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926B1 -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 Google Patents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926B1
KR101893926B1 KR1020170091742A KR20170091742A KR101893926B1 KR 101893926 B1 KR101893926 B1 KR 101893926B1 KR 1020170091742 A KR1020170091742 A KR 1020170091742A KR 20170091742 A KR20170091742 A KR 20170091742A KR 101893926 B1 KR101893926 B1 KR 101893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cornea
marking
markers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용
최진영
댄 제트. 라인슈타인
Original Assignee
강성용
최진영
댄 제트. 라인슈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용, 최진영, 댄 제트. 라인슈타인 filed Critical 강성용
Priority to KR1020170091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926B1/ko
Priority to PCT/KR2018/007751 priority patent/WO201901763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825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for photodisruption
    • A61F9/00827Refractive correction, e.g. len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04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specifi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37Visible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44Feedback systems
    • A61F2009/00846Eyetrac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제1 포인트 및 제2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한 쌍의 크로스 마커와,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버티컬 마커와,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하나로 연결하며, 시술자가 파지하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피시술자의 각막에 접촉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을 포함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가 개시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실질적인 시력을 결정하는 안구의 '시축'인 각막정점을 추적하기 위한 마킹 작업을 한 번의 마킹만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마킹 포인트를 개별적으로 마킹하였을 때 대비 보다 정확한 각막정점의 추적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렌티큘을 분리하기 위한 레이저의 조사점을 시력의 광학적 중심인 동공중심이 아닌 각막정점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이를 반영하지 않을 경우 발생되는 코마 및 구면수차와 같은 '고위수차'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MARKING TOOL FOR SMILE SURGERY}
본 발명은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어 각막정점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정과정의 간소화를 통해 신뢰도와 수술품질을 높일 수 있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이다.
통칭 '스마일 수술(ReLEX SMILE; 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은 종래 '라식 수술(LASIK; Laser Assisted in Situ Keratomileusis)'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시력교정 수술의 하나로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교정량만큼의 각막실질조각인 렌티큘(lenticule)을 절제한 후 적출함으로써 원시나 근시, 난시 및 혼합 난시, 그리고 노안에 의한 시력저하를 교정해주는 수술 방법이다.
이와 같은 스마일 수술의 가장 큰 특징은 종래 라식이나 라섹처럼 각막 표면에 절개를 형성하거나 표층을 벗겨내는 것이 아닌 레이저를 이용해 시력 교정량만큼의 렌티큘을 절개한 후 이를 국소부위의 절개창을 통해 적출해내기 때문에, 피시술자의 시력, 각막 강성도에 따라 절제할 렌티큘의 두께와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른 스마일 수술의 장점은 각막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수술 후유증 및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회복이 급속도로 빨라 피시술자의 신속한 일상생활의 복귀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마일 수술에 있어 중요한 사항 중 하나는 각막실질을 절제하기 위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설정하는 것이다.
정확한 시력교정을 위해서는 레이저의 조사점을 '각막정점(corneal apex, corneal vertex)'에 맞춰 수술을 진행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레이저의 조사점이 되어야 할 각막정점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피시술자의 각막에 이를 표시하는 특수 마킹기법을 '센트레이션(Centration)'이라 한다.
위와 같은 센트레이션을 통해 각막정점의 측정과 표시를 통해 렌티큘을 분리하기 위한 레이저의 조사점을 동공중심이 아닌 시력의 광학적 중심인 각막정점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하지 않을 경우 발생되는 '고위수차' 증가로 인한 광학적 부작용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공의 중심과 시력의 중심이 닿는 점인 광학적 중심은 다르며 실질적인 시력을 결정하는 안구의 '시축'은 동공중심이 아닌 각막정점이기 때문에, 만약 이를 반영하지 않고 수술을 진행하게 될 경우 코마, 구면수차와 같은 '고위수차'가 증가하여 수술품질과 피시술자의 만족도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위수차라함은 교정시력과 별개로 실제 느껴지는 시력의 질적 저하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야간시력 저하, 눈부심, 빛 번짐, 흐린 시야, 별무리광채, 복시, 대비감도 저하, 잔상현상, 부정난시와 같은 시력이상이 그 일례이다.
아울러 각막정점에 수술을 진행할 경우 정확한 교정 시력만큼만 렌티큘을 절제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각막 손실의 우려 또한 없게 된다.
따라서 센트레이션은 스마일 수술에 있어 수술품질의 향상과 시술 만족도를 위한 중요한 사항이라 볼 수 있다.
한편, 종래 센트레이션은 시술자가 특수 잉크를 사용하는 마킹 펜(marking pen)을 이용해 각막정점의 추적을 위한 마킹 포인트를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표시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종래 센트레이션 기법의 경우 시술자가 마킹 펜을 파지한 상태에서 피시술자에 각막에 여러 개의 마킹 포인트를 일일이 찍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며 번거로웠다.
또한 마킹 포인트의 정확도는 오롯이 시술자의 감각에 의해 좌우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정확도가 시술자의 개인편차에 따라 달라지며 손떨림 등으로 인해 쉽게 오차가 발생됐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센트레이션 기법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센트레이션용 마킹 도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삭제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 2013-507148호(2013.03.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어 각막정점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정과정의 간소화를 통해 신뢰도와 수술품질을 높일 수 있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제1 포인트 및 제2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한 쌍의 크로스 마커;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버티컬 마커; 및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하나로 연결하며, 시술자가 파지하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피시술자의 각막에 접촉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막정점은, 피시술자의 동공에 레퍼런스 빔을 조사할 때 반사되는 반사점을 통해 임시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퍼런스 빔은, 상기 동공을 중심으로 상기 각막의 좌, 우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됨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되는 제1 레퍼런스 빔; 및 상기 동공을 중심으로 상기 각막의 상, 하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되는 제2 레퍼런스 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 마커는,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동시에 마킹하며,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가 피시술자의 각막에 조사되는 상기 제1 레퍼런스 빔의 범위 내에 위치하되, 서로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 상에 상기 반사점이 위치하도록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게 마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티컬 마커는, 상기 크로스 마커가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마킹할 때 피시술자의 각막에 함께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동시에 마킹하며, 상기 제3 포인트가 피시술자의 각막에 조사되는 상기 제2 레퍼런스 빔의 범위 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2 포인트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수직 교차하는 가상의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배치되게 마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이저의 조사점은, 피시술자의 각막에 마킹된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2 포인트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수평선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일치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선단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에 마킹하는 마킹 팁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킹 팁은, 중심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의 중심에 마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공의 센터마크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마킹된 부분과 마킹이 되지 않은 부분의 명암 차이를 이용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알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킹 팁은, 단면적이 마킹 시 피시술자의 각막을 향하게 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단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대향하여 상기 반사점에 대응하는 가상의 일점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절곡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곡률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곡되어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각막에 마킹하되, 상기 제1 레퍼런스 빔 및 상기 제2 레퍼런스 빔이 조사되는 영역을 선으로 마킹하는 마킹 팁이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피시술자의 동공에 레퍼런스 빔을 조사할 때 반사되는 반사점을 통해 각막정점을 임시로 설정하고,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제1 포인트 및 제2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한 쌍의 크로스 마커;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버티컬 마커; 상기 크로스 마커와 상기 버티컬 마커 사이에 구비되며,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시술자가 상기 홀을 상기 반사점에 가늠함으로써,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가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상에 정렬되게 하는 사이트 홀; 및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하나로 연결하며, 시술자가 파지하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피시술자의 각막에 접촉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선단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에 마킹하는 마킹 팁이 구비되며, 상기 사이트 홀은, 상기 한 쌍의 크로스 마커의 마킹 팁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 상에 구비되되, 상기 수평선을 수직으로 교차하여 상기 버티컬 마커의 마킹 팁과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퍼런스 빔은, 상기 동공을 중심으로 상기 각막의 좌, 우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되며, 상기 크로스 마커는, 상기 사이트 홀에 의해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정렬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각막에 조사되는 상기 레퍼런스 빔의 범위 내에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마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티컬 마커는, 상기 사이트 홀에 의해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크로스 마커가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마킹할 때 피시술자의 각막에 함께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동시에 마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의 조사점은, 피시술자의 각막에 마킹된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2 포인트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수평선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일치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킹 팁은, 중심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의 중심에 마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공의 센터마크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마킹된 부분과 마킹이 되지 않은 부분의 명암 차이를 이용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알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킹 팁은, 단면적이 마킹 시 피시술자의 각막을 향하게 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단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대향하여 상기 반사점에 대응하는 가상의 일점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절곡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곡률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곡되어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각막에 마킹하되, 상기 레퍼런스 빔이 조사되는 영역 및 상기 반사점에서부터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으로 상기 레퍼런스 빔에 수직되는 직선 영역을 선으로 마킹하는 마킹 팁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트 홀은 상기 반사점과 각각의 상기 절곡부의 단부가 향하는 상기 가상의 일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상기 그립에 연결하는 조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는, 상기 그립에 대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틸팅과 탄성 복귀가 모두 가능하게끔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실질적인 시력을 결정하는 안구의 '시축'인 각막정점을 추적하기 위한 마킹 작업을 한 번의 마킹만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마킹 포인트를 개별적으로 마킹하였을 때 대비 보다 정확한 각막정점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렌티큘을 절제하기 위한 레이저의 조사점을 각막정점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이를 반영하지 않을 경우 발생되는 코마 및 구면수차와 같은 '고위수차'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이용한 센트레이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안구의 시축인 각막정점과 동공중심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제 수술 과정에서 피시술자의 동공에 레퍼런스 빔이 조사되었을 때 반사되는 반사점과 이를 기준으로 표시된 마킹 포인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반사점을 기준으로 크로스 마커 및 버티컬 마커를 통해 마킹되는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레이저의 조사점을 각막정점에 맞춰 수술을 진행한 경우 코마(coma) 수차의 수치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레이저의 조사점을 일반적인 동공중심에 맞춰 수술을 진행한 경우 코마(coma) 수차의 수치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커 팁과 마커 팁에 의해 마킹된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레이저 조사장치를 피시술자의 안구에 각막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1 포인트 내지 제3 포인트를 통해 설정된 각막정점에 레이저의 조사점을 일치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커 팁의 형태를 변형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커 팁의 형태를 변형한 다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마커 팁의 일례가 적용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A 내지 D 점 사이의 거리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의 조인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이용한 센트레이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크로스 마커(110), 버티컬 마커(120) 및 그립(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크로스 마커(110)는 각막정점(corneal apex)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좌, 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제1 포인트(P1) 및 제2 포인트(P2)를 상기 각막(10) 상에 마킹할 수 있다.
여기서 각막(10)은 안구 표면의 혈관이 없는 조직으로 흔히 검은자위라 불리는 부분이다.
버티컬 마커(120)는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P3)를 상기 각막(10) 상에 마킹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는 도면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접점부위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접점부위를 기점으로 분기된 브랜치(branch)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는 분기된 부분들이 피사술자의 각막(10)에 접근하기 용이하게끔 기 설정된 길이는 갖는 핀(pin)의 형태로 일 방향(피시술자의 각막을 향한 방향)을 향해 모두 구부러져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핀의 형태로 구부러진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선단에는 피시술자의 각막(10)에 직접 접촉하여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를 마킹하는 마킹 팁(10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마킹 팁(102)은 특수 잉크를 사용해 피시술자의 각막(10) 상에 각막정점의 추적을 위한 마킹 포인트인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를 표시하며,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내부에 구비된 심(lead)으로부터 잉크를 공급받거나 별도로 마련된 인주(stamping ink)를 통해 마킹에 필요한 잉크를 수급할 수 있다.
이어서, 그립(130)은 앞서 설명한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립(130)은 손잡이부분을 시술자가 파지하여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를 피시술자의 각막(10)에 접촉시킬 수 있게 마련되고, 손잡이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어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의 접점부위를 연결하는 커넥팅 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가 센트레이션 이후 레이저의 조사점이 될 정확한 각막정점을 추적하기 위한 마킹 포인트인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를 마킹하기 위한 임시 기준점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는 센트레이션 과정에서 피시술자의 각막(10)을 향 해 조사되는 레퍼런스 빔과 각막정점을 기준으로 마킹 포인트인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를 마킹할 수 있다.
이때 각막정점은 피시술자의 동공(12)에 레퍼런스 빔을 조사할 때 반사되는 반사점(14)을 통해 임시로 설정될 수 있다.
동공(12)은 홍채 안쪽 중심에 위치한 원모양의 빈 공간을 말하며, 동공(120)을 중심으로 조사되는 레퍼런스 빔은 제1 레퍼런스 빔(RB1)과 제2 레퍼런스 빔(RB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퍼런스 빔(RB1)은 피시술자의 동공(12)을 중심으로 각막(10)의 좌, 우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레퍼런스 빔(RB2)은 제1 레퍼런스 빔(RB1)과 마찬가지로 피시술자의 동공(12)을 중심으로 조사되되, 각막(10)의 상, 하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퍼런스 빔은 별도의 조사장치에 의해 피시술자의 안구를 향해 조사될 수 있으며,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마킹 작업을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반사점(14)을 통해 마킹의 기준이 되는 각막정점을 임시로 설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여기서 반사점(14)은 도 3과 같이 레퍼런스 빔이 조사될 때 동공(12) 부위로부터 반사되는 일종의 반사광을 말하며 실질적인 안구의 시축인 각막정점과 일치하게 된다.
이처럼 반사점(14)을 통해 임시로 설정된 각막정점(CA)은 도 4와 같이 동공중심(PC)과 차이가 있으며, 센트레이션을 통해 정확한 각막정점(CA)을 측정하고 측정된 각막정점(CA)과 레이저의 조사점을 일치시킴으로써 이를 반영하지 않고 동공중심(PC)을 기준으로 수술을 진행하였을 경우 발생되는 '고위수차'를 방지할 수 있다.
본론으로 돌아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마커(110)는 레퍼런스 빔 중 제1 레퍼런스 빔(RB1)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마킹 포인트를 마킹하며,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피시술자의 각막(10)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게 동시에 마킹하게 된다.
이때 크로스 마커(110)는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가 피시술자의 각막(10)에 조사되는 제1 레퍼런스 빔(RB1)의 범위 내에 위치하게 마킹하되,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HL) 상에 반사점(14)이 위치하도록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의 표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버티컬 마커(120)는 크로스 마커(110)가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마킹하는 과정에서 피시술자의 각막(10)에 접촉할 때 함께 각막(10)의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P3)를 동시에 마킹할 수 있다.
이때 버티컬 마커(120)는 제3 포인트(P3)가 피시술자의 각막(10)에 조사되는 제2 레퍼런스 빔(RB2)의 범위 내에 위치하게 마킹하되,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HL)과 반사점(14)을 기준으로 수직 교차하는 가상의 수직선(VL) 상에 제3 포인트(P3)가 위치하도록 제3 포인트(P3)의 표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를 이용한 마킹 과정은 모두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킹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포인트(P1), 제2 포인트(P2), 제3 포인트(P3)는 모두 한 번의 마킹 과정을 통해 동시에 마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마킹 펜(marking pen)을 이용해 여러 번에 나누어 마킹 포인트를 표시하는 종래 방식 대비 한 번의 각막 접촉만으로 신속하게 마킹 포인트의 마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레퍼런스 빔(RB1, RB2)과 반사점(14)을 기준으로 미리 마킹 포인트가 정렬된 상태인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를 이용해 마킹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센트레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센트레이션 과정에서 마킹된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는 이후 수술과정에서 레이저가 조사될 조사점인 각막정점을 추적하기 위한 표식으로 활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막정점은 피시술자의 각막(10)에 마킹된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HL)과 제3 포인트(P3)를 상기 수평선(HL)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VL)의 교차점으로 설정되며, 이는 곧 레이저의 조사점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확한 센트레이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마킹 포인트들에 의해 추적된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스마일 수술을 진행했을 경우에는 도 6을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수술 전 상태(a)에서 측정된 코마(coma) 수차 대비 수술 후 상태(b)에서 측정된 코마 수차가 0.1에서 0.04로 감소하는 수치 변화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코마 수차는 고위수차의 대표적인 예로서 비대칭 수차라고도 불리며, 비스듬히 들어오는 빛의 집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빛의 번짐(퍼짐) 현상을 말한다.
반면, 센트레이션이 생략되고 동공중심을 중심으로 스마일 수술을 진행하였을 경우에는 도 7을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수술 전 상태(a)에서 0.18이던 코마 수차가 수술 후 상태(b)에서 0.42로 증가된 수치 변화를 보이고 있어, 시력 교정의 정도와는 상관없이 고위수차의 증가로 인해 실질적인 시력의 질은 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선단에 구비된 마킹 팁(102)은 마킹 포인트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도 8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마킹 팁(10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원형의 홀(h)이 형성되어, 도 9와 같이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의 중심에 마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공의 센터마크(CM)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킹 포인트의 마킹된 부분과 마킹이 되지 않은 부분인 센터마크(CM)의 상대적인 명암 차이를 이용해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쉽게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마킹 팁(102)의 구성은 각막(10)의 특성상 각막(10) 뒤에 위치하는 홍채에 의해 어두운 색으로 비춰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포인트 마킹으로는 식별력이 떨어졌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10과 같이 레이저 시술을 위해 레이저 조사장치를 피시술자의 각막(10)에 접촉시켰을 때도 센터마크(CM)를 통해 마킹 포인트들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어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각막정점을 추적하고, 추적된 각막정점에 레이저의 조사점(IP)을 일치시켜 레이저를 조사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마킹 팁(10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적이 마킹 시 피시술자의 각막을 향하게 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102')로 변형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변형된 마킹 팁(102') 은 마킹 시 마킹 팁(102)이 각막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혹시 모를 피시술자의 긴장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선단공포증(先端恐怖症) 또는 개인차로 인해 피시술자가 마킹 팁(102)의 접근 시 느낄 수 있는 두려움과 공포감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마킹 팁(102)의 경우 피시술자의 각막에 접촉하더라도 각막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소프트한 재질로 구성됨은 당연하나, 위와 같이 변형된 마킹 팁(102')은 피시술자의 개인차에 따라 마킹 팁(102)의 형상 자체로 인해 두려움을 느낄 수 있음을 염두에 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과 동일한 목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마킹 팁(102)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 단부에 각각 구비된 절곡부에 선으로 마킹할 수 있는 형태(102")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절곡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절곡부는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꺽여진 단부를 지칭한다고 할 것이며, 여기서 꺽여진 방향은 각막(10)과 대향하여 반사점(14)에 대응하는 가상의 일점(D)을 향하는 방향, 즉 절곡부가 각막(10)과 거의 평행하게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다.
이때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 각각에 구비된 절곡부사이의 거리는 동공(12) 위에 마킹되지 않도록 하는 최소한의 간격이 될 것임은 당연하다.
더욱 상세하게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술한 가상의 일점(D)를 기준으로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 각각에 구비된 절곡부의 끝점(A~C) 사이의 거리(r1~r3)는 동공(12) 크기를 고려하여 약 3.75mm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 각각에 구비된 절곡부의 끝점(A~C) 사이의 거리(r1~r3)를 약 3.75mm로 설정한 것은, 스마일 수술 중에 렌티큘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동공(12) 반경이 약 3.75mm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약 3.75mm의 끝점(A~C) 사이의 거리(r1~r3)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 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 각각에 구비된 절곡부에는 변형된 마킹 팁(102")이 마련되는데, 변형된 마킹 팁(102")에 의해 각막(10)에 직접 접촉하여 마킹되는 것은 레퍼런스 빔(RB1, RB2)이 조사되는 영역이다.
즉, 변형된 마킹 팁(102")은 각막(10)의 곡률반경(r)과 동일한 곡면을 갖도록 만곡된 형태로 각막(10)에 대향하는 절곡부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있어서, 마킹 시 레퍼런스 빔(RB1, RB2)이 조사되는 영역에 선으로 마킹을 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질적으로는 피시술자 개인마다 곡률반경이 모두 다르기에 다양한 크기의 마킹 팁(102")을 구비하고 있다가 적절히 교체하는 방식도 가능하다고 할 것인데, 본 발명의 추가적인 기술적 특징으로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이 변형된 마킹 팁(102")으로 마킹을 할 경우, 다른 형태의 마킹 팁(102, 102')과 달리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를 구별하는 것이 어렵지 않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마킹 팁(102, 102')에 구비된 홀(h)을 굳이 구비할 필요가 없다.
즉, 다른 형태의 마킹 팁(102, 102')의 경우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의 거리가 비교적 멀기 때문에 센터마크(CM)의 상대적인 명암 차이를 이용해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쉽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지만, 변형된 마킹 팁(102")의 경우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에 해당될 수 있는 절곡부의 끝점(A~C)에 의해 마킹되는 부분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굳이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쉽게 파악하게 할 필요가 없을 것이기에, 다른 형태의 마킹 팁(102, 102')에 구비된 홀(h)을 굳이 구비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본 발명을 제품화하는 것까지 고려해본다면, 다른 형태의 마킹 팁(102, 102')에 구비된 홀(h)은 배제하는 것이 제품단가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유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필요에 의하면,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변형된 마킹 팁(102")에도 홀을 구비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변형된 마킹 팁(102")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후술할 제2 실시예와 같이 사이트 홀(150)이 구비되는 경우, 제1 실시예와 달리 레퍼런스 빔이 하나 밖에 조사되지 않을 수 있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경우 버티컬 마커(120)에 구비되는 마커 팁은 다른 형태의 마킹 팁(102, 102')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서 언급할 사이트 홀(150)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이와 같이 도시되지 않고 상세히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례들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러한 다양한 변형례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를 그립(130)에 연결하는 조인트(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인트(140)는 앞서 설명한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가 하나로 연결된 접점부위에 마련될 수 있으며, 그립(130)의 손잡이로부터 연장된 커넥팅 바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140)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 따위의 탄성부재를 이용해 그립(130)에 대한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틸팅과 탄성 복귀가 모두 가능하게끔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술자가 마킹 포인트의 마킹을 위해 피시술자의 각막(10)에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마킹 팁(102)을 접촉시킬 때 과도한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킹 팁(102)의 진입 각도가 살짝 어긋나더라도 안정적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표면에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생략하겠으며, 본 실시예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 실시예 대비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크로스 마커(110), 버티컬 마커(120), 그립(130)을 포함하되 사이트 홀(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트 홀(150)은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 사이에 구비되며,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시술자가 상기 홀을 반사점(14)에 가늠함으로써,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가 반사점(14)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상에 정렬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트 홀(150)은 한 쌍의 크로스 마커(110)의 마킹 팁(102)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 상에 구비되되, 상기 수평선을 수직으로 교차하여 버티컬 마커(120)의 마킹 팁(102)과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레퍼런스 빔(RB)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시술자의 동공(12)을 중심으로 각막(10)의 좌, 우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될 수 있다.
그리고 크로스 마커(110)는 사이트 홀(150)에 의해 반사점(14)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좌, 우측에 각각 정렬된 상태에서 레퍼런스 빔(RB)의 범위 내에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가 위치하도록 마킹할 수 있다.
또한 버티컬 마커(120) 역시 마찬가지로 사이트 홀(150)에 의해 반사점(14)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하측에 정렬된 상태에서 크로스 마커(110)가 각막(10)에 접촉할 때 함께 각막(10)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P3)를 동시에 마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사이트 홀(150) 을 레퍼런스 빔(RB)에 의해 피시술자의 동공(12)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점(14)에 조준하는 것만으로도 마킹 포인트를 마킹하는 마킹 팁의 위치가 셋팅된 상태인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를 정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센트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사이트 홀(150)의 크기는 반사점(14)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지만, 일례로 약0.5mm로 설계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어디까지나 일례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센트레이션 과정을 통해 마킹된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는 이후 수술과정에서 레이저가 조사될 조사점인 각막정점을 추적하기 위한 표식으로 활용된다.
이때 각막정점은 도 17과 같이 피시술자의 각막(10)에 마킹된 제1 포인트(P1)와 제2 포인트(P2)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HL)과 제3 포인트(P3)를 상기 수평선(HL)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VL)의 교차점으로 설정되며, 이는 곧 레이저의 조사점이 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술했던 제1 실시예에 마찬가지로 마킹 팁(102)의 중심부에 원형의 홀(h)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의 중심에 마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공의 센터마크(CM, 도 9 참조)가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포인트(P1) 내지 제3 포인트(P3)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과 센터마크(CM)의 명암 차이를 이용해 마킹 포인트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의 파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크로스 마커(110)와 버티컬 마커(120)를 그립(130)에 연결하는 조인트(140, 도 15 참조))가 구비되어 그립(130)에 대한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틸팅과 탄성 복귀가 모두 가능하게끔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술자가 마킹 포인트의 마킹을 위해 피시술자의 각막(10)에 크로스 마커(110) 및 버티컬 마커(120)의 마킹 팁(102)을 접촉시킬 때 과도한 압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킹 팁(102)의 진입 각도가 살짝 어긋나더라도 안정적으로 피시술자의 각막(10) 표면에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를 통해 실질적인 시력을 결정하는 안구의 '시축'인 각막정점을 추적하기 위한 마킹 작업을 한 번의 마킹만으로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마킹 펜을 이용한 개별 마킹 대비 보다 정확한 각막정점의 추적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렌티큘을 분리하기 위한 레이저의 조사점을 동공중심이 아닌 각막정점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이를 반영하지 않을 경우 발생되는 고위수차의 증가를 방지하여 수술의 품질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각막
12: 동공
14: 반사점
110: 크로스 마커
120: 버티컬 마커
130: 그립
140: 조인트
150: 사이트 홀

Claims (19)

  1.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피시술자의 동공에 레퍼런스 빔을 조사할 때 반사되는 반사점을 통해 임시로 설정되는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제1 포인트 및 제2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한 쌍의 크로스 마커;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버티컬 마커; 및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하나로 연결하며, 시술자가 파지하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피시술자의 각막에 접촉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을 포함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빔은,
    상기 동공을 중심으로 상기 각막의 좌, 우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됨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되는 제1 레퍼런스 빔; 및
    상기 동공을 중심으로 상기 각막의 상, 하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되는 제2 레퍼런스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마커는,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동시에 마킹하며,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가 피시술자의 각막에 조사되는 상기 제1 레퍼런스 빔의 범위 내에 위치하되, 서로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 상에 상기 반사점이 위치하도록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게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티컬 마커는,
    상기 크로스 마커가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마킹할 때 피시술자의 각막에 함께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동시에 마킹하며,
    상기 제3 포인트가 피시술자의 각막에 조사되는 상기 제2 레퍼런스 빔의 범위 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2 포인트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수직 교차하는 가상의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배치되게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의 조사점은,
    피시술자의 각막에 마킹된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2 포인트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수평선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일치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선단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에 마킹하는 마킹 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팁은,
    중심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의 중심에 마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공의 센터마크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마킹된 부분과 마킹이 되지 않은 부분의 명암 차이를 이용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팁은,
    단면적이 마킹 시 피시술자의 각막을 향하게 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단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대향하여 상기 반사점에 대응하는 가상의 일점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절곡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곡률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곡되어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각막에 마킹하되, 상기 제1 레퍼런스 빔 및 상기 제2 레퍼런스 빔이 조사되는 영역을 선으로 마킹하는 마킹 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1. 스마일 수술 시 레이저의 조사점을 피시술자의 각막정점에 일치시키는 센트레이션 기법에 사용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피시술자의 동공에 레퍼런스 빔을 조사할 때 반사되는 반사점을 통해 각막정점을 임시로 설정하고,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접촉하여 제1 포인트 및 제2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한 쌍의 크로스 마커;
    상기 각막정점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 상에 마킹하는 버티컬 마커;
    상기 크로스 마커와 상기 버티컬 마커 사이에 구비되며,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시술자가 상기 홀을 상기 반사점에 가늠함으로써,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가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상에 정렬되게 하는 사이트 홀; 및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하나로 연결하며, 시술자가 파지하여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피시술자의 각막에 접촉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립을 포함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선단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각막에 마킹하는 마킹 팁이 구비되며,
    상기 사이트 홀은,
    상기 한 쌍의 크로스 마커의 마킹 팁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 상에 구비되되, 상기 수평선을 수직으로 교차하여 상기 버티컬 마커의 마킹 팁과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빔은,
    상기 동공을 중심으로 상기 각막의 좌, 우측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만큼의 폭을 갖고 조사되며,
    상기 크로스 마커는,
    상기 사이트 홀에 의해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좌, 우측에 각각 정렬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각막에 조사되는 상기 레퍼런스 빔의 범위 내에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티컬 마커는,
    상기 사이트 홀에 의해 상기 반사점을 기준으로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에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크로스 마커가 상기 제1 포인트 및 상기 제2 포인트를 마킹할 때 피시술자의 각막에 함께 접촉하여 제3 포인트를 동시에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의 조사점은,
    피시술자의 각막에 마킹된 상기 제1 포인트와 상기 제2 포인트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과 상기 제3 포인트를 상기 수평선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수직선의 교차점에 일치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팁은,
    중심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가 마킹되었을 때 마킹된 부분의 중심에 마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공의 센터마크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마킹된 부분과 마킹이 되지 않은 부분의 명암 차이를 이용해 상기 제1 포인트 내지 상기 제3 포인트의 식별력을 높이고 중심점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팁은,
    단면적이 마킹 시 피시술자의 각막을 향하게 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단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대향하여 상기 반사점에 대응하는 가상의 일점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절곡부에는, 피시술자의 각막곡률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곡되어 피시술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각막에 마킹하되, 상기 레퍼런스 빔이 조사되는 영역 및 상기 반사점에서부터 피시술자의 각막 하측으로 상기 레퍼런스 빔에 수직되는 직선 영역을 선으로 마킹하는 마킹 팁이 마련되며,
    상기 사이트 홀은,
    상기 반사점과 각각의 상기 절곡부의 단부가 향하는 상기 가상의 일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19.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를 상기 그립에 연결하는 조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는,
    상기 그립에 대한 상기 크로스 마커 및 상기 버티컬 마커의 틸팅과 탄성 복귀가 모두 가능하게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KR1020170091742A 2017-07-19 2017-07-19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KR101893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742A KR101893926B1 (ko) 2017-07-19 2017-07-19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PCT/KR2018/007751 WO2019017635A1 (ko) 2017-07-19 2018-07-09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742A KR101893926B1 (ko) 2017-07-19 2017-07-19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926B1 true KR101893926B1 (ko) 2018-08-31

Family

ID=6340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742A KR101893926B1 (ko) 2017-07-19 2017-07-19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3926B1 (ko)
WO (1) WO2019017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7283A (zh) * 2020-12-28 2021-04-02 厦门大学附属厦门眼科中心有限公司 一种用于散光矫正型人工晶状体植入的标记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7148A (ja) 2009-10-09 2013-03-04 マッケン,ピーター,レオ 眼球手術のための眼球マ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523U (ja) * 1993-11-08 1995-05-30 株式会社メニコン 眼手術用マーカ
JP4495045B2 (ja) * 2005-07-29 2010-06-30 会里子 福山 角膜マーカー
KR101643648B1 (ko) * 2016-05-09 2016-08-10 강성용 스마일 수술용 렌티큘 분리 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7148A (ja) 2009-10-09 2013-03-04 マッケン,ピーター,レオ 眼球手術のための眼球マ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7635A1 (ko)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8674A (en) Astigmatism reducing cutter
AU2011372762B2 (en) Device and method for a laser-assisted eye surgery treatment system
US6217596B1 (en) Corneal surface and pupillary cardinal axes marker
JP3958363B2 (ja) 患者の目の乱視を診断して外科的に矯正するための情報を外科医に提供するための装置
Mulhern et al. Topographical analysis of ablation centration after excimer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for high myopia
JP5503529B2 (ja) 屈折矯正手術の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EP0729327A1 (en) Optical guide and measurement appliance
EP1316287A3 (en) Ophthalmic apparatus and corneal surgery apparatus
US20160089271A1 (en) Method for Alignment of Intraocular Lens
US8052705B2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scrubbing the corneal epithelium
US112847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orientation of the eye during eye surgeries
US55711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surgery on the cornea of an eye
KR101893926B1 (ko)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KR101654539B1 (ko)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RU61129U1 (ru) Отметчик роговицы
KR20100013011A (ko) 수정체낭 절개 기구
TW201714592A (zh) 用於在眼睛上產生塗料標記之裝置及方法
GB2485361A (en) Ophthalmic marking tool
KR20180039017A (ko) 시력 교정 수술에서의 각막 마크
JP5870650B2 (ja) 眼内レンズ位置決め用器具セット
CN215273809U (zh) 双头角膜散光轴位标记器
TW201703742A (zh) 用於界定角膜瓣幾何形狀之裝置
CN213217703U (zh) 一种全飞秒激光无创精准定位标记工具
CN218552309U (zh) 一种角膜散光轴向标记器
US11529229B2 (en) Intraocular lens, intraocular lens fixing assistance syste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