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11467A1 -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Google Patents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11467A1
WO2017111467A1 PCT/KR2016/015024 KR2016015024W WO2017111467A1 WO 2017111467 A1 WO2017111467 A1 WO 2017111467A1 KR 2016015024 W KR2016015024 W KR 2016015024W WO 2017111467 A1 WO2017111467 A1 WO 20171114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less
austenitic stainless
excluding
work hard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50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형구
최점용
채동철
유지현
조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MYPI2018000974A priority Critical patent/MY189629A/en
Priority to US16/065,710 priority patent/US20190010588A1/en
Priority to EP16879334.7A priority patent/EP3396001B1/en
Priority to CN201680070348.5A priority patent/CN108291289B/zh
Priority to JP2018529145A priority patent/JP6796134B2/ja
Publication of WO20171114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114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workability in which defects such as delayed fracture do not occur even when processed into a complicated shap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tainless steel used in sink bowls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such that delayed fracture does not occur in processing into a sink bowl.
  • Sink bowls for kitchen sinks are usually made of stainless steel. Usually, general purpose stainless steels are used. In general, the shape of the sink bowl is widely used because there is no problem in formability.
  • FIG. 1 is a photograph of the corner portion after the sink bowl processing with a conventional austenitic stainless steel.
  • Delayed fracture occurs after a certain time after processing of the steel sheet, and occurs mainly in the part where the processing amount is large depending on the processed shape.
  • austenitic stainless steel is highly workable, but delayed fracture of aging crack occurs when the processing rate exceeds the limit. These cracks occur after a few months after the deep drawing processing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proceed linearly in the deep drawing direction, but microscopically, they proceed in a zigzag form regardless of the grain boundarie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workability that does not occur defects such as delayed destruction even when processing into such a complicated shape.
  • Patent Document 0001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31214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to prevent delayed fracture in processing into a sink bowl.
  •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workability in weight percent, silicon (Si): 0.1 to 0.65%, manganese (Mn): 0.2 to 3.0%, nickel (Ni): 6.5 to 10.0 %, Chromium (Cr): 16.5 to 20.0%, copper (Cu): 6.0% or less (excluding 0), carbon (C) + nitrogen (N): 0.08% or less (excluding 0), the rest is Fe and unavoidable It contains impurities and has a work hardening rate of 1500 MPa or less in the range of true strain 0.15 to 0.4.
  • carbon (C) + nitrogen (N): may include 0.05% or less (excluding 0).
  • carbon (C) + nitrogen (N): may include 0.03% or less (excluding 0).
  • the ASTM grain size may be 8 or les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delayed fracture after molding, even in the corner portion with a large amount of processing in processing with a sink bowl us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the true strain rate and the work hardening rate is controlled.
  • FIG. 1 is a photograph of the corner portion after the sink bowl processing with a conventional austenitic stainless steel.
  • Figure 2 is a photograph of the corner portion after the sink bowl process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ue strain rate and the work hardening rat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workability in weight percent, silicon (Si): 0.1 to 0.65%, manganese (Mn): 0.2 to 3.0%, nickel (Ni): 6.5 to 10.0 %, Chromium (Cr): 16.5 to 20.0%, copper (Cu): 6.0% or less (excluding 0), carbon (C) + nitrogen (N): 0.08% or less (excluding 0), the rest is Fe and unavoidable It contains impurities and has a work hardening rate of 1500 MPa or less in the range of true strain 0.15 to 0.4.
  •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workability in weight percent, silicon (Si): 0.1 to 0.65%, manganese (Mn): 0.2 to 3.0%, nickel (Ni): 6.5 to 10.0 %, Chromium (Cr): 16.5 to 20.0%, copper (Cu): 6.0% or less (excluding 0), carbon (C) + nitrogen (N): 0.08% or less (excluding 0), the rest is Fe and unavoidable Contains impurities.
  • Silicon (Si) is added by adjusting in the range of 0.1 to 0.65% by weight.
  • Silicon (Si) is an element that is essentially added for the deoxidation, and because it is expensive in the steelmaking process to control the content in too low amount, it is limited to 0.1% or more.
  • Si is a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lement, which increases its strength and hardens the material.
  • the upper limit is limited to 0.65% because corrosion resistance is lowered by forming inclusions in combination with oxygen.
  • Manganese (Mn) is added by adjusting in the range of 0.2 to 3.0% by weight.
  • Manganese (Mn) is not only essential for deoxidation, but also increases the stabilization of austenite phase and reduces the amount of ferrite or martensite formation, and it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work hardening rate. Therefore, 0.2% or more is added.
  • Mn is a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lement, and excessively high content of Mn may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teel, and lower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material, so the upper limit thereof is limited to 3.0%.
  • Nickel (Ni) is added by adjusting in the range of 6.5 to 10.0% by weight.
  • Nickel (Ni) is not only effective in improving corrosion resistance such as corrosion resistance by adding chromium (Cr) in combination, but also increasing the content thereof, thereby reducing the rate of soft nitriding and work hardening of austenitic steel.
  • nickel (Ni) is an element that increases the degree of stabilization of the austenite phase and reduces the amount of ferrite or martensite produced in the steel pipe, and 6.5% or more is added to maintain the austenite balance.
  • Ni nickel
  • Chromium (Cr) is added in a controlled range of 16.5 to 20.0% by weight.
  • Chromium (Cr) is an essential element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stainless steel, and more than 16.5% must be added to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 Cr is a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lement, and an excessively high content of Cr causes an increase in cost, so the upper limit is limited to 20.0%.
  • Copper (Cu) is added in a controlled range of 6.0% by weight or less (excluding 0).
  • Copper (Cu)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rate of soft nitriding and work hardening of austenitic steel, and is an element that reduces the amount of ferrite or martensite produced in the steel, it is preferable to add it.
  • Carbon (C) + nitrogen (N) should be added at 0.08% by weight or less (excluding 0).
  • Carbon (C) and nitrogen (N) are not only harden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s as intrusion-type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lements, but if their contents are high, they harden the strained organic martensite generated during processing to increase the work hardening of the material. Done.
  • the present invention limits the content of C + N to 0.08% or less.
  • the content of carbon (C) and nitrogen (N) may preferably be 0.05% or less (excluding 0), and more preferably, carbon (C) and nitrogen (N).
  • the content of may be 0.03% or less (excluding 0).
  •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s a work hardening rate of 1,500 MPa or less in a true strain range of 0.15 to 0.4.
  • FIG. 2 is a photograph of the corner portion after the sink bowl process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shows that delayed fracture does not occur after molding even at the corners having a large amount of processing when the stainless steel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ink bowl processing having the shape as shown in FIG. 1.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ue strain rate and the work hardening rat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shows the work hardening rate according to the true strain after the uniaxial tensile test of conventional stainless steel and stainless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ventional stainless steel shows that the process hardening rate is increased more than 1,500 MPa in the true strain rate of 0.15 or more and 0.4 or less, while the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tained at 1,500 MPa or less.
  • machining of stainless steel causes work hardening. Since delayed fracture occurs when a large amount of processing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examined the work hardening in the range of 0.15 or more and 0.4 or less in true strain.
  • Work hardening is quantitatively expressed as the work hardening rate, which is the ratio of the change of true stress to the change of true strain in stainless steel. Referring to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in the stainless steel used in the prior art, the work hardening rate was 1,500 MPa or more in the range of true strain 0.15 or more and 0.4 or less.
  • the work hardening rate was calculated from the true strain and true stress values obtained by uniaxial tensile test until the fracture after processing the tensile test specimen according to JIS13B, JIS5 standards and the like.
  • Tensile specifications can be anything and are merely examples.
  • the delayed destruction can actually be processed into a sink bowl shape, and it can be seen after processing into a simple cup shape with a diameter of 50mm and a height of 100mm.
  • the ASTM grain size number of the stainless steel may be 8 or less.
  • the grain size is the grain size measured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tainless steel pipe.
  • the stainless steel may have a ferrite phase fraction of less than 1%, and the stainless steel may have a martensite phase fraction of less than 1%. That is, the stainless steel has a ferrite or martensite fraction measured by the magnetization method of less than 1%.
  • the cold rolled steel sheet was used to process the sink bowl, and the work hardening rate of the steel sheet was measured.
  • the delayed fracture after the sink bowl was visually observed and shown in Table 2 below.
  • Table 1 and Table 2 show that the delayed fracture does not occur in the stainless steel prepared by adjusting the component range and work hardening rat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wo comparative examples of stainless steels used in the related art did not satisfy the processing hardening rate of 1,500 MPa or less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it was found that delayed fracture occurred.
  • FIG. 1 is a photograph of the corner portion after the sink bowl processing wi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 Figure 2 is a corner portion after the sink bowl processing wi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Example 1
  • One picture. 3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ue strain rate and the work hardening rat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applicable to sink bowls of kitchen s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된다. 개시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0.2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0.0%, 크롬(Cr): 16.5 내지 20.0%,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08%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진변형률 0.15 내지 0.4 범위에서 가공경화속도가 1,500 MPa 이하이다. 따라서, 진변형률과 가공경화속도가 제어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여 싱크 보울 등으로 가공함에 있어서, 가공량이 많은 모서리 부분에서도 성형 후에 지연파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본 발명은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잡한 형상으로 가공하더라도 지연파괴 등의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 보울 등으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 보울로 가공함에 있어서 지연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가공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
주방용 싱크대의 싱크 보울에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된다. 주로 특정 범용 스테인리스강들이 사용되는데, 일반적인 싱크 보울의 형상에는 성형성에 문제가 없어 널리 사용되는 편이다.
그러나 최근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형상의 싱크 보울을 설계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문제는 종래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을 그대로 적용 시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싱크 보울의 성형 후 지연파괴가 발생하는 문제가 대두된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싱크 보울 가공 후 모서리 부분을 촬영한 사진이다.
지연파괴는 강판의 가공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터짐이 발생하는 것으로서 가공된 형상에 따라 가공량이 많은 부분에서 주로 발생한다.
통상,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고가공성이지만, 가공율이 한계를 넘으면 시효균열이라는 지연파괴가 발생한다. 이러한 균열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딥드로잉 가공후에 수분에서 수개월 지난후에 발생하며, 딥드로잉 방향에 직선적으로 진행하지만, 미시적으로 보면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입계입내에 관계없이 지그재그 형태로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복잡한 형상으로 가공하더라도 지연파괴 등의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가공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허문헌 0001) 한국 공개특허문헌 제10-2014-0131214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싱크 보울로 가공함에 있어서 지연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0.2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0.0%, 크롬(Cr): 16.5 내지 20.0%,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08%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진변형률 0.15 내지 0.4 범위에서 가공경화속도가 1500 MPa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C)+질소(N): 0.05% 이하(0은 제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C)+질소(N): 0.03% 이하(0은 제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STM 결정입도 번호가 8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강관은 페라이트 상분율 또는 마르텐사이트 상분율이 1%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진변형률과 가공경화속도가 제어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여 싱크 보울 등으로 가공함에 있어서, 가공량이 많은 모서리 부분에서도 성형 후에 지연파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싱크 보울 가공 후 모서리 부분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싱크 보울 가공 후 모서리 부분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진변형률과 가공경화속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0.2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0.0%, 크롬(Cr): 16.5 내지 20.0%,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08%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진변형률 0.15 내지 0.4 범위에서 가공경화속도가 1500 MPa 이하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0.2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0.0%, 크롬(Cr): 16.5 내지 20.0%,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08%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수치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리콘(Si)은 0.1 내지 0.65 중량%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실리콘(Si)은 탈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첨가되는 원소이며, 그 함량을 너무 낮은 양으로 제어하려면 제강 공정에 있어서 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므로, 0.1% 이상으로 한정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Si를 첨가하는 경우 Si은 고용 강화 원소로서 강도가 높아져 소재가 경질화되며, 산소와 결합하여 개재물을 형성함으로써 내식성이 저하되므로 그 상한을 0.65%로 제한한다.
망간(Mn)은 0.2 내지 3.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망간(Mn)은 탈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첨가 될 뿐만 아니라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도를 증가시키며 페라이트 혹은 마르텐사이트 생성량을 줄여 주는 원소이며, 가공경화 속도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어, 0.2% 이상을 첨가한다.
그러나, Mn은 고용 강화 원소로서,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Mn 첨가는 강의 강도 증가의 우려가 있으며, 소재의 내식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상한은 3.0%로 제한한다.
니켈(Ni)은 6.5 내지 10.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니켈(Ni)은 크롬(Cr)과 복합 첨가함으로써 내공식성과 같은 내식성의 개선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함유량이 증가하면 오스테나이트강의 연질화 및 가공경화 속도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니켈(Ni)은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도를 증가시키며 강관의 페라이트 혹은 마르텐사이트 생성량을 줄여 주는 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 밸런스 유지를 위하여 6.5% 이상을 첨가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니켈(Ni) 첨가는 강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상한을 10.0%로 제한한다.
크롬(Cr)은 16.5 내지 20.0 중량%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크롬(Cr)은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필수적인 원소로서 범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16.5% 이상이 첨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Cr은 고용 강화 원소로서,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Cr 첨가는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상한을 20.0%로 제한한다.
구리(Cu)는 6.0 중량% 이하(0은 제외)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
구리(Cu)는 오스테나이트강의 연질화 및 가공경화 속도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강의 페라이트 혹은 마르텐사이트 생성량을 줄여 주는 원소로서, 이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구리(Cu) 첨가는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키고, 오히려 오스테나이트상을 경질화시킬 수 있으며, 비용의 상승 및 제조 난이도를 상승시키므로 그 상한을 6.0%로 제한한다.
탄소(C)+질소(N)는 0.08 중량% 이하(0은 제외)로 첨가되어야 한다.
탄소(C)와 질소(N)는 침입형 고용강화 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경질화 시킬 뿐만 아니라, 그 함량이 높으면 가공 시 발생하는 변형유기 마르텐사이트를 경질화하여 소재의 가공 경화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탄소(C) 및 질소(N)의 함량을 제한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C+N의 함량을 0.08% 이하로 제한한다. 소재의 경질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탄소(C) 및 질소(N)의 함량은 0.05% 이하(0은 제외) 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C) 및 질소(N)의 함량은 0.03% 이하(0은 제외)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진변형률 0.15 내지 0.4 범위에서 가공경화속도가 1,500 MPa 이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싱크 보울 가공 후 모서리 부분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도 1과 같은 형상의 싱크 보울 가공 시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스테인리스강 적용 시 가공량이 많은 모서리 부분에서도 성형 후 지연파괴가 발생하지 않은 것을 보여 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진변형률과 가공경화속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종래의 스테인리스강과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강의 1축 인장시험 후 진변형률에 따른 가공경화속도를 보여 준다. 종래의 스테인리스강은 진변형률 0.15 이상 0.4 이하 범위에서 가공경화속도가 오히려 증가하여 1,500 MPa 이상이 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강은 1,500 MPa 이하로 유지됨을 보여 준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을 가공하면 가공경화가 발생한다. 지연파괴는 가공량이 많을 경우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진변형률로 0.15 이상 0.4 이하인 범위에서 가공경화를 살펴 보았다.
가공경화는 스테인리스강의 진변형률 변화 대비 진응력의 변화의 비인 가공경화 속도로 정량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에 사용되던 스테인리스강에서는 가공경화 속도가 진변형률 0.15 이상 0.4 이하인 범위에서 1,500MPa 이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진변형률 0.15 이상 0.4 이하인 범위에서 가공경화 속도를 1,500MPa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가공 후에도 지연파괴가 발생하지 않아 가공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을 얻을 수 있었다.
가공경화 속도는 판재를 JIS13B, JIS5 규격 등에 따라 인장시편을 가공한 후 파단 시까지 1축 인장시험을 하여 얻은 진변형률과 진응력 값으로 계산하였다. 인장 규격은 무엇으로 해도 무방하며 단지 예를 든 것이다. 지연파괴는 실제로 싱크 보울 형상으로 가공하여 볼 수도 있으며, 직경 50mm, 높이 100mm의 간단한 컵 형상으로 가공 후 보는 것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스테인리스강의 ASTM 결정입도 번호가 8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결정입도는 상기 스테인리스 강관의 길이방향 단면에서 측정한 결정입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페라이트 상분율이 1% 미만일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마르텐사이트 상분율이 1% 미만일 수 있다. 즉,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자화 방식으로 측정한 페라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 분율이 1% 미만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발명예1 내지 발명예11, 그리고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성분을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슬라브를 연속 주조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열간 압연 및, 50% 총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거쳐, 냉연 강판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C Si Mn Ni Cr Cu N
발명예1 0.012 0.3 0.7 7.8 16.9 3.01 0.008
발명예2 0.010 0.3 1.2 9.6 16.8 0.00 0.010
발명예3 0.010 0.3 1.2 8.7 16.9 3.00 0.010
발명예4 0.010 0.3 1.2 9.6 16.9 2.98 0.010
발명예5 0.009 0.6 1.2 7.5 17.0 2.98 0.010
발명예6 0.010 0.3 1.8 7.6 16.8 3.00 0.010
발명예7 0.010 0.3 1.1 7.6 17.2 3.03 0.010
발명예8 0.010 0.3 2.2 7.6 16.9 3.00 0.010
발명예9 0.012 0.3 0.7 7.8 16.9 3.01 0.008
발명예10 0.010 0.3 1.2 9.6 16.8 0.00 0.010
발명예11 0.010 0.6 1.2 7.6 16.9 5.00 0.010
비교예1 0.040 0.6 1.2 8.1 18.1 0.00 0.040
비교예2 0.030 0.6 1.2 7.6 16.9 5.00 0.030
이후, 냉연 강판을 이용하여 싱크 보울로의 가공을 수행하였으며, 상기 강판의 가공경화 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싱크 보울로 가공후 지연파괴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가공경화 속도(MPa) 지연파괴 유무
발명예1 1033 X
발명예2 1020 X
발명예3 1029 X
발명예4 1433 X
발명예5 1604 X
발명예6 961 X
발명예7 1193 X
발명예8 1204 X
발명예9 1036 X
발명예10 1013 X
발명예11 992 X
비교예1 2106 O
비교예2 1601 O
상기 표 1 및 표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성분 범위와 가공경화 속도를 맞추어 제조한 스테인리스강은 지연파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여 준다. 반면 종래에 사용되는 스테인리강 비교예 2종은 동 조건에서 가공경화속도가 1,500MPa 이하를 만족하지 못하고 지연파괴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상기 비교예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싱크 보울 가공 후 모서리 부분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2는 상기 발명예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싱크 보울 가공 후 모서리 부분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상기 비교예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상기 발명예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진변형률과 가공경화속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변형율 및 가공경화 속도의 범위 내에서 가공 후에도 지연파괴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주방용 싱크대의 싱크 보울 등에 적용 가능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5)

  1.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0.2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0.0%, 크롬(Cr): 16.5 내지 20.0%,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08%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진변형률 0.15 내지 0.4 범위에서 가공경화속도가 1500 MPa 이하인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2. 제1항에 있어서,
    탄소(C)+질소(N): 0.05% 이하(0은 제외)를 포함하는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3. 제2항에 있어서,
    탄소(C)+질소(N): 0.03% 이하(0은 제외)를 포함하는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4. 제1항에 있어서,
    ASTM 결정입도 번호가 8 이하인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5. 제1항에 있어서,
    페라이트 상분율 또는 마르텐사이트 상분율이 1% 미만인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PCT/KR2016/015024 2015-12-23 2016-12-21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WO20171114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2018000974A MY189629A (en) 2015-12-23 2016-12-21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US16/065,710 US20190010588A1 (en) 2015-12-23 2016-12-21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EP16879334.7A EP3396001B1 (en) 2015-12-23 2016-12-21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CN201680070348.5A CN108291289B (zh) 2015-12-23 2016-12-21 具有改善的可加工性的奥氏体不锈钢
JP2018529145A JP6796134B2 (ja) 2015-12-23 2016-12-21 加工性が向上し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668 2015-12-23
KR1020150184668A KR101756701B1 (ko) 2015-12-23 2015-12-23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1467A1 true WO2017111467A1 (ko) 2017-06-29

Family

ID=5909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5024 WO2017111467A1 (ko) 2015-12-23 2016-12-21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010588A1 (ko)
EP (1) EP3396001B1 (ko)
JP (1) JP6796134B2 (ko)
KR (1) KR101756701B1 (ko)
CN (1) CN108291289B (ko)
MY (1) MY189629A (ko)
WO (1) WO20171114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906B1 (ko) * 2019-07-17 2021-06-25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가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700A (ja) * 2003-02-07 2004-08-26 Nisshin Steel Co Ltd 表面平滑性の良好なプレス成形品に適し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2008169423A (ja) * 2007-01-10 2008-07-24 Nisshin Steel Co Ltd 曲げ加工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KR20100097741A (ko) * 2008-01-22 2010-09-03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가공성과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174948A1 (en) * 2010-07-07 2013-07-11 Ugitech Austenite-ferrite stainless steel of improved machinability
CN103380224A (zh) * 2011-03-29 2013-10-30 新日铁住金不锈钢株式会社 耐蚀性及钎焊性优异的奥氏体系不锈钢
KR20140131214A (ko) 2013-05-03 2014-11-12 주식회사 포스코 시효균열 저항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9108B2 (ja) * 1996-10-14 2006-11-01 日新製鋼株式会社 打抜き後の加工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DE60131083T2 (de) * 2000-08-01 2008-08-07 Nisshin Steel Co., Ltd. Ölzufuhrrohr aus rostfreiem stahl
AU2001276679A1 (en) * 2000-08-01 2002-02-13 Nisshin Steel Co. Ltd. Stainless steel fuel tank for automobile
JP2002097555A (ja) * 2000-09-25 2002-04-02 Nisshin Steel Co Ltd ステンレス鋼製形鋼
JP2003221660A (ja) * 2002-01-31 2003-08-08 Nisshin Steel Co Ltd 溶融Alめっきステンレス鋼板製の車両用燃料タンク
JP5355905B2 (ja) * 2007-04-10 2013-11-27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衝撃吸収特性、形状凍結性及びフランジ部切断性に優れた、自動車、二輪車または鉄道車両用構造部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842825B1 (ko) * 2014-04-17 2018-03-27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9186B1 (ko) * 2014-12-26 2016-09-23 주식회사 포스코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700A (ja) * 2003-02-07 2004-08-26 Nisshin Steel Co Ltd 表面平滑性の良好なプレス成形品に適し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2008169423A (ja) * 2007-01-10 2008-07-24 Nisshin Steel Co Ltd 曲げ加工用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KR20100097741A (ko) * 2008-01-22 2010-09-03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가공성과 충격 흡수 특성이 우수한 구조 부재용 페라이트ㆍ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174948A1 (en) * 2010-07-07 2013-07-11 Ugitech Austenite-ferrite stainless steel of improved machinability
CN103380224A (zh) * 2011-03-29 2013-10-30 新日铁住金不锈钢株式会社 耐蚀性及钎焊性优异的奥氏体系不锈钢
KR20140131214A (ko) 2013-05-03 2014-11-12 주식회사 포스코 시효균열 저항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396001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91289B (zh) 2020-10-02
KR101756701B1 (ko) 2017-07-12
EP3396001B1 (en) 2021-09-22
KR20170075840A (ko) 2017-07-04
EP3396001A1 (en) 2018-10-31
EP3396001A4 (en) 2019-01-23
JP2019501289A (ja) 2019-01-17
US20190010588A1 (en) 2019-01-10
JP6796134B2 (ja) 2020-12-02
MY189629A (en) 2022-02-22
CN108291289A (zh)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04974A1 (ko)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177540B1 (ko) 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고Mn 스텐레스강
WO2017111461A1 (ko) 주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WO2020054999A1 (ko) 확관가공성 및 내시효균열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WO2016105094A1 (ko) 항복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903174B1 (ko)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저합금 강판
WO2019039768A1 (ko) 열간가공성 및 내수소취성이 우수한 저ni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WO2018117477A1 (ko) 내식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111251A1 (ko) 내크립 특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111467A1 (ko)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WO2019039715A1 (ko) 가공성 및 내시효균열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를 이용한 드로잉 가공품
WO2016105092A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767762B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3022351A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WO2017209431A1 (ko) 내식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085687A1 (ko) 클램프용 고강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21125564A1 (ko) 클램프용 고강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9112152A1 (ko) 성형성 및 내시효균열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WO2018030690A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WO2019124690A1 (ko) 확관 가공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4098301A1 (ko) 경도와 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WO2019117465A1 (ko)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WO2017111437A1 (ko)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6105067A1 (ko) 가공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6104973A1 (ko) 심가공 특성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793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29145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