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35519A1 -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 - Google Patents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35519A1
WO2019035519A1 PCT/KR2018/000375 KR2018000375W WO2019035519A1 WO 2019035519 A1 WO2019035519 A1 WO 2019035519A1 KR 2018000375 W KR2018000375 W KR 2018000375W WO 2019035519 A1 WO2019035519 A1 WO 20190355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in
roller
sprocket
wea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03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광순
Original Assignee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US16/639,92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240888A1/en
Priority to CN201880002859.2A priority patent/CN109673155B/zh
Priority to JP2020531402A priority patent/JP6874227B2/ja
Publication of WO20190355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355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0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rota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2Measuring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materials

Definitions

  •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edicting a wear amount of a chain pin using a frica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nsed noise is input to the sound source separation unit 120 (S103), and the sound source separation unit 120 separates different nois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ise (S105).
  • a sound source is separated using an acoustic signal separation technique using a magnetic encoder capable of efficiently separating sound source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n two gyros.
  • the thus separated sound source includes a friction sound between the roller 211 and the teeth 221.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체인이 스프라켓의 홈에 맞물려 회전할 때 롤러와 스프라켓의 홈과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음을 이용하여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의 마모량 예측방법은, 롤러체인이 스프라켓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중에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음센싱부에서 상기 롤러체인의 주변소음을 센싱하는 단계; 음원분리부에서 상기 센싱된 체인의 주변소음으로부터 상기 롤러체인의 롤러와 상기 스프라켓의 치형 간의 마찰음을 분리하는 단계; 및 음원분석부에서 상기 분리된 롤러와 치형 간 마찰음을 이용하여 상기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
본 발명은 롤러체인의 핀 마모량 예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체인이 스프라켓(sprocket)의 홈에 맞물려 회전할 때 체인의 롤러와 스프라켓의 홈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음을 이용한 체인핀 마모량을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물건을 이송시키는 장치로 다수개의 롤러를 소정 간격으로 구비하여 물건을 지지하는 롤러식이 있고 캐터필러를 구비하여 물건을 지지하고 롤러체인으로 구동시키는 롤러체인식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컨베이어용 롤러체인은 제1 링크유닛과 제2 링크유닛이 연속적으로 링크결합된다.
제1 링크유닛은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롤러(103), 이러한 롤러(103)를 관통하여 축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다수개의 부쉬(102), 1쌍의 부쉬(102)의 양단 외주면에 고정결합되는 링크 플레이트(101)로 구성되고 각각의 롤러(103)가 부쉬(102)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1쌍의 롤러(103) 사이로 스프라켓이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스프라켓의 구동력이 롤러(103)에 전달된다.
제2 링크유닛은 부쉬(102)를 관통하여 축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핀(104), 하나의 링크 플레이트(101)의 핀(104)과 다른 링크 플레이트(101)의 핀(104)의 양단에 결합되는 핀링크(105)로 구성된다. 핀링크(105)가 핀(104)에 의해 제1 링크유닛의 부쉬(102)에 축결합됨으로써 링크 플레이트(101)에 선회가능하게 링크결합된다.
도 2에서와 같이, 롤러(103)가 스프라켓(S)에 의해 지지되면 롤러(103)가 스프라켓(S)의 구동력을 부쉬(102)와 핀(104)에 전달하고 롤러(103)가 부쉬(10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롤러(103)와 부쉬(102) 및 핀(104)이 연속하여 내접한 상태에서 스프라켓(S)이 회전하게 되면 핀(104)에 토크가 크게 전달되어 핀(104)이 링크 플레이트(10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축회전할 수 있으며, 장시간 운전으로 인해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핀(104)이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롤러체인의 핀(104)이 마모되면 핀(104)의 외면과 부쉬(102)의 내면 간에 간격(도 2에 A로 표시)이 벌어지게 되고, 이로써 이웃한 롤러(103) 간의 거리가 변하게 된다. 이 경우 도 3과 같이 좌측(a)의 정상상태에서는 롤러(103) 간의 거리가 일정하지만 우측(b)에서는 핀(104)의 마모로 인해 롤러(103) 간의 간격이 길어져서 롤러(103)가 스프라켓(S)의 홈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하고 스프라켓(S)의 치형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가해져 스프라켓(S)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롤러체인이 동작하는 중에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종래에는 일정한 시간동안 사용한 롤러체인을 자로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체인핀의 마모량을 검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체인핀의 마모량을 측정하기 위해 롤러체인을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롤러체인이 스프라켓에 의한 구동력에 따라 동작하는 도중에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할 수 있는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롤러체인이 스프라켓의 홈에 맞물려 회전할 때 체인핀의 마모로 인해 롤러체인의 롤러와 스프라켓의 치형과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음을 이용하여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의 마모량 예측방법은, 롤러체인이 스프라켓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중에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음센싱부에서 상기 롤러체인의 주변소음을 센싱하는 단계; 음원분리부에서 상기 센싱된 체인의 주변소음으로부터 상기 롤러체인의 롤러와 상기 스프라켓의 치형 간의 마찰음을 분리하는 단계; 및 음원분석부에서 상기 분리된 롤러와 치형 간 마찰음을 이용하여 상기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예측방법은 출력부에서 상기 예측된 체인핀 마모량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측방법에서 상기 음원분석부는 상기 음원분리부로부터 상기 롤러와 스프라켓 간의 마찰음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롤러와 스프라켓 간 마찰음과 체인핀 마모량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롤러와 스프라켓 간의 마찰음에 대응하는 체인핀 마모량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예측방법에서 상기 음원분석부는 상기 음원분리부로부터 시간에 따른 상기 롤러와 스프라켓 간의 마찰음의 파형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시간에 따른 마찰음의 파형에서 이웃한 파형 간의 시간차를 비교하여 상기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한다.
상기 예측방법에서 상기 음원분석부는 상기 이웃한 파형 간의 시간차가 클수록 체인핀의 마모량이 큰 것으로 예측한다.
상기 예측방법에서 상기 음원분석부는 상기 이웃한 파형 간의 시간차를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롤러와 스프라켓 간 마찰음의 파형 간의 시간차와 체인핀 마모량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추출된 시간차에 대응하는 체인핀 마모량 정보를 추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체인이 스프라켓의 홈에 맞물려 회전할 때 스프라켓의 치형과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음을 이용하므로 롤러체인이 스프라켓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도중에도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롤러체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롤러체인와 스프라켓이 결합되는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에 따른 스프라켓과의 결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찰음을 이용한 체인핀의 마모량 예측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체인의 체인소음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마찰음을 분리하는 실험결과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와 치형 간의 마찰음을 시간에 대한 파형으로 변환한 파형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찰음을 이용한 체인핀의 마모량 예측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찰음을 이용한 체인핀의 마모량 예측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100)는 소음센싱부(110), 음원분리부(120), 데이터베이스부(DB부)(130), 음원분석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소음센싱부(110)는 체인(210)이 스프라켓(220)에 지지되어 스프라켓(220)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동안 체인(210)과 스프라켓(22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센싱한다. 이처럼 센싱되는 소음은 주파수 신호 또는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된다. 스프라켓(220)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력이 부가될 수 있다.
소음센싱부(110)는 스프라켓(220)의 일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체인(210)과 스프라켓(22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공간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체인(210)과 스프라켓(220)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센싱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상관 없다.
소음센싱부(110)에서 센싱되는 소음에는 다양한 종류의 소음들이 혼재한다. 예컨대, 체인(210)의 롤러(211)와 스프라켓(220)의 치형(221) 간의 마찰에 의한 마찰음, 체인(210) 내부의 핀과 부쉬 간의 마찰음, 롤러(211)와 부쉬 간의 마찰음, 모터(미도시)의 소음 등을 포함하여 주변의 각종 소음들이 혼재된다. 여기서, 롤러와 치형 간의 마찰음은 이들 간의 충돌음도 포함한다.
음원분리부(120)는 소음센싱부(110)에 의해 센싱된 소음을 수신하여 각종 소음들 중에서 체인(210)과 스프라켓(220) 간의 마찰음을 분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체인(210)의 롤러(211)와 스프라켓(220)의 치형(221) 간의 마찰에 의한 마찰음을 분리한다. 이러한 마찰음도 역시 주파수 신호 또는 디지털 데이터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소음으로부터 롤러(211)와 치형(221) 간의 마찰음을 분리하는 기술은 공지의 음원분리기법을 이용한다. 예컨대, 복합음과 각 음원요소의 주파수 분석결과를 기초한 음원분리기법,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음원의 공간적 위치를 특정한 음원분리기법, 복층 자기부호화기를 이용한 음향신호 군집화 및 분리기법(한국음향학회지 제35권 제4호, pp.303-309 (2016) 참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례로 복층 자기부호화기를 이용한 음향신호 분리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복층 자기부호화기를 이용한 음향신호 분리기법은 단일 마이크로폰 입력에 대하여 심화신경망(DNN : Deep Neural Network)의 일종인 복층 자기부호화기(stacked autoencoder)를 적용하고, 이를 이용해 음원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두 개 이상 혼합된 입력신호를 복층 자기부호화기로 학습하여 음원들의 특징이 구분되도록 자동으로 군집화하고 적절하게 분류된 요소신호들을 구분하도록 한다. 이러한 음향신호 분리기법에서는 자기부호화기를 이용하여 두 가지 이상의 다른 특징을 가진 음원들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베이스부(DB:database)(130)는 기설정된 다양한 종류의 마찰음을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미리 저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DB부(130)는 체인(210)과 스프라켓(220)의 상태에 따라 각 종류의 마찰음과의 상관관계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롤러(211)와 치형(221) 간의 마찰음을 저장하되, 체인핀의 마모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롤러(211)와 치형(221) 간 마찰음의 상관관계 정보를 미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DB부(130)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면 체인핀의 마모량에 따라 마찰음을 확인할 수도 있고, 반대로 마찰음을 확인하면 그 마찰음에 대응하는 핀의 마모량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음원분석부(140)는 음원분리부(120)에서 분리된 롤러(211)와 치형(221) 간의 마찰음을 수신하여 DB부(130)에 미리 저장된 마찰음과 체인핀 마모량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센싱 및 분리된 마찰음에 대응하는 체인핀 마모량을 추출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상기와 같이 추출된 체인핀 마모량 값을 출력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체인핀 마모량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인의 소음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마찰음을 분리하는 실험결과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험예에서 소음센싱부(110)에서 센싱한 체인 소음을 음원분리부(120)로 입력하여 다수의 서로 다른 소음으로 분리하도록 한 것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체인 소음은 롤러와 치형 간의 마찰음(a), 핀과 부쉬 간의 마찰음(b), 부쉬와 롤러 간의 마찰음(c), 모터 소음(d)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자기부호화기를 이용한 음향신호 분리기법을 이용하여 이들 각 소음(a~d)을 분리하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와 치형 간의 마찰음을 시간에 대한 파형으로 변환한 파형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체인 소음에서 롤러(211)와 치형(221) 간 마찰음을 분리한 후, 이러한 마찰음을 시간에 대한 파형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 각 시간에 따른 다수의 파형은 롤러(211)와 치형(221)이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충돌이나 마찰에 의한 것이고, 각 파형 간의 시간차는 연속적으로 결합된 롤러(211)의 거리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특정 롤러(211) 내의 핀에 마모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특정 롤러(211)와 이웃한 롤러 간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파형 간의 시간차는 커지게 되는 것이다.
도 6의 실험 예에서와 같이 T1,T2,T3,T5,T6는 파형 간에 동일한 시간차를 유지하지만 T4,T7는 상대적으로 파형 간 시간차가 커짐을 알 수 있다. DB부(130)에는 롤러와 치형 간의 정상적인 파형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핀의 마모량에 따른 파형 및 이에 대한 각 파형 간의 시간차 정보도 미리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음원분석부(140)는 DB(103)에 미리 저장된 롤러와 치형 간의 파형과 음원분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롤러와 치형 간의 마찰음에 대한 파형을 비교 분석하여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롤러와 치형 간의 마찰음의 파형, 즉 구체적으로 시간에 따른 파형 간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음원분석부(140)는 음원분리부(120)로부터 시간에 따른 롤러와 스프라켓 간의 마찰음의 파형을 수신하고, 수신된 시간에 따른 마찰음의 파형에서 서로 이웃한 파형 간의 시간차를 비교함으로써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하도록 한다. 이때, 서로 이웃한 파형 간의 시간차가 클수록 체인핀의 마모량이 큰 것으로 예측한다. 왜냐하면, 체인핀의 마모량이 클수록 부쉬와의 간격이 커지므로 그 간격만큼 롤러간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예에서 음원분석부(140)는 음원분리부(120)로부터 시간에 따른 롤러와 스프라켓 간의 마찰음 파형을 수신하면 서로 이웃한 파형 간의 시간차를 추출하고 DB부(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롤러와 스프라켓 간 마찰음의 파형 간의 시간차와 체인핀 마모량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추출된 시간차에 대응하는 체인핀 마모량 정보를 추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DB부(130)는 롤러와 스프라켓 간의 마찰음에 대한 파형을 미리 저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파형에서 서로 이웃한 파형 간의 시간차와 그 시간차에 대응하는 체인핀 마모량 간의 상관관계 정보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웃한 파형 간의 시간차가 추출되면 DB부(130)를 이용하여 체인핀의 마모량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찰음을 이용한 체인핀의 마모량 예측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찰음을 이용한 체인핀의 마모량 예측방법에서는 스프라켓(120)에 부착되거나 체인 부근에 설치된 소음센싱부(110)에서 체인 주변의 소음을 센싱한다(S101). 이러한 주변의 소음으로는 체인(210), 스프라켓(220), 모터(미도시) 등 체인(210)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이 있다.특히, 이러한 체인 소음에는 체인(210)의 롤러(211)와 스프라켓(120)의 치형(221) 간의 충돌 및 마찰에 따른 마찰음(충돌음 포함)이 포함된다.
이처럼 센싱된 소음은 음원분리부(120)로 입력되고(S103), 음원분리부(120)에서는 소음의 특징별로 서로 다른 소음을 분리하도록 한다(S10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두 가이 지상의 다른 특징을 가진 음원들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자기부호화기를 이용한 음향신호 분리기법을 이용하여 음원을 분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음원에는 롤러(211)와 치형(221) 간의 마찰음이 포함된다.
이후에, 음원분석부(140)는 롤러(211)와 치형(221) 간의 마찰음 파형을 이용하여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하도록 한다(S107). 구체적으로, 음원분석부(140)는 음원분리부(120)로부터 롤러와 치형 간의 마찰음이 수신되면 DB부(130)에 미리 저장된 롤러 및 치형 간의 마찰음과 체인핀 마모량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마찰음에 대응하는 체인핀 마모량을 확인하여 체인핀 마모량을 추출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출력부(150)는 상기와 같이 예측된 핀 마모량을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도록 한다(S109). 이에 사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체인의 주변에 발생하는 소음을 센싱하여 그 소음으로부터 롤러체인의 롤러와 스프라켓의 치형 간에 발생하는 마찰음을 음원분리기법을 통해 분리하고, 그 마찰음에 대응하는 핀 마모량을 DB 검색을 통해 확인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롤러체인이 스프라켓에 지지되어 스프라켓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롤러체인의 핀 마모량을 온라인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롤러체인이 스프라켓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중에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음센싱부에서 상기 롤러체인의 주변소음을 센싱하는 단계;
    음원분리부에서 상기 센싱된 체인의 주변소음으로부터 상기 롤러체인의 롤러와 상기 스프라켓의 치형 간의 마찰음을 분리하는 단계; 및
    음원분석부에서 상기 분리된 롤러와 치형 간 마찰음을 이용하여 상기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출력부에서 상기 예측된 체인핀 마모량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분석부는 상기 음원분리부로부터 상기 롤러와 스프라켓 간의 마찰음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롤러와 스프라켓 간 마찰음과 체인핀 마모량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롤러와 스프라켓 간의 마찰음에 대응하는 체인핀 마모량 정보를 추출하는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분석부는 상기 음원분리부로부터 시간에 따른 상기 롤러와 스프라켓 간의 마찰음의 파형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시간에 따른 마찰음의 파형에서 이웃한 파형 간의 시간차를 비교하여 상기 체인핀의 마모량을 예측하는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분석부는 상기 이웃한 파형 간의 시간차가 클수록 체인핀의 마모량이 큰 것으로 예측하는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분석부는 상기 이웃한 파형 간의 시간차를 추출하고 데이터베이스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롤러와 스프라켓 간 마찰음의 파형 간의 시간차와 체인핀 마모량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추출된 시간차에 대응하는 체인핀 마모량 정보를 추출하는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
PCT/KR2018/000375 2017-08-17 2018-01-08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 WO201903551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39,921 US20200240888A1 (en) 2017-08-17 2018-01-08 Method for predicting wear amount of chain pin of roller chain by using friction noise
CN201880002859.2A CN109673155B (zh) 2017-08-17 2018-01-08 利用摩擦音预测滚子链的链销磨损量的方法
JP2020531402A JP6874227B2 (ja) 2017-08-17 2018-01-08 摩擦音を利用したローラチェーンのチェーンピン摩耗量予測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898 2017-08-17
KR1020170103898A KR101815507B1 (ko) 2017-08-17 2017-08-17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5519A1 true WO2019035519A1 (ko) 2019-02-21

Family

ID=6100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0375 WO2019035519A1 (ko) 2017-08-17 2018-01-08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40888A1 (ko)
JP (1) JP6874227B2 (ko)
KR (1) KR101815507B1 (ko)
CN (1) CN109673155B (ko)
WO (1) WO20190355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2737B2 (ja) 2020-09-23 2024-04-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チェーン検査装置、チェーン検査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824B1 (ko) * 2019-05-03 2020-04-20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길이 추정 방법
KR102416964B1 (ko) * 2020-09-15 2022-07-05 주식회사 포스코 3FINEX 유동로 분광장입 대형 Bucket Elevator Chain 손상 및 수명예측 시스템
DE102020133719A1 (de) * 2020-12-16 2022-06-23 Homag Gmbh Fördereinrichtu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4490Y2 (ko) * 1984-03-17 1989-12-22
JPH11124222A (ja) * 1997-10-23 1999-05-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携帯型コンベア異常検出装置
KR200334638Y1 (ko) * 2003-08-20 2003-11-28 장봉관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결속장치
JP4401501B2 (ja) * 1999-11-29 2010-01-20 東北電力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異常診断装置
KR101464415B1 (ko) * 2012-12-28 2014-11-2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금속편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2562B2 (ja) * 1992-03-31 2000-06-12 スズキ株式会社 4輪駆動車
JP2004331260A (ja) * 2003-05-01 2004-11-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スカレーターのチェーン伸び検知方法
KR100617419B1 (ko) * 2003-12-19 2006-08-3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저소음 체인이상감지장치
JP2006009947A (ja) * 2004-06-25 2006-01-12 Tsubakimoto Chain Co ローラチェーン
AU2007286864A1 (en) * 2006-08-24 2008-02-28 Frost Links, Inc. Chain wear monitoring device
US8043054B2 (en) * 2010-08-25 2011-10-2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wind turbine
CN102778358A (zh) * 2012-06-04 2012-11-14 上海东锐风电技术有限公司 故障预测模型建立方法及系统、风机监测预警系统及方法
CN102840979A (zh) * 2012-09-04 2012-12-26 国电联合动力技术有限公司 一种风电机组传动链故障检测方法及装置
JP6058755B1 (ja) * 2015-07-09 2017-01-1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用チェーン伸び検出装置および乗客コンベア
KR20170051856A (ko) * 2015-11-02 2017-05-12 주식회사 아이티매직 사운드 신호에서 진단 신호를 추출하는 방법 및 진단 장치
CN105916096B (zh) * 2016-05-31 2018-01-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声音波形的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vr头戴设备
CN107014483A (zh) * 2017-03-31 2017-08-04 柳州易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声音监测的机械设备自检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4490Y2 (ko) * 1984-03-17 1989-12-22
JPH11124222A (ja) * 1997-10-23 1999-05-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携帯型コンベア異常検出装置
JP4401501B2 (ja) * 1999-11-29 2010-01-20 東北電力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異常診断装置
KR200334638Y1 (ko) * 2003-08-20 2003-11-28 장봉관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결속장치
KR101464415B1 (ko) * 2012-12-28 2014-11-2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금속편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2737B2 (ja) 2020-09-23 2024-04-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チェーン検査装置、チェーン検査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74227B2 (ja) 2021-05-19
KR101815507B1 (ko) 2018-01-05
US20200240888A1 (en) 2020-07-30
JP2020531771A (ja) 2020-11-05
CN109673155A (zh) 2019-04-23
CN109673155B (zh)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35519A1 (ko)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체인핀 마모량 예측방법
CN102036899B (zh) 基于视频的电梯门检测系统和方法
EP1067800A4 (en)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 VOCAL SIGNALS
WO2017115892A1 (ko) 공공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WO2006085960A3 (en) Monitoring devices
FR2847360B1 (fr) Procede et dispositif d'analyse de la securite d'un systeme d'information
WO2003100576A3 (en) Distributed motion prediction network
AU20032920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use-effect time lapse analysis
ES2175284T3 (es) Comprobador de puertas de ascensor.
WO2002093321A3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forecasts and analysis of contact center behavior for planning purposes
AU4063500A (en) A method for gravity and magnetic data inversion using vector and tensor data with seismic imaging and geopressure prediction for oil, gas and mineral exploration and production
GB2433997A (en) Vibration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a machine
KR102211855B1 (ko) 지하철 객실 혼잡도 제공을 위한 지하철 객실 IoT 단말, 지하철 혼잡도 제공 시스템
WO2002079754A3 (en) Contact potential difference sensor to monitor oil properties
CN109523574A (zh) 一种行走轨迹预测方法和电子设备
CN104200613B (zh) 无动静报警方法及装置
KR102238307B1 (ko) 실시간 소리 분석 방법 및 시스템
WO2020226331A1 (ko) 마찰음을 이용한 롤러체인의 길이 추정 방법
EP1742182A3 (en) Method for monitoring items passing through an entry/exit opening in a delimited space and apparatus to carry out such method
Rane et al. Real object detection using TensorFlow
WO2004015608A3 (en) An expert system for clinical outcome prediction
AU2003212669A1 (en) A system for analyzing dna-chips using gene ontology and a method thereof
WO2016186327A1 (ko) 공간행동 의미분석 시스템
JP4943184B2 (ja) 移動量算出装置
WO2022191361A1 (ko) 무압축 합성곱 신경망 기반 소리 이상 탐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461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3140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461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