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01622A1 -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 Google Patents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01622A1
WO2018101622A1 PCT/KR2017/012381 KR2017012381W WO2018101622A1 WO 2018101622 A1 WO2018101622 A1 WO 2018101622A1 KR 2017012381 W KR2017012381 W KR 2017012381W WO 2018101622 A1 WO2018101622 A1 WO 20181016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et bottle
methyl
propanediol
visible light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3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현욱
박성윤
장부경
호요승
권오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6184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6202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6841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1786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ublication of WO20181016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01622A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35Five-membered rings
    • C08K5/1539Cyclic an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bottle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or cold resistance, and a PET bottle capable of filling a liquid of high temperature or cold temperature, and having improved heat resistance or cold resistance with excellent visible light transmittance and visible light refractive index.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TA Purified terephthalic acid
  • DMT dimethyl terephthalate
  • EG ethylene glycol
  • the bottle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gas barrier (Chem Barrier), chemical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transparency, gloss and its use is expected to expand further.
  • a bottle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is weak in heat resistance and has a problem in that thermal deformation occurs at high temperature hot-fill.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89942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313349 disclose a polyester resin for a bottle, in which a polyester resin contains isophthalic acid (IPA), thereby improving heat resistance to reduce apparent deformation at high temperature. have.
  • IPA isophthalic acid
  • the cyclic compound remains on the surface during bottle formation, inhibits transparency, increases visible light refractive index, and has to be removed through a filter after polyester synthesis.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0041511 and PET, PEN or PEN copolymer (containing a naphthalene structure), and a composition of a metal catalyst causing mutual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Plastic bottles for beverages prepared by blow molding polyethylene naphthalate resins with polyester blends for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produced by mixing have been developed.
  • a polyester resin for a container containing a naphthalene structure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ultraviolet rays and oxygen barrier properties, but a polyester resin containing a naphthalene structure is less cost-competitive and colored tha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commercially bad.
  • PET bottle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are also used as containers for cold drinks in summer. Therefore, physical properties that do not easily break in cold environments are required, but most of the PET bottle resins and PET bottles currently on the market are improved in terms of heat resistance and visible light transmittance, and are easily broken at low temperatures. There was a problem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addi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ithout using 2-methyl-1,3-propanediol (MPD) to form a cyclic compound in the course of polymerization, heat or cold resistance, transparency an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T bottle having improved heat resistance or cold resistance with excellent refractive index and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n acid component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or an ester-forming derivative thereof, and a diol component consisting of 2-methyl-1,3-propanediol (MPD) and ethylene glycol (EG),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physical properties It provides a PET bottle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 MPD 2-methyl-1,3-propanediol
  • EG ethylene glycol
  • Hot-fill temperature 90 °C ⁇ 95 °C
  • the 2-methyl-1,3-propanediol provides a PET bottle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ing 5 to 10 mol% of the diol compon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ester resin and pyromelli formed of an acid component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or an ester-forming derivative thereof, and a diol component consisting of 2-methyl-1,3-propanediol (MPD) and ethylene glycol (EG). It provides a cold-resistant PET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mixed resin of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 PMDA pyromellitic dianhydride
  • the mixed resin provides a PET bottle with improved cold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to satisfy the following physical properties.
  • Hot-fill temperature 90 °C ⁇ 95 °C
  • the PET bottle provides a PET bottle with improved cold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cture coefficient is 0 ⁇ 1.
  • the 2-methyl-1,3-propanediol provides a PET bottle with improved cold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ing 1 to 10 mol% of the diol component.
  •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provides a PET bottle with improved cold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ed 0.5 to 1.0% by weight in the mixed resin.
  • the PET bottle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form a cyclic compound by polymerizing with 2-methyl-1,3-propanediol in the diol component, so that transparency and visible light refractive index are excellent and heat resistance is improved. It works.
  • the polyester resin and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using the 2-methyl-1,3-propanediol is formed of a mixed resin, the haze value of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the bottle, excellent and low visible light transmittance There is an improved cold resistance that does not break well at temperature.
  • the hot-fill temperature is also improv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at high and low temperatures.
  • the present invention uses 2-methyl-1,3-propanediol (MPD) as a diol component in a polyester resin formed of an acid component composed of terephthalic acid or an ester-forming derivative thereof and a diol component composed of ethylene glycol (EG).
  • MPD 2-methyl-1,3-propanediol
  • EG ethylene glyco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bottle having improved heat resistance or cold resistance.
  • the methyl group is bonded to the second carbon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polymer backbone, and acts as if it is a polymer end portion, thereby expanding the free space between the backbones, Increase the flowability of the entire molecular chain.
  • MPD 2-methyl-1,3-propanediol
  • 2-methyl-1,3-propanediol includes methyl group (-CH 3 ) as a side chain in the ethylene chain bonded to terephthalate, thereby freeing space for the main chain of the polymerized resin to rotate, thereby allowing freedom of the main chain.
  • the softening point (Ts) and / o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can be controlled by inducing an increase and a decrease in crystallinity of the resin. This may have the same effect as using isophthalic acid (IPA) containing an asymmetric aromatic ring in order to reduce the crystallinity of the conventional crystalline polyester resin.
  • IPA isophthalic acid
  • 2-methyl-1,3-propanediol has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isophthalic acid used in conventional polyester resins for bottles, but has an advantage of not forming a cyclic compound generated when using isophthalic acid.
  • the polyester resin for forming a PET bottle having improved heat re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ormed by containing 2-methyl-1,3-propanediol as a diol component, has a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92% or more and a haze value.
  • the 2-methyl-1,3-propanediol contains 1 to 20 mol% of the diol component, and when 2-methyl-1,3-propanediol is contained less than 1 mol% of the diol component, the transparency is improved. If 2-methyl-1,3-propanediol exceeds 20 mol% of the diol component, the thermal fluidity may be too large to lower the melting point and lower the heat resistance.
  • 2-methyl-1,3-propanediol contains 1-20 mol% of the diol component, and the PET bottle having improved heat resistance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heat resistance, but 2-methyl-1,3-propanediol By further adjusting the transparency and heat resistance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the PET bottle having improved heat resistance is improved by 95% or more, and the haze value is 1.7% or less.
  • the transparency will be maximized by lowering the effect.
  • the polyester resin for forming a PET bottle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includes an acid component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or an ester forming derivative thereof, and 2-methyl-1,3-propanediol and ethylene glycol (EG).
  • the diol component may be added to an ester reaction tank and prepared through an esterification reaction and a polymerization reaction like a general polyester resin, but 2-methyl-1,3-propanediol may affect the main chain of the molecular structure, thereby caus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ester. Can be lowered.
  • the 2-methyl-1,3-propanediol may be prepared by a method of proceeding and polymerizing the esterification reaction by adding 92 to 98% of the reaction rate of the esterification reaction.
  • the cold resistance of the PET bottle may be improved.
  • a PET bottle having improved cold resistance is formed of an acid component consisting of terephthalic acid or an ester forming derivative thereof, and a diol component consisting of 2-methyl-1,3-propanediol (MPD) and ethylene glycol (EG). It is formed from a mixture of resin and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 PMDA pyromellitic dianhydride
  • the 2-methyl-1,3-propanediol preferably contains 1 to 10 mol% of the diol component.
  • 2-methyl-1,3-propanediol is contained less than 1 mol% of the diol component, the transparency is improved. If 2-methyl-1,3-propanediol exceeds 10 mol% of the diol component, the thermal fluidity may be too high,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 the 2-methyl-1,3-propanediol may be most preferably contained in 5 to 10 mol% of the diol component. will be.
  •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mixed with the polyester resin formed by using the 2-methyl-1,3-propanediol as a diol is mainly used as a raw material for heat-resistant polyimide resins, films, and coating materials, and flexible printing. It is used as an intermediate for polyimide-based composites in circuit boards, tape automated bonding, magnetic wire insulation and other high performance applications.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cold resistance is greatly improved when polyesters using 2-methyl-1,3-propanediol and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are simultaneously used.
  • PMDA 2-methyl-1,3-propanediol and pyromellitic dianhydride
  •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i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flexibility and impact strength of the polyester as a function of extending the length of the polyester chain.
  • the PET bo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mixed resin in which the polyester resin and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are mixed.
  •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is preferably contained in the mixed resin in an amount of 0.3 to 2.0% by weight. If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is contained in less than 0.3% by weight of the mixed resin, the improvement in cold resistance is not significant, and when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exceeds 2.0% by weight in the mixed resin, the haze value and hot-fill temperature of the polyester resin Can be lowered.
  •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When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is 0.5 to 1.0% by weight in the mixed resin, the transparency, cold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re all excellent.
  •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is most preferably contained in the mixed resin by 0.5 to 1.0% by weight. something to do.
  •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is mixed with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after preparing the polyester resin containing 2-methyl-1,3-propanediol to prepare a mixed resin and to prepare a PET bottle. something to do.
  • PMDA pyromellitic dianhydride
  • the PET bottle with improved cold resi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transparency of 92% or more, a haze value of 2.0% or less, a visible light refractive index of 1.4 to 1.55, and a hot-fill temperature of 90 ° C to 95 ° C.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even in high heat at °C.
  • the impact strength at -20 °C is 15 ⁇ 40KJ / m2
  • PET bottle is very excellent in cold resistance with a coefficient of breakage of 0 ⁇ 1.
  • the PET bottle with improved heat or cold re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food and beverage containing hot drinks or cold drinks, and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 the polyester resin for forming a PET bottle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is injected with terephthalic acid (TPA) and ethylene glycol (EG) in an ester reactor, and a general polymerization reaction is performed at 258 ° C. to giv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 having a reaction rate of about 96% ( PET oligomer) was prepared.
  • 2-methyl-1,3-propanediol (MPD) was mixed with the prepar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n the content ratio shown in Table 1 below, and a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was performed at 250 ⁇ 2 ° C. by adding a transesterification catalyst. Was performed. Then,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catalyst was added to the obtained reaction mixture, and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controlling the final temperature and pressure in the reaction tank to be 280 ⁇ 2 ° C. and 0.1 mmHg, respectively.
  • the PET bottle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repared with the polyester resin prepared above.
  • PET bottle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were prepared using only ethylene glycol as the diol component.
  • a PET bottl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isophthalic acid was further added as an acid component, and only ethylene glycol was prepared as a diol component.
  • the content of the isophthalic aci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s shown in Table 1.
  • Example 1 100 - 99
  • Example 2 100 - 97 3
  • Example 3 100 - 95 4
  • Example 4 100 - 90 10
  • Example 5 100 - 80 20
  • Comparative Example 1 100 - 100 - Comparative Example 2 99
  • One 100 - Comparative Example 3 97 3 100 - Comparative Example 4 95 5 100 - Comparative Example 5 90 10 100 - Comparative Example 6 80 20 100 -
  • thermo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Perkin Elmer, DSC-7
  • the polyester resin was dissolved at a concentration of 0.5% by weight in a solution in which phenol and tetrachloroethane were mixed at a 1: 1 weight ratio, and then inherent viscosity (I.V) was measured at 35 ° C using a Uberod viscometer.
  • the change in the inner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neck part is less than 1%, and the change in the volume of the bottle is less than 1%.
  • Examples 1 to 5 which are PET bottles having improved heat resi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 1, and it is understood that haz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and visible light refractive index are excellent.
  • Examples 1 to 5 using 2-methyl-1,3-propanediol also have excellent haz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and visible light refractive index when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s 2 to 6 using isophthalic acid.
  • the melting point drop behavior is low, and the hot-fill temperature is similar, indicating that the heat resistance is excellent.
  • haz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and visible light refractive index are very excellent, and 2-methyl-1,3-propanediol is contained in about 5-10 mol% of the diol component to form a polyester resin for a bottle. It can be seen that it has the best physical properties.
  • TPA Terephthalic acid
  • EG ethylene glycol
  • MPD 2-methyl-1,3-propanediol
  • a polycondensation reaction catalyst was added to the obtained reaction mixture, and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controlling the final temperature and pressure in the reaction vessel to be 280 ⁇ 2 ° C. and 0.1 mmHg, respectively, to contain 2-methyl-1,3-propanediol.
  • a polyester resin was prepared.
  • PET bottle was prepared with improved cold resi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able 3 shows the content of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contained in the mixed resin.
  • PET bottles were prepared from a polyester resin containing 2-methyl-1,3-propanediol prepared in Examples 6 to 10.
  • PET bottles were prepared by using terephthalic acid (TPA) and ethylene glycol (EG) us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epared by a conventional polymerization process.
  • TPA terephthalic acid
  • EG ethylene glycol
  • the content of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contained in the mixed resin is shown in Table 3.
  • Example 7 97 3 0.3 Example 8 95 5 0.3 Example 9 90 10 0.3 Example 10 99 One 0.5 Example 11 97 3 0.5 Example 12 95 5 0.5 Example 13 90 10 0.5 Example 14 99 One One Example 15 97 3 One Example 16 95 5 One Example 17 90 10 One Example 18 99 One 2 Example 19 97 3 2 Example 20 95 5 2 Example 21 90 10 2 Comparative Example 7 99 One 0 Comparative Example 8 97 3 0 Comparative Example 9 95 5 0 Comparative Example 10 90 10 0 Comparative Example 11 100 0 0 Comparative Example 12 100 0 0.3 Comparative Example 13 100 0 0.5 Comparative Example 14 100 0 One Comparative Example 15 100 0 2
  • Example 6 2.23 92 1.45 95 One 13
  • Example 7 1.98 93 1.44 94 0 18
  • Example 8 1.75 94 1.45 93 0 24
  • Example 9 1.68 95 1.43 93 0 39
  • Example 10 2.17 93 1.47 94 0 15
  • Example 11 1.98 93 1.41 92 0 26
  • Example 12 1.75 94 1.44 92 0 33
  • Example 13 1.68 95 1.46 91 0 41
  • Example 14 2.2 96 1.42 93 0 22
  • Example 15 1.98 94 1.43 91 0 24
  • Example 16 1.75 95 1.46 91 0 39
  • Example 17 1.68 96 1.43 90 0 47
  • Example 18 2.45 92 1.53 92 One 15
  • Example 19 2.21 90 1.54 90 0 27
  • Example 20 2.11 90 1.54 87 0 39
  • the fracture coefficient is 0, and the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has an impact strength of 15 KJ / m 2 or more at -20 ° C. When it contains this, it turns out that cold resistance improves.
  • PMDA pyromellitic dianhydride
  •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is 92% or more
  • the haze value is 2.0% or less
  • the visible light refractive index is in the range of 1.4 to 1.55.
  • the peel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90 ° C to 95 ° C
  • the impact strength at -20 ° C is 15 to 40 KJ / m 2
  • the cracking coefficient is 0, which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excellent in both cold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It will be most preferable to contain 0.5-1.0 weight% in res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산성분,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D), 에틸렌글리콜(E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형성되는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본 발명은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에 관한 것으로 고온 또는 냉온의 액체를 충전할 수 있으며, 가시광투과율 및 가시광 굴절율이 우수한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는 테레프탈산(PTA, Purified terephthalic Acid)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를 에틸렌글리콜(EG)과 반응시켜 제조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초기에는 섬유용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이축(二軸) 배합 연신블로우 용기(Biaxially Oriented Stretch Blown Bottle)로 성형하여 생수, 탄산음료, 알코올음료, 과즙음료, 기타 일반 음식품 포장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제조된 보틀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 가스 차단성(Gas Barrier), 내화학성(Chemical Resistance), 투명성, 광택성을 가지고 있어 그 용도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그러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제조된 병은 내열성이 약하여 고온의 핫-필시 열변형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8994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13349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이소프탈산(IPA)을 함유시켜 고온에서 외관상의 변형을 줄일 수 있는 내열성을 높인 보틀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소프탈산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합성시에 하기 화학식과 같은 중합도 2 또는 3의 고리형 화합물이 형성된다.
Figure PCTKR2017012381-appb-I000001
상기의 고리형 화합물은 보틀 형성시 표면에 잔존하게 되어 투명성을 저해하고 가시광 굴절율을 높여 보틀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이물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 후에 필터를 통해 제거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소프탈산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시에는 고리형 화합물로 필터역할을 하는 팩(pack)의 교환주기를 짧게 하여 팩을 자주 교체해야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소프탈산은 고가의 화합물로 보틀의 가격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41511호와 PET, PEN 또는 PEN 공중합체(나프탈렌구조를 함유하는 것), 및 상호 에스테르교환반응을 일으켜주는 금속촉매의 조성물을 용융, 혼합시켜서 제조되는 식음료 용기용 폴리에스테르 블랜드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를 블로우성형하여 제조한 음료용 플라스틱 병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같이 나프탈렌 구조를 함유하는 용기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투명성, 자외선 및 산소 차단성은 우수하나 나프탈렌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비해 가격경쟁성이 떨어지고 색상이 나빠 상용화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PET 보틀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여름철의 차가운 음료를 담는 용기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차가운 환경에서 쉽게 깨지지 않는 물성이 필요하나 현재 판매되는 PET 보틀용 수지 및 PET 보틀은 대부분 내열성이나 가시광 투과율에 대해 개선된 PET 보틀로 낮은 온도에서는 쉽게 깨지는 문제가 있어 매우 낮은 온도의 재료나 음료를 담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2-메틸-1,3-프로판디올(MPD)을 사용하여 중합과정에서 고리형 화합물을 형성시키지 않고, 내열성 또는 내한성, 투명성 및 가시광 굴절율 등이 물성이 우수한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2-메틸-1,3-프로판디올의 최적의 함유량을 통해 물성이 우수하고 가격경쟁력이 우수한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산성분,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D), 에틸렌글리콜(E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으로 형성되고, 아래의 물성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제공한다.
- 아 래 -
(1) 가시광 투과율 : 95% 이상
(2) 헤이즈(Haze) 값 : 1.7% 이하
(3) 가시광 굴절율 : 1.4~1.55
(4) 핫-필 온도 : 90℃~95℃
(5) 융점(Tm) : 210℃ 이상
또한,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MPD)은 디올성분 중 5~10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산성분,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D), 에틸렌글리콜(E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yromellitic dianhydride, PMDA)의 혼합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혼합 수지는 아래의 물성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제공한다.
- 아 래 -
(1) 가시광 투과율 : 92% 이상
(2) 헤이즈(Haze) 값 : 2.0% 이하
(3) 가시광 굴절율 : 1.4~1.55
(4) 핫-필 온도 : 90℃~95℃
(5) -20℃에서의 충격강도 : 15~40KJ/㎡
또한, 상기 PET 보틀은 깨짐계수가 0~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MPD)은 디올성분 중 1~10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은 상기 혼합수지에 0.5~1.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이 향상된 PET 보틀은 디올성분에 2-메틸-1,3-프로판디올을 사용하여 중합하여 고리형 화합물을 형성시키지 않아 투명성 및 가시광 굴절율이 우수하며, 내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을 사용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이 혼합된 혼합수지로 형성되어 보틀의 기본적인 물성인 헤이즈(Haze)값, 가시광 투과율이 우수하면서 낮은 온도에서 잘깨지지 않는 내한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2-메틸-1,3-프로판디올 및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의 최적의 함량을 통해 핫-필온도도 향상되어 높은 온도 및 낮은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E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디올성분으로 2-메틸-1,3-프로판디올(MPD)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2-메틸-1,3-프로판디올(MPD)은 두 번째 탄소에 메틸기가 결합되어 고분자 주쇄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며 고분자 말단 부분인 것처럼 작용하여 주쇄 사이의 자유공간을 넓혀, 분자쇄 전체의 유동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고분자가 비정형이 되도록 하며 이소프탈산과 동일한 열적특성을 갖게 된다. 폴리머 주쇄에 존재하는 유연 분자쇄로 인해 탄성을 향상시켜 내열성 및 내한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2-메틸-1,3-프로판디올은 테레프탈레이트에 결합된 에틸렌 사슬에 메틸기(-CH3)를 측쇄로 포함하여 중합된 수지의 주쇄가 회전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주쇄의 자유도 증가 및 수지의 결정성 저하를 유도하여 연화점(Ts) 및/또는 유리전이 온도(Tg)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종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결정성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비대칭 방향족 고리를 함유하는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메틸-1,3-프로판디올은 종래의 보틀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사용되던 이소프탈산과 유사한 작용을 하지만, 이소프탈산 사용시에 발생되는 고리형 화합물을 형성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디올성분으로 2-메틸-1,3-프로판디올이 함유되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가시광 투과율이 92% 이상, 헤이즈(Haze) 값은 2.0% 이하, 가시광 굴절율은 1.4~1.55로 높은 투명성을 가지며, 핫-필 온도는 90℃~95℃, 융점(Tm)은 210℃ 이상으로 내열성이 우수하다.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은 디올성분 중 1~20몰%를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2-메틸-1,3-프로판디올이 디올성분 중 1몰% 미만으로 함유되면 투명성 향상이 저하될 수 있으며, 2-메틸-1,3-프로판디올이 디올성분 중 20몰%를 초과하면 열적유동성이 너무 커져 융점이 내려가고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메틸-1,3-프로판디올은 디올성분 중 1~20몰%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내열성이 향상된 PET 보틀은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나 2-메틸-1,3-프로판디올을 더욱 조절하여 투명성 및 내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을 디올성분 중 5~10몰%를 함유할 경우 본 발명의 내열성이 향상된 PET 보틀의 가시광 투과율은 95% 이상 향상되며, 헤이즈 값 역시 1.7% 이하로 낮아지는 효과로 투명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산성분, 및 2-메틸-1,3-프로판디올, 에틸렌글리콜(E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을 에스테르 반응조에 투입하고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같이 에스테르화 반응과 중합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나, 2-메틸-1,3-프로판디올이 분자구조의 주쇄에 영향을 주어 폴리에스테르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은 에스테르화 반응의 반응율이 92~98%일 투입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시키고 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중합방법을 통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물성을 유지하면서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보틀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2-메틸-1,3-프로판디올을 사용하영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yromellitic dianhydride, PMDA)를 같이 사용하여 PET 보틀의 내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은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산성분,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D), 에틸렌글리콜(E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yromellitic dianhydride, PMDA)의 혼합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은 디올성분 중 1~10몰%를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2-메틸-1,3-프로판디올이 디올성분 중 1몰% 미만으로 함유되면 투명성 향상이 저하될 수 있으며, 2-메틸-1,3-프로판디올이 디올성분 중 10몰%를 초과하면 열적유동성이 너무 커져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은 본 발명의 PET 보틀의 가시광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은 디올성분 중 5~10몰% 함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을 디올로 사용하여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합되는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은 주로 내열성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 및 코팅재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연성 인쇄 회로 기판, 테이프 자동화 본딩, 자기 와이어 절연 및 기타 고성능 응용 분야의 폴리이미드 기반 복합 재료용 중간재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2-메틸-1,3-프로판디올을 사용한 폴리에스테르와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을 동시에 사용할 때 내한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을 밝혀냈다.
본 발명에서의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은 폴리에스테르 체인(Chain)의 길이를 연장시켜 주는 기능으로 폴리에스테르의 유연성 및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PET 보틀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상기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이 혼합된 혼합수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은 상기 혼합수지에 0.3~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이 혼합수지 중 0.3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내한성 향상이 크지 않으며, 상기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이 혼합수지 중 2.0 중량%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헤이즈값 및 핫-필 온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이 혼합수지에 0.5~1.0중량% 함유될 경우 투명성, 내한성 및 내열성이 모두 우수한 수치를 갖는 것으로 상기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은 혼합수지에 0.5~1.0중량% 함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을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 후에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과 혼합하여 혼합수지를 제조하고 PET 보틀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은 가시광 투과율이 92% 이상, 헤이즈(Haze) 값은 2.0% 이하, 가시광 굴절율은 1.4~1.55로 높은 투명성을 가지며, 핫-필 온도는 90℃~95℃로 높은 열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20℃에서의 충격강도가 15~40KJ/㎡이며, PET 보틀은 깨짐계수가 0~1개로 내한성이 매우 우수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은 더운 음료나 찬 음료를 담는 식음료용으로 적합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내열성이 향상된 PET 보틀 제조
실시예 1 내지 5
내열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에스테르 반응조에 테레프탈산(TPA) 및 에틸렌글리콜(EG)을 투입하고, 258℃에서 통상적인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반응율이 약 96%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PET oligomer)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2-메틸-1,3-프로판디올(MPD)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함량 비율로 혼합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 촉매를 첨가하여 250±2℃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반응 혼합물에 축중합 반응 촉매를 첨가하고 반응조 내 최종 온도 및 압력이 각각 280±2℃ 및 0.1 mmHg이 되도록 조절하면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본 발명의 내열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같이 동일하게 PET 보틀을 제조하였으나, 디올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만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내지 6
실시예 1과 같이 동일하게 PET 보틀을 제조하였으나, 산성분으로 이소프탈산을 더 추가하여 하였으며, 디올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만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에 따른 상기 이소프탈산의 함량은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산성분 디올성분
TPA(몰%) IPA(몰%) EG(몰%) MPD(몰%)
실시예 1 100 - 99 1
실시예 2 100 - 97 3
실시예 3 100 - 95 4
실시예 4 100 - 90 10
실시예 5 100 - 80 20
비교예 1 100 - 100 -
비교예 2 99 1 100 -
비교예 3 97 3 100 -
비교예 4 95 5 100 -
비교예 5 90 10 100 -
비교예 6 80 20 100 -
◈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 고유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제조된 PET 보틀의 헤이즈(Haze), 가시광 투과도, 가시광 굴절율, 핫-필 온도(℃)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1) 융점 측정
열시차 주사 열량계(Perkin Elmer, DSC-7)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고유점도(IV) 측정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페놀 및 테트라클로로에탄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각각 0.5 중량%의 농도로 용해시킨 후 우베로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35℃에서 고유점도(I.V)를 측정하였다.
(3) 헤이즈(Haze) 및 가시광 투과도 (%)
병의 일정 부위를 자른 후 상온에서 탁도 측정기 [Haze-Meter, NDH-300 A-일본전기(주) 제품] 로 측정하였다.
(4) 가시광 굴절율
아베(Abbe) 굴절계로 20℃에서 측정하였다.
(5)핫-필 온도(℃)
A) 상온에서 상온의 증류수를 병에 넘치도록 붓고 용량을 측정한다.
B) 90℃~96℃의 열수를 병에 넘치도록 붓고 마개를 닫는다.
C) 1시간 경과 후 열수를 병에서 제거한 후, 다시 병에 증류수를 넣어 병의 용량을 측정한다.
D) 누수 및 외관 변화, 목부분의 내경 및 외경 변화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 결과, 누수 및 외관 변화가 없고, 목부분의 내경 및 외경 변화가 1% 미만이고, 병의 용량 변화가 1% 미만이면 핫-필 온도가 90℃~96℃를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한다.
구분 IV(dl/g) Tm(℃) Haze(%) 가시광투과율(%) 가시광굴절율 핫-필 온도(℃)
실시예 1 0.640 252.3 2.21 91 1.46 94
실시예 2 0.641 249.3 1.98 93 1.45 94
실시예 3 0.644 243.5 1.75 95 1.45 94
실시예 4 0.641 243.1 1.68 95 1.44 91
실시예 5 0.639 211.8 1.45 96 1.52 89
비교예 1 0.64 254.3 3.56 87 1.65 94
비교예 2 0.638 251.1 3.12 88 1.51 94
비교예 3 0.643 248.5 2.97 90 1.50 94
비교예 4 0.642 242.5 2.84 91 1.48 93
비교예 5 0.639 231.2 2.63 92 1.51 92
비교예 6 0.638 198.1 2.33 93 1.54 88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열성이 향상된 PET 보틀인 실시예 1 내지 5를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헤이즈(Haze), 가시광 투과도, 가시광 굴절율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2-메틸-1,3-프로판디올을 사용하는 실시예 1 내지 5는 이소프탈산을 사용하는 비교예 2 내지 6와 비교시에도 헤이즈(Haze), 가시광 투과도, 가시광 굴절율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융점 강하 거동이 낮고, 핫-필 온도도 유사한 것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메틸-1,3-프로판디올을 사용하는 실시예 1 내지 5와 이소프탈산을 사용하는 비교예 2 내지 6에서 각 화합물의 동일 몰% 사용시에 실시예가 헤이즈 값이 매우 낮은 수치로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 4 경우 헤이즈, 가시광 투과도, 가시광 굴절율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2-메틸-1,3-프로판디올이 디올성분 중 5~10몰% 정도 함유되어 보틀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될 때 가장 우수한 물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제조
실시예 6 내지 21
에스테르 반응조에 테레프탈산(TPA) 및 에틸렌글리콜(EG)을 투입하고, 258℃에서 통상적인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반응율이 약 96%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PET oligomer)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PET oligomer)에 2-메틸-1,3-프로판디올(MPD)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함량 비율로 혼합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 촉매를 첨가하여 250±2℃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반응 혼합물에 축중합 반응 촉매를 첨가하고 반응조 내 최종 온도 및 압력이 각각 280±2℃ 및 0.1 mmHg이 되도록 조절하면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2-메틸-1,3-프로판디올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약 280℃로 용융시킨 후,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을 함량에 맞도록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수지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혼합수지로 본 발명의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수지에 함유되는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의 함유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내지 10
실시예 6 내지 10에서 제조된 2-메틸-1,3-프로판디올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PET 보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테레프탈산(TPA) 및 에틸렌글리콜(EG)을 통상적인 중합공정으로 제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PET 보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내지 15
비교예 5에서 사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약 280℃로 용융시킨 후,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을 함량에 맞도록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수지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혼합수지로 PET 보틀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수지에 함유되는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의 함유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EG(몰%) MPD(몰%) PMDA(중량%)
실시예 6 99 1 0.3
실시예 7 97 3 0.3
실시예 8 95 5 0.3
실시예 9 90 10 0.3
실시예 10 99 1 0.5
실시예 11 97 3 0.5
실시예 12 95 5 0.5
실시예 13 90 10 0.5
실시예 14 99 1 1
실시예 15 97 3 1
실시예 16 95 5 1
실시예 17 90 10 1
실시예 18 99 1 2
실시예 19 97 3 2
실시예 20 95 5 2
실시예 21 90 10 2
비교예 7 99 1 0
비교예 8 97 3 0
비교예 9 95 5 0
비교예 10 90 10 0
비교예 11 100 0 0
비교예 12 100 0 0.3
비교예 13 100 0 0.5
비교예 14 100 0 1
비교예 15 100 0 2
◈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측정
상기 실시예 6 내지 21 및 비교예 7 내지 15에서 제조된 PET 보틀의 헤이즈(Haze), 가시광 투과도, 가시광 굴절율, 핫-필 온도(℃)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내한성 평가를 위해 깨짐계수, -20℃에서의 충격강도를 측정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6) 깨짐계수(갯수)
PET 보틀 100개를 -10℃에서 24시간 방치 후 1m 높이에서 낙하시 깨진 갯수를 측정하였다.
(7) -20℃에서의 충격강도
병의 일정 부위를 자른 후 -20℃에서 24시간 방치 후 ASTM D 256에 의거 Izod 충격저항 실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Haze(%) 가시광투과율(%) 가시광굴절율 핫-필 온도(℃) 깨짐계수(갯수) 충격강도(KJ/㎡)
실시예6 2.23 92 1.45 95 1 13
실시예7 1.98 93 1.44 94 0 18
실시예8 1.75 94 1.45 93 0 24
실시예9 1.68 95 1.43 93 0 39
실시예10 2.17 93 1.47 94 0 15
실시예11 1.98 93 1.41 92 0 26
실시예12 1.75 94 1.44 92 0 33
실시예13 1.68 95 1.46 91 0 41
실시예14 2.2 96 1.42 93 0 22
실시예15 1.98 94 1.43 91 0 24
실시예16 1.75 95 1.46 91 0 39
실시예17 1.68 96 1.43 90 0 47
실시예18 2.45 92 1.53 92 1 15
실시예19 2.21 90 1.54 90 0 27
실시예20 2.11 90 1.54 87 0 39
실시예21 2.03 88 1.67 84 0 41
비교예7 2.21 91 1.46 96 2 9
비교예8 1.98 93 1.45 96 1 15
비교예9 1.75 95 1.45 95 1 22
비교예10 1.68 95 1.44 94 0 33
비교예11 3.56 87 1.65 94 4 3
비교예12 3.54 86 1.66 94 2 10
비교예13 3.58 86 1.63 93 2 16
비교예14 3.46 87 1.65 91 1 21
비교예15 3.46 87 1.65 88 1 21
상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실시예 6 내지 21 중 실시예 6, 18를 제외하고 깨짐계수가 0이며, -20℃에서의 충격강도가 15KJ/㎡ 이상으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이 함유될 경우 내한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7 내지 11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D)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12 내지 15와 비교할 때 깨짐계수와 충격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과 메틸-1,3-프로판디올(MPD)을 같이 사용할 경우 내한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 내지 21에서와 같이 상기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 함량이 낮을 경우 내한성 상승효과가 크지 않으며, 함량이 높아질수록 충격강도가 향상되는 효과는 있으나, 헤이즈값과 핫-필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MDA)의 함량이 0.5~1.0중량% 함유될 경우 가시광 투과율은 92% 이상이며, 헤이즈(Haze) 값은 2.0% 이하이고, 가시광 굴절율은 1.4~1.55 범위이며, 핫-필 온도는 90℃~95℃ 범위이고, -20℃에서의 충격강도는 15~40KJ/㎡이며, 깨짐계수가 0으로 투명성이 우수하고 내한성 및 내열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은 상기 혼합수지에 0.5~1.0중량% 함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Claims (7)

  1.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산성분,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D), 에틸렌글리콜(E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으로 형성되고, 아래의 물성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향상된 PET 보틀.
    - 아 래 -
    (1) 가시광 투과율 : 95% 이상
    (2) 헤이즈(Haze) 값 : 1.7% 이하
    (3) 가시광 굴절율 : 1.4~1.55
    (4) 핫-필 온도 : 90℃~95℃
    (5) 융점(Tm) : 210℃ 이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MPD)은 디올성분 중 5~10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이 향상된 PET 보틀.
  3.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산성분,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D), 에틸렌글리콜(E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Pyromellitic dianhydride, PMDA)의 혼합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지는 아래의 물성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 아 래 -
    (1) 가시광 투과율 : 92% 이상
    (2) 헤이즈(Haze) 값 : 2.0% 이하
    (3) 가시광 굴절율 : 1.4~1.55
    (4) 핫-필 온도 : 90℃~95℃
    (5) -20℃에서의 충격강도 : 15~40KJ/㎡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ET 보틀은 깨짐계수가 0~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MPD)은 디올성분 중 1~10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은 상기 혼합수지에 0.5~1.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PCT/KR2017/012381 2016-11-30 2017-11-03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WO201810162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47 2016-11-30
KR1020160161847A KR20180062024A (ko) 2016-11-30 2016-11-30 내열성이 향상된 보틀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R1020170068410A KR101917864B1 (ko) 2017-06-01 2017-06-01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KR10-2017-0068410 2017-06-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622A1 true WO2018101622A1 (ko) 2018-06-07

Family

ID=6224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381 WO2018101622A1 (ko) 2016-11-30 2017-11-03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10162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434A (ja) * 2000-02-09 2001-08-14 Kanebo Ltd 射出成形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
KR20100060836A (ko) * 2008-11-28 2010-06-0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제품
JP4938458B2 (ja) * 2003-12-04 2012-05-23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脂環式ポリエステル組成物からの造形品
KR20140114828A (ko) * 2012-01-12 2014-09-29 닥 아메리카즈 엘엘씨 재열 첨가제로서 특정 카본 블랙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KR20160012158A (ko) * 2013-05-21 2016-02-02 에스터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내열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434A (ja) * 2000-02-09 2001-08-14 Kanebo Ltd 射出成形用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
JP4938458B2 (ja) * 2003-12-04 2012-05-23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脂環式ポリエステル組成物からの造形品
KR20100060836A (ko) * 2008-11-28 2010-06-0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제품
KR20140114828A (ko) * 2012-01-12 2014-09-29 닥 아메리카즈 엘엘씨 재열 첨가제로서 특정 카본 블랙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KR20160012158A (ko) * 2013-05-21 2016-02-02 에스터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내열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7008C (en) Large polyester containers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11031112A2 (en) Polyester res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796764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3717086B1 (en) Toy building element made of a polymeric pet material
WO2012165734A1 (ko)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TW449613B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non-crystalline polyimide
WO2023033562A1 (ko) 투명성과 충격강도가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KR100204127B1 (ko) 코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중공용기 및 연신필름
TW201938634A (zh) 雙軸延伸膜
WO2018101622A1 (ko) 내열성 또는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WO2019093770A1 (ko)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3389703B2 (ja) 末端変性ポリエステルの製造法
US5189140A (en) Heat-resistant injection-moldable copolyester resins and resin blends of the same
JP4651146B2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エーテル及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KR101917864B1 (ko) 내한성이 향상된 pet 보틀
KR100593971B1 (ko) 내충격성 열수축성 폴리에스터 필름
WO2016137065A1 (ko)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2057566A2 (ko) 열적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JP3646819B2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予備成形体及び成形体
JP3192290B2 (ja) ポリエステル製耐熱ボトル
TWI652306B (zh) Heat shrinkable polyester film
JPH02274757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組成物の用途
KR100531934B1 (ko) 필름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2024A (ko) 내열성이 향상된 보틀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JPS6225151A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58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58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