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61728A1 -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61728A1
WO2017061728A1 PCT/KR2016/010900 KR2016010900W WO2017061728A1 WO 2017061728 A1 WO2017061728 A1 WO 2017061728A1 KR 2016010900 W KR2016010900 W KR 2016010900W WO 2017061728 A1 WO2017061728 A1 WO 20170617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module
electrode assembly
case
modul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09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승현
김채아
박세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754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JP6442074B2/ja
Priority to PL16853844T priority patent/PL3255720T3/pl
Priority to CN201680022625.5A priority patent/CN107534191B/zh
Priority to US15/555,858 priority patent/US10476068B2/en
Priority to EP16853844.5A priority patent/EP3255720B1/en
Publication of WO20170617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617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probe for sensing the expansion of the battery cell.
  •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of wireless mobile devices.
  • the secondary battery has attracted attention as an energy source of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etc. which are proposed as a solution for air pollution of conventional gasoline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 Therefore, the type of applications using the secondary battery is very diversified due to the advantages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econdary battery will be applied to many fields and products in the future.
  • Such secondary batteries may be classified into lithium ion batteries,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lithium polymer batteries, etc.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and among them,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leakage of the electrolyte, and the amount of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that are easy to manufacture is high.
  • the secondary battery is a cylindrical battery and a rectangular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metal can, and a pouch type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 type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 Figure 1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pouch-type battery.
  •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10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30 formed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disposed therebetween in the pouch type battery case 20.
  • the two electrode leads 40 and 4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31 and 32 are sea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battery case 20 is composed of a case body 21 including a concave shape accommodating portion 23 o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30 can be seated, and a cover 22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dy 21. have.
  •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tabs 31 and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tabs 32 are fused to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electrode leads 40 and 41.
  • the electrode leads 40 and 41 ar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24 of the case body 21 and the upper end of the cover 22, and an insulating film 50 is attached to prevent shorts.
  •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s widely used as an energy source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as well as various mobile devices, but when gas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battery case is broken and hazardous gas is leaked, which is a safety for users. And additional battery failures may result in unexpected overheating or explosion.
  •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have safety devices such as a protection circuit and a fuse that cut off the current during overcharging, overdischarging, and overcurrent, it does not detect the amount of gas inside the battery in real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 because the safety is greatly reduced because it can not determine the time.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accident by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before the battery case is broken by detec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ary battery,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ell of the secondary battery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It is installed to detect a local volume expansion change of the battery cell to transmit a signal, and to provide a battery module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for ensuring the safety of the battery module when the internal pressure by the signal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pressure value.
  • Battery module including a probe for detecting the expansion of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 a battery module including two or more battery cell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 a sensing probe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battery cells to sense a local volume change of the battery cell and to transmit a signal
  •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sensing probe and generate a warning signal for securing the safety of the battery modul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estimated from the received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pressure value.
  • the battery module including a probe for detecting the expansion of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stima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and transmitting a warning signal before the battery case is broken,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above the threshold pressure value
  • a warning signal to secure the safety of the battery module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can increase the life and safety of the battery module.
  • the battery case of the battery cell is a pouch type battery cas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re built in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t may be a heat-sealed structure.
  •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pouch-type case is indented for the interior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hexahedral structure of a relatively large size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s indent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thermal bonding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Side surfaces for providing a depth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thereof.
  •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may have a structure inclined at 45 degrees to 85 degrees with respect to a bottom surface thereof.
  • a sensing probe may be installed to contact an outer surface of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 the sensing probe may be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unit.
  • the sensing probe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two battery cells.
  • the battery cells are embedded in a module case having a hexahedron shape, and a probe mounting par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sensing probe may be formed inside the module case.
  • the threshold pressure value may be set in a range lower tha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in which the sealing portion of the battery case is ruptured.
  • the threshold pressure value may be set in the range of 1.5 atm to 3 atm.
  • the threshold pressure value may be set in the range of 2.5 atm to 3 atm.
  • control unit may be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module.
  •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 the warning signal may be an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modu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battery module.
  • the warning signal may be an acknowledgment signal that visually or audibly recognizes a danger to a user or a mechanic of a device equipped with a battery module in order to secure safety of the battery module.
  • the device may be a motor vehicle and the user may be a driv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pack including at least one battery module as a unit module.
  •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pack as a power source.
  • the device may be selected from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n electric golf cart, and the like.
  •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onventional electrode assembly
  •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battery cell constitut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part of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probe for detecting expansion of a battery cell;
  •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 part of the battery module showing a state where the internal pressure is increased in the battery cell of 3;
  • 5 is a schematic view of a part of the battery modul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is further increased in the battery cell of 4;
  •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 portion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ttery cell constitut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case 120 of the battery cell 101 includes a pouch-type cas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and includes a first case 121 and a second case 122. It is.
  • the battery case 120 is formed of a laminate sheet, and is composed of an outer resin layer 120A forming an outermost shell, a barrier metal layer 120B preventing penetration of materials, and an inner resin layer 120C for sealing. .
  • the battery case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123 is heat-sealed and sealed while the electrode assembly 130 and the electrolyte are embedded in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123.
  • An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123 is formed in an indented portion of the first case 121, and the second case 122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case 121.
  • the second case 122 seals the accommodating part 123 of the first case 121 while being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 the electrode assembly 130 is composed of a hexahedral structure having a size larger tha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123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case 121 is indented to embed the electrode assembly 130. That is,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123 is indent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electrode assembly 13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121a, 121b, 121c, and 121d for thermal fusion bonding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123. A side surface that provides the depth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123 is positioned between the sides.
  • first case 121 and the second case 122 have a structure that seals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s 121a, 121b, 121c, and 121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23 of the electrode assembly 130.
  •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1 and 142 coupl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30 are connected to the first heat-sealed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121a opposite to the portion where the first case 121 and the second case 122 are connected. Located.
  • Insulating films 150 for insulation are attach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41 and 142, respectively.
  • a second heat fusio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121b and a third heat fusion outer circumference 121b and a third heat fusion outer circumference 121b and a third heat fusion are respectively locat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first heat fusio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121a.
  •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121c is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part of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probe for detecting a state of a battery cell having increased internal pressure and expansion of the battery cell.
  • the battery module 100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nsing probe 110 and the sensing probe 110 that transmits a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in an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101, and determines that the battery module 100 is of the battery module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90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for ensuring safety.
  • the side surface 123a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123 is inclined at 7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sensing probe 110 has a side at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 101 (FIG. 2: 141, 142) are positioned. It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123a '' of 123a.
  • the side surface 123a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123 is formed of an inner surface 123a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assembly 130 and an outer surface 123a' 'in contact with the sensing probe 110.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123a ′′ facing the side surface 123a of th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123, and the side surface 123a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123 is increased as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during the charge / discharge process of the battery cell 101. '').
  • the module case 170 accommodates the battery cell 101 therein, and a probe mounting part 17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sensing probe 110 is formed therein.
  •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 part of a battery modul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is increased in the battery cell of 3
  •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part of the battery modul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is further increased in the battery cell of 4. .
  • the sensing probe 110 is fixed to the probe mounting unit 17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sensing probe 110 inside the module case 170.
  • the side surface 123a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123 expands, and the sensing probe 110 detects the pressure of the battery cell 101 to control the controller 190. send.
  • the side surface 123a of the electrode assembly accommodating part 123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FIG. 3 except that the internal pressur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volum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 part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ttery modul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1, 202, 203, 204, and 205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in the module case 270.
  • the battery cells 201, 202, 203, 204, and 205 ar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 the sensing probes 210 and 211 are mounted with the inclination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s 201, 202, 203, 204, and 205.
  • the sensing probes 210 and 211 ar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s of some of the battery cells 201, 202, 203, 204, and 205, and each of the battery cells 201, 202, 203, 204, 205 may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 the sensing probes 210 and 211 transmit the detected signals to the controller 290, and the controller 290 determines whether to generate a warning signal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pressure value.
  • sensing probes 210 and 211 are identical to each other except that the sensing probes 210 and 211 are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201, 202, 203, 204, and 205,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battery module including a probe for detecting the expansion of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stimating the internal pressure from the local volume expansion of the battery cell transmits a warning signal before the battery case is broken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more than the threshold pressure value to generate a warning signal to ensure the safety of the battery module can prevent the accid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방전이 가능한 둘 이상의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로서, 상기 전지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의 외면에 설치되어, 전지셀의 국부적인 부피 팽창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센싱 프로브; 및 상기 센싱 프로브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서 전지셀의 내부 압력을 추정하여 이것이 임계 압력값 이상일 때 전지모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본 출원은 2015.10.06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5-0140182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과 전해액의 구성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그 중 전해액의 누액 가능성이 적으며, 제조가 용이한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의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이 중, 전지의 고용량화로 인해 케이스의 대면적화 및 얇은 소재로의 가공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이에 따라,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20) 내부에,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30)가 그것의 양극 및 음극 탭들(31, 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전극리드들(40, 4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케이스(20)는 전극조립체(3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23)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21)와 그러한 본체(21)에 일체로서 연결되어 있는 커버(22)로 이루어져 있다.
스택형 전극조립체(30)는 다수의 양극 탭들(31)과 다수의 음극 탭들(32)이 각각 융착되어 전극리드(40, 41)에 함께 결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21)의 상단부(24)와 커버(22)의 상단부에는 전극리드(40, 41)가 위치하고 쇼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필름(50)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충방전 과정에서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에 전지케이스가 파단되어 유해 가스가 유출되고 이는 사용자의 건강상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전지 오작동으로 예상치 못한 발열,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다.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에는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시 전류를 차단하는 보호회로, 퓨즈 등의 안전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지만 전지 내부 가스 발생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전지케이스의 파단 시점을 판단하지 못하여 안전성이 크게 저하되어 소망하는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의 내부 압력을 검출하여 전지케이스가 파단 되기 전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여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전지모듈을 구성하고 있는 이차전지의 전지셀의 외면에 설치되어, 전지셀의 국부적인 부피 팽창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신호에 의한 내부 압력이 임계 압력값 이상일 때 전지모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은,
충방전이 가능한 둘 이상의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로서,
상기 전지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의 외면에 설치되어, 전지셀의 국부적인 부피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센싱 프로브; 및
상기 센싱 프로브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서 추정된 전지셀의 내부 압력이 임계 압력값 이상일 때 전지모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은, 전지셀의 내부 압력을 추정하여 전지케이스가 파단되기 전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여 내부 압력이 임계 압력값 이상일 때 전지모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므로 전지모듈의 수명 및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셀의 전지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이고, 전극조립체 수납부에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내장된 상태에서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외주면을 열융착하여 밀봉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전극조립체 수납부는 전극조립체의 내장을 위해 파우치형 케이스의 일부가 만입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상하 양면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 수납부는 전극조립체의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만입되어 있으며,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저면과 열융착을 위한 외주면 사이에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깊이를 제공하는 측면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측면은 저면을 기준으로 45도 내지 85도로 기울어져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 상기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측면의 바깥면에 접하도록 센싱 프로브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싱 프로브는,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측면들 중에서, 전지셀의 전극 단자가 위치하는 측면의 바깥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센싱 프로브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지셀들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지셀들이 육면체 형상의 모듈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는 센싱 프로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로브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임계 압력값은 전지케이스의 밀봉 부위가 파열되는 전지셀의 내부 압력 보다 낮은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임계 압력값은 1.5 atm 내지 3 atm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 상기 임계 압력값은 2.5 atm 내지 3 atm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전지모듈의 작동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경고 신호는, 전지모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전지모듈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작동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 상기 경고 신호는, 전지모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전지모듈이 장착된 디바이스의 사용자 또는 정비사에게 위험성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시키는 인지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자동차이고, 상기 사용자는 운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지모듈을 단위모듈로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기 이륜차, 또는 전기 골프 카트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을 구성하고 있는 전지셀의 모식도이다;
도 3은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의 일부 모식도이다;
도 4는 3의 전지셀에서 내압이 증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지모듈의 일부 모식도이다;
도 5는 4의 전지셀에서 내압이 더 증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지모듈의 일부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일부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을 구성하고 있는 전지셀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지셀(101)의 전지케이스(120)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제 1 케이스(121) 및 제 2 케이스(122)로 구성되어 있다.
전지케이스(120)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외각을 이루는 외측 수지층(120A), 물질의 관통을 방지하는 차단성 금속층(120B), 및 밀봉을 위한 내측 수지층(120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지케이스(120)는 전극조립체 수납부(123)에 전극조립체(130)와 전해액이 내장된 상태에서 전극조립체 수납부(123)의 외주면을 열융착하여 밀봉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케이스(121)의 만입되어 있는 부분에 전극조립체 수납부(123)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케이스(122)는 제 1 케이스(121)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 2 케이스(122)는 화살표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제 1 케이스(121)의 수납부(123)를 밀폐한다.
전극조립체(130)는 상하 양면이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조립체 수납부(123)는 전극조립체(130)의 내장을 위해 제 1 케이스(121)의 일부가 만입되어 있는 구조이다. 즉, 전극조립체 수납부(123)는 전극조립체(130)의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만입되어 있으며, 전극조립체 수납부(123)의 저면과 열융착을 위한 외주면들(121a, 121b, 121c, 121d) 사이에 전극조립체 수납부(123)의 깊이를 제공하는 측면이 위치한다.
전극조립체 수납부(123)의 밀봉을 위해 수납부(123)의 외주 부위를 따라 열융착 외주부들(121a, 121b, 121c, 121d)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케이스(121)와 제 2 케이스(122)는 전극조립체(130)의 수납부(123)의 외주부들(121a, 121b, 121c, 121d)을 밀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조립체(130)에 결합되어 있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141, 142)는 제 1 케이스(121)와 제 2 케이스(122)가 연결되어 있는 부위에 대향하는 제 1 열융착 외주부(121a)에 위치한다.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141, 142)의 상하면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필름들(15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제 1 열융착 외주부(121a)의 양측 단부들에 인접하여 제 2 열융착 외주부(121b)와 제 3 열융착 외주부(121c)가 각각 위치하며, 제 2 열융착 외주부(121b)와 제 3 열융착 외주부(121c)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다.
도 3에는 내압이 증가된 전지셀의 상태 및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의 일부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지모듈(100)은 전지셀(101)의 내부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센싱 프로브(110) 및 센싱 프로브(1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전지모듈(100)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극조립체 수납부(123)의 측면(123a)은 저면을 기준으로 75도로 기울어져 있고, 센싱 프로브(110)는 전지셀(101)의 전극 단자들(도 2: 141, 142)이 위치하는 측면(123a)의 바깥면(123a'')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극조립체 수납부(123)의 측면(123a)은 전극조립체(130)와 접하는 내측면(123a')과 센싱 프로브(110)와 접하는 바깥면(123a'') 중에서, 센싱 프로브(110)가 전극조립체 수납부(123)의 측면(123a)과 마주하는 바깥면(123a'')에 설치되어 전지셀(101)의 충방전 과정에서 내압이 증가함에 따라 전극조립체 수납부(123)의 측면(123a'')과 접하게 된다.
모듈 케이스(170)는 전지셀(101)을 내부에 수납하고 있고, 그 내부에는 센싱 프로브(1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로브 장착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3의 전지셀에서 내압이 증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지모듈의 일부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4의 전지셀에서 내압이 더 증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지모듈의 일부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센싱 프로브(110)가 모듈 케이스(170)의 내부에 센싱 프로브(1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로브 장착부(171)에 고정되어 있다.
전극조립체 수납부(123)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전극조립체 수납부(123)의 측면(123a)이 팽창하고, 센싱 프로브(110)가 전지셀(101)의 압력을 검출하여 제어부(190)에 전송한다.
전극조립체 수납부(123)의 측면(123a)이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부피가 증가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3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일부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지모듈(200)은 모듈 케이스(270) 내에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전지셀들(201, 202, 203, 204, 205)을 포함하고 있다. 전지셀들(201, 202, 203, 204, 205)은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센싱 프로브들(210, 211)은 전지셀들(201, 202, 203, 204, 205)의 두께에 따라 경사가 조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센싱 프로브들(210, 211)이 다수의 전지셀들(201, 202, 203, 204, 205) 중 일부의 전지셀(201, 205)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전지셀들(201, 202, 203, 204, 205)의 측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센싱 프로브들(210, 211)은 검출한 신호들을 제어부(290)로 전송하고, 제어부(290)는 내부 압력이 임계 압력값 이상일 때 경고 신호를 생성할지에 대해 판단한다.
센싱 프로브들(210, 211)이 다수의 전지셀들(201, 202, 203, 204, 205)에 설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구조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은, 전지셀의 국부적인 부피 팽창부터 내부 압력을 추정하여 전지케이스가 파단되기 전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여 내부 압력이 임계 압력값 이상일 때 전지모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모듈의 수명 연장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8)

  1. 충방전이 가능한 둘 이상의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로서,
    상기 전지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의 외면에 설치되어, 전지셀의 국부적인 부피 팽창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센싱 프로브; 및
    상기 센싱 프로브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전지셀의 내부 압력을 추정하여 임계 압력값 이상일 때 전지모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의 전지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이고, 전극조립체 수납부에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내장된 상태에서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외주면을 열융착하여 밀봉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 수납부는 전극조립체의 내장을 위해 파우치형 케이스의 일부가 만입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상하 양면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 수납부는 전극조립체의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만입되어 있으며,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저면과 열융착을 위한 외주면 사이에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깊이를 제공하는 측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측면은 저면을 기준으로 45도 내지 85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측면의 바깥면에 접하도록 센싱 프로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프로브는,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측면들 중에서, 전지셀의 전극 단자가 위치하는 측면의 바깥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프로브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지셀들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들이 육면체 형상의 모듈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는 센싱 프로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프로브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압력값은 전지케이스의 밀봉 부위가 파열되는 전지셀의 내부 압력 보다 낮은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압력값은 1.5 atm 내지 3 atm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압력값은 2.5 atm 내지 3 atm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지모듈의 작동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신호는, 전지모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전지모듈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작동 제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신호는, 전지모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전지모듈이 장착된 디바이스의 사용자 또는 정비사에게 위험성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시키는 인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자동차이고, 상기 사용자는 운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모듈을 단위모듈로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8. 제 17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CT/KR2016/010900 2015-10-06 2016-09-29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WO2017061728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547532A JP6442074B2 (ja) 2015-10-06 2016-09-29 電池セルの膨張を感知するためのプローブを含んでいる電池モジュール
PL16853844T PL3255720T3 (pl) 2015-10-06 2016-09-29 Moduł bateryjny zawierający sondę do wykrywania rozszerzania ogniwa baterii
CN201680022625.5A CN107534191B (zh) 2015-10-06 2016-09-29 包括用于检测电池单体的膨胀的探针的电池模块
US15/555,858 US10476068B2 (en) 2015-10-06 2016-09-29 Battery module including probe for detecting expansion of battery cell
EP16853844.5A EP3255720B1 (en) 2015-10-06 2016-09-29 Battery module comprising probe for sensing expansion of battery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182A KR101950463B1 (ko) 2015-10-06 2015-10-06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KR10-2015-0140182 2015-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1728A1 true WO2017061728A1 (ko) 2017-04-13

Family

ID=5848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0900 WO2017061728A1 (ko) 2015-10-06 2016-09-29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76068B2 (ko)
EP (1) EP3255720B1 (ko)
JP (1) JP6442074B2 (ko)
KR (1) KR101950463B1 (ko)
CN (1) CN107534191B (ko)
PL (1) PL3255720T3 (ko)
WO (1) WO20170617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3830A (zh) * 2017-06-21 2019-04-1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及电池鼓包检测装置
CN113267299A (zh) * 2021-05-17 2021-08-1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箱体泄漏检测装置及检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6636A1 (en) * 2014-03-28 2015-10-01 Intel Corporation Device to detect battery expansion
US10714795B2 (en) * 2017-05-01 2020-07-14 Infineon Technologies Ag Monitoring battery cell internal pressure
KR102278469B1 (ko) 2018-09-28 2021-07-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살균공기정화기
JP7211246B2 (ja) * 2019-04-22 2023-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
KR102446570B1 (ko) 2019-05-03 2022-09-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위험감지 전지 셀
KR102238736B1 (ko) 2019-08-14 2021-04-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살균필터
WO2021101168A1 (ko) * 2019-11-20 2021-05-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의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
US11215519B2 (en) * 2020-02-20 2022-01-04 Lenovo (Singapore) Pte. Ltd. Device component swelling detection
KR20210128196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웰링 감지가 가능한 배터리 팩
KR20210143603A (ko) 2020-05-20 2021-11-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220009009A (ko) 2020-07-15 2022-01-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20056445A (ko)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2886082B (zh) * 2021-01-12 2022-04-15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动力电池热失控预警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102623713B1 (ko) * 2021-10-13 2024-01-1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8820A (ko) * 2022-02-28 2023-09-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셀의 벤팅 검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576A (ko) * 2005-04-20 2006-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압전 센서가 내장된 이차전지 모듈
KR20070075927A (ko) * 2006-01-17 2007-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소형 전지팩
KR20070093165A (ko) * 2006-03-13 2007-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간단한 구조의 안전수단을 구비한 전지모듈
KR20130040575A (ko) * 2011-10-14 2013-04-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351427B1 (ko) * 2010-02-12 2014-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스웰링 감지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3320B2 (ja) 1998-08-28 2007-10-17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シート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51638A (ko) 1999-01-25 2000-08-16 김순택 이차전지
CN1220297C (zh) * 2001-06-05 2005-09-21 日本电池株式会社 组合电池装置
KR100579377B1 (ko) * 2004-10-28 2006-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764618B1 (ko) 2005-09-07 2007-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이차전지
JP5219587B2 (ja) * 2008-03-31 2013-06-26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ミネート式電池及びそのラミネート式電池を備えた電池モジュール
KR101072955B1 (ko) 2009-08-14 2011-10-1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1093928B1 (ko) * 2009-11-26 2011-1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
JP5489797B2 (ja) * 2010-03-17 2014-05-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JP5732687B2 (ja) * 2010-03-19 2015-06-10 エルジー ケム. エルティーディ. ポーチ型ケース及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101152662B1 (ko) 2010-09-03 2012-06-15 (주)열린기술 이차전지 폭발방지장치
US8986866B2 (en) * 2010-11-29 2015-03-24 Apple Inc. Fault detection and monitoring in batteries
JP5916623B2 (ja) * 2010-11-30 2016-05-11 住友理工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
KR101965447B1 (ko) * 2011-10-07 2019-04-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팩과 이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
KR101383167B1 (ko) * 2011-10-20 2014-04-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402719B1 (ko) * 2012-06-08 2014-06-03 (주)고려진공안전 교통 표시판
TW201407179A (zh) * 2012-08-12 2014-02-16 Compal Electronics Inc 電子裝置及其偵測電池變形的方法
KR101944837B1 (ko) 2012-09-28 2019-02-0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KR101449306B1 (ko) * 2013-06-28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보호장치
KR101558694B1 (ko) * 2013-12-18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KR20150071571A (ko) * 2013-12-18 2015-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576A (ko) * 2005-04-20 2006-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압전 센서가 내장된 이차전지 모듈
KR20070075927A (ko) * 2006-01-17 2007-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소형 전지팩
KR20070093165A (ko) * 2006-03-13 2007-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간단한 구조의 안전수단을 구비한 전지모듈
KR101351427B1 (ko) * 2010-02-12 2014-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스웰링 감지 제어장치
KR20130040575A (ko) * 2011-10-14 2013-04-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255720A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3830A (zh) * 2017-06-21 2019-04-1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及电池鼓包检测装置
CN113267299A (zh) * 2021-05-17 2021-08-1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箱体泄漏检测装置及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5720A1 (en) 2017-12-13
JP2018508107A (ja) 2018-03-22
JP6442074B2 (ja) 2018-12-19
US10476068B2 (en) 2019-11-12
CN107534191B (zh) 2020-07-14
PL3255720T3 (pl) 2021-05-17
KR101950463B1 (ko) 2019-02-20
KR20170040919A (ko) 2017-04-14
EP3255720A4 (en) 2018-07-25
EP3255720B1 (en) 2020-11-18
US20180047972A1 (en) 2018-02-15
CN107534191A (zh)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1728A1 (ko)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WO2014148858A1 (ko)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이차전지
WO2014137112A1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CN107949932B (zh) 具有使用胶带的排气结构的电池单元
WO2012157855A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WO2009157676A2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WO2011115464A2 (ko) 파우치형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5122667A1 (ko) 실링부에 홈을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12134108A2 (ko) 가스배출장치를 포함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가스배출 제어방법
WO2019078449A1 (ko) 가스 배출이 가능한 이차전지용 파우치형 케이스
WO2018128283A1 (ko)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지셀
WO2022080908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13129844A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3100446A1 (ko) 제조공정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
WO2015174714A1 (ko)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0045814A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용 파우치
WO2018151415A1 (ko) 열팽창성 테이프를 포함하는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017779A1 (ko)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어 있는 각형화된 전지셀
WO2015046934A1 (ko) 전압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함하는 전지모듈
WO2012148211A2 (ko) 배터리 모듈
WO2018052209A1 (ko) 이차 전지
KR20220049142A (ko) 전기 차량용 배터리의 열폭주 감지 장치
CN115377582A (zh) 电池单体、电池模组、电池包、储能系统及电动汽车
WO2013154264A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14010872A1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538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538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55858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4753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