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819B1 - 디밍 가능한 절전형 led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디밍 가능한 절전형 led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819B1
KR101457819B1 KR1020130158055A KR20130158055A KR101457819B1 KR 101457819 B1 KR101457819 B1 KR 101457819B1 KR 1020130158055 A KR1020130158055 A KR 1020130158055A KR 20130158055 A KR20130158055 A KR 20130158055A KR 101457819 B1 KR101457819 B1 KR 101457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nce
power
dimming
main
conver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우
이용광
이기한
Original Assignee
김원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우 filed Critical 김원우
Priority to KR1020130158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밍 가능한 LED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기구는, LED 램프가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를 기준 조도(L)로 자동 조절할 수 있는 LED 조명기구로서, 적어도 하나의 LED 램프를 구비하며 빛을 방출하는 LED 모듈;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LED 모듈에 공급하는 메인 컨버팅 유닛; 및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LED 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를 기준 조도(L)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LED 모듈을 디밍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의 출력을 증감하는 디밍 신호를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송신하는 디밍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디밍 유닛으로부터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출력이 특정 출력(P)까지 하강하면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 차단기를 갖는다.

Description

디밍 가능한 절전형 LED 조명기구{LED luminaire for saving power capable of dimming}
본 발명은 디밍 가능한 LED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디밍 가능한 LED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는 온오프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어서, 이 온오프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조명기구를 켜거나 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조명기구는 실내의 밝기에 따라 일일이 온오프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며, 실내의 밝기를 원하는 밝기 이상으로 계속적으로 유지시키려면 조명기구를 언제나 온(ON) 상태로 두어야 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극심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수동 조작을 불편과, 극심한 전력낭비를 해소하기 위하여, 조명기구가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를 미리 설정해둔 조도에 맞도록 자동으로 디밍(dimming)하는 조명기구가 개발되어 있으며, 디밍 가능한 조명기구로는 LED 조명기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조명기구는 빛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빛감지 센서는 조명기구로부터 방출되는 빛과 실외로부터 실내로 유입된 빛에 의한 전체 빛의 밝기를 측정하여, 측정된 빛의 밝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 밝기보다 높다면 조명기구의 광도를 낮추고, 측정된 빛의 밝기가 미리 정해진 밝기보다 낮다면 조명기구의 광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디밍을 수행한다.
한편, LED 조명기구에 부속된 LED 램프를 작동하기 위하여 LED 조명기구에는 컨버터가 설치되는데, 디밍이 필요할 때 언제라도 LED 램프를 디밍할 수 있도록 이 컨버터에는 항상 대기전력이 인가되어 있다. 또한, LED 소자들은 빛이 방출되지 않는 낮은 출력상태에도 전력을 계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란 디밍 가능한 LED 조명기구는 굳이 LED 램프를 통해 빛을 방출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도 항상 대기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전력의 막대한 낭비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디밍 가능한 LED 조명기구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밍 가능한 LED 조명기구는: LED 램프가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를 기준 조도(L)로 자동 조절할 수 있는 LED 조명기구로서, 적어도 하나의 LED 램프를 구비하며 빛을 방출하는 LED 모듈;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LED 모듈에 공급하는 메인 컨버팅 유닛; 및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LED 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를 기준 조도(L)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LED 모듈을 디밍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의 출력을 증감하는 디밍 신호를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송신하는 디밍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디밍 유닛으로부터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출력이 특정 출력(P)까지 하강하면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 차단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출력(P)은 상기 디밍 유닛으로부터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최대치의 5~1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밍 유닛은 디밍 유닛측 컨버터와 메인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디밍 유닛측 컨버터는 상기 디밍 유닛으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차단기로부터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은, 상기 디밍 유닛측 컨버터로부터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유입되는 직류 전원의 전압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밍 유닛측 컨버터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는 항상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밍 유닛측 컨버터를 통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의 전력은 0.1W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L)보다 소정 정도 높은 조도(L1)와 상기 기준 조도(L)보다 소정 정도 낮은 조도(L2) 사이 구간에 위치할 때,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디밍 신호를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L1는 상기 기준 조도보다 5~15%만큼 높고, 상기 L2는 상기 기준 조도보다 5~15%만큼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조도 센서로부터 조도 신호를 전달 받되, 상기 조도 센서가 센싱하는 조도의 특정 시간 간격(D) 동안의 평균값을 주기적으로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시간 간격(D)은 10초~30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밍 유닛은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달되는 조도 신호를 수동으로 증폭시키거나 감쇄시킬 수 있는 조도 신호 감도 조절기를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도 신호 감도 조절기의 조작부는 상기 디밍 유닛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동작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등으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조명기구는, 상기 조도 센서의 조도 감지면에 부착되어 상기 조도 센서에 유입되는 광량을 줄이는 광감쇄 필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밍 가능한 LED 조명기구의 소비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기구에 구비되는 디밍 유닛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밍 가능한 절전형 LED 조명기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기구에 구비되는 디밍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밍 가능한 절전형 LED 조명기구(이하, '절전형 LED 조명기구'라 한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LED 조명기구는 LED 램프가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를 기준 조도(L)로 자동 조절할 수 있는 LED 조명기구로서, 적어도 하나의 LED 램프를 구비하며 빛을 방출하는 LED 모듈(30)과,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LED 모듈(30)에 공급하는 메인 컨버팅 유닛(20)과, 메인 컨버팅 유닛(20)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며 메인 컨버팅 유닛(20)의 출력을 증감하는 디밍 신호를 메인 컨버팅 유닛(20)에 송신하는 디밍 유닛(10)을 구비한다.
디밍 유닛(10)은, LED 모듈(30)이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를 기준 조도(L)로 유지시키기 위해 LED 모듈(30)을 디밍할 수 있도록 디밍 신호를 메인 컨버팅 유닛(20)에 송신한다.
디밍 유닛(10)은 회로 차단기(14)와, 디밍 유닛측 컨버터(11)와, 메인 컨트롤러(12)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LED 조명기구에 구비된 각 구성과 전원선 및 신호선들 간의 연결관계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로부터 디밍 유닛(10)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선(51)은 회로 차단기(14)에 연결되고, 회로 차단기(14)가 차단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교류 전원이 교류 전원선(52)을 타고 메인 컨버팅 유닛(20)에 연결되며, 메인 컨버팅 유닛(20)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데, 이 직류 전원이 직류 전원선(53)을 타고 LED 모듈(30)에 연결된다.
한편, 외부로부터 디밍 유닛(10)에 인입되는 교류 전원선(51)은 회로 차단기(14)에 연결되기 전에 분기선(54)으로 분기되어 디밍 유닛측 컨버터(11)에 연결되며, 디밍 유닛측 컨버터(11)는 디밍 유닛(10)으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직류 전원선(55)을 통해 메인 컨트롤러(12)에 공급한다.
디밍 유닛(10) 중에서도 정확히는 메인 컨트롤러(12)가, 메인 컨버팅 유닛(20)의 출력을 증감하는 디밍 신호를 디밍 신호선(57)을 통하여 메인 컨버팅 유닛(20)에 송신한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12)는 조도 센서(40)로부터 센서 신호선(58)을 통하여 조도 신호를 전달 받는다.
종래기술에 따른 디밍이 가능한 LED 조명기구는 디밍이 필요할 때 언제라도 LED 램프를 디밍할 수 있도록 컨버터(본 발명의 메인 컨버팅 유닛(20)에 해당함)에 항상 대기전력이 인가되어 있으며, LED 소자들에서 사실상 빛이 방출되지 않더라도 LED 소자들 자체에도 항상 대기전력이 인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도를 높이는데 사실상 기여를 하지 못하고 낭비되는 대기전원은 통상적으로 컨버터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최대치의 5~15%에 해당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조도를 높이는데 사실상 기여를 하지 못하고 낭비되는 대기전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회로 차단기(14)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회로 차단기(14)는 디밍 유닛(10)으로부터 메인 컨버팅 유닛(2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출력이 특정 출력(P)까지 하강하면 메인 컨버팅 유닛(2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하는데, 이 특정 출력(P)은 디밍 유닛(10)으로부터 메인 컨버팅 유닛(2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최대치의 5~15%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LED 조명기구를 항상 원하는 상태로 디밍하기 위하여, 메인 컨트롤러(12)는 항상 ON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메인 컨트롤러(12)는 디밍 유닛측 컨버터(11)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디밍 유닛측 컨버터(11)와 메인 컨트롤러(12)에는 항상 전원이 인가되어 있어야 한다.
메인 컨버팅 유닛(20)은 LED 모듈(30)을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므로 대기 전압이 높은데 반해, 디밍 유닛측 컨버터(11)로부터 나오는 선들은 단지 신호선들에 불과하기 때문에 디밍 유닛측 컨버터(11)에 항상 인가되어야 하는 대기 전압은 메인 컨버팅 유닛(20)에 인가될 수 있는 대기 전압보다는 매우 낮다. 다시 말해, 회로 차단기(14)로부터 교류 전원선(52)을 통해 메인 컨버팅 유닛(2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은, 디밍 유닛측 컨버터(11)로부터 직류 전원선(55)을 통해 메인 컨트롤러(12)에 유입되는 직류 전원의 전압보다 높다.
따라서, 디밍 유닛측 컨버터(11)와 메인 컨트롤러(12)를 항상 ON 상태로 유지하더라도 이로 인하여 소모되는 대기 전력의 양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매우 미미하다. 실제로, 디밍 유닛측 컨버터(11)를 통하여 메인 컨트롤러(12)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의 전력은 0.1W 이하로서, 이는 종래기술의 컨버터에 걸리는 대기 전원의 전력인 1.5W~2W 보다 훨씬 낮다.
만약, 지나치게 엄격하게 기준 조도를 지키기 위하여 절전형 LED 조명기구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LED 모듈(30)이 설치된 공간에 있는 사람의 눈에 큰 피로를 줄 수 있다. 예컨대, 기준 조도(L)가 500lux일 때, LED 모듈(30)이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가 500lux 근방에서 변한다면, 끊임없이 절전형 LED 조명기구에 대한 제어가 수행되고 LED 모듈(30)의 광도가 계속 변화하게 되므로 당연히 눈이 피로해 질 수 있다. 따라서, LED 모듈(30)이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가 기준 조도(L)보다 소정 정도 높은 조도(L1)와 기준 조도(L)보다 소정 정도 낮은 조도(L2) 사이 구간에 위치할 때, 메인 컨트롤러(12)는 디밍 신호를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기준 조도(L)가 500lux, L1이 550lux, L2이 450lux인 것으로 가정하였을 때, LED 모듈(30)이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가 450lux~550lux 사이 구간에 위치할 때는 메인 컨트롤러(12)가 디밍 신호를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실제로 사람의 눈은 500lux에서 550lux로 점차적으로 조도가 변화하는 것이나, 500lux에서 450lux로 점차적으로 조도가 변화하는 것을 인식할 수는 있으나, 500lux에 있을 때 느끼는 밝기와 550lux(또는 450lux)에 있을 때 느끼는 밝기의 차이는 사실상 구별하지 못한다.
사람에 따라 개인차는 있으나 L과 L1의 조도 차이가 L의 5~15%일 때, 그리고 L과 L2의 조도 차이가 L의 5~15% 일 때는 밝기의 차이를 구별하지 못하며, 다시 말해, L1이 기준 조도(L)보다 5~15%만큼 높거나, L2가 기준 조도(L)보다 5~15%만큼 낮은 경우에는 메인 컨트롤러(12)가 디밍 신호를 변화시키지 않는 것에 의하여 사람의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메인 컨트롤러(12)는 조도 센서(40)로부터 조도 신호를 전달 받아, LED 모듈(30)의 디밍을 할 수 있으나, 예컨대 구름이 낀 날 주간에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은 구름의 이동에 따라 조도의 편차가 크거나 조도가 변화하는 시간이 매우 급격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와 같이 L1을 기준 조도(L)보다 5~15%만큼 높게 하고 L2를 기준 조도(L)보다 5~15%만큼 낮게 하더라도, 디밍이 매우 빠르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러(12)는 조도 센서(40)로부터 조도 값을 실시간으로 받자마자 디밍을 수행하는 것 대신, 조도 센서(40)가 센싱하는 조도의 특정 시간 간격(D) 동안의 평균값을 주기적으로 전달 받아 디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특정 시간 간격(D)은 절전형 LED 조명기구가 설치된 공간에 유입되는 빛의 강도나 변화량 등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10초~30초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12)는 조도 센서(40) 이외에 동작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등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동작 감지에 따라 LED 모듈(30)을 ON/OFF 제어할 수도 있고, 온도 센서 및 이산화탄소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나 RAM 등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절전형 LED 조명기구가 설치된 공간에 있는 사람은 이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한편, 조도 센서(40)에 들어오는 빛의 양은 바닥면 재료의 반사율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같은 양의 태양광이 실내로 들어오더라도 바닥면의 반사율이 크면 많은 양의 빛이 조도 센서(40)에 들어오고, 반사율이 작으면 보다 적은 양의 빛이 조도 센서(40)에 들어온다. 따라서, 바닥면의 반사율이 낮은 장소에서는 적절한 기준 조도(L)를 맞출 수 있는 절전형 LED 조명기구가, 바닥면의 반사율이 높은 장소에서는 LED 모듈(30)의 출력이 낮아지게 되어 LED 모듈(30)이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를 기준 조도(L)보다 낮게 유지시키기 된다.
이와 같이, LED 모듈(30)이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면의 반사율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LED 모듈(30)이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를 기준 조도(L)로 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밍 유닛(10)은 조도 센서(40)로부터 메인 컨트롤러(12)에 전달되는 조도 신호를 수동으로 증폭시키거나 감쇄시킬 수 있는 조도 신호 감도 조절기(16)를 가질 수 있고, 이 조도 신호 감도 조절기(16)의 조작부는 디밍 유닛(10)의 외측에 노출되어 절전형 LED 조명기구의 설치자나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조도 신호 감도 조절기(16) 대신 조도 센서(40)의 조도 감지면에, 조도 센서(40)에 유입되는 광량을 줄이는 광감쇄 필름을 붙이더라도 조도 신호 감도 조절기(16)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LED 모듈(30)이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면의 다양한 반사율에 따라 적절히 광량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광감쇄 필름을 미리 준비해 두고, 최적의 광감쇄 필름을 붙여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디밍 유닛 11 : 디밍 유닛측 컨버터
12 : 메인 컨트롤러 14 : 회로 차단기
16 : 조도 신호 감도 조절기 20 : 메인 컨버팅 유닛
30 : LED 모듈 40 : 조도 센서

Claims (14)

  1. LED 램프가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를 기준 조도(L)로 자동 조절할 수 있는 LED 조명기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LED 램프를 구비하며 빛을 방출하는 LED 모듈;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LED 모듈에 공급하는 메인 컨버팅 유닛; 및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LED 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를 기준 조도(L)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LED 모듈을 디밍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의 출력을 증감하는 디밍 신호를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송신하는 디밍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디밍 유닛으로부터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출력이 특정 출력(P)까지 하강하면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 차단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출력(P)은 상기 디밍 유닛으로부터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최대치의 5~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밍 유닛은 디밍 유닛측 컨버터와 메인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디밍 유닛측 컨버터는 상기 디밍 유닛으로 인입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로 차단기로부터 상기 메인 컨버팅 유닛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은, 상기 디밍 유닛측 컨버터로부터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유입되는 직류 전원의 전압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밍 유닛측 컨버터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는 항상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디밍 유닛측 컨버터를 통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의 전력은 0.1W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의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L)보다 소정 정도 높은 조도(L1)와 상기 기준 조도(L)보다 소정 정도 낮은 조도(L2) 사이 구간에 위치할 때,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디밍 신호를 변화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L1는 상기 기준 조도보다 5~15%만큼 높고, 상기 L2는 상기 기준 조도보다 5~15%만큼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9.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조도 센서로부터 조도 신호를 전달 받되, 상기 조도 센서가 센싱하는 조도의 특정 시간 간격(D) 동안의 평균값을 주기적으로 전달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 간격(D)은 10초~3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디밍 유닛은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달되는 조도 신호를 수동으로 증폭시키거나 감쇄시킬 수 있는 조도 신호 감도 조절기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도 신호 감도 조절기의 조작부는 상기 디밍 유닛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13. 청구항 3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동작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등으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도 센서의 조도 감지면에 부착되어 상기 조도 센서에 유입되는 광량을 줄이는 광감쇄 필름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KR1020130158055A 2013-12-18 2013-12-18 디밍 가능한 절전형 led 조명기구 KR101457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055A KR101457819B1 (ko) 2013-12-18 2013-12-18 디밍 가능한 절전형 led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055A KR101457819B1 (ko) 2013-12-18 2013-12-18 디밍 가능한 절전형 led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819B1 true KR101457819B1 (ko) 2014-11-05

Family

ID=5228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055A KR101457819B1 (ko) 2013-12-18 2013-12-18 디밍 가능한 절전형 led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8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826A (ko) * 2008-09-18 2010-03-26 리치테크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교류신호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디밍 기능을 갖는 led 전구, 발광장치 제어방법 및 발광장치 컨트롤러 회로
KR101269654B1 (ko) * 2012-11-02 2013-05-30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디밍 제어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 등기구
KR20130132997A (ko) * 2011-02-24 2013-12-05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광 출력 레벨을 변화시키기 위한 적응성 주파수 제어
KR20130134892A (ko) * 2012-05-31 2013-12-10 (주)링크옵틱스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826A (ko) * 2008-09-18 2010-03-26 리치테크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교류신호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디밍 기능을 갖는 led 전구, 발광장치 제어방법 및 발광장치 컨트롤러 회로
KR20130132997A (ko) * 2011-02-24 2013-12-05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광 출력 레벨을 변화시키기 위한 적응성 주파수 제어
KR20130134892A (ko) * 2012-05-31 2013-12-10 (주)링크옵틱스 엘이디 조명 장치용 컨버터 및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269654B1 (ko) * 2012-11-02 2013-05-30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디밍 제어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0481B1 (en) Lighting controller
US20100277070A1 (en) Scotopically enhanced emergency light and control thereof
JP2011165577A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JP5780904B2 (ja) 照明装置
US8106532B2 (en) Illumination device of gradual dimming type after power interruption
WO2019001405A1 (zh) 一种基于红外感应的led球泡灯控制系统
US8508156B2 (en) Energy saving LED lamp
KR101555236B1 (ko) 스마트 led 조명장치
KR100670843B1 (ko) 광감지 자동 조도조절 조명시스템
TW201824947A (zh) 具有獨立電源之無線燈具驅動裝置及其燈具系統
KR20150116945A (ko) 조도 설정 가변 제어형 led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U93612U1 (ru)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ая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сенсор движения для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ей системы освещения (варианты)
KR20100037679A (ko) 디밍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57819B1 (ko) 디밍 가능한 절전형 led 조명기구
KR101820047B1 (ko) 실내 조도변화에 따라 디밍되는 조명장치 및 방법
KR101219578B1 (ko) 디밍 조절 엘이디 조명장치 및 방법
JP2006185601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6310258A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8204849A (ja) 自動調光照明装置
KR101563993B1 (ko) Led광원의 조도 조절이 용이한 led모니터
KR101308565B1 (ko) 출력 밝기 설정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제어 방법
JP2010153243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方法
JP5925367B2 (ja) 照明装置
KR102673449B1 (ko) 조도의 이중 조절이 가능한 자동 디밍 조명장치
KR20140103594A (ko) 엘이디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