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07119A1 -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07119A1
WO2017007119A1 PCT/KR2016/004336 KR2016004336W WO2017007119A1 WO 2017007119 A1 WO2017007119 A1 WO 2017007119A1 KR 2016004336 W KR2016004336 W KR 2016004336W WO 2017007119 A1 WO2017007119 A1 WO 20170071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torcycle
smart key
driver
unit
is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433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주)플라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라토 filed Critical (주)플라토
Publication of WO20170071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071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2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indicating unauthorised use, e.g. acting on signall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cycle automatic start control smart ke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combining the idle stop & go function and the smart key system to the motorcycle, even if the driver does not directly turn on and off the start of the motorcycl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cycle auto start control smart key system that allows the motorcycle to be controlled automatically.
  • Patent Registration No. 10-1173564 registered on Aug. 07, 2012
  • the motorcycle anti-theft device operates only when vibration is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or.
  •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otorcycle antitheft device that generates a burglar alarm when there is no authentication by communication with a smart key when the movement of the motorcycle is detected by the movement detecting sensor unit.
  • ISG Idle Stop & Go
  • This function improves the fuel economy of the vehicle by automatically stopping the engin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due to road traffic conditions. Since the ISG function is released when the driver releases the seat belt or opens the door of the vehicle and is applied only to the situation where the driver stays in the vehicle, the ISG function is generally not related to theft of the vehicl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22963 discloses a smart key-based idle limiting device and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tely control the engine start of the vehicle by interlocking the smart key control unit and the idling control unit, when the conditions for releasing the start stop after stopping the start of the vehicle in the idle limit mode is achieved, the idle limit device is smart The vehicle will only be restarted if approved with the key.
  •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1737 discloses a start blocking method for preventing vehicle theft and idling, and Patent Registration No. 10-1412504 (registered on Jun. 20, 2014) A vehicle antitheft system and method using an autobrake system and an idle limit system are disclosed.
  • Motor vehicle automatic start control smart key system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arding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driver is riding on the motorcycle, smart key unit for authenticating the smart key (fork), from the motorcycle And an ISG controller for instructing to turn on or off the starting of the motorcycle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of the motorcycle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ide detection sensor unit and the smart key unit.
  • the ISG control unit instructs to turn off the starting of the motorcycle when the starting release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motorcycle state information.
  • the ISG controller controls the occupant of the motorcycle by the boarding sensor.
  • the ISG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he power state of the motorcycle to the power standby mode when the motorcycle is detected that there is no occupant in the motorcycle by the boarding sensor.
  • the smart key unit and the ISG control unit sleep.
  • the smart key unit may consume only standby power to operate in a mode or may consume only standby power to operate in a sleep mode.
  • the smart key unit and the ISG control unit may be activated and operate, or the smart key unit may be activated and operated.
  • the starting release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in which the speed is 0 i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otorcycle, a condition in which the speed is 0, the brake is activated, or the speed is 0 i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otorcycle, and the passenger is detected by the boarding sensor. And the smart key allowed by the smart key unit satisfies the unauthenticated state.
  • the boarding detection sensor or the ISG control uni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river rides on the motorcycle by the boarding detection sensor in the power standby mode, the boarding detection sensor or the ISG control unit turns on the power of the motorcycle in the power standby mode. After switching to the state, the ISG control unit may be to start the motorcycle when the brake is operating or the accelerator is operating as a starting condition.
  • the ISG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turn off the vehicle when the motorcycle is powered on and to detect the driver's boarding by the boarding sensor. When the operation may be to turn on the motorcycle.
  • the boarding sensor may be a weight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Gravity Sensor).
  • the ISG controller may generate an alarm when an unauthorized driver attempts to turn on the motorcycle.
  • the automatic motorcycle start control smart ke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user convenience because the motorcycl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when the driver perform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even if the driver does not directly turn on and off the motorcycle.
  • the motorcycle automatic start control smart ke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de effect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ft of the motorcycle while achieving such a user convenience improvement.
  • the motorcycle automatic start control smart ke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event battery discharge by switching to the power standby mode when the driver gets off the motorcycle.
  • 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torcycle automatic start control smart ke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cycle automatic start control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art of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cycle automatic start control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torcycle automatic start control smart key system 10 includes a boarding detection sensor unit 100, an ISG control unit 200, a smart key unit 300, a power control unit 400, and the like. Start-up control unit 500 is included.
  • the boarding detection sensor unit 100 detects whether the driver is riding on the motorcycle.
  • the boarding sensor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detect whether the driver is riding on a motorcycle, for example, a weight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G sensor), etc. alone or in combination. Can be used.
  • ISG control unit 200 is a key component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cycl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torcycle state information, the boarding detection sensor unit 100 and the smart key unit 300 received from the motorcycle. Command to turn on or off.
  •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otorcycle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when the motorcycle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 the electronic control unit controls all parts of the vehicle such as an engine, an automatic transmission, a driving system, a braking system, a steering system, and is installed in a general vehicle.
  •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motorcycle can be obtained by forming a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ISG control unit 200.
  • the ISG control unit 200 may receive state information of the brake lever by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brake lever. Since these matters are common sens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Smart key unit 300 is generally applied to a veh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torcycle as it is.
  • the smart key unit 300 is mounted on a vehicle or a motorcycle, and serves to authenticate the smart key (fob) 310 owned by the driver.
  • the smart key unit 300 and the smart key 310 constitute a smart key system.
  • the smart key unit 300 allows the engine to be started only by the driver who owns the smart key 310 allowed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key 310.
  • the power control unit 400 serves to control the power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ISG control unit 200
  • the start control unit 500 serves to remove the starting of the motorcycl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ISG control unit 200.
  • the power supply unit 600 mounted to the motorcycle is controlled by the power control unit 400
  • the starter 700 mounted to the motorcycle is controlled by the start control unit 500.
  • the ISG control unit 200, the smart key unit 300, the power control unit 400, and the starter control unit 500 may be formed as separate component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on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a functional division.
  •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combination of a start function and an ISG function by a smart key system is implemented a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rocedure flow of an embodiment in which switching to a power standby mode is not considered.
  • 3 and 4 is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start function by the smart key system is omitted, only the implementation of the automatic start control function by the ISG function is shown, the power standby mode
  • a procedure flow diagram of an embodiment considering the conversion of is presented.
  • the ISG control unit 200 of the motorcycle automatic start control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ISG function, and whether a program termination command is input by the user during the program operation. It can be checked whether or not (step S300). If a program exit command is entered, the procedure ends,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and continues.
  • the ISG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motorcycle is started (ON) (step S310). First, if the start of the motorcycle is not turned on, that is, if the start of the motorcycle is not turned on, it is determined whether a command to turn on the engine is input by the start button (step S320).
  • the ISG control unit 200 receives information on whether smart key authentication has been made from the smart key unit 300 and determines whether to verify smart key (step S330). If the smart key authentication is made, the ISG control unit 200 turns on the start of the motorcycle (step S340). On the other hand, if the smart key authentication has not been made, the ISG control unit 200 issues an alarm (step S410) to alert the owner of the motorcycle.
  • the ISG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a command to turn off the engine is input by pressing the stop button (step S350). If a command to turn off the engine is input, the ISG control unit 200 turns off the engine. The procedure then returns to step S320 to continue.
  • the start button and the stop button in the motorcycle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or may be implemented by the start and stop by a single button.
  • a means for a start ON command and a start OFF command is expressed as a start button and a stop button.
  • the ISG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ISG start release condition is achieved (step S420).
  • the ISG start release condi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Similar to the ISG function applied to a vehicle, it can be divided into that the ISG function is applied to both the parking and the parking, and that the ISG function is applied only to the parking.
  • the stop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peed of the motorcycle is zero, but the driver is still riding the motorcycle
  • the parking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driver descends from the motorcycle while the speed of the motorcycle is zero.
  • the ISG deactivation condition can be set to zero speed of the motorcycle.
  • the speed of the motorcycle may be set to 0 while the brake is applied i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otorcycle for more certain judgment.
  • the ISG start-off condition may be set to satisfy all of the following, firstly, the speed of the motorcycle is 0, secondly, the driver has not boarded the motorcycle, and thirdly the smart key authentication has failed. have. The fact that the driver does not ride on the motorcycle may be detected by the boarding sensor 100. Failure to authenticate the smart key is when the driver gets off the motorcycle and goes beyond a certain distance.
  • the case where only the first and second conditions are satisfied may be set as the ISG start-up condition. If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above starting conditions to the mode of the ISG function so that the driver can select the starting conditions.
  • step S310 determines whether the start of the motorcycle is 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10 that the start of the motorcycle is ON, the procedure goes to step S350 and continues.
  • the ISG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has boarded the motorcycle (step S370).
  • the procedure returns to step S300 and continues, and if the driver's boarding is detected, the ISG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smart key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step S380).
  • the ISG control unit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mart key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by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mart key authentication from the smart key unit 300.
  • step S400 the ISG control unit 200 issues an alarm (step S400) to alert the motorcycle owner, and then the procedure returns to step S300 to continue.
  • the ISG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ISG start condition is satisfied (step S390).
  • the ISG starting condition is applied when the driver rides on a motorcycle and the authorization of the smart key (fob) possessed by the driver is approved, and the driver may operate the brake, accelerator or clutch.
  • the ISG control unit 200 turns on the start of the motorcycle (step S340). On the other hand, if the ISG start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procedure returns to step S300 and continues.
  • the ISG control unit 200 of the motorcycle automatic start control smart key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start of the motorcycle is turned on (step S100).
  • the ISG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start release condition (step S110).
  • the starting condition may be set similarly to that applied to the vehicle's idle limit system. For example, a condition in which the speed is 0 and the brake operates i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motorcycle may be set as the starting condition.
  • different start-up conditions can be set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dures.
  • the ISG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start release condition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running state.
  • the ISG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s boarding is detected (step S130). The determination of the driver's boarding detection is made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oarding sensor 100.
  • the boarding sensor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applied when the driver rides the motorcycle, the acceleration sensor (Gravity Sensor: G Sensor) for detecting the vibration caused by the driver's riding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 the ISG controller 500 When the ISG controller 200 detects a driver's boarding based on the boarding sensor 100, the ISG controller 500 first stor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oarding sensor 100 in advance. It may be t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has boarded the motorcycle compared to the. At this time, the reference value may be appropriately set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a weak impact or a side impact applied to the motorcycl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is method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boarding detection method'.
  • the boarding sensor 100 may include a sensor, a controller and a memory, and the controller of the boarding sensor 100 may compare th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with a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It may b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ride a motorcycle. Thereafter, the control unit of the boarding sensor unit 100 may transmit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o the ISG control unit 200 only when necessary. Then, the ISG controller 200 performs a corresponding next procedure based on the received determination result.
  • this method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boarding detection method'.
  • step S130 is immediately performed. If the idle limit mode is selected while the motorcycle is turned on, the above procedures will be performed, but if the idle limit mode is selected while the motorcycle is turned off, the procedure goes directly from step S100 to step S130. Of course, the motorcycle must be in the ON state for this procedure to be performed.
  • the ISG control unit 500 switches the power to the standby mode state (step S140).
  • the power standby mode state is as described below.
  • An idle limit system typically applied to a vehicle keeps the vehicle powered on even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 the idling limit system is basically introduced to improve the fuel economy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must be turned on to start the engine when the starting condition is achieved.
  • the idling limit function is usually released. Therefore, in the vehicle, when the driver holding the smart key gets out of the vehicle, the idling restriction function is released, so that the vehicle is not stolen by the idling restriction function. This is because the driver must stay in the driver's seat continuously in order to maintain the idle limit function in the vehicle. Because it should be called a takeover.
  • the other person takes the driver's smart key and then disengages the driver from the driver's seat. Then, the idle limit function of the vehicle is released, and the other person who takes the smart key starts driving with the smart key and drives the vehicle to the desired place. I can assume the situation. In this case, too, it cannot be called theft of the vehicle,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vehicle takeov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user convenience improvement of the automatic start control by interlocking the idling limit system and the smart key system in the motorcycle as well as to implement a function to prevent theft of the motorcycle.
  • the present invention switches the power of the motorcycle to the standby mode when the driver is dismounted from the motorcycle in order to interlock the idle limit system and the smart key system in the motorcycle and to prevent battery discharge by the operation of the idle limit system.
  • the power standby mode state when the second boarding detection method is applied, the boarding detection sensor unit 100 is effective, but the smart key unit 300 and the ISG control unit 200 is in the standby mode state It may mean that.
  • the driver since the smart key system 300 and the ISG control unit 200 cannot operate in the standby state, that is, the sleep mode state, in the power standby mode, the driver detects the motorcycle by the boarding detection sensor unit 100.
  • the smart key unit 300 and the ISG control unit 200 should wake up.
  • the boarding sensor 100 may not only sense the weight or acceleration by the weight sensor or the acceleration sensor, but also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rides by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with a reference value.
  • the boarding detection sensor unit 100 should include a control unit capable of performing such determination in addition to the corresponding sensor and a memory unit storing a reference value.
  • the power standby mode state means that when the first boarding detection method is applied, the boarding detection sensor unit 100 and the ISG control unit 200 is effective, but the smart key unit 300 is in the standby mode state. It may be.
  • the boarding sensor 100 may be configured only with a weight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ISG control unit 500 compares the value received from the sensor with a reference value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river may ride on the motorcyc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oarding.
  • the smart key unit 300 and the ISG control unit 500 may operate while the driver is not riding the motorcy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or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mart key unit 300.
  • the ISG control unit 500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rides the motorcycle again (step S150), and if so, switches the power of the motorcycle to the on state.
  • the power-on state means that the smart key unit 300 and the ISG control unit 200 as well as the boarding detection sensor unit 100 are in an activated state.
  • the ISG controller 200 periodically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boards.
  • the control unit of the boarding detection sensor unit 100 does not need to transmit the fact to the ISG control unit 200 if the driver's boarding is not detected. This is because the ISG control unit 200 does not take any action even if the ISG control unit 200 knows the fact, and in order to notify the ISG control unit 200 of the fact, the ISG control unit 200 must first be activated in the sleep mode.
  • the control unit of the boarding sensor unit 100 wakes up the ISG control unit 200 and transmits the fact if the driver's boarding is detected. Then, the ISG control unit 200 activates the smart key unit 300.
  • the ISG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start condition is satisfied (step S170).
  • the starting condition may be set similar to that applied to the vehicle's idling limit system, for example, when the brake is in operation or the accelerator is in operation in the motorcycle state information.
  • the former is preferred over the latter for safety reasons.
  • the startup conditions can be set differently if harmonized with other procedures.
  • the ISG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smart key 310 possessed by the driver is allowe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key unit 300. (Step S180).
  • the smart key unit 300 is mounted on the motorcycle, and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smart key 310 carried by the driver to determine whether the smart key 310 carried by the driver is approved, and in this case, the smart key ( While performing the request by 310, if the smart key 310 possessed by the driver is not approved, the request by the smart key 310 is rejected.
  • the smart key unit 300 transmits to the ISG control unit 200 information on whether the smart key 310 possessed by the driver is approved by the request of the ISG control unit 200.
  • step S190 If the smart key 310 possessed by the driver is approved, the ISG control unit 200 turns on the start of the motorcycle (step S190). On the other hand, if the smart key 310 possessed by the driver is not approved or the driver does not possess the smart key, an alarm is generated (step S200). In this case, the alert may be configured as one or both of a visual alert and an audio alert. The procedure then returns to step S130.
  • the ISG control unit 200 detects the driver's board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motorcycle is turned off by the step S120 (step S130), that is, if the driver does not get off the motorcycle, the power of the motorcycle is not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state. That is, the power source of the motorcycle is kept in the on state, and the ISG control unit 500 determines whether the starting condition is satisfied (step S220).
  • the start condi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harmony with other procedures, for example, the accelerator can be set to be in operation.
  • the starting condition can be set such that the brake is in operation and then the brake is in operation. In view of safety, the latter is preferred.
  • the idle limit function of the vehicle sets the starting condition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becomes zero and the brake is in operation, and sets the starting condition when the brake is inactive.
  • the brake is deactivated for the motorcycle as the starting con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conflict with other procedures.
  • the driver typically releases the brake operation before getting off the motorcycle.
  • the motorcycle power is on. Therefore, if the brake deactivation is set as the starting condition, the driver is released from the motorcycle while the motorcycle is turned on, and the starting condition is in conflict with another procedure.
  • Such a collision can be prevented if the driver gets off the motorcycle with the brake applied. Because the starting condition is not completed when the driver has applied the brake, the ignition is not turned on again. If the driver is dismounted from the motorcycle, the motorcycle is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and the procedure goes through another route. Because. However, in the light of the general driver's behavior, the driver's disengagement from the motorcycle with the brake applied to the motorcycle is inconvenient for the driver. 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set the starting condition as mentioned above when the motorcycle is turned off and the power is on.
  • step S22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0 that the start condition, the ISG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S180.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mart key 310 possessed by the driver is approved, and in such a case, the start is turned on (step S190).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0 that the start condition is not, the ISG control unit 200 returns to step S130 to continue the procedure.
  • the ISG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has turned off the start by the stop button of the smart key system after turning on the start of the motorcycle in step S190 (step S230). If the driver has turned off the start by the stop button of the smart key system,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end instruction for the program implementing the ISG function (step S240), and if so, the procedure ends. On the other hand, if there was no program end instruction, the procedure returns to step S130 to continue.
  • step S230 the procedure returns to S110 to continue.
  • the motorcycle automatic start control smart key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torcycle is in the idle limit mode, the driver does not need to turn off or turn on the start, only in the idle limit mode
  • the motorcycle can be controlled simply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simple operation,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motorcycle.
  • the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side effect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ft of the motorcycle.
  • the motorcycle anti-theft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by switching to the power standby mode when the driver gets off from the motorcycle and switched to the power on mode only when necessary by the boarding sensor 100. have.

Abstract

오토바이에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감지 센서부, 상기 오토바이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스마트키 유닛과 포브(스마트키)로 이루어진 스마트키 시스템,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거나 끄는 시동부, 및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 상기 전자 제어 유닛 및 상기 스마트키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동부에게 시동을 켜거나 끄도록 명령하는 공회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토바이 도난방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오토바이 도난방지 시스템은 오토바이의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공회전 제한 모드일 때에는 운전자는 시동을 끄거나 켜는 동작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오토바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본 발명은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토바이에 공회전 제한(Idle Stop & Go) 기능과 스마트키 시스템을 결합함으로써 운전자가 오토바이의 시동을 직접 켜고 끄지 않더라도 상황에 맞는 조작을 하면 오토바이의 시동이 자동으로 제어되게 하는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토바이(Autobicycle 또는 Motorcycle)는 우편배달, 퀵서비스 등과 같은 운송을 달성하는데 흔히 사용되며 또한 음식 배달원이 음식을 배달할 때에도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오토바이에 대하여, 물건의 운송과정 및 음식의 배달과정에서 운전자는 오토바이를 잠시 떠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는데, 이때, 오토바이의 시동을 끄고 다시 켜는 동작을 불편하게 여기기 때문에 대부분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둔 상태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오토바이는 도난 위험 상태에 놓이게 된다. 실제로, 시동을 켜 놓은 채로 탑승자가 없는 경우, 오토바이의 도난이 가끔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이러한 오토바이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제안들이 제출되어 왔다. 한 예로, 특허등록 제10-1173564호(2012. 08. 07. 등록)는 장시간 미사용으로 인한 배터리 방전의 위험성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진동센서부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오토바이 도난방지장치가 작동하도록 하고, 또한 이동감지센서부에 의하여 오토바이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에 스마트키와의 교신에 의한 인증이 없으면 도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오토바이 도난방지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진동센서에 의하여 도난감지신호가 감지되면 도난경보를 발생시키고, 사용자가 소유하는 리모컨과의 교신에 의한 인증이 실패하게 되면 시동 차단 및 시동 중인 경우에는 시동중지를 수행하는 오토바이 도난방지장치가 특허 제10-0971278호(2010. 07. 13. 등록), 특허공개 제10-2005-0004362호(2005. 01. 12. 공개), 특허공개 제2001-0107245호(2001. 12. 07. 공개)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공회전 제한(Idle Stop & Go: ISG) 기능이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다. 이 기능은 도로교통 상황에 따라 차량이 정지할 때 운전자의 선택 및 조건에 따라 엔진의 시동을 자동으로 정지하여 차량의 연비를 개선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ISG 기능은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해제하거나 차량의 도어를 여는 경우 등에서는 해제되고, 운전자가 차량 내에 머무는 상황에서만 적용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차량의 도난과는 무관한 기술이다.
그런데, 특허공개 제10-2013-0022963호(2013. 03. 07. 공개)는 스마트키 기반의 공회전 제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발명은 스마트키 제어부와 공회전 제어부를 상호 연동하여 차량의 엔진 시동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공회전 제한 모드에서 차량의 시동을 정지한 후 시동 정지를 해제하는 조건이 달성된 경우 공회전 제한 장치는 스마트키와 교신하여 승인된 경우에만 차량의 시동을 다시 켜는 것이다.
특허공개 제10-2010-0131737호(2010. 12. 16. 공개)는 차량 도난 및 공회전 방지를 위한 시동차단 방법을 개시하고, 특허등록 제10-1412504호(2014. 06. 20. 등록)는 오토브레이크 시스템 및 공회전 제한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에 대하여 스마트키 시스템과 공회전 제한 시스템을 연동하여 차량 도난방지 기능을 구현한 예가 있었으나, 이것은 차량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아니었다. 지금까지 오토바이에 대하여 ISG(Idle Stop & Go) 기능과 스마트키 시스템을 결합하여 오토바이의 시동에 관한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제안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토바이의 운전자가 오토바이의 시동을 직접 켜고 끄지 않더라도 상황에 맞는 조작을 하면 오토바이의 시동이 자동으로 제어되게 하는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자동 시동제어 기능을 수행할 때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은 오토바이에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감지 센서부, 스마트키(포브)를 인증하는 스마트키 유닛, 상기 오토바이로부터 수신한 상기 오토바이의 상태정보 그리고 상기 탐승감지 센서부 및 상기 스마트키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거나 끄도록 명령하는 ISG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ISG 제어부는 상기 오토바이의 상태정보에서 시동해제조건이 성립되는 경우,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을 끄도록 명령하는 것이고,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오토바이에 탑승자가 감지되고, 상기 오토바이의 상태정보에서 시동조건이 성립되며, 상기 스마트키 유닛으로부터 등록된 상기 포브에 대한 승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도록 명령하는 것이다.
상기 ISG 제어부는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오토바이에 탑승자가 없음이 감지되면, 상기 오토바이의 전원 상태를 전원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원 대기모드 상태에서는, 운전자 탑승에 대한 감지에 필요한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의 동작만이 수행되거나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 및 상기 ISG 제어부의 동작만이 수행되고, 상기 스마트키 유닛 및 상기 ISG 제어부는 슬립모드로 작동하도록 대기전력만을 소모하는 것이거나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슬립모드로 작동하도록 대기전력만을 소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오토바이에 탑승자가 탑승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스마트키 유닛 및 상기 ISG 제어부는 활성화되어 작동하는 것이거나,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활성화되어 작동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시동해제조건은 상기 오토바이의 상태정보에서 속도가 0인 조건이거나 속도가 0이고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조건이거나 또는 상기 오토바이의 상태정보에서 속도가 0이고 상기 탑승감지 센서에 의하여 상기 오토바이에 탑승자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 그리고 상기 스마트키 유닛에 의하여 허용된 스마트키가 인증되지 않은 상태를 만족하는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전원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에 의하여 운전자가 상기 오토바이에 탑승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 또는 상기 ISG 제어부는 상기 오토바이의 전원 상태를 전원 대기모드 상태에서 전원 온(ON)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ISG 제어부는 시동조건으로서 브레이크가 작동중이거나 엑셀레이터가 작동중인 경우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는 것일 수 있다.
상기 ISG 제어부는 상기 오토바이의 전원이 온(ON) 상태에서 시동이 꺼지고,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에 의하여 운전자 탑승이 감지되면 시동조건으로서 브레이크가 작동해제되었다가 다시 브레이크 작동 상태로 전환된 경우 또는 엑셀레이터가 작동중인 경우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는 중량감지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Gravity Sensor; G Sensor)일 수 있다.
상기 ISG 제어부는 허용되지 않은 운전자가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 경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오토바이의 시동을 직접 켜고 끄지 않더라도 상황에 맞는 조작을 하면 오토바이의 시동이 자동으로 제어되게 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은 그러한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달성하면서 오토바이의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부수적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은 또한 운전자가 오토바이로부터 내렸을 때 전원대기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의 일부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 절차에 연결되는 흐름도의 나머지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10)은 탑승감지 센서부(100), ISG 제어부(200), 스마트키 유닛(300), 전원 제어부(400) 및 시동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10)에서 탑승감지 센서부(100)는 오토바이에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탑승감지 센서부(100)는 운전자가 오토바이에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중량감지 센서 또는 가속도센서(Gravity Sensor; G Sensor) 등이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ISG 제어부(200)는 본 발명의 기능을 구현하는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서, 오토바이로부터 수신한 오토바이의 상태정보, 탑승감지 센서부(100) 및 스마트키 유닛(30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거나 끄도록 명령한다.
오토바이의 상태정보는 오토바이에 전자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전자제어 유닛으로부터 수신한다. 전자제어 유닛은 엔진, 자동변속기, 구동계통, 제동계통, 조향계통 등 차량의 모든 부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오토바이는 전자제어유닛을 장착하고 있는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오토바이가 전자제어유닛을 장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오토바이의 상태정보는 해당 부품과 ISG 제어부(200) 간의 결선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ISG 제어부(200)는 브레이크 레버와 전기적 결선을 형성함으로써 브레이크 레버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는 상식에 해당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마트키 유닛(300)은 일반적으로 차량에 적용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그대로 오토바이에 적용된다. 스마트키 유닛(300)은 차량 또는 오토바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운전자가 소유하는 스마트키(포브)(310)를 인증하는 역할을 한다. 스마트키 유닛(300)과 스마트키(310)는 스마트키 시스템을 구성한다. 스마트키 유닛(300)은 스마트키(310)와의 무선통신에 의하여 허용된 스마트키(310)를 소유한 운전자에게만 엔진 시동을 허용하는 것이다.
전원제어부(400)는 ISG 제어부(200)의 명령에 따라 오토바이의 전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시동 제어부(500)는 ISG 제어부(200)의 명령에 따라 오토바이의 시동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원제어부(400)에 의하여 오토바이에 장착된 전원부(600)가 제어되며, 시동 제어부(500)에 의하여 오토바이에 장착된 시동부(700)가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 ISG 제어부(200), 스마트키 유닛(300), 전원 제어부(400) 및 시동 제어부(500)는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하여 서로 협력하는 구성을 이룰 수도 있고, 하나의 부품이 구현하는 기능상의 구분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10)에서 ISG 제어부(5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로서, 스마트키 시스템에 의한 시동 기능과 ISG 기능의 복합화가 구현된 예를 설명한 것인데, 여기에서는 전원 대기모드 상태로의 전환은 고려되지 않은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를 제시하였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로서, 편의상 스마트키 시스템에 의한 시동 기능의 구현은 생략하였고, ISG 기능에 의한 자동 시동제어 기능의 구현만이 도시되었으며, 전원 대기모드 상태로의 전환을 고려한 실시예의 절차 흐름도를 제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시스템(10)의 ISG 제어부(200)는 ISG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하게 되는데, 그프로그램 동작 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프로그램 종료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300). 프로그램 종료명령이 입력되었다면, 절차는 종료하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 절차가 계속된다.
ISG 제어부(200)는 오토바이의 시동이 온(ON)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0). 먼저 오토바이의 시동이 온 상태가 아니라면, 즉 오토바이의 시동이 켜지지 않은 상태라면 시동버튼에 의하여 시동이 켜지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20).
시동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시동이 켜지는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ISG 제어부(200)는 스마트키 유닛(300)으로부터 스마트키 인증이 이루어졌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키 인증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30). 스마트키 인증이 이루어졌다면, ISG 제어부(200)는 오토바이의 시동을 켠다(단계 S340). 반면에 스마트키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ISG 제어부(200)는 경보를 발령하여(단계 S410) 오토바이 소유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운다.
오토바이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ISG 제어부(200)는 스톱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시동을 끄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50). 시동을 끄는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ISG 제어부(200)는 시동을 오프(OFF)시킨다. 그런 후 절차는 단계 S320으로 리턴되어 계속된다.
오토바이에서 시동버튼과 스톱버튼은 별도로 구별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버튼에 의하여 시동과 스톱이 함께 구현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시동 온(ON) 명령과 시동 오프(OFF) 명령을 위한 수단을 시동버튼과 스톱버튼으로 표현하였다.
한편, 오토바이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스톱버튼이 눌려지지 않았다면, ISG 제어부는 ISG 시동해제조건이 달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20). 본 발명에서 ISG 시동해제조건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ISG 기능과 동일하게, 정차 및 주차 중인 경우 모두의 경우에 ISG 기능이 적용되게 하는 것과 주차 중인 경우에만 ISG 기능이 적용되게 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차는 오토바이의 속도가 0인 상태이지만, 운전자가 오토바이를 여전히 타고 있는 상태를 말하며, 주차는 오토바이의 속도가 0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오토바이로부터 내린 상태를 말한다.
전자의 조건일 경우 ISG 시동해제조건은 오토바이의 속도가 0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더욱 확실한 판단을 위하여 오토바이의 상태정보에서 브레이크가 잡힌 상태에서 오토바이의 속도가 0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후자의 조건일 경우 ISG 시동해제조건은 예를 들어, 첫째로 오토바이의 속도가 0일 것, 둘째로 운전자가 오토바이에 탑승하지 않았을 것, 셋째로 스마트키 인증이 실패하였을 것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운전자가 오토바이에 탑승하지 않은 것은 탑승감지 센서부(100)에 의하여 검출할 수 있다. 스마트키 인증 실패는 운전자가 오토바이에서 내려 일정거리 이상을 벗어난 경우에 해당한다. 상기에서, 첫째 및 둘째 조건만을 만족하는 경우를 ISG 시동해제조건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필요하다면, 상기한 시동해제조건을 ISG 기능의 모드로 설정하여 운전자가 시동해제조건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단계 S310에서 오토바이의 시동이 온(ON)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절차는 단계 S350으로 넘어가 계속된다.
한편, 단계 S320에서 오토바이의 시동이 온(ON) 상태에 있지 않고, 운전자가 시동버튼도 누르지 않은 상태라면, ISG 제어부(200)는 운전자가 오토바이에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70).
운전자의 탑승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절차는 단계 S300으로 리턴되어 계속되고, 운전자의 탑승이 감지된다면 ISG 제어부(200)는 스마트키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80). ISG 제어부(200)는 스마트키 유닛(300)으로부터 스마트키 인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스마트키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스마트키 인증이 실패하였다면, ISG 제어부(200)는 경보를 발령하여(단계 S400) 오토바이 소유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운 다음에, 절차는 단계 S300으로 리턴되어 계속된다.
스마트키 인증이 성공하였다면, ISG 제어부(200)는 ISG 시동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90). ISG 시동조건은 운전자가 오토바이에 탑승하고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포브)의 인증이 승인된 상태에서 적용되는 것으로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또는 클러치를 조작하는 것일 수 있다.
ISG 시동조건이 만족되면 ISG 제어부(200)는 오토바이의 시동을 켠다(단계 S340). 반면에 ISG 시동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절차는 단계 S300으로 리턴되어 계속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10)의 ISG 제어부(200)는 먼저 오토바이의 시동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0).
오토바이의 시동이 켜져 있으면, ISG 제어부(200)는 시동해제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0). 이때 시동해제 조건은 차량의 공회전 제한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과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오토바이의 상태정보에서 속도가 0이고,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조건을 시동해제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른 절차와 조화를 이룬다면 시동해제 조건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ISG 제어부(200)는 미리 설정된 시동해제 조건을 만족하면 시동을 끈다(단계 S120). 반면에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운행 중인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동해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그 운행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시동해제 조건인지 여부를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판단하게 된다.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ISG 제어부(200)는 운전자의 탑승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0). 운전자의 탑승 감지에 대한 판단은 탑승감지 센서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탑승감지 센서부(100)는 운전자가 오토바이를 탑승하면 그에 따라 가해지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운전자의 탑승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Gravity Sensor: G Sens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탑승감지 센서부(100)에 기초하여 ISG 제어부(200)가 운전자의 탑승여부를 감지하는 절차를 설명하면, 먼저 ISG 제어부(500)는 탑승감지 센서부(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운전자가 오토바이에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오토바이에 가해진 약한 충격 또는 측면 충격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준값은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이 방법을 '제1 탑승감지 방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탑승감지 센서부(100)는 센서, 제어부 및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탑승감지 센서부(100)의 제어부는 센서에 의하여 측정한 값을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운전자가 오토바이에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런 후 탑승감지 센서부(100)의 제어부는 그렇게 판단한 결과를 필요한 경우에만 ISG 제어부(200)에게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면 ISG 제어부(200)는 수신한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다음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이 방법을 '제2 탑승감지 방법'이라 부르기로 한다.
한편, 단계 S100에서 오토바이의 시동이 켜졌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오토바이의 시동이 켜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곧바로 단계 S130가 수행된다. 오토바이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 공회전 제한 모드가 선택되었다면, 상기의 절차들이 수행되겠지만,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공회전 제한 모드가 선택되었다면, 절차는 단계 S100에서 단계 S130로 곧바로 넘어가게 된다. 이러한 절차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오토바이의 전원은 온(ON) 상태에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오토바이에 운전자의 탑승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이것은 운전자가 오토바이에서 내린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ISG 제어부(500)는 전원을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한다(단계 S140). 여기에서, 전원 대기모드 상태라 함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다.
통상적으로 차량에 적용되는 공회전 제한 시스템은 차량의 시동을 끈 상태에서도 차량의 전원이 온(ON)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차량에서는 공회전 제한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차량의 연비를 향상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이고, 차량에 전원이 온 상태에 있어야 시동조건이 달성될 때 시동을 켤 수 있다. 또한, 차량에서는 차량의 도어를 열거나 안전벨트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공회전 제한 기능이 해제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차량에서는 스마트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린 경우에는 공회전 제한 기능이 해제되기 때문에 공회전 제한 기능에 의하여 차량이 도난되는 경우는 실제로 일어날 수 없다. 왜냐하면, 차량에서 공회전 제한 기능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운전자는 계속적으로 운전석에 머물러야 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타인의 강압에 의하여 운전자가 원하지 않은 곳으로 운전하는 경우를 상정한다면, 이러한 경우는 차량도난이라고 부르기보다는 차량 탈취라고 불러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경우로는, 타인이 운전자의 스마트키를 뺏은 후 운전자를 운전석으로부터 내리게 하고, 그러면 차량의 공회전 제한 기능은 해제되는데, 스마트키를 뺏은 타인은 스마트키로 시동을 건 후에 원하는 곳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상황을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차량도난이라고 부를 수는 없고, 차량탈취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서는 공회전 제한 시스템과 스마트키 시스템이 연동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기능이 실질적으로 달성될 수 없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오토바이에서 공회전 제한 시스템과 스마트키 시스템이 연동하여 자동 시동제어라는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토바이의 도난도 방지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오토바이에서 공회전 제한 시스템과 스마트키 시스템을 연동하고 또한 공회전 제한 시스템의 작동에 의한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오토바이로부터 내렸을 때에는 오토바이의 전원을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전원 대기모드 상태라 함은 제2 탑승감지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탑승감지 센서부(100)는 유효하게 작동하지만, 스마트키 유닛(300) 및 ISG 제어부(200)는 대기모드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원 대기모드 상태에서는 스마트키 시스템(300) 및 ISG 제어부(200)는 작동대기 상태, 즉 슬립모드 상태에 있어 작동할 수 없기 때문에 탑승감지 센서부(100)에 의하여 운전자가 오토바이에 탑승한 것이 감지될 때에는 스마트키 유닛(300) 및 ISG 제어부(200)가 깨어나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탑승감지 센서부(100)는 중량감지 센서나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중량 또는 가속도를 센싱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렇게 측정된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운전자 탑승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탑승감지 센서부(100)는 해당 센서에 더하여 그러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부 및 기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야 한다.
한편, 전원 대기모드 상태는 제1 탑승감지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탑승감지 센서부(100) 및 ISG 제어부(200)는 유효하게 작동하지만, 스마트키 유닛(300)은 대기모드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탑승감지 센서부(100)는 단지 중량감지 센서나 가속도 센서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ISG 제어부(5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로부터 수신한 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운전자가 오토바이에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어떤 형태로 전원 대기모드를 구성하든 간에, 전원 온(ON) 상태에서 전원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하면, 운전자가 오토바이에 탑승하지 않는 동안에는 스마트키 유닛(300) 및 ISG 제어부(500)의 동작으로 인한 배터리의 방전 또는 스마트키 유닛(300)의 동작으로 인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SG 제어부(500)는 운전자가 오토바이로부터 내림에 따라 오토바이가 전원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되면, 운전자가 다시 오토바이를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150), 그렇다면 오토바이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한다. 여기에서 전원 온 상태라 함은 탑승감지 센서부(100)뿐만 아니라 스마트키 유닛(300) 및 ISG 제어부(200)도 활성화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운전자의 탑승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제1 탑승감지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ISG 제어부(200)는 주기적으로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제2 탑승감지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탑승감지 센서부(100)의 제어부는 운전자의 탑승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ISG 제어부(200)에게 그 사실을 전송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ISG 제어부(200)가 그 사실을 알더라도 어떤 조치를 취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고, 또한 ISG 제어부(200)에게 그 사실을 알리기 위해서는 먼저 ISG 제어부(200)를 슬립모드에서 활성화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탑승감지 센서부(100)의 제어부는 운전자의 탑승이 감지된다면 ISG 제어부(200)를 깨우고 그 사실을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ISG 제어부(200)는 스마트키 유닛(300)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ISG 제어부(200)는 시동조건이 만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70). 이때, 시동조건은 차량의 공회전 제한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과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오토바이의 상태정보에서 브레이크가 작동중인 상태에 있거나, 엑셀레이터가 작동중인 상태에 있을 때일 수 있다. 안전을 위하여 후자보다는 전자가 더욱 선호된다. 그 외에도 다른 절차들과 조화를 이룬다면 시동조건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운전자가 오토바이에 탑승은 하였으나 시동조건은 만족하지 않았다면, 절차는 S130으로 리턴되어 계속된다.
반면에, 운전자가 오토바이에 탑승한 후 시동조건을 만족하였다면, ISG 제어부(200)는 스마트키 유닛(30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310)가 허용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80). 스마트키 유닛(300)은 오토바이에 장착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310)와 무선통신하여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310)가 승인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에는 스마트키(310)에 의한 요청을 수행하는 반면에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310)가 승인되지 않은 것이라면 스마트키(310)에 의한 요청을 거절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키 유닛(300)은 ISG 제어부(200)의 요청에 의하여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310)가 승인된 것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ISG 제어부(200)에게 전송한다.
ISG 제어부(200)는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310)가 승인된 것이라면, 오토바이의 시동을 켠다(단계 S190). 반면에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310)가 승인되지 않은 것이거나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하지 않았다면, 경보를 생성한다(단계 S200). 이때, 경보는 시각적 경보 및 청각적 경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 후 절차는 단계 S130으로 리턴한다.
한편, 단계 S120에 의하여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ISG 제어부(200)가 운전자의 탑승을 감지하였다면(단계 S130), 즉 운전자가 오토바이로부터 내리지 않았다면, 오토바이의 전원은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 즉 오토바이의 전원은 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ISG 제어부(500)는 시동조건을 만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20). 이때, 시동조건은 다른 절차와 조화롭게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엑셀레이터가 작동중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시동조건은 브레이크가 작동 해제되었다가 다시 브레이크가 작동중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안전을 고려하면 후자가 더욱 선호된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공회전 제한 기능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0이 되고 브레이크 작동 중일 때를 시동해제 조건으로 설정하고, 브레이크 작동해제일 때를 시동조건으로 설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오토바이에 대하여 브레이크 작동해제일 때를 시동조건으로 설정하게 되면, 다른 절차와 충돌할 여지가 생기게 된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동해제 조건의 달성에 의하여 ISG 제어부(500)가 오토바이의 시동을 끈 후 운전자는 통상적으로 오토바이에서 내리기 전에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에는 오토바이의 전원은 온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작동해제를 시동조건으로 설정하게 되면, 운전자는 오토바이의 시동을 켠 상태에서 오토바이에서 내리게 되는 셈이 되어 시동조건이 다른 절차와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충돌은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오토바이로부터 내린다면 방지될 수 있다. 왜냐하면,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상태에서는 시동조건이 완성되지 않기 때문에 시동이 다시 켜지는 일이 없게 되고, 운전자가 오토바이로부터 내린다면 오토바이의 전원이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되어 절차가 다른 경로를 거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운전자의 거동에 비추어보면, 운전자가 오토바이의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오토바이로부터 내리는 동작은 부자연스럽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불편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지고 전원은 온 상태인 경우 시동조건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하다.
단계 S220에서 시동조건이라고 판단되면, ISG 제어부(200)는 단계 S180으로 절차를 진행시킨다. 즉,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310)가 승인된 것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그러한 경우에는 시동을 켠다(단계 S190). 반면에 단계 S220에서 시동조건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ISG 제어부(200)는 단계 S130으로 리턴하여 절차를 계속한다.
다음으로, ISG 제어부(200)는 단계 S190에 의하여 오토바이의 시동을 켠 후에는 운전자가 스마트키 시스템의 스톱버튼에 의하여 시동을 껐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0). 운전자가 스마트키 시스템의 스톱버튼에 의하여 시동을 껐다면 ISG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종료명령이 있었는지 판단하고(단계 S240), 그렇다면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에 프로그램 종료명령이 없었다면, 절차는 단계 S130으로 리턴되어 계속된다.
한편, 단계 S230에서 시동이 꺼지지 않았다면 절차는 S110으로 리턴되어 계속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10)은 오토바이가 공회전 제한 모드일 때에는 운전자는 시동을 끄거나 켜는 동작을 할 필요가 없고, 단지 공회전 제한 모드에서 미리 정한 간단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오토바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오토바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그러한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달성함에 더하여 오토바이의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부수적 효과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오토바이 도난방지 시스템(10)은 운전자가 오토바이로부터 내렸을 때에는 전원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하고 탑승감지 센서부(100)에 의하여 필요할 때에만 전원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오토바이에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감지 센서부, 스마트키(포브)를 인증하는 스마트키 유닛, 상기 오토바이로부터 수신한 상기 오토바이의 상태정보 그리고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 및 상기 스마트키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거나 끄도록 명령하는 ISG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ISG 제어부는 상기 오토바이의 상태정보에서 시동해제조건이 성립되는 경우,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을 끄도록 명령하는 것이고,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오토바이에 탑승자가 감지되고, 상기 오토바이의 상태정보에서 시동조건이 성립되며, 상기 스마트키 유닛으로부터 등록된 상기 포브에 대한 승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도록 명령하는 것이며,
    상기 시동해제조건은 상기 오토바이의 상태정보에서 속도가 0이고 상기 탑승감지 센서에 의하여 상기 오토바이에 탑승자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 그리고 상기 스마트키 유닛에 의하여 허용된 스마트키가 인증되지 않은 상태를 만족하는 조건으로 설정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오토바이가 정지하여 속도가 0이 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오토바이에서 내린 후 상기 오토바이로부터 일정거리를 벗어남으로써 상기 스마트키 인증 실패가 발생할 때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SG 제어부는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에 의하여 상기 오토바이에 탑승자가 없음이 감지되면, 상기 오토바이의 전원 상태를 전원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이고,
    상기 전원 대기모드 상태에서는, 운전자 탑승에 대한 감지에 필요한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의 동작만이 수행되고, 상기 스마트키 유닛 및 상기 ISG 제어부는 슬립모드로 작동하도록 대기전력만을 소모하는 것이며,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오토바이에 탑승자가 탑승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스마트키 유닛 및 상기 ISG 제어부는 활성화되어 작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에 의하여 운전자가 상기 오토바이에 탑승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는 상기 오토바이의 전원 상태를 전원 대기모드 상태에서 전원 온(ON) 상태로 전환하게 하고, 상기 ISG 제어부는 시동조건으로서 브레이크가 작동중이거나 엑셀레이터가 작동중인 경우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SG 제어부는 상기 오토바이의 전원이 온(ON) 상태에서 시동이 꺼지고,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에 의하여 운전자 탑승이 감지되면 시동조건으로서 브레이크가 작동해제되었다가 다시 브레이크 작동 상태로 전환된 경우 또는 엑셀레이터가 작동중인 경우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5.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감지 센서부는 중량감지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Gravity Sensor; G 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6.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SG 제어부는 허용되지 않은 운전자가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을 켜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 경보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PCT/KR2016/004336 2015-07-06 2016-04-26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WO201700711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801 2015-07-06
KR1020150095801A KR101593937B1 (ko) 2015-07-06 2015-07-06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7119A1 true WO2017007119A1 (ko) 2017-01-12

Family

ID=5535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4336 WO2017007119A1 (ko) 2015-07-06 2016-04-26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3937B1 (ko)
WO (1) WO201700711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5356A1 (de) * 2017-09-01 2019-03-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otorrad
EP3470277A1 (en) * 2017-10-12 2019-04-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ecurity system and method
CN113022761A (zh) * 2021-03-03 2021-06-25 浙江春风动力股份有限公司 电动摩托车上下电的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0055A (zh) * 2019-01-07 2019-06-07 北京致行慕远科技有限公司 电机控制信号的处理方法、装置、电动车及存储介质
KR102251665B1 (ko) * 2019-06-12 2021-05-1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오토바이에 장착되는 isg기능 선택스위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57273A (ko) 2020-10-29 2022-05-09 재상전자주식회사 이륜차 및 그 시동 제어방법
KR102464754B1 (ko) * 2022-07-13 2022-11-09 주식회사 킴스트 전동 이륜차용 컨트롤러 안전장치
KR20240021411A (ko) 2022-08-10 2024-02-19 김한경 모터사이클 운행 지원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742A (ko) * 2007-11-16 2009-05-2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모터사이클 및 차량용 pks/pke 모듈 및 트리거 방법
KR20110111989A (ko) * 2010-04-06 2011-10-12 슈펙스주식회사 오토바이 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0861A (ko)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레오모터스 전기 이동체의 시동 시스템 및 시동 방법
KR20120116563A (ko) * 2011-04-13 2012-10-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키 시스템, 그의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103965A (ko) * 2012-03-12 2013-09-25 (주)비스로 오토바이용 시동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742A (ko) * 2007-11-16 2009-05-2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모터사이클 및 차량용 pks/pke 모듈 및 트리거 방법
KR20110111989A (ko) * 2010-04-06 2011-10-12 슈펙스주식회사 오토바이 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0861A (ko)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레오모터스 전기 이동체의 시동 시스템 및 시동 방법
KR20120116563A (ko) * 2011-04-13 2012-10-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키 시스템, 그의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103965A (ko) * 2012-03-12 2013-09-25 (주)비스로 오토바이용 시동 제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5356A1 (de) * 2017-09-01 2019-03-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otorrad
WO2019043021A1 (de) * 2017-09-01 2019-03-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otorrad
EP3470277A1 (en) * 2017-10-12 2019-04-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ecurity system and method
CN113022761A (zh) * 2021-03-03 2021-06-25 浙江春风动力股份有限公司 电动摩托车上下电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937B1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07119A1 (ko)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US8543257B2 (en) Vehicle remote operation system and on-board device
US8884739B2 (en) Vehicle security apparatus and system which prevents unauthorized use of a vehicle by immobilization
US9604650B2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 remote starter unit
US20110202201A1 (en) Remote starting device and remote starting method
JP4121345B2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US20140114539A1 (en) Vehicular power source control apparatus
KR20060103222A (ko)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CN102019905A (zh) 具有被动进入-被动启动功能的车辆的控制
CN104002765A (zh) 一种汽车无钥匙进入启动系统及其启动方法
US200800682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operating a vehicle
JP2008223419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2006315582A (ja) 車両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JP2015000627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07153190A (ja) 車両用始動装置
JP2004510625A (ja) モータ駆動車両を始動させるシステム
JP2006307694A (ja) 車両用アイドルストップスタート制御装置
JP717801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80133684A (ko) 오토바이 도난을 원천 차단하는 스마트키 원격 시동 예열 시스템
JP7086459B2 (ja) 電源制御システム
JP5784782B1 (ja) 盗難防止機能付き内燃機関制御装置
JP4491731B2 (ja) 自動車用制御装置
JP2011073538A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06131036A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JP2014141803A (ja) 車両の電子キ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215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215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