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217742A1 -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217742A1
WO2017217742A1 PCT/KR2017/006154 KR2017006154W WO2017217742A1 WO 2017217742 A1 WO2017217742 A1 WO 2017217742A1 KR 2017006154 W KR2017006154 W KR 2017006154W WO 2017217742 A1 WO2017217742 A1 WO 201721774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issue
inverted
suspension
suspension fixing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61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7509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7075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9144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38666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filed Critical 김종우
Publication of WO201721774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2177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 고장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당김이 요구되는 처진 피부측에 배치되고, 표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코어부재 및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1공극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위부와,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2공극부재와, 상기 원위부와 연결되어 상기 원위부를 처진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상기 제2공극부재 내에 배치되는 제2코어부재로 이루어지는 근위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를 상호 연결하고 피부 조직 내에 걸려 고정되도록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현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고정부는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된 제3공극부재와, 상기 제3공극부재 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제2코어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3코어부재로 이루어지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본 발명은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술이 간편하고 조직 내 현수 고정효과가 증대될 수 있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나이가 들거나, 신경 마비, 골격 수술 후 후유증 등으로 피부 조직이 처지게 되는 경우 조직 거상 수술 등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 있다. 고전적인 조직 거상 수술은 절개가 크고 수술 범위가 넓어 수술의 위험도가 증가되고, 수술 후 회복기간이 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술방법으로는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여 수술의 위험도를 줄이고, 수술 후 환자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최소 침습 조직 거상 수술이 있으며, 미국특허 2005/0203576, 미국특허 2005/0240224, 미국특허 2005/0267532, 한국특허10-1057377, 한국특허 10-1185583, 한국특허 10-1556843, 한국특허 10-1568997 등에서는 최소 침습 조직 거상 수술을 위한 여러 형태의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기존 최소 침습 조직 거상 수술은 현수 고정부가 실 부분 만으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공극 즉 조직 내성장을 유도하는 부재로 구성된 경우에도 매듭 등의 별도의 고정방법 또는 추가로 고정 장치 등을 이용하여 시술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코어(core) 부재와 다수의 공극(pore)을 갖는 메쉬 부재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성되지 않아 인장력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처진 반대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당겨주면서 고정부에 확실하게 현수 고정시켜 주는 장치로, 피부 조직이 아닌 요실금이나 탈장, 유방하수 등 요도, 내장, 유방실질 등의 장기 조직을 무긴장 상태(tension free) 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조직과의 유착을 최소화하면서 해먹(hammock) 형태로 조직을 받쳐 매달아 주는 경우와는 상반된 개념과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며, 조직과의 유착을 최대화하여 조직과의 고정력을 견고하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은 기존 최소 침습 수술에서 처진 피부 조직을 당겨 상부에 현수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장치 또는 고정과정 등으로 시술이 번거롭고, 치즈와이어링 현상, 인장력감소 등으로 고정력이 약화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현수 고정부가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는 다수의 공극(pore)을 갖는 부재 또는 코어(core) 부재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는, 처진 피부 조직을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겨 고정시켜 주는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 있어서,
당김이 요구되는 처진 피부측에 배치되고, 표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코어부재 및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1공극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위부와,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2공극부재와, 상기 원위부와 연결되어 상기 원위부를 처진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상기 제2공극부재 내에 배치되는 제2코어부재로 이루어지는 근위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를 상호 연결하고 피부 조직 내에 걸려 고정되도록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현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고정부는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된 제3공극부재와, 상기 제3공극부재 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제2코어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3코어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서,
상기 제1공극부재, 제2공극부재와 제3공극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다공성 메쉬일 수 있다.
상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서, 상기 제1코어부재, 제2코어부재 및 제3코어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실일 수 있다.
상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서,
상기 원위부 측에 마련된 제1코어부재의 걸림돌기는 가시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근위부를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서,
한 쌍의 원위부 각각에 마련된 걸림돌기는 인접하게 연결된 근위부를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서,
상기 제2공극부재는 근위부의 일단에서 근위부의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서,
상기 제2공극부재는 근위부의 일단에서 근위부의 타단까지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서
상기 제1공극부재 및 제2공극부재는 2차원 형상, 3차원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서,
상기 제3공극부재는 2차원 형상, 3차원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서,
상기 제1공극부재, 상기 제2공극부재 및 제3공극부재는 서로 일체화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서,
상기 조직 현수 고정장치는 압출성형, 사출성형, 직조, 편조, 후가공, 절단, 가열접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는 생체적합성 의료용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직 현수 고정장치는,
처진 피부 조직을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겨 고정시켜 주는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 있어서,
당김이 요구되는 처진 피부측에 배치되고, 표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코어부재 및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고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1공극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위부와,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2공극부재와, 상기 원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공극부재를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제2코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위부를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근위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한 쌍의 근위부를 상호 연결하고 피부 조직 내에 고정되도록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현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고정부는 다수의 공극이 마련된 제3공극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직 현수 고정장치는, 처진 피부 조직을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겨 고정시켜 주는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 있어서,
당김이 요구되는 처진 피부측에 배치되고, 표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코어부재 및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1공극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위부와,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원위부와 결합되고 상기 원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공극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위부를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근위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의 근위부를 상호 연결하고 피부 조직 내에 고정되며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현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고정부는 다수의 공극이 마련된 제3공극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서,
상기 현수고정부는 상기 다리부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서,
상기 현수고정부는 상기 다리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직 현수 고정장치는, 처진 피부 조직을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겨 고정시켜 주는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 있어서,
당김이 요구되는 처진 피부측에 배치되고, 표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코어부재 및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1공극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위부와,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2공극부재 및, 상기 제2공극부재 내에 배치되고 원위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코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위부를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근위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의 근위부를 상호 연결하고 피부 조직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현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고정부는 다수의 공극이 마련된 제3공극부재와, 한 쌍의 제2코어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3공극부재와 결합된 제3코어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공극(pore)을 갖는 공극부재와 코어부재가 결합된 현수 고정부가 한 쌍의 다리부를 역U형으로 연결하여 조직 내 고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현수 고정이 용이하면서도 현수 고정부의 조직 내성장, 치즈와이어링 현상 방지, 인장력 강화로 고정력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개를 하지 않고 흉터를 만들지 않는 작은 구멍들을 통하여 시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시술이 간단하고 시술 후 환자 불편을 최소화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VIII-VIII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이용한 시술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5 및 도 1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이용한 시술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처진 피부 조직을 처진 방향과 반대방향(예를 들어 처진 방향을 중력방향이라고 하였을 때 반대방향이란 중력반대방향을 의미한다.)으로 당겨 고정시켜 주는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조직 현수 고정장치(100)의 제1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부(110)와, 현수고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다리부(110)는 당김이 요구되는 처진 피부 측에 배치되는 원위부(120)와, 상기 원위부(120)와 연결되고 원위부(120)를 처진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근위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위부(120)는 당김이 요구되는 처진 피부측에 배치되고, 표면에 걸림돌기(1211)가 형성되어 있는 실 형상의 제1코어부재(121)와,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1공극부재(1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위부(120)는 근위부(130) 및 현수 고정부(140)의 다수의 공극을 갖는 부재에 조직 내성장이 충분히 진행되어 조직과의 유착이 견고해 질 때까지 주변 조직과의 초기 파주력(anchor-holding power)을 담당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원위부(120)를 구성하는 소재로는 인체에 무해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체에 흡수되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트산(poly-(l-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및 이들의 공중합체인 생체 흡수성 의료용 고분자 재료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hylene)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생체 적합성 의료용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는 바람직하다.
상기 제1코어부재(121)는 상기 제1공극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근위부를 향하도록 연장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대략 실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코어부재(121)은 그 표면에 걸림돌기(1211)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걸림돌기(1211)는 피부 내에 삽입시 처진 조직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가시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근위부(130)를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좋다. 이때 제1코어부재(121)는 각각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코어부재(121)에 배치된 걸림돌기(1211)는 인접하게 연결된 근위부(130)를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제1공극부재(122)는 다수의 공극을 갖는 부재로서 다공성 메쉬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공극부재(122)는 3차원 망형태로 이루어지며 튜브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공극부재(122)는 제1코어부재(121)와 일체화결합되어 있는데, 이를 위하여 압출성형, 사출성형, 직조, 편조, 후가공, 절단, 가열접착 등을 이용하여 가공될 수 있다. 제1공극부재(122)를 구성하는 소재로는 인체에 무해한 생체 적합성 소재라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 제1공극부재(122)의 공극은 피부 내에 삽입시 주변조직이 조직 내성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근위부(130)는 원위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원위부(120)를 처진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2코어부재(131)와 제2공극부재(132)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근위부(130)는 윈위부(120)에 유착된 조직을 현수 고정부(140)에 연결해 주는 부위로, 다수의 공극(pore)을 갖는 제2공극부재(132)에 조직 내성장이 진행되어 조직과의 유착을 견고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원위부(120)의 걸림부재(122)에 걸리는 부하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코어부재(131)는 상기 근위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근위부(130)를 처진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상기 제2공극부재(132)를 관통하는 것으로서 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코어부재(131)는 인체에 무해한 생체 적합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근위부(130)와 현수고정부(140)를 연결하면서 당김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제2코어부재(131)는 제2공극부재(132)의 양단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공극부재(13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체화되어 결합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2공극부재(132)는 다수의 공극을 갖는 부재로서 다공성 메쉬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공극부재(132)는 3차원 망형태로 이루어지며 튜브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공극부재(132)는 제2코어부재(131)와 일체화결합되어 있는데, 이를 위하여 압출성형, 사출성형, 직조, 편조, 후가공, 절단, 가열접착 등을 이용하여 가공될 수 있다. 제2공극부재(132)를 구성하는 소재로는 인체에 무해한 생체 적합성 소재라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 제2공극부재(132)의 공극은 피부 내에 삽입시 주변조직이 조직 내성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2공극부재(132)는 일방향으로 당겨져도 중심의 제2코어부재(131)에 의해 변형이 방지되도록 설계되며, 근위부(130)의 일단에서 근위부(130)의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2공극부재(132)는 주변 조직과의 유착을 최소화 하여야 하는 요실금, 탈장, 유방하수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부재들과는 상반되는 기능으로 조직과의 유착을 최대화 하여 조직과의 고정력을 견고하게 하는 기능을 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2공극부재(132)는 중심의 제2코어부재(131)를 보강하도록 설계되어 인장력을 증대시키고, 기존 제품들에 비해 월등히 표면적이 증가되어 조직과의 상처반응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활발한 콜라겐 합성이 유도되어 주름진 피부를 효과적으로 펴주는 동시에 생체내에서 분해되는 속도를 감속하여 유지기간이 증가되는 효과가 가능하다.
상기 현수 고정부(140)는 윈위부(120)와 근위부(130)에 유착된 조직을 현수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공극(pore)을 갖는 부재가 포함된 역U자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별도의 고정용 장치가 없이 시술이 간단하면서도 시술 후 조직 내성장, 치즈와어링 현상 방지, 일체형 고정부 등으로 인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조직의 현수 고정 효과를 증대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현수 고정부(140)를 역U자 형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자 형태로 펴진 형상에서 힘을 가하여 U자 형태로 구부리거나 열을 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U자 형태로 굽혀지게 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현수 고정부(140)는 상기 한 쌍의 다리부(110)를 상호 연결하고 피부 조직 내에 걸려 고정되도록 역 "U"자 형상을 이루고, 제3공극부재(142)와 제3코어부재(14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공극부재(142)는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된 것으로서 제2공극부재(132)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3공극부재(132)는 3차원 튜브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메쉬 형태를 가지고 있게 되며, 제3코어부재(141)와 일체화 되도록 하기 위해 압출성형, 사출성형, 직조, 편조, 후가공, 절단, 가열접착 등을 이용하여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제3코어부재(141)는 상기 제2코어부재(131)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3공극부재(142)를 관통하고 한 쌍의 제2코어부재(131)를 상호 연결시킨다. 이러한 제3코어부재(131)는 생체 적합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공극부재(132)와 결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3코어부재(141)는 한 쌍의 제2코어부재(131)를 연속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200)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부(220)가 제1코어부재(221)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즉, 별도의 제1공극부재가 없이 원위부에 제1코어부재만 마련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코어부재(221)에는 그 표면에 걸림돌기(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가 조직 내 걸리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초기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300)는 도 4 및 도 5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3실시예의 현수 고정장치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제2공극부재 및 제3공극부재의 모양과 형상이 다소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는 제2공극부재 및 제3공극부재가 모두 튜브와 같은 3차원 입체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코어부재(331)에 일체화된 제2공극부재(332)가 2차원 평면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2차원 형태라면 4각 평면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평면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2공극부재가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만을 가질 뿐 아니라 2차원 및 3차원 형상의 조합형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400)은 도 6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4실시예의 현수 고정장치는 제3실시예의 현수 고정장치에서 원위부에 제1공극부재가 없이 제1코어부재(421)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원위부에 마련된 제1코어부재(421)는 주변 조직과의 초기 파주력(anchor-holding power)을 담당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는 도 7 및 도 8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5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500)는 제2코어부재(531)에 가시형 걸림돌기(531-1)가 형성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코어부재(531)에도 가시형 걸림돌기(531-1)가 형성되어 있게 되는 경우에는 초기 파주력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600)는 도 9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6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는 제5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와 달리 원위부에 제1공극부재가 없이 제1코어부재(621)만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즉, 제6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는 원위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1코어부재(621)만이 마련되어 있게 되어 초기 파주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700)는 도 10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7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에서는 일부 표면에 걸림부재(731-1)가 형성된 제2코어부재(731)가 근위부(730)의 다수의 공극(pore)이 형성된 제2공극부재(732)를 한정적으로 관통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제2코어부재(731)가 제2공극부재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제2공극부재(732)의 일단부터 소정의 길이까지만 연장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800)는 도 11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8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는 제7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와 달리 원위부에 제1공극부재가 없이 제1코어부재만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즉, 제8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는 원위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1코어부재(821)만이 마련되어 있게 되어 초기 파주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900)는 도 12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제9실시예에 따른 현수 고정장치는, 제2공극부재(932)가 제3공극부재(942)와 일체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절되어 있게 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불연속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이용한 시술과정을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휜 바늘을 고정부의 a1 지점을 통하여 b2 지점으로 관통시킨다. 이후에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 장치(100)의 한쪽 다리부(110)의 원위부(120) 끝단(E2)을 휜 바늘에 걸고, 고정부의 a1 지점을 통하여 근막을 확실히 관통하도록 하면서 고정부의 b2 지점으로 출구시킨 후, 현수 고정부(140)가 a1 지점과 b1 지점 사이에 위치할 때까지 서서히 잡아 당긴다.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 장치(100)의 한쪽 다리부(110)의 원위부(120) 끝단(E1)과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 장치(100)의 다른 쪽 다리(110)의 원위부 끝단(E2)을 예상 피부 출구 지점인 a2 지점과 b2 지점을 향해 늘어뜨린 후 양측 길이가 동등하도록 한다.
이후 긴바늘과 같은 기구를 a1 지점에서 a2 지점으로 관통시킨 후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 장치(100)의 한쪽 다리(110)의 원위부(120) 끝단(E1)을 기구를 통하여 a2 지점에서 피부 밖으로 노출시킨 후 현수 고정부(140)가 a1 지점에 완전히 매몰될 때까지 잡아당긴다.
긴바늘과 같은 기구를 b1 지점에서 b2 지점으로 관통시킨 후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 장치(100)의 다른 쪽 다리(110)의 원위부(120) 끝단(E2)을 기구를 통하여 b2 지점에서 피부 밖으로 노출시킨 후 현수 고정부(140)가 b1 지점에 완전히 매몰될 때 까지 잡아당긴다.
a2, b2 지점에서 각각 피부 밖으로 빠져 나온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 장치(100)의 양쪽 다리부(110)의 원위부(120) 끝단들(E1, E2)을 잡고, 처진 조직을 처진 반대 방향 즉 현수 고정부(140)를 향하여 쓸어 올리면서 조직 거상 정도를 조절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조직 거상이 이루어지면 피부 밖으로 노출된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 장치(100)의 양쪽 다리부(110)의 원위부(120) 끝단들(E1, E2)을 적절히 제거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시술이 끝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 의하면, 현수 고정부에서 양측 다리부 즉 원위부와 근위부가 역U형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공극(pore)을 갖는 부재 또는 코어부재가 적절히 조합되어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현수 고정이 용이하면서도 현수 고정부의 조직 내성장, 치즈와이어링 현상 방지, 인장력 강화로 고정력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직 현수 고정장치는 절개를 하지 않고 흉터를 만들지 않는 작은 구멍들을 통하여 시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시술이 간단하고 시술 후 환자 불편을 최소화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직 현수 고정장치를 이용한 시술과정을 도 15 및 도 16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휜 바늘을 고정부의 a1 지점을 통하여 b2 지점으로 관통시킨다. 이후에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 장치(200)의 한쪽 다리부(210)의 원위부(220) 끝단(E2)을 휜 바늘에 걸고, 고정부의 a1 지점을 통하여 근막을 확실히 관통하도록 하면서 고정부의 b2 지점으로 출구시킨 후, 현수 고정부(240)가 a1 지점과 b1 지점 사이에 위치할 때까지 서서히 잡아 당긴다.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200)의 한쪽 다리부(210)의 원위부(220) 끝단(E1)과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200)의 다른 쪽 다리(210)의 원위부 끝단(E2)을 예상 피부 출구 지점인 a2 지점과 b2 지점을 향해 늘어뜨린 후 양측 길이가 동등하도록 한다.
이후 긴바늘과 같은 기구를 a1 지점에서 a2 지점으로 관통시킨 후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200)의 한쪽 다리(210)의 원위부(220) 끝단(E1)을 기구를 통하여 a2 지점에서 피부 밖으로 노출시킨 후 현수 고정부(240)가 a1 지점에 완전히 매몰될 때까지 잡아당긴다.
긴바늘과 같은 기구를 b1 지점에서 b2 지점으로 관통시킨 후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200)의 다른 쪽 다리(210)의 원위부(220) 끝단(E2)을 기구를 통하여 b2 지점에서 피부 밖으로 노출시킨 후 현수 고정부(240)가 b1 지점에 완전히 매몰될 때 까지 잡아당긴다.
a2, b2 지점에서 각각 피부 밖으로 빠져 나온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200)의 양쪽 다리부(210)의 원위부(220) 끝단들(E1, E2)을 잡고, 처진 조직을 처진 반대 방향 즉 현수 고정부(240)를 향하여 쓸어 올리면서 조직 거상 정도를 조절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조직 거상이 이루어지면 피부 밖으로 노출된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 장치(100)의 양쪽 다리부(110)의 원위부(120) 끝단들(E1, E2)을 적절히 제거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시술이 끝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현수고정부가 U자형으로 고정되는 것만으로 한정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일자형 현수고정부가 다양한 형태로 피부 조직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라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또한 일자형 현수고정부를 제공하여 시술현장에서 U자형으로 고정시키는 행위를 유발하는 기술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원위부에 제1공극부재와 제1코어부재가 함께 마련되어 있거나 제2실시예에서는 원위부에 제1코어부재만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위부에 제1공극부재만이 마련되어 있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7)

  1. 처진 피부 조직을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겨 고정시켜 주는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 있어서,
    당김이 요구되는 처진 피부측에 배치되고, 표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코어부재 및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1공극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위부와,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2공극부재와, 상기 원위부와 연결되어 상기 원위부를 처진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상기 제2공극부재 내에 배치되는 제2코어부재로 이루어지는 근위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를 상호 연결하고 피부 조직 내에 걸려 고정되도록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현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고정부는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된 제3공극부재와, 상기 제3공극부재 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제2코어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3코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재, 제2공극부재와 제3공극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다공성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부재, 제2코어부재 및 제3코어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부 측에 마련된 제1코어부재의 걸림돌기는 가시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근위부를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원위부 각각에 마련된 걸림돌기는 인접하게 연결된 근위부를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극부재는 근위부의 일단에서 근위부의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극부재는 근위부의 일단에서 근위부의 타단까지 불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극부재 및 제2공극부재는 2차원 형상, 3차원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극부재는 2차원 형상, 3차원 형상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제1공극부재, 상기 제2공극부재 및 제3공극부재는 서로 일체화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현수 고정 장치는 압출성형, 사출성형, 직조, 편조, 후가공, 절단, 가열접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현수 고정장치는 생체적합성 의료용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13. 처진 피부 조직을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겨 고정시켜 주는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 있어서,
    당김이 요구되는 처진 피부측에 배치되고, 표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코어부재 및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고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1공극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위부와,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2공극부재와, 상기 원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공극부재를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제2코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위부를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근위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한 쌍의 근위부를 상호 연결하고 피부 조직 내에 고정되도록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현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고정부는 다수의 공극이 마련된 제3공극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14. 처진 피부 조직을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겨 고정시켜 주는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 있어서,
    당김이 요구되는 처진 피부측에 배치되고, 표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코어부재 및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1공극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위부와,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원위부와 결합되고 상기 원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공극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위부를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근위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의 근위부를 상호 연결하고 피부 조직 내에 고정되며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현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고정부는 다수의 공극이 마련된 제3공극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15. 제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고정부는 상기 다리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16. 제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고정부는 상기 다리부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17. 처진 피부 조직을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겨 고정시켜 주는 조직 현수 고정장치에 있어서,
    당김이 요구되는 처진 피부측에 배치되고, 표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코어부재 및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1공극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위부와,
    조직 내성장이 유도되도록 다수의 공극이 마련되어 있는 제2공극부재 및, 상기 제2공극부재 내에 배치되고 원위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코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위부를 처진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근위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한 쌍의 다리부의 근위부를 상호 연결하고 피부 조직 내에 고정될 수 있는 현수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고정부는 다수의 공극이 마련된 제3공극부재와, 한 쌍의 제2코어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3공극부재와 결합된 제3코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현수 고정장치.
PCT/KR2017/006154 2016-06-16 2017-06-13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WO201721774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091 2016-06-16
KR1020160075091A KR101770758B1 (ko) 2016-06-16 2016-06-16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KR10-2016-0091444 2016-07-19
KR1020160091444A KR101738666B1 (ko) 2016-07-19 2016-07-19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7742A1 true WO2017217742A1 (ko) 2017-12-21

Family

ID=6066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6154 WO2017217742A1 (ko) 2016-06-16 2017-06-13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21774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83623A1 (en) * 2016-09-20 2019-06-20 Surgical Innovation Associat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or restraining a body part
WO2020176299A1 (en) * 2019-02-25 2020-09-03 Surgical Innovation Associat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or restraining a body par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337B1 (ko) * 2012-02-14 2012-09-20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의료용 메쉬 구조
WO2013065923A1 (ko) * 2011-10-31 2013-05-10 Kim Jong Woo 조직거상용 이식물
KR20140030648A (ko) * 2012-09-03 2014-03-12 구태훈 연조직 복원술용 메쉬, 이를 연조직에 삽입하기 위한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 기구 및,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기구를 포함하는 수술기구 세트
KR101534814B1 (ko) * 2015-03-05 2015-07-08 심길섭 주름제거 메쉬 어셈블리
KR20160066831A (ko) * 2014-12-03 2016-06-13 김근식 메쉬형 리프팅 부재
KR101738666B1 (ko) * 2016-07-19 2017-05-23 김종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5923A1 (ko) * 2011-10-31 2013-05-10 Kim Jong Woo 조직거상용 이식물
KR101182337B1 (ko) * 2012-02-14 2012-09-20 (주)프레스티지 메디케어 의료용 메쉬 구조
KR20140030648A (ko) * 2012-09-03 2014-03-12 구태훈 연조직 복원술용 메쉬, 이를 연조직에 삽입하기 위한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 기구 및, 공간 형성 기구와 메쉬 삽입기구를 포함하는 수술기구 세트
KR20160066831A (ko) * 2014-12-03 2016-06-13 김근식 메쉬형 리프팅 부재
KR101534814B1 (ko) * 2015-03-05 2015-07-08 심길섭 주름제거 메쉬 어셈블리
KR101738666B1 (ko) * 2016-07-19 2017-05-23 김종우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83623A1 (en) * 2016-09-20 2019-06-20 Surgical Innovation Associat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or restraining a body part
WO2020176299A1 (en) * 2019-02-25 2020-09-03 Surgical Innovation Associat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or restraining a body p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65923A1 (ko) 조직거상용 이식물
RU2535616C2 (ru) Шовные нити с зазубринами и стопорами для тампонов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WO2010080014A2 (ko) 주름제거용 수술사가 장착된 성형용 주사바늘
JP6419818B2 (ja) 靭帯結合固着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WO2014088353A1 (ko) 의료용 실 삽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실 삽입 시술 키트
JP3693719B2 (ja) 拡張式縫糸アンカー
US4483023A (en) High-strength ligament prosthesis
WO2017217742A1 (ko) 역u자형 조직 현수 고정장치 및 조직 현수 고정장치
JP2001502936A (ja) 人工靭帯取付器の組立方法
WO2019139230A1 (ko) 의료용실 삽입기구
JP2008517674A (ja) 形状記憶合金から作製されるフィラメントを含むヤーン
JP2002535077A (ja) 軟組織アンカー
US11812945B2 (en) One-way adjustable loop suture constructs and methods of forming and using the same
WO2016167571A1 (ko)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리프팅용 실
WO2018009031A1 (ko) 리프팅용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BRPI0713772A2 (pt) estrutura multilocular de pelÍcula fina, membro para regeneraÇço de tecido contendo a mesma, e mÉtodo para produzir a mesma
WO2017087812A9 (en) Hybrid suture anchor
WO2019177405A1 (ko) 신규한 형태의 돌기를 포함하는 안면 및 신체 리프팅용 봉합사
WO2019231114A1 (ko)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 앵커 제조방법 및 제조된 봉합 앵커
WO2013035969A1 (ko) 고강도 연조직 고정 도구
JPH04501966A (ja) 改良された子宮内装置
WO2017188506A1 (ko)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WO2017159904A1 (ko) 피부 리프팅용 생분해 실 및 그 삽입키트
JP2012135601A (ja) 創離開防止用補助具
WO2016144065A1 (ko) 요실금 시술용 슬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135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9.05.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135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