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392B1 -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392B1
KR101367392B1 KR1020120058760A KR20120058760A KR101367392B1 KR 101367392 B1 KR101367392 B1 KR 101367392B1 KR 1020120058760 A KR1020120058760 A KR 1020120058760A KR 20120058760 A KR20120058760 A KR 20120058760A KR 101367392 B1 KR101367392 B1 KR 101367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ed lighting
lighting device
unit
dimm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892A (ko
Inventor
최용원
김석민
임채관
송일현
Original Assignee
(주)링크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링크옵틱스 filed Critical (주)링크옵틱스
Priority to KR1020120058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39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을 개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반파정류부, 반파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스위칭하여 1차 직류 전원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 1차 직류 전원을 정류하여 LED 조명 장치에 2차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직류 정류부, 교류 전원을 수신하여 교류 전원에 포함된 LED 조명 장치의 아이디와, 아이디에 부여된 디밍 신호를 검출하여 아이디 또는 아이디와 디밍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선 통신 모듈 및 LED 조명 장치의 전단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직류 전원과 전력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되는 디밍 신호를 통해 스위치부에 인가되는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CONVERTER OF LED LIGHT APPRATUS AND LIGHT CONTROL SYSTEM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LED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LED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선 통신을 통해 디밍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켓형 예를 들면, E26/27베이스의 LED 조명 장치는 실내 및 실외의 일정위치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를 빛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조명장치는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에서 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전원 등을 공급을 제어하는 조명제어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현재의 LED조명은 단순히 빛을 밝히는 조명 기능 이외에 상품의 전시, 무대의 효과 등을 높일 수 있는 특수 조명 기능들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도 단색으로 일정한 밝기를 가진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색상의 LED 조명 장치들이 출시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소켓형 LED 조명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LED 조명과의 제어 배선 연결이 필요하며, 많은 수의 제어 배선은 제어시스템 구축의 비용상승, 공간활용 등의 제약요소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공간활용 및 비용이 저감되는 소켓형 LED 조명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반파정류부; 상기 반파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스위칭하여 1차 직류 전원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1차 직류 전원을 정류하여 LED 조명 장치에 2차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직류 정류부; 상기 교류 전원을 수신하여 상기 교류 전원에 포함된 LED 조명 장치의 아이디와, 상기 아이디에 부여된 디밍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아이디 또는 상기 아이디와 상기 디밍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선 통신 모듈; 및 상기 LED 조명 장치의 전단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직류 전원과 상기 전력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밍 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치부에 인가되는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 조명 장치용 컨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통신 모듈은 상기 아이디와 미리 설정된 자신의 고유 아이디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에 상기 디밍 신호를 상기 디지털 전력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전력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와 상기 디밍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자신의 고유 아이디와 비교하여 상기 고유 아이디와 수신된 아이디가 일치할 경우 상기 디밍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직류 정류부 사이에 상기 1차 직류 전원을 변압하여 상기 2차 직류 전원으로 출력하는 변압부; 상기 반파정류부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직류 전원에 포함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제1 필터부; 상기 LED 조명 장치의 전단과 상기 직류정류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2차 직류 전원의 고주파를 제거하는 제2 필터부; 및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디지털 전력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력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고정하는 아이솔레이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LED 조명 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LED 조명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LED 조명 장치의 아이디와 상기 선택된 LED 조명 장치의 조도 및 발광 시간을 조절하는 디밍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아이디와 상기 디밍 신호를 상기 전력선에 제공하는 디밍 제어부; 및 상기 전력선에 연결되며, 고유 아이디를 가지는 복수의 LED 조명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LED 조명 장치는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원, 상기 아이디 및 상기 디밍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유 아이디와 상기 아이디가 일치할 경우, 상기 디밍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LED 조명 장치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의 크기 및 공급 시간을 제어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는 상기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반파정류부; 상기 반파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스위칭하여 1차 직류 전원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1차 직류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LED 조명 장치에 2차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직류 정류부; 상기 전력선을 통해 상기 디밍 제어부에서 공급하는 상기 아이디와, 상기 아이디에 부여된 디밍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디밍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선 통신 모듈; 및 상기 LED 조명 장치의 인입부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직류 전원과 상기 전력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밍 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치부에 인가되는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전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소켓형 LED 조명 장치의 컨버터에 전력선 통신 모듈과 디지털 전력 제어부를 구비하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전력 배선을 이용하며, 저비용으로 다수의 LED 조명 장치의 디밍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형 LED 조명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형 LED 조명 장치용 컨버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형 LED 조명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켓형 LED 조명 장치는 커버부(10), 발광부(20), 히트싱크(30), 절연부(40), 베이스(50) 및 컨버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부(20)는 적어도 하나의 LED가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20)에 구비된 LED는 백색, 청색, 적색, 녹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LED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는 LED 조명 장치의 외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발광부(20)를 보호한다. 커버부(10)는 투명소재 또는 불투명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내측면에 LED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0)는 내측면에 형광물질이 형성되어 발광부(20)에서 공급되는 광을 백색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히트싱크(30)는 발광부(20) 또는 컨버터(6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절연부(40)는 컨버터(60)와 히트싱크(30) 도는 컨버터(60)와 외부 전도성 물체 사이를 절연시킨다. 절연부(40)는 컨버터(60)를 내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50)는 소켓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베이스(50)는 종래 전구의 베이스 처럼 말단과 측면이 전극으로 구성되어 전력선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는다.
컨버터(6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발광부(20)의 LED에 제공한다. 컨버터(60)는 자신의 고유 아이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컨버터(60)는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아이디 및 디밍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아이디와 고유 아이디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디밍 신호에 상응하는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신호는 발광부(20)의 LED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 또는 직류 전원의 공급시간 등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컨버터(60)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켓형 LED 조명 장치용 컨버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버터(60)는 제1 필터부(110), 반파정류부(120), 스위치부(130), 변압부(140), 직류정류부(150), 제2 필터부(160), 비교부(170), 아이솔레이터부(180),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 및 전력선 통신 모듈(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필터부(110)는 교류 전원에서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한다. 여기서, 고주파 신호는 교류 전원에 변조된 아이디 신호 및 디밍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반파정류부(120)는 브리지 회로 등이 포함되며, 교류 전원을 반파 정류하여 출력한다.
스위치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스위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130)는 반파 정류된 신호를 스위칭하여 1차 직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부(130)는 추후 설명할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로부터 입력되는 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된다.
스위치부(130)에서 출력되는 1차 직류 전원은 고전압일 수 있으며, 다수의 고주파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변압부(140)는 1차 직류 전원의 레벨을 도 1의 발광부(20)에 포함된 LED의 정격 전압으로 변환한다.
직류정류부(150)는 변압된 전원에 포함된 교류 성분을 제거하여 2차 직류 전원을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직류정류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부(160)는 직류정류부(150)에서 출력되는 2차 직류 전원에 포함되는 고주파 성분 또는 교류 성분을 제거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필터부(160)는 L(인턱터)-C(커패시터)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170)는 제2 필터부(160)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 또는 직류정류부(150)에서 출력되는 2차 직류 전원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레벨과 비교하여 비교값을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에 제공할 수 있다.
아이솔레이터부(180)는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와 스위치부(130) 사이에 구비되어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에서 제공되는 전력 제어 신호의 주파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위치부(130)의 스위치 소자들의 스위칭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전력선 통신 모듈(200)은 전력선과 연결되어 교류 전원에 포함된 아이디 및 디밍 신호를 검출한다. 이를 위하여, 전력선 통신 모듈(200)은 복조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조기를 통해 변조된 아이디 신호 및 디밍 신호를 복조한다.
복조된 신호가 디지털 신호의 형태일 경우에는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신호일 경우에는 디지털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는 스위치부(130)에 공급되는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는 비교부(170)로부터 수신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 비교값과, 전력선 통신 모듈(200)로부터 수신되는 아이디 또는 아이디와 디밍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아이솔레이터부(180) 또는 스위치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제어 신호는 제1 직류 전원의 공급시간 또는 제1 직류 전원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도록 PWM 신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전력선 통신 모듈(200) 또는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는 내부 구성 중 해당 LED 조명 장치의 고유 아이디를 저장하고 수신되는 아이디를 비교하는 별도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선 통신 모듈(200)에 상기의 고유 아이디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고유 아이디와 수신된 아이디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이 구비될 경우, 전력선 통신 모듈(200)은 디밍 신호를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력선 통신 모듈(200)은 고유 아이디와 수신되는 아이디가 동일할 경우 수신되는 아이디에 부여된 디밍 신호를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저장수단과 비교수단이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에 구비될 경우에는 전력선 통신 모듈(200)은 수신되는 아이디와 아이디에 부여된 디밍 신호를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에 공급한다. 이때,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는 고유 아이디와 수신된 아이디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수신된 아이디에 부여된 디밍 신호에 상응하여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LED 조명장치의 디밍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디밍 제어 시스템은 디밍제어부(300) 및 LED 조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LED 조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LED 조명 장치와 동일한 조명 장치이므로, LED 조명 장치의 상세 구성은 생략하고, 시스템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도 2에 도시된 LED 조명 장치와 컨버터의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LED 조명 장치(100)는 전력선(500)에 복수개가 연결된다. 이때, 각각이 LED 조명 장치(100)는 전력선(500)에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LED 조명 장치(10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50)가 소켓 형태로 형성되어 전원부(400)에서 입력되는 교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LED 조명 장치(100)는 각각이 고유 아이디(001. 002, ~ 254)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254개의 LED 조명 장치(100)가 전력선(500)에 연결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LED 조명 장치(100)의 개수는 다양하게 선택 및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의 LED 조명 장치(100)는 디밍제어부(300)이 조작에 의해 제어된다.
디밍제어부(300)는 복수의 LED 조명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LED 조명 장치를 선택하여 온/오프, 밝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디밍제어부(300)는 LED 조명 장치의 선택과 밝기 정보 등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는 숫자 버튼 또는 터치식 디스플레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밍제어부(300)에서 아이디 001과 아이디 002를 가지는 LED 조명 장치의 밝기 제어를 하기 위해서, 디밍제어부(30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들 LED 조명장치를 선택한다. 이어서, 선택된 LED 조명 장치의 밝기를 정도를 입력한다. 디밍제어부(300)는 선택된 LED 조명 장치와 디밍신호를 변조하여 전력선(500)을 통해 전송한다. 각각의 LED 조명 장치는 교류 전원에 변조되어 수신되는 아이디와 디밍 신호를 복조하고,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고유 아이디와 수신된 아이디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고유 아이디와 수신된 아이디가 동일할 경우 수신된 디밍 신호에 상응하는 전력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발광부(20)를 구동한다.
비교결과, 고유 아이디와 수신된 아이디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LED 조명 장치(100)에 포함된 전력선 통신 모듈(200) 또는 디지털 전력 제어부(190)에서 2차 직류 전원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별도로 구비된 교류 전력이 차단되도록 스위치 소자 등을 동작시키는 신호를 발생하여 교류 전력의 입력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은 기존의 전력선을 동일하게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제어용 배선을 구비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10: 커버부 20: 발광부
30: 히트싱크 40: 절연부
50: 베이스 60: 컨버터
100: LED 조명 장치 110: 제1 필터부
120: 반파정류부 130: 스위치부
140: 변압부 150: 직류정류부
160: 제2 필터부 170: 비교부
180: 아이솔레이터부 190: 디지털 전력 제어부
200: 전력선 통신 모듈 300: 디밍제어부
400: 전원부

Claims (6)

  1.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반파정류부;
    상기 반파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스위칭하여 1차 직류 전원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1차 직류 전원을 정류하여 LED 조명 장치에 2차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직류 정류부;
    상기 교류 전원을 수신하여 상기 교류 전원에 포함된 LED 조명 장치의 아이디와, 상기 아이디에 부여된 디밍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아이디 또는 상기 아이디와 상기 디밍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선 통신 모듈; 및
    상기 LED 조명 장치의 전단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직류 전원과 상기 전력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밍 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치부에 인가되는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직류 정류부 사이에 상기 1차 직류 전원을 변압하여 상기 2차 직류 전원으로 출력하는 변압부;
    상기 반파정류부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직류 전원에 포함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제1 필터부;
    상기 LED 조명 장치의 전단과 상기 직류정류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2차 직류 전원의 고주파를 제거하는 제2 필터부; 및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디지털 전력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력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고정하는 아이솔레이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LED 조명 장치용 컨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 모듈은
    상기 아이디와 미리 설정된 자신의 고유 아이디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에 상기 디밍 신호를 상기 디지털 전력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장치용 컨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전력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와 상기 디밍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자신의 고유 아이디와 비교하여 상기 고유 아이디와 수신된 아이디가 일치할 경우 상기 디밍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장치용 컨버터.
  4. 삭제
  5.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LED 조명 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LED 조명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LED 조명 장치의 아이디와 상기 선택된 LED 조명 장치의 조도 및 발광 시간을 조절하는 디밍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아이디와 상기 디밍 신호를 상기 전력선에 제공하는 디밍 제어부; 및
    상기 전력선에 연결되며, 고유 아이디를 가지는 복수의 LED 조명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LED 조명 장치는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원, 상기 아이디 및 상기 디밍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유 아이디와 상기 아이디가 일치할 경우, 상기 디밍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LED 조명 장치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의 크기 및 공급 시간을 제어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컨버터는 상기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반파정류부; 상기 반파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스위칭하여 1차 직류 전원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1차 직류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LED 조명 장치에 2차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직류 정류부; 상기 전력선을 통해 상기 디밍 제어부에서 공급하는 상기 아이디와, 상기 아이디에 부여된 디밍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디밍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선 통신 모듈; 및 상기 LED 조명 장치의 인입부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직류 전원과 상기 전력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밍 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치부에 인가되는 전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직류 정류부 사이에 상기 1차 직류 전원을 변압하여 상기 2차 직류 전원으로 출력하는 변압부;
    상기 반파정류부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직류 전원에 포함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제1 필터부;
    상기 LED 조명 장치의 전단과 상기 직류정류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2차 직류 전원의 고주파를 제거하는 제2 필터부; 및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디지털 전력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력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고정하는 아이솔레이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

  6. 삭제
KR1020120058760A 2012-05-31 2012-05-31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367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760A KR101367392B1 (ko) 2012-05-31 2012-05-31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760A KR101367392B1 (ko) 2012-05-31 2012-05-31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892A KR20130134892A (ko) 2013-12-10
KR101367392B1 true KR101367392B1 (ko) 2014-02-26

Family

ID=4998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760A KR101367392B1 (ko) 2012-05-31 2012-05-31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819B1 (ko) * 2013-12-18 2014-11-05 김원우 디밍 가능한 절전형 led 조명기구
KR101593142B1 (ko) 2014-02-27 2016-02-12 주식회사 한국체이스 디밍 제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032A (ko) *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플레넷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인텔리전트 빌딩 실내조명 원격 제어장치
KR20110136381A (ko) * 2010-06-15 2011-12-21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절전형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032A (ko) *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플레넷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인텔리전트 빌딩 실내조명 원격 제어장치
KR20110136381A (ko) * 2010-06-15 2011-12-21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절전형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892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6685B2 (en) Lighting apparatus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apparatus
US9131581B1 (en) Solid-state lighting control with dimmability and color temperature tunability
CA2760122C (en) Ac to dc led illumin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100079075A1 (en) Light Emitting Apparatus
KR20100082412A (ko) 조명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00082413A (ko) 조명 장치
JP5786205B2 (ja) 照明システム、照明灯具及びその灯具制御モジュール
TW201306649A (zh) 發光二極體之外殼
US20110279033A1 (en) Electronic lamp converter
US9532419B2 (en) Lighting apparatus, illumination light source, and power supply unit
JP2010205738A (ja) Led照明装置
TW201534180A (zh) 照明裝置及其上的照明組件及調節件
KR101367392B1 (ko)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US20140159579A1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ing module
JP2016213140A (ja) 照明システム
KR20100053403A (ko)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기능 블록 구동방법
KR200478284Y1 (ko) 상용 및 비상시 겸용 엘이디 등기구
TW201026137A (en) Intelligent LED lighting system
JP2016115433A (ja) 光源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照明装置
CN209845369U (zh) 一种开关多段变色led调光电路
JP2001015278A (ja) 照明装置
KR101178427B1 (ko) 지능형 파이로트 램프
JP2013222514A (ja) 照明用非接触給電システム
KR101494816B1 (ko) 조명 조절 시스템 및 조도 조절 방법
KR20100010184U (ko) 구동회로가 내장된 소켓부를 가지는 엘이디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