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27243A1 - 브러쉬오프 치아 부착용 패치 - Google Patents

브러쉬오프 치아 부착용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27243A1
WO2019027243A1 PCT/KR2018/008717 KR2018008717W WO2019027243A1 WO 2019027243 A1 WO2019027243 A1 WO 2019027243A1 KR 2018008717 W KR2018008717 W KR 2018008717W WO 2019027243 A1 WO2019027243 A1 WO 20190272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tch
teeth
tooth
pair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87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지영
안재현
방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US16/635,81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030633A1/en
Priority to CN201880050522.9A priority patent/CN111031998A/zh
Publication of WO20190272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272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15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20Protective coatings for natural or artificial teeth, e.g. sealings, dye coatings or varni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60Preparations for dentistry comprising organic or organo-metallic additives
    • A61K6/69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attaching pa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 attaching patch which improves durability of a brush-off tooth attaching patch which is removed by brushing.
  • the patch for dental attachment generally includes a drug layer containing a drug for the purpose of use such as a tooth whitening drug, a drug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sickness, and a support layer for allowing the drug component to be selectively transferred to the teeth .
  • a drug layer containing a drug for the purpose of use such as a tooth whitening drug, a drug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sickness, and a support layer for allowing the drug component to be selectively transferred to the teeth .
  • Korean Patent No. 10-0458337 proposes to make the support layer water-insoluble such that the drug component contained in the patch can be selectively transferred to only the teeth.
  • patches containing such a water-insoluble support layer are troublesome to remove the remaining support layer after use of the product.
  • the patches are broken during removal due to the tensile strength of the patches.
  • the product was developed to dissolve in the oral cavity after the patch was attached, the drug component was not selectively transferred to the teeth and mixed with the saliva, resulting in the problem that the intended drug efficacy was not expressed.
  • the inventors developed a brush-off type patch which can not be degraded by saliva or water during use but can be removed through brushing after use.
  • the applicant has studied the structure of a brush-off type tooth attaching patch, and developed an optimal structure of a brush-off type tooth attaching patch.
  •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the problem of causing a foreign body sensation in use, which was a problem in a brush-off type patch for tooth attachm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 attaching patch that improves the shape retention of a brush-off type tooth attaching patch having a weak physical strength, particularly a tooth attaching patch.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 attachment patch 1 that is removed by brushing.
  • each patch comprising a medicinal effective layer (10) attached to a tooth; And a support layer (20) laminated on the medicinally effective layer.
  • the height of the patch for the upper teeth is shorter than the crown of the maxillary central teeth and has a length not in contact with the cut surface of the central teeth.
  • the height of the patch for the lower tattoo is shorter than the crown of the lower incisal tooth, and has a length that does not contact the cut surface of the lower half tooth.
  • the term " crown " refers to a portion of a tooth that is not hidden by the gum and is visible to the naked eye.
  • the crown is divided into a clinical crown and an anatomical crown.
  • the crown as referred to herein means a clinical crown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tooth refers to a portion where the tooth is exposed in the mouth.
  • FIG. 1 shows a patch for attaching a 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tooth attaching patch has a rectangular shape
  • a long side may be referred to as a width m
  • a short side may be referred to as a height h.
  • the height of Fig. 1 is shorter than the tooth crown length.
  •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an appearance of an arch-shaped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the lines extending on two short sides is referred to as a width (m).
  • the height (h) of the patch is referred to as a tangent line tangent to the most convex portion of the patch and a straight line distance (h) between the straight lines that are parallel to the tangent line and each of the vertexes connecting the concave portion of the patch.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that a 'brush-off' type patch, which maintains its shap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breaks down into small pieces by brushing due to weak physical strength at the time of removal, The design was completed.
  • the 'brush off patch' is easily cut off by the cut surface of the tooth during its attachment to the tooth (attachment time: 10 to 30 minutes) because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brush off patch' is weaker than that of the peel off type patch, There may be a problem of causing a foreign body feeling in the mouth during attachment.
  •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brush-off patch may have a breaking strength of 0.05-0.3 kgf, preferably 0.06-0.2 kgf, as measured by an Instron tensile strength tester, Zwick Material Prufung tensile.
  • an adhesive preparation for oral use (such as a patch for attaching a tooth or a tooth paste to be attached) adhering to the boundary between a tooth or a tooth and a gum, it may cause a foreign sensation even if it is thin and flexible. If you attach it, you can feel a bigger foreign body feeling.
  • the teeth may be torn or cut off by the force of occlusion of the cut surface. If the cut pieces are worn in the mouth, they give severe discomfort and foreign body sensation.
  • a brush-off-paste preparation having a relatively low physical strength having a characteristic of being removed by brushing with a toothbrush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adhering to a tooth or tooth / gum ga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a phenomenon has occurred. To improve this, I tried changing the composition or changing the thickness, but I could not solve the problem.
  • the patch can be solved by suitably producing a patch with a specific size,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the central incisor, the lateral incisor, and the canine of the maxillary teeth among the anterior teeth in the anterior teeth,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alleviate the foreign body sensation by making the size to be shorter than the crown of the suture. For the same reason, the length of the central incisor among the central incisors, lateral incisors and canines was most affect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body or discomfort.
  • the upper and lower teeth have different arches, the possibility of reaching the cut surface when providing the shape considering the arches in the shape of the upper teeth for the upper teeth can be minimized, there was.
  • the height of the patch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size and purpose of the teeth.
  • the patch for the upper knee can be made with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patch less than 13 mm, preferably less than 12.5 mm.
  • the height of the patch for the upper teeth may be 6.5 to 12 mm.
  • the patch for the lower tattoo may have a patch height of less than 12 mm, preferably less than 11.5 mm.
  • the patch for the undergarment may have a height of 5.5 to 11 mm.
  • the height of the patch may be 6.5 to 10.5 mm, and the height of the patch for the underwear may be 6 to 10 mm.
  • the patch may be advantageous for delivering the drug contained in the patch without touching the cut surface of the tooth.
  • the patch since the patch does not contact the cut surface, the patch can maintain the shape until the desired time, and the contact time with the drug can be sufficiently maintained.
  • the patch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that can help brush off of the patch for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brush off may include the incision 40 or the fracture inducing part 30.
  • the cut-out 40 can be understood as a line or a space that is cut or cut by a patch.
  • the incision reduction 40 may be included in at least two or more patches.
  • the length of incision is less than half of the entire height of the patch, and when the length is the same as above, it can be attached along the flexion of the teeth without being accidentally torn when attached.
  • the rupture inducing part 30 may be understood as a structure that is processed in order to guide the rupture inducing part 30 to be easily cut or disassembled into a predetermined size in the course of use although it is not a cut shape of the patch.
  • the patch may be cut off before being attached to the teeth or may be easily broken down during use, but may not include a cut before attachment.
  • the shape of the fracture inducing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fracture inducing portion may have a thickness that is thinn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support layer 20 and can easily break the support layer 20 along the portion. And may include a shape such as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31.
  • the breakage inducing portion 30 may be formed with a bubble 32 so that the support layer 20 can be easily broken.
  •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311 of the concavity and convexity 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May be more than 0 ⁇ and not more than 30 ⁇ , preferably not less than 0.1 ⁇ and not more than 25 ⁇ based on the convex portion.
  • 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is more than 0 mm but not more than 0.1 mm, and preferably, when the width is not less than 0.01 mm and not more than 0.08, the patch is well decomposed by brushing, thereby preventing unwanted cutting during use.
  • a patch for tooth attaching in which a plurality of fracture inducing portions are formed on the patch surface along the edge shape of the patch for tooth attachment to a patch made to a specific size.
  • FIG. 2 shows the patch 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a form having a curved shape.
  • the patches for the upper and lower teeth may be formed along the arch shape of the teeth so as not to contact the cut surfaces of the teeth.
  • an "incisal surface” or “incisal edge” refers to a face where teeth (upper and lower teeth) that face each other when their mouths are closed.
  • " effective layer 10 " as used herein means a layer containing a pharmaceutical active ingredient capable of achieving the purpose of a patch for tooth attachment.
  • a patch for tooth whitening refers to a layer containing a tooth whitening component (preferably, hydrogen peroxide, sodium peroxide, etc.) on the effective layer, and the protective patch for preventing whitening includes a layer of potassium nitrate, potassium chloride ≪ / RTI >
  •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component that can be delivered through the tooth surface. All of the tooth whitening and anti-acne ingredients known in the art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is invention.
  • &quot support layer 20 " refers to a layer that serves to prevent contact with other skin in the oral cavity other than the teeth. Soluble polymer and a water-soluble polymer together.
  • the support layer may comprise a water-insoluble polymer commonly used in oral films, such as cellulose acetate phthalate, shellac, polyvinylacetate, ethylcellulose, polymethylmethacrylate Methacryloylethyl betaine / methacrylate copolymer, methacrylic acid copolymer (Eudragit L 100, Eudragit L 12, 5, Eudragit), methacryloyl ethyl betaine / methacrylate copolymer (Yukaformer: Eudragit L 30D-55, and aminoalkyl methacrylate copolymer (Eudragit E 100, Eudragit E 12,5, Eudragit RL 100, and Eudragit RL 30D).
  • a water-insoluble polymer commonly used in oral films such as cellulose acetate phthalate, shellac, polyvinylacetate, ethylcellulose, polymethylmethacrylate Methacryloylethyl betaine / methacrylate copolymer
  • the supporting layer of the tooth or tooth patch attachment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water-soluble polymer.
  • a water-soluble polymer means a polymer that can be dissolved in water, swelled, or dispersed in small particles.
  • a hydrophilic polymer may be used in the same sense as a water-soluble polymer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soluble polymer may also be used in a medicinally effective layer.
  • the water-soluble polymer may be a polyalkyl vinyl ether-maleic acid copolymer (Gantrez AN 119, AN 139, S-97), polyvinyl alcohol, polyacrylic acid, Poloxamer 407 (Pluronic, poly (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polyethylene oxide, polyvinyl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PVP / VA copolymer; Luviskol VA, Plasdone S PVP / VA), poly Polyvinylpyrrolidone (PVP; K-15 to K-120), polyquaternium-11, Gafquat 755N, polyquaternium-39, Merquat plus 3330, Carbomer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gelatin, sodium alginate, and the like can be used, and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hydroxyprop
  • the conten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and the water-insoluble polymer contained in the support layer in the support layer is in the range of 1: 0.1 to 3, preferably 1: 0.5 to 2,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water-soluble polymer and the water- Weight ratio.
  • the patch can be decomposed well while the structure of the patch is maintained stably while being removed after use.
  • the patch having the weight ratio was not easily cut by the cut surface of the teeth, but was easily broken down by brushing.
  • the patch may comprise a drug, and preferably a tooth whitening ingredient, a syringe, a prophylactic ingredient or a mixture thereof.
  • composition it is meant that one large piece is divided or broken into smaller pieces.
  • the disassembled piec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ertain size, but may be divided into various sizes depending on external forces or pressures. Any word that has the meaning of breaking into multiple parts can be included 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 &quot refers to an adherent formulation containing a specific ingredient, which may be attached to a tooth surface, and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patc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patch for tooth atta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Korea Patent No. 10-0816250, US Patent No. 6,689,344, No. 6,682,721, No. 6,780,401, and the like.
  • the patches of the present design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with the ingredients used in the patch for tooth attachment, which can be removed by brushing.
  • the present design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rush-off type patch for tooth attachment.
  • the present design solves the problem of durability of the patch, which was a problem in brush-off type tooth attach patches with significantly weak physical strength.
  • 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phenomenon of being cut off by the cutting surface of the teeth during attachment and makes the feeling of foreign body feel less in the mouth.
  •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ch for attaching a 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m means the long side of the patch and is referred to as the width.
  • h means the short side of the patch, and is referred to as height.
  •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curved patch.
  • FIG. 3 illustrates a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xample of a patch formed with an incis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 patch-on-tooth patch atta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a tooth surface.
  •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rupture inducing portion of a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rupture inducing portion is irregular.
  •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rupture inducing portion of a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n example where the rupture inducing portion is a bubble.
  • FIG. 7 shows a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everal fracture inducing portions are formed so that the bent portion of the patch can be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patch.
  • the unnecessary parts can be removed and used.
  • Patche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s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 the patch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eparation Example 1 of Korean Patent No. 10-0816250 with the above composition.
  • the prepared patches were cut and processed separately for upper and lower teeth, respectively.
  • Example 1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Effective layer Hydrogen peroxide 2.9% Hydrogen peroxide 2.9% Hydrogen peroxide 2.9% Hydrogen peroxide 2.9% PVP 19.0% PVP 19.0% PVP 19.0% PVP 19.0% Glycerin 3.0% pullulan 1.0% Glycerin 3.0% pullulan 1.0% Glycerin 3.0% pullulan 1.0% Glycerin 3.0% pullulan 1.0% Glycerin 3.0% pullulan 1.0% Water etc. to 100% Water etc. to 100% Water etc. to 100% Water etc. to 100% Water etc. to 100% Water etc. to 100% Water etc. to 100% Water etc.
  • Example 3 Example 4 Comparative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4 Effective layer ZnCl 2 0.09% ZnCl 2 0.09% ZnCl 2 0.09% ZnCl 2 0.09% ZnCl 2 0.09% CMC 19.0% CMC 19.0% CMC 19.0% Glycerin 3.0% Glycerin 3.0% Glycerin 3.0% Pullulan 1.0% Pullulan 1.0% Pullulan 1.0% Pullulan 1.0% Water etc. to 100% Water etc. to 100% Water etc. to 100% Water etc. to 100% Water etc.
  • the release paper is removed and the tooth adhesion surface of the patch is attached to the teeth. While looking at the mirror, first attach the upper teeth so that they do not touch the gums. Then, in the same way, attach to the lower teeth so as not to touch the gums. After 30 minutes, the toothbrush is immersed in water using a toothbrush, and then the paste is removed by brushing.
  • the release paper is removed and attached to the teeth. If there is a symptom of acin, attach it to the border of the tooth and ginge around that area. While looking at the mirror, first attach the upper teeth so that they do not touch the gums. Then, in the same way, attach to the lower teeth so as not to touch the gums. After 10 minutes, use a toothbrush to apply water to the toothbrush, then remove the patch with brushing.
  • Examples 1 to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requiring a post-use removing process were also surveyed for ease of removal. Thirty subjects were attached to each patch for 10 minutes according to the group and then removed by brushing. Each group then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on the ease of removal after changing the product.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as a patch for tooth attachment.
  • 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keeps its shape well until the patch is removed by brushing, and the feeling of foreign body is sm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윗니용과 아랫니용으로 이루어져 있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이며, 상기 각각의 패치는 치아와 부착되는 약효층; 및 상기 약효층에 적층된 지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윗니용과 아랫니용 패치의 높이는 상악 및 하악의 중절치의 치관길이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치아 부착용 패치는 치아의 절단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부착 중 이물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브러쉬오프 치아 부착용 패치
본 출원은 2017년 8월 3일에 출원된 한국출원 제20-2017-0004098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고안은 치아 부착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칫솔질로 제거되는 브러쉬오프 치아 부착 패치의 내구성을 개선시킨 치아 부착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 부착용 패치는 일반적으로 치아 미백용 약물, 시린이 예방 또는 개선용 약물 등 그 사용 목적에 따른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약물층과 상기 약물 성분이 선택적으로 치아쪽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58337는 패치가 함유하는 약물 성분이 치아에만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층을 수불용성으로 제조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불용성 지지층을 포함하는 패치는 제품 사용 후 남아있는 지지층을 떼어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사용 후 떼어내는 방식은 치아와 패치의 접착력에 의해 잔여물이 남는 경우가 많고 패치의 인장력에 따라 떼어내는 중에 패치가 끊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를 개선한 제품으로 패치를 부착한 후 구강 내에서 용해되는 제품이 개발되었으나, 약물 성분이 치아로 선택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타액과 혼합되어 목적으로 하는 약효가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서서히 녹아 없어지는 방식은 구강 내에서 녹는 방식으로 약물 성분을 섭취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치아 접촉부가 아닌 외곽층부터 녹아 나오면서 외곽층에 포함된 약물은 치아에 적절히 공급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패치가 사용 과정에서는 타액이나 물에 의해서는 분해되지 않으나, 사용 후 칫솔질을 통해 제거될 수 있는 브러쉬오프형 패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브러쉬오프 패치는 일정시간 형태를 유지하다가 제거 시점에서 물리적 강도가 약해져 칫솔질(brushing)에 의해 작은 조각으로 끊어져 제거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떼어내는 필오프타입 패치보다 물리적 강도가 약하여 치아에 부착된 도중에 쉽게 부숴지거나, 잘려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사용 중 이물감을 야기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브러쉬오프 타입의 치아 부착용 패치의 구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브러쉬오프 타입의 치아 부착용 패치의 최적의 구조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브러쉬오프 형태의 치아 부착용 패치에서 문제가 되었던, 사용중 이물감을 야기하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치아 부착용 패치 중 특히, 물리적 강도가 약한 브러쉬오프 타입의 치아 부착용 패치의 형태 보존력을 향상시킨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칫솔질로 제거되는 치아 부착용 패치(1)를 제공한다.
윗니용과 아랫니용으로 이루어져 있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이며, 상기 각각의 패치는 치아와 부착되는 약효층(10); 및 상기 약효층에 적층된 지지층(20)을 포함한다.
상기 윗니용 패치의 높이는 상악 중절치의 치관길이보다 짧으며, 중절치의 절단면과 접하지 않는 길이를 가진다.
상기 아랫니용 패치의 높이는 하악 중절치의 치관길이보다 짧으며, 하악 중절치의 절단면과 접하지 않는 길이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치관'은 하나의 치아에서 잇몸에 감추어져 있지 않고 육안으로 관찰되어 보이는 부분을 의미한다. 업계에서는 치관은 임상적 치관과 해부학적 치관으로 나누어 고려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의미하는 치관은 임상적 치관을 의미하며, 치아가 구강 내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부착용 패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예를 들어, 치아 부착용 패치가 직사각형을 가질 때, 긴 변을 너비(m)라하고, 짧은 변을 높이(h)라 할 수 있다. 도 1의 높이는 치아의 치관 길이보다 길이가 더 짧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부착용 패치의 형태가 아치형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치아 부착용 패치의 한 변 이상이 곡선을 가질 때, 짧은 두 변을 연장한 선 사이의 직선거리를 너비(m)라 한다. 패치의 높이(h)는 패치의 가장 볼록한 부분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접선과 평행하고 패치의 오목한 부분과 이어지는 각각의 꼭지점을 서로 이은 직선 사이의 직선거리를 높이(h)라 한다.
본 고안의 고안자들은 일정시간 형태를 유지하다가 제거시점에서 물리적 강도가 약해져서 brushing에 의해 작은 조각으로 끊어져 제거되는, '브러쉬오프' 형태의 패치는 부착 중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브러쉬오프 패치'는 일정시간 부착한 후 떼어내는 과정이 필요한 필오프타입 패치보다 물리적 강도가 약하여, 치아에 부착되는 동안 (부착시간: 10분~30분) 치아의 절단면에 의해 쉽게 잘려져서 부착 중 입안에 이물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러쉬오프 패치의 물리적 강도는 Instron 인장강도 측정기, Zwick Material Prufung tensile 로 측정시, 파단강도가 0.05~0.3 kgf, 바람직하게는 0.06~0.2 kgf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아 또는 치아와 잇몸의 경계 부위까지 부착하는 구강용 첩부형 제제(치아 부착용 패치 또는 붙이는 치약 등)의 경우, 얇고 유연해도 이물감을 야기할 수 있는데, 특히 치아 뒷면까지 부착하거나, 절단면에까지 부착하는 경우 더 큰 이물감을 느낄 수가 있다.
특히 첩부형 제제의 물리적 강도가 약한 경우, 치아 절단면의 교합시 힘에 의해 찢어지거나 끝자락이 잘려나갈 수 있는데, 잘려진 작은 조각이 입안에서 돌아다니면 심한 불쾌감 및 이물감을 주기 때문에 사용 불편함을 준다. 특히 상대적으로 물리적 강도가 낮은 브러쉬오프 첩부형 제제(일정 시간 치아 또는 치아/잇몸 틈새까지 부착하다가 일정 시간 후 칫솔에 의해 브러싱해주면 제거되는 특성을 가진)의 경우 입안에서 작은 힘에 의해서도 절단면에서 쉽게 잘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 조성을 변경하거나 두께를 변경하는 방법을 시도했지만,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바람직하게 패치를 특정 크기로 제작하여 이물감을 해소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고안자들은 전치 6개 중 상악의 경우 중절치(central incisor), 측절치(lateral incisor), 견치(canine) 중에서 교합시 가장 먼저 닿는 치아가 중절치이므로 중절치보다 길면 교합시 절단면에서 절단을 크게 야기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중철치의 치관 길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지게 크기를 제작해 줌에 의해 이물감을 완화할 수 있었다. 하악의 경우도 같은 이유로 중절치, 측절치, 견치 중에서 중절치의 길이가 가장 이물감이나 불편함에 영향을 많이 미치므로, 중절치의 치관 길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지게 제작하였다.
한편 치아는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다른 아치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윗니용 아랫니용의 모양에 있어서 각각의 아치를 고려하여 형태를 제공할 때 절단면에 닿는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절단면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하여 잇몸까지 덮게 부착하는 방법도 있지만, 잇몸에 자극을 주는 성분을 함유한 경우, 예를 들면 치아 미백제, 치아 미백제 중에서도 잇몸 자극이 있을 수 있는 과산화수소의 경우, 잇몸에 닿는 면을 최소화하면서 절단면에 닿지 않는 크기 및 형태로 하면 사용편리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아의 절단면에 닿지 않게 제작할 경우 패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감도 크게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패치의 높이는 치아의 크기 및 목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윗니용 패치는 패치의 중심부의 높이가 13mm미만으로, 바람직하게 12.5mm 미만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윗니용 패치의 높이는 6.5 내지 12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랫니용 패치는 패치의 높이가 12mm 미만으로, 바람직하게 11.5mm 미만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랫니용 패치는 높이가 5.5 내지 11mm 일 수 있다.
잇몸에 많이 닿았을 때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과산화물 함유 미백 패치의 경우는, 패치의 높이가 6.5 내지 10.5mm 일 수 있으며, 상기 아랫니용 패치는 높이가 6 내지 10mm일 수 있다.
상기 높이를 가질 때 패치가 치아의 절단면과 닿지 않으면서, 패치에 포함된 약물의 전달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패치가 절단면과 닿지 않게 되어 목적으로 하는 시간까지 패치가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약물과의 접촉시간을 충분히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패치는 본 고안의 목적상 패치의 브러쉬오프를 도울 수 있는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오프를 도울 수 있는 구조는 절개선(40) 또는 파단유도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선(40)은 패치를 째거나 잘라서 벌어진 선 또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절개선(40)은 패치에 적어도 2이상 포함될 수 있다.
절개선의 길이는 패치의 전체 높이의 절반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길이일 때 부착 시 실수로 찢어지지 않으면서 치아의 굴곡을 따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파단유도부(30)는 패치가 잘린 형태는 아니지만, 사용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크기로 쉽게 잘리거나 분해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가공 처리된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패치를 치아에 부착하기 전부터 잘린 형태 또는 사용과정에서 쉽게 분해될 수 있도록 하되 부착 전에는 잘리지 않은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파단 유도부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파단 유도부는 상기 지지층(2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아지고, 이러한 부분을 따라 상기 지지층(20)이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할 수 있는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철(31)과 같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파단 유도부(30)는 상기 지지층(20)이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기포(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31)은 오목부(311)의 깊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볼록부를 기준으로 0㎛초과 30㎛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1㎛ 이상 2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너비는 0 mm 초과 0.1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 0.01 mm 이상 0.08 이하의 너비일 때 패치가 칫솔질에 의해 잘 분해되면서 사용 중 원하지 않는 절단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특정 크기로 제작된 패치에 치아 부착용 패치의 가장자리 모양을 따라 패치 표면에 여러 개의 파단유도부가 형성된 치아 부착용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패치는 사용중 패치가 절단면에 의해 절단되지 않고, 미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 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과정에서 불필요한 이물감을 피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패치 가장자리가 굴곡을 가진 형태로 제작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2를 참고하면, 윗니용 및 아랫니용 패치는 치아의 절단면과 닿지 않도록 치아의 아치 형태를 따라 제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절단면(incisal surface), 또는 절단연(incisal edge)'은 입을 다물 때 마주보는 치아(윗니-아랫니)끼리 맞닿는 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약효층(10)”이라는 용어는 치아 부착용 패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약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층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치아 미백용 패치는 약효층에 치아 미백성분(바람직하게 과산화수소, 과산화나트륨 등)을 포함하는 층을 의미하며, 시린이 방지 패치는 약효층에 시린이 방지 성분인 질산칼륨, 염화칼륨 등을 포함하는 층을 의미한다.
상기 약효 성분은 치아 표면을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성분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업계에서 알려진 치아 미백 성분, 시린이 방지 성분들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지지층(20)”은 치아 이외의 구강 내 다른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층을 의미한다. 수불용성 고분자와 수용성 고분자를 함께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층은 일반적으로 구강용 필름에 사용되는 수불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락(Shellac),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셀룰로오즈,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Yukaformer: 제조 회사Mitsubishi, methacryloylethyl betain/ methacrylate copolymer), 메타크릴산 공중합체(methacrylic acid copolymer; Eudragit L 100, Eudragit L 12,5, Eudragit L 100-55, Eudragit L 30D-55),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minoalkyl methacrylate copolymer; Eudragit E 100, Eudragit E 12,5, Eudragit RL 100, Eudragit RL 30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패치의 지지층은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수용성 고분자는 물에 용해되거나 팽윤(swelling)되거나 또는 작은 입자로 분산될 수 있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친수성 고분자도 본 고안의 수용성 고분자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약효층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알킬비닐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Gantrez AN 119, AN 139, S-97),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 Pluronic,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poly(ethylene oxide) triblock copolymer),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ox),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P/VA copolymer; Luviskol VA, Plasdone S PVP/VA), 폴리비닐피롤리돈(PVP; K-15~K-120), 폴리쿼터니움-11(polyquaternium-11, Gafquat 755N), 폴리쿼터니움-39(polyquaternium-39, Merquat plus 3330), 카르복시폴리메틸렌(Carbomer, Carbopol),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젤라틴(gelatin), 알긴산 (sodium alginat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층에 포함되는 수용성 고분자와 수불용성 고분자의 함량은 지지층에 포함되는 수용성 고분자:수불용성 고분자의 중량비가 1:0.1 내지 3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2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와 수불용성 고분자가 상기와 같은 중량비일 때, 패치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사용 후 제거 시 패치가 잘 분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비를 갖는 패치는 치아의 절단면에 의해 쉽게 절단되지 않으면서도 칫솔질로 분해가 용이하였다.
상기 패치는 약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치아 미백용 성분, 시린이 예방용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해”라 함은 하나의 큰 조각이 그보다 더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지거나 쪼개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분해된 조각은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으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나 압력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나뉠 수 있다. 여러 부분으로 쪼개진다는 의미를 가진 단어라면 본 고안의 분해와 동일성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패치”라는 용어는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특정 성분을 담은 부착형 제형을 의미하며, 패치의 형태 또는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치아 부착용 패치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16250호, 미국등록특허 제6,689,344호, 제6,682,721호, 제6,780,401호 등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패치는 칫솔질로 제거될 수 있는 치아 부착용 패치에 사용되는 성분들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브러쉬-오프 타입 치아 부착용 패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물리적 강도가 현저히 약한 브러쉬-오프 타입의 치아 부착용 패치에서 문제가 되었던, 패치의 내구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패치는 부착 중 치아의 절단면에 의해 잘리는 현상을 줄여주고 입안에 이물감을 덜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부착용 패치를 도식화한 그림이다. m은 패치의 긴 변을 의미하고, 너비로 칭해진다. h는 패치의 짧은 변을 의미하고, 높이로 칭해진다.
도 2는 굴곡진 패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를 보여주며, 절개선이 형성된 패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4는 본 고안의 브러쉬오프 치아 부착용 패치를 치아 표면에 부착한 모습을 예상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의 파단 유도부의 일 예를 보여주며, 파단유도부가 요철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의 파단 유도부의 일 예를 보여주며, 파단유도부가 기포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를 나타낸다. 패치의 굴곡 부분이 패치의 표면에 반영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파단유도부가 형성되어 있다. 치아의 길이에 따라 불필요한 부분은 떼어내고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1. 치아 부착형 패치의 제조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처방으로 패치를 제조하였다. 상기 패치는 상기 조성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16250호의 제조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된 패치는 각각 윗니용과 아랫니용으로 나누어 절단 및 가공하였다.
(1) 치아 미백용 브러쉬오프 첩부형 제제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약효층 과산화수소 2.9% 과산화수소 2.9% 과산화수소 2.9% 과산화수소 2.9%
PVP 19.0% PVP 19.0% PVP 19.0% PVP 19.0%
글리세린 3.0%풀루란 1.0% 글리세린 3.0%풀루란 1.0% 글리세린 3.0%풀루란 1.0% 글리세린 3.0%풀루란 1.0%
물 등 to 100% 물 등 to 100% 물 등 to 100% 물 등 to 100%
지지층 EC 10.0% EC 10.0% EC 10.0% EC 10.0%
HPMC 10.0% HPMC 10.0% HPMC 10.0% HPMC 10.0%
SPAN80 5.0% SPAN80 5.0% SPAN80 5.0% SPAN80 5.0%
Castor oil 5.0% Castor oil 5.0% Castor oil 5.0% Castor oil 5.0%
에탄올등 to 100% 에탄올등 to 100% 에탄올등 to 100% 에탄올등 to 100%
윗니용 높이 10.5 mm 9.5mm 12.0 mm 15.0 mm
아랫니용 높이 10.0 mm 9.0mm 10.0 mm 17.0 mm
shape 아치 모양 직사각형 모양 아치 모양 직사각형 모양
(2) 시린이 예방 및 완화 목적의 브러쉬오프 첩부형 치약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3 비교예 4
약효층 ZnCl2 0.09% ZnCl2 0.09% ZnCl2 0.09% ZnCl2 0.09%
CMC 19.0% CMC 19.0% CMC 19.0% CMC 19.0%
글리세린 3.0% 글리세린 3.0% 글리세린 3.0% 글리세린 3.0%
풀루란 1.0% 풀루란 1.0% 풀루란 1.0% 풀루란 1.0%
물 등 to 100% 물 등 to 100% 물 등 to 100% 물 등 to 100%
지지층 EC 10.0% EC 10.0% EC 10.0% EC 10.0%
Poloxamer 10.0% Poloxamer 10.0% Poloxamer 10.0% Poloxamer 10.0%
SPAN80 5.0% SPAN80 5.0% SPAN80 5.0% SPAN80 5.0%
Castor oil 5.0% Castor oil 5.0% Castor oil 5.0% Castor oil 5.0%
SLS 1.0% SLS 1.0% SLS 1.0% SLS 1.0%
실리카 5.0% 실리카 5.0% 실리카 5.0% 실리카 5.0%
민트향 0.5% 민트향 0.5% 민트향 0.5% 민트향 0.5%
에탄올등 to 100% 에탄올등 to 100% 에탄올등 to 100% 에탄올등 to 100%
윗니용높이 11.5 mm 10.5,mm 15.0 mm 15.0 mm
아랫니용높이 10.5 mm 10.0mm 17.0 mm 17.0 mm
shape 아치 모양 직사각형 모양 아치 모양 직사각형 모양
2. 패치의 사용방법
(1) 치아 미백용 브러쉬오프 첩부형 제제 사용방법
상기 표 1의 치아 미백용 브러쉬오프 첩부제의 사용방법은, 박리지를 제거하고 패치의 치아 접착면을 치아에 부착한다. 거울을 보면서 먼저 윗니용을 잇몸에 닿지 않게 부착한다. 다음에 같은 방법으로, 잇몸에 닿지 않게 아랫니에 부착한다. 30분 경과 후 칫솔을 이용하여 칫솔에 물을 묻힌 후에 첩부제를 칫솔질로 제거해준다.
(2) 시린이 예방 및 완화 목적의 브러쉬오프 첩부형 치약의 사용방법
상기 표 2의 시린이 예방 및 완화 목적의 브러쉬오프 첩부형 치약의 사용방법은, 박리지를 제거하고 치아에 부착한다. 시린이 증상을 느끼는 곳이 있다면 그 부위를 중심으로 치아와 잇몸의 경계부위에 부착한다. 거울을 보면서 먼저 윗니용을 잇몸에 닿지 않게 부착한다. 다음에 같은 방법으로, 잇몸에 닿지 않게 아랫니에 부착한다. 10분 경과 후 칫솔을 이용하여 칫솔에 물을 묻힌 후에 첩부제를 칫솔질로 제거해준다.
3. 사용감 설문
(1) 치아 미백용 브러쉬오프 첩부형 제제 사용감
먼저 치아 미백 브러쉬오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2를 대상으로 사용 중 느낌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30명의 응답자는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2의 각 패치를 그룹에 따라 30분씩 부착한 후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2를 칫솔질을 통해 제거하였다.
그 다음 각 그룹은 제품을 바꿔 사용한 후 사용감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2) 시린이 예방 및 완화 목적의 브러쉬오프 첩부형 치약 사용감
(1)과 같은 방식으로, 시린이 예방 및 완화 목적의 브러쉬 오프 첩부형 치약에 대해 실시예 3내지 4와 비교예 3 내지 4를 대상으로 사용 중 느낌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30명의 응답자는 실시예 1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2의 각 패치를 그룹에 따라 10분씩 부착한 후 실시예 1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2를 칫솔질을 통해 제거하였다. 그 다음 각 그룹은 제품을 바꿔 사용한 후 사용감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 설문 응답 기준 -
5 : 이물감 등이 없고 매우 편하게 유지된다. 패치가 잘 끊어지지 않는다.
4 : 사용이 편리한 편이며, 치아 표면에 잘 붙어 있다.
3 : 사용 중 이물감이 느껴진다.
2 : 사용 중 이물감은 있고 입안이나 혀에 작은 조각들이 느껴진다.
1 : 사용 중 이물감이 매우 심하고 사용이 불편하다.
4. 제거력 설문
사용 후 제거 과정이 필요한 실시예 1 내지 2, 비교예 1내지 2를 대상으로 사용감 조사와 함께, 제거 편의성에 대한 설문도 진행하였다. 30명의 응답자는 각 패치를 그룹에 따라 10분씩 부착한 후 칫솔질을 통해 제거하였다. 그 다음 각 그룹은 제품을 바꿔 사용한 후 제거 용이성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 설문 응답 기준 -
5 : 제거가 매우 편리하고 치아 잔여물이 없다
4 : 제거가 편리하지만 잔여물이 조금 남는다.
3 : 제거가 편리하지 않고 잔여물이 남아 불편하다.
2 : 제거가 불편하고 잔여물이 많이 남는다.
1 : 제거가 매우 불편하고 잔여물이 매우 많이 남는다.
5. 평가 결과
상기 3 및 4 항목의 설문 응답 기준에 따라 사용감과 제거력 설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사용감 5 4 5 4 2.5 2 2.5 2
제거력 5 5 5 5 5 5 5 5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치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사용감이 현저히 차이가 있었다. 즉, 같은 조성을 갖는 패치에서도, 패치의 높이에 따라 구강 내 이물감을 유발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호의 설명]
1: 브러쉬 오프 타입 치아 부착용 패치
10: 약효층
20: 지지층
30: 파단유도부
31: 요철
311: 요철 오목부
32: 기포
40:절개선
본 발명은 치아 부착용 패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는 칫솔질로 패치를 제거하기 전까지는 형태가 잘 유지되고, 이물감이 적다.

Claims (11)

  1. 칫솔질로 제거되는 치아 부착용 패치이며,
    상기 패치는 윗니용과 아랫니용으로 이루어져 있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이며,
    상기 각각의 패치는 치아와 부착되는 약효층; 및 상기 약효층에 적층된 지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윗니용과 아랫니용 패치의 높이는 상악 및 하악의 중절치의 치관길이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용 패치는 물리적 강도가 Instron 인장강도 측정기로 측정 시 0.05~0.3 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니용 패치는 높이가 13mm 미만이며, 아랫니용 패치는 높이가 12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윗니용 패치는 중심부의 높이가 6.5 내지 12mm 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니용 패치는 중심부의 높이가 5.5 내지 1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니용과 아랫니용 패치는 절개선 또는 파단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는 치아 미백용 성분, 시린이 예방용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는 패치의 가장자리가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의 지지층은 수용성 고분자 및 수불용성 고분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의 지지층은 수용성 고분자와 수불용 고분자의 중량비가 1:0.5 내지 2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는 브러쉬-오프 타입의 치아 부착용 패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치아 부착용 패치.
PCT/KR2018/008717 2017-08-03 2018-07-31 브러쉬오프 치아 부착용 패치 WO201902724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35,819 US20210030633A1 (en) 2017-08-03 2018-07-31 Brush-off type tooth-attachable patch
CN201880050522.9A CN111031998A (zh) 2017-08-03 2018-07-31 刷除式牙齿附着用贴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4098 2017-08-03
KR20-2017-0004098 2017-08-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7243A1 true WO2019027243A1 (ko) 2019-02-07

Family

ID=6523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8717 WO2019027243A1 (ko) 2017-08-03 2018-07-31 브러쉬오프 치아 부착용 패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030633A1 (ko)
KR (1) KR200491044Y1 (ko)
CN (1) CN111031998A (ko)
WO (1) WO201902724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726A (ko) * 1999-03-15 2001-11-26 데이비드 엠 모이어 치아 미백 스트립의 형상
KR20040044331A (ko) * 2002-11-21 2004-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잇몸 자극이 최소화된 드라이 타입 치아 미백 패취
KR20100003372A (ko) * 2003-12-17 2010-01-08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탈색제를 치아에 전달하는 조성물 및 방법
KR20170040889A (ko) * 2015-10-06 2017-04-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70084922A (ko) * 2016-01-13 2017-07-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강용 제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5325A1 (en) * 2005-04-11 2008-02-13 Remedent NV Foam strip for the delivery of oral care compositions
WO2017043800A1 (ko) * 2015-09-09 2017-03-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034156B1 (ko) * 2015-11-10 2019-10-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025751B1 (ko) * 2015-10-21 2019-09-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아 부착용 패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726A (ko) * 1999-03-15 2001-11-26 데이비드 엠 모이어 치아 미백 스트립의 형상
KR20040044331A (ko) * 2002-11-21 2004-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잇몸 자극이 최소화된 드라이 타입 치아 미백 패취
KR20100003372A (ko) * 2003-12-17 2010-01-08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탈색제를 치아에 전달하는 조성물 및 방법
KR20170040889A (ko) * 2015-10-06 2017-04-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70084922A (ko) * 2016-01-13 2017-07-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강용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1998A (zh) 2020-04-17
US20210030633A1 (en) 2021-02-04
KR20190000423U (ko) 2019-02-13
KR200491044Y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3352C (en) A delivery system for a tooth whitener using a strip of material having low flexural stiffness
US5891453A (en) Delivery system for a tooth whitener using a strip of material having low flexural stiffness
AU763529B2 (en) Shapes for tooth whitening strips
Toman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121 lithium disilicate all-ceramic crowns up to 9 years.
AU753932B2 (en) A delivery system for an oral care substance using a permanently deformable strip of material
US88020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hitening teeth
US6045811A (en) Delivery system for an oral care substance using a permanently deformable strip of material
WO2017043800A1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MXPA05000022A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administracion de un agente para el cuidado bucal.
JPWO2005063182A1 (ja) 歯牙白色化用非水系ゲル組成物及び歯牙美白用セット
EP1565155B1 (en) Dry-type whitening patches safe for gums
US20040170945A1 (en) General field isolation rubber dams without operative inserts which isolate the dental alveolar arch for dental treatment
KR102182976B1 (ko) 치아 또는 치아 주변 조직 부착용 패치
WO2019027243A1 (ko) 브러쉬오프 치아 부착용 패치
KR100497004B1 (ko) 잇몸 자극이 최소화된 드라이 타입 치아 미백 패취
KR20220055901A (ko) 점착성 고분자를 이용한 구강상처 보호 및 자가치료용 창상피복재
CN113207278B (zh) 牙齿附着用贴片
WO2022114393A1 (ko)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Bhimani et al. Non-surgical Periodontal Management of Severe Generalized Gingival Enlargement in a Human Immunodeficiency Virus-positive Patient: A Case Report
NO914581D0 (no) Tannproteselakk for behandling av soppinfeksjoner
KR100489779B1 (ko) 신축성이 뛰어나거나 또는 쉽게 늘어나는 구강치아 부착제
KR20090092520A (ko) 치아우식 예방용 일방향성 불소 방출 스트립 및 그제조방법
JP4539841B2 (ja) 歯牙美白用セット
KR20170030335A (ko) 인지가 용이한 치아 부착용 패치
Dudney Achieving an ideal restorativ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410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410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6.07.2020)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410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