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17779A1 -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어 있는 각형화된 전지셀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어 있는 각형화된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17779A1
WO2014017779A1 PCT/KR2013/006424 KR2013006424W WO2014017779A1 WO 2014017779 A1 WO2014017779 A1 WO 2014017779A1 KR 2013006424 W KR2013006424 W KR 2013006424W WO 2014017779 A1 WO2014017779 A1 WO 20140177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case
pouch
cel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64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공병오
강달모
성준엽
엄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3822370.6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54200B1/en
Priority to CN201380036491.9A priority patent/CN104488112B/zh
Publication of WO20140177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17779A1/ko
Priority to US14/566,475 priority patent/US963429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quared battery cell in which a pouch-type battery cell is embedded, and more particularly, a pouch-type battery cell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type battery case, and the pouch-type battery cell is embedded and a polyhedr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ell.
  • a secondary battery is composed of an electrode assembly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n a stacked or wound state, embedded in a battery case of a metal can or laminate sheet, and then injected or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 Secondary batterie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clude cylindrical batteries, rectangular batteries, and pouch-type batteries.
  • a pouch type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ack type or a stack / fold type electrode assembly is incorporated in a pouch type battery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has been used for many reasons due to low manufacturing cost, small weight, and easy shape deformation. Attention is also increasing and its usage is gradually increasing.
  • one or a couple of battery cells per device is used in the small mobile devices, while due to the need for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in a medium-large device such as an automobile, a battery pack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 the battery pack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weight as possible, there is a need for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with high integration.
  • Pouch-type batteries have been used in recent years due to their small weight to capacity, but are less scalable when assembling modules or pack units than square batteries.
  • one of the major research tasks in the secondary battery is to improve safety.
  • secondary batteries decompose electrolyte du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internal short-circuits, overcharge conditions exceeding the allowable current and voltage,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deformation due to drops or external shocks, and high-pressure gas is generated. Done. The generated high pressure gas may cause deformation of the battery case and shorten the life of the battery, and seriously may cause fire or explosion of the battery.
  • a vent structure is included in the battery cell case so that the vent ruptures under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thereby discharging the gas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ell.
  • the structure which prevents cell explosion is used.
  • the gas discharged from the battery cell contains toxic components, a problem may occur when the gas discharged outside the battery cell flows into the human body.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cell having an easily expandable structure when assembling a battery module or a battery pack unit by using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cell having a pouch structure is compatible with a battery cell having a square structur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explosion of the battery due to the gas generated in the battery, a battery cell having a structure that can collect the gas discharged from the battery cell in the module or pack unit to release to the intended position To provide.
  • a prismatic battery cell includes a pouch-type battery cell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type battery case; A cell case having the pouch-type battery cell embedded therein and having a polyhedron appearance; And an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are coupled.
  • the terminal case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ell case and has a polyhedron shape.
  • the pouch-type battery cell includes a cell case to be compatible with the square battery cell, thereby increasing the expandability when 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enables a variety of configurations.
  • the pouch-type battery cell may have a plate-like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is sealed while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 the battery cas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may be formed of a pouch-type case consisting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layer and a metal layer. That is, the battery case may be formed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resin outer layer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 barrier metal layer, and a heat-melting resin sealant layer, and the resin sealant layers may be thermally fused to each other.
  • the resin outer layer should have excellent resistanc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have a predetermined tensile strength and weather resistance.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a stretched nylon film may be used as the polymer resin of the outer resin lay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aluminum may be used as the barrier metal layer to exert a function of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battery case in addition to a function of preventing inflow or leakage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gas and moisture.
  • the resin sealant layer for example, has a heat sealability (heat adhesion), low hygroscopicity to suppress the pene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polyolefin resin that is not expanded or eroded by the electrolyte solution may be used.
  • heat sealability heat adhesion
  • polyolefin resin that is not expanded or eroded by the electrolyte solution
  • unstretched polypropylene CPP
  • the cell case and the terminal case has a polyhedral outline as defined above to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battery modules, etc. by forming a pouch-shaped cell.
  • polyhedron outlines include tetrahedral, pentahedral, hexahedral, and octahedral outlines.
  • the shape may be hexahedral.
  • the cell case may include a first cas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both sides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and a second case mount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hereto, wherei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Since the mutual fastening structure is formed, the pouch-type battery cell can be coup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uilt-in state.
  • one or more fasteners are formed in one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nd fasten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asteners are formed in the other cases to face the fastener and the fastening groove.
  • the fastener may have a hook structure, and the fastening groove may be configured as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hook structure.
  •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penings for exposing both sides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are perforated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 These openings can be configured not only in a more compact structure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s are stacked, but also used as a space for heat dissipation or to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by interposing a cooling member between the battery cells.
  • it provides a space for the battery cells to expand in the event of swelling due to continuous use or abnormal operation of the battery.
  •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 may vary, and for example, may have an insert bolt structure. That is, when configuring a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battery cells, the external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insert bolt structure of the battery cell and the insert screw provided in the bus bar or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coupled to the fastening structure Can be.
  • the structure of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 insert bolt coupling structure, and may be formed in a plate-like or linear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by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as welding and soldering.
  • the terminal case includes a terminal coupling part connected to an electrode terminal protruding from the pouch-type battery cel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terminal coupling par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welding method. Can be.
  • the terminal case may include a vent plug for discharging gas generated by abnormal operation of the battery cell.
  • the vent plug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discharging the gas generated in the pouch-type battery cel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at is, when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is separated by abnormal operation, and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ell through the vent plug of the terminal case.
  • the gas discharge position of the battery cell is constant, in some cases, the structure to collect the gas in the gas discharge position May be further formed, and further, a secondary vent structure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gas collecting structure.
  • the terminal cas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 a terminal coupling part, and a vent plug are integrally coupled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 the volume of the stacked structure can be reduced when the battery cells are stacked.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module including two or more of the prismatic battery cells, and a battery pack in which the battery module is embedded in one or more pack cases.
  • the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is a mobile phone, portable computer, smart phone, smart pad, netbook, LEV (Light Electronic Vehicle), electric vehicle, hybrid electric vehicle, which requires long life and excellent durability in consideration of structural stability, etc. It can be preferably used in devices such as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power storage devic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or the battery pack as a power source, the device is specifically, mobile phones, portable computers, smart phones, smart pads, netbooks, LEV (Light Electronic Vehicle), electric vehicle, Hybrid electric vehicles,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or power storage devices.
  • LEV Light Electronic Vehicle
  • electric vehicle Hybrid electric vehicles
  •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or power storage device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ismatic battery ce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type battery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uch-type battery cell and a cell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fastening structure of the cell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in which a pouch-type battery cell and a terminal case in which the cell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 FIG. 1 illustrates a squared battery ce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llustrate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the prismatic battery cell 100 includes a pouch-type battery cell 110, a cell case 120 in which the pouch-type battery cell 110 is mounted, and a cell case 120.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cluding a terminal case 130 coupled to one end.
  • the pouch-type battery cell 110 has a plate-like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built in a pouch-type case of a laminate sheet, and the cell case 120 is composed of a first case 122 and a second case 124, When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shaped battery cell 1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cube.
  • the terminal case 13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ell case 120 and includes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s 132 and 13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s 112 and 114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110. It forms the appearance of a cube.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of FIG. 2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in which a cell case is added to FIG. 3.
  • the pouch-type battery cell 110 has a plate-like structure in whic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ealed while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is embedded.
  • the electrode terminals 112 and 114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110 protrude from one end portion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coupling parts 133 and 135 of the terminal case 130.
  • the cell case 300 includes a first case 122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110 and a second case 124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110.
  • the first case 124 and the second case 124 include an opening 126 tha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110 and exposes both sides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110.
  • the opening 126 enables the release of heat generated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110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pouch-type battery cell 200 can expand when a swelling phenomenon occurs.
  • the cell case 12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protects the pouch-type battery cell 110 from external impact.
  • FIG. 5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astening structure of the cell case of FIG.
  • the cell case 120 is coupled to each other in a fastening structure
  • the first case 122 has fasteners 123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the second case 124 is a fastener 123.
  • Fastening grooves 125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re formed.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pouch-type battery cell in which a cell case is mounted and a terminal case are coupled to each other.
  • the terminal case 13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attery cell case 12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112 and 114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110 are formed.
  •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s 132 and 134, vent plugs 138, and terminal coupling parts 133 and 135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an insert injection method.
  •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s 132 and 134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130,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s 112 and 114 by welding at the terminal coupling parts 133 and 135.
  • the external input / output terminals 132 and 134 have an insert bolt structure and are easily coupled to an external structure including an insert screw.
  • the vent plug 138 formed in the terminal case 130 discharges gas generated in the pouch-type battery cell 11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utside the battery cell.
  • the squared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expand when 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or the battery pack unit by using a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cell of the pouch type structure is compatible with the battery cell of the square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고 다면체 외형을 가진 셀 케이스 및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극단자가 결합되는 외부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셀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다면체 외형을 가진 단자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어 있는 각형화된 전지셀
본 발명은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어 있는 각형화된 전지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고 다면체 외형을 가진 셀 케이스 및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극단자가 결합되는 외부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셀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다면체 외형을 가진 단자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을 가진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으로 구성된 전극조립체를 적층하거나 권취한 상태로 금속 캔 또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다음 전해액을 주입하거나 함침시키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차전지로는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가 있다.
최근에는, 상기 전지들 중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또한 그것의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팩이 사용된다.
전지팩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는 전지가 필요하다. 파우치형 전지는 용량 대비 중량이 작아서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각형 전지에 비해서 모듈 또는 팩단위의 조립시 확장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종래에는 파우치형 전지를 각형 전지로 호환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서, 파우치형 전지로 전지모듈이나 전지팩으로 구성하는 것이 제한적이었다.
또한, 상기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 조립시 파우치형 전지를 각형 전지로 호환하는 기술 이외에, 이차전지에서 주요 연구 과제 중의 하나는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차전지는 내부 단락, 허용된 전류 및 전압을 초과한 과충전 상태, 고온에의 노출, 낙하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 등 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로 인해 전해액이 분해되면서 고압의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고압 가스는 전지케이스의 변형을 유발하고 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심각하게는 전지의 발화 내지 폭발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 가스 발생시 전지의 발화 내지 폭발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가스를 방출하기 위하여, 전지셀 케이스에 벤트 구조를 포함시켜서 일정 압력 이상의 조건에서 벤트가 파열되도록 함으로써 전지셀 외부로 가스를 배출하여 전지셀의 폭발을 방지하는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지셀에서 배출된 가스는 유독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지셀 외부로 배출된 가스가 인체에 유입되는 경우의 문제점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파우치형 전지의 장점을 그대로 취하면서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 조립시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의 전지셀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우치형 구조의 전지셀을 각형 구조의 전지셀로 호환하는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 단위의 조립시 확장성이 용이한 구조의 전지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지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전지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전지셀에서 방출된 가스를 모듈이나 팩 단위에서 포집하여 의도한 위치로 방출할 수 있는 구조의 전지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각형화된 전지셀은,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고 다면체 외형을 가진 셀 케이스; 및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극단자가 결합되는 외부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셀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다면체 외형을 가진 단자 케이스;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우치형 전지셀이 각형 전지셀로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셀 케이스를 포함함으로써,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 단위로 조립시에 확장성이 증대되어 다양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외부충격 및 진동에 비교적 약한 파우치형 전지셀의 내구성 및 강성을 보완하여 전체적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은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파우치형 전지셀의 외주면이 실링된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지케이스는, 예를 들어,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케이스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지케이스는 우수한 내구성의 수지 외층, 차단성의 금속층, 및 열용융성의 수지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수지 실란트층이 상호 열융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외층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수한 내성을 가져야 하므로, 소정 이상의 인장강도와 내후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측면에서 외측 수지층의 고분자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연신 나일론 필름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단성 금속층은 가스, 습기 등 이물질의 유입 내지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 전지케이스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실란트층은, 예를 들어, 열융착성(열접착성)을 가지고, 전해액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흡습성이 낮으며, 전해액에 의해 팽창하거나 침식되지 않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셀 케이스 및 단자 케이스는 파우치형 셀을 각형화 하여 전지모듈 등의 제작에 사용가능 하도록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이 다면체 외형을 가지는 바, 이러한 다면체 외형의 예로는, 사면체, 오면체, 육면체, 팔면체 외형 등 다양할 수 있으며,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육면체 외형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셀 케이스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양면 중에서 일면에 장착되는 제 1 케이스와 그에 대향하는 타면에 장착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는 상호 체결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서, 파우치형 전지셀을 내장한 상태에서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 중에서 하나의 케이스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케이스에는 상기 체결구에 대응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체결구와 체결홈을 마주하여 결합함으로써,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구는 후크(Hook)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홈은 후크 구조에 대응하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파우치형 전지셀의 양면이 노출되는 개구가 각각 천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개구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적층시 용적량을 줄여서 보다 컴팩트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자체로 방열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거나 전지셀 사이에 냉각부재를 개재하여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전지의 계속적인 사용 또는 이상작동으로 인한 스웰링(Swelling) 현상 발생시 전지셀이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셀의 외부 입출력 단자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서트 볼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전지셀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의 구성 시, 상기 전지셀의 인서트 볼트 구조의 외부 입출력 단자와 버스 바 또는 보호회로 모듈에 구비된 인서트 나사가 체결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의 구조는 인서트 볼트 결합 구조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용접, 솔더링 등 다양한 결합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판상형, 또는 선형 구조로 형성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단자 케이스에는,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돌출된 전극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결합부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단자와 단자 결합부는 용접 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케이스에는 전지셀의 이상 작동으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벤트 플러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플러그는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발생한 가스를 소정의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비정상적인 작동에 의해 파우치형 전지셀의 밀봉 부위가 분리되어 파우치형 전지셀의 외부로 가스가 방출되는 경우, 상기 단자 케이스의 벤트 플러그를 통해 전지셀 외부로 가스의 배출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의 구성 시, 전지셀의 가스 배출 위치가 일정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가스 배출 위치에 가스를 포집하는 구조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가스를 포집하는 구조에 2차 벤트 구조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단자 케이스는 외부 입출력 단자, 단자 결합부 및 벤트 플러그가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자 케이스와 셀 케이스를 동일한 두께 및 폭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전지셀들을 적층하였을 때 적층 구조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형화된 전지셀을 둘 이상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과, 상기 전지모듈이 하나 이상 팩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은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장시간의 수명과 우수한 내구성이 요구되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 등의 디바이스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장치 일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각형화된 전지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파우치형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파우치형 전지셀과 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셀 케이스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셀 케이스가 장착된 파우치형 전지셀과 단자 케이스가 결합된 구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각형화된 전지셀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각형화된 전지셀(100)은 파우치형 전지셀(110), 파우치형 전지셀(110)이 내부에 장착되는 셀 케이스(120), 및 셀 케이스(120)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단자 케이스(130)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파우치형 전지셀(110)은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셀 케이스(120)는 제 1 케이스(122) 및 제 2 케이스(124)로 구성되며 이들이 파우치형 전지셀(110)의 외면에 결합되었을 때 육면체의 외형을 형성한다.
단자 케이스(130)는 셀 케이스(12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파우치형 전지셀(110)의 전극단자(112, 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입출력 단자(132, 134)를 포함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형성하고 있다.
도 3에는 도 2의 파우치형 전지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셀 케이스가 추가된 구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파우치형 전지셀(110)은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 상태에서 외주면이 실링된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파우치형 전지셀(110)의 전극단자들(112, 114)은 단자 케이스(130)의 단자 결합부(133, 135)와 연결되기 위하여 일측 단부에서 돌출되어 있다.
셀 케이스(300)는 파우치형 전지셀(110)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 1 케이스(122)와 파우치형 전지셀(110)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 2 케이스(124)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케이스(124) 및 제 2 케이스(124)는 파우치형 전지셀(11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파우치형 전지셀(110)의 양면이 노출되는 개구(126)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개구(126)는 파우치형 전지셀(110)의 충방전시 발생하는 열의 방출을 가능하게 하고, 스웰링 현상 발생시 파우치형 전지셀(200)이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셀 케이스(120)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파우치형 전지셀(11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5에는 도 1의 셀 케이스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셀 케이스(120)는 상호 체결 구조로 결합되며, 제 1 케이스(122)는 외주면을 따라 체결구들(123)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케이스(124)는 체결구(123)의 형상에 대응하는 체결홈들(125)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22)와 제 2 케이스(124)가 마주하여 결합시, 체결구(123)가 체결홈(125)으로 삽입되어, 체결구(123)와 체결홈(125)이 맞물리면서 결합된다.
도 6에는 셀 케이스가 장착된 파우치형 전지셀과 단자 케이스가 결합된 구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자 케이스(130)는 파우치형 전지셀(110)의 전극단자들(112, 114)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전지셀 케이스(12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 케이스(130)는 외부 입출력 단자(132, 134), 벤트 플러그(138), 및 단자 결합부(133, 135)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외부 입출력 단자(132, 134)는 단자 케이스(130)의 전면에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자 결합부(133, 135)에서 전극단자(112, 114)와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외부 입출력 단자(132, 134)는 인서트 볼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인서트 나사를 포함하는 외부 구조와 용이하게 결합된다.
단자 케이스(130)에 형성된 벤트 플러그(138)는 파우치형 전지셀(110)에서 발생한 가스를 전지셀 외부의 일정한 방향으로 방출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형화된 전지셀은 파우치형 구조의 전지셀을 각형 구조의 전지셀로 호환하는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 단위의 조립시 확장성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셀에서 방출된 가스를 모듈이나 팩 단위에서 포집하여 방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고 다면체 외형을 가진 셀 케이스; 및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극단자가 결합되는 외부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셀 케이스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다면체 외형을 가진 단자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은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파우치형 전지셀의 외주면이 실링된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케이스는 육면체 외형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케이스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양면 중에서 일면에 장착되는 제 1 케이스와 타면에 장착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는 상호 체결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 중에서 하나의 케이스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케이스에는 상기 체결구에 대응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파우치형 전지셀의 양면이 노출되는 개구가 각각 천공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는 인서트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케이스는 육면체 외형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케이스는, 외부 입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연결되는 단자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케이스는 전지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벤트 플러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케이스는 외부 입출력 단자, 단자 결합부 및 벤트 플러그가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케이스와 셀 케이스는 동일한 두께 및 폭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화된 전지셀.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각형화된 전지셀을 둘 이상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이 하나 이상 팩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팩.
  17. 제 15 항에 따른 전지모듈 또는 제 16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CT/KR2013/006424 2012-07-23 2013-07-18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어 있는 각형화된 전지셀 WO201401777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822370.6A EP2854200B1 (en) 2012-07-23 2013-07-18 Rectangular battery cell having pouch-shaped battery cell built therein
CN201380036491.9A CN104488112B (zh) 2012-07-23 2013-07-18 包括袋状单元且转变成棱柱形的电池单元
US14/566,475 US9634297B2 (en) 2012-07-23 2014-12-10 Battery cell including pouch-type cell and transformed to prismatic sh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861A KR101501431B1 (ko) 2012-07-23 2012-07-23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어 있는 각형화된 전지셀
KR10-2012-0079861 2012-07-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566,475 Continuation US9634297B2 (en) 2012-07-23 2014-12-10 Battery cell including pouch-type cell and transformed to prismatic sha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7779A1 true WO2014017779A1 (ko) 2014-01-30

Family

ID=4999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6424 WO2014017779A1 (ko) 2012-07-23 2013-07-18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어 있는 각형화된 전지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34297B2 (ko)
EP (1) EP2854200B1 (ko)
KR (1) KR101501431B1 (ko)
CN (1) CN104488112B (ko)
WO (1) WO2014017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004B1 (ko) * 2015-05-27 2020-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수축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셀
EP4220798A1 (en) * 2015-11-02 2023-08-02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Method for making electrochemical cell having thin metal foil packaging
KR102210886B1 (ko) 2016-09-30 2021-02-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EP3460866B1 (en) * 2017-09-25 2023-01-18 H&T Rechargeable LLC Flat cells
WO2019204359A1 (en) * 2018-04-16 2019-10-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nod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ion batteries
FR3127334B1 (fr) 2021-09-23 2024-03-0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Busbar pour module de batterie ou pack-batterie à empilement d’accumulateurs à emballage souple, destinée à connecter électriquement au moins un accumulateur du module ou pack, Procédé de réalisation d’un module ou pack-batterie associ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143A (ko) * 2006-03-28 2007-10-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20080193838A1 (en) * 2005-03-23 2008-08-14 Sk Energy Co., Ltd Case For High-Powe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KR20090042683A (ko) * 2007-10-27 2009-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팩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은 전지팩
JP2010504622A (ja) * 2006-09-25 2010-02-1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セルモジュール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備えた中大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20120033044A (ko) * 2010-09-29 2012-04-06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7927A (zh) * 1999-11-29 2001-06-06 上海博容基因开发有限公司 一种新的多肽——人含atp/gtp结合结构域的核转换蛋白10和编码这种多肽的多核苷酸
DE60307750T2 (de) * 2002-05-08 2006-12-14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Sekundärzellenmodu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0529869B1 (ko) * 2003-10-01 2005-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팩 구조
KR100601500B1 (ko) * 2004-06-22 2006-07-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온도와 압력 감응형 안전 벤트를 갖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0932227B1 (ko) * 2005-09-02 2009-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0920210B1 (ko) * 2006-02-09 2009-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제조용 프레임 부재
CN100583497C (zh) * 2008-08-19 2010-01-20 Tcl天一移动通信(深圳)有限公司 一种从角上开启的扣式电池盖结构
JPWO2011040297A1 (ja) * 2009-10-02 2013-02-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蓄電デバイス組立構造体と蓄電デバイス単位構造体
JP5364650B2 (ja) 2010-07-01 2013-12-11 Udトラックス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蓄電デバイス間の接続構造、蓄電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3838A1 (en) * 2005-03-23 2008-08-14 Sk Energy Co., Ltd Case For High-Powe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KR20070097143A (ko) * 2006-03-28 2007-10-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2010504622A (ja) * 2006-09-25 2010-02-1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セルモジュール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備えた中大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20090042683A (ko) * 2007-10-27 2009-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팩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은 전지팩
KR20120033044A (ko) * 2010-09-29 2012-04-06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854200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273A (ko) 2014-02-05
EP2854200A4 (en) 2016-03-23
CN104488112A (zh) 2015-04-01
EP2854200A1 (en) 2015-04-01
US20150099147A1 (en) 2015-04-09
US9634297B2 (en) 2017-04-25
EP2854200B1 (en) 2017-01-11
CN104488112B (zh) 2017-09-08
KR101501431B1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27783A1 (ko) 벤팅 유도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4017779A1 (ko) 파우치형 전지셀이 내장되어 있는 각형화된 전지셀
WO2010050697A2 (ko) 전지 카트리지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2067365A2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WO2014148858A1 (ko)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이차전지
WO2015186923A1 (ko)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4137085A1 (ko) 결락부가 형성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6032092A1 (ko) 전지모듈
WO2014027786A1 (ko) 조립 체결 구조를 가진 전지모듈
WO2007086495A1 (ja) 電池パック
WO2014123329A1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US9876203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with novel structure
WO2014126338A1 (ko) 안전성이 향상된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CN111788713B (zh) 包括绝缘管的电池组及包括该电池组的电子装置和车辆
WO2021221300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7255021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20160144325A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5046934A1 (ko) 전압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함하는 전지모듈
KR101539584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KR20140091222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07296B1 (ko) 형상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101576597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3162228A1 (ko) 전지팩 어셈블리
WO2021221310A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N116711140A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223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223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223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