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17635A1 -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 Google Patents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17635A1
WO2019017635A1 PCT/KR2018/007751 KR2018007751W WO2019017635A1 WO 2019017635 A1 WO2019017635 A1 WO 2019017635A1 KR 2018007751 W KR2018007751 W KR 2018007751W WO 2019017635 A1 WO2019017635 A1 WO 20190176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int
cornea
marking
markers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775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성용
최진영
제트. 라인슈타인댄
Original Assignee
강성용
최진영
제트. 라인슈타인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용, 최진영, 제트. 라인슈타인댄 filed Critical 강성용
Publication of WO20190176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176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825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for photodisruption
    • A61F9/00827Refractive correction, e.g. len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04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specifi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37Visible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44Feedback systems
    • A61F2009/00846Eyetrack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king tool for smiley surgery, which is used in a centration technique in which a laser irradiation point is matched to a corneal apex of a client during smile surgery, so that not only can the corneal apex be accurately set, And to a marking tool for smile surgery which can improve the quality of operation.
  • the 'ReLEX SMILE (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is a vision correction surgery develop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LASIK (Laser Assisted in situ Keratomileusis) Of the corneal epithelium, and then removing the corneal lenticule, which is a surgical method to correct visual acuity loss caused by presbyopia, myopia, mixed astigmatism, and presbyopia.
  • LASIK Laser Assisted in situ Keratomileusis
  •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is kind of smile surgery is that it does not make incisions on the corneal surface or peel the surface layer like LASIK or LASEK, but lenticular is cut by the amount of correction of the eyes using a laser and then extracted through a incision in the local area
  • the thickness and position of the lenticular to be excised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subject and the corneal stiffness.
  • the advantage of the smile surgery is that it minimizes the corneal injury, which can reduce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side effects, as well as the rapid recovery of the operation, enabling the recipient to return to their daily lives quickly.
  • One of the important points in the above-mentioned smile surgery is to set the irradiation point of the laser to excise the corneal stroma at the corneal apex of the subject.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rnea can be used to accurately measure the corneal apex, which is not the center of the pupil but the optical center of the visual acuit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optical side effects due to an increase in 'high order aberration'. More specifically, the optical center, which is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center of the pupil and the center of the visual acuity,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ye. The 'axis of the eye' that determines the actual visual acuity is not the pupil center but the apex of the cornea. , 'High order aberration' such as spherical aberration is increased, and the quality of surgery and satisfaction of the patient can be greatly reduced.
  • the high-order aberration is a cause of deterioration of the visual quality that is actually sensed apart from the corrected visual acuity. It is the cause of deterioration of the visual acuity which is actually felt at night, such as night vision decline, glare, light blurring, blurred vision, starburst glare, diplopia, One example is vision abnormalities.
  • the lenticular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at the corneal apex, the lenticular can be resected only by the correct calibrated visual acuity, and there is no fear of unnecessary corneal loss.
  • centration is an important issue for the improvement of the surgical qualit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procedure in the smile operation.
  • the conventional centration is performed by a method in which a practitioner directly displays a marking point for tracking a corneal vertex on a cornea of a patient using a marking pen using a special ink.
  • the accuracy of the marking point can not but be influenced by the operator's sense, so the accuracy depends on the individual variation of the operator.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centration technique in which the irradiation point of the laser is matched to the corneal apex of the subject during smile surgery, so that not only the corneal apex can be set accurately but also the reliability and the surgical qual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rking tool for a smiley surgical operation.
  • a marking tool for smile surgery which is used in a centration technique for aligning an irradiation point of a laser with a vertex of a cornea of a subject during smile surgery, A pair of cross markers for marking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n the cornea,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corneas of the subject; A vertical marker for contacting the cornea of the subject and centering the corneal vertex to mark a third point on the cornea; And a grip which is connected to the cross markers and the vertical markers so that the operator can grasp the cross markers and the vertical markers to contact the cornea of the subject.
  • the apex of the cornea can be temporarily set through a reflection point reflected when the reference beam is irradiated to the pupil of the subject.
  • the reference beam may include a first reference beam irradiated with a width of a predetermined range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nea with the pupil as a center; And a second reference beam irradiated with a width of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rnea with respect to the pupil.
  • the cross markers simultaneously mark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nd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re positioned within the range of the first reference beam irradiated to the cornea of the subject,
  • the markers may be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corneas of the subject by the reflex points, respectively, so that the reflection points are located on a virtual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m.
  • the vertical marker simultaneously marks the third point when the cross marker contacts the cornea of the subject's surgeon at the time of marking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nd the third point irradiates the cornea of the subject
  • the irradiation point of the laser coincides with the intersection of a virtual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first point marked with the cornea of the subject and the second point, and a virtual vertical line connecting the third point perpendicularly to the horizontal line .
  • a marking tip may be provided at the tip of the cross marker and the vertical marker to directly contact the cornea of the subject and mark the first point to the third point on the cornea.
  • the marking tip has a circular hole at its center, and when the first point to the third point are marked, a hollow center mark is no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rked portion,
  •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first point to the third point can be increased and the center point can be known by using the difference of light and darkness between the non-marked part and the unmarked part.
  • the marking tip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arking tip increases toward the cornea of the subject.
  • the cross markers and the vertical markers may be provided with bent portions bent toward a virtual point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on point, facing the cornea of the subject.
  • each of the bent portions is curv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neal curvature of the subject and is directly contacted with the cornea of the subject to mark the cornea, and a region irradiated with the first reference beam and the second reference beam is defined as a line A marking mark may be provided.
  • the marking tool for smile surgery is a marking tool for smile surgery used in a centration technique in which an irradiation point of a laser is matched to a vertex of a cornea of a client during smile surgery, and a reference beam
  • the cross markers and the vertical markers are formed so that a circular hole is formed and the practitioner measures the holes at the reflection points so that the cross markers and the vertical markers are aligned on the cornea of the subject on the basis of the reflection point Site hall;
  • a grip which is connected to the cross markers and the vertical markers so that the operator can grasp the cross markers and the vertical markers to contact the cornea of the subject.
  • the corner markers and the vertical markers are provided with a marking tip for directly contacting the cornea of the subject and marking the first point to the third point on the cornea, May be disposed on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marking tips of the markers to each other and may be disposed at an intersection of virtual vertical lines connecting the markers of the vertical markers perpendicularly crossing the horizontal lines.
  • the reference beam is irradiated with a width of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nea with respect to the pupil, and the cross marker is illuminated by the site hall based on the reflex point
  •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may be marked with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beam irradiated to the cornea of the subject.
  • the vertical mark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rnea of the subject by the cross marker when marking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marker is align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rnea of the subject with reference to the reflection point
  • the third point can be marked at the same time.
  • the irradiating point of the laser beam is set so as to correspond to an intersection of a virtual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first point marked with the cornea of the subject and the second point and a virtual vertical line connecting the third point perpendicularly to the horizontal line .
  • the marking tip is formed with a circular hol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o form a hollow center mark that is not marked at the center of the marked portion when the first point to the third point are marked,
  •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first point to the third point can be increased and the center point can be known by using the difference of light and darkness between the non-marked part and the unmarked part.
  • the marking tip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arking tip increases toward the cornea of the subject.
  • the cross markers and the vertical markers may be provided with bent portions bent toward a virtual point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on point, facing the cornea of the subject.
  • each of the bent portions is curv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neal curvature of the subject and is directly contacted with the cornea of the subject to be marked on the cornea, and the area of the cornea where the reference beam is irradiated,
  • a marking tip may be provided for marking a linear reg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beam with a line.
  • the site hole may be provided on a virtual connecting line connecting the reflection point and the virtual point of the end of each bent portion.
  • the joint may further include a joint for connecting the cross marker and the vertical marker to the grip, wherein the joint is capable of both tilting and resilient return of the cross marker and the vertical marker to the grip.
  • the marking tool for smiley surg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marking operation for tracking the corneal vertex which is the 'axis of the eye', which determines the actual visual acuity
  • the marking operation for tracking the corneal vertex which is the 'axis of the eye', which determines the actual visual acuity
  • FIG. 1 shows a marking tool for smiley surg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llustrates a centration process using a marking tool for smiley surg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rneal apex and the pupil center, which is the time axis of the eyeball.
  • FIG. 4 is a view showing a reflection point when a reference beam is irradiated to a pupil of a subject in an actual operation procedure, and a marking point based on the reflection point.
  • FIG 5 shows the first to third points marked by the cross markers and the vertical markers based on the reflection points.
  • Fig. 6 shows the change in the coma aberration when the irradiation point of the laser is adjusted to the apex of the cornea and the operation is proceeded.
  • FIG. 7 shows a numerical change of a coma aberration when the irradiation point of the laser is aligned with a general pupil center and the operation is proceeded.
  • FIG 11 shows an example of a modification of the shape of the marker t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shows a marking tool for smiley surg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n example of the marker tip shown in FIG. 12 is applied.
  • FIG. 1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points A to D shown in Fig.
  • 15 shows a joint of a marking tool for smiley surg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shows a marking tool for smiley surg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llustrates a centration process using a marking tool for smiley surg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rking tool for smile surgery is used in a centration technique in which the irradiation point of the laser is aligned with the corneal apex of the subject during smile surgery.
  • the cross marker 110 contact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nea 10 of the subject 10 with the corneal apex as the center and marks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on the cornea 10, can do.
  • the cornea 10 is a vein-free tissue on the surface of the eyeball, which is often called a black masturbation.
  • the vertical marker 120 may contact the lower portion of the cornea 10 of the subject and center the cornea vertex to mark the third point P3 on the cornea 10.
  •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one contact point as shown in the drawing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ranch branched from the contact point.
  •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pi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branched portions can easily approach the cornea 10 of the subject, As shown in Fig.
  •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bent in the form of pins are provided with marking tips 102 for directly contacting the cornea 10 of the subject and marking the first point P1 to the third point P3 May be provided.
  • the marking tip 102 displays the first point P1 to the third point P3, which are marking points for tracking the apex of the cornea on the wearer's cornea 10 using special ink, And the ink required for marking can be received and supplied through a stamping ink which is supplied from a lead provided in the vertical marker 120 or separately provided.
  • the grip 130 can connect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described above together.
  • the grip 130 is provided such that the operator grips the grip portion and can contact the cross marker 110 and the vertical marker 120 with the cornea 10 of the subject.
  • the grip 130 is extended from the grip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contact points of the marker 110 and the vertical marker 120.
  •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are temporary marks for marking the first point P1 to the third point P3 which are marking points for tracking the corneal vertexes to be the irradiation points of the laser after the centering
  • the reference point can be set as follows.
  •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are positioned at a first point P1, which is a marking point,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beam irradiated toward the subject's cornea 10 and the apex of the cornea in the centering process, ) To the third point (P3).
  • the corneal vertex can be temporarily set through the reflection point 14 that is reflected when the reference beam is irradiated to the pupil 12 of the subject.
  • the pupil 12 refers to a circular void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ris and the reference beam irradiated around the pupil 120 can be divided into a first reference beam RB1 and a second reference beam RB2 .
  • the first reference beam RB1 may be irradiated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nea 10 around the pupil 12 of the subject 10 with a width of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second reference beam RB2 is irradiated around the pupil 12 of the subject and has a width 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rnea 10 Can be investigated.
  • Such a reference beam can be irradiated to the eye of the subject by a separate irradiation device and not only presents a guide line for marking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This helps to temporarily set the corneal apex as the basis for marking.
  • the reflection point 14 is a kind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pupil 12 when the reference beam is irradiated, as shown in FIG. 3, and coincides with the apex of the cornea, which is a visual axis of the actual eyeball.
  • the corneal apex (CA) temporarily set through the reflection point 14 is different from the center of the pupil (PC) as shown in FIG. 4.
  • the corneal apex (CA) And the irradiation point of the laser are match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igh order aberration' generated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pupillary center (PC) without reflecting it.
  • the cross marker 110 marks a marking point along the guide line of the first reference beam RB1 of the reference beam, and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Are simultaneous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nea 10 of the subject.
  • the cross marker 110 marks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to be positioned within the range of the first reference beam RB1 irradiated to the cornea 10 of the subject,
  • the display position of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can be set so that the reflection point 14 is located on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HL connecting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 the cross marker 110 touches the cornea 10 of the subject in the process of marking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 the vertical marker 120 contacts the lower side of the cornea 10
  • the third point P3 can be marked at the same time.
  • the vertical marker 120 marks the third point P3 to be positioned within the range of the second reference beam RB2 irradiated to the cornea 10 of the subject, and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 the display position of the third point P3 can be set such that the third point P3 is located on a virtual vertical line VL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HL connecting the first point P3 and the reflection point 14 have.
  • the marking process using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the marking process is sequentially described. However, the first point P1, the second point P2, , And the third point (P3) are simultaneously marked through a single marking process.
  • marking of the marking point can be performed quickly with only one contact of the cornea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marking points are displayed at a plurality of times by using a marking pen.
  • the mark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in which the marking points are aligned in advance with reference to the reference beams RB1 and RB2 and the reflection point 14, have.
  • the first point P1 to the third point P3 marked in the above-described centration process are used as markers for tracking the corneal vertex, which is an irradiation point to be irradiated with the laser in the subsequent surgical procedure.
  • the corneal vertex is formed by connecting a virtual horizontal line HL and a third point P3 connecting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marked on the cornea 10 of the subject's surgeon to the horizontal line HL To the intersection of a virtual vertical line (VL) connecting vertically, which can be the irradiation point of the laser.
  • VL virtual vertical line
  • the coma aberration measured in the pre-operative state (a)
  • the coma aberration measured in post-operative state shows a numerical change that decreases from 0.1 to 0.04.
  • coma aberration is also referred to as asymmetric aberration as a typical example of the high-order aberration, and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light is blurred (spread) due to improper focusing of incident light.
  •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marking tips 102 provided at the ends of the vertical marker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8 to enhanc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marking points.
  • the marking tip 102 has a circular hole h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s shown in FIG. 8, so that the first point P1 to the third point P3 May be provided so as to form a hollow center mark CM which is not marked at the center of the marked portion.
  •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first point P1 to the third point P3 can be increased and the center point can be grasped easily by using the difference in the contrast between the marked portion of the marking point and the center mark CM, have.
  • the configuration of the marking tip 102 as described above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discrimination power is lowered by the general point marking because the marking tip 102 is shaded by the iris located behind the cornea 10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nea 10.
  • the marking tip 102 can be deformed into a shape 102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arking tip 102 increases toward the cornea of the subject when marking, as shown in FIG.
  • the marking tip 102 'deformed as described above is intended to relieve a tactile sense of a trainee during the approach of the marking tip 102 to the cornea during the marking.
  • the marking tip 102' In order to alleviate the fear and fear that may be felt when approaching the tip 102.
  • the marking tip 102 is of course made of a soft material that does not cause damage to the cornea even if it contacts the cornea of the subject, but the marking tip 102 ' So that the shape of the marking tip 102 itself may cause fear.
  • the marking tip 102 has the bent portions provid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respectively, for the same purpose as the above- May be deformed into a shape 102 " that can be marked with a line.
  • the bending part will be referred to as the bent end of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 the bent directions are the cornea 10,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nt portions are opposed to each other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the cornea 10, in the direction toward the imaginary one point D opposed to the reflection point 14 in the opposite direction.
  • the distance of the bending part provided on each of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may be a minimum interval not to be marked on the pupil 12.
  •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points A to C of the bent portions provided in each of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based on the virtual one point D described above (r1 ⁇ r3) can be all equal to about 3.75 mm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pupil 12.
  • the reason why the distances r1 to r3 between the end points A to C of the bent portions provided in each of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is set to about 3.75 mm is that the lenticular is formed during the smile surgery This is because the radius of the pupil 12 as a reference is about 3.75 mm.
  • the bent portion provided in each of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is provided with a deformed marking tip 102 ",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rnea 10 by the deformed marking tip 102 & Marked is the area irradiated with the reference beams RB1 and RB2.
  • the deformed marking tip 102 "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bent portion opposite to the cornea 10 in a curved shape so as to have a curved surface equal to the curvature radius r of the cornea 10,
  • the reference beams RB1 and RB2 are marked with a line in a region irradiated with the reference beams RB1 and RB2.
  •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point P1 It may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third point P3 and to easily grasp the center point, bu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first point P1 to the third point P3 in the case of the modified marking tip 102 " Since the distances between the portions marked by the end points A to C of the bent portions are relatively close to each other,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force and easily grasp the center point, (h) need not be provided.
  • the marker tip of the vertical marker 120 may be formed of other types of marking tips 102 and 102 '.
  • the site hole 150 to be referred to in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nd not described in detail herein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rking tool for smile surgery may further include a joint 140 for connecting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to the grips 130 as shown in FIG. .
  • the joint 140 may be provided at a contact point where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are coupled together, and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ng bar extending from the handle of the grip 130.
  • the joint 140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can be tilted and resiliently returned to the grip 130 using elastic members such as a spring, .
  • the marking tool for smile surgery is used in a centration technique in which the irradiation point of the laser is matched with the corneal apex of the subject during smile surgery, A pair of cross markers 110, a vertical marker 120, and a grip 130, but may further include a site hole 150.
  • the site holes 150 are provided between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 a circular hole is formed in the site holes 150 to allow the operator to measure the holes at the reflection points 14,
  • the marker 120 may be aligned on the cornea 10 of the subject 10 with the reflex point 14 as a reference.
  • the site holes 150 are provided on imaginary horizontal lines connecting the marking tips 102 of the pair of cross markers 110 so that the marking tips 102 of the vertical markers 120 intersect perpendicularly And a virtual vertical line connected to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vertical lines.
  • the reference beam RB may be irradiated with the width of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nea 10 around the pupil 12 of the subject as shown in FIG.
  • the cross markers 110 are positioned at the first point P1 with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beam RB while being aligned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rnea 10 of the subject 10 by the site hole 150 with reference to the reflection point 14, And the second point P2 are located.
  • the operator can position the marking tip to mark the marking point by simply aiming the site hole 150 at the reflection point 14 reflected from the pupil 12 of the subject by the reference beam RB Since the cross markers 110 and the vertical markers 120 can be aligned, quick and precise centering can be performed.
  • the size of the site hole 150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reflection point 14, but may be designed to be about 0.5 mm, for example. Howev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 the first point (P1) to the third point (P3) marked through the centration process are utilized as markers for tracking the corneal apex, which is an irradiation point to be irradiated with the laser in the subsequent surgical procedure.
  • the circular hole h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rking tip 102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that the first point P1 to the third point (CM) (see FIG. 9) in which marking is not per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rked portion when the mark P3 is marked.
  •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marking point can be increased and the center point can be grasped easily by using the difference in contrast between the marked part and the center mark CM.
  • the marking operation for tracing the corneal vertex which is the 'axis of the eye', which determines the actual visual acuity, can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with only one marking through the marking tool for smile surgery having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track the corneal apex compared to the individual marking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medical field because the marking operation for tracking the corneal vertex, which is the 'axis of the eye', which determines the actual visual acuity, can be performed with only one mar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제1 포인트 및 제2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한 쌍의 크로스 마커와,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버티컬 마커와,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하나로 연결하며, 시술자가 파지하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피시술자의 각막에 접촉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을 포함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가 개시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실질적인 시력을 결정하는 안구의 '시축'인 각막정점을 추적하기 위한 마킹 작업을 한 번의 마킹만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마킹 포인트를 개별적으로 마킹하였을 때 대비 보다 정확한 각막정점의 추적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렌티큘을 분리하기 위한 레이저의 조사점을 시력의 광학적 중심인 동공중심이 아닌 각막정점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이를 반영하지 않을 경우 발생되는 코마 및 구면수차와 같은 '고위수차'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본 발명은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어 각막정점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정과정의 간소화를 통해 신뢰도와 수술품질을 높일 수 있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이다.
통칭 '스마일 수술(ReLEX SMILE; 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은 종래 '라식 수술(LASIK; Laser Assisted in Situ Keratomileusis)'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시력교정 수술의 하나로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교정량만큼의 각막실질조각인 렌티큘(lenticule)을 절제한 후 적출함으로써 원시나 근시, 난시 및 혼합 난시, 그리고 노안에 의한 시력저하를 교정해주는 수술 방법이다.
이와 같은 스마일 수술의 가장 큰 특징은 종래 라식이나 라섹처럼 각막 표면에 절개를 형성하거나 표층을 벗겨내는 것이 아닌 레이저를 이용해 시력 교정량만큼의 렌티큘을 절개한 후 이를 국소부위의 절개창을 통해 적출해내기 때문에, 피시술자의 시력, 각막 강성도에 따라 절제할 렌티큘의 두께와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른 스마일 수술의 장점은 각막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수술 후유증 및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회복이 급속도로 빨라 피시술자의 신속한 일상생활의 복귀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마일 수술에 있어 중요한 사항 중 하나는 각막실질을 절제하기 위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설정하는 것이다.
정확한 시력교정을 위해서는 레이저의 조사점을 '각막정점(corneal apex, corneal vertex)'에 맞춰 수술을 진행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레이저의 조사점이 되어야 할 각막정점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피시술자의 각막에 이를 표시하는 특수 마킹기법을 '센트레이션(Centration)'이라 한다.
위와 같은 센트레이션을 통해 각막정점의 측정과 표시를 통해 렌티큘을 분리하기 위한 레이저의 조사점을 동공중심이 아닌 시력의 광학적 중심인 각막정점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하지 않을 경우 발생되는 '고위수차' 증가로 인한 광학적 부작용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공의 중심과 시력의 중심이 닿는 점인 광학적 중심은 다르며 실질적인 시력을 결정하는 안구의 '시축'은 동공중심이 아닌 각막정점이기 때문에, 만약 이를 반영하지 않고 수술을 진행하게 될 경우 코마, 구면수차와 같은 '고위수차'가 증가하여 수술품질과 피시술자의 만족도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위수차라함은 교정시력과 별개로 실제 느껴지는 시력의 질적 저하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야간시력 저하, 눈부심, 빛 번짐, 흐린 시야, 별무리광채, 복시, 대비감도 저하, 잔상현상, 부정난시와 같은 시력이상이 그 일례이다.
아울러 각막정점에 수술을 진행할 경우 정확한 교정 시력만큼만 렌티큘을 절제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각막 손실의 우려 또한 없게 된다.
따라서 센트레이션은 스마일 수술에 있어 수술품질의 향상과 시술 만족도를 위한 중요한 사항이라 볼 수 있다.
한편, 종래 센트레이션은 시술자가 특수 잉크를 사용하는 마킹 펜(marking pen)을 이용해 각막정점의 추적을 위한 마킹 포인트를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표시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종래 센트레이션 기법의 경우 시술자가 마킹 펜을 파지한 상태에서 피시술자에 각막에 여러 개의 마킹 포인트를 일일이 찍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며 번거로웠다.
*또한 마킹 포인트의 정확도는 오롯이 시술자의 감각에 의해 좌우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정확도가 시술자의 개인편차에 따라 달라지며 손떨림 등으로 인해 쉽게 오차가 발생됐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센트레이션 기법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센트레이션용 마킹 도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어 각막정점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정과정의 간소화를 통해 신뢰도와 수술품질을 높일 수 있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제1 포인트 및 제2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한 쌍의 크로스 마커;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버티컬 마커; 및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하나로 연결하며, 시술자가 파지하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피시술자의 각막에 접촉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막정점은, 피시술자의 동공에 레퍼런스 빔을 조사할 때 반사되는 반사점을 통해 임시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퍼런스 빔은, 상기 동공을 중심으로 상기 각막의 좌, 우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됨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되는 제1 레퍼런스 빔; 및 상기 동공을 중심으로 상기 각막의 상, 하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되는 제2 레퍼런스 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 마커는,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동시에 마킹하며,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가 피시술자의 각막에 조사되는 상기 제1 레퍼런스 빔의 범위 내에 위치하되, 서로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 상에 상기 반사점이 위치하도록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게 마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티컬 마커는, 상기 크로스 마커가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마킹할 때 피시술자의 각막에 함께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동시에 마킹하며, 상기 제3 포인트가 피시술자의 각막에 조사되는 상기 제2 레퍼런스 빔의 범위 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2 포인트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수직 교차하는 가상의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배치되게 마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이저의 조사점은, 피시술자의 각막에 마킹된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2 포인트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수평선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일치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선단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에 마킹하는 마킹 팁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킹 팁은, 중심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의 중심에 마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공의 센터마크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마킹된 부분과 마킹이 되지 않은 부분의 명암 차이를 이용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알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킹 팁은, 단면적이 마킹 시 피시술자의 각막을 향하게 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단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대향하여 상기 반사점에 대응하는 가상의 일점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절곡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곡률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곡되어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각막에 마킹하되, 상기 제1 레퍼런스 빔 및 상기 제2 레퍼런스 빔이 조사되는 영역을 선으로 마킹하는 마킹 팁이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피시술자의 동공에 레퍼런스 빔을 조사할 때 반사되는 반사점을 통해 각막정점을 임시로 설정하고,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제1 포인트 및 제2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한 쌍의 크로스 마커;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버티컬 마커; 상기 크로스 마커와 상기 버티컬 마커 사이에 구비되며,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시술자가 상기 홀을 상기 반사점에 가늠함으로써,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가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상에 정렬되게 하는 사이트 홀; 및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하나로 연결하며, 시술자가 파지하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피시술자의 각막에 접촉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선단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에 마킹하는 마킹 팁이 구비되며, 상기 사이트 홀은, 상기 한 쌍의 크로스 마커의 마킹 팁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 상에 구비되되, 상기 수평선을 수직으로 교차하여 상기 버티컬 마커의 마킹 팁과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퍼런스 빔은, 상기 동공을 중심으로 상기 각막의 좌, 우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되며, 상기 크로스 마커는, 상기 사이트 홀에 의해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정렬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각막에 조사되는 상기 레퍼런스 빔의 범위 내에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마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티컬 마커는, 상기 사이트 홀에 의해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크로스 마커가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마킹할 때 피시술자의 각막에 함께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동시에 마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의 조사점은, 피시술자의 각막에 마킹된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2 포인트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수평선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일치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킹 팁은, 중심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의 중심에 마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공의 센터마크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마킹된 부분과 마킹이 되지 않은 부분의 명암 차이를 이용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알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킹 팁은, 단면적이 마킹 시 피시술자의 각막을 향하게 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단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대향하여 상기 반사점에 대응하는 가상의 일점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절곡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곡률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곡되어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각막에 마킹하되, 상기 레퍼런스 빔이 조사되는 영역 및 상기 반사점에서부터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으로 상기 레퍼런스 빔에 수직되는 직선 영역을 선으로 마킹하는 마킹 팁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트 홀은 상기 반사점과 각각의 상기 절곡부의 단부가 향하는 상기 가상의 일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상기 그립에 연결하는 조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는, 상기 그립에 대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틸팅과 탄성 복귀가 모두 가능하게끔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실질적인 시력을 결정하는 안구의 '시축'인 각막정점을 추적하기 위한 마킹 작업을 한 번의 마킹만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마킹 포인트를 개별적으로 마킹하였을 때 대비 보다 정확한 각막정점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렌티큘을 절제하기 위한 레이저의 조사점을 각막정점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이를 반영하지 않을 경우 발생되는 코마 및 구면수차와 같은 '고위수차'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이용한 센트레이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안구의 시축인 각막정점과 동공중심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제 수술 과정에서 피시술자의 동공에 레퍼런스 빔이 조사되었을 때 반사되는 반사점과 이를 기준으로 표시된 마킹 포인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반사점을 기준으로 크로스 마커 및 버티컬 마커를 통해 마킹되는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레이저의 조사점을 각막정점에 맞춰 수술을 진행한 경우 코마(coma) 수차의 수치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레이저의 조사점을 일반적인 동공중심에 맞춰 수술을 진행한 경우 코마(coma) 수차의 수치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커 팁과 마커 팁에 의해 마킹된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레이저 조사장치를 피시술자의 안구에 각막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를 통해 설정된 각막정점에 레이저의 조사점을 일치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커 팁의 형태를 변형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커 팁의 형태를 변형한 다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마커 팁의 일례가 적용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A 내지 D 점 사이의 거리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의 조인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이용한 센트레이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크로스 마커(110), 버티컬 마커(120) 및 그립(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크로스 마커(110)는 각막정점(corneal apex)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좌, 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제1 포인트(P1) 및 제2 포인트(P2)를 상기 각막(10) 상에 마킹할 수 있다.
여기서 각막(10)은 안구 표면의 혈관이 없는 조직으로 흔히 검은자위라 불리는 부분이다.
버티컬 마커(120)는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P3)를 상기 각막(10) 상에 마킹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는 도면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접점부위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접점부위를 기점으로 분기된 브랜치(branch)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는 분기된 부분들이 피사술자의 각막(10)에 접근하기 용이하게끔 기 설정된 길이는 갖는 핀(pin)의 형태로 일 방향(피시술자의 각막을 향한 방향)을 향해 모두 구부러져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핀의 형태로 구부러진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선단에는 피시술자의 각막(10)에 직접 접촉하여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를 마킹하는 마킹 팁(10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마킹 팁(102)은 특수 잉크를 사용해 피시술자의 각막(10) 상에 각막정점의 추적을 위한 마킹 포인트인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를 표시하며,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내부에 구비된 심(lead)으로부터 잉크를 공급받거나 별도로 마련된 인주(stamping ink)를 통해 마킹에 필요한 잉크를 수급할 수 있다.
이어서, 그립(130)은 앞서 설명한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립(130)은 손잡이부분을 시술자가 파지하여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를 피시술자의 각막(10)에 접촉시킬 수 있게 마련되고, 손잡이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어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의 접점부위를 연결하는 커넥팅 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가 센트레이션 이후 레이저의 조사점이 될 정확한 각막정점을 추적하기 위한 마킹 포인트인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를 마킹하기 위한 임시 기준점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는 센트레이션 과정에서 피시술자의 각막(10)을 향 해 조사되는 레퍼런스 빔과 각막정점을 기준으로 마킹 포인트인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를 마킹할 수 있다.
이때 각막정점은 피시술자의 동공(12)에 레퍼런스 빔을 조사할 때 반사되는 반사점(14)을 통해 임시로 설정될 수 있다.
동공(12)은 홍채 안쪽 중심에 위치한 원모양의 빈 공간을 말하며, 동공(120)을 중심으로 조사되는 레퍼런스 빔은 제1 레퍼런스 빔(RB1)과 제2 레퍼런스 빔(RB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퍼런스 빔(RB1)은 피시술자의 동공(12)을 중심으로 각막(10)의 좌, 우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레퍼런스 빔(RB2)은 제1 레퍼런스 빔(RB1)과 마찬가지로 피시술자의 동공(12)을 중심으로 조사되되, 각막(10)의 상, 하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퍼런스 빔은 별도의 조사장치에 의해 피시술자의 안구를 향해 조사될 수 있으며,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마킹 작업을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반사점(14)을 통해 마킹의 기준이 되는 각막정점을 임시로 설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여기서 반사점(14)은 도 3과 같이 레퍼런스 빔이 조사될 때 동공(12) 부위로부터 반사되는 일종의 반사광을 말하며 실질적인 안구의 시축인 각막정점과 일치하게 된다.
이처럼 반사점(14)을 통해 임시로 설정된 각막정점(CA)은 도 4와 같이 동공중심(PC)과 차이가 있으며, 센트레이션을 통해 정확한 각막정점(CA)을 측정하고 측정된 각막정점(CA)과 레이저의 조사점을 일치시킴으로써 이를 반영하지 않고 동공중심(PC)을 기준으로 수술을 진행하였을 경우 발생되는 '고위수차'를 방지할 수 있다.
본론으로 돌아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마커(110)는 레퍼런스 빔 중 제1 레퍼런스 빔(RB1)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마킹 포인트를 마킹하며,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피시술자의 각막(10)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게 동시에 마킹하게 된다.
이때 크로스 마커(110)는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가 피시술자의 각막(10)에 조사되는 제1 레퍼런스 빔(RB1)의 범위 내에 위치하게 마킹하되,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HL) 상에 반사점(14)이 위치하도록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의 표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버티컬 마커(120)는 크로스 마커(110)가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마킹하는 과정에서 피시술자의 각막(10)에 접촉할 때 함께 각막(10)의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P3)를 동시에 마킹할 수 있다.
이때 버티컬 마커(120)는 제3 포인트(P3)가 피시술자의 각막(10)에 조사되는 제2 레퍼런스 빔(RB2)의 범위 내에 위치하게 마킹하되,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HL)과 반사점(14)을 기준으로 수직 교차하는 가상의 수직선(VL) 상에 제3 포인트(P3)가 위치하도록 제3 포인트(P3)의 표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를 이용한 마킹 과정은 모두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킹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제3 포인트(P3)는 모두 한 번의 마킹 과정을 통해 동시에 마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마킹 펜(marking pen)을 이용해 여러 번에 나누어 마킹 포인트를 표시하는 종래 방식 대비 한 번의 각막 접촉만으로 신속하게 마킹 포인트의 마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레퍼런스 빔(RB1, RB2)과 반사점(14)을 기준으로 미리 마킹 포인트가 정렬된 상태인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를 이용해 마킹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센트레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센트레이션 과정에서 마킹된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는 이후 수술과정에서 레이저가 조사될 조사점인 각막정점을 추적하기 위한 표식으로 활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막정점은 피시술자의 각막(10)에 마킹된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HL)과 제3 포인트(P3)를 상기 수평선(HL)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VL)의 교차점으로 설정되며, 이는 곧 레이저의 조사점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확한 센트레이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마킹 포인트들에 의해 추적된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스마일 수술을 진행했을 경우에는 도 6을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수술 전 상태(a)에서 측정된 코마(coma) 수차 대비 수술 후 상태(b)에서 측정된 코마 수차가 0.1에서 0.04로 감소하는 수치 변화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코마 수차는 고위수차의 대표적인 예로서 비대칭 수차라고도 불리며, 비스듬히 들어오는 빛의 집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빛의 번짐(퍼짐) 현상을 말한다.
반면, 센트레이션이 생략되고 동공중심을 중심으로 스마일 수술을 진행하였을 경우에는 도 7을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수술 전 상태(a)에서 0.18이던 코마 수차가 수술 후 상태(b)에서 0.42로 증가된 수치 변화를 보이고 있어, 시력 교정의 정도와는 상관없이 고위수차의 증가로 인해 실질적인 시력의 질은 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선단에 구비된 마킹 팁(102)은 마킹 포인트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도 8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마킹 팁(10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원형의 홀(h)이 형성되어, 도 9와 같이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의 중심에 마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공의 센터마크(CM)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킹 포인트의 마킹된 부분과 마킹이 되지 않은 부분인 센터마크(CM)의 상대적인 명암 차이를 이용해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쉽게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마킹 팁(102)의 구성은 각막(10)의 특성상 각막(10) 뒤에 위치하는 홍채에 의해 어두운 색으로 비춰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포인트 마킹으로는 식별력이 떨어졌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10과 같이 레이저 시술을 위해 레이저 조사장치를 피시술자의 각막(10)에 접촉시켰을 때도 센터마크(CM)를 통해 마킹 포인트들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어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각막정점을 추적하고, 추적된 각막정점에 레이저의 조사점(IP)을 일치시켜 레이저를 조사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마킹 팁(10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적이 마킹 시 피시술자의 각막을 향하게 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102')로 변형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변형된 마킹 팁(102') 은 마킹 시 마킹 팁(102)이 각막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혹시 모를 피시술자의 긴장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선단공포증(先端恐怖症) 또는 개인차로 인해 피시술자가 마킹 팁(102)의 접근 시 느낄 수 있는 두려움과 공포감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마킹 팁(102)의 경우 피시술자의 각막에 접촉하더라도 각막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소프트한 재질로 구성됨은 당연하나, 위와 같이 변형된 마킹 팁(102')은 피시술자의 개인차에 따라 마킹 팁(102)의 형상 자체로 인해 두려움을 느낄 수 있음을 염두에 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마킹 팁(102)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 단부에 각각 구비된 절곡부에 선으로 마킹할 수 있는 형태(102")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절곡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절곡부는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꺽여진 단부를 지칭한다고 할 것이며, 여기서 꺽여진 방향은 각막(10)과 대향하여 반사점(14)에 대응하는 가상의 일점(D)을 향하는 방향, 즉 절곡부가 각막(10)과 거의 평행하게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다.
이때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 각각에 구비된 절곡부사이의 거리는 동공(12) 위에 마킹되지 않도록 하는 최소한의 간격이 될 것임은 당연하다.
더욱 상세하게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술한 가상의 일점(D)를 기준으로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 각각에 구비된 절곡부의 끝점(A~C) 사이의 거리(r1~r3)는 동공(12) 크기를 고려하여 약 3.75mm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 각각에 구비된 절곡부의 끝점(A~C) 사이의 거리(r1~r3)를 약 3.75mm로 설정한 것은, 스마일 수술 중에 렌티큘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동공(12) 반경이 약 3.75mm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약 3.75mm의 끝점(A~C) 사이의 거리(r1~r3)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 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 각각에 구비된 절곡부에는 변형된 마킹 팁(102")이 마련되는데, 변형된 마킹 팁(102")에 의해 각막(10)에 직접 접촉하여 마킹되는 것은 레퍼런스 빔(RB1, RB2)이 조사되는 영역이다.
즉, 변형된 마킹 팁(102")은 각막(10)의 곡률반경(r)과 동일한 곡면을 갖도록 만곡된 형태로 각막(10)에 대향하는 절곡부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있어서, 마킹 시 레퍼런스 빔(RB1, RB2)이 조사되는 영역에 선으로 마킹을 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질적으로는 피시술자 개인마다 곡률반경이 모두 다르기에 다양한 크기의 마킹 팁(102")을 구비하고 있다가 적절히 교체하는 방식도 가능하다고 할 것인데, 본 발명의 추가적인 기술적 특징으로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이 변형된 마킹 팁(102")으로 마킹을 할 경우, 다른 형태의 마킹 팁(102, 102')과 달리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를 구별하는 것이 어렵지 않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마킹 팁(102, 102')에 구비된 홀(h)을 굳이 구비할 필요가 없다.
즉, 다른 형태의 마킹 팁(102, 102')의 경우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의 거리가 비교적 멀기 때문에 센터마크(CM)의 상대적인 명암 차이를 이용해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쉽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지만, 변형된 마킹 팁(102")의 경우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에 해당될 수 있는 절곡부의 끝점(A~C)에 의해 마킹되는 부분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굳이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쉽게 파악하게 할 필요가 없을 것이기에, 다른 형태의 마킹 팁(102, 102')에 구비된 홀(h)을 굳이 구비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본 발명을 제품화하는 것까지 고려해본다면, 다른 형태의 마킹 팁(102, 102')에 구비된 홀(h)은 배제하는 것이 제품단가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유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필요에 의하면,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변형된 마킹 팁(102")에도 홀을 구비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변형된 마킹 팁(102")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후술할 제2 실시예와 같이 사이트 홀(150)이 구비되는 경우, 제1 실시예와 달리 레퍼런스 빔이 하나 밖에 조사되지 않을 수 있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경우 버티컬 마커(120)에 구비되는 마커 팁은 다른 형태의 마킹 팁(102, 102')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서 언급할 사이트 홀(150)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이와 같이 도시되지 않고 상세히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례들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러한 다양한 변형례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를 그립(130)에 연결하는 조인트(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인트(140)는 앞서 설명한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가 하나로 연결된 접점부위에 마련될 수 있으며, 그립(130)의 손잡이로부터 연장된 커넥팅 바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140)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 따위의 탄성부재를 이용해 그립(130)에 대한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틸팅과 탄성 복귀가 모두 가능하게끔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술자가 마킹 포인트의 마킹을 위해 피시술자의 각막(10)에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마킹 팁(102)을 접촉시킬 때 과도한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킹 팁(102)의 진입 각도가 살짝 어긋나더라도 안정적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표면에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생략하겠으며, 본 실시예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 실시예 대비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크로스 마커(110), 버티컬 마커(120), 그립(130)을 포함하되 사이트 홀(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트 홀(150)은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 사이에 구비되며,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시술자가 상기 홀을 반사점(14)에 가늠함으로써,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가 반사점(14)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상에 정렬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트 홀(150)은 한 쌍의 크로스 마커(110)의 마킹 팁(102)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 상에 구비되되, 상기 수평선을 수직으로 교차하여 버티컬 마커(120)의 마킹 팁(102)과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레퍼런스 빔(RB)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동공(12)을 중심으로 각막(10)의 좌, 우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될 수 있다.
그리고 크로스 마커(110)는 사이트 홀(150)에 의해 반사점(14)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좌, 우측에 각각 정렬된 상태에서 레퍼런스 빔(RB)의 범위 내에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가 위치하도록 마킹할 수 있다.
또한 버티컬 마커(120) 역시 마찬가지로 사이트 홀(150)에 의해 반사점(14)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하측에 정렬된 상태에서 크로스 마커(110)가 각막(10)에 접촉할 때 함께 각막(10)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P3)를 동시에 마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사이트 홀(150) 을 레퍼런스 빔(RB)에 의해 피시술자의 동공(12)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점(14)에 조준하는 것만으로도 마킹 포인트를 마킹하는 마킹 팁의 위치가 셋팅된 상태인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를 정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센트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사이트 홀(150)의 크기는 반사점(14)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지만, 일례로 약0.5mm로 설계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어디까지나 일례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센트레이션 과정을 통해 마킹된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는 이후 수술과정에서 레이저가 조사될 조사점인 각막정점을 추적하기 위한 표식으로 활용된다.
이때 각막정점은 도 17과 같이 피시술자의 각막(10)에 마킹된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HL)과 제3 포인트(P3)를 상기 수평선(HL)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VL)의 교차점으로 설정되며, 이는 곧 레이저의 조사점이 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술했던 제1 실시예에 마찬가지로 마킹 팁(102)의 중심부에 원형의 홀(h)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의 중심에 마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공의 센터마크(CM, 도 9 참조)가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과 센터마크(CM)의 명암 차이를 이용해 마킹 포인트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의 파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를 그립(130)에 연결하는 조인트(140, 도 15 참조))가 구비되어 그립(130)에 대한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틸팅과 탄성 복귀가 모두 가능하게끔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술자가 마킹 포인트의 마킹을 위해 피시술자의 각막(10)에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마킹 팁(102)을 접촉시킬 때 과도한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킹 팁(102)의 진입 각도가 살짝 어긋나더라도 안정적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표면에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통해 실질적인 시력을 결정하는 안구의 '시축'인 각막정점을 추적하기 위한 마킹 작업을 한 번의 마킹만으로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마킹 펜을 이용한 개별 마킹 대비 보다 정확한 각막정점의 추적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렌티큘을 분리하기 위한 레이저의 조사점을 동공중심이 아닌 각막정점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이를 반영하지 않을 경우 발생되는 고위수차의 증가를 방지하여 수술의 품질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실질적인 시력을 결정하는 안구의 '시축'인 각막정점을 추적하기 위한 마킹 작업을 한 번의 마킹만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제1 포인트 및 제2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한 쌍의 크로스 마커;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버티컬 마커; 및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하나로 연결하며, 시술자가 파지하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피시술자의 각막에 접촉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을 포함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정점은,
    피시술자의 동공에 레퍼런스 빔을 조사할 때 반사되는 반사점을 통해 임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빔은,
    상기 동공을 중심으로 상기 각막의 좌, 우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됨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되는 제1 레퍼런스 빔; 및
    상기 동공을 중심으로 상기 각막의 상, 하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되는 제2 레퍼런스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마커는,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동시에 마킹하며,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가 피시술자의 각막에 조사되는 상기 제1 레퍼런스 빔의 범위 내에 위치하되, 서로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 상에 상기 반사점이 위치하도록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게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티컬 마커는,
    상기 크로스 마커가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마킹할 때 피시술자의 각막에 함께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동시에 마킹하며,
    상기 제3 포인트가 피시술자의 각막에 조사되는 상기 제2 레퍼런스 빔의 범위 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2 포인트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수직 교차하는 가상의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배치되게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의 조사점은,
    피시술자의 각막에 마킹된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2 포인트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수평선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일치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선단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에 마킹하는 마킹 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팁은,
    중심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의 중심에 마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공의 센터마크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마킹된 부분과 마킹이 되지 않은 부분의 명암 차이를 이용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팁은,
    단면적이 마킹 시 피시술자의 각막을 향하게 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단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대향하여 상기 반사점에 대응하는 가상의 일점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절곡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곡률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곡되어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각막에 마킹하되, 상기 제1 레퍼런스 빔 및 상기 제2 레퍼런스 빔이 조사되는 영역을 선으로 마킹하는 마킹 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1.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피시술자의 동공에 레퍼런스 빔을 조사할 때 반사되는 반사점을 통해 각막정점을 임시로 설정하고,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제1 포인트 및 제2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한 쌍의 크로스 마커;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버티컬 마커;
    상기 크로스 마커와 상기 버티컬 마커 사이에 구비되며,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시술자가 상기 홀을 상기 반사점에 가늠함으로써,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가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상에 정렬되게 하는 사이트 홀; 및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하나로 연결하며, 시술자가 파지하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피시술자의 각막에 접촉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을 포함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선단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에 마킹하는 마킹 팁이 구비되며,
    상기 사이트 홀은,
    상기 한 쌍의 크로스 마커의 마킹 팁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 상에 구비되되, 상기 수평선을 수직으로 교차하여 상기 버티컬 마커의 마킹 팁과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빔은,
    상기 동공을 중심으로 상기 각막의 좌, 우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되며,
    상기 크로스 마커는,
    상기 사이트 홀에 의해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정렬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각막에 조사되는 상기 레퍼런스 빔의 범위 내에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티컬 마커는,
    상기 사이트 홀에 의해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크로스 마커가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마킹할 때 피시술자의 각막에 함께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동시에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의 조사점은,
    피시술자의 각막에 마킹된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2 포인트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수평선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일치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팁은,
    중심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의 중심에 마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공의 센터마크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마킹된 부분과 마킹이 되지 않은 부분의 명암 차이를 이용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팁은,
    단면적이 마킹 시 피시술자의 각막을 향하게 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단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대향하여 상기 반사점에 대응하는 가상의 일점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절곡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곡률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곡되어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각막에 마킹하되, 상기 레퍼런스 빔이 조사되는 영역 및 상기 반사점에서부터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으로 상기 레퍼런스 빔에 수직되는 직선 영역을 선으로 마킹하는 마킹 팁이 마련되며,
    상기 사이트 홀은,
    상기 반사점과 각각의 상기 절곡부의 단부가 향하는 상기 가상의 일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9.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상기 그립에 연결하는 조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는,
    상기 그립에 대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틸팅과 탄성 복귀가 모두 가능하게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PCT/KR2018/007751 2017-07-19 2018-07-09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WO201901763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742A KR101893926B1 (ko) 2017-07-19 2017-07-19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KR10-2017-0091742 2017-07-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7635A1 true WO2019017635A1 (ko) 2019-01-24

Family

ID=6340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7751 WO2019017635A1 (ko) 2017-07-19 2018-07-09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3926B1 (ko)
WO (1) WO201901763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523U (ja) * 1993-11-08 1995-05-30 株式会社メニコン 眼手術用マーカ
JP2007037570A (ja) * 2005-07-29 2007-02-15 Eriko Fukuyama 角膜マーカー
JP2013507148A (ja) * 2009-10-09 2013-03-04 マッケン,ピーター,レオ 眼球手術のための眼球マーカー
KR101643648B1 (ko) * 2016-05-09 2016-08-10 강성용 스마일 수술용 렌티큘 분리 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523U (ja) * 1993-11-08 1995-05-30 株式会社メニコン 眼手術用マーカ
JP2007037570A (ja) * 2005-07-29 2007-02-15 Eriko Fukuyama 角膜マーカー
JP2013507148A (ja) * 2009-10-09 2013-03-04 マッケン,ピーター,レオ 眼球手術のための眼球マーカー
KR101643648B1 (ko) * 2016-05-09 2016-08-10 강성용 스마일 수술용 렌티큘 분리 도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R. BHASKAR RAY CHAUDHURI: "A New Slit Lamp Based Method for Corneal Marking for Toric IOL Implantation and A Comparative Series of 60 Eyes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New and Conventional Marking Techniques", APAO-AIOS, 20 January 2013 (2013-01-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926B1 (ko)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5101B2 (ja) 眼科装置
EP0764432B1 (en) System for surgically correcting presbyopia
US5752967A (en) Corneal surface marker and marking method for improving laser centration
Mulhern et al. Topographical analysis of ablation centration after excimer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for high myopia
EP1316287A3 (en) Ophthalmic apparatus and corneal surgery apparatus
JP3679331B2 (ja) 屈折矯正装置
US5740803A (en) Locating the center of the entrance pupil of an eye after pupil dilation
US5938674A (en) Astigmatism reducing cutter
IL110247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special reference frame independent of the machine, for the eye
BR0106072A (pt) Método e sistemas de controle de alinhamento de astigmatismo e de registro do olho
WO1997004725A1 (en) Corneal irrigation cannula
JP2004215889A (ja) 角膜手術装置
US69515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off-center laser ablations in refractive surgery
US112847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orientation of the eye during eye surgeries
WO2019017635A1 (ko)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CN102440749B (zh) 手术显微镜辅助装置和手术显微系统
WO2017135517A1 (ko)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WO2017195912A1 (ko) 스마일 수술용 렌티큘 분리 도구
JP3363425B2 (ja) 瞳孔中心確認記録装置
RU61129U1 (ru) Отметчик роговицы
JP5870650B2 (ja) 眼内レンズ位置決め用器具セット
WO2021251668A1 (ko) 고정 슬리브를 갖는 일루미네이터
WO2020040580A1 (ko) 수정체낭 절개 장치
CN214318148U (zh) 一种白内障手术用撕囊及切口标记装置
DK3145459T3 (en) CORNEA MARKINGS FOR VISION CORRECTION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353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353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3.06.2020)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353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