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65549A1 -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 Google Patents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65549A1
WO2017065549A1 PCT/KR2016/011539 KR2016011539W WO2017065549A1 WO 2017065549 A1 WO2017065549 A1 WO 2017065549A1 KR 2016011539 W KR2016011539 W KR 2016011539W WO 2017065549 A1 WO2017065549 A1 WO 201706554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situation
unit
no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15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덕용
정옥현
장흥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블루카이트주식회사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417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4403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블루카이트주식회사,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EP16855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364391A1/en
Publication of WO201706554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65549A1/ko
Priority to US15/953,393 priority patent/US2018023304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based system) using an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attached to a street lamp for 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informing the emergency situation on the road or informing that the emergency vehicle is driving.
  • a certain section may suddenly cause a delay or congestion.
  • a vehicle traveling in a smooth communication section suddenly encounters a delay or congestion, it may collide with the vehicle ahead because it does not reduce its speed.
  • 'emergency vehicles' vehicles that require emergency dispatch
  • the neighboring vehicles are informed of the progress of the emergency vehicle, thereby inducing concession driving so that the surrounding general vehicles do not interfere with the driving route of the emergency vehicle.
  • the flashing lights and sirens of the emergency vehicle itself may be recognized only by the drivers of the nearby general vehicles, and they may not be recognized quickly (or clearly), so that the general vehicle may not be able to escape from the driving route of the emergency vehicle. It often happens.
  • emergency vehicles such as a police car, a fire engine, an ambulance, and the like are being driven, so that when an accident occurs, Roads using emergency indicators that allow emergency vehicles to arrive at the accident site quickly within the Golden Time, which means the time to save time, can take immediate rescue measures against the accident and transfer them to the hospital quickly.
  • Golden Time which means the time to save time
  • An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and vehicle information for notifying when an emergency occurs, or informing of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 the lamp When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and vehicle information are received, the lamp lights up or flashe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center server, and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other emergency display devices by a predetermined number.
  • An emergency display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other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s in the vicinity;
  • the control center server controls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to correspond to the type of emergency situation and shares necessary information with other agency centers.
  • an accident notification signal can be quickly notified to the surrounding vehicles so that a second accident occurs.
  •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such as the caution notification signal and emergency signal such as emergency evacuation signal when emergency evacuation is necessary due to disaster or air strike.
  • emergency vehicles such as police cars, fire trucks, and ambulances can be quickly and clearly identified to vehicles in the driving route of the emergency vehicle, so that the emergency vehicle can quickly arrive at the accident site for relief actions and transport. It can be effective.
  •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has a structure installed on a pole of a street lamp.
  • the street lamp as a medium for communication means, a conventional inter-vehicle communication method or the like.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roa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using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attached to the street la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first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of FIG.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of FIG.
  •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of FIG.
  •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roa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using an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attached to a street lam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of the first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of FIG.
  •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7.
  •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roa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using an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attached to a street lam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of FIG.
  • 1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first example of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value applicable to the roa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1;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 FIG. 14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xample of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oa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of FIG.
  • 16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 third example of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oa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roa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using an emergency display device attached to a street lam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 a user-side device provided for each user who may be present in a vehicle of a plurality of users,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200 for generating a radio signal for informing an emergency situa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200 for generating a radio signal for informing an emergency situa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for example, as a facility installed in a street lamp pole of a street lamp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 and receives the radio signal of th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2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to inform the emergency situation
  • An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100 which performs a lighting or flashing operation;
  • a control center serv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emergency display apparatus 100 and determining a reception position of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mergency display apparatus 100 and transferring the information to another authority, for example.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12).
  •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201 (hereinafter, may be abbreviated as 'first notification device').
  • a first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201 hereinafter, may be abbreviated as 'first notification device'
  •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202 hereinafter, abbreviated as 'second notification device'
  • Both the first and second notification devices 201 and 202 detect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while driving, and transmit vehicle information and registrant information, including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n accident notification, or receive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outside. When received, it informs you of this.
  • the first notification device 201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n emergency button for receiving an emergency situation directly from the user, and additionally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emergency button when the corresponding emergency button is turned on. do.
  • the first notification device 201 having the emergency button may be provided only to a user who is separately authorized in advance.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100 (hereinafter, may be abbreviated as 'display device') is turned on or flashes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type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and vehicle information are received, and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And to transmit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o another emergency display device within a predetermined number, and to deliver the signal to other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s in the vicinity.
  •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controls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100 to correspond to the type of emergency situation, for example, a police station, a fire station, a hospital, a traffic signal control center ( 31, 32, 33, 34) to share the necessary information with other agency centers.
  • the type of emergency situation for example, a police station, a fire station, a hospital, a traffic signal control center ( 31, 32, 33, 34) to share the necessary information with other agency centers.
  • control center server 12 may be connected to the gateway 10 through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may have a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ng with each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gateway 10.
  • the first and second notification devices 201 and 202 may be, for example, an acceleration sensor 211, an acoustic sensor 212, an impact sensor 213, and a vibration sensor (
  • a sensor unit 240 formed of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ensors such as 214 to detect an accident;
  •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device registrant for example, a registrant information storage unit 222 that stores name, blood type, age, gender, vehicle number, vehicle number, etc .;
  •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240 for informing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 a driving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for stor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210 and the GPS module 240;
  •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 from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 a voice output unit 203 configured to include a speaker to inform the user of the contents corresponding
  • the registrant information stored in the registrant information storage unit 222 may be registered in advance through a separate information input device, etc. at each establishment when the corresponding notification device is provided to the user.
  • the power supply unit 230 may have a structure using a detachable portable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as a main operating power, and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230 is connected to a cigar jack or a USB jack of the vehicle to receive operating power. May have
  • the first notification device 201 includes all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notification device 20, and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unit 206.
  • the emergency button 206 an accident notification button (not shown) for informing when an accident occurs, a notice notification button (not shown) for notifying the driver when attention is required during operation, such as road surface slip, emergency An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button (not shown) for notifying that the vehicle is driving, an emergency evacuation notification button (not shown) for notifying a disaster or air strike, and the like may be configured.
  • the first notification device 201 may be installed in an emergency vehicle, and the second notification device 202 may be installed in a general vehicle. Therefore,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may be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but only the accident notific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in the second notification device 201 for a general vehicle.
  •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button is pressed in the emergency button unit 206 of the first notification device 201 which may be installed in the emergency vehicle
  •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vehicle along with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signal and Servic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gether.
  •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can accurately know the position of the emergency vehicle.
  •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notification apparatus 200 and other display apparatuses. 102); An emergency situation display unit (hereinafter, abbreviated as “emergency lamp”) configured to perform a display operation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composed of LEDs 13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 for example, when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he information of the registrant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 driving information storage unit received from the notification device 2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an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1 for controlling to turn on or flashing the emergency display 130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05 for supplying power to each of the parts.
  • a power supply unit 105 for supplying power to each of the parts.
  • a warning sound output unit 140 may be provided to configure a speaker or the like to notify the user of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as a warning sound (including voice), and the control unit 101 outputs the warning s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emergency situation.
  • the unit 140 may control to output an appropriate warning sound.
  • control unit 101 is to transmit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o another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within a predetermined number, and also transmits this signal to other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s around;
  •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 lights or flashes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emergency situation type;
  •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within a predetermined number, and may also be controlled to deliver this signal to other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s 200 in the vicinity.
  • the emergency display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installed as a street lamp, a street lamp, or a single lamp.
  • the power supply unit 105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wer supplied to the installed street light is branched.
  • a large-capacity rechargeable battery or the like may be provided, even when power supply to the street light is cut off. It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can operate separately from the street light.
  •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vehicle traveling on a road, but this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two-wheeled vehicle or other moving means, and in addition to the moving means, the user includes all of the user to carry the emergency generating device directly. It may be understood as.
  • the notification device 200 mounted on the vehicle detects that an accident occurs using various conditions. For example, the controller 201 of the notification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by detecting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211 and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value. In addition, if the sound sensor 212 detects a volume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volume, it may be determined as an accident situation. In addition, when a shock or vibration applied to the vehicle by the shock sensor 213 or the vibration sensor 214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as an accident situation.
  • the acceleration sensor, the acoustic sensor, the shock sensor, and the vibration sensor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 other sensing means that is, a tilt sensor or an airbag sensor may be implemented.
  • the accident situation determination may be made through any one sensor but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nsors.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the GPS module 240 can know the driving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driving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control unit 201 transmits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2.
  •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each sensor at the time when the accident is detected that is, the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volume information, impact information, vibr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by the GPS module 240, and the registrant information storage unit.
  • the vehicle number, vehicle number, registrant name, blood type, age, and gender information stored in 222 are also transmitted.
  • the type of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202 may be one type of an accident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n accident occurrence.
  • control unit 101 of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100 receives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the registrant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 through the gateway 10 to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unit 130 is turned on or flashes to correspond to the accident notification as preset, and the alarm sound output unit 140 controls the alarm sound output operation to notify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 an accident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another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which may b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accident vehicle or in the rear side o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accident vehicle so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unit located at the rear side lights or flashes correspondingly.
  • the accident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only to the rear side emergency display device within a predetermined number, and the transmitted distance may be 1km to 3km.
  • the distanc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vehicle driving speed and the type of road may be arbitrarily adjusted, for example, so that a signal may be transmitted at 1 km to 5 km.
  •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recognizing that the emergency display is turned on or blinking may know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front.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 100 is turned on or flashes from the point of the accident vehicle to the rear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recognizes that an accident occurs in front of the vehicle to prevent the second accident.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100 is the emergency situation indicator near the point where the vehicle accident or emergency occurred, the relatively fast flashing speed, the flashing speed gradually increases as the distance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y slowing down, the vehicles behind the vehicle may be able to determine the distance to the point where the accident or the emergency occurred through the blinking time interval of the emergency indicator 100.
  • the emergency display apparatus 100 that directly receives the promotion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emergency notification apparatus 200 may realize the fastest blinking speed and different signal colors from other display apparatuses.
  •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100 when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and sends it to the surroundings. Therefore,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200 installed in the rear vehicle receives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 100 and informs the driver of this. At this time, the voice output unit 203 informs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front by voice, and indicates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front by lighting or blinking the warning display unit 204.
  •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recognizes that an accident occurs in front of the driver within a short time so that the driver can drive carefully. This prevents secondary accidents.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 100 transmits the received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vehicle status information, registrant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 the control center 12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by receiv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vehicle status information, registrant information, etc. from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100, depending on the situation, hospital, fire department, Share necessary information with other agency centers, such as police stations.
  •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 100 may also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mptly and efficiently share the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an accident detection location and accident information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n accident is detected to the relevant center, and can perform a quick and efficient accident processing and rescue operation.
  • the driver who has received the information on the accident is the emergency button unit 206 of the first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201 installed in the ambulance. After pressing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button, the vehicle may be departed.
  • the control unit 201 of the first notification device 201 transmits an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2.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vehicle is transmitted together.
  • the control unit of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 near the ambulance transmits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signal,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veh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center server through the gateway.
  • the emergency situation indicator is turned on or flashes in response to the driving notification signal.
  •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located in the front side o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ambulance so that the front emergency situation display unit lights or flashes correspondingly.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located in the front side is transmit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a distance arbitrarily set according to the vehicle's driving speed, traffic volume, etc.
  • the distance may be 1km to 5km.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es 100 may turn on or flash the emergency situation indicator 130 from the point of the ambulance vehicle to a predetermined distance ahead so that the driver of the front vehicle may recognize that the ambulance vehicle is coming behind. have.
  • control of turning on or flashing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unit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from the ambulance vehicle point to a preset distance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 the first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for emergency vehicles that can be allocated to an emergency vehicle, for example, a police car, an ambulance, a fire truck, a road management car, etc., is provided with several buttons according to the type of accident.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unit 130 of the display device 130 has a different color. It can be operated to turn on or blink.
  • the emergency display 1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 elements for emitting a plurality of colors (for example, red and blue) for this purpose)
  • the driver recognizes this and slows down the vehicle speed.
  • the yellow light blinks. Slows the vehicle down.
  •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button is pressed, in which case the green light (Green) is flashing. Recognizing this, the driver changes lanes so that the emergency vehicle can run smoothly.
  • Green green light
  • the blinking speed of the emergency display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gnal type.
  •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roa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using an emergency display device attached to a street lam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latfor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5 is most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but additionally, th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s 201 and 202 may be, for example, a smartphone or the like.
  • th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s 201 and 202 may not only perform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100 but also add a function and a structure to transmit the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have.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can confirm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even through such information.
  • an infrastructure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dd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 FIG. 6 is a block diagram of, for example, the first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201 of FIG. 5.
  • the first notification device 201 illustrated in FIG. 6 includes all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and also includes a short range such as Bluetooth 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50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s further provided.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50 transmits and receive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martphone).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5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second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202.
  •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martphone) in FIG. 5.
  • the smartphone 300 is the control unit 301, touch screen 330, key input unit 370, audio processing unit 380, mobile communication unit 310, GPS module 340, imaging unit 36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orage 320,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350.
  • the touch screen 33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not shown) that performs a display function for output information output from a corresponding smartphone, and an input sensing panel (not shown) that performs various input functions by a user.
  • the key input unit 370 is provided with keys for a plurality of operation manipulations which are mechanically provided in the exterior housing of the corresponding smartphone to receive a user's manipulation.
  • the audio processor 380 includes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f the smart phone and a microphone for collecting an audio signal. Processes the input and output audio signals.
  •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310 may perform a wireless signal processing oper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may include an antenna, an RF unit, and a modem.
  • the GPS module 340 may calculate the current loc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 the imaging unit 360 captures a subject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350 perform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such as a wireless LAN module, Wi-Fi Direct,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luetooth, etc., at a place where a wireless access point (AP) is installed. It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or the like, or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peripheral devices wirelessly.
  • the storage unit 320 is a touch screen 330, a key input unit 370, an audio processing unit 380, a mobile communication unit 310, a GPS module 340, an imaging unit 360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1 and
  •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350 may store a signal or data.
  • the storage 320 may store a control program and an application (app) for controlling the smartphone or the controller 310.
  • the controller 30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smartphone by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respective functional units.
  •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spective internal functional units of the smartphone 300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most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uch as a conventional smartphone.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350 performs a function of communicating wit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s 201 and 202 that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for example.
  • the storage 320 may store in advance an emergency notification app (application) 332 for the smart phone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mergency notification application 332 may be previously downloaded and stored from an app providing server (not show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be executed according to an application execution operation by a user of the corresponding smartphone.
  •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a navigation app (application) 331 for performing a navigation function in advance, and the naviga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execution operation.
  • the control unit 301 of the smart phone 300 may display an execution related screen through the touch screen 330 or receive an execution operation from a user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an emergency notification application,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350 Receive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201, 202) through th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controller 301 may transmit its lo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checked through the GPS module 340 together.
  •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s 201 and 202 need not be separately provided with the GPS module 240. In this case, it may be possible to manufacture an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at a lower cost.
  •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is provided from th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201, 202) through two different network paths, that is, a path using a gateway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ath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be seen that the received information. In such a configuration, it may be configured not to perform the information transfer procedure from the path using the gateway and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However, in consideration of communication error conditions in any one path, both network paths may be used for more accurate information transfer.
  • the smart phone 300 when the smart phone 300 can perform the navigation function, it may be able to perform an emergency notificatio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navigation.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navigation unit 331 for performing a navigation function is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320 of the smartphone 300, and the naviga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execution operation. have.
  • Navigation is a device that integrates GP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driving a car, and display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erson on the map using latitude / longitud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PS.
  • the vehicle needs a variety of driving conditions such a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the destination to be traveled,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the current moving speed of the vehicle, the path set before the user runs, and the optimum path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 the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using the navigation function is as follows.
  • the driver of the emergency vehicle operates the emergency notification application by operating the smartphone 300 before departure. Thereafter, the user selects a destination to go to by executing a navigation, selects an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button of the first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201, and starts an emergency vehicle.
  • control unit 201 of the first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201 transmits an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2 and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50.
  • the controller of the surrounding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100 having received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signal transmits it to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through the gateway 10 and responds to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signal as preset. Make the status display light up or flash.
  •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located in the front side o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mergency vehicle so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unit of the front display device is turned on or flashes correspondingly.
  • control unit 301 of the smart phone 300 that has received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signal transmits the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confirmed through the navigation to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together with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signal. do.
  •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may check the progress route of the emergency vehicle by applying the route coordinate information to a map map provided in advance. Thereafter,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may control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on the progress path of the emergency vehicle to perform an appropriate alarm operation.
  •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in conjunction with the traffic signal control center 34 is possible.
  • the traffic light signal is blue in advance so that when the emergency vehicle enters the intersection, the traffic light is 'go'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emergency vehicle. You can also control.
  • the traffic signal may be controlled in advance so that the state of the traffic light turns left. This allows emergency vehicles to arrive at the accident more quickly.
  • another route that can travel faster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mart phone.
  • the vehicle in addition to the emergency vehicle, the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navigation device, the vehicle driver may use such a separate navigation device.
  • the smart phone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corresponding navigation device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to receive a route coordinate for a driving route and control the provided route coordinates. It can perform the operation provided by.
  • th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that is, the emergency notification function may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by the smartphone 300.
  •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s 201 and 202 may not be provided in a vehicle or the like.
  • FIG. 8 is an exemplary view of an operation screen of the smartphone 300 of FIG. 7, and may be, for example, an initial screen of an execution screen of an emergency notification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300.
  • the initial execution screen 3300 of the emergency application includes a first input item 3301 for operating an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function and a second input item 3302 for opera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function. It may be provided, and may receive a touch input for such items from a user to perform a function according to it.
  •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put item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second input item 3302 for manipulating the emergency notification function may include more detailed items, such as 'accident notification', 'caution notification', and 'emergency evacuation notific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separated information for each of the details.
  •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can be implemented in advance to perform both, the smart phone can perform both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operation accordingly.
  • the smart phone can perform both the emergency vehicle driving notifica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operation accordingly.
  •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only one of these function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implementation.
  • control unit 301 of the smart phone 300 may have a function of detecting an accident through a sensor unit (not shown) that may be provided in the smart phone itself, and the registrant information is also stored in advance. Can be.
  • th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only the accident detection and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corresponding thereto, the smart phone 300 us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accident detection signal from th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It may have a configuration to receive.
  • the emergency driving notification function is applied only to the smart phone of the emergency vehicle or the associated user approved in advance, it can be configured to use only the user authorized in advance.
  • it may also be provided as a normal function for use by non-preauthorized users. That is, the general public may also execute such emergency driving notification function in the case of emergency patient transport, for example, so that the control center server checks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e, the mobile terminal of the general public) of the public.
  • the control center server checks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e, the mobile terminal of the general public) of the public.
  • this may be referred to as 'temporary emergency vehicle', and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of the driving route of the temporary emergency vehicle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n appropriate alarm operation.
  •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roa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using an emergency display device attached to a street lam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latfor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most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5, but additionally,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100 performs an emergency notification operation eve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emergency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modem so that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emergency display apparatus 100 of FIG. 9.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0 has most of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 and further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em 104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provided.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 10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is in charge of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center server 120 through a gateway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s shown in FIGS. 1 to 8.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 100 shows that it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through two different network paths and have.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100 may not includ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 but may include onl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104 for communicating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such a case, since a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utilized in each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 100 to connect with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network construction is easy.
  • the control center server 12 is used for each emergency situa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easily controlled individually, the alarm operation of each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ways.
  • CCTV cameras are installed on the road at regular intervals to collect traffic information, and receive and use image information of the area. Therefore, when the emergency vehicle receives the video information and utilizes it,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vehicle more effectively.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CTV camera via the smartphone, the emergency vehicle driver can drive while checking the traffic conditions ahead of a certain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ravel, depending on the situation You can get to your destination more quickly by modifying your progress.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xample of an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oa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1
  • FIG. 1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1.
  •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accommodating parts 111 and 112 having light exits at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114, and in one direction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s 111 and 112.
  • a body 110 including a coupling part extended to be coupled to the street light;
  • An emergency optical module 12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112 which is opposite to the driving direction in the installation state among the receiving parts 111 and 112 of the body 110 and covering the light emitting ports of the receiving parts 111 and 112, respectively. It includes a cover (131, 132).
  • Such a configuration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unit 111 in consideration of a country in which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different from Korea, such as Japan or the United Kingdom, so that the optical module 120 is accommodated when exporting to the corresponding country. It becomes correspondence by attaching to).
  • the emergency state display device 100 has excellent visibility because the light emitting port is directed toward the vehicl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iving direction, that is, the rear side.
  • the configuration of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100 is one example,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types of indicators.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 100 ′ shown in FIG. 14 includes an indicator part 102 in charge of an emergency light functio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 center control server shown in Figure 1 and the key part 101 in charge of the communication function and power supply function can be divided.
  • the key part 101 may further perform a streetlight control func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center server 500.
  •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may not only provide an emergency notification function using an emergency light indicator.
  • the streetlight control function can also be performed in combination.
  • the indicator part 102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that may be provided in a vehicle, and emergency lights 1021 and 1022 that may generate light of a plurality of colors (eg, RGB). It may be configured as. In the example of FIG. 13, the emergency lights 1021 and 1022 are shown in two places as an example.
  •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that may be provided in a vehicle, and emergency lights 1021 and 1022 that may generate light of a plurality of colors (eg, RGB). It may be configured as.
  • the emergency lights 1021 and 1022 are shown in two places as an example.
  •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may have different colors (or corresponding colors) corresponding to different types of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Alternating colors, or mixed colors) may be operated to turn on or flash the emergency indicator.
  • the key part 101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0 in charge of the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control center server 500; An illuminance sensor 1011 for detecting illuminance; An emergency detection sensor 1012 for detecting vibrations and sounds for determining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A speaker 1013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in an emergency situation; Power source having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for example, ACV (Alternating Current Value), provided as an internal path to generate internal operating power, and a power source having a relay for providing the external commercial power to the street lamp 20.
  • ACV Alternating Current Value
  •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1030 is composed of a large-capacity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like, even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street light is cut off, which can provide operating power separately from the street light; It includes a control unit 1019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as a whole. In this case, the operating power converted from the converter 1016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019.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of the indicator part 102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0 of the key part 101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same communication scheme, for example, Zigbee.
  • the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set differently so that the street lamp control operation and the indicator control operation are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of the indicator part 102 applies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WLAN, or Wi-Fi, so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0 of the key part 101 is wireless in a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may have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 specification applied to the general street light control device.
  • NEMA 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 the key part 101 is connected to this 7-pin receptacle. It may have a configuration.
  • the standard specification of the 7-pin receptacle defines a 3 pin for power supply, a 2 pin for dimming control, and a 2 pin for providing an extra function, and the key part 101 ha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7 pin standard.
  •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to be compatible with the portion where the existing street light control device is installed.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100 'of FIG. 14. As shown in FIG. 15,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100 ′ protrudes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respectively, and has an outer transparent or translucent cover.
  • the first and second accommodating parts 1023 and 1024 are formed to be provided to mount the emergency optical modules 1021 and 1022 therein, respectively.
  • each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ach radio signa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20 of the indicator part 102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0 of the key part 10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of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100 ′.
  •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1025 that can be mounted may be provided to protrude.
  • FIG. 16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 third example of the emergency notification apparatu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oa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apparatus 100 ′′ shown in FIG. 16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part server 102, the control center server 500, and an indicator part 102, which are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5.
  • a key part 101 which is in charge of the power supply function is provided, and in addition, for example, the emergency situation is display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olar cell 1030 that can be integrally installed or separately installed externally.
  • a charging power supply 103 is provided which provides the operating power of the device 100 ".
  • Such an emergency display device 100 ′′ shown in FIG. 16 is not operated by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but is operated by a self-powered structure.
  •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100 ′′ may be mounted on another road without a street lamp.
  • the structure is suitable to be installed, that is, it is a structure to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even on a road where no street light is installed.
  • the indicator part 102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that may be provided in a vehicle, as in th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14. 1020 and emergency lights 1021 and 1022 that can generate light of multiple colors (eg, RGB).
  •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that may be provided in a vehicle, as in th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14.
  • 1020 and emergency lights 1021 and 1022 that can generate light of multiple colors (eg, RGB).
  • the key part 101 of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100 ′′ shown in FIG. 15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10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a control center server, an illuminance sensor 1011 for detecting illuminance, and various emergency An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sensor 1012 for detecting a vibration, a sound, etc. for determining a situation, a speaker 1013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ing power supply 103; And a converter 1016 for converting the functional units into operating power and a controller 1019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 the charging power supply unit 103 charges the power provided by the rechargeable battery 1031 and the solar cell 1030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031 and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031. To the converter 1015 of the part 101.
  •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ergency display device and the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 have been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t least some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s well. Of course, it can be applied.
  • the first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an emergency vehicle does not includ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accident and may not be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related to an accident detection.
  •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possible.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Any such software may be, for example, non-volatile storage such as storage, such as ROM, whether erasable or rewritable, or memory such as, for example, RAM, memory chips, devices or integrated circuits, or
  • non-volatile storage such as storage, such as ROM, whether erasable or rewritable
  • memory such as, for example, RAM, memory chips, devices or integrated circuits
  • it can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ed such as CD, DVD, magnetic disk or magnetic tape, and can be read by a machine (eg, a computer).
  • the memory that can b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an example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a program or programs contain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comprising code for implementing the apparatus or method described in any claim herein and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such a program.
  • a program may be transferred electronically through any medium, such as 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via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thereof as appropri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차량에 설치되는 긴급상황알림장치는 차량의 긴급상황 발생시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며, 가로등에 설치되는 긴급상황표시장치는 이러한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의 수신시에 이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관제센터서버는 긴급차량 등에 구비될 수 있는 긴급상황알림장치로부터 현재 긴급차량이 출동 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현재 출동 중인 긴급차량의 진행 방향에 있는 가로등들에 설치된 긴급상황표시장치들이 적절히 경보 표시를 발생하도록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본 발명은 도로에 긴급상황 발생 시, 이를 알리거나 긴급차량이 주행중임을 알리는 등 긴급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기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이 발달하고 차량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차량을 이용하는 인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중에 차량간의 사고, 차량의 전복, 추락 및 화재 등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이 도로상에서 긴급상황 발생시 후속 차량 운전자들이 전방에 사고가 발생한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진행하는 경우, 사고차량과 충돌하는 2차 사고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안개가 많이 낀 날이나 야간 또는 굽은 도로 등에서는 시계가 좋지 못하여 사고상황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2차 사고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그리고 특정구간에서 갑자기 지체 또는 정체되는 구간이 발생될 수 있는데, 원활한 소통구간을 주행하던 차량이 갑자기 지체 또는 정체 구간을 만나게 되었을 때, 미처 속도를 줄이지 못해 전방 주행차량에 추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한편, 사고발생시 앰뷸런스나, 소방차, 경찰차 등 긴급 출동이 요구되는 차량(이하 '긴급차량'으로 칭함)이 사고 지점으로 신속히 도달하기 위해, 해당 긴급차량 자체에 구비된 경광등을 점멸하고 사이렌을 울리는 등의 동작을 통해, 주변 차량들에게 해당 긴급차량의 진행 상황을 알려서, 주변 일반 차량이 긴급차량의 주행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양보 운전을 유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긴급차량 자체의 경광등 점멸 및 사이렌 등은 가까운 주변 일반차량의 운전자들만 인지할 수 있으며 이들 또한 신속히(또는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여, 해당 일반차량이 긴급차량의 주행 경로에서 미처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시장의 요구를 감안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나 도로공사 등의 이유로 주의운전이 필요한 경우, 재난이나 공습 등으로 인해 긴급대피가 필요한 경우 등과 같은 긴급상황을 원하는 거리의 주변 또는 후속차량 및 주민에 알려 2차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는, 경찰차, 소방차, 앰뷸런스 등의 긴급차량이 주행중임을 긴급차량의 주행 예정경로에 있는 차량들에게 보다 신속하고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고발생 시,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시간을 뜻하는 일명 골든타임 내에 긴급차량이 사고 지점으로 신속히 도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자에 대한 신속한 구조 조치를 취할 수 있고 또한 병원으로 신속히 이송할 수 있는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긴급상황 발생 시, 이를 알리기 위한 긴급상황 알림신호 및 차량정보를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긴급상황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알려주는 긴급상황 알림장치;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 및 차량정보가 수신되면 긴급상황 종류에 대응되게 점등 또는 점멸됨과 아울러 이를 관제센터서버에 전달하고, 긴급상황 알림신호가 기 설정된 숫자만큼 타 긴급상황 표시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며 또한 이 신호를 주변의 다른 긴급상황 알림장치로 전달하는 긴급상황 표시장치; 및
상기 긴급상황 표시장치로부터 긴급상황 알림신호 및 차량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면 긴급상황 종류에 대응되게 상기 긴급상황 표시장치를 제어함과 아울러 타기관 센터와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관제센터서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사고알림신호를 빠르게 주변차량에 알릴 수 있어 2차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로공사 등의 이유로 주의운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주의알림신호를 비롯하여, 재난이나 공습 등으로 인해 긴급대피가 필요한 경우에는 긴급대피신호 등과 같은 긴급상황 알림신호를 주변 차량에 알릴 수 있어 사고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찰차, 소방차, 앰뷸런스 등의 긴급차량이 주행중임을 긴급차량의 주행 예정경로에 있는 차량들에게 보다 신속하고 명확하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긴급차량이 사고 지점에 신속히 도착하여 구호조치 및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긴급상황표시장치는 가로등의 등주(pole)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와 같이, 가로등을 통신수단의 매개체로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차량간 통신 방식 등에 비해, 기존 설치되는 가로등의 활용성을 높이면서도 비교적 저비용으로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의 구성도
도 2는 도 1 중 제1긴급상황알림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 중 제2긴급상황알림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1 중 긴급상황표시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의 구성도
도 6은 도 5 중 제1긴급상황알림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도 5 중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8은 도 7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화면의 일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의 구성도
도 10은 도 9 중 긴급상황표시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는 긴급상황표시치의 제1예시에 따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분리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서 A-A부분 절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는 긴급상황표시장치의 제2예시에 따른 블록 구성도
도 15는 도 14의 긴급상황알림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는 긴급상황표시장치의 제3예시에 따른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의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 제1실시예 구성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의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은,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의 차량에 각각 있을 수 있는 사용자별로 구비되는 사용자측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긴급상황 발생시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무선신호를 발생시키는 긴급상황알림장치(200)와; 예를 들어, 도로변에 설치된 가로등의 가로등 등주(pole) 등에 설치되는 기간설비로서,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20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관제센터서버(12)로 전송하며, 긴급상황을 알리는 점등 또는 점멸 동작을 수행하는 긴급상황표시장치(100)와;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100)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상기 무선신호의 수신위치를 판단하여 예를 들어, 그 정보를 타기관으로 전달할 수 있는 관제센터서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200)(이하 '알림장치'로 약칭할 수 있음)는 예를 들어, 제1긴급상황알림장치(201)(이하 '제1알림장치'로 약칭할 수 있음)와 제2긴급상황알림장치(202)(이하 '제2알림장치'로 약칭할 수 있음)로서, 두가지 타입으로 구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알림장치(201, 202)는 모두 운전 중 긴급상황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사고알림에 해당하는 긴급상황 알림신호를 비롯하여, 차량정보 및 등록자정보를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긴급상황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1알림장치(201)는 추가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직접 긴급상황을 조작받기 위한 비상버튼이 구비되며, 해당 비상버튼이 온되면 비상버튼의 종류에 대응되는 긴급상황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비상버튼이 구비되는 제1알림장치(201)는 별도로 미리 인가된 긴급차량 관련 사용자에게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100)(이하 '표시장치'로 약칭할 수 있음)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 및 차량정보가 수신되면 긴급상황 종류에 대응되게 점등 또는 점멸됨과 아울러 이를 관제센터서버(12)에 전달하고,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를 기 설정된 숫자내의 타 긴급상황표시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며 또한 이 신호를 주변의 다른 긴급상황알림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관제센터서버(12)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긴급상황 종류에 대응되게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100)를 제어함과 아울러, 예를 들어 경찰서, 소방서, 병원, 교통신호 제어센터(31, 32, 33, 34) 등과 같은 타기관 센터와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관제센터서버(12)는 인터넷 등과 같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10)와 연결되며, 게이트웨이(10)를 통해 각 표시장치(100)와 통신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 중 제1긴급상황알림장치(201) 및 제2긴급상황알림장치(202)의 블록 구성도로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알림장치(201, 202)는, 예를 들어, 가속도센서(211), 음향센서(212), 충격센서(213) 및 진동센서(214) 등의 다수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사고를 감지하는 센서부(240); 알림장치 등록자의 정보, 예를 들어, 이름, 혈액형, 나이, 성별, 차대번호, 차량번호 등이 저장되어 있는 등록자정보저장부(222); 차량의 위치 및 차량의 운행정보를 알려주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240); 상기 센서부(210)와 상기 GPS모듈(240)의 정보를 저장하는 주행정보저장부(220);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장치(100)로/로부터 신호를 송수신 하는 무선통신부(202); 스피커 등을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된 긴급상황 알림신호에 대응되는 내용을 음성으로 알려주는 음성출력부(203); LED 또는 기타 표시등으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된 긴급상황 알림신호에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해주는 경고표시부(204);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출력부(203) 및/또는 경고표시부(204) 출력을 해지하는 조작을 받기 위한 해지버튼 등을 구비한 해지부(205); 상기 센서부(210)로부터의 검출값을 입력받아 사고발생이 감지되면 사고발생에 해당하는 긴급상황 알림신호와 더불어, 등록자정보저장부(222) 및 주행정보저장부(220)의 정보를 무선통신부(202)를 통해 송신하거나, 무선통신부(202)를 통해 긴급상황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음성출력부(203) 및 경고표시부(204)를 통해 알리도록 하는 등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1);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에서, 등록자정보저장부(222)에 저장되는 등록자 정보는 해당 알림장치가 사용자에 제공될 때, 각 사업소에서 별도의 정보 입력 장치 등을 통해 미리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230)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휴대용 전지 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을 주요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차량의 시거잭이나 USB잭에 연결되어 동작 전원을 제공받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알림장치(201)는 상기 제2알림장치(20)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비상버튼부(206)를 추가로 더 포함한다. 상기 비상버튼(206)부는 예를 들어, 사고발생 시, 이를 알리기 위한 사고알림버튼(미도시), 공사 중, 노면미끄럼 등 운전에 주의가 필요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주의알림버튼(미도시), 긴급차량이 주행중임을 알리기 위한 긴급차량주행알림버튼(미도시), 재난 또는 공습을 알리기 위한 긴급대피 알림버튼(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알림장치(201)는 긴급차량에 설치하고, 제2알림장치(202)는 일반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는 긴급상황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일반차량용 제2알림장치(201)에서는 사고알림신호만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긴급차량에 설치될 수 있는 제1알림장치(201)의 비상버튼부(206)에서 예를 들어, 긴급차량주행 알림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긴급차량주행 알림신호와 함께 해당 긴급차량의 위치정보 및 운행정보가 같이 송신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관제센터서버(12)에서는 해당 긴급차량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 중 긴급상황표시장치(100)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는, 알림장치(200) 및 다른 표시장치들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102); LED 등으로 구성되어 긴급상황에 대응되는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긴급상황표시부(이하, '비상등'으로 약칭할 수 있음)(130); 상기 무선통신부(102)를 통해, 알림장치(200)로부터 예를 들어, 긴급상황 알림신호, 등록자정보저장부의 정보 및 주행정보저장부의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관제센터서버(12)로 전송함과 아울러, 긴급상황 종류에 따라 상기 긴급상황표시부(130)를 점등 또는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1)와;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0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스피커 등을 구성되어 긴급상황에 대응되는 내용을 경고음(음성 포함)으로 알려주는 경고음출력부(140)도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01)는 긴급상황 종류에 따라 상기 경고음출력부(140)를 통해 적절한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를 기 설정된 숫자내의 타 긴급상황 표시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며 또한 이 신호를 주변의 다른 긴급상황 알림장치로 전달하며; 상기 무선통신부(102)를 통해 상기 관제센터서버(12)로부터 긴급상황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긴급상황 종류에 따라 상기 긴급상황표시부를 점등 또는 점멸하고; 관제센터서버(12)로부터 수신된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를 기 설정된 숫자내의 타 긴급상황 표시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며 또한 이 신호를 주변의 다른 긴급상황알림장치(200)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긴급상황표시장치(100)는 가로등주, 가로등 또는 단독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105)는 해당 설치되는 가로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분기받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예를 들어 대용량의 충전 배터리 등을 구비하여, 해당 가로등에 전원 공급이 차단될 경우에도 가로등과는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이륜차나 기타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이동 수단외에도 사용자가 상기 긴급상황 발생 장치를 직접 휴대하고 다니는 것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 2차사고 예방 ]
운전 중, 다른 차량과 추돌 또는 충돌하거나 단독으로 교통사고가 난 경우 그 차량에 탑재된 알림장치(200)는 여러 조건을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함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알림장치(200)의 제어부(201)는 가속도센서(211)를 통해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여 기준치와 비교함으로써 사고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음향센서(212)에서 사고발생 음량에 해당하는 기준치보다 높은 음량이 검출되면 사고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충격센서(213) 또는 진동센서(214)에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이 기준치 보다 높은 값이 검출되면 사고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가속도 센서, 음향센서, 충격센서, 진동센서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 다른 센싱수단 즉, 기울기감지센서 또는 에어백감지센서 등을 사용하여 구현됨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고상황판단은 어느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도 가능하지만 2개 이상의 센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지구상 어디에서나 기후에 구애받지 않고 표준좌표계에서의 위치, 속도, 시간 측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첨단 항법시스템으로써 현재 가장 일반적인 항법시스템으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GPS모듈(240)에 의해 차량의 위치 및 방향 등 운행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내비게이션 장치와 연동할 경우에는,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운행 정보를 추가로 얻을 수도 있다.
만약 센서부(210)로부터 사고상황으로 판단되는 검출값이 입력되면, 제어부(201)는 무선통신부(202)를 통해 긴급상황 알림신호를 외부로 송출한다.
이때, 사고가 감지된 시점의 각 센서의 검출정보 즉, 차량의 가속도정보, 음량정보, 충격정보, 진동정보와 상기 GPS모듈(240)에 의한 차량의 위치정보 등 운행정보, 그리고 등록자정보저장부(222)에 저장된 차대번호, 차량번호, 등록자 이름, 혈액형, 나이, 성별정보 등도 같이 송신한다. 물론 이 경우에, 제2긴급상황알림장치(202)에서 발생되는 긴급상황 알림신호의 종류는 사고발생에 해당하는 사고알림신호의 한 종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100)의 제어부(101)는 무선통신부(102)를 통해 긴급상황 알림신호, 차량상태정보 및 등록자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게이트웨이(10)를 통해 상기 관제센터서버(12)로 전송함과 아울러, 기 설정된 대로 사고알림에 대응되게 상기 긴급상황표시부(130)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며, 또한 경고음출력부(140)가 경고음 출력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여 사고가 발생했음을 알린다.
그리고 사고차량의 주변 또는 사고차량의 주행방향의 후방측에 위치할 수 있는 다른 긴급상황표시장치에 사고알림신호를 전송하여 후방측에 위치하는 긴급상황표시부가 이에 대응되게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한다.
이때, 기 설정된 숫자내의 후방 측 긴급상황 표시장치로만 사고알림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데, 전달되는 거리는 1km ~ 3km 일 수 있다. 또는 이외에도, 차량 운행 속도 및 도로 종류에 따라서 전달되는 거리를 임의로 조절하여 예를 들어, 1km ~ 5km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긴급상황표시부가 점등 또는 점멸되는 것을 인지한 후방 차량 운전자는 전방에 사고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100)들은 사고차량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후방까지 점등 또는 점멸되어 후방차량의 운전자는 전방에 사고가 발생함을 인지하여 주의운전을 하게 되어 2차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100)들은 차량의 사고 또는 긴급상황이 발생한 지점과 가까운 긴급상황 표시등은 점멸 속도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하고, 그 차량의 위치로 멀어질수록 점멸 속도가 점차 느려지도록 하여 후방의 차량들이 상기 긴급상황표시등(100)의 점멸시간 간격을 통해 사고 또는 긴급상황이 발생한 지점과의 거리를 판단하게 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는, 긴급상황알림장치(200)로부터 직접 진급상황 알림신호를 수신한 긴급상황표시장치(100)는 점멸 속도를 가장 빠르게 하고 신호 색상도 다른 표시장치들과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100)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주변에 송출한다. 이로 인해 후방 차량에 설치된 긴급상황알림장치(200)는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100)로부터 긴급상황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운전자에게 이를 알린다. 이때, 음성출력부(203)를 통해서는 음성으로 전방에 사고가 발생했음을 알리고, 경고표시부(204)를 점등 또는 점멸함으로써 전방에 사고가 발생했음을 알린다.
이와 같이 긴급상황표시장치(100)뿐만 아니라 후방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긴급상황알림장치(200)를 통해서도 빠른 시간내에 후방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에 사고가 발생함을 인지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주의운전을 하게 되어 2차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100)는 수신된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와 차량상태정보, 등록자정보를 관제센터서버(12)로 전송한다. 상기 관제센터(12)에서는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100)로부터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 차량상태정보, 등록자정보 등을 수신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인지할 수 있게 되는데, 상황에 따라 즉시, 병원, 소방서, 경찰서 등 타기관센터와 필요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100)의 동작 제어는 상기 관제센터서버(12)를 통해서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고 등 긴급상황을 인지하게 되면 즉시, 사고 검출 위치 및 사고정보 등 필요한 정보를 해당 기관센터에 공유할 수 있어 신속하고 효율적인 사고처리 및 구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Pre Alert 신호 ]
이하, 긴급차량 예를 들어 앰뷸런스가 사고현장으로 출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운전자는 앰뷸런스 내에 설치된 제1긴급상황 알림장치(201)의 비상버튼부(206) 중, 긴급차량주행알림버튼을 누른 후, 차량을 출발할 수 있다. 상기 긴급차량주행알림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제1알림장치(201)의 제어부(201)는 무선통신부(202)를 통해 긴급차량주행 알림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긴급차량의 위치정보 및 운행정보를 함께 송신한다.
앰뷸런스 주변에 있는 긴급상황 표시장치의 제어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긴급차량주행 알림신호 및 그 긴급차량의 위치정보 및 운행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게이트웨이를 통해 관제센터서버로 전송함과 아울러 기 설정된 대로 긴급차량주행 알림신호에 대응되게 긴급상황표시부를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한다.
이와 아울러 앰뷸런스의 주행방향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긴급상황 표시장치에 긴급차량주행 알림신호를 전송하여 전방측 긴급상황표시부가 이에 대응되게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한다.
이때, 전방측에 위치하는 긴급상황 표시장치는 기 설정된 거리만큼, 또는 차량의 운행속도, 교통량 등에 따라 임의로 설정된 거리만큼 전달되는데, 그 거리는 1km ~ 5km 일 수 있다.
즉,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100)들은 앰뷸런스차량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전방까지 긴급상황표시등(130)을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하여 전방차량의 운전자에게 후방에 앰뷸런스차량이 오고 있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로 하여금 미리 긴급차량의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차선을 여유를 갖고 변경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어서 앰뷸런스가 사고지점까지 신속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때, 상기 앰뷸런스차량 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전방까지 표시장치(100)의 긴급상황표시부(130)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제어는 상기 관제센터서버(12)의 제어 하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긴급차량 예를 들어, 경찰차, 앰뷸런스, 소방차, 도로관리차 등에 배당될 수 있는 긴급차량용 제1긴급상황알림장치에는 사고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개의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긴급차량이 도로를 주행하면서 해당 차량의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비상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각 비상버튼을 누를 때 마다 상기 표시장치(130)의 긴급상황표시부(130)가 각기 다른 색상으로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긴급상황표시부(130)는 다수 색상(예를 들어, 적색 및 청색)을 발광하는 다수의 엘이디 소자가 미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에 사고가 발생하여 이를 알리기 위해서는 사고알림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때는 빨간 색상(Red)의 조명이 점멸되도록 한다. 이를 인지한 운전자는 차량의 속도를 줄여 서행운전을 한다. 또한, 전방에 공사 중 구간이 있거나, 낙석이 존재하는 경우 또는 노면이 미끄러운 경우 등 안전운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주의알림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때는 노란색상(Amber)의 조명이 점멸되도록 한다, 이를 인지한 운전자는 차량의 속도를 줄여 서행운전을 한다.
또한, 긴급차량이 도로에 주행중임을 알리는 경우에는 긴급차량 주행알림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때는 녹색색상(Green)의 조명이 점멸되도록 한다. 이를 인지한 운전자는 차선을 변경하여 긴급차량이 원활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재난이나 적의 공습처럼 안전지대로 대피해야 하는 경우에는 긴급대피 알림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때는 빨간색, 파란색이 교대로 점멸되도록 한다. 이를 인지한 운전자 또는 주변 사람들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다.
이때, 신호종류에 따라 긴급상황표시부의 깜박거리는 속도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이를 표로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비상버튼부 신호종류 신호색상 Blink Time 행동지침
사고알림버튼 사고알림신호 Red 중간 서행운전
주의알림버튼 주의알림 Amber 길게 서행운전
긴급대피알림버튼 긴급대피알림신호 Red/Blue교대 짧게 안전한 장소로 대피
긴급차량주행알림버튼 긴급차량주행알림신호 Green 짧게 차선비켜주기
[ 제2실시예 구성 ]
[ Pre Alert 신호 - 스마트폰 이용 ]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나, 추가적으로 긴급상황알림장치(201, 202)가 예를 들어, 주변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300)와 연동하여 긴급상황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가진다. 즉, 긴급상황알림장치(201, 202)는 기급상황 발생 정보를 긴급상황표시장치(100)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단말기(300)로도 전달하는 기능 및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해당 정보를 관제센터서버(12)로 전송하고, 관제센터서버(12)는 이러한 정보를 통해서도 긴급상황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관제센터서버(12)의 통신모듈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기반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도 6은 도 5 중 예를 들어, 제1긴급상황알림장치(201)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제1알림장치(201)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세 구성을 모두 포함하면서, 이와 더불어 블루투스(BLUETOOTH)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통신부(25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근거리통신부(250)는 무선통신단말기(이하, '스마트폰'이라 칭할 수 있음)와 송수신하게 된다. 물론, 제2긴급상황알림장치(202)에도 상기 근거리통신부(25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도 5 중 이동통신단말기(스마트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스마트폰(300)은 제어부(301), 터치스크린(330), 키입력부(370), 오디오처리부(380), 이동통신부(310), GPS모듈(340), 촬상부(360), 저장부(320), 근거리통신모듈(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330)은 해당 스마트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정보에 대한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 패널(미도시)과, 사용자에 의한 각종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감지 패널(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키입력부(370)는 해당 스마트폰의 외관 하우징 등에 기구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동작 조작을 위한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오디오 처리부(380)는 해당 스마트폰의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스피커 및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한 마이크 등을 포함하여.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이동통신부(310)는 이동통신 기지국과 같은 이동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며, 안테나와,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GPS모듈(340)은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 및 운행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촬상부(360)는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같은 피사체를 촬영한다. 근거리통신모듈(350)은 무선랜 모듈이나, 와이파이(Wi-Fi) 다이렉트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에서 무선 인터넷 등과 연결되거나, 주변 장치들과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제어부(301)의 제어에 따라 터치스크린(330), 키입력부(370), 오디오처리부(380), 이동통신부(310), GPS모듈(340), 촬상부(360) 및 근거리통신모듈(350)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20)는 스마트폰 또는 제어부(3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앱)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01)는 상기 각 기능부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여 해당 스마트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스마트폰(300)의 내부 각 기능부들의 구성 및 동작은 통상적인 스마트폰과 같은 내부 구성 및 동작과 대부분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 근거리통신모듈(350)은 예를 들어, 차량 내에 구비될 수 있는 긴급상황알림장치(201, 202)의 근거리통신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320)에는 해당 스마트폰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긴급상황 알림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긴급상황알림 앱(어플리케이션)(332)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긴급상황알림 어플리케이션(332)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앱제공서버(미도시)로부터 미리 다운로드받아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스마트폰의 사용자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조작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320)에는 내비게이션 기능 수행을 위한 내비게이션앱(어플리케이션)(331)이 미리 저장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실행 조작에 따라 내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300)의 제어부(301)는 긴급상황알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터치스크린(330)을 통해 실행 관련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실행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근거리통신모듈(350)을 통해 긴급상황알림장치(201, 202)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서버(12)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1)는 GPS모듈(340)을 통해 확인한 자신의 위치정보 및 운행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위치정보 및 운행정보를 스마트폰(300)내의 GPS모듈(340)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긴급상황알림장치(201, 202)에 GPS모듈(240)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을 수 있으며, 그럴 경우에 보다 저비용으로 긴급상황 알림장치의 제작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관제센터서버(12)는 2가지 다른 네트워크 경로, 즉, 게이트웨이와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경로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경로를 통해서 긴급상황알림장치(201, 202)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게이트웨이와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경로로부터 관제센터서버(12)로의 정보 전달 절차를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한 경로에서의 통신 에러 상황 등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2가지 네트워크 경로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 ]
[ Pre Alert 신호 - 스마트폰과 내비게이션 연동 ]
한편, 스마트폰(300)이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내비게이션과 연동하여 긴급상황 알림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스마트폰(300)의 저장부(320)에는 내비게이션 기능 수행을 위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31)이 미리 저장되어, 사용자의 실행 조작에 따라 내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Navigation)은 GPS와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합해 자동차 운전에 응용한 것으로서, 상기 GPS에서 얻은 위도/경도 정보를 이용해 현재 자신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해 주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내비게이션을 이용하면 자기 차량의 현재위치, 차량의 진행방향, 가고자 하는 목적지, 목적지까지의 거리, 차량의 현재 이동속도, 사용자가 주행전에 설정한 경로, 목적지까지의 최적경로 등 주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한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긴급차량의 운전자는 출발전에 스마트폰(300)을 조작하여 긴급상황알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이후, 내비게이션을 실행하여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선택하고 상기 제1긴급상황 알림장치(201)의 긴급차량 주행알림버튼을 선택하고 긴급차량을 출발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긴급상황알림장치(201)의 제어부(201)는 긴급차량주행 알림신호를 무선통신부(202)와 근거리통신부(250)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긴급차량주행 알림신호를 수신한 주변 긴급상황표시장치(100)의 제어부는 이를 게이트웨이(10)를 통해 관제센터서버(12)로 전송함과 아울러 기 설정된 대로 긴급차량주행 알림신호에 대응되게 긴급상황표시부를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한다.
이와 아울러 긴급차량의 주행방향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긴급상황표시장치에 긴급차량주행 알림신호를 전송하여 전방측 표시장치의 긴급상황표시부가 이에 대응되게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긴급차량주행 알림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300)의 제어부(301)는 상기 내비게이션을 통해 확인된 주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상기 긴급차량주행 알림신호와 함께 상기 관제센터서버(12)로 전송한다. 이때 긴급차량의 경로 정보는 경로 좌표 정보만 전송될 수 있으며, 관제센터서버(12)는 미리 구비된 지도맵에 상기 경로 좌표 정보를 적용하여 해당 긴급차량의 진행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관제센터서버(12)는 긴급차량의 진행 경로상의 긴급상황 표시장치가 적절한 경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내비게이션의 정보에 의해 긴급차량의 현재위치와 운행경로를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교통신호제어센터(34)와 연동하여 교통신호제어기를 제어하는 등 더욱 효과적인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차량의 주행경로가 교차로에서 직진하는 경우라면, 긴급차량이 교차로 주변에 진입하였을 때 긴급차량의 진행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진행'상태가 되도록 신호등의 색상을 파란색으로 미리 교통신호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하는 경로의 경우에는 긴급차량이 교차로 주변에 진입하였을 때, 신호등의 상태가 좌회전이 되도록 미리 교통신호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긴급차량이 사고지점까지 보다 신속히 도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전 설정한 목적지까지의 경로상에 정체구간이 있으면 보다 빨리 주행할 수 있는 다른 경로를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설명에서는 스마트폰에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긴급차량 등에서는 차량에 별도로 내비게이션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차량 운전자는 이러한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은 해당 내비게이션 장치와 근거리 통신 연결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주행 경로에 대한 경로 좌표를 제공받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공받은 경로 좌표를 관제센터서버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 ]
[ 스마트폰 자체적으로 Pre Alert 신호 ]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서는, 별도의 긴급상황 알림장치(201, 200)가 구비되어 이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이러한 긴급상황 알림장치의 주요 기능, 즉 긴급상황 알림기능을 스마트폰(300)에서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차량 등에 긴급상황 알림장치(201, 202)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8은 도7의 스마트폰(300)의 동작 화면의 일 예시도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300)의 긴급상황알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초기 화면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상황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실행 화면(3300)은 긴급차량 주행알림 기능 조작을 위한 제1입력항목(3301)과 긴급상황알림 기능 조작을 위한 제2입력항목(3302)이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이러한 항목들에 대한 터치 입력 등을 조작받아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입력된 항목에 관련된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서버(12)로 전송한다. 이때, 긴급상황알림 기능 조작을 위한 제2입력항목(3302)은 긴급상황에 대한 보다 세부 항목들, 예를 들어, '사고알림', '주의알림', '긴급대피알림' 등의 세부항목들이 마련되어, 각 세부항목들에 대해 구분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긴급상황알림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예를 들어, 긴급차량 주행알림 및 긴급상황알림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미리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은 이에 따라 긴급차량 주행알림 및 긴급상황알림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어플리케이션 구현에 따라 이들 기능 중 어느 하나만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300)의 제어부(301)는 스마트폰 자체에 구비될 수 있는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사고를 감지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등록자정보도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긴급상황알림장치에는 사고감지 및 이에 대응된 신호 전송 기능만을 수행하는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300)은 이러한 긴급상황알림장치로부터 사고감지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해 수신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긴급주행알림 기능은 미리 인가된 긴급차량이나 관련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만 적용되어, 미리 인가된 사용자만이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미리 인가된 사용자가 아닌 일반인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기능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일반인들도 예를 들어, 응급환자 수송 등의 경우에 이러한 긴급주행알림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제센터서버는 해당 일반인의 차량(즉, 일반인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를 일명 '임시 긴급차량'으로 설정하고, 해당 임시 긴급차량의 주행 경로의 긴급상황 표시장치가 적절한 경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 제3실시예 ]
[ 긴급상황표시장치에 이동통신 모뎀장착 ]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나, 추가적으로 긴급상황표시장치(100)가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긴급상황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긴급상황 표시장치(100)에는 이동통신모뎀이 장착되어 관제센터서버(12)간에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통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 중 긴급상황표시장치(100)의 일 예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긴급상황 표시장치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대부분 구비하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서버(12)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모뎀(104)이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는, 긴급상황표시장치(100)는 상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게이트웨이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서 관제센터서버(120)와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무선통신부(102)와 더불어,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서버(12)와 통신하는 이동통신모뎀(104)을 구비함으로써, 2가지 다른 네트워크 경로를 통해서 관제센터서버(12)와 통신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제품 구현시에는 해당 긴급상황표시장치(100)에서 무선통신부(102)는 구비하지 않고,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모뎀(104)만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럴 경우에는, 각 긴급상황표시장치(100)에서 관제센터서버(12)와의 연결하기 위해 기존의 이동통신망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구축이 용이하다.
또한, 이와 같이, 각 긴급상황표시장치(100)에 이동통신모뎀(104)을 구비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서버(12)와 통신을 할 경우에는, 관제센터서버(12)가 각 긴급상황표시장치(10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가 용이하여, 각 긴급상황표시장치(100)의 경보 동작을 보다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 CCTV 활용 ]
한편, 최근에는 교통정보수집을 위해서 도로상에 일정간격으로 CCTV카메라를 설치하여 해당 지역의 영상정보를 수신 받아 활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긴급차량에서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활용하게 되면 더욱 효과적인 차량운행을 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CTV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긴급차량 운전자는 진행방향에 대응되는 일정거리 이상의 전방 교통상황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운전을 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진행경로를 수정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더욱 신속하게 목적지에 도달 할 수 있다.
[ 자율주행차량 활용 ]
또한 최근에는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자율주행을 하기 위해서는 결국 각종 센서들의 센싱값을 활용하여 주변 교통상황을 파악하여 운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를 상기 자율주행차량에 설치하면 사고 발생 시, 상기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제센터에서 이를 알 수 있다. 다만,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하여 운행 중일 때, 긴급상황표시장치가 동작하는 상황이 되면 이를 탑승한 사람이 감지하여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해야 한다. 하지만 탑승한 사람이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대비하여 긴급상황표시장치가 동작하면 이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자율운전차량에 미리 내장할 수도 있다.
[긴급상황 표시장치의 상세 구성]
도 11은 본 발명의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는 긴급상황 표시장치의 제1예시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분리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서 A-A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긴급상황 표시장치는, 격벽(114)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광방출구를 가지는 두 수용부(111,112)를 가지며, 그 수용부(111,112)의 사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가로등에 결합되는 결합부(113)를 포함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수용부(111,112) 중 설치상태에서 주행방향의 반대편이 되는 수용부(112) 내에 삽입되는 긴급상황 광모듈(120)과, 상기 수용부(111,112)의 광방출구를 각각 덮는 커버(131,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일본이나 영국과 같이 한국과는 차량의 주행방향이 다른 국가를 고려하여 수용부(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해당 국가에 수출하는 경우 광모듈(120)을 수용부(111)에 장착하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긴급상황 표시장치(100)는 광방출구가 주행방향의 반대편, 즉 후방의 차량을 향하기 때문에 시인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은 긴급상황 표시장치(100)의 구성은 하나의 예이며, 다양한 형태의 표시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는 긴급상황표시장치의 제2예시에 따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긴급상황 표시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비상등 기능을 담당하는 표시등파트(102)와; 도 1에 도시된 관제센터제어서버와 통신 기능 및 전원 공급 기능을 담당하는 기조 파트(101)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조파트(101)는 관제센터서버(5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가로등 제어 기능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긴급상황 표시장치는 긴급상황 표시등을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기능뿐만 아니라 가로등 제어 기능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표시등파트(102)는 차량 등에 구비될 수 있는 긴급상황알림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1020)와, 다수 색상(예를 들어, RGB)의 광을 발생할 수 있는 비상등(1021, 10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의 예에서는 비상등(1021, 1022)이 2개소에 구비되는 것이 예로써 도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비상등(1021, 1022)이 다수 색상의 광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경우에, 해당 긴급상황 표시장치에서는 긴급상황 알림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각기 다른 종류의 긴급상황 알림신호에 대응되게 각기 다른 색상(또는 교대로 변경되는 색상, 또는 혼합된 색상)으로 긴급상황 표시등이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기조파트(101)는 관제센터서버(500)와 통신기능을 담당하는 무선 통신부(1010)와;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 센서(1011)와; 다양한 긴급상황을 판별하기 위한 진동, 소리 등을 감지하는 긴급상황 감지 센서(1012)와; 긴급상황시 경보음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13)와; 외부의 상용 전원, 예를 들어 ACV(Alternating Current Value)를 제공받아 내부 동작 전원을 발생시키도록 내부 경로로 제공하며, 상기 외부 상용 전원을 가로등 램프(20)로 제공하기 위한 릴레이 등을 구비한 전원공급부(1014)와; 전원공급부(1014)부터 유입되는 전원 경로에서 과전압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과전압 보호부(1015)와; 전원공급부(1014)로부터 상기 과전압 보호부(1015)를 통해 유입되는 전원을 내부의 각 기능부들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1016)와; 예를 들어 대용량의 충전 배터리 등으로 구성되어, 해당 가로등에 전원 공급이 차단될 경우에도 가로등과는 개별적으로 동작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전원공급부(1030)와; 해당 긴급상황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컨버터(1016)로부터 변환된 동작 전원은 제어부(1019)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표시등파트(102)의 무선통신부(1020)와 기조파트(101)의 무선통신부(1010)는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와 같은 동일한 통신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서로간 통신 채널을 다르게 설정하여 가로등 제어 동작과 표시등 제어 동작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등파트(102)의 무선통신부(1020)는 블루투스나 무선랜, 와이파이 등의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기조파트(101)의 무선통신부(1010)는 서로 다른 통신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긴급상황 표시장치는 일반적인 가로등 제어 장치에 적용되는 표준 규격에 따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EMA(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에서는 표준 규격으로 가로등 제어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7핀(pin) 리셉터클을 정의하고 있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기조 파트(101)는 이러한 7핀 리셉터클과 접속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7핀 리셉터클의 표준 규격에서는 전원 공급용 3핀과 디밍 제어용 2핀 및 여분의 기능 제공을 위한 2핀을 정의하고 있으며, 기조 파트(101)는 이러한 7핀 규격에 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긴급상황 표시장치는 기존의 가로등 제어 장치가 설치된 부위와 호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긴급상황 표시장치(100')의 사시도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상황 표시장치(100')는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돌출되며, 외곽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커버로 형성되는 제1및 제2수용부(1023, 1024)가 구비되어 각각 긴급상황 광모듈(1021, 1022)을 그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긴급상황 표시장치(100')의 몸체의 상측에는 표시등 파트(102)의 무선 통신부(1020)와 기조 파트(101)의 무선 통신부(1010)의 각 무선 신호 송수신을 위한 각각의 안테나가 장착될 수 있는 제3수용부(1025)가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는 긴급상황알림장치의 제3예시에 따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긴급상황 표시장치(100")는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일부 유사하게 표시등 기능을 담당하는 표시등 파트(102)와, 관제센터서버(500)와 통신 기능 및 전원 공급 기능을 담당하는 기조 파트(101)가 구비되며, 또한, 이와 추가하여 예를 들어 일체적으로 설치되거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태양전지(10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해당 긴급상황 표시장치(100")의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전원공급부(103)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 16에 도시된 긴급상황 표시장치(100")는 외부의 상용 전원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자가 발전 구조로 동작하므로, 예를 들어, 가로등이 구비되지 않은 도로에서 여타 다른 별도의 기둥 등에 설치되기에 적합한 구조이다. 즉, 이러한 구조는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은 도로 상에서도 긴급상황 발생시 이에 대처하기 위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긴급상황 표시장치(100")에서 표시등 파트(102)는 상기 도 14에 도시된 구조와 마찬가지로, 차량 등에 구비될 수 있는 긴급상황 알림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1020)와; 다수 색상(예를 들어, RGB)의 광을 발생할 수 있는 비상등(1021, 10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긴급상황 표시장치(100")의 기조 파트(101)는 관제센터서버와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무선 통신부(1010)와;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 센서(1011)와; 다양한 긴급상황을 판별하기 위한 진동, 소리 등을 감지하는 긴급상황 감지 센서(1012)와; 긴급상황시 경보음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13)와; 충전전원부(103)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내부의 각 기능부들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1016) 및 해당 긴급상황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충전전원공급부(103)는 충전용 배터리(1031)와, 태양전지(103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충전용 배터리(1031)에 충전함과 아울러 충전용 배터리(1031)의 전원을 상기 기조 파트(101)의 컨버터(1015)로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긴급상황표시장치 및 긴급상황알림장치 등의 구성 및 동작이 설명되었으나, 상기 각 실시예들에 따른 상세 구성들 적어도 일부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긴급차량에 설치되는 제1긴급상황알림장치에는 사고 감지를 위한 센서부 등을 구비하지 않으며, 사고 감지와 관련된 동작은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휴대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Claims (15)

  1.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에 있어서,
    사용자측 장치로서, 긴급상황 발생시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무선신호를 발생하는 긴급상황알림장치와;
    도로변에 설치되는 기간설비로서,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관제센터서버로 전송하며, 긴급상황을 알리는 점등 또는 점멸 동작을 수행하는 긴급상황표시장치와;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제어하는 관제센터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는 제1긴급상황알림장치와 제2긴급상황알림장치로 구분되며,
    상기, 제1긴급상황알림장치는 상기 제2긴급상황알림장치에 비해, 사용자로부터 긴급상황을 조작받기 위한 비상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비상버튼이 입력되면 긴급상황 알림신호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버튼은 미리 설정된 긴급상황 종류에 따라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긴급상항 알림신호는 상기 다수의 버튼 중 입력된 버튼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는 상기 긴급상황 종류에 따라 대응되는 점등 또는 점멸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긴급상황 종류에 대응되게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제어하며, 관련된 타기관 센터와 정보를 공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6. 긴급상황 발생시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무선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긴급상황알림장치에 있어서,
    사고를 감지하는 센서부;
    차량의 위치 및 차량의 운행정보를 알려주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
    상기 센서부와 상기 GPS모듈의 정보를 저장하는 주행정보저장부;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긴급상황표시장치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긴급상황 알림신호에 대응되는 내용을 음성으로 알려주는 음성출력부;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에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해주는 경고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출력부 및 경고표시부 출력을 해지하는 조작을 받기 위한 해지버튼을 구비하는 해지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검출값을 입력받아 사고발생이 감지되면 사고발생에 해당하는 긴급상황 알림신호 및 상기 주행정보저장부의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거나,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음성출력부 및 상기 경고표시부를 통해 알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알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는, 해당 긴급상황알림장치 등록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자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고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긴급상황 알림신호 및 상기 주행정보저장부의 정보와 더불어, 상기 등록자정보저장부의 정보를 추가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긴급상황을 조작받기 위한 비상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비상버튼은 미리 설정된 긴급상황 종류에 따라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긴급상항 알림신호는 상기 다수의 버튼 중 입력된 버튼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9. 긴급상황알림장치로부터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관제센터서버로 전송하며, 긴급상황을 알리는 점등 또는 점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긴급상황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 및 다른 긴급상황표시장치들과 통신하는 무선통신부;
    긴급상황에 대응되는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긴급상황표시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상기 관제센터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긴급상황표시부를 점등 또는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는, 상기 긴급상황에 대응되는 내용을 경고음으로 알려주는 경고음출력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표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에서 긴급상황 종류를 확인하고 상기 긴급상황 종류에 따라 대응되는 점등 또는 점멸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긴급상황표시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표시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는, 가로등 또는 가로등의 등주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가로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분기받는 구성을 가지며, 충전용 배터리를 구비한 보조전원공급부를 추가로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표시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태양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전원 발생하는 충전전원공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긴급상황 발생시 긴급상황 발생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추가로 더 제공하는 구성을 가져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제센터서버로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관제센터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의 정보를 제공받는 구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는 이동통신모뎀을 구비하여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관제센터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관제센터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긴급상황표시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긴급상황알림장치의 정보를 제공받는 구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PCT/KR2016/011539 2015-10-16 2016-10-14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WO2017065549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855766.8A EP3364391A1 (en) 2015-10-16 2016-10-14 Emergency situation handling platform for road using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attached to street light
US15/953,393 US20180233046A1 (en) 2015-10-16 2018-04-13 Emergency situation handling platform for road using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attached to street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44980 2015-10-16
KR10-2015-0144980 2015-10-16
KR20150156148 2015-11-06
KR10-2015-0156148 2015-11-06
KR10-2016-0041719 2016-04-05
KR1020160041719A KR101944032B1 (ko) 2015-10-16 2016-04-05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953,393 Continuation US20180233046A1 (en) 2015-10-16 2018-04-13 Emergency situation handling platform for road using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attached to street l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5549A1 true WO2017065549A1 (ko) 2017-04-20

Family

ID=5851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1539 WO2017065549A1 (ko) 2015-10-16 2016-10-14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06554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5497A1 (en) * 2003-01-29 2004-07-29 Pearson Jeremiah W. Automated traffic control system having an interactive emergency vehicle warning therein
KR20120008190A (ko) * 2010-07-16 2012-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교통 정보 알림 기능을 갖는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114591A (ko) * 2011-04-07 2012-10-1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KR20150015690A (ko) * 2013-08-01 2015-02-11 주식회사 오스틴인터내쇼날 도로 긴급상황 알림 신호기
KR20150083227A (ko) * 2014-01-09 2015-07-17 유동배 교통사고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신고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5497A1 (en) * 2003-01-29 2004-07-29 Pearson Jeremiah W. Automated traffic control system having an interactive emergency vehicle warning therein
KR20120008190A (ko) * 2010-07-16 2012-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교통 정보 알림 기능을 갖는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114591A (ko) * 2011-04-07 2012-10-1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KR20150015690A (ko) * 2013-08-01 2015-02-11 주식회사 오스틴인터내쇼날 도로 긴급상황 알림 신호기
KR20150083227A (ko) * 2014-01-09 2015-07-17 유동배 교통사고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신고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032B1 (ko)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KR102011618B1 (ko) 자동 운전 지원 시스템, 자동 운전 감시 장치, 도로 관리 장치 및 자동 운전 정보 수집 장치
CN109964263B (zh) 步车间通信系统、车载终端装置、步行者终端装置以及安全驾驶辅助方法
CN108701406B (zh) 用于操作交通监控设备的方法和装置、交通监控设备和交通监控系统
WO2012002645A2 (ko) 차량항법장치와 초고속인터넷통신망을 이용한 지능형 교통관리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8088758A1 (ko) 고속화도로 교통사고다발구간을 포함한 위험구간 돌발상황 대응을 위한 연속류 고속화도로 위험상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6133251A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안전 장치
WO2018097588A1 (ko) 비상알림 경고시스템
WO2017003013A1 (ko) 차량 주행 보조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18164335A1 (ko)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WO2015102275A1 (ko) 차선변경 경보 장치
US20200148382A1 (en) Aerial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649672B1 (ko) 긴급차선 확보용 긴급신호등장치
CN110941223A (zh) 一种智慧路锥系统
WO2022139017A1 (ko) 지오-펜스 기반 차량 과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2965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59663A (ko) 긴급차량 접근 알림 신호 시스템
KR20160092963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76133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v2x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20170337814A1 (en) Safety alerting drivers device and system
WO2021201304A1 (ko) 자율주행을 보조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65549A1 (ko) 가로등에 부착된 긴급상황표시장치를 이용한 도로용 긴급상황 대응 플랫폼
KR20160112667A (ko) 2차 도로사고 방지를 위한 사고 신호장치
KR20180061910A (ko) 주정차 무인 관제 시스템
KR101707906B1 (ko) 비상호출장치 및 비상호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557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55766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