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69252A1 -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69252A1
WO2018169252A1 PCT/KR2018/002786 KR2018002786W WO2018169252A1 WO 2018169252 A1 WO2018169252 A1 WO 2018169252A1 KR 2018002786 W KR2018002786 W KR 2018002786W WO 2018169252 A1 WO2018169252 A1 WO 201816925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ydrogen
benzyl
sulfonamide
nitro
phenoxycarbo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27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재열
이경태
류종훈
정희락
김선영
김진한
정다운
윤홍빈
김영훈
이주희
박창민
오세환
김영관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국제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국제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816925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692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50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07C311/52Y being a hetero atom
    • C07C311/53X and Y not being nitrogen atoms, e.g. N-sulfonylcarbam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8Sulfon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3/00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 C07C303/36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of amides of sulfonic acids
    • C07C303/40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of amides of sulfonic aci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sulfonamide group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N-benzyl-N-phenoxycarbonyl-phenyl sulfonamide derivativ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more particularly microsomal prostaglandin E synthase 2 -1 (microsomal prostaglandin E synthase -1: N -benzyl- N -phenoxycarbonyl-phenylsulfonamide derivatives which block the production of inflammation factor PGE 2 through the inhibition of mPGES-1),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 pharmaceutical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It relates to a composition.
  • Prostanoid is an endocrine substances involved in various physiological action, prostaglandin E 2, one of which (prostaglandin E 2: PGE 2) is known to be involved in inflammation.
  • COX-2 inhibitor that selectively inhibits only the cyclooxygenase-2 (COX-2) enzyme has been developed.
  • a representative COX-2 inhibitor is Pleizer's Selecock.
  • Celecoxib (Celebrex TM ), G. D. Valdecoxib (Bextra TM ) from Merck (GD Searle & Company) and rofecoxib (Vioxx TM ) from Merck. They have been widely used for arthritis, severe pain, rheumatism and the like.
  • microsomal prostaglandin E synthase 2 -1 microsomal prostaglandin E synthase-1 : mPGES-1
  • mPGES-1 microsomal prostaglandin E synthase-1
  • mPGES-1 inhibition has been shown to be as effective as treatment with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in pain and inflammation animal model studies, and is effective in treating diseases such as inflammation, arthritis, high fever, pain, cancer, stroke, and Alzheimer's disease. Is expected to be.
  • Korean Patent No. 10-1680455 discloses an N -phenyl- N' -phenoxycarbonyl-phenylsulfonhydrazide derivative of Formula I as an inhibitor of mPGES-1.
  • the compound of formula (I) is converted to other regio-isomers having weak activity when stored for a long tim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solution state [EB Park, KJ Kim, HR Jeong, JK Lee, HJ Kim, HH Lee, JW Lim, J.-S. Shin, A. Koeberle, O. Werz, K.-T. Lee, JY Lee Bioorg. Med. Chem. Lett. 26 (2016), p. 5193.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N -benzyl- N -phenoxycarbonyl-phenylsulfonamide derivatives of the formula (II)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which strongly inhibit the production of PGE 2 .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N -benzyl- N -phenoxycarbonyl-phenylsulfonamide derivative of formula II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mPGES-1 containing N -benzyl- N -phenoxycarbonyl-phenylsulfonam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II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 -benzyl- N -phenoxycarbonyl-phenylsulfonamide derivatives of the general formula (II) below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R 1 is an alkoxy group of hydrogen, C 1 -C 6 alkyl group or a C 1 -C 6,
  • R 2 is hydrogen, C 1 -C 6 alkyl group, alkoxy group, halogen, nitro C 1 -C 6, or a haloalkyl group or an aryl group of C 1 -C 6,
  • R 1 and R 2 together with the carbon atom to which they are attached form a 4-7 hexagonal hydrocarbon ring or a heterohydrocarbon ring,
  • R 3 is hydrogen, an alkyl group of C 1 -C 6 , a halogen, a nitro or an alkoxy group of C 1 -C 6 ,
  • R 4 is hydrogen, an alkyl group of C 1 -C 6 , a halogen, a nitro or an alkoxy group of C 1 -C 6 ,
  • R 5 is hydrogen, an alkyl group of C 1 -C 6 , a halogen, a nitro or an alkoxy group of C 1 -C 6 ,
  • R 6 is an alkoxy group of hydrogen, C 1 -C 6 alkyl group or a C 1 -C 6,
  • R 7 is an alkoxy group of hydrogen, C 1 -C 6 alkyl group or a C 1 -C 6,
  • R 8 is hydrogen, an alkoxy group or an aryloxy group of C 1 -C 6 alkyl group, a C 1 -C 6,
  • R 7 and R 8 together with the carbon atom to which they are attached form a 4-7 hexagonal hydrocarbon ring or heterohydrocarbon ring.
  • an alkyl group of C 1 -C 6 means a straight or branched hydrocarbon having 1 to 6 carbon atoms, for example, methyl, ethyl, n-propyl, i-propyl, n-butyl, i -Butyl, t-butyl,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a C 1 -C 6 alkoxy group means a straight or branched alkoxy group composed of 1 to 6 carbon atoms, and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methoxy, ethoxy, n-propaneoxy and the like.
  • a haloalkyl group of C 1 -C 6, as used herein, means fluorine, chlorine, bromine and substituted carbon atom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odine by at least one halogen selected from 1 to 6 straight-chain or branched hydrocarbon, and e.g. Trifluoromethyl, trichloromethyl,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aryl group includes both aromatic groups and heteroaromatic groups and their partially reduced derivatives.
  • the aromatic group is a simple or fused ring of 5 to 15 members
  • heteroaromatic group refers to an arom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one oxygen, sulfur or nitrogen.
  • Examples of representative aryl groups are phenyl, naphthyl, pyridinyl, furanyl, thiophenyl, indolyl, quinolinyl, imida Izolizyl, oxazolyl, thiazolyl, tetrahydronaphthyl,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4 to 7 hexagonal hydrocarbon ring means a 4 to 7 membered hydrocarbon ring, and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yclobutane, cyclopentane, cyclohexane, and the like.
  • a 4 to 7 hexagonal heterohydrocarbon ring means a functional group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ring carbons of a 4 to 7 membered hydrocarbon ring is replaced with oxygen, sulfur or nitrogen, for example, oxolane, oxane, thia Zolidine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ryloxy group refers to an oxygen functional group bonded to an aryl group, and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phenoxy, benzyloxy, and the like.
  • Or more hydrogen is C 1 -C 6 alkyl group, C 2 -C 6 alkenyl group, C 2 -C 6 alkynyl group, C 3 -C 10 cycloalkyl group, C 1 -C 6 haloalkyl group, C 1 -C 6 alkoxy group, C 1 -C 6 thioalkoxy group, aryl group, acyl group, hydroxy, thio, halogen, amino, alkoxycarbonyl, carboxy, carbamoyl, cyano, nitro And the like can be substituted.
  • the N -benzyl- N -phenoxycarbonyl-phenylsulfonamide derivative is N -benzyl- N -phenoxycarbonyl-phenylsulfonamide derivative
  • R 1 is hydrogen
  • R 2 is or a alkoxy group, a halogen nitro or a hydrogen, an alkyl group of C 1 -C 6, C 1 -C 6,
  • R 1 and R 2 together with the carbon atom to which they are attached form a 4 to 7 hexagonal heterohydrocarbon ring
  • R 3 is hydrogen or halogen
  • R 4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of C 1 -C 6 ,
  • R 5 is hydrogen, nitro or alkoxy group of C 1 -C 6 ,
  • R 6 is hydrogen or an alkoxy group of C 1 -C 6 ,
  • R 7 is hydrogen
  • R 8 is hydrogen or an aryloxy group
  • R 7 and R 8 are compounds which together with the carbon atoms to which they are attached form a 4 to 7 hexagonal hydrocarbon ring.
  • the N -benzyl- N -phenoxycarbonyl-phenylsulfonamide derivative is N -benzyl- N -phenoxycarbonyl-phenylsulfonamide derivative
  • R 1 is hydrogen
  • R 2 is hydrogen, i-propyl, t-butyl, methoxy, chloro or nitro,
  • R 1 and R 2 together with the carbon atoms to which they are attached form a pentagonal oxolane
  • R 3 is hydrogen or chloro
  • R 4 is hydrogen or methyl
  • R 5 is hydrogen, nitro or methoxy
  • R 6 is hydrogen or methoxy
  • R 7 is hydrogen
  • R 8 is hydrogen, phenoxy or benzyloxy, or
  • R 7 and R 8 together with the carbon atoms to which they are attached form a pentagonal hydrocarbon ring.
  • compositions herein include both non-toxic inorganic and organic acid salts, for example hydrochloride, sulfate, nitrate, phosphate, acetate, adipate, aspartate, benzoate, benzenesulfonate Acid, citrate, camphorate, camphorsulfonate, diphosphate, ethanesulfonate, fumarate, glutamate, malate, lactate, methanesulfonate, succinate, tartrate Acid salts, picrate salts, tosylate salts and the like.
  • non-toxic inorganic and organic acid salts for example hydrochloride, sulfate, nitrate, phosphate, acetate, adipate, aspartate, benzoate, benzenesulfonate Acid, citrate, camphorate, camphorsulfonate, diphosphate, ethanesulfonate, fumarate, glutamate, malate, lactate, methanes
  • Representative compounds of the compounds of the invention are selected from the following group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n N -benzyl- N -phenoxycarbonyl-phenylsulfonamide derivative of Formula II comprising reacting a compound of Formula III with a compound of Formula IV:
  • R 1 , R 2 , R 3 , R 4 , R 5 , R 6 , R 7 and R 8 are as defined in Formula II.
  • the compound of formula III and compound of formula IV are reacted in the presence of a base.
  • triethylamine pyridine, N, N -diisopropylethylamine, etc.
  • triethylamine is preferably used.
  • the reaction may be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reaction solvent, or may be performed using tetrahydrofuran (THF), 1,4-dioxane, diethyl ether, or the like as a reaction solvent.
  • THF tetrahydrofuran
  • 1,4-dioxane 1,4-dioxane
  • diethyl ether or the like as a reaction solvent.
  • the re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room temperature.
  • the compound of Formula III and the compound of Formula IV can be obtained commercially or easily prepared by known methods.
  • the compound of Formula III may be prepared by reacting a compound of Formula V with a compound of Formula VI.
  • R 1 , R 2 , R 3 , R 4 and R 5 are as defined in Formula II.
  • the reaction may be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base, and the base may be triethylamine (TEA), pyridine, N , N -diisopropylethylamine and the like, preferably triethylamine.
  • TAA triethylamine
  • pyridine pyridine
  • N N -diisopropylethylamine
  • triethylamine preferably triethylamine
  • Tetrahydrofuran (THF), 1,4-dioxane, diethyl ether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reaction solvent,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room temperature.
  • the compound of Formula IV may be prepared by reacting a compound of Formula VII and triphosgene of Formula VIII.
  • R 6 , R 7 and R 8 are as defined in Formula II above.
  • the reaction may be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base, and the base may be triethylamine (TEA), pyridine, N , N -diisopropylethylamine (DIPEA), etc., preferably N , N ⁇ Diisopropylethylamine is used.
  • TAA triethylamine
  • DIPEA diisopropylethylamine
  • Tetrahydrofuran (THF), 1,4-dioxane, diethyl ether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reaction solvent,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0 to 10 ° C.
  • the compound of formula I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shows excellent PGE 2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through inhibition of microsomal prostaglandin E 2 synthase-1 (mPGES-1) (see Test Example 2). .
  • the compound of formula (II)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fficacy in inhibiting paw-edema and ear-edema in animal model experiments (see Test Example 3).
  • the compound of Formula II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the effect of improving memory in animal model experiments (see Test Example 4).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microsomal prostaglandin E 2 synthase-1 (mPGES-1) comprising the compound of Formula II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gether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mPGES-1 microsomal prostaglandin E 2 synthase-1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brain diseases such as inflammation, arthritis, high fever, pain, cancer, stroke or Alzheimer's diseas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eg, by taking or inhaling) or parenterally (eg by injection, deposition, transplantation, suppository), and the injection may for example be intravenous injection. , Intracutane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or intraperitoneal injec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tablets, capsules, granules, fine subtilae, powders, sublingual tablets, suppositories, ointments, injections, emulsions, suspensions, syrups, sprays and the like. Can be formulat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can be prepared by known techniques using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commonly used in each formulation.
  • Examples of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 excipients, binders, disintegrating agents, lubricants, preservatives, antioxidants, isotonic agents, buffers, coatings, sweeteners, solubilizers, bases, dispersants, wetting agents , Suspending agents, stabilizers, coloring agents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from about 0.01 to 95% by weight of the compound of the inventio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specific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ammal including the person being treated, weight, sex, degree of disease, judgment of a doctor, and the like.
  • 0.01 to 50 mg of active ingredient per kg of body weight is administered per day
  • 0.01 to 10 mg of active ingredient per kg of body weight are administered per day.
  • the total daily dose may be administered at one time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 disease, the judgment of the doctor.
  •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excellent stability in the manufacturing and storage process and do not inhibit the enzyme of human cytochrome P450 (CYP), which is involved in the metabolism of toxic substances in the liver, while also preventing microsomal prostaglandin E 2 synthase-1 (mPGES-1). Inhibition shows excellent PGE 2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efficacy in inhibiting edema and improving cognitive ability in animal model experiments. Accordingly,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brain diseases such as inflammation, arthritis, high fever, pain, cancer, stroke or Alzheimer's disease.
  • Figure 1a shows the results of the paw edema inhibition experiment of the compound of Example 21 (MPO-0112)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21 shows the results of ear edema inhibition experiment of the compound of Example 21 (MPO-0112)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the effect of improving memory loss of compound (MPO-0112) of Example 2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assive avoidance experiment.
  • Example 21 shows the results of mPGES-1 inhibition of the compound of Example 21 (MPO-0112) of the present invention.
  • 2-chlorobenzylamine (0.30 g, 2.15 mmol, 1.0 eq) was dissolved in tetrahydrofuran solvent at room temperature, followed by 4-chlorophenylsulfonyl chloride (0.50 g, 2.37 mmol, 1.1 eq) and triethylamine ( TEA) (0.30 ml, 2.80 mmol, 1.3 eq) was added at 0 ° C. and then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 4-chlorophenylsulfonyl chloride (0.50 g, 2.37 mmol, 1.1 eq
  • TEA triethylamine
  • Triphosgene (2.37 g, 7.99 mmol, 0.8 eq) was dissolved in anhydrous THF solvent under anhydrous conditions and then 4- (benzyloxy) phenol] (2.00 g, 9.99 mmol, 1.0 eq) was dissolved in anhydrous THF solvent and added, diisopropylethylamine (DIPEA) (1.74 ml, 9.99 mmol, 1.0 eq) was added slowly and stirred at 0 ° C. for 16 h.
  • DIPEA diisopropylethylamine
  • Raw264.7 (mouse macrophage) was used by the Korea Cell Line Bank (KCLB) and contained 10% FBS (Fetal Bovine Serum), penicillin (100 unit / ml), and streptomycin sulfate (100 ⁇ g / ml). Incubated in DMEM mediu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in a humid environment of 37 °C, 5% carbon dioxide. Cells were collected by centrifugation and scraper and placed in 1 ⁇ 10 5 / well in 96 well plates containing 100 ⁇ l of RPMI 1640 medium containing 10% FBS.
  • DMEM mediu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 IC 50 refers to a concentration at which the number of cells shows a 50% reduction compared to when no compound is treated.
  • Raw264.7 (mouse macrophage) was used by Korea Cell Line Bank (KCLB) and used at 37 ° C. in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penicillin (100 unit / mL) and streptomycin sulfate (100 ⁇ g / mL). And 5% carbon dioxide in a humid environment.
  • RAW264.7 was seeded (1 mL) in 24 wells at 5 ⁇ 10 5 cells / mL using DMEM medium, left overnight, the medium was changed and the drug treated at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After incubation for 1 hour, LPS was treated at 1 ⁇ g / mL and incubated for 24 hours (or appropriate time). Supernatant was taken and diluted 5-fold.
  • the N -benzyl- N -phenoxycarbonyl-phenylsulfonamide deriva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d little cytotoxicity against Raw264.7 (mouse macrophage line) at a concentration of 1 or 0.1 ⁇ M.
  • the comp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n excellent inhibitory effect of PGE 2 production in the range of 55.8 to 93.2% at 1 ⁇ M concentration, and an excellent inhibitory effect of PGE 2 production in the range of 50.4 to 78.1% at 0.1 ⁇ M concentration.
  • the compounds according to the invention exhibited potent PGE 2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with IC 50 values ranging from 181.46 to 852.73 nM.
  • Test Example 3 Foot-edema and ear-edema inhibition experiments in animal models
  • the volume of the right hind paw of the rat was measured at 7 rats per group, and the compound of Example 21 (MPO-0112)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issolved in DMSO, and then the abdominal cavity was prepared in the experimental animal. Administered.
  • the positive contro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100 mg / kg of ibuprofen.
  • 1% carrageenan was prepared in saline and administered to the right hind paw of the rat at a dose of 100 ⁇ L, and edema of the foot was measured after 1, 3 and 5 hours, respectively. The degree of edema was checked using a plethysmometer.
  • the ear-edema animal model was treated with the compound of Example 21 of the present invention (MPO-0112) in the same group as the foot-edema model, and after 1 hour, 5% croton oil was added to aceton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ight ear.
  • the melted solution was applied locally at a 200 ⁇ L dose, and the thickness of both ears was measured after 3 hours.
  • the values of all experimental results a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erro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recognized when * P value ⁇ 0.05 and *** P value ⁇ 0.001.
  • the group administered with MPO-0112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group administered only carrageenan or croton oil alone.
  • the group administered with MPO-0112 showed paw-edema and ear-edema inhibition efficacy almost equivalent to the high dose (100 mg / kg) of the control ibuprofen at a low dose of 1 mg / kg.
  • Test Example 4 Manual animal evasion test (efficacy test for memory improvement)
  • the male ICR mouse 5 weeks of age (26 to 28g body weight) was supplied from Orient Bio Co., Ltd. (Seoul, Korea) and used in the laboratory for about 7 days, and water and feed were freely ingested and the temperature (23 ⁇ 2 °C, humidity (50 ⁇ 10%) and contrast period (12 hours, 07:30 ⁇ 19:30) were adjusted automatically.
  • Each group used 10 mice.
  • the compound of Example 21 (MPO-0112)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uspended in 30% cremophor, and then orally administered to the prepared experimental animals.
  • the positive control group received donepezil 5 mg / kg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30% cremophor. 30 minutes after drug administration, scopolamine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at a dose of 1 mg / kg.
  • the negative control group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scopolamine alone at a dose of 1 mg / kg without drug administration.
  • the mice were placed in the illuminated bright compartment and after 10 seconds of search time the guillotine door was opened to enter the dark compartment. Mice that did not enter the dark side within 60 seconds after the guillotine door was opened were induced to enter the dark side. After the guillotine door was opened, the time until the mouse entered the dark side was measured. Once the mouse enters the dark side, the guillotine door closes and a 0.5 mA electric shock flows through the bottom of the grid for 3 seconds and the mouse remembers this electrical ac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24 hours after the study test.
  • Figure 2 shows the improvement effect of MPO-0112 in scopolamine-induced memory loss model in passive avoidance experiments.
  • A549 human lung cancer cells were cultured in 37 ° C., 5% CO 2 incubator using DMEM medium containing 100 units / mL penicillin-streptomycin and 10% FBS. The cells were dispensed at 1 ⁇ 10 6 cells / mL in a 100-mm 2 dish and incubated for one day in a 37 ° C., 5% CO 2 incubator, then the medium was changed to 2% FBS DMEM and 1 hour later, IL-1 ⁇ ( 1 ng / mL).
  • the cells were washed with PBS, and then reacted with 2 mL of Trypsin / EDTA for 5 minutes, and then, 3 mL of DMEM was added to separate the cells, and the cells were collected by centrifugation at 1,000 rpm for 5 minutes, and then again with PBS. Washed.
  • the prepared cells were redissolved in 1 mL of homogenization buffer (0.1 M potassium phosphoate buffer, pH 7.4, 2.5 mM glutathione, 0.25 M sucrose), incubated for 10 minutes on ice, and then ultrasonically digested (3 ⁇ 20 seconds) to obtain 1,000 ⁇ g, 10
  • the microsomes were fractionated by centrifugation at 174,000 ⁇ g, 1 hour, 4 ° C. for 1 min.
  • the microsomal fraction was re-dissolved in 50 ⁇ L of homogenization buffer and protein quantitated by Bradford assay.
  • the total volume was added to the final concentration of 5 ⁇ g / 100 ⁇ L protein and reaction buffer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2.5 mM GSH) by adding MK886 as a compound of Example 21 (MPO-0112), DMSO or a positive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 to ⁇ L and incubate for 15 minutes on ice. After adding PGH 2 (20 ⁇ M), the reaction was started and 2 minutes later, 100 ⁇ L of stop solution (40 mM FeCl 2 , 80 mM citric acid) was added to terminate the reaction. PGE 2 production was measured using a PGE 2 ELISA kit.
  • the compound of Example 21 of the present invention (MPO-0112) showed a mPGES-1 enzyme inhibitory effect almost equivalent to the high concentration (5 ⁇ M) of MK886 positive control at a low concentration of 100 nM.
  • Test Example 6 Inhibition of CYP450 Activity
  • Human liver microsomes (0.25 mg / ml) and 0.1M phosphate buffer (pH 7.4), substrate drug cocktails of 5 drug metabolic enzymes (Phenacetin 50 ⁇ M, Diclofenac 10 ⁇ M, S-mephenytoin 100 ⁇ M, Dextromethorphan 5 ⁇ M, Midazolam 2.5 ⁇ M) and the compound of Example 21 (MPO-0112)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added at concentrations of 0 and 10 ⁇ M, respectively, and pre-incubated at 37 ° C. for 5 minutes, followed by the addition of a NADPH generation system solution and incubation at 37 ° C. for 15 minutes. It was.
  • 5 drug metabolic enzymes Phenacetin 50 ⁇ M, Diclofenac 10 ⁇ M, S-mephenytoin 100 ⁇ M, Dextromethorphan 5 ⁇ M, Midazolam 2.5 ⁇ M
  • MPO-0112 the compound of Example 21
  • CYP450 isoenzyme (% of control activity) CYP1A2 99.4 CYP2C9 97.0 CYP2C19 56.9 CYP2D6 > 100 CYP3A4 > 1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소체 프로스타글란딘 E2 합성효소-1(mPGES-1)의 억제를 통하여 PGE2 생성을 저해하는 활성이 우수한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는 염증, 관절염, 고열, 통증, 암, 뇌졸중 또는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뇌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미세소체 프로스타글란딘 E2 합성효소-1(microsomal prostaglandin E synthase-1: mPGES-1)의 저해를 통하여 염증 유발인자인 PGE2의 생성을 차단하는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로스타노이드(prostanoid)는 다양한 생리작용에 관여하는 내분비 물질이며, 그 중 하나인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는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증에 대한 치료제로서 시클로옥시게네이즈-2(cyclooxygenase-2: COX-2) 효소만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COX-2 저해제가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인 COX-2 저해제로는 화이자사(Pfizer)의 셀레콕시브(celecoxib; CelebrexTM), 지. 디. 셜사(G. D. Searle & Company)의 발데콕시브(valdecoxib; BextraTM) 및 머크사(Merck)의 로페콕시브(rofecoxib: VioxxTM) 등이 있다. 이들은 관절염, 심한 통증, 류머티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COX-2 저해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의 가장 큰 부작용인 위장장애를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심혈관계 부작용으로 인해 셀레콕시브를 제외하고 의약품 시장에서 퇴출되었다. 이러한 심혈관계 부작용은 중간체인 PGH2(prostaglandin H2)의 생성이 억제됨으로써 PGE2 뿐만 아니라 PGI2(prostacyclin)및 TXA2(thromboxane)의 생성 또한 억제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PGH2의 말단 단계에 작용하여 PGE2의 생성에 관여하는 미세소체 프로스타글란딘 E2 합성효소-1(microsomal prostaglandin E synthase-1: mPGES-1)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억제제는 COX-2 저해제의 장점을 살리면서 단점을 보완하는 신규 약물후보로 인식되어 mPGES-1을 타깃으로 하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특히, mPGES-1 억제는 통증 및 염증 동물모델 연구에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사용한 치료만큼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염증, 관절염, 고열, 통증, 암, 뇌졸중, 알츠하이머 질환와 같은 뇌질환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0455호에는 mPGES-1의 억제제로서 하기 화학식 I의 N-페닐-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하이드라자이드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제조 과정과 용액 상태에서 장기 보관할 때, 활성이 약한 다른 위치이성질체(regio-isomer)로 변환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E. B. Park, K. J. Kim, H. R. Jeong, J. K. Lee, H. J. Kim, H. H. Lee, J. W. Lim, J.-S. Shin, A. Koeberle, O. Werz, K.-T. Lee, J. Y. Lee Bioorg. Med. Chem. Lett. 26(2016), p.5193].
또한, 간에서 독성 물질의 대사에 관여하는 인간 시토크롬 P450(CYP) 효소를 약간 저해하는 추가적인 문제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골격의 mPGES-1의 선택적인 억제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화학식 I]
Figure PCTKR2018002786-appb-I000001
본 발명의 한 목적은 PGE2의 생성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하기 화학식 II의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 화학식 II의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기 화학식 II의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하는 mPGES-1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하기 화학식 II의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I]
Figure PCTKR2018002786-appb-I00000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2는 수소, C1-C6의 알킬기, C1-C6의 알콕시기, 할로겐, 나이트로, C1-C6의 할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거나,
R1 및 R2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4 내지 7각형 탄화수소 고리 또는 헤테로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하며,
R3는 수소, C1-C6의 알킬기, 할로겐, 나이트로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4는 수소, C1-C6의 알킬기, 할로겐, 나이트로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며,
R5는 수소, C1-C6의 알킬기, 할로겐, 나이트로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6는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며,
R7는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8는 수소, C1-C6의 알킬기, C1-C6의 알콕시기 또는 아릴옥시기이거나,
R7 및 R8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4 내지 7각형 탄화수소 고리 또는 헤테로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1-C6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1-C6의 알콕시기는 탄소수 1 내지 6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기를 의미하며, 메톡시, 에톡시, n-프로판옥시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1-C6의 할로알킬기는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개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트리플로오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아릴기는 아로메틱기와 헤테로아로메틱기 및 그들의 부분적으로 환원된 유도체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아로메틱기는 5원 내지 15원의 단순 또는 융합 고리형이며, 헤테로아로메틱기는 산소, 황 또는 질소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아로메틱기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phenyl), 나프틸(naphthyl), 피리디닐(pyridinyl), 푸라닐(furanyl), 티오페닐(thiophenyl), 인돌릴(indolyl), 퀴놀리닐(quinolinyl), 이미다졸리닐(imidazolinyl), 옥사졸릴(oxazolyl), 티아졸릴(thiazolyl), 테트라히드로나프틸(tetrahydronaphthyl)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4 내지 7각형 탄화수소 고리는 4 내지 7원의 탄화수소 고리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사이클로부탄, 사이클로펜탄, 사이클로헥산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4 내지 7각형 헤테로탄화수소 고리는 4 내지 7원의 탄화수소 고리의 환 탄소 중 하나 이상이 산소, 황 또는 질소로 치환된 작용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옥솔레인, 옥산, 티아졸리딘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아릴옥시기는 아릴기에 단일 결합된 산소 작용기를 의미하며, 페녹시, 벤질옥시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1-C6의 알킬기, C1-C6의 알콕시기, C1-C6의 할로알킬기, 아릴기, 4 내지 7각형 탄화수소 고리, 4 내지 7각형 헤테로탄화수소 고리 및 아릴옥시기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소가 C1-C6의 알킬기, C2-C6의 알케닐기, C2-C6의 알키닐기, C3-C10의 시클로알킬기, C1-C6의 할로알킬기, C1-C6의 알콕시기, C1-C6의 티오알콕시기, 아릴기, 아실기, 히드록시, 티오(thio), 할로겐, 아미노, 알콕시카보닐, 카복시, 카바모일, 시아노, 나이트로 등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는,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 C1-C6의 알킬기, C1-C6의 알콕시기, 할로겐 또는 나이트로이거나,
R1 및 R2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4 내지 7각형 헤테로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하며,
R3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4는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며,
R5는 수소, 나이트로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6는 수소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며,
R7는 수소이고,
R8는 수소 또는 아릴옥시기이거나,
R7 및 R8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4 내지 7각형 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는,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 i-프로필, t-부틸, 메톡시, 클로로 또는 나이트로이거나,
R1 및 R2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5각형 옥솔레인을 형성하며,
R3는 수소 또는 클로로이고,
R4는 수소 또는 메틸이며,
R5는 수소, 나이트로 또는 메톡시이고,
R6는 수소 또는 메톡시이고,
R7는 수소이며,
R8는 수소, 페녹시 또는 벤질옥시이거나,
R7 및 R8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5각형 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하는 화합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무독성 무기산염 및 유기산염 모두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염산염,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아세테이트산염, 아디페이트산염, 아스파테이트산염, 벤조에이트산염, 벤젠설포네이트산염, 시트레이트산염, 캄포레이트산염, 캄포설포네이트산염, 디포스페이트산염, 에탄설포네이트산염, 푸마레이트산염, 글루타메이트산염, 말레이트산염, 락테이트산염, 메탄설포네이트산염, 숙시네이트산염, 타르트레이트산염, 피크레이트산염, 토실레이트산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 대표적인 화합물은 하기 그룹에서 선택된다.
N-(2-클로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 (II-1);
N-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t-부틸페닐설폰아마이드 (II-2);
N-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i-프로필페닐설폰아마이드 (II-3);
N-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 (II-4);
N-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5);
N-(3-메틸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6);
N-(2-클로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7);
N-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8);
N-(3-메틸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9);
N-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10);
N-(2-클로로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11);
N-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 (II-12);
N-벤질-N-(2-메톡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 (II-13);
N-(4-나이트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 (II-14);
N-(4-나이트로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 (II-15);
N-(4-나이트로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 (II-16);
N-(2-클로로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17);
N-(3-메틸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18);
N-(4-메톡시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 (II-19);
N-(4-메톡시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 (II-20);
N-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 (II-21);
N-(4-나이트로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2);
N-(4-나이트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3);
N-(4-나이트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II-24);
N-(4-메톡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나이트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5); 및
N-(4-나이트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나이트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6).
한편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II의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II]
Figure PCTKR2018002786-appb-I000003
[화학식 IV]
Figure PCTKR2018002786-appb-I000004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및 R8은 상기 화학식 II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염기의 존재 하에 반응시킨다.
이때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TEA), 피리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한다.
상기 반응은 별도의 반응용매 없이 수행하거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4-디옥산, 디에틸에테르 등을 반응용매로서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상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V]
Figure PCTKR2018002786-appb-I000005
[화학식 VI]
Figure PCTKR2018002786-appb-I000006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및 R5는 상기 화학식 II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은 염기의 존재 하에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TEA), 피리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한다.
반응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4-디옥산, 디에틸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상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II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VIII의 트라이포스겐(triphosgene)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VII]
Figure PCTKR2018002786-appb-I000007
[화학식 VIII]
Figure PCTKR2018002786-appb-I000008
상기 식에서, R6, R7 및 R8은 상기 화학식 II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은 염기의 존재 하에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TEA), 피리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사용한다.
반응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4-디옥산, 디에틸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0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미세소체 프로스타글란딘 E2 합성효소-1(mPGES-1)의 저해를 통해 우수한 PGE2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시험예 2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동물모델 실험에서 발-부종과 귀-부종을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낸다(시험예 3 참조).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동물모델 실험에서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효능을 나타낸다(시험예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미세소체 프로스타글란딘 E2 합성효소-1(mPGES-1)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염증, 관절염, 고열, 통증, 암, 뇌졸중 또는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뇌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적으로(예를 들면, 복용 또는 흡입) 또는 비경구적으로(예를 들면, 주사, 침착, 이식, 좌약) 투여될 수 있으며, 주사는 예를 들면, 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내주사 또는 복강내주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따라, 정제, 캡슐제, 과립제, 파인 서브틸래(fine subtilae), 분제, 설하 정제, 좌약, 연고, 주사제, 유탁액제, 현탁액제, 시럽제, 분무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여러 가지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각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를 사용하여 공지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disintegrating agent), 윤활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장제(isotonic agent), 완충제, 피막제, 감미제, 용해제, 기제(base), 분산제, 습윤제, 현탁화제, 안정제, 착색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약 0.01 내지 95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투여량은 치료되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종류, 체중, 성별, 질환의 정도,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의 경우에는 하루에 체중 1kg당 활성성분 0.01 내지 50 mg이 투여되고, 비경구투여의 경우에는 하루에 체중 1kg당 활성성분 0.01 내지 10 mg이 투여된다. 상기 총 일일 투여량은 질환의 정도,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한번에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제조 및 보관 과정에서 안정성이 우수하고, 간에서 독성 물질의 대사에 관여하는 인간 시토크롬 P450 (CYP)의 효소를 억제하지 않으면서 미세소체 프로스타글란딘 E2 합성효소-1(mPGES-1) 저해를 통해 우수한 PGE2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동물모델 실험에서 부종을 억제하는 효능과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증, 관절염, 고열, 통증, 암, 뇌졸중 또는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뇌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화합물(MPO-0112)의 발 부종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화합물(MPO-0112)의 귀 부종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수동회피실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화합물(MPO-0112)의 기억력 감퇴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화합물(MPO-0112)의 mPGES-1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화학식 III의 화합물의 제조
제조예 1-1: N -(2-클로로벤질)-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I-1)
상온조건하에 2-클로로벤질아민(0.30 g, 2.15 mmol, 1.0 eq)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매에 용해시킨 후, 4-클로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0.50 g, 2.37 mmol, 1.1 eq)와 트리에틸아민(TEA)(0.30 ml, 2.80 mmol, 1.3 eq)을 0 ℃에서 첨가한 다음, 2시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매를 회전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초산에틸과 증류수를 사용하여 추출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초산에틸에 남은 증류수를 제거하고, 회전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초산에틸 용매를 제거하였다. 디클로로메탄과 n-헥산을 이용하여 재결정하여 흰색의 고체인 표제화합물(III-1)(0.56 g, 1.78 mmol, 83%)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38 (1H, s), 7.79 (2H, d, J = 8.4 Hz), 7.65 (2 H, d, J = 8.8 Hz), 7.41-7.37 (2 H, m), 7.30-7.26 (2 H, m), 4.08 (1 H, s).
제조예 1-2: N -벤질-4- t -부틸페닐설폰아마이드(III-2)
2-클로로벤질아민 대신에 벤질아민을 사용하고, 4-클로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 대신에 4-t-부틸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I-2)(50%)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11 (1H, s), 7.72-7.70 (2H, d, J = 8.4 Hz), 7.59-7.57 (2 H, d, J = 8.4 Hz), 7.28-7.21 (5 H, m), 3.97 (2 H, s), 1.31 (9 H, s).
제조예 1-3: N -벤질-4- i -프로필페닐설폰아마이드(III-3)
2-클로로벤질아민 대신에 벤질아민을 사용하고, 4-클로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 대신에 4-i-프로필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I-3)(80%)을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8.11 (1H, t, J = 6.4 Hz), 7.72 (2H, d, J = 8.4 Hz), 7.43 (2H, d, J = 8.4 Hz), 7.24 (5H, m), 3.97 (2H, d, J = 6.4 Hz), 2.97 (1H, q, J = 7.2 Hz), 1.21 (6H, d, J = 7.2 Hz).
제조예 1-4: N -벤질-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I-4)
2-클로로벤질아민 대신에 벤질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I-4)(75%)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81 (2H, d, J = 6.8 Hz), 7.50 (2H, d, J = 8.8 Hz), 7.32-7.28 (3H, m), 7.21 (2H, d, J = 7.6, Hz), 4.69 (1H, s), 4.186 (2H, d, J = 6.4 Hz).
제조예 1-5: N -벤질-(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III-5)
2-클로로벤질아민 대신에 벤질아민을 사용하고, 4-클로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 대신에 (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I-5)(85%)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6) δ: 7.94 (1H, t, J = 6.4 Hz), 7.61 (1H, s), 7.56 (1H, d, J = 8.4 Hz), 7.48-7.21 (5H, m), 6.90 (1H, d, J = 8.4 Hz), 4.64 (2H, t, J = 8.8 Hz), 3.93 (2H, d, J = 6.4 Hz), 3.23 (2H, t, J = 8.8 Hz).
제조예 1-6: N -(3-메틸벤질)-(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III-6)
2-클로로벤질아민 대신에 3-메틸벤질아민을 사용하고, 4-클로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 대신에 (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I-6)(97%)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55 (2H, s), 7.05 (1H, t, J = 7.6 Hz), 6.94 (1H, d, J = 7.6 Hz), 6.89 (2H, s), 6.70 (1H, d, J = 8.8 Hz), 4.57 (2H, t, J = 9.2 Hz), 3.96 (2H, d, J = 5.6 Hz), 3.12 (2H, t, J = 8.8 Hz), 2.18 (3H, s).
제조예 1-7: N -(2-클로로벤질)-(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III-7)
4-클로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 대신에 (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I-7)(80%)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03 (1H, t, J = 6.0 Hz), 7.63 (1H, s), 7.57 (1H, d, J = 8.0 Hz), 7.44-7.42 (1H, m), 7.39-7.37 (1H, m), 7.32-7.25 (2H, m), 6.90 (1H, d, J = 8.4 Hz), 4.63 (2H, t, J = 8.8 Hz), 4.02 (2H, d, J = 6.4 Hz), 3.23 (2H, t, J = 8.8 Hz).
제조예 1-8: N -벤질-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III-8)
2-클로로벤질아민 대신에 벤질아민을 사용하고, 4-클로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 대신에 4-메톡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I-8)(90%)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7.98 (1H, s), 7.73 (2H, d, J = 9.2 Hz), 7.30-7.26 (2H, m), 7.09 (2H, d, J = 8.8 Hz), 3.92 (2H, s), 3.83 (3H, s).
제조예 1-9: N -(4-나이트로벤질)-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III-9)
2-클로로벤질아민 대신에 4-나이트로벤질아민을 사용하고, 4-클로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 대신에 4-메톡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I-9)(93%)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8.23 (1H, t, J = 6.4 Hz), 8.15 (2H, d, J = 8.8 Hz), 7.73-7.70 (2H, m), 7.52 (2H, d, J = 8.8 Hz), 7.10-7.07 (2H, m), 4.10 (2H, d, J = 6.4 Hz), 3.82 (3H, s).
제조예 1-10: N -(4-메톡시벤질)-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I-10)
2-클로로벤질아민 대신에 4-메톡시벤질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I-10)(89%)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19 (1H, s), 7.75 (2H, d, J = 8.8 Hz), 7.62 (2H, d, J = 8.8 Hz), 7.11 (2H, d, J = 8.8 Hz), 6.81 (2H, d, J = 6.4 Hz), 3.92 (2H, s), 3.71 (3H, s).
제조예 1-11: N -(4-나이트로벤질)-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I-11)
2-클로로벤질아민 대신에 4-나이트로벤질아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I-11)(69%)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79 (1H, s), 8.15 (2H, d, J = 7.2 Hz), 7.79 (2H, d, J = 8.8 Hz), 7.65 (2H, d, J = 8.8 Hz), 7.51 (2H, d, J = 8.8 Hz), 4.09 (2H, s).
제조예 1-12: N -(4-나이트로벤질)-페닐설폰아마이드(III-12)
2-클로로벤질아민 대신에 4-나이트로벤질아민을 사용하고, 4-클로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 대신에 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I-12)(86%)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40 (1 H, s), 8.15 (2 H, d, J = 8.8 Hz), 7.80 (2 H, d, J = 8.4 Hz), 7.66-7.56 (3 H, m), 7.53 (2 H, d, J = 8.8 Hz), 4.15 (2 H, d, s).
제조예 1-13: N -(4-메톡시벤질)-4-나이트로페닐설폰아마이드(III-13)
2-클로로벤질아민 대신에 4-메톡시벤질아민을 사용하고, 4-클로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 대신에 4-나이트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I-13)(90%)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48 (1H, t, J = 6.4 Hz), 8.35 (2H, d, J = 8.8 Hz), 7.97 (2 H, d, J = 8.8 Hz), 7.10 (2 H, d, J = 8.8 Hz), 6.79 (2 H, d, J = 8.8 Hz), 3.99 (2 H, d, J = 6.4 Hz), 3.69 (3 H, s).
제조예 1-14: N -(4-나이트로벤질)-4-나이트로페닐설폰아마이드(III-14)
2-클로로벤질아민 대신에 4-나이트로벤질아민을 사용하고, 4-클로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 대신에 4-나이트로페닐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I-14)(93%)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79 (1H, s), 8.38 (2H, d, J = 8.8 Hz), 8.15 (2H, d, J = 8.8 Hz), 8.02 (2H, d, J = 8.8 Hz), 7.51 (2H, d, J = 8.8 Hz), 4.24 (2H, s).
제조예 2: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제조
제조예 2-1: 4-(벤질옥시)페닐 클로로포메이트(IV-1)
트라이포스겐(triphosgene)(2.37 g, 7.99 mmol, 0.8 eq)을 무수조건하에서 무수 THF 용매에 용해시킨 후, 4-(벤질옥시)페놀[4-(benzyloxy)phenol](2.00 g, 9.99 mmol, 1.0 eq)을 무수 THF 용매에 용해시켜 첨가하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1.74 ml, 9.99 mmol, 1.0 eq)를 천천히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0 ℃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초산에틸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추출한 초산에틸 용액을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남아있는 증류수를 제거한 다음, 회전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초산에틸 용매를 제거하여, 흰색의 고체인 표제화합물(IV-1)(2.667 g, 10.15 mmol, >99 %)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46-7.34 (5 H, m), 7.18-7.13 (2 H, m), 7.02-6.68 (2 H, m).
제조예 2-2: 4-(페녹시)페닐 클로로포메이트(IV-2)
4-(벤질옥시)페놀 대신에 4-페녹시페놀(4-phenoxyphen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V-2)(99 %)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41-7.36 (2 H, m), 7.22-7.15 (3 H, m), 7.06-7.03 (4 H, m).
제조예 2-3: 2,3-다이하이드로-1 H -인덴-5-일 클로로포메이트(IV-3)
4-(벤질옥시)페놀 대신에 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V-3)(98 %)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10 (1 H, d, J = 8.0 Hz), 6.93 (1H, s), 6.83 (1H, d, J = 8.0 Hz), 2.79 (4H. t, J = 7.0 Hz), 1.99 (2H, p, J = 7.0 Hz).
실시예 1: N -(2-클로로벤질)- N -(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1: MPO-0120)
제조예 1-1에서 수득한 화합물(III-1)(0.49 g, 1.55 mmol, 1.0 eq)을 제조예 2-1에서 수득한 화합물(IV-1)(0.61 g, 2.32 mmol, 1.5 eq)에 용해시킨 후, TEA(0.28 ml, 2.01 mmol, 1.3 eq)를 첨가하고 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초산에틸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추출한 초산에틸 용액을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이용하여 남아있는 증류수를 제거한 다음, 회전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초산에틸 용매를 제거하였다. 그 후, 디클로로메탄과 n-헥산을 사용하여 재결정하여 흰색의 고체인 표제화합물(II-1)(0.50 g, 0.93 mmol, 60%)을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84 (2H, d, J = 8.8 Hz), 7.47 (2H, d, J = 8.8 Hz), 7.39-7.29 (9H, m), 6.93-6.86 (4H, m), 5.31 (2H, s), 5.04 (2H, s).
실시예 2: N -벤질- N -(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 t -부틸페닐설폰아마이드(II-2: MPO-0121)
제조예 1-2에서 수득한 화합물(III-2)과 제조예 2-2에서 수득한 화합물(IV-2)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흰색의 고체인 표제화합물(II-2)(17%)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7.86-7.84 (2H, d, J = 8.8 Hz), 7.68-7.65 (2H, d, J = 8.8 Hz), 7.44-7.34 (7H, m), 7.17-7.137 (1H, t, J = 7.4 Hz), 7.00-6.98 (4H, m), 6.92-6.89 (2H, d, J = 8.8 Hz), 5.21-5.17 (2H, d, J = 16.8 Hz), 1.31 (9H, s).
실시예 3: N -벤질- N -(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 i -프로필페닐설폰아마이드(II-3: MPO-0122)
제조예 1-3에서 수득한 화합물(III-3)과 제조예 2-2에서 수득한 화합물(IV-2)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흰색의 고체인 표제화합물(II-3)(70%)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7.83 (2H, d, J = 8.4 Hz), 7.51 (2H, d, J = 8.8 Hz), 7.42 (4H, d, J = 4.8 Hz), 7.37 (4H, m), 7.15 (1H, t, J = 7.6 Hz), 6.99 (4H, m), 6.91 (2H, d, J = 6.8 Hz), 5.17 (2H, s), 3.01 (1H, q, J = 6.8 Hz), 1.20 (6H, d, J = 6.8 Hz).
실시예 4: N -벤질- N -(2,3-다이하이드로-1 H -인덴-5-옥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4: MPO-0123)
제조예 1-4에서 수득한 화합물(III-4)과 제조예 2-3에서 수득한 화합물(IV-3)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흰색의 표제화합물(II-4)(84%)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7.91 (2H, d, J = 8.8 Hz), 7.73 (2H, d, J = 8.8 Hz), 7.45-7.40 (4H, m), 7.37-7.33 (1H, m), 6.80 (1H, s), 6.66 (1H, dd, J = 6.0 and 2.4 Hz), 5.17 (2H, s), 2.80 (4H, d, J = 7.2 Hz), 2.00 (2H, q, J = 7.2 Hz).
실시예 5: N -벤질- N -(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II-5: MPO-0124)
제조예 1-5에서 수득한 화합물(III-5)과 제조예 2-1에서 수득한 화합물(IV-1)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흰색의 표제화합물(II-5)(46%)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7.67-7.65 (2H, m), 7.44-7.32 (10H, m), 7.00 (2H, d, J = 9.2 Hz), 6.94 (2H, d, J = 8.0 Hz), 6.86 (2H, d, J = 9.2 Hz), 4.68 (2H, d, J = 8.2 Hz), 2.50 (2H, d, J = 8.8 Hz).
실시예 6: N -(3-메틸벤질)- N -(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II-6: MPO-0125)
제조예 1-6에서 수득한 화합물(III-6)과 제조예 2-2에서 수득한 화합물(IV-2)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흰색의 고체인 표제화합물(II-6)(14%)를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63 (1H, d, J = 8.8 Hz), 7.55 (1H, s), 7.35 (2H, t, J = 7.6 Hz), 7.26 (3H, m), 7.15 (2H, m), 6.97 (4H, m), 6.91 (2H, m), 7.78 (1H, d, J = 8.8 Hz), 5.16 (2H, s), 4.68 (2H, t, J = 8.8 Hz), 3.20 (2H, t, J = 8.8 Hz), 2.37 (3H, s).
실시예 7: N -(2-클로로벤질)- N -(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II-7: MPO-0126)
제조예 1-7에서 수득한 화합물(III-7)과 제조예 2-1에서 수득한 화합물(IV-1)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흰색의 고체인 표제화합물(II-7)(13%)을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7.77-7.74 (2H, m), 7.52-7.32 (9H, m), 6.98 (3H, t, J = 9.9 Hz), 6.90 (2H, d, J = 9.0 Hz), 5.21 (2H, s), 5.07 (2H, s), 4.70 (2H, t, J = 8.8 Hz), 3.25 (2H, t, J = 9.0 Hz).
실시예 8: N -벤질- N -(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II-8: MPO-0127)
제조예 1-5에서 수득한 화합물(III-5)과 제조예 2-2에서 수득한 화합물(IV-2)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흰색의 고체인 표제화합물(II-8)(22%)를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61 (1H, dd, J = 8.8 Hz), 7.54 (1H, s), 7.47 (2H, dd, J = 8.0 Hz), 7.37 (5H, m), 7.13 (1H, t, J = 7.6 Hz), 7.00 (2H, d, J = 8.8 Hz), 6.96 (2H, d, J = 9.2 Hz), 6.90 (2H, d, J = 6.8 Hz), 6.77 (1H, d, J = 8.4 Hz), 5.20 (2H, s), 4.69 (2H, t, J = 8.8 Hz), 3.19 (2H, t, J = 8.8 Hz).
실시예 9: N -(3-메틸벤질)- N -(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II-9: MPO-0128)
제조예 1-6에서 수득한 화합물(III-6)과 제조예 2-1에서 수득한 화합물(IV-1)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9)(58%)를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52 (1H, dd, J = 8.0 and 2.0 Hz), 7.45 (1H, t, J = 0.8 Hz), 7.41-7.33 (5H, m), 7.28-7.21 (3H, m), 7.16 (1H, s), 6.91 (2H, d, J = 8.8 Hz), 6.85 (2H, d, J = 9.2 Hz), 6.77 (1H, d, J = 4.0 Hz), 5.15 (2H, s), 5.04 (2H, s), 4.68 (2H, t, J = 8.8 Hz), 3.18 (2H, t, J = 8.8 Hz), 2.27 (3H, s).
실시예 10: N -벤질- N -(2,3-다이하이드로-1 H -인덴-5-옥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II-10: MPO-0129)
제조예 1-5에서 수득한 화합물(III-5)과 제조예 2-3에서 수득한 화합물(IV-3)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10)(43%)를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7.94 (1H, t, J = 6.4 Hz), 7.61 (1H, s), 7.56 (1H, d, J = 6.0 Hz), 7.31-7.21 (5H, m), 6.90 (1H, d, J = 8.4 Hz), 4.64 (2H, t, J = 8.8 Hz), 3.93 (2H, d, J = 6.4 Hz), 3.34 (1H, s), 3.23(2H, J = 8.8 Hz).
실시예 11: N -(2-클로로벤질)- N -(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II-11: MPO-0130)
제조예 1-7에서 수득한 화합물(III-7)과 제조예 2-3에서 수득한 화합물(IV-3)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11)(47%)를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7.77-7.78 (2H, m), 7.52-7.37 (4H, m), 7.19 (1H, d, J = 8.0 Hz), 6.82 (1H, s), 6.6 (1H, dd, J = 8.0 and 2.0 Hz), 5.21 (2H, s), 4.697 (2H, t, J = 8.8 Hz), 3.34 (2H, s), 3.26 (2H, t, J = 8.4 Hz), 2.83-2.78 (4H, m), 2.00 (2H, q, J = 7.6 Hz).
실시예 12: N -벤질- N -(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II-12: MPO-0131)
제조예 1-8에서 수득한 화합물(III-8)과 제조예 2-3에서 수득한 화합물(IV-3)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12)(45%)를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72 (2H, d, J = 8.8 Hz), 7.49 (2H, d, J = 6.8 Hz), 7.40-7.35 (3H, m), 7.14 (1H, d, J = 8.4 Hz), 6.89 (2H, d, J = 8.8 Hz), 6.80 (1 H, s), 6.66 (1H, d, J = 7.2 Hz), 5.20 (2H, s), 3.87 (3H, s), 2.89-2.85 (4 H, m), 2.08 (2H, q, J = 7.2 Hz).
실시예 13: N -벤질- N -(2-메톡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13: MPO-0132)
제조예 1-4에서 수득한 화합물(III-4)과 2-메톡시페닐 클로로포메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13)(62%)를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7.82 (2H, d, J = 8.8 Hz), 7.69 (2H, d, J = 8.8 Hz), 7.43 (4H, d, J = 4.4 Hz), 7.359 (1H, m), 7.23 (1H, t, J = 7.1 Hz), 7.07 (1H, d, J = 8.4 Hz), 7.00 (1H, d, J = 8.4 Hz), 6.91 (1H, m), 5.17 (2H, s), 3.54 (3H, s).
실시예 14: N -(4-나이트로벤질)- N -(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II-14: MPO-0133)
제조예 1-9에서 수득한 화합물(III-9)과 제조예 2-1에서 수득한 화합물(IV-1)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14)(46%)를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30 (2H, d, J = 8.4 Hz), 7.89 (2H, d, J = 12.0 Hz), 7.67 (2H, d, J = 8.0 Hz), 7.43-7.30 (5H, m), 7.17 (2H, d, J = 8.0 Hz), 6.98 (2H, d, J = 12.0 Hz), 6.90 (2H, d, J = 8.0 Hz), 5.27 (2H, s), 5.07 (2H, s), 3.87 (3H, s).
실시예 15: N -(4-나이트로벤질)- N -(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II-15: MPO-0134)
제조예 1-9에서 수득한 화합물(III-9)과 제조예 2-2에서 수득한 화합물(IV-2)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15)(84%)를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31 (2H, d, J = 8.8 Hz), 7.92 (2H, d, J = 9.2 Hz), 7.69 (2H, d, J = 8.8 Hz), 7.39 (2H, t, J = 8.0 Hz), 7.20-7.13 (3H, m), 7.04-6.98 (6H, m), 5.30 (2H, s), 3.88 (3H, s).
실시예 16: N -(4-나이트로벤질)- N -(2,3-다이하이드로-1 H -인덴-5-옥시카르보닐)-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II-16: MPO-0135)
제조예 1-9에서 수득한 화합물(III-9)과 제조예 2-3에서 수득한 화합물(IV-3)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16)(80%)를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31 (2H, d, J = 8.8 Hz), 7.89 (2H, d, J = 8.8 Hz), 7.69 (2H, d, J = 8.8 Hz), 7.20-7.17 (3H, m), 6.83 (1H, s), 6.6 (1H, dd, J = 6.4 and 2.0 Hz), 5.28 (2H, s), 3.85 (3H, s), 2.804 (4H, t, J = 6.8 Hz), 2.00 (2H, q, J = 7.6 Hz).
실시예 17: N -(2-클로로벤질)- N -(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II-17: MPO-0136)
제조예 1-7에서 수득한 화합물(III-7)과 제조예 2-2에서 수득한 화합물(VI-2)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17)(53%)를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7.77 (2H, d, J = 11.6 Hz), 7.52 (1H, d, J = 8.0 Hz), 7.46 (2H, d, J = 6.4 Hz), 7.39 (3H, t, J = 4.4 Hz), 7.15 (1H, t, J = 7.6 Hz), 7.03-6.97 (7H, m), 5.23 (2H, s), 4.70 (2H, t, J = 8.8 Hz), 3.26 (2H, t, J = 8.4 Hz).
실시예 18: N -(3-메틸벤질)- N -(2,3-다이하이드로-1 H -인덴-5-옥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II-18: MPO-0137)
제조예 1-6에서 수득한 화합물(III-6)과 제조예 2-3에서 수득한 화합물(IV-3)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18)(74%)를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7.59(1H, d, J = 8.8 Hz), 7.52 (1H, s), 7.24 (3H, s), 7.13 (2H, d, J = 7.6 Hz), 6.79 (1H, s), 6.74 (1H, d, J = 7.6 Hz), 6.64 (1H, d, J = 7.6 Hz), 4.68 (2H, t, J = 9.2 Hz), 3.16 (2H, t, J = 8.8 Hz), 2.87-2.82 (4H, m), 2.34 (3H, s), 2.06 (2H, q, J = 7.6 Hz).
실시예 19: N -(4-메톡시벤질)- N -(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19: MPO-0138)
제조예 1-10에서 수득한 화합물(III-10)과 제조예 2-2에서 수득한 화합물(IV-2)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19)(48%)를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7.90 (2H, d, J = 8.8 Hz), 7.72 (2H, d, J = 8.8 Hz), 7.39 (4H, m), 7.15 (1H, t, J = 7.2 Hz), 6.99 (8H, m), 5.10 (2H, s), 3.77 (3H, s).
실시예 20: N -(4-메톡시벤질)- N -(2,3-다이하이드로-1 H -인덴-5-옥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0: MPO-0139)
제조예 1-10에서 수득한 화합물(III-10)과 제조예 2-3에서 수득한 화합물(IV-3)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20)(63%)를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7.87 (2H, d, J = 8.8 Hz), 7.71 (2H, d, J = 8.8 Hz), 7.36 (2H, d, J = 8.4 Hz), 7.19 (1H, d, J = 8.0 Hz), 6.98 (2H, d, J = 8.4 Hz), 6.80 (1H, s), 6.66 (1H, dd, J = 6.0 and 2.0 Hz), 5.09 (1H, s), 3.77 (1H, s), 2.80 (4H, t, J = 7.2 Hz), 2.00 (2H, q, J = 7.2 Hz).
실시예 21: N -벤질- N -(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1: MPO-0112)
제조예 1-4에서 수득한 화합물(III-4)과 제조예 2-1에서 수득한 화합물(IV-1)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21)(73%)를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7.92 (2H, d, J = 8.8 Hz), 7.72 (2H, d, J = 8.4 Hz), 7.45-7.30 (10H, m), 6.99 (2H, d, J = 9.2 Hz), 6.88 (2H, d, J = 9.2 Hz), 5.17 (2H, s), 5.08 (2H, s).
실시예 22: N -(4-나이트로벤질)- N -(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2: MPO-0140)
제조예 1-11에서 수득한 화합물(III-11)과 제조예 2-2에서 수득한 화합물(IV-2)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22)(70%)를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8.26 (2H, d, J = 8.8 Hz), 7.83 (2H, d, J = 8.4 Hz), 7.66 (2H, d, J = 8.8 Hz), 7.50 (2H, d, J = 8.8 Hz), 7.34 (2H, t, J = 8.0 Hz), 7.12 (1H, t, J = 7.4 Hz), 6.99-6.93 (4H, m), 6.88 (2H, d, J = 5.6 Hz), 5.24 (2H, s).
실시예 23: N -(4-나이트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3: MPO-0141)
제조예 1-11에서 수득한 화합물(III-11)과 제조예 2-1에서 수득한 화합물(IV-1)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23)(39%)를 얻었다.
1H-NMR (400 MHz, CDCl3) δ: 8.26 (2H, d, J = 6.8 Hz), 7.82 (2H, dd, J = 7.0 and 1.8 Hz), 7.65 (2H, d, J = 8.8 Hz), 7.49 (2H, dd, J = 6.8 and 2.0 Hz), 7.39-7.26 (5H, m), 6.90 (2H, d, J = 9.2 Hz), 6.80 (2H, d, J = 8.8 Hz), 5.23 (2H, s), 5.02 (2H, s).
실시예 24: N -(4-나이트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II-24: MPO-0149)
제조예 1-12에서 수득한 화합물(III-12)과 제조예 2-1에서 수득한 화합물(IV-1)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24)(13%)를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31 (2 H, d, J = 8.4 Hz), 7.99 (2 H, d, J = 7.6 Hz), 7.81 (1 H, t, J = 7.6 Hz), 7.71-7.66 (4 H, m), 7.48-7.30 (5 H, m), 6.98 (2 H, d, J = 9.2 Hz), 6.86 (2 H, J = 8.8 Hz), 5.32 (2 H, s), 5.07 (2 H, s).
실시예 25: N -(4-메톡시벤질)- N -(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나이트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5: MPO-0159)
제조예 1-13에서 수득한 화합물(III-13)과 제조예 2-1에서 수득한 화합물(IV-1)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25)(85%)를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48 (1H, t, J = 6.4 Hz), 8.35 (2H, d, J = 8.8 Hz), 7.97 (2 H, d, J = 8.8 Hz), 7.10 (2 H, d, J = 8.8 Hz), 6.79 (2 H, d, J = 8.8 Hz), 3.99 (2 H, d, J = 6.4 Hz), 3.69 (3 H, s).
실시예 26: N -(4-나이트로벤질)- N -(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나이트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6: MPO-0162)
제조예 1-14에서 수득한 화합물(III-14)과 제조예 2-1에서 수득한 화합물(IV-1)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화합물(II-26)(73%)를 얻었다.
1H-NMR (400 MHz, DMSO-d 6) δ: 8.47 (2H, d, J = 8.8 Hz), 8.32 (2H, d, J = 8.8 Hz), 8.26 (2H, d, J = 8.8 Hz), 7.71 (2H, d, J = 8.4 Hz), 7.42-7.30 (5H, m), 7.00-6.93 (4H, m), 5.35 (2H, s), 5.07 (2H, s).
시험예 1: 세포 생존도 측정
Raw264.7 (마우스 대식 세포주)는 한국 세포주 은행(KCLB)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으며, 10% FBS(Fetal Bovine Serum), 페니실린(100 unit/㎖), 스트렙토마이신 설페이트(100 ㎍/㎖)가 포함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37℃, 5% 이산화탄소의 습기 있는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들은 원심분리 및 스크래퍼로 수집하여, 10% FBS를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 100 ㎕를 포함하는 96 웰 플레이트에 1×105/웰을 넣었다. 3베타, 4베타-에폭시-8a-이소부티릴옥시구아이아-1(10),11,(13)-디엔-12.6a-올라이드는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용매에 용해시켰으며, 모든 시험에서 DMSO의 농도는 0.1%를 초과하지 않았다. 하룻밤 경과 후, 시료 및 LPS(1㎍/mL)를 첨가하고 플레이트는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들은 한차례 세척한 후, 5 ㎎/㎖의 MTT를 함유하는 FBS 없는 배지 50 ㎕를 첨가하였으며, 37℃에서 4시간 배양한 후, 배지는 제거되었고, 세포 내에서 형성된 포마잔 블루(formazan blue)를 100㎕의 DMSO에 녹인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독성효과를 IC50값으로 구하였다. IC50은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에 비하여 세포의 숫자가 50%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농도를 의미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제시되는 값은 3회 평균값이다.
시험예 2: PGE 2 생성 억제 활성
Raw264.7(마우스 대식세포주)는 한국 세포주 은행(KCLB)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으며, 10% FBS, 페니실린(100 unit/mL), 스트렙토마이신 설페이트(100 ㎍/mL)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37℃, 5% 이산화탄소의 습기 있는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RAW264.7을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세포/mL로 24 웰에 1 mL씩 시딩(seeding)하고, 하룻밤 동안 방치한 후 배지를 갈아준 다음 약물을 적당 농도로 처리했다.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LPS를 1 ㎍/mL로 처리하고 24시간 (또는 적당한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상등액을 취하여 5배 희석했다. NSB(Non Specific Binding) 웰에 150 μL의 분석 버퍼를 넣고, 100 μL의 분석 버퍼를 영점 표준(B0) 웰에 넣었다. 나머지 웰에 100 μL의 표준 샘플을 넣고 50 μL의 PGE2 컨쥬게이트를 넣었다(NSB 제외). 50 μL의 PGE2 항체 용액을 넣고 2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각 웰을 흡인(suction)하고 세척 버퍼로 5회 세척했다. 200 μL의 pNPP(para-nitrophenyl phosphate) 기질을 전체 웰에 넣고 1시간 동안 bench 내에서 상온 보관한 후 50 μL의 정지액을 넣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 값과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PGE2 생성량을 정량하고 LPS만 단독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50%를 저해하는 농도(IC50)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제시되는 값은 3회 평균값이다.
화합물 치환기 세포생존도(μM) PGE2생성억제
R1 R2 R3 R4 R5 R6 R7 R8 %억제(@1 μM) IC50(nM)
실시예 1 (MPO-0120) H Cl Cl H H H H BnO >1 84.1 253.92
실시예 2 (MPO-0121) H t-Bu H H H H H PhO >1 83.2 296.46
실시예 3 (MPO-0122) H i-Pr H H H H H PhO >1 77.7 396.67
실시예 4 (MPO-0123) H Cl H H H H CH2CH2CH2 >1 66.6 591.38
실시예 5 (MPO-0124) CH2CH2O H H H H H BnO >1 74.7 446.34
실시예 6 (MPO-0125) CH2CH2O H Me H H H PhO >1 82.7 381.24
실시예 7 (MPO-0126) CH2CH2O Cl H H H H BnO >1 83.4 361.42
실시예 8 (MPO-0127) CH2CH2O H H H H H PhO >1 76.5 434.63
실시예 9 (MPO-0128) CH2CH2O H Me H H H BnO >1 92.7 214.51
실시예 10 (MPO-0129) CH2CH2O H H H H CH2CH2CH2 >1 66.8 496.74
실시예 11 (MPO-0130) CH2CH2O Cl H H H CH2CH2CH2 >1 68.6 522.84
실시예 12 (MPO-0131) H MeO H H H H CH2CH2CH2 >1 71.3 530.56
실시예 13 (MPO-0132) H Cl H H H MeO H H >1 63.2 634.88
실시예 14 (MPO-0133) H MeO H H NO2 H H BnO >1 93.2 181.46
실시예 15 (MPO-0134) H MeO H H NO2 H H PhO >1 88.0 324.54
실시예 16 (MPO-0135) H MeO H H NO2 H CH2CH2CH2 >1 55.8 852.73
실시예 17 (MPO-0136) CH2CH2O Cl H H H H PhO >1 74.8 499.89
실시예 18 (MPO-0137) CH2CH2O H Me H H CH2CH2CH2 >1 64.2 709.68
실시예 19 (MPO-0138) H Cl H H MeO H H PhO >1 80.5 416.50
실시예 20 (MPO-0139) H Cl H H MeO H CH2CH2CH2 >1 65.1 634.07
실시예 21 (MPO-0112) H Cl H H H H H BnO >1 74.6 340.69
실시예 22 (MPO-0140) H Cl H H NO2 H H PhO >0.1 50.4(0.1) -
실시예 23 (MPO-0141) H Cl H H NO2 H H BnO >0.1 78.1(0.1) -
실시예 24 (MPO-0149) H H H H NO2 H H BnO >0.1 50.7(0.1) -
실시예 25 (MPO-0159) H NO2 H H MeO H H BnO >0.1 54.1(0.1) -
실시예 26 (MPO-0162) H NO2 H H NO2 H H BnO >0.1 70.8(0.1) -
상기 표 1 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는 1 또는 0.1 μM 농도에서 Raw264.7(마우스 대식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이 거의 없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1 μM 농도에서 55.8 내지 93.2% 범위의 우수한 PGE2 생성 억제 효능을 보였으며, 0.1 μM 농도에서 50.4 내지 78.1% 범위의 우수한 PGE2 생성 억제 효능을 보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IC50 값이 181.46 내지 852.73 nM 범위로 강력한 PGE2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동물모델에서 발-부종 및 귀-부종 (edema) 억제 실험
수컷의 SD 랫드 5주령(체중 160 내지 200g)을 (주)오리엔트 바이오(서울, 한국)에서 공급받아 실험실에 약 7일간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 (23±2℃), 습도 (50±10%) 및 명암주기 (12시간, 07:30 ~ 19:30)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발-부종 동물모델의 경우, 군당 7마리로 실험 전 랫드의 오른쪽 뒷발의 부피를 측정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화합물(MPO-0112)을 DMSO에 용해시킨 후, 준비된 실험동물에 복강으로 투여 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이부프로펜 100 mg/kg을 경구 투여하였다. 약물투여 1시간 후 1% carrageenan을 생리식염수로 준비하고 100 μL 용량으로 랫드의 오른쪽 뒷발바닥에 투여하고, 발의 부종을 1, 3 및 5시간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부종의 정도는 plethysmometer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귀-부종 동물모델은 발-부종모델과 동일하게 군당 7 마리로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화합물(MPO-0112)을 처리한 다음 1시간 후, 오른쪽 귀 안쪽 면에 5% croton oil을 아세톤에 녹인 용액을 200 μL 용량으로 국부적으로 도포한 뒤, 3시간 후 양쪽 귀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 결과의 값은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통계적 유의성은 *P value < 0.05, ***P value < 0.001 일 때 인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었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볼 수 있듯이, MPO-0112를 투여한 그룹이 carrageenan 혹은 croton oil만 단독 투여한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특히, MPO-0112를 투여한 그룹은 1 mg/kg의 낮은 용량에서 대조물질인 이부프로펜의 고용량 (100 mg/kg)과 거의 동등한 발-부종 및 귀-부종 억제 효능을 보였다.
시험예 4: 동물모델 수동회피실험 (기억력 향상에 대한 효능실험)
수컷의 ICR 마우스 5주령(체중 26 내지 28g)을 (주)오리엔트 바이오(서울, 한국)에서 공급받아 실험실에 약 7일간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 (23±2℃), 습도 (50±10%) 및 명암주기 (12시간, 07:30 ~ 19:30)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각 그룹은 10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화합물(MPO-0112)을 30% cremophor에 현탁한 후, 준비된 실험동물에 경구로 투여 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donepezil 5 mg/kg을 투여하고, 대조군에는 30% cremophor를 투여하였다. 약물투여 30분 후 scopolamine을 1 mg/kg 용량으로 복강 투여 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약물투여 없이 scopolamine만 1 mg/kg 용량으로 복강 투여 하였다. scopolamine 투여 30분 후에 마우스를 조명을 비춘 밝은 쪽 구획에 놓고 10초의 탐색시간 후 길로틴문(guillotin door)이 열려 어두운 구획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였다. 이때 길로틴문이 열린 후 60초 이내에 어두운 쪽으로 들어가지 않는 마우스는 어두운 쪽으로 들어가도록 유도하였다. 길로틴문이 열린 후 마우스가 어두운 쪽으로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일단 마우스가 어두운 쪽으로 들어가면 길로틴문이 닫히고 0.5 mA의 전기충격이 3초 동안 격자 바닥을 통해 흐르게 되고 마우스는 이러한 전기 작용을 기억하게 된다. 학습 시험이 끝나고 24시간 후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마우스가 10초의 탐색시간 후 길로틴문이 열리고 어두운 쪽으로 네 발이 다 들어가는데 걸리는 시간(latency time: 머무름 시간)을 300초까지 측정하였다. 걸리는 시간이 길수록 수동회피의 학습과 기억이 좋음을 나타낸다. 모든 실험 결과의 값은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수동회피시험의 결과는 one way ANOV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유의성이 인정될 경우 Student-Newman-Keuls Test를 이용하여 95% 신뢰 수준 이하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 value < 0.05 일 때 인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2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수동회피실험에서 scopolamine으로 유도된 기억력 감퇴 모델에서 MPO-0112의 개선효과를 나타낸다.
도 2 및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머무름 시간이 유의성 있게 감소한 것으로 보아 기억력 감퇴 모델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PO-0112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scopolamine만 투여한 그룹의 머무름 시간이 39.44±3.5초인데 반해 0.3 및 1 mg/kg 투여군에서 각각 135.8±8.1(p<0.05)및 97.5±8.6(p<0.05)초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상기 실험을 통해 얻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유용한 농도에 근거하여, 이후 실험에서는 0.3 mg/kg의 농도로 확인하였다.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수동회피실험에서 scopolamine으로 유도된 기억력 감퇴 모델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MPO-0121 (실시예 2), MPO-0126 (실시예 7) 및 MPO-0134 (실시예 15)를 투여한 그룹에서 scopolamine만 투여한 그룹에 비해 0.3 mg/kg 투여시 각각 92.1±18.4(p < 0.05), 95.9±15.6(p < 0.05) 및 79.1±12(p < 0.05)초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화합물 Mean±SEM (단위: 초) P value
MPO-0112 (실시예 21: 0.3 mg/kg) 135.8±8.1 P < 0.05
MPO-0112 (실시예 21: 1 mg/kg) 97.5±8.6 P < 0.05
MPO-0121 (실시예 2: 0.3 mg/kg) 92.1±18.4 P < 0.05
MPO-0126 (실시예 7: 0.3 mg/kg) 95.9±15.6 P < 0.05
MPO-0134 (실시예 15: 0.3 mg/kg) 79.1±12 P < 0.05
시험예 5: mPGES-1 억제 활성
A549 인체 폐암세포의 미세소체 분획
100 units/mL penicillin-streptomycin과 10% FBS를 첨가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A549 인체 폐암세포를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100-mm2 dish에 1×106 세포/mL로 분주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배양 후에, 배지를 2% FBS DMEM으로 바꿔주고 1시간 뒤 세포에 IL-1β (1 ng/mL)을 처리하였다. 48시간 배양 후에, PBS로 세포를 세척한 후 Trypsin/EDTA 2mL로 5분간 반응시킨 후 3mL의 DMEM을 추가하여 세포를 분리하여 1,000 rpm, 5분간 원심분리로 세포를 모은 후 PBS로 두 번 다시 세포를 세척하였다. 준비된 세포는 homogenization buffer (0.1 M potassium phosphoate buffer, pH 7.4, 2.5 mM glutathione, 0.25 M sucrose) 1mL로 재용해하고 얼음에서 10분간 배양한 뒤에, 초음파 분해(3×20초)하여 1,000×g, 10분간 그리고 174,000×g, 1시간, 4℃에서 원심분리로 미세소체를 분획하였다. 이 미세소체 분획을 homogenization buffer 50 μL로 재용해한 뒤에 Bradford assay로 단백질 정량을 진행하였다.
mPGES-1 효소 활성 측정
최종농도 5 μg/100 μL 단백질과 reaction buffer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2.5 mM GSH)에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화합물(MPO-0112), DMSO 또는 양성 대조군으로서 MK886을 추가하여 총 부피를 100 μL로 맞추고, 얼음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PGH2 (20 μM)를 추가하면 반응이 시작되고 2분 후에 stop 용액 (40 mM FeCl2, 80 mM citric acid) 100 μL를 추가하여 반응을 끝냈다. PGE2 production은 PGE2 ELISA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화합물(MPO-0112)의 mPGES-1 효소 억제 실험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으며, IC50=7.37μM의 값을 보였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화합물(MPO-0112)은 100 nM의 낮은 농도에서 양성 대조군인 MK886의 높은 농도(5 μM)와 거의 동등한 mPGES-1 효소 억제 효능을 보였다.
시험예 6: CYP450 활성 억제
Human liver microsomes (0.25 mg/ml)과 0.1M 인산 완충용액 (pH 7.4), 5종의 약물대사효소의 기질 약물 칵테일 (Phenacetin 50 μM, Diclofenac 10 μM, S-mephenytoin 100 μM, Dextromethorphan 5 μM, Midazolam 2.5 μM) 및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화합물(MPO-0112)를 각각 0 및 10 μM 농도로 첨가하고 37℃에서 5분간 미리 배양한 후, NADPH generation system 용액을 첨가하고 37℃에서 15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반응을 종결시키기 위해 내부표준물질(Terfenadine)이 포함된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첨가하고, 5분간 원심분리(14,000 rpm, 4℃) 한 후 상층액을 LC-MS/MS 시스템에 주입하여 기질약물의 대사물을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MPO-0112에 의한 약물대사효소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MPO-0112에 의한 각각의 CYP 동효소 활성의 억제능은 억제제를 첨가하지 않은 control에 대한 % 활성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CYP450 동효소 (% of control activity)
CYP1A2 99.4
CYP2C9 97.0
CYP2C19 56.9
CYP2D6 >100
CYP3A4 >100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합물(MPO-0112)는 약물대사효소에 대한 저해 활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II의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I]
    Figure PCTKR2018002786-appb-I000009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2는 수소, C1-C6의 알킬기, C1-C6의 알콕시기, 할로겐, 나이트로, C1-C6의 할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거나,
    R1 및 R2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4 내지 7각형 탄화수소 고리 또는 헤테로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하며,
    R3는 수소, C1-C6의 알킬기, 할로겐, 나이트로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4는 수소, C1-C6의 알킬기, 할로겐, 나이트로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며,
    R5는 수소, C1-C6의 알킬기, 할로겐, 나이트로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6는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며,
    R7는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8는 수소, C1-C6의 알킬기, C1-C6의 알콕시기 또는 아릴옥시기이거나,
    R7 및 R8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4 내지 7각형 탄화수소 고리 또는 헤테로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 C1-C6의 알킬기, C1-C6의 알콕시기, 할로겐 또는 나이트로이거나,
    R1 및 R2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4 내지 7각형 헤테로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하며,
    R3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4는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며,
    R5는 수소, 나이트로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6는 수소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며,
    R7는 수소이고,
    R8는 수소 또는 아릴옥시기이거나,
    R7 및 R8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4 내지 7각형 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하는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3. 제1항에 있어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 i-프로필, t-부틸, 메톡시, 클로로 또는 나이트로이거나,
    R1 및 R2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5각형 옥솔레인을 형성하며,
    R3는 수소 또는 클로로이고,
    R4는 수소 또는 메틸이며,
    R5는 수소, 나이트로 또는 메톡시이고,
    R6는 수소 또는 메톡시이고,
    R7는 수소이며,
    R8는 수소, 페녹시 또는 벤질옥시이거나,
    R7 및 R8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5각형 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하는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4.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N-(2-클로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 (II-1);
    N-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t-부틸페닐설폰아마이드 (II-2);
    N-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i-프로필페닐설폰아마이드 (II-3);
    N-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 (II-4);
    N-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5);
    N-(3-메틸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6);
    N-(2-클로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7);
    N-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8);
    N-(3-메틸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9);
    N-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10);
    N-(2-클로로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11);
    N-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 (II-12);
    N-벤질-N-(2-메톡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 (II-13);
    N-(4-나이트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 (II-14);
    N-(4-나이트로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 (II-15);
    N-(4-나이트로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4-메톡시페닐설폰아마이드 (II-16);
    N-(2-클로로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17);
    N-(3-메틸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5-일)설폰아마이드 (II-18);
    N-(4-메톡시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 (II-19);
    N-(4-메톡시벤질)-N-(2,3-다이하이드로-1H-인덴-5-옥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 (II-20);
    N-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 (II-21);
    N-(4-나이트로벤질)-N-(4-페녹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2);
    N-(4-나이트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클로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3);
    N-(4-나이트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II-24);
    N-(4-메톡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나이트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5); 및
    N-(4-나이트로벤질)-N-(4-벤질옥시페녹시카르보닐)-4-나이트로페닐설폰아마이드(II-26).
  5.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II의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III]
    Figure PCTKR2018002786-appb-I000010
    [화학식 IV]
    Figure PCTKR2018002786-appb-I000011
    [화학식 II]
    Figure PCTKR2018002786-appb-I00001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2는 수소, C1-C6의 알킬기, C1-C6의 알콕시기, 할로겐, 나이트로, C1-C6의 할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거나,
    R1 및 R2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4 내지 7각형 탄화수소 고리 또는 헤테로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하며,
    R3는 수소, C1-C6의 알킬기, 할로겐, 나이트로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4는 수소, C1-C6의 알킬기, 할로겐, 나이트로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며,
    R5는 수소, C1-C6의 알킬기, 할로겐, 나이트로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6는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며,
    R7는 수소, C1-C6의 알킬기 또는 C1-C6의 알콕시기이고,
    R8는 수소, C1-C6의 알킬기, C1-C6의 알콕시기 또는 아릴옥시기이거나,
    R7 및 R8는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와 함께 4 내지 7각형 탄화수소 고리 또는 헤테로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한다.
  6. 제5항에 있어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염기의 존재 하에 반응시키는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염기가 트리에틸아민인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반응이 별도의 반응용매 없이 수행되는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미세소체 프로스타글란딘 E2 합성효소-1(mPGES-1) 저해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염증, 관절염, 고열, 통증, 암, 뇌졸중 또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인 약제학적 조성물.
PCT/KR2018/002786 2017-03-16 2018-03-08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1816925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389A KR102294129B1 (ko) 2017-03-16 2017-03-16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7-0033389 2017-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9252A1 true WO2018169252A1 (ko) 2018-09-20

Family

ID=6352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2786 WO2018169252A1 (ko) 2017-03-16 2018-03-08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4129B1 (ko)
WO (1) WO20181692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2874A (zh) * 2019-08-26 2022-04-08 国际药品株式会社 吲哚甲酰胺衍生物和包含吲哚甲酰胺衍生物的药物组合物
WO2022128052A1 (en) 2020-12-14 2022-06-23 Symrise Ag Medicament for fighting inflammatory conditions of human ski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3381A1 (en) * 2000-03-31 2003-05-01 Hiroki Kumagai Hair growth or hair formation controlling agents
KR20120009176A (ko) * 2010-07-22 2012-02-0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PGES-1에 대하여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항염증제
US20160122330A1 (en) * 2013-06-20 2016-05-05 Novasaid Ab Piperidinyl benzoimidazole derivatives as mpge-1 inhibitors
WO2016071293A2 (en) * 2014-11-03 2016-05-12 Iomet Pharma Ltd Pharmaceutical compound
WO2017031918A1 (zh) * 2015-08-24 2017-03-02 四川科伦药物研究院有限公司 长效二肽基肽酶-iv抑制剂、用途及其中间体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455B1 (ko) 2015-03-10 2016-11-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N-페닐-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하이드라자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3381A1 (en) * 2000-03-31 2003-05-01 Hiroki Kumagai Hair growth or hair formation controlling agents
KR20120009176A (ko) * 2010-07-22 2012-02-0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PGES-1에 대하여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항염증제
US20160122330A1 (en) * 2013-06-20 2016-05-05 Novasaid Ab Piperidinyl benzoimidazole derivatives as mpge-1 inhibitors
WO2016071293A2 (en) * 2014-11-03 2016-05-12 Iomet Pharma Ltd Pharmaceutical compound
WO2017031918A1 (zh) * 2015-08-24 2017-03-02 四川科伦药物研究院有限公司 长效二肽基肽酶-iv抑制剂、用途及其中间体的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2874A (zh) * 2019-08-26 2022-04-08 国际药品株式会社 吲哚甲酰胺衍生物和包含吲哚甲酰胺衍生物的药物组合物
WO2022128052A1 (en) 2020-12-14 2022-06-23 Symrise Ag Medicament for fighting inflammatory conditions of human 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987A (ko) 2018-10-01
KR102294129B1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12344A1 (ko)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신규한 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21256861A1 (ko) 신규한 산 분비 억제제 및 이의 용도
WO2020022794A1 (en) 1,3,4-oxadiazole derivative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18169252A1 (ko) N-벤질-n-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17176040A1 (ko) Ras를 분해하는 이종원자고리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15026172A1 (ko) 세포괴사 저해제로서의 인돌아미드 화합물
WO2021145655A1 (ko) 신규한 피라졸 유도체
WO2021040393A1 (ko) 인돌 카복사미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16093554A2 (ko) 신규한 4-(아릴)-n-(2-알콕시티에노[3,2-b]피라진-3-일)-피페라진-1-카복스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항증식 효과
WO2012148140A2 (ko) 혈관 신생 억제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이미다졸계 알칼로이드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44087A1 (ko) N-페닐-n&#39;-페녹시카르보닐-페닐설폰하이드라자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09096667A4 (ko) 신규한 퀴나졸린-2,4-디온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뇌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WO2015060613A1 (en) Novel antifungal oxodihydropyridinecarbohydrazide derivative
WO2021215624A1 (ko) 신규의 2-아릴티아졸 유도체 또는 이의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WO2018164549A1 (ko) 말릭산 탈수소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149900A1 (ko) 이치환 아다만틸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성장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WO2017115914A1 (ko) PPARγ 인산화 저해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0017878A1 (en) Novel catechol derivatives or salt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WO2020190073A1 (ko) 신규한 아졸로피리미딘 헤테로고리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15026170A1 (ko) 세포괴사 저해제로서의 인돌 화합물
WO2023090908A1 (ko) 신규 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9235894A1 (ko) Aimp2-dx2와 k-ras의 결합을 저해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형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aimp2-dx2와 k-ras의 결합을 저해하는 신규 화합물
WO2018194372A1 (ko) 신규 sirt 1 활성화제 및 이의 의학적 용도
WO2024029819A1 (ko)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177307A1 (ko) 벤즈이미다졸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터페론 유전자 자극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675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675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