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03077A1 - 고내열성 분리막 및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고내열성 분리막 및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03077A1
WO2017003077A1 PCT/KR2016/004252 KR2016004252W WO2017003077A1 WO 2017003077 A1 WO2017003077 A1 WO 2017003077A1 KR 2016004252 W KR2016004252 W KR 2016004252W WO 2017003077 A1 WO2017003077 A1 WO 20170030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rmula
group
separator
separation membran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42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동완
고창홍
진목연
배임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70030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030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3Particulat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heat resistant separator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a separator for an electrochemical cell refers to an interlayer membrane which maintains ion conductivity while allowing the cathode and the cathod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cell, thereby allowing the battery to be charged and discharged.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a strong candidate as a unit cell of a medium-large battery pack due to various 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 a situation in which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rises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the thermal runaway exceeds 200 ° C. within several seconds may occur.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new separator that improves or maintains the inherent performance of the battery while improving heat resistance for safe use even in such an environm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or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having high heat resistance, not breaking even at a high temperature of 200 ° C. or higher, and having good oxidation resistance, mechanical strength, and air permeability.
  • a porous substrate and a heat-resistant porous layer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rous substrate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is a first unit containing a sulfone group or a ketone group and an amide group, imide group or phenolphthalein
  • a separator comprising a polymer resin having a second unit containing a group.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formed from the sepa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separator an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oxidation resistance and high heat resistance, do not break even at a high temperature of 200 ° C. or higher, and have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or breathability.
  • the adhesion between the porous substrate and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is excellent, and the dispersibility of the filler can be improved.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the porous substrate may use a porous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pores and can be used in an electrochemical device.
  • Porous substrat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ster, polyacetal, polyamide, polyimide, polycarbonate, polyetheretherketone, polyaryletherketone, polyetherimide , Polyamideimide, polybenzimidazole, polyethersulfone, polyphenylene oxide, cyclic olefin copolymer, polyphenylene sulfide, and any on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naphthalene or a polymer membrane formed of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Can be.
  • the porous substrate may be a polyolefin-based substrate, the polyolefin-based substrate is excellent in the shutdown (shut down) function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of the battery.
  • the polyolefin-based substrat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 example, polyethylene monolayer, polypropylene monolayer, polyethylene / polypropylene double membrane, polypropylene / polyethylene / polypropylene triple membrane, and polyethylene / polypropylene / polyethylene triple membrane.
  • the polyolefin resin may include a non-olefin resin in addition to the olefin resin, or may include a copolymer of an olefin and a non-olefin monomer.
  • the porous substrate may have a thickness of 1 ⁇ m to 40 ⁇ m, more specifically 5 to 15 ⁇ m. When using the substrate within the thickness rang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separator having a suitable thickness, thick enough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the battery, but not thick enough to increase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 the air permeability of the porous substrate is 250 sec / 100cc or less, specifically 200 sec / 100cc or less, more specifically 150 sec / 100cc or less, porosity is 30% to 80%, specifically 40% to 60% Can be.
  • the puncture strength of the porous substrate may be 200 kgf or more, specifically 300 kgf or more.
  •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rous substrate, and may be formed of a polymer resin including a first unit containing a sulfone group or a ketone group and a second unit containing an amide group, an imide group, or a phenolphthalein group. .
  • Separation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heat resistance by using a polymer resin comprising a first unit containing a sulfone group or a ketone group and a second unit containing an amide group, an imide group or a phenolphthalein group in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as described above
  • a polymer resin comprising a first unit containing a sulfone group or a ketone group and a second unit containing an amide group, an imide group or a phenolphthalein group in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as described above
  • sufficient adhesion and oxidation resistance with the separator substrate can be ensured at the same time.
  • the dispersibility of the filler may be improved.
  • Examples of the first unit containing a sulfone group or a ketone group in the polymer resi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1-6 alkyl, C 2-6 alkenyl, C 2-6 alkynyl, C 3- 20 cycloalkyl, and C 6-30 aryl.
  •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unsubstituted, or one or more times with halogen, OH, C 1-6 alkyl, alkoxy, nitro, cyano, carbonyl, thiol Substituted, C 1-6 alkyl, C 6-30 aryl or C 3-10 cycloalkyl.
  •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phenyl, naphthyl, cyclopropyl, cyclobutyl, methyl, ethyl, propyl,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one or more times with halogen, OH, or C 1-6 alkyl , Butyl and the like.
  • the second unit may be an imide, amide or phenolphthalein-containing structure.
  • the second unit is an imide, amide or phenolphthalein-containing structure, since the binding force between molecules is strong, the porous substrate may have high heat resistance that may not melt down even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 the second unit may be a phthalimide or phenolphthalein-containing structure, and when phthalimide contains, the number of hydrogens in the amine group is small, so that the second unit may have a wider potential window and thus is not easily decomposed. There is no advantage.
  • X is O or N
  • R 5 is none, hydrogen,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1-6 Alkyl, C 2-6 Alkenyl, C 2-6 Alkynyl, C 3-10 cycloalkyl, and C 6-30 aryl.
  • R 5 is none, hydrogen, unsubstituted, halogen, OH, C 1-6 alkyl, C 2-6 alkenyl, alkoxy, nitro, cyano, carbonyl, thiol Or C 1-6 alkyl, C 6-30 aryl or C 3-10 cycloalkyl, substituted one or more times with C 2-6 alkynyl.
  • R 5 is none, hydrogen,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one or more times with halogen, OH, C 1-6 alkyl or C 2-6 alkenyl, phenyl, naphthyl, cyclopropyl, cyclobutyl , Cyclopentyl, methyl, ethyl, propyl, butyl, pentyl, heptyl, ethenyl, propenyl, heptenyl or butenyl.
  • R 5 when X is O, R 5 is none and when X is N, R 5 is hydrogen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of C 1-6 , alkenyl of C 2-6 , C 2-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ynyl of 6 , cycloalkyl of C 3-10 , and aryl of C 6-30 .
  • the phenolphthalein-containing second unit can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 imide-containing second unit Specific examples of the imide-containing second unit are as follows.
  • R 6 to R 9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halogenated alkyl, alkoxy group, C 1-6 alkyl, or nitro group
  • An example of an imide containing second unit of Formula 4 is as follows:
  • the imide containing second unit of formula (5)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 the amide containing second unit of formula (7)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 the polymer resin may include a structure of Formula 8 or Formula 9.
  • X is O or N
  • R 5 is none, hydrogen, unsubstituted, halogen, OH, C 1-6 alkyl, C 2-6 alkenyl, alkoxy, nitro, cyano, carbonyl, thiol or C C 1-6 alkyl, C 6-30 aryl, or C 3-10 cycloalkyl, substituted one or more times with 2-6 alkynyl.
  • R 5 is none, hydrogen, unsubstituted, substituted one or more times with halogen, OH, C 1-6 alkyl or C 2-6 alkenyl, phenyl, naphthyl, cyclopropyl , Cyclobutyl, cyclopentyl, methyl, ethyl, propyl, butyl, pentyl, heptyl, ethenyl, propenyl, heptenyl or butenyl.
  • X is O and R 5 is N, X is N, R 5 is hydrogen,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 C 2-6 alkyl, C 2-6 of C 1-6 Alkynyl, C 3-10 cycloalkyl, and C 6-30 aryl.
  • the polymer resin may be an alternating copolymer having a molar ratio of 1: 1 of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nd may be specifically expressed as including the structure of Formula 10 or Formula 11.
  • l may be an integer of 25 to 500, respectively, and X and R 5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defined in Formula 8 or 9. Specifically, l may be a natural number of 180 to 360.
  • substituted means that the hydrogen atom in the compound is a halogen atom (F, Br, Cl, I), alkyl halide, hydroxy group, alkoxy group, nitro group, cyano group, amino group, azido group , Amidino group, hydrazino group, hydrazono group, carbonyl group, carbamyl group, thiol group, ester group, carboxyl group or salt thereof, sulfonic acid group or salt thereof, phosphoric acid group or salt thereof, C 1 to C 20 alkyl group, C 2 To C 20 alkenyl group, C 2 to C 20 alkynyl group, C 6 to C 30 aryl group, C 7 to C 30 arylalkyl group, C 1 to C 20 alkoxy group, C 1 to C 20 heteroalkyl group, C 3 to C 20 heteroarylalkyl group, C 3 to C 20 cycloalkyl group, (meth) acrylate group,
  • halogen atom F, Br,
  • hetero means containing one to three hetero atoms selected from N, O, S and P.
  • alkyl of C 1-6 ' herein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s, for example methyl, ethyl, propyl, iso-propyl, n-butyl, iso-butyl, sec-butyl, and t -Butyl.
  • alkenyl of C 2-6 ' herein refers to a group comprising at least one double bond in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hydrocarbon having from 2 to 6 carbons.
  • 'Alkynyl of C 2-6 ' herein refers to a group comprising one or more triple bonds in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hydrocarbon having from 2 to 6 carbons.
  • cycloalkyl group' herein is meant a saturated or partially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containing 1 to 3 rings having 3 to 8 carbon atoms per ring.
  • C 6-30 aryl group refers to a group as part of a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having 6 to 30 carbon atoms.
  • aryl group phenyl and naphthyl groups may be mentioned.
  • the polymer resin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90 ° C to 350 ° C, specifically 200 ° C to 300 ° C, and more specifically 230 ° C to 285 ° C.
  • the separation membrane including the polymer resin satisfying the above range in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since the relatively high temperature does not melt down, it may have a high heat resistance.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olymer resin may be in the range of 12,000 to 240,000, specifically 40,000 to 200,000, more specifically 90,000 to 170,000, and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adhesion and heat resistance.
  • the polymer resin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2 wt% to 100 wt%, for example, 2 wt% to 70 wt%, based on the total solid weight of the membrane heat 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In a more specific example, it may be contained in 3 to 30% by weight.
  •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may include an additional binder in addition to the polymer resin including a first unit containing a sulfone group or a ketone group and a second unit containing an amide group, an imide group, or a phenolphthalein group. Except for further including a binder, since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the binder to be added.
  • binder examples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mer, polymethylmethacrylate, polyacrylonitril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acetate ), Polyethylene oxide, cellulose acetate, cellulose acetate butyrat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yanoethylpullulan, cyanoethylpoly Cyanoethylpolyvinylalcohol, cyanoethylcellulose, cyanoethylsucrose, pullulan, carboxyl methyl cellulose, and 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Single or a mixture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of genes.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 examples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 homopolymers, polyvinylidene fluoride copolymers, or modified polymers thereof, and specifically, polyvinylidene fluoride copolymers may be used. have.
  • polyvinylidene fluoride copolymer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HFP) may be used.
  • PVDF-HFP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 polyvinylidene fluoride homopolymer means a polymer including only VDF-derived repeating units as repeating units, and polyvinylidene fluoride copolymer includes at least two kinds of repeating units other than VDF-derived repeating units.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 may be in the range of 1,000,000 to 1,700,000. More specifically,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may be in the range of 1,000,000 to 1,500,000.
  • the use of the PVdF-based binder in the above molecular weight range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adhesive force is enhanced after charge and discharge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porous substrate, thereby producing a battery in which electrical output is efficiently generated.
  • the weight ratio of the polymer resin and the binder component may be in the range of 4: 6 to 8: 2, specifically 5: 5 to 7: 3. If it is the weight ratio range, it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satisfying both heat resistance and adhesion.
  • the heat resistant porous layer may further contain a filler.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xcept that it further includes a filler,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additional filler.
  • the filler contained in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examples include an inorganic filler, an organic filler, or an organic / inorganic composite filler.
  • the inorganic fillers include Al 2 O 3 , SiO 2 , B 2 O 3 , Ga 2 O 3 , TiO 2 , SnO 2 ,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for example, Al 2 O 3 (alumina) may be used.
  • the inorganic fillers in the heat resistant porous layer serve as a kind of spacer capable of maintaining the physical form of the heat resistant porous layer.
  • Non-limiting examples of organic fillers include polystyr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vinylidenefluoride, polytetrafluoroethylene, polyurethane, polymethylpentene (Polymethylpenten), Polyethyleneterephthalate, Polycarbonate, Polyester, Polyvinylalcohol, Polyacrylonitile, Polymethyleneoxide, Polymethylmethacrylate (Polymethylmetacrylate), Polyethyleneoxide, Polyamide, Polyamideimide, Polysulphone, Polysulfon, Polyphenylenesulfide, Polyarylate , Polyimide, Polyaramide, Cell Lawrence's (cellulose), cellulose can be used to modified product, a melamine resin or a phenolic resin selected from at least one organic filler. When the organic filler is used, it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breathability, heat shrinkage, or binding property with the binder polymer.
  • the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size, but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0 nm to 1000 nm, and specifically 300 nm to 600 nm.
  • the dispersibility and fairness of the filler in a heat 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liquid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and the thickness of a heat resistant porous layer can be adjusted suitably.
  • the filler may be contained in 50% by weight to 99% by weight in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specifically, may be contained in 70% by weight to 95% by weight.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hape stability of the separator within the above range, to impart sufficient adhesive force between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and the film can not only suppress the shrinkage of the film due to heat, but also effectively prevent the short circuit of the electrode.
  • a heat-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resin and a solvent comprising a first unit containing a sulfone group or a ketone group and a second unit containing an amide group, an imide group or a phenolphthalein group is prepared, and a porous substrate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separator comprising forming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by applying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on one or both sides of the.
  • the separato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heat-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on the porous substrate, and then drying it.
  • the porous substrate may be a polyolefin-based substrate, the porous substrate may be formed by a generally known manufacturing method. As a non-limiting example, a dry method and a wet method are known, and specifically, the porous substrate may be prepared by extruding and stretching the composition for the porous substrate to form fine pores in the film.
  •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for forming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of the separator may include a polymer resin and a solvent described above, in another example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in the composition.
  • a polymer solution in which a polymer resin is dissolved in a solvent is used as a heat 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or a filler is dispersed in the polymer solution and used as a heat 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can be prepared by preparing a polymer solution and a filler dispersion in which the filler is dispersed, and then mixing them with an appropriate solvent.
  • One method of preparing the heat 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may include further mixing the polymer resin and the solvent, or fillers disclosed herein, and stirring at 10 ° C. to 40 ° C. for 30 minutes to 5 hours.
  • the solvent used for preparing the polymer solution and the filler dispers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dissolve the polymer resin and can sufficiently disperse the filler.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solvent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imethyl formamide, acetone, dimethyl sulfoxide, dimethyl acetamide, THF, CHCl 3 , dimethyl carbonate Or N-methylpyrrolidone.
  • the content of the solvent may be 20 to 99% by weight, specifically 50 to 95% by weight, and more specifically 70 to 95%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heat 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When the solvent is contained in the above range,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may be easily manufactured, and the drying process of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may be performed smoothly.
  • Heat-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solution in the form of a mixture through a mixture of the solvent and the polymer dispersion and filler dispersion, and then sufficiently stirred using a ball mill, beads mill or screw mixer, etc. Can be prepared.
  • the method of forming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on the porous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ethods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example, a coating method, lamination, coextrusion, and the like.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coating method such as 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NIPS) coating method, dip coating method, die coating method, roll coating method or comma coating method Can be mentioned. These may be appli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thods.
  •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of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NIPS coating or dip coating.
  • the thickness of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01 ⁇ m to 20 ⁇ m, and specifically 1 ⁇ m to 15 ⁇ m. Within the thickness range, an excellent heat stability and adhesion can be obtained by forming a heat-resistant porous layer having an appropriate thickness, and the thickness of the entire separator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too thick to suppress an increase in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 Drying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thod of irradiating dry or vacuum drying or far-infrared rays or electron beams, such as by warm air, hot air, low humidity.
  • the drying temperatur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olvent, but can be dried at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60 °C to 120 °C.
  • the drying time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solvent, but may generally be dried for 1 minute to 1 hour. In embodiments, it may be dried for 1 minute to 30 minutes, or 1 minute to 1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90 °C to 120 °C.
  • Thermal contraction rate in the machine direction (Machine Direction, MD) or the perpendicular direction (TD) after leaving the separator comprising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150 ° C. for 60 minutes is 10, respectively. % Or less, specifically 5% or less, and more specifically 3% or less. Within this range, there is an advantage of effectively preventing a short circuit of the electrode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battery.
  •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thermal contraction rate of the separ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can be used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a non-limiting example of a method of measuring the thermal contraction rate of the separator is as follows: The prepared separator is cut to a size of about 5 cm x MD (TD) about 5 cm, and the chamber at 150 ° C. After storing for 1 hour, the shrinkage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of the separator can be measured by calculating the heat shrinkage rate.
  • TD 5 cm x MD
  •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parator including the heat-resistant porous layer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400 sec / 100 cc or less, for example, 100 sec / 100 cc to 350 sec / 100 cc. Within this range, ion and electron flow inside the battery including the separator may be smooth, and battery performance may be improved.
  •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par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used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a non-limiting example of a method for measuring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parator is as follows: The air permeability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time taken for 100 cc of air to pass through the separator for the prepared separator.
  • Separation membrane comprising a heat-resistant porous layer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eat resistance of break 200 °C or more.
  • the breaking heat resistance may be 200 ° C to 250 ° C.
  • the breaking heat resistance was measured by cutting the separator into 6 cm (MD) ⁇ 6 cm (TD) and attaching the separator to the glass plate with 5 cm ⁇ 5 cm with a polyimide film, followed by 200 ° C., or 210 ° C., or 220 ° C. Or, when placed in an oven heated to 230 ° C, or 240 ° C, or 250 ° C, and the separator is taken out of the oven after 10 minutes, it means that the membrane is not broken.
  • a separator including a heat-resistant porous layer comprising a polymer resin comprising a first unit and a second unit disclosed herein,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filled with an electrolyte.
  • the typ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a kind known in the art.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pecifically be a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or a lithium ion polymer secondary battery.
  •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can be used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rectang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batteries such as a lithium polymer battery and a cylindrical battery.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100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40 wound through a separator 30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10 and a negative electrode 20, and the electrode assembly 40. It includes a case 50 is built.
  • the anode 10, the cathode 20, and the separator 30 are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not shown).
  • the separator 30 is as described above.
  • the positive electrode 10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optionally a conductive material.
  • aluminum (Al), nickel (Ni), or the lik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compound capable of reversible intercalation and deintercalation of lithium may be used. Specifically, at least one of cobalt, manganese, nickel, aluminum, iron, or a combination of metal and lithium composite oxide or phosphoric acid may be used. More specifically, lithium cobalt oxide, lithium nickel oxide, lithium manganese oxide, lithium nickel cobalt manganese oxide, lithium nickel cobalt aluminum oxide, lithium iron phosphate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 the binder not only adhere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icles to each other but also serves to adhere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vinyl alcohol, carboxym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diacetyl cellulose, and polyvinyl chloride. , Carboxylated polyvinylchloride, polyvinylfluoride, ethylene oxide containing polymer, polyvinylpyrrolidone, polyurethane, polytetrafluoroethylen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styrene-butadiene rubber, Acrylated styrene-butadiene rubber, epoxy resin, nylo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the conductive material provides conductivity to the electrod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carbon black, carbon fiber, metal powder, and metal fib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metal powder and the metal fiber metals such as copper, nickel, aluminum, and silver may be used.
  • the negative electrode 20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include copper (Cu), gold (Au), nickel (Ni), a copper alloy,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optionally a conductive material.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a material capable of reversibly intercalating and deintercalating lithium ions, a lithium metal, an alloy of lithium metal, a material capable of doping and undoping lithium, a transition metal oxide, or a combination thereof. Can be used.
  • Examples of a material capable of reversibly intercalating and deintercalating the lithium ions include carbon-based material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rystalline carbon, amorphous carbon, or a combination thereof.
  • Examples of the crystalline carbon may be amorphous, plate, flake, spherical or fibrous natural graphite or artificial graphite.
  • Examples of the amorphous carbon include soft carbon or hard carbon, mesophase pitch carbide, calcined coke,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alloy of the lithium metal include lithium and Na, K, Rb, Cs, Fr, Be, Mg, Ca, Sr, Si, Sb, Pb, In, Zn, Ba, Ra, Ge, Al, and Sn. Alloys of the metals selected may be used.
  • Examples of materials capable of doping and undoping lithium include Si, SiO x (0 ⁇ x ⁇ 2), Si-C composites, Si-Y alloys, Sn, SnO 2 , Sn-C composites, Sn-Y, and the like. And at least one of these and SiO 2 may be mixed and used.
  • transition metal oxide examples include vanadium oxide and lithium vanadium oxide.
  • Kinds of the bind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re the same as the bind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in the above-described positive electrode.
  •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prepared by mixing each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optionally a conductive material in a solvent to prepare each active material composition, and applying the active material composition to each current collector.
  • N-methylpyrrolidone may be used as the solv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such an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is well known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electrolyte solution contains an organic solvent and a lithium salt.
  • the organic solvent serves as a medium through which ions involved in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of the battery can move.
  • Specific examples thereof may be selected from carbonate solvents, ester solvents, ether solvents, ketone solvents, alcohol solvents and aprotic solvents.
  • the carbonate solvent examples include dimethyl carbonate (DMC), diethyl carbonate (DEC), dipropyl carbonate (DPC), methylpropyl carbonate (MPC), ethylpropyl carbonate (EPC), ethylmethyl carbonate (EMC), ethylene Carbonate (EC), propylene carbonate (PC), butylene carbonate (BC), and the like.
  • DMC dimethyl carbonate
  • DEC diethyl carbonate
  • DPC dipropyl carbonate
  • MPC methylpropyl carbonate
  • EPC ethylpropyl carbonate
  • EMC ethylmethyl carbonate
  • EMC ethylmethyl carbonate
  • EC ethylene Carbonate
  • PC propylene carbonate
  • BC butylene carbonate
  • ester solvents examples includ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n-propyl acetate, dimethyl acetate, methyl propionate, ethyl propionate,? -Butyrolactone, decanolide, valerolactone, and merol. Melononolactone, caprolactone, and the like.
  • ether solvent examples include dibutyl ether, tetraglyme, diglyme, dimethoxyethane, 2-methyltetrahydrofuran, tetrahydrofuran and the like. Cyclohexanone etc. are mentioned as said ketone solvent, Ethyl alcohol, isopropyl alcohol, etc. are mentioned as said alcohol solvent.
  • the organic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and the mixing ratio in the case of mixing two or more kinds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esired battery performance.
  • the lithium salt is a substance that dissolves in an organic solvent and acts as a source of lithium ions in the battery to enable operation of a basic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to promote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lithium salt examples include LiPF 6 , LiBF 4 , LiSbF 6 , LiAsF 6 , LiN (SO 3 C 2 F 5 ) 2 , LiN (CF 3 SO 2 ) 2 , LiC 4 F 9 SO 3 , LiClO 4 , LiAlO 2 , LiAlCl 4 , LiN (C x F 2x + 1 SO 2 ) (C y F 2y + 1 SO 2 ) (x and y are natural numbers), LiCl, LiI, LiB (C 2 O 4 ) 2 or a combination thereof Can be mentioned.
  • the concentration of the lithium salt can be used within the range of 0.1M to 2.0M.
  • concentration of the lithium salt is within the above range, since the electrolyte has an appropriate conductivity and viscosity, it can exhibit excellent electrolyte performance, and lithium ions can move effectively.
  • the resulting mixture was cooled and poured into a mixture of methanol (1000 mL) / water (1000 mL / hydrochloric acid (1000 mL) to precipitate a white fibrous polymer which was then collected by filtration and washed with water.
  • the polymer collected by this was dried in a vacuum oven at 80 ° C. for 24 hours to obtain a polymer resin having a repeating unit of formula 8-1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36,000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58 ° C.
  • Example 1 except that the sulfonyldiphenol (4,4 ⁇ -sulfonyldiphenol) (51.05 g, 204 mmol) of the formula 2-1 instead of phenolphthalei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 polymer resin having a repeating unit of Formula 12 having 139,000 and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22 ° C was obtained.
  • the first and second binder solutions and the alumina dispersion were mixed so that the binder solid content and the alumina solid content were 1/6 so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binder and the PVdF-based polymer second binder was 6: 4, and the total solid content was Acetone was added to 12% by weight to prepare a heat-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 the prepared heat-resistant porous layer composition was coated on both sides of a polyethylene porous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8 ⁇ m (SK company, air permeability 80 sec / 100 cc, puncture strength 360 kgf) by a dip coating method, each 1.5 ⁇ m thick, and then at 1 ° C. at 100 ° C. Drying for minutes gave a separator having a total thickness of 11 ⁇ m.
  • Example 2 Except for using the polymer resin 2 of Preparation Example 2 instead of the polymer resin of Preparation Example 1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separator of Example 2 having a total thickness of 11 ⁇ m.
  • Example 1 Except for using the polymer resin 3 of Preparation Example 3 instead of the polymer resin of Preparation Example 1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membrane having a total thickness of 11 ⁇ m.
  • Example 1 Except for using the polymer resin 4 of Preparation Example 4 instead of the polymer resin of Preparation Example 1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membrane having a total thickness of 11 ⁇ m.
  • Example 1 Except not using an inorganic particle dispersion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separator having a total thickness of 11 ⁇ m.
  • Example 1 Except not using the second binder solution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separator having a total thickness of 11 ⁇ m.
  • Example 1 Except for using the polymer resin 5 of Preparation Example 5 instead of the polymer resin of Preparation Example 1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separator having a total thickness of 11 ⁇ m.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nd electrolyte solubility of the polymer resins of Preparation Examples 1 to 5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It was shown by the polystyrene conversion value measured by th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parator prepared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time taken for 100 cc of air to pass through the separator using EG01-55-1MR (Asahi Seiko). It was.
  • the separators prepared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cut into 6 cm ⁇ 6 cm, and the separator was attached to a glass plate at 5 cm ⁇ 5 cm with a polyimide film, and then heated at 200 ° C. Put in. After 10 minutes, the separation membrane was taken out of the oven to check for breakage and evaluated as O when broken and X when not broken.
  • the sepa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high heat resistance without being dissolved in the electrolyte, and does not break even at a high temperature of 200 ° C., and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air permeabil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면 혹은 양면에 형성된 내열 다공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열 다공층은 설폰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제1 단위 및 아미드기, 이미드기 또는 페놀프탈레인기를 함유하는 제2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분리막, 또는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고내열성 분리막 및 리튬 이차 전지
본 발명은 고내열성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기 화학 전지용 분리막(separator)은 전지 내에서 양극과 음극을 서로 격리시키면서 이온 전도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어 전지의 충전과 방전을 가능하게 하는 중간막을 의미한다.
최근 전자 기기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한 전기 화학 전지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와 더불어, 전기 자동차 등에의 사용을 위한 고출력 대용량 전지를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고출력 대용량 용도를 위한 중대형 전지 팩의 단위전지(배터리 셀)로 용량 대비 고출력을 제공하는 리튬 이차전지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중대형 전지 팩의 단위전지로서 유력한 후보이지만, 충방전시 전지 내부 온도가 상승하고 열폭주로 인하여 수초 이내에 200℃가 넘어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내열성이 개선되면서도, 전지 본연의 성능이 개선되거나 유지되는 새로운 분리막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고내열성을 가지며, 200℃ 이상의 고온에서도 파단되지 않으며, 내산화성, 기계적 강도나 통기도 물성이 양호한,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면 혹은 양면에 형성된 내열 다공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열 다공층은 설폰기 혹은 케톤기를 함유하는 제1 단위와 아미드기, 이미드기 또는 페놀프탈레인기를 함유하는 제2 단위를 갖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분리막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으로부터 형성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는 내산화성 및 고내열성을 가지며, 200℃ 이상의 고온에서도 파단되지 않으며, 기계적 강도나 통기도 물성이 우수하다.
또한, 다공성 기재와 내열 다공층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필러의 분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면 혹은 양면에 형성된 내열 다공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열 다공층은 설폰기 혹은 케톤기를 함유하는 제1 단위와 아미드기, 이미드기 또는 페놀프탈레인기를 함유하는 제2 단위를 갖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분리막이 제공된다.
상기 다공성 기재는 다수의 기공을 가지며 통상 전기화학소자에 사용될 수 있는 다공성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다공성 기재로는 비제한적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사이클릭 올레핀 코폴리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분자 또는 이들 중 이종 이상의 혼합물로 형성된 고분자막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다공성 기재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일 수 있으며, 폴리올레핀계 기재는 셧 다운(shut down) 기능이 우수하여 전지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기재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단일막, 폴리프로필렌 단일막,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중막,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삼중막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삼중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올레핀 수지 외에 비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거나, 올레핀과 비올레핀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의 두께는 1 ㎛ 내지 40 ㎛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5 ㎛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 내의 기재를 사용하는 경우, 전지의 양극과 음극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두꺼우면서도 전지의 내부 저항을 증가시킬 만큼 두껍지는 않은, 적절한 두께를 갖는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의 통기도는 250 sec/100cc 이하, 구체적으로 200 sec/100cc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150 sec/100cc 이하이고, 기공율(porosity)은 30 % 내지 80 %, 구체적으로 40 % 내지 60 %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다공성 기재의 찌름 강도는 200 kgf 이상, 구체적으로 300 kgf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내열 다공층은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면 혹은 양면에 형성되며, 설폰기 혹은 케톤기를 함유하는 제1 단위 및 아미드기, 이미드기 또는 페놀프탈레인기를 함유하는 제2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은 위와 같이 내열 다공층에 설폰기 혹은 케톤기를 함유하는 제1 단위와 아미드기, 이미드기 또는 페놀프탈레인기를 함유한 제2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고내열성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분리막 기재와의 충분한 접착력 및 내산화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필러의 분산성도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고분자 수지에서 설폰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상기 제1 단위의 예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02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6의 알킬, C2-6의 알케닐, C2-6의 알키닐, C3-20의 시클로알킬, 및 C6-30의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할로겐, OH, C1-6 알킬, 알콕시, 니트로, 시아노, 카보닐, 티올로 1회 이상 치환된, C1-6의 알킬, C6-30 아릴 또는 C3-10의 시클로알킬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할로겐, OH, 또는 C1-6 알킬로 1회 이상 치환된 페닐, 나프틸,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고분자 수지에서 제2 단위는 이미드, 아미드 또는 페놀프탈레인 함유 구조일 수 있다. 제2 단위가 이미드, 아미드 또는 페놀프탈레인 함유 구조인 경우, 분자 간의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도 다공성 기재가 멜트다운되지 않을 수 있는 고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2 단위는 프탈이미드 혹은 페놀프탈레인 함유 구조일 수 있으며, 프탈이미드를 함유하는 경우 아민기의 수소수가 작아, 보다 넓은 전위창을 가질 수 있어서 고전압에서도 안정하기 때문에 쉽게 분해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페놀프탈레인 함유 제2 단위의 구체예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O 또는 N이고, R5는 없음이거나, 수소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의 알킬, C2-6의 알케닐, C2-6의 알키닐, C3-10의 시클로알킬, 및 C6-30의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 예에서, 상기 화학식 3에서, R5은 없음이거나, 수소이거나, 비치환되거나, 할로겐, OH, C1-6 알킬, C2-6 알케닐, 알콕시, 니트로, 시아노, 카보닐, 티올 또는 C2-6 알키닐로 1회 이상 치환된, C1-6의 알킬, C6-30 아릴 또는 C3-10의 시클로알킬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R5은 없음이거나, 수소이거나, 비치환되거나, 할로겐, OH, C1-6 알킬 또는 C2-6 알케닐로 1회 이상 치환된, 페닐, 나프틸,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헵틸, 에테닐, 프로페닐, 헵테닐 혹은 부테닐일 수 있다. 일 예에서, X가 O이면, R5는 없음이고, X가 N이면, R5는 수소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의 알킬, C2-6의 알케닐, C2-6의 알키닐, C3-10의 시클로알킬, 및 C6-30의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페놀프탈레인 함유 제2 단위는 예를 들어, 다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04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05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06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07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08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09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10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11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12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13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14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15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16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17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18
, 및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19
.
이미드 함유 제2 단위의 구체예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4]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20
[화학식 5]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21
상기 화학식 4 또는 5에서, R6 내지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할로겐화알킬, 알콕시기, C1-6 알킬, 또는 니트로기이고, Q는 직접 결합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 -SO2-, C(=O)-, -O-, -S-, 또는 -SO-이다.
화학식 4의 이미드 함유 제2 단위의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22
.
화학식 5의 이미드 함유 제2 단위는 예를 들어, 다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23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24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25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26
, 및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27
.
아미드 함유 제2 단위의 구체예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6]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28
[화학식 7]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29
상기 화학식 6 또는 7에서, R10 내지 R1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할로겐화알킬, 알콕시기, C1-6 알킬, 또는 니트로기이고, P는 직접 결합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 -SO2-, C(=O)-, -O-, -S-, 또는 -SO-이다.
화학식 6의 아미드 함유 제2 단위의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30
화학식 7의 아미드 함유 제2 단위는 예를 들어, 다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31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32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33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34
,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35
.
상기 고분자 수지는 일 예에서, 화학식 8 또는 화학식 9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36
[화학식 9]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37
상기 화학식 8 또는 9에서, X는 O 또는 N이고, R5는 없음이거나, 수소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의 알킬, C2-6의 알케닐, C2-6의 알키닐, C3-10의 시클로알킬, 및 C6-30의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n 및 m은 몰분율로서 m+n=1이고, 0<m<1.0 및 0<n<1.0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8 또는 9에서, R5은 없음이거나, 수소이거나, 비치환되거나, 할로겐, OH, C1-6 알킬, C2-6 알케닐, 알콕시, 니트로, 시아노, 카보닐, 티올 또는 C2-6 알키닐로 1회 이상 치환된, C1-6의 알킬, C6-30 아릴 또는 C3-10의 시클로알킬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8 또는 9에서, R5은 없음이거나, 수소이거나, 비치환되거나, 할로겐, OH, C1-6 알킬 또는 C2-6 알케닐로 1회 이상 치환된, 페닐, 나프틸,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헵틸, 에테닐, 프로페닐, 헵테닐 혹은 부테닐일 수 있다. 일 예에서, X가 O이면 R5는 없음이고, X가 N이면, R5는 수소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의 알킬, C2-6의 알케닐, C2-6의 알키닐, C3-10의 시클로알킬, 및 C6-30의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제1 단위 및 제2 단위의 몰비가 1:1인 교대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0 또는 화학식 11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38
[화학식 11]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39
상기 화학식 10 또는 화학식 11에서, l은 각각 25 내지 500의 정수일 수 있고, X 및 R5는 상기 화학식 8 또는 9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l은 180 내지 360의 자연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치환된'이란, 화합물 중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F, Br, Cl, I), 할로겐화알킬,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지도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지노기, 히드라조노기, 카르보닐기, 카르바밀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 술폰산기 또는 그의 염, 인산기 또는 그의 염, C1 내지 C20 알킬기, C2 내지 C20 알케닐기, C2 내지 C20 알키닐기, C6 내지 C30 아릴기,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C1 내지 C20 알콕시기, C1 내지 C20 헤테로알킬기, C3 내지 C20 헤테로아릴알킬기, C3 내지 C20 사이클로알킬기, (메트)아크릴레이트기, C3 내지 C20 사이클로알케닐기, C4 내지 C20 사이클로알키닐기, C2 내지 C2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헤테로'란, N, O, S 및 P에서 선택된 헤테로 원자를 1개 내지 3개 함유한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C1-6의 알킬'은 1개 내지 6개의 탄소를 갖는 알킬기로,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및 t-부틸을 나타낸다.
본원에서 'C2-6의 알케닐'은 2개 내지 6개의 탄소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히드로카본에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말한다.
본원에서 'C2-6의 알키닐'은 2개 내지 6개의 탄소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히드로카본에 하나 이상의 삼중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말한다.
본원에서 'C3-20의 시클로알킬기'는 고리마다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 내지 3개의 고리를 함유하는 포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예로,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부테닐, 시클로펜테닐 또는 시클로헥세닐,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기가 언급될 수 있다.
본원에서 'C6-30의 아릴기'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일환 내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 및 나프틸기가 언급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190℃ 내지 35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00℃ 내지 300℃, 보다 구체적으로 230℃ 내지 285℃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고분자 수지를 내열 다공층에 포함하는 분리막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도 멜트 다운이 되지 않으므로, 고내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2,000 내지 240,000의 범위, 구체적으로 40,000 내지 200,000, 보다 구체적으로는 90,000 내지 170,000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이면 접착력 및 내열성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분리막 내열 다공층 조성물의 고형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2 중량% 내지 7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3 중량% 내지 3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열 다공층은 설폰기 혹은 케톤기를 함유하는 제1 단위 및 아미드기, 이미드기 또는 페놀프탈레인기를 함유하는 제2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외에 추가의 바인더 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를 더 포함하는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추가되는 바인더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풀루란 (pullulan),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 또는 이의 변형 폴리머를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HF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는 반복단위로 VDF 유래 반복단위만을 포함하는 폴리머를 의미하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코폴리머는 VDF 유래 반복단위 외에 다른 종류의 반복단위를 포함하여, 적어도 2종 이상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의미한다.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000 내지 1,700,000의 범위일 수 있다. 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000 내지 1,500,000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 범위 내의 PVdF계 바인더를 사용하면 분리막과 다공성 기재 사이의 충방전 후 접착력이 강화되어 전기 출력이 효율적으로 일어나는 전지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와 상기 바인더 성분의 중량비는 4:6 내지 8:2, 구체적으로는 5:5 내지 7:3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 범위이면 내열성 및 접착력을 모두 만족한다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내열 다공층은 필러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필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추가되는 필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내열 다공층에 함유되는 필러의 예로는 무기 필러, 유기 필러 또는 유/무기 복합 필러를 들 수 있다. 무기 필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Al2O3, SiO2, B2O3, Ga2O3, TiO2 또는 SnO2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l2O3(알루미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열 다공층 내의 무기 필러들은 내열 다공층의 물리적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일종의 스페이서(spacer)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전지 등의 조립 과정에서 내열 다공층 내의 무기 필러가 탈리되는 문제를 방지하여 형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내열 다공층과 필름 사이에 충분한 접착력을 부여하여 열에 의한 필름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극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고 고온 안전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유기 필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메틸펜텐(Polymethylpent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비닐알콜(Polyvinylalcohol),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ile), 폴리메틸렌옥사이드(Polymethyleneoxid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acryl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폴리설폰(Polysulphone), 폴리에틸설폰(Polyethylsulphon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라미드(Polyaramide), 셀룰로오스(cellulose), 셀룰로오스 변성체, 멜라민계 수지 또는 페놀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 필러를 사용할 경우, 통기성, 열수축성 또는 바인더 고분자와의 결착성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필러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평균 입경이 100 nm 내지 1000 nm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300 nm 내지 600 nm일 수 있다. 상기 크기 범위의 필러를 사용하는 경우, 내열 다공층 조성액 내에서의 필러의 분산성 및 공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열 다공층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필러는 내열 다공층 내에서 50 중량% 내지 99 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70 중량% 내지 9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분리막의 형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내열 다공층과 필름 사이에 충분한 접착력을 부여하여 열에 의한 필름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극의 단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설폰기 혹은 케톤기를 함유하는 제1 단위 및 아미드기, 이미드기 또는 페놀프탈레인기를 함유하는 제2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및 용매를 함유하는 내열 다공층 조성물을 제조하고, 다공성 기재의 일면 혹은 양면에 상기 내열 다공층 조성물을 적용하여 내열 다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기재 상에 내열 다공층 조성물을 적용한 후, 이를 건조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일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기재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건식법과 습식법이 알려져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기재는 다공성 기재용 조성물을 압출하고 연신하여 필름에 미세 포어를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분리막의 내열 다공층을 형성하기 위한 내열 다공층 조성물은 선술한 고분자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 상기 조성에 필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내열 다공층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고분자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킨 고분자 용액을 내열 다공층 조성물로 사용하거나, 상기 고분자 용액에 필러를 분산시키고 이를 내열 다공층 조성물로 사용하거나, 상기 고분자 용액과, 필러를 분산시킨 필러 분산액을 각각 제조한 다음, 이들을 적절한 용매와 함께 혼합하는 방식으로 내열 다공층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내열 다공층 조성물을 제조하는 일 방법은 본원에 개시된 고분자 수지 및 용매, 혹은 여기에 필러를 추가로 혼합하고 10℃ 내지 40℃에서 30분 내지 5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용액 및 필러 분산액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는 고분자 수지를 용해시킬 수 있고, 필러를 충분히 분산시킬 수 있는 용매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 formamide), 아세톤,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 acetamide), THF, CHCl3,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또는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ydone) 등을 들 수 있다. 내열 다공층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용매의 함량은 20 내지 99 중량%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50 내지 95 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70 내지 9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용매를 함유하는 경우 내열 다공층 조성물의 제조가 용이해지며 내열 다공층의 건조 공정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용액 및 필러 분산액에 추가적으로 용매를 혼합한 후 볼 밀(Ball mill), 비즈 밀(Beads mill) 또는 스크류 믹서(Screw mixer) 등을 이용하여 충분히 교반하는 공정을 거쳐 혼합물 형태의 내열 다공층 조성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에 내열 다공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코팅법,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압출(coextrusio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NIPS(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코팅법, 딥(Dip) 코팅법, 다이(Die) 코팅법, 롤(Roll) 코팅법 또는 콤마(Comma)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 가지 이상의 방법을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막의 내열 다공층은 예를 들어, NIPS 코팅법 또는 딥 코팅법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내열 다공층의 두께는 0.01 ㎛ 내지 20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 내지 15 ㎛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 내에서, 적절한 두께의 내열 다공층을 형성하여 우수한 열적 안정성 및 접착력을 얻을 수 있으며, 전체 분리막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전지의 내부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내열 다공층을 건조하는 것은 온풍, 열풍, 저습풍에 의한 건조나 진공 건조 또는 원적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 온도는 용매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60℃ 내지 120℃의 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다. 건조 시간 역시 용매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1분 내지 1시간 건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9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1분 내지 30분, 또는 1분 내지 10분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재된 내열 다공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150℃에서 60분 동안 방치한 후의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 MD) 또는 직각 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으로의 열수축률은, 각각 10% 이하, 구체적으로 5%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전극의 단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분리막의 열수축률을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분리막의 열수축률을 측정하는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제조된 분리막을 가로(MD) 약 5 cm × 세로 (TD) 약 5 cm 크기로 제단하고, 이를 150℃ 의 챔버(chamber)에서 1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상기 분리막의 MD 방향 및 TD 방향의 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열수축률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재된 내열 다공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의 통기도는 400sec/100cc 이하, 예를 들어, 100sec/100cc 내지 350sec/100cc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 내부의 이온 및 전자 흐름이 원활하여 전지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의 통기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의 통기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제조된 분리막에 대해 100cc의 공기가 분리막을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통기도를 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재된 내열 다공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은 파단 내열도가 20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단 내열도가, 200℃ 내지 250℃ 일 수 있다. 상기 파단 내열도는 분리막을 6 ㎝ (MD) × 6 ㎝ (TD)로 잘라내고,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분리막을 5 ㎝ × 5 ㎝ 로 유리판에 부착한 후, 200℃, 또는 210℃, 또는 220℃, 또는 230℃, 또는 240℃, 또는 250℃로 가열한 오븐에 넣고, 10분 후 오븐으로부터 분리막을 꺼내었을 때, 분리막이 파단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에 개시된 제1 단위 및 제2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내열 다공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양극, 음극을 포함하며 전해질로 채워진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종류의 리튬 이차 전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구체적으로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 전지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각형인 것을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리튬 폴리머 전지, 원통형 전지 등 다양한 형태의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100)는 양극(10)과 음극(20) 사이에 분리막(30)을 개재하여 귄취된 전극 조립체(40)와, 상기 전극 조립체(40)가 내장되는 케이스(50)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10), 상기 음극(20) 및 상기 분리막(30)은 전해액(미도시)에 함침된다.
상기 분리막(30)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양극(10)은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위에 형성되는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양극 활물질, 바인더 및 선택적으로 도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로는 알루미늄(Al), 니켈(Ni)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발트, 망간, 니켈, 알루미늄, 철 또는 이들의 조합의 금속과 리튬과의 복합 산화물 또는 복합 인산화물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리튬 코발트 산화물, 리튬 니켈 산화물,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산화물, 리튬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산화물, 리튬 철 인산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 입자들을 서로 잘 부착시킬 뿐 아니라 양극 활물질을 양극 집전체에 잘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카르복실화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에틸렌 옥사이드 함유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아크릴레이티드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에폭시 수지, 나일론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전극에 도전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그 예로 천연흑연, 인조흑연, 카본블랙, 탄소섬유, 금속 분말, 금속 섬유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분말과 상기 금속 섬유는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20)은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 위에 형성되는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구리(Cu), 금(Au), 니켈(Ni), 구리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음극 활물질, 바인더 및 선택적으로 도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리튬 금속의 합금,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로는 탄소계 물질을 들 수 있으며, 그 예로는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결정질 탄소의 예로는 무정형, 판상, 인편상(flake), 구형 또는 섬유형의 천연흑연 또는 인조흑연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정질 탄소의 예로는 소프트 카본(soft carbon) 또는 하드 카본(hard carbon), 메조페이스 피치 탄화물, 소성된 코크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리튬 금속의 합금으로는 리튬과 Na, K, Rb, Cs, Fr, Be, Mg, Ca, Sr, Si, Sb, Pb, In, Zn, Ba, Ra, Ge, Al 및 S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로는 Si, SiOx(0<x<2), Si-C 복합체, Si-Y 합금, Sn, SnO2, Sn-C 복합체, Sn-Y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 중 적어도 하나와 SiO2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원소 Y로는 Mg, Ca, Sr, Ba, Ra, Sc, Y, Ti, Zr, Hf, Rf, V, Nb, Ta, Db, Cr, Mo, W, Sg, Tc, Re, Bh, Fe, Pb, Ru, Os, Hs, Rh, Ir, Pd, Pt, Cu, Ag, Au, Zn, Cd, B, Al, Ga, Sn, In, Tl, Ge, P, As, Sb, Bi, S, Se, Te, P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로는 바나듐 산화물, 리튬 바나듐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극에 사용되는 바인더와 도전재의 종류는 전술한 양극에서 사용되는 바인더와 도전재와 같다.
상기 양극과 음극은 각각의 활물질 및 바인더와 선택적으로 도전재를 용매 중에 혼합하여 각 활물질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활물질 조성물을 각각의 집전체에 도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전극 제조 방법은 당해 분야에 널리 알려진 내용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해액은 유기용매와 리튬염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전지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들이 이동할 수 있는 매질 역할을 한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카보네이트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에테르계 용매, 케톤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및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의 예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슬형 카보네이트 화합물과 환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유전율을 높이는 동시에 점성이 작은 용매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환형 카보네이트 화합물 및 사슬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은 1:1 내지 1:9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용매의 예로는,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n-프로필아세테이트, 디메틸아세테이트,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프로피오네이트, ?-부티로락톤, 데카놀라이드(decanolide), 발레로락톤, 메발로노락톤(mevalonolactone),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계 용매의 예로는, 디부틸에테르, 테트라글라임, 디글라임, 디메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케톤계 용매로는 시클로헥사논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코올계 용매로는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혼합 비율은 목적하는 전지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유기용매에 용해되어, 전지 내에서 리튬 이온의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기본적인 리튬 이차 전지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양극과 음극 사이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물질이다.
상기 리튬염의 예로는, LiPF6, LiBF4, LiSbF6, LiAsF6, LiN(SO3C2F5)2, LiN(CF3SO2)2, LiC4F9SO3, LiClO4, LiAlO2, LiAlCl4, LiN(CxF2x + 1SO2)(CyF2y + 1SO2)(x 및 y는 자연수임), LiCl, LiI, LiB(C2O4)2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의 농도는 0.1M 내지 2.0M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리튬염의 농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전해액이 적절한 전도도 및 점도를 가지므로 우수한 전해액 성능을 나타낼 수 있고, 리튬 이온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기술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제조예 1 : 고분자 수지 1의 제조
500 mL의 4구 플라스크, 딘-스타크 트랩(dean-stark trap), 응축기, 질소 주입구/배출구, 맨틀 및 메카니컬 스터러(mechanical stirrer)를 준비하였다. 디클로로페닐설폰(dichlorophenylsulfone)(57.50 g, 200 mmol),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66.34 g, 204 mmol),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30.21 g, 214 mmol), 설폴란(sulfolane)(218 mL) 및 톨루엔(toluene)(100 mL)를 상기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생성된 물이 톨루엔과 함께 공비혼합물이 된 후 혼합물이 고점성을 가지도록 230℃에서 약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냉각하고, 메탄올(1000 mL)/물(1000 mL/염산(1000 mL)로 혼합된 혼합물에 부어 하얀 섬유상의 중합체를 침전시켰다. 이후 필터링하여 수집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그 다음 필터링에 의해 수집된 중합체를 24시간 동안 80℃의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36,000이고, 유리 전이온도가 258℃인, 화학식 8-1의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수지를 수득하였다.
[화학식 8-1]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40
제조예 2 : 고분자 수지 2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페놀프탈레인 대신 화학식 3-1의 화합물(41.92 g, 204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중량평균 분자량이 141,000이고 유리 전이온도가 271℃인 화학식 8-2의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수지를 수득하였다.
[화학식 3-1]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41
[화학식 8-2]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42
제조예 3 : 고분자 수지 3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페놀프탈레인 대신 화학식 3-2의 화합물(35.31 g, 204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38,000이고 유리 전이온도가 278℃인 화학식 8-3의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수지를 수득하였다.
[화학식 3-2]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43
[화학식 8-3]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44
제조예 4 : 고분자 수지 4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디클로로페닐설폰(dichlorophenylsulfone) 대신에 화학식 1-1의 디클로로벤조페논 (4,4`-dichlorobenzophenone)(50.22 g, 200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43,000이고 유리 전이온도가 282 인 화학식 9-1의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수지를 수득하였다.
[화학식 1-1]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45
[화학식 9-1]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46
제조예 5 : 고분자 수지 5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페놀프탈레인 대신에 화학식 2-1의 설포닐디페놀 (4,4`-sulfonyldiphenol)(51.05 g, 204 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39,000이고 유리 전이온도가 222℃ 인 화학식 12의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수지를 수득하였다.
[화학식 2-1]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47
[화학식 12]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48
실시예 1 : 분리막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수지 1를 10중량%로 DMAc에 용해시켜 제1 바인더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PVdF계 폴리머 (쿠레하사 KF9300, Mw: 1,200,000 g/mol)을 아세톤, DMAc 혼합 용매에 용해시켜 고형분 7 중량% 용액인 제2 바인더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Al2O3(일본경금속社, LS235A)를 아세톤(대정화금社)에 25중량%로 첨가하고, 비즈밀을 이용해 25℃에서 3시간 동안 밀링하여 분산시켜 무기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위의 제1 바인더와 PVdF계 폴리머 제2 바인더의 중량비가 6:4가 되도록, 바인더 고형분과 알루미나 고형분이 1/6 비율이 되도록 제1, 제2 바인더 용액 및 알루미나 분산액을 혼합하였으며, 전체 고형분이 12 중량%가 되도록 아세톤을 첨가하여 내열 다공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내열 다공층 조성물을 두께 8㎛의 폴리에틸렌 다공성 기재(SK사, 통기도 80sec/100cc, 찌름강도 360kgf)의 양면에 딥 코팅 방식으로 각각 1.5㎛의 두께로 코팅한 다음, 이를 100 ℃에서 1분 동안 건조하여 총 두께 11㎛의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분리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예 1의 고분자 수지 대신 제조예 2의 고분자 수지 2를 사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총 두께 11㎛의 실시예 2의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분리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예 1의 고분자 수지 대신 제조예 3의 고분자 수지 3을 사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총 두께 11㎛의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분리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예 1의 고분자 수지 대신 제조예 4의 고분자 수지 4를 사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총 두께 11㎛의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분리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무기입자 분산액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총 두께 11㎛의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분리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 바인더 용액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총 두께 11㎛의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분리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예 1의 고분자 수지 대신 제조예 5의 고분자 수지 5를 사용한 것으로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총 두께 11㎛의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제조예 1 내지 5의 고분자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 유리전이온도(Tg), 및 전해질 용해도를 각각 아래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중량평균분자량(Mw):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치로 나타내었다.
(2) 유리전이온도(Tg): 시차주사열량측정법(DSC)으로 측정하였다.
(3) 전해액에 대한 용해도: 전해액(EC/EMC/DEC = 3/5/2)에 대하여 고형분 1 wt%로 측정. 아래 표 1의 각 조건에서 용액이 투명한 경우 'soluble'한 것으로 판단하고, 용액이 불투명하거나 용질이 남아있는 경우를 'insoluble'한 것으로 판단한다.
Mw(g/mol) Tg(℃) 25℃/24hr 전해액 용해도 85℃/24hr 전해액 용해도 150℃/10min 전해액 용해도
제조예 1의 고분자 수지 136,000 258 insoluble insoluble insoluble
제조예 2의 고분자 수지 141,000 271 insoluble insoluble insoluble
제조예 3의 고분자 수지 138,000 278 insoluble insoluble insoluble
제조예 4의 고분자 수지 143,000 282 insoluble insoluble insoluble
제조예 5의 고분자 수지 139,000 222 insoluble insoluble insoluble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에 대해 아래에 개시된 측정 방법으로 열수축률, 통기도, 파단 내열도, 찌름 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 열수축률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의 열수축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의 방법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 각각을 가로(MD) 5 cm × 세로(TD) 5 cm로 제단하여 총 7개의 시료를 제작하였다. 상기 각 시료를 150℃ 의 챔버에서 각각 1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각 시료의 MD 방향 및 TD 방향의 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열수축률을 계산하였다.
실험예 2 : 통기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의 통기도를 EG01-55-1MR (Asahi Seiko 사)를 사용하여 100 cc의 공기가 분리막을 통과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예 3 : 파단내열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을, 6 ㎝ × 6 ㎝ 로 잘라내어,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상기 분리막을 5 ㎝ × 5 ㎝ 로 유리판에 부착한 후, 200℃ 로 가열한 오븐에 넣었다. 10분 후 오븐으로부터 분리막을 꺼내어 파단 여부를 확인하여, 파단되면 O, 파단되지 않았으면 X로 평가하였다.
실험예 4 : 찌름 강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의 찌름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분리막 각각을 가로(MD) 50 mm × 세로(TD) 50 mm로 서로 다른 10 개의 지점에서 재단한 10 개의 시료를 제작한 다음, KES-G5(Handy-Type Compression Tester - KATO TECH社)를 이용하여 10 cm 구멍 위에 시료를 올려 놓은 후 1 mm 탐침으로 누르면서 뚫어지는 힘을 측정하였다. 상기 각 시료의 찌름 강도를 각각 세 차례씩 측정한 다음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고형분(wt%) 바인더제1/제2중량비 바인더/Al2O3(중량비) 코팅두께(㎛) 통기도(sec/100cc) 열수축률(150 ℃,60분)(%) 파단내열도(200℃) 찌름강도(kgf) 다공성 기재
실시예 1 12 6/4 1/6 3 250~300 MD : 1 TD : 2 X 425 PE
실시예 2 12 6/4 1/6 3 250~300 MD : 1TD : 1 X 440 PE
실시예 3 12 6/4 1/6 3 250~300 MD : 1TD : 1 X 435 PE
실시예 4 12 6/4 1/6 3 250~300 MD : 1TD : 1 X 445 PE
비교예 1 12 6/4 1/6 3 250~300 MD : 11TD : 12 X 437 PE
상기 표 2의 결과를 통해, 본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막이 전해액에 용해되지 않으면서 고내열성을 가지며, 200℃의 고온에서도 파단되지 않고, 기계적 강도나 통기도 물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예시로써 제공되는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면 혹은 양면에 형성된 내열 다공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열 다공층은 설폰기 또는 케톤기를 함유하는 제1 단위 및 아미드기, 이미드기 또는 페놀프탈레인기를 함유하는 제2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분리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는 분리막.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49
    [화학식 2]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50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6의 알킬, C2-6의 알케닐, C2-6의 알키닐, C3-20의 시클로알킬, 및 C6-30의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는 화학식 3 내지 화학식 7의 단위를 포함하는 분리막.
    [화학식 3]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51
    [화학식 4]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52
    [화학식 5]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53
    [화학식 6]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54
    [화학식 7]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55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O 또는 N이고, R5는 없음이거나, 수소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의 알킬, C2-6의 알케닐, C2-6의 알키닐, C3-10의 시클로알킬, 및 C6-30의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화학식 4 내지 7에서, R6 내지 R1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할로겐화알킬, 알콕시기, C1-6 알킬, 또는 니트로기이고, Q 및 P는 각각, 직접 결합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 알킬-, -SO2-, C(=O)-, -O-, -S-, 또는 -SO-이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화학식 8 또는 화학식 9의 구조를 포함하는, 분리막.
    [화학식 8]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56
    [화학식 9]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57
    상기 화학식 8 또는 9에서, X는 O 또는 N이고, R5는 없음이거나, 수소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의 알킬, C2-6의 알케닐, C2-6의 알키닐, C3-10의 시클로알킬, 및 C6-30의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n 및 m은 몰분율로서 m+n=1이고, 0<m<1.0 및 0<n<1.0일 수 있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하기 화학식 10 또는 화학식 11의 구조를 포함하는, 분리막.
    [화학식 10]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58
    [화학식 11]
    Figure PCTKR2016004252-appb-I000059
    상기 화학식 10 또는 화학식 11에서, l은 각각 25 내지 500의 자연수이고, X는 O 또는 N이고, R5는 없음이거나, 수소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6의 알킬, C2-6의 알케닐, C2-6의 알키닐, C3-10의 시클로알킬, 및 C6-30의 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235℃ 내지 350℃인 분리막.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열 다공층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폴리머를 추가로 포함하는 분리막.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내지 1,700,000의 범위인, 분리막.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 다공층은 필러를 추가로 함유하는 분리막.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Al2O3, SiO2, B2O3, Ga2O3, TiO2 및 Sn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분리막.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러의 함량은 상기 내열 다공층 전체 중량에 대해 50 중량% 내지 99 중량%인 분리막.
  12.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150℃, 1 시간 동안의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 MD) 또는 직각 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으로의 열수축률이 각각 10% 이하인, 분리막.
  13.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통기도가 400sec/100cc 이하인, 분리막.
  14.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파단내열도가 200℃ 이상인, 분리막.
  15.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로서, 상기 분리막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분리막인, 리튬 이차 전지.
PCT/KR2016/004252 2015-06-29 2016-04-22 고내열성 분리막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1700307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808A KR20170001987A (ko) 2015-06-29 2015-06-29 고내열성 분리막 및 전기 화학 전지
KR10-2015-0091808 2015-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3077A1 true WO2017003077A1 (ko) 2017-01-05

Family

ID=5760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4252 WO2017003077A1 (ko) 2015-06-29 2016-04-22 고내열성 분리막 및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01987A (ko)
WO (1) WO2017003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7077B1 (en) 2018-06-14 2019-11-2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Bis(benzoxazinyl)phthalimidine and associated curable composition and composite
KR102167294B1 (ko) * 2018-10-30 2020-10-20 주식회사 삼양사 내열성 및 가공성이 향상된 폴리술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267A (ko) * 2004-02-23 2006-11-24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다공질막, 이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여 제조한리튬 이온 2차 전지
JP2013069505A (ja) * 2011-09-21 2013-04-18 Dexerials Corp 電池用セパレータシート及び電池
KR20140055801A (ko) * 2012-11-01 2014-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13819A (ko) * 2012-05-24 2015-02-0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KR20150025825A (ko) * 2013-08-30 2015-03-11 제일모직주식회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10B1 (ko) 2004-12-22 2007-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소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267A (ko) * 2004-02-23 2006-11-24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다공질막, 이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여 제조한리튬 이온 2차 전지
JP2013069505A (ja) * 2011-09-21 2013-04-18 Dexerials Corp 電池用セパレータシート及び電池
KR20150013819A (ko) * 2012-05-24 2015-02-0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KR20140055801A (ko) * 2012-11-01 2014-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25825A (ko) * 2013-08-30 2015-03-11 제일모직주식회사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87A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2566A1 (ko)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6175515A1 (ko) 고내열성 및 난연성 분리막 및 전기 화학 전지
WO2019164130A1 (ko)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WO2019103463A1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재,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이차전지
WO2016032166A1 (ko) 고내열성 및 난연성 분리막 및 전기 화학 전지
WO2017217596A1 (ko) 리튬금속전지용 복합 전해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리튬금속전지
WO2020130270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0138627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9112278A1 (ko) 리튬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0060018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9009564A1 (ko) 분리막,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및 분리막의 제조 방법
WO2020111545A1 (ko) 양극 활물질,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8164402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WO2019078688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7003077A1 (ko) 고내열성 분리막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19078626A1 (ko)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
WO2018038510A1 (ko)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9221381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7074116A1 (ko) 다층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WO2019240501A1 (ko) 무기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24085297A1 (ko)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23008953A1 (ko) 습윤 접착력이 우수한 절연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3008952A1 (ko) 습윤 접착력이 우수한 전극용 절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45858A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9078685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181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181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