nanoparticles, and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nanoparticles is preferably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If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nanoparticles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or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the roughness value of the surface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decreases, and the ability to block the near-infrared rays is deteriorated due to the decrease of the light scattering properties of the particles.
  •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nanoparticles exceeds the upper limit valu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inorganic nanoparticles form aggregates in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and the ability of the composite particles to block near-infrared rays is deteriorated. Theref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nano-particles may be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 inorganic nanoparticles ramen nanoparticles to achieve the group multiparticulates presence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are not necessarily limited, but, for example, TiO 2, ZnO, ZnO 2, CuO, CuO 2, Al 2 O 3, Al (OH) 3, CeO 2, Ce 2 O 3, Fe 2 O 3, may be selected from ZrO 2, and mixtures thereof.
  • inorganic nanoparticles can be further improved in near-infrared blocking ability in the case of non-spherical nanoparticles having a size of 100-500 nm.
  • the polymer matrix may be a polymer matrix capable of dispersing inorganic nanoparticl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ymer matrix may be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nd the inorganic nanoparticles may be TiO 2 .
  • PMMA polymethylmethacrylate
  • the inorganic nanoparticles may be TiO 2 .
  • the blocking ability of light at 400-1250 nm in the infrared region And excellent blocking ability is observed even in the near infrared region (900-1250 nm).
  • plasmon nanoparticles or plasmon nanofilms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inorganic nanoparticles.
  • absorption of light and scattering wavelength which are unusual in the phenomenon of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of the plasmon nanoparticles, can be controlled.
  • the near infrared ray shielding ability of the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Theref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lasmon nanoparticles or plasmon nanofilms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inorganic nanoparticles.
  • the plasmon nanoparticles and the plasmon nanofilm may be selected from gold, silver, platinum, palladium, copper, and aluminum.
  • the size of the plasmon nanoparticles can be controlled by the amount of the metal salt and the reducing agent add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shape of the plasmon nano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spherical, rod-shaped, wire-shaped, pyramidal- A cube shape, and a prism shape.
  • the present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article for near infrared ray blocking comprises (a) dispersing inorganic nanoparticles in a mixed solution of a monomer compound and a crosslinking agent; (b) adding an initiator to the inorganic nanoparticle dispersion solution; And (c) emulsifying the dispersed solution to which the initiator has been added by adding it to an aqueous stabilizer solution at 60-90 ° C.
  • a linear polymer material may be further added to the mixed solution of step (a).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linear polymeric material may be 15-25 wt% based on the weight of the monomer compound.
  • the linear polymeric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acrylate, polyethylacrylate, polypropyl acrylate, polyisopropyl acrylate, polyethyl methacrylate, polybutyl acrylate, Acrylate, polyacrylic acid, polymethacrylic acid, and mixtures thereof,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aleic acid, maleic acid, maleic anhydride, ≪ / RTI >
  • the monomer compoun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methyl methacrylat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ate, isopropyl 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mixtures thereof.
  • the term " acid group " includes, for example, acrylate, methacrylate, methacrylate,
  • the crosslinking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1,2-ethanediol diacrylate, 1,3-propanediol diacrylate, 1,3-butanediol diacrylate, 1,4-butanediol diacrylate, 1,5-pentanediol diacrylate, 1,6-hexanediol diacrylate, ethylene glycol diacrylate, propylene glycol diacrylate, butylene glycol diacrylate, triethylene Propylene glycol diacrylate, glycol di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olypropylene glycol diacrylate, polybutylene glycol diacrylate, alkyl acrylate, 1,2-ethanediol dimethacrylate, 1,3-propanediol methacrylate , 1,3-butanediol dimethacrylate, 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butylene
  • the initiato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2-azobisisobutyronitrile (AIBN), 2,2-azobis (2-methylisobutyronitrile), 2,2-azobis (2,4-dimethylvaleronitrile), benzoyl peroxide, lauryl 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methyl ethyl ketone peroxide, t-butyl hydroperoxide, o-chlorobenzoyl peroxide, o-methoxybenzoyl Peroxides, t-butyl peroxy-2-ethyl hexanoate, t-butyl peroxyisobutyrate, and mixtures thereof.
  • AIBN 2,2-azobisisobutyronitrile
  • 2,2-azobis (2,4-dimethylvaleronitrile 2,2-azobisisobutyronitrile
  • benzoyl peroxide lauryl peroxide
  • the stabilizer aqueous solution may be an aqueous solution of polyvinyl alcohol (PVA), an aqueous solution of dioctyl sodium sulfosuccinate, an aqueous solution of sodium dodecyl sulfate , An aqueous solution of cetyl trimethylammonium bromide, and mixtures thereof.
  • PVA polyvinyl alcohol
  • dioctyl sodium sulfosuccinate an aqueous solution of sodium dodecyl sulfate
  • An aqueous solution of cetyl trimethylammonium bromide and mixtures thereof.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the near-infrared 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s conventionally produced in the art.
  • Product forms include make-up cosmetics such as lipstick, lip gloss, lip cream, eye shadow; Hair cosmetics such as hair sticks and pomades; Moisturizing gel, moisturizing cream, emulsion, serum, lotion, cream, liquid foundation, or solid foundation formula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near-infrared rays may be manufactured in a water-in-oil type in order to optimize the near-infrared ray blocking function of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dditional compon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s such as purified water, a moisturizer, an emulsifier, an additive, a dispersant, a pigment, a flavoring agent, a filler, a preservative, an antiseptic, a neutralizing agent, And may further comprise any conventional cosmetic ingredients, which may be selected from water-soluble, free-radical scavengers, sequestering agents, and mixtures thereof.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near-infrared r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nscreen agent to maximize the effect of preventing skin ag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near-infrared rays comprising distilled water, a cosmetic base, and inorganic or organic composite particles for blocking near-infrared rays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s include polymer matrices; And an inorganic nanoparticle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the organic nanoparticles being formed into a hollow sphe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issolving the warm-dissolved solution in an aqueous solution; and adding the water-soluble part to the warm-dissolved solution, followed by stirring.
  • oily part means a part dissolved in an oil-based solvent and an oily solvent, and it is possible to use all the oily parts which are publicly disclosed in the public domain and can be easily substitu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op portion means a portion dissolved in a water-soluble solvent and a water-soluble solvent, and may be purified water in one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tep of mixing the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into the oil phase may be carried out by any method known in the art.
  • a mixer can be used and a simple stirring method is also possible.
  • the step of dissolving the mixture by heating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50 to 100 ° C and a temperature of 50 to 100 ° C, 50 to 90 ° C, 50 to 85 ° C, 50 to 80 ° C, 50 to 70 ° C, It may be dissolved by heating at a temperature of about 90 ° C, 60 to 85 ° C, 60 to 80 ° C, 70 to 100 ° C, 70 to 90 ° C, 70 to 85 ° C, 70 to 80 ° C or 70 to 75 ° C or so.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elting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stirring can be carried out through a process that can be easily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using a stirrer or a mixer.
  • a polymer matrix which significantly blocks light in the near infrared region through such a manufacturing method and a near-infrared ray-blocking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nanoparticles containing inorganic nanoparticles dispersed in the polymer matrix and having a hollow sphe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kin, it blocks the light in the near infrared ray region and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ultraviolet ray blocking material and can be used as a multi function produc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kin from aging.
  • 1 is a graph of spectral reflectance measurement of ultraviolet and near-infrared inorganic particles.
  • FIG. 2 is a graph comparing spectral reflectance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not containing the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in the near infrared region.
  • Example One Near infrared
  • the inorganic or organic particles for blocking were suspended in 2.5 weight% Included Near infrared For blocking Cosmetics Preparation of composition
  • Example 1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prepared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 hollow spherical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in which titanium dioxide is dispersed in polymeric polymethylmethacrylate (PMMA) were prepared as inorganic hybrid particles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 MMA methyl methacrylate
  • EDG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 PMMA polymethylmethacrylate
  • the solution to which the AIBN was added was added to an aqueous PVA solution (15 g, 2 wt%) heated in an oil bath at 80 ° C and stirred. Homogenization was carried out at 15000 rpm for 30 seconds, and then the centrifugation (4000 rpm, 15 min) purification procedure was repeated three times to obtain inorganic hybrid particles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 Example 2 Near infrared The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for blocking were dissolved in 5.0 weight% Included Near infrared Prepa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 Example 2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2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above. Specifically, 5.0% by weight of an inorganic fine particle composite material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produced by the same method as that of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1 was mixed and dispersed, followed by dissolution at 70 to 80 ° C. Then, the aqueous phase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stirred.
  • Example One Near infrared The inorganic or organic particles for blocking were suspended in 2.5 weight% Included Near infrared Prepa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 Example 1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prepared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 hollow spherical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in which titanium dioxide is dispersed in polymeric polymethylmethacrylate (PMMA) were prepared as inorganic hybrid particles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 MMA methyl methacrylate
  • EDG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 Example 2 Near infrared The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for blocking were dissolved in 5.0 weight% Included Near infrared Prepa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 Example 2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2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above. Specifically, 5.0% by weight of an inorganic fine particle composite material for near infrared ray shielding produced by the same method as that of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1 was mixed and dispersed, followed by dissolution at 70 to 80 ° C. Then, the aqueous phase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stirred.
  • Examples 1 and 2 were prepared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 of near-infrared ray blocking agent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conventional ultraviolet shielding inorganic material and near infrared ray-blocking inorganic / organic composite particles.
  • Comparative Example 1 Preparation of comparativ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o inorganic material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prepared as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above. Specifically, the oil phase was mixed and dispersed and then heated to 70 to 80 ° C. Then, the aqueous phase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stirred.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 1 above. Concretely, 5.0% by weight of an oil-based and inorganic titanium dioxide was mixed and dispersed, followed by dissolving at 70 to 80 ° C by heating. Then, the aqueous phase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stirred.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3 was prepared as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above. Specifically, 5.0% by weight of an oil-based and inorganic zinc oxide was mixed and dispersed, and then dissolved by heating at 70 to 80 ° C. Then, the aqueous phase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stirred.
  • Comparative Example 1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it was tried to investigate the near-infrared ray blocking effect of a conventional UV-blocking organic material. In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titanium dioxide and zinc oxide, which are ultraviolet shielding inorganic materials capable of affecting the spectral reflectance in the near- Respectively. Both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xample were found to form an opaque white emulsion composition.
  • the spectral reflectance was measured using a NIR spectrophotometer (ASD Inc., USA) in order to evaluate the near-infrared blocking ability of the particles themselves.
  • the wavelength range of the near infrared region is 760 to 1400 nm, and the higher the spectral reflectance in this region, the higher the near infrared blocking ability.
  •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the spectral reflectance of existing ultraviolet shielding inorganic particles and near-infrared shielding organic / inorganic particles are shown in Fig.
  • the near-infrared shielding ability is obtained through reflectance measurement.
  • the organic material absorbs light
  • the near infrared ray shielding ability is evaluated only for ultraviolet shielding inorganic particles and near infrared shielding organic particles.
  • the spectral reflectance of the titanium dioxide is higher.
  • the spectral reflectance of the NIR composite particle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ultraviolet shielding inorganic particles.
  • the following evaluation methods developed by the company were used for evaluation of the near infrared ray blocking effect of the emulsion prepared in the above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 the near infrared ray blocking effect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spectral reflectance at the wavelength in the near infrared region.
  • the equipment used for the measurement was the same as that used in Experimental Example 1.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near-infrared ray blocking effect through the near-infrared spectrophotometer. It can be judged that the near infrared ray shielding effect is more excellent as the wavelength of the near infrared ray region is more reflected. Thus, the comparison of the spectral reflectance after application is compared with that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sample.
  • the control shows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spectral reflectance of the skin on which the product is not applied, and the rest i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five cosmetic composition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 Comparative Example 1 as described in Experimental Example 1, since only the organic blocker is contained, the spectral reflectance difference is very small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cosmetic material by absorbing infrared rays.
  •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3 show that the spectral reflectanc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itanium dioxide and zinc oxide as ultraviolet shielding inorganic materials, respectively, is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The composition of the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containing the same amount of inorganic material was evaluated in 20 adult men and women without skin disease as follows.
  •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were used for the face ball region.
  • the feeling of use such as opacity, stiffness and overall satisfaction which may appear when inorganic materials were used was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When more than 15 people are satisfied, ⁇ when more than 10 people are satisfied, and when ⁇ is more than 5 people.
  •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near-infrared-ray-absorptive composite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better whiteness and stiffness than the conventional ultraviolet shielding inorganic particles, I cou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유의미하게 차단해주며, 자외선 차단 소재와 함께 사용하여 복합 기능의 제품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파장대에 대한 차단이 가능하게 되어 피부 노화 방지에 도움을 준다.

Description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는 자연 노화 과정인 내인성 노화와 여러 가지 환경적인 요소들에 의해 발생하는 외인성 노화의 두 가지 과정으로 구분된다. 외인성 노화는 그 주 원인이 빛이므로 광노화라고 할 수도 있으며, 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나타나는 내인성 노화와 달리 오랜 시간 동안 햇빛에 지속적으로 노출시 발생하는 깊은 주름, 거친 피부, 피부 탄력 저하 등과 같은 현상을 말한다.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광은 크게 자외선(UVB, UVA), 가시광선 및 적외선(IR-A, IR-B, IR-C)이 있으며 적외선 중 지상에 도달하는 적외선의 대부분은 근적외선(IR-A)이다. 이미 잘 알려져 있듯이 자외선은 표피 및 진피까지 침투하여 홍반 및 피부암 등 다양한 피부 노화를 일으킨다. 그러나 근적외선은 진피심층까지 도달하는 UVA보다 훨씬 더 깊은 피하지방층까지 침투하여 콜라겐 조직 파괴, 활성산소 생성은 물론 혈관 확장 등을 일으켜 탄력 저하 등의 근본적인 피부노화를 가져온다. 이전까지는 광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자외선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유기, 무기 차단제에 대하여 수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자외선 차단 유기, 무기 소재를 이용하여 개발된 제품은 SPF, PA와 같은 자외선 차단력을 나타내는 수치로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자외선뿐만 아니라 적외선 역시 피부 노화의 주요 인자 중 하나로 인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적외선과 피부에 대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맞추어 적외선 차단 제품 개발에 대한 관심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근적외선에 의한 피부노화 현상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지만, 이를 차단하기 위한 소재 및 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일 양상은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공의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공의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와 유상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50 ~ 100℃로 가온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가온 용해된 용액에 수상부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공의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는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경우, 내부가 비어있어 중공 구조이며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를 가지는바, 내부의 빈 공간과 유무기 복합입자 껍질 부분의 굴절률(refractive index)의 차이로 인하여 광산란 효과가 향상되는바,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무기 복합입자의 중심에서부터 최외측까지의 반경과, 상기 두께의 비율은 2:1 내지 4:1일 수 있다.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의 외주면과 내주면의 표면은 높은 거칠기(roughness)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표면의 높은 거칠기로 인해 빛의 회절 및 반사 특성이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적외선 영역의 광산란 특성을 증가시키게 됨으로써,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무기 복합입자 외주면의 RMS 표면 거칠기(root mean square, RMS)는 10-50 n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무기 복합입자 내주면의 RMS 표면 거칠기(root mean square, RMS)는 5-30 nm일 수 있다.
유무기 복합입자 표면의 거칠기는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에 따라 값이 변화하게 되는바,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은 상기 유무기 복합입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거나,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유무기 복합입자 표면의 거칠기 값이 감소하는바, 입자의 광산란 특성 감소로 인하여 근적외선 차단 능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무기 복합입자 내에서 무기 나노입자가 응집체를 형성하여 복합입자의 근적외선 차단 능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은 상기 유무기 복합입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일 수 있다.
용어 "무기 나노입자"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되어 유무기 복합입자를 이룰 수 있는 나노입자라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TiO2, ZnO, ZnO2, CuO, CuO2, Al2O3, Al(OH)3, CeO2, Ce2O3, Fe2O3, Zr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무기 나노입자는 100-500nm 크기의 비구형 나노입자인 경우에 근적외선 차단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무기 나노입자를 분산시킬 수 있는 고분자 매트릭스라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펜틸아크릴레이트, 폴리펜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폴리(2-에틸헥실아트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이고,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TiO2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20 wt%의 PMMA를 함유하는 MMA 단량체 용액에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 TiO2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입자의 근적외선 차단능력을 관측할 경우, 적외선 영역인 400-1250nm에서 빛의 차단 능력이 우수하며, 특히 근적외선 영역인 900-1250nm 영역에서도 우수한 차단능력이 관찰된다.
또한,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표면에는 플라즈몬 나노입자 또는 플라즈몬 나노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표면에 부착된 상기 플라즈몬 나노입자 또는 플라즈몬 나노필름의 크기 및 간격에 따라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표면 플라즈몬 공명(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현상에 기이한 빛의 흡수 및 산란 파장이 조절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 복합입자의 근적외선 차단 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표면에는 플라즈몬 나노입자 또는 플라즈몬 나노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라즈몬 나노입자와 상기 플라즈몬 나노필름은 금, 은, 백금, 팔라듐, 구리 및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크기는 제조과정 중 첨가되는 금속염과 환원제의 양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플라즈몬 나노입자의 모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구형, 막대형, 와이어형, 피라미드형, 큐브형 및 프리즘형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는 (a) 단량체 화합물과 가교제의 혼합용액에 무기 나노입자를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무기나노 입자 분산 용액에 개시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개시제가 첨가된 분산 용액을 60-90 ℃의 안정제 수용액에 첨가하여 유화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의 혼합용액에 선형고분자 물질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되는 선형고분자 물질의 함량은 상기 단량체 화합물 중량에 대하여 15-25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고분자 물질은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펜틸아크릴레이트, 폴리펜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폴리(2-에틸헥실아트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량체 화합물은 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트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2-에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디아크릴레이트,1,3-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알킬아크릴레이트, 1,2-에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3-프로판디올메타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디알릴말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시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메틸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릴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o-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o-메톡시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정제 수용액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수용액, 디옥틸소듐설포썩시네이트(dioctyl sodium sulfosuccinate) 수용액, 소디움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수용액, 세틸트리메틸암모니움 브로마이드(cetyl trimethylammonium bromide) 수용액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제품 형태는 립스틱, 립 글로스, 립 크림, 아이섀도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헤어 스틱, 포마드 등의 모발 화장료; 수분 젤, 수분 크림, 에멀젼, 세럼, 로션, 크림, 액상 파운데이션, 또는 고체 파운데이션 제형등의 기초 화장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수중유형, 유중수형, 및 비수계 분산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용어, "수중유형 (oil-in-water: O/W)"은 "수중유형 에멀젼 (oil-in-water emulsion)"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물에 오일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용어, "유중수형 (water-in-oil: W/O)"은 "유중수형 에멀젼 (water-in-oil emulsion)"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오일에 물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용어, "비수계 분산형 (non-aqueous dispersion)"은 물이 아닌 용매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무기복합입자의 근적외선 차단 기능성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유중수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정제수, 보습제, 유화제, 점증제, 분산제,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항산화제,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30 중량%, 구체적으로 약 0.01 내지 약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증류수, 화장용 기제 및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공의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와 유상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50 ~ 100℃로 가온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가온 용해된 용액에 수상부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유상부" 라는 용어는 유성 용매 및 유성 용매에 용해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공중에 개시된 유성 용매이면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유상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상부"라는 용어는 수용성 용매 및 수용성 용매에 용해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일 구체예에서 정제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유상부에 혼합하는 단계는 당업계에 알려진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 구체예에서는 혼합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단순 교반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혼합물을 가온 용해시키는 단계는 섭씨 50도 내지 100도에서 용해하는 것이며, 50~100℃, 50~90℃, 50~85℃, 50~80℃, 50~70℃, 60~100℃, 60~90℃, 60~85℃, 60~80℃, 70~100℃, 70~90℃, 70~85℃, 70~80℃, 또는 70~75℃ 정도의 온도로 가온하여 용해시킬 수 있다.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용해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교반하는 단계에서는 교반기 내지 믹서의 사용 등 당업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정을 통하여 교반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하여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유의미하게 차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공의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유의미하게 차단해주며, 자외선 차단 소재와 함께 사용하여 복합 기능의 제품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파장대에 대한 차단이 가능하게 되어 피부 노화 방지에 도움을 준다.
도 1은 자외선 및 근적외선 무기 입자의 분광반사율 측정 그래프이다.
도 2는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과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근적외선 영역에서 분광반사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실시예 1.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2.5 중량%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과 같이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로서 고분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내에 티타늄디옥사이드가 분산된 중공의 구형상 유무기 복합입자를 제조하였다.
먼저, 0.60 g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0.106 g의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EDGMA)를 섞은 후, 0.015 g의 티타늄디옥사이드 나노입자 상용화 제품인 CR-50(Ishihara Sangyo Kaisha 사) 2 wt%을 분산시켰다. 다음으로, 선형 고분자물질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0.15 g(MMA에 대해 20wt%, MW: 120,000)을 첨가한 후, 약 1시간 30분 동안 초음파 처리(sonication) 하였다. 그 후, 0.14 g의 MMA에 0.011 g의 AIBN을 분산시킨 후, 상기 초음파 처리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AIBN이 첨가된 용액을 80 ℃의 오일 베스(Oil bath)에서 가열된 PVA 수용액(15 g, 2 wt%)에 투입 및 교반하였다. 30초 동안 15000 rpm에서 균질화를 수행한 후, 원심분리(4000 rpm, 15 min) 정제과정을 3회 반복하여,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수득하였다.
표 1에 기재된 유상부에 위와 같이 수득한 무기소재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 2.5 중량%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 70 내지 80℃로 가온 용해시켰다. 이후 여기에 수상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유상 라우릴피이지-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1.00 1.00 1.00 1.00 1.00
피이지-10디메치콘 3.00 3.00 3.00 3.00 3.0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유기자차) 5.00 5.00 5.00 5.00 5.00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3.00 3.00 3.00 3.00 3.00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2.00 2.00 2.00 2.00 2.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0 5.00 5.00 5.00 5.00
사이클로헥사실록산 5.00 5.00 5.00 5.00 5.00
디메치콘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0.50 0.50 0.50 0.50 0.50
무기소재 티타늄디옥사이드(무기자차) - 5.00 - - -
징크옥사이드(무기자차) - - 5.00 - -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 - - - 2.50 5.00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폴리올 5.00 5.00 5.00 5.00 5.0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2.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5.0 중량%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성과 같이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상 및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무기소재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 5.0 중량%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 70 내지 80℃로 가온 용해시켰다. 이후 여기에 수상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2.5 중량%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과 같이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로서 고분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내에 티타늄디옥사이드가 분산된 중공의 구형상 유무기 복합입자를 제조하였다.
먼저, 0.60 g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0.106 g의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EDGMA)를 섞은 후, 0.015 g의 티타늄디옥사이드 나노입자 상용화 제품인 CR-50(Ishihara Sangyo Kaisha 사) 2 wt%을 분산시켰다. 다음으로, 선형 고분자물질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0.15 g(MMA에 대해 20wt%, MW: 120,000)을 첨가한 후, 약 1시간 30분 동안 sonication 하였다. 다음으로, 0.14 g의 MMA에 0.011 g의 AIBN을 분산시킨 후, 상기 초음파 처리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AIBN이 첨가된 용액을 80 ℃의 Oil bath에서 가열된 PVA 수용액(15 g, 2 wt%)에 투입 및 교반하였다. 30초 동안 15000 rpm에서 균질화를 수행한 후, 원심분리(4000 rpm, 15 min) 정제과정을 3회 반복하여,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수득하였다.
표 1에 기재된 유상부에 위와 같이 수득한 무기소재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 2.5 중량%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 70 내지 80℃로 가온 용해시켰다. 이후 여기에 수상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5.0 중량%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성과 같이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상 및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무기소재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 5.0 중량%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 70 내지 80℃로 가온 용해시켰다. 이후 여기에 수상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2는 기존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와 근적외선 차단 유무기 복합입자의 함량에 따른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무기소재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성과 같이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상부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 70 내지 80℃로 가온시켰다. 이후 여기에 수상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비교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성과 같이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상 및 무기소재 티타늄디옥사이드 5.0 중량%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 70 내지 80℃로 가온 용해시켰다. 이후 여기에 수상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징크옥사이드를 포함하는 비교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성과 같이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상 및 무기소재 징크옥사이드 5.0 중량%를 혼합하여 분산시킨 후 70 내지 80℃로 가온 용해시켰다. 이후 여기에 수상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기존 자외선 차단 유기소재의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경우 근적외선 영역에서 분광반사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존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를 각각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비교예 및 실시예 모두 불투명한 흰색 에멀젼상의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근적외선 분광광도계를 사용한 근적외선 차단능 평가
근적외선 차단 유무기 복합입자를 제형에 적용하기에 앞서 입자 자체의 근적외선 차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근적외선 분광광도계(NIR Spectrophotometer, ASD Inc., USA)를 사용하여 분광반사율을 측정하였다.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대는 760 ~ 1400 nm이며, 이 영역에서 분광반사율이 높을수록 근적외선 차단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자외선 차단 무기입자 및 근적외선 차단 유무기 입자의 분광반사율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근적외선 차단능 평가는 반사율 측정을 통하여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유기 소재의 경우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 무기입자 및 근적외선 차단 유무기 입자에 대해서만 근적외선 차단능을 평가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로 사용중인 티타늄디옥사이드와 징크옥사이드를 비교하였을 때, 티타늄디옥사이드의 분광반사율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근적외선 차단 유무기 복합입자와 비교하였을 때는 근적외선 차단 유무기 복합입자의 분광반사율이 기존 자외선 차단 무기 입자보다 훨씬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in vivo 근적외선 차단 효과 평가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한 에멀젼의 근적외선 차단 효과 평가를 위해 자사에서 개발한 아래의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근적외선 차단 효과는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에서 분광반사율 측정을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측정을 위해 사용한 장비는 실험예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다.
[근적외선 차단 효과 평가방법]
1) 사람 팔 안쪽 피부에 3.5 X 4 cm 크기로 준비
2) 샘플 도포 전의 분광반사율 측정(control)
3) 샘플 2 μL/cm2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골고루 도포
4) 15분간 방치
5) 샘플이 도포 된 곳의 분광반사율 측정(sample)
6) 샘플 도포 전후의 분광반사율을 아래 수학식(IPF: Infrared Protection Factor)에 대입하여 적외선 차단 효과 측정
[수학식 1]
Figure PCTKR2017013915-appb-I000001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예 1 ~ 3과 실시예 1, 2의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근적외선 분광광도계를 통해 근적외선 차단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많이 반사할수록 근적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샘플을 도포 하기 전보다 도포 후의 분광반사율이 얼마나 높아졌는지를 비교하였다.
도 2에서 control은 제품을 도포하지 않은 피부의 분광반사율 측정 결과이며, 나머지는 표 1의 조성대로 제조한 5가지 화장료 조성물의 측정 결과이다. 비교예 1의 경우 실험예 1에서 설명하였듯이 유기 차단제만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적외선을 흡수하여 화장료 도포 전후의 분광반사율 차이가 아주 미미하다. 비교예 2와 비교예 3은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 티타늄디옥사이드와 징크옥사이드를 각각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로 비교예 1과 비교하였을 때보다 분광반사율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로 제조한 조성물(비교예 2, 비교예 3)과 근적외선 차단 유무기 복합입자로 제조한 조성물(실시예 1, 실시예 2)을 비교 시 근적외선 차단 유무기 복합입자로 제조한 조성물이 근적외선 영역에서 화장료 도포 전보다 분광반사율이 훨씬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외선 차단 무기소재보다 근적외선 차단 유무기 복합입자가 근적외선을 더 많이 반사시켜 피부로부터 근적외선을 차단시키는 효과가 높음을 나타낸다.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 사용감 평가 시험
동일 함량의 무기소재를 함유한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 3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2와 비교예 2, 3을 얼굴 볼 부위에 사용하게 하였으며, 무기소재 사용시 나타날 수 있는 백탁, 발림성(뻑뻑함) 정도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15명 이상이 만족할 경우 ●, 10명 이상이 만족할 경우 ○, 5명 이상이 만족할 경우 △로 표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백탁정도
발림성
전반적인 만족도
일반적으로 무기소재 함유 조성물의 경우 통상적으로 뻑뻑한 사용감이나 피부에 도포시 백탁 정도가 심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유무기 복합입자가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기존 자외선 차단 무기입자를 사용했을 때보다 백탁도나 뻑뻑한 발림성이 개선되어 전반적인 사용감에 대한 만족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공의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입자의 중심에서부터 최외측까지의 반경과 상기 두께의 비율은 2:1 내지 4:1인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함량은 상기 유무기 복합입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인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입자 외주면의 RMS 표면 거칠기(root mean square, RMS)는 10-50 nm인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입자 내주면의 RMS 표면 거칠기(root mean square, RMS)는 5-30 nm인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TiO2, ZnO, ZnO2, CuO, CuO2, Al2O3, Al(OH)3, CeO2, Ce2O3, Fe2O3, Zr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펜틸아크릴레이트, 폴리펜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폴리(2-에틸헥실아트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입자의 표면에는 플라즈몬 나노입자 또는 플라즈몬 나노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몬 나노입자와 상기 플라즈몬 나노필름은 금, 은, 백금, 팔라듐,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고,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TiO2인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인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3. 고분자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무기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공의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와 유상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50 ~ 100℃로 가온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가온 용해된 용액에 수상부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CT/KR2017/013915 2017-09-29 2017-11-30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066142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914120.5A EP3689323A4 (en) 2017-09-29 2017-11-30 COSMETIC COMPOSITION WITH ORGANIC-INORGANIC COMPOUND PARTICLES FOR BLOCKING NEAR-INFRARED RAYS
CN201780008921.4A CN109843248A (zh) 2017-09-29 2017-11-30 包含近红外线阻隔用有机-无机复合粒子的化妆品组合物
US16/073,968 US10806684B2 (en) 2017-09-29 2017-11-30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inorganic composite particles for blocking near infrared ray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315A KR101861985B1 (ko) 2017-09-29 2017-09-29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28315 2017-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142A1 true WO2019066142A1 (ko) 2019-04-04

Family

ID=6245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3915 WO2019066142A1 (ko) 2017-09-29 2017-11-30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06684B2 (ko)
EP (1) EP3689323A4 (ko)
KR (1) KR101861985B1 (ko)
CN (1) CN109843248A (ko)
WO (1) WO20190661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051B1 (ko) * 2018-10-29 2021-02-09 코스맥스 주식회사 블루라이트 차단용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2336B1 (ko) 2020-06-01 2022-02-14 주식회사 초이스엔텍 자외선, 근적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징크옥사이드 유분산액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40039688A (ko) 2022-09-20 2024-03-27 한국과학기술원 자외선 차단용 복합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515A (ko) * 2001-08-29 2003-03-10 주식회사 태평양 자외선 산란용 무기/고분자 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137704A (ja) * 2004-11-12 2006-06-01 Pola Chem Ind Inc 赤外線反射用の粉体とその用途
JP2007238353A (ja) * 2006-03-06 2007-09-20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タングステン含有酸化物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赤外線遮蔽体
KR20140030395A (ko) * 2012-08-28 2014-03-12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의 하이브리드화를 통한 자외선 차단제,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화장품
KR101648676B1 (ko) * 2015-03-13 2016-08-16 (주)아모레퍼시픽 다공성 고분자에 무기분체가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6543B1 (fr) 1995-07-13 1997-08-29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anhydres contenant des nanopigments de ti02 et des microspheres creuses deformables
CN103210030B (zh) * 2010-11-23 2015-07-01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复合颗粒和具有复合颗粒的组合物
WO2017087185A1 (en) * 2015-11-20 2017-05-26 Elc Management Llc Indium nitride coated particles and compositions
KR101776140B1 (ko) 2016-10-19 2017-09-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근적외선 차단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515A (ko) * 2001-08-29 2003-03-10 주식회사 태평양 자외선 산란용 무기/고분자 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137704A (ja) * 2004-11-12 2006-06-01 Pola Chem Ind Inc 赤外線反射用の粉体とその用途
JP2007238353A (ja) * 2006-03-06 2007-09-20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タングステン含有酸化物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赤外線遮蔽体
KR20140030395A (ko) * 2012-08-28 2014-03-12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의 하이브리드화를 통한 자외선 차단제,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화장품
KR101648676B1 (ko) * 2015-03-13 2016-08-16 (주)아모레퍼시픽 다공성 고분자에 무기분체가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43248A (zh) 2019-06-04
US10806684B2 (en) 2020-10-20
US20200146952A1 (en) 2020-05-14
KR101861985B1 (ko) 2018-05-29
EP3689323A4 (en) 2021-07-07
EP3689323A1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10798A2 (ko) 적외선 및 자외선 동시차단용 복합분체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WO2020091217A1 (ko) 블루라이트 차단용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066142A1 (ko) 근적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A1339920C (en) Photochromic color rendering regulatory ingredient and cosmetics
WO2020071643A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2543B1 (ko) 블루 라이트 차단용 이산화티탄 유분산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619194B (zh) 包含复合固体粉末和高分子成膜剂的防晒化妆品组合物
KR20200019542A (ko)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E60310846T2 (de) Schminkmittel, vereinend zwei Zusammensetzungen, die eine enthaltend einen photochromen Farbstoff, die andere ein goniochromatisches Agens
JPS62149613A (ja) 赤外線遮断物質入り化粧料
BR112014027027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método cosmético para clarear e uso de uma combinação
WO2014041867A1 (ja) ベースメイク化粧料
JP2014214128A (ja) 皮膚化粧料
WO2023286976A1 (ko) 그래핀 산화물을 포함하는 모발 착색 리브온 화장료
JP2004124045A (ja) 複合ポリマー粒子及びその製法
RU2662068C2 (ru) Пигмент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WO2012120916A1 (ja) ベースメイク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7120629B2 (ja) Uv保護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101015384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43125A (ko) 구상 마이크로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04067624A (ja) 化粧料
WO2020106039A1 (ko)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으로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0951A (ko) 적외선 및 자외선 동시차단용 복합분체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JP3881887B2 (ja) 化粧料
KR102437232B1 (ko) 산화 규소 피복 자외선 차폐 입자, 산화 규소 피복 자외선 차폐 입자 함유 수계 조성물,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141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9141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