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09031A1 -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09031A1
WO2018009031A1 PCT/KR2017/007313 KR2017007313W WO2018009031A1 WO 2018009031 A1 WO2018009031 A1 WO 2018009031A1 KR 2017007313 W KR2017007313 W KR 2017007313W WO 2018009031 A1 WO2018009031 A1 WO 201800903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ber yarn
suture
anchor
anchor portion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73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정권
김근식
이은아
Original Assignee
김정권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김근식
이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8652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9779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6963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69910B1/ko
Priority to JP2018569072A priority Critical patent/JP6761057B2/ja
Priority to MX2019000166A priority patent/MX2019000166A/es
Priority to US16/315,371 priority patent/US11504113B2/en
Priority to AU2017293748A priority patent/AU2017293748B2/en
Priority to CN201780042077.7A priority patent/CN109561954A/zh
Priority to BR112018077459-6A priority patent/BR112018077459B1/pt
Application filed by 김정권, 주식회사 동방메디컬, 김근식, 이은아 filed Critical 김정권
Priority to RU2019102549A priority patent/RU2721650C1/ru
Priority to EP17824587.4A priority patent/EP3482716A4/en
Priority to CA3029530A priority patent/CA3029530C/en
Priority to MYPI2018003039A priority patent/MY189124A/en
Publication of WO201800903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09031A1/ko
Priority to PH12019500044A priority patent/PH12019500044A1/en
Priority to CONC2019/0001045A priority patent/CO2019001045A2/es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14Post-treatm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29C45/14786Fibrous material or fibre containing material, e.g. fibre mats or fibre reinforc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29C45/1866Feeding multip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muscle re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B29K2067/043PGA, i.e. polyglycolic acid or polyglycol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B29K2067/046PLA, i.e. polylactic acid or polylact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13/00Use of textile products or fabric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9Degradable
    • B29K2995/006Bio-degradable, e.g. bioabsorbable, bioresorbable or bioero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리프팅용 봉합사가 개시된다. 봉합사는, 의료용 섬유사, 섬유사의 일측에 형성되어 피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 및 고정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를 포함하고, 앵커부는 섬유사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봉합사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근육을 이루는 근육 섬유 내에는 자생물질이 존재한다. 그리고 근육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면 이물질 둘레에 자생 물질이 모여들어 침범한 물질에 대해 근육을 보호한다. 상기 자생 물질은 근육을 보호하기 위해 생성된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근육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자생 물질에는 매우 많은 종류가 있다. 이는 피부의 일부 근육조직에 인위적으로 상처를 주었을 때 상처받은 조직세포에서 방출하며 조직에 일련의 생리적 변화를 가져오는 화학인자로서 상처를 회복시키는 조건을 제공한다. 생물전기학과 압전기학 및 생물범제어론의 원리에 근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상기 화학인자는 열에너지로 변화하여 작은 혈관을 확장하고 림프(lymph)의 순환을 가속화하여 신진 대사 능력을 크게 높이며 해당 부위의 영양공급을 강화할뿐만 아니라 체액순환을 통해 병적생성물을 제거하고 동시에 일부조직의 단백질을 분해하고 말초신경 체질을 증가하며 혈관신경에 활성물질을 생성시켜 혈청에서의 펩타이드와 5-히드록실아민의 함량을 낮춘다. 이에 따라 상처받은 부위가 신경을 통해 재생 또는 조절해야 하는 정보를 신경중추에 전달하고 체내에 존재하는 특정한 생물화학적 물질의 조합을 빨리 추진하여 체액순환의 활성화를 통해 인체 면역기능을 제고시키며 신체관련 장부의 기능을 조절하고 근육도 강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근육 내에 의료용 실을 용이하게 삽입하여 자생 물질의 생성을 유도하는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봉합사에 섬유사와 앵커부 및 고정부와 가변부가 구비된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봉합사의 섬유사와 앵커부를 상호 이중 또는 이중 이상의 다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하는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중 또는 이중 이상의 다중 사출을 일체로 형성하여 봉합사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중 또는 이중 이상의 다중 사출을 통해 앵커의 형상을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정 기간에 피부에서 가수분해되어 없어지는 생분해성고문자물질로 이루어진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봉합사에 콜라겐을 코팅시켜 세포 재생 촉진 효과와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도록 한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봉합사 또는 섬유사를 그물망 형태로 제조하여 유연성을 갖는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봉합사 또는 섬유사를 그물망 형태로 제조하여 자생 물질이 좀더 쉽게 모여들 수 있는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봉합사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는, 의료용 섬유사; 상기 섬유사의 일측에 형성되어 피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섬유사와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봉합사는, 상기 섬유사의 타측에서 상기 고정부와 좌우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움직임과 고정이 가능한 가변부; 및 상기 가변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섬유사와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섬유사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앵커부가 둘러싸는 영역의 섬유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나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앵커부가 둘러싸는 영역의 섬유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웃하는 앵커부와 인접하여 묶음으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섬유사는 그물망 형태로 사출되어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봉합사는 상기 고정부의 앵커부와 상기 가변부의 앵커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섬유사를 덮는 그물항 형태로 사출되어 형성되는 그물망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물망 연결부는 상기 앵커부와 함께 상기 섬유사와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섬유사와 상호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되, 걸림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앵커부의 일 끝단에 깔대기 형상의 'V'홈이 이중사출로 상기 섬유사의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대칭 형태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섬유사에는 상기 앵커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요홈을 포함하며, 상기 요홈에 앵커부 재료가 투입되어 앵커부를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섬유사에는 상기 앵커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에 앵커부 재료가 투입되어 앵커부를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봉합사는 일정 기간에 피부 안에서 가수분해되어 없어지는 생분해성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생분해성고분자물질은 PLA(Poly Lactic Acid), PDO(Polydioxanone), PGA(Polyglycolicac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생분해성고문자물질로 이루어지는 봉합사 제조 방법은, 의료용 섬유사 재료를 제1 사출장치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섬유사 재료와 상호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앵커부의 재료를 제2 사출장치에 투입하는 단계; 및 한 번의 성형으로 섬유사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를 섬유사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앵커부로 인해 상기 섬유사 일측에 피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되도록 이중 사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중 사출 단계는, 한 번의 성형으로 섬유사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를 섬유사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앵커부로 인해 상기 섬유사 일측에 피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와 상기 앵커부로 인해 상기 섬유사의 타측에서 상기 고정부와 좌우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움직임과 고정이 가능한 가변부가 형성되도록 이중 사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이중 사출 단계는, 상기 이중 사출시 상기 고정부와 가변부의 앵커부는 상기 앵커부가 둘러싸는 영역의 섬유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나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사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이중 사출 단계는, 상기 이중 사출시 상기 고정부와 가변부의 앵커부는 상기 앵커부가 둘러싸는 영역의 섬유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웃하는 앵커부와 인접하여 묶음으로 형성되도록 사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이중 사출 단계는, 섬유사를 그물망 형태로 사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이중 사출 단계는, 상기 고정부의 앵커부와 상기 가변부의 앵커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섬유사를 덮는 그물항 형태의 그물망 연결부를 사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의료용 섬유사 재료를 제1 사출장치에 투입하는 단계는 상기 섬유사에 요홈 또는 구멍을 형성한 후 투입하며, 상기 이중 사출 단계는, 앵커부 재료가 상기 요홈 또는 구멍에 투입되어 앵커부를 이중사출로 일체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분해성고문자물질은, PLA(Poly Lactic Acid), PDO(Polydioxanone), PGA(Polyglycolicac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세포재생촉진 및 생체적합성을 갖는 콜라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는 봉합사에 섬유사와 앵커부 및 고정부와 가변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는 봉합사의 섬유사와 앵커부를 상호 이중 또는 이중 이상의 다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는 이중 또는 이중 이상의 다중 사출을 일체로 형성하여 봉합사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는 이중 또는 이중 이상의 다중 사출을 통해 앵커의 형상을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는 일정 기간에 피부에서 가수분해되어 없어지는 생분해성고문자물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는 봉합사에 콜라겐을 코팅시켜 세포 재생 촉진 효과와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는 봉합사 또는 섬유사를 그물망 형태로 제조하여 유연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는 봉합사 또는 섬유사를 그물망 형태로 제조하여 자생 물질이 좀 더 쉽게 모여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는 메쉬 형태의 봉삽사를 통해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약액의 주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봉합사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리프팅용 봉합사(100)의 제1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200)의 제2 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300)의 제3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400)의 제4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500)의 제5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의 제6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의 제7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의 제8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리프팅(lifting)은 메이크업에서 노화된 피부의 주름을 들어올려서 팽팽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특히 피부 노화의 흔적인 잔주름과 탄력을 잃고 처지는 피부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초음파나 이온을 이용해 피부 속으로 침투하여 처진 근육을 당겨 올리고 모공을 수축하여 피부 조직을 지탱하고, 탄력을 회복시켜 주름을 완화시켜 준다.
또한 봉합사(suture)는 수술, 외상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부를 봉합하는 데 쓰이는 실로, 비흡수성 봉합사와 흡수성 봉합사가 있으며, 전자에는 견, 나일론, 폴리텔레프탈에틸렌 등이 있고 후자에는 컷구트, 폴리글리콜산 등이 있다. 특히 생분해성 봉합사는 외과수술용 실로 인체에서 분해될 수 있도록 개발된 제품이다. 따라서 수술한 뒤 실밥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
먼저, 본 발명은 제1, 2, 3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100, 200, 30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봉합사(100, 200, 300)에는 일측에 피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130, 230, 330)와, 타측에 움직임과 고정이 가능한 가변부(140, 240, 340)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정부와 가변부는 이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봉합사의 어느 일측에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정부(130, 230, 330)와 가변부(140, 240, 340)는 섬유사(110, 210, 310)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120, 220, 320)를 섬유사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정부(130, 230, 330)와 가변부(140, 240, 340)의 앵커부(120, 220, 320)는 앵커부(120, 220, 320)가 둘러싸는 영역의 섬유사(110, 210, 3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나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공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100)의 앵커부(120)는 섬유사(110)와 상호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되, 걸림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앵커부의 일 끝단에 깔대기 형상의 'V'홈이 이중사출로 상기 섬유사의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대칭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100)의 특징에 더해, 섬유사(210)에 요홈(250)을 형성한 후 이 요홈에 앵커부 재료가 투입되어 앵커부(220)를 긴밀히 일체로 형성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3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100)의 특징에 더해, 섬유사(310)에 구멍(260)을 형성한 후 이 구멍에 앵커부 재료가 투입되어 앵커부(320)를 긴밀히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제4, 5, 6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400, 500, 60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 4 내지 6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봉합사(400, 500, 600)에는 일측에 피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430, 530, 630)와, 타측에 움직임과 고정이 가능한 가변부(440, 540, 640)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정부와 가변부는 이중어서 어느 하나만을 봉합사의 어느 일측에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정부(430, 530, 630)과 가변부(440, 540, 640)는 섬유사(410, 510, 610)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420, 520, 620)를 섬유사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정부(430, 530, 630)와 가변부(440, 540, 640)의 앵커부(420, 520, 620)는 연결부(470, 570, 670)에 의해 앵커부(420, 520, 620)가 둘러싸는 영역의 섬유사(410, 510, 6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묶음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공한다.
즉,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400)의 앵커부(420)는 섬유사(410)와 상호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되, 걸림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앵커부의 일 끝단에 깔대기 형상의 'V'홈이 이중사출로 상기 섬유사의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대칭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430)와 가변부(440)의 앵커부(420)는 이웃하는 앵커부(420)들은 고정부(430)와 가변부(440)의 섬유사(410)를 덮는 연결부(470)로 상호 연결되어 있어, 상기 연결부(470)에 의해 상기 앵커부(420)가 형성되는 영역의 섬유사(4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묶음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500)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400)의 특징에 더해, 섬유사(510)에 요홈(550)을 형성한 후 이 요홈에 앵커부 재료가 투입되어 앵커부(520)를 긴밀히 일체로 형성한다.
제6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600)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400)의 특징에 더해, 섬유사(610)에 구멍(620)을 형성한 후 이 구멍에 앵커부 재료가 투입되어 앵커부(620)를 긴밀히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7, 8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700, 80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봉합사(700, 800)에는 일측에 피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730, 830)와, 타측에 움직임과 고정이 가능한 가변부(740, 840)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정부와 가변부는 이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봉합사의 어느 일측에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정부(730, 830)와 가변부(740, 840)는 섬유사(710, 810)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720, 820)를 섬유사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정부(730, 830)와 가변부(740, 840)의 앵커부(720, 820)는 앵커부(720, 820)가 형성되는 영역의 섬유사(710, 8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나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공한다.
한편, 본원 제7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700)의 앵커부(720)는 섬유사(710)와 상호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되, 걸림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앵커부의 일 끝단에 깔대기 형상의 'V'홈이 이중사출로 상기 섬유사의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대칭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본원 제7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700)의 섬유사(710)는 그물망(메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봉합사(700)의 고정부(730)와 가변부(740)는 섬유사(710)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720)를 섬유사(710)를 그물망 형태로 사출하면서 상기 섬유사(710)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본원 제7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700)의 고정부(730)와 가변부(740)의 앵커부(720)는 섬유사(7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나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리프팅용 봉합사(700)를 제공한다.
도 7에 도시된 봉합사(700)의 일 끝단에는 커버(7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750)는 니들(미도시)의 단부 및 상기 봉합사(700)의 단부가 결합된 영역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750)는 상기 봉합사(700)와 마찬가지로 인체 내에서 분해되는 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750)는 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니들 및 봉합사(700)의 인체 내 삽입시 경로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750)는 이러한 콘 형상으로 인해, 인체 삽입시 인체에 손상을 유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8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800)의 앵커부(820)는 섬유사(810)와 상호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되, 걸림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앵커부의 일 끝단에 깔대기 형상의 'V'홈이 이중사출로 상기 섬유사의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대칭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본원 제8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800)의 고정부(830)와 가변부(840) 사이에는 섬유사(810)를 덮는 그물망 연결부(8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물망 연결부(860)는, 이때, 봉합사(800)의 고정부(830)와 가변부(840)가 섬유사(810)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820)를 섬유사(810)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할 때, 동시에 이중 사출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본원 제8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800)의 고정부(830)와 가변부(840)의 앵커부(820)는 섬유사(8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나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리프팅용 봉합사(800)를 제공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봉합사(800)도 도 7에 도시된 봉합사(700)와 마찬가지로 봉합사(800)의 일 끝단에는 커버(8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850)는 도 7의 커버(850)와 동일한 구성요소이기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앵커부(120, 220, 320, 420, 520, 620, 720, 820)는 섬유사(110, 210, 310, 410, 510, 610, 710, 810)와 상호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되, 걸림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앵커부의 일 끝단에 깔대기 형상의 'V'홈이 이중사출로 상기 섬유사의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대칭 형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앵커부는 'V홈 이외의 다른 여러 다른 형상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섬유사(210, 510)에 요홈(250, 550)을 형성한 후 이 요홈에 앵커부 재료가 투입되어 앵커부(220, 520)를 긴밀히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섬유사(310, 610)에 구멍(260, 660)을 형성한 후 이 구멍에 앵커부 재료가 투입되어 앵커부(320, 620)를 긴밀히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봉합사(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는 일정 기간에 피부에서 가수분해되어 없어지는 생분해성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저용된 상기 생분해성고문자물질은 PLA(Poly LacticAcid), PDO(Polydioxanone), PGA(Polyglycolicac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PLA(Poly Lactic Acid)는 옥수수의 전분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친환경 수지이다. 뜨거운 음식을 담거나, 아기가 입으로 물거나 빨아도 환경호르몬은 물론,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하다. 사용 중에는 일반플라스틱과 동등한 특징을 가지지만 폐기 시 미생물에 의해 100% 생분해되는 재질이다.
상기 폴리디옥사논(PDO; Polydioxanone) 및 폴리글리콜산(PGA;Polyglycolicacide)도 전술한 PLA와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봉합사의 섬유사와 앵커부를 상호 이중 또는 이상의 다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하여 인장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앵커의 형상을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은 리프팅용 봉합사(100)의 제1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200)의 제2 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300)의 제3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400)의 제4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500)의 제5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의 제6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의 제7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리프팅용 봉합사의 제8실시예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단면도이다.
상기한 본원 발명의 제1, 2, 3 실시예인 봉합사(100, 200, 3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본원 발명은 생분해성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는 봉합사(100, 200, 300)를 제조함에 있어, 상호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섬유사(110, 210, 310)와 앵커부(120, 220, 320)의 재료를 2개의 사출장치(미도시)에 투입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한 번의 성형으로 섬유사(110, 210, 310)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120, 220, 320)를 섬유사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어서 상기 이중 사출 시 고정부(130, 230, 330)와 가변부(140, 240, 340)의 앵커부(120, 220, 320)는 섬유사(110, 210, 3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나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5, 6 실시예인 봉합사(400, 500, 6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본원 발명은 생분해성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는 봉합사(400, 500, 600)를 제조함에 있어, 섬유사(410, 510, 610)에 요홈(550) 또는 구멍(660)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요홈(550) 또는 구멍(660)이 형성된 섬유사를 사출장치(미도시)에 투입한 후 섬유사(410, 510, 610)와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앵커부(420, 520, 620)의 재료를 투입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본 발명은 앵커부(420, 520, 620) 재료가 요홈(550) 또는 구멍(660)에 투입되어 앵커부(420, 520, 620)를 이중사출로 긴밀히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상기 이중사출시 고정부(430, 530, 630)와 가변부(440, 540, 640)의 앵커부(420, 520, 620)는 연결부(470, 570, 670)에 의해 섬유사(41, 510, 6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묶음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한 본원 발명의 제7, 8 실시예인 봉합사(700, 8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본원 발명은 생분해성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는 봉합사(700, 800)를 제조함에 있어, 상호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섬유사(710, 810) 및 그물망 연결부(850)와 앵커부(720, 820)의 재료를 2개의 사출장치(미도시)에 투입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한 번의 성형으로 섬유사(710, 810)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720, 820)를 섬유사(710, 810) 및 섬유사(710, 810)를 둘러싸는 그물망 연결부(860)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어서 상기 이중 사출 시 고정부(730, 830)와 가변부(740, 840)의 앵커부(720, 820)는 섬유사(710, 8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나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조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생분해성고분자물질은 PLA(PolyLactic Acid), PDO(Polydioxanone), PGA(Polyglycolicac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세포재생촉진 및 생체적합성을 갖는 콜라겐으로 이루어진 리프팅용 봉합사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한 본원 발명의 봉합사는 기존 섬유사의 가공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한 것으로, 이중사출(앵커+섬유사)를 통하여 인장강도 유지 및 앵커형상의 다양성을 갖춘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봉합사는 섬유사 또는 섬유사를 둘러싸는 그물망 연결부를 그물망 형태로 제조하여 봉합사가 더욱 유연성을 갖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는 섬유사 또는 섬유사를 둘러싸는 그물안 연결부를 그물망 형태로 제조하여 자생 물질이 좀 더 쉽게 모여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는 메쉬 형태의 봉삽사를 통해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약액의 주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Claims (21)

  1. 봉합사에 있어서,
    의료용 섬유사;
    상기 섬유사의 일측에 형성되어 피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섬유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상기 섬유사의 타측에서 상기 고정부와 좌우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움직임과 고정이 가능한 가변부; 및
    상기 가변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섬유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3. 제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섬유사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앵커부가 둘러싸는 영역의 섬유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나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5.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앵커부가 둘러싸는 영역의 섬유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웃하는 앵커부와 인접하여 묶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6. 제 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는 그물망 형태로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상기 고정부의 앵커부와 상기 가변부의 앵커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섬유사를 덮는 그물항 형태로 사출되어 형성되는 그물망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 연결부는 상기 앵커부와 함께 상기 섬유사와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섬유사와 상호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되,
    걸림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앵커부의 일 끝단에 깔대기 형상의 'V'홈이 이중사출로 상기 섬유사의 외주면을 따라 일체로 대칭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에는 상기 앵커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요홈을 포함하며,
    상기 요홈에 앵커부 재료가 투입되어 앵커부를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에는 상기 앵커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에 앵커부 재료가 투입되어 앵커부를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일정 기간에 피부 안에서 가수분해되어 없어지는 생분해성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고분자물질은 PLA(Poly Lactic Acid), PDO(Polydioxanone), PGA(Polyglycolicacid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용 봉합사.
  14. 생분해성고문자물질로 이루어지는 봉합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의료용 섬유사 재료를 제1 사출장치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섬유사 재료와 상호 같은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앵커부의 재료를 제2 사출장치에 투입하는 단계; 및
    한 번의 성형으로 섬유사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를 섬유사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앵커부로 인해 상기 섬유사 일측에 피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되도록 이중 사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사출 단계는,
    한 번의 성형으로 섬유사의 외주면에 돌출된 앵커부를 섬유사와 상호 이중 사출로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앵커부로 인해 상기 섬유사 일측에 피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와 상기 앵커부로 인해 상기 섬유사의 타측에서 상기 고정부와 좌우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움직임과 고정이 가능한 가변부가 형성되도록 이중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사출 단계는, 상기 이중 사출시 상기 고정부와 가변부의 앵커부는 상기 앵커부가 둘러싸는 영역의 섬유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나씩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사출 단계는, 상기 이중 사출시 상기 고정부와 가변부의 앵커부는 상기 앵커부가 둘러싸는 영역의 섬유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웃하는 앵커부와 인접하여 묶음으로 형성되도록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사출 단계는, 섬유사를 그물망 형태로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사출 단계는, 상기 고정부의 앵커부와 상기 가변부의 앵커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섬유사를 덮는 그물항 형태의 그물망 연결부를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섬유사 재료를 제1 사출장치에 투입하는 단계는 상기 섬유사에 요홈 또는 구멍을 형성한 후 투입하며,
    상기 이중 사출 단계는, 앵커부 재료가 상기 요홈 또는 구멍에 투입되어 앵커부를 이중사출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1. 제 14 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고문자물질은,
    PLA(Poly Lactic Acid), PDO(Polydioxanone), PGA(Polyglycolicacide) 중에 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세포재생촉진 및 생체적합성을 갖는 콜라겐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PCT/KR2017/007313 2016-07-08 2017-07-07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WO201800903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3029530A CA3029530C (en) 2016-07-08 2017-07-07 Suture for lif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MYPI2018003039A MY189124A (en) 2016-07-08 2017-07-07 Suture for lif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RU2019102549A RU2721650C1 (ru) 2016-07-08 2017-07-07 Нить для лифтинг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16/315,371 US11504113B2 (en) 2016-07-08 2017-07-07 Suture for lif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U2017293748A AU2017293748B2 (en) 2016-07-08 2017-07-07 Suture for lif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01780042077.7A CN109561954A (zh) 2016-07-08 2017-07-07 提拉用缝合线及其制造方法
BR112018077459-6A BR112018077459B1 (pt) 2016-07-08 2017-07-07 Sutura de elevação e método de fabricação para uma sutura feita de um material polimérico biodegradável
JP2018569072A JP6761057B2 (ja) 2016-07-08 2017-07-07 リフティング用縫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2019000166A MX2019000166A (es) 2016-07-08 2017-07-07 Sutura para elevacion y metodo de fabricacion de la misma.
EP17824587.4A EP3482716A4 (en) 2016-07-08 2017-07-07 SUTURE OF RHYTIDECTOMY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PH12019500044A PH12019500044A1 (en) 2016-07-08 2019-01-04 Suture for lif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ONC2019/0001045A CO2019001045A2 (es) 2016-07-08 2019-02-01 Sutura para estiramiento y método de fabricación de la mism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25 2016-07-08
KR1020160086525A KR101897793B1 (ko) 2016-07-08 2016-07-08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017-0069636 2017-06-05
KR1020170069636A KR101969910B1 (ko) 2017-06-05 2017-06-05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9031A1 true WO2018009031A1 (ko) 2018-01-11

Family

ID=60912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7313 WO2018009031A1 (ko) 2016-07-08 2017-07-07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504113B2 (ko)
EP (1) EP3482716A4 (ko)
JP (1) JP6761057B2 (ko)
CN (1) CN109561954A (ko)
AU (1) AU2017293748B2 (ko)
CA (1) CA3029530C (ko)
CO (1) CO2019001045A2 (ko)
MX (1) MX2019000166A (ko)
MY (1) MY189124A (ko)
PH (1) PH12019500044A1 (ko)
RU (1) RU2721650C1 (ko)
WO (1) WO201800903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3120A (zh) * 2018-02-10 2018-07-13 程光起 一种具有倒刺的可降解缝合线的制备方法
CN108836565A (zh) * 2018-07-11 2018-11-20 金海波 一种植入创面的提拉美容线
WO2019221560A1 (ko) * 2018-05-18 2019-11-21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및 의료용 봉합사 키트
US11504113B2 (en) 2016-07-08 2022-11-22 Dongbang Medical Co., Ltd. Suture for lif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804141D0 (en) * 2018-03-15 2018-05-02 Univ Of Hull Suture thread
CN110123485A (zh) * 2019-06-19 2019-08-16 易浦润(上海)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单向提拉埋植线、提拉装置及使用其的整形方法
KR102421901B1 (ko) * 2020-03-30 2022-07-19 진오메카디칼 주식회사 리프팅 실
US11826041B2 (en) * 2021-02-12 2023-11-28 Washington University Barbed rod for linear tissue closure and approximation
KR102601290B1 (ko) * 2021-03-16 2023-11-10 주식회사 네오닥터 통증저감을 위한 가변형 리프팅 실
JP7477731B2 (ja) 2021-04-22 2024-05-01 ドンバ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鼻整形用リフティング糸およびこ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1618A1 (en) * 2007-03-09 2008-09-11 Gaoyuan Chen Co-extruded tissue grasping monofilament
KR20090035692A (ko) * 2006-08-07 2009-04-10 실루엣 리프트 소시에타드 리미타다 상처봉합, 조직밀착, 조직지지, 부유 및/또는 고정을 위한 봉합사
KR101172829B1 (ko) * 2002-09-30 2012-08-10 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외과용 바늘과 병용하는 미늘 봉합사
KR101432497B1 (ko) * 2013-09-27 2014-08-25 유원석 고착형 미늘 봉합사
KR20160066831A (ko) * 2014-12-03 2016-06-13 김근식 메쉬형 리프팅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17967A1 (en) * 1993-10-27 1995-04-28 Thomas W. Sander Tissue repair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5669935A (en) 1995-07-28 1997-09-23 Ethicon, Inc. One-way suture retaining device for braided sutures
JP2002192553A (ja) 2000-12-26 2002-07-10 Sanwa Kako Kk 二重成形品の製造方法
US20030149447A1 (en) * 2002-02-01 2003-08-07 Morency Steven David Barbed surgical suture
US8236027B2 (en) 2004-04-07 2012-08-07 Tze Liang Woffles Wu Surgical thread
US7468068B2 (en) 2004-06-30 2008-12-23 Alwin Kolster Suture for wound closure, tissue approximation, tissue support, suspension and/or fixation
US7493994B2 (en) 2004-12-16 2009-02-24 Bendix Spicer Foundation Brake Llc Spring brake actuator with mid-located spring
WO2007131019A2 (en) 2006-05-04 2007-11-15 Ethicon, Inc. Tissue holding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8721666B2 (en) 2007-09-26 2014-05-13 Ethicon, Inc. Method of facial reconstructive surgery using a self-anchoring tissue lifting device
US8454653B2 (en) 2008-02-20 2013-06-04 Covidien Lp Compound barb medical device and method
US20090248066A1 (en) * 2008-03-28 2009-10-01 David Hjalmar Wilkie Elastic barbed suture and tissue support system
BRPI0911132B8 (pt) * 2008-04-15 2021-06-22 Angiotech Pharm Inc sutura para ser usada em um procedimento aplicado ao tecido
US8100941B2 (en) * 2008-06-17 2012-01-24 Ethicon, Inc. Collapsible barbed sutures having reduced drag and methods therefor
WO2010051506A1 (en) * 2008-10-31 2010-05-06 Alure Medical, Inc. Minimally invasive tissue support system and method with a superior tissue support and an inferior anchor
DE102009020897A1 (de) 2009-05-08 2010-11-11 Aesculap Ag Faden mit beschichteten Verankerungsstrukturen zur Verankerung in biologischen Geweben und ei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11094236A (ja) 2010-12-07 2011-05-12 Dowa Holdings Co Ltd 低温焼成用銅粉または導電ペースト用銅粉
WO2013016306A1 (en) 2011-07-22 2013-01-31 Ams Research Corporation Pelvic implant system and method
KR101155817B1 (ko) 2011-10-31 2012-06-12 김종우 조직거상용 이식물
CN107811665B (zh) * 2012-02-23 2020-09-04 高级缝合有限公司 改进的缝合线
KR20160086525A (ko) 2015-01-09 2016-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701434B1 (ko) 2015-11-18 2017-02-13 정영춘 신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
KR20170069636A (ko) 2015-12-11 2017-06-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레이더의 추종표적에 대한 분해능 향상 방법
KR101897793B1 (ko) 2016-07-08 2018-09-12 김근식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WO2018009031A1 (ko) 2016-07-08 2018-01-11 김정권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829B1 (ko) * 2002-09-30 2012-08-10 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외과용 바늘과 병용하는 미늘 봉합사
KR20090035692A (ko) * 2006-08-07 2009-04-10 실루엣 리프트 소시에타드 리미타다 상처봉합, 조직밀착, 조직지지, 부유 및/또는 고정을 위한 봉합사
US20080221618A1 (en) * 2007-03-09 2008-09-11 Gaoyuan Chen Co-extruded tissue grasping monofilament
KR101432497B1 (ko) * 2013-09-27 2014-08-25 유원석 고착형 미늘 봉합사
KR20160066831A (ko) * 2014-12-03 2016-06-13 김근식 메쉬형 리프팅 부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482716A4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4113B2 (en) 2016-07-08 2022-11-22 Dongbang Medical Co., Ltd. Suture for lif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273120A (zh) * 2018-02-10 2018-07-13 程光起 一种具有倒刺的可降解缝合线的制备方法
WO2019221560A1 (ko) * 2018-05-18 2019-11-21 (주)제이월드 의료용 봉합사 및 의료용 봉합사 키트
CN108836565A (zh) * 2018-07-11 2018-11-20 金海波 一种植入创面的提拉美容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293748A1 (en) 2019-02-21
MX2019000166A (es) 2019-06-20
PH12019500044A1 (en) 2019-10-14
EP3482716A4 (en) 2020-08-12
US11504113B2 (en) 2022-11-22
AU2017293748B2 (en) 2020-02-27
RU2721650C1 (ru) 2020-05-21
CO2019001045A2 (es) 2019-02-08
BR112018077459A2 (pt) 2019-04-02
CN109561954A (zh) 2019-04-02
JP6761057B2 (ja) 2020-09-23
JP2019521772A (ja) 2019-08-08
US20190231351A1 (en) 2019-08-01
CA3029530C (en) 2022-05-31
CA3029530A1 (en) 2018-01-11
EP3482716A1 (en) 2019-05-15
MY189124A (en)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09031A1 (ko)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WO2017078492A1 (ko) 봉합사 및 그 제조 방법
WO2010080014A2 (ko)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US20240145112A1 (en) Conductive Polymer Fibers,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onductive Polymer Fibers, Biological Electrode, Device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Implantable Electrode, And Device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s
WO2017131416A2 (ko) 신규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
WO2013065923A1 (ko) 조직거상용 이식물
WO2013168995A1 (ko) 주름 제거 임플란트
WO2015105269A1 (ko) 실 삽입기
WO2014088353A1 (ko) 의료용 실 삽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실 삽입 시술 키트
WO2011162511A2 (en) Tube-type medical needle unit and method of inserting plurality of medical sutures into tube-type medical needle
WO2019177405A1 (ko) 신규한 형태의 돌기를 포함하는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
WO2019139230A1 (ko) 의료용실 삽입기구
EP3154600A1 (en) Artificial biomembrane using coco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06745401U (zh) 一种手术缝合线
WO2017159904A1 (ko) 피부 리프팅용 생분해 실 및 그 삽입키트
WO2024090691A1 (ko) 코그가 형성된 리프팅실의 제조 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리프팅실
WO2020166744A1 (ko) 변형 구조 마이크로 니들 및 피부 드레싱용 패드를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
CN107854194B (zh) 用于肩袖修复的可吸收复合补片及制造方法
WO2020080712A1 (ko) 성 기능 개선을 위한 의료용 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928837B (zh) 用于肩袖修复的部分可吸收补片及制造方法
WO2019054565A1 (ko) 리테이너를 갖는 생분해성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217742A1 (ko)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ITTO980138A1 (it) Protesi vascolare rivestita e procedimento per la sua produzione.
RU2715096C1 (ru) Малоинвазивный одномоментный способ фиксации мягких тканей лица и шеи
WO2018190625A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245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6907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029530

Country of ref document: CA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18077459

Country of ref document: BR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245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208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293748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70707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8077459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18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