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71343A1 - 유도가열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도가열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71343A1
WO2017171343A1 PCT/KR2017/003301 KR2017003301W WO2017171343A1 WO 2017171343 A1 WO2017171343 A1 WO 2017171343A1 KR 2017003301 W KR2017003301 W KR 2017003301W WO 2017171343 A1 WO2017171343 A1 WO 20171713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light
cooking appliance
lightin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33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윤정
김자연
오주현
서우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71713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713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9/00Stoves or ranges heated by a single type of energy supply not covered by groups F24C3/00 - F24C7/00 or subclass F24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Definitions

  • the embodiment relates to an induction heat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ion heater that can be easily mounted on a table or the like and has a beautiful appearance.
  • a table used as a dining table or table in a restaurant or home has conventionally been used to support an object.
  • the induction heater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mounting pad which is mounted on a table.
  • Induction he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user's control by allowing the user to intuitively and visually recognize the user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weight of the early stage.
  • the induction heater generates a magnetic field to induce an eddy current in the cooking appliance to the cooking coil to heat the cooking appliance, a power supply for providing an induction voltage to operate the working coil,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light on the basis of the temperature sensor to measure, the first light outputs visually recognizable light, the second light outputs visually recognizable light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provided by the temperatur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the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and intuitively recognize the degree of heating of the cooker by matching the color or illuminance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ker matches the preset temperature. .
  • the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state change of the early device through the state change of the first light.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nduction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
  • FIG.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induction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induction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induction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induction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induction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 “ beneath “, “ lower”, “ above “, “ upper” It may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of components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erms in different directions of the component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Can be.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encompass both an orientation of above and below. The components can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as well,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nduction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 line AA of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ure 1
  • Figure 3 is an induction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 control block diagram.
  • the induction heat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magnetic field to induce an eddy current in a cooking appliance, such that the cooking coil 70 and the working coil are heated.
  • 70 the power supply unit 80 to provide an induced voltage to operate
  • the temperature sensor 21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first light 40 for outputting visually recognizable light
  • visually recognizable light
  • a control unit 93 for controlling the first lighting 40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provided by the second lighting 50 and the temperature sensor 21.
  • the induction heater 1 heats the cooking appliance by inducing an eddy current to the cooking appliance.
  • Induction heating is a method of heating a metal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 Induction heater (1) may be operated as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by the interlocking action with 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 the working coil 70 heats the cooking appliance.
  • the working coil 70 generates a magnetic field through the induced voltag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80, and induces an eddy current to the cooking appliance to heat the cooking appliance. Therefore, compared to the method of directly heating the cooking apparatus using conventional fossil fuel, there is less burn risk, and there is no problem of carbon gas and fine dust emission.
  • the working coil 70 may be shielded by a protection member (not shown).
  • the protection member covers both sides or the entirety of the working coil 70 to protect the working coil 70 from external shocks and the like.
  • the power supply unit 80 provides an induced voltage so that the power supply unit 80 can operate in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 the power supply unit 80 may be a known inverter for changing an external power source into an induced voltage.
  • the power supply unit 80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that generates power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with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located outside. Therefore, the power supply unit 80 is wireless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not shown)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m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 pairs.
  • a wireless charging system can be one of the following two types.
  • electromagnetic induction a phenomenon in which a voltage is induced when a current is changed when a magnetic field is changed around a conductor in which electricity flows is called electromagnetic induction.
  • the principle is to charge the power.
  • the magnetic resonance type method uses a strong magnetic coupling phenomenon formed between magnetic resonators having the same resonant frequency, and uses two resonance coils with a large amplitude at a specific frequency to connect two coils to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130b. One is to connect the electronics to the same frequency to generate current.
  •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has a high charging efficiency of 90% compared to the wired method, and th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130b and 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have a disadvantage of being located within 1 to 2 cm.
  •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long distance charging is possible but has a low charging efficiency of 70% compared to the wired method.
  •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without regard to any kind of wireless charging principle, but preferably adopts a magnetic resonance method.
  • the case 1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80, a working coil 70, a first light 40, a second light 50, a third light 60 to be described later, a display unit 90, a control unit 93,
  • the sensor unit 20 is accommodated and the appearance of the induction heater 1 is formed.
  • the case 10 may have various shapes.
  • the case 10 may have a shape connecting two large circles and a small circle as viewed from the top.
  • the working coil 70 may be disposed in a large circle, and the control unit 93 and the display unit 90 may be disposed in a small circle.
  • the case 10 may be selected of a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and rigidity without disturb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cooking appliance.
  • the case 10 includes a transparent or / and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26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transmitted.
  • the case 10 is heat resistant, impermeable and nonmagnetic.
  • the case 10 includes any one of wood and resin material.
  • the material of the case 10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ase 10 may b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areas to prevent leakage of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s.
  • the case 10 includes a first case 11, a second case 12, and a third case 13.
  • the first case 11 has a space therein, and at least the working coil 70, the first lighting 40, and the sensor unit 20 are disposed.
  • the first case 11 defines a space accommodating the working coil 70 and the first lighting 40 therein.
  • the sensor unit 20 collectively refers to the temperature sensor 21, the sensor 22 and the pressure sensor 23.
  • the sensor unit 20 may be disposed to vertically overlap the working coil 70.
  • the cooking appliance is mounted on the first case 11.
  • the second case 12 has a space therein, and at least the second illumination 50 and the display unit 90 are disposed.
  • the second case 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ase 11.
  • the display unit 90 displays information of the visually recognizable induction heater 1 and is disposed in the second case 12.
  • the third case 13 defines a space in which at least the third light 60 is disposed.
  • the third case 1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ase 11 and the second case 12 to connect the first case 11 and the second case 12.
  • the first to third cases 11, 12 and 13 may be formed integrally or separately.
  • the illumination outputs visually recognizable light. Lighting produces a visually recognizable image.
  • the lighting is partially turned on, turned on / off, or illuminance and color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93.
  • the lighting may be arranged in singular or plural.
  • the lighting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 LEDs are classified into horizontal type and vertical type according to electrode arrangement and chip structure, and are manufactured as surface mount devices (SMD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s) for slimming. It is becoming.
  • SMDs surface mount devices
  • PCBs printed circuit boards
  • the plurality of LEDs may all emit white light to provide white illumination, and a combination of red, green, and blue LEDs may provide a specific color of illumination or white illumination.
  • Conventional analog lighting has a limitation in precisely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but the LED can precisely control the illumination of the L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and the width of the driving pulse.
  • LEDs of R, G, and B colors are installed in combin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lighting of a specific color in a specific space and to facilitate adjustment of color temperature.
  • the LED when the LED is adjusted to 8 bits of driving current, the LED may be adjusted to 256 gray levels.
  • adjustment of the color temperature for the LEDs of R, G, and B colors can also be made selectively. Such a gray level adjustment and color temperature adjustment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not only for individual LEDs but also for a certain number of LED units and all LEDs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 the LED can provide a high quality lighting in the space applied as light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ighting provided.
  • the lighting includes the first lighting 40 disposed in the first case 11, the second lighting 50 disposed in the second case 12, and the third lighting 60 disposed in the third case 13. ).
  • the first lighting 40 is disposed in the first case 11.
  • the first lighting 40 is controlled on / off, partial on / off, illuminance and col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93.
  • the first lighting 40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located on the first case 11.
  • the first lighting 40 is disposed at least in part at an arbitrary boundary formed to surround the working coil 70. That is, the first lighting 40 indicates an area in which the working coil 70 is operated. In detail, the first lighting 40 may output ligh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11 to display an operating area of the working coil 70.
  • the first light 40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41 and a first diffuser 42 that diffuses and emits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41.
  • the above-described light emitting diode may be used for the first light source 41.
  • the first light source 41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case 11.
  • the first light source 41 is arranged at a constant pitch at any boundary surrounding the working coil 70 when viewed from the top.
  • the first diffuser 4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se 11 to diffuse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light source 4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mit the light upward. Specifically, the first diffuser 42 is disposed at the boundary surrounding the working coil 70 when viewed from the top. That is, the first diffuser 42 is formed in a ring shape.
  • the first diffuser 42 may be formed of one member o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mbers.
  • the first diffuser 42 uniforms the luminance of the incident light and converts the incident point light into surface light and emits the light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11.
  • the first diffuser 42 may have a transparent material in which light is propagated therein and a hollow metal tube.
  • the first diffuser 42 may be made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or transparent acrylic resin (resin) in a flat or wedge type, and may be formed of a glass material.
  • the lens may include a plast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cond lighting 50 is disposed in the second case 12.
  • the second lighting 50 is controlled on / off, partial on / off, illuminance and col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93.
  • the second lighting 50 visually recognizes the target value to which the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will change.
  • the second lighting 50 is disposed at least partially on an arbitrary boundary formed to surround the display unit 90. In detail, the second lighting 50 outputs ligh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12.
  • the second lighting 50 includes a second light source 51 and a second diffuser 52 that diffuses and emits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51.
  • the second light source 51 the above-described light emitting diode may be used.
  • the second light source 51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case 12.
  • the second light source 51 is arranged at a constant pitch at any boundary surrounding the display unit 90 when viewed from the top.
  • the second diffuser 5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12 to diffuse the light incident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mit the light upward.
  • the second diffuser 52 is disposed at a boundary surrounding the display unit 90 when viewed from above. That is, the second diffuser 52 is formed in a ring shape.
  • the second diffuser 52 may be formed of one member o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mbers.
  • the second diffuser 52 equalizes the luminance of incident light and converts the incident point light into surface light and emits the light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12.
  • the second diffuser 52 may have a transparent material in which light propagates therein and a hollow metal tube.
  • the second diffuser 52 may be made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or transparent acrylic resin (resin) in a flat or wedge type, and may be formed of a glass material.
  • the lens may include a plast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hird light 60 outputs visually recognizable light.
  • the third lighting 6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ghting 40 and the second lighting 50.
  • the light output from the third light 60 is arranged to connect or adjoin the light output from the first light 40 and the second light 50.
  • the third lighting 60 is disposed in the third case 13. In the third lighting 60, on / off, partial on / off, illuminance, and color are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93. The third lighting 60 visually recognizes the state in which the chang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completed.
  • the third lighting 60 is arranged in an arbitrary lin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lighting 40 and the second lighting 50. In detail, the third lighting 60 outputs ligh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case 13.
  • the third light 60 includes a third light source 61 and a third diffuser 62 that diffuses and emits light incident from the third light source 61.
  • the above-described light emitting diode may be used for the third light source 61.
  • the third light source 61 is disposed inside the third case 13.
  • the third diffuser 6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case 13 to diffuse the light incident from the third light source 6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mit the light upward.
  • the third diffuser 62 is disposed in a line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 the third diffuser 62 may be formed of one member o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mbers.
  • the third diffuser 62 makes the incident light uniform with the brightness of the incident light, and converts the incident point light into surface light and emits the light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case 13.
  • the third diffuser 62 may have a transparent material in which light propagates into the inside, and a metal tube shape inside the third diffuser 62.
  • the third diffuser 62 may be made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or transparent acrylic resin (resin) in a flat or wedge type, and may be formed of a glass material.
  • the lens may include a plast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nsor unit 2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sensor 21, the sensor 22, and the pressure sensor 23.
  • the sensor unit 20 may be a temperature sensor 21, the sensor 22 and the pressure sensor 23 is formed in one module.
  • the sensor unit 2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on which the cooking appliance is mounted so that the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easily understood.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20 is disposed to vertically overlap with the working coil 7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12.
  • the temperature sensor 21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provide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unit 93.
  • the sensor 22 detects whether the cooking appliance is located on the case 10 and provides the detection value to the controller 93.
  • the detection sensor 22 includes an illumination sensor or a proximity sensor.
  • the illuminance sensor detects information on the brightnes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11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93.
  • the controller 93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ooking appliance on the first case 11 based on the illuminance value input from the illuminance sensor.
  •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the cooking apparatus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11 and provides the proximity to the control unit 93.
  •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using a mechanical contact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 the control unit 93 determines whether a cooking appliance exists on the first case 11 as an input value input from the proximity sensor.
  • the pressure sensor 23 measur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11, and outputs the pressure value to the controller 93.
  • the controller 93 determines whether a cooking appliance is present on the first case 11 based on the pressure value input from the pressure sensor 23.
  • the display unit 90 displays the information of the visually recognizable induction heater 1.
  • the display unit 90 is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text or an image.
  • the display unit 90 receives a suggestion signal from the controller 93 and outputs text or an image corresponding to temperature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and cooking appliance information.
  • the command input unit 91 receives a user's command, changes the user's command into a command signal, and outputs the command signal to the control unit 93.
  • the control unit 93 controls the induction heater 1 based on the command signal.
  • the command input unit 91 includes a button, a touch sensor, a dial, and the like, which are physical input means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 the command input unit 91 may include a touch panel overlapped with the display unit 90 in a layer structure, and operate as a touch screen to allow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 the control unit 93 controls the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1).
  • the control unit 93 controls the first lighting 40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provid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1.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93 controls the first lighting 40 in comparison with the second lighting 50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provid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1.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illuminance values of the first light 40 and the second light 50 to be the same.
  • the set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value already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r may be a value set by the user through the command input unit 91.
  • the controller 93 matches the illuminanc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s 40 and 50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and intuitively recognize the heating degre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same illuminance values of the first light 40 and the second light 50 are not the same in the complete mathematical meaning, but the same in the engineering meaning in the range including the error.
  • the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n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illuminance values of the first illumination 40 and the second illumination 50.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color or illuminance of the second lighting 50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value input from the command input unit 91.
  • the controller 93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second illumination 50 in proportion to the set temperature input by the command input unit 91. That is,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second illumination 50 to have a high illuminance value as the set temperature input by the command input unit 91 is higher.
  • the controller 93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color of the second light 50 in proportion to the set temperature input from the command input unit 91. That is,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color of the second light 50 to have a color coordinate value close to red as the set temperature input from the command input unit 91 is higher.
  • the controller 93 may adjust the il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of the first light 40 and the second light 50 (50). Control to have roughness value between).
  • the control unit 93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has a value betwee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initial temperature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1,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set to the set temperature and the initial temperatu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between the first illumination 40,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so that the illumination value between the illumin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of the first illumination 40 and the illumination value of the second illumination (50) do.
  • the initial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first lighting 40 to have an il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 the il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may be lower than the il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t temperature.
  • the controller 93 may adjust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first lighting 40 in propor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cooking temperature. Control to have a difference from the illuminance value of (50). That is, the control unit 93 gradually changes the illuminance of the first light 40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light 50 as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approaches the set temperature.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color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s 40 and 50 to be the same.
  • the controller 93 may match the color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s 40 and 50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ker and the preset temperature match, so that the user may visually and intuitively recognize the heating degree of the cooker.
  • the colors of the first lighting 40 and the second lighting 50 are the same, which means that the color coordinate values of the first lighting 40 and the second lighting 50 coincid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the same color of the second light 50 and the second light 50 is not the same as the complete mathematical meaning, but the same meaning of the engineering meaning in the range including the error.
  • the controller 93 may display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of the first light 40 and the second light 50. Control to have a mixed color of the color of).
  • the mixing of colors means a color in which light is mixed.
  • the control unit 93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has a value betwee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initial temperature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1,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set to the set temperature and the initial temperatu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between the first light 40,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have a color value between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of the first light 40 and the color of the second light (50).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first lighting 40 to have a color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 the controller 93 may adjust the color value of the first lighting 40 in propor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cooking temperature. Control to have a difference from the color value of). That is, the control unit 93 gradually changes the color of the first light 40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light 50 as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approaches the set temperature.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illuminance of the first light 40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controller 93 increases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first light 40 as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cooking appliance increases.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color of the first light 40 to chang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control unit 93 converts the color of the first light 40 closer to red as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cooking appliance increases.
  • the control unit 93 changes the state of the first lighting 4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detection sensor 22.
  • the controller 93 determines whether an early device is present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detection sensor 22, and when the cooker is present, turns on the first lighting 40 or the first lighting 40. The illuminance or color of the light is changed, or the on area of the first light 40 is changed.
  • the control unit 93 changes the state of the first lighting 40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eight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controller 93 determines the weight change of the premature appliance based on the pressure signal input from the pressure sensor 23, and when the weight of the cooking appliance is changed, turns on the first light 40 or the first light. The illuminance or color of the 40 is changed, or the on area of the first light 40 is changed.
  • control unit 93 controls the third lighting 60 to be turned 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matches the preset temperature.
  • the controller 93 may control the illuminance value or the color value of the third light 60 in the on state to be the same as the second light 50.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induction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induction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 method of the induction heater 1 includes detecting a cooking appliance (S10), turning on the first lighting 40 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detected (S11), and a set temperature.
  • the control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is as follows.
  • the detection sensor 22 In the detecting of the cooking appliance (S10), the detection sensor 22 detects the presenc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provide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93.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first lighting 40 to be turned off, or controls the first lighting 40 to be partially turned on.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first lighting 40 to be turned on (S11). At this time, the controller 93 selects an illuminance value of the first illumination 40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il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is a preset value.
  • the control unit 93 turns on the second illumination 50 so as to have an illuminance value proportional to the set temperature.
  • the set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value already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r may be a value set by the user through the command input unit 91.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illuminance of the second illumination 50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value input from the command input unit 91 (S12) (S13). Specifically,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second illumination 50 to have a high illuminance value as the set temperature input from the command input unit 91 is higher.
  • the temperature sensor 21 In the detecting of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S14), the temperature sensor 21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provides the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93.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first lighting 4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cooker.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first illumination 40 to have an illuminance value closer to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second illumination 50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decreases.
  • the controller 93 makes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first light 40 closer to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second light 50.
  •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first illumination 40 is controlled to be the same as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second illumination 50.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il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of the first light 40 and the first illumination 40. Control to have an illuminance value between the illuminance values of the two lights 50 (S15) (S16).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illuminance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s 40 and 50 to be the same (S17) (S18).
  • the coincid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set temperature does not correspond to a mathematical meaning, but means to coincid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third lighting 60 to be turned on (S19). At this time, the controller 93 may control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third light 60 in the on st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light 50.
  • the controller 93 may change the state of the first illumination 40 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not detected and the temperature on the first case 11 exceeds the reference temperature.
  • the controller 93 changes at least one of illuminance, color, and active area of the first light 40.
  • the temperature on the first case 11 is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1.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induction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induction h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 method of the induction heater 1 includes detecting a cooking appliance (S20), turning on the first lighting 40 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detected (S21), and setting temperature.
  • the control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is as follows.
  • the sensing sensor 22 detects the presence of the cooking apparatus and provide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93.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first lighting 40 to be turned off or controls the first lighting 40 to be partially turned on.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first lighting 40 to be turned on. At this time, the controller 93 selects a color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as the color value of the first lighting 40.
  • the color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is a preset value.
  • the controller 93 turns on the second light 50 to have a color value proportional to the set temperature.
  • the set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value already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r may be a value set by the user through the command input unit 91.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color of the second light 50 according to the set temperature value input from the command input unit 91.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93 controls the second lighting 50 to have a color close to red as the set temperature input from the command input unit 91 is higher (S22) (S23).
  • the temperature sensor 21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provides the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93 (S24).
  • the control unit 93 controls the first lighting 40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cooker (S25) (S26) (S27) (S28).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first light 40 to have a color value closer to the color value of the second light 50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decreases.
  • the control unit 93 makes the color value of the first light 40 closer to the color value of the second light 50.
  • the color value of the first light 40 is controlled to be the same as the color value of the second light 50.
  • the control unit 93 controls the color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temperature of the first light 40 and the first light 40. Control to have a color value between the color value of the two lights (50) (S25).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color value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s 40 and 50 to be the same (S28).
  • the coincid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set temperature does not correspond to a mathematical meaning, but means to coincid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the controller 93 controls the third lighting 60 to be turned on (S29).
  • the controller 93 may control the color value of the third light 60 in the on state to be the same as the second light 50.
  • the controller 93 may change the state of the first illumination 40 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not detected and the temperature on the first case 11 exceeds the reference temperature. If the cooking appliance is not detected and the temperature on the first case 11 exceeds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controller 93 changes at least one of the color, illuminance, and active area of the first light 40. The temperature on the first case 11 is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1.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는 자장을 생성하여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서 상기 조리기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워킹코일, 상기 워킹코일이 동작할 수 있도록 유도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광을 출력하는 제1조명,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광을 출력하는 제2조명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제공된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제1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도가열기 및 그 제어방법
실시예는 유도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 등에 쉽게 거치 가능하고, 미관이 아름다운 유도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스토랑이나 가정에서, 식탁 또는 탁자로 사용되는 테이블은 종래에는 물건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근래에 들어 탄소가스가 발생되지 않고 친환경적인 유도가열방식으로 가열하는 유도가열기기가 각광 받고 있다.
이러한 유도가열기는 테이블 위에 거치되어 사용되는 거치 식 패드 형태로 제작된다.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는 조기기의 온도, 무게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직관적, 시가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식시켜서, 사용자의 제어가 용이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는 자장을 생성하여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서 상기 조리기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워킹코일, 상기 워킹코일이 동작할 수 있도록 유도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광을 출력하는 제1조명,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광을 출력하는 제2조명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제공된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제1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존재한다.
실시예는 조리기기의 온도와 기설정된 온도가 일치되는 경우 제1조명 및 제2조명의 색상 또는 조도를 일치시켜서 사용자가 시각적, 직관적으로 조리기기의 가열 정도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조기기기의 상태변화를 제1조명의 상태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도가열기기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제어에 따른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제어에 따른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도가열기기의 A-A 선을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1 내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1)는 자장을 생성하여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서 조리기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워킹코일(70), 워킹코일(70)이 동작할 수 있도록 유도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80), 조리기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1),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광을 출력하는 제1조명(40),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광을 출력하는 제2조명(50) 및 온도센서(21)에서 제공된 조리기기의 온도를 바탕으로 제1조명(40)을 제어하는 제어부(93)를 포함한다.
유도가열기(1)는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 조리기기를 가열한다. 유도가열은 전자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금속을 가열하는 방법이다. 유도가열기(1)는 전자기기에 형성된 무선충전 수신기와의 연동 작용에 의하여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충전 송신기로 작동될 수도 있다.
워킹코일(70)은 조리기기를 가열한다. 워킹코일(70)은 전원부(80)에서 공급된 유도 전압을 통해 자장을 생성하고,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서 조리기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화석연료 등을 이용해 조리기기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에 비해 화상 위험이 적고, 탄소가스 및 미세먼지 배출의 문제가 없다.
워킹코일(70)은 보호부재(미도시)에 의해 차폐될수 있다. 보호부재는 워킹코일(70)의 양측 또는 전체를 덮어서 워킹코일(70)을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전원부(8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서 동작할 수 있도록 유도 전압을 제공한다. 전원부(80)는 외부전원을 유도전압으로 변경하는 공지의 인버터일 수 있다. 전원부(80)는 외부에 위치된 무선충전 송신기와의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원을 생성하는 무선 충전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부(80)는 외부의 전원과 무선으로 연결된다.
무선충전 송신기(미도시)와 무선충전 수신기가 한 쌍으로 무선충전 시스템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무선충전 시스템은 크게 다음 2가지 종류 중 하나를 택할 수 있다.
즉, 무선충전 시스템의 종류로는, 전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명형 방식이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전기가 흐르는 도체의 주변에서 자기장을 변화시킬 때 전압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전자기 유도라고 칭하는데,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전자기기의 동력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원인 전원을 충전하는 원리이다.
자기 공명형 방식은,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자기 공진기 사이에 형성된 강한 자계결합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서, 특정주파수에서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공명 현상을 이용해 두 개의 코일을 하나는 무선충전 송신기(130b) 측에 하나는 전자기기 측에 연결해 같은 주파수로 맞추어 전류를 생성하는 원리이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유선방식 대비 90%의 높은 충전 효율을 갖는 한편 무선충전 송신기(130b)와 무선충전 수신기가 1 내지 2cm 이내로 근접하게 위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자기 공명형 방식은, 원거리 충전이 가능하지만 유선방식 대비 70%의 낮은 충전 효율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은 무선충전 원리의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전부 적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자기 공명형 방식을 채택함이 좋다.
케이스(10)는 전원부(80), 워킹코일(70), 제1조명(40), 제2조명(50), 후술하는 제3조명(60), 표시유닛(90), 제어부(93), 센서유닛(20)을 수용하고, 유도가열기(1)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0)는 다양한 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상부에서 보아 2개의 큰 원형과 작은 원형을 연결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큰 원형에 워킹코일(70)이 배치되고, 작은 원형에 제어부(93) 및 표시유닛(90)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전자기기 또는 조리기기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를 방해하지 않고, 내열성과, 강성을 가지는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케이스(10)는 후술하는 광원(260)에서 생성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및 반투명 재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10)는 내열성과, 불투과성 및 비자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케이스(10)는 우드 및 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다만, 케이스(1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10) 복수의 조명들에서 방출되는 빛을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는 제1케이스(11), 제2케이스(12) 및 제3케이스(13)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11)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적어도 워킹코일(70)과, 제1조명(40)과, 센서유닛(20)이 배치된다. 제1케이스(11)는 내부에 워킹코일(70)과 제1조명(40)을 수용하는 공간을 정의한다. 여기서, 센서유닛(20)은 온도센서(21), 감지센서(22) 및 가압센서(23)를 통칭한다. 센서유닛(20)은 워킹코일(70)과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케이스(11) 상에는 조리기기가 거치된다.
제2케이스(12)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적어도 제2조명(50)과, 표시유닛(90)이 배치된다. 제2케이스(12)는 제1케이스(1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표시유닛(90)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유도가열기(1)의 정보를 표시하고, 제2케이스(12)에 배치된다.
제3케이스(13)는 적어도 제3조명(6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제3케이스(13)는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 사이에 배치되어서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를 연결한다. 물론, 제1 내지 제3케이스(11,12,13)는 일체 또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광을 출력한다. 조명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이미지를 출력한다. 조명은 제어부(93)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부만 온 되거나, 온/오프(on/off)되거나, 조도 및 색상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조명은 단수로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조명은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가 적용될 수 있다.
LED는 전극 배치 및 칩 구조에 따라 수평형(lateral type)과 수직형(vertical type)로 분류되며, 슬림화를 위해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되는 표면실장 소자(SMD: Surface Mount Device)로 제조되고 있다.
여기서, 다수의 LED가 모두 백색광을 발광하여 백색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LED들을 조합하여 특정 색상의 조명 또는 백색의 조명을 제공할 있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조명은 조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나, LED는 인가되는 전류 양과 구동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LED의 조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 G, B 색상의 LED들이 조합되어 설치된 경우, 특정 공간에 특정 색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색 온도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LED를 구동 전류를 8비트로 조절하면, LED를 256 계조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 G, B 색상의 LED들에 대한 색 온도의 조절도 선택적으로 이루질 수 있다. 이러한, 계조의 조절 및 색 온도 조절은 개별 LED 뿐만 아니라, 일정 개수의 LED들 단위 및 특정 공간에 설치된 전체 LED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이루질 수 있다.
이를 통해, LED가 조명으로 적용된 공간에 높은 품질을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조명 제공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조명은 제1케이스(11)에 배치되는 제1조명(40)과, 제2케이스(12)에 배치되는 제2조명(50)과, 제3케이스(13)에 배치되는 제3조명(60)을 포함한다.
제1조명(40)은 제1케이스(11)에 배치된다. 제1조명(40)은 제어부(93)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부분적 온/오프, 조도 및 색상이 제어된다. 제1조명(40)은 제1케이스(11) 상에 위치되는 조리기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한다.
제1조명(40)은 워킹코일(70)을 감싸게 형성되는 임의의 경계에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즉, 제1조명(40)은 워킹코일(70)을 작동되는 영역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조명(40)은 제1케이스(11) 상부로 광을 출력하여서, 워킹코일(70)의 작동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조명(40)은 제1광원(41)과, 제1광원(41)에서 입사된 광을 확산 및 방출하는 제1디퓨져(42)를 포함한다. 제1광원(41)은 상술한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제1광원(41)은 제1케이스(11)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광원(41)은 상부에서 보아 워킹코일(70)을 감싸는 임의의 경계에서 일정한 피치로 배열된다.
제1디퓨져(42)는 제1케이스(11)의 상부면에 배치되어서, 제1광원(41)에서 입사된 빛을 수평방향으로 확산하고, 상부로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제1디퓨져(42)는 상부에서 보아 워킹코일(70)을 감싸는 경계에 배치된다. 즉, 제1디퓨져(42)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디퓨져(42)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디퓨져(42)는 입사된 광의 휘도와 균일하게 하고, 입사된 점광을 면광으로 변환하여 제1케이스(11)의 상부로 출사한다. 예를 들면, 제1디퓨져(42)는 내부로 광이 전파되는 투명재질, 내부가 빈 금속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디퓨져(42)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이나 투명 아크릴수지(resin)를 평면형태(flat type)나 쐐기형태(wedge type)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조명(50)은 제2케이스(12)에 배치된다. 제2조명(50)은 제어부(93)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부분적 온/오프, 조도 및 색상이 제어된다. 제2조명(50)은 조리기기의 상태가 변할 목표치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시킨다.
제2조명(50)은 표시유닛(90)을 감싸게 형성되는 임의의 경계에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조명(50)은 제2케이스(12) 상부로 광을 출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조명(50)은 제2광원(51)과, 제2광원(51)에서 입사된 광을 확산 및 방출하는 제2디퓨져(52)를 포함한다. 제2광원(51)은 상술한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제2광원(51)은 제2케이스(12)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2광원(51)은 상부에서 보아 표시유닛(90)을 감싸는 임의의 경계에서 일정한 피치로 배열된다.
제2디퓨져(52)는 제2케이스(12)의 상부면에 배치되어서, 제2광원(51)에서 입사된 빛을 수평방향으로 확산하고, 상부로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제2디퓨져(52)는 상부에서 보아 표시유닛(90)을 감싸는 경계에 배치된다. 즉, 제2디퓨져(52)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디퓨져(52)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디퓨져(52)는 입사된 광의 휘도와 균일하게 하고, 입사된 점광을 면광으로 변환하여 제2케이스(12)의 상부로 출사한다. 예를 들면, 제2디퓨져(52)는 내부로 광이 전파되는 투명재질, 내부가 빈 금속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디퓨져(52)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이나 투명 아크릴수지(resin)를 평면형태(flat type)나 쐐기형태(wedge type)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조명(60)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광을 출력한다. 제3조명(60)은 제1조명(40)과 제2조명(50)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3조명(60)에서 출력된 광이 제1조명(40)과 제2조명(50)에서 출력된 광을 연결되거나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3조명(60)은 제3케이스(13)에 배치된다. 제3조명(60)은 제어부(93)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부분적 온/오프, 조도 및 색상이 제어된다. 제3조명(60)은 조리기기의 변화가 완료된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시킨다.
제3조명(60)은 제1조명(40)과 제2조명(50)의 사이를 연결하는 임의의 선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3조명(60)은 제3케이스(13) 상부로 광을 출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조명(60)은 제3광원(61)과, 제3광원(61)에서 입사된 광을 확산 및 방출하는 제3디퓨져(62)를 포함한다. 제3광원(61)은 상술한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제3광원(61)은 제3케이스(13)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3디퓨져(62)는 제3케이스(13)의 상부면에 배치되어서, 제3광원(61)에서 입사된 빛을 수평방향으로 확산하고, 상부로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제3디퓨져(62)는 상부에서 보아 라인(Line) 형태로 배치된다. 제3디퓨져(62)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3디퓨져(62)는 입사된 광의 휘도와 균일하게 하고, 입사된 점광을 면광으로 변환하여 제3케이스(13)의 상부로 출사한다. 예를 들면, 제3디퓨져(62)는 내부로 광이 전파되는 투명재질, 내부가 빈 금속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디퓨져(62)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이나 투명 아크릴수지(resin)를 평면형태(flat type)나 쐐기형태(wedge type)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유닛(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21), 감지센서(22) 및 가압센서(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유닛(20)은 온도센서(21), 감지센서(22) 및 가압센서(23)가 하나의 모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센서유닛(20)은 조리기기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조리기기가 거치되는 케이스(10)의 상부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센서유닛(20)은 제2케이스(12)의 상부면에서 워킹코일(70)과 수직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온도센서(21)는 조리기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 값을 제어부(93)로 제공한다.
감지센서(22)는 조리기기가 케이스(10) 상에 위치되는 지를 감지하여 그 감지 값을 제어부(93)로 제공한다. 감지센서(22)는 조도 감지센서 또는 근접센서를 포함한다.
조도 감지센서는 제1케이스(11) 상부의 밝기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서 제어부(93))에 제공한다. 제어부(93)는 조도 감지센서에서 입력된 조도 값으로, 제1케이스(11) 상부에 조리기기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근접센서는 제1케이스(11) 상부로 인접하는 조리기기를 감지하여서 제어부(93)2)에 제공한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제어부(93)는 근접센서에서 입력된 입력 값으로, 제1케이스(11) 상부에 조리기기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가압센서(23)는 제1케이스(11) 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그 압력 값을 제어부(93)로 출력한다. 제어부(93)는 가압센서(23)에서 입력된 압력 값을 기준으로 제1케이스(11) 상에 조리기기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유닛(90)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유도가열기(1)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한다. 표시유닛(90)은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표시유닛(90)은 제어부(93)의 제언신호를 입력 받아 온도정보, 무게정보, 조리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출력한다.
명령 입력부(91)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고, 사용자의 명령을 명령신호로 변경하여 제어부(93)로 출력한다. 제어부(93)는 명령신호를 바탕으로 유도가열기(1)를 제어한다. 명령 입력부(91)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물리적 입력수단인 버튼, 터치센서, 다이얼 등을 포함한다. 명령 입력부(91)는 표시유닛(90)과 레이어 구조로 중첩된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93)는 유도가열기(1)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93)는 온도센서(21)에서 제공된 조리기기의 온도를 바탕으로 제1조명(4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3)는 온도센서(21)에서 제공된 조리기기의 온도를 바탕으로 제1조명(40)을 제2조명(50)과 대비하여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일치되는 경우, 제1조명(40)과 제2조명(50)의 조도 값을 동일하게 제어한다. 설정온도는 이미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값 일수도 있고, 사용자가 명령 입력부(91)를 통해 설정한 값일 수 있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와 기설정된 온도가 일치되는 경우 제1조명(40) 및 제2조명(50)의 조도 값을 일치시켜서 사용자가 시각적, 직관적으로 조리기기의 가열정도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1조명(40)과 제2조명(50)의 조도 값이 동일하다 함은 완전한 수학적 의미의 동일은 아니고, 오차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공학적인 의미의 동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실시예는 제1조명(40)과 제2조명(50)의 조도 값을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서 입력된 설정온도 값에 따라 제2조명(50)의 색상 또는 조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서 입력된 설정온도에 비례하여 제2조명(50)의 조도 값을 조정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서 입력된 설정온도가 높을수록 제2조명(50)이 높은 조도 값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서 입력된 설정온도에 비례하여 제2조명(50)의 색상을 조정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서 입력된 설정온도가 높을수록 제2조명(50)의 색상이 붉은 색에 가까운 색좌표 값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초기온도와의 사이 값을 가지는 경우, 제1조명(40)이 제1조명(40)의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조도 값과 제2조명(50)의 조도 값 사이의 조도 값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제어부(93)는 온도센서(21)에서 입력된 온도 값을 바탕으로,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초기온도와의 사이 값을 가지는 지를 판단하고,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초기온도와의 사이 값을 가진다고 판단되면, 제1조명(40)이 제1조명(40)의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조도 값과 제2조명(50)의 조도 값 사이의 조도 값을 가지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초기온도는 설정온도 보다 낮은 온도일 수 있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초기온도와 동일한 경우, 제1조명(40)이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조도 값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조도 값은 설정온도에 대응되는 조도 값 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초기온도와의 사이 값을 가지는 경우, 설정온도와 조리기기의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제1조명(40)의 조도 값이 제2조명(50)의 조도 값과 차이를 가지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가까울 수록 제1조명(40)의 조도를 제2조명(50)과 동일하게 점진적으로 변화시킨다.
다른 예로,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되는 경우, 제1조명(40)과 제2조명(50)의 색상을 동일하게 제어한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와 기설정된 온도가 일치되는 경우 제1조명(40) 및 제2조명(50)의 색상을 일치시켜서 사용자가 시각적, 직관적으로 조리기기의 가열정도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1조명(40)과 제2조명(50)의 색상이 동일하다 함은 제1조명(40)과 제2조명(50)의 색좌표 값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조명(50)과 제2조명(50)의 색상이 동일하다 함은 완전한 수학적 의미의 동일은 아니고, 오차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공학적인 의미의 동일을 의미한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초기온도와의 사이 값을 가지는 경우, 제1조명(40)이 제1조명(40)의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색상과 제2조명(50)의 색상의 혼합된 색상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색상의 혼색된다는 함은 빛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색을 의미한다.
제어부(93)는 온도센서(21)에서 입력된 온도 값을 바탕으로,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초기온도와의 사이 값을 가지는 지를 판단하고,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초기온도와의 사이 값을 가진다고 판단되면, 제1조명(40)이 제1조명(40)의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색상과 제2조명(50)의 색상 사이의 색상 값을 가지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초기온도와 동일한 경우, 제1조명(40)이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색상 값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초기온도와의 사이 값을 가지는 경우, 설정온도와 조리기기의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제1조명(40)의 색상 값이 제2조명(50)의 색상 값과 차이를 가지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가까울 수록 제1조명(40)의 색상을 제2조명(50)과 동일하게 점진적으로 변화시킨다.
한편,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 값에 따라 제1조명(40)의 조도가 변화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 값이 클 수록 제1조명(40)의 조도 값을 증가시킨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 값에 따라 제1조명(40)의 색상이 변화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 값이 클 수록 제1조명(40)의 색상을 붉은색에 가깝게 변환시킨다.
제어부(93)는 감지센서(22)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1조명(40)의 상태를 변화시킨다. 제어부(93)는 감지센서(22)에서 입력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조기기기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조리기가 존재하는 경우, 제1조명(40)을 온하거나, 제1조명(40)의 조도 또는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제1조명(40)의 온 영역을 변화시킨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무게 변화에 따라 제1조명(40)의 상태를 변화시킨다. 제어부(93)는 가압센서(23)에서 입력된 가압신호를 바탕으로, 조기기기의 무게변화를 판단하고, 조리기기의 무게가 변화되는 경우, 제1조명(40)을 온하거나, 제1조명(40)의 조도 또는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제1조명(40)의 온 영역을 변화시킨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되는 경우, 제3조명(60)이 온(on)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93)는 온 상태의 제3조명(60)의 조도 값 또는 색상 값을 제2조명(50)과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제어에 따른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유도가열기(1)의 제어방법은 조리기기를 감지하는 단계(S10), 조리기기가 감지되면 제1조명(40)의 온시키는 단계(S11), 설정온도에 대응되는 조도를 가지도록 제2조명(50)을 온시키는 단계(S13), 조리기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4) 및 조리기기의 온도와 설정온도와 차이에 적을수록 제1조명(40)이 제2조명(50)의 조도 값에 가까운 조도 값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단계(S15)(S16)(S17)(S18)를 포함한다.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조리기기를 감지하는 단계(S10)는 감지센서(22)가 조리기기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93)에 제공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어부(93)는 조기기기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조명(40)이 오프되게 제어하거나, 제1조명(40)이 부분적으로 온되게 제어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어부(93)는 제1케이스(11) 상에 조리기기가 감지되는 경우, 제1조명(40)이 온되도록 제어한다(S11). 이 때, 제어부(93)는 제1조명(40)의 조도 값은 조리기기의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조도 값이 선택된다.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조도 값은 미리 설정된 값이다.
설정온도에 대응되는 조도를 가지도록 제2조명(50)을 온시키는 단계(S11)는 제어부(93)가 설정온도에 비례한 조도 값을 가지게 제2조명(50)을 온시킨다. 설정온도는 이미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값 일수도 있고, 사용자가 명령 입력부(91)를 통해 설정한 값일 수 있다.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서 입력된 설정온도 값에 따라 제2조명(50)의 조도를 제어한다(S12)(S13). 구체적으로,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서 입력된 설정온도가 높을수록 제2조명(50)이 높은 조도 값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조리기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4)는 온도센서(21)가 조리기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93)에 제공한다.
제어부(93)는 조리기의 온도 값에 따라 제1조명(40)을 제어한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와 설정온도와 차이에 적을수록 제1조명(40)이 제2조명(50)의 조도 값에 가까운 조도 값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5c, 도 5d를 참조하면,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작을수록 제1조명(40)의 조도 값이 제2조명(50)의 조도 값에 가깝게 제어하고, 결국 설정온도와 조리기기의 온도가 동일해 지는 경우 제1조명(40)의 조도 값은 제2조명(50)의 조도 값과 동일하게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초기온도와의 사이 값을 가지는 경우, 제1조명(40)이 제1조명(40)의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조도 값과 제2조명(50)의 조도 값 사이의 조도 값을 가지도록 제어한다(S15)(S16).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일치되는 경우, 제1조명(40)과 제2조명(50)의 조도 값을 동일하게 제어한다(S17)(S18). 여기서, 조리기기의 온도와 설정온도가 일치한다 함은 수학적 의미의 일치는 아니고, 일정한 범위에서 일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되는 경우, 제3조명(60)이 온(on)되도록 제어한다(S19). 이 때, 제어부(93)는 온 상태의 제3조명(60)의 조도 값을 제2조명(50)과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가 감지되지 않고, 제1케이스(11) 상의 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1조명(40)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가 감지되지 않고, 제1케이스(11) 상의 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1조명(40)의 조도, 색상, 활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킨다. 제1케이스(11) 상의 온도는 온도센서(21)에 의해 측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기의 제어에 따른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유도가열기(1)의 제어방법은 조리기기를 감지하는 단계(S20), 조리기기가 감지되면 제1조명(40)의 온시키는 단계(S21), 설정온도에 대응되는 색상을 가지도록 제2조명(50)을 온시키는 단계(S23), 조리기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24), 조리기기의 온도와 설정온도와 차이가 적을수록 제1조명(40)이 제2조명(50)의 색상 값에 가까운 색상 값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단계(S25)(S26)(S27)(S28)를 포함한다.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조리기기를 감지하는 단계는 감지센서(22)가 조리기기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93)에 제공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어부(93)는 조기기기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조명(40)이 오프되게 제어하거나, 제1조명(40)이 부분적으로 온되게 제어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어부(93)는 제1케이스(11) 상에 조리기기가 감지되는 경우, 제1조명(40)이 온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93)는 제1조명(40)의 색상 값은 조리기기의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색상 값이 선택된다.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색상 값은 미리 설정된 값이다.
설정온도에 대응되는 색상을 가지도록 제2조명(50)을 온시키는 단계는 제어부(93)가 설정온도에 비례한 색상 값을 가지게 제2조명(50)을 온시킨다. 설정온도는 이미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값 일수도 있고, 사용자가 명령 입력부(91)를 통해 설정한 값일 수 있다.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서 입력된 설정온도 값에 따라 제2조명(50)의 색상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3)는 명령 입력부(91)에서 입력된 설정온도가 높을수록 제2조명(50)이 붉은색에 가까운 색을 가지도록 제어한다(S22)(S23).
조리기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온도센서(21)가 조리기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93)에 제공한다(S24).
제어부(93)는 조리기의 온도 값에 따라 제1조명(40)을 제어한다(S25)(S26)(S27)(S28).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와 설정온도와 차이에 적을수록 제1조명(40)이 제2조명(50)의 색상 값에 가까운 색상 값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7c, 도 7d를 참조하면,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가 작을수록 제1조명(40)의 색상 값이 제2조명(50)의 색상 값에 가깝게 제어하고, 결국 설정온도와 조리기기의 온도가 동일해 지는 경우 제1조명(40)의 색상 값은 제2조명(50)의 색상 값과 동일하게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초기온도와의 사이 값을 가지는 경우, 제1조명(40)이 제1조명(40)의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색상 값과 제2조명(50)의 색상 값 사이의 색상 값을 가지도록 제어한다(S25).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일치되는 경우, 제1조명(40)과 제2조명(50)의 색상 값을 동일하게 제어한다(S28). 여기서, 조리기기의 온도와 설정온도가 일치한다 함은 수학적 의미의 일치는 아니고, 일정한 범위에서 일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되는 경우, 제3조명(60)이 온(on)되도록 제어한다(S29). 이 때, 제어부(93)는 온 상태의 제3조명(60)의 색상 값을 제2조명(50)과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가 감지되지 않고, 제1케이스(11) 상의 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1조명(40)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93)는 조리기기가 감지되지 않고, 제1케이스(11) 상의 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1조명(40)의 색상, 조도, 활성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킨다. 제1케이스(11) 상의 온도는 온도센서(21)에 의해 측정된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자장을 생성하여 조리기기에 와전류를 유도시켜서 상기 조리기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워킹코일;
    상기 워킹코일이 동작할 수 있도록 유도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광을 출력하는 제1조명;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광을 출력하는 제2조명;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제공된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제1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일치되는 경우, 상기 제1조명과 상기 제2조명의 조도 값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초기온도와의 사이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조명이 상기 제1조명의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조도 값과 상기 제2조명의 조도 값 사이의 조도 값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일치되는 경우, 상기 제1조명과 상기 제2조명의 색상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초기온도와의 사이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조명이 상기 제1조명의 초기온도에 대응되는 색상과 상기 제2조명의 색상의 혼합된 색상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 값에 따라 제1조명의 조도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 값에 따라 제1조명의 색상이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온도에 대응되도록 제2조명의 조도를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온도에 대응되도록 제2조명의 색상을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 입력부에서 입력된 설정온도 값에 따라 상기 제2조명의 색상 또는 조도를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입력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조명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유도가열기.
  12. 제1항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유도가열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명은 상기 워킹코일을 감싸게 형성되는 임의의 경계에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유도가열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명은 상기 표시유닛을 감싸게 형성되는 임의의 경계에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유도가열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가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조리기기의 무게 변화에 따라 제1조명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유도가열기.
  16. 제2항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광을 출력하고, 상기 제1조명과 제2조명 사이에 배치되는 제3조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와 일치되는 경우, 상기 제3조명이 온(on)되도록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조명의 조도 값이 상기 제1조명의 조도 값과 동일하도록 제어하는 유도가열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에 위치된 무선충전 송신기와의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원을 생성하는 무선 충전 수신기를 포함하는 유도가열기.
  19. 조리기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리기기가 감지되면 제1조명의 온시키는 단계;
    설정온도에 대응되는 조도를 가지도록 제2조명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와 설정온도와 차이에 적을수록 상기 제1조명이 제2조명의 조도 값에 가까운 조도 값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가열기의 제어방법.
  20. 조리기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조리기기가 감지되면 제1조명의 온시키는 단계;
    설정온도에 대응되는 색상을 가지도록 제2조명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기기의 온도와 설정온도와 차이가 적을수록 상기 제1조명이 제2조명의 색상 값에 가까운 색상 값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가열기의 제어방법.
PCT/KR2017/003301 2016-03-28 2017-03-28 유도가열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7134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674 2016-03-28
KR1020160036674A KR102508072B1 (ko) 2016-03-28 2016-03-28 유도가열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1343A1 true WO2017171343A1 (ko) 2017-10-05

Family

ID=5844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3301 WO2017171343A1 (ko) 2016-03-28 2017-03-28 유도가열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12791B2 (ko)
EP (1) EP3226653B1 (ko)
KR (1) KR102508072B1 (ko)
WO (1) WO2017171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85024B1 (es) * 2017-03-30 2019-07-18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Sistema de coccion y procedimiento para posicionar un elemento de bateria de coccion
ES2719649A1 (es) * 2018-01-08 2019-07-11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Dispositivo de campo de cocción
KR102560312B1 (ko) * 2018-05-16 2023-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어 하니스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ES2736018B2 (es) * 2018-06-21 2021-11-02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Sistema de cocina y procedimiento para la puesta en funcionamiento de un sistema de cocina
CN112087831A (zh) * 2020-08-14 2020-12-15 中山市合硕高品电器有限公司 可显示感应区域范围及锅具偏离识别装置及方法
USD1000205S1 (en) 2021-03-05 2023-10-03 Tramontina Teec S.A. Cooktop or portion thereof
USD1000206S1 (en) 2021-03-05 2023-10-03 Tramontina Teec S.A. Cooktop or portion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318A (ja) * 2004-03-05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器
JP2011113953A (ja) * 2009-11-30 2011-06-09 Nichiwa Denki Kk 電磁調理器
JP2011204362A (ja) * 2010-03-24 2011-10-1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US20140225448A1 (en) * 2011-09-14 2014-08-14 Panasonic Corporation Non-contact power receiving devic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14235841A (ja) * 2013-05-31 2014-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5610A1 (de) * 1994-02-22 1995-08-24 Hurst & Schroeder Gmbh Leuchtvorrichtung zur Beleuchtung einer transparenten Glaskeramikplatte mit wenigstens einem Kochfeld
KR20110136226A (ko) * 2010-06-14 2011-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가열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DE112013004163T5 (de) 2012-08-24 2015-05-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duktionsheizeinrichtung
KR102208568B1 (ko) 2014-05-30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318A (ja) * 2004-03-05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加熱調理器
JP2011113953A (ja) * 2009-11-30 2011-06-09 Nichiwa Denki Kk 電磁調理器
JP2011204362A (ja) * 2010-03-24 2011-10-13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US20140225448A1 (en) * 2011-09-14 2014-08-14 Panasonic Corporation Non-contact power receiving devic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14235841A (ja) * 2013-05-31 2014-12-15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6653A1 (en) 2017-10-04
US10412791B2 (en) 2019-09-10
KR20170111370A (ko) 2017-10-12
EP3226653B1 (en) 2020-09-02
KR102508072B1 (ko) 2023-03-08
US20170280514A1 (en)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71343A1 (ko) 유도가열기 및 그 제어방법
TWI285731B (en) LED backlight luminance sensing for LCDs
WO2017171333A1 (ko) 테이블
KR20100082412A (ko) 조명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201555183U (zh) 台灯光源调整装置
KR20100082413A (ko) 조명 장치
WO2017052282A1 (en) Container support
WO2015182911A1 (ko) 유도 가열 조리기기
WO2013081286A1 (ko) 모션감지센서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13456A1 (ko) 착탈식 노브 스위치 장치 및 노브 스위치를 이용한 유도 가열 조리기기
WO2019124645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WO2010093085A1 (ko) 차량용 무드조명 스위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1469826B (zh) 便携式电子装置
JP2015005369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WO2020213950A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provid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WO2020213951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provid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KR20100053403A (ko)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기능 블록 구동방법
WO2019225935A1 (ko) 워킹 코일 연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WO2019221577A1 (ko) 와이어 하니스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WO2022059860A1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및 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무선 인디케이터
KR101367392B1 (ko)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WO2020046070A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2177219A1 (ko) 조리 기기,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조리 기기를 제어 가능한 노브
WO2019045134A1 (ko) 전기레인지의 잔열 관리 장치
WO2021246734A1 (ko) 단일의 프리존 화구를 구비한 전기 레인지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757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757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