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51367A1 -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51367A1
WO2018151367A1 PCT/KR2017/002457 KR2017002457W WO2018151367A1 WO 2018151367 A1 WO2018151367 A1 WO 2018151367A1 KR 2017002457 W KR2017002457 W KR 2017002457W WO 2018151367 A1 WO2018151367 A1 WO 20181513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aphic
sections
dots
section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24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진우
최훈순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주)프롬애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주)프롬애딕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81513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513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 a frame pattern for indicating a data frame structure and a direction by changing the interval or size of a dot or applying a pattern of a line structure
  • the unit graphic area of the teaching material includes a content part and a header part, wherein the content par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irtual sections, each section is formed with at least one specific pattern having content related information, and the header part is the content It consists of one or two sections of the same size as each unit section of the plurality of virtual sections of the negative section, and one or two sections of the header section is formed with a frame pattern having information about the data frame structure and direction It has its features.
  •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rame pattern formed in the header portion is a pair of two symmetrically identical sizes about a vertical line or a horizontal line constituting a virtual cross point forming a center point of a section It may be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more than one dot is arranged.
  • the graphic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pplied to an educational textbook, but the graphic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other textbooks or materials (for example, specific books, report materials, presentation material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newspapers, magazines,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영역에 육안으로는 식별이 어려운 특정 패턴으로 인쇄되어, 광학 인식 펜의 접촉에 따라 광학 인식 펜에 의해 상기 특정 패턴이 인식됨으로써 해당 그래픽에 대응하는 음성 또는 음악을 출력하여 그래픽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교육용 교재의 단위 그래픽 영역은 컨텐츠부와 헤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부는 복수의 가상 섹션들로 분할되고, 각 섹션에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헤더부는 상기 컨텐츠부의 복수의 가상 섹션들의 각 단위 섹션과 동일한 크기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섹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헤더부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섹션에는 데이터 프레임 구조와 방향에 관한 정보를 갖는 프레임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
본 발명은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텐츠 영역의 유효 도트의 비율을 향상시키고, 적은 연산량으로도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와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어학 학습기 분야에는 광학코드 식별펜에 의해 전자적 방식으로 어학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어학 교육(학습) 부재가 선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어학 교육(학습) 부재의 하나로 교육용 펜학습기를 들 수 있다. 교육용 펜학습기(801)(도 8 참조)는 보이스펜, 리딩(reading) 펜, 혹은 재능 펜으로 지칭되는 교육 보조기구로서, 종이에 잉크를 흘려 글자(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일반적인 펜이 아니며, 펜의 단부에 광학 렌즈가 설치되어 있어서 지면에 인쇄된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육용 펜학습기는 주로 아동의 외국어 혹은 자국어 교육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펜학습기는 펜의 단부에 설치된 소형 카메라의 렌즈 부분을 교재의 지면에 접촉시키면, 접촉면의 배경에 삽입된 도트 패턴(dot pattern)에 따라 대응하는 음성이나 음악이 흘러나오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펜학습기는 특수 제작된 교재와 함께 사용되며, 교재에는 육안으로는 식별이 어려운 특정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펜학습기에 설치된 광학 인식 렌즈가 그와 같은 특정 패턴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대응하는 음원 코드와 음원 데이터가 검색되어 음성이나 음악이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펜학습기와 관련하여, IT 분야 및 인쇄 분야의 기술 발전으로, 가시 텍스트 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와 함께 그래픽 인디케이터를 함께 포함하는 기술이 다양한 분야(특히, 교육 또는 학습 교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0826호(특허문헌 1)에는 "그래픽 인디케이터"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에 따른 그래픽 인디케이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마이크로-유닛들(16)이 분포되어 있고, 복수의 제1 스테이트존들(18)로 구분되며, 상기 각각의 제1 스테이트존에는 하나의 제1 마이크로-유닛이 분포하고, 상기 각각의 제1 스테이트존은 복수의 가상 섹션들로 균등하게 구분되며, 상기 제1 마이크로-유닛은 상기 가상 섹션들 중 하나에 위치하여 여러 개의 구별되는 후보 스테이트들(candidate states)을 형성하는 컨텐츠부(12); 및 복수의 제2 마이크로-유닛들(16)이 분포되어 있고, 복수의 제2 스테이트존들(18)로 구분되며, 상기 각각의 제2 스테이트존에는 하나의 제2 마이크로-유닛이 분포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마이크로-유닛(16')은 헤더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2 스테이트존의 중심에 대해 두 개의 인접한 제2 스테이트존들의 중심의 연결선에 수직 방향으로 시프트되며, 나머지 제2 마이크로-유닛 각각은 제2 스테이트존의 중심에 배치되는 헤더부(14)를 포함하는 그래픽 인디케이터로서, 다른 컨텐츠부(12)를 갖는 두 개의 그래픽 인디케이터(10)는 각각의 다른 헤더부(14)들을 인식함으로써 서로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 종래의 디자인과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표시하면서도 더 작은 수의 도트(더 작은 도트 분포 밀도)를 가능하게 하여 더 나은 시각 효과를 얻게 하고, 그래픽 인디케이터 및 객체의 표면에 제공된 주요 텍스트 또는 패턴 사이의 혼동을 피하게 하는 장점이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실제 유효 도트의 비율(9/16 = 0.56)이 낮고, 오버헤드(헤더부(14))가 큰 것에 비해 실제로 프레임(격자)의 범위와 방향을 파악하는데 많은 연산이 필요하다. 즉, 오버헤드의 도트들이 일직선상에 위치함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도트의 무게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을 구하고, 이들의 기울기가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또한, 오버헤드는 크지만 방향성을 나타내는 키(key) 도트 (16')는 단 한 개로 해당 도트에의 의존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데이터 프레임 구조와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프레임 패턴을 사용함에 있어서, 도트의 간격이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라인 구조의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컨텐츠 영역의 유효 도트의 비율을 향상시키고, 적은 연산량으로도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와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은,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영역에 육안으로는 식별이 어려운 특정 패턴으로 인쇄되어, 광학 인식 펜의 접촉에 따라 광학 인식 펜에 의해 상기 특정 패턴이 인식됨으로써 해당 그래픽에 대응하는 음성 또는 음악을 출력하여 그래픽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교육용 교재의 단위 그래픽 영역은 컨텐츠부와 헤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부는 복수의 가상 섹션들로 분할되고, 각 섹션에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헤더부는 상기 컨텐츠부의 복수의 가상 섹션들의 각 단위 섹션과 동일한 크기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섹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헤더부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섹션에는 데이터 프레임 구조와 방향에 관한 정보를 갖는 프레임 패턴이 형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1 실시예는 한 개의 섹션의 중심점을 이루는 하나의 가상 교차점(cross point)을 구성하는 수직선 또는 수평선상에 상기 교차점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동일한 크기의 두 개 이상의 도트가 배치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2 실시예는 한 개의 섹션의 중심점을 이루는 하나의 가상 교차점을 구성하는 수직선 또는 수평선상에 크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도트가 배치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3 실시예는 한 개의 섹션의 중심점을 이루는 하나의 가상 교차점을 구성하는 수직선 또는 수평선상에 상기 교차점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동일한 크기의 두 개의 도트가 배치되고, 그 두 개의 도트는 직선으로 연결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4 실시예는 한 개의 섹션의 중심점을 이루는 하나의 가상 교차점을 구성하는 수직선 및 수평선상에 걸쳐 소정 굵기의 "L"자형의 선이 배치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5 실시예는 두 개의 섹션의 각 중심점을 이루는 두 개의 가상 교차점(cross point)을 구성하는 각 수직선 또는 수평선상에 동일한 크기의 두 개의 도트가 섹션 간에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프레임 구조와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프레임 패턴을 사용함에 있어서, 도트의 간격이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라인 구조의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컨텐츠 영역의 유효 도트의 비율을 향상시키고, 적은 연산량으로도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와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그래픽 인디케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의 구현을 위해 그래픽 영역의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의 구현을 위해 그래픽 영역의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의 구현을 위해 그래픽 영역의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의 구현을 위해 그래픽 영역의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의 구현을 위해 그래픽 영역의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의 구현을 위해 컨텐츠부와 헤더부를 갖는 다수의 단위 그래픽 영역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반적인 교육용 펜학습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트 패턴이 인쇄된 교육용 교재 및 그래픽 영역에 특수 인쇄된 도트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의 구현을 위해 그래픽 영역의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육용 교재(901)의 그래픽 영역(902)에 육안으로는 식별이 어려운 특정 패턴(903)(원래는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으나 설명을 위해 보이는 것처럼 도시한 것임)으로 인쇄되어, 광학 인식 펜(교육용 펜학습기(801) 등)의 접촉에 따라 광학 인식 펜에 의해 상기 특정 패턴이 인식됨으로써 해당 그래픽에 대응하는 음성 또는 음악을 출력하여 그래픽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육용 교재의 단위 그래픽 영역(200)은 컨텐츠부(210)와 헤더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텐츠부(210)는 복수의 가상 섹션들로 분할되고, 각 섹션에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패턴(211)(예컨대, 도트)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더부(220)는 상기 컨텐츠부(210)의 복수의 가상 섹션들의 각 단위 섹션과 동일한 크기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섹션으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헤더부(220)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섹션에는 데이터 프레임 구조와 방향에 관한 정보를 갖는 프레임 패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더부(220)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1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섹션의 중심점을 이루는 하나의 가상 교차점(cross point)을 구성하는 수직선 또는 수평선상에 상기 교차점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동일한 크기의 두 개 이상의 도트(221,222)가 배치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광학 인식 펜에 의해 가장 가까운 두 개의 도트 (221,222)를 찾고, 그 두 개의 도트의 방향성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와 방향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효 도트의 비율은 단위 그래픽 영역(200)이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4×4 격자 구조일 경우, 15/16 = 0.94이며, 이는 종래의 유효 도트의 비율(0.56)보다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의 구현을 위해 그래픽 영역의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부(320)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2 실시예는 한 개의 섹션의 중심점을 이루는 하나의 가상 교차점을 구성하는 수직선 또는 수평선상에 크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도트(321,322)가 배치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광학 인식 펜에 의해 가장 큰 도트(321)를 찾고, 이와 가장 가까운 도트(322)의 방향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와 방향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장 큰 도트를 찾는 것은 도트 간의 연관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연산량이 대폭 줄어든다. 이 제2 실시예에서의 유효 도트의 비율도 단위 그래픽 영역(300)이 4×4 격자 구조일 경우, 15/16 = 0.94로서 종래에 비해 월등히 높다. 도 3에서 참조번호 310은 컨텐츠부, 311은 특정 패턴으로서의 도트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의 구현을 위해 그래픽 영역의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부(420)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3 실시예는 한 개의 섹션의 중심점을 이루는 하나의 가상 교차점을 구성하는 수직선 또는 수평선상에 상기 교차점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동일한 크기의 두 개의 도트(421,422)가 배치되고, 그 두 개의 도트(421,422)는 직선(423)으로 연결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위의 도 2에서의 프레임 패턴의 제1 실시예에서의 도트 배치에 도트 간을 연결하는 직선을 더 부가한 형태로서, 광학 인식 펜에 의한 인식률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때의 유효 도트의 비율도 단위 그래픽 영역(400)이 4×4 격자 구조일 경우, 15/16 = 0.94로서 종래에 비해 월등히 높다. 도 4에서 참조번호 410은 컨텐츠부, 411은 특정 패턴으로서의 도트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의 구현을 위해 그래픽 영역의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부(520)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4 실시예는 한 개의 섹션의 중심점을 이루는 하나의 가상 교차점을 구성하는 수직선 및 수평선상에 걸쳐 소정 굵기의 "L"자형의 선(521)이 배치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컨텐츠부(510)에 대한 방향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 또한 광학 인식 펜에 의한 인식률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때의 유효 도트의 비율도 또한 단위 그래픽 영역(500)이 4×4 격자 구조일 경우, 15/16 = 0.94로서 종래에 비해 월등히 높다. 도 5에서 참조번호 511은 특정 패턴으로서의 도트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의 구현을 위해 그래픽 영역의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부(620)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의 제5 실시예는 두 개의 섹션의 각 중심점을 이루는 두 개의 가상 교차점(cross point)을 구성하는 각 수직선 또는 수평선상에 동일한 크기의 두 개의 도트(621,622)가 섹션 간에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역시 광학 인식 펜에 의해 가장 가까운 두 개의 도트(621,622)를 찾고, 그 두 개의 도트(621,622)의 방향성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와 방향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유효 도트의 비율은 단위 그래픽 영역(600)이 4×4 격자 구조일 경우, 14/16 = 0.875로서 종래에 비해 월등히 높다. 도 6에서 참조번호 610은 컨텐츠부, 611은 특정 패턴으로서의 도트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의 구현을 위해 컨텐츠부와 헤더부를 갖는 다수의 단위 그래픽 영역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부(210)와 헤더부(220)를 갖는 단위 그래픽 영역(200)은 다수가 서로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다수의 단위 그래픽 영역(200)이 모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통합된 그래픽 영역(902)을 이루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표시방법이 교육용 교재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그래픽 표시방법은 교육용 교재 외에 기타 다른 교재나 자료(예를 들면, 특정 서적이나 보고서 자료, 발표 자료, 신문, 잡지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은 데이터 프레임 구조와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프레임 패턴을 사용함에 있어서, 도트의 간격이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라인 구조의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컨텐츠 영역의 유효 도트의 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적은 연산량으로도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와 방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영역에 육안으로는 식별이 어려운 특정 패턴으로 인쇄되어, 광학 인식 펜의 접촉에 따라 광학 인식 펜에 의해 상기 특정 패턴이 인식됨으로써 해당 그래픽에 대응하는 음성 또는 음악을 출력하여 그래픽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교육용 교재의 단위 그래픽 영역은 컨텐츠부와 헤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부는 복수의 가상 섹션들로 분할되고, 각 섹션에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헤더부는 상기 컨텐츠부의 복수의 가상 섹션들의 각 단위 섹션과 동일한 크기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섹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헤더부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섹션에는 데이터 프레임 구조와 방향에 관한 정보를 갖는 프레임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은 한 개의 섹션의 중심점을 이루는 하나의 가상 교차점(cross point)을 구성하는 수직선 또는 수평선상에 상기 교차점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동일한 크기의 두 개 이상의 도트가 배치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은 한 개의 섹션의 중심점을 이루는 하나의 가상 교차점을 구성하는 수직선 또는 수평선상에 크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도트가 배치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은 한 개의 섹션의 중심점을 이루는 하나의 가상 교차점을 구성하는 수직선 또는 수평선상에 상기 교차점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동일한 크기의 두 개의 도트가 배치되고, 그 두 개의 도트는 직선으로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은 한 개의 섹션의 중심점을 이루는 하나의 가상 교차점을 구성하는 수직선 및 수평선상에 걸쳐 소정 굵기의 "L"자형의 선이 배치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패턴은 두 개의 섹션의 각 중심점을 이루는 두 개의 가상 교차점을 구성하는 각 수직선 또는 수평선상에 동일한 크기의 두 개의 도트가 섹션 간에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
PCT/KR2017/002457 2017-02-20 2017-03-07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 WO201815136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539 2017-02-20
KR20170022539 2017-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1367A1 true WO2018151367A1 (ko) 2018-08-23

Family

ID=6316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2457 WO2018151367A1 (ko) 2017-02-20 2017-03-07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1938B1 (ko)
WO (1) WO201815136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00B1 (ko) * 2005-01-18 2006-06-20 요시다 켄지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KR20070102390A (ko) * 2006-04-14 2007-10-18 소닉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그래픽 인디케이터
US20100128320A1 (en) * 2008-11-21 2010-05-27 Xerox Corporation Protecting printed items intended for public exchange with information embedded in blank document borders
US20130168451A1 (en) * 2010-09-24 2013-07-04 Sicpa Holding Sa Two-dimensional identification pattern, article including such a pattern, and methods for marking and identifying such a pattern
KR101378362B1 (ko) * 2012-06-29 2014-03-28 김포대학교산학협력단 광학코드 식별 펜에 의하여 제어되는 어학학습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300B1 (ko) * 2005-01-18 2006-06-20 요시다 켄지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 입출력 방법
KR20070102390A (ko) * 2006-04-14 2007-10-18 소닉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그래픽 인디케이터
US20100128320A1 (en) * 2008-11-21 2010-05-27 Xerox Corporation Protecting printed items intended for public exchange with information embedded in blank document borders
US20130168451A1 (en) * 2010-09-24 2013-07-04 Sicpa Holding Sa Two-dimensional identification pattern, article including such a pattern, and methods for marking and identifying such a pattern
KR101378362B1 (ko) * 2012-06-29 2014-03-28 김포대학교산학협력단 광학코드 식별 펜에 의하여 제어되는 어학학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503A (ko) 2018-08-29
KR102041938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319B1 (ko) 그래픽 인디케이터
US5167504A (en) Bilingual dictionary
Rosenblum et al. Teacher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share experiences and advice for supporting students in understanding graphics
WO2010002147A2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접촉카드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WO2013183849A1 (ko) 반사형 디스플레이 및 이를 이용한 전자펜 시스템
CN107783718A (zh) 一种基于纸质手写的在线作业/考试输入方法及装置
WO2016129954A1 (ko) 두뇌활성화를 통한 어학 학습 교구 세트
WO2018151367A1 (ko) 교육용 교재의 그래픽 표시방법
Quinnell et al. Greek or not: The use of symbols and abbreviations in mathematics
WO2011049408A2 (ko) 인쇄물 상에 표시된 코드 판독 방법
KR20180119100A (ko) 한글음절을 형성하고 읽어주는 학습 시스템 및 학습 장치
US20150356882A1 (en) Learning system using nfc chart
KR102396657B1 (ko) 카드식 수학 교구 유닛
KR102132552B1 (ko) Ar기술을 활용한 블록형 학습교구
CN204423703U (zh) 多功能教学方块
KR200425615Y1 (ko) 퍼즐 학습구
US10388174B2 (en) Writing instrument teaching system
KR100551587B1 (ko) 교습용 카드와 교습판 및 이들을 이용한 교습구
KR102504151B1 (ko) 알파벳 쓰기용 학습 교구와 그 학습 방법
KR20150066417A (ko) 문자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WO2022270800A1 (ko) 중국어 병음 학습 교구
KR100346359B1 (ko)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JP2015089613A (ja) 漢字練習教材
KR101612391B1 (ko)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WO2017086649A1 (ko) 한자 학습용 교재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968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968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