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28201A1 -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28201A1
WO2018128201A1 PCT/KR2017/000105 KR2017000105W WO2018128201A1 WO 2018128201 A1 WO2018128201 A1 WO 2018128201A1 KR 2017000105 W KR2017000105 W KR 2017000105W WO 2018128201 A1 WO2018128201 A1 WO 201812820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joystick
teaching
actuator
playback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010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용재
김지윤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김용재
김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김용재, 김지윤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to PCT/KR2017/00010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28201A1/ko
Publication of WO201812820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282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achine teaching and playbac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teaching mode,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to directly acquire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and mechanically manipulate the joystick during the playback mod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ing and playback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that implements the operation of a joystick according to the trajectory data of a joystick acquired in a teaching mode.
  • construction machinery such as excavators
  • work tools such as booms, arms and buckets
  • optional devices such as hammers, shears, rotators, etc.
  • swinging motors for swinging movements of upper swinging bodies
  • a prime mover and a hydraulic pump for supplying a pressure oil as a power source to each actuator for operating them and each actuator.
  • the pressurized oil discharged from the hydraulic pump is provided in the main control valve (MCV) and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actuator through spool valves switched according to the joystick operation by the driver.
  • MCV main control valve
  • the driver repeats the joystick operation.
  • the driver is required to maintain a long concentration for a long time, there is a limit to maintain the concentration,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and repeatedly repeat the same highly skilled operation on the joystick. That is, when the joystick operation is repeated, a deviation may occur in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 the skill of the driver is insufficient, the work device is frequently deviated from a certain trajectory by the misoperation of the joystick.
  • joystick opera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hydraulic system for operating the work tool. Therefore, if repetitive work of the same work pattern is required, eliminating or minimizing the operating deviation of the joystick generated in each cycle is much more important than eliminating the other factors mentioned above. For this reason, a teaching and playback system has been proposed for implementing the same joystick operation in each cycle.
  • the conventional teaching and playback system is a method of obtaining teaching data from a sensor installed in an actuator operated by a joystick operation rather than a joystick.
  •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ctuator used as the teaching data in the conventional teaching and playback system reflects all of the various factors which make it difficult to perform the same work pattern for each cycle. Therefore, when the playback mode is executed based on the teaching data,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reproduce the actuator operation of the playback mode that is automatically implemented in the same way as the actuator operation of the teaching mode implemented by the driver.
  • the conventional teaching and playback system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playback mode that is automatically implemented based on the teaching data acquired in the teaching mod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rlock with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in the teaching mode, to directly acquire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in the playback mod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aching and playback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that mechanically operates a joystick to implement the joystick operation according to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acquired in the teaching mode.
  • the teaching machine for construction machinery is installed in a joystick, and a teaching module for acquiring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operated by a driver to operate an actuator for a work device and the joystick obtained by the teaching module. It includes a controller for receiving and storing trajectory data.
  • the teach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er structure including a cylinder body and a cylinder rod, the tip of the cylinder rod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and the joystick is operated by the driv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the cylinder rod is extended or stretched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joystick and is disposed below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and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the joystick is left by the driver.
  • a second displacement sensor which senses an operation of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rotating in a left or right direction when operated in a right direction.
  • teach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link member connecting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and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and interlocked when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is rotated.
  • teach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plate member coupled to the lower frame on which the joystick is installed and allowing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to be disposed below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
  • one end of the first plat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so as not to limit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tructure that border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 the controller for outputting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stored in the teaching module and stored in the joystick is installed on the joystick and play the joystick according to the trajectory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A playback module configured to back up.
  • the playback module is connected to the first servo motor, the first servo motor, and has a cylinder structure including a cylinder body and a cylinder rod,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rod i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joystick And an actuator configured to move the joystick forward or backward through the cylinder rod that is extended or stretched when the first servomotor is driven, and connected to the actuator, and rotates the actuator in a left or right direction when the first servomotor is driven. And a second servomotor for operating the joystick left or right.
  • the playback modu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link member for connecting the actuator and the second servo motor,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second servo motor to the actuator.
  • the playback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plate member coupled to the lower frame on which the joystick is installed and enabling the placement of the second servomotor under the actuator.
  • one end of the second plat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so as not to limit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tructure that border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 the teaching and playback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obtains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operated by the driver to operate the actuator for the work device in the teaching mode, and the obtained trajectory in the playback mode
  • a teaching-playback module for playing the joystick as data a mode change switch for setting and changing a mode to one of a teaching mode and a playback mod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aching-playback module and the teaching-playback module
  • a controller for receiving and storing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stored trajectory data.
  • the teaching-playback module is connected to a first servomotor and the first servomotor, and has a cylinder structure including a cylinder body and a cylinder rod, and the front end of the cylinder rod i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joystick.
  • the cylinder rod is extended or stretched along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joystick to sense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when the joystick is oper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the driver in the teaching mode.
  • the actuator is operated to move the joystick forward or backward through the cylinder rod that is extended or stretched when the first servomotor is driven, and the actuator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 the joystick is left and right by the driver. When the actuator is operated in the right direction, the actuator rotat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 a second servomotor configured to sense an operation and to rotate the actuator in a left or right direction in the playback mode to operate the joystick to the left or the right.
  • teaching-playback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ink member connecting the actuator and the second servomotor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second servomotor to the actuator. do.
  • teaching-playback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plate member coupled to the lower frame on which the joystick is installed and allowing the placement of the second servomotor under the actuator. .
  • one end of the second plat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so as not to limit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tructure that border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 the joystick by providing a playback module that is replaced with the teaching module installed in the joystick in the playback mode, the joystick mechanically operated,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obtained from the teaching module in the playback mode You can implement the behavior of the joystick.
  • each of the teaching module for acquiring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and the playback module for mechanically manipulating the joystick based on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acquired by the teaching module in the teaching mode are joysticks for each mod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aching module of a teaching and playback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teaching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back module of the teaching and playback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playback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aching and playback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aching and playback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is a device for implementing a construction machine, for example, an excavator in the teaching mode and playback mode.
  • a teaching mode is a mode in which a driver teaches a work process of an excavator through manipulation of joysticks 10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driver's seat 40 to learn a work pattern.
  • the playback mode (playback mode) is a mode for automatically playing back the working pattern of the excavator learned in the teaching mode.
  • the division of the mode is intended to make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 and as described below, the mode change occurs naturally through the replacement of the module.
  • the teaching and playback apparatus is formed to include a teaching module 100 and a playback module (200 of FIG. 3).
  • the teaching module 100 directly acquires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operated by the driver in order to operate the actuator 20 for the work device by driving the hydraulic circuit 30 in the teaching mode of the excavator. Device.
  • the teach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joystick 10. Accordingly, when the joystick 10 moves, the teaching module 100 also moves along the joystick 10 to acquir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 acquiring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while moving along the joystick 10 is a method of obtaining the most reliable and accurate actual operation of the joystick 10 than any other method.
  • the teaching module 100 may be formed to include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has a cylinder structure including a cylinder body 111 and a cylinder rod 112. At this time, the cylinder rod 112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10 in order to move along the joystick 10. Accordingly, when the joystick 10 is operated by the driv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driver is seated in the driver's seat 40), the cylinder rod 112 extends and stretches along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joystick 10. And sense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0. That is, when the joystick 10 moves forward, the cylinder rod 112 is extended, and when the joystick 10 moves backward, the cylinder rod 112 is stretched.
  •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may be formed of a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LVDT) that senses a linear displacement when the joystick 10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LVDT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is fixed to the joystick 10. Therefore, when the joystick 10 is operated by the driv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driver is seated in the driver's seat 40),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joystick 10 moves. It will rotate left or right.
  •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sense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Since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is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0, the value of sens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al motions of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represents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joystick 10.
  •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may be formed of a rotary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RVDT) that senses rotation angle displacement when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RVDT rotary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acquired by the teaching module 100 may be a linear displacement value and a second linear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f the joystick 10 sensed by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obtained by moving along the joystick 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0 driving the playback module 200.
  • the teaching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ink member 130.
  • the first link member 130 connects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 the first link member 130 is interlocked when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connected with the first link memb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130. Through the movement, the rotation angle displacement of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may be sensed.
  • the teaching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late member 140.
  • the first plate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bottom frame 11 on which the joystick 10 is installed.
  • the first plate member 140 allows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to be disposed below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joystick 112 because its cylinder rod 112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10.
  • the bar-shaped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cylinder rod 112 connected to the joystick 10 via the first link member 130. Since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is connected, the state becomes structurally unstable.
  • the first plate member 140 is a member that eliminates such structural instability.
  • first plate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lower frame 11 on which the joystick 10 is installed. Accordingly, the first plate member 14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As such,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is mounted below the other end of the first plate member 140 having one end fixed thereto. As a result,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At this time, as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is mounted below the other end of the first plate member 140,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are attached to the first plate member 140.
  • a through hole 141 through which the first link member 130 to connect is formed is formed. The through hole 141 is preferably formed to a siz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link member 130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one end of the first plate member 140 coupled to the lower frame 11 on which the joystick 10 is installed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borde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10.
  • one end of the first plate member 14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so as not to limit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0 moving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 the playback module 200 is replaced with the teaching module 100 when the excavator is to be operated in the playback mode. That is, when the excavator is switched to the playback mode, the playback module 200 is installed in the joystick 10 in which the teaching module 100 is installed in the teaching mode.
  • the playback module 200 mechanically manipulates the joystick 10 based on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obtained from the teaching module 100 in the teaching mode in the playback mode, and then operates the joystick in the teaching mode. It is a device for moving the joystick 10 according to the trajectory of (10).
  • the playback module 200 receives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from the teaching module 100 and drives it according to the 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stored controller 50.
  • the playback module 200 may include a first servomotor 210, an actuator 220, and a second servomotor 230.
  • the first servomotor 210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 to operate the actuator 220 connected thereto.
  • the 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 to the first servomotor 210 is based on the linear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f the joystick 10 sensed from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 the actuator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rvomotor 210.
  • the actuator 220 has a cylinder structure including a cylinder body 221 and a cylinder rod 222.
  • the cylinder rod 222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10 in order to operate the joystick 10. Accordingly, when the first servomotor 210 is driven, the cylinder rod 222 is extended or stretched, and as a result, the joystick 10 moves forward or backward. That is, when the first servomotor 21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actuator 220 through, for example, gears.
  • the second servomotor 230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220.
  • the second servomotor 230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 to operate the actuator 220 connected thereto.
  • the 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 to the second servomotor 230 is a rotation angle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sensed through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Based. Accordingly, when the second servomotor 230 is driven, the actuator 220 rotat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nd as a result, the joystick 10 also mov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 the playback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ink member 240.
  • the second link member 240 connects the actuator 220 and the third servo motor 230.
  • the second link member 240 is rotated when the second servomotor 230 is driven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second servomotor 230 to the actuator 220.
  • the actuator 220 rotat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nd as a result, the joystick ( 10) It is also rotat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 the playback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late member 250.
  • the second plate member 250 enables the placement of the second servomotor 230 under the actuator 220.
  • the second plate member 250 is coupled to the bottom frame 11 on which the joystick 10 is installed.
  • the second plate member 25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51 through which the second link member 240 connecting the actuator 220 and the second servomotor 230 passes.
  • the through hole 251 is preferably formed to a siz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link member 240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one end of the second plate member 250 coupled to the lower frame 11 on which the joystick 10 is installed is formed in a structure borde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10.
  • one end of the second plate member 250 may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so as not to limit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0 moving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 the first plate member 14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50 are divided. However, since their roles are the same, the first plate member 140 may replace the role of the second plate member 250. For example, when the excavator is switched to the playback mode, the first plate member 140 coupled to the lower frame 11 on which the joystick 10 is installed is left as it is, and the first plate member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member 140. After detaching only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mounted, the second servo motor 230 may be coupled in place.
  • the teaching module ( 100) and the playback module 200 can be replaced.
  • the cylinder rod 112 of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installed in the joystick 10 is extended or stretched and the linear displacement value of the joystick 10 is increased. Sensing.
  •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also rotat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nd as a result,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and the first link member.
  •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connected through the 130 senses a rotation angle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sensed by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0.
  • the joystick 10 may be rotated in the fron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left direction or rotated in the rear and left directions in the right direction by the driver.
  • the cylinder rod 112 of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is extended or stretched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is rotat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and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simultaneously sense the linear displacement value of the joystick 10 and the rotation angle displacement value of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and this is the controller 50. To pass on.
  •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installed in the joystick 10 moves along the joystick 10 to sense a linear displacement value of the joystick 10, and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moves the joystick 10.
  • the rotation angle displacement value of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moving along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with high reliability that is substantially consistent with the actual operation of the joystick 10.
  • the deviation between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0 manually operated by the driver in the teaching mode and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0 automatically implemented in the playback mode can be minimiz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excavator's playback mode. You can do it.
  • the first servomotor 210 When a command signal for driving the first servomotor 210 is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 storing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acquired by the teaching module 100, the first servomotor 210 is driven. Thus, the actuator 220 is stretched or stretched. As a result, the joystick 10 moves forward or backward.
  • the 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 to the first servomotor 210 is based on the linear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f the joystick 10 sensed by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 the first servomotor 210 When the first servomotor 210 is driven, the joystick 10 moves in the same manner as the trajectory operated in the teaching mode.
  • the second servomotor 230 when a command signal for driving the second servomotor 230 is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 the second servomotor 230 is driven, thereby causing the actuator 220 to rotate left or right. . As a result, the joystick 10 also mov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 to the second servomotor 230 is sensed through the second displacement sensor 120, left and right of the first displacement sensor 110 moving along the joystick 10. Since the rotation angle displacement value based on the rotation, the joystick 10 moves in the same way as the trajectory operated in the teaching mode when the second servomotor 230 is driven.
  • the first servomotor 210 and the second servomotor 230 are simultaneously driven. Accordingly, the cylinder rod 222 of the actuator 220 is extended or stretched and the actuator 220 is rotat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s a result, the joystick 1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left, front right, left rear or right rear.
  • the teaching module 100 in the teaching mode the joystick 10 is installed to acquire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directly, and in the playback mode, the playback module 200 is replaced with the teaching module 100.
  • the joystick 10 is mechanically manipulated based on the trajectory data acquired in the teaching mod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viation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joystick 10 implemented in the teaching mode and the playback mo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layback mod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aching and playback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aching and playback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ry includes a teaching-playback module 300, a mode conversion switch 400, and a controller 50. do.
  • the teaching-playback module 300 acquires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operated by the driver in order to operate the actuator 20 for the work device in the teaching mode, and according to the acquired trajectory data in the playback mode. Play the joystick 10.
  • the teaching-playback module 300 may include a first servomotor 310, an actuator 320, and a second servomotor 330.
  • first servomotor 310 is the same as the servomotor 210 of FIG.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actuator 320 has a cylinder structure including a cylinder body 321 and a cylinder rod 322. At this time, the cylinder rod 322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oystick 10 in order to operate the joystick 10.
  • the cylinder rod 322 may change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joystick 10. According to the stretching or stretch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ystick (10).
  • the actuator 320 operates the joystick 10 forward or backward through the cylinder rod 322 which is extended or expanded when the first servomotor 310 is driven in the playback mode.
  • the second servomotor 330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320.
  • the second servomotor 330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ctuator 320 that rotates in a left or right direction when the joystick 10 is operated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by a driver in a teaching mode. Sensing the operation.
  • the second servomotor 330 rotates the actuator 320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in the playback mode to operate the joystick 10 to the left or the right.
  • the mode change switch 400 sets and changes the mode to one of the teaching mode and the playback mode in ord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aching-playback module 300.
  • the teaching-playback module 300 further includes a second plate member 350 having a second link member 340 and a through hole 351 formed therein. Since the second link member 340 and the second plate member 350 are the same as the second link member 240 (see FIG. 3)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50 (see FIG.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ntroller 50 receives and stores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transmitted from the teaching-playback module 300 in the teaching mode, and outputs the stored trajectory data in the teaching mode.
  • the playback module 300 is driven.
  • the mode change switch 400 changes the mode without the need for replacement.
  • the teaching module (100 in FIG. 1) and the playback module (200 in FIG. 3) do not exist separately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posed of one unit called the teaching-playback module 300 to perform both the teaching module (100 in FIG. 1) and the playback module (200 in FIG. 3).
  • the cylinder rod 322 of the actuator 320 installed in the joystick 10 is moved. It is stretched or stretched and senses a linear displacement value of the joystick 10.
  • the actuator 320 also rotat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nd as a result, the actuator 320 and the second link member 340 are mediated.
  • the connected second servomotor 330 senses a rotation angle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actuator 320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sensed by the actuator 320 and the second servomotor 330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0.
  • the joystick 10 may be rotated in the fron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left direction or rotated in the rear and left directions in the right direction by the driver.
  • the cylinder rod 322 of the actuator 320 is extended or expanded and the actuator 320 rotat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ccordingly, the actuator 320 and the second servomotor 330 simultaneously sense the linear displacement value of the joystick 10 and the rotation angle displacement value of the actuator 320, and transmit them to the controller 50.
  • the actuator 320 installed in the joystick 10 moves along the joystick 10 and senses a linear displacement value of the joystick 10, and the thermovotor 330 moves along the joystick 10.
  • the rotation angle displacement value of the actuator 320 is sensed,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having high reliability substantially matching the actual operation of the joystick 10 may be obtained.
  • the deviation between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0 manually operated by the driver in the teaching mode and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 10 automatically implemented in the playback mode can be minimiz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excavator's playback mode. You can do it.
  • the trajectory data of the joystick 10 received and stored in the controller 50 in the teaching mode is converted into a bright signal for driving the teaching-playback module 300. And then output to the teaching-playback module 300.
  • the controller 50 converts into a command signal for driving the receiving and teaching-playback module 300 in the teaching mode and then stores the joystick 10.
  • the locus data of is output to the teaching-playback module 300.
  • the first servomotor 310 is driven, and accordingly, the actuator 320 is extended or expanded.
  • the joystick 10 moves forward or backward.
  • the 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 to the first servomotor 310 is based on the linear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joystick 10 sensed by the actuator 320 in the teaching mode.
  • the first servomotor 310 is driven, the joystick 10 moves in the same manner as the trajectory operated in the teaching mode.
  • the second servomotor 330 when a command signal for driving the second servomotor 330 is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 the second servomotor 330 is driven, thereby causing the actuator 320 to rotate left or right. . As a result, the joystick 10 also mov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50 to the second servomotor 330 is sensed through the second servomotor 330 in the teaching mod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ctuator 320 moving along the joystick 10. Since the rotation angle displacement value based on the rotation, the joystick 10 moves in the same way as the trajectory operated in the teaching mode when the second servomotor 330 is driven.
  • the first servo motor 310 and the second servo motor 330 are simultaneously driven. Accordingly, the cylinder rod 322 of the actuator 320 is extended or stretched and the actuator 320 rotate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As a result, the joystick 1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left, front right, left rear or right rear.
  • the mode conversion switch By providing a teaching-playback module 300 consisting of one unit in which the mode is switched by the 400, the excavator can be more easily converted from teaching mode to playback mode or from playback mode to teaching mode, As a result, work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 Playback modules 210 and 310 1st servo motor
  • Second link members 250 and 350 Second plat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티칭 모드 시에는 조이스틱의 동작에 연동되어,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획득하고, 플레이백 모드 시에는 조이스틱을 기계적으로 조작하여 티칭 모드 시 동작된 조이스틱의 궤적대로 조이스틱의 동작을 구현하는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티칭 모드 시, 작업장치용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이스틱에 설치되고,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획득하는 티칭 모듈; 및 플레이백 모드 시, 상기 조이스틱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티칭 모듈과 교체 설치되고, 상기 티칭 모듈로부터 획득된 상기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조이스틱을 기계적으로 조작하여 상기 티칭 모드에서 동작된 상기 조이스틱의 궤적대로 상기 조이스틱을 움직이게 하는 플레이백 모듈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본 발명은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티칭 모드 시에는 조이스틱의 동작에 연동되어,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획득하고, 플레이백 모드 시에는 조이스틱을 기계적으로 조작하여 티칭 모드 시 획득된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 대로 조이스틱의 동작을 구현하는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 예컨대,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 상부 선회체, 그리고 붐, 아암 및 버켓과 같은 작업장치, 햄머, 쉐어, 로테이터 등과 같은 옵션장치, 상부 선회체의 선회 동작을 위한 선회모터, 이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각각의 액츄에이터 및 각각의 액츄에이터에 동력원인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원동기 및 유압펌프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는 MCV(main control valve) 내부에 구비되어 운전자에 의한 조이스틱 조작에 따라 절환되는 스풀밸브들을 통해 해당 액츄에이터에 공급된다. 그 결과, 작업장치, 옵션장치 및 선회모터가 움직이게 된다.
예를 들어, 작업장치를 움직여 여러 가지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운전자는 각 작업 패턴에 따라 때로는 미세하게 조이스틱을 조작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조이스틱에 대한 고도의 숙련 조작이 요구된다.
특히, 동일한 작업 패턴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운전자는 조이스틱 조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 경우, 운전자에게는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인 집중력이 요구되는데, 집중력 유지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조이스틱에 대한 고도의 숙련 조작을 계속적으로 동일하게 반복하기는 어렵다. 즉, 조이스틱 조작을 반복하다 보면,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조이스틱의 동작에 편차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운전자의 숙련이 부족한 경우, 조이스틱의 오조작에 의해 작업장치가 일정 궤적에서 벗어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된다.
한편, 이와 같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이스틱의 동작 편차로 인해 유발되는 문제 외에도 각 사이클마다 발생되는 압유의 온도 차이나 관성의 동적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작업 패턴을 동일하게 반복적으로 수행하기는 쉽지 않다.
여기서, 조이스틱 조작은 작업장치를 동작시키는 유압 시스템의 시작점이다. 따라서, 동일한 작업 패턴의 반복적인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각 사이클마다 발생되는 조이스틱의 동작 편차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상기의 다른 요인들을 제거하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각 사이클마다 동일한 조이스틱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티칭 및 플레이백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종래의 티칭 및 플레이백 시스템은 티칭 데이터를 조이스틱이 아닌 조이스틱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액츄에이터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얻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티칭 및 플레이백 시스템에서 티칭 데이터로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위치 정보는 각 사이클마다 동일한 작업 패턴 수행을 어렵게 하는 상기의 다양한 요인들이 모두 반영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티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플레이백 모드를 실행할 경우, 자동 구현되는 플레이백 모드의 액츄에이터 동작을 운전자에 의해 구현되는 티칭 모드의 액츄에이터 동작과 동일하게 재현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즉, 종래의 티칭 및 플레이백 시스템으로는 티칭 모드에서 획득한 티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 구현되는 플레이백 모드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티칭 모드 시에는 조이스틱의 동작에 연동되어,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획득하고, 플레이백 모드 시에는 조이스틱을 기계적으로 조작하여 티칭 모드 시 획득된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 대로 조이스틱의 동작을 구현하는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용 티칭 장치는 조이스틱에 설치되고, 작업장치용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획득하는 티칭 모듈 및 상기 티칭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티칭 모듈은, 실린더 바디와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로드의 선단이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운전자에 의해 상기 조이스틱이 전, 후 방향으로 조작될 때, 상기 실린더 로드가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 방향을 따라 신장 또는 신축되며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을 센싱하는 제1 변위센서, 및 상기 제1 변위센서의 하부에 배치되고, 운전자에 의해 상기 조이스틱이 좌, 우 방향으로 조작될 때,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 변위센서의 동작을 센싱하는 제2 변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티칭 모듈은 상기 제1 변위센서와 상기 제2 변위센서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변위센서의 회전 시 연동되는 제1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티칭 모듈은 상기 조이스틱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변위센서 하부에 상기 제2 변위센서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제1 플레이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1 플레이트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도록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과 이격되되,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을 테두리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용 플레이백 장치는, 티칭 모듈에서 획득된 후 저장되어 있는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조이스틱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궤적 데이터 대로 상기 조이스틱을 플레이백시키도록 구성되는 플레이백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백 모듈은, 제1 서보모터, 상기 제1 서보모터와 연결되고, 실린더 바디와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로드의 선단이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서보모터 구동 시 신장 또는 신축되는 상기 실린더 로드를 통해 상기 조이스틱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고, 구동 시 상기 액츄에이터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조이스틱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동작시키는 제2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백 모듈은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서보모터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서보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액츄에이터에 전달하는 제2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백 모듈은 상기 조이스틱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하부에 상기 제2 서보모터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제2 플레이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2 플레이트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도록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과 이격되되,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을 테두리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는 티칭 모드 시에는 작업장치용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획득하고, 플레이백 모드 시에는 상기 획득된 상기 궤적 데이터대로 상기 조이스틱을 플레이백시키는 티칭-플레이백 모듈, 상기 티칭-플레이백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모드를 티칭 모드와 플레이백 모드 중 하나로 설정 및 변경시키는 모드 변경 스위치 및 상기 티칭-플레이백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궤적 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티칭-플레이백 모듈은 제1 서보모터, 상기 제1 서보모터와 연결되고, 실린더 바디와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로드의 선단이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티칭 모드 시에는 운전자에 의해 상기 조이스틱이 전, 후 방향으로 조작될 때, 상기 실린더 로드가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 방향을 따라 신장 또는 신축되며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을 센싱하고, 상기 플레이백 모드 시에는 상기 제1 서보모터 구동 시 신장 또는 신축되는 상기 실린더 로드를 통해 상기 조이스틱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티칭 모드 시에는 운전자에 의해 상기 조이스틱이 좌, 우 방향으로 조작될 때,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센싱하고, 상기 플레이백 모드 시에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조이스틱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동작시키는 제2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티칭-플레이백 모듈은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서보모터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서보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액츄에이터에 전달하는 제2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티칭-플레이백 모듈은 상기 조이스틱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하부에 상기 제2 서보모터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제2 플레이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2 플레이트 부재의 일단부는 조이스틱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도록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과 이격되되,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을 테두리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이스틱에 설치되어, 조이스틱을 따라 움직이는 티칭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티칭 모드 시,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백 모드 시 조이스틱에 설치되어 있는 티칭 모듈과 교체 설치되고, 조이스틱을 기계적으로 동작시키는 플레이백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플레이백 모드 시, 티칭 모듈로부터 획득된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 대로 조이스틱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획득하는 티칭 모듈과, 티칭 모드에서 티칭 모듈에 의해 획득된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이스틱을 기계적으로 조작하는 플레이백 모듈 각각을, 해당 모드 별로 조이스틱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티칭 모드와 플레이백 모드에서 구현되는 조이스틱의 동작 간의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건설기계의 플레이백 모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의 티칭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칭 모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의 플레이백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백 모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는 건설기계, 예컨대, 굴삭기를 티칭 모드와 플레이백 모드로 구현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티칭 모드(teaching mode)는 운전자가 운전석(4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조이스틱(10) 조작을 통해 굴삭기의 작업 과정을 티칭하여 작업 패턴을 학습시키는 모드이다. 또한, 플레이백 모드(playback mode)는 티칭 모드에서 학습된 굴삭기의 작업 패턴을 자동으로 플레이백하는 모드이다. 이러한 모드의 구분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아래 설명과 같이 모드의 변경은 모듈의 교체를 통해 자연히 발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는 티칭 모듈(100) 및 플레이백 모듈(도 3의 2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티칭 모듈(100)은, 굴삭기의 티칭 모드 시, 유압회로(30)를 구동시켜 작업장치용 액츄에이터(20)를 동작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획득하는 장치이다.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획득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칭 모듈(100)은 조이스틱(1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조이스틱(10)이 움직이면, 티칭 모듈(100) 또한 조이스틱(10)을 따라 움직이며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이스틱(10)을 따라 움직이며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은 그 어떤 방법보다도 가장 확실하고 정확한 조이스틱(10)의 실제 동작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이러한 티칭 모듈(100)은 제1 변위센서(110) 및 제2 변위센서(1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변위센서(110)는 실린더 바디(111)와 실린더 로드(112)를 포함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실린더 로드(112)는 조이스틱(10)을 따라 움직이기 위해, 그 선단이 조이스틱(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에 의해 조이스틱(10)이 전, 후 방향(운전자가 운전석(40)에 착석한 상태 기준)으로 조작될 때, 실린더 로드(112)가 조이스틱(10)의 동작 방향을 따라 신장 신축되며 조이스틱(10)의 동작을 센싱한다. 즉, 조이스틱(10)이 전방으로 움직이면, 실린더 로드(112)는 신장되고, 조이스틱(10)이 후방으로 움직이면, 실린더 로드(112)는 신축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이러한 제1 변위센서(110)는, 조이스틱(10)이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일 때의 선형 변위를 센싱하는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변위센서(120)는 제1 변위센서(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변위센서(110)는 조이스틱(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해 조이스틱(10)이 좌, 우 방향(운전자가 운전석(40)에 착석한 상태 기준)으로 조작될 때, 제1 변위센서(110)는 조이스틱(10)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변위센서(120)는 이러한 제1 변위센서(110)의 회전 동작을 센싱한다. 제1 변위센서(110)는 조이스틱(10)의 동작에 연동되므로, 제1 변위센서(110)의 좌, 우 회전 동작을 센싱한 값은 조이스틱(10)의 좌, 우 방향 움직임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제2 변위센서(120)는, 제1 변위센서(110)가 좌, 우 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회전 각도 변위를 센싱하는 RVDT(Rotary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티칭 모드 시, 티칭 모듈(100)에 의해 획득된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는 제1 변위센서(110)를 통해 센싱된 조이스틱(10)의 전, 후 방향 움직임에 따른 선형 변위 값과 제2 변위센서(120)를 통해 센싱된 제1 변위센서(110)의 좌, 우 회전에 따른 회전 각도 변위 값이다. 이와 같이, 조이스틱(10)을 따라 움직이며 획득한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는 플레이백 모듈(200)을 구동시키는 컨트롤러(50)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칭 모듈(100)은 제1 링크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130)는 제1 변위센서(110)와 제2 변위센서(120)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1 링크부재(130)는 제1 변위센서(110)의 좌, 우 방향 회전 시 연동된다. 이와 같이, 제1 링크부재(130)가 제1 변위센서(110)에 연동됨에 따라, 제1 링크부재(130)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변위센서(120)는 제1 링크부재(130)의 움직임을 통해 제1 변위센서(110)의 회전 각도 변위를 센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티칭 모듈(100)은 제1 플레이트 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부재(140)는 조이스틱(10)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 프레임(11)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 플레이트 부재(140)는 제1 변위센서(110) 하부에 제2 변위센서(120)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변위센서(110)는 이의 실린더 로드(112)가 조이스틱(10)의 외주면에 결합되므로, 조이스틱(1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바(bar) 형태의 제1 변위센서(11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조이스틱(10)과 연결된 실린더 로드(112)의 일측과 대응되는 타측에는 제1 링크부재(130)를 매개로 제2 변위센서(12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제1 플레이트 부재(140)는 이러한 구조적인 불안정성을 해소하는 부재이다. 즉, 제1 플레이트 부재(140)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조이스틱(10)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 프레임(1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 부재(140)는 제1 변위센서(110) 하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일단부가 고정된 제1 플레이트 부재(140)의 타단부 하측에는 제2 변위센서(120)가 장착된다. 이를 통해, 제1 변위센서(110) 하부에 제2 변위센서(120)가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제2 변위센서(120)가 제1 플레이트 부재(140)의 타단부 하측에 장착됨에 따라, 제1 플레이트 부재(140)에는 제1 변위센서(110)와 제2 변위센서(120)를 연결하는 제1 링크부재(130)가 통과되는 관통홀(14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41)은 좌, 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링크부재(130)의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조이스틱(10)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 프레임(11)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부재(140)의 일단부는 조이스틱(10)의 외주면을 테두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제1 플레이트 부재(140)의 일단부는 전, 후, 좌, 우로 움직이는 조이스틱(10)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도록 조이스틱(10)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백 모듈(200)은 굴삭기를 플레이백 모드로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 티칭 모듈(100)과 교체된다. 즉, 굴삭기가 플레이백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플레이백 모듈(200)은 티칭 모드 시 티칭 모듈(100)이 설치되어 있던 조이스틱(10)에 설치된다. 이러한 플레이백 모듈(200)은 플레이백 모드 시, 티칭 모드에서 티칭 모듈(100)로부터 획득된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이스틱(10)을 기계적으로 조작하여, 티칭 모드에서 동작된 조이스틱(10)의 궤적대로 조이스틱(10)을 움직이게 하는 장치이다.
플레이백 모듈(200)은 티칭 모듈(100)로부터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한 컨트롤러(50)로부터 출력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구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이러한 플레이백 모듈(200)은 제1 서보모터(210), 액츄에이터(220), 제2 서보모터(2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보모터(210)는 컨트롤러(50)로부터 출력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이와 연결되어 있는 액츄에이터(220)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컨트롤러(50)로부터 제1 서보모터(210)에 출력되는 명령 신호는 제1 변위센서(110)로부터 센싱된 조이스틱(10)의 전, 후 방향 움직임에 따른 선형 변위 값에 기초한다.
액츄에이터(220)는 제1 서보모터(21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액츄에이터(220)는 실린더 바디(221)와 실린더 로드(222)를 포함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실린더 로드(222)는 조이스틱(10)을 동작시키기 위해, 그 선단이 조이스틱(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서보모터(210) 구동 시, 실린더 로드(222)가 신장 또는 신축되고, 그 결과, 조이스틱(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제1 서보모터(2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예컨대, 기어류를 통해 액츄에이터(22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220)의 실린더 로드(222)는 신장되고, 그 결과, 조이스틱(10)이 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반대로, 제1 서보모터(2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액츄에이터(220)의 실린더 로드(222)가 신축되고, 그 결과, 조이스틱(10)이 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제2 서보모터(230)는 액츄에이터(22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서보모터(230)는 컨트롤러(50)로부터 출력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이와 연결되어 있는 액츄에이터(220)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컨트롤러(50)로부터 제2 서보모터(230)에 출력되는 명령 신호는 제2 변위센서(120)를 통해 센싱된 제1 변위센서(110)의 좌, 우 회전에 따른 회전 각도 변위 값에 기초한다. 이에 따라, 제2 서보모터(230) 구동 시, 액츄에이터(22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조이스틱(10) 또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백 모듈(200)은 제2 링크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링크부재(240)는 액츄에이터(220)와 제3 서보모터(230)를 연결한다. 이러한 제2 링크부재(240)는 제2 서보모터(230) 구동 시 회전되어, 제2 서보모터(23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액츄에이터(220)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제2 링크부재(240)에 의해, 제2 서보모터(230)의 회전력이 액츄에이터(220)에 전달되면, 액츄에이터(22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조이스틱(10) 또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백 모듈(200)은 제2 플레이트 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플레이트 부재(250)는 액츄에이터(220) 하부에 제2 서보모터(230)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제2 플레이트 부재(250)는 조이스틱(10)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 프레임(11)에 결합된다. 또한, 제2 플레이트 부재(250)에는 액츄에이터(220)와 제2 서보모터(230)를 연결하는 제2 링크부재(240)가 통과하는 관통홀(25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251)은 좌, 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링크부재(240)의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이스틱(10)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 프레임(11)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부재(250)의 일단부는 조이스틱(10)의 외주면을 테두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제2 플레이트 부재(250)의 일단부는 전, 후, 좌, 우로 움직이는 조이스틱(10)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도록 조이스틱(10)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제1 플레이트 부재(140)와 제2 플레이트 부재(250)가 구분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의 역할은 동일하므로, 제1 플레이트 부재(140)가 제2 플레이트 부재(250)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삭기가 플레이백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조이스틱(10)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 프레임(11)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플레이트 부재(140)는 그대로 두고, 제1 플레이트 부재(140)에 장착되어 있는 제2 변위센서(120)만 분리한 다음, 그 자리에 제2 서보모터(23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플레이트 부재(140)가 제2 플레이트 부재(250)의 역할까지 하게 되면, 티칭 모드에서 플레이백 모드로 전환 시, 또는 플레이백 모드에서 티칭 모드로 전환 시, 보다 간편하게 티칭 모듈(100)과 플레이백 모듈(200)의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티칭 모드
운전자에 의해 조이스틱(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작되면, 조이스틱(10)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변위센서(110)의 실린더 로드(112)가 신장 또는 신축되며 조이스틱(10)의 선형 변위 값을 센싱한다. 또한, 운전자에 의해 조이스틱(10)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1 변위센서(110) 또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제1 변위센서(110)와 제1 링크부재(1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제2 변위센서(120)가 제1 변위센서(110)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회전 각도 변위 값을 센싱한다. 제1 변위센서(110)와 제2 변위센서(120)에 의해 센싱된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는 컨트롤러(50)에 전달된다.
아울러, 운전자에 의해 조이스틱(10)이 좌측 방향에서 전방, 그리고 우측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거나 우측 방향에서 후방, 그리고 좌측 방향 등으로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변위센서(110)의 실린더 로드(112)가 신장 또는 신축됨과 동시에 제1 변위센서(11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변위센서(110)와 제2 변위센서(120)는 동시에 조이스틱(10)의 선형 변위 값과 제1 변위센서(110)의 회전 각도 변위 값을 센싱하고, 이를 컨트롤러(50)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조이스틱(10)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변위센서(110)가 조이스틱(10)을 따라 움직이며 조이스틱(10)의 선형 변위 값을 센싱하고, 제2 변위센서(120)가 조이스틱(10)을 따라 움직이는 제1 변위센서(110)의 회전 각도 변위 값을 센싱하게 되면, 조이스틱(10)의 실제 동작과 거의 일치하는 신뢰성 높은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 결과, 티칭 모드 시 운전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는 조이스틱(10)의 동작과 플레이백 모드 시 자동 구현되는 조이스틱(10)의 동작 간의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굴삭기의 플레이백 모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2. 플레이백 모드
플레이백 모드 구현을 위해, 조이스틱(10)에 설치되어 있는 티칭 모듈(100)을 플레이백 모듈(200)로 교체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티칭 모듈(100)에서 획득된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컨트롤러(50)로부터 제1 서보모터(210)를 구동시키는 명령 신호가 출력되면, 제1 서보모터(210)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220)가 신장 또는 신축된다. 그 결과, 조이스틱(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50)로부터 제1 서보모터(210)에 출력되는 명령 신호는 제1 변위센서(110)에 의해 센싱된 조이스틱(10)의 전, 후 방향 움직임에 따른 선형 변위 값에 기초하므로, 제1 서보모터(210) 구동 시, 조이스틱(10)은 티칭 모드에서 동작된 궤적과 동일하게 움직이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50)로부터 제2 서보모터(230)를 구동시키는 명령 신호가 출력되면, 제2 서보모터(230)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22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조이스틱(10) 또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50)로부터 제2 서보모터(230)에 출력되는 명령 신호는 제2 변위센서(120)를 통해 센싱된, 조이스틱(10)을 따라 움직이는 제1 변위센서(110)의 좌, 우 회전에 따른 회전 각도 변위 값에 기초하므로, 제2 서보모터(230) 구동 시, 조이스틱(10)은 티칭 모드에서 동작된 궤적과 동일하게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컨트롤러(50)로부터 제1 서보모터(210)와 제2 서보모터(230)를 구동시키는 명령신호가 동시에 출력되면, 제1 서보모터(210)와 제2 서보모터(230)가 동시에 구동되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220)의 실린더 로드(222)가 신장 또는 신축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22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조이스틱(10)이 좌전방, 우전방, 좌후방 또는 우후방 등의 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티칭 모드 시 티칭 모듈(100)이 조이스틱(10)이 설치되어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획득하고, 플레이백 모드 시 티칭 모듈(100)과 교체 설치되는 플레이백 모듈(200)이 티칭 모드에서 획득한 궤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이스틱(10)을 기계적으로 조작하게 되면, 티칭 모드와 플레이백 모드에서 구현되는 조이스틱(10)의 동작 간의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굴삭기의 플레이백 모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는 티칭-플레이백 모듈(300), 모드 변환 스위치(400) 및 컨트롤러(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티칭-플레이백 모듈(300)은 티칭 모드 시에는 작업장치용 액츄에이터(20)를 동작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를 획득하고, 플레이백 모드 시에는 획득된 궤적 데이터 대로 조이스틱(10)을 플레이백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이러한 티칭-플레이백 모듈(300)은 제1 서보모터(310), 액츄에이터(320) 및 제2 서보모터(3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보모터(3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보모터(도 3의 21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액츄에이터(320)는 실린더 바디(321)와 실린더 로드(322)를 포함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실린더 로드(322)는 조이스틱(10)을 동작시키기 위해, 그 선단이 조이스틱(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츄에이터(320)는, 티칭 모드 시에는 운전자에 의해 조이스틱(10)이 전, 후 방향으로 조작될 때, 실린더 로드(322)가 조이스틱(10)의 동작 방향을 따라 신장 또는 신축되며 조이스틱(10)의 동작을 센싱한다. 또한, 액츄에이터(320)는, 플레이백 모드 시에는 제1 서보모터(310) 구동 시 신장 또는 신축되는 실린더 로드(322)를 통해 조이스틱(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동작시킨다.
제2 서보모터(330)는 액츄에이터(320)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 서보모터(330)는, 티칭 모드 시에는 운전자에 의해 조이스틱(10)이 좌, 우 방향으로 조작될 때,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액츄에이터(320)의 동작을 센싱한다. 또한, 제2 서보모터(330)는, 플레이백 모드 시에는 액츄에이터(320)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이스틱(1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동작시킨다.
모드 변경 스위치(400)는 티칭-플레이백 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모드를 티칭 모드와 플레이백 모드 중 하나로 설정 및 변경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티칭-플레이백 모듈(300)은 제2 링크부재(340) 및 관통홀(351)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플레이트 부재(350)를 더 포함한다. 제2 링크부재(3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35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링크부재(도 3의 2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도 3의 250)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러(50)는, 티칭 모드 시에는 티칭-플레이백 모듈(300)로부터 전달되는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고, 플레이백 모드 시에는 저장되어 있는 궤적 데이터를 출력하여, 티칭-플레이백 모듈(300)을 구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모드 변환 스위치(400)를 통해 교체작업의 필요 없이 모드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처럼 티칭 모듈(도 1의 100)과 플레이백 모듈(도 3의 200)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티칭-플레이백 모듈(300)이라는 하나의 유닛(unit)으로 구성되어, 티칭 모듈(도 1의 100)과 플레이백 모듈(도 3의 200) 역할을 모두 수행하게 된다.
1. 티칭 모드
모드 변환 스위치(400)를 조작하여 티칭 모드로 변경한 후, 운전자에 의해 조이스틱(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작되면, 조이스틱(10)에 설치되어 있는 액츄에이터(320)의 실린더 로드(322)가 신장 또는 신축되며 조이스틱(10)의 선형 변위 값을 센싱한다. 또한, 운전자에 의해 조이스틱(10)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조작되면, 액츄에이터(320) 또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액츄에이터(320)와 제2 링크부재(340)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제2 서보모터(330)가 액츄에이터(320)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회전 각도 변위 값을 센싱한다. 액츄에이터(320)와 제2 서보모터(330)에 의해 센싱된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는 컨트롤러(50)에 전달된다.
아울러, 운전자에 의해 조이스틱(10)이 좌측 방향에서 전방, 그리고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우측 방향에서 후방, 그리고 좌측 방향 등으로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츄에이터(320)의 실린더 로드(322)가 신장 또는 신축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32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320)와 제2 서보모터(330)는 동시에 조이스틱(10)의 선형 변위 값과 액츄에이터(320)의 회전 각도 변위 값을 센싱하고, 이를 컨트롤러(50)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조이스틱(10)에 설치되어 있는 액츄에이터(320)가 조이스틱(10)을 따라 움직이며 조이스틱(10)의 선형 변위 값을 센싱하고, 서모보터(330)가 조이스틱(10)을 따라 움직이는 액츄에이터(320)의 회전 각도 변위 값을 센싱하게 되면, 조이스틱(10)의 실제 동작과 거의 일치하는 신뢰성 높은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 결과, 티칭 모드 시 운전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는 조이스틱(10)의 동작과 플레이백 모드 시 자동 구현되는 조이스틱(10)의 동작 간의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굴삭기의 플레이백 모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2. 플레이백 모드
모드 변환 스위치(400)를 조작하여 플레이백 모드로 변경하면, 티칭 모드 시 컨트롤러(50)에 수신 및 저장된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가 티칭-플레이백 모듈(300)을 구동시키는 명려 신호로 변환된 후 티칭-플레이백 모듈(300)에 출력된다. 또한, 모드 변환 스위치(400)를 조작하여 플레이백 모드로 변경하면, 티칭 모드 시 컨트롤러(50)에 수신 및 티칭-플레이백 모듈(300)을 구동시키는 명령 신호로 변환된 다음 저장된 조이스틱(10)의 궤적 데이터가 티칭-플레이백 모듈(300)에 출력된다. 그 결과, 제1 서보모터(310)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320)가 신장 또는 신축된다. 그 결과, 조이스틱(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50)로부터 제1 서보모터(310)에 출력되는 명령 신호는 티칭 모드 시 액츄에이터(320)에 의해 센싱된 조이스틱(10)의 전, 후 방향 움직임에 따른 선형 변위 값에 기초하므로, 제1 서보모터(310) 구동 시, 조이스틱(10)은 티칭 모드에서 동작된 궤적과 동일하게 움직이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50)로부터 제2 서보모터(330)를 구동시키는 명령 신호가 출력되면, 제2 서보모터(330)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32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조이스틱(10) 또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50)로부터 제2 서보모터(330)에 출력되는 명령 신호는 티칭 모드 시 제2 서보모터(330)를 통해 센싱된, 조이스틱(10)을 따라 움직이는 액츄에이터(320)의 좌, 우 회전에 따른 회전 각도 변위 값에 기초하므로, 제2 서보모터(330) 구동 시, 조이스틱(10)은 티칭 모드에서 동작된 궤적과 동일하게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컨트롤러(50)로부터 제1 서보모터(310)와 제2 서보모터(330)를 구동시키는 명령신호가 동시에 출력되면, 제1 서보모터(310)와 제2 서보모터(330)가 동시에 구동되고,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320)의 실린더 로드(322)가 신장 또는 신축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32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조이스틱(10)이 좌전방, 우전방, 좌후방 또는 우후방 등의 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하게 된다.
티칭 모듈(도 1의 100)과 플레이백 모듈(도 3의 200)이 분리되어, 모드 변경 시 이들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달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모드 변환 스위치(400)에 의해 모드가 변환되는 하나의 유닛으로 이루어진 티칭-플레이백 모듈(300)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굴삭기를 티칭 모드에서 플레이백 모드로 또는 플레이백 모드에서 티칭 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0; 티칭 모듈 110; 제1 변위센서
111; 실린더 바디 112; 실린더 로드
120; 제2 변위센서 130; 제1 링크부재
140; 제1 플레이트 부재 141; 관통홀
200; 플레이백 모듈 210, 310; 제1 서보모터
220, 320; 액츄에이터 221, 321; 실린더 바디
222, 322; 실린더 로드 230, 330; 제2 서보모터
240, 340; 제2 링크부재 250, 350; 제2 플레이트 부재
251, 351; 관통홀 300; 티칭-플레이백 모듈
400: 모드 변환 스위치 10; 조이스틱
11; 하단 프레임 20; 작업장치용 액츄에이터
30; 유압회로 40; 운전석
50; 컨트롤러

Claims (15)

  1. 건설기계용 티칭 장치에 있어서,
    조이스틱에 설치되고, 작업장치용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획득하는 티칭 모듈; 및
    상기 티칭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티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칭 모듈은,
    실린더 바디와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로드의 선단이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운전자에 의해 상기 조이스틱이 전, 후 방향으로 조작될 때, 상기 실린더 로드가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 방향을 따라 신장 또는 신축되며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을 센싱하는 제1 변위센서, 및
    상기 제1 변위센서의 하부에 배치되고, 운전자에 의해 상기 조이스틱이 좌, 우 방향으로 조작될 때,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 변위센서의 동작을 센싱하는 제2 변위센서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티칭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티칭 모듈은 상기 제1 변위센서와 상기 제2 변위센서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변위센서의 회전 시 연동되는 제1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티칭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칭 모듈은 상기 조이스틱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변위센서 하부에 상기 제2 변위센서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제1 플레이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티칭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도록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과 이격되되,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을 테두리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건설기계용 티칭 장치.
  6. 건설기계용 플레이백 장치에 있어서,
    티칭 모듈에서 획득된 후 저장되어 있는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조이스틱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궤적 데이터 대로 상기 조이스틱을 플레이백시키도록 구성되는 플레이백 모듈;
    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플레이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백 모듈은,
    제1 서보모터,
    상기 제1 서보모터와 연결되고, 실린더 바디와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로드의 선단이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서보모터 구동 시 신장 또는 신축되는 상기 실린더 로드를 통해 상기 조이스틱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고, 구동 시 상기 액츄에이터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조이스틱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동작시키는 제2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플레이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백 모듈은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서보모터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서보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액츄에이터에 전달하는 제2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플레이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백 모듈은 상기 조이스틱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하부에 상기 제2 서보모터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제2 플레이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플레이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도록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과 이격되되,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을 테두리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건설기계용 플레이백 장치.
  11. 티칭 모드 시에는 작업장치용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획득하고, 플레이백 모드 시에는 상기 획득된 상기 궤적 데이터대로 상기 조이스틱을 플레이백시키는 티칭-플레이백 모듈;
    상기 티칭-플레이백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모드를 티칭 모드와 플레이백 모드 중 하나로 설정 및 변경시키는 모드 변경 스위치; 및
    상기 티칭-플레이백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조이스틱의 궤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궤적 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티칭-플레이백 모듈은,
    제1 서보모터,
    상기 제1 서보모터와 연결되고, 실린더 바디와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 로드의 선단이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티칭 모드 시에는 운전자에 의해 상기 조이스틱이 전, 후 방향으로 조작될 때, 상기 실린더 로드가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 방향을 따라 신장 또는 신축되며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을 센싱하고, 상기 플레이백 모드 시에는 상기 제1 서보모터 구동 시 신장 또는 신축되는 상기 실린더 로드를 통해 상기 조이스틱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티칭 모드 시에는 운전자에 의해 상기 조이스틱이 좌, 우 방향으로 조작될 때,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센싱하고, 상기 플레이백 모드 시에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조이스틱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동작시키는 제2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티칭-플레이백 모듈은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서보모터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서보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액츄에이터에 전달하는 제2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티칭-플레이백 모듈은 상기 조이스틱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하부에 상기 제2 서보모터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제2 플레이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도록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과 이격되되, 상기 조이스틱의 외주면을 테두리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PCT/KR2017/000105 2017-01-04 2017-01-04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WO201812820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0105 WO2018128201A1 (ko) 2017-01-04 2017-01-04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0105 WO2018128201A1 (ko) 2017-01-04 2017-01-04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8201A1 true WO2018128201A1 (ko) 2018-07-12

Family

ID=6278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0105 WO2018128201A1 (ko) 2017-01-04 2017-01-04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12820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209Y2 (ja) * 1988-03-25 1995-06-28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操作検知装置
JPH09203629A (ja) * 1996-01-26 1997-08-0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操作レバーの操作角検知装置
JP2001090120A (ja) * 1999-09-17 2001-04-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自動運転ショベル
JP2001159518A (ja) * 1999-11-30 2001-06-12 Komatsu Ltd 建設機械のツール位置計測装置、ヨー角検出装置、作業機自動制御装置及び校正装置
KR20110139344A (ko) * 2010-06-23 2011-12-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티칭 및 플레이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작업궤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209Y2 (ja) * 1988-03-25 1995-06-28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操作検知装置
JPH09203629A (ja) * 1996-01-26 1997-08-0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操作レバーの操作角検知装置
JP2001090120A (ja) * 1999-09-17 2001-04-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自動運転ショベル
JP2001159518A (ja) * 1999-11-30 2001-06-12 Komatsu Ltd 建設機械のツール位置計測装置、ヨー角検出装置、作業機自動制御装置及び校正装置
KR20110139344A (ko) * 2010-06-23 2011-12-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티칭 및 플레이백을 이용한 건설기계의 작업궤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62561A2 (ko) 건설기계의 작업궤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6219894A (ja) 建設機械の遠隔操作におけるカメラ制御装置
WO2015108227A1 (ko) 기기 작동용 조작 레버의 무인 조종 시스템
JP3398009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
WO2011078431A1 (ko) 기기 작동용 조작 레버의 무인 조종 시스템
JP5243580B2 (ja) 負荷制御システムおよび負荷駆動システム
WO2020222570A1 (ko) 적층형 모듈로봇
WO2017094986A1 (ko) 건설기계의 유압 시스템 및 유압 제어 방법
WO2019240453A1 (ko) 로봇 암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 로봇의 매니퓰레이터
JP2011161586A (ja) 作業用装置
WO2018128201A1 (ko)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WO2020122557A2 (ko) 손가락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핸드
JPH0789293B2 (ja) ア−ム制御装置
WO2018117294A1 (ko)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용 티칭 및 플레이백 시스템
EA012196B1 (ru) Система привода для манипулятора (варианты)
WO2020141659A1 (ko) 컨트롤러, 조정장치 및 조정시스템
CN111872927A (zh) 一种冗余机械臂以及控制冗余机械臂的系统
US5890396A (en) Arm mechanism with independent control of position and orientation
JPH0665949A (ja) 建設ロボットにおける遠隔臨場制御方法
WO2015108216A1 (ko) 건설기계용 주행제어장치
WO2014115908A1 (ko)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장치
JP3611394B2 (ja) 作業機械のカメラ方向制御装置
WO2023195649A1 (ko) 건설기계 자동제어용 전자 조이스틱
JPH0646479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WO2020204240A1 (ko) 건설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895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895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