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04989A1 - 유아용 한글 교재 - Google Patents

유아용 한글 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04989A1
WO2016104989A1 PCT/KR2015/013295 KR2015013295W WO2016104989A1 WO 2016104989 A1 WO2016104989 A1 WO 2016104989A1 KR 2015013295 W KR2015013295 W KR 2015013295W WO 2016104989 A1 WO2016104989 A1 WO 201610498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arning unit
image
learning
consonant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2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소비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소비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소비교육
Publication of WO201610498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049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Hangul textbook for infants, and in particular, to an infant Hangul textbook for infants to easily and quickly wake up the Hangul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infant.
  • Hangeul is a letter that is made based on the principles of scientific creation. It is known that it does not take much time to learn letters compared to other languages. Piaget, a developmental psychologist, explained that it is after the age of five that infants are able to think logically. However, due to the high aspirations of parents who want to learn Korean early, excessive early learning and excessive repetitive learning are carried out at home, which makes children less interested in learning and enjoys learning. Therefore, the learning method of learning Hangeul as a logical way of understanding for children before the age of 5 is not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thinking. You are more likely not to like it.
  • the existing Hangul learning method is mainly based on the common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 the acquisition of words with images such as bags and hats is more abstract than the learning of vowels, but it is logical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vowels.
  • the method of learning letters by presenting 'zoo', 'gimbap', 'balloon', cotton candy, and 'playing equipment' on the theme of picnic is a method of perception of characters.
  • infants learned by this learning method know 'Gimbab' but do not know 'Gim' and do not recognize that the bases of 'Kim' and 'Som' are the same.
  • consonant and vowel itself is an abstract concept, which can only be repeated by injection for memorization. Consonants and abstract vowels come together to make abstract letters and learn them.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learning Korean Hangul for infants, which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make a logical thought to drop a word in consideration of the cognitiv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nfant. It is done.
  • the Hangul teaching aids for childre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ingle word association learning provided by individually matching the associative image, and the representative support is coupled to the provided by the letter learning unit
  • An extended single letter observation learning unit provided by matching the extended single word with an observation image regarding the shape or form of a face implemented at the time of pronunciation of the representative bearing, and separating a consonant with respect to the single letter and the extended single letter, and separating
  • An object image pronounced of the shape of each consonant includes a consonant separation learning unit provided by matching, and the single letter is composed of only a basic consonant and a basic vowel, and is characterized by no support.
  • observation image may be an image matched with the representative support so that the shape or shape of a specific part of the face or body implemented during pronunciation of the representative support may be visualized and observed.
  • the extended single letter observation learning unit may provide a second word lacking the representative support in a first word formed of a plurality of extended single letters to match a wor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word.
  • the Korean textbook for infants may further include a composite vowel learning unit that provides a third word including a composite vowel in which each vowel separated from the consonant separation learning unit is combined with a related image.
  • the Hangul Korean textbook for infants may further include a compound consonant learning unit that provides an image representing the strength of the phoneme when the consonants are separated and provided when the consonants are separated from the consonant.
  • a Korean learning method for infants configured to be able to learn a Hangul without the need for logical thinking to drop the words in the words of children with a difficult age in consideration of the cognitiv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nfant Can be provided.
  • FIG.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ord association lear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xtended letter observation lear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sonant separation lear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ouble vowel lear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ual consonant lea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angul teaching aids for childr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component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n particula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unless there is an opposite substrate,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 Figure 1 shows an embodiment of a single word association lear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xtended letter observation lear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onsonant separation lear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ouble vowel lear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Hangul teac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tter association learning unit 110, extended letter observation learning unit 120, consonant separation learning unit 130, double vowel learning unit 140 and double consonant learning unit 150 It consists of five learning units.
  • the five learning units are arranged in order on the Hangul textbooks to fit the learning process, inducing the infant to quickly wake up the Hangul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cess.
  • the Korean textbook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five-step learning process associated with the five learning units 110 to 150.
  • the first step learning process is to learn 84 letters of the letter through the associative learning unit 110.
  • the single letter means an unsupported letter consisting of a basic consonant and a basic vowel, for example, 'a', 'small', 'rain', 'nose', 'no', 'ki', and the like.
  • the two-stage learning process is a step of learning by combining the support with 84 characters acquired in the first step through the extended single-character observation learning unit 120.
  • the three-step learning process is a step of separating the consonants for the words learned in steps 1 and 2 through the consonant separation learning unit 130 and learning to recognize each consonant separated.
  • the four-step learning process is a step of learning a double vowel combined with each vowel separated and learned in step 3 through the double vowel learning unit 140.
  • the double vowel means a vowel in which two or more vowels are combined such as ' ⁇ ', ' ⁇ ', ' ⁇ ', and the like.
  • the five-step learning process is a step of learning a double consonant combined with each consonant learned in step 3 through the double consonant learning unit 150.
  • the word association learning unit 110 provides a process of learning 84 letters composed of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 the letter association learning unit 110 provides each of the 84 letters 116a and 116b with an image 112a and 112b of an object that an infant can easily access.
  • the images 112a and 112b may be combined with the images so that the characters may be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s through the image, and the separate regions 118a may be drawn directly along the images. 118b) may be provided.
  • Extended letter observation learning unit 120 combines the support with 84 letters learned by the letter association learning unit 110, and provides a process of learning the extended letter with the support.
  • the extended letter observation learning unit 120 provides a process of learning the extended letter from the basic letter of 84 characters by combining the support with the letter learned through the image, such support learning is the basic support It is further subdivided into two phases: learning basic support learning and extended support learning extended support.
  • the basic support learning phase combines 84 basic letters and seven basic supports, ' ⁇ ', ' ⁇ ', ' ⁇ ', ' ⁇ ', ' ⁇ ', ' ⁇ ', ' ⁇ ', and ' ⁇ '. It's a step. At this time, the basic support is matched with the shape and shape of the body, in particular the face and mouth, respectively, the infant can learn the respective support by associating the shape or shape of the face / mouth.
  • the basic stand ' ⁇ ' is raised up to reach the palate during tongue pronunciation, the mouth shape (122a) before the support ' ⁇ ' pronunciation and the mouth shape (124a) after the support ' ⁇ ' pronunciation represented by the infant Will be provided to Similarly, the basic support ' ⁇ ' shuts up the mouth during pronunciation, and the mouth shape (122b, 124b) before and after the pronunciation of the support ' ⁇ ' can be expressed as an image as shown in FIG. 2B.
  • the basic support ' ⁇ ' sounds a nostril when pronounced
  • the basic support 'b' is a tongue bite when pronounced
  • the basic support ' ⁇ ' is a tooth hit each other during pronunciation
  • the basic support ' ⁇ ' is pronounced
  • the mouth closes at the poem
  • the basic support ' ⁇ ' stops the tongue behind the upper teeth during pronunciation.
  • the combination of the base letter 123a and the extended base letter 125a combined with the base base may be displayed on each mouth shape image 122a and 124a so that the infant may understand the coupling of the base more easily.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hildren to learn the support more easily based on Audi's theory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move the parts of the body to remember the letters and the support only with the head, but to remember through the body.
  • the image matching the basic support may be displayed separately before and after the pronunciation of the support, and is displayed by matching the features of the face or body at the time of the pronunciation of the support into one image. It is also possible.
  • 2C to 2I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basic supports ' ⁇ ', 'B', ' ⁇ ', ' ⁇ ', ' ⁇ ', ' ⁇ ', and ' ⁇ ' are matched with one image.
  • the extended support learning step is a step of learning the extended suppor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basic support learned in the basic support learning step but categorized into the same sound in the same manner as the basic support.
  • the extended feet are categorized into the same sound as the basic feet. For example, the extended feet, which are grouped into the same category as the basic feet ' ⁇ ', have ' ⁇ ', ' ⁇ ', and are the same as the basic feet 'c'.
  • the extension bases that are grouped into categories are ' ⁇ ', ' ⁇ ', ' ⁇ ', ' ⁇ ' and ' ⁇ '. This sorting method makes it easy to remember all 14 supports with only 7 basic supports.
  • the consonant separation learning unit 130 provides a process of recognizing each consonant and a vowel by separating the consonants from the single letter learned in step 1 and the extended single letter learned in step 2.
  • the single letter 132 or the extended single letter is divided into a consonant 134 and a vowel 136 and displayed as an image.
  • the separated consonants 134 are provided by matching each similar object image, so that the children can easily associate them.
  • the separated consonants ⁇ may be displayed to be matched to the hippo face designed in a letter shape, and as shown in FIGS. 3 (b), 3 (c) and 3 (d), the consonants ' ⁇ ' Matched to the hair dryer, the consonant 'c' may be matched to the crocodile face, and the consonant ' ⁇ ' may be matched to the Indian tent and displayed.
  • the separated vowels 136 may be provided with a stroke display order or the like displayed on the image or matched with an object image similar to the separated consonants so that the infants can mimic the drawing.
  • a stroke display order or the like displayed on the image or matched with an object image similar to the separated consonants so that the infants can mimic the drawing.
  • separate vowels ' ⁇ ' match the street lights
  • vowels ' ⁇ ' match the clothesline
  • the double vowel learning unit 140 provides a word including a composite vowel in which each vowel separated and learned by the vowel separation learning unit 130 is combined with one or more images related to the word.
  • the double vowel learning unit 140 includes a composite vowel 141 combined with each vowel separated and learned through the consonant separation learning unit 130 in step 3, and the composite vowel ( 141 is provided as an image in a form separated into individual vowels 142 and 143.
  • the individual vowels 142 and 143 may simply be an image of the vowel, or may be an image in which the vowel order of the vowels is displayed as shown in (a) of FIG. 3, and (e) and (f) of FIG. may be an image matched to a similar object, as shown in (g). In this way, the infant may associate with the individual vowels or images of the familiar learning in the previous step and associate the new composite vowel with the image.
  • the double vowel learning unit 140 as shown in Figure 4b.
  • the image resemble of the word 144 including the compound vowel 141 is imaged by matching the word with the consonant 145 and one or more vowels 146 and 147 learned in the previous step.
  • each word 144 is divided into one or more object images 145 matched with an object similar to a separated consonant and one or more object images 146. 147 matched with an object similar to a separate vowel. Therefore, the child can easily learn new letters or words by using consonants and vowels previously learned.
  • the double consonant learner 150 provides the same or different two consonants combined to learn through the image.
  • the double consonant learning unit 150 recognizes letters having the same vowels arranged in different consonants as patterns having the same mouth shape and long and short sounds.
  • the dual consonant learning unit 150 provides a process of associating the sound of one consonant and two consonants weakly and strongly to remind the user of the shape of the consonant through an image so that the consonant can also be recalled.
  • FIG. 6 shows an example of a learning textbook in which the learning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agnetic board.
  • the Hangul textbook for childre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magnetic boards and one or more tickets 210 to 240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gnetic board.
  • the magnetic board may be composed of five board boards corresponding to steps 1 to 5 of the Hangul learning algorithm described above.
  • the scab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rubber magnet having a magnetic force, a plurality of images used in each step of the Hangul learning algorithm may be displayed on one surface.
  • a letter ticket 210 and an extended letter ticket displaying an image of an object matching the 84 letters of the first stage, and a support ticket 220 displaying an image matching the seven basic supports of the second level, 3 It may include a consonant ticket 230 displaying an image matching the separated consonants of the step and a vowel ticket 240 displaying an image matching the separated vowels.
  • the magnetic board 250 shown in FIG. 6B is divided into a letter attachment area 252 to which a letter ticket 210 used for first-level learning is attached. Separately, a separate area 254 can be used to directly write a letter on one side. , 256). Through this, the infant can attach a random letter and write and delete the corresponding letter repeatedly by using a marker pen or the like to induce interest and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 the magnet board plate 260 shown in Figure 6c is used in the second step and the attachment region 262 to which the letter ticket 210 used in step 1 is attached so as to learn the extended letter used in step 2 learning.
  • the support attachment area 264, to which the support ticket 220 is attached, and the extended letter attachment area 266 to which the extended single ticket is attached are divided. In this way, when the infant or the parent presents the letter ticket 210 and the support ticket 220, the infant finds and attaches the corresponding extended ticket, or vice versa, which constitutes the extended ticket provided by the teacher.
  • it is possible to easily learn the two-stage expansion letter through various learning methods such as finding and attaching the support ticket 220 to each area.
  • the magnet board 270 shown in Figure 6d is a learning tool for the three-step consonant separation recognition process.
  • the magnetic board 270 is a consonant to which the constitution snippet 210 or the constriction scab 230 corresponding to the separated consonants is attached.
  • the vowel attachment region 276 to which the attachment region 274 and the vowel ticket 240 corresponding to the separated vowel are attached is divided. Through this, the infant can separate the consonants for the single letters learned in the first step and the extended single letters learned in the second step, and visually recognize each of the separated consonants and vowe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p-by-step Hangul learning process considering the cognitiv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nfant, so that children of age difficult to think logically can learn Hangul easily without having to think logically to drop words Produces an inducing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유아용 한글 교재가 개시된다. 유아용 한글 교재는, 복수의 낱글자가 연상 이미지와 개별적으로 매칭되어 제공되는 낱글자 연상학습부, 상기 낱글자 학습부에서 제공된 낱글자에 대표 받침이 결합된 확장 낱글자가 상기 대표 받침의 발음시에 구현되는 얼굴의 모양 또는 형태에 관한 관찰 이미지와 매칭되어 제공되는 확장낱글자 관찰학습부, 및 상기 낱글자 및 상기 확장 낱글자에 대해 자모음을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자음의 형태를 연상시키는 물체 이미지가 매칭되어 제공되는 자모음 분리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낱글자는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만으로 구성되며 받침이 없는 글자이다.

Description

유아용 한글 교재
본 발명은 유아용 한글 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아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유아들이 한글을 쉽고 빠르게 깨우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한글 교재에 관한 것이다.
한글은 과학적 창제 원리에 입각하여 만들어진 문자로서 다른 언어 문자에 비해 문자를 배우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발달심리학자인 삐아제는 유아가 논리적인 사고가 가능하게 되는 시기가 만 5세 이후라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한글을 일찍 깨우치길 원하는 부모들의 높은 열망으로 인하여 가정 내에서 과도한 조기학습과 무리한 반복학습이 이루어지면서 유아들이 학습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고 배우는 즐거움을 얻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만 5세 이전의 유아들의 경우에 논리적으로 이해를 하는 방법으로 한글을 익히는 학습 방법은 유아들의 사고 발달에 적합하지 않으며 유아들에게 한글이 지겹고 어려운 것으로 인식시켜서 아이가 문자를 통한 공부나 책을 좋아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기존의 한글 학습 방법은 주로 통문자 인지 방법을 그 기초로 하고 있다. 통문자 인지 방법은 가방, 모자 등 이미지가 있는 단어의 습득은 추상적인 자, 모음을 익히는 것보다는 더 빠른 인지를 할 수는 있어도 단어를 낱자로 떨어뜨리는 과정에서 자, 모음의 합성과 마찬가지로 논리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는 학습법이다. 예를 들어, 소풍이라는 주제에 '동물원', '김밥', '풍선', 솜사탕', '놀이기구'를 제시해서 그림과 함께 글자를 익히는 학습 방법이 통문자 인지 방법이다. 하지만, 이런 학습 방법으로 배운 유아는 '김밥'은 알아도 '김'은 알지 못하며, '김' 과 '솜'의 받침이 동일하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다.
또한, 종래의 자음과 모음을 따로 배우고 배운 자, 모음을 합쳐 글자를 만들어 내는 학습 방법은, 우선 자음과 모음 자체가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암기를 위해 주입식으로 반복할 수 밖에 없으며, 또한, 추상적인 자음과 추상적인 모음이 만나 다시 추상적인 글자를 만들어 그것을 익혀야 하는 데 어려움과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아의 인지발달 과정을 고려하여 단어를 낱자로 떨어뜨려야 하는 논리적 사고를 할 필요가 없도록 구성되는 유아용 한글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아용 한글 교재는, 복수의 낱글자가 연상 이미지와 개별적으로 매칭되어 제공되는 낱글자 연상 학습부와, 상기 낱글자 학습부에서 제공된 낱글자에 대표 받침이 결합된 확장 낱글자가 상기 대표 받침의 발음시에 구현되는 얼굴의 모양 또는 형태에 관한 관찰 이미지와 매칭되어 제공되는 확장 낱글자 관찰 학습부와, 상기 낱글자 및 상기 확장 낱글자에 대해 자모음을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자음의 형태를 연상시키는 물체 이미지가 매칭되어 제공되는 자모음 분리 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낱글자는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만으로 구성되며 받침이 없는 글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찰 이미지는 상기 대표 받침의 발음 시에 구현되는 얼굴 또는 신체의 특정 부위의 모양 또는 형태를 시각화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대표 받침에 매칭되어 표현된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 낱글자 관찰 학습부는 복수의 확장 낱글자로 이루어진 제1 단어에서 상기 대표 받침이 결여된 제2 단어를 상기 제1 단어에 대응되는 단어 이미지에 매칭되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아용 한글 교재는 상기 자모음 분리 학습부에서 분리되어 제공되는 각각의 모음이 결합된 복합 모음이 포함된 제3 단어를 관련된 이미지와 매칭되게 제공하는 복합 모음 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아용 한글 교재는 상기 자모음 분리 학습부에서 분리되어 제공되는 자음이 1개인 경우의 음가와 2개인 경우의 음가의 강약을 표현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복합 자음 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아의 인지발달 과정을 고려하여 논리적 사고가 어려운 연령대의 유아가 단어를 낱자로 떨어뜨려야 하는 논리적 사고를 할 필요가 없이 한글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아용 한글 학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낱글자 연상학습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낱글자 관찰학습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모음 분리학습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모음 학습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자음 학습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한글 교재의 개요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아용 한글 교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낱글자 연상학습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낱글자 관찰학습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모음 분리학습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모음 학습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한글 학습 알고리즘이 학습교재에 적용된 것을 일례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한글 교재는 낱글자 연상학습부(110), 확장 낱글자 관찰학습부(120), 자모음 분리학습부(130), 이중모음 학습부(140) 및 이중자음 학습부(150)를 포함하는 다섯 개의 학습부로 구성된다.
상기 다섯 개의 학습부는 학습 과정에 맞도록 한글 교재 상에 순서대로 배치되어, 유아가 학습 과정에 따라 빠르게 한글을 깨우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한글 교재는 상기 다섯 개의 학습부(110 내지 150)와 연계된 5 단계의 학습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단계 학습 과정은 상기 낱글자 연상학습부(110)를 통해 84자의 낱글자를 익히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낱글자란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으로 이루어진 받침없는 글자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아', '소', '비', '코', '무', '기' 등이 이에 해당된다. 2단계 학습 과정은 상기 확장 낱글자 관찰학습부(120)를 통해 상기 1 단계에서 습득한 84자의 낱글자에 받침을 결합시켜 익히는 단계이다. 3단계 학습 과정은 자모음 분리학습부(130)를 통해 상기 1단계 및 2단계에서 익힌 낱글자에 대해 자모음을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자음을 인식하도록 익히는 단계이다. 4단계 학습 과정은 상기 이중모음 학습부(140)를 통해 상기 3단계에서 분리되어 학습된 각각의 모음이 결합된 이중 모음을 익히는 단계이다. 여기서, 이중모음이란 'ㅘ', 'ㅝ', 'ㅢ' 등과 같이 둘 이상의 모음이 결합된 모음을 의미한다. 5단계 학습 과정은 상기 이중자음 학습부(150)를 통해 상기 3단계에서 분리되어 학습된 각각의 자음이 결합된 이중 자음을 익히는 단계이다.
낱글자 연상학습부(110)는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으로 이루어진 84개의 낱글자를 학습하는 과정을 제공한다.
도 1a, 1b를 참조하면, 낱글자 연상학습부(110)는 84개의 낱글자(116a, 116b) 각각을 유아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물의 이미지(112a, 112b)와 매칭시켜 제공한다. 해당 이미지(112a, 112b)에는 이미지를 통해 해당 낱글자를 강하게 연상시킬 수 있도록 해당 낱글자(114a, 114b)가 이미지에 결합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낱글자를 직접 따라서 그려볼 수 있도록 별도의 영역(118a, 118b)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어가 아닌 추상적인 낱글자에 유아에게 친숙한 이미지를 부여하고 해당 이미지를 연상시켜서 낱글자 자체를 습득할 수 있어서 단어를 낱자로 떨어뜨려야 하는 논리적 사고를 할 필요가 없다.
확장 낱글자 관찰학습부(120)는 상기 낱글자 연상학습부(110)에서 익힌 84개의 낱글자에 받침을 결합시켜서, 받침과 함께 확장된 낱글자를 학습하는 과정을 제공한다.
도 2a, 2b를 참조하면, 확장 낱글자 관찰학습부(120)는 이미지를 통해 익힌 낱글자에 받침을 결합시켜서 84자의 기본 낱글자에서 확장된 낱글자를 익히는 과정을 제공하며, 이와 같은 받침 학습은 기본 받침을 학습하는 기본 받침 학습과 확장된 받침을 학습하는 확장 받침 학습의 2단계로 다시 세분화된다.
기본 받침 학습 단계는 84자의 기본 낱글자와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의 7개의 기본 받침을 결합하여 확장된 낱글자를 학습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기본 받침은 각각 신체, 특히 얼굴과 입의 모양 및 형태와 연관되어 매칭되며, 유아는 상기 얼굴/입의 모양 또는 형태를 연상하여 각각의 받침을 익힐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받침 'ㄹ'은 발음시에 혀가 올라가서 입천장에 닿게 되며, 받침 'ㄹ' 발음 전의 입 모양(122a)과 받침 'ㄹ' 발음 후의 입 모양(124a)을 이미지로 표현하여 유아에게 제공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기본 받침 'ㅁ'은 발음시에 입이 다물어지며, 받침 'ㅁ'의 발음 전과 발음 후의 입 모양(122b, 124b)을 이미지로 표현하면 도 2b와 같이 가능하다. 또한, 기본 받침 'ㅇ'은 발음 시에 콧등이 울리며, 기본 받침 'ㄴ'은 발음 시에 혀가 깨물어지며, 기본 받침 'ㄱ'은 발음 시에 이가 서로 부딪히며, 기본 받침 'ㅂ'은 발음 시에 입이 꼭 다물어지며, 기본 받침 'ㅅ'은 발음 시에 혀가 윗니 뒤에서 멈추게 된다.
이때, 각각의 입 모양 이미지(122a, 124a)에 기본 낱글자(123a) 및 기본 받침이 결합된 확장 낱글자(125a)를 결합하여 표시함으로써 유아가 받침의 결합을 좀 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신체의 일부를 움직여 글자 및 받침을 머리로만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몸을 통해 기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몬테소리의 이론에 의거 유아들이 보다 쉽게 받침을 익힐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본 받침에 매칭되는 이미지는 상기 도 2a,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의 발음 전과 발음 후를 구분해서 표시할 수도 있으며, 받침의 발음시의 얼굴이나 신체의 특징을 하나의 이미지로 매칭시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c 내지 도 2i는 기본 받침 'ㄱ', 'ㄴ', 'ㄹ', 'ㅁ', 'ㅂ', 'ㅅ', 'ㅇ'를 각각 하나의 이미지로 매칭시킨 일 례를 도시하고 있다.
확장 받침 학습 단계는 기본 받침 학습 단계에서 학습한 기본 받침과 모양은 다르나 같은 소리로 범주화되는 확장 받침을 상기 기본 받침과 동일한 방법으로 학습하는 단계이다. 확장 받침은 기본 받침과 소리가 같은 것끼리 범주화되어 학습되며, 예를 들어, 기본 받침 'ㄱ'과 동일 범주로 묶이는 확장 받침은 'ㄲ', 'ㅋ' 이 있으며, 기본 받침 'ㄷ'과 동일 범주로 묶이는 확장 받침은 'ㅅ', 'ㅈ', 'ㅊ', 'ㅌ', 'ㅎ' 이 있다. 이러한 분류 방법을 통해 7개의 기본 받침 음가만으로 14개의 받침 모두를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게 된다.
자모음 분리학습부(130)는 상기 1단계에서 학습한 낱글자 및 2단계에서 학습한 확장 낱글자에 대해 자모음을 분리하여 각각의 자음과 모음을 인식하는 과정을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낱글자(132) 또는 확장 낱글자는 자음(134)과 모음(136)으로 분리되어 이미지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분리된 자음(134)는 각각 유사한 물체 이미지로 매칭되어 제공되므로 유아들이 쉽게 연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된 자음 뫀풎는 뫀풎자 형상으로 도안화된 하마 얼굴에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도 3의 (b), (c), (d)에 각각 도시된 것처럼 자음 'ㄱ'은 헤어드라이어에 매칭되고, 자음 'ㄷ'은 악어 얼굴에 매칭되고, 자음 'ㅅ'은 인디언 텐트에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모음(136)은 유아들이 흉내내서 그려볼 수 있도록 획 표시 순서 등이 이미지에 표시되거나, 또는 분리된 자음과 유사하게 유사한 물체 이미지로 매칭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e), (f), (g) 에 각각 도시된 것처럼 분리된 모음 'ㅓ'는 가로등에 매칭되고, 모음 'ㅠ'는 빨래줄에 매칭되고, 모음 'ㅣ'는 연필에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중모음 학습부(140)는 상기 자모음 분리학습부(130)에서 분리되어 학습된 각각의 모음이 결합된 복합 모음이 포함된 단어를 해당 단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와 매칭되게 제공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이중모음 학습부(140)는 3단계에서 상기 자모음 분리학습부(130)를 통해 분리되어 학습된 각각의 모음이 결합된 복합 모음(141)과, 상기 복합 모음(141)이 개별 모음(142, 143)으로 분리된 형태의 이미지로 표현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개별 모음(142, 143)은 단순히 모음을 이미지화한 것일 수도 있고, 도 3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모음의 획순이 표시된 이미지일 수도 있으며, 도 3의 (e), (f), (g)에 도시된 것처럼 유사한 물체에 매칭된 이미지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유아는 이전 단계에서 익숙하게 학습한 개별 모음들 또는 이들의 이미지를 연상하여 새로운 복합 모음을 이미지로 연상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중모음 학습부(140)는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복합 모음(141)이 포함된 단어(144)를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해당 단어에 대해 매칭시켜 이미지화하고, 이를 다시 이전 단계에서 익힌 자음(145)과 하나 이상의 모음(146, 147)로 분리하여 이미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단어(144)는 분리된 자음과 유사한 물체로 매칭된 하나 이상의 물체 이미지(145)와, 분리된 모음과 유사한 물체로 매칭된 하나 이상의 물체 이미지(146. 147)로 분리되어 구분되므로 유아가 이전에 습득한 자음과 모음을 이용하여 새로운 글자 또는 단어를 쉽게 익힐 수 있다.
이중자음 학습부(150)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두 개의 자음이 결합된 이중 자음을 이미지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중자음 학습부(150)는 다른 자음에 같은 모음이 나열되는 글자를 같은 입모양, 소리의 길고 짧음을 패턴으로 인식시켜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중자음 학습부(150)는 자음 1개의 음가와 자음 2개의 음가를 약하고 강하게 제시해 주어서 자음의 모양을 보고 음가도 떠올릴 수 있도록 이미지를 통해 연상시키는 과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학습 알고리즘은 다양한 형태의 학습 교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학습 알고리즘을 자석보드의 형태로 구현한 학습 교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아용 한글 교재(200)는 한 장 이상의 자석보드판 및 상기 자석보드판에 탈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딱지(210 ~ 240)로 구성된다. 상기 자석보드판은 이상에서 설명한 한글 학습 알고리즘의 1단계부터 5단계에 해당하는 5장의 보드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딱지는 자력을 가지는 고무 자석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한글 학습 알고리즘의 각각의 단계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이 일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단계의 84개의 낱글자에 매칭되는 사물의 이미지가 표시된 낱글자 딱지(210) 및 확장 낱글자 딱지와, 2단계의 7개의 기본 받침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표시된 받침 딱지(220)와, 3단계의 분리된 자음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표시된 자음 딱지(230) 및 분리된 모음에 매칭되는 이미지가 표시된 모음 딱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에 표시된 자석보드판(250)은 1단계 학습에 사용되는 낱글자 딱지(210)가 부착되는 낱글자 부착영역(252)이 구분되어 있으며, 이와 별도로 일측에 낱글자를 직접 써볼 수 있도록 별도의 영역(254, 256)이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는 임의의 낱글자 딱지를 부착하고 이에 해당하는 낱글자를 마커펜 등을 이용하여 반복하여 직접 쓰고 지울 수 있어서 흥미를 유발시키고 학습 효과를 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c에 표시된 자석보드판(260)은 2단계 학습에 사용되는 확장 낱글자를 학습할 수 있도록, 1단계에서 사용된 낱글자 딱지(210)가 부착되는 낱글자 부착영역(262)과 2단계에서 사용되는 받침 딱지(220)가 부착되는 받침 부착영역(264) 및 확장 낱글자 딱지가 부착되는 확장 낱글자 부착영역(266)이 구분되어 있다. 이를 통해, 유아는 교사 또는 부모가 낱글자 딱지(210) 및 받침 딱지(220)를 제시하면 이에 해당되는 확장 낱글자 딱지를 찾아서 부착하거나 또는 반대로 교사가 제시한 확장 낱글자 딱지를 구성하는 낱글자 딱지(210) 및 받침 딱지(220)를 찾아서 각각의 영역에 부착하는 등의 다양한 학습 방법을 통해 2단계의 확장 낱글자를 용이하게 익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d에 표시된 자석보드판(270)은 3단계의 자모음 분리 인식 과정을 위한 학습 도구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자석보드판(270)은 상기 1단계에서 사용된 낱글자 딱지(210) 또는 확장 낱글자 딱지가 부착되는 낱글자 부착영역(272), 분리된 자음에 해당하는 자음 딱지(230)가 부착되는 자음 부착영역(274) 및 분리된 모음에 해당하는 모음 딱지(240)가 부착되는 모음 부착영역(276)이 구분되어 있다. 이를 통해, 유아는 1단계에서 학습한 낱글자 및 2단계에서 학습한 확장 낱글자에 대해 자모음을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자음과 모음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서 용이한 학습이 가능하다.
그 밖에,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4단계 및 5단계에 해당하는 자석보드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자석 보드판을 이용한 한글 학습교재 이외에도 퍼즐이나 블럭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한글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한글 학습교재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유아의 인지발달 과정을 고려한 단계적 한글 학습 과정을 제공함으로써, 논리적 사고가 어려운 연령대의 유아가 단어를 낱자로 떨어뜨려야 하는 논리적 사고를 하지 않고도 쉽게 한글을 익힐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유아용 한글 교재에 있어서,
    복수의 낱글자가 연상 이미지와 개별적으로 매칭되어 제공되는 낱글자 연상학습부;
    상기 낱글자 학습부에서 제공된 낱글자에 대표 받침이 결합된 확장 낱글자가 상기 대표 받침의 발음시에 구현되는 얼굴의 모양 또는 형태에 관한 관찰 이미지와 매칭되어 제공되는 확장낱글자 관찰학습부; 및
    상기 낱글자 및 상기 확장 낱글자에 대해 자모음을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자음의 형태를 연상시키는 물체 이미지가 매칭되어 제공되는 자모음 분리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낱글자는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만으로 구성되며 받침이 없는 글자인,
    유아용 한글 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 이미지는 상기 대표 받침의 발음 시에 구현되는 얼굴 또는 신체의 특정 부위의 모양 또는 형태를 시각화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대표 받침에 매칭되어 표현된 이미지인,
    유아용 한글 교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낱글자 관찰학습부는 복수의 확장 낱글자로 이루어진 제1 단어에서 상기 대표 받침이 결여된 제2 단어를 상기 제1 단어에 대응되는 단어 이미지에 매칭되게 제공하는,
    유아용 한글 교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음 분리학습부에서 분리되어 제공되는 각각의 모음이 결합된 복합 모음이 포함된 제3 단어를 관련된 이미지와 매칭되게 제공하는 이중모음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한글 교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음 분리학습부에서 분리되어 제공되는 자음이 1개인 경우의 음가와 2개인 경우의 음가의 강약을 표현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이중자음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한글 교재.
PCT/KR2015/013295 2014-12-24 2015-12-07 유아용 한글 교재 WO201610498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779A KR101537802B1 (ko) 2014-12-24 2014-12-24 유아용 한글 교재
KR10-2014-0188779 2014-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4989A1 true WO2016104989A1 (ko) 2016-06-30

Family

ID=5387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295 WO2016104989A1 (ko) 2014-12-24 2015-12-07 유아용 한글 교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7802B1 (ko)
WO (1) WO2016104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0410A (zh) * 2016-11-02 2018-05-08 史东华 基于文字游戏的韩文学习装置及韩文学习方法
KR102173240B1 (ko) * 2018-09-10 2020-11-03 성유선 한글학습교재
KR102160938B1 (ko) 2019-02-07 2020-10-06 주식회사 놀작에듀 유아 한글쓰기 학습용 교구
KR102112955B1 (ko) 2019-08-19 2020-05-19 송제욱 반복 학습효과를 가진 한글 학습용 교재
KR20220142276A (ko) 2021-04-14 2022-10-21 이영로 이미지를 이용한 한글 학습 장치
KR102396529B1 (ko) * 2022-01-11 2022-05-12 주식회사 아소비교육 유아용 책 제작 방법과 그를 이용한 유아용 책
KR102621070B1 (ko) 2023-08-03 2024-01-03 김미영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KR102599959B1 (ko) 2023-08-03 2023-11-08 김미영 수학교구를 활용한 자기주도형 수학 학습 지원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479A (ko) * 1998-02-10 1999-09-06 장신희 한글 학습교재
KR20030043458A (ko) * 2001-11-28 2003-06-02 배문정 한글학습장치
KR20050073151A (ko) * 2004-01-09 2005-07-13 김웅태 글자 학습 교재
KR20090007598U (ko) * 2008-01-23 2009-07-28 (주)천재교육 한글 학습교구
KR20110010883A (ko) * 2009-07-27 2011-02-08 주식회사 소소 Smr 파를 이용한 경품 게임 장치 및 경품 게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8835A (ko) * 2010-03-30 2011-10-06 박종칠 글 카드놀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479A (ko) * 1998-02-10 1999-09-06 장신희 한글 학습교재
KR20030043458A (ko) * 2001-11-28 2003-06-02 배문정 한글학습장치
KR20050073151A (ko) * 2004-01-09 2005-07-13 김웅태 글자 학습 교재
KR20090007598U (ko) * 2008-01-23 2009-07-28 (주)천재교육 한글 학습교구
KR20110010883A (ko) * 2009-07-27 2011-02-08 주식회사 소소 Smr 파를 이용한 경품 게임 장치 및 경품 게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802B1 (ko) 201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04989A1 (ko) 유아용 한글 교재
Morris et al. Kindergarten predictors of first-and second-grade reading achievement
WO2017155192A1 (ko) 언어 학습용 블록 교구
WO2010131924A9 (ko) 한자 학습교재
WO2016129954A1 (ko) 두뇌활성화를 통한 어학 학습 교구 세트
CN201993941U (zh) 利用汉氏拼音方式进行英语学习的教学机
US201002481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target sound production for speech in words when target sound is part of a consonant blend
Massengill The impact of using guided reading to teach low-literate adults
CN114613206A (zh) 面向读写障碍儿童的多感官语言拼读学习智能装置
CN204423703U (zh) 多功能教学方块
CN207764990U (zh) 一种新型的汉语拼音拼读装置
CN208580513U (zh) 一种英语教学装置
Mishra et al. Developments in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dyslexia: A review of literature and research
Isgur Establishing Letter—Sound Associations by on Object—Imaging—Projection Method
CN209232150U (zh) 一种自然拼读学具
KR20190026238A (ko) 방패연글자판 및 그림글자판을 이용한 조기 문해 학습교재
Ehri Teaching phonemic awareness and phonics in the language arts classroom: A developmental approach
Rahmadhani et al. The symbolic thinking ability of kindergarten students in central Aceh through Montessori games based on gender
US20230020455A1 (en) System and process for teaching speech to people with hearing and/or speech disabilities
CN206162938U (zh) 一种日语古文学习卡片组
CN105810047A (zh) 一种设有看图识字及汉语拼音的多功能花盘
Kitibayeva The formation of children’s cultural studies as a component of modern primary language education
CN207441049U (zh) 一种字母组合拼读系统
Hoon et al. The use of ubiquitous bottle caps as concrete aids to learn to read and spell for struggling readers
Sakach et al. Full Body Tone Production and Tone Mnem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35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35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